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891B1 - Micro Surgical Instrument - Google Patents

Micro Surgical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891B1
KR102070891B1 KR1020180027599A KR20180027599A KR102070891B1 KR 102070891 B1 KR102070891 B1 KR 102070891B1 KR 1020180027599 A KR1020180027599 A KR 1020180027599A KR 20180027599 A KR20180027599 A KR 20180027599A KR 102070891 B1 KR102070891 B1 KR 10207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outer tube
insertion tool
tube
rig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6310A (en
Inventor
박석호
최현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2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891B1/en
Publication of KR2019010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3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점막하 박리술에 사용되는 미세 수술도구에 관한 것으로,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외부튜브; 관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튜브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튜브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는 내부튜브; 상기 내부튜브에 삽입되되, 상기 내부튜브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툴;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튜브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urgical instrument used for submucosal dissection, the outer tube extending in the tubular shape; An inner tube extending in a tubular shap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and capable of sliding in the outer tube, and bent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the insertion tool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includes, the rigidity of the outer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Figure R1020180027599
Figure R1020180027599

Description

미세 수술도구 {Micro Surgical Instrument}Micro 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점막하 박리술에 사용되는 미세 수술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는 내부튜브를 외부튜브 내부로 삽입하고, 내부튜브와 외부튜브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내부튜브에 삽입된 삽입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미세 수술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urgical instrument used in submucosal dissection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by inserting a curved inner tube into the outer tube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and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inside It relates to a microsurgical tool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tool inserted into the tube.

점막하 박리술은 내시경을 사용하여 병변 조직 등을 제거하는 것으로, 내시경 채널 내 전기 소작 나이프를 장착하여, 고주파 전기를 이용해서 소화기관에 발견된 조기 암, 점막하층 종양 및 섬유에 관한 병변 조직 등을 제거하는 시술이다. Submucosal dissection involves the removal of lesion tissue using an endoscope. An electrocautery knife in the endoscope channel is used to remove premature cancers, submucosal tumors and lesion tissues found in the digestive tract using high frequency electricity. It is a procedure.

도 1을 참조하면, 점막하 박리술은 내시경이 마련된 수술도구(20)의 채널에 수술툴(30)을 삽입하여 병변 조직(10)을 제거하게 된다. 먼저, 수술도구(20)의 채널에 전기 소작 기구 등을 통해 제거해야 할 병변 조직(10)의 주변을 마킹하게 된다. 이후, 수술도구(20)의 채널에 니들을 통하여 병변 조직(10)에 식염수, 약물 등을 주입시키고, 이를 통해 병변 조직(10)을 융기시킨다. 병변 조직(10)이 융기되면 병변 조직(10)의 특정 및 제거가 비교적 편리해지게 되며, 융기된 병변 조직(10)은 전기 소작 나이프 등을 통해 제거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submucosal detachment removes the lesion tissue 10 by inserting the surgical tool 30 into a channel of the surgical tool 20 provided with an endoscope. First, the periphery of the lesion tissue 10 to be removed through an electrocautery instrument or the like in the channel of the surgical tool 20 is marked. Thereafter, saline, drugs, and the like are injected into the lesion tissue 10 through the needle in the channel of the surgical tool 20, thereby elevating the lesion tissue 10. When the lesion tissue 10 is raised, the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the lesion tissue 10 becomes relatively convenient, and the raised lesion tissue 10 is removed through an electric cautery knife or the like.

그러나 종래의 점막하 박리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병변 조직(1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기 소작 나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소작 나이프 등을 사용하여 병변 조직(10)을 제거할 때, 병변 조직(10)의 위치에 따라 전기 소작 나이프 등을 과도하게 회전을 해야 하거나, 다양한 각도로 전기 소작 나이프를 조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ubmucosal dissec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move the lesion tissue 10, an electric cautery knife or the like may be used. When the lesion tissue 10 is removed using an electric cautery knife or the like, it is necessary to excessively rotate the electric cautery knife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sion tissue 10 or operate the electric cautery knife at various angles. have.

그러나 종래의 수술도구는 이와 같이 전기 소작 나이프 등의 회전을 조절하거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수술도구(20)의 조향으로만 조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 소작 나이프의 회전을 조절하거나 각도를 조절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urgical tool is not provided separately to adjust the rotation of the electric cauterizing knife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 is made only by the steering of the surgical tool 20, so that the rotation of the electric cautery knife There was a difficulty in adjusting or adjusting the angle.

또한, 병변 조직(1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절제 과정에서 수술도구(20) 내에 포함되는 내시경의 시야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수술도구는 병변 조직(10)의 위치에 따라 절제과정의 시야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remove the lesion tissue 10, the view of the endoscope included in the surgical tool 20 should be secured during the abl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sion tissue 10, the conventional surgical tool secures the visual field of the ablation process. There was a difficult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는 내부튜브를 외부튜브 내부로 삽입하고, 내부튜브와 외부튜브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내부튜브에 삽입된 삽입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미세 수술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the inner tube is bent into the outer tube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and the inner tube b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It relates to a microsurgical tool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tool inserted i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세 수술도구는,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외부튜브; 관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튜브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튜브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는 내부튜브; 상기 내부튜브에 삽입되되, 상기 내부튜브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툴;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튜브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Microsurgical instru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outer tube extending in the tubular shape; An inner tube extending in a tubular shap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and capable of sliding in the outer tube, and bent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the insertion tool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includes, the rigidity of the outer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세 수술도구의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은 상기 삽입툴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툴은, 상기 내부튜브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툴이 돌출되는 돌출거리가 고정되면서, 상기 내부튜브와 함께 상기 외부튜브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iffness of the inner tube of the microsurgical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eferably having a higher rigidity than the stiffness of the insertion tool, the insertion tool, the insertion tool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While the protrusion distance is fixed, it is preferable to slide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together with the inner tub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세 수술도구는, 상기 내부튜브의 슬라이드 이동을 조절하여 상기 외부튜브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작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튜브의 타단에서 상기 외부튜브와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내부튜브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결합바와, 상기 결합바에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공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의 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외부튜브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icrosurgical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unit for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relative to the outer tube by adjust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inner tube, the operation unit Is formed inside the hollow portion, the frame is coupled to the outer tube at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the coupling ba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extends from the coupling bar, It comprises a handl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ndle relative to the inner tube relative to the outer tub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세 수술도구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결합바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중공부 내부에 마련되는 스프링 고정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핸들의 위치 조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삽입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microsurgical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further includes a spring fitted to the coupling bar, and a spring fix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frame, one end of the sp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ortion is in contact, and the fram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xing pin for fixing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handle, the oper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tool. desirabl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세 수술도구는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외부튜브; 관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튜브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튜브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는 내부튜브; 상기 내부튜브에 삽입되되, 상기 내부튜브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툴;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튜브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되, 상기 외부튜브의 일측부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Microsurgical instru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outer tube extending in the tubular shape; An inner tube extending in a tubular shap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and capable of sliding in the outer tube, and bent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the insertion tool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includes, the rigidity of the outer tube has a rigidity higher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the rigidity of one side of the outer tube is the inner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lower rigidity than the rigidity of the tub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세 수술도구의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은 상기 삽입툴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며, 상기 외부튜브의 일측부의 강성은 상기 삽입툴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툴은, 상기 내부튜브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툴이 돌출되는 돌출거리가 고정되면서, 상기 내부튜브와 함께 상기 외부튜브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iffness of the inner tube of the microsurgical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a rigidity higher than that of the insertion tool, the stiffness of one side of the outer tube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e stiffness of the insertion tool Preferably, the insertion tool, the protrusion distance from which the insertion tool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is fixed, it is preferable to slide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together with the inner tub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세 수술도구는, 상기 내부튜브의 슬라이드 이동을 조절하여 상기 외부튜브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작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튜브의 타단에서 상기 외부튜브와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내부튜브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결합바와, 상기 결합바에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공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의 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외부튜브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icrosurgical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unit for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relative to the outer tube by adjust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inner tube, the operation unit Is formed inside the hollow portion, the frame is coupled to the outer tube at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the coupling ba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extends from the coupling bar, It comprises a handl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ortion,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ndle relative to the inner tube relative to the outer tub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세 수술도구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결합바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중공부 내부에 마련되는 스프링 고정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핸들의 위치 조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삽입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microsurgical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further includes a spring fitted to the coupling bar, and a spring fix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hollow portion of the frame, one end of the sp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portion is in contact, and the fram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xing pin for fixing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handle, the oper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tool. desirable.

본 발명은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는 내부튜브를 외부튜브 내부로 삽입하고, 내부튜브와 외부튜브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내부튜브에 삽입된 삽입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미세 수술도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부튜브에 대한 내부튜브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삽입툴이 꺾이는 굴곡각도 및 삽입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is bent while forming a curvature on one side into the outer tube, b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in the micro-surgical tool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tool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bending angle and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insertion tool bending by chang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각도 조절 및 회전을 통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병변 조직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병변 조직 절제 과정에서 시야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remove the lesion tissu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through the angle adjustment and rot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acilitate the field of view in the course of lesion tissue resection.

도 1은 점막하 박리술의 시술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튜브, 내부튜브, 삽입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튜브에 대한 내부튜브의 상대 위치 변화에 따라 내부튜브와 삽입툴이 꺾이는 굴곡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입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를 포함하는 미세 수술도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홈에 고정핀이 끼워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튜브, 내부튜브, 삽입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튜브에 대한 내부튜브의 상대 위치 변화에 따라 내부튜브와 삽입툴이 꺾이는 굴곡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를 포함하는 미세 수술도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procedure of submucosal dissec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uter tube, the inner tube, the insertion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bending angle of bending the inner tube and the insertion too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4B, and 4C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ertion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icrosurgical tool including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xing pin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outer tube, the inner tube, the insertion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at the bending angle of the inner tube and the insertion tool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icrosurgical tool including an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점막하 박리술에 사용되는 미세 수술도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는 내부튜브를 외부튜브 내부로 삽입하고, 내부튜브와 외부튜브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내부튜브에 삽입된 삽입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미세 수술도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urgical instrument used for submucosal dissection surgery, inserting the inner tube bent into the outer tube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and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b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It relates to a microsurgical tool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tool.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재료의 강성은 단위 변화량에 대한 외력의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잘 구부러지지 않는 리지드(rigid) 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강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잘 구부러지는 플렉서블(flexible)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The rigidity of the material represents the value of the exter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unit change amount, 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ly high rigidity indicates that the rigidity is relatively hard to be bent. Relatively low indicates that it is relatively flexible and flexibl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외부튜브(110), 내부튜브(120), 삽입툴(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2 and 3,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uter tube 110, an inner tube 120, and an insertion tool 13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튜브(110)는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튜브(110)는 강성이 높은 리지드(rigid)한 튜브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튜브(110)는 상기 내부튜브(120)보다 강성이 높은 것으로, 수술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구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질 수 있는 튜브가 될 수 있다. 상기 외부튜브(110)는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 the outer tube 110 extends in a tubular shape, and the outer tube 110 shows a rigid tube having a high rigidity. Specifically, the outer tube 110 is a rigidity higher than the inner tube 120, it may be a tube that can have a rigid enough not to bend by the force generated during surgery. The outer tube 110 is preferably extended in a straight line.

상기 내부튜브(120)는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튜브(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가 될 수 있다. 상기 내부튜브(120)는 플렉서블(flexible)한 튜브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내부튜브(120)는 상기 외부튜브(110)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부튜브(110)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The inner tube 120 extends in a tubular shape, and may be a tub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110. The inner tube 120 represents a flexible tube, and the inner tube 120 may slide inside the outer tube 11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110.

상기 외부튜브(110)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내부튜브(120)는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튜브(120)는 직선으로 연장되다가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질 수 있다. The outer tube 110 is preferably made of a straight, but the inner tube 120 is preferably bent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Specifically, the inner tube 120 extends in a straight line and may be bent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상기 내부튜브(120)는 상기 외부튜브(110)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내부튜브(120)가 상기 외부튜브(110)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내부튜브(120)의 일측부는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튜브(120)의 일측부는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튜브(120)의 일측부가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으로부터 더 멀리 돌출되면, 상기 내부튜브(120)는 상기 외부튜브(110)의 중심으로부터 더 많이 꺾이게 된다. 즉, 상기 내부튜브(120)가 꺾이는 정도와 상기 내부튜브(120)가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는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외부튜브(110)의 상대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내부튜브(120)의 일측부가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에서 가까울 때보다, 상기 내부튜브(120)의 일측부가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에서 멀 때가 더 많이 꺾이게 된다. The inner tube 120 slides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110. The inner tube 120 slides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110 while one side of the inner tube 120 is the outer tube. It may protrude from one end of 110. Referring to FIG. 3, since one side of the inner tube 120 is bent while forming a curvature, when one side of the inner tube 120 protrudes farther from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the inner tube ( 120 is more bent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tube (110). That is, the degree to which the inner tube 120 is bent and the degree to which the inner tube 120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depend 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inner tube 120 and the outer tube 110. It can be adjusted, more when one side of the inner tube 120 is closer to the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more when one side of the inner tube 120 is far from the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It will be broken.

상기 삽입툴(130)은 상기 내부튜브(120)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툴(130)은 상기 내부튜브(120) 일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삽입툴(130)은 점막하 박리술에서 제거해야 할 병변 조직에 직접 닿을 수 있는 부분이 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툴(130)은 상기 내부튜브(1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삽입툴(130)은 상기 내부튜브(12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The insertion tool 130 i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120, the insertion tool 130 is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120). The insertion tool 130 is to be a part that can directly contact the lesion tissue to be removed in submucosal dissection. The insertion tool 130 is to be adjusted in position by the slide movement of the inner tube 120, the insertion tool 130 is to be able to slide with the inner tube 120.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튜브(12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툴(130)이 돌출되는 돌출거리가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툴(130)과 상기 내부튜브(120)를 고정시키면, 상기 삽입툴(130)은 상기 내부튜브(120)와 함께 상기 외부튜브(110)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튜브(12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툴(130)의 돌출되는 돌출거리는 병변 조직의 위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즉, 병변 조직의 위치에 따라 상기 삽입툴(130)의 돌출거리를 먼저 고정시키고, 그 이후에 상기 삽입툴(130)과 상기 내부튜브(120)를 함께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insertion tool 130 and the inner tube 120 is fixed to fix the protruding distance from which the insertion tool 130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120, the insertion tool 130 is The inner tube 120 slides along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110. In this case,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insertion tool 130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12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sion tissue, that is, the protrusion distance of the insertion tool 13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sion tissue. Fix the first, and then slide the insertion tool 130 and the inner tube 120 together.)

상기 삽입툴(130)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120)의 강성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튜브(110)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120)의 강성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튜브(120)의 강성은 상기 삽입툴(130)의 강성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튜브(110)는 리지드(rigid)하며, 상기 내부튜브(120)는 중간 정도로 플렉서블(flexible) 하며, 상기 삽입툴(130)은 높은 정도로 플렉서블(flexible)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rigidity of the insertion tool 130 is preferably formed lower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120). Specifically, the rigidity of the outer tube 110 is higher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120,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120 is preferably formed higher than the rigidity of the insertion tool 130. (The outer tube 110 is rigid, the inner tube 120 is moderately flexible, and the insertion tool 130 is preferably flexible to a high degree.)

상기 외부튜브(110)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120)의 구부러져 있는 일측부가 상기 외부튜브(110)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외부튜브(110)가 구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튜브(110)는 상기 내부튜브(120) 보다 강성이 높기 때문에, 상기 내부튜브(120)가 상기 외부튜브(110) 내부에 있더라도 상기 외부튜브(110)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상기 내부튜브(120)가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내부튜브(120)가 꺾일 수 있게 된다. Even if one side of the outer tube 110 is bent inside the outer tube 110, the rigidity of the outer tube 110 may be such that the outer tube 110 is not bent. Since the outer tube 110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e inner tube 120, even if the inner tube 120 is inside the outer tube 110, deformation does not occur in the outer tube 110. As the inner tube 120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the inner tube 120 may be bent.

상기 삽입툴(130)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120)의 강성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툴(130)의 강성이 상기 내부튜브(120)의 강성보다 높게 형성되면, 상기 삽입툴(130)에 의해 상기 내부튜브(120)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툴(130)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120)의 강성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gidity of the insertion tool 130 is preferably formed lower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120). When the rigidity of the insertion tool 130 is formed higher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120, deformation may occur in the inner tube 120 by the insertion tool 130.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insertion tool 130 is preferably formed lower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120).

상기 삽입툴(130)은 전류를 가하여 병변 조직 주변을 절단할 수 있는 전기 소작 나이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4a, 도 4b,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툴(130)은 다양한 형태의 시술도구가 될 수 있다. 상기 삽입툴(130)은 니들(needle)이 될 수 있으며, 가위 형상의 시저(scissor)가 될 수도 있으며, 고리 형상을 가지는 시술도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툴(130)은 점막하 박리술에 사용되는 다양한 시술도구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삽입툴(130)은 전기 소작 나이프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삽입툴(130)은 전기 소작 나이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sertion tool 130 is preferably an electric cautery knife that can cut around the lesion tissue by applying an electric current. Referring to FIGS. 4A, 4B, and 4C, the insertion tool 130 is a surgical tool of various forms. Can be The insertion tool 130 may be a needle, a scissors-shaped scissor, or a ring-shaped surgical tool. In addition, the insertion tool 130 may be various surgical tools used for submucosal dissection. Hereinafter, the insertion tool 13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lectric cautery knife, but the insertion tool 130 is not limited to the electric cautery knif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상기 내부튜브(1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조절하여 상기 외부튜브(1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120)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상기 외부튜브(110)를 병변 조직에 위치시키면서, 상기 외부튜브(1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120)의 상대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내부튜브(120)의 꺾이는 굴곡 각도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삽입툴(130)의 조향 및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1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0 by adjust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inner tube 120. That is,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1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0 while positioning the outer tube 110 in the lesion tissue. The bending angle of the 120 may be changed, and steering and manipulation of the insertion tool 130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40)를 통해 상기 내부튜브(120)를 밀거나 당기면서 상기 외부튜브(110) 내부로 상기 내부튜브(1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외부튜브(1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120)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use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lides the inner tube 120 into the outer tube 110 while pushing or pulling the inner tube 120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40. It can be move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1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0).

도 5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상기 외부튜브(1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120)의 상대위치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작부(140)는 프레임(150), 결합바(160), 핸들(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order to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1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0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unit 140 controls the frame 150, the coupling bar 160, and the handle 170. It can be made, including.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50)은 내부에 중공부(1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외부튜브(110)의 타단에서 상기 외부튜브(110)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50)의 일단과 상기 외부튜브(110)의 타단은 서로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중공부(151)는 상기 프레임(150)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 구멍이다.Referring to FIG. 6, the frame 150 has a hollow portion 151 formed therein, and may be coupled to the outer tube 110 at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110. One end of the frame 150 and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110 may b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the hollow portion 15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frame 150,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t is a hole.

상기 프레임(15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를 병변 조직으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0)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손잡이(152)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52)의 상기 구멍에 손가락을 집어넣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를 병변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50)은 병변 조직에 위치에 따라 돌려질 수 있는(자전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52)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150)을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돌릴 수 있다. The frame 150 may be used to move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lesion tissue. The frame 15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152 having a hole into which the user's finger can be inserted, and the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hole of the handle 15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surgical instrument can be moved to the point needed to remove the lesion tissue. In addition, the frame 150 may be rotated (rot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sion tissue, and the user may rotate and rotate the frame 150 in place using the handle 152.

상기 결합바(160)는 상기 내부튜브(120)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50)의 상기 중공부(15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바(16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부(151)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바(160)를 이동시키면, 상기 결합바(160)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내부튜브(12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e coupling bar 160 is to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120, i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51 of the frame 150. The coupling bar 16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is capable of sliding the inside of the hollow part 151. When the coupling bar 160 is moved, the inner tube 120 coupled with the coupling bar 160 can be moved.

상기 핸들(170)은 상기 결합바(160)에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공부(15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핸들(170)은 상기 결합바(160)에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170)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결합바(1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들(170)과 상기 결합바(160)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170 extends from the coupling bar 160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art 151. The handle 170 extends from the coupling bar 160, there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bar 160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170. Preferably, the handle 170 and the coupling bar 160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핸들(170)은 사용자가 직접 잡아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핸들(170)은 상기 중공부(15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andle 170 is to be able to move the position by the user directly grasping, for this purpose, the handle 170 is preferably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ortion 151.

상기 결합바(160)와 상기 핸들(170)을 통해 상기 내부튜브(12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내부튜브(120)의 타단은 상기 결합바(160)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튜브(120)는 상기 결합바(160)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170)은 상기 결합바(160)에서부터 연장되면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들(17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결합바(160), 상기 내부튜브(120)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바(160)는 상기 프레임(15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중공부(151)를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핸들(170)을 움직이더라도 상기 프레임(150)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5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외부튜브(110)는 상기 핸들(170)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된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nner tube 120 through the coupling bar 160 and the handle 170 as follows. Since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1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bar 160, the inner tube 120 moves together with the coupling bar 160.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170 is coupled while extending from the coupling bar 160, the coupling bar 160, the inner tube 120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handle 170. In this case, since the coupling bar 160 slides the hollow part 151 formed inside the frame 150, the frame 150 does not move even when the handle 170 is moved. Accordingly, the outer tube 110 coupled to the frame 150 is not moved by the handle 170.

사용자가 상기 핸들(170)을 상기 외부튜브(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핸들(170)에 의해 상기 내부튜브(120)도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튜브(110)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핸들(170)을 통해 상기 외부튜브(1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120)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moves the handle 170 forward or backwar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tube 110 extends, the inner tube 120 is also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the handle 170. .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tube 110 does not mov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1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0 through the handle 170.

(여기서, 상기 삽입툴(130)의 타단도 상기 결합바(16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이 상기 결합바(160)에 결합되면서, 상기 핸들(170)을 통해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이 함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Here,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tool 130 may also be coupled to the coupling bar 160. That is, while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are coupled to the coupling bar 160, Position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together with the handle 170 can be adjusted.)

상기 조작부(140)는 스프링(161), 스프링 고정부(15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161)은 상기 결합바(160)에 끼워지는 것이며, 상기 스프링 고정부(153)은 상기 프레임(150)에서 상기 중공부(151)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161)과 상기 스프링 고정부(153)은 상기 핸들(170)을 초기 상태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핸들(170)이 초기 상태의 위치로 돌아오게 하면, 상기 외부튜브(1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120)의 상대 위치를 초기 상대 위치로 유지 및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The operation part 140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161 and a spring fixing part 153. The spring 161 is fitted to the coupling bar 160, the spring fixing portion 153 is provided in the hollow portion 151 in the frame 150. The spring 161 and the spring fixing part 153 are used to return the handle 170 to the initial position. Here, when the handle 17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1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0 can be maintained and returned to the initial relative position.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 고정부(153)은 상기 중공부(151) 내부에 마련되면서 상기 스프링(161)의 일단과 접촉될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스프링(161)의 일단은 상기 내부튜브(120)가 위치하는 방향 쪽이다. 상기 스프링(161)은 상기 결합바(16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결합바(160)에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161)과 상기 결합바(160)가 함께 움직이게 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161)의 타단은 상기 결합바(160)에 결합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spring fixing portion 153 is provided in the hollow portion 151 may b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pring 161, where one end of the spring 161 is the inner tube 120 Is the direction in which is located. The spring 161 is fitted to the coupling bar 160 to move together with the coupling bar 160. (The other end of the spring 161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bar 160 to move the spring 161 and the coupling bar 160 together.)

상기 스프링 고정부(153)는 상기 프레임(150)에서 상기 중공부(151) 내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스프링(161)이 상기 중공부(151)에 배치되기 위해 상기 중공부(151)의 중간 부분의 직경이 넓어지면서 확장되고, 확장된 상기 중공부(151)의 영역에서 벽면 부분이 상기 스프링 고정부(153)가 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스프링 고정부(15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프링(161)의 일단과 접촉하면서 상기 스프링(161)을 압축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pring fixing part 153 may have a protrusion shape protruding from the frame 150 into the hollow part 15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diameter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151 is expanded and widened so that the spring 161 is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151, and in the region of the expanded hollow portion 151. The wall portion may be the spring fixing part 153.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spring fixing part 153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as long as the spring 161 may be compress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pring 161.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170)을 상기 내부튜브(120)가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핸들(170)에 의해 상기 결합바(160)와 상기 스프링(161)도 함께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61)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153)과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161)은 압축되면서 전진된다. 상기 스프링(161)이 압축되면, 상기 스프링(161)에는 상기 핸들(170)을 후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저장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170)에 힘을 가하고 있을 때는, 상기 스프링(161)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사용자가 힘을 제거하면 압축된 상기 스프링(161)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핸들(170)은 후진하게 되면서 초기 상태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handle 170 is advanc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tube 120 protrudes to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the coupling bar 160 and the handle 170 are moved by the handle 170. The spring 161 is also advanced. At this time, since one end of the spring 161 is in contact with the spring fixing part 153, the spring 161 is advanced while being compressed. When the spring 161 is compressed, an elastic force is stored in the spring 161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170 is reversed. When the user is applying force to the handle 170, the spring 161 is kept in a compressed state, but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the spring 161 by the elastic force generated by the compressed spring (161) 170 is reversed to be able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 프레임(150)에는 상기 핸들(170)의 위치 조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18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170)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나, 상기 삽입툴(130)을 병변 조직에서 사용할 때는 상기 핸들(17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50)에는 상기 핸들(170)의 위치 조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180)이 마련될 수 있다. The frame 15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in 180 to fix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handle 170. The handle 170 may be adjusted by a user, but when the insertion tool 130 is used in lesion tissue, it is preferab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handle 170. To this end, the frame 150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in 180 to fix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handle 17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170)은 전진시키면 상기 스프링(161)에 의해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170)의 위치 조절을 고정하지 않으면, 상기 핸들(170)은 후진하게 된다. 상기 고정핀(180)은 이와 같은 상기 핸들(170)의 후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180)은 상기 삽입툴(130)을 사용할 때 상기 삽입툴(13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ndle 170 is advanced, an elastic force is acted on by the spring 161. Therefore, if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handle 170 is not fixed, the handle 170 is reversed. The fixing pin 180 may be used to prevent the reverse of the handle 170. In addition, the fixing pin 180 may prevent the insertion tool 130 from shaking when the insertion tool 130 is used.

구체적으로,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바(160)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바(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고정홈(16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80)은 상기 결합바(160)가 연장되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50)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바(160)의 상기 고정홈(162)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7,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6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bar 16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ar 160. The fixing pin 180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bar 160 extends. The fixing groove 162 of the coupling bar 160 passes through the frame 150. It can be inserted into.

상기 고정핀(180)이 상기 고정홈(162)에 끼워지면 상기 핸들(170)은 더 이상 위치 조절이 불가능해지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홈(162)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180)이 끼워지는 상기 고정홈(162)의 위치를 변경시키면 상기 핸들(170)을 다양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170)이 고정되면, 상기 내부튜브(120)의 이동이 고정된다. When the fixing pin 180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62, the handle 170 can no longer be adjusted in position and can be fixed. The fixing groove 162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groove 162 into which the fixing pin 180 is fitted, the handle 170 may be fixed at various positions. Here, when the handle 170 is fixed, the movement of the inner tube 120 is fixed.

상기 고정핀(180)을 통해 상기 핸들(170) 및 상기 내부튜브(120), 상기 삽입툴(130)의 이동을 고정하는 구성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핸들(170) 및 상기 내부튜브(120), 상기 삽입툴(130)의 이동을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170 and the inner tube 120, the insertion tool 130 through the fixing pin 18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the handle 170 and the inside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used if the tube 120, the movement of the insertion tool 130 can be fixed, of course.

상기 조작부(140)에는 상기 삽입툴(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버튼(19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툴(130)은 전기 소작 나이프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조작버튼(190)은 상기 전기 소작 나이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On/Off 버튼이 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19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tool 130.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tool 130 may be an electric cautery knife, and the operation button 190 may be an on / off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cautery knife.

다만, 상기 조작버튼(19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삽입툴(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삽입툴(130)이 가위 형상의 시저(scissor)일 경우 상기 조작버튼(190)은 상기 시저의 오므리고 펴지는 작동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작버튼(190)은 상기 조작부(140)의 상기 프레임(15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툴(130)을 제어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e operation button 19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used as long as 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tool 130. For example, when the insertion tool 130 is a scissor shaped scissor, the operation button 19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cissor. The operation button 19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rame 150 of the operation unit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if the insertion tool 130 can be controlled. to b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Microsurgical too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를 병변 조직이 있는 곳까지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프레임(150)과 상기 프레임(150)의 상기 손잡이(152)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병변 조직이 있는 곳까지 미세 수술도구를 삽입하면, 병변 조직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핸들(170)을 통해 상기 외부튜브(1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의 상대위치를 조절한다. First, the user inserts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lace of the lesion tissue. In this case, the handle 150 and the like of the frame 150 and the frame 150 may be used. Inserting the surgical tool to the place where the lesion tissu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0 through the handle 170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lesion tissue Adjust

이때, 상기 내부튜브(120)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툴(130)이 돌출되는 돌출거리를 미리 고정시켜 놓고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이 함께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핸들(170)을 이동시키면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은 상기 핸들(170)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protrusion distance from which the insertion tool 130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120 is fixed in advance so that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move together. When the handle 170 is moved,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are moved together as the handle 170 moves.

상기 핸들(170)을 전진시키면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도 함께 전진하게 되고,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외부튜브(1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의 상대 위치가 변하게 된다. 즉, 상기 핸들(170)의 이동을 통해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의 삽입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handle 170 is advanced,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are advanced together, and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0 is projected from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120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sertion tool 130 is changed. That 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through the movement of the handle 170.

또한,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은 일측부에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이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으로부터 멀리 돌출될수록, 도 3과 같이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은 더 많이 꺾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튜브(1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120) 및 상기 삽입툴(13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면, 상기 내부튜브(120) 및 상기 삽입툴(130)의 꺾이는 굴곡각도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are bent at one side, as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protrude away from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As shown in FIG. 3,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are bent more. As such, whe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ar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0, the bending angles of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may be changed. It becomes possible.

여기서, 상기 핸들(170)을 통해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을 원하는 위치에 놓으면, 상기 핸들(170)의 움직임을 상기 고정핀(180)을 통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들(170)의 움직임을 상기 고정핀(180)을 고정시키면, 상기 내부튜브(120) 및 상기 삽입툴(130)이 꺾이는 굴곡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Here, if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is placed in the desired position through the handle 170, the movement of the handle 170 can be fixed through the fixing pin 180. When the fixing pin 180 is fixed to the movement of the handle 170,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are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the bending angle at which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are bent. ) Position can be fixed.

이후, 상기 프레임(150)의 움직임을 조절하면서 병변 조직 주변에 상기 삽입툴(130)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5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거나, 상기 프레임(150)을 제자리에서 돌리면서(자전시키면서) 상기 삽입툴(13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170)의 움직임은 상기 고정핀(18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5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거나, 상기 프레임(150)을 제자리에서 돌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 전체가 상기 프레임(150)의 움직임을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the insertion tool 130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lesion tissue while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rame 150.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tool 130 may be changed by moving the frame 150 forward or backward or by rotating the frame 150 in place (rotating). Since the movement of the handle 170 is fixed by the fixing pin 180, when the frame 15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or when the frame 150 is rotated in place, the handle 170 is f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surgical tool is able to move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frame 150.

여기서, 상기 내부튜브(120)는 일측부에서 구부러져 있으며, 상기 삽입툴(130)은 상기 내부튜브(120)에 의해 일측부가 구부러지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50)을 돌리면 상기 내부튜브(120)와 상기 삽입툴(130)의 일측부는 원의 궤적을 형성하면서 위치가 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튜브(120) 및 상기 삽입툴(130)의 구부러진 부분은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꺾여있는데, 상기 프레임(150)을 돌림에 따라(자전시킴에 따라) 상기 내부튜브(120) 및 상기 삽입툴(130)의 구부러진 부분이 회전되면서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150)을 돌리면 상기 내부튜브(120) 및 상기 삽입툴(130)의 구부러진 일측부는 도 3의 실선의 위치에서 점선의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Here, the inner tube 120 is bent at one side, and since the insertion tool 130 is bent at one side by the inner tube 120, when the frame 150 is turned,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ner tube 120 are bent. One side of the insertion tool 130 is changed in position while forming a trajectory of the circl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ure 3, the bent portion of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is bent while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as the frame 150 is rotated ( As it rotates), the bent portion of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is rotated to change the position. That is, when the frame 150 is rotated, the bent side of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may be changed from the position of the solid line of FIG. 3 to the position of the dotted lin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상기 외부튜브(1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120) 및 상기 삽입툴(13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내부튜브(120) 및 상기 삽입툴(130)의 삽입깊이 및 굴곡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프레임(150)을 통해 미세 수술도구를 위치를 전진 및 후진시키거나, 제자리에서 돌림으로써 다양한 병변 조직 위치에 상관없이 병변 조직에 상기 삽입툴(130)을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sertion tool 13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110. The insertion depth and the bending angle of the tool 130 can be adjusted, and through the frame 150, the microsurgical tool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or rotated in place, thereby allowing the lesion tissue to be irrespective of various lesion tissue positions. It will be able to position the insertion tool 1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140)는 상기 내부튜브(12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튜브(12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축을 중심으로 상기 내부튜브(120)를 자전시킬 수도 있다.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used as follows. The operation unit 140 may be formed inside the inner tube 120, and may rotate the inner tube 120 about an inner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tube 120 extends.

여기서, 상기 내부튜브(12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튜브(12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축을 중심으로 상기 내부튜브(120)를 자전시키는 것은, 상기 내부튜브(120)의 내부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튜브(120)를 제자리에서 돌리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내부튜브(120)를 제자리에서 돌리면, 상기 내부튜브(120)의 직선 부분은 위치 변화가 없으나, 상기 내부튜브(120) 중 구부러져 있는 상기 내부튜브(120)의 일측부는 상기 내부튜브(120)의 자전에 의해 원의 궤적을 형성하면서 위치가 변하게 된다. Here, the inner tube 120 is formed inside the inner tube 120, and the inner tube 120 is rotated about an inner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ner tube 120, the inner tube 120. It means that the inner tube 120 is turned in place with respect to the inner central axis of the. When the inner tube 120 is rotated in place, a straight portion of the inner tube 120 has no position change, but one side of the inner tube 120 that is bent from the inner tube 120 is the inner tube 120. The position changes while forming the trajectory of the circle by the rotation of.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튜브(120)의 구부러진 일측부는 상기 외부튜브(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꺾여있는데, 상기 내부튜브(120)를 돌림에 따라(자전시킴에 따라) 상기 내부튜브(120)의 구부러진 일측부가 회전되면서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즉, 상기 내부튜브(120)를 돌리면 상기 내부튜브(120)의 구부러진 일측부는 도 3의 실선의 위치에서 점선의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one side of the inner tube 120 is bent while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outer tube 110, as the inner tube 120 is rotated (by rotating). As the bent side of the inner tube 120 is rotated, the position is changed. That is, when the inner tube 120 is turned, one side of the inner tube 120 may be changed to a dotted line at the position of the solid line of FIG. 3.

상기 내부튜브(120)를 제자리에서 돌리기 위해(자전시키기 위해) 상기 조작부(140)의 상기 핸들(170)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핸들(170)을 돌리면, 상기 핸들(170)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결합바(160)가 돌려지게 되고, 상기 결합바(16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내부튜브(120)(및 상기 삽입툴(130))가 돌려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들(170)은 바 형상의 상기 결합바(160)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핸들(170)을 돌릴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핸들(17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부튜브(120)를 제자리에서 돌릴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handle 170 of the manipulation unit 140 may be used to rotate (rotate) the inner tube 120 in place.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170, the coupling bar 160 coupled to the handle 170 is turned, and the inner tube 120 coupled to the coupling bar 160 (and the insertion unit) is rotated. Tool 130 may be turned. The handle 170 may include a bar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ar-shaped coupling bar 160 extends, and may rotate the handle 170 through this. However, the handle 17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inner tube 120 may be rotated in place.

또한, 상기 핸들(170)의 위치 조절을 고정하는 상기 고정핀(180)은 상기 핸들(170)의 전진 및 후진 움직임을 고정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핸들(170)을 돌리는 움직임까지 고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고정핀(180)은 상기 고정홈(162)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핸들(170)의 전진 및 후진 움직임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170)을 회전시키는 움직임까지 고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핸들(170)의 전진 및 후진 움직임만을 고정하고, 상기 핸들(170)을 회전시키는 움직임은 고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in 180 to fix the position control of the handle 170 may be to fix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handle 170, if necessary to the movement to turn the handle 170 It may be fixed. As the fixing pin 180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62,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handle 170 may be fixed and the movement of rotating the handle 170 may be fixed. Only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170 are fixed, and the movement of rotating the handle 170 may not be fixed.

상기 고정핀(180)을 통해 상기 핸들(170)의 전진 및 후진 움직임만을 고정하고, 상기 핸들(170)을 회전시키는 움직임은 고정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홈(162)을 상기 결합바(16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핸들(170)의 돌려지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홈(162)을 상기 결합바(16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핸들(170)이 돌려지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시키면, 상기 핸들(170)의 전진 및 후진 움직임만을 고정되지만, 상기 핸들(170)을 돌리는 움직임은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In order to fix onl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handle 170 through the fixing pin 180 and not to rotate the handle 170, the fixing groove 162 is coupled to the coupling bar 16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170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ng direction. As such, when the fixing groove 162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170 is rota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ar 160, onl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handle 170 are fixed. The movement of turning the handle 170 may not be fixed.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8 to 10,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used as follows.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외부튜브(210), 내부튜브(220), 삽입툴(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상기 외부튜브(210) 및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 상기 내부튜브(220), 상기 삽입툴(230)의 강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그 이외의 구성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8 and 9,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uter tube 210, an inner tube 220, and an insertion tool 230.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o change the rigidity of the outer tube 210 and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the inner tube 220, the insertion tool 230. The other configurations may be the same.

상기 외부튜브(210)는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튜브(110)는 강성이 높은 리지드(rigid)한 튜브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튜브(210)는 상기 내부튜브(220)보다 강성이 높은 것으로, 수술시 발생하는 힘에 의해 구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질 수 있는 튜브가 될 수 있다. 상기 외부튜브(110)는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tube 210 extends in a tubular shape, and the outer tube 110 represents a rigid tube having a high rigidity. Specifically, the outer tube 210 is higher in rigidity than the inner tube 220, and may be a tube that may have rigidity that is not bent by a force generated during surgery. The outer tube 110 is preferably extended in a straight line.

다만, 여기서 상기 외부튜브(210)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220)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되,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220)의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의 상기 외부튜브(210)의 해칭 부분은 상기 내부튜브(220)의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는 것이다. 도 8을 기준으로 해칭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외부튜브(210)-상기 내부튜브(220)-해칭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의 순서로 강성이 작아질 수 있다. )Here, the stiffness of the outer tube 210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at of the inner tube 220, but the stiffness of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is lower than that of the inner tube 220. May have (Hatching portion of the outer tube 210 of Figure 8 is to have a lower rigidity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220. The outer tube 210, the inner tube (not formed hatching based on Figure 8) 220)-The stiffness can be reduced in the order of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is formed.)

상기 내부튜브(220)는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튜브(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튜브가 될 수 있다. 상기 내부튜브(220)는 플렉서블(flexible)한 튜브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내부튜브(220)는 상기 외부튜브(210)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부튜브(210)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The inner tube 220 extends in a tubular shape, and may be a tub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110. The inner tube 220 represents a flexible tube, and the inner tube 220 may slide inside the outer tube 21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210.

상기 외부튜브(210)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내부튜브(220)는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튜브(220)는 직선으로 연장되다가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질 수 있다. The outer tube 210 is preferably made of a straight shape, the inner tube 220 may be bent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Specifically, the inner tube 220 may be bent whil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to form a curvature at one side.

상기 삽입툴(230)은 상기 내부튜브(220)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툴(230)은 상기 내부튜브(220) 일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삽입툴(230)은 점막하 박리술에서 제거해야 할 병변 조직에 직접 닿을 수 있는 부분이 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툴(230)은 상기 내부튜브(2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삽입툴(230)은 상기 내부튜브(22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The insertion tool 230 i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220, the insertion tool 230 is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220). The insertion tool 230 is to be a part that can directly contact the lesion tissue to be removed in submucosal dissection. The insertion tool 230 is a position that can be adjusted by the slide movement of the inner tube 220, the insertion tool 230 is a slide movement with the inner tube 220.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튜브(22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툴(230)이 돌출되는 돌출거리가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툴(230)과 상기 내부튜브(220)를 고정시키면, 상기 삽입툴(230)은 상기 내부튜브(220)와 함께 상기 외부튜브(210)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튜브(22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툴(230)의 돌출되는 돌출거리는 병변 조직의 위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즉, 병변 조직의 위치에 따라 상기 삽입툴(230)의 돌출거리를 먼저 고정시키고, 그 이후에 상기 삽입툴(230)과 상기 내부튜브(220)를 함께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insertion tool 230 and the inner tube 220 is fixed so that the protrusion distance from which the insertion tool 230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220 is fixed, the insertion tool 230 is The inner tube 220 slides along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210. In this case,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insertion tool 230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22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sion tissue, that is,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insertion tool 23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sion tissue. Fix the first, and then slide the insertion tool 230 and the inner tube 220 together.)

상기 내부튜브(220)는 상기 외부튜브(210)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내부튜브(220)가 상기 외부튜브(210)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부튜브(220)의 구부러진 일측부와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의 겹치는 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다. The inner tube 220 slides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210. As the inner tube 220 slides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210, one side of the inner tube 220 is bent. The overlapping distance of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may be chang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는 상기 내부튜브(220)의 강성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튜브(220)의 구부러진 일측부가 강성이 낮은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와 겹치게 되면,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는 상기 내부튜브(220)의 구부러진 일측부에 의해 함께 구부러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is formed lower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220. Therefore, when one side of the inner tube 220 overlaps with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having low rigidity,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is bent together by one side of the inner tube 220 that is bent. You lose.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튜브(220)의 일측부가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와 겹치는 길이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상기 외부튜브(210)와 상기 내부튜브(220)는 더 많이 꺾이게 된다. (상기 내부튜브(220)의 구부러진 일측부가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와 조금 겹치면 조금 꺾이게 되고, 상기 내부튜브(220)의 구부러진 일측부가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와 많이 겹치면 많이 꺾이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튜브(22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툴(230)이 돌출되는 돌출거리는, 상기 삽입툴(230)이 상기 내부튜브(220)의 일단으로 돌출되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9, as the length of one side portion of the inner tube 220 overlapping with the one side portion of the outer tube 210 increases, the outer tube 210 and the inner tube 220 further increase. I am bent a lot. (The bent one side of the inner tube 220 slightly bent when overlapped with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and the bent one side of the inner tube 220 overlaps a lot with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In this case, the protruding distance from which one end of the inner tube 220 protrudes from the one end of the inner tube 220 protrudes to one end of the inner tube 220 and moves through the slid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outer tube (210).)

즉, 상기 외부튜브(2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22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튜브(2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22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내부튜브(220)의 구부러진 일측부와 강성이 낮은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의 겹치는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내부튜브(220) 및 상기 삽입툴(230)의 꺾이는 굴곡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2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210, more specifically, b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2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210 By adjusting the overlapping length of one side of the inner tube 220 and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having low rigidity, the bending angle of the inner tube 220 and the insertion tool 230 can be adjusted. Will be.

다만, 여기서 상기 내부튜브(220)의 강성은 상기 삽입툴(230)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며,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의 강성은 상기 삽입툴(230)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툴(230)의 강성은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의 강성보다 낮은 것으로, 상기 삽입툴(230)의 강성이 가장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220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at of the insertion tool 230, and the rigidity of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at of the insertion tool 230. It is desirable to have. That is, the rigidity of the insertion tool 230 is lower than the rigidity of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rigidity of the insertion tool 230 is the lowest.

이는 상기 삽입툴(230)의 강성이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의 강성보다 높게 형성되면, 상기 내부튜브(220)의 구부러진 일측부가 강성이 낮은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와 겹치기 전부터 상기 삽입툴(230)에 의해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가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성이 약한 상기 외부튜브(210)의 일측부는 상기 삽입툴(230)에 의해서는 구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며, 상기 내부튜브(220)의 구부러진 부분에 의해서만 구부러질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means that when the rigidity of the insertion tool 230 is formed higher than the rigidity of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one bent side of the inner tube 220 overlaps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having low rigidity. This is because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may be bent by the insertion tool 230. Therefore, one side of the outer tube 210 having a weak rigidity has rigidity that is not bent by the insertion tool 230, and has rigidity enough to bend only by the bent portion of the inner tube 220. It is preferabl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상기 외부튜브(2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22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40)를 통해 상기 외부튜브(210)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22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내부튜브(220) 및 상기 삽입툴(230)이 꺾이는 굴곡각도 및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140)와 동일한 구성이며, 동일한 작동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240 for adjust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2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210. By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220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210 through the operation unit 240 can adjust the bending angle and the insertion depth of the inner tube 220 and the insertion tool 230. have. The operation unit 240 i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opera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ar operation that can be operated in the same operation method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Microsurgical too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점막하 박리술에서 병변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병변 조직의 위치에 따라 수술툴 등을 과도하게 회전을 해야 하거나, 다양한 각도로 수술툴을 조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술도구는 이와 같이 수술툴의 회전을 조절하거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수술툴을 조절하거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In order to remove the lesion tissue in submucosal dissection, it is necessary to excessively rotate the surgical too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sion tissue, or operate the surgical tool at various angles. However, the conventional surgical tool is not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can adjust the rotation or the angle of the surgical tool in this way, there was a difficulty in adjusting the surgical tool or the angle.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외부튜브에 대한 내부튜브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삽입툴이 꺾이는 굴곡각도 및 삽입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세 수술도구 전체를 돌리거나, 핸들을 통해 삽입툴을 돌림에 따라 삽입툴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는 이와 같은 각도 조절 및 회전을 통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병변 조직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owever,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bending angle and insertion position of the insertion tool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sertion tool can change the position according to turning the entire surgical tool, or turning the insertion tool through the handle. The microsurgic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asily removing lesion tissu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through the angle adjustment and rotation.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병변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절제 과정에서 수술도구 내에 포함되는 내시경의 시야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수술도구는 병변 조직의 위치에 따라 절제과정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수술도구는 병변 조직을 절제하기 위해 수술툴을 움직일 때, 내시경이 포함되는 수술도구를 조향함으로서 수술툴을 움직이게 되는데, 내시경이 포함되는 수술도구가 함께 움직임에 따라 병변 조직의 절제 과정에서 시야를 확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1, in order to remove the lesion tissue, the field of view of the endoscope included in the surgical tool must be secured during the resection process, the conventional surgical tool is difficult to secure the field of view of the res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lesion tissue There was this.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surgical tool moves the surgical tool by steering the surgical tool including the endoscope when the surgical tool is moved to resection the lesion tissue, the surgical tool including the endoscope is removed along the movement of the surgical tissue There is a difficulty in securing the view in the process.

그러나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100,200)는 내시경이 포함되는 수술도구(20)의 채널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내시경이 포함되는 수술도구(20)를 조향하지 않더라도(움직이지 않더라도), 미세 수술도구(100,200)를 움직임에 따라 병변 조직(10)을 절제할 수 있게 된다. 즉, 내시경이 포함되는 수술도구(20)의 조향성과 함께, 미세 수술도구(100,200) 자체의 조향성을 가지게 되면서, 고정된 시선에서 병변 조직(10)을 제거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수술도구(100,200)는 미세 수술도구(100,200)의 각도 조절 및 회전을 통해 병변 조직 절제 과정에서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owever, referring to FIG. 11, the microsurgical tool 100 o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erted into a channel of the surgical tool 20 including the endoscope, and in this case, the surgical tool 20 including the endoscope. Even if the steering is not (not moved), the lesion tissue 10 can be exci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icrosurgical instruments 100 and 200. That is, with the steering of the surgical tool 20 that includes the endoscope, while having the steering of the micro-surgical tools 100 and 200 itself, it is possible to work to remove the lesion tissue 10 from a fixed gaze. As described above, the microsurgical tool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advantage of facilitating securing the field of vision in the course of lesion tissue resection by adjusting and rotating the microsurgical tools 100 and 200.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10...외부튜브 120...내부튜브
130...삽입툴 140...조작부
150...프레임 151...중공부
152...손잡이 153...스프링 고정부
160...결합바 161...스프링
162...고정홈 170...핸들
180...고정핀 190...조작버튼
210...외부튜브 220...내부튜브
230...삽입툴 240...조작부
110 Inner tube 120 Inner tube
130 Insertion tool 140 Control panel
150 ... frame 151 ... hollow part
152 ... Handle 153 ... Spring Fixture
160 ... Combination Bar 161 ... Spring
162 Fixing groove 170 Handle
180 ... lock pin 190 ... operation button
210 Inner tube 220 Inner tube
230 ... insertion tool 240 ... control panel

Claims (16)

점막하 박리술에 사용되는 미세 수술도구에 있어서,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외부튜브;
관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튜브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튜브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는 내부튜브;
상기 내부튜브에 삽입되되, 상기 내부튜브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툴;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튜브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며,
상기 내부튜브의 슬라이드 이동을 조절하여 상기 외부튜브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튜브의 타단에서 상기 외부튜브와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내부튜브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결합바와, 상기 결합바에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공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의 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외부튜브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결합바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중공부 내부에 마련되는 스프링 고정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수술도구.
In the microsurgical instruments used for submucosal dissection,
An outer tube extending in a tubular shape;
An inner tube extending in a tubular shap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and capable of sliding in the outer tube, and bent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the insertion tool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includes;
The rigidity of the outer tube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at of the inner tube,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unit for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relative to the outer tube by adjust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inner tube,
The operation portion,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side, is coupl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coupled to the outer tube at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the coupling ba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and extends from the coupling bar, It comprises a handl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ortion,
By operat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can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The op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fitted to the coupling bar and a spring fixing part provided inside the hollow part of the frame, and one end of the spring contacts the spring fix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은 상기 삽입툴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수술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is a microsurgical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igidity higher than the rigidity of the insertion too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툴은,
상기 내부튜브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툴이 돌출되는 돌출거리가 고정되면서, 상기 내부튜브와 함께 상기 외부튜브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수술도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insertion tool,
And a protrusion distance from which the insertion tool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and slides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together with the inner tub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핸들의 위치 조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수술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a fine surgical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in is provided to fix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삽입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수술도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unit is a fine surgical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button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tool.
점막하 박리술에 사용되는 미세 수술도구에 있어서,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외부튜브;
관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튜브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튜브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일측부에서 곡률을 형성하면서 구부러져 있는 내부튜브;
상기 내부튜브에 삽입되되, 상기 내부튜브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툴;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튜브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되, 상기 외부튜브의 일측부의 강성은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며,
상기 내부튜브의 슬라이드 이동을 조절하여 상기 외부튜브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튜브의 타단에서 상기 외부튜브와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내부튜브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결합바와, 상기 결합바에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공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의 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외부튜브에 대한 상기 내부튜브의 상대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결합바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중공부 내부에 마련되는 스프링 고정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고정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수술도구.
In the microsurgical instruments used for submucosal dissection,
An outer tube extending in a tubular shape;
An inner tube extending in a tubular shape,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and capable of sliding in the outer tube, and bent while forming a curvature at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the insertion tool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includes;
The rigidity of the outer tube has a higher rigidity than that of the inner tube, the rigidity of one side of the outer tube has a lower rigidity than the rigidity of the inner tube,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unit for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relative to the outer tube by adjust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inner tube,
The operation portion,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side, is coupl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tube coupled to the outer tube at the other end of the outer tube, the coupling ba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and extends from the coupling bar, It comprises a handl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ortion,
By operat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can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outer tube,
The op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fitted to the coupling bar and a spring fixing part provided inside the hollow part of the frame, and one end of the spring contacts the spring fixing 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튜브의 강성은 상기 삽입툴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며, 상기 외부튜브의 일측부의 강성은 상기 삽입툴의 강성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수술도구.
The method of claim 9,
The stiffness of the inner tube has a rigidity higher than the stiffness of the insertion tool, the stiffness of one side of the outer tube has a stiffness higher than the stiffness of the insertion too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툴은,
상기 내부튜브 일단으로부터 상기 삽입툴이 돌출되는 돌출거리가 고정되면서, 상기 내부튜브와 함께 상기 외부튜브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수술도구.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sertion tool,
And a projection distance from which the insertion tool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inner tube, and slides the outer tube together with the inner tub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핸들의 위치 조작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수술도구.
The method of claim 9,
The frame is a fine surgical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in is provided to fix the position manipulation of the hand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삽입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버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수술도구.
The method of claim 9,
The operation unit is a fine surgical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button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tool.
KR1020180027599A 2018-03-08 2018-03-08 Micro Surgical Instrument KR102070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99A KR102070891B1 (en) 2018-03-08 2018-03-08 Micro Surgical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599A KR102070891B1 (en) 2018-03-08 2018-03-08 Micro Surgical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10A KR20190106310A (en) 2019-09-18
KR102070891B1 true KR102070891B1 (en) 2020-01-29

Family

ID=6807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599A KR102070891B1 (en) 2018-03-08 2018-03-08 Micro Surgical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89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846B1 (en) 2013-08-27 2015-02-11 해림씨앤씨 주식회사 Apparatus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KR101667933B1 (en) 2014-07-18 2016-10-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ube continuum robot having a tube body capable of linea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25Y2 (en) * 1987-11-25 1995-06-1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Gripping device
CA2050868C (en) * 1990-10-05 2002-01-01 Ernie Aranyi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AU2005203521B2 (en) * 2004-09-28 2011-11-17 Ethicon Endo-Surgery Applier having automated release of surgical device
US8336751B2 (en) * 2006-10-06 2012-12-25 Covidien Lp Grasping jaw mechanism
KR101859702B1 (en) * 2010-05-19 2018-05-18 주식회사 미래컴퍼니 Surgical instrument
DE102011007121A1 (en) * 2011-04-11 2012-10-11 Karl Storz Gmbh & Co. Kg Handling device for a micro-invasive-surgical instrument
DE102012008970B3 (en) * 2012-05-03 2013-06-27 Joimax Gmbh Surgical tooling
KR101364053B1 (en) * 2012-08-03 2014-02-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Guide Tube for Microsurgical Instruments
EP3068319A1 (en) * 2013-11-14 2016-09-21 Smith&Nephew, Inc. Hand tool attachment assembly
KR101801027B1 (en) * 2015-11-20 2017-11-27 박익로 Electro-surgic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846B1 (en) 2013-08-27 2015-02-11 해림씨앤씨 주식회사 Apparatus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KR101667933B1 (en) 2014-07-18 2016-10-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Tube continuum robot having a tube body capable of linear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10A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2269B1 (en) High-frequency knife and endoscopic apparatus
EP2108326B1 (en) High-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US7125408B2 (en) High-frequency knife
US8016825B2 (en) Radio knife
JP5815165B1 (en) Vaginal wall incision tool
US20040172018A1 (e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US20030176859A1 (en) Tissue cutting and retrieval device and method
JP2009504201A (en) Anchored radio frequency ablation device for destroying tissue swelling
KR20100117558A (en) Anchored rf ablation device for the destruction of tissue masses
GB2550680B (en) Electrode assembly
EP1864623B1 (e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and endoscope system
KR101672992B1 (en) Snare
CN108135442B (e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cover
CN110730636B (en) Mixing knife for endoscope
US20220354527A1 (en) Soft tissue cutting device with bowing mechanism
JP4414669B2 (en) Endoscopic cutting tool
EP1862121B1 (en) High-frequency treatment instrument
KR102070891B1 (en) Micro Surgical Instrument
JP2005204998A (en) Forceps for endoscope
US10765444B2 (en) Medical instrument for ablation of tissue
KR102076622B1 (en) Detachable current connection device for medical snare and medical snare using it
JP4503038B2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JP2008253352A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JP4320194B2 (en) Endoscopic high frequency knife
KR102364670B1 (en) Surgical manip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