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601B1 - Remote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601B1
KR101980601B1 KR1020160177321A KR20160177321A KR101980601B1 KR 101980601 B1 KR101980601 B1 KR 101980601B1 KR 1020160177321 A KR1020160177321 A KR 1020160177321A KR 20160177321 A KR20160177321 A KR 20160177321A KR 101980601 B1 KR101980601 B1 KR 101980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ct
control
stick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3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3849A (en
Inventor
조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드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드론
Priority to KR102016017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601B1/en
Publication of KR2018007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8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6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의 원격 조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 손으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며 조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일례로, 스틱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틸팅,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틸팅 방향에 따라 피칭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요잉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고도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으로 각각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조종 장치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drone, and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control by enabling various operations with one hand.
An input unit which is formed in a stick shape and which can be tilted, rotated, and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ick, respectively; And generating a pitch control command signal according to a tilting direction of the input unit, generating a yaw control command signal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direction of the input unit, generating an altitude control comman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input unit, A remote contro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Description

원격 조종 장치{REMOTE CONTROL DEVICE}{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격 조종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evice.

드론 또는 무인비행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사람이 승선하지 않고, 무선으로 조작하여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멀티콥터 드론은 최초로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으로 방송 등에서 촬영으로 많이 사용되며 최근 드론(무인 비행체)가 상용화되고 있다. A drone o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s a flying object that is operated by a person without embarking on the aircraft. The multi-copter drone was developed for military use for the first time, but it is widely used for shooting on broadcasting due to its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storage. Drone (unmanned aerial vehicle) is being commercialized recently.

드론은 기체가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신속하며, 경제성이 뛰어나 항공촬영, 저고도 정찰수색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The drones are light, easy to carry, fast and economical, and are used for aerial photography and low-altitude reconnaissance search.

또한, 드론은 카메라로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서 촬영을 하거나, 드론에 물건을 싣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물건을 운반하는 용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을 재난 재해 모니터링, 물류 운반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addition, dron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hooting at a location where a person can not approach the drones, carrying articles to a drone, and moving objects to another place. In addition, much research is underway to use drones in disaster monitoring and logistics.

최근에는 드론은 일반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항공 촬영을 하는 등의 레저 스포츠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종래보다 가볍고, 소형화되며, 고성능의 소형 카메라가 장착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the drones have become popular for leisure sports such as carrying out aerial photography using a camera carried by ordinary users. These drones are lighter, smaller, and more compact than conventional cameras.

드론은 사람이 승선하지 않는 무인 비행체 이므로, 보통 지상에 있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받아 운용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드론은 사람의 조작이 필요한 수동운전에 의해 조작된다.Since the drones are unmanned aerial vehicles on which people are not boarded, they usually operate the user's operation signals on the ground wirelessly. Until now, most drones are operated by manual operation, which requires human operation.

그러나, 종래의 드론을 조작하는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두 손으로 파지(Grab) 한 상태에서 조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드론의 조종은 그 조작의 난이성 때문에 드론을 사용함에 있어서 높은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판매되는 드론의 종류도 입문용, 중급용, 고급용으로 나뉘어 판매되고 있다. 또한, 드론 유저들은 드론의 능숙한 조종을 위해 드론 조종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However, it is general that the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conventional drone is operated while the user grasps with both hands.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drones is becoming a high entry barrier in the use of drones due to the difficulty of its operation. For this reason, the types of drones sold are divided into introductory, intermediate, and advanced. In addition, the drones are investing a lot of time in the drones to master the drones.

그런데, 드론이 레저 스포츠 등으로까지 그 활용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드론 조작의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보다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드론 컨트롤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as the use of drones extends to leisure sports and the like, there is a need for a dron controller which can be operated more easily and intuitively by people who are not trained in droning operation.

등록특허 제10-1653146호(등록일자: 2016년08월26일)Registration No. 10-1653146 (Registration date: Aug. 26, 2016)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 손으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며 조종의 편의성이 향상된 드론의 원격 조종 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dron that is capable of various operations with one hand and improved maneuvera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장치는, 스틱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틸팅,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틸팅 방향에 따라 피칭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요잉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고도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으로 각각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med in a stick shape, and capable of being tilted, rotated, and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of the stick; And generating a pitch control command signal according to a tilting direction of the input unit, generating a yaw control command signal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direction of the input unit, generating an altitude control comman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input unit, .

또한, 상기 입력부는,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심 관을 갖는 조종 스틱; 상기 조종 스틱과 상기 제어부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종 스틱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종 스틱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 관에 대하여 각각 직교하며 십자 방향으로 상기 중심 관으로부터 각각 돌출 연장된 4개의 피칭 입력 핀; 상기 중심 관 중 상기 피칭 입력 핀의 사이로부터 돌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고도 입력 핀; 및 상기 피칭 입력 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요잉 입력 핀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steering stick having a center pipe extending from the inside thereof and inserted into the control unit; An elastic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sti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portion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control stick when the control stick moves up and down; Four pitching input pins positioned inside the control unit, each pitching input pi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center pipe and extending from the center pipe in a cross direction; At least one altitude input pin protruding from between the pitching input pins of the center tube; And a yaw input pin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pitching input pin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칭 입력 핀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대향 이격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4개의 수평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피칭 입력 핀이 상기 수평 접촉 센서에 접촉되는 경우 해당 접촉 센서에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피칭 제어 센서부; 상기 고도 입력 핀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대향 이격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상부 접촉 센서와 하부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고도 입력 핀이 상기 상부 접촉 센서 또는 상기 하부 접촉 센서에 접촉되는 경우 해당 접촉 센서에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고도 제어 센서부; 상기 수평 접촉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좌측 접촉 센서와 우측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종 스틱의 회전 시 상기 요잉 입력 핀과 접촉되는 경우 해당 접촉 센서에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요잉 제어 센서부; 상기 피칭 제어 센서부, 상기 고도 제어 센서부 및 상기 요잉 제어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각각 입력 받고,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를 구분하여 피칭 제어 명령 신호, 요잉 제어 명령 신호 및 고도 제어 명령 신호로 각각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신호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제어 명령 신호를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include four horizontal contact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ssigned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itching input pins. When the pitching input pin contacts the horizontal contact sensor, A pitching control sensor unit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sensor; And an upper contact sensor and a lower contact sensor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ltitude input pin and to which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igned and when the altitude input pin contacts the upper contact sensor or the lower contact sensor, An altitude control sensor unit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touch sensor; And a left contact sensor and a right contact sensor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any one of the horizontal contact sensors and provided with differen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contact stick is in contact with the yaw input pin when the control stick is rotated, A yaw control sensor unit for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yaw control signal, the yaw control signal, and the yaw control signal from the yaw control sensor unit, the pitch control sensor unit,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ltitude control command sig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signal generator to the drone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중 상기 중심 관이 관통하는 관통 홀의 둘레 부분에 상기 중심 관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조종 스틱의 틸팅 시 상기 조종 스틱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 관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조종 스틱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종 스틱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탄성 부재; 및 상기 중심 관과 상기 제2 탄성 부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관과 상기 무선 통신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se;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members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enter pipe at peripheries of the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pipe of the cas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control stick when the control stick is tilte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se and disposed to face the center pip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teering stick when the steering stick is moved up and down; And a contact portion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center tube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enter tub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조종 스틱의 상부에 형성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조작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 관은, 상기 카메라 조작 버튼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상기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중심 관과 상기 접촉부가 서로 접촉하는 제1 접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의 신호입력단자 서로 접촉하는 제2 접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formed on the control stick to generate a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camera installed on the dron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contact uni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contact,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act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second contact that contacts the contact unit and the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손으로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며 조종의 편의성이 향상된 드론의 원격 조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mote control device for a drone, which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with one hand and has improved convenience of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Ⅱ-Ⅱ'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작 버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장치를 제1 거치부에 거치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장치를 제2 거치부에 거치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shown i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a first mounting por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a second mounting por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 part, " " module, "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Ⅱ-Ⅱ'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작 버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II-II' of FIG.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원격 조종 장치(1000)는 입력부(1100)와 제어부(1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a remote control device 1000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0 and a control unit 1200.

상기 입력부(1100)는, 조종자가 한 손으로 파지(grab)할 수 있도록 스틱 형태로 이루어지고, 해당 스틱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틸팅,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조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100)는 조종 스틱(1110), 탄성부(1120), 제1 내지 제4 피칭 입력 핀(1130, 1140, 1150, 1160), 고도 입력 핀(1170) 및 요잉 입력 핀(11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tick so that the driver can grab the handle with one hand, and can be tilted, rotated, and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stick. The input unit 1100 includes a steering stick 1110, an elastic member 1120, first to fourth pitching input pins 1130, 1140, 1150 and 1160, an elevation input pin 1170 and a yaw input pin 1180, Or the like.

상기 조종 스틱(1110)의 상부에는 드론의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 버튼부(1111)가 형성되고, 중간 외측 부분에는 조종자의 손이 조종 스틱(1110)을 파지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밴드(1114)가 형성되며, 하부는 조종 스틱(1110)의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제어부(1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A camera operation button portion 111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of the drones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ring stick 1110. A rubber operation button portion 111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ring stick 1110, And the lower portion may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control stick 1110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control portion 1200. In this case,

상기 카메라 조작 버튼부(111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 스틱(1110)의 상단 경사면에 형성되며, 전원 버튼(1111a)과 제1 내지 제4 모드 버튼(1111b, 1111c, 1111d, 1111e)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4, the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1111 is formed on 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steering stick 1110 and includes a power button 1111a and first to fourth mode buttons 1111b, 1111c, and 1111d , 1111e.

상기 전원 버튼(1111a)은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조작 수단으로, 드론의 전원이 동시에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전원 버튼(1111a)을 누를 경우(턴온 시) 드론의 카메라의 전원이 켜질 뿐만 아니라 드론의 동작이 개시될 수 있으며, 전원 버튼(1111a)을 다시 누를 경우(턴오프 시), 드론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복귀하면서 전원이 꺼질 수 있다. The power button 1111a is an operation means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camera installed in the drones, and can be set such that the power of the drones is input at the same time. That is, when the power button 1111a is pressed (turned on), the camera of the drone is turned on and the operation of the drone can be started. When the power button 1111a is pressed again The power can be turned off while returning to the set position.

상기 제1 내지 제4 모드 버튼(1111b, 1111c, 1111d, 1111e)은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의 다양한 촬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조작 수단으로, 동영상이나 사진 촬영, 줌 인(Zoom-In) 또는 줌 아웃(Zoom-Out) 등 다양한 촬영 모드로의 제어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모드 버튼(1111b, 1111c, 1111d, 1111e)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의 동작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mode buttons 1111b, 1111c, 1111d, and 1111e are operating means for setting various shooting modes of the camera installed in the drones, and can be used for moving pictures, photographing, zooming in or zooming out Zoom-Out).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shooting mod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first to fourth mode buttons 1111b, 1111c, 1111d, and 1111e are not limited, and various controls on the operation of the camera installed in the drones may be performed.

한편, 조종 스틱(1110)의 내부에는 중심 관(1112)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 관(1112)은 조종 스틱(1110)의 상부에 형성된 카메라 조작 버튼부(1111)에서부터 조종 스틱(1110)의 하부로 이어지며, 조종 스틱(1110)의 하부를 지나 제어부(1200)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중심 관(1112)에는 카메라 조작 버튼부(1111)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제어부(1200)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1113)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center pipe 1112 may be formed inside the manipulation stick 1110. The center pipe 1112 extends from the camera operation button portion 111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ring stick 111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ring stick 1110 and passe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ring stick 1110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portion 1200 Can be extended. The central tube 1112 may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unit 1113 for transmitting various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s input through the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1111 to the control unit 1200.

또한, 중심 관(1112)의 하부에는 조종 스틱(1110)의 하부로부터 돌출 연장된 원뿔 형상의 지지부(1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12A)의 꼭지점 부분은 제어부(1200)의 내부에 마련된 접촉부(1292)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부(1292)의 상면은 중심 관(1112)의 꼭지점 부분에 접촉될 수 있는데, 이 접촉 부분은 신호 전송부(1113)와 접촉부(1292)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접점(C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292)의 측부는 무선 통신부(1250)의 신호입력단자(미도시)와 접촉될 수 있는데, 이 접촉 부분은 접촉부(1292)와 무선 통신부(125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2 접점(C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신호 전송부(1113)는 접촉부(1292)의 제1 및 제2 접점(C1, C2)을 통해 무선 통신부(1250)로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nical support portion 1112A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ring stick 1110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pipe 1112. [ The vertex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12A can be hel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292 provided inside the control portion 1200. [ 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292 may be in contact with the vertex portion of the center tube 1112, and this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tact C1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ignal transfer portion 1113 and the contact portion 1292 .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1292 may be in contact with a signal input terminal (not show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rtion 1250. The contact portion 1292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portion 1292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rtion 1250 (C2) can be forme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113 can transmit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C1 and C2 of the contact unit 1292. [

상기 탄성부(1120)는 조종 스틱(1110)과 제어부(1200)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조종 스틱(1110)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조종 스틱(111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부(1120)는 제1 탄성 부재(1121)와 튜브(1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part 1120 is provided between the steering stick 1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part 120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teering stick 1110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is, the elastic portion 112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1121 and a tube 1122.

상기 1 탄성 부재(1121)는 조종 스틱(1110)과 제어부(1200)의 상면 사이를 연결하며, 조종 스틱(1110)에게 상하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탄성 부재(1121)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의 내부에는 중심 관(1112)이 관통될 수 있다. The one elastic member 1121 connects between the steering stick 1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1200 and can provide the steering stick 1110 with a restoring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1121 may include a spring, and the center tube 1112 may penetrate the spring.

상기 튜브(1122)는 스프링(11121)의 외측과 조종 스틱(1110)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조종 스틱(1110)의 틸팅 시 조종 스틱(1110)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튜브(1122)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튜브(1122)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을 가진 재질이면 무방하다.The tube 1122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spring 11121 and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steering stick 111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teering stick 1110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tilted. The tube 1122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owever, the material of the tube 1122 is not limited to the tube 1122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any material having elasticity may be used.

상기 제1 내지 제4 피칭 입력 핀(1130, 1140, 1150, 1160)은 제어부(1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중심 관(1112)에 대하여 각각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중심 관(1112)으로부터 각각 돌출 연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pitching input pins 1130, 1140, 1150 and 1160 are positioned inside the control unit 1200 and are orthogonal to the center tube 1112 and extend from the center tube 1112, .

상기 제1 피칭 입력 핀(1130)은 조종 스틱(1110)이 전방을 향해 틸팅되는 경우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1 수평 접촉 센서(1211)와 접촉할 수 있다. The first pitching input pin 1130 may move forward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tilted forward to contact the first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1.

상기 제2 피칭 입력 핀(1140)은 조종 스틱(1110)이 후방을 향해 틸팅되는 경우 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2 수평 접촉 센서(1212)와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tilted rearward, the second pitching input pin 1140 may move rearward to contact the second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2.

상기 제3 피칭 입력 핀(1150)은 조종 스틱(1110)이 좌측을 향해 틸팅되는 경우 좌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3 수평 접촉 센서(1213)와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tilted toward the left, the third pitching input pin 1150 may move toward the left and contact the third horizontal touch sensor 1213. [

상기 제4 피칭 입력 핀(1160)은 조종 스틱(1110)이 우측을 향해 틸팅되는 경우 우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4 수평 접촉 센서(1214)와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tilted to the right, the fourth pitching input pin 1160 may move toward the right to contact the fourth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4.

상기 고도 입력 핀(1170)은 중심 관(1112)의 외측면 중 제1 내지 제4 피칭 입력 핀(1130, 1140, 1150, 1160)의 사이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고도 입력 핀(1170)은 제1 및 제3 피칭 입력 핀(1130, 1150) 사이, 제1 및 제4 피칭 입력 핀(1130, 1160) 사이, 제2 및 제3 피칭 입력 핀(1140, 1150) 사이, 및 제2 및 제4 피칭 입력 핀(1140, 1160)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으로부터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고도 입력 핀(1170)은 조종 스틱(111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중심 관(1112)을 따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도 제어 센서부(1220)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 스틱(1110)이 상부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고도 입력 핀(1170)은 상부 접촉 센서(1221)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조종 스틱(1110)이 상부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고도 입력 핀(1170)은 하부 접촉 센서(1222)에 접촉될 수 있다.The height input pin 1170 may protrude from between the first to fourth pitching input pins 1130, 1140, 1150, and 1160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pipe 1112. More specifically, the height input pin 117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pitching input pins 1130 and 1150, between the first and fourth pitching input pins 1130 and 1160,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itching input pins 1130 and 1160, 1140, 1150, and between the second and fourth pitching input pins 1140, 116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elevation input pin 1170 may vertically move along the central pipe 1112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moves up and down to contact the elevation control sensor unit 1220. For example, when the steered stick 1110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the elevation input pin 1170 may contact the upper touch sensor 1221. Further,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the height input pin 117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contact sensor 1222.

상기 요잉 입력 핀(1180)은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피칭 입력 핀(1130)이 요잉 입력 핀(1180)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요잉 입력 핀(1180)은 조종 스틱(1110)이 중심 관(1112)을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요잉 제어 센서부(1230)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 스틱(11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요잉 입력 핀(1180)은 좌측 접촉 센서(1231)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조종 스틱(11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요잉 입력 핀(1180)은 우측 접촉 센서(1232)에 접촉할 수 있다.The yaw input pin 1180 may have a separate structure, but the first pitching input pin 1130 may be utilized as the yaw input pin 118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yaw input pin 1180 may contact the yaw control sensor unit 1230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rotates about the center tube 1112. For example,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yaw input pin 1180 may contact the left contact sensor 1231. In addition,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yaw input pin 1180 can contact the right contact sensor 1232.

상기 제어부(1200)는 입력부(1100)의 틸팅 방향에 따라 피칭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입력부(1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요잉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입력부(11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고도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드론으로 각각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0)는 피칭 제어 센서부(1210), 고도 제어 센서부(1220), 요잉 제어 센서부(1230), 신호 생성부(1240), 무선 통신부(1250), 케이스(1260), 제1 탄성 부재(1270), 외부 단자부(1280), 제2 탄성 부재(1291) 및 접촉부(12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0 generates a pitching control comman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input unit 1100 and generates a yawing control comman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nput unit 1100. When the input unit 1100 moves up and down, Control command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drones,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1200 includes a pitching control sensor unit 1210, an altitude control sensor unit 1220, a yawing control sensor unit 1230, a signal generator 124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a case 1260, A first elastic member 1270, an external terminal portion 1280, a second elastic member 1291, and a contact portion 1292. [

상기 피칭 제어 센서부(1210)는 피칭 입력 핀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대향 이격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제1 내지 제4 수평 접촉 센서(1211, 1212, 1213, 12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자가 조종 스틱(1110)을 전방으로 틸팅시키면, 제1 피칭 입력 핀(1130)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1 수평 접촉 센서(1211)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평 접촉 센서(1211)는 제1 피칭 입력 핀(1130)의 접촉을 감지하여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신호 생성부(12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종 스틱(1110)을 후방으로 틸팅시키면, 제2 피칭 입력 핀(1140)이 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2 수평 접촉 센서(1212)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평 접촉 센서(1212)는 제2 피칭 입력 핀(1140)의 접촉을 감지하여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신호 생성부(12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종 스틱(1110)을 좌측으로 틸팅시키면, 제3 피칭 입력 핀(1150)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3 수평 접촉 센서(1213)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3 수평 접촉 센서(1213)는 제3 피칭 입력 핀(1150)의 접촉을 감지하여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신호 생성부(12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종 스틱(1110)을 우측으로 틸팅시키면, 제4 피칭 입력 핀(1160)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4 수평 접촉 센서(1214)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4 수평 접촉 센서(1214)는 제4 피칭 입력 핀(1160)의 접촉을 감지하여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신호 생성부(12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수평 접촉 센서(1211, 1212, 1213, 1214)에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는 각 센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로서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생성부(1240)에서 드론을 전, 후, 좌, 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pitching control sensor unit 1210 may include first to fourth horizontal contact sensors 1211, 1212, 1213, and 1214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itching input pin and are give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For example, if the driver tilts the steering stick 1110 forward, the first pitching input pin 1130 may move forward and contact the first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1. [ At this time, the first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1 may detect the contact of the first pitching input pin 1130 and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Further,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tilted rearward, the second pitching input pin 1140 may move backward and contact the second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2. [ At this time, the second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2 senses the contact of the second pitching input pin 1140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Further,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tilted to the left, the third pitching input pin 1150 moves forward and can be contacted to the third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3. At this time, the third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3 senses the contact of the third pitching input pin 1150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Further,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tilted to the right, the fourth pitching input pin 1160 moves forward and can be contacted to the fourth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4. At this time, the fourth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4 may detect the contact of the fourth pitching input pin 1160 and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to the first to fourth horizontal touch sensors 1211, 1212, 1213, and 1214 is uniqu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each sensor,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as shown in FIG.

상기 고도 제어 센서부(1220)는 고도 입력 핀(1170)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대향 이격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상부 접촉 센서(1221)와 하부 접촉 센서(1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도 제어 센서부(1220)는 고도 입력 핀(1170)이 상부 접촉 센서(1221) 또는 하부 접촉 센서(1222)에 접촉되는 경우 해당 접촉 센서에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자가 조종 스틱(1110)을 위로 잡아 당기면, 고도 입력 핀(1170)이 위로 이동하여 상부 접촉 센서(1221)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접촉 센서(1221)는 고도 입력 핀(1170)의 접촉을 감지하여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신호 생성부(12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자가 조종 스틱(1110)을 아래로 누르면, 고도 입력 핀(1170)이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 접촉 센서(1222)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접촉 센서(1222)는 고도 입력 핀(1170)의 접촉을 감지하여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신호 생성부(12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접촉 센서(1221) 및 하부 접촉 센서(1222)에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는 각 센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로서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생성부(1240)에서 드론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altitude control sensor unit 1220 may include an upper contact sensor 1221 and a lower contact sensor 1222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ltitude input pin 1170 and are give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altitude control sensor unit 1220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touch sensor when the altitude input pin 117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contact sensor 1221 or the lower contact sensor 1222 can do. For example, when the operator pulls up the steering stick 1110, the elevation input pin 1170 may move up and contact the upper touch sensor 1221. At this time, the upper contact sensor 1221 may detect the contact of the altitude input pin 1170 and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to the signal generator 1240. Further, when the driver pushes down the steering stick 1110, the altitude input pin 1170 can be moved downward and contact the lower contact sensor 1222. [ At this time, the lower contact sensor 1222 may detect the contact of the altitude input pin 1170 and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to the signal generator 1240. In this case,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to the upper contact sensor 1221 and the lower contact sensor 1222 is uniqu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each sensor.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can raise and lower the dron Lt; / RTI >

상기 요잉 제어 센서부(1230)는 수평 접촉 센서(1211, 1212, 1213, 1214) 중 어느 한 센서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좌측 접촉 센서(1231)와 우측 접촉 센서(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 접촉 센서(1231, 1232)는 제1 수평 접촉 센서(12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요잉 입력 핀(1180)은 제1 피칭 입력 핀(1130)을 이용할 수 있다.The yaw control sensor unit 1230 includes a left contact sensor 1231 and a right contact sensor 1231 disposed on both sides of one of the horizontal contact sensors 1211, 1212, 1213, and 1214 and assigned differen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1232). 3, the left and right touch sensors 1231 and 1232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rizontal touch sensor 1211. In this case, A pitching input pin 1130 can be used.

상기 요잉 제어 센서부(1230)는 조종 스틱(1110)의 회전 시 요잉 입력 핀(1180)과 접촉되는 경우 해당 접촉 센서에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자가 조종 스틱(11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요잉 입력 핀(1180)이 좌측 접촉 센서(1231)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접촉 센서(1231)는 요잉 입력 핀(1180)의 접촉을 감지하여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신호 생성부(12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종자가 조종 스틱(11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요잉 입력 핀(1180)이 우측 접촉 센서(1232)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우측 접촉 센서(1232)는 요잉 입력 핀(1180)의 접촉을 감지하여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신호 생성부(12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접촉 센서(1231) 및 우측 접촉 센서(1232)에 미리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는 각 센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로서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생성부(1240)에서 드론을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yaw control sensor unit 1230 may output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contact sensor when the yaw control pin 1230 contacts the yaw input pin 1180 when the control stick 1110 rotates. For example, when the driver rotates the steering stick 1110 counterclockwise, the yaw input pin 1180 may contact the left contact sensor 1231. At this time, the left contact sensor 1231 senses the contact of the yaw input pin 1180 and can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to the signal generator 1240. Further, when the driver rotates the steering stick 1110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yaw input pin 118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ight contact sensor 1232. At this time, the right touch sensor 1232 senses the touch of the yaw input pin 1180 and can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given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Herei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in advance to the left contact sensor 1231 and the right contact sensor 1232 is uniqu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each sensor,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signal generator 1240 outputs the dron to the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command signal which can be rotationally moved.

상기 신호 생성부(1240)는 피칭 제어 센서부(1210), 고도 제어 센서부(1220) 및 요잉 제어 센서부(123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각각 입력 받고,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를 구분하여 피칭 제어 명령 신호, 요잉 제어 명령 신호 및 고도 제어 명령 신호로 각각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250)로 출력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s output from the pitching control sensor unit 1210, the altitude control sensor unit 1220 and the yawing control sensor unit 1230, The yaw control command signal, and the altitude control command signal, respectively, and output the generated signals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

예를 들어, 신호 생성부(1240)는 제1 수평 접촉 센서(1211)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전방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25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1240)는 제2 수평 접촉 센서(1212)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후방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25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1240)는 제3 수평 접촉 센서(121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좌측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25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1240)는 제4 수평 접촉 센서(1214)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우측 이동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250)로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first horizontal touch sensor 1211,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generates a forward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put electrical signal, (1250). Upon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second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2, the signal generator 1240 generates a backward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backward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 Upon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third horizontal touch sensor 1213,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generates a left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left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 Upon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fourth horizontal touch sensor 1214,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generates a right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generated right movement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

또한, 신호 생성부(1240)는 상부 접촉 센서(1221)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승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25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1240)는 하부 접촉 센서(1222)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하강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250)로 출력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upper contact sensor 1221, the signal generating unit 1240 generates an up control command signal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can do. Upon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lower contact sensor 1222, the signal generator 1240 generates a drop control command signal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drop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can do.

또한, 신호 생성부(1240)는 좌측 접촉 센서(1231)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반시계 방향 요잉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25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1240)는 우측 접촉 센서(1232)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으면,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시계 방향 요잉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250)로 출력할 수 있다. Upon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left contact sensor 1231, the signal generator 1240 generates a counterclockwise yaw control command signal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 Upon receiv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right touch sensor 1232, the signal generator 1240 generates a clockwise yaw control command signal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clockwise yaw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 .

상기 무선 통신부(1250)는 신호 생성부(1240)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된 제어 명령 신호를 통상의 무선 데이터 처리(예를 들어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FFSS)) 후 드론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receives a control command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ion unit 1240 and transmits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signal to a wireless data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frequency hopping (FFSS) have.

한편, 무선 통신부(1250)는 카메라 조작 버튼부(1111)로부터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직접 입력 받아 통상의 무선 데이터 처리 후 드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조작 버튼부(1111)로부터 신호 전송부(1113), 제1 접점(C1) 및 제2 접점(C2)으로 이루어진 신호 전달 루트를 통하여 무선 통신부(1250)로 입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50 directly receives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1111, and transmits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drone after normal wireless data processing. Here,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1111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via the signal transmission route including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113, the first contact C1, and the second contact C2 1250).

상기 케이스(1260)는 제어부(1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피칭 제어 센서부(1210), 고도 제어 센서부(1220), 요잉 제어 센서부(1230), 신호 생성부(1240), 무선 통신부(1250), 제1 탄성 부재(1270), 제2 탄성 부재(1291), 접촉부(1292), 제1 내지 제4 피칭 입력 핀(1130, 1140, 1150, 1160), 고도 입력 핀(1170), 요잉 입력 핀(1180) 등의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26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체적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거치 수단에 거치가 용이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조종 스틱(1110)을 잡지 않은 다른 손의 파지가 용이한 기하학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se 126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control unit 1200 and includes a pitching control sensor unit 1210, an elevation control sensor unit 1220, a yawing control sensor unit 1230, a signal generating unit 1240, A first elastic member 1270, a second elastic member 1291, a contact portion 1292, first to fourth pitching input pins 1130, 1140, 1150 and 1160, an elevation input pin 1170, , A yaw input pin 1180, and the like. Although the case 1260 is shown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is easy to mount on other mounting means, It can be made in a geometric form that is easy to grasp.

상기 제1 탄성 부재(1270)는 케이스(1260)의 상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탄성 부재(1270)는 중심 관(1112)이 관통되는 관통홀의 둘레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중심 관(1112)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 부재(1270)는 조종 스틱(1110)이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틸팅될 때 조종 스틱(1110)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복원력은 제1 탄성 부재(1270)뿐만 아니라, 튜브(1122)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elastic member 127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26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silient member 1270 can be installed at the perimeter of th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central tube 1112 passes, and can include a plurality of springs radially disposed relative to the central tube 1112 have. The first elastic member 1270 may provide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steering stick 1110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tilted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This restoring force can be provided not only by the first elastic member 1270 but also by the tube 1122. [

상기 외부 단자부(1280)는 케이스(1260)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어부(1200)로 직접 전력을 전달하거나 내부 배터리(미도시)에 전력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자부(1280)는 제어부(1200)를 외부 컴퓨터에 접속시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외부 컴퓨터에 설치된 드론 설정 프로그램을 통하여 드론의 이동 속도나 거리, 회전 속도나 거리, 상승 및 하강 속도나 거리 등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정보는 외부 단자부(1280)를 통해 신호 생성부(1240)로 전송될 수 있다.The external terminal unit 1280 may be formed outside the case 1260 to transfer power directly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controller 1200 or to charge the internal battery (not shown). Also, the external terminal unit 1280 connects the control unit 1200 to an external computer so that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basic operations such as a moving speed, a distance, a rotation speed, a distance, a rising and a falling speed, and a distance of a drone through a drones setting program installed in an external computer.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signal generator 1240.

상기 제2 탄성 부재(1291)는 접촉부(1292)를 사이에 두고 중심 관(1112)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되며, 조종 스틱(1110)이 아래로 눌리는 경우 조종 스틱(111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 부재(1121)도 조종 스틱(1110)이 아래로 눌리는 경우 조종 스틱(111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1 탄성 부재(1121)는 조종 스틱(1110)이 위로 당겨질 경우 조종 스틱(111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복원력을 더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1291 is fix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enter pipe 1112 with the contact portion 1292 therebetween and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pressed down, the steering stick 111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member 1121 may also provide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steering stick 1110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pressed downward. However, the first elastic member 1121 may further provide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steering stick 1110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steering stick 1110 is pulled up.

상기 접촉부(1292)는 인쇄 회로 기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접점(C1)을 통해 신호 전송부(1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접점(C2)을 통해 무선 통신부(1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점(C1)은 중심 관(1112)과 접촉부(1292)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신호 전송부(1113)로부터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가 접촉부(1292)로 전달되는 통신 루트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점(C2)은 접촉부(1292)와 무선 통신부(1250)의 입력 단자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접촉부(1292)로부터 무선 통신부(1250)로 카메라 제어 신호가 전달되는 통신 루트를 형성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1292 may be in the form of a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portion 1113 via the first contact C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rtion 1250 through the second contact C2. . The first contact C1 can form a communication route through which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113 to the contact unit 1292 as a portion where the center pipe 1112 and the contact unit 129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second contact C2 can form a communication route through which the camer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act portion 1292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rtion 1250 a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1292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rtion 1250 hav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장치를 제1 거치부에 거치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a first mounting portion.

제1 거치부(1300)는 원격 조종 장치(1000)와 테블릿 PC(10) 등을 거치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써,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판상으로 이루어진 보드형 거치대(1310)과 거치 손잡이(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드형 거치대(1310)에는 원격 조종 장치(1000)와 테블릿 PC(10)를 각각 안착할 수 있는 안착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00 is a means for moun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1000 and the tablet PC 10 and the like, Type holder 1310 and an attachment handle 1320. [ The board-type cradle 1310 may be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capable of se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1000 and the tablet PC 10, respectively.

상기 원격 조종 장치(1000)의 안착 홈에는 단자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부(미도시)는 원격 조종 장치(1000)의 외부 단자부(1280)과 연결되어 제1 거치부(1300)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원격 조종 장치(1000)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테블릿 PC(10)가 거치된 경우 테블릿 PC(1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테블릿 PC(10)의 안착 홈 또한 단자부가 형성되어 원격 조종 장치(100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 terminal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0. The termin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portion 1280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0, To power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0 from a battery built in the tablet PC 10 or to communicate with the tablet PC 10 when the tablet PC 10 is mounted. At this time, the seating groove of the tablet PC 10 is also formed with a terminal portion so that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0 can be performed.

상기 거치 손잡이(1320)는 보드형 거치대(1310)의 뒷면에 형성되어 원격 조종 장치(1000)를 파지(grab)하지 않은 손을 끼워 넣을 수 있다.The mounting handle 1320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oard-type mounting base 1310 so as to insert a hand that does not grab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종 장치를 제2 거치부에 거치시킨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view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unted on a second mounting portion.

상기 제2 거치부(1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 거치대(1410), 장치 거치대(1420), 제1 결속 밴드(1430) 및 제2 결속 밴드(14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400 may include an arm rest 1410, a device rest 1420, a first binding band 1430, and a second binding band 1440 as shown in FIG.

상기 팔 거치대(1410)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팔 보호대와 유사하게 형성된 것으로 원격 조종 장치(1000)를 조종하고자 하는 팔이 끼워질 수 있다.The arm rest 1410 is formed similarly to an arm protector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and an arm for manipulat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0 can be inserted.

상기 장치 거치대(1420)는 원격 조종 장치(1000)가 거치되는 부분으로서 대략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팔 거치대(1410)의 팔목 부분과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The apparatus cradle 1420 may be substantially plate-shaped as a part where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0 is mounted, and is firmly coupled to a cuff portion of the arm cradle 1410.

상기 제1 결속 밴드(1430)는 장치 거치대(1420)에 거치된 원격 조종 장치(1000)를 장치 거치대(1420)에 결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탄성력을 가진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원격 조종 장치(1000)를 장치 거치대(1420)에 결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밴드 형태가 아닌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hook-and-loop fastener)를 적용할 수도 있다.The first binding band 1430 may be in the form of a band having elasticity as a means for bind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0 mounted on the apparatus holder 1420 to the apparatus holder 1420. [ However, a hook-and-loop fastener other than the band type may be applied as a means for bind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0 to the apparatus holder 1420.

상기 제2 결속 밴드(1440)는 팔 거치대(1410)에 거치된 조종자의 팔을 팔 거치대(1410)에 결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탄성력을 가진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binding band 1440 may be in the form of a band having an elastic force as a means for binding the arm of the manipulator, which is mounted on the arm rest 1410, to the arm rest 1410.

상술한 제1 및 제2 거치부(1300, 1400)는 원격 조종 장치(1000)의 조종을 돕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구현 가능하다.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1300 and 14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s auxiliary means for assisting steering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0.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조종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s devoted to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0: 원격 조정 장치 1100: 입력부
1110: 조종 스틱 1111: 카메라 조작 버튼부
1111a: 전원 버튼 1111b: 제1 모드 버튼
1111c: 제2 모드 버튼 1111d: 제3 모드 버튼
1111e: 제4 모드 버튼 1112: 중심 관
1112A: 지지부 1113: 신호 전송부
1114: 미끄럼 방지 밴드 1120: 탄성부
1121: 스프링 1122: 튜브
1130: 제1 피칭 입력 핀 1140: 제2 피칭 입력 핀
1150: 제3 피칭 입력 핀 1160: 제4 피칭 입력 핀
1170: 고도 입력 핀 1180: 요잉 입력 핀
1200: 제어부 1210: 피칭 제어 센서부
1211: 제1 수평 접촉 센서 1212: 제2 수평 접촉 센서
1213: 제3 수평 접촉 센서 1214: 제4 수평 접촉 센서
1220: 고도 제어 센서부 1221: 상부 접촉 센서
1222: 하부 접촉 센서 1230: 요잉 제어 센서부
1231: 좌측 접촉 센서 1232: 우측 접촉 센서
1240: 신호 생성부 1250: 무선 통신부
1260: 케이스 1270: 제1 탄성 부재
1280: 외부 단자부 1291: 제2 탄성 부재
1292: 접촉부 1300: 제1 거치부
1310: 보드형 거치대 1320: 거치 손잡이
1400: 제2 거치부 1410: 팔 거치대
1420: 장치 거치대 1430: 제1 결속 밴드
1440: 제2 결속 밴드 C1: 제1 접점
C2: 제2 접점 10: 테블릿 PC
1000: remote control device 1100: input unit
1110: Steering stick 1111: Camera operation button section
1111a: Power button 1111b: First mode button
1111c: second mode button 1111d: third mode button
1111e: fourth mode button 1112: center tube
1112A: Support part 1113: Signal transmission part
1114: Non-slip band 1120:
1121: spring 1122: tube
1130: first pitching input pin 1140: second pitching input pin
1150: third pitching input pin 1160: fourth pitching input pin
1170: Altitude input pin 1180: Yawing input pin
1200: control unit 1210: pitching control sensor unit
1211: first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2: second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3: third horizontal contact sensor 1214: fourth horizontal contact sensor
1220: altitude control sensor part 1221: upper touch sensor
1222: Lower contact sensor 1230: Yawing control sensor unit
1231: Left contact sensor 1232: Right contact sensor
1240: Signal generator 1250:
1260: Case 1270: First elastic member
1280: external terminal portion 1291: second elastic member
1292: contact portion 1300: first mounting portion
1310: Board type mount 1320: Mounting mount
1400: second mounting part 1410: arm rest
1420: device holder 1430: first binding band
1440: second coupling band C1: first contact
C2: second contact point 10: tablet PC

Claims (5)

드론을 원격에서 조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틱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틸팅,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각각 가능하게 조작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틸팅 방향에 따라 피칭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요잉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고도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으로 각각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는,
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심 관을 갖는 조종 스틱;
상기 조종 스틱과 상기 제어부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종 스틱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종 스틱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
상기 제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 관에 대하여 각각 직교하며 십자 방향으로 상기 중심 관으로부터 각각 돌출 연장된 4개의 피칭 입력 핀;
상기 중심 관 중 상기 피칭 입력 핀의 사이로부터 돌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고도 입력 핀; 및
상기 피칭 입력 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요잉 입력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칭 입력 핀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대향 이격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4개의 수평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피칭 입력 핀이 상기 수평 접촉 센서에 접촉되는 경우 해당 접촉 센서에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피칭 제어 센서부;
상기 고도 입력 핀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대향 이격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상부 접촉 센서와 하부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고도 입력 핀이 상기 상부 접촉 센서 또는 상기 하부 접촉 센서에 접촉되는 경우 해당 접촉 센서에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고도 제어 센서부;
상기 수평 접촉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각기 다른 고유 식별 정보가 부여된 좌측 접촉 센서와 우측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종 스틱의 회전 시 상기 요잉 입력 핀과 접촉되는 경우 해당 접촉 센서에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요잉 제어 센서부;
상기 피칭 제어 센서부, 상기 고도 제어 센서부 및 상기 요잉 제어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각각 입력 받고,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 정보를 구분하여 피칭 제어 명령 신호, 요잉 제어 명령 신호 및 고도 제어 명령 신호로 각각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신호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제어 명령 신호를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 중 상기 중심 관이 관통하는 관통 홀의 둘레 부분에 상기 중심 관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조종 스틱의 틸팅 시 상기 조종 스틱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 탄성 부재;
상기 케이스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 관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조종 스틱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종 스틱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탄성 부재; 및
상기 중심 관과 상기 제2 탄성 부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관과 상기 무선 통신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조종 스틱의 상단 경사면에 형성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조작 버튼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조작 버튼부는,
상기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버튼; 및
상기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되,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모드 버튼, 사진을 촬영하는 제2 모드 버튼, 줌 인(Zoom-In)하는 제3 모드 버튼, 줌 아웃(Zoom-Out)하는 제4 모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버튼의 턴온 시 상기 드론의 카메라의 전원과 상기 드론의 동작이 개시되는 것이고,
상기 전원버튼의 턴오프 시 상기 드론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복귀한 후에 전원이 꺼지는 것이고,
상기 중심 관은,
상기 카메라 조작 버튼부에서 상기 제어부로 상기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중심 관과 상기 접촉부가 서로 접촉하는 제1 접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의 신호입력단자 서로 접촉하는 제2 접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조종 스틱은, 중간 외측 부분에 상기 조종 스틱을 파지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 밴드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원격 조종 장치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조종 스틱을 조종하고자 하는 팔을 지지하는 팔 거치대;
상기 케이스가 거치되도록 판상 형상으로 형성된 장치 거치대;
상기 장치 거치대에 상기 케이스를 결속하도록 탄성력을 가진 제1 결속밴드; 및
상기 팔 거치대에 상기 팔을 결속하도록 탄성력을 가진 제2 결속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종 장치.
A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drones,
An input unit formed in a stick shape and capable of being tilted, rotated, and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ick, respectively; And
Generates a pitching control comman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input unit, generates a yaw control comman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nput unit, generates an elevation control comman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input unit comprises:
A control stick extending from the inside and having a center tube inserted into the control portion;
An elastic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sti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portion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control stick when the control stick moves up and down;
Four pitching input pins positioned inside the control unit, each pitching input pin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center pipe and extending from the center pipe in a cross direction;
At least one altitude input pin protruding from between the pitching input pins of the center tube; And
And a yaw input pin made up of at least one of the pitching input pins,
Wherein,
And four horizontal contact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pitching input pins and given differen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rein when the pitching input pin contacts the horizontal contact sensor, a unique identification A pitching control sensor unit for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nd an upper contact sensor and a lower contact sensor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ltitude input pin and to which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signed and when the altitude input pin contacts the upper contact sensor or the lower contact sensor, An altitude control sensor unit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iven to the touch sensor;
And a left contact sensor and a right contact sensor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any one of the horizontal contact sensors and provided with differen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contact stick is in contact with the yaw input pin when the control stick is rotated, A yaw control sensor unit for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yaw control signal, the yaw control signal, and the yaw control signal from the yaw control sensor unit, the pitch control sensor unit,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ltitude control command signal; An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signal generator to the drones,
Wherei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inside a case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members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enter pipe at peripheries of the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pipe of the cas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control stick when the control stick is tilted;
A second elastic member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se and disposed to face the center pip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teering stick when the steering stick is moved up and down; And
And a contact portion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center tube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enter tub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portion,
Wherein the input uni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formed on an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steering stick and generating a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camera installed on the drones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The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A power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a camera installed in the drones; And
A first mode button for shooting a moving picture, a second mode button for shooting a picture, a third mode button for zooming in, a Zoom-Out mode for setting a shooting mode of the camera installed in the drones, A fourth mode button,
When the power button is turned on, the operation of the power source of the camera of the drones and the drones is started,
When the power button is turned off, the power is turned off after the drones return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s,
The center tube may include: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amera operation button unit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the contact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enter tube and the contact por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first contact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act unit,
The contact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input termi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a second contac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The steering stick is formed with a non-slip band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as not to slip in a state where the steering stick is gripped at an intermediate outer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part on which the remote control device is mounted,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n arm rest supporting the arm for manipulating the manipulation stick;
A device holder formed into a plate shape so that the case is mounted;
A first binding band having an elastic force to bind said case to said apparatus holder; And
And a second binding band having an elastic force to bind the arm to the arm re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77321A 2016-12-23 2016-12-23 Remote control device KR101980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321A KR101980601B1 (en) 2016-12-23 2016-12-23 Remote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321A KR101980601B1 (en) 2016-12-23 2016-12-23 Remote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849A KR20180073849A (en) 2018-07-03
KR101980601B1 true KR101980601B1 (en) 2019-05-21

Family

ID=6291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321A KR101980601B1 (en) 2016-12-23 2016-12-23 Remote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6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694B1 (en) * 2020-08-06 2022-03-29 김항래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DR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0845A (en) * 2012-06-01 2013-12-12 Nikon Corp Input device
KR101653146B1 (en) * 2015-09-04 2016-09-01 홍유정 Drone controller
WO2016172260A1 (en) * 2015-04-21 2016-10-27 Gopro, Inc. Aerial capture platfo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0845A (en) * 2012-06-01 2013-12-12 Nikon Corp Input device
WO2016172260A1 (en) * 2015-04-21 2016-10-27 Gopro, Inc. Aerial capture platform
KR101653146B1 (en) * 2015-09-04 2016-09-01 홍유정 Drone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849A (en)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4963B2 (en) Self-propelled device with center of mass drive system
US10560611B2 (en) Interchangeable mounting platform
EP3433689B1 (en) Multi-axis controller
CN109313487B (en) Object controller
US10228688B2 (en) Drone controller
US20170369164A1 (en) Improved visual monitoring on smartphone screen
US11327477B2 (en) Somatosensory remote controller, somatosensory remote control flight system and method, and head-less control method
KR101980601B1 (en) Remote control device
US20090096411A1 (en) Charging Stand
KR102052578B1 (en)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KR102104309B1 (en)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WO2022027234A1 (en) Remote control, remote control kit, and flight kit
KR101941277B1 (en) Drone controller
KR20190062793A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