KR102107315B1 -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315B1
KR102107315B1 KR1020180128873A KR20180128873A KR102107315B1 KR 102107315 B1 KR102107315 B1 KR 102107315B1 KR 1020180128873 A KR1020180128873 A KR 1020180128873A KR 20180128873 A KR20180128873 A KR 20180128873A KR 102107315 B1 KR102107315 B1 KR 102107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pace
user terminal
list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효미
Original Assignee
신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효미 filed Critical 신효미
Priority to KR102018012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315B1/ko
Priority to PCT/KR2019/012914 priority patent/WO202008567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구매하고자 하는 작품이 자신의 공간에 잘 어울리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게 해 줄 수 있는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작품 관리 시스템은 공간 선택 모듈 및 작품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 공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간(이하, '선택 공간'이라 함)을 포함하는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작품을 상기 선택 공간 내에 결합시켜 생성된 공간 합성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온라인 상에서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작품이 자신이 선택한 배경 공간에 잘 어울리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ART WORK MANAGEMENT SYSTEM AND ART WORK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을 통해 미술 작품을 관람, 판매 및 구매할 수 있는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관 또는 갤러리는 화가, 공예가, 사진가, 조각가 등과 같은 작가들에 의해 제작되는 미술, 공예, 사진, 조각 등과 같은 예술 작품을 전시하는 오프라인상의 공간을 말한다. 이러한 전시관은 전시된 작품의 관람을 위한 장소이기도 하지만, 전시된 작품의 매매도 이루어지는 장소이기도 한다. 즉, 일반 이용자들은 전시관에 직접 방문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감상할 수도 있고, 마음에 드는 작품에 대한 구매도 직접 할 수 있다.
그러나, 예술 작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해당 전시관에 직접 방문하여 작품을 감상해야만 해당 작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즉, 인터넷 상에 가상의 전시관을 개설하고 인터넷 사용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예술 작품을 감상하도록 하고 매매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80165호(2002년 10월 23일 공개)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전시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가상 예술작품 전시, 판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특허는 인터넷상 예술작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가상 전시관 시스템 구현하여 대중 인지도를 형성하지 못한 작가들에 대해서 온라인상 가상 전시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관람객이 이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반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예술 작품은 보통 사용자 자신이 거주하는 집이나 사무실에 배치시켜 감상할 목적으로 구매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해당 사용자는 인터넷에서 임의의 예술 작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해당 예술 작품이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실제로 어울리는지 여부를 감으로만 파악하여 구매 행위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에게 구매하고자 하는 작품이 자신의 공간에 잘 어울리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게 해 줄 수 있는 작품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품 관리 시스템은 공간 선택 모듈 및 작품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 공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간(이하, '선택 공간'이라 함)을 포함하는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작품(이하, '선택 작품'이라 함)을 상기 선택 공간 내에 결합시켜 생성된 공간 합성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상기 배경 공간 목록을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상기 작품 목록을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작품이 배치되는 위치(이하, '설정 위치'라 함)를 결정하는 배치 위치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공간 선택 정보 및 상기 배치 위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작품을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의 상기 설정 위치에 결합시켜 생성된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배치되는 작품의 형태 및 사이즈(이하, '설정 형태 및 사이즈'라 함)를 결정하는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더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작품 중 상기 설정 형태 및 사이즈에 대응되는 작품을 추출하여 상기 작품 목록을 생성한 후, 상기 작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관련 작품 표시 영역에 상기 작품 목록 중 상기 선택 작품과 관련된 작품을 포함하는 관련 작품 목록을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관련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작품(이하, '선택 관련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관련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선택 작품을 상기 선택 관련 작품으로 변경된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공간 이미지 선택 영역에 상기 배경 공간 목록을 표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작품 선택 영역에 상기 작품 목록을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서지 사항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 작품의 서지 사항을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서지 사항은 작가명, 제작연도, 장르, 재료, 크기, 판매금액, 배송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 배경 공간을 신규 등록시키기 위한 공간 등록 화면을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배경 공간 A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공간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상기 배경 공간 A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배경 공간 A의 명칭을 포함하는 공간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설정 정보는 상기 배경 공간 A의 실제 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에 배치되기를 원하는 작품('구매 요청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따라 작품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작품 구매 진행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구매 요청 작품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 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시키고, 상기 구매 요청 작품에 대응되는 작품(이하, '제안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제안 작품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B로부터 수신할 경우, 상기 제안 작품을 포함하는 구매 가능 작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제안 작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하기 위한 구매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안 작품의 구매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구매 매칭 완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B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품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작품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 공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간(이하, '선택 공간'이라 함)을 포함하는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작품(이하, '선택 작품'이라 함)을 상기 선택 공간 내에 결합시켜 생성된 공간 합성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상기 배경 공간 목록을 표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상기 작품 목록을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작품이 배치되는 위치(이하, '설정 위치'라 함)를 결정하는 배치 위치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 선택 정보 및 상기 배치 위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작품을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의 상기 설정 위치에 결합시켜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배치되는 작품의 형태 및 사이즈(이하, '설정 형태 및 사이즈'라 함)를 결정하는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단계는 상기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작품 중 상기 설정 형태 및 사이즈에 대응되는 작품을 추출하여 상기 작품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 배경 공간을 신규 등록시키기 위한 공간 등록 화면을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배경 공간 A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공간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공간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상기 배경 공간 A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배경 공간 A의 명칭 및 상기 배경 공간 A의 실제 크기를 포함하는 공간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품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에 배치되기를 원하는 작품('구매 요청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작품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품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작품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 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작품에 대응되는 작품(이하, '제안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제안 작품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B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안 작품을 포함하는 구매 가능 작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제안 작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하기 위한 구매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안 작품의 구매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구매 매칭 완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B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작품 관리 시스템에 접속한 후,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배경 공간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작품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경우,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은 선택된 배경 공간 내에 선택된 작품을 결합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온라인 상에서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작품이 자신이 선택한 배경 공간에 잘 어울리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대한 배경 공간을 등록시킨 후 해당 배경 공간을 선택할 경우, 구매하고자 하는 작품이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잘 어울리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품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 중 공간 선택 모듈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으로 로그인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5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으로 배경 공간을 신규 등록시키기 위한 공간 등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6은 도 5의 공간 등록 화면에서 공간 등록 버튼을 클릭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공간 등록 버튼을 클릭한 후 배경 공간을 신규 등록시키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8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으로 공간 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9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으로 배치 위치 설정 정보 및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 중 작품 표시 모듈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 A에 작품 목록을 표시시키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 A에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 A에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 중 작품 구매 진행 모듈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 B에 구매 요청 목록을 표시시키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제안 작품을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결합시킨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7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 중 VR 갤러리 생성 모듈 및 VR 갤러리 실행 모듈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VR(Virtual Reality) 갤러리 A를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9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 중 작품 제작 진행 모듈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품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작품 관리 시스템(100)은 유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10)로 예술 작품, 예를 들어 미술 작품에 대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임의의 결제 서버(50)와 결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비스는 미술 작품의 전시, 관람, 제작, 구매 및 판매를 중계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들은 자신의 작품을 소유하고 있거나 요청된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작가, 작품을 관람하여 구매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작품의 제작을 요청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 요청자, 및 소지하고 있는 작품의 판매 권한을 가지고 있는 작품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10) 각각은 일반 컴퓨터 시스템이거나, 스마트폰 또는 테플릿 PC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이거나, 가상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일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가상 현실의 갤리러를 관람하고자 사용자는 HMD 장치를 착용하여 용이하게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은 공간 선택 모듈(110), 작품 표시 모듈(120),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 VR 갤러리 생성 모듈(140), VR 갤러리 실행 모듈(150) 및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 선택 모듈(110),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40), 상기 VR 갤러리 실행 모듈(150) 및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의 컴퓨터 시스템들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이거나, 단일 컴퓨터 시스템 또는 단일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프로그램들이거나, 복수의 컴퓨터 시스템들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에서 수행되는 복수의 프로그램들일 수 있다.
이하,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작품 관리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 중 공간 선택 모듈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으로 로그인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 A(10)가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도 4와 같은 메인 페이지 화면을 표시시키면서 작품 관리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는 상기 작품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작품 관리 서비스는 내공간 작품 걸기 서비스, 작품 구매 서비스, VR 갤러리 서비스 및 작품 제작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페이지 화면에서 내공간 작품 걸기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상기 내공간 작품 걸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내공간 작품 걸기 서비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으로 배경 공간을 신규 등록시키기 위한 공간 등록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의 공간 선택 모듈(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배경 공간을 신규 등록시키기 위한 공간 등록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간 등록 화면은 배경 공간 표시 영역,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의 상측에 배치된 공간 이미지 선택 영역,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의 우측에 배치된 작품 선택 영역, 및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의 하측에 배치된 관련 작품 표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등록 화면은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의 상측이면서 상기 공간 이미지 선택 영역의 우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공간 등록 버튼, 형태 선택 버튼, 사이즈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등록 화면은 상기 작품 선택 영역의 상측에 즐겨 찾기 버튼 및 작품 검색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는 이전에 선택되어 저장되어 있던 배경 공간의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거나, 이러한 이미지가 없을 경우 빈 공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공간 이미지 선택 영역에는 기 등록되어 있는 배경 공간들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어 있거나, 이러한 리스트가 없을 경우 빈 공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작품 선택 영역은 이전에 선택되어 저장되어 있던 작품들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어 있거나, 이러한 리스트가 없을 경우 빈 공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관련 작품 표시 영역은 이전에 선택되어 저장되어 있던 관련 작품들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어 있거나, 이러한 리스트가 없을 경우 빈 공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공간 등록 화면에서 공간 등록 버튼을 클릭한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공간 등록 버튼을 클릭한 후 배경 공간을 신규 등록시키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공간 등록 버튼을 클릭한 후, 등록을 원하는 배경 공간 A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공간 이미지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상기 배경 공간 A의 명칭 및 상기 배경 공간 A의 실제 크기를 포함하는 공간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 선택 모듈(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공간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공간 설정 정보를 수신한 후,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경 공간 A의 실제 크기란 상기 배경 공간 A의 이미지의 사이즈가 아니라, 이미지 내에 있는 상기 배경 공간 A의 실제 크기, 예를 들어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 선택 모듈(110)은 기 저장되어 있는 배경 공간 목록 내에 상기 배경 공간 A를 포함시켜 신규 등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경 공간 목록은 상기 공간 이미지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데, 상기 공간 선택 모듈(110)은 상기 배경 공간 A를 포함하는 상기 배경 공간 목록을 상기 공간 이미지 선택 영역에 표시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으로 공간 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복수의 배경 공간들 중 하나를 클릭하여 선택하면, 상기 공간 선택 모듈(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복수의 배경 공간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간(이하, '선택 공간'이라 함)을 포함하는 공간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선택 모듈(110)은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를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배경 공간이 무엇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다른 배경 공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으로 배치 위치 설정 정보 및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서 작품이 배치될 위치를 드래그하여 설정하면, 상기 공간 선택 모듈(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작품이 배치되는 위치(이하, '설정 위치'라 함)를 결정하는 배치 위치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 위치는 작품 배치 영역의 위치를 대표하는 값으로, 예를 들어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의 중심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서 작품이 배치될 위치를 드래그하여 설정하면서, 상기 형태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의 형태를 선택하고, 상기 사이즈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의 사이즈를 선택할 경우, 상기 공간 선택 모듈(1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상기 배치 위치 설정 정보과 함께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배치되는 작품의 형태 및 사이즈(이하, '설정 형태 및 사이즈'라 함)를 결정하는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더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 형태는 가로형, 세로형 및 정방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설정 사이즈는 상기 설정 형태에 따른 세로 및 가로 사이즈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 중 작품 표시 모듈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 A에 작품 목록을 표시시키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며, 도 12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 A에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작품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의 작품 표시 모듈(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선택 가능한 작품으로 구성된 작품 목록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작품 목록은 상기 작품 선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은 상기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모든 작품들 중 상기 설정 형태 및 사이즈에 대응되는 작품들을 추출하여 상기 작품 목록을 생성한 후, 상기 작품 목록을 상기 작품 선택 영역에 표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작품 검색 버튼의 클릭 없이도, 상기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수신하기만 하면 상기 작품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작품 선택 영역에 표시시킬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즐겨 찾기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은 이전에 검색했거나 클릭했었던 복수의 작품들 중에서 상기 설정 형태 및 사이즈에 대응되는 작품들을 추출하여 상기 작품 목록을 생성한 후, 상기 작품 목록을 상기 작품 선택 영역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복수의 작품들 중에서 하나의 작품(이하, '선택 작품'이라 함)을 클릭하여 선택하면,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상기 선택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은 상기 공간 선택 정보, 상기 작품 선택 정보 및 상기 배치 위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작품을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의 상기 설정 위치에 결합시켜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는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은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면서, 상기 관련 작품 표시 영역에 상기 작품 목록 중 상기 선택 작품과 관련된 작품을 포함하는 관련 작품 목록을 표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련 작품 목록은 상기 선택 작품의 작가가 제작한 다른 작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관련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복수의 작품들 중에서 하나의 작품(이하, '선택 관련 작품'이라 함)을 클릭하여 선택하면,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상기 선택 관련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관련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는 상기 관련 작품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작품을 상기 선택 관련 작품으로 변경된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 표시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 A에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작품 선택 영역에 표시된 상기 작품 목록 내에서 하나의 작품을 클릭하거나, 다른 방식에 의해 표시된 작품 목록 내에서 하나의 작품을 클릭하여 상기 선택 작품을 선택하면,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상기 선택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표시 모듈(120)은 상기 공간 선택 정보, 상기 작품 선택 정보 및 상기 배치 위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작품을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의 상기 설정 위치에 결합시켜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선택 작품의 서지 사항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지 사항은 작가명, 제작연도, 장르, 재료, 크기, 판매금액, 배송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의 표시 화면은 도 13과 같이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가 표시되는 배경 공간 표시 영역, 및 상기 선택 작품의 서지 사항이 표시되는 서지 사항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지 사항 표시 영역은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의 표시 화면은 신규 배경 공간을 등록하기 위한 공간 등록 버튼, 상기 선택 공간을 결정하기 위해 배경 공간 목록이 표시되는 공간 이미지 선택 영역,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의 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형태 선택 버튼, 및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의 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사이즈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작품 구매 서비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4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 중 작품 구매 진행 모듈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5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 B에 구매 요청 목록을 표시시키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며, 도 16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제안 작품을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결합시킨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를 통해 상기 작품 구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상기 작품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의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에 배치되기를 원하는 작품('구매 요청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따라 작품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입력하여 업로드하면,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구매 요청 작품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설명 정보 또는 유사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기에 앞서, 상기 선택 공간을 결정한 상태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구매 요청 작품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목록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 B(10)을 포함하는 복수의 작품 관리자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에 도 15의 화면과 같이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품 관리자는 적어도 하나의 작품에 대한 판매 관리 권한을 갖고 있는 등록 사용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구매 요청 정보와 같은 신규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매 요청 목록을 업데이트할 때마다, 또는 일정 시점마다 상기 구매 요청 목록을 상기 작품 관리자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에 각각 표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작품 관리자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만 푸시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SMS 메시지 등을 전송하거나 공지사항 등에 게재함으로써 표시시킬 수 있으나, 상기 작품 관리자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되어 있지 않더라 하더라도 푸시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SMS 메시지 등을 전송함으로써 표시시킬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작품 관리자들 각각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매 요청 목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품 관리자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은 상기 작품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어서, 작품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B(10)를 통해 상기 구매 요청 목록 내에서 상기 구매 요청 작품을 선택한 후,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작품들 중 상기 구매 요청 작품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품(이하, '제안 작품'이라 함)을 선택할 경우,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B로부터 상기 제안 작품을 포함하는 제안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제안 작품을 포함하는 구매 가능 작품 목록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매 가능 작품 목록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B(10)에 의해 제공받은 상기 제안 작품뿐 만아니라 다른 작품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해 제공받은 다른 제안 작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구매 가능 작품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 B(10)에 의해 제공받은 상기 제안 작품을 선택한 경우,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제안 작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하기 위한 구매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구매 작품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안 작품의 구매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구매 매칭 완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B(10)로 각각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구매 매칭 완료 메시지를 확인한 후 결제 버튼을 클릭할 경우,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결제 진행을 위한 구매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130)은 상기 구매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서버(50)에 접속하여 결제를 진행한 후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7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 중 VR 갤러리 생성 모듈 및 VR 갤러리 실행 모듈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8은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이 VR(Virtual Reality) 갤러리 A를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를 통해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상기 VR 갤러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의 VR 갤러리 생성 모듈(140)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업로드 입력 화면을 표시시키면, 사용자는 상기 업로드 입력 화면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를 포함하는 작품 업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4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본 이미지는 전시하고자하는 예술 작품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는 상기 원본 이미지뿐만 아니라, 작품 서지 정보, 작품 설명 정보, 권리자 정보 및 구매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품 서지 정보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작가명, 작품 제작일, 작품 사이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작품 설명 정보는 설명 텍스트 정보, 설명 음성 파일 및 설명 동영상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권리자 정보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소유권자 및 저작권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가 정보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한 구매가 및 저작권 사용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유권자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작품을 소유할 권리를 가진 자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저작권자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작품을 광고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가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작품의 소유권을 획득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저작권 사용료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작품에 대한 저작권을 구매하여 광고 등에 이용할 때 지불되는 비용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유권자가 상기 저작권자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상기 저작권자는 생략될 수 있고, 상기 구매가가 상기 저작권 사용료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상기 저작권 사용료는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40)은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의 온라인 관람을 위한 VR(Virtual Reality) 갤러리 A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VR 갤러리 A가 생성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40)은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VR 갤러리 A에 대한 갤러리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업로드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업로드한 후 또는 동시에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함께 업로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는 갤러리 스타일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템플릿 중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템플릿 선택 정보,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에 의해 선택된 갤러리 템플릿 내의 복수의 배치 위치들 중 상기 원본 이미지를 배치시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작품 위치 설정 정보, 및 상기 VR 갤러리 A를 설명하기 위한 갤러리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템플릿 선택 정보, 상기 작품 위치 설정 정보 및 상기 갤러리 설명 정보는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40)이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모두 수신하면,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VR 갤러리 A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40)은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 없이도 자동으로 상기 VR 갤러리 A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VR 갤러리 A에 대한 설정 정보는 기본 설정 정보일 수 있고, 이후 상기 기본 설정 정보는 위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40)은 상기 작품 업로드 데이터 및 상기 갤러리 설정 정보를 확인한 후, 요청 작품별로 폴더를 생성하고, 작품별 원본 이미지를 해당 작품 설정 위치에 맞게 사이즈를 변경하고 작품별로 그림자 효과 및 조명 효과를 추가하여 가상현실 공간에 자동 배치시키며, 작품별 설명 정보를 해당 폴더에 저장시키고, 작품별로 원본 보기 아이콘, 작품 구매 아이콘, 음성/영상/유투브 링크 아이콘, 자동 생성된 갤러리 미리보기 아이콘 등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VR 갤러리 A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갤러리 생성부(112)는 상기 원본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형상으로 변환시킨 후 가상현실 공간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VR 갤러리 생성 모듈(140)이 상기 VR 갤러리 A를 생성하면, 상기 VR 갤러리 A를 포함하는 갤러리 목록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 C(10)를 통해 VR 갤러리 관람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의 VR 갤러리 실행 모듈(15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C(10)에 상기 갤러리 목록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 C(10)는 상기 작품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C(10)를 통해 상기 갤러리 목록 내에 포함된 VR 갤러리들 중 어느 하나의 VR 갤러리(이하, '선택 갤러리'이라 함)를 클릭하여 선택하면, 상기 VR 갤러리 실행 모듈(15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C(10)로부터 상기 선택 갤러리를 결정하는 갤러리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VR 갤러리 실행 모듈(150)은 상기 갤러리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 갤러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C(10)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 C(10)는 도 18와 같이 상기 선택 갤러리를 3차원 공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C(10)를 통해 상기 선택 갤러리에 포함된 작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작품(이하, '구매 선택 작품'이라 함)을 구매하기로 선택하면, 상기 VR 갤러리 실행 모듈(15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C(10)로부터 상기 구매 선택 작품을 구매하기 위한 작품 구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VR 갤러리 실행 모듈(150)은 상기 작품 구매 정보에 포함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서버(50)에 접속하여 상기 구매 선택 작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시킨 후, 배송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품 구매 정보는 상기 구매 선택 작품의 소유권 획득을 위한 소유권 결제 정보 및 상기 구매 선택 작품의 저작권 획득을 위한 저작권 결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구매 선택 작품의 구매가를 지불하여 상기 구매 선택 작품을 소유할 수 있고, 상기 구매 선택 작품의 저작권 사용료를 지불하여 상기 구매 선택 작품의 저작권만을 소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매 선택 작품에 대한 권리자의 변경이 발생될 경우, 상기 구매 선택 작품에 대한 권리자 정보가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작품 제작 서비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9는 도 1의 작품 관리 시스템 중 작품 제작 진행 모듈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를 통해 상기 작품 제작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상기 작품 제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제작을 원하는 작품(이하, '제작 요청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제작 요청 정보를 입력하여 업로드하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의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상기 제작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작 요청 정보는 상기 제작 요청 작품의 설명 정보 또는 유사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은 상기 제작 요청 작품을 포함하는 제작 요청 목록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 D(10)을 포함하는 복수의 작가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로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은 상기 제작 요청 정보와 같은 신규 제작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작 요청 목록을 업데이트할 때마다, 또는 일정 시점마다 상기 제작 요청 목록을 상기 작가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에 각각 표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은 상기 작가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만 푸시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SMS 메시지 등을 전송하거나 공지사항 등에 게재함으로써 표시시킬 수 있으나, 상기 작가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되어 있지 않더라 하더라도 푸시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SMS 메시지 등을 전송함으로써 표시시킬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작가들 각각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작 요청 목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가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은 상기 작품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어서, 작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D(10)를 통해 상기 제작 요청 목록 내에서 상기 제작 요청 작품을 선택하면서 제작을 위한 제안 내용을 입력하면,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D(10)로부터 제작 요청 수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작 요청 수락 정보는 상기 제작 요청 작품에 대한 제작 요청을 수락한 작가(이하, '요청 수락 작가'라 함)의 대한 정보 및 상기 요청 수락 작가가 작품 제작으로 위해 제안하는 제안 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은 상기 요청 수락 작가를 포함하는 수락 작가 목록을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에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수락 작가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작가를 선택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요청 수락 작가를 선택한 경우,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요청 수락 작가를 제작 작가로 결정하기 위한 작가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은 상기 작가 선택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작 요청 작품에 대한 작가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작 매칭 완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D(10)로 각각 전송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를 통해 상기 제작 매칭 완료 메시지를 확인한 후 제작비의 결제 버튼을 클릭할 경우,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10)로부터 제작비의 결제 진행을 위한 제작비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작품 제작 진행 모듈(160)은 상기 제작비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서버(50)에 접속하여 결제를 진행한 후 제작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한 후,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배경 공간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작품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경우,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선택 공간 내에 상기 선택 작품을 결합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온라인 상에서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작품이 자신이 선택한 배경 공간에 잘 어울리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대한 배경 공간을 등록시킨 후 해당 배경 공간을 선택할 경우, 구매하고자 하는 작품이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잘 어울리는지 여부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작품을 전시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해당 작품의 원본 이미지를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 업로드하게 되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이 업로드된 작품의 원본 이미지를 가상현실 공간에서 관람이 가능하도록 VR 갤러리를 생성함에 따라, 작품의 관람을 원하는 관람객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상기 VR 갤러리를 통해 실제 갤러리에서 관람하듯 현장감 있게 해당 작품을 관람할 수 있고, 이후 작품 구매까지 연계할 수도 있다.
또한, 작품 제작 요청을 원하는 사용자가 제작 요청 작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에 업로드하게 되면,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요청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작가를 섭외하여 자동으로 매칭시켜 줌에 따라, 해당 사용자는 작품 제작 요청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기 50 : 결제 서버
100 : 작품 관리 시스템 110 : 공간 선택 모듈
120 : 작품 표시 모듈 130 : 작품 구매 진행 모듈
140 : VR 갤러리 생성 모듈 150 : VR 갤러리 실행 모듈
160 : 작품 제작 진행 모듈

Claims (24)

  1.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 공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간(이하, '선택 공간'이라 함)을 포함하는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공간 선택 모듈; 및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작품(이하, '선택 작품'이라 함)을 상기 선택 공간 내에 결합시켜 생성된 공간 합성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작품 표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배경 공간 각각에 대한 공간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배경 공간 각각에 대한 실제 사이즈를 포함하는 공간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상기 배경 공간 목록을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작품이 배치되는 위치(이하, '설정 위치'라 함)를 결정하는 배치 위치 설정 정보와,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배치되는 작품의 형태 및 사이즈(이하, '설정 형태 및 사이즈'라 함)를 결정하는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배치 위치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를 통해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서 작품이 배치될 위치를 드래그하여 설정된 정보로, 작품 배치 영역의 위치를 대표할 수 있는 값을 포함하고,
    상기 작품 선택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를 통해 가로형, 세로형 및 정방형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의 형태를 선택하여 상기 작품의 형태를 설정한 후, 선택된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의 형태에 대한 세로 및 가로 사이즈를 선택하여 상기 작품의 사이즈를 설정함으로써 생성된 정보이며,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작품 중 상기 설정 형태 및 사이즈에 대응되는 작품을 추출하여 상기 작품 목록을 생성한 후, 상기 작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상기 작품 목록을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의 상기 설정 위치에 상기 선택 작품을 결합시켜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관련 작품 표시 영역에 상기 작품 목록 중 상기 선택 작품과 관련된 작품을 포함하는 관련 작품 목록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관련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작품(이하, '선택 관련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관련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선택 작품을 상기 선택 관련 작품으로 변경된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공간 이미지 선택 영역에 상기 배경 공간 목록을 표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작품 선택 영역에 상기 작품 목록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품 표시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배경 공간 표시 영역에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표시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의 표시 화면 중 서지 사항 표시 영역에 상기 선택 작품의 서지 사항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사항은
    작가명, 제작연도, 장르, 재료, 크기, 판매금액, 배송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선택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 배경 공간을 신규 등록시키기 위한 공간 등록 화면을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배경 공간 A의 이미지와, 상기 배경 공간 A의 명칭 및 실제 사이즈를 수신하여 저장하면서,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상기 배경 공간 A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에 배치되기를 원하는 작품('구매 요청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 요청 정보에 따라 작품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작품 구매 진행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품 구매 진행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구매 요청 작품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 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시키고,
    상기 구매 요청 작품에 대응되는 작품(이하, '제안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제안 작품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B로부터 수신할 경우, 상기 제안 작품을 포함하는 구매 가능 작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제안 작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하기 위한 구매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제안 작품의 구매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구매 매칭 완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B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시스템.
  16.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된 작품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작품 관리 방법에 있어서,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배경 공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간(이하, '선택 공간'이라 함)을 포함하는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작품 목록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작품(이하, '선택 작품'이라 함)을 상기 선택 공간 내에 결합시켜 생성된 공간 합성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배경 공간 각각에 대한 공간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포함된 배경 공간 각각에 대한 실제 사이즈를 포함하는 공간 설정 정보는 상기 작품 관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상기 배경 공간 목록을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상기 배경 공간 목록을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작품이 배치되는 위치(이하, '설정 위치'라 함)를 결정하는 배치 위치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 배치되는 작품의 형태 및 사이즈(이하, '설정 형태 및 사이즈'라 함)를 결정하는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 위치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를 통해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 내에서 작품이 배치될 위치를 드래그하여 설정된 정보로, 작품 배치 영역의 위치를 대표할 수 있는 값을 포함하고,
    상기 작품 선택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를 통해 가로형, 세로형 및 정방형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의 형태를 선택하여 상기 작품의 형태를 설정한 후, 선택된 상기 작품 배치 영역의 형태에 대한 세로 및 가로 사이즈를 선택하여 상기 작품의 사이즈를 설정함으로써 생성된 정보이며,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단계는
    상기 작품 선택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있는 작품 중 상기 설정 형태 및 사이즈에 대응되는 작품을 추출하여 상기 작품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작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상기 작품 목록을 표시시킨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작품을 결정하기 위한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공간의 이미지의 상기 설정 위치에 상기 선택 작품을 결합시켜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합성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품 관리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 배경 공간을 신규 등록시키기 위한 공간 등록 화면을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배경 공간 A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배경 공간 A의 명칭 및 실제 사이즈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 공간 A의 이미지, 명칭 및 실제 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배경 공간 목록 내에 상기 배경 공간 A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방법.
  22. 삭제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선택 공간에 배치되기를 원하는 작품('구매 요청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작품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작품 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작품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 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 작품에 대응되는 작품(이하, '제안 작품'이라 함)을 포함하는 제안 작품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B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안 작품을 포함하는 구매 가능 작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에 표시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상기 제안 작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하기 위한 구매 작품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안 작품의 구매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구매 매칭 완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A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B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관리 방법.
KR1020180128873A 2018-10-26 2018-10-26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KR102107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873A KR102107315B1 (ko) 2018-10-26 2018-10-26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PCT/KR2019/012914 WO2020085672A1 (ko) 2018-10-26 2019-10-02 작품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작품 콘텐츠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873A KR102107315B1 (ko) 2018-10-26 2018-10-26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315B1 true KR102107315B1 (ko) 2020-05-06

Family

ID=7073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873A KR102107315B1 (ko) 2018-10-26 2018-10-26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779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3718A (ja) * 2000-10-18 2002-04-26 Oricon Co Ltd 美術商品の選択システム
KR101693793B1 (ko) * 2015-07-03 2017-01-06 주식회사 반트 미술품의 온라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1019A (ko) * 2015-11-02 2017-05-11 백명섭 전시자 맞춤형 3차원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3718A (ja) * 2000-10-18 2002-04-26 Oricon Co Ltd 美術商品の選択システム
KR101693793B1 (ko) * 2015-07-03 2017-01-06 주식회사 반트 미술품의 온라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1019A (ko) * 2015-11-02 2017-05-11 백명섭 전시자 맞춤형 3차원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779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16848B1 (ko) 2021-11-05 2023-12-27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36734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tem Image in a Contextual Environment
KR102275189B1 (ko)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CN108573391A (zh) 一种推广内容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2230685B1 (ko)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KR102013526B1 (ko) 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1394A (ko) 네트워크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 엔트리들의 링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201117125A (en) Monetization of interactive network-based information objects
KR102107315B1 (ko)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JP6340124B1 (ja) 写真作製システム、販売システム、写真作製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397507B2 (ja) 書籍コンテンツに広告を挿入配信するサーバ装置
JP6599214B2 (ja) 写真販売管理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AU2020102644A4 (en) Online Artwork gallery Systems And Methods
US20210390615A1 (en) Virtual reality galler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gallery service
JP2014013536A (ja) プリ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1243310A (ja) コンテンツ情報閲覧装置、コンテンツ情報閲覧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閲覧システム
KR100857858B1 (ko) 개인마켓구축 대행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27831A (ko) 미술작품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미술작품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KR101032474B1 (ko) 전자 카탈로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0064423A (ja) 登録装置、登録方法および登録プログラム
KR102309740B1 (ko) 전자문서 콘텐츠 관리 방법
KR20060015034A (ko) 이미지 관리 및 거래가 가능한 웹 하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11928725B2 (en) Methods for searching and obtaining design items and meta data concerning the design items
US202203582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uration of artwork
KR2003002535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그림 중개 시스템 및 중개 방법
JP2009009524A (ja) オンライン印刷注文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