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193B1 -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 Google Patents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193B1
KR101147193B1 KR1020100058147A KR20100058147A KR101147193B1 KR 101147193 B1 KR101147193 B1 KR 101147193B1 KR 1020100058147 A KR1020100058147 A KR 1020100058147A KR 20100058147 A KR20100058147 A KR 20100058147A KR 101147193 B1 KR101147193 B1 KR 10114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er
monitoring
smartphone
surveil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8049A (en
Inventor
김기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인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인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인포
Priority to KR102010005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193B1/en
Publication of KR2011013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0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저장하는 감시 서버를 포함함으로써 장소에 제한받지 않는 스마트폰을 입력 수단으로 할 수 있다.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phone for transmitting the real-time monitoring data including the image data taken by the built-in camera over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a surveillance server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nd storing the monitoring data As a result, a smartphone that is not limited to a place can be used as an input means.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Surveillance system using smartphone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입력 수단으로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를 이용하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veillance system using a built-in camera of a smartphone as an input means and transmitting a photographed image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감시 시스템은 소정 장소에 설비되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원격지의 서버에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The surveillance system is a system that monitors images captured by a camera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from a remote server.

이러한 감시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CCTV 시스템이 있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surveillance system is a CCTV system.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은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해 특정 장소의 한정된 모니터로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use video cameras to send signals to a limited monitor at a specific location.

CCTV 시스템은 신호를 직접 케이블 등을 사용해서 전달하며, 외부로 전파가 나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이라고 명명되었다.CCTV systems are called closed-circuit televisions (CCTVs) because they transmit signals directly, using cables and the like.

원리는 방송용 텔레비전과 같으나 방식은 응용분야나 텔레비전 신호의 통신로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매초화면수(每秒畵面數), 주사선수(走査線數) 등은 방송규격에 얽매이지 않고 용도에 따라 독자적인 규격을 사용할 때가 많다. 카메라의 감응파장(感應波長)도 가시광선 영역만이 아니고 자외선, 적외선, X선, 중성자선 등의 영역을 대상으로 할 때도 있다. Principle is same as broadcast television, but there are various methods depending on application field or communication channel of television signal. Every second screen, scan player, etc. are not bound by broadcasting standard. In many cases, proprietary specifications are used. The sensitive wavelength of a camera is not only visible region but also an area | region, such as an ultraviolet-ray, an infrared ray, X-ray, and neutron beam.

용도도 다양하여 댐의 취수구(取水口) 상황, 수위(水位), 수문의 자동개폐 상황 등의 감시, 화력발전소나 용광로의 연소 상황, 그리고 굴뚝으로부터의 매연 감시, 기중기(起重機) 등의 운전 감시 또는 높은 곳에서의 작업 감시, 선수(船首)에서 보는 수로(水路)의 상황, 고속도로 터널 내부의 교통 상황 감시, 플랫폼이나 역 구내의 승강 상황 파악, 그리고 방사성 물질의 원격감시 및 원방조작용 등, 먼 곳에서 실정을 파악하기를 원하거나 위험해서 접근할 수 없을 경우, 멀리서 감시하고 싶을 때 등에 많이 사용된다. 산업의 자동화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서 병원에서 수술하는 광경 등도 실외에서 볼 수 있다. Various uses include monitoring of dam intake, water level, automatic opening / closing of floodgates, combustion of thermal power plants and furnaces, and monitoring of smoke from chimneys and operation of cranes. Or monitoring work at high altitudes, waterway conditions from the bow, monitoring traffic conditions inside highway tunnels, identifying elevations in platforms or stations, and remote monitoring and aiding of radioactive material; It is often used when you want to grasp the situation from afar or when you can't access it because it is dangerous. Indispensable to the automation of the industry, the scene of surgery in the hospital can be seen outdoors.

CCTV 시스템은 간단한 TV카메라와 수상기의 조합으로, 양자간 전송로로서는 유선방송파 방식을 취한 것이 많으며, 카메라의 초점, 카메라의 방향을 수상기(디스플레이) 근처에서 원격조작 하는 것이 보통이다. 카메라용 촬상관으로는 비디콘이 손쉽고 안전하므로 많이 쓰인다. 카메라는 오랜 시간에 걸친 안정성과 사용목적에 따라서는 내풍우성(耐風雨性), 내고온성, 내방사선성 등이 요구된다. 디스플레이는 방송용 정도이면 양호하고, 전송로는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The CCTV system is a combination of a simple TV camera and a receiver, and a cable transmission system is often used as a bilateral transmission path, and the camera's focus and the camera's direction are usually remotely operated near the receiver (display). Video cameras are often used because of their ease and safety. Cameras require wind resistance, high temperature resistance and radiation resistance depending on the stability and purpose of use for a long time. The display is good enough for broadcasting, and a transmission line is mostly a coaxial cable.

상업, 교육, 연구, 경찰, 국방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할 때가 많다. 의료용으로서는 X선 텔레비전 등이 사용되며, 이 경우 형광판, 촬상관, 카메라 등의 감도를 높여줌으로써 보통의 경우보다 X선의 강도를 줄일 수 있어서 장애가 적다. 또 한번만 촬영하면 반복해서 볼 수 있고 위험한 곳에서는 떨어져서 연속적으로 관찰과 녹화도 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나 의사의 안전을 위해서도 이상적이다. It is often used in commerce, education, research, police and defense. X-ray televisions and the like are used for medical use, and in this case, the intensity of the X-rays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sensitivity of the fluorescent plate, the imaging tube, the camera, and the like, so there are fewer obstacles. It is also ideal for the safety of the patient or doctor because it can be repeated repeatedly if you take another shot.

이밖에 내시경(內視鏡) 텔레비전, 자외선 현미경 텔레비전 등이 있어서 많은 사람이 동시에 관측하거나 기록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의학 교육용으로 외과수술을 수술실 외부에서 여러 사람이 볼 수 있게 하고 있다. 교육용으로서는 대강당 등에서 많은 인원의 교육 또는 실험의 데먼스트레이션으로, 그리고 세부의 확대전시, 실험지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용 텔레비전을 ETV(education TV)로 약칭한다. 또 백화점 등에서의 감시용, 가정에서의 대문 앞 감시용 등으로도 사용된다.In addition, there is an endoscope television, ultraviolet microscope television, etc., many people can observe or record at the same time, and for medical education, surgical surgery can be seen by many people outside the operating room. For educational purposes, it can be used as a demonstration of training or experimentation of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large auditorium, etc., as well as for expanding exhibitions and teaching guidance of details. Such educational television is abbreviated as ETV (education TV). It is also used for surveillance at department stores and at home.

근래 저장 수단의 발달에 힘입어 촬상관을 통한 단순한 모니터링에서 나아가 촬영된 영상을 저장까지 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으며 이때의 저장 수단으로는 VCR, DVR(Digital Video Recorder) 등이 사용된다.
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torage means, a system for storing captured images, from simple monitoring through an image tube, has been introduced. At this time, a VCR,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and the like are used.

본 발명은 입력 수단으로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를 이용하고 촬영된 영상을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장소에 제한되지 않으면서도 실시간 감시가 가능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 phone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without being limited to a place by using the built-in camera of the smart phone as an input means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via a wireless Internet network.

또한, 이러한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과 감시 서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o provide a smartphone and a surveillance server for the surveillance system constituting such a surveillance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수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저장하는 감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Surveill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mart phone for transmitting in real time the surveillance data including the image data taken by the built-in camera over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a surveillance server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nd storing the surveillance data It may include.

이때, 상기 무선 인터넷망은 TCP/IP, UDP/IP, RTST, RTCP, RTP/UDP, RTP/TCP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use at least one of TCP / IP, UDP / IP, RTST, RTCP, RTP / UDP, RTP / TCP.

또한, 감시 시스템은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는 스마트폰용 통신 채널 및 상기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CCTV 카메라용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veillance system further comprises a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the surveillance server is a communication channel for the smartphone receiving the surveillance data from the smartphone and a communication channel for the CCTV camera receiving the video data of the CCTV camera It may include.

또한, 적어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방범용 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감시 데이터를 상기 방범용 폴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은 위치 정보를 더 전송하고, 상기 방범용 폴은 상기 위치 정보에서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poll provided with a display displaying at least the image data, wherein the monitoring server may transmit the monitoring data to the security poll. Here, the smart phone may further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urity pawl may be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은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시 데이터 생성부 및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감시 서버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감시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phone for surveill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urveillance server through a camera, a surveillance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surveillance data including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and a wireless Internet network It may include a surveillance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urveillance data in real time.

이때,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은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데이터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mart phone for the surveillan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and the surveillance data may further include voice data input to the microphone.

또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수신부 및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시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감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PS receiver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clock for generating time information, and the monitoring data transmitter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according to a set period.

또한, 단말기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송받은 감시 데이터에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송받은 감시 데이터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전달된 음성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display and a data analyzer, wherein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r receives pre-stored surveilla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urveillance server, and the data analyzer extracts image data from the received surveillance data. The terminal display may be transferred to the terminal display, and the terminal display may display the transferred image data.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and the data analyzer extracts the voice data from the transmitted monitoring data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to the speaker, and the speaker may display the transmitted voice data.

이와 같은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감시 모드 아이콘(icon)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감시 모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카메라 동작 아이콘,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아 재생하는 녹화 영상 아이콘 및 상기 감시 서버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감시 서버 설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위 메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The smart phone for the surveillan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displaying a surveillance mode icon on the terminal display by the user's selec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amera operation icon for operating the camera when the monitoring mode icon is selected, a recorded video icon for receiving and playing pre-stored surveillance data from the monitoring server, and a monitoring server setting icon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monitoring server. The upper menu may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동작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와 상기 감시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감시 데이터 전송부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표시 영역, 상기 영상 데이터의 분류를 위한 플래그(flag)를 설정하는 플래그 설정 메뉴 영역 및 상기 상위 메뉴로 회귀시키는 회귀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하위 메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camera operation ic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drives the camera, the surveillance data generation unit, and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ssion unit, and displays a photographing display area for displaying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for classifying the image data. A camera operation submenu including a flag setting menu area for setting a flag and a regression menu area for returning to the upper menu may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화 영상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감시 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를 구동하고, 상기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 중에서 재생할 감시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간을 선택하는 시간 선택 메뉴 영역, 상기 감시 데이터 전송부로 하여금 상기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선택된 시간의 대응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요청하는 요청 메뉴 영역, 상기 전송받은 대응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녹화 영상 표시 영역, 상기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메뉴 영역 및 상기 상위 메뉴로 회귀시키는 회귀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녹화 영상 하위 메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orded video ic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drives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ssion unit and the data analysis unit, and selects a time corresponding to the surveillance data to be reproduced from the previously stored surveillance data, and transmits the surveillance data. A request menu area for requesting the unit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data of the selected time from the pre-stored monitoring data, a recorded image display area in which the image data extracted from the data analyzer is reproduced among the received corresponding data, and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The recorded video submenu including a playback menu region and a regression menu region for returning to the upper menu may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 서버 설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감시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IP 주소 입력 영역, 상기 입력된 IP 주소를 저장하는 저장 메뉴 영역 및 상기 상위 메뉴로 회귀시키는 회귀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감시 서버 설정 하위 메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IP address input area for inputting an IP address of the monitoring server, a storage menu area for storing the input IP address, and a regression menu area for returning to the upper menu when the monitoring server setting icon is selected. The monitoring server setting sub-menu including; may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한편, 본 발명의 감시 서버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와 상기 스마트폰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받는 서버 통신부, 상기 감시 데이터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버 데이터 분석부,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표시 영역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서버 영상 감시부 및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다른 스마트폰의 영상 데이터와 구분하여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nitoring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urveillance data including the image data taken by the built-in camera from the smartphone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via a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video data from the surveillance data A server data analyzer extracting the data, a server video monitoring unit displaying the video data in a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ing the video data separately from video data of another smartphone by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ver storage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서버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감시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를 더 추출하고, 상기 서버 저장부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표시와 대응시켜 상기 음성 데이터를 표시하는 서버 음성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rver data analyzer extracts the voice data when the monitoring data includes the voice data, and the server storage unit stores the voice data together with the video data and corresponds to the display of the video data.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voice monitor configured to display voice data.

또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는 스마트폰용 통신 채널 및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CCTV 카메라용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 영상 감시부는 상기 CCTV 카메라에 할당된 표시 영역에 상기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서버 저장부는 상기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 smartphone that receives the surveillance data from the smartphone and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 CCTV camera that receives the video data of the CCTV camera. The server image monitoring unit may be assigned to the CCTV camera. The video data of the CCTV camer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the server storage unit may further store the video data of the CCTV camera.

또한, 적어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방범용 폴로 상기 서버 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data extracted from the server data analyzer by at least one security polo having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이때,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더 전송받고, 상기 외부 전송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서 설정 거리 이내의 방범용 폴에만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external transmission unit may transmit the extracted data only to a security pole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더 전송받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동선을 추적하는 동선 추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receive a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smart phon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pper wire tracking unit for tracking the copper wire of the smart phon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또한, 상기 서버 저장부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요청한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버 데이터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받아 상기 서버 데이터 추출부로 전달하고 상기 서버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er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data extractor configured to extract pre-stored surveillance data requested by the smartphone,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request to transmit pre-stored surveillance data from the smartphone to the server data extraction unit. And the pre-stored monitoring data extracted by the server data extraction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스마트폰의 내장 카메라를 입력 수단으로 하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스마트폰과 감시 서버가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제한되지 않는 입력 수단을 구비하게 되며 통신 과정에서 복잡한 중계 서버를 거치지 않아 CCTV에서와 같은 실시간 감시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put means that is not limited to a place by allowing the smart phone and the surveillance serv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 wireless camera network as an input means. It does not go through a complicated relay server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so real-time monitoring as in CCTV is possible.

또한, 기존의 CCTV 카메라를 여분의 입력 수단으로 함으로써 기존 CCTV를 병행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기존의 CCTV에 스마트폰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구성을 추가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existing CCTV camera as an extra input means it is possible to parallel the existing CCTV. From another point of view, it may be in the form of adding a configuration using a smartphone as an input means to the existing CCTV.

또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방범용 폴에서 스마트폰이나 CCTV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영상이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방범용 폴 주변에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방범용 폴에서만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경우 영상이 나타내는 정보는 보다 유용하게 된다.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image taken by the smartphone or CCTV in the security pole equipped with a display it can be guided around the security pole various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image. In particular, when the image is to be displayed only in the security pol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martphone information represented by the image becomes more useful.

또한, 스마트폰을 입력 수단으로 할 경우 스마트폰에 내장된 마이크로 획득한 음성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전송할 수 있으므로 영상과 음성을 함께 감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martphone is used as an input means, the audio data acquired by the microphone built into the smartphone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image data, thereby monitoring the image and the audio together.

또한,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 수신부와 시계를 통해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추가로 전송할 경우 스마트폰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입력 수단으로 할 경우 장소에 제한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 어느 장소에서 촬영한 영상인지에 대한 인지가 곤란할 수 있는데 동선을 파악함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In addition, i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is additionally transmitted through the GPS receiver and the watch embedded in the smartphone,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can be determined. When using a smartphone as an input mea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s not limited to a place, while it may be difficult to recognize which place the image was taken. This problem is solved by identifying a moving line.

또한, 스마트폰에 내장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존에 촬영한 영상(경우에 따라 음성 포함)을 감시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embedded in the smart phone can be received from the surveillance server to check the image taken in some cases (including voice).

또한, 감시 시스템의 입력 수단이 되는 스마트폰을 그 용도에 맞게 조작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provided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at can operate the smart phone, which is an input means of the monitoring system, for its purpos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에서 감시 모드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에서 감시 모드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상위 메뉴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에서 감시 모드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상위 메뉴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에 표시된 상위 메뉴에서 카메라 동작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카메라 동작 하위 메뉴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에 표시된 상위 메뉴에서 녹화 영상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녹화 영상 하위 메뉴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에 표시된 상위 메뉴에서 감시 서버 설정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감시 서버 설정 하위 메뉴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서버를 나타낸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이 운영되는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phone for monitoring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play screen displaying a surveillance mode icon in a smartphone for surveillance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upper menu displayed when the monitoring mode icon is selected in the smart phone for monitoring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upper menu displayed when the monitoring mode icon is selected in the smart phone for monitoring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amera operation sub-menu displayed when the camera operation icon is selected from the upper menu displayed on the smart phone for surveillance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corded video submenu displayed when a recorded video icon is selected from a higher menu displayed on a smart phone for surveillance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nitoring server setting sub-menu displayed when the monitoring server setting icon is selected in the upper menu displayed on the smartphone for monitoring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nitoring serv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smart phone for surveillance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urveillance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스마트폰(110) 및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저장하는 감시 서버(130)를 포함하고 있다.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 phone shown in Figure 1 is a smart phone 110 for transmitting the surveillance data including the image data taken by the built-in camera via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a surveillance server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transmission data 130.

스마트폰(smart phone)(110)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가장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에 카메라를 내장시킴으로써 감시 시스템의 입력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The smart phone 110 combines the advantages of a mobile phon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tegrating data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schedule management, fax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Internet access into a mobile phone function. . The biggest feature is that unlike existing mobile phones that are released as finished products and using only a given function, hundreds of different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and added or deleted as desired. By embedding a camera in such a smartphone, it can function as an input means of a surveillance system.

입력 수단은 입력된 내용을 처리 수단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 수단에 해당하는 스마트폰 역시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처리 수단에 해당하는 감시 서버로 전달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전달에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한다. 이때의 통신 방식은 일예로 TCP/IP, UDP/IP, RTST, RTCP, RTP/UDP, RTP/TCP 방식 중 하나이거나 경우에 따라 몇 개를 혼용할 수 있다.The input means must deliver the input content to the processing mea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mart phone corresponding to the input means also needs to transfer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built-in camera to the monitoring server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means.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one of TCP / IP, UDP / IP, RTST, RTCP, RTP / UDP, and RTP / TCP.

이중에서 TCP/IP 방식은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인 IP(Internet Protocol)와 전송 조절 프로토콜인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로 이루어져 있다. 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패킷을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다.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준다. HTTP, FTP, SMTP 등 IP를 기반으로 한 많은 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들이 TCP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묶어서 TCP/IP라 칭해지고 있다.Among them, TCP / IP is composed of IP (Internet Protocol), a packet communication method, and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a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P does not guarantee the delivery of packets and the order in which packets are sent and received may be different. TCP is a protocol that runs over IP, guaranteeing the delivery of data and receiving it in the order in which it was sent. Since many application protocols based on IP such as HTTP, FTP, and SMTP operate over TCP, they are collectively called TCP / IP.

TCP/IP 방식의 통신을 위해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가 이용된다. IP 주소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할 때, 송신자와 수신자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의 주소로 적어도 감시 서버에 부여된다. 이렇게 감시 서버에 부여된 IP 주소를 타겟으로 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입력 수단에서 처리 수단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An IP address (internet protocol address) is used for TCP / IP communication. When communicating using the TCP / IP protocol, an IP address is given to at least the monitoring server as a unique address to distinguish between the sender and the receiver. By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data by targeting the IP address assigned to the monitoring server as described abov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input means to the processing means.

물론, 무선 단말기의 특성을 그대로 갖는 스마트폰을 인터넷에 연결시키기 위해 별도로 기지국, 교환기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이 필요하다. 스마트폰과 감시 서버와의 통신 속도가 무선 통신망에 의해 제한되기는 하나 복잡한 무선 통신망의 구성 중에서 인터넷 연결에 필요한 구성만 거치면 되므로 전송 개시 속도와 전송 속도가 무선 통신망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빠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무선 인터넷망은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망을 함께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등일 수 있다.Of cours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base station, an exchange, and the like is required to connect a smartphon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terminal to the Internet. Although the communication speed between the smart phone and the monitoring server is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nly the necessary configuration for the Internet connection is required among the complex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figurations, so the transmission start speed and the transmission speed are faster than those using on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described herein is a concept including bot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may be, for example, Wi-Fi (WiFi).

이상의 구성을 통해 스마트폰을 입력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의 특성상 장소에 제한되지 않는 영상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해진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use a smartphone as an input means, but it is possible to input image data that is not limited to a pla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portable smartphone.

스마트폰은 음성 통화를 위해 음성 입력 수단인 마이크가 설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스마트폰은 촬영 중에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와 함께 감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감시 데이터라 칭한다. 물론, 감시 시스템의 주요 특징이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저장하는 것이므로 감시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감시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를 포함시킬지 여부는 스마트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질 수 있다.Smartphones are typically equipped with a microphone, a voice input means, for voice calls. The smartphone may transmit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gether with the image data to the monitoring server during shooting, wherein the data including the image data and the audio data is called surveillance data. Of course, since the main feature of the surveillance system is to display and store the image data, the surveillance data basically includes the image data, and in some cases may further include audio data. Whether to include the voice data in the monitoring data can be selected by the smartphone user.

한편, 감시 데이터는 일정 장소의 현재 상황을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 시스템의 목적상 실시간으로 전송되는데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서 원활한 실시간 전송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monitoring data is transmitted in real time for the purpose of the monitoring system to monitor the current situation of a certain place, the smooth real-time transmission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감시 서버(130)에는 입력 수단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감시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수신 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수신 수단은 스마트폰에서 이용하는 무선 인터넷망과 호환이 가능해야 한다. 일예로 TCP/IP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감시 서버에는 스마트폰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가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은 상기 IP 주소로 접속할 수 있고 감시 서버는 이렇게 접속된 스마트폰으로부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게 된다.The monitoring server 13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moni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corresponding to the input means. Such receiving means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used in the smartphone.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the TCP / IP method, the monitoring server is provided with an IP address to which the smartphone can be accessed through the Internet. Therefore, the smartphone can access the IP address and the surveillance server receives the surveillance data from the connected smartphone.

감시 서버는 감시 목적을 위해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 수단과 DVR(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영상저장장치) 등의 저장 수단을 포함한다.The surveillance server includes a display means such as a display and a storage means such as a DVR (Digital Video Recorder) for surveillance purposes.

표시 수단은 스마트폰에서 전송한 감시 데이터를 감시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LCD, 브라운관 등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시각적 표시 수단과 스피커와 같은 청각적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CCTV에서와 같이 청각적 표시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청각적 표시 수단이 구비된 경우라 하더라도 청각적 표시 수단은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감시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만 동작한다.The display means is a means for displaying the moni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to the monito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visual display means such as a display such as an LCD or a cathode ray tube, and an acoustic display means such as a speaker. In this case, as in the general CCTV, it may not be provided with an acoustic display means. Even when the auditory display means is provided, the auditory display means operates only when the voice data is included in the moni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저장 수단은 스마트폰에서 전송한 감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감시 데이터를 재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저장 수단으로는 VCR, DVR, NVR 등이 있다. VCR(Video Cassette Recorder)은 비디오 테이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동일 비디오 테이브에 반복하여 녹화함으로써 화질이 떨어지고 비디오 교체 주기가 짧은 단점이 있다. DVR(Digital Video Recorder)은 VCR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비디오 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HDD)나 디지털비디오디스크(DVD) 등을 사용하므로 저장된 화면을 재생하거나 검색하기가 쉽다.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로 저장되기 때문에 편집과 화상을 전송하기에도 편리하다.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이러한 변환 수단은 스마트폰에 설비될 수 있다. 대체로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는 화상 칩을 이용한 디지털 방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변환 수단을 요구하지 않는다. NVR(Network Video Recorder)은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등장한 DVR의 일종으로서 자체적으로 IP 주소를 갖는다. NVR의 경우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감시 데이터를 1차적으로 NVR에 저장하고 저장되고 있는 감시 데이터를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The storage means stores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so that the surveillance data can be reconfirmed later. Such storage means include a VCR, DVR, NVR, and the like. VCR (Video Cassette Recorder) is a method of storing data using a video tape repeatedly recording on the same video tape has the disadvantage of poor image quality and short video replacement cycle. DVR (Digital Video Recorder) was develop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VCR. It uses HDD or Digital Video Disc instead of video tape, so it is easy to play or search the stored screen. It is also convenient for editing and transferring images. If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camera is an analog signal, a means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s required, and the conversion means may be installed in a smartphone. In general, a camera built into a smartphone is a digital method using an image chip, and thu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onversion means. NVR (Network Video Recorder) is a kind of DVR that appear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etwork and has its own IP address. In the case of the NVR,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may be primarily stored in the NVR, and the surveillance data stored in the NVR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이상의 감시 서버를 살펴보면 CCTV에서 케이블로 연결되는 CCTV 카메라(151)를 제외한 모든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를 추가적인 입력 수단으로 할 수도 있다. 이때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입력과 CCTV 카메라로부터의 입력을 구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감시 서버는 스마트폰(110)으로부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는 스마트폰용 통신 채널과 CCTV 카메라(151)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CCTV 카메라용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Looking at the above monitoring server is a state containing all means except CCTV camera 151 connected by a cable from CCTV. Therefore, a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camera may be used as an additional input means. At this time, input from smartphone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input from CCTV camera. For this purpose, the monitoring serve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 smartphone receiving surveillance data from the smartphone 110 and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 CCTV camera receiving image data of the CCTV camera 151.

한편, 감시 시스템은 감시 서버 외의 수단을 통해서도 감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53)가 구비된 방범용 폴(150)이 존재하는 경우 방범용 폴의 디스플레이에 감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시 서버는 감시 데이터를 상기 방범용 폴로 전송할 수 있다. 방범용 폴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감시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게 되며 그 결과 방범용 폴 주변의 통행자에게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nitoring system can display the monitoring data through means other than the monitoring server. For example, when there is a security pawl 150 provided with a display 153 capable of displaying at least image data, the monitoring data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security pawl. For this purpose, the monitoring server may transmit the monitoring data to the security poll. The security pole displays the image data included in the surveillance data on the display, and as a result, provides th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image data to the passengers around the security pole.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내용이 유용한 정보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영상 데이터가 방범용 폴 주변의 통행자에게 관련있는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가 서울의 A지역에서 교통 사고로 인한 교통 체증을 나타내는 경우 부산에 설비된 방범용 폴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면 무의미할 수 있다. 특히 '서울의 A지역 상황'과 같은 안내 문구를 영상 데이터의 자막으로 표시하지 않을 경우에는 어느 장소의 상황인지 모를 수밖에 없으므로 이때의 영상 데이터는 유용한 정보로서 기능하지 못한다. 물론,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 수신부를 이용하여 감시 서버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대상이 되는 장소(촬영 장소)의 정확한 위치를 자막으로 제공할 수 있으나, 이때의 위치가 널리 알려진 랜드마크가 아닌 경우라면 통행자가 인지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통행자가 영상 데이터의 대상이 되는 장소를 인지한 경우라 하더라도 자신의 현재 위치와 무관한 장소의 영상이라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은 자명하다.In order for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to function as useful information, the image data must be relevant to the passengers around the security pole. For example, if the video data indicates traffic jam due to a traffic accident in area A of Seoul, displaying video data on a security pole installed in Busan may be meaningless. In particular, when a phrase such as 'the situation in Seoul A' is not displayed as a caption of image data, it is inevitable to know where the situation is, so the image data at this time does not function as useful information. Of course, using the GPS receiver built in the smart phone, the surveillance server can provide the exact location of the location (shooting place) of the video data as a caption, but if the location is not a well-known landmark Passengers are not easy to recognize. In addition, even if a passenger recognizes a place that is an object of the image data, it is obvious that the image of a place that is not related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assenger may not be of practical help.

이상의 내용을 분석하면 영상 데이터가 통행자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촬영 장소에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방범용 폴에서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의 A지역의 교통 체증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A지역 근방의 방범용 폴에 표시하면 이를 인지한 통행자는 A지역을 회피할 수 있다. 즉 A지역 근방의 통행자에게는 유용한 정보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A지역 근방의 통행자라면 A지역에 대해 인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별다른 자막을 표시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Analyzing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image data only in the security pole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hooting place in order for the image data to be helpful to the passenger. For example, if image data of a traffic jam in Seoul's A area is displayed on a security pole near the A area, a pedestrian may recognize the A area. In other words, it functions as useful information for passengers near area A. In addition, passers near area A are likely to be aware of area A, so they do not need to display subtitles.

이와 같이 촬영 장소 근방에 위치하는 방범용 폴에서만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서 우선 촬영 장소를 파악하여야 한다. 촬영 장소는 곧 스마트폰의 위치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는 감시 서버로 위치 정보를 추가로 전송하여야 하며 감시 서버는 전송받은 위치 정보에서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방범용 폴에만 감시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한다. 이때의 설정 거리는 장소의 특성(인지도 등)을 감안하여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으며 위치 정보로부터 반경 1km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1km를 초과할 경우 거리상 유용한 정보로서 기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In this way, in order to display the image data only in the crime prevention pole located near the shooting location, the shooting location must be identified. The shooting location is the location of the smartphone. Therefore, the smartphone must additionall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and the monitoring server must transmit monitoring data only to a security pole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tting distance may be various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such as recognition), and is preferably within a radius of 1 km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If it exceeds 1km, it is difficult to function as useful information for distance.

한편, 방범용 폴에 스피커가 설비된 경우 감시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speaker is installed in the security pole, the voice data included in the monitoring data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이하에서는 스마트폰(110)과 감시 서버(1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smartphone 110 and the monitoring server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도 1의 스마트폰(110)일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phone for monitoring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be the smartphone 110 of FIG.

도 2에 도시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은 카메라(111),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시 데이터 생성부(113) 및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감시 서버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감시 데이터 전송부(115)를 포함하고 있다.The smartphone for the surveillance system shown in FIG. 2 includes a camera 111, a surveillance data generator 113 for generating surveillance data including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and a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surveillance server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a surveillance data transmitter 115 for transmitting the surveillance data in real time.

카메라(111)는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에 내장되며 실시간 영상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Camera 111 is embedded in the smartphone for the surveillance system should be able to generate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real-time video.

감시 데이터 생성부(113)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감시 데이터에는 영상 데이터 외에 음성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음성 데이터의 획득을 위해 마이크(112)가 추가로 설비될 수 있다. 이때의 마이크는 음성 통화를 위한 마이크이거나 음성 데이터의 획득만을 목적으로 하여 별도로 설비된 마이크일 수 있다.The surveillance data generator 113 generates surveillance data including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The surveillance data may include audio data in addition to the image data, and a microphone 112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acquire the audio data. In this case, the microphone may be a microphone for a voice call or a microphone separately provid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voice data.

감시 데이터 생성부는 감시 데이터를 통신에 적합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실시간 스트림 전송이 가능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The monitoring data generator may convert the monitoring data to be suitable for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video data and the audio data can be converted to enable real-time stream transmission.

감시 데이터 전송부(115)는 감시 서버로 감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때의 전송은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하며 그 통신 방식은 일예로 TCP/IP 방식일 수 있다. TCP/IP 방식의 경우 감시 서버에 부여되어 있는 IP 주소로 감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The surveillance data transmission unit 115 transmits the surveillance data to the surveillance server in real time.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uses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for example, a TCP / IP method. In the case of TCP / IP, monitor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IP address assigned to the monitoring server.

또한, 감시 서버에서 어느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감시 데이터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므로 스마트폰의 단말기 식별 정보도 전송한다. 단말기 식별 정보는 감시 데이터의 전송 개시시에 전송될 수 있으며 1회의 전송 후에는 감시 서버의 요청이 있기 전까지 추가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기 식별 정보는 스마트폰에 하드웨어적으로 부여된 고유 번호와 스마트폰에 배정된 이동 통신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nitoring server needs to confirm which monitoring data is transmitted from which smartphon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is also transmitte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t the start of transmission of the monitoring data, and may not be further transmitted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monitoring data until the monitoring server requests i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nique number hardware assigned to the smartphone and a mobile communication number assigned to the smartphone.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은 감시 대상이 되는 장소의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생성된 감시 데이터를 감시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되므로 감시 서버의 입력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스마트폰의 휴대성을 고려하면 본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은 장소에 제한받지 않는 입력 수단으로 기능하게 되어 다양한 용도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CTV가 설비되지 않은 지역의 교통 체증, 범죄 발생 현장 등을 능동적으로 촬영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각종 도로 정보의 제공, 범죄의 예방, 범죄의 증거 확보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mart phone for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generate monitoring data of a place to be monitored, and also transmit the generated monitoring data to the monitoring server, thus functioning as an input means of the monitoring server. Considering the portability of the smart phone, the smart phone for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functions as an input means that is not limited to a place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actively photograph and provide traffic jams and crime scenes in areas where CCTV is not installed, and can be used for providing various road information, preventing crime, and securing evidence of crime.

감시 데이터가 보다 유용한 정보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생성된 감시 데이터가 어느 장소, 어느 시간에 생성된 것인지 인지할 수 없으면 유용한 정보로서의 기능이 반감되기 때문이다.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may be required for the monitoring data to function as more useful information. This is because the function as useful information is halved if the monitoring data generated by the smartphone cannot be recognized at what place and at what time.

따라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수신부(116)와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시계(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부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와 시계에서 생성된 시간 정보는 감시 데이터 전송부에 의해 감시 서버로 전송된다.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는 지속적으로 감시 서버로 전송되어야 하는 요소로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실시간으로 전송하여도 되나 감시 서버로 전송되는 전체적인 데이터량이 증가함으로써 실시간 전송을 제한하는 요소가 될 수 있는 점,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부하가 가중되는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PS receiver 116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clock 117 for generating tim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PS receiver and the tim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watch ar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by the monitoring data transmitter.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period set as an element to b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Of course, it may be transmitted in real time, but by increasing the overall amount of data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may be a limiting factor in real-time transmission, the load of the smartphone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in real time Should be considered.

주기의 설정은 감시 서버에서 설정하거나 감시 서버에서 지정한 범위 내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감시 서버에서 지정한 범위는 스마트폰의 동선 추적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범위로 변경이 가능하다.The period can be set on the monitoring server or set by the smartphone user within the range specified by the monitoring server. The range specified by the surveillance server can be changed to a range that can smoothly track the movement of the smartphone.

한편, 시간 정보는 GPS를 통해서도 생성될 수 있는데 이때 시계는 GPS 수신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시간 정보의 경우 감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점과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는 감시 서버에 시계가 설비되는 점을 감안하여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실시간 전송 과정에서 인터넷의 지연 등이 발생되면 소정 영상의 생성 시간과 감시 서버에서 상기 영상을 전송받은 시간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정상적으로 전송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시차에 따라 스마트폰 위치의 시간과 감시 서버 위치의 시간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정보와 함께 송신측(스마트폰) 지향적인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ime information may also be generated via GPS, in which case the watch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PS receiver. The time information may not be transmitt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monitoring data is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that a clock is installed in the monitoring server that receives the monitoring data. However, if a delay or the like occurs in the real-time transmission process, ther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a time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image and a time for receiving the image from the monitoring server. In addition, even if the transmission is normally, the time of the smartphone location and the time of the monitoring server loca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transmit the time-oriented information on the sending side (smartphone)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이와 같이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감시 데이터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감시 서버에서는 전송된 감시 데이터가 어느 장소, 어느 시간에 생성된 것인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B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monitoring data in this way, the monitoring server can determine which place and at what time the transmitted monitoring data is generated.

한편, 스마트폰 사용자는 감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감시 데이터를 확인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martphone user may want to check the surveillance data stored in the surveillance server.

이를 위해 단말기 디스플레이(119) 및 데이터 분석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erminal display 119 and the data analyzer 118 may be further included.

감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감시 데이터(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해서는 먼저 감시 서버로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여야 한다. 이러한 요청은 감시 데이터 전송부에서 수행된다. 요청을 받은 감시 서버에서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전송하면 감시 데이터 전송부는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 분석부로 전달한다.In order to receive the surveillance data stored in the surveillance server (stored surveillance data), it is required to first transmit the previously stored surveillance data to the surveillance server. This request is performed in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ssion unit. When the surveillance server receives the request and transmits the previously stored surveillance data,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r receives the surveillance data and delivers the surveillance data to the data analyzer.

데이터 분석부(119)는 전달받은 감시 데이터에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말기 디스플레이(118)로 전달한다. 단말기 디스플레이에서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 기저장 감시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스피커(114)가 설비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데이터 분석부 또한 기저장 감시 데이터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피커로 전달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의 스피커는 음성 통화에 이용되는 스피커일 수 있으며 기저장 감시 데이터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만을 출력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스피커일 수도 있다.The data analyzer 119 extracts image data from the received surveillance data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terminal display 118. By displaying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isplay, the user confirms the previously stored monitoring data. If voice data is included in the pre-stored monitoring data, the speaker 114 should be provided. Of course, the data analyzer should also extract the voice data from the pre-stored monitoring data and deliver it to the speaker. In this case, the speaker may be a speaker used for a voice call, or may be a speaker separately provided to output only voice data included in pre-stored monitoring data.

한편, 감시 서버에서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요청을 받은 경우라 하더라도 다른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감시 데이터와 CCTV 카메라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기저장 감시 데이터로 하지 않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surveillance server receives a request from the smartphone,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d from the other user's smartphone and the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CCTV camera should not be the pre-stored surveillance data.

이를 위해 감시 서버는 요청이 있는 스마트폰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요구하거나 상기 요청에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함으로써 요청이 있는 스마트폰을 다른 스마트폰 또는 CCTV 카메라와 구분한다. 이렇게 구분된 스마트폰이 기존에 전송한 감시 데이터(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가 있는지 서버 저장부에서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저장 감시 데이터로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감시 데이터 전송부는 감시 서버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게 된다. 감시 서버는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요청하신 자료가 없습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안내 메시지 또한 감시 데이터 전송부에서 전송받게 되고,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되어 단말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다.To this end, the monitoring server reques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questing smartphone or includ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request to distinguish the requesting smartphone from other smartphones or CCTV cameras. The server storage unit checks whether there is surveillance data previously transmitted by the divided smartphones (surveillance data pre-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extracts the stored surveillance data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 and transmits it as the stored surveillance data. do. Accordingly, the monitoring data transmission unit receives the previously stored monito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server. The monitoring server may transmit a guide message, for example, "there is no requested data" when there is no pre-stored monito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guide message is also received by the monitoring data transmitter, analyzed by the data analyzer, and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구성의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위해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use the smart phone for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되는데, 이때 제어부는 앞에서 살펴본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A controller (not shown)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in which the controller can control each component described above.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에서 감시 모드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때의 디스플레이는 앞에서 설명한 단말기 디스플레이(119)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에서 감시 모드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상위 메뉴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다른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splay screen displaying a surveillance mode icon in a smartphone for a surveillance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t this time may be the terminal display 119 described above.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upper menu displayed when the monitoring mode icon is selected in the smart phone for surveillance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먼저, 제어부는 음성 통화, 문서 작성과 같은 기능을 감시 시스템의 입력 수단 기능과 구별하기 위한 감시 모드 아이콘(310)을 단말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감시 모드 아이콘은 스마트폰에서 부가 메뉴(390) 등의 선택에 따라 표시되는 메뉴의 일부일 수 있다.First, the controller displays a monitoring mode icon 310 on the terminal display screen to distinguish functions such as voice call and document creation from input means functions of the monitoring system. In this case, the monitoring mode icon may be part of a menu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additional menu 390 in the smartphone.

감시 모드 아이콘(31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는 도 4와 같이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카메라 동작 아이콘(330), 감시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아 재생하는 녹화 영상 아이콘(350) 및 감시 서버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감시 서버 설정 아이콘(370)을 포함하는 상위 메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때 각 아이콘의 크기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카메라 동작', '녹화 영상', '감시 서버 설정'과 같은 문구를 아이콘과 분리시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문구와 아이콘을 분리할 시에는 각 아이콘이 어느 문구에 대응되는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가 이루어져야 한다.When the monitoring mode icon 310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amera operation icon 330 for operating the camera, a recorded video icon 350 for receiving and playing pre-stored surveillance data from the monitoring server, and the monitoring server as shown in FIG. 4. The upper menu including the monitoring server setting icon 370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At this time, the size and location of each icon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as shown in FIG. 5, phrases such as 'camera operation', 'recorded video', and 'monitoring server setting' can b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icon. Of course, when the phrase and the icon is separated, the display should be mad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which phrase corresponds to each icon.

한편, 감시 모드임을 안내하는, 예를 들어 '감시 모드'와 같은 문구를 상위 메뉴에 포함되는 각 아이콘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스마트폰의 안테나 정보, 배터리 정보의 바로 밑에 '감시 모드' 문구를 표시하고 있다.Meanwhile, a phrase such as 'monitoring mode' indicating that the monitoring mode is displayed may be displayed at a position not overlapping with each icon included in the upper menu. In FIGS. 4 and 5, the phrase 'monitoring mode' is displayed directly below the antenna information and the battery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displayed on the top of the screen.

감시 모드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표시되는 카메라 동작 아이콘, 녹화 영상 아이콘, 감시 서버 설정 아이콘 각각을 선택한 경우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다.The user interface when each of the camera operation icon, the recorded video icon, and the monitoring server setting icon displayed by selecting the monitoring mode icon is selected is as follows.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에 표시된 상위 메뉴에서 카메라 동작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카메라 동작 하위 메뉴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상위 메뉴에서 녹화 영상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녹화 영상 하위 메뉴의 일예를 나타내고, 도 8은 상위 메뉴에서 감시 서버 설정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표시되는 감시 서버 설정 하위 메뉴의 일예를 나타낸다.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mera operation submenu displayed when a camera operation icon is selected from a higher menu displayed on a smart phone for surveillance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recorded video submenu displayed when a recorded video icon is selected in a higher menu, and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onitored server setting submenu displayed when a monitored server setting icon is selected in a higher menu.

도 4 또는 도 5의 상위 메뉴에서 카메라 동작 아이콘(330)이 선택되면 제어부는 카메라(111)와 감시 데이터 생성부(113) 및 감시 데이터 전송부(115)를 구동한다. 즉, 카메라 동작 아이콘이 선택되면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감시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 디스플레이(119)에 표시되는 카메라 동작 하위 메뉴는 도 6에서와 같이 촬영 표시 영역(331), 플래그 설정 메뉴 영역(333), 회귀 메뉴 영역(335)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amera operation icon 330 is selected in the upper menu of FIG. 4 or 5, the controller drives the camera 111, the surveillance data generator 113, and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r 115. That is, when the camera operation icon is selected, the surveillance data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urveillance server. In this state, the camera operation submenu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119 may include a shooting display area 331, a flag setting menu area 333, and a regression menu area 335 as shown in FIG. 6. Can be.

촬영 표시 영역(331)은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 그 크기와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전송 중인 감시 데이터에 마이크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때의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스마트폰을 통해 촬영 중인 사용자가 촬영 현장에서 직접 음성을 청취하고 있기 때문이다.The shooting display area 331 is an area where image data shot by the camera is displayed, and its size and position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Surveillance data being transmitted may include voice data generated by the microphone, but the voice data may not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is is because the user who is shooting through the smartphone is listening to the voice directly at the shooting site.

플래그 설정 메뉴 영역(333)은 이미 전송 중인 감시 데이터의 분류를 위한 플래그(flag)를 설정한다. 플래그는 감시 서버에서 감시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플래그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닥친 긴급한 상황을 나타내는 긴급 상황, 제3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불법적 상황을 나타내는 불법 상황, 교통 사고 등의 사고 상황, 그외의 기타 상황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래그가 마련된 경우 감시 서버에서는 긴급 상황, 불법 상황, 사고 상황, 기타 상황 이렇게 4개로 감시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관리할 수 있다. 긴급 상황과 불법 상황, 사고 상황은 긴박한 상황에 해당하므로 감시 서버는 이러한 상황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감지되면 다른 스마트폰 또는 CCTV 카메라의 감시/영상 데이터와 구분하여 플래그가 감지된 감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영상 데이터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붉은색 테두리를 표시하거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flag setting menu area 333 sets a flag for classifying surveillance data that is already being transmitted. The flag is used to classify surveillance data at the surveillance server. Flags can be classified, for example, as an emergency situation representing an emergency situation encountered by a smartphone user, an illegal situation representing an illegal situation viewed from a third party's perspective, an accident situation such as a traffic accident, and other situations. If such a flag is provided, the surveillance server may classify and store / manage the surveillance data into four categories: emergency situation, illegal situation, accident situation, and other situations. Emergency, illegal and accident situations are urgent, so when a flag indicating such a situation is detected, the surveillance server can display detection data with flag detection by distinguishing it from surveillance / video data of other smartphones or CCTV cameras. . For example, the image data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a red border may be displayed, or a warning sound may be output.

플래그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타 상황으로 분류될 수 있다.If the flag is not selected, it may be classified into other situations.

스마트폰에서는 동일한 감시 데이터에 복수개의 플래그를 생성/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 상황 플래그를 선택한 후 불법 상황 플래그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최초 입력된 플래그로 감시 데이터를 분류하고 추후 입력된 플래그는 감시 데이터의 재확인/검색 과정에서 구간 검색에 이용될 수 있다. 감시 서버에서 긴급 상황의 감시 데이터를 재확인하는 중 불법 상황을 선택하면 불법 상황 플래그가 위치하는 구간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In a smartphone, a plurality of flags can be generated / set in the same monitoring data. For example, you can select an emergency flag and then an illegal flag. In this case, the surveillance data may be classified by the first input flag, and the later input flag may be used for the section search during the reconfirmation / search of the surveillance data. If the monitoring server selects an illegal situation while reconfirming the emergency monitoring data, the monitoring server can move directly to the section where the illegal situation flag is located.

플래그는 감시 데이터에 할당된 소정 비트에 임베드될 수 있다.The flag may be embedded in a predetermined bit assigned to the surveillance data.

카메라 동작 하위 메뉴 표시시 카메라 동작 모드임을 나타내는 문구, 예를 들어 '카메라'를 디스플레이의 일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감시 모드'가 표시되는 행과 동일한 행에 '카메라'를 표시하고 있다.When the camera operation submenu is displayed, a phrase indicating the camera operation mode, for example, 'camera' may be displayed on a certain area of the display. In FIG. 6, 'camera' is displayed in the same row as that in which the 'monitoring mode' is displayed.

회귀 메뉴 영역(335)에는 카메라 동작 아이콘, 녹화 영상 아이콘, 감시 서버 설정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위 메뉴로 회귀시키는 아이콘, 예를 들어 '종료' 아이콘 등이 표시된다.In the regression menu area 335, an icon for returning to the upper menu where the camera operation icon, the recorded video icon, and the surveillance server setting icon is displayed, for example, an 'end' icon is displayed.

도 4 또는 도 5의 상위 메뉴에서 녹화 영상 아이콘(350)이 선택되면 제어부는 감시 데이터 전송부(115)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118)를 구동하여 감시 서버로부터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감시 데이터 전송부(115) 및 데이터 분석부의 구동은 녹화 영상 아이콘의 선택과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으며 녹화 영상 아이콘 선택시 표시되는 녹화 영상 하위 메뉴의 선택 여부에 따라 이루어진다.When the recorded video icon 350 is selected in the upper menu of FIG. 4 or 5, the controller drives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r 115 and the data analyzer 118 to receive previously stored surveillance data from the surveillance server. The monitoring data transmitting unit 115 and the data analyzing unit are driven at the same time as the selection of the recording video icon, but is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the recording video submenu displayed when the recording video icon is selec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영상 하위 메뉴는 시간 선택 메뉴 영역(351), 요청 메뉴 영역(353), 녹화 영상 표시 영역(355), 재생 메뉴 영역(357), 회귀 메뉴 영역(359)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recorded video submenu includes a time selection menu area 351, a request menu area 353, a recorded video display area 355, a playback menu area 357, and a regression menu area 359. can do.

시간 선택 메뉴 영역(351)은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 중에서 재생할 감시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스마트폰에서 감시 서버로부터 받을 수 있는 기저장 감시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폰이 이전에 전송한 감시 데이터로 제한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라 하더라도 전송받을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기저장 감시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스마트폰에서 감시 서버로 감시 데이터가 전송되는 모습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작성한 멘트 등이 별도로 부가되지 않고 있으므로 멘트 등을 이용한 검색은 어렵다. 플래그가 부여되었다 하더라도 이는 감시 서버를 위한 것이지 추후 사용자가 검색을 용이하도록 하는 용도로 이용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멘트 등을 이용해 검색하는 대신 시간을 이용해 검색할 수 있는 메뉴를 시간 선택 메뉴 영역에 제공한다. 시간 선택 메뉴 영역은 년, 월, 일,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세부 메뉴로 구성되며, 이를 이용해 예를 들어 2008년 8월 4일 오후 6시 37분을 입력할 수 있다.The time selection menu area 351 allows to select a time corresponding to the monitoring data to be reproduced from the previously stored monitoring data. As described above, the pre-stored surveillance data that can be received from the surveillance server in a predetermined smartphone is limited to the surveillance data previously transmitted by the smartphone. Even in such a situation, sinc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pre-stored monitoring data satisfying the conditions that can be transmitted, the user should search for the desired data. Looking at the moni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to the monitoring server, since the user-written comment is not added separately, the search using the comment is difficult. Although flagged, this is for the monitoring server and is not intended to facilitate future searches by users. Therefore, instead of searching using the comment or the like, a menu for searching using time is provided in the time selection menu area. The time selection menu area consists of a detailed menu for selecting year, month, day and time. For example, you can enter 6:37 PM on August 4, 2008.

요청 메뉴 영역(353)은 감시 데이터 전송부(115)로 하여금 감시 서버로부터 시간 선택 메뉴 영역에서 선택된 시간의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요청하는 영역이다. 일예로 도 7에서와 같이 요청 메뉴 영역은 '검색' 아이콘일 수 있다. 요청 메뉴 영역이 선택된 경우에 감시 데이터 전송부(115)가 구동되며 감시 서버로부터 전송된 기저장 감시 데이터에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부(118) 역시 구동된다. 이때 감시 서버로부터 전송된 기저장 감시 데이터는 대응 데이터일 수 있다.The request menu area 353 is an area for requesting the monitoring data transmission unit 115 to receive previously stored monitoring data of the time selected in the time selection menu area from the monitoring serv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request menu area may be a 'search' icon. When the request menu area is selected,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r 115 is driven, and the data analyzer 118 is also driven to extract video data and audio data from previously stored surveillance data transmitted from the surveillance server. In this case, the pre-stored moni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may be corresponding data.

여기서 대응 데이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시간 선택 메뉴 영역에서 선택된 시간, 예를 들어 2008년 8월 4일 오후 6시 37분을 입력한 상태에서 요청 메뉴 영역을 선택하면 감시 서버에서는 선택된 시간에 해당하는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전에 감시 데이터를 생성/전송한 일시를 정확하게 기억하기란 사실상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선택된 시간에 해당하는 기저장 감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일시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가혹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감시 서버는 선택된 시간에 해당하는 기저장 감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선택된 시간에서 가장 가까운 시간의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가 대응 데이터이다. 즉, 대응 데이터는 요청 메뉴 영역이 선택된 경우 감시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기저장 감시 데이터로서 선택된 시간에 해당하는 기저장 감시 데이터이거나 선택된 시간에서 가장 가까운 시간의 기저장 감시 데이터일 수 있다.The corresponding data i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f you select the request menu area while entering the selected time in the time selection menu area, for example, August 4, 2008, 6:37 pm, the monitoring server extracts and transmits the stored monito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ime. . However, it is virtually difficult to remember exactly when the user previously created / sent the surveillance data. Therefore, there may be no pre-stored monito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ime. In such a situation, it may be harsh to require the user to enter the correct date and time. For this reason, if there is no pre-stored monito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ime, the monitoring server may extract and transmit the pre-stored monitoring data closest to the selected time. The data thus transmitted is the corresponding data. That is, the corresponding data may be pre-stored monito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ime as pre-stored moni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when the request menu area is selected, or may be pre-stored monitoring data of a time closest to the selected time.

녹화 영상 표시 영역(355)은 전송받은 대응 데이터 중 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영역이다. 대응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분석부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피커로 전달할 수 있다. The recorded image display area 355 is an area in which the image data extracted by the data analyzer is reproduced among the received corresponding data. When the voice data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data, the data analyzer may extract the voice data and deliver the voice data to the speaker.

재생 메뉴 영역(357)은 녹화 영상 표시 영역의 재생을 제어하는 세부 메뉴들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세부 메뉴에는 되감기(<<), 역방향 재생(<), 순방향 재생(>), 빨리 감기(>>), 일시 정지(II), 정지(ㅁ) 등이 있을 수 있다.The playback menu area 357 is an area where detailed menus for controlling playback of the recorded video display area are displayed. The detailed menu may include rewind (<<), reverse play (<), forward play (>), fast forward (>>), pause (II), stop (ㅁ), and the like.

회귀 메뉴 영역(359)은 선택시 상위 메뉴로 회귀시키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이다.The regression menu area 359 is an area where an icon for returning to the upper menu when a selection is displayed.

도 4 또는 도 5의 상위 메뉴에서 감시 서버 설정 아이콘(370)이 선택되면 제어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 주소 입력 영역(371), 저장 메뉴 영역(373), 회귀 메뉴 영역(375)를 포함하는 감시 서버 설정 하위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monitoring server setting icon 370 is selected in the upper menu of FIG. 4 or 5,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P address input area 371, the storage menu area 373, and the regression menu area 375 as shown in FIG. 8. You can display the monitoring server configuration submenu that includes.

IP 주소 입력 영역(371)은 감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접속하고자 하는 감시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하는 영역이다. IP 주소 입력 영역 내에 깜빡이는 커서를 표시함으로써 IP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물론, 이때의 감시 서버와 스마트폰은 IP 주소를 이용하는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경우이어야 할 것이다.The IP address input area 371 is an area for inputting the IP address of the surveillance server to which the surveillance data is to be connected for transmitting the surveillance data. By displaying a blinking cursor in the IP address input area, it can indicate that the IP address can be entered. Of course, the monitoring server and smartphone at this time should be the case using the Internet network using the IP address.

저장 메뉴 영역(373)은 IP 주소 입력 영역에 입력된 IP 주소를 저장시키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도 8에서는 '저장' 아이콘이 여기에 해당한다.The storage menu area 373 is an area where an icon for storing the IP address input in the IP address input area is displayed. In FIG. 8, the 'save' icon corresponds to this.

회귀 메뉴 영역(375)는 상위 메뉴로 회귀시키는 아이콘, 예를 들어 '종료' 아이콘이 표시되는 영역이다.The regression menu area 375 is an area where an icon for returning to a higher menu, for example, an 'end' icon is displayed.

이상에서 설명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의 동작을 정리하면 도 10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mart phone for monitoring system described above is summarized in FIG. 10.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smart phone for surveillance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감시 모드가 선택되어졌는지 파악한다(S 510). 감시 모드의 선택은 감시 모드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의미한다.First, determine whether the monitoring mode is selected (S510). The selection of the monitoring mode means that the monitoring mode icon is selected.

감시 모드 선택시 카메라 동작, 녹화 영상, 감시 서버 설정과 같은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위 메뉴가 표시된다(S 520).When the monitoring mode is selected, an upper menu including icons such as a camera operation, a recorded image, and a monitoring server setting is displayed (S520).

상위 메뉴에서 카메라 동작이 선택되면(530), 카메라가 구동되고 경우에 따라 마이크도 구동된다. 또한 감시 데이터 생성부와 감시 데이터 전송부가 구동되어 감시 서버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며 감시 데이터의 전송도 이루어진다. 감시 데이터의 전송과 함께 단말기 식별 정보도 함께 전송되고 경우에 따라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가 전송된다(S 540).When the camera operation is selected in the upper menu (530), the camera is driven and the microphone is driven in some cases. In addition, the monitoring data generating unit and the monitoring data transmission unit are driven to connect with the monitoring server and to transmit the monitoring data. Along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monitoring data,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alo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in some cases (S540).

만약 플래그가 선택되면(S 550) 선택된 플래그를 생성하여 감시 데이터와 함께 전송(감시 데이터에 임베드되는 형태일 수 있음)함으로써 감시 서버에서 감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S 560).If the flag is selected (S550), the selected flag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urveillance data (which may be embedded in the surveillance data) so that the surveillance server can efficiently manage the surveillance data (S560).

상위 메뉴에서 녹화 영상이 선택되면(S 570), 녹화 영상과 관련된 하위 메뉴가 표시되고 하위 메뉴를 이용해 원하는 시간을 선택하고 감시 서버로의 요청을 지시하면(S 580) 감시 데이터 전송부와 데이터 분석부가 구동하여 감시 서버로부터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수신받게 된다(S 590). 이렇게 수신된 기저장 감시 데이터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다.When the recorded video is selected in the upper menu (S 570), a sub-menu related to the recorded video is displayed, selecting a desired time using the sub-menu, and instructing a request to the monitoring server (S 580), analyzing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ssion unit and data. The additional driving is performed to receive the pre-stored monitoring data from the monitoring server (S590). The previously stored monitoring data thus received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상위 메뉴에서 감시 서버 설정이 선택되면(S 600), 감시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 이렇게 표시된 메뉴에 IP 주소를 입력하고 저장하면(S 610), 카메라 동작 또는 녹화 영상이 선택되었을 때 접속할 감시 서버가 결정된다. 만약 상위 메뉴에서 일정 시간 내에 각 아이콘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이전 메뉴로 복귀할 수 있다. 이는 각 하위 메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When the monitoring server setting is selected in the upper menu (S 600), a menu for inputting an IP address of the monitoring server is displayed. When the IP address is input and stored in the menu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S610), the monitoring server to be connected is determined when the camera operation or the recorded video is selected. If the upper menu does not select each icon within a certain time, it can automatically return to the previous menu. The same is true for each submenu.

이상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서 입력 수단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의 일예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처리 수단에 해당하는 감시 서버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smartphone corresponding to the input means in th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martphone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an example of the monitoring server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mean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서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nitoring serv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감시 서버는 서버 통신부(131), 서버 데이터 분석부(133), 서버 영상 감시부(135) 및 서버 저장부(137)를 포함하고 있다.The monitoring server illustrated in FIG. 9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131, a server data analysis unit 133, a server image monitoring unit 135, and a server storage unit 137.

서버 통신부(131)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와 단말기 식별 정보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받는다. 서버 통신부는 스마트폰과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채널을 오픈한다. 감시 서버에서 관리하는 입력 수단이 복수의 스마트폰이거나 CCTV 카메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스마트폰을 제한된 채널을 이용해 지원하기 위해 서버 통신부는 채널 할당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수단으로서 스마트폰 외에 추가로 CCTV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 서버 통신부는 스마트폰으로부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는 스마트폰용 통신 채널 및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CCTV 카메라용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영상 감시부(135)는 CCTV 카메라에 할당된 표시 영역에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서버 저장부는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31 receives the surveillance data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built-in camera from the smartphon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opens a channel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The input means managed by the surveillance server may be a plurality of smartphones or additionally include a CCTV camera.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channel assignment module to support a plurality of smartphones using limited channels. When using a CCTV camera in addition to the smartphone as an input means,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hannel for the smartphone receiving the surveillance data from the smartphone and a communication channel for the CCTV camera receiving the image data of the CCTV camera. At this time, the server image monitoring unit 135 should be able to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CCTV camera in the display area allocated to the CCTV camera, the server storage unit should be able to store the image data of the CCTV camera.

서버 데이터 분석부(133)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감시 데이터에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감시 데이터에는 추가로 음성 데이터가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이때의 음성 데이터 또한 서버 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다. 추출된 음성 데이터는 추출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재생될 때 의미가 있으므로 서버 저장부에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다.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음성 데이터를 표시하는 스피커 등의 서버 음성 감시부(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음성 감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음성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의 표시와 대응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사건 현장의 일시점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그 상태대로 서버 영상 감시부와 서버 음성 감시부를 통해 재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erver data analyzer 133 extracts image data from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The surveillance data may further include voice data, which is also extracted from the server data analyzer. Since the extracted audio data is meaningful when played back with the extracted image data, the extracted audio data is stored together with the image data in the server storage unit. The server voice monitoring unit 139 such as a speaker for displaying the voice data may be further included to display the extracted voice data. At this time, the voice data displayed through the server voice monitoring unit should correspond to the display of the image data. This is to ensure that the video data and audio data generated at the time of the incident scene are reproduced through the server video monitoring unit and the server audio monitoring unit as they are.

서버 영상 감시부(135)는 단말기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표시 영역에 서버 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서버 영상 감시부는 일예로, LCD, 브라운관 같은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로 구성된다. 표시 영역은 스마트폰/CCTV 카메라 등의 입력 수단에서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복수일 수 있다. 표시 영역을 복수로 하기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거나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이 둘을 혼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 영상 감시부는 입력 수단으로서 CCTV 카메라가 추가로 마련된 경우 CCTV 카메라를 위한 표시 영역 또한 할당할 수 있다.The server image monitoring unit 135 displays image data extracted by the server data analyzer in a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rver video monitoring unit includes a display such as an LCD and a CRT and an imag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he display area may be a plurality of screens for displaying image data transmitted from an input means such as a smartphone / CCTV camera. To display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a plurality of displays may be configured or one display scree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Of course, you can mix the two. The server video monitoring unit may also allocate a display area for the CCTV camera when the CCTV camera is additionally provided as an input means.

서버 저장부(137)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다른 스마트폰의 영상 데이터와 구분하여 저장한다. 만약, 영상 데이터에 플래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1차적으로 단말기 식별 정보를 통해 구분해 놓은 상태에서 2차적으로 플래그 정보에 따라 재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는 예를 들어 VCR, DVR, NV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서버 저장부는 스마트폰의 영상 데이터 외에도 감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또한 저장할 수 있으며,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다.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가 아날로그 형식인 경우 VCR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The server storage unit 137 stores image data separately from image data of another smartphone by us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the flag data is included in the image data, the image data may be re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flag information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through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storage unit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VCR, a DVR, and an NVR. In addition to the video data of the smartphone, the server storage unit may also store audio data included in the surveillance data, and may store video data of a CCTV camera. If the video data of the CCTV camera is in analog format, it may be advantageous to store it in a VCR.

한편, 서버 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데이터(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방범용 폴로 전송하는 외부 전송부(138)가 추가될 수 있다. 방범용 폴에는 적어도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야 하며, 추가로 스피커가 구비된 경우라면 음성 데이터 또한 표시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n external transmitter 138 for transmitting the data (image data, audio data) extracted from the server data analysis unit to the security poll may be added. The security pole should be equipped with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at least image data, and in addition, if a speaker is provided, audio data can also be displayed.

이때 외부 전송부는 감시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에서 설정 거리 이내의 방범용 폴에만 서버 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방범용 폴에서 표시되는 감시 데이터가 근처의 통행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 이를 위해 감시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에 위치하는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서버 통신부를 통해 전송받아야 한다. 만약 스마트폰에서 위치 정보를 사전에 전송하지 않은 경우에는 위치 정보를 전송할 것을 스마트폰에 요청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rnal transmission unit may transmit the data extracted by the server data analysis unit only to the security poll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place where the monitoring data is generat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monitoring data displayed in the security pole is useful information to nearby passengers. To do th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located at the place where the surveillance data is generated should be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If the smartphone does not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the smartphone may be requested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스마트폰이 입력 수단인 경우 감시 데이터의 생성 장소와 생성 시간을 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서버 통신부(131)는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이렇게 전송받은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동선을 추적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동선 추적부(136)가 추가로 구비된다. 동선 추적부는 주기별로 전송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조합하여 전자 지도 상에 동선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지도와 동선은 서버 영상 감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When a smartphone is an input mean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generation place and generation time of monitoring data. To this e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131 may periodicall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The copper wire of the smart phone may be tracked by us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The copper line tracking unit 136 is additionally provided for this purpose. The moving line tracking unit may display the moving line on the electronic map by combin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or each period. The electronic map and the moving line may be displayed on the server video monitoring unit.

한편, 스마트폰에서 서버 저장부(137)에 저장되어 있는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요청은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어 추가로 구비되는 서버 데이터 추출부(134)에 전달된다. 서버 데이터 추출부는 서버 저장부에서 스마트폰이 요청한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추출한다.Meanwhile, the smart phone may request to transmit previously stored monitoring data stored in the server storage unit 137. Such a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delivered to the server data extraction unit 134 which is additionally provided. The server data extracting unit extracts previously stored monitoring data requested by the smartphone from the server storage unit.

서버 통신부는 이렇게 추출된 기저장 감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extracted previously stored monitoring data to the smartphone.

이상에서 설명된 감시 시스템 운영의 일예를 도 11에 나타내었다.An example of the surveillance system operation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11.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스템이 운영되는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onitoring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예를 들어 폭행 사고가 발생된 경우 폭행 현장을 촬영한 스마트폰(CCTV 카메라 포함)으로부터 감시 데이터가 전송되면, 감시 서버에서 이를 확인한 감시자에 의해 긴급 상황으로 처리된다. 스마트폰에서 '긴급 상황' 플래그가 함께 전송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긴급 상황으로 처리될 수 있다. 긴급 상황으로 처리되면 사고 현장 영상에 해당하는 감시 데이터의 영상을 자동 팝업(대체로 크게 확대)시켜 표시함으로써 다른 감시 데이터와 구분한다. 그 결과 감시자는 실시간으로 현장 상황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용의자 확인과 용의자 정보 또한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assault accident occurs, when surveillance data is transmitted from a smartphone (including a CCTV camera) photographing the assault site, it is treated as an emergency by the observer who confirms it on the surveillance server. If the 'emergency' flag is sent from the smartphone, it can be automatically handled as an emergency. In case of emergency, the video of surveillance data corresponding to the accident scene image is automatically popped up. As a result, watchers can gain real-time insight into site conditions and respond appropriately. In addition, suspect confirmation and suspect information can also be easily obtained.

필요한 경우 스마트폰 근방(사고 현장 주변)의 방범용 폴로 감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렇게 할 경우 방범용 폴에서 표시되는 감시 데이터를 확인한 통행자가 용의자를 제보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폭행 가해자를 용이하게 검거할 수 있다. 또한, 사고 현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통행자는 회피, 추격 등의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서버에서는 폭행 가해자의 인물 영상을 편집하여 방범용 폴 또는 경찰서 등에 제공함으로써 용의자의 수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If necessary, transmit security polo surveillance data near the smartphone (near the accident site). In this case, a passenger who can confirm the monitoring data displayed on the crime prevention pole can report the suspect, and as a result, the assault offender can be easily arrested. In addition, since the image of the accident scene can be confirmed, a pedestrian can take appropriate measures such as avoidance and pursuit. In addition, the surveillance server edits the image of the assault offender and provides it to a crime prevention pole or a police station to facilitate the arrangement of the suspect.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예를 들어 감시 시스템용 스마트폰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아이콘의 형상, 크기, 배치 위치 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of a smartphone for a surveillance system can change variously the shape, size, arrangement position, etc. of an icon.

동적인 입력 수단을 필요로 하는 감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Applicable to surveillance systems requiring dynamic input means.

특히, 다양한 장소를 감시할 필요가 있는 감시 시스템에 유용한다.It is particularly useful for surveillance systems that need to monitor various locations.

또한, 기존의 CCTV에 별다른 장비의 추가 없이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out additional equipment to the existing CCTV.

110...스마트폰 111...카메라
112...마이크 113...감시 데이터 생성부
114...스피커 115...감시 데이터 전송부
116...GPS 수신부 117...시계
118...데이터 분석부 119...단말기 디스플레이
130...감시 서버 131...서버 통신부
133...서버 데이터 분석부 134...서버 데이터 추출부
135...서버 영상 감시부 136...동선 추적부
137...서버 저장부 138...외부 전송부
139...음성 감시부 150...방범용 폴
151...CCTV 카메라 153...디스플레이
110 Smartphone 111 Camera
112 ... Mike 113 ... Monitoring data generator
114 Speakers 115 Monitoring data transmission
116 GPS receiver 117 Clock
Data analysis section 119 Terminal display
130 Monitoring server 131 Server communication unit
133 Server data analysis section 134 Server data extraction section
135 ... server video monitoring unit
137 Server storage section 138 External transmission section
139 ... Voice monitor 150 ... Security pole
151 ... CCTV camera 153 ... display

Claims (21)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 및 자신의 위치 정보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고 저장하는 감시 서버; 및
적어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을 주변의 통행자에게 제공하는 방범용 폴;
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이 전송한 위치 정보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방범용 폴로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A smart phone for transmitting surveillance data including image data captured by an internal camera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 surveillance server for receiving, displaying and storing the surveillance data; And
A security pawl hav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t least said image data, said image providing said image displayed on said display to nearby passengers;
And the monitoring server transmits the surveillance data to the crime prevention polo located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mart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망은 TCP/IP, UDP/IP, RTST, RTCP, RTP/UDP, RTP/TCP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s a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t least one of TCP / IP, UDP / IP, RTST, RTCP, RTP / UDP, RTP / TCP.
제 1 항에 있어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는 스마트폰용 통신 채널; 및
상기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CCTV 카메라용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includes a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The monitoring server,
A communication channel for a smartphone receiving the surveillance data from the smartphone; And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channel for CCTV camera receiving the video data of the CCTV camer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감시 데이터 생성부; 및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감시 서버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감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감시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martphone,
camera;
A surveillance data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surveillance data including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And
A monitoring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monitoring server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simultaneously transmitting the monitoring data;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데이터는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martphone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The monitoring data is a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the voice data input to the micropho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수신부; 및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시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smartphone,
A GPS receiver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clock for generating time information;
The monitoring data transmission unit using the smart 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according to a set period.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기 디스플레이; 및
데이터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송받은 감시 데이터에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로 전달하고,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Terminal display; And
Further comprising a data analysis unit,
The monitoring data transmission unit receives the pre-stored monitor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nitoring server,
The data analyzer extracts the image data from the received surveillance data and delivers the image data to the terminal display.
The terminal display is a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transmitted image dat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전송받은 감시 데이터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전달된 음성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martphone,
Further includes a speaker,
The data analyzer extracts the voice data from the received monitoring data and delivers it to the speaker,
The speaker is a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transmitted voice dat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감시 모드 아이콘(icon)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시 모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카메라 동작 아이콘;
상기 감시 서버로부터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아 재생하는 녹화 영상 아이콘; 및
상기 감시 서버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감시 서버 설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위 메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martphon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monitoring mode icon on the terminal display by the user's selection,
When the monitoring mode ic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A camera operation icon for operating the camera;
A recorded video icon which receives and reproduces previously stored surveillance data from the surveillance server; And
Surveillance server setting icon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the surveillance server;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upper menu on the terminal displa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동작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와 상기 감시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감시 데이터 전송부를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촬영 표시 영역;
상기 영상 데이터의 분류를 위한 플래그(flag)를 설정하는 플래그 설정 메뉴 영역; 및
상기 상위 메뉴로 회귀시키는 회귀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동작 하위 메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drives the camera, the surveillance data generator, and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r when the camera operation icon is selected.
A shooting display area displaying image data shot by the camera;
A flag setting menu area for setting a flag for classifying the image data; And
A regression menu area for returning to the upper menu; displaying a camera operation lower menu on the terminal displa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화 영상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감시 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를 구동하고,
상기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 중에서 재생할 감시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간을 선택하는 시간 선택 메뉴 영역;
상기 감시 데이터 전송부로 하여금 상기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선택된 시간의 대응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요청하는 요청 메뉴 영역;
상기 전송받은 대응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녹화 영상 표시 영역;
상기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 메뉴 영역; 및
상기 상위 메뉴로 회귀시키는 회귀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녹화 영상 하위 메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drives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tter and the data analyzer when the recorded video icon is selected,
A time selection menu area for selecting a time corresponding to the monitoring data to be reproduced from the previously stored monitoring data;
A request menu region for requesting the surveillance data transmission unit to receive corresponding data of the selected time from the previously stored surveillance data;
A recorded image display area in which the image data extracted by the data analyzer of the received corresponding data is reproduced;
A playback menu area for controlling the playback; And
A regression menu area for returning to the upper menu; displaying a recorded video lower menu on the terminal displa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 서버 설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감시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IP 주소 입력 영역;
상기 입력된 IP 주소를 저장하는 저장 메뉴 영역; 및
상기 상위 메뉴로 회귀시키는 회귀 메뉴 영역;을 포함하는 감시 서버 설정 하위 메뉴를 상기 단말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if the monitoring server setting icon is selected,
An IP address input area for inputting an IP address of the monitoring server;
A storage menu area for storing the input IP address; And
And a regression menu area for returning to the upper menu. The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wherein the monitoring server setting lower menu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서버는,
스마트폰으로부터 내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감시 데이터와 상기 스마트폰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받는 서버 통신부;
상기 감시 데이터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버 데이터 분석부;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와 대응되는 표시 영역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서버 영상 감시부; 및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다른 스마트폰의 영상 데이터와 구분하여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nitoring server,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surveillance data including image data captured by a built-in camera from a smartphone a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 server data analyzer extracting the image data from the surveillance data;
A server image monitoring unit displaying the image data in a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serv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data separately from the image data of another smartphone using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omprising a.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감시 데이터에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를 더 추출하고,
상기 서버 저장부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표시와 대응시켜 상기 음성 데이터를 표시하는 서버 음성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rver data analysis unit further extracts the voice data when the monitoring data includes voice data.
The server storage unit stores the audio data with the image data,
And a server voice monitoring unit for displaying the voice data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 of the image data.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전송받는 스마트폰용 통신 채널; 및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는 CCTV 카메라용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 영상 감시부는 상기 CCTV 카메라에 할당된 표시 영역에 상기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서버 저장부는 상기 CCTV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is a smartphone communication channel for receiving the monitoring data from the smartphone; And
Includes; Communication channel for the CCTV camera to receive the image data of the CCTV camera,
The server video monitoring unit displays the video data of the CCTV camera in the display area assigned to the CCTV camera,
The server storage unit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further storing the image data of the CCTV camera.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서버는,
적어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방범용 폴로 상기 서버 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외부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The monitoring server,
Security polo equipped with a display for displaying at least the image data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xter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ata extracted from the server data analysis unit.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더 전송받고,
상기 외부 전송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서 설정 거리 이내의 방범용 폴에만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8,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The external transmission unit is a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extracted data only to the security pole within a set distanc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더 전송받고,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동선을 추적하는 동선 추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Surveillance system using a smart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pper wire tracking unit for tracking the copper wire of the smart phon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저장부에서 상기 스마트폰이 요청한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버 데이터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받아 상기 서버 데이터 추출부로 전달하고 상기 서버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기저장된 감시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The server storage unit further comprises a server data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pre-stored monitoring data requested by the smartphone,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receives a request to transmit the pre-stored surveillance data from the smartphone to the server data extraction unit and transmits the pre-stored surveillance data extracted from the server data extraction unit to the smartphone Surveillance system.
KR1020100058147A 2010-06-18 2010-06-18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1147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147A KR101147193B1 (en) 2010-06-18 2010-06-18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147A KR101147193B1 (en) 2010-06-18 2010-06-18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049A KR20110138049A (en) 2011-12-26
KR101147193B1 true KR101147193B1 (en) 2012-05-25

Family

ID=4550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147A KR101147193B1 (en) 2010-06-18 2010-06-18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19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69B1 (en) * 2012-12-26 2014-08-26 김종율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ircumstance state
KR20190019313A (en)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더더더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image data
KR20230007103A (en)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넥스쿼드 Parking guidance and parking surface detection system using smartphone camera
KR20230007104A (en)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넥스쿼드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bluetooth full places light
KR20230007105A (en)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넥스쿼드 Parking lot emergency manage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62B1 (en) * 2012-07-21 2014-03-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ecurity system capable of operating in dead zone
KR101424237B1 (en) * 2012-08-27 2014-08-1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SVC codec based CCTV system for smart phone using channel recognition
KR101457383B1 (en) * 2012-11-12 2014-11-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ersonal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a smart phone
WO2015017036A1 (en) * 2013-07-29 2015-02-05 Lenel System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security access control for video and audio streaming
KR101529519B1 (en) * 2013-11-29 2015-06-3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 time monitoring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KR101582254B1 (en) * 2014-07-09 2016-01-04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Underground parking securety system using cctv camera and mobil terminal, provide method thereof
KR101681730B1 (en) * 2015-06-18 2016-12-07 학교법인 한동대학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monitoring service using waste smart device
JP7216432B2 (en) * 2020-09-29 2023-02-01 テレネット株式会社 Video sharing system, mobile terminal, video communication adapter, management server, and video sharing method
KR102420151B1 (en) * 2021-06-24 2022-07-13 주식회사 앤더스팟 Mobile ondemand cctv system based on collective cross check and tracking
KR102478981B1 (en) * 2022-06-02 2022-12-19 주식회사 글로벌아이넷 Monitoring service device using smart wireless router
CN115314743B (en) * 2022-06-30 2024-04-19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business functio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773A (en) * 2004-10-06 2006-04-11 정연규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by using mobile camera phone
KR20060104412A (en) * 2005-03-3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with monitor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29104B1 (en) 2006-07-25 2007-06-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amily protecting system using portable wireless data transmitter-receiver and the service method thereof
KR20110000843A (en) * 2009-06-29 2011-01-06 주식회사 아이디폰 System for scene mornitoring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773A (en) * 2004-10-06 2006-04-11 정연규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by using mobile camera phone
KR20060104412A (en) * 2005-03-3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with monitor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29104B1 (en) 2006-07-25 2007-06-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amily protecting system using portable wireless data transmitter-receiver and the service method thereof
KR20110000843A (en) * 2009-06-29 2011-01-06 주식회사 아이디폰 System for scene mornitoring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69B1 (en) * 2012-12-26 2014-08-26 김종율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circumstance state
KR20190019313A (en)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더더더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image data
KR20230007103A (en)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넥스쿼드 Parking guidance and parking surface detection system using smartphone camera
KR20230007104A (en)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넥스쿼드 Parking guidance system using bluetooth full places light
KR20230007105A (en)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넥스쿼드 Parking lot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049A (en)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193B1 (en)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US20220215748A1 (en) Automated camera response in a surveillance architecture
US20170301202A1 (en) Smart door device
US7885681B2 (en) Method of usi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for monitoring purposes and a system for implementation thereof
CN101720029B (en) Intelligent network video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KR1009891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e-learning contents
US20110121940A1 (en) Smart Door
KR100997497B1 (en) Observa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auto-sensing/filming function
US20170223302A1 (en) Critical incident solution
US20120169873A1 (en) Audio/video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playing audio/video
WO20120720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erposing auxiliary information of video signal
CN107809609B (en) Video monitoring conference system based on touch equipment
JP2010220189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oving image distribution system
CN107197320A (en) Net cast methods, devices and systems
KR20040106964A (en) Real time moving picture remote guard controling system
JP5779380B2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KR20150041939A (en) A door monitoring system using real-time event detection and a method thereof
JP5829826B2 (en) Monitoring device and program
KR101016243B1 (en) System of monitoring and analysis for digital video
KR101950355B1 (en) A Smart Device For Personal Mobile Broadcasting
KR20120031781A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camera using mobile phone
KR101424237B1 (en) SVC codec based CCTV system for smart phone using channel recognition
KR102090879B1 (en) Remote face recognition on long distance and multi channel monitoring system
US20120120242A1 (en) Security-enhanced cctv system
KR101336825B1 (en)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on of crime and violence in sch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