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551B1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551B1
KR101741551B1 KR1020100130649A KR20100130649A KR101741551B1 KR 101741551 B1 KR101741551 B1 KR 101741551B1 KR 1020100130649 A KR1020100130649 A KR 1020100130649A KR 20100130649 A KR20100130649 A KR 20100130649A KR 101741551 B1 KR101741551 B1 KR 10174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obile terminal
terminal
shared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209A (ko
Inventor
홍지표
이주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551B1/ko
Priority to US13/241,190 priority patent/US20120159472A1/en
Priority to EP11008832.5A priority patent/EP2466921B1/en
Priority to CN201110356919.0A priority patent/CN102572096B/zh
Publication of KR2012006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여 구동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단말기가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복수의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및 관리 동작을 각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가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복수의 단말기는 해당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단말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및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복수의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이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단말에서 나머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단말에서 다른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지시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정된 단말기가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의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어느 단말기(특히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하여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둘째,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복수의 단말기 중 어느 단말기(특히 이동 단말기)에서 다른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어 대상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제어 대상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셋째, 화면상에 표시되는 공유 지시자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기에 대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공통 설정 및 공통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복수의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공유 대상 기기 또는 공유 대상 상대방을 지정하는 화면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공유 조건을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
도 5f 내지 도 5h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획득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 구성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복수의 공유 기기들 각각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각각의 페이지를 이용하여 식별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복수의 공유 기기들 각각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각각의 태그 또는 각각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하나의 기기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복수의 페이지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화면 구성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복수의 공유 사용자들 각각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해당 사용자가 식별 되도록 표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특정 공유 기기 또는 특정 공유 사용자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공유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공유 지시자에 해당하는 공유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에 해당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공통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공통 설정을 해제하는 화면 구성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시 공유 대상 기기를 지정하는 화면 구성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관련하여 내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유 대상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제어하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 기능 또는 소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이동 단말기에 디폴트 설정되어 있거나 외부 단말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내려받아 이동 단말기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는, 날씨 관련 애플리케이션,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 쇼핑 관련 애플리케이션, 주식 관련 애플리케이션, 일정 관리 관련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는, 단말기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정보로서,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애플리케이션 제공 소스 정보(예를 들어, URL, 제공 서버 주소 등),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정보, 애플리케이션 내용 정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단말기(들)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뿐만 아니라 외부 단말기(들)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들) 간에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제 1 단말기(100)로, 외부 단말기(들)를 제 2 및 제 3 단말기(210, 220)로 칭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3 단말기(100, 210, 220)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기로 상호 설정된 단말기들일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단말기(100, 210, 220)는, 서버(250)를 거치지 않고 공유 설정 과정을 직접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서버(250)에 접속하여 공유 설정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전화번호부상에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상호 또는 일방 등록된 단말기들 또는 다른 통신 서비스(예를 들어 IMS 서비스 등)를 상호 수행하기로 기 등록된 단말기들 간에는, 별도의 공유 설정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단말기(100, 210, 220)는, 기기별 또는 사용자별로 구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1 내지 제 3 단말기(100, 210, 220)는, 기기별로 구별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기기를 의미하고, 사용자별로 구별되는 경우 각각의 단말기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이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S310).
여기에서, 복수의 단말기들 간에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기로 상호 약속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는, 기기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외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또는 상대방)를 의미할 수도 있다.
획득 단계(S31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공유 대상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지정할 수 있고, 상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4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대상 지정을 위한 메뉴 항목 리스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내 기기와 공유(401)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다른 기기(들)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고, 다른 사람과 공유(402)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 외 다른 사용자(엄밀히 말하면, 다른 사용자의 사용 범위 권한 내에 있는 기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기 위한 메뉴 항목일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서 다른 내 기기와 공유(401)가 선택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4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기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창을 통하여 기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정보에는, 제품 타입(또는 기기 타입) 또는 기기 고유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a).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기기 정보가 입력된 기기를 공유 대상 기기로 지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 영역(Camera)(411)이 선택되는 경우 카메라(121)를 활성화하여 카메라(12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에 포함된 기기를 공유 대상 기기로 지정할 수 있고, 추가 영역(More)(412)이 선택되는 경우 복수 개의 기기를 공유 대상 기기로 지정하기 위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대상 기기를 포함하는 공유 대상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기로 지정된 공유 대상 기기에는, TV, PC 및 노트북이 포함됨을 알 수 있고, 노트북의 경우 새로 지정되었음(New)을 알 수 있다{4b(a) 참조)}.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삭제 영역(413)이 선택되는 경우 특정 공유 대상 기기를 공유 대상 기기 리스트로부터 삭제하여 특정 공유 대상 기기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더 이상 공유하지 않을 수 있고, 추가 설정 영역(414)이 선택되는 경우 공유 대상 기기를 더 지정하기 위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도 4b(a) 참조}.
도 4c는, 도 4a에서 다른 사람과 공유(402)가 선택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4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상대방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창을 통하여 상대방 정보(421)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 정보에는, 상대방을 사용자로 등록한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또는 고유 번호, 시리얼 번호 등),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상대방 명칭 등이 포함될 수 있다(a).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대방 정보가 입력된 상대방을 공유 대상 상대방으로 지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전화부 검색 영역(422)이 선택되는 경우 전화번호부 상에 그것의 상대방 정보가 등록된 복수의 상대방들 중 공유 대상 상대방을 지정할 수 있고, 최근 기록 검색 영역(423)이 선택되는 경우 최근 통화 기록이 존재하는 복수의 상대방들 중 공유 대상 상대방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추가 영역(More)(424)이 선택되는 경우 복수의 상대방을 공유 대상 상대방으로 지정하기 위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지정된 공유 대상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대상 상대방을 포함하는 공유 대상 상대방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예를 들어, 공유 대상 상대방은, 공유 대상 상대방 리스트 상에서 해당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해당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등록된 상대방 정보(예를 들어, 명칭, 사진, 별명, 이름 등)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대방 정보는, 전화번호 상에 등록된 상대방 정보뿐만 아니라 공유 대상 상대방 지정 과정에서 등록된 상대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삭제 영역(425)이 선택되는 경우 특정 공유 대상 상대방을 공유 대상 상대방 리스트로부터 삭제하여 특정 공유 대상 상대방과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더 이상 공유하지 않을 수 있고, 추가 설정 영역(426)이 선택되는 경우 공유 대상 상대방을 더 지정하기 위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도 4c(a) 참조}.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지정된 공유 대상 상대방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대상 상대방에 해당하는 상대방 단말기로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공유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공유 허락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상대방 단말기 또는 그것의 사용자를 공유 대상 상대방으로 지정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획득 단계(S31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공유 조건을 설정받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설정된 공유 조건에 상응하도록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5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설정 가능한 공유 조건들을 포함하는 공유 조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조건 리스트에는, 공유 시간대 설정의 메뉴 항목(501), 공유 장소 설정의 메뉴 항목(502), 공유 제한 설정의 메뉴 항목(503), 관심 애플리케이션 설정의 메뉴 항목(50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5a의 공유 조건 리스트 중 공유 시간대 설정의 메뉴 항목(501)이 선택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시간대(이하 공유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전체 영역(511)이 선택되면 상기 설정된 공유 시간대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공유 대상 기기 또는 공유 대상 상대방을 포함함)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모두 공유할 수 있고, 상대방 영역(512)이 선택되면 상기 설정된 공유 시간대에서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만을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영역(513)이 선택되면 상기 설정된 공유 시간대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만을 공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추가 설정 영역(514)이 선택되면 공유 시간대를 추가 설정할 수 있고, 리스트 영역(515)이 선택되면 공유 시간대(들)로 구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설정된 공유 시간대 동안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대상 기기별로 또는 공유 대상 상대방별로 공유 시간대를 설정할 수도 있다(도 4b 및 도 4c 참조).
도 5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5a의 공유 조건 리스트 중 공유 장소 설정의 메뉴 항목(502)이 선택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장소(이하 공유 장소)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 단말기가 "학교"에 위치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공유 장소를 입력할 수 있다(예를 들어, 행정 주소 입력, 주소 검색을 통한 입력, 기 방문한 장소 입력, POI(Point Of Interest) 입력 등).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전체 영역(521)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공유 대상 기기 또는 공유 대상 상대방을 포함함)가 모두 공유 장소에 위치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상대방 영역(522)이 선택되면 외부 단말기가 공유 장소에 위치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영역(523)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가 공유 장소에 위치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추가 설정 영역(524)이 선택되면 공유 장소를 추가 설정할 수 있고, 리스트 영역(525)이 선택되면 공유 장소(들)로 구성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 단말기가 상기 설정된 공유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 단말기가 공유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더 이상 공유할 수 없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대상 기기별로 또는 공유 대상 상대방별로 공유 장소를 설정할 수도 있다(도 4b 및 도 4c 참조).
도 5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5a의 공유 조건 리스트 중 공유 제한 설정의 메뉴 항목(503)이 선택된 경우, 공유 대상 기기, 공유 대상 상대방 또는 공유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한 조건을 포함하는 제한 조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한 조건 리스트로부터 공유 기기 제한(531)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자 하는 기기(공급 제한) 또는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자 하는 기기(수여 제한)를 지정할 수 있다(도 4b의 공유 대상 기기 지정 과정 참조).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한 조건 리스트로부터 공유 상대방 제한(53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자 하는 상대방(공급 제한) 또는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자 하는 상대방(수여 제한)을 지정할 수 있다(도 4c의 공유 대상 상대방 지정 과정 참조).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한 조건 리스트로부터 공유 애플리케이션 제한(533)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 설정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그것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자 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할 수 있다.
도 5e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도 5a의 공유 조건 리스트 중 관심 애플리케이션 설정의 메뉴 항목(504)이 선택되면,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는, 건강, 주식, 게임, 인터넷 검색, 미용, 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속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에 속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획득 단계(S31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획득 명령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 명령 신호는, 해당 키 영역에 대한 터치, 해당 키의 조작, 해당 메뉴 항목의 선택, 해당 단말기 움직임 감지 등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대기 화면의 일 영역 또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의 표시 화면의 일 영역에 획득 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키 영역에 대한 터치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121)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21)가 향해 있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상기 입력된 영상 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각각의 표시 위치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 내에서 해당 외부 단말기가 위치하거나 위치할 거라고 예상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그것의 식별자가 표시되는 외부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구비한 외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공유 대상 기기 또는 공유 대상 상대방으로 지정된 외부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획득 단계(S310)에서 카메라(121)가 향해 있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표시자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획득 단계(S310)에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거나 제어부(180)에 의해 임의로 지정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외부 단말기의 거리는, 위치 정보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4) 등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그것의 식별자가 표시되는 외부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구비한 외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공유 대상 기기 또는 공유 대상 상대방으로 지정된 외부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5f 내지 도 5h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5f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획득 대상을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핸드폰 정보가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핸드폰 정보+내 다른 기기 정보가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 및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다른 기기(들)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내 정보+다른 사람 정보가 선택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다른 기기 포함 가능)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다른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기 포함 가능)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도 5g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 내에서, 제 1 및 제 2 외부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 1 및 제 2 식별자(551, 552)를 표시하거나(a), 제 3 내지 제 5 외부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 3 내지 제 5 식별자(561 내지 563)를 표시할 수 있다(b).
이때, 제 1 및 제 2 외부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기기(또는 내 다른 기기)에 해당하고, 제 3 내지 제 5 외부 단말기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기기(또는 상대방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식별자(551, 552)로서 해당 기기의 이미지, 명칭, 고유 번호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제 3 내지 제 5 식별자(561 내지 563)로서 해당 기기의 전화번호부 상 등록 명칭/등록 이미지/등록 전화번호, 해당 기기의 전화 번호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h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자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 1 내지 제 3 외부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 1 내지 제 3 식별자(571 내지 573)를 표시하거나(a), 제 4 내지 제 6 외부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 4 내지 제 6 식별자(581 내지 583)를 표시할 수 있다(b).
이때, 제 1 내지 제 3 외부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기기(또는 내 다른 기기)에 해당하고, 제 4 내지 제 6 외부 단말기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기기(또는 상대방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6 식별자(571 내지 573, 581 내지 583)는, 이동 단말기(100)가 중심에 위치한 동심원 상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해당 외부 단말기의 방향 및 거리에 상응하는 지점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g 및 도 5h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획득 영역(553, 564, 574, 584)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현재 화면상에 표시되는 식별자들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5g 및 도 5h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식별자에는 해당 기기의 온/오프 여부가 더 표시될 수 있고, 획득 영역(553, 564, 574, 584)에 대한 사용자 선택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식별자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별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6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된 단말기별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로부터 복수의 단말기{이동 단말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포함}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 또는 해당 외부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수신받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요청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경우 또는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수신 주기 또는 수신 시점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신 주기 또는 수신 시점에 상응하도록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획득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단말기별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중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고유 번호 등)와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획득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각각으로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의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단말기를 대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외부 서버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획득 단계(S310)에서 획득된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이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부(15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S320).
디스플레이 단계(S320)에서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정된 단말기가 식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자신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지시자로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대표 이미지, 아이콘,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는, 위젯 아이콘 또는 바로 가기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에 애플리케이션 배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배열 정보에 상응하도록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배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32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페이지를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페이지에서 해당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기가 제 1 내지 제 4 단말기{제 1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임}라고 가정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내지 제 4 단말기에 대하여 각각 제 1 내지 제 4 페이지를 할당하고, 제 1 내지 제 4 페이지에서 제 1 내지 제 4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지시자가 해당 단말기에 할당된 페이지에서 표시됨에 따라 해당 단말기가 식별 표시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애플리케이션 지시자가 표시된 페이지를 홈 스크린이라고 칭한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이하 핸드폰), TV, PC, 노트북(Notebook)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6a 내지 도 6d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페이지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핸드폰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도 6a), 제 2 페이지에서 TV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TV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도 6b), 제 3 페이지에서 PC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PC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도 6c), 제 4 페이지에서 노트북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노트북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도 6d).
도 6a 내지 도 6d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홈 스크린의 페이지 식별자(601 내지 604)를 식별 표시하거나(a),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홈 스크린에 해당하는 단말기 식별자(611 내지 614)를 식별 표시할 수 있다(b).
따라서, 사용자는, 페이지 넘김 동작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디스플레이 단계(S32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태그(tag)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의 해당 단말기를 식별 표시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각각에 대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정된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해당 단말기를 식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이하 핸드폰), TV, PC, 노트북(Notebook)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7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핸드폰 태그(701)가 선택된 경우 핸드폰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TV 태그(702)가 선택된 경우 TV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화면을, PC 태그(703)가 선택된 경우 PC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화면을, 노트북 태그(704)가 선택된 경우 노트북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단말기들의 모든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복수의 페이지에서 나누어 표시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각각에 대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정된 단말기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기기 타입, 기기 고유 정보, 기기 명칭,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기까지의 거리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는 핸드폰의 식별 정보(HP)(711)가 표시되고, TV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는 TV의 식별 정보(TV)(712)가 표시되고, PC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는 PC의 식별 정보(PC)(713)가 표시되고, 노트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는 노트북의 식별 정보(Notebook)(714)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디스플레이 단계(S32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페이지를 구성하는 경우, 특정 단말기에 대하여 복수의 페이지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의 개수가 하나의 페이지에서 표시될 수 있는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이에 관련하여,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핸드폰 홈 스크린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표시한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프리킹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a), 핸드폰 홈 스크린의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b).
이때, (a) 및 (b)에서는 서로 다른 페이지(1-1, 1-2)에서 핸드폰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각각의 페이지를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는 서로 상이하다.
더 나아가, 좌우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또는 프리킹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핸드폰 홈 스크린의 이전 순서 또는 다음 순서인 노트북 홈 스크린 또는 TV 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터치 드래그 동작 또는 프리킹 동작은 페이지 넘김을 위한 일 실시예 동작에 불과하고, 더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화면의 일 영역에서 복수의 단말기 식별자들(801 내지 806)을 표시하고, 단말기 식별자별로 페이지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HP1(801) 및 HP2(802)의 단말기 식별자가 할당되고, HP1(801) 및 HP2(802) 각각에 대하여 제 1 및 제 2 페이지가 할당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페이지에 해당하는 단말기 식별자{(a)에서 801, (b)에서 802)}가 식별 표시될 수 있다.
이때, (a) 및 (b)에서는 서로 다른 페이지(1, 2)에서 핸드폰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각각의 페이지를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는 서로 상이하다.
이상에서는 외부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기기인 경우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실시예들은 외부 단말기가 다른 사용자의 기기(또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기기)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외부 단말기가 다른 사용자의 기기인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자"로 칭하고, 외부 단말기들을 "Jane, Tommy, 011-111-1111"이라고 칭한다. 또한, 도 9a에서는 하나의 사용자에 하나의 단말기가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 9b에서는 하나의 사용자에 복수의 단말기가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페이지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홈 스크린을 표시하고, 제 1 페이지의 페이지 식별자(901)를 식별 표시하거나(a),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식별자(911)를 식별 표시할 수 있다(b).
물론, 이동 단말기(100)는, Jane, Tommy 및 011-111-1111에 해당하는 제 2 내지 제 4 페이지 중 어느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고, 현재 표시되는 페이지에 해당하는 페이지 식별자 또는 사용자 식별자(912 내지 914 중 어느 하나)를 식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페이지 넘김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도 9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Tommy에 할당된 제 3 페이지에서 Tommy의 단말기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표시할 수 있고, Tommy의 단말기가 복수(핸드폰, 노트북)인 경우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해당 단말기가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ommy의 핸드폰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표시하는 경우, 핸드폰 태그(Tag)(903-1)를 식별 표시하거나(a), 핸드폰에 해당하는 페이지 식별자(913-1)를 식별 표시할 수 있다(b). 더 나아가, 903-2는 노트북 태그를 913-2는 노트북에 해당하는 페이지 식별자를 나타낸다.
도 3으로 복귀하여, 디스플레이 단계(S32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121)로 입력되는 영상 내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를 나타냄) 중 특정 식별자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특정 외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특정 식별자가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121)로 입력되는 영상은, 프리뷰 영상 또는 촬영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는, 가상 영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고, 카메라(121)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그것의 위치가 각각 변경되거나 일부 디스플레이 중단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카메라(121)로 입력되는 영상 내에 표시되는 TV 식별자(551)에 대한 선택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a), TV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창(10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도 10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자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적어도 하나의 상대방에 해당함)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 중 특정 식별자(582)가 선택되는 경우(a), 특정 식별자(582)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또는 상대방)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창(10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이때, 특정 식별자(582)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가 "Tommy"이고, "Tommy"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해당 단말기가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디스플레이 단계(S32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와 함께, 복수의 단말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에 공통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공유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지시자(610)는, 현재 표시되는 페이지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지시자가 어느 단말기 또는 어느 사용자(또는 어느 상대방)에 해당하는지에 관계없이 항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공유 지시자의 표시 위치는, 모든 페이지에서 동일할 수도 있고, 페이지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 선택에 따라 공유 지시자(610)의 표시 여부, 표시 위치 또는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공유 지시자 디스플레이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1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키 영역 표시 방식으로 공유 지시자(1101)를 화면의 일 영역에서 표시하거나(a), 포인트 표시 방식으로 공유 지시자(1102)를 화면의 일 영역에서 표시할 수 있다(b). 이는 도 6a 내지 도 9b에서 공유 지시자를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과 비교될 수 있다.
도 11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공유 지시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유 지시자 각각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단말기를 달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 1 공유 지시자(1111 또는 1121)는, 모든 단말기들에 공유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제 2 공유 지시자(1112 또는 1122)는, 핸드폰(HP)과 PC에 공유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제 3 공유 지시자(1113 또는 1123)는, 핸드폰과 TV에 해당하고, 제 4 공유 지시자(1114 또는 1124)는, TV와 PC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표시되는 페이지가 핸드폰 홈 스크린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와 공유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제 1 내지 제 3 공유 지시자(1111 내지 1113, 또는 1121 내지 1123)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현재 표시되는 페이지가 TV 홈 스크린인 경우, TV와 공유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제 3 및 제 4 공유 지시자(1113 및 1114, 또는 1123 및 1124)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복수의 공유 지시자 각각은, 해당 애플리케이션 타입(예를 들어, 뉴스, 인터넷, 게임, 카메라 등)을 달리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한 기준으로 복수의 공유 지시자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지시자(610)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공유 지시자에 대한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지시자(610)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개수(a)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명칭(b)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디스플레이 단계(S320)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지시자에 대한 선택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공유 지시자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공유 지시자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단말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에 공통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공유 지시자(610)에 대한 선택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a), 공유 지시자(610)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지시자를 포함하는 창(12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더 나아가, 공유 지시자(610)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 1 내지 제 3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은 모든 단말기에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 및 TV에 제 3 애플리케이션은 TV 및 PC에 공통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핸드폰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창(1210)에서는 제 1 및 제 2 애플리케이션만 표시되고, TV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창(1210)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표시되고, PC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창(1210)에서는 제 1 및 제 3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공통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현재 표시되는 페이지에 해당하는 단말기에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만 공유 지시자에 연계되어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지시자(610)에 해당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지시자(1211)에 대한 선택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a),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그것의 실행 화면(12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사진 앨범인 경우, 실행 화면(1220)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사진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2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핸드폰 홈 스크린상에서 실행 화면(1220)을 디스플레이한 상태(또는 공유 지시자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디스플레이한 상태-도 12a의 1210 참조)에서 페이지 넘김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경우(a), 핸드폰 홈 스크린의 다음 순서인 TV 홈 스크린으로 전환하고 실행 화면(1220) 디스플레이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넘김 동작은, 오른 방향 또는 왼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오른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인 경우 다음 순서의 홈 스크린으로 전환하고, 왼 방향으로의 터치 드래그인 경우 이전 순서의 홈 스크린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드래그 속도 또는 터치 드래그 거리에 상응하도록 넘겨지는 페이지 수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드래그 속도 또는 터치 드래그 거리가 클수록 현재 표시되는 홈 스크린에서 더욱 멀리 위치한 홈 스크린으로 전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페이지 넘김 동작은, 해당 키 영역의 터치, 해당 단말기 움직임의 감지, 해당 페이지 식별자 또는 해당 단말기 식별자의 터치 등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로부터 공유 지시자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S330).
여기에서, 터치 드래그 동작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에 해당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통 설정 명령 동작의 일례에 불과하고, 공통 설정 명령 동작으로서 더욱 다양한 동작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S330),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에 해당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복수의 단말기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에 공통 설정한다(S340).
이때,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는, 공통 설정 이후 공유 지시자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포함하는 창(도 12a의 1210 참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공통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공통 설정을 해제할 수도 있다. 공통 설정 해제된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단말기에만 설정되고, 특정 단말기에 해당하는 페이지에서만 해당 지시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공통 설정 또는 공통 설정 해제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각각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설정 요청 신호 또는 설정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의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 또는 설정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 각각 접속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또는 설정 해제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 요청 신호 또는 설정 해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서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각각에 대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또는 설정 해제가 제어될 수 있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공통 설정 및 공통 설정 해제에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는 기기들을 의미하고, 복수의 단말기 각각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로서 동일하거나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에 해당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공통 설정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핸드폰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한다(도 6a 참조).
도 13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애플리케이션 지시자(1301)로부터 공유 지시자(610)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음에 따라(a), 제 1 애플리케이션 지시자(1301)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E-mail"을 복수의 단말기 모두에 공통 설정할 수 있다(b). 이때, 공통 설정 알림 창(131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3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애플리케이션 지시자(1302)로부터 공유 지시자(610)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고(a), 제 2 애플리케이션 지시자(1302)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전화번호부"가 공통 설정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공통 설정 불가능 알림 정보(132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가 특정 단말기(예를 들어 TV 또는 PC)에서 수행될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 공통 설정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설정 불가능 알림 정보(1320)에 포함된 공유 가능 애플리케이션 보기 영역(1321)이 선택되는 경우, 핸드폰 홈 스크린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들 중 공통 설정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지시자만 식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취소 영역(1322)이 선택되는 경우 핸드폰 홈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는, 검색 영역(1323)이 선택되는 경우 설정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검색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3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애플리케이션 편집에 해당하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편집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편집 리스트 중 공유 항목을 선택받을 수 있다(a).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공유 항목을 선택받음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핸드폰 홈 스크린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들 중 공통 설정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들(1331, 1332)이 선택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들(1331, 1332)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들 "E-mail 및 요리비법"을 공통 설정하고, 공통 설정 알림 정보(1340)를 출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체 영역(1333)이 선택되는 경우, 핸드폰 홈 스크린에 포함된 모든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들이 공통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통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지시자는, 공유 지시자 선택시 공통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의 표시 창(도 12a의 1210)에서 표시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공통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공통 설정을 해제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TV 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한다(도 6b 참조).
도 14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지시자들을 포함하는 창(1210)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들 중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1212)로부터 화면상의 일 지점{더욱 구체적으로 창(1210)을 제외한 영역의 일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a).
이때, 터치 드래그 동작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1212)에 해당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통 설정 해제 명령 동작의 일례에 불과하고, 공통 설정 해제 명령 동작은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통 설정을 해제하고, 현재 표시되고 있는 홈 스크린에 해당하는 TV에서만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유지하고 나머지 단말기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통 설정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정보(1410)가 출력되고, 공통 설정 해지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지시자는 TV 홈 스크린상에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로부터 특정 페이지 식별자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통 설정을 해제하고, 특정 페이지 식별자에 해당하는 특정 단말기에서만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유지하고 나머지 단말기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4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설정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사진 앨범"의 실행 화면(1220)(도 12b 참조)에 포함된 복수의 사진들 중 특정 사진(1221)으로부터 화면의 일 지점{더욱 구체적으로 창(1220)을 제외한 영역의 일 지점}으로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a).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사진(1221)을 현재 표시되고 있는 TV 홈 스크린의 일 영역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사진(1221)을 TV 홈 스크린의 배경 화면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메모, 일정 관리 또는 전화번호부인 경우 실행 화면에는 메모 항목들, 일정 항목들, 연락처들이 포함될 수 있고, 특정 메모 항목, 특정 일정 항목 또는 특정 연락처로부터의 터치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특정 메모, 특정 일정 항목 또는 특정 연락처를 TV 홈 스크린의 일 영역에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4a 또는 도 14b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1212) 또는 특정 사진(1221)의 TV 홈 스크린상 표시 위치는, 터치 드래그 동작이 제거된 지점이거나 제어부(180)에 의해 결정된 임의 지점일 수 있다.
도 14c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공통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지시자들을 포함하는 창(1210)에 포함된 전체 영역(1213)이 선택되는 경우(a), 공통 설정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의 공통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b). 이때, 공통 설정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공통 설정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정보(1420)가 출력되고, 공통 설정 해제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의 지시자들은 TV 홈 스크린상에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25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단말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정 대상이 되는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공통 설정하고자 하는 단말기를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지정 대상이 되는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사용 권한 범위 내에 있는 기기이거나,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는, 상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공통 설정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서버(250)로부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경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기기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지정 영역(1510)을 디스플레이하고, 기기 지정 영역(1510)에 포함된 핸드폰(HP)(1511){이동 단말기(100)에 해당함} 및 TV(1512)를 다운로드 받을 기기로 지정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기기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다운로드 받을 기기를 직접 지정하거나(도 4b(a)의 공유 대상 기기 지정 과정 참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기를 다운로드 받을 기기로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도 4c(a)의 공유 대상 상대방 지정 과정 참조).
도 15b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로 지정된 기기들 각각에서의 다운로드 정도를 나타내는 창(15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외부 단말기에 해당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경우,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에 해당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외부 단말기에서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에 대한 선택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 신호를 송신하고, 외부 단말기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단말기를 이용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한 제어 신호 입력 기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 단말기를 TV라고 가정한다.
도 16a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TV 홈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VOD"(1601)에 대한 선택 동작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VOD"(1601)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 신호를 TV(21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6b에 의하면, TV(210)는, "VOD"(1601)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 화면으로서 VOD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VOD"(1601)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한 제어 신호 입력 기기로서 동작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OD 리스트 중 특정 VOD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숫자 키 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숫자 키 패드 중 숫자 키 "1"이 터치되는 경우, VOD 리스트 중 첫 번째 위치한 VOD(1602)가 선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특정 VOD 재생 중에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에 재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키 영역들(예를 들어, 되감기 키 영역, 빨기 감기 키 영역, 일시 정지 키 영역, 종료 키 영역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실행하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공통 설정 여부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공통 설정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복수의 단말기에 공통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상태에서 공통 설정할 수 있고, 실행 상태인 채로 공통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공통 설정한 복수의 단말기들은 모두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된다. 더 나아가, 공유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지시자들을 포함하는 창의 표시 상태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지시자가 창 밖으로 터치 드래그되는 경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될 수 있다. 이때,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공유 설정 해제의 터치 드래그 패턴과 실행 종료의 터치 드래그 패턴은 상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51 디스플레이부
160 메모리
180 제어부

Claims (21)

  1.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내에 포함된 상기 외부 단말기를 공유 단말기로 지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지정된 공유 단말기와 페어링하도록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공유 조건 설정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상기 공유 조건은 특정 주소에 해당하는 공유 위치를 포함함-,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가 상기 UI를 통해 설정된 공유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와 일치하면,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공유 단말기로 공유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공유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URL 주소를 식별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공유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터치되어 상기 공유 아이콘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인디케이터가 식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유 단말기와 공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공유 단말기와 공유되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공유 단말기와 공유된 후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포함한 윈도우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며,
    상기 윈도우 내에 위치한 상기 인디케이터가 터치되어 상기 윈도우 바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인디케이터가 식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내에 상기 공유 단말기의 표시 위치에 상기 공유 단말기의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식별자가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 내에 상기 공유 단말기의 표시 위치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공유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공유 단말기와 화면을 공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유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된 화면을 구별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내에 포함된 외부 단말기를 공유 단말기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공유 단말기와 페어링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공유 조건 설정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상기 공유 조건은 특정 주소에 해당하는 공유 위치를 포함함-;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가 상기 UI를 통해 설정된 공유 위치에 해당하는 주소와 일치하면, 상기 공유 단말기로 공유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공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공유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URL 주소를 식별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공유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인디케이터가 터치되어 상기 공유 아이콘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인디케이터가 식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공유 단말기와 공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공유 단말기와 공유되었음을 알리는 제2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공유 단말기와 공유된 후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포함한 윈도우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 내에 위치한 상기 인디케이터가 터치되어 상기 윈도우 바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인디케이터가 식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공유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00130649A 2010-12-20 2010-12-20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174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649A KR101741551B1 (ko) 2010-12-20 2010-12-20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US13/241,190 US20120159472A1 (en) 2010-12-20 2011-09-22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1008832.5A EP2466921B1 (en) 2010-12-20 2011-11-07 Mobile terminal and screen data sharing application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110356919.0A CN102572096B (zh) 2010-12-20 2011-11-11 移动终端及其应用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649A KR101741551B1 (ko) 2010-12-20 2010-12-20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209A KR20120069209A (ko) 2012-06-28
KR101741551B1 true KR101741551B1 (ko) 2017-06-15

Family

ID=4535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649A KR101741551B1 (ko) 2010-12-20 2010-12-20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59472A1 (ko)
EP (1) EP2466921B1 (ko)
KR (1) KR101741551B1 (ko)
CN (1) CN1025720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218A1 (ko) * 2021-07-21 2023-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합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2847B2 (en) * 2003-09-22 2013-05-28 Broadcom Corporation Processor sharing between in-range devices
KR101481408B1 (ko) 2008-06-04 2015-01-1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최근 통화 목록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기능 제공 장치 및 방법
US9678662B2 (en) * 2010-04-23 2017-06-13 Handscape Inc. Method for detecting user gestures from alternative touchpads of a handheld computerized device
JP2012111317A (ja) * 2010-11-24 2012-06-14 Toyota Motor Corp 車載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装置及び車載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方法
US8903978B2 (en) 2011-06-14 2014-12-02 Sonifi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a mobile device to an output device
KR101819029B1 (ko) * 2011-09-29 201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9880640B2 (en) * 2011-10-06 2018-01-30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dimensional interface
KR101943987B1 (ko) * 2011-12-06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의 페이지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5967106B2 (ja) * 2011-12-22 2016-08-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共有装置、情報共有方法、情報共有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KR101979800B1 (ko) 2012-02-16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창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08495B1 (ko) * 2012-02-24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919008B1 (ko) * 2012-02-24 2018-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20130239192A1 (en) 2012-03-09 2013-09-12 RAPsphe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mobile applications
KR20130106684A (ko) * 2012-03-20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스크린 공유 방법
JP5928048B2 (ja) * 2012-03-22 2016-06-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US9501760B2 (en) * 2012-04-24 2016-11-22 Michael Paul Stanley Media echoing and social networking device and method
KR20140034339A (ko) * 2012-08-23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업로드측 사용자 단말 장치, 컨텐츠 다운로드측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들의 컨텐츠 공유 방법
CN103634360B (zh) * 2012-08-28 2017-09-2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传感器功能的分享应用方法、系统和服务器、移动终端
FR2995483B1 (fr) * 2012-09-10 2015-10-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ppairage d'un dispositif de communication mobile dans un environnement de dispositifs fixes
US20150236922A1 (en) * 2012-09-24 2015-08-20 Yulong Computer Telecommunication Scientific (Shenzhen)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e Content Transfer and Display, and Terminal
CN103036962A (zh) * 2012-12-06 2013-04-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文件的共享方法及手持设备
KR20140073372A (ko) *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R2999849A1 (fr) * 2012-12-17 2014-06-20 France Telecom Procede d'acces a un contenu multi media, terminal mobile, terminal fixe et module logiciel correspondants
KR102012049B1 (ko) * 2013-01-18 2019-08-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에서의 화면 공유 방법 및 화면 공유가 가능한 단말
US9807151B2 (en) 2013-02-20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KR102072137B1 (ko) * 2013-02-20 2020-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TWI501110B (zh) * 2013-02-25 2015-09-21 Pixart Imaging Inc 通訊協定系統及其自動更新資料的方法
KR102097640B1 (ko) * 2013-03-08 2020-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04445B1 (ko) * 2013-05-15 2020-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41046A (ko) * 2013-05-31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388762B (zh) * 2013-06-03 2022-04-29 华为终端有限公司 应用分享的方法和装置
KR102163684B1 (ko) * 2013-07-19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CN104346190A (zh) * 2013-08-08 2015-02-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03472974A (zh) * 2013-08-19 2013-12-25 华为终端有限公司 应用的分享方法及装置
CN103472988A (zh) * 2013-08-22 2013-12-2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内容切换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10451874B2 (en) * 2013-09-25 2019-10-22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2107404B1 (ko) * 2013-10-30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0266B1 (ko) * 2013-11-11 2021-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479624B1 (ko) * 2013-11-15 2015-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유닛 및 상기 차량용 헤드 유닛에서의 화면 설정 방법
CN104092715B (zh) * 2013-11-28 2016-10-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同步应用程序的方法、服务器及系统
US9986296B2 (en) * 2014-01-07 2018-05-29 Oath Inc. Interaction with multiple connected devices
CN103793687B (zh) * 2014-01-21 2017-06-2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图片的识别方法和系统
CN105101148A (zh) * 2014-05-05 2015-1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共享屏幕和操作控制的方法、系统和主共享端
KR102173110B1 (ko) * 2014-05-07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350690A1 (en) * 2014-06-02 2015-12-03 Sonifi Solutions, Inc. Implementing screen sharing functionality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US9615058B2 (en) * 2014-06-05 2017-04-04 Ree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items amo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US10613585B2 (en) * 2014-06-19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CN105338009B (zh) * 2014-06-19 2020-02-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相关设备、系统
TWI616808B (zh) * 2014-06-30 2018-03-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分享顯示畫面的方法及裝置
KR20160003442A (ko) * 2014-07-01 201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916328B1 (en) 2014-07-11 2018-03-13 Google Llc Providing user assistance from interaction understanding
US9965559B2 (en) 2014-08-21 2018-05-08 Google Llc Providing automatic actions for mobile onscreen content
KR102258052B1 (ko) * 2014-09-25 2021-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35024B1 (ko) * 2014-12-10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CN104572536B (zh) * 2014-12-26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N104503834B (zh) * 2014-12-29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第一电子设备
US9703541B2 (en) 2015-04-28 2017-07-11 Google Inc. Entity action suggestion on a mobile device
CN104869207B (zh) * 2015-05-12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量的调节方法及移动终端
US9733993B2 (en) 2015-07-02 2017-08-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sharing using endpoint interface entities
US9860145B2 (en) 2015-07-02 2018-01-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cording of inter-application data flow
US10198252B2 (en) 2015-07-02 2019-02-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formation chain application splitting
US9658836B2 (en) 2015-07-02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ed generation of transformation chain compatible class
US9712472B2 (en) 2015-07-02 2017-07-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spawning responsive to communication
US10261985B2 (en) 2015-07-02 2019-04-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utput rendering in dynamic redefining application
US9785484B2 (en) 2015-07-02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tributed application interfacing across different hardware
US9733915B2 (en) 2015-07-02 2017-08-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uilding of compound application chain applications
US10031724B2 (en) 2015-07-08 2018-07-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operation responsive to object spatial status
US10198405B2 (en) 2015-07-08 2019-02-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ule-based layout of changing information
KR20170011178A (ko) * 2015-07-21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진 표시방법
CN105163401A (zh) * 2015-08-21 2015-12-16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多用户之间快捷连接配对并传输应用的方法
US10277582B2 (en) 2015-08-27 2019-04-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service architecture
WO2017059307A1 (en) 2015-09-30 2017-04-06 Sonifi Solu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10970646B2 (en) 2015-10-01 2021-04-06 Google Llc Action suggestions for user-selected content
US10178527B2 (en) 2015-10-22 2019-01-08 Google Llc Personalized entity repository
US11573678B2 (en) * 2016-09-26 2023-02-07 Faraday & Future Inc. Content sharing system and method
US10055390B2 (en) 2015-11-18 2018-08-21 Google Llc Simulated hyperlinks on a mobile device based on user intent and a centered selection of text
CN105516335B (zh) * 2015-12-25 2018-10-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应用的方法及装置
USD803848S1 (en) * 2016-02-19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7160924A1 (en) 2016-03-15 2017-09-21 Sonifi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communication devices with output devices
CN105721602A (zh) * 2016-03-22 2016-06-29 苏州世纪天成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将终端充当下载源服务器的游戏运行方法及系统
US10572213B2 (en) * 2016-04-04 2020-0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versal application pinning
CN106453538A (zh) * 2016-09-29 2017-02-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屏幕共享装置和方法
USD815111S1 (en) * 2016-10-04 2018-04-10 Salesforce.Com,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6914267B2 (ja) 2016-10-18 2021-08-04 株式会社ワコム ペアリング方法、位置検出システム、位置指示器、及び位置検出装置
US10535005B1 (en) 2016-10-26 2020-01-14 Google Llc Providing contextual actions for mobile onscreen content
CN106672732A (zh) * 2016-11-08 2017-05-17 深圳企管加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户外显示屏的信息输出系统及方法
CN106429688A (zh) * 2016-11-08 2017-02-22 深圳企管加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应用于城市的电梯报警系统及方法
CN106516930A (zh) * 2016-11-08 2017-03-22 深圳企管加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建筑物显示屏与物联网结合的信息显示系统及方法
CN106379785A (zh) * 2016-11-10 2017-02-08 深圳益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大数据与物联网相结合的报警系统及方法
CN106454299A (zh) * 2016-11-29 2017-02-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之间的屏幕投影方法及装置、终端
USD812093S1 (en) * 2016-12-02 2018-03-06 Salesforce.Com,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237696B2 (en) 2016-12-19 2022-02-01 Google Llc Smart assist for repeated actions
WO2018119457A1 (en) * 2016-12-22 2018-06-28 Sonifi Solu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legacy remote and keystroke redirection
USD815115S1 (en) * 2017-01-04 2018-04-10 Salesforce.Com,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WI623896B (zh) * 2017-01-12 2018-05-11 華南商業銀行股份有限公司 電子紅包搖晃配對辨識方法
CN106800229A (zh) * 2017-01-24 2017-06-06 深圳益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人的信息输出方法及系统
CN106629294A (zh) * 2017-01-24 2017-05-10 深圳企管加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人和物联网的信息输出方法及系统
CN106657391A (zh) * 2017-01-24 2017-05-10 广东兴达顺科技有限公司 一种户外显示屏与机器人结合的信息推送系统及方法
CN106829666A (zh) * 2017-01-24 2017-06-13 广东兴达顺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环境下的机器人报警方法及系统
CN106897005B (zh) * 2017-02-28 2020-10-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投影控制方法、装置及系统
TWI640939B (zh) * 2017-06-12 2018-11-11 華南商業銀行股份有限公司 信用卡分帳系統
CN107835464B (zh) * 2017-09-28 2020-10-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视频通话窗口画面处理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904306B2 (en) * 2018-05-07 2021-01-26 Spotify Ab Personal media streaming appliance system
US11409493B2 (en) 2018-05-23 2022-08-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Photograp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0552136B2 (en) 2018-06-29 2020-02-04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One click application asset distribution
US11540136B2 (en) * 2019-03-05 2022-12-27 Fitbit, Inc. Device pairing
CN110753306B (zh) * 2019-10-22 2021-04-06 东莞市小精灵教育软件有限公司 一种提高下载率的方法、系统、存储介质及智能穿戴设备
CN110941501A (zh) * 2019-11-29 2020-03-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共享方法及电子设备
CN111125762B (zh) * 2019-12-24 2023-04-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共享应用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1459355B (zh) * 2020-03-30 2022-03-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共享方法及电子设备
CN111596875B (zh) * 2020-04-17 2022-09-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扩展方法及电子设备
CN114579068A (zh) * 2020-11-30 2022-06-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屏协同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20159567A (ko) * 2021-05-26 2022-1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정보 공유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대화창에 공유된 정보 표시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CN113709143B (zh) * 2021-08-26 2023-03-07 四川启睿克科技有限公司 Web集成系统精确权限访问控制系统及方法
CN117459631A (zh) * 2022-07-18 2024-0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共享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7675993A (zh) * 2022-08-29 2024-03-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跨设备接续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0392A1 (en) * 2004-06-08 2006-01-12 Noel Vicki E Desktop sharing method and system
US20060009155A1 (en) * 2004-06-30 2006-01-12 Joonas Paalasma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list of devices in physical proximity of a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769A (en) * 1995-12-22 1998-06-0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shared application program in a computer during teleconferencing
US7209949B2 (en) * 1998-05-29 2007-04-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information between a host system and a mobile data communication device
US6601087B1 (en) * 1998-11-18 2003-07-29 Webex Communications, Inc. Instant document sharing
US6668273B1 (en) * 1999-11-18 2003-12-23 Raind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viewing through collaborative web browsing session
US6654032B1 (en) * 1999-12-23 2003-11-25 Webex Communications, Inc. Instant sharing of documents on a remote server
US7203755B2 (en) * 2000-12-29 2007-04-10 Webex—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sharing in collaborative setting
US6567813B1 (en) * 2000-12-29 2003-05-20 Webex Communications, Inc. Quality of service maintenance for distributed collaborative computing
US20020165922A1 (en) * 2001-04-13 2002-11-07 Songxiang Wei Application based screen sampling
US20030084169A1 (en) * 2001-10-31 2003-05-01 Min Zhu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target computer from a remote location using a remote computer
US7681136B2 (en) * 2003-01-08 2010-03-1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llaborative whiteboarding and content management
US8397168B2 (en) * 2008-04-05 2013-03-12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Interfacing with a spatial virtual communication environment
WO2009060393A2 (en) * 2007-11-06 2009-05-14 Gemalto Sa Sharing or reselling nfc applications amo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8156442B2 (en) * 2008-06-30 2012-04-10 Nokia Corporation Life recorder and sharing
US8850052B2 (en) * 2008-09-30 2014-09-3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resource sharing
US8165799B2 (en) * 2009-05-22 2012-04-24 Microsoft Corporation Timed location sharing
US8346847B2 (en) * 2009-06-03 2013-01-01 Apple Inc. Installing applications based on a seed application from a separat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0392A1 (en) * 2004-06-08 2006-01-12 Noel Vicki E Desktop sharing method and system
US20060009155A1 (en) * 2004-06-30 2006-01-12 Joonas Paalasma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list of devices in physical proximity of a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218A1 (ko) * 2021-07-21 2023-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합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209A (ko) 2012-06-28
EP2466921B1 (en) 2019-07-03
US20120159472A1 (en) 2012-06-21
EP2466921A3 (en) 2014-11-26
CN102572096A (zh) 2012-07-11
EP2466921A2 (en) 2012-06-20
CN102572096B (zh)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55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191979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074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설정 방법
KR1016958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1188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4043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객체 관련 정보 관리 방법
KR10193503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80275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607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49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757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14127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2013001529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92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외부 객체에 대한 메시지 생성 및 획득 방법
KR10169183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웹 사이트를 통한 정보 공개 제어 방법
KR10164464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70183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시지 송신 제어 방법
KR10163890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제어 방법
KR10198746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9049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6160A (ko) 음성 태깅 사진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
KR1018130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89599B1 (ko)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공유 방법
KR2014004461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141310A (ko)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