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609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609B1
KR102084609B1 KR1020130010853A KR20130010853A KR102084609B1 KR 102084609 B1 KR102084609 B1 KR 102084609B1 KR 1020130010853 A KR1020130010853 A KR 1020130010853A KR 20130010853 A KR20130010853 A KR 20130010853A KR 102084609 B1 KR102084609 B1 KR 102084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eat dissipation
housing
light source
dissip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8360A (en
Inventor
김미옥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609B1/en
Publication of KR2014009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3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방열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방열홀에 의해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하우징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housing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housing, and a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and installed in the support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 source unit to be formed, and a heat dissip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housing to releas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a heat radi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housing.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최근 박형화, 경랑화, 저소비전력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 Ray Tube Display device)를 대체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flat panel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replace cathode ray tube display devices in order to achieve thinner, lighter, lower power consumption.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plasma display panels,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s, an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as flat panel display devices. In the light of mass production technology, ease of driving means, and high defini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in the spotlight.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이외에도,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또는 각종 휴대용 정보기기에도 사용되고 있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by using a thin film transistor as a switching element. Thi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used not only for a television or a monitor but also fo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computer, navigation, or various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이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은 자체 발광소자가 아니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을 마련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not a self-light emitting device, a backlight unit (BLU) is provided to display an image by using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는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ourscent Lamp, CCFL)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에너지 절감 효과가 뛰어나 친환경적이며, 높은 응답속도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차세대 광원으로 각광받고 있다.As a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unit,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is used, but recently,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mainly used. Light emitting diod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light sources due to their energy-saving effects and eco-friendliness.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엣지 방식과 직하 방식으로 구분된다. 엣지 방식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광이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달되고 내구성이 높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반면, 직하 방식은 엣지 방식에 비해 광의 이용 효율이 높기 때문에 고휘도를 요구하는 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The backlight unit is divided into an edge method and a direct method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The edge method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and the light is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display panel, has high durability, and is advantageous for thinning of the display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method is mainly used for a device that requires high brightness because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is higher than that of the edge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2)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을 지지하는 하우징(3)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에 전달되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부(4)와, 상기 광원부(4)를 지지하는 지지부(5)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 displa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display panel 2 for displaying an image, a housing 3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2, and a display panel 2. It consists of a light source part 4 for emitting the transmitted light, and a support part 5 for supporting the light source part 4.

상기 광원부(4)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전면으로 직접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서 직하 방식에 해당한다. 상기 광원부(4)는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2)을 향해 방출한다. 상기 광원부(4)는 광을 방출하는 동시에 열도 방출한다. The light source unit 4 emits light directly to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2 and corresponds to a direct method. The light source unit 4 emits light toward the display panel 2. The light source unit 4 emits light and also heat.

상기 광원부(4)에서 방출되는 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 상기 하우징(3), 및 상기 지지부(5)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내부공간(CA)에 머무르게 된다. 즉, 상기 광원부(4)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게 된다.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4 stays in the internal space CA formed by the display panel 2, the housing 3, and the support unit 5.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continues to rise due to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4.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기술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비하는 상기 광원부(4)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상승한다. 상기 내부공간(CA)은 폐쇄된 공간이므로 상기 광원부(4)에서 계속하여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는 계속하여 상승한다.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에 열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에 열화 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에 표시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is increas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4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inner space CA is a closed space,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CA continues to rise due to the heat continuously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4. If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continues to rise, deterioration may occur in the display panel 2. When a deterioration phenomenon occurs in the display panel 2,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 is degrad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a light source.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방열홀을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housing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housing; A light source unit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and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to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And a heat dissip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housing to releas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발명은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방열홀에 의해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하우징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로부터 방출된 열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a heat dissip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hous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panel from being damag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14)과, 상기 하우징(1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4)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지지부(13)에 설치되는 광원부(12), 및 상기 광원부(1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상기 하우징(14)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방열홀(15)을 포함한다. 2 and 3, th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1 for displaying an image, a housing 14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11, and the housing ( 14, a light source part 12 installed at the support part 1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11 and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14, and the light source part 12 includes a heat dissipation hole 15 formed through the housing 14 to release heat emitted from the housing 14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

상기 광원부(1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화상이 표시되기 위한 광을 방출한다.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된 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광원부(12)는 광을 방출하는 동시에 열을 방출한다.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된 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상기 하우징(14), 및 상기 지지부(13)로 둘러 싸인 내부공간(CA)에 머무르게 된다. The light source unit 12 emits light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display panel 11. The display panel 11 displays an image by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The light source unit 12 emits light and at the same time emits heat.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stays in the inner space CA surrounded by the display panel 11, the housing 14, and the support 13.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된 열이 상기 내부공간(CA)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면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는 계속하여 상승하게 된다.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면 상기 내부공간(CA)과 접촉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열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열화 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표시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When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cannot escape from the internal space CA,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continues to rise. If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continues to rise, deterioration may occur in the display panel 11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space CA. When deterioration occurs in the display panel 11, th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 may be degraded.

특히,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되는 열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투과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상승하면 상기 내부공간(CA)에 접촉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투과율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투과율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표시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particular,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may affect the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panel 11.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is increas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the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panel 11 in contact with the internal space CA is lowered. When the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panel 11 is lowered, a problem occurs that th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 is degraded.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의하면, 상기 방열홀(15)이 상기 광원부(1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상기 내부공간(CA)에서 상기 하우징(14) 외부로 방출시킨다. 상기 방열홀(15)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CA)은 개방된 공간이 된다. 즉,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된 열이 상기 내부공간(CA)에 계속하여 머무르지 않고 상기 방열홀(15)을 통해 상기 하우징(14)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된 열이 상기 하우징(14)의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는 계속하여 상승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된 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열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표시되는 화상이 좋은 품질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dissipation hole 15 emits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 in the internal space CA. The inner space CA is an open space by the heat dissipation hole 15. That is,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15 without remaining in the internal space CA. As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may be kept constant without increasing continuous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isplay panel 11 due to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display apparatus 10 is used for a long time, the display panel 1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 can be maintained in good quality.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들에 관해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지지하는 하우징(14)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공급하기 위한 광을 방출하는 광원부(12)와, 상기 광원부(12)를 지지하는 지지부(13)와, 상기 광원부(1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상기 하우징(14)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홀(15)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1 for displaying an image, a housing 14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11, and the display. The light source unit 12 which emits light for supplying to the panel 11, the support unit 13 supporting the light source unit 12, and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are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 It includes a heat dissipation hole 15 to make.

상기 광원부(12)는 광과 열이 방출되는 광원(121)과, 상기 광원(121)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22)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121)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원(121)은 발광다이오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공급되는 광을 방출하는 수단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22)에는 상기 광원(121)이 실장된다.The light source unit 12 includes a light source 121 through which light and heat are emitted,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22 on which the light source 121 is mounted. The light source 121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However, the light source 121 is not limit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s, and may include all means for emitting light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11. The light source 121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2.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 상기 하우징(14), 상기 지지부(13)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내부공간(CA)을 향해 상기 광원부(12)에서 열이 방출된다.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된 열이 상기 내부공간(CA)에 머무르게 되면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게 된다.Heat is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toward the inner space CA formed by the display panel 11, the housing 14, and the support part 13. When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2 stays in the internal space CA,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continues to rise.

상기 방열홀(15)은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된 열을 상기 하우징(14) 외부로 방출시킨다. 상기 방열홀(15)에 의해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된 열이 상기 하우징(14)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hole 15 discharges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 As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2 by the heat dissipation hole 1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from continuously rising.

상기 방열홀(15)은 상기 하우징(14)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방열홀(15)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CA)과 상기 하우징(14) 외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CA)의 열이 상기 하우징(14)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The heat dissipation hole 15 is formed through the housing 14. That is, the inner space CA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 are connected by the heat dissipation hole 15. Accordingly, the heat of the inner space C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

상기 방열홀(15)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CA)의 열이 상기 하우징(14)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상기 광원부(12)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the heat of the inner space C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4 through the heat radiating hole 15, the display panel 1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2. hav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2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3)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4)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지지부(23)에 설치되는 광원부(22), 및 상기 광원부(2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24)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방열홀(25)을 포함한다. 3 and 4,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21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housing 24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21. And a support part 23 for supporting the housing 24, and a light source part 22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21 and installed in the support part 23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24. And a heat dissipation hole 25 formed through the housing 24 to discharg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 Up Display Device, HUD) 형태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표시되는 화상이 유리창 또는 차창과 같은 곳에 반사 내지 굴절된 것을 시청하게 된다.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head up display device (HUD). That is, the user may see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is reflected or refracted in a place such as a glass window or a car window.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은 광원부(22)에서 광을 공급받아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21)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3 and 4, the display panel 21 receive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to display an image. The display panel 2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21. However, the display panel 2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ll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21)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의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에는 각각 상부 편광판과 하부 편광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편광판과 상기 하부 편광판의 조합에 의해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블랙 또는 화이트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panel 21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21, the display panel 21 includes an upper substrate and a lower substrate. A liquid crystal layer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may include a driving mode of the display panel 21, for example, a twisted nematic (TN) mode, a vertical alignment (VA) mode, an in plane switching (IPS) mode, and an FFS ( According to the Fringe field switching mode, etc., it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known in the art. An upper polarizer and a lower polarizer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respectively. The transmittance of light may be controlled by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polarizer and the lower polarizer to realize a black or white color.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광원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공급되는 광을 방출한다. 상기 광원부(22)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221)과, 상기 광원(221)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22)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22)는 상기 지지부(23)에 의해 지지된다. 3 and 4, the light source unit 22 emits light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21. The light source unit 22 includes a light source 221 for emitting light, and a printed circuit board 222 on which the light source 221 is mounted. The light source part 2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23.

상기 광원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향해 광을 직접 방출하는 직하 방식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표시된 화상을 직접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유리창 또는 차창과 같은 곳에 반사 내지 굴절된 화상을 시청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화상이 반사 내지 굴절되면서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고려하여 일반 디스플레이 보다 휘도가 높은 화상을 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광원부(22)는 직하 방식으로 배치된다. The light source unit 22 is a direct method of directly emitting light toward the display panel 21.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d-up display device. Therefore, the user does not directly view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but sees the reflected or refracted image in a place such as a glass window or a car window. Therefore,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display an image having a higher luminance than a general display in consideration of the decrease in luminance while the image is reflected or refracted. To this end, the light source unit 22 is disposed in a direct manner.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광원부(22)와 상기 하우징(24)을 지지한다. 상기 광원부(22)는 직하 방식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광원부(22)는 상기 지지부(23) 위에 배열된다. 3 and 4, the support part 23 supports the light source part 22 and the housing 24. Since the light source part 22 is disposed in a direct manner, the light source part 22 is arranged above the support part 23.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2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24)은 상기 지지부(2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24)은 상기 지지부(23)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23)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4)이 상기 지지부(23)에 결합되면, 상기 광원부(22)는 상기 하우징(24)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3 and 4, the housing 24 supports the display panel 21. The housing 2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23. The housing 24 is coupled to the support 23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23 toward the display panel 21. When the housing 24 is coupled to the support 23, the light source 22 is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24.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 상기 하우징(24), 상기 지지부(23)에 의해 내부공간(CA)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24)의 내부에 상기 내부공간(CA)이 형성된다. 상기 광원부(22)는 상기 하우징(24)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되는 열은 상기 내부공간(CA)에 머무르게 된다. 즉,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되는 열은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손상될 염려를 줄이기 위해 상기 하우징(24)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4)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내부공간(CA)의 크기가 커져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사이 내부공간(CA)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An internal space CA is formed by the display panel 21, the housing 24, and the support 23. That is, the inner space CA is formed in the housing 24. Since the light source unit 22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4,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stays in the internal space CA. That is,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As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increases, the housing 24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damage to the display panel 21. This is because when the housing 24 has a predetermined height, the size of the internal space CA is increased to reduce the increase in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due to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

또한, 상기 하우징(24)이 소정의 높이를 가짐에 따라 상기 광원부(22)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소정 거리 이격시킬 수도 있다. 상기 광원부(22)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너무 인접해있으면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된 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직접 손상을 받을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as the housing 24 has a predetermined height, the light source unit 22 and the display panel 2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is is because if the light source unit 22 and the display panel 21 are too close to each other, the display panel 21 may be directly damag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방열홀(25)은 상기 하우징(24)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4)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도 상기 광원부(22)로부터 방출된 열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하우징(24)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만으로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은 그 효과가 미비하다. 3 and 4, the heat dissipation hole 25 is formed through the housing 24. Even if the housing 24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may not be prevented from rising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In addition, it is not effectiv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from increasing simply by having the housing 24 have a predetermined height.

따라서, 상기 방열홀(25)에 의해 상기 광원부(22)로부터 방출된 열을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시킨다. 이렇게 상기 방열홀(25)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CA)의 열을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시키면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되는 열을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시키기 때문이다. 이렇게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by the heat dissipation hole 2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 When the heat of the inner space C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25,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CA may be prevented from continuously rising. This is becaus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that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 As such,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may be prevented from continuously rising,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panel 21 from being damaged. Accordingly, th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can be kept constant.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광원부(22)에서 많은 양의 열이 방출되어도, 이러한 열이 상기 방열홀(25)을 통해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even when a large amount of heat is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when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long time, the heat is transferred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25. 24) It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from continuously increasing.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설치되는 설치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은 상기 광원부(22)를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설치부(26)에 설치된다. 상기 설치부(26)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상기 광원부(22)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설치되는 부분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설치부(26)의 윗면은 상기 광원부(22)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3 and 4,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tallation unit 26 on which the display panel 21 is installed. The display panel 21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26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unit 22. The installation unit 26 is formed such that the portion where the display panel 21 is installed is inclined so that the display panel 21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unit 22.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ortion 26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unit 22.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표시되는 화상이 반사 또는 굴절되는 유리창 또는 차창은 상기 광원부(22)와 나란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유리창 또는 차창과 평행하게 위치해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표시되는 화상이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유리창 또는 차창에 비춰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유리창 또는 차창과 최대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은 상기 광원부(22)를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설치부(26)에 설치된다. The glass window or the vehicle window on which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is reflected or refracted is generally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out being parallel with the light source unit 22. The display panel 21 should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glass window or the car window so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is not deformed and is reflected on the glass window or the car window. Therefore, the display panel 21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art 26 so that the display panel 2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22 in order to keep the display panel 21 as parallel with the window or the car window as possibl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상기 광원부(22)에 대해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유리창 또는 차창에 비춰지는 화상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상기 광원부(22)에 대해 기울어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기 편한 위치에 화상이 비춰지게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image reflected on the glass window or the vehicle window may vary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display panel 21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unit 22. Therefore, the display panel 21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22 to adjust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image to a position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view.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이 상기 광원부(22)를 기준으로 기울어져 유리창 또는 차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야 화상의 휘도가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화상의 휘도가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해야 사용자가 화상을 정확하게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유리창 내지 차창과 평행하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Furthermore, when the display panel 2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unit 22 and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glass window or the vehicle cabine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the brightness of the image. In the case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the loss of the brightness of the image must be minimized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view the im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display panel 21 in parallel with the window or the car window.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서 상기 광원부(22)를 향하는 하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팬(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되는 열은 상기 내부공간(CA)으로도 방출되나, 상기 지지부(23)를 통해 하측방향으로도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지지부(23)의 하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열은 지지부(23)의 하측에 있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이렇게 가열된 공기는 대류 현상에 의해 상승하고 결국 다시 상기 지지부(23)를 향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광원부(22)가 위치하는 상기 지지부(23)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3)의 온도가 계속하여 상승하면 상기 광원부(22)가 가열되어 상기 광원부(22)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상기 광원부(22)가 파손되어 상기 광원부(22)에서 광을 방출하지 못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되는 광이 감소하게 되면 화상의 휘도가 저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는 화상이 표시되어도 유리창 또는 차창에 반사 내지 굴절되면서 휘도가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 이렇게 유리창 또는 차창에 반사 내지 굴절된 화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감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화상이 표시되어도 사용자는 화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3 and 4,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radiating fan for radiating heat transferred downward from the display panel 21 toward the light source unit 22. It may further include (27).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may also be emitted to the internal space CA, but may also be transmitted downward through the support unit 23. The heat transferr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upport 23 thus heats the air under the support 23. The heated air rises due to the convection phenomenon and eventually goes to the support 23 again.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of the support part 23 in which the light source part 22 is positioned may continuously increase. If the temperature of the support part 23 continues to rise, the light source part 22 is heated, and the light source part 22 may be damaged. If the light source unit 22 is damaged and the light source unit 22 does not emit light, the quality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may be deteriorated. In addition, in the head-up display device,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de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ecreases, and even though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the brightness is suddenly reflected or refracted on the glass window or the car window. Can be degraded. If the brightness of the image reflected or refracted on the glass window or the car window is drastically reduced, the user may not be able to view the image even when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따라서, 상기 방열팬(27)이 상기 지지부(23)의 하부로 전달되는 열을 방출한다. 상기 방열팬(27)은 강제적으로 상기 지지부(23)의 하부의 뜨거운 공기를 상기 지지부(23)에서 먼 쪽으로 방출하여 뜨거운 공기가 다시 상기 지지부(23)를 향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3)가 계속하여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heat radiating fan 27 dissipates heat transfer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3. The heat radiating fan 27 forcibly releases hot ai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23 away from the support 23 to prevent the hot air from being directed back to the support 23. Accordingly, the support 2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inuously heate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2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3)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4)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지지부(23)에 설치되는 광원부(22), 및 상기 광원부(2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홀(25)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4)은 상기 광원부(22)가 위치하는 내측벽(242)과, 상기 내측벽(242)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측벽(241)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홀(25)은 상기 외측벽(24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방열홀(251)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21 for displaying an image, a housing 24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21, and A support part 23 for supporting the housing 24, a light source part 22 installed at the support part 2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21, and positioned in the housing 24, and the And a heat dissipation hole 25 for dissipating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 The housing 24 includes an inner wall 242 in which the light source unit 22 is positioned, and an outer wall 241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242. The heat dissipation hole 25 includes a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formed through the outer wall 241.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설명한 것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구성 중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In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s of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24)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24)은 상기 지지부(2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24)은 상기 지지부(23)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23)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4)이 상기 지지부(23)에 결합되면, 상기 광원부(22)는 상기 하우징(24)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housing 24 supports the display panel 21. The housing 2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23. The housing 24 is coupled to the support 23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23 toward the display panel 21. When the housing 24 is coupled to the support 23, the light source 22 is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24.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24)은 상기 광원부(22)가 위치하는 내측벽(242)과, 상기 내측벽(242)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측벽(241)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벽(242)의 내부에 상기 내부공간(CA)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242)와 상기 외측벽(241)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내측벽(242)과 상기 외측벽(241) 사이에는 이격공간(SS)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housing 24 includes an inner wall 242 in which the light source unit 22 is positioned, and an outer wall 241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242. The inner space CA is formed in the inner wall 242. As the inner wall 242 and the outer wall 2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pace SS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242 and the outer wall 241.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24)은 상기 내측벽(24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이격공간(SS)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내측벽(242)에 형성되는 통과홈(243)을 포함한다. 상기 통과홈(243)은 상기 내부공간(CA)과 상기 이격공간(SS)을 연결시킨다. 상기 통과홈(243)은 상기 내측벽(242)이 상기 외측벽(241)에 비해 짧게 형성됨에 따라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housing 24 may include a passage groove 243 formed in the inner wall 242 in order to pass heat generated in the inner wall 242 to the separation space SS. Include. The through groove 243 connects the inner space CA and the separation space SS. The through groove 243 is formed as the inner wall 242 is shorter than the outer wall 241.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방열홀(251)은 상기 외측벽(24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부(22)로부터 방출된 열은 상기 내부공간(CA)에서 상기 통과홈(243)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SS)으로 전달된다. 상기 이격공간(SS)으로 전달된 열은 상기 제1방열홀(251)을 통해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된다. 즉, 상기 제1방열홀(251)은 상기 내측벽(242) 내부의 열을 상기 외측벽(241)의 외부로 방출시킨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is formed through the outer wall 241. Therefor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is transferred from the inner space CA to the separation space SS through the through groove 243. The heat transferred to the separation space S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 through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That is,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discharges the heat inside the inner wall 242 to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241.

제2실시예와 같이 하우징(24)이 하나의 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방열홀(25)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방열홀(25)을 통해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새어 나갈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24) 외부로 광이 새어 나가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전달되는 광이 감소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위와 같이 광원부(22)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방열홀(25)을 통해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새어 나가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As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housing 24 is formed as one wall, and the heat dissipation hole 25 is form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passes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25. (24) Can leak outside. When light leaks out of the housing 24,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display panel 21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head-up display device, it is important to keep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high. However,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leaks out of the housing 24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25,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may decrease.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4)은 방열홀이 형성되지 않은 내측벽(242)과, 상기 제1방열홀(251)이 형성된 외측벽(241)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벽(242)에 의해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housing 24 includes an inner wall 242 in which the heat dissipation hole is not formed, and an outer wall 241 in which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is form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by the inner wall 242 is not emitted outside the housing 24.

다만, 상기 내부공간(CA)에 머무르는 열을 상기 외측벽(241)에 형성된 상기 제1방열홀(251)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통과홈(243)이 마련된다. 상기 통과홈(243)은 상기 내부공간(CA)과 상기 이격공간(SS)을 연결하여, 상기 내부공간(CA)의 열이 상기 이격공간(SS)으로 전달되게 한다. However, the through groove 243 is provided to guide the heat staying in the inner space CA to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formed in the outer wall 241. The passing groove 243 connects the internal space CA and the separation space SS so that heat of the internal space CA is transferred to the separation space SS.

상기 통과홈(243)은 상기 내측벽(242)과 상기 외측벽(241)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내측벽(242)과 상기 외측벽(241)은 차단부재(244)로 연결된다. 상기 차단부재(244)는 상기 내측벽(242)과 상기 외측벽(241)을 연결한다. The through groove 243 is formed by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242 and the outer wall 241. The inner wall 242 and the outer wall 241 are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244. The blocking member 244 connects the inner wall 242 and the outer wall 241.

상기 내측벽(242)을 기준으로 일단에는 상기 통과홈(243)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차단부재(244)가 연결된다. 상기 내측벽(242)에서 상기 통과홈(243)이 형성된 일단은 상기 광원부(22)에 인접해 있다. 반면, 상기 내측벽(242)에서 상기 차단부재(244)가 연결된 타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인접해 있다. The through groove 24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wall 242, and the blocking member 24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reof. One end of the through groove 243 formed in the inner wall 242 is adjacent to the light source unit 22.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to which the blocking member 244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242 is adjacent to the display panel 21.

상기 차단부재(244)는 상기 이격공간(SS)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이격공간(SS)이 차단되지 않으면 상기 이격공간(SS)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CA)에서 상기 이격공간(SS)으로 전달된 열이 다시 상기 내부공간(CA)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방열홀(251)에 의한 방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므로 상기 차단부재(244)가 상기 이격공간(SS)을 차단한다. 상기 차단부재(244)가 상기 이격공간(SS)을 차단함에 따라 이격공간(SS)으로 전달된 열은 상기 제1방열홀(251)을 통해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The blocking member 244 also performs a function of blocking the separation space (SS). If the separation space SS is not blocked, heat transferred from the internal space CA to the separation space SS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SS may return to the internal space CA again. In this case, since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by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is lowered, the blocking member 244 blocks the separation space SS. As the blocking member 244 blocks the separation space SS, heat transferred to the separation space S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 through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2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3)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24)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지지부(23)에 설치되는 광원부(22), 및 상기 광원부(22)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홀(25)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4)은 상기 광원부(22)가 위치하는 내측벽(242)과, 상기 내측벽(242)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외측벽(241)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홀(25)은 상기 외측벽(24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방열홀(251)과, 상기 내측벽(24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방열홀(25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21 for displaying an image, a housing 24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21, and A support part 23 for supporting the housing 24, a light source part 22 installed at the support part 2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21, and positioned in the housing 24, and the And a heat dissipation hole 25 for dissipating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 The housing 24 includes an inner wall 242 in which the light source unit 22 is positioned, and an outer wall 241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242. The heat dissipation hole 25 includes a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formed through the outer wall 241 and a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formed through the inner wall 242.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설명한 것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구성 중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In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s of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방열홀(251)은 상기 하우징(24)의 상기 외측벽(24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반면, 상기 제2방열홀(252)은 상기 하우징(24)의 상기 내측벽(24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is formed through the outer wall 241 of the housing 24.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is formed through the inner wall 242 of the housing 24.

상기 내측벽(242)에 상기 제2방열홀(25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CA)의 열이 상기 이격공간(SS)으로 쉽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CA)의 열이 상기 제2방열홀(252) 및 상기 제1방열홀(251)을 통해 상기 하우징(24)의 외부로 쉽게 방출될 수 있다. As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is formed in the inner wall 242, the heat of the inner space CA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separation space SS. Therefore, the heat of the inner space CA may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 through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and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의하면, 상기 내부공간(CA)의 열은 상기 제2방열홀(252) 및 상기 통과홈(243)을 통해 쉽게 상기 이격공간(SS)으로 전달된다. 상기 이격공간(SS)으로 전달된 열은 상기 제1방열홀(251)을 통해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의하면 방열 성능이 극대화되어 상기 내부공간(CA)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of the inner space CA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space SS through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and the through hole 243. Is passed to. The heat transferred to the separation space S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4 through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CA from rising.

다만, 상기 내측벽(242)에 상기 제2방열홀(25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제2방열홀(252)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SS) 나아가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방출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전달되는 광이 저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전달되는 광이 감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가 저하된다. 특히,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가 저하되면 사용자가 화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s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is formed in the inner wall 242,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to the separation space SS and the housing. (24) will be released to the outside.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is emitted outside the housing 24,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display panel 21 is lowered. When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display panel 21 is reduced, the luminanc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is lower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head-up display device, when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1 is lowered, the user may not be able to view the image.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방열홀(251)과 상기 제2방열홀(252)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방열홀(251)과 상기 제2방열홀(252)이 서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제2방열홀(252)을 통과하더라도 상기 제1방열홀(251)은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하우징(24)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and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are formed to be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each other. When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and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are positioned at different positions from each other, even i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2 is provided. 251 will not be able to pass. That i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may be prevented from moving outside the housing 24.

상기 제1방열홀(251)과 상기 제2방열홀(252)이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한다는 것은 복수개의 제1방열홀(251)과 복수개의 제2방열홀(252)이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방열홀(251)들 사이사이에 제2방열홀(252)들이 위치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and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are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and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are arranged in a zigzag. Can mean. That is,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s 252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s 251.

또는, 상기 제1방열홀(251)과 상기 제2방열홀(252)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더라도, 서로 상이한 높이에 위치되게 형성되면 된다. 이렇게 상기 제1방열홀(251)과 상기 제2방열홀(252)이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제2방열홀(252)을 통과하더라도 상기 제1방열홀(251)을 통과할 수는 없다. Alternatively, even if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and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and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may b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Even if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and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ar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the first heat dissipation even i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It cannot pass through the hole 251.

결국, 상기 제1방열홀(251)과 상기 제2방열홀(25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지 않으면 상기 광원부(22)에서 방출된 광이 상기 제2방열홀(252)을 통과하더라도 상기 제1방열홀(251)을 통과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As a result, if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251 and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are not disposed to face each other, even i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252,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251.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 20: 디스플레이 장치
11, 21: 디스플레이 패널
12, 22 : 광원부
13, 23 : 지지부
14, 24 : 하우징
15, 25 : 방열홀
10, 20: display device
11, 21: display panel
12, 22: light source
13, 23: support
14, 24: housing
15, 25: heat dissipation hole

Claims (12)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게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측벽;
상기 외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외측벽보다 상기 광원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내측벽; 및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을 연결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각각의 일단에 통과홈이 위치하고, 상기 통과홈에 의해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 사이에 정의되는 이격공간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외측벽에는 상기 외측벽을 관통하는 제1 방열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A housing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housing; And
A light source unit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and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to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The housing is
Outer wall;
An inner wall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and disposed closer to the light source than the outer wall; And
It includes a block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 through groove is located at each end of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and a separation space defin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by the through groove.
And a first heat dissipation hole penetrating the outer wal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에는 상기 내측벽을 관통하는 제2 방열홀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제2 방열홀을 통해 상기 내측벽을 통과하고, 상기 내측벽을 통과한 열은 상기 제1 방열홀을 통해 상기 외측벽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penetrating the inner wall is formed in the inner wall, and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passes through the inner wall through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and heat passing through the inner wall is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And a display device whic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outer wall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홀은 상기 제2방열홀과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2방열홀을 통과한 광이 상기 외측벽 외부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is locat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and thu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is prevented from moving outside the outer wal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홀은 상기 제2방열홀을 통과한 광이 상기 제1방열홀을 통해 상기 외측벽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2방열홀과 상이한 높이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is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at a different height than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to block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to move outside the outer wall through the first heat dissipation hole.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일 측은 상기 이격공간이 차단되도록 상기 내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타 측은 상기 외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벽의 일단에 상기 통과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의 타단에 상기 차단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blocking member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so that the separation space is blocked, the other side of the blocking member is coupled to the outer wall,
The through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wall, and the display membe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를 기준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stallation unit coupled to the top of the housing,
The display panel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evice having a shap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기 광원부를 향하는 하측방향으로 전달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방열팬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방열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heat dissipation fan for dissipating heat transferred downward from the display panel toward the light source;
And the support part is coupled to the heat dissipation fan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에는 상기 내측벽을 관통하는 제2 방열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에는 상기 제1 방열홀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에는 상기 제2 방열홀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방열홀들 및 상기 복수의 제2방열홀들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heat dissipation hole of claim 1, wherein a second heat dissipation hole is formed in the inner wall, a plurality of first heat dissip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wall, and a plurality of second heat dissipation holes is formed in the inner wall. Formed,
And the plurality of first heat dissipa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heat dissipation holes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to prev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from moving out of the ho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10853A 2013-01-31 2013-01-31 Display device KR102084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853A KR102084609B1 (en) 2013-01-31 2013-01-3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853A KR102084609B1 (en) 2013-01-31 2013-01-31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360A KR20140098360A (en) 2014-08-08
KR102084609B1 true KR102084609B1 (en) 2020-03-04

Family

ID=5174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853A KR102084609B1 (en) 2013-01-31 2013-01-31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6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455B1 (en) * 2016-11-30 2023-09-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6272A (en) 2004-10-04 2006-04-20 Sony Corp Display apparatus
JP2008282615A (en) 2007-05-09 2008-11-20 Sharp Corp Illumination device
JP2008287261A (en) 2007-05-18 2008-11-27 Samsung Sdi Co Ltd Chassis base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JP2009008862A (en) 2007-06-27 2009-01-15 Sharp Corp Display device
JP2009205852A (en) 2008-02-26 2009-09-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Illumination fixture
JP2010249912A (en) 2009-04-13 2010-11-04 Panasonic Corp Electronic device and plasma display
JP5098778B2 (en) 2008-04-24 2012-12-12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LIGHT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5188245B2 (en) 2008-04-03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9303A (en) * 1993-12-15 1995-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pot light
JPH10326081A (en) * 1997-05-26 1998-12-08 Fuji Photo Film Co Ltd Display device
JPH1173140A (en) * 1997-08-28 1999-03-16 Denso Corp Flat panel display
KR100936366B1 (en) * 2003-06-03 2010-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cd module have a heat fan
KR20090019319A (en) * 2007-08-20 2009-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e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6272A (en) 2004-10-04 2006-04-20 Sony Corp Display apparatus
JP2008282615A (en) 2007-05-09 2008-11-20 Sharp Corp Illumination device
JP2008287261A (en) 2007-05-18 2008-11-27 Samsung Sdi Co Ltd Chassis base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JP2009008862A (en) 2007-06-27 2009-01-15 Sharp Corp Display device
JP2009205852A (en) 2008-02-26 2009-09-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Illumination fixture
JP5188245B2 (en) 2008-04-03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Display device
JP5098778B2 (en) 2008-04-24 2012-12-12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LIGHT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10249912A (en) 2009-04-13 2010-11-04 Panasonic Corp Electronic device and plasma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360A (en)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2304B2 (en) Light emitting unit heat dissipation device and backlight device
JP6404363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462232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device
JP2006156324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200830463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696469B2 (en) Backlight device
US20160291397A1 (en) Display device
JP2010140912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102009010B1 (en) Light emitting diode, and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1052259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2084609B1 (en) Display device
JP5098778B2 (en) LIGHT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13218125A (en) Liquid-crystal display
KR10155276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727562B2 (en) Backlight module
US8780290B2 (en) Liquid displaying device
KR20040082132A (en) Back light unit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2026162A1 (en) Ligh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apparatus
KR102049985B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14041761A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2064761B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237328B1 (en) Radiator for light emitting unit, and backlight device
KR102541393B1 (en) Display apparatus
KR101891897B1 (en) Liquid cristal display panel using metal heat radiation layer and liquid cri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WO201000165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