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879B1 - 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879B1
KR102090879B1 KR1020180127911A KR20180127911A KR102090879B1 KR 102090879 B1 KR102090879 B1 KR 102090879B1 KR 1020180127911 A KR1020180127911 A KR 1020180127911A KR 20180127911 A KR20180127911 A KR 20180127911A KR 102090879 B1 KR102090879 B1 KR 102090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face
area
fac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브
Priority to KR102018012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8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8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cognizing a face at a long distance capable of improving reliability by improving an existing system for recognizing a face to classify and recognize faces for unspecified individuals at a long distance. The system for recognizing the face at a long distance and monitoring multiple channels comprises: a fixed type photographing unit; a PTZ camera; a control unit receiving an image from the fixed type photographing unit to detect a face in an area to be monitored, track an area of the detected face, recognize a face against a face DB, and generate an event; and a monitoring unit displaying the event from the control unit as an image.

Description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얼굴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얼굴인식 시스템을 개선하여 원거리에서 불특정 다수에 대한 얼굴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뢰성이 형상될 수 있는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e recogni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by improving a conventional face recognition system so that faces for an unspecified number can be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at a long distance,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capable of forming a reliability. It aims to provide a system.

일반적으로 CCTV, DVR 등과 같은 보안 및 감시용 영상 시스템은 24시간 감시가 필요한 주택가나 학교, 놀이터 주변의 방범 취약지, 근무요원이 상시 관리할 수 없는 취약 개소, 은행, 백화점, 공항, 항만 따위의 공공 시설물 등에 감시 카메라 등의 장비를 구축하고, 이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지의 중앙관제센터에 현장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표시 및 기록함으로써 상황 관리자가 모니터링을 통해 각종 사고나 위험 상황, 범죄 등을 사전에 예방하는 안전 점검 및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후속 대책이나 수습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데다 적은 인력으로도 많은 감시 장소의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추후 범죄수사, 미아나 실종자 찾기 등에 필요한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general, security and surveillance video systems such as CCTV and DVR are vulnerable to crime prevention areas around residential areas, schools, and playgrounds that require 24-hour surveillance, and vulnerable locations that cannot be managed by workers at all times, such as banks, department stores, airports, and ports. Establishment of equipment such as surveillance cameras in facilities, etc., and real-time video transmission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of the remote location connected to the network to display and record, so that the situation manager can prevent various accidents, dangerous situations and crimes through monitoring.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take follow-up measures or remedial measures by collecting various safety checks and oth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nomalies of many surveillance locations with a small number of personnel, as well as providing essential information for future criminal investigations, finding missing persons or missing persons. can do.

특히 CCTV를 활용하여 실시간 객체들의 위협 탐지 및 추적, 사고나 범죄 증거 수집 등의 응용이 넓어짐에 따라 유무선 정보통신환경에서의 텔레바이오메트릭스(Telebiometrics) 응용기술 및 CCTV 등 물리적 보안기술과 결합한 융합기술을 개발하는 신규 기술 개발 시도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즉, 국내 바이오인식 기반 국가인프라 구축사업에 신뢰성 제공을 위한 시험기술 표준 개발 및 표준화가 필요한 현 시점에서 CCTV 기반의 얼굴 검출 및 인식시스템 보안 프레임워크 모델을 모델링하고, 이를 구현하는 것은 국가 정보보호 기반 및 바이오인식 표준개발을 통안 신뢰성 및 안전성 제공을 위해 시급한 필요한 과제이다.In particular, as applications such as threat detection and tracking of real-time objects and collection of evidence of accidents or crimes have been expanded by utilizing CCTV, telebiometrics application technology in wired and wireles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convergence technology combined with physical security technologies such as CCTV It has reached a point whe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attempt to develop new technologies. In other words, modeling and implementing a CCTV-based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system security framework model at this point in time that requires the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test technology standards for providing reliability to the domestic bio-awareness-based national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 and implementing it is based on nati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bio-recognition standards is an urgent and necessary task to provide reliability and safety.

현재까지 얼굴 검출 및 인식 기술은 괄목할 성과를 거두었으나 CCTV와 융합된 환경에서 얼굴 검출 및 인식 기술에 관한 연구는 지금부터 시작되는 시점에 있다. 현재 국내에 설치된 CCTV로 촬영된 얼굴만으로는 직접적으로 범죄 성향을 보이는 범인의 인적 특성을 밝혀낼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검출 및 인식된 얼굴이라도 얼굴 인식 속도의 느림과 조명 등의 빛의 영향 문제로 인한 인식률 저하, 다양한 얼굴 포즈 및 표정 등으로 인해 인식률 저하 및 범인 검거 등에 취약하기에 극복되어야 하는 난제들이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To date,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technology has achieved remarkable results, but research on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technology in an environment converged with CCTV is in the beginning. Currently, only faces photographed with CCTV installed in Korea cannot directly reveal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riminals who show criminal tendencies, and even faces detected and recognized, the recognition rate due to the slowness of face recognition and the effect of light such as lighting There are a number of challenges that need to be overcome because they are vulnerable to reduced recognition rates and criminal arrest due to deterioration, various face poses, and facial expressions.

이와 같은 CCTV 기반 얼굴 검출 및 인식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조명에 강인한 IR 기반 얼굴 인식기술 등 다양한 얼굴 검출 및 인식 기술들이 새롭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고성능 얼굴 인식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우수한 얼굴 검출 기술 개발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져야 함을 최근 연구를 통해 발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얼굴 검출 방법은 영상에서 얼굴이 있는 위치를 찾아내는 것으로 얼굴 인식에서의 문제점들과 더불어 얼굴판단, 크기가 다른 얼굴 찾기, 정확한 얼굴 영역 찾기, 얼굴 검출 속도, 결과 조합 등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라 함은 일정한 공간에 설치된 촬영기기를 통해 수집한 화상정보를 폐쇄적인 유/무선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 후 특정인만이 수신할 수 있는 통신장비 일체를 일컬어 말한다.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CTV-based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technology, various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technologies, such as IR-based face recognition technology, which are robust to lighting, have been recently studied. Especially, in order to develop a high-performance face recognition system, it has been discovered through recent research that excellent face detection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be developed first. However, the current face detection method is to find the location of the face in the image. In addition to the problems in face recognition, many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face determination, face detection of different sizes, accurate face area search, face detection speed, and result combination, etc. They exist.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refers to all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only a specific person can receive after transmitting imag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hooting device installed in a certain space through a closed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path.

현재 CCTV에 의한 여러 보안 위협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CCTV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관계 법률이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으며 체계적인 CCTV 설치, 운영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Despite the current security threats caused by CCTV, related laws on CCTV installation and operation are not properly established, and systematic CCTV install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are not implemented.

이러한 CCTV 시스템은 영상감시 서버에 연결된 여러 종류의 다양한 유무선 CCTV 카메라들로 구성한다. 또한 CCTV 시스템은 USB 또는 IP 카메라들도 지원한다. 특히 무선 Wi-Fi 카메라의 경우 아주 쉽고 저비용으로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다.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아날로그 카메라들 또한 사용 가능하며 전송된 아날로그 영상을 영상감시 서버는 코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지털화하는 능력도 가진다. 일반적으로 영상은 서버에 의해 목적에 맞는 형태로 처리되며, 결과 영상들은 모바일 폰, 데스크톱 PC, 노트북/랩탑, PDA 등 다양한 클라이언트들에게 인터넷 망 등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며, 해당 클라이언트들은 수신한 영상을 인증, ID관리, 범죄 예방, 증거 수집, 테러 예방, 접근 관리 등 그들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게 된다.This CCTV system consists of various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CTV cameras connected to the video surveillance server. The CCTV system also supports USB or IP camera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wireless Wi-Fi camera, it can be installed at any desired location very easily and at low cost. Analog camera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can also be used, and the video surveillance server has the ability to digitize the transmitted analog video using a codec algorithm. In general, images are processed in a form suitable for the purpose by a server, and the resulting images are transmitted to various clients such as mobile phones, desktop PCs, laptops / laptops, PDAs throug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and the clients receive the images It will be used for their purposes such as authentication, ID management, crime prevention, evidence collection, terrorism prevention, and access management.

한국등록특허 제10-1297295호는 종래기술의 언굴인식 보안 관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개념도이다.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97295 discloses a prior art face recognition security control system, and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this.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CCTV인 복수개의 카메라장치(10), 중계기(20), 분석장치(30), 관리자용 단말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감시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CCTV(11)가 일괄 접속하게 되는 스위칭허브(21)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스위칭허브(21)는 복수개의 CCTV(11)로부터 감시화상을 전달받아 일괄적으로 분석장치(30)로 전달하게 된다. 분석장치(30)는 블랙리스트 인원정보와 검출 대상자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대상 인원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고,Looking specifically, it comprises a plurality of camera devices (10), repeaters (20), analytical devices (30), and a manager terminal (40), which are CCTVs, and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urveillance areas, respectively (11) ) Is made of a switching hub 21 to be connected in bulk. The switching hub 21 receives a surveillance image from a plurality of CCTVs 11 and collectively transmits it to the analysis device 30. The analysis device 30 receives and stores identification target personnel information including blacklist personnel information and detection target information,

중계기(20)와 연결되어 각 카메라장치(10)의 감시화상을 입력받아 감시화상 내 인원의 얼굴을 인식한다. 또한, 분석장치(30)는 식별대상 인원의 얼굴과 감시화상 내 인원의 얼굴 비교를 통해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시 관리자나 관리요원에서 식별대상인원을 통보하며, 관리자나 관리요원이 소지하여 식별대상 인원의 식별 정보를 전달받게 되는 관리자용 단말기(40)로 팝업 메시지, SMS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It is connected to the repeater 20 and receives the surveillance images of each camera device 10 to recognize the faces of the personnel in the surveillance images. In addition, the analysis device 30 judges whether or not the match is made by comparing the faces of the persons to be identified and the faces of the persons in the surveillance image, and, when matched, the manager or management personnel notifies the identification target, and the manager or management personnel possesses the identification. A pop-up message, an SMS message, and an email message are delivered to the manager terminal 40 tha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nel.

이러한 종래의 얼굴인식을 구현하는 시스템들의 경우 인식의 정확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특히, 대중적인 공간에서 사용되는 CCTV의 경우 원거리에서 영상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한꺼번에 많은 사람이 지나다니기 때문에 얼굴인식의 적용에 사실상 장애요인이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systems implementing such a conventional face recognition, a problem of recognition accuracy is rai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CTV used in a public space, it not only recognizes images from a long distance, but also a lot of people pass by at a time, which is a practical obstacle to the application of face recognition.

따라서, 종래의 얼굴인식 방법이 카메라와 객체가 1:1로 매칭되는 경우에 어느 정도 인식율을 보이고 있고 대중적인 장소에서 적용하여 비디오월(Video Wall) 기능을 이용하고 다중으로서, 원거리로 얼굴을 구분하여 인식하여 표시하는 보안 및 관제시스템은 사실상 등장하기가 어려웠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face recognition method shows a certain recognition rate when the camera and the object are matched in a 1: 1 ratio, and is applied in a popular place to use the video wall function and as a multiple, the faces are divided into long distances. The security and control system, which is recognized and displayed, was virtually difficult to appea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근거리 및 원거리의 사람의 얼굴을 식별하고 이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통합 관제시 모니터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identify short-distance and long-distance human faces and to perform accurate recognition thereof, and remote face recognition that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monitoring during integrated control and It aims to provide a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촬영 영역에 대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고정형촬영부(100a), 식별 영역에 대한 좌표가 지정되면 추적하여 확대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PTZ카메라(100b) 및 상기 고정형촬영부와 PTZ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수신하여 데이터화하는 영상수신부(1100)와, 상기 고정형촬영부로부터의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검출하여 식별 영역을 지정하도록 하는 검출부(1210)와, 식별 영역에 대한 상기 PTZ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와 얼굴DB(1020)를 매칭하여 얼굴을 인식하는 인식부(1220)와, 얼굴 인식 시점의 이벤트를 생성하는 이벤트처리부(1400)와, 식별 영역을 지정하며 상기 PTZ카메라에 식별 영역에 대한 추적 및 확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관리부(1500)를 구비하는 관제부(1000)를 포함하는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fixed-type imaging unit (100a) for generating an image signal for the imaging area, PTZ camera (100b) for generating an image signal by tracking and zooming when the coordinates for the identification area are specified, and An image receiving unit 1100 for receiving the data from the fixed photographing unit and the PTZ camera and dataizing it, and a detecting unit 1210 for detecting a face region from the image from the fixed photographing unit and designating an identification region, and an identification region An image recognition unit 1220 for recognizing a face by matching an image from the PTZ camera with the face DB 1020, an event processing unit 1400 for generating an event at the time of face recognition, and an identification area to designate the PTZ camera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1000 having a management unit 1500 that transmits a tracking and enlargement control signal to the identification area. Provided.

또한, 상기 관제부는, 상기 영상수신부로부터의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DB(1010)를 구비하고, 상기 이벤트처리부는, 얼굴 인식 시점을 지정하는 시점설정부(1410)와, 얼굴 인식 시점에 대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생성부(1420)와, 상기 영상DB로부터 얼굴 인식 시점 이후의 녹화영상을 호출하는 호출부(1430)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image DB 1010 for storing an image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the event processing unit includes a viewpoint setting unit 1410 for designating a face recognition time point and a thumbnail for the face recognition time point. It may include a thumbnail generator 1420 to generate, and a calling unit 1430 to call a recorded image after the face recognition point from the image DB.

한편, 상기 관제부로부터의 실시간 영상과, 얼굴 인식 결과 정보와, 녹화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링부(20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처리부는 모니터링부에서 실시간 재생되는 영역에 호출된 녹화영역을 오버래핑하도록 하는 오버래핑부(14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onitoring unit further includes a real-time image from the control unit, face recognition result information, and a recording image, and the event processing unit overlaps the recording region called in the real-time playback region in the monitoring unit.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overlapping portion 1440 to be provided.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복수의 고정형촬영부로부터의 실시간 영상이 구획영역(2110)에 표시되도록 하는 통합영상표시영역과 얼굴 인식 결과 및 섬네일을 표시하는 정보영역을 구비하는 출력영역(2100)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includes an output area 2100 having an integrated image display area for displaying real-time images from a plurality of fixed-type imaging units on the partition area 2110 and an information area for displaying face recognition results and thumbnails. can do.

일실시예로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섬네일에 해당되는 구획영역에서는 실시간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고 상기 영상DB로부터 섬네일이 발생된 시점으로부터의 녹화 영상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onitoring unit may stop playback of a real-time image in a partition area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elected thumbnails, and play a recorded image from a time when a thumbnail is generated from the image DB.

본 발명에 따라 얼굴 영역의 검출과 얼굴의 인식을 위한 이미지의 획득을 서로 구분되고 특화되는 카메라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원격의 사람들에 대한 인식률이 증가되고 그 신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다채널의 영상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구획영역에 대한 영상의 노출과 재생을 경제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복합적인 정보의 처리에 있어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a face region and acquiring an image for recognition of a face through a camera that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recognition rate for remote people is increased and its reliability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In order to monitor multi-channel image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in the processing of complex information by economically constructing the exposure and reproduction of images for the partition area.

도 1은 종래기술의 언굴인식 보안 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관제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출력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이벤트처리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모니터링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구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ior art security control system.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in the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output unit of FIG. 3.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vent processing unit of FIG. 3.
6 is a view showing an area of a screen output to a monitoring unit in the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only for explaining in detail that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invention, thereby limiting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not ex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고정형촬영부, PTZ카메라, 상기 고정형촬영부로부터의 영상을 수신하여 감시대상 영역에서의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영역을 추적하고 얼굴DB와 대비하여 얼굴을 인식하여 이벤트를 생성하는 관제부 및 상기 관제부로부터의 이벤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Bas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face in an area to be monitored by receiving an image from a fixed-type imaging unit, a PTZ camera, and the fixed-type imaging unit, tracks the detected face region, recognizes a face against a face DB, and detects an event. Provided is a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to generate and a monitoring unit to display an event from the control unit as an image.

본 발명은 다양한 위치에서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러한 영상신호를 원격으로 관제부에서 수집하여 얼굴인식을 함으로써 영상관제를 하는 개념을 제시하는데, 이를 위하여 복수의 개소에 복수의 카메라들이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e concept of image control by capturing images from various locations and remotely collecting these image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and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cameras can be applied to a plurality of locations.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 카메라가 고정형의 CCTV와 같은 고정형촬영부와 팬틸트줌이 가능한 PTZ카메라로 조합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고정형촬영부와 PTZ카메라는 각각 원격에서의 얼굴의 영역에 대한 검출 및 인식을 각각 수행할 수 있는 영상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카메라는 영상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장비라면 종류를 불문한다.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is composed of a fixed type camera such as a fixed CCTV and a PTZ camera capable of pan-tilt zoom, and the fixed camera and the PTZ camera each detect and recognize a face area at a remote location. It generates a video signal that can be performed respective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However, the camera is any type of equipment that can generate a video signal.

또한, 상기 카메라들의 배치장소는 공공의 장소는 물론 사무실이나 공장 등 사람이 출입할 수 있고 얼굴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는 곳이라면, 보안 또는 출입관리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다양한 장소에 비치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locations of the cameras may be placed in various place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ecurity or access management, as well as in public places, as well as in places where people, such as offices or factories, can enter and leave faces. Will be able to.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a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고정형촬영부(100a)는 소정의 위치를 비교적 원거리 및 광각으로 인식할 수 있는 CCTV 등의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형촬영부(100a)는 반드시 어느 하나의 개소에 고정된 위치를 지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지향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경우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고정형의 의미는 PTZ카메라(100b)가 실시간으로 식별 영역을 추적하는 것에 상대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fixed-type photographing unit 100a may be applied with a camera such as a CCTV that can recognize a predetermined position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and wide angle. At this time, the fixed-type photographing unit 100a does not necessarily mean a fixed position at any one location, and may also change a direction to be direc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administrator.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meaning of the fixed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 to the PTZ camera 100b tracking the identification area in real time.

PTZ카메라(100b)는 고정형촬영부(100a)의 영상신호의 생성에 따라 얼굴의 영역이 검출되면 이에 대한 얼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얼굴 영역인 식별 영역에 대한 좌표 및/또는 윤곽을 추적하여 확대하고 얼굴을 추출해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PTZ카메라(100b)는 팬-틸트-줌(Pan-Tilt-Zoom)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The PTZ camera 100b tracks and enlarges the coordinates and / or contours of the identification area, which is the face area, so that face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when an area of the fac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image signal of the fixed image capturing unit 100a. And extract the face. Accordingly, the PTZ camera 100b means a camera having a Pan-Tilt-Zoom function.

종래기술에서는 단일의 CCTV를 통하여 하나의 영상 촬영 영역에서 얼굴을 검출하고 인식하도록 영상 정보를 생성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원거리에서의 얼굴 인식은 사실상 불가능한 한계가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여기서, 원거리란 대략 15m 이내의 거리를 의미하나 이러한 범위는 카메라의 성능에 따라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ior art, image information is generated to detect and recognize a face in one image capturing area through a single CCTV, but in this case, 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face recognition in a long distance is virtually impossible. Here, the long distance means a distance within about 15m, but such a rang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정형촬영부(100a)를 통하여 촬영 영역에서 얼굴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검출된 영역에 대해 PTZ카메라(100b)에서 추적 및 확대를 통하여 얼굴을 DB의 정보와 대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의 사람의 얼굴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바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e can be detected in the photographing area through the fixed type photographing unit 100a, and the face is compared with the DB information through tracking and magnification in the PTZ camera 100b for the detected area. By enabling i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face of a remote pers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고정형촬영부(100a)와 PTZ카메라(100b)는 반드시 1:1로 매칭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고정형촬영부(100a)와 어느 하나의 PTZ카메라(100b)가 매칭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정형촬영부(100a)와 PTZ카메라(100b)의 조합은 필요한 개소의 숫자에 따라 각각 원격지에서 복수로 구성되어 중계부(200)를 통하여 관제부(1000)에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fixed photographing unit 100a and the PTZ camera 100b are not necessarily matched 1: 1, and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fixed photographing units 100a and any one PTZ camera 100b are matched. Could be considered. The combination of the fixed-type photographing unit 100a and the PTZ camera 100b may be configured in plural at a remote loc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quired locations to transmit a video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00 through the relay unit 200.

이러한 중계부(200)는 원격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규약을 따르는 모든 네트워크 중계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인터넷으로서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및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RS485 인터페이스 또는 RS232 통신규약에 따른 통신방식이나, Zigbee 프로토콜(IEEE 802.15.4),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등의 다양한 유무선의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촬영장치로부터의 유무선의 연결라인인 예를 들어, CCTV회선 그 자체가 중계망을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relay unit 200 may include all network relay means conforming to the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 / IP) communication protocol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remote, and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nd WiMAX (WiBRO) as the wireless Internet.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In addition,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n RS485 interface or an RS232 communication protocol, or a communication method of various wired or wireless such as Zigbee protocol (IEEE 802.15.4)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ay be included. . 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CTV line itself may constitute a relay network, for exampl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line from a photographing device.

관제부(1000)는 상기된 중계부(200)를 통하여 고정형촬영부(100a) 및 PTZ카메라(100b)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경우에 따라, 특히 팬, 틸트 또는 줌에 대한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모니터링부(2000)에 관제부(10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관제부(1000)는 하나의 서버 또는 P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복수의 개소에 설치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trol unit 1000 receives the image signals from the fixed type photographing unit 100a and the PTZ camera 100b through the relay unit 200 described above, and in particular,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pan, tilt, or zoom in particular. It performs a function, and functions to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000 to the monitoring unit 2000. The control unit 1000 is preferably composed of one server or a PC, but may be considered when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depending on the case.

모니터링부(2000)는 관제실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원격지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제부(1000)의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모바일단말이나 노트북, PC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2000)는 복수의 고정형촬영부(100a) 또는 PTZ카메라(100b)나 관제부(1000)로부터의 정보를 하나의 화면으로 분할표시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monitoring unit 2000 may mean a display provided in the control room, but may also refer to a mobile terminal, laptop, PC, etc. that can receive and outpu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000 by wire or wirelessly at a remote location. . The monitoring unit 2000 may divide and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fixed photographing units 100a or the PTZ camera 100b or the control unit 1000 into one scree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관제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in the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부'들은 소정의 장치는 물론 각각의 기능을 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할 수 있다.'Par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n algorithm that functions as well as a predetermined device.

영상수신부(1100)는 각각의 개소에 대한 고정형촬영부(100a)와 PTZ카메라(100b)의 영상을 수신하여 정보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소정의 파일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반적인 영상신호의 파일 포맷은 MPEG, AVI, ASF, WMV, MOV, VIVO, RM, Yuv4mpeg, RoQ, OGG/OGM, 3gp 등으로 알려져 있고, 비디오 코덱은 MPEG-1(VCD), MPEG-2(DVD), DivX, 3ivX, MS MPEG-4 V1, V2, Xvid Windows Media Video 7/8(WMV1/WMV2), Windows Media Video 9(WMV3), Sorenson 1(SVQ1), Sorenson3(SVQ3),Intel Indeo(3.1, 3.2, 4.1, 5.0), MJPEG, AVID, VCR2, ASV2, VIVO 1.0, 2.0, I263, H263, FLI/FLC, RealVideo 1.0, 2.0, 3.0, 4.0, HuffYUV, H.264 정도의 코덱이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관제부(1000)는 다양한 개소의 다양한 유형의 카메라들의 영상신호를 하나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mage receiving unit 1100 receives the images of the fixed photographing unit 100a and the PTZ camera 100b for each location, and performs a func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can be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File formats of general video signals are known as MPEG, AVI, ASF, WMV, MOV, VIVO, RM, Yuv4mpeg, RoQ, OGG / OGM, 3gp, etc., and video codecs are MPEG-1 (VCD), MPEG-2 (DVD ), DivX, 3ivX, MS MPEG-4 V1, V2, Xvid Windows Media Video 7/8 (WMV1 / WMV2), Windows Media Video 9 (WMV3), Sorenson 1 (SVQ1), Sorenson3 (SVQ3), Intel Indeo (3.1) , 3.2, 4.1, 5.0), MJPEG, AVID, VCR2, ASV2, VIVO 1.0, 2.0, I263, H263, FLI / FLC, RealVideo 1.0, 2.0, 3.0, 4.0, HuffYUV, H.264 codec It is understood that. The control unit 1000 may be capable of converting video signals of various types of cameras at various locations into a single format so as to be integrated and managed.

경우에 따라 상기 영상수신부(1100)는 각각의 개소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디코딩 및 인코딩하여 함께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음성신호는 반드시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In some cases, the image receiving unit 1100 may decode and encode audio signals input at each location to output them together. However, such a voice signal is not necessarily an essential element.

상기 영상수신부(1100)의 영상은 시계열적으로 영상DB(1010)에 저장되며 후술될 바와 같이 저장된 영상은 이벤트 시점을 기준으로 호출되어 모니터링부(2000)에서 재생될 수 있다. The image of the image receiving unit 1100 is stored in the image DB 1010 in time series, and the stored image may be called based on the event time point and reproduced in the monitoring unit 2000 as will be described later.

1차적으로 고정형촬영부(100a)에서의 영상 신호의 입력을 통하여 검출부(1210)에서는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얼굴 영역의 검출과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공지의 기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First, the detection unit 1210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a face region through the input of an image signal from the fixed type imaging unit 100a. Various known techniques may be applied to the detection of the face reg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렇게 검출된 영역은 식별 영역으로서 지정되며, 전체적인 고정형촬영부(100a)의 촬영 영역에서 식별 영역의 좌표 및 외곽이 지정되면 관리부(1500)에서는 중계부(200)를 통하여 PTZ카메라(100b)에 식별 영역에 대한 추적 및 확대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The thus-detected area is designated as the identification area, and when the coordinates and the outline of the identification area are designated in the entire fixed area imaging unit 100a, the management unit 1500 identifies the PTZ camera 100b through the relay unit 200. The tracking and zooming control signals for the area are transmitted.

이에 2차적으로 PTZ카메라(100b)는 식별 영역에 대한 팬/틸트/줌 기능을 통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수신부(1100)로 전송하며 인식부(1220)는 상기 식별 영역에 대한 얼굴 이미지를 얼굴DB(1020)와 대비하여 얼굴에 대한 인식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PTZ camera 100b generates a video signal through the pan / tilt / zoom function for the identification area and transmits it to the image receiving unit 1100, and the recognition unit 1220 faces the face image for the identification area.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erforming face recognition in preparation for the DB 1020.

출력부(1300)는 이러한 얼굴 인식 결과정보를 모니터링부(2000)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식 시점은 이벤트 발생시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처리부(1400)에서의 이벤트의 발생처리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1300)는 고정형촬영부(100a)로부터의 실시간 영상의 출력과, 이벤트 시점에서의 결과물 출력과, 녹화영상의 호출에 의한 재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0 may output such face recognition result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unit 2000, and the recognition time point may be understood as an event occurrence tim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n the event processing unit 1400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1300 may perform a function of outputting a real-time image from the fixed photographing unit 100a, outputting a result at an event point, and playing a video by calling the recorded image.

관리부(1500)는 식별 영역의 지정과 PTZ카메라(100b)에 대한 제어신호의 송출 및 영상DB(1010)의 호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unit 1500 may perform a function of designating an identification area,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PTZ camera 100b, and calling the image DB 1010.

인식부(1220)에서 PTZ카메라(100b)로부터 추출된 이미지와 얼굴DB(1020)와 대비된 이미지가 대응되지 않아 인식의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벤트처리부(1400)는 인식 불가의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고 관리부(1500)는 PTZ카메라(100b)의 추출된 이미지를 새로운 얼굴DB(1020)로서 저장하여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cognition unit 1220 may not be able to perform recognition because the image extracted from the PTZ camera 100b and the image contrasted with the face DB 1020 do not correspo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vent processing unit 1400 outputs an unrecognizable result, and the management unit 1500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and updating the extracted image of the PTZ camera 100b as a new face DB 1020.

도 4는 도 3의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출력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output unit in the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of FIG. 3.

관제실에 비치되는 모니터링부(2000)의 경우 관리자가 실시간의 영상과 이벤트 처리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출력부(1300)는 고정형촬영부(100a)로부터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연속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실시간영상전송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영상전송부(1310)는 주로 고정형촬영부(100a)로부터의 영상을 출력하는 CCTV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나, 관리자의 선택이나 출력방식의 선택에 따라 PTZ카메라(100b)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monitoring unit 2000 provided in the control room, an administrator can monitor real-time images and information on event processing. To this end, the output unit 1300 continuously outputs images from the fixed-type imaging unit 100a in real time. It may include a real-time video transmission unit 1310 to output. The real-time image transmission unit 1310 may mainly perform a function as a CCTV that outputs an image from the fixed-type imaging unit 100a, but the image of the PTZ camera 100b is real-time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s selection or the output method selection. It may also be considered to be output as.

또한, 식별 영역의 지정 또는 얼굴 인식의 완료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식결과전송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결과전송부(1320)는 PTZ카메라(100b)의 영상 신호로부터 추출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얼굴DB(1020)의 정보를 모니터링부(2000)로 표시하도록 기능하며, 이때 매칭되는 결과값이 없는 경우 관리부(1500)에서 새로운 얼굴DB(1020)로 저장 및 갱신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In addition, when an event such as designation of an identification area or completion of face recognition occurs, a recognition result transmission unit 1320 may be displayed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event. The recognition result transmission unit 1320 functions to display the information of the face DB 1020 matching the image extracted from the video signal of the PTZ camera 100b to the monitoring unit 2000, where there is no matching result value. In this case, the management unit 1500 can store and update the new face DB 1020 as described above.

한편, 녹화영상전송부(13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녹화영상전송부(1330)는 영상DB(1010)로부터 관리자의 선택이나 이벤트 발생시점의 지정 등에 따라 소정의 시점에서부터의 저장된 고정형촬영부(100a)로부터의 영상 또는 PTZ카메라(100b)로부터의 영상을 재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될 바와 같이 다채널의 영상이 실시간으로 중계될 수 있는 분할 화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녹화 영상의 재생은 실시간 영상에 오버래핑 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Meanwhile, the recorded image transmission unit 1330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recorded image transmission unit 1330 may be stored in a fixed photographing unit from a predetermined point in time according to an administrator's selection from the image DB 1010 or designation of an event occurrence time. A function of playing an image from 100a) or an image from PTZ camera 100b may be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have a split screen in which multi-channel images can be relayed in real time, and it is efficient that the reproduction of the recorded images is implemented in a manner overlapping with real-time image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이벤트처리부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event processing unit in the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벤트 시점은 주로 고정형촬영부(100a)로부터의 영상 신호에서 식별 영역이 추출되는 시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는 인식부(1220)에서 매칭되는 얼굴DB(1020)의 검색이 완료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벤트 시점은 시점설정부(1410)에서 생성되며 상기된 이벤트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얼굴인식과 특정 재생 시점이 지정될 수 있다. The event time point may mainly refer to a time point at which the identification area is extracted from the video signal from the fixed image capturing unit 100a, but this may mean a case in which the search of the matching face DB 1020 in the recognition unit 1220 is completed. It might be. The event time point is generated by the time point setting unit 1410 and face recognition and a specific playback time point may be designated based on the time point of the event occurrence.

또한, 상기 시점설정부(1410)에서의 이벤트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섬네일생성부(1420)에서는 관리자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섬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영상DB(1010)로부터의 호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umbnail generation unit 1420 may generate a thumbnail image for easy identification by the administrator based o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event occurred in the viewpoint setting unit 1410 so that a call from the image DB 1010 is possible.

또한, 호출부(1430)는 관리자가 모니터링부(2000)를 통하여 영상의 검색을 수행하면서 과거의 시점을 기준으로 영상을 호출하게 되면 해당 시점부터의 영상을 출력부(1300)에서 녹화영상으로서 전송하도록 할수 있다.In addition, the calling unit 1430, when the administrator searches for an image through the monitoring unit 2000 and calls an image based on a past viewpoint, transmits the video from the corresponding viewpoint as a recorded video from the output unit 1300 You can do it.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으로 오버래핑부(14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버래핑부(1440)는 모니터링부(2000)의 실시간 영상의 재생 영역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녹화 영상을 재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녹화 영상의 재생은 별도의 팝업창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나 오버래핑부(1440)에서 해당 식별자를 가지는 실시간 재생영역에 녹화영상을 오버래핑함으로써 영상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rlapping unit 144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and the overlapping unit 1440 is configured to reproduce a recorded image based on a specific event occurrence time in the playback area of the real-time image of the monitoring unit 2000. Can perform a function. In this case, the playback of the recorded video may be considered even through a separate pop-up window, but the overlapping unit 1440 may increase the efficiency of video management by overlapping the recorded video in the real-time playback area having the corresponding identifier. .

도 6은 본 발명의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모니터링부에 출력되는 화면의 구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area of a screen output to the monitoring unit in the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모니터링부(2000)는 소정의 출력영역(2100)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출력영역(2100)은 각각의 위치별 또는 촬영 영역별로 분할된 영역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분할된 영역은 소정의 식별자를 가지는 고정형촬영부(100a)의 촬영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unit 2000 may have a predetermined output area 2100, and the output area 2100 may have a divided area for each location or for each shooting area. Each divided region may mean a photographing region of the fixed photographing unit 100a having a predetermined identifier.

상기 출력영역(2100)은 통합영상표시영역과 메뉴와 같은 자체정보 표시를 위한 정보영역(참조번호 미표시)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복합적인 영상들을 표시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영역은 통합영상표시영역이 차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비율은 선택적이다. 상기 통합영상표시영역은 분할된 영역을 구비하고, 이러한 분할된 영역들은 매트릭스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분할된 영상 영역들은 소정의 좌표값을 가지고 각각의 고정형촬영부(100a) 및/또는 PTZ카메라(100b)에 해당되는 구획영역(2110)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output area 2100 may be divided into an integrated video display area and an information area for displaying its own information such as a menu (no reference number). Basically,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complex images on one display, most of the area can be occupied by the integrated video display area, but this ratio is optional. The integrated image display area includes a divided area, and the divided areas may be implemented as a matrix. Each of the divided image regions may be understood as a partition region 211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xed-type imaging unit 100a and / or the PTZ camera 100b with a predetermined coordinate value.

각각의 구획영역(2110)은 실시간영상전송부(1310)로부터의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각각의 영상 제어를 위한 제어영역(2120)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partition area 2110 functions to output a real-time video image from the real-time video transmission unit 1310 and may include a control area 2120 for controlling each video.

한편, 인식결과 및 이벤트 정보 등은 정보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때 섬네일생성부(1420)에서 이벤트 시점의 섬네일 이미지들이 노출될 수 있다.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DB(1010)로부터 저장된 녹화영상이 출력될 수 있으며, 소정의 섬네일 이미지를 통합영상표시영역에 드래그하는 방식이나 클릭하는 방식 등을 통하여 영상DB(1010)로부터 해당 섬네일이 생성된 이벤트 발생시점으로부터 영상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recognition result and event information, etc. may be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area, where thumbnail images at the event time may be exposed by the thumbnail generator 1420. Recorded images stored from the image DB 1010 can be output according to the administrator's input, and the thumbnails are generated from the image DB 1010 by dragging or clicking a predetermined thumbnail image to the integrated image display area. The video can be played back from the time the event occurred.

이때, 이벤트가 발생된 식별자의 구획영역의 주소는 자동적으로 지정되어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해당 구획영역에서 실시간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고 녹화된 영상이 재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영역(2120)은 녹화된 영상의 재생시에만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ddress of the partition area of the identifier in which the event has occurred is automatically designated, and accordingly, the playback of the real-time video is stopped in the corresponding partition area and the recorded video is play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administrator. It may also be considered that the control region 2120 is displayed only when the recorded image is played back.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은 얼굴 영역의 검출과 얼굴의 인식을 위한 이미지의 획득을 서로 구분되고 특화되는 카메라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원격의 사람들에 대한 인식률이 증가되고 그 신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The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a recognition rate for remote people compared to the prior art by allowing the detection of the face region and the acquisition of the image for face recognition through a camera that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specialized. Increased and its reliability can be improved dramatically.

또한, 다채널의 영상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구획영역에 대한 영상의 노출과 재생을 경제적으로 배치하고 복합적인 정보의 처리에 있어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the monitoring of multi-channel images, it is possible to economically arrange the exposure and reproduction of images to the partition area and maximize efficiency in processing complex inform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100a...고정형촬영부 100b...PTZ카메라
200...중계부 1000...관제부
1010...영상DB 1020...얼굴DB
1100...영상수신부 1210...검출부
1220...인식부 1300...출력부
1310...실시간영상전송부 1320...인식결과전송부
1330...녹화영상전송부 1400...이벤트처리부
1410...시점설정부 1420...섬네일생성부
1430...호출부 1440...오버래핑부
1500...관리부 2000...클라이언트부
100a ... Fixed type shooting part 100b ... PTZ camera
200 ... relay 1000 ... control
1010 ... Video DB 1020 ... Face DB
1100 ... Video receiving unit 1210 ... Detection unit
1220 ... Recognition section 1300 ... Output section
1310 ... real-time video transmitter 1320 ... recognition result transmitter
1330 ... Recording video transmission unit 1400 ... Event processing unit
1410 ... Point setting unit 1420 ... Thumbnail generation unit
1430 ... Calling part 1440 ... Overlapping part
1500 ... Management Department 2000 ... Client Department

Claims (5)

촬영 영역에 대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고정형촬영부(100a);
식별 영역에 대하여 추적하여 확대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PTZ카메라(100b);
상기 고정형촬영부와 PTZ카메라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0)와, 식별 영역을 지정하는 검출부(1210)와, 얼굴을 인식하는 인식부(1220)와, 얼굴 인식 시점의 이벤트를 생성하는 이벤트처리부(1400)와, PTZ카메라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관리부(1500)를 구비하는 관제부(1000);
상기 관제부로부터의 실시간 영상과 얼굴 인식 결과 정보와 녹화영상을 출력하는도록 통합영상표시영역과 정보영역으로 구성되는 출력영역(2100)을 가지는 모니터링부(2000);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부는,
고정형촬영부에서 1차로 촬영되어 송신된 영상 신호의 촬영 영역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부가 검출하여 식별 영역으로 지정하도록 하고, 상기 식별 영역의 좌표 및 외곽에 대하여 관리부가 PTZ카메라에 대해 추적 및 확대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2차로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하고, 인식부가 PTZ카메라로부터의 식별 영역에 대한 2차 영상 신호에서 얼굴 이미지를 얼굴 DB와 대비하여 인식을 수행하되 매칭되는 결과값이 없는 경우 PTZ카메라의 추출된 이미지를 새로운 얼굴 데이터로서 저장하여 갱신하고,
상기 통합영상표시영역은,
각 위치별로 분할된 복수의 구획영역(21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획영역들은 실시간 영상 이미지를 재생영역에 출력하되 각각 제어영역(2120)을 구비하여 제어입력에 따라 구획영역에서 실시간 영상의 재생을 중단하고 섬네일이 생성된 이벤트 발생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해당 구획영역에 오버래핑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
A fixed type photographing unit 100a generating an image signal for the photographing area;
A PTZ camera 100b for tracking the identification area and generating an enlarged image signal;
The fixed type photographing unit and an image receiving unit 1100 receiving an image signal from a PTZ camera, a detection unit 1210 designating an identification area, a recognition unit 1220 for recognizing a face, and an event at the time of face recognition are generated. A control unit 1000 having an event processing unit 1400 and a management unit 150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PTZ camera;
It includes; a monitoring unit (2000) having an output area (2100) consisting of an integrated video display area and an information area to output real-time video, face recognition result information, and recorded video from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face region in the imaging area of the video signal that is firstly shot and transmitted from the fixed-type imaging unit and designates it as an identification area.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image signal in the second order, and recognizer compares the face image with the face DB in the second image signal for the identification area from the PTZ camera, but if there is no matching result, the PTZ camera Save and update the extracted image as new face data,
The integrated video display area,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ition regions 2110 divided for each location, and the partition regions output a real-time image image to the playback region, but each has a control region 2120 to reproduce real-time images in the partition region according to a control input. A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that interrupts and reproduces the image by overlapping it in the corresponding partition area from the time when the thumbnail is gen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부는,
상기 영상수신부로부터의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DB(1010)를 구비하고,
상기 이벤트처리부는,
얼굴 인식 시점을 지정하는 시점설정부(1410)와, 얼굴 인식 시점에 대한 섬네일을 생성하는 섬네일생성부(1420)와, 상기 영상DB로부터 얼굴 인식 시점 이후의 녹화영상을 호출하는 호출부(1430)를 구비하는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t has an image DB (1010) for storing the image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The event processing unit,
A viewpoint setting unit 1410 for designating a face recognition time point, a thumbnail generation unit 1420 for generating a thumbnail for a face recognition time point, and a calling unit 1430 for calling a recorded image after the face recognition time point from the image DB Remot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hav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통합영상표시영역에서 복수의 고정형촬영부로부터의 실시간 영상이 구획영역(2110)에 표시되도록 하고, 정보영역에서 얼굴 인식 결과 및 섬네일을 표시하는 원거리 얼굴인식 및 다채널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unit,
A long-distance face recognition and multi-channel monitoring system that displays real-time images from a plurality of fixed-type imaging units in the integrated image display area in the partition area 2110 and displays face recognition results and thumbnails in the information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27911A 2018-10-25 2018-10-25 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 KR1020908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11A KR102090879B1 (en) 2018-10-25 2018-10-25 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911A KR102090879B1 (en) 2018-10-25 2018-10-25 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468A Division KR20200047438A (en) 2019-12-27 2019-12-27 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879B1 true KR102090879B1 (en) 2020-03-18

Family

ID=6999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911A KR102090879B1 (en) 2018-10-25 2018-10-25 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8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421A1 (en) * 2021-12-13 2023-06-22 (주)지와이네트웍스 Method for detecting missing person and managing search route on basis of deep learning through dr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586B1 (en) * 2010-05-07 2010-09-06 주식회사 에스엘티 Method for intelligent image security using single or multi camera and system thereof
JP2011233133A (en) * 2010-04-09 2011-11-17 Miyake Inc Shoplifting preventing system
KR101297295B1 (en) * 2013-02-14 2013-08-14 우원소프트 주식회사 Security control system by face recognition
KR20140104289A (en) * 2013-02-20 2014-08-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and the method for detecting face using CCTV
KR101520597B1 (en) * 2015-01-07 2015-05-27 주식회사보다텍 Security system linked emergency button with all directions touchpa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3133A (en) * 2010-04-09 2011-11-17 Miyake Inc Shoplifting preventing system
KR100980586B1 (en) * 2010-05-07 2010-09-06 주식회사 에스엘티 Method for intelligent image security using single or multi camera and system thereof
KR101297295B1 (en) * 2013-02-14 2013-08-14 우원소프트 주식회사 Security control system by face recognition
KR20140104289A (en) * 2013-02-20 2014-08-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and the method for detecting face using CCTV
KR101520597B1 (en) * 2015-01-07 2015-05-27 주식회사보다텍 Security system linked emergency button with all directions touchp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421A1 (en) * 2021-12-13 2023-06-22 (주)지와이네트웍스 Method for detecting missing person and managing search route on basis of deep learning through drone, and system for perform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173B1 (en) Hom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US10123051B2 (en) Video analytics with pre-processing at the source end
US11157745B2 (en) Automated proximity discovery of networked cameras
KR101425505B1 (en) The monitering method of Intelligent surveilance system by using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US20070268367A1 (en) Video Surveillance With Satellite Communication Access
KR101147193B1 (en)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US20170223302A1 (en) Critical incident solution
US201102998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Surveillance Devices and Surveillance Footage
CN101720029B (en) Intelligent network video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20180167585A1 (en) Networked Camera
CN101119482A (en) Overall view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220884B1 (en) Multi-conrol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1837184B1 (en) DVR system for security including P2P server capable of being connected App of smar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20124785A (en) Object tracking system for tracing path of object and method thereof
KR101837183B1 (en) DVR system to be connected keypad for voice recognition and P2P server and method thereof
US108965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illance using location-tracking imaging devices
KR101212082B1 (en) Image Recognition Apparatus and Vison Monitoring Method thereof
KR20040106964A (en) Real time moving picture remote guard controling system
WO2019099321A1 (en) Collaborative media collection analysis
JP2011217055A (en) Image recording control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US20160044282A1 (en) Desk-side surveillance
KR20150041939A (en) A door monitoring system using real-time event detection and a method thereof
JP5779380B2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KR20030085921A (en) System for monitering remote control
KR102090879B1 (en) 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