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048B1 - 개선된 밀봉 부재를 갖는 캡슐 - Google Patents

개선된 밀봉 부재를 갖는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048B1
KR102101048B1 KR1020157002993A KR20157002993A KR102101048B1 KR 102101048 B1 KR102101048 B1 KR 102101048B1 KR 1020157002993 A KR1020157002993 A KR 1020157002993A KR 20157002993 A KR20157002993 A KR 20157002993A KR 102101048 B1 KR102101048 B1 KR 102101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sealing member
flange rim
flange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192A (ko
Inventor
루카 도질리오니 마이어
Original Assignee
투토에스프레소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7459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010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투토에스프레소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투토에스프레소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5004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4Details of the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46Pods, i.e. closed containers made only of filter paper or simi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4Sealing means for the interface with the process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2Unusual opening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침출 장치에서 음료를 조제하기 위한 캡슐은 입구 벽면(3), 측방 벽면 및 상부면(10)과 하부면(11)을 가지는 플랜지 림(6)을 포함하는 중공형 본체(3)와, 상기 플랜지 림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밀봉 부재(12)로 이루어져 있으며; 플랜지 림(6)의 하부면(11)은 캡슐 축(A-A)에 대해 레벨이 다른 2개 이상의 평면(Q, P) 상에 놓여 있고 플랜지 림의 하부면에서 공간(20)을 제공하는 적어도 2개의 부위(13,14)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밀봉 부재를 갖는 캡슐{Capsule with improved sealing element}
본 발명은 개선된 밀봉 부재를 갖는 캡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캡슐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일회분의 제품으로부터 커피와 같은 음료를 조제하기 위한 단일 용도, 예를 들면, 일회용의 캡슐 또는 카트리지, 또는 캡슐과 상호 작용하는 음료 생산 장치[침출(浸出) 장치]를 포함하는 음료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료 캡슐, 특히 커피 조제를 위한 일회용 캡슐은 1930년대부터 잘 알려져 왔다. 음료 캡슐은 적어도 하나의 추출 또는 재구성 가능한 제품의 일회분, 일반적으로 분쇄 커피, 뿐만 아니라 홍차 허벌 추출물, 인스탄트 예를 들면 분말 드링크와 액체 농축물을 수용하는 용기 부위로 이루어져 있다. 캡슐은 또한 원하는 음료의 조제를 위해 침출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부위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인 침출 장치는 물 가열 수단, 밀봉 부재 또는, 조제실과 펌프 또는 유사 수단을 구성하여 캡슐과 상호 작동하는 용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침출액, 바람직하게는 가압하에서 고온수가 여기에 포함된 일회분의 제품으로부터 음료의 추출 또는 재구성하도록 캡슐에 공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침출 장치는 캡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 된 제1 부품과 캡슐로부터 음료의 추출에서 제1 부품과 상호 작용하는 제2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부품 및/또는 제2 부품은 서로에 대해 가동성이 있으며, 용기는 제2 부품의 하부 또는 상부 말단 부분에 항상 위치하는 하나의 에지를 갖고 있으며 음료 조제 공정시 캡슐과 기밀 체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침출 장치의 제2 부품에 대해서 압축을 하기 위해서 캡슐의 밀봉 부재와 접촉하면서 들어가게 된다.
공지의 음료 조제 공정에서, 캡슐은 침출 장치의 용기로 공급되고 침출액, 일반적으로 고온수가 주입된다. 주입된 고온수는 이를 통과해서 거기에 밀봉된 성분으로부터 음료를 추출한다. 이 음료는 캡슐을 나와서 음료 수집기에 도달하고 그 다음에 컵이나 그릇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용기는 캡슐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제한된 누출 없이 또는 제한된 누출을 동반한 음료 추출을 위해 고온수가 캡슐로 들어갈 수 있도록 기밀 체결 상태에서 캡슐과 상호 작용을 한다. 음료의 추출 공정에서 침출액의 누출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원하는 음료의 맛이나 품질이 이르지 못하게 된다.
공지된 타입의 캡슐은 실질적으로 원뿔대형 본체와 캡슐의 2개의 베이스 중 하나로부터 확장되어 있는 림 플랜지 부위를 갖는다. 침출 장치는 침출 단계시 요구되는 밀봉에 도달하기 위해서 플랜지에 대해서 용기를 가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음료 출구가 위치하는 캡슐의 측면에 대응해서 위치하는 플랜지가 제공된 캡슐이 잘 알려져 있다. 음료는 플랜지가 위치하는 베이스로부터 캡슐을 떠나게 된다. 용기로부터 물이 누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플랜지와 용기 사이의 밀봉이 요구된다.
공지의 침출 장치에서, 캡슐과 용기의 기밀 체결은 일반적으로 림 플랜지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얻어지며; 다시 말해서, 캡슐을 밀봉하기 위한 컵 형상의 용기는 캡슐의 플랜지형의 림에 대해서 가압을 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여기서 림은 캡슐의 측방 표면으로부터 그의 주변을 따라 캡슐의 천공 수단이 위치하고 있는 수용 플레이트에 대해서 확장되어 있다.
문제는 캡슐과 침출 장치의 용기 간에 기밀 체결의 확보에 있다. 실제로 캡슐 외측으로 침출액의 누출은 캡슐 내측에서의 압력을 떨어뜨릴 수 있고, 커피 향미제의 추출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추가로 분배기의 드립-트라이로 배출되거나 컵으로 공급된 물은 보기에도 불괘할 수 있다. 물이 컵에 도달하면, 열악한 밀봉 품질 때문에 그리고 캡슐로부터 추출된 음료의 맛을 희석으로 인해, 관능 특성과 생산된 음료의 품질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제공된 공지의 캡슐은 밀봉 부재의 작용으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당하지 않았으며, 캡슐과 불규칙하게 제공된 용기 간의 만족할만한 기밀 체결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른 해결책들도 제안되었다. 사용된 캡슐이 용기로 부터 제거될 때(종종 고무형 밀봉 부재인 경우에서처럼) 밀봉 부위는 용기의 가압 부위가 침출 단계의 마지막에 캡슐의 밀봉 부위에 부착되지 않고 남아 있어야 한다.
추가로, 다른 타입의 공지의 침출 기계를 사용할 수 있는 캡슐이 가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보통 1개 타입의 캡슐은 다른 모델의 침출 기계에서 작업할 수 없거나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것은 다른 타입의 기계에서 부정확한 엔지니어링 또는 신중한 엔지니어링 선택의 부작용의 의도적인 평가 때문인데, 제1 및 제2 부품의 이동 길이가 정확하게 동일하지 않고, 그래서, 밀봉 부재가 하나의 기계에서는 너무 크게(기계를 밀봉하는데 어려움을 일으킴) 되거나 특정 기계에 대해서는 너무 작게(물의 누출을 일으킴) 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어떤 기계에서, 반복된 사용은 마모 및 인열을 일으켜 기계의 제1 및 제2 부위의 이동 거리의 약간의 변화가 일어나고, 침출실로부터의 시간에 따라 물의 누출 가능성이 발생한다.
EP1654966에는 용기의 가압 부위를 체결하고 원하는 기밀 체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용기와 상호 작용하도록, 플랜지형 림이 추가되어 있는 개스킷 또는 밀봉 부재로 작용하는 탄력 있는 재료의 캡슐이 개시되어 있다.
WO 2009/115474에는 용기의 가압 부위, 예를 들면 캡슐과 접촉하게 되는 용기의 에지가 불규칙하고, 톱니 모양 및/또는 갭으로 제공되어 있는 침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WO'74의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장치가 캡슐의 삽입없이 작동한다면 누출을 제어하기 위해 흐름 직진 수단을 용기에 제공하기 위해서 용기의 에지에 갭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용기와 상용성이 있는 특정한 캡슐을 갖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용기에서 커피를 모으는 컵으로 물의 누출이 일어나고, 그래서 드립 트라이 용기를 과잉의 물로 신속하게 채우는 가능한 단점을 언급할 필요 없이 시각적으로 맛에 관한한 부정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용기와의 기밀 체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캡슐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캡슐의 외부 표면으로 부터 확장되어 있으며, 특히 플랜지형의 림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를 가지는 캡슐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Ethical Coffee Company의 WO2010/084475에는 그의 외부 표면, 특히 플랜지형의 림의 상부 표면에 돌출 부재를 갖는 여러 가지 구현예의 캡슐이 기재되어 있다.
Sara Lee의 WO2010/137946에는 용기와의 기밀 체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는 캡슐이 기재되어 있다. WO2010/084475와 WO2010/137946에 개시되어 있는 제안된 돌출 부재는 캡슐과 다른 타입의 침출 기계의 용기 간의 만족할만한 기밀 체결을 확보해야 하는 상기에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실제로, 공지의 캡슐의 돌출 부위는 캡슐이 사용될 때 기계에 따라 기계 및/또는 누수를 밀봉하는데 어려움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의 가압 부위를 다른 형상 및 프로필로 사용할 수 있고, 조제 장치의 작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이 없이, 예를 들면, 기계의 밀폐 또는 용기에/용기로부터 캡슐의 삽입/캡슐의 추출시 문제를 일으킴이 없이 다른 밀폐 메커니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캡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하기에 편리한 캡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 마모 및 인열, 부정확한 엔지니어링 또는 전적으로 다른 밀봉 메커니즘 때문에 용기에 제공된 결함이 있는 상품에 대한 밀봉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서 탄력이 있는 밀봉 부재를 외부 표면에 추가할 필요 없이 밀봉 부재를 캡슐 본체와 일체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들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일회분의 제품으로부터 음료를 조제하기 위한 일회용 캡슐인 본 발명에 따른 캡슐에 의해서 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캡슐은 음료 생산 장치(이하에서 조제 장치, 또는 침출 장치라 칭함)에 삽입될 수 있으며, 캡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한 용기로 이루어져 있다. 캡슐에는 측방 벽면, 상부 벽면 및 하부 벽면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기 제품이 포함되어 있는 중공형 본체를 형성한다. 캡슐은 추가로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지는 플랜지형의 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는 캡슐로부터 측방향으로 확장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밀봉 부재가 플랜지형의 림으로부터 돌출 형태로, 플랜지 림의 증가된 두께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사용시, 예를 들면 침출 단계에서 용기가 캡슐의 플랜지 림에 대해 가압할 때, 음료 생산 장치의 용기의 가압 부위와 기밀한 체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 부위는 플랜지형의 림에서 용기 쪽으로 확장되어 있다. 상기 캡슐은 또한 캡슐의 외부 벽면을 형성하고, 캡슐 본체의 플랜지 림에 일부가 부착되어 있는 리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은 입구 벽면, 측방 벽면 및 플랜지 림을 포함하는 중공형 본체로 이루어져 있되 림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지고 있고, 밀봉 부재가 플랜지 림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플랜지의 하부면은 플랜지 림의 하부면에 캐비티를 제공하기 위해서 캡슐 축(A-A)에 대해 레벨이 다른 적어도 2개의 부위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캡슐은 입구 벽면, 측방 벽면 및 플랜지 림으로 이루어져 있고, 림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지며, 밀봉 부재가 플랜지 림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플랜지의 하부면은 캡슐 축(A-A)에 대해 레벨이 다른 2개 이상의 평면에 놓이는 적어도 2개의 부위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평면은 캡슐의 축과 다른 레벨에서 만나게 된다. 더 상세하게 말해서, 밀봉 부재 영역 중 바람직하게 최소한 일부를 포함하는 평면 중 하나는 다른 평면 보다 높으므로 밀봉 부재가 침출 장치에 의한 침출 단계시 가압될 때 플랜지 림의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평면들은 서로 나란하거나 나란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0에서와 같이 이들은 교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 이상의 평면이 존재할 수 있고, 플랜지의 하부면에 의해 구성된 캐비티는 비편평 및/또는 울퉁불퉁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다 높은'은 캡슐 축(A-A)에 대해서 하나의 평면이 플랜지 림의 하부면에 있는 다른 평면에 비해서 입구 벽면(도면에서 정상 벽면)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용어 '보다 낮은' 및 '상부' 또는 '보다 높은', '하향' 및 '상향'은 캡슐 축 A-A에 대한 캡슐의 부품들의 위치를 말하며, 첨부하는 도면에서, 입구 벽면은 캡슐의 가장 높은 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플랜지 림 아래의 공간(예를 들면 캐비티 종류)은 바람직하게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밑에 있는 적어도 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밀봉 부재에 인접한 부위에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간 또는 캐비티는 플랜지 림의 반대면, 예를 들면 플랜지의 하부면에서 밀봉 부재에 인접해서만 위치하고 있다.
캡슐은 일반적으로 캡슐 본체를 밀폐하기 위한 리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리드는 플랜지 림의 적어도 일부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리드 재료층을 제공하기 위해서 플랜지 림을 따라서 확장되어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캡슐 본체의 플랜지 림은 밀봉 부재가 침출 장치에서 가압될 때 플랜지 림의 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밀봉 부재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최소한 리드에 의해서 형성된 층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리드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리드와 호일 부재로부터 선택되지만, 다른 재료로 만들 수도 있고; 일반적인 호일 부재는 때론 산소 베리어 특성을 포함해서 밀봉성, 신축성 및 가스 베리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열성형 또는 열주입된 플라스틱 층, 또는 적당한 플라스틱 또는 바이오 플라스틱 층에 결합된 알루미늄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플라스틱 리드인 경우에, 플랜지와 리드 벽면은 플랜지 림의 에지와 밀봉 부재 사이의 위치에서 항상 용접된다. 리드가 호일 부재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호일은 밀봉 부재와 캡슐의 측방 벽면의 저부(포함해서)인 캡슐의 하부면의 일부에 용접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로서, 호일은 보다 높은 평면 부위(예, 입구 벽면에 가까운)에 용접되고; 높이가 다른 경우에, 예를 들어 플랜지 림의 하부면의 두 평면 간의 거리는 침출 장치에 의해서 가압될 때 플랜지의 해당 부위가 하향 이동하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청구항 16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조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과 캡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갖는 제1 부품과 캡슐로부터 음료를 침출하는데 제1 부품과 상호 작용하는 제2 부품을 포함하는 침출 장치로 이루어진다. 제1 부품과 제2 부품은 최소한 서로에 대해서 가동성이 있으며, 제1 부품의 용기는 제2 부품에 대한 가압을 위해 밀봉 부재와 접촉하면서 들어가게 되는 하부 에지를 갖고 있으므로 캡슐에 있는 성분으로부터 음료의 조제 공정시 캡슐과 기밀 체결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플랜지 림과 리드 사이의 공간은 밀봉 부재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부터 캡슐 본체의 벽면까지 확장되어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이 공간은 캡슐의 내부, 예를 들면 그루브와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밀봉 부재는 삼각형 또는 삼각뿔형의 단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삼각형의 측면은 플랜지 림으로부터 직접 또는 캡슐의 측방 벽면을 통해서 확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삼각형은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식으로 플랜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다른 말로 해서, 이 구현예에서, 밀봉 부재는 플랜지의 림의 상부면으로부터 확장되어 있고, 각도가 35°- 120°의 범위에 있는 2개의 직선 상에 2개의 면이 놓여 있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부위로 이루어져 있다.
측방 벽면으로부터 밀봉 부재까지의 거리는 침출 장치의 용기의 가압 부재가 도 9와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 벽면과 밀봉 부재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음료 조제를 위한 캡슐을 위한 리드로서, 상기 캡슐은 입구 벽면, 측방 벽면 및 플랜지 림을 포함하는 중공형 본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리드는 캡슐의 중공형 본체를 밀봉하는 중앙부와 캡슐 본체의 플랜지 림과 상호 작용하는 주변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리드는 이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루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자체 천공 부재 형태의 출구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루브는 복수의 예각을 포함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체 천공 부재는 침출 장치의 적어도 한 부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 및/또는 캡슐에 공급되는 물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의 작용으로 파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리드의 주변부는 리드와 플랜지 림 간에 보다 견고한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해서 캡슐 플랜지 림의 에지를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에지를 갖는다. 다른 구현예로서, 리드는 호일을 캡슐의 플랜지 림에 밀봉시켜서 만들며, 플랜지 자체는 그의 에지에 강화 융기부를 갖는다. 융기부는 상향(플랜지의 상부면에서 입구 벽면 쪽으로) 또는 하향(플랜지의 하부면에서 캡슐의 입구 벽면에서 가장 먼 쪽으로)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구항 18과 같이, 앞서 설명한 침출 장치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캡슐로부터 음료를 조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캡슐은 입구 벽면, 측방 벽면 및 플랜지 림을 포함하는 중공형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 림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지고, 밀봉 부재는 상기 플랜지 림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침출 장치는 서로에 대해서 가동하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부품에 의해서 가압되고 상기 캡슐의 플랜지 림의 부위와 함께 상기 제2 부품 쪽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서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실제로 플랜지 림의 아래에 있는 공간, 즉 밀봉 부재 밑에 있는 공간 또는 그것에 인접하는 공간은 캡슐의 개선된 밀봉으로 인한 '스프링' 효과를 제공하므로,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이동 길이- 밀폐 조건에서 제1 부품과 제2 부품 간의 거리가 설계 또는 합치로 정확하게 동일하지 않은 다른 기계 타입 또는 모델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효과는 마모 및 인열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침출 장치의 가동 부품의 이동 길이에서의 변화에 대해서 보상할 수 있다.
도 1은 리드를 보여주는 캡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침출 장치에서의 캡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두 가지의 대안적인 구현예에 따른 밀봉 구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와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과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플랜지 및 밀봉 부재의 가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의 가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과 11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상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구현예에 해당하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음료 조제를 위한 캡슐(1)은 입구 벽면(4), 측방 벽면(5), 플랜지 림(6)을 포함하는 중공형 본체(3)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 리드인 출구 벽면(7)을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 들어 성형된 열가소성 또는 열성형된 라미네이트로서 자체 천공 부재(8)를 가지고 있다. 다른 타입의 출구 벽면, 예를 들어 관통이 가능하거나 파열될 수 있는 호일(7'), 또는 미리 관통된 호일 및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벽면도 가능하다. 캡슐은 입구 벽면(4)을 통해서 캡슐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출구 벽면(7)을 통해서 음료를 회수할 수 있는 침출 장치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플랜지 림(6)은 상부면(10)과 하부면(11)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 림의 상부면(10)에 밀봉 부재(12)가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의 의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으며, 축 A-A와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은 위치를 말한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캡슐(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형성하는 제1 부품(2A)과 캡슐로부터 음료의 침출시 제1 부품과 상호작용하는 제2 부품(2B)을 포함하는 침출 장치에 캡슐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부품(2A,2B)은 서로에 대해서 가동성이 있는데, 예를 들면, 제1 부품(2A)이 가동하고 제2 부품(2B)은 고정되어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용기, 예를 들면 제1 부품(2A)이 하부 에지, 예를 들면 가압 에지(9)를 가지는데, 이것은 제2 부품(2B)에 대해 밀봉 부재(12)를 가압(도 2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제1 부품(2A)이 침출 장치의 제2 부품(2B)에 대향해서 이동할 때,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때) 하기 위해서 그 속으로 접촉하면서 삽입되어 음료 조제 공정 중에 캡술과의 기밀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도 2에서, 가압 에지(9)의 가능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좌측에서 가압 에지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우측에서 가압 에지는 프레싱 에지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는 홈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형상 모두 종래 기술에 잘 알려져 있다.
밀봉 부재(12)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 부재(들)로 형성되어 있되 이들 돌출 부재(들)은 캡슐 본체에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여져 있다. 예시한 구현예에서, 밀봉 부재(12)는 삼각뿔대 형상인 단면을 갖고 있으며, 이 삼각형의 한 측면이 플랜지 림(6)으로부터 확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밀봉 부재는 제1 부품(2A)을 위한 시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캡슐의 측방 벽면(5)과 공간을 두고 있다.
보다 더 일반적으로, 밀봉 부재(12)는 플랜지 림(6)의 상부면으로부터 확장되어 있고, 35°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범위에 있는 각도 α(도 4)로 정의되는 두 개의 직선에 두 개의 면이 놓여 있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밀봉 부재는 플랜지의 국소적인 증가된 두께 형태이거나 다른 형태의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 림(6)의 하부면(11)은 캡슐 축(A-A; 도 4와 5 참조)에 대해 레벨이 다른 2개 이상의 평면 상에 놓여 있는 적어도 2개의 부위(13,1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예시한 구현예에서, 두 개의 평면, P와 Q 상에 놓여 있는 두 개의 부위가 있다. 더 상세하게, 평면 Q 상에 놓여 있는 부위(13)는 플랜지 림(6)의 에지로부터 밀봉 부재(12)까지 확장되어 있고, 반면에 평면 P 상에 놓여 있는 부위(14)는 밀봉 부재(12)(포함됨)로부터 캡슐 본체(3)의 측방 벽면(5)까지 확장되어 있다. 평면 P와 Q는 캡슐 축 A-A에 대해 높이가 다르다. 예를 들어, 이들 평면은 다른 지점에서 축 A-A와 만난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플랜지의 상부면은 단일 평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밀봉 부재(12)의 어느 하나의 면에 있는 플랜지(6)의 부위는 공면(共面)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구현예로서, 도 10과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랜지(6)의 하부면(11)은 레벨이 다른 평면 상에 있으며 또한 축 A-A에 대해서 경사도가 다른 평면 상에 있는 것도 가능하다.
언급한 바와 같이, 평면들은 캡슐의 축 A-A에 대해 레벨이 다르며, 평면 P가 높고, 캡슐의 입구 벽면(4)에 가깝고, 반대로 평면 Q은 낮은 평면(출구 벽면(7)에 가까움)이다.
다른 평면을 가짐으로써 캡슐 본체의 플랜지 림(6)은 플랜지 림(6)을 따라서 확장되어 있는 출구(7)에 의해서 형성된 층과 이격되어 있다. 그래서 밀봉 부재(12)가 침출 장치에서 가압되어질 때, 플랜지 림(6)의 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 또는 캐비티(20)를 제공하게 된다. 도 8은 플랜지(6) 및 밀봉 부재(12)의 가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둘 모두 침출 장치의 외부 벽면(7)과 제2 부품(2B)에 대향해서 제1 부품(2A)의 에지(9)에 의해서 하향으로 이동을 한다.
부위(13)와 부위(14), 이에 해당하는 평면 Q, P를 여러 가지 다른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5 내지 7에서, 두 개의 유사한 구현예를 보여주고 있는 바, 밀봉 부재(12)가 외부 벽면과 이격되어 있되 하나의 경우는 공간(20)이 밀봉 부재(12)에 머물러 있고 다른 경우는 플랜지 림(6)의 에지를 향해서 연속되어 있다. 플랜지 림(6)과 외부 벽면(7)은 지점(15)(도 5와 8 참조)에서 함께 용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지점은 플랜지 림(6)의 에지과 밀봉 부재(12) 사이에 있다. 도 5와 7에서, 용접 지점(15)에 해당하는 플랜지 림(6)은 플랜지 림의 에지 부분을 제외한 다른 플랜지 림 보다 두께가 두껍다. 플랜지 림의 상부는 림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각부(缺刻部)에도 불구하고 리드의 초음파 용접인 경우에 초음파 소노트로드(sonotrode)에 의해서 제공된 에너지를 운반하기 위해서 대체적으로 연속하는 두께를 제공하도록 양각부를 갖고 있다.
예시한 구현예에서, 공간은 플랜지 림(6)의 하부면에 제공되어 있지만, 외부 벽면의 상부면에 위치한 공간, 또는 플랜지의 하부면과 외부 벽면의 상부면에서의 두 공간의 조합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명확하게, 비록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초음파 에너지를 운반하기 위한 결각부는 다른 방안으로 림의 하부면과 마찬가지로 리드의 상부면에서 암부로서 위치할 수 있다.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 관한 것이다. 도 3a에서, 밀봉 부재(12)는 그의 외부면(캡슐 본체(3)로부터 멀러 떨어져 보이는 면)에 위치하는 그루브(16)가 제공되어 있다. 이 그루브(16)는 밀봉 부재(12)가 부품(2A)에 의해서 가압되어질 때 파열되며, 밀봉 부재는 외부 벽면(7)에 대향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구현예는 아래와 같은 캡슐에 관한 것으로, 즉, 밀봉 부재(12)에 대응하는 플랜지의 영역이 외부 벽면(7)과 이격되어 있으며, 그루브(16)는 가압 압력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 파열되는 파열 가능한 라인이 주어지도록 하는 영역이 제공된다. 그러한 높은 압력이 없는 경우에, 예를 들면, 부품(2A)과 부품(2B) 간의 거리가 과도한 압력을 충분히 피할 수 있기 때문이 밀봉 부재(12)는 '정상'의 방법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그루브(16)는 파열되지 않고, 바로 가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b는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 밀봉 부재(24)는 이중 첨두(尖頭) 형태로서, 대체적으로 'M"자 형상과 같으며, 외부 벽면(7)의 상부면에는 상기 부품이 하향으로 가압될 때 필요하다면 M-형상의 밀봉 부재의 중앙 부분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그루브(23)가 제공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밀봉 부재(12)는 캡슐의 측방 벽면(5)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침출 장치의 용기의 제1 부품(2A)이 제2 부품(2B)에 대해서 이동을 할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용기의 제1 부품(2A)이 캡슐의 측방 벽면(5)과 밀봉 부재(12) 사이에 위치한다. 도 9는 제1 부품(2A)와 제2 부품(2B) 사이에서 캡슐이 이미 가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밀봉 부재(12)가 변형되어 있다. 이 구현예에서, 공간(20)은 밀봉 부재(12)와 측방 벽면(5) 사이의 플랜지 부위 밑에 주로 위치한다. 플랜지가 가압될 때 밀봉 부재는 측방 벽면(5)을 향해서 회전을 하고 밀봉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용기(2A)와 접촉하게 될 것이다. 침출 장치의 용기(2A)의 에지(9)는 밀봉 부재의 내부 측면(12A)과 최소한 부분적으로 접촉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10에서와 같이, 용기(2A)가 캡슐의 측방 벽면(5)과 밀봉 부재(12), 특히 밀봉 부재(12)의 내부 측면(12A) 둘 모두와 접촉할 수 있다. 도 9에 따른 구현예에서, 가압 상태에서, 플랜지 림(6)의 부위(14)는 용기(2A)에 의해서 외부 벽면(7)과 침출 장치의 제2 부품(2B)에 대해서 하향으로 이동을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밀봉 부재(1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2A)의 외부 표면을 향해서 회전을 하여, 용기(2A)와 캡슐 간의 기밀 체결을 향상시킨다. 도 10에 나타낸 구현예는 밀봉 부재(12)와 캡슐의 측방 벽면(5) 사이에 공간이 제공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9의 구현예와 유사하다. 여기서 용기(2A)의 에지(9)는 침출 공정 중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0의 구현예에서, 플랜지 림(6)의 하부면에 있는 캐비티(20)는 밀봉 부재(12)로부터 플랜지 림(6)으로 가는 하부면의 부위에 위치하고 있다.
측방 벽면(5)과 밀봉 부재(12) 사이에서 하부면의 부위(14)는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외부 벽면(7')은 종래에 공지된 호일로 만들어져 있으며, 침출 장치의 부품(2B)은 침출 공정 중에 호일(7')을 파열할 수 있는 천공 부재(7A)가 종래의 공지된 방식으로 제공되어 있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면(11)은 다른 평면, 즉 평면 Q, P 및 P'에 놓이는 다른 부위를 갖고 있는 바, 평면 P'는 평면 P와 Q에 대해서 경사져 있고, 이들과 교차를 한다. 상기 평면들은 축 A-A와 레벨이 다르게 만나게 된다.
다른 구현예로서, 플랜지 림(6)의 상부면(10)은 점선 L로 표시한 바와 같이 편평한 표면으로 제공되어 있다. 이 구현예에서, 도 9의 구현예에서와 같이, 밀봉 부재(12)의 한 면에, 바람직하게 측방 벽면(5)의 한 측면에 용기(2A)의 가압 작용에 의해 밀봉이 가능하다. 따라서, 밀봉 부재가 플랜지 림(6)으로부터 돌출하는 삼각형 또는 융기부 형태일 필요는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 림(6)의 상부면은 편평(선 L과 같이)할 수 있으며, 밀봉 부재는 플랜지의 두께에서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캐비티 또는 공간(20)의 존재는, 필요하다면, 용기(2A)로 가압될 때, 특히 측면에서 가압이 있을 때, 플랜지의 말단 쪽으로의 밀봉 부재(12)의 변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용기가 밀봉 부재를 가압할 경우, 공간(20)은 침출 장치의 부품(2B)에 대해서 눌려지는 플랜지(6)의 부품을 수용하기에 적당하다. 특히 용기(2A)의 가압 경로가 밀봉 부재가 설계한 표준 가압 경로보다 클 때, 공간(20)은 예를 들어 캡슐 플랜지의 변형 부위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밀봉 부재(12)에서의 과도한 가압을 보상하게 된다.
도 11의 구현예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발생하는데, 여기서 플랜지의 하부면에 있는 공간(20)이 플랜지의 부위(13)에 제공되어 있다. 도 10과 11도 플랜지의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과 11의 구현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여기서, 플랜지의 에지가 플랜지에 대해서 하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융기부(22A)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구현예들은 자체 천공 부재(8)를 포함하는 개구부가 제공되어 있는 리드(예를 들면 도 1 참조)에 의해서 형성된 벽면(7)에 제공되어 있다. 예시한 구현예에서, 캡슐은 중앙 출구 수단(8)이 제공되어 있지만, 이러한 단일 수단은 하부 벽면(7) 상에서 복수의 자체 천공 부재(8)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자체 천공 부재(독립적으로 그들의 숫자와 형상)를 가지는 리드는 보다 단단한 리드를 만들기 위해서, 리드의 자체 천공을 도와주기 위해서, 주입 열가소성 또는 파형 열성형된 플라스틱으로 만든다면, 리브와 함께 내부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체 천공 부재(8)는 외부 벽면(7)의 하부면(7b)에서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부위를 포함하며, 이 부위는 침출 장치에 의해서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 및/또는 캡슐에 공급되는 물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의 작용으로 파열될 수 있다. 특히, 도 4와 5의 확대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부재(8)는 하부 벽면의 감소된 두께(17)의 부위에 의해서 구성되며, 하부 벽면은 외부 벽면(7)에서 돌출되어 있는 부재(8)의 부품이 침출 장치의 부품(2B)에 대해서 압축할 때 파열될 수 있다. 원하는 품질 및 음료의 종류에 따라 파열의 쉬운 정도를 다양하게 하기 위해서 감소된 두께에 대한 설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소된 두께는 파열 가능한 영역의 어느 한면 또는 양쪽면에 있는 평면과 수평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힌지는 전체적으로 파열 가능한 부위를 사용하는 구현예를 예상할 수 있다고 할지라도, 리브가 벽면(7)으로부터 떨어져서 완전히 파열되지 않고 진동 및 개방될 수 있게 보장을 한다.
이러한 타입의 자체 천공 부재는 본 출원인의 WO2007/063411의 특허출원서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출구 수단의 다른 타입으로 상응하는 복수의 돌출 부재(8)를 갖고 있지만, 리브의 주변에 있는 그루브는 매우 약한 커트로 대체될 수 있는데, 여기서 벽면(7)은 예를 들어 사전 커트 영역이 존재하지 않고, 여전히 힌지 부위가 존재하며; 추가적으로, 예시적인 구현예로서 리브가 벽면(7)에 대해서 외측 방향과 내측 방향으로 모두 돌출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출구 부재는 개방될 수 있거나 그의 사전 커트 개구부는 기계적인 힘의 작용하에서, 또는 침출 액체의 압력에 의해서, 또는 침출 장치에 의해서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에 침출 액체 압력을 결합시킨 결과에 의해서 원하는 자유 통로를 제공하도록 확장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리드(도 1에 나타냄)는 그루브(18)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자체 천공 부재(8)를 갖고 있으며, 상기 그루브(18)는 복수의 예각(19)으로 이루어진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기 지점에 기계적인 응력을 집중시키기 위해서이다.
리드 대신에, 외부 벽면(7)이 호일 또는 멤브레인(7') 형태로 될 수 있는데, 특히 호일은 최소한 산소에 대한 베리어를 제공하는 라미네이트이다. 호일의 개구부는 부품(2B)에 대해 공지의 방식으로 얻어지는데, 예를 들면, 호일을 찢기 위한 복수의 돌출 부재(7A)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호일은 플랜지(6)의 하부면의 최소한 한 부위(13)에 안착, 예를 들어 용접될 수 있지만, 플랜지의 전체 하부면에 안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침출 장치의 부품(2B)의 부위는 캡슐의 플랜지 림(6)에 해당하는 호일과 접촉할 것이다. 이것은 요구되는 밀봉 효과를 얻는데 도움을 주는 평면이 되며, 또한, 이것은 호일의 적절한 개방을 보장하도록 상승된 부위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6)와 벽면(7) 사이의 공간(20)은 예를 들면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채널(21)을 통해서 캡슐(3)의 내면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캡슐 본체에 공급되는 물, 또는 물과 공기 또는 다른 유체가 공간(20)에 도달하게 될 것이며, 그래서 공간(20)에서의 압력은 캡슐(3)에서의 압력과 같아지게 될 것이고, 내부 압력은 압축 압력에 반대로 작용하고 밀봉 효과가 개선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플랜지 림(6)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외부 벽면(7)의 주변 부위는 이것이 리드일 때, 그것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플랜지 에지(22)의 두께를 이중으로 하기 위해서 캡슐 플랜지 림의 에지를 따라서 수직으로 확장되어 있는 에지(25)를 갖는다.
최종적으로, 다시 반복해서, 본 발명의 개선된 밀봉 부재(12)는 캡슐과 침출장치의 하나 이상의 부재 간에 밀봉 효과가 필요한 어떤 타입의 캡슐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캡슐은 밀봉된 캡슐이지만, 본 발명의 밀봉 부재는 또한 예를 들면, 입구 벽면(4) 및/또는 외부 벽면(리드 또는 멤브레인)이 물과 음료 통로를 위한 개구부가 제공되어 있는 캡슐인 개방 캡슐을 갖는 기술적인 효과도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밀봉 부재는 필봉 효과가 필요한 캡슐의 다른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1: 캡슐,
2A: 제1 부품/용기,
2B: 제2 부품,
3: 중공형 본체,
4: 입구 벽면,
5: 측방 벽면,
6: 플랜지 림,
7: 출구 벽면,
7': 호일/외부 벽면,
7A: 피어싱 부재,
8: 셀프 피어싱 부품/자체 천공 부재,
10: 상부면,
11: 하부면,
12,24: 밀봉 부재,
13, 14: 부위,
15: 용접 지점,
16,23: 그루브,
20: 공간,
22: 플랜지 에지,
22A: 융기부
25: 에지

Claims (19)

  1. 중공형 본체(3)로 이루어진 침출 장치에서 음료를 조제하기 위한 캡슐(1)로서, 상기 중공형 본체는 입구 벽면(4), 상기 캡슐의 본체를 밀봉하는 외부 벽면(7), 측방 벽면(5) 및 플랜지 림(6)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림은 상부면(10)과 하부면(11)을 가져, 상기 측방 벽면(5)이 입구 벽면(4)과 플랜지 림(6) 사이에서 확장되고, 상기 플랜지 림(6)의 상부면(10)이 상기 플랜지 림(6)의 하부면(11) 보다 입구 벽면(4)에 더 가까우며, 밀봉 부재(12)가 상기 플랜지 림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캡슐의 본체(3)에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여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로 형성되는, 침출 장치에서 음료를 조제하기 위한 캡슐(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림(6)의 하부면(11)은 캡슐 축(A-A)에 대해서 다른 레벨의 2개 이상의 평면(Q, P, P')으로 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부위(13,14)로 이루어고, 상기 외부 벽면(7)은 상기 플랜지 림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재료층을 가지는 리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 림(6)의 적어도 한 부분을 따라서 확장되어 있고, 상기 밀봉 부재(12)가 상기 침출 장치에서 가압될 때, 상기 플랜지 림(6)의 한 부위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20)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캡슐의 본체의 상기 플랜지 림은 밀봉 부재(12)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최소한 상기 리드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재료층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 특징으로 하는 캡슐(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레벨은 상기 플랜지 림에서 상기 밀봉 부재(12)가 압축될 때, 플랜지 림(6)의 한 부위를 수용하기 위해서 플랜지 림의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 또는 캐비티(2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20)은 상기 밀봉 부재의 반대편 및 인접한 지점에서, 또는 상기 밀봉 부재의 반대편 또는 인접한 지점에서, 상기 하부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중 적어도 하나(P')는 상기 다른 평면(Q,P)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플라스틱 리드와 호일 부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2)는 상기 캡슐의 측방 벽면(5)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림(6)의 상기 하부면(11)은 상기 밀봉 부재(12)로부터 플랜지의 외부 에지 쪽으로 확장되어 있는 제1 부위(13)와 상기 밀봉 부재의 적어도 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본체의 측방 벽면(5)으로 확장되어 있는 제2 부위(14)를 가지며, 상기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제2 부위(14)의 평면(P)은 플랜지의 상기 제1 부위(13)의 평면(Q) 보다 상기 캡슐의 입구 벽면(4)에 더 가깝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20)은 상기 캡슐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림(6)의 상기 하부면(11)은 상기 밀봉 부재(12)로부터 플랜지의 외부 에지 쪽으로 확장되어 있는 제1 부위(13)와 상기 밀봉 부재의 최소한 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의 본체의 벽면(5)으로 확장되어 있는 제2 부위(14)를 갖고 있되 여기서 최소한 하나의 공간(20)은 상기 제1 부위(13)에 위치하고, 임의로 상기 밀봉 부재(12)의 반대편에 있는 플랜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2)는 삼각뿔대 형상인 단면을 갖고 있으며, 삼각형의 측면이 플랜지 림(6)으로부터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2)는 플랜지 림(6)의 상부면으로부터 확장되어 있고, 35° 내지 120°의 범위에 있는 삼각형의 상위 각도 α로 정의되는 두 개의 직선에 두 개의 면이 놓여 있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12. 제1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하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주변부(22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캡슐(1) 및 침출 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캡슐은 플랜지 림(6)과, 상기 플랜지 림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공간 또는 캐비티(20)를 갖고, 상기 침출 장치는 상기 캡슐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2A)를 갖는 제1 부품과 상기 캡슐로부터 음료의 침출에서 상기 제1 부품과 상호 작용하는 제2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 중 하나 이상은 가동성이 있고, 상기 용기(2A)는 음료 조제 공정시 캡슐과 기밀 체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부품(2B)에 대해 가압하기 위해서 상기 밀봉 부재(12)와 접촉되게 들어가는 하부 에지(9)를 가지며, 상기 공간(20)은 상기 제1 부품에 의해서 상기 침출 장치의 상기 제2 부품(2B)에 대해서 가압하게 되는 상기 플랜지 림(6)의 적어도 한 부분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음료 조제 시스템.
  14. 제13항에 따른 음료 조제 시스템에서 캡슐로부터 음료를 조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캡슐은 입구 벽면(4), 측방 벽면(5) 및 플랜지 림(6)을 포함하는 중공형 본체(3), 상부면(10)과 하부면(11)을 가지는 플랜지 림(6), 상기 플랜지 림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밀봉 부재(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은 플랜지 림(6)을 가지며, 상기 침출 장치는 서로에 대해서 가동하는 제1 부품(2A)과 제2 부품(2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 벽면(7)은 상기 플랜지 림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재료층을 가지는 리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 림(6)의 적어도 한 부분을 따라서 확장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 림(6)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공간 또는 캐비티(20)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캡슐의 본체의 상기 플랜지 림은 밀봉 부재(12)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최소한 상기 리드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재료층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부품에 의해서 가압되고 상기 캡슐의 플랜지 림의 부위와 함께 상기 제2 부품 쪽으로 이동하며, 여기서 상기 공간(20)은 상기 제1 부품(2A)에 의해서 상기 침출 장치의 제2 부품(2B)에 대해서 가압되는 상기 플랜지 림(6)의 최소한 한 부분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침출 유체는 상기 캡슐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침출 유체는 상기 제1 부품의 기계적인 압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부분에 대해 상기 캡슐의 상기 밀봉 부재 또는 상기 플랜지 림 아래의 영역에 또는 상기 밀봉 부재 및 상기 플랜지 림 모두의 아래의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7002993A 2012-07-16 2013-07-01 개선된 밀봉 부재를 갖는 캡슐 KR102101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005215 2012-07-16
EP12005215.4 2012-07-16
PCT/EP2013/063858 WO2014012779A2 (en) 2012-07-16 2013-07-01 Capsule with improved sealing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192A KR20150042192A (ko) 2015-04-20
KR102101048B1 true KR102101048B1 (ko) 2020-05-19

Family

ID=4874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993A KR102101048B1 (ko) 2012-07-16 2013-07-01 개선된 밀봉 부재를 갖는 캡슐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50201792A1 (ko)
EP (1) EP2882670B1 (ko)
JP (1) JP6219387B2 (ko)
KR (1) KR102101048B1 (ko)
CN (1) CN104619609A (ko)
AU (1) AU2013292237B2 (ko)
BR (1) BR112015001036A2 (ko)
CA (1) CA2878864A1 (ko)
ES (1) ES2875508T3 (ko)
HK (1) HK1211000A1 (ko)
RU (1) RU2655153C2 (ko)
WO (1) WO20140127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783B1 (ko) 2013-05-17 2020-09-01 인터컨티넨탈 그레이트 브랜즈 엘엘씨 음료 조제 시스템, 캡슐 및 음료 형성 방법
GB201308927D0 (en) 2013-05-17 2013-07-03 Kraft Foods R & D Inc A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 capsule and a method for forming a beverage
RU2669149C2 (ru) 2014-01-03 2018-10-08 Конинклейке Дауве Егбертс Б.В. Сменный питающий блок для машины для выдачи напитков, дозатор, насосный агрега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CA2939313C (en) * 2014-02-28 2022-04-19 Sarong Societa' Per Azioni Capsule for beverages
EP3831744A1 (en) * 2014-05-23 2021-06-09 Advanced Technology Assets B.V. Capsule and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psule
WO2016041596A1 (en) * 2014-09-17 2016-03-24 David Rubinstein Capsule for a beverage preparation
GB201420262D0 (en) 2014-11-14 2014-12-31 Kraft Foods R & D Inc A method of forming a cup-shaped body for a beverage capsule
USD757537S1 (en) * 2014-12-11 2016-05-31 2266170 Ontario Inc. Capsule
PT3134335T (pt) * 2015-05-15 2018-11-06 Douwe Egberts Bv Cápsula, sistema para preparar uma bebida potável a partir de tal cápsula e utilização de tal cápsula num dispositivo de preparação de bebida
CA2985975A1 (en) * 2015-05-15 2016-11-24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RU2705506C2 (ru) * 2015-05-15 2019-11-07 Конинклейке Дауве Егбертс Б.В. Капсула,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игодного для питья напитка из подобной капсулы и применение подобной капсулы в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PL3134329T3 (pl) * 2015-05-15 2019-12-31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Kapsułka, układ do przyrządzania napoju z takiej kapsułki i zastosowanie takiej kapsułki w urządzeniu do przyrządzania napoju
JP6962821B2 (ja) * 2015-05-15 2021-11-05 コーニンクラケ ダウ エグバート ビー.ブイ. カプセル、そのようなカプセルから飲用可能な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ようなカプセルの飲料調製装置における使用方法
ES2690990T3 (es) * 2015-05-15 2018-11-23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Una cápsula, un sistema para preparar una bebida potable a partir de dicha cápsula y uso de dicha cápsula en un dispositivo de preparación de bebidas
NL2016783B1 (en) * 2015-05-15 2016-12-30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MX2017014640A (es) * 2015-05-15 2018-01-23 Douwe Egberts Bv Capsula, sistema para preparacion de bebida potable a partir de capsula, y uso de capsula en dispositivo para preparacion de bebidas.
EP3114048B1 (en) * 2015-05-15 2019-04-24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EP3303160A4 (en) * 2015-05-29 2018-12-05 Anthony Kay Capsules for containing coffee or another substance from which a beverage can be extracted using hot water
PL3368447T3 (pl) 2015-10-27 2020-08-10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Kapsułka, system i sposób przyrządzania napoju
ES2580155B1 (es) * 2016-01-05 2017-08-01 Cup Out Of The Box, S.L. Conjunto, cápsula y procedimiento para preparar infusiones
CA3015301C (en) * 2016-03-01 2024-03-19 Bartesian Inc. Beverage machine and capsule for use with the beverage machine
NL2016780B1 (en) 2016-05-13 2017-11-16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NL2016779B1 (en) * 2016-05-13 2017-11-16 Douwe Egberts Bv A capsule and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US11840397B2 (en) * 2016-06-20 2023-12-12 Adrian Rivera Method of constructing a beverage brewing cartridge
NL2017277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system comprising the apparatus and an exchangeable capsule
NL2017284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ield and background
NL2017285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kit of capsule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79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3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78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apparatus, method, capsule and kit of capsules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7281B1 (en)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NL2019218B1 (en) 2016-08-03 2018-07-06 Douwe Egberts Bv Capsule, system and use of the system for preparing double beverages like a double espresso, a double lungo and a double ristretto
WO2018067009A1 (en) * 2016-10-07 2018-04-12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Utrecht)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NL2019254B9 (en) * 2016-10-07 2018-09-10 Douwe Egberts Bv A capsule, a system for preparing a potable beverage from such a capsule and use of such a capsule in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DE102016012044A1 (de) * 2016-10-07 2018-04-12 Xpressivo Ag Kapseldichtung mit doppelter Zentrierfunktion
BR112019017905A2 (pt) * 2017-04-04 2020-05-1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ápsula para o preparo de bebida com membro vedante integralmente formado
NL2019253B1 (en) 2017-07-14 2019-01-28 Douwe Egberts Bv Assembly of a capsule and a brew chamber, brew chambe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apsule and use of a capsule.
WO2020017964A1 (en) * 2018-07-16 2020-01-23 Euro-Caps Holding B.V. Capsules for containing a substance from which a beverage can be produced having a side-wall-merging wiper seal
WO2020020756A1 (de) * 2018-07-27 2020-01-30 K-Fee Syste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rtionskapsel zur zubereitung eines getränks in einer getränkeherstellungsmaschine,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und einer portionskapsel
NL2022190B1 (en) 2018-12-12 2020-07-03 Douwe Egberts Bv Air purge groo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7639A (ja) * 2004-10-25 2008-05-29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シール手段を有するカプセルを用いたシステム
WO2009115474A1 (en) 2008-03-20 2009-09-24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a single-use capsule
WO2012042487A1 (en) * 2010-09-28 2012-04-05 Mvp S.R.L. A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starting from an infusion product contained in an interchangeable capsule
JP2012515601A (ja) * 2009-01-23 2012-07-12 エシカル コーヒー カンパニー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プセ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21087A1 (it) * 2002-05-21 2003-11-21 Sergio Tonon Cartuccia per caffe' e prodotti solubili apparato per l'estrazione dibevande da detta cartuccia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di una beve
DE102005031907A1 (de) 2005-07-07 2007-01-11 Schmid Baukunststoffe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chwammgummi-Formteile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Formteile
EP1792849A1 (en) * 2005-12-02 2007-06-06 Tuttoespresso S.p.a. Pressure beverage cartridge and preparation method
EP1839543B1 (en) 2006-03-31 2008-06-25 Nestec S.A. Capsule with outer sealing material pressurized by a fluid
DE102008014758A1 (de) 2008-03-18 2009-10-08 Inde Plastik Betriebsgesellschaft Mbh Geschlossene Portionspackung mit Dichtung
EP3048066A1 (fr) * 2008-04-14 2016-07-27 Ethical Coffee Company SA Capsule pour la preparation d'une boisson
PL2378931T3 (pl) * 2008-12-09 2013-06-28 Nestec Sa System do wytwarzania płynnych produktów spożywczych służący do wytwarzania płynnego produktu spożywczego przez odwirowywanie
MX2011013272A (es) * 2009-06-17 2012-02-01 Sara Lee De Bv Capsula, sistema y metodo para preparar una cantidad predeterminada de bebida adecuada para consumo.
KR101047054B1 (ko) * 2009-07-31 2011-07-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ES2393664T5 (es) * 2009-11-19 2023-09-20 Nestle Sa Cápsula y metodología para obtener una bebida como el café a partir de dicha cápsula
ITVI20110079A1 (it) * 2011-04-04 2012-10-05 Taplast Srl Capsul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e metodo di preparazione di bevande che utilizza tale capsula
ES1075815Y (es) * 2011-10-25 2012-03-08 Inventos Para Sist S Vending S L Capsula monodosis para maquinas de cafe espresso
ITBO20120103A1 (it) * 2012-03-05 2013-09-06 Macchiavelli Srl Capsula per prodotti da infusione
ITVR20120043A1 (it) * 2012-03-14 2013-09-15 Coffee Star S A Sistema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7639A (ja) * 2004-10-25 2008-05-29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シール手段を有するカプセルを用いたシステム
WO2009115474A1 (en) 2008-03-20 2009-09-24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a single-use capsule
JP2012515601A (ja) * 2009-01-23 2012-07-12 エシカル コーヒー カンパニー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プセル
WO2012042487A1 (en) * 2010-09-28 2012-04-05 Mvp S.R.L. A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starting from an infusion product contained in an interchangeable caps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01792A1 (en) 2015-07-23
HK1211000A1 (en) 2016-05-13
RU2015104990A (ru) 2016-09-10
AU2013292237B2 (en) 2017-11-02
RU2655153C2 (ru) 2018-05-23
CN104619609A (zh) 2015-05-13
EP2882670B1 (en) 2021-03-17
JP6219387B2 (ja) 2017-10-25
KR20150042192A (ko) 2015-04-20
WO2014012779A2 (en) 2014-01-23
CA2878864A1 (en) 2014-01-23
ES2875508T3 (es) 2021-11-10
AU2013292237A1 (en) 2015-02-19
WO2014012779A3 (en) 2014-05-01
BR112015001036A2 (pt) 2017-06-27
EP2882670A2 (en) 2015-06-17
JP2015527914A (ja)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048B1 (ko) 개선된 밀봉 부재를 갖는 캡슐
KR102271739B1 (ko) 적합한 밀봉 부재를 갖는 캡슐과 침출 시스템
KR102099484B1 (ko) 밀봉 부재를 갖는 음료 캡슐
JP5017361B2 (ja) 封止部材が取り付けられた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87259B1 (ko) 유체에 의해 가압된 외부 밀봉재를 갖는 캡슐
US8402883B2 (en) Capsule with delaminatable injection means
JP2019515847A (ja) 浸出製品、特にコーヒーのためのカプセル
KR20090003192A (ko) 음료원료캡슐 및 캡슐을 이용한 음료 제조 방법
CN109689533B (zh) 用于制备浸泡饮料和可溶饮料的胶囊
CN109689532B (zh) 用于制备浸泡饮料和可溶饮料的胶囊
US11230431B2 (en) Capsule for preparing infusion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