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309B1 -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 Google Patents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309B1
KR102104309B1 KR1020180014408A KR20180014408A KR102104309B1 KR 102104309 B1 KR102104309 B1 KR 102104309B1 KR 1020180014408 A KR1020180014408 A KR 1020180014408A KR 20180014408 A KR20180014408 A KR 20180014408A KR 102104309 B1 KR102104309 B1 KR 10210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drone
hinge shaft
remote control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4817A (en
Inventor
조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드론
조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드론, 조형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드론
Priority to KR102018001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309B1/en
Priority to PCT/KR2018/001740 priority patent/WO2019156264A1/en
Publication of KR2019009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8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3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0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 G05G2009/04707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ball joi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switches or sensors on the handle

Abstract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one-hand) 원격 조종 장치는 몸체부; 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함으로써, 드론의 수평 이동 및 제자리 회전을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조종부; 조종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드론의 수직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입력부; 및 조종부의 틸팅 방향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저항값이 변경되는 가변저항에 기초하여, 드론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one includes a body part; A steering unit that is capable of operating horizontally and in-place rotation of the drone by tilting or rotating in place based on a hinge axis formed to protrude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the input unit is manipulated to enable each vertical movement of the drone; And a control unit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drone bas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whos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ilting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드론 또는 무인비행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사람이 승선하지 않고, 무선으로 조작하여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멀티콥터 드론은 최초로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으로 방송 등에서 촬영으로 많이 사용되며 최근 드론(무인 비행체)가 상용화되고 있다.A drone o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refers to an air vehicle that is operated by a person without flying on board. Multicopter drones were first developed for military use, but they are widely used for photography in broadcasting, etc. due to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storage, and drones (unmanned aerial vehicles) have recently been commercialized.

특히, 드론은 기체가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신속하며, 경제성이 뛰어나 항공촬영, 저고도 정찰수색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은 카메라로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서 촬영을 하거나, 드론에 물건을 싣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물건을 운반하는 용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을 재난 재해 모니터링, 물류 운반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drones are used for applications such as aerial photography and low-altitude reconnaissance search due to their light weight, ease of portability, and rapid economic efficiency. In addition, drones are used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taking pictures at locations that are difficult for a person to access with a camera, or carrying objects on a drone and moving them to another place. In addi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use drones in disaster disaster monitoring and logistics transportation.

최근에는 드론은 일반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항공 촬영을 하는 등의 레저 스포츠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종래보다 가볍고, 소형화되며, 고성능의 소형 카메라가 장착되기도 한다.Recently, drones have been spotlighted as leisure sports such as carrying by the general users and taking aerial photographs using a camera. These drones are lighter, smaller than ever, and are equipped with high-performance compact cameras.

드론은 사람이 승선하지 않는 무인 비행체 이므로, 보통 지상에 있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받아 운용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드론은 사람의 조작이 필요한 수동운전에 의해 조작된다.The drone is an unmanned air vehicle that is not boarded by humans, so it is usually operated by receiving signals from the user on the ground. To date, most drones are operated by manual operation that requires human manipulation.

그러나, 종래의 드론을 조작하는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두 손으로 파지(Grab) 한 상태에서 조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는 조작의 난이성 때문에 드론을 조종하는데 높은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판매되는 드론의 종류도 입문용, 중급용, 고급용으로 나뉘어 판매되고 있다. 또한, 드론 유저들은 드론의 능숙한 조종을 위해 드론 조종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t is common for the controller to operate the conventional drone to be operated while the user grasps with both hands. As such, the controller has become a high entry barrier for manipulating drones due to the difficulty of manipulation. For this reason, the types of drones sold are also divided into entry-level, intermediate, and high-end. In addition, drone user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need to invest a lot of time in drone control for skillful control of the drone.

그런데, 드론이 레저 스포츠 등으로까지 그 활용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드론 조작의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보다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드론 컨트롤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as the application field of drones is expanded to leisure sports, etc., the need for a drone controller that can be operated more easily by people who are not trained in drone manipulation and can be operated intuitively is emerging.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한 손으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며 조종의 편의성이 향상된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that can be operated in various ways with one hand and has improved control convenience.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one-hand) 원격 조종 장치는 몸체부; 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함으로써, 드론의 수평 이동 및 제자리 회전을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조종부; 조종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드론의 수직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입력부; 및 조종부의 틸팅 방향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저항값이 변경되는 가변저항에 기초하여, 드론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A steering unit that is capable of operating horizontally and in-place rotation of the drone by tilting or rotating in place based on a hinge axis formed to protrude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the input unit is manipulated to enable each vertical movement of the drone; And a control unit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drone bas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whos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ilting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한 손으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며 조종의 편의성이 향상된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various manipulations with one hand and improved convenience of manipu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힌지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inge axis of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Also,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분해도이다.2 is an exploded view of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힌지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inge axis of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종단면도이다.4 and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1)는 몸체부(10), 몸체부(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함으로써, 드론의 수평 이동 및 제자리 회전을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조종부(20), 조종부(20)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드론의 수직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입력부(30) 및 조종부(20)의 틸팅 방향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저항값이 변경되는 가변저항에 기초하여, 드론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드론의 수평 및 수직 움직임을 한 손으로 제어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1 for controlling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or rotated in place based on the hinge ax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the body portion, the drone The control unit 20 and the control unit 2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20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and in-place rotation of the input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20, respectively, to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drone. It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drone, bas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whose resista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tilting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ue to thi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of the drone can be controlled with one han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0)는 수용 공간을 갖는 제1 하우징(11)과 제1 하우징(11)의 상단을 커버하는 제2 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 하우징(11)의 수용 공간에는 버튼부(13), 힌지축 지지부(14), 브라켓(15), 서포트(16), 링부재(17), 인쇄회로기판(18)이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body portion 10 is composed of a first housing 11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housing 12 covering the top of the first housing 11. At this time,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housing 11, a button part 13, a hinge shaft support part 14, a bracket 15, a support 16, a ring member 17, a printed circuit board 18 may be mounted. You can.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11)에는, 힌지축(24)이 관통하는 링부재(17), 링부재(17)의 상부에 위치하며 힌지축(24)의 하단을 고정하되, 힌지축(24)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힌지축 지지부(14), 힌지축 지지부(14)의 하단이 장착되는 브라켓(15) 및 브라켓(15)과 링부재(17)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16)가 수용된다. Specifically, in the first housing 11, the hinge shaft 24 through the ring member 17, the ring member 17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inge shaft 24 to fix the lower end, the hinge shaft (24 ) The hinge shaft support 14 formed to enable tilting, the bracket 15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hinge shaft support 14 is mounted, and the support 16 disposed between the bracket 15 and the ring member 17 are accommodated. do.

또한, 몸체부(10)는 브라켓(15)의 일측에 고정되되,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18), 인쇄회로기판(18)의 상부에 배치되되, 원격 조종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버튼부(13) 및 인쇄회로기판(18)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4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15, is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8, the printed circuit board 18 including one or more interface terminal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 A button unit 13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40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8.

여기서, 제 1 하우징(11)에는 일면에 인터페이스 단자로의 외부 기기의 인입을 허용하는 단자 삽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통신모듈(40)이 관통하는 모듈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2)에는 힌지축(24)이 관통하는 힌지 삽입구(121)와 버튼부(13)가 돌출되는 버튼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버튼부(13)는 양단의 상부면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버튼(131) 및 제2 버튼(13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버튼(131)을 누름에 따라 원격 조종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고, 제 2 버튼(132)을 누름에 따라 드론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housing 11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insertion hole to allow external devices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face terminal on one surface, and a module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40 penetrates on the other surface. In addition, a hinge insertion hole 121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24 penetrates and a butto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button portion 13 protrude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12. Illustrative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utton portion 13 includes a first button 131 and a second button 132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user may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by pressing the first button 131, and turn the power of the drone on / off by pressing the second button 132.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조종부(20)는 회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센서는 힌지축(24)에 장착되는 제1 부재(241) 및 제1 부재(241)와 탄성부재(미도시) 를 매개로 결합되되, 힌지축(24)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24)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조종부(20)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2 부재(221)를 포함한다. 제 1 부재(241) 및 제 2 부재(242)는 가변저항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부재(241)에 대한 제 2 부재(221)의 시계/반시계 방향의 이동에 따라 저항값이 변경되고, 이를 기초로 조종부(20)의 회전 방향의 각도가 인식될 수 있다. 즉, 회전 방향의 경우, 제 1 부재(241)를 기준으로 제2 부재(221)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를 파악하여 조종부(2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저항값이 변경됨에 따라 가변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값이 달라지게 되는데, 달라진 전압값의 정도에 따라 회전 각도가 인식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20 may include a rotation sensor. The rotation sensor is coupled via a first member 241 and a first member 241 and an elastic member (not shown) mounted on the hinge shaft 24,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hinge shaft 24, the hinge It includes a second member 221 mounted to the case of the control unit 20 formed to surround the shaft (24). The first member 241 and the second member 242 function as a variable resistor. Th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member 221 in the clockwise /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241, and based on this, the angle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20 may be recogniz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in which direction the second member 221 rotates based on the first member 241 and recognize whether the control unit 2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ddition, as the resistance value is changed, the voltage value applied to the variable resistor is changed. The rotation angle may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changed voltage value.

예시적으로, 조종부(20)가 힌지축(24)을 기준으로 우측(시계 방향) 또는 좌측(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제어부는 제 1 부재(241)에 제 2 부재(221)의 각각 상이하게 발생하는 가변저항에 따라 조종부(20)의 제자리 회전 방향을 감지한 후 우측 또는 좌측 제자리 회전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40)을 통해 드론으로 제자리 회전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부재(221)가 탄성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경우, 우측 또는 좌측으로 제자리 회전된 드론에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회전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20 is rotated to the right (clockwise) or left (counterclockwise) relative to the hinge axis 24,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member 241 and the second member 221. After detec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20 according to the variable resistance generated by each of the right or left, it generates a right or left in-situ rotation control command signal and transmits the in-situ rotation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dron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0. You can. For example, when the second member 221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the rotation control command signal for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drone rotated in the right or left position or not.

추가 실시예로서, 제2 부재(221)는 탄성부재(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탄성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 2 부재(221)와 제 1 부재(241)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거나, 조종부(20)의 케이스와 힌지축(24)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의 영향으로 인해, 사용자가 조종부(20)를 제자리 회전시킨 후 조종부(20)를 잡고있던 손을 놓게 된다면, 조종부(20)는 본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제자리 회전할 수 있다. 만약 탄성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다면, 제자리 회전하기 전의 기준위치(0°의 각도 위치)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하여 되돌려 놓을 수 없게 되므로, 드론 제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As a further embodiment, the second member 221 may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an elastic member (eg, spring).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lastic member may be installed to connect the second member 221 and the first member 241, or may be installed to connect between the case of the control unit 20 and the hinge shaft 24. .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lastic member, if the user releases the hand holding the control unit 20 after rotating the control unit 20 in place, the control unit 20 may rotat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If the elastic member does not exist, the user cannot accurately recognize and return the reference position (0 ° angular position) before rotating in place, which may cause considerable difficulty in drone control.

또한, 본 발명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는 수평면 상에서 상호 직각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위치센서(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position sensors 25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a horizontal plane.

위치센서(25)는 힌지축(24)의 전/후/좌/우 방향을 센싱하고, 센싱값에 기초하여 조종부(20)의 틸팅 방향에 대한 저항값이 변경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서, 위치센서(25)는 상술한 회전센서와 동일한 형상 또는 기능을 갖는 센서일 수 있다. The position sensor 25 senses the front / rear / left / right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24, and the resistance value for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20 may be chang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As a further embodiment, the position sensor 25 may be a sensor having the same shape or function as the rotation sensor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한 쌍의 위치센서(25)는 몸체부(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위치센서(25) 중 하나가 힌지축(24)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와 나머지 하나가 힌지축(24)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는 같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위치센서(25)는 서로 90°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 위치센서(25)는 힌지축(24)이 특정 방향으로 틸팅됨에 따라(기울어짐에 따라), 틸팅되는 각도만큼의 저항값 변화를 일으키게되고, 저항값 변화에 따라 위치센서(25)에 인가된 전압값이 변화되는데, 이때의 전압값을 기초로 틸팅각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위치센서(25)는 전/후 방향의 각도를 인식하고, 나머지 위치센서(25)는 좌/우 방향의 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위치센서(25)는 틸팅 방향만 인식할 수도 있고, 틸팅 방향과 각도까지 인식할 수도 있다. 만약 틸팅 각도까지 인식할 경우 틸팅각도와 드론의 이동거리가 비례하도록 수평이동제어명령신호가 생성될 수도 있다. Specifically, a pair of position sensors 25 may be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10, where one of the pair of position sensors 25 is spaced apart from the hinge axis 24 based on the distance and the other one The distance spaced based on the hinge axis 24 may be arranged to be the same. Each position sensor 25 may be arranged to have an angle of 90 ° to each other. Each position sensor 25 causes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by the tilting angle as the hinge shaft 24 is tilted (inclined) in a specific direction, and is applied to the position sensor 25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The changed voltage value is changed, and the tilting angle can be grasped based on the voltage value at this time. At this time, one position sensor 25 may recognize the angle in the front / rear direction, and the other position sensor 25 may recognize the angle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Meanwhile, the position sensor 25 may recognize only the tilting direction or even the tilting direction and angle. If the tilting angle is recognized, a horizontal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may be generated such that the tilting angle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drone are proportional.

예시적으로, 조종부(20)가 전/후/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제어부는 상호 직각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위치센서(25)에 의해, 조종부(20)의 틸팅 방향을 감지한 후 전/후/좌/우 수평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통신모듈(40)을 통해 드론으로 수평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20 is inclin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 rear / left / right direction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trol unit 20 by two position sensors 25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fter detecting the tilting direction, a front / rear / left / right horizontal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is generated, and a horizontal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dron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종부(20)를 우측(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우측 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제어부는 우측 수평 이동 제어 명령 신호와 우측(시계 방향) 제자리 회전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드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조종부(20)를 이용하여 한 손 만으로 드론의 수평 이동 및 제자리 회전을 포함하는 수평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control unit 20 to the right (clockwise) and inclines in the right direc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right horizontal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and a right (clockwise) in-place rotation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drone. Can transmit. In this way, the user can control the horizontal movement including the horizontal movement and the in-plane rotation of the drone with only one hand using the control unit 20.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조종부(20)는 힌지축(24)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 하프 케이스(21) 및 제2 하프 케이스(22)로 구성되되, 제 1 및 제 2하프 케이스(21, 22)의 상단은 입력부(30)의 하단이 삽입되고, 입력부(30)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gain, the control unit 20 is composed of a first half case 21 and a second half case 22 formed to surround the hinge shaft 24, and the first and second half cases ( 21, 22) the upper end of the input unit 30 is inserted,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30 may be formed to have an opening to be exposed.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하프케이스(21)는 제 2 하프케이스(22)에 나사(23)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하프 케이스(22)에도, 제1 하프 케이스(21)의 삽입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홀(211)은 제 1 및 제2 하프 케이스(21, 22)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각각의 둘레부에 모서리와, 힌치축(24)의 상측 가운데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삽입홀(211) 중에서 힌지축(24)의 상측 가운데 위치한 삽입홀(211)의 깊이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first half case 21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11 for fixing to the second half case 22 with screws 23. Similarly, a fixed hol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alf case 2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211 of the first half case 21. At this time, the insertion hole 211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each corner and the upper side of the hinge shaft 24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alf cases 21 and 22 are firmly coupled. As illustrated in FIG. 4, among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211, the depth of the insertion hole 211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hinge shaft 24 may be largest.

제2 하프 케이스(22)는 사용자가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입력부(30)의 상부면에 얹고 한 손의 나머지 손가락들로 조종부(20)의 측면부를 감싸쥘 때, 나머지 손가락들이 그립감을 갖도록 외측을 향하여 곡선 형상으로 돌출된 그립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half case 22, when the user puts the thumb of one h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30 and wraps the side portion of the control unit 20 with the remaining fingers of one hand, the rest of the fingers have a grip feeling. A grip portion 222 protruding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outside may be formed.

입력부(30)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볼(321)의 구름운동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32) 및 본체(32)가 관통하는 홀이 가운데 형성되되, 조종부(20)의 개구를 덮도록 형성된 상부커버(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30 is formed with a body 32 formed to be operable in at least two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lling motion of the ball 321 rotatably mounted therein,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body 32 passes, the control unit It may include an upper cover 31 formed to cover the opening of (20).

구체적으로, 본체(32)의 상단부와 내부에 장착된 볼(321)은 롤러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체(32)의 상단부를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입력할 경우, 볼(321)은 하측으로 회전하고,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입력할 경우, 볼(321)은 상측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다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32 and the ball 321 mounted therein may be connected via a roller.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the upper end of the body 32 to move upward, the ball 321 rotates downward, and when the user inputs to move downward, the ball 321 is configured to rotate upward. You can. However, since such a structure is generally used in other conventional technical fields,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예시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본체(32)가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입력될 경우, 상측 고도 제어 명령이 발생하고, 본체(32)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입력될 경우, 하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볼(321)의 하측 회전을 감지하여 상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볼(321)의 상측 회전을 감지하여 하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40)을 통해 드론으로 상측/하측 고도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부(30)를 통하여 한 손의 엄지손가락 만으로 드론의 수직(고도)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ain body 32 is input to be moved upward by the user, an upper altitude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and when the main body 32 is input to be moved downward, a lower altitude movement control command may be generated. have. That is,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lower rotation of the ball 321 to generate an upper altitude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and senses the upper rotation of the ball 321 to generate a lower altitude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thereby genera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40. Through the drone, the upper / lower altitude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can be transmitted. In this way, the user can control the vertical (altitude) movement of the drone with only the thumb of one hand through the input unit 30.

또한 입력부(30)는 제 1 및 제2 하프 케이스(21, 22) 상단에 특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0)의 상부면은 사용자가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입력부(30)의 상부면에 얹고 한 손의 나머지 손가락들로 조종부(20)의 측면부를 감싸쥘 때, 엄지손가락이 얹혀지는 방향에 따르는 기울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부(30)의 상부커버(31)에는 제 1 및 제 2 하프 케이스(21, 22)의 개구에 형성된 안착부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커버(31)가 특정한 기울기로 기울어 지도록, 제 1 하프 케이스(21)에 형성된 안착부가 제2 하프 케이스(22)에 형성된 안착부의 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2 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32)의 상단부가 상부커버(31)의 홀을 통과하여 돌출되고, 본체(32)의 바닥판과 상부커버(31)의 하부면에 관형으로 형성된 삽입홀을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하여 입력부(30)가 조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입력부(30)의 상부면에 얹은 편안한 자세로 드론을 조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30 may be coupled to have specific inclinations on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cases 21 and 22.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30 is when the user puts the thumb of one h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30 and wraps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20 with the rest of the fingers of one hand, the thumb It may be formed with a slope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placed. To this end, as illustrated in FIG. 4, a 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upper cover 31 of the input unit 30 so as to engage the seating portions formed in the opening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cases 21 and 22. In this case, the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first half case 21 may be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half case 22 so that the upper cover 31 is inclined at a specific slope.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upper end of the body 32 protrudes through the hole of the upper cover 31, the bottom plate of the body 32 and the insertion formed in a tubular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31 The input unit 30 may be assembled by screwing through the hole. Due to this, the user can control the drone in a comfortable position with the thumb of one h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30.

한편, 조종부(2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몸체부(10)에 수직하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종부(20)와 몸체부(10)가 접하는 부분에는 스프링,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종부(20)가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된 후에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 조종부(20)는 몸체부(10)에 수직하는 초기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다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e control unit 20 may be formed to be restored to an initial state perpendicular to the body unit 10. For example, an elastic part (not shown)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pring or rubber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control part 20 and the body part 10 are in contact. Due to this, if the control unit 20 does not apply a force after being tilted or rotated in place, the control unit 20 may be restored to an initial state perpendicular to the body unit 10. However, since such a structure is generally used in other conventional technical fields,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추가 실시예로, 두 개의 본 발명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를 연결하여, 하나는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설정하고, 다른 하나는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드론 동작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에 구비된 모드 선택(예를 들어, 단순한 버튼 조작)을 간단히 조작하는 것으로, 카메라/드론에 전송하는 제어 신호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 further embodiment, by connecting two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is set to generate a camera mo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amera's motion, and the other is a drone mo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drone. Can be set to occur. In this case, by simply operating a mode selection (for example, simple button operation) provided in each one-hand remote controller,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o the camera / drone can be set differently.

구체적으로, 각각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메모리는 여러가지 모드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모드의 선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을 눌러서 모드 변경이 가능해질 수도 있고, 추가적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가 기존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나중에 연결된 장치가 카메라 모드로 자동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the memory of each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can store programs for various modes. The mode can be selected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a mode change may be possible by pressing a button, or, if an additional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an existing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the connected device may be automatically set to the camera mode later.

그리고, 두 개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는 서로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서로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동일한 드론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And, the two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be set to transmit control signals to the same drone as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의 조종부(20) 제어는 각 모드 별로 상이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 제어 모드인 경우, 상술한 조작에 의한 상술한 제어 신호가 생성되며, 카메라 제어 모드인 경우, 조종부(20)의 전/후/좌/우 동작은 카메라의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틸팅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입력부(30)의 특정 방향으로의 동작은 카메라의 줌 인/줌 아웃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of the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different control signals for each mod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rone control mode, the above-describe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n the case of the camera control mode, the front / rear / left / right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0 is before / after / of the camera. A tilting command signal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may be generated, and an oper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of the input unit 30 may generate a zoom in / zoom out command signal of the camera.

추가적으로, 만약 카메라를 제어하는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는 드론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단말로 곧바로 전송함으로써, 단말에 현재 촬영되고 있는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해줄 수도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Additionally, if a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camera and a terminal having a display (for example, a smart pho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receives a video signal from the camera of the drone to the terminal. By transmitting immediately, the camera image currently being photographed on the terminal may be provided in real time.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mera while viewing the camera image in real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는 입력부(30)에 사용자의 한 손 중 엄지손가락을 얹고, 한 손의 나머지 손가락들로 조종부(20)를 감싸 쥔 상태에서, 드론의 수평 및 수직 움직임을 직관적으로 조종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양손으로 조종하는 드론 조종기에 비해 누구나 쉽게 드론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of the drone, with the thumb of one of the user's hands placed on the input unit 30 and wrapped around the control unit 20 with the remaining fingers of one hand. Because it can be operated intuitively, anyone can easily control the drone compared to a conventional drone manipulato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only,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몸체부 11: 제1 하우징
12: 제 2하우징 13: 버튼부
131: 제1 버튼 132: 제 2버튼
14: 힌지축 지지부 15: 브라켓
16: 서포트 17: 링부재
18: 인쇄회로기판 20: 조종부
21: 제 1 하프 케이스 211: 삽입홀
22: 제 2 하프 케이스 221: 제 2 부재
222: 그립부 23: 나사
24: 힌지축 25: 위치센서
241: 제 1 부재 30: 입력부
31: 상부커버 32: 본체
321: 볼 40: 통신 모듈
10: body portion 11: first housing
12: second housing 13: button
131: first button 132: second button
14: hinge shaft support 15: bracket
16: Support 17: Ring member
18: Printed circuit board 20: Control panel
21: first half case 211: insertion hole
22: second half case 221: second member
222: grip 23: screw
24: hinge axis 25: position sensor
241: first member 30: input
31: upper cover 32: main body
321: ball 40: communication module

Claims (9)

드론을 제어하는 원핸드(one-hand) 원격 조종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틸팅되거나 제자리 회전함으로써, 상기 드론의 수평 이동 및 제자리 회전을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조종부;
상기 조종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드론의 수직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입력부; 및
상기 조종부의 틸팅 방향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저항값이 변경되는 가변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수용 공간을 갖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을 커버하는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링부재;
상기 링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축의 하단을 고정하되, 상기 힌지축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힌지축 지지부;
상기 힌지축 지지부의 하단이 장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링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서포트가 수용되는 것이고,
상기 조종부는
상기 힌지축에 장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탄성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되, 상기 힌지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상기 조종부의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에 대한 상기 제 2 부재의 시계/반시계 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종부의 회전 방향에 대한 저항값이 변경되는 것이고,
상기 힌지축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 하프 케이스 및 제2 하프 케이스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및 제 2하프 케이스의 상단은 상기 입력부의 하단이 삽입되고, 상기 입력부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In the one-hand remote control to control the drone,
Body part;
A control unit which is capable of operating horizontally and in-place rotation of the drone, respectively, by tilting or rotating in place based on a hinge axis formed to protrude above the body portion;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the input unit for each of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drone is possible to operate; And
On the basis of the variable resistance whose resistanc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tilting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drone,
The body portion
It consists of a first housing having a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housing covering the top of the first housing,
In the first housing,
A ring member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passes;
A hinge shaft support portion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ing member to fix the lower end of the hinge shaft, and configured to enable tilting of the hinge shaft;
A bracket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hinge shaft support is mounted; And
The support disposed between the bracket and the ring member is accommodated,
The control unit
A first member mounted on the hinge shaft; And
It is coupled to the first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as a medium, including a second member mounted to the case of the control unit formed to surround the hinge shaft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hinge shaft,
The resistance valu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member clockwise /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Comprised of a first half case and a second half case formed to surround the hinge axis,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cases are formed to have openings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input unit is inser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is exposed. One-hand remote contro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고정되되,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원격 조종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버튼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일면에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로의 상기 외부 기기의 인입을 허용하는 단자 삽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통신모듈이 관통하는 모듈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힌지 삽입구와 상기 버튼부가 돌출되는 버튼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A printed circuit board fix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and including one or more interface terminal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A button unit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It includes at least one communication modul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the first housing, a terminal insertion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to allow the external device to enter the interface terminal, and a module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penetrates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In the second housing, a hinge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penetrates and a butto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button portion protrudes are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면 상에서 상호 직각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위치센서 중 하나가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와 나머지 하나가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이격된 거리는 같은 것이고,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힌지축의 전, 후, 좌 및 우 방향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종부의 틸팅 방향에 대한 저항값이 변경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position sensor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a horizontal plane,
The distance between one of the pair of position sensors based on the hinge axis and the other distance between the hinge axis are the same,
The position sensor senses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inge axis, and the resistance value for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is chang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프 케이스는
사용자가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상기 입력부의 상부면에 얹고 상기 한 손의 나머지 손가락들로 상기 조종부의 측면부를 감싸쥘 때, 상기 나머지 손가락들이 그립감을 갖도록 외측을 향하여 곡선 형상으로 돌출된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alf case
When the user puts the thumb of one h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and wraps the side portion of the control unit with the remaining fingers of the one hand, the grip portion protrudes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remaining fingers have a grip feeling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볼의 구름운동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가 관통하는 홀이 가운데 형성되되, 상기 조종부의 개구를 덮도록 형성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unit
A body formed to be operable in at least two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lling motion of the ball rotatably mounted therein;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main body passes is formed in the middle, and includes an upper cover formed to cover the opening of the control unit,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의 전/후 방향에 대한 입력 위치에 따라 고도 변경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으로 각각 전송하는 것인, 원핸드 원격 조종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generating an altitude change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position for the user's front / rear direction input to th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m to the drone, respectively.
KR1020180014408A 2018-02-06 2018-02-06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KR1021043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08A KR102104309B1 (en) 2018-02-06 2018-02-06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PCT/KR2018/001740 WO2019156264A1 (en) 2018-02-06 2018-02-09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08A KR102104309B1 (en) 2018-02-06 2018-02-06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17A KR20190094817A (en) 2019-08-14
KR102104309B1 true KR102104309B1 (en) 2020-04-24

Family

ID=6754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408A KR102104309B1 (en) 2018-02-06 2018-02-06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4309B1 (en)
WO (1) WO201915626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86A (en) 2020-08-06 2022-02-15 김항래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DR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4921A1 (en) * 2000-05-18 2002-08-08 Philippe Louvel Electrical remote-control and remote-power flying saucer
US20060137931A1 (en) * 2004-12-23 2006-06-29 Caterpillar Inc. Steering system with joystick mounted controls
JP2013250845A (en) * 2012-06-01 2013-12-12 Nikon Corp Input device
KR101653146B1 (en) * 2015-09-04 2016-09-01 홍유정 Drone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61B1 (en) * 2012-07-16 2014-06-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Rc control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4921A1 (en) * 2000-05-18 2002-08-08 Philippe Louvel Electrical remote-control and remote-power flying saucer
US20060137931A1 (en) * 2004-12-23 2006-06-29 Caterpillar Inc. Steering system with joystick mounted controls
JP2013250845A (en) * 2012-06-01 2013-12-12 Nikon Corp Input device
KR101653146B1 (en) * 2015-09-04 2016-09-01 홍유정 Drone control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86A (en) 2020-08-06 2022-02-15 김항래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DRONE
KR20220043095A (en) 2020-08-06 2022-04-05 김항래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DR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17A (en) 2019-08-14
WO2019156264A1 (en)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866B2 (en) Drone controller
US20200257286A1 (en) Dial structure, remote controller employ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JP6855673B2 (en) Deformable device
US10021286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US11226617B2 (en) Remote control
US11962896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US11089198B2 (en) Remote controller and photographing device
WO2019033563A1 (en) Remote control
US20230244224A1 (en) Remote controllers and structures and systems thereof
KR102104309B1 (en)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CN108541295B (en) Remote controller
CN112544065A (en) Cloud deck control method and cloud deck
CN104076918A (en)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KR102052578B1 (en)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KR101980601B1 (en) Remote control device
KR101931946B1 (en) Controller
WO2020014928A1 (en) Remote controller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erial photography control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aerial photography system
KR101941277B1 (en) Drone controller
TR2023005242U5 (en) IMPROVEMENTS MADE IN THE CONSOLE AND THE ARM ASSOCIATED WITH THE CONSOLE
JP2002287205A (en)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