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309B1 -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309B1
KR102062309B1 KR1020130060234A KR20130060234A KR102062309B1 KR 102062309 B1 KR102062309 B1 KR 102062309B1 KR 1020130060234 A KR1020130060234 A KR 1020130060234A KR 20130060234 A KR20130060234 A KR 20130060234A KR 102062309 B1 KR102062309 B1 KR 102062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isplay
electronic device
data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764A (ko
Inventor
김영리
한봉희
홍유진
박원규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0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309B1/ko
Priority to US14/289,189 priority patent/US20140359436A1/en
Publication of KR2014013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764A/ko
Priority to US15/857,080 priority patent/US2018012102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제1응용프로그램 표시 후,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WINDOW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고정한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보장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전자 장치는 음성 및 영상 통화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다수의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가장 최근에 구동한 응용프로그램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 경우, 현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 이전에 구동한 응용프로그램으로 작업 전환이 필요한 경우, 전자 장치 사용자는 다수 번의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 장치에서는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고정하는 기능(Pin-up)을 제공한다.
하지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101) 및 메모 응용프로그램(121)이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스케쥴 응용프로그램(153)이 구동된 경우, 전자 장치 사용자는 스케쥴 응용프로그램(153)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101) 및 메모 응용프로그램(121)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이때, 전자 장치 사용자가 스케쥴 응용프로그램(15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101) 및 메모 응용프로그램(121)의 표시를 해제하는 동작을 선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고정된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고정한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고정한 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고정한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기 위한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고정한 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한 응용프로그램의 갱신 내역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최소화하여 표시한 응용프로그램의 갱신 내역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이전 표시 상태로 복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최소화하여 표시한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이전 표시 상태로 복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제1응용프로그램 표시 후,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응용프로그램 표시 후,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제1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에 표시 중인 응용프로그램 외에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된 경우, 최상위에 표시 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새롭게 구동된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에 표시 중인 응용프로그램 외에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는 경우에 대한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다수 개의 응용프로그램들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 및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각각의 표시 필요 영역을 고려하여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 및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 및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각각의 표시 필요 영역을 고려하여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 및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다수 개의 응용프로그램들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다수 개의 응용프로그램들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다수 개의 응용프로그램들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에 표시되도록 고정한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보장하기 위한 기술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내비게이션, 디지털 시계, 냉장고 및 MP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220), 오디오 처리부(230), 통신 시스템(240), 입출력 제어부(250), 표시부(260) 및 입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200)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는 각각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21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2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으로부터 제공받은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최상위 표시 모드의 설정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211)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프로그램(213),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2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2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표시부(260) 상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에 의해 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에 의해 다수 개의 응용프로그램을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에 의해 최소화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시각적 피드백을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에 의해 최소화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이름, 최소화 메뉴, 최대화 메뉴, 종료 메뉴, 최상위 표시 모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은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은 제1응용프로그램 외에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제2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된 경우,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을 통해 제1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을 통해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은 제1응용프로그램 외에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제2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된 경우,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은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필요 영역(최소 표시 가능 영역)을 고려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을 통해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은 최소화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갱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은 촉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및 시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알림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표시 형태 복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은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을 통해 이전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 형태 복귀 이벤트는,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 이외의 응용프로그램 종료 및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한 영역에 대한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215)은 전자 장치(2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2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2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2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2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4)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221)는 프로세서(2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4)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210) 접근을 제어한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4)는 전자 장치(2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2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221)의 연결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200)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222)는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는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을 실행하여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스피커(231) 및 마이크로폰(23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2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시스템(240)은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시스템(240)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250)는 표시부(260) 및 입력부(27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4)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260)는 전자장치(2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프로세서(222)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GUI 프로그램(213)의 제어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GUI 프로그램(213)의 제어에 따라 다수 개의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GUI 프로그램(213)의 제어에 따라 최소화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시각적 피드백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GUI 프로그램(213)의 제어에 따라 최소화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이름, 최소화 메뉴, 최대화 메뉴, 종료 메뉴, 최상위 표시 모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2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220)으로 제공한다. 이때, 입력부(27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70)는 터치 패드를 통해 감지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프로세서(222)로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2)는 화면 구성부(300), 표시 제어부(310) 및 응용프로그램 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화면 구성부(300)는 프로그램 저장부(211)의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을 실행하여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 화면 구성부(300)는 제1응용프로그램 외에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제2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된 경우, 화면 구성부(300)는 표시 제어부(310)을 통해 제1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화면 구성부(300)는 표시 제어부(310)을 통해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 화면 구성부(300)는 제1응용프로그램 외에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제2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된 경우, 화면 구성부(300)는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필요 영역(최소 표시 가능 영역)을 고려하여 표시 제어부(310)을 통해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구성부(300)는 최소화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갱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화면 구성부(300)는 촉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및 시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알림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표시 형태 복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화면 구성부(300)는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을 표시 제어부(310) 통해 이전 표시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시 형태 복귀 이벤트는,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 이외의 응용프로그램 종료 및 응용프로그램을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한 영역에 대한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310)는 프로그램 저장부(21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을 실행하여 표시부(260) 상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310)는 화면 구성부(310)에 의해 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310)는 화면 구성부(310)에 의해 다수 개의 응용프로그램을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310)는 화면 구성부(310)에 의해 최소화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해 시각적 피드백을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310)는 화면 구성부(310)에 의해 최소화하여 표시중인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이름, 최소화 메뉴, 최대화 메뉴, 종료 메뉴, 최상위 표시 모드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화면 구성부(300)는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을 실행하여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제어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화면 구성 프로그램(214)을 포함하는 별도의 화면 구성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401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 표시 후,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 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을 표시한 후, 상태바(621)에서 응용프로그램 목록 표시 메뉴(62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프로그램 목록(63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의 목록(631)을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보이도록 중첩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 목록(63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응용프로그램 목록(631)에서 "Phone"(63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만일,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의 메뉴바(603)에 아이콘(605)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403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603)를 제외한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고 바탕화면(641)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405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화 응용프로그램(65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절차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means)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의 최상위 표시 모드를 확인하는 제1수단(411), 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하는 제2수단(413) 및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제3수단(4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단(411)은, 제1응용프로그램 표시 후,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 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을 표시한 후, 상태바(621)에서 응용프로그램 목록 표시 메뉴(62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프로그램 목록(63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의 목록(631)을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보이도록 중첩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 목록(63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응용프로그램 목록(631)에서 "Phone"(63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만일,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의 메뉴바(603)에 아이콘(605)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수단(413)은, 제1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603)를 제외한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고 바탕화면(641)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3수단(415)은,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화 응용프로그램(65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을 하나의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501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표시부에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의 메뉴바(menu bar)(603)에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의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60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최상위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뉴바(603)를 통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의 표시를 최소화(607), 최대화(609), 종료(611)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최상위 표시 모드는 표시부에 표시된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레이어의 위치를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 레이어의 위치보다 우선하여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503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바(621)에서 응용프로그램 목록 표시 메뉴(62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프로그램 목록(63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의 목록(631)을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보이도록 중첩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 목록(63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503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예를 들어,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505동작으로 진행하여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프로그램 목록(631)에서 "Phone"(63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만일,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의 메뉴바(603)에 아이콘(605)을 표시할 수도 있다.
만일, 505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가 아닌 경우, 전자 장치는 509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한편, 505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507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6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603)를 제외한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고 바탕화면(641)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509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화 응용프로그램(65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추가적으로, 제2응용프로그램이 종료된 경우, 전자 장치는 최소화 표시된 제1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 표시되기 이전의 표시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멀티 윈도우 환경에서 다수 개의 제1응용프로그램들을 표시한 후, 제2응용프로그램의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면 다수 개의 제1응용프로그램들을 최소화 표시하고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표시부에 인터넷 응용프로그램(701) 및 메모 응용프로그램(721)을 멀티 윈도우로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701)의 메뉴바(menu bar)(703)에 인터넷 응용프로그램(701)의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70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최상위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뉴바(703)를 통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701)의 표시를 최소화(707), 최대화(709), 종료(711)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모 응용프로그램(721)의 메뉴바(menu bar)(723)에 메모 응용프로그램(721)의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72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최상위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뉴바(723)를 통해 메모 응용프로그램(721)의 표시를 최소화(727), 최대화(729), 종료(731)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바(741)에서 응용프로그램 목록 표시 메뉴(74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프로그램 목록(75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의 목록(751)을 인터넷 응용프로그램(701) 및 메모 응용프로그램(721)이 보이도록 중첩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 목록(651)에서 "Phone"(75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701) 및 메모 응용프로그램(72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인터넷 응용프로그램(701) 및 메모 응용프로그램(721)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703) 및 메모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723)를 제외한 인터넷 응용프로그램 및 메모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고 바탕화면(761)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전화 응용프로그램(711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시에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제1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한 후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시에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제1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하는 동작과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시에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 후 제1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 및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각각의 표시 필요 영역을 고려하여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 및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801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표시부에 동영상 응용프로그램(901)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동영상 응용프로그램(901)의 메뉴바(menu bar)(903)에 동영상 응용프로그램(901)의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90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최상위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뉴바(903)를 통해 동영상 응용프로그램(901)의 표시를 최소화(907), 최대화(909), 종료(911)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803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에 표시된 상태바(921)에서 응용프로그램 목록 표시 메뉴(92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프로그램 목록(93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의 목록(931)을 동영상 응용프로그램(901)이 보이도록 중첩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 목록(90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803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예를 들어,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응용프로그램(901)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805동작으로 진행하여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프로그램 목록(931)에서 "파일 탐색기"(93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동영상 응용프로그램(9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만일, 동영상 응용프로그램(9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동영상 응용프로그램(901)의 메뉴바(903)에 아이콘(905)을 표시할 수도 있다.
만일, 805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가 아닌 경우, 전자 장치는 809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한편, 805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807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필요 영역을 확인한다. 여기서, 표시 필요 영역은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들 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필요 영역을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809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응용프로그램(901) 및 파일 탁색기 응용프로그램(95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추가적으로,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의 표시 필요 영역을 확인하는 동작에서 표시부에 제1응용프로그램 및 제2응용프로그램을 동시에 표시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는 제1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001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표시부에 사진첩 응용프로그램(11001)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사진첩 응용프로그램(1101)의 메뉴바(menu bar)(1103)에 사진첩 응용프로그램(1101)의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110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최상위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뉴바(1103)를 통해 사진첩 응용프로그램(1101)의 표시를 최소화(1107), 최대화(1109), 종료(1111)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1003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의 팝업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제2응용프로그램의 팝업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1001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응용프로그램의 팝업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1005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의 팝업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진첩 응용프로그램(1101) 위에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131)을 표시한다.
제2응용프로그램의 팝업을 표시한 후, 전자 장치는 1007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에서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131)을 표시한 후, 전자 장치는 사진첩 응용프로그램(1101)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진 폴더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제1응용프로그램에서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1005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의 팝업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제1응용프로그램에서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1009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첩 응용프로그램(1101)에서 제1폴더(1141)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13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이때,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13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1131)의 메뉴바(1135)에 아이콘(1133)을 표시할 수도 있다.
만일, 1009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의 팝업이 최상위 표시 모드가 아닌 경우, 전자 장치는 1013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의 팝업을 표시한다.
한편, 1009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의 팝업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1011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의 팝업을 최소화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13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의 메뉴바(1035)를 제외한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의 표시를 최소화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1013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의 팝업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진첩 응용프로그램에서 선택된 폴더(104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1051)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201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의 팝업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바탕 화면(1301) 표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팝업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제1응용프로그램의 팝업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제1응용프로그램의 팝업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1203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의 팝업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311)을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311)의 메뉴바(menu bar)(1313)에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311)의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131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최상위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뉴바(1313)를 통해 메시지 응용프로그램(1311)의 표시를 최소화(1317), 최대화(1319), 종료(1321)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1205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바탕화면(1301)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1203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응용프로그램 구동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1207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화면(1301)에서 "Internet"(1323)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31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이때,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31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311)의 메뉴바(1313)에 아이콘(1315)을 표시할 수도 있다.
만일, 1207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가 아닌 경우, 전자 장치는 1211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한편, 1207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1209동작에서 제1응용프로그램 팝업을 최소화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131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의 메뉴바(1313)를 제외한 메시지 응용프로그램 팝업의 표시를 최소화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1211동작에서 제2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1331)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최상위 표시 모드로 동작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하여 새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401동작에서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표시부에 인터넷 응용프로그램(1501) 및 메모 응용프로그램(1521)을 멀티 윈도우로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인터넷 응용프로그램(1501)의 메뉴바(menu bar)(1503)에 인터넷 응용프로그램(1501)의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150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최상위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뉴바(1503)를 통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1501)의 표시를 최소화(1507), 최대화(1509), 종료(1511)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모 응용프로그램(1521)의 메뉴바(menu bar)(1523)에 메모 응용프로그램(1521)의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152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상위 표시 모드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최상위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메뉴바(1523)를 통해 메모 응용프로그램(1521)의 표시를 최소화(1527), 최대화(1529), 종료(1531)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한 후, 전자 장치는 1403동작에서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1401동작에서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유지한다.
한편, 호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1405동작에서 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지 확인한다.
만일, 1405동작에서 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가 아닌 경우, 전자 장치는 1409동작에서 전화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되는 호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1405동작에서 응용프로그램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1407동작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최소화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150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1503)를 제외한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한다. 또한, 메모 응용프로그램(1521)이 최상위 표시 모드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1523)를 제외한 메모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1409동작에서 전화 응용프로그램(1551)을 통해 수신되는 호 정보를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전화 응용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알람, 타이머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우선 순위를 가지는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를 제외한 응용프로그램의 표시를 최소화한다. 이때, 최소화 표시된 응용프로그램에서 업데이트된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최소화 표시된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를 시각적인 변화(예, 색 변화, 밝기 변화)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소화 표시된 응용프로그램의 업데이트된 내역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소화 표시된 응용프로그램의 업데이트된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진동으로 알림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최소화 표시된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는 최상위 표시 모드 아이콘, 최소화 아이콘, 최대화 아이콘 및 종료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최소화 표시된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최소화 표시된 응용프로그램의 이전 표시 상태를 고려하여 최소화 표시된 응용프로그램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크기의 제1 영역에 제1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이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지정된 종횡비로 표시되고,
    이벤트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제1 데이터에 중첩하여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제2 영역에 상기 지정된 종횡비로 상기 제1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과 구별되는 제3 영역에 제2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기는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크기를 가지는 제1 윈도우의 전체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크기를 가지는 제2 윈도우의 전체 영역인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동적 이미지 데이터인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크기는, 상기 지정된 종횡비로 상기 제1 데이터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최소 크기인 방법.
  6.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제1 크기의 제1 영역에 제1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이고, 상기 제1 데이터는 지정된 종횡비로 표시되고,
    이벤트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제1 데이터에 중첩하여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여기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구별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제2 영역에 상기 지정된 종횡비로 상기 제1 데이터를 표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과 구별되는 제3 영역에, 제2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기는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크기를 가지는 제1 윈도우의 전체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크기를 가지는 제2 윈도우의 전체 영역인 전자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동적 이미지 데이터인 전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크기는 상기 지정된 종횡비로 상기 제1 데이터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최소 크기인 전자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30060234A 2013-05-28 2013-05-28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6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234A KR102062309B1 (ko) 2013-05-28 2013-05-28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289,189 US20140359436A1 (en) 2013-05-28 2014-05-28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5/857,080 US20180121027A1 (en) 2013-05-28 2017-12-28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234A KR102062309B1 (ko) 2013-05-28 2013-05-28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764A KR20140139764A (ko) 2014-12-08
KR102062309B1 true KR102062309B1 (ko) 2020-01-03

Family

ID=5198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234A KR102062309B1 (ko) 2013-05-28 2013-05-28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40359436A1 (ko)
KR (1) KR102062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3755S1 (en) * 2013-07-31 2015-07-07 Sears Brand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set of icons
USD733743S1 (en) * 2013-08-01 2015-07-07 Sears Brand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set of icons
USD759701S1 (en) * 2014-09-11 2016-06-21 Korean Airlines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6055190B (zh) 2015-04-16 2021-03-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经由显示器的部分提供信息的设备和方法
KR102503942B1 (ko) * 2015-04-16 2023-0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055327B (zh) * 2016-05-27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9445572B (zh) 2018-09-10 2023-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全屏显示视频中快速调出小窗口的方法、图形用户接口及终端
US11199944B2 (en) * 2018-09-24 2021-12-14 Salesforce.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within widget-sized browser panels
CN109445740B (zh) * 2018-09-30 2022-05-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830645B (zh) * 2019-09-24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操作方法和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955480B (zh) * 2019-11-20 2024-02-23 北京金山猎豹科技有限公司 一种视图显示方法和装置
CN115705569A (zh) * 2021-08-12 2023-02-17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0539A1 (en) 2005-11-28 2007-06-07 Buffal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20130078973A1 (en) 2011-09-28 2013-03-28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7395B1 (en) * 2000-01-04 2005-10-18 Apple Computer, Inc. Computer interface having a single window mode of operation
DE102005009105A1 (de) * 2005-02-28 2006-09-07 Siemens Ag Verfahren und Verwalten einer Anzeigeeinrichtung
US7577918B2 (en) * 2005-07-15 2009-08-18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expression of a state of an application window
US20080278441A1 (en) * 2007-05-07 2008-1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er control in a playback mode
KR101842198B1 (ko) * 2010-04-08 201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0737B1 (ko) * 2010-04-06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E202011110735U1 (de) * 2010-04-06 2015-12-10 Lg Electronics Inc. Mobiles Endgerät
US8458615B2 (en) * 2010-04-07 2013-06-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0539A1 (en) 2005-11-28 2007-06-07 Buffal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20130078973A1 (en) 2011-09-28 2013-03-28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21027A1 (en) 2018-05-03
KR20140139764A (ko) 2014-12-08
US20140359436A1 (en)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309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275484B2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operating systems installed therein, and the device
KR102008916B1 (ko) 미확인 콘텐츠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9683837B (zh) 分屏显示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174155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US9372614B2 (en) Automatic enlargement of viewing area with selectable objects
US11119651B2 (en) Method for displaying multi-task management interface,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EP2763131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figuring screen
US20200278775A1 (en) Managing a Plurality of Free Windows in Drop-Down Menu of Notification Bar
KR102085309B1 (ko) 전자 장치에서 스크롤 장치 및 방법
CN102112953B (zh) 信息处理设备
US9342325B2 (en) Synchronizing launch-configuration information between first and second application environments that are operable on a multi-modal device
EP3651008B1 (en) Method for display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138192A1 (en) Method for processing 3d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53745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notification
KR20140113056A (ko) 전자 장치에서 줌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144056A (ko) 객체 편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205821B2 (en) Mobile phone,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40092700A (ko) 전자 장치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81389B1 (ko)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8130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42815B1 (ko) 전자 장치에서 시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6504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전환에 따른 웹브라우저 제어 방법
KR20150132755A (ko) 앱/웹 구동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KR20150136154A (ko) 단말장치에서의 화면 출력방법과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