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919B1 - A System of Providing Theme Travel AI Curation Based on AR through Customization Learning of Virtual Character - Google Patents

A System of Providing Theme Travel AI Curation Based on AR through Customization Learning of Virtual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919B1
KR102042919B1 KR1020180028112A KR20180028112A KR102042919B1 KR 102042919 B1 KR102042919 B1 KR 102042919B1 KR 1020180028112 A KR1020180028112 A KR 1020180028112A KR 20180028112 A KR20180028112 A KR 20180028112A KR 102042919 B1 KR102042919 B1 KR 102042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destination
complexity
information
detai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1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7252A (en
Inventor
김태양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919B1/en
Publication of KR20190107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2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은, 유저로부터 여행 목적 및 여행지를 포함하는 여행정보를 입력 받는 여행정보 입력부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여행정보와 관련하여 문장으로 작성된 여행계획 요청서를 입력 받는 요청서 입력부를 구비한 여행정보 입력모듈; 여행지 데이터가 저장된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여행계획 요청서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의 여행 선호도를 판단하여 상기 여행지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세부 여행지를 도출하는 여행선호도 조사부를 구비한 여행선호 확인모듈; 가상의 캐릭터를 생성하는 캐릭터 생성부와, 상기 여행선호 확인모듈에서 상기 세부 여행지의 도출 진척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외형을 변형시켜 육성하는 캐릭터 육성부를 구비한 캐릭터 육성모듈; 육성된 상기 캐릭터를 통해 AR(Augmented Reality) 기반으로 상기 세부 여행지 각각을 지도에 표시한 여행지도 및 상기 세부 여행지에 대한 안내정보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여행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based theme tour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custom learning of the virtual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vel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a travel information including a travel destination and a travel destination from a user, and associated with the travel information from the user A travel information input module having a request input unit for receiving a travel plan request form written in sentences; A travel preference confirmation module including a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travel data is stored and a travel preference survey unit for determining a travel preference of the user based on the travel plan request document and deriving a plurality of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from the travel data; A character development module including a charact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virtual character and a character development unit for modifying and developing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deriving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from the travel preference confirmation module; And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the user with a travel map displaying each of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on a map and guide information about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based on AR (Augmented Reality) through the raised character. .

Description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A System of Providing Theme Travel AI Curation Based on AR through Customization Learning of Virtual Character}A System of Providing Theme Travel AI Curation Based on AR through Customization Learning of Virtual Character}

본 발명은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여행자가 요청한 테마에 따른 다양한 여행지를 여행자의 선호에 따라 선택하여 여정으로 제공하되,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주변 상황이나 이슈에 따라 수정이 가능토록 한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based theme travel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customizing the virtual character,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journey by selecting a variety of travel destinations according to the traveler's preference according to the traveler's request,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based theme travel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customizing virtual characters that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changing surrounding conditions or issues.

자신이 가보고 싶은 여행지를 정해둔 사람들은, 여행지를 여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다.It is common for people who have decided on a destination they want to visit to collect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travel in a variety of ways and to plan accordingly.

헌데, 자신이 희망하는 여행지에 대하여 자신만의 방식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계획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여행지의 특색을 제대로 경험하지 못하고 여행에 실패를 겪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처럼 여행에 실패를 겪는 경우 쉽게 떠나지 못하는 여행에 대한 미련을 갖게 되고 금전적으로도 손해를 입을 수 있다. 이는, 자신과 동일한 여행지를 여행하고자 하는 다른 사람이나 동일한 여행지를 이미 방문한 경험자에게 여행 노하우 및 여행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싶어도 현 시점에서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은 보다 구체적인 실질적인 도움을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도움을 요청할 대상이 없기 때문에, 금전적으로 시간적으로 불필요한 소모를 하고 자신의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비효율적인 측면을 감수해야만 하는 실정이다.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ve collected and planned their own destinations in their own way, they often fail to travel without experiencing the features of the destinations. If you do, you will be fooled about the trips you can't easily leave, and you can lose money. This may be due to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no systematic service for realizing the current know-how and travel-related information to another person who wants to travel the same destination or the person who has already visited the same destination. As a result, people planning to travel do not have to ask for help, even though they need more specific practical help, so they have to bear the inefficient aspect of financially wasting time and wasting their energy. to be.

특히 특정한 기준을 가지고 여행을 진행하는 테마여행의 경우, 현재 진행되고 있는 테마여행 대부분이 관광사나 지자체에서 상업적인 목표를 갖고 설계한 경우가 많아 이를 그대로 믿고 여행을 떠났다가는 원하는 관광보다는 쇼핑이나 기타 다른 것들 위주의 여행만을 즐기다 돌아올 수밖에 없어 일반적인 만족도가 매우 떨어지기 마련이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me tours that travel based on certain criteria, most of the current theme tours are designed by tourist agencies or local governments with commercial goals. I had to come back after enjoying only travel, and general satisfaction was very low.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0769247호 '여행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여행정보 제공방법'에서는, 여행자 단말기, 인터넷망 및 여행정보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여행정보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여행정보 제공방법으로서, (A1)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여행정보 제공서버에 회원가입 후, 여행관련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웹페이지에 요청신호를 보내면, 상기 여행정보 제공서버가 저장부의 지리정보 DB에 기 저장되어 있는 여행자가 여행할 수 있는 지도를 여행자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A2) 상기 여행정보 제공서버가 여행자 단말기로부터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 목적지 및 여행 목적지 주변의 관광지 등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A3)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기존에 여행한 관광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기존에 여행한 관광지가 아니면, 상기 여행정보 제공서버에 여행일정, 여행코스 및 여행 시 이용하는 교통정보 등을 입력시키는 단계; 및 (A4) 상기 여행정보 제공서버가 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지리정보 DB, 기존 여행자 코스정보 DB, 교통정보 DB, 날씨정보 DB, 숙박정보 DB, 가격정보 DB, 특정지역정보 DB 및 이벤트정보 DB를 통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전체적인 여행관련 정보인 여행일정, 여행코스 및 여행경비 등을 산출하여, 여행자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확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행정보 제공방법을 개시하였다.As a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69247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travel information system,' customizing learning of a travel information virtual character including a traveler terminal, an internet network and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n AR-based theme travel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1) a request signal to a web page for searching for travel-related information after a user of the traveler terminal joins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f the send the server,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o display a map that can be traveled by the traveler previously stored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of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output unit of the traveler terminal; (A2) receiving, by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 selection signal of a travel destination to be traveled and a tourist destination around the travel destination from a traveler terminal; (A3)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traveler terminal is a previously traveled tourist destination and inputting a travel schedule, a travel course, and traffic information to be used in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f the travel destination is not an existing travel destination. ; And (A4) the geographic information DB, the existing traveler course information DB, traffic information DB, weather information DB, accommodation information DB, price information DB, specific region information DB, and event information, which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is previously stored in a storage unit. Disclosed is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 travel schedule, a travel course, a travel expense, and the like, which are overall travel-related information for reaching a travel destination to be traveled through a DB, and confirming them through an output unit of a traveler terminal.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임의의 여행정보를 받아오기 때문에 그 정보가 과연 여행자에게 알맞은 정보일 지는 여전히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is method receives arbitrary travel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still unknown whether the information is suitable for the traveler.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저가 선호하는 여행지 및 세부 여행지를 추천하는 여행지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vel destination recommendation system for recommending a user's preferred travel destinations and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행지 추천 및 여행지 안내 시 증강현실을 활용하는 캐릭터 도우미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a character helper using augmented reality when recommending and guiding a travel destin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행정보 제공 시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변형/육성) 기능을 통해 유저가 여행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에 있어 항상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that a user may always be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ravel information through a character customization (deformation / cultivation) function when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여행정보를 유저의 현재 위치와 현재 세부 여행지의 상황에 따라 그 방문 순서를 변경하여 계획을 다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that allows travel information to be re-planned by changing the order of visits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current detailed destin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은, 유저로부터 여행 목적 및 여행지를 포함하는 여행정보를 입력받는 여행정보 입력부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여행정보와 관련하여 문장으로 작성된 여행계획 요청서를 입력받는 요청서 입력부를 구비한 여행정보 입력모듈; 여행지 데이터가 저장된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여행계획 요청서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의 여행 선호도를 판단하여 상기 여행지 데이터로 부터 복수의 세부 여행지를 도출하는 여행선호도 조사부를 구비한 여행선호 확인모듈; 가상의 캐릭터를 생성하는 캐릭터 생성부와, 상기 여행선호 확인모듈에서 상기 세부 여행지의 도출 진척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외형을 변형시켜 육성하는 캐릭터 육성부를 구비한 캐릭터 육성모듈; 육성된 상기 캐릭터를 통해 AR(Augmented Reality) 기반으로 상기 세부 여행지 각각을 지도에 표시한 여행지도 및 상기 세부 여행지에 대한 안내정보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여행정보 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R-based theme travel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custom learning of the virtual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vel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a travel information including a travel destination and a destination from the user, and the user A travel information input module having a request input unit for receiving a travel plan request form written in sentences in relation to the travel information; A travel preference confirmation module including a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travel destination data and a travel preference survey unit for determining a user's travel preference based on the travel plan request document and deriving a plurality of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from the travel destination data; A character development module including a charact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virtual character and a character development unit for modifying and developing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deriving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from the travel preference confirmation module; And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the user with a travel map displaying each of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on a map and guide information about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based on AR (Augmented Reality) through the raised character. .

더하여, 상기 여행선호도 조사부는, 상기 여행계획 요청서에 포함된 용어의 등장빈도와 근접도에 따라 군집화한 군집화팩터를 통해 유효 용어를 도출하는 비교 도출파트와, 상기 유효 용어를 기반으로 상기 세부 여행지를 도출하는 세부여행지 도출파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vel preference research unit, a comparison derivation part for deriving valid terms through a clustering factor cluster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proximity of terms included in the travel planning request, and the detailed destination based on the valid terms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detailed destination derivation part to deduce.

나아가, 상기 군집화팩터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lustering fa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

Figure 112018024084168-pat00001
Equation 1.
Figure 112018024084168-pat00001

(여기서, CFab는 용어 a에 대한 용어 b의 군집화팩터, Cont(a,b)는 용어 a와 근접한 용어 b의 누적 합, Cont(b,a)는 용어 b와 근접한 용어 a의 누적 합, Cont(a,all)은 용어 a와 근접한 용어 전체의 누적 합, Cont(b,all)은 용어 b와 근접한 용어 전체의 누적 합을 의미한다.)Where CF ab is the clustering factor of term b for term a, Cont (a, b) is the cumulative sum of term b in close proximity to term a, Cont (b, a) is the cumulative sum of term a in close proximity to term b, Cont (a, all) is the cumulative sum of all the terms that are close to term a, and Cont (b, all) is the cumulative sum of all the terms that are close to term b.)

추가로, 상기 여행선호도 조사부는, 상기 여행계획 요청서에 포함된 용어를 일렬로 나열하고, 나열된 용어 각각의 간격을 파악하는 간격 파악파트와, 상기 간격의 고저에 따른 간격 가중치를 추가로 적용하여 군집화한 군집화팩터를 통해 확장 유효 용어를 도출하는 확장 도출 파트 및, 상기 확장 유효 용어를 상기 여행지 데이터와 매칭시켜 매칭된 복수의 여행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세부 여행지를 도출하는 확장 여행지 도출파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vel preference research unit, the terms included in the travel planning request in a line, the interval grasping part for grasping the interval of each of the listed terms, and the clustering by further applying the interval w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terval And an extended derivation part for deriving extended valid terms through a clustering factor, and an extended destination derivation part for deriving the detailed destination based on a plurality of matched destination data by matching the extended valid term with the travel data. It features.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은,The AR-based theme tour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customizing the virtual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유저가 선호하는 여행지 및 세부 여행지를 추천하는 여행지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1) Provide a travel recommendation system for recommending a user's preferred travel destinations and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2) 여행지 추천 및 여행지 안내 시 증강현실을 활용하는 캐릭터 도우미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시하며,2) presents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through the character helper using augmented reality when recommending and guiding the destination,

3) 여행정보 제공 시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변형/육성) 기능을 통해 유저가 여행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에 있어 항상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하고,3) Presenting a system that the user can always be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ravel information through character customization (deformation / cultivation) function when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4) 나아가, 여행정보를 유저의 현재 위치와 현재 세부 여행지의 상황에 따라 그 방문 순서를 변경하여 계획을 다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4)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that allows the travel information to be re-planned by changing the visit order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current detailed desti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프로세스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행계획 요청서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여행계획 요청서 기반의 텍스트 분석 방법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텍스트 분석과정과 그에 따른 캐릭터 육성장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세부 여행지 도출 이후의 안내장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로 비교도 생성방법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경로 비교도가 적용된 안내장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실제 AR이 적용된 안내장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R-based theme travel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customizing the virtual charac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for the AR-based theme tour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custom learning of the virtual charact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basic process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inputting a travel plan request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low for a text analysis method based on a travel plan request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ext analysis process and the character meat growth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guide scene after deriving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flow for the path comparison diagram gener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uide scene to which the path comparis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uide scene to which the actual AR is appl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R-based theme tour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custom learning of a virtual charac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가상 캐릭터(20)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1)은 중앙서버에 구비되는 시스템(1)으로서, 여행을 준비 중인 학생 혹은 학생과 함께 여행을 떠날 학부모나 선생님 등의 보호자를 포함하는 개념인 유저(2)가 여행 계획을 세울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1)이 구비되는 것이되, 유저(2)는 이 시스템(1)을 활용하기 위해 통신망에 연결된 유저(2)단말(3)을 통해 시스템(1)에 접속하여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이며, 나아가 이 시스템(1)은 별도의 관리자를 더 두거나 혹은 시스템(1) 내부에 AI 봇을 둘 수 있으며 이 관리자 혹은 봇을 통해 유지보수와 데이터 업데이트 등을 진행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 것을 의미한다.AR-based theme travel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1) through the custom learning of the virtual charact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1) provided in the central server, parents or students who are going to travel with students or students preparing to travel A system 1 is provided for use by a user 2, a concept including a guardian such as a teacher, to plan a trip, but the user 2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o utilize the system 1. I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by connecting to the system (1) through the user (2) terminal (3), and furthermore, the system (1) can have a separate administrator or AI bots inside the system (1) This means that the administrator or bot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maintenance and data updates.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프로세스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여행계획 요청서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R-based theme tour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custom learning of the virtual charac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basic process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inputting a travel plan request form.

이러한 시스템(1)에 대해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system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s follows.

본 발명의 가상 캐릭터(20)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1)은 유저(2)로부터 휴식, 오락, 역사, 체험과 같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여행 목적과, 서울, 부산, 도쿄, 파리 등과 같이 대략적으로 원하는 도시나 지역과 같이 비교적 넓은 범위의 여행을 떠나길 원하는 여행지를 입력 받는 여행정보 입력부(110)와, 유저(2)로부터 여행정보와 관련하여 복수 개의 단어로 구성되는 문장으로 작성된 여행 요청서를 입력 받는 요청서 입력부를 포함하는 여행정보 입력모듈(100); 앞선 여행지에 종속되는 구성인 세부여행지(예를 들어 여행지가 부산이었다면, 세부여행지는 기장, 해운대, 서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혹은 그보다 더 세부적인 건물, 유적, 점포, 식당 등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여행지 데이터가 저장된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와, 여행계획 요청서(10)를 기반으로 유저(2)의 여행 선호도를 판단하여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된 여행지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세부 여행지를 도출하는 여행선호도 조사부(220)로 구성되는 여행선호 확인모듈(200)이 포함될 수 있다.AR-based theme tour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1) through the custom learning of the virtual charact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travel purpose such as relaxation, entertainment, history, experience from the user (2), Seoul, Composed of a plurality of words rela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from the user (2) and the travel informatio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a travel destination that wants to leave a relatively wide range of travel, such as a city or region, such as Busan, Tokyo, Paris, etc. A travel information input module 100 including a request form input unit for receiving a travel request form written in a sentence; Cebu destinations, which are subordinate to earlier destinations (for example, if the destination was Busan, Cebu destinations may include captains, Haeundae, Seomyeon, etc.) or more detailed buildings, monuments, stores, restaurants, etc. Determine a travel preference of the user 2 based on the travel information database 210 in which at least one travel data is stored and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to determine a plurality of details from the travel data included in the travel information database 210. The travel preference confirmation module 200 may include a travel preference survey unit 220 for deriving a travel destination.

즉, 앞서 유저(2)로부터 입력 받은 요청서를 분석하면 실질적으로 유저(2)가 어떠한 여행지에서 어떠한 여행 목적을 갖고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분석은 여행자에게 특화된 여행계획이자 여행지 중심의 여행계획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밑바탕이 될 수 있는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travel destination the user 2 is planning to travel for and what travel destination.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oviding a travel-centered travel plan.

특히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실시간으로 혹은 특정 주기마다 갱신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로서, 바람직하게는 웹봇(web bot)을 통해 인터넷에 위치한 블로그나 카페, 게시글 등을 확인하면서 여행지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 가능한 것이며, 세부여행지에 대한 정보나 특정한 건물, 유적, 특정한 점포, 식당 등의 정보가 수록될 수 있다. 이러한 여행지 정보의 예를 들면, 예를 들어 서울의 유적으로서 경복궁을 들 수 있는데, 이 경복궁의 위치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주소 정보와 경복궁의 외형 사진, 경복궁에 대한 설명, 경복궁으로 가는 교통편, 경복궁 주변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전라남도의 경우에는 다양한 세부여행지가 포함될 수 있겠으나 이 중 여수, 전라좌수영, 진남관 등의 정보는 바로 앞서 설명한 여행계획 요청서(10)에 등장한 정보와 상응되는 정보라고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particular, the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210 is an information database updated in real time or at a specific cycle. Preferably, the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210 can update the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while checking blogs, cafes, and posts located on the Internet through a web bot. For example, it may contain information on detailed destinations, specific buildings, monuments, specific stores, restaurants, etc. Examples of such travel information include, for example, Gyeongbokgung Palace as the ruins of Seoul. The loc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is located at Sejong-ro, Jongno-gu, Seoul, so this address information, the appearance of Gyeongbokgung Palace, description of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way to Gyeongbokgung Palace. It may include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around Gyeongbokgung Palace.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Jeollanam-do, various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may be included, but information such as Yeosu, Jeolla-ja swimming, and Jinnam-gwan may be referred to a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shown in the above-described travel plan request 10. .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이러한 여행지 관련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2)가 여행계획 요청서(10)를 입력하게 되면, 이를 기반으로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된 여행지 정보들과 비교하여 더욱 상세한 세부 계획인 세부 여행지를 도출할 수 있다.Since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210, when the user 2 inputs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210 compar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210. This allows you to derive detailed destinations, which are more detailed plans.

나아가, 여행선호도 조사부(220)에서는 앞서 유저(2)에게 제공받은 여행계획 요청서(10)를 기반으로 하여 유저(2)의 여행 선호도를 판단하고, 이 선택데이터에서 여행 선호도를 기반으로 세부 여행지를 도출하는 구성이며, 기본적으로 유저(2)가 작성한 여행계획 요청서(10)를 텍스트 분석을 통해 자주 나온 단어나 감정단어 등을 통해 유저(2)의 선호를 파악하여 이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서 추출하는 것으로 유저(2) 맞춤형 여행지인 세부 여행지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the travel preference research unit 220 determines the travel preferences of the user 2 based on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previously provided to the user 2, and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based on the travel preferences in the selection data. Basically,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prepared by the user (2) is used to identify the user's preferences through words or emotion words frequently found through text analysis,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travel information database. Extracting at 210 allows the user 2 to derive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which is a customized travel destination.

이렇게 도출된 세부 여행지 각각을 지도에 표시하여(이 때 바람직하게는 지도는 외부 GIS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받거나 혹은 자체적으로 지도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상태로 활용되는 것이 가장 좋다.) 여행지도(30)를 생성하고, 각각의 세부 여행지에 대한 안내정보를 유저(2)에게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여행정보 제공모듈(400)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정보의 경우 굳이 세부 여행지에 대한 안내를 모두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 상태로 제공될 필요는 없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의 구축 시 웹봇이 이러한 안내정보를 함께 모아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여행지 데이터로 저장해두거나 혹은 실시간으로 웹봇을 통해 외부 링크만 제공하는 정도로도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Each of the derived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is displayed on a map (preferably, the map is best provided through an external GIS database or used with its own map database) to generate the travel map 3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00 that can simultaneously provide the user 2 with the guide information for each detailed travel destin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case, the guide information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provided in a state where all the guides for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are stored in the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210, and as described above, the webbot may share the guide information when constructing the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210. Collected as a travel destination data in the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210 or may be implemented to the extent that only provides an external link through a web bot in real time.

이 때 여행정보의 제공은 유저(2)가 본 시스템(1)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한 PC의 웹 환경을 통해 제공하거나 혹은 유저(2)가 보유한 스마트폰과 같은 유저(2)단말(3)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여행지도(30)나 안내는 어느 정도 고정화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마치 구글이나 SK네트웍스와 같은 대형 지도 공급업체에서 오프라인 지도를 제공하거나 혹은 백과사전을 저장매체에 담아 제공하는 것과 같이 이러한 정보를 유저(2)가 보유할 수 있는 파일화된 정보로서 제공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provision of the travel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web environment of the PC used by the user 2 to access the system 1 or to the user 2 terminal 3 such as a smartphone possessed by the user 2. Of course, it may be provided by utilizing the stored application. In addition, since the travel map 30 and the guidance are somewhat fixed data, such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a large map supplier such as Google or SK Networks to provide offline maps or encyclopedias in a storage medium.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as filed information that (2) can hold.

또한, 앞선 여행선호 확인모듈(200)에서 세부 여행지를 도출할 때에, 해당 과정을 보다 사용자 친화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R이 고려될 수 있다. AR은 Augmented Reality(증강현실)의 준말로서, 최근에 유행했던 게임'Pokemon Go'의 성공과 함께 대중의 관심사를 끌게 된 기술이다. 이 증강현실은 카메라 등의 촬영기기를 통해 실제 사물이나 주변 환경 등의 영상을 촬영하면, 이 영상을 표시하는 단말(3)에서 가상의 캐릭터(20)나 말 풍선, 이미지 등을 합성하여 마치 이러한 합성물들이 실제로 촬영된 영상에 원래 있었던 것처럼 행동하거나 위치시켜 표시하는 기술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deriving a detailed travel destination from the previous travel preference check module 200, AR may be considered as a method of providing the process more user-friendly. AR stands for Augmented Reality, a technology that has attracted public interest with the success of the recently popular game Pokemon Go. When augmented reality captures an image of a real object or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a photographing device such as a camera, the virtual character 20, a speech balloon, an image, and the like are synthesized in the terminal 3 displaying the image. It refers to a technology in which composites behave or position as if they were originally in the captured image.

도 5는 본 발명의 여행계획 요청서 기반의 텍스트 분석 방법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텍스트 분석과정과 그에 따른 캐릭터 육성장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세부 여행지 도출 이후의 안내장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low for a text analysis method based on a travel plan request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ext analysis process and a character meat growth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uide scene after deriving a detailed travel desti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앞선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기술에서는 세부 여행지 도출 시 그 과정을 유저(2)가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가상의 캐릭터(20)를 생성하는 캐릭터 생성부(310)와, 앞선 여행선호 확인모듈(200)에서 세부 여행지 도출 진척에 따라 캐릭터(20)의 외형을 변형하여 캐릭터(20)를 육성하는 캐릭터 육성부(320)를 포함하는 캐릭터 육성모듈(300)의 구성을 더 갖출 수 있다. 여기서 캐릭터(20)는 쉽게 말해 증강현실을 통해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의 매개체로서 활용될 구성으로서 단순히 스마일이나 원 등의 추상적 마크로부터 피카츄와 같은 유명 IP들이 활용될 수도 있다. 특히 육성부의 경우 후술하겠지만, 여행선호 확인모듈(200)에서 세부 여행지를 도출하는 단계나 구성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의 흐름에 따라, 즉 진척도에 따라 캐릭터(20)의 외형을 키우거나 단계별로 변화시켜 캐릭터(20)가 육성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 in the present technology, the character generator 310 generates a virtual character 20 that displays the process so that the user 2 can easily determine the process when deriving a detailed destination, and the previous travel preference. The confirmation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character development module 300 including a character development unit 320 to grow the character 20 by modifying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20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deriving the detailed destination. . Here, the character 20 may be easily used as a medium for guiding inform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and famous IPs such as Pikachu may be utilized simply from abstract marks such as smiles or circl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nurturing part, since the step or configuration of deriving the detailed destination in the travel preference confirmation module 200 is composed of at least two or more,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20 according to the flow of such configuration, that is, the progress level By raising or changing step by step can be applied that the character 20 is nurtured.

이렇게 캐릭터(20)가 준비되면, 여행정보 제공모듈(400)에서는 여행지도(30)를 기반으로 캐릭터(20)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합성하여 캐릭터(20)를 통해 안내를 제공토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같이 가상의 여행지도(30)를 띄워 경로(31)를 표시하는 기능을 동일하게 갖되, 동시에 이 여행지도(30)에 여행지도(30)의 특징에 따라 어울리게 표시(AR)되는 캐릭터(20)를 더 합성하여 캐릭터(20)를 매개로 안내를 추가로 제공하는 구성이 가능하다.When the character 20 is prepared in this way,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00 may synthesize the character 20 on the basis of the travel map 30 based on augmented reality to provide guidance through the character 20. For example, it has the same function of displaying the route 31 by floating the virtual travel map 30 like the navigation of a car,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the travel map 30 on the travel map 3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vel map 30. AR) by further synthesizing the character 20 is configured to provide additional guidance through the character 20.

여기서 앞선 여행선호도 조사부(220)를 통해 세부 여행지를 도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 및 5를 기반으로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 a method of deriving a detailed travel destination through the previous travel preference research unit 2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as follows.

먼저 여행선호도 조사부(220)는, 여행계획 요청서(10)에 포함된 용어의 등장도와 근접도에 따라 군집화한 군집화팩터를 통해 유효 용어를 도출하는 비교 도출파트(221)와, 유효 용어를 여행지 데이터와 매칭시켜 매칭된 복수의 여행지 데이터를 세부 여행지로서 도출하는 선호여행지 도출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travel preference survey unit 220 compares the derivation part 221 for deriving valid terms through a clustering factor clustered according to the appearance and proximity of terms included in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and the valid terminology for the destination data. It may be configured as a preferred destination derivation part to match the and to derive a plurality of matched destination data as a detailed destination.

유저(2)가 작성한 여행계획 요청서(10)에는 수 많은 용어들이 포함된 복수 개의 문장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들 중 실제로 유저(2)가 어떠한 여행정보가 관심이 있는가를 알아보려면 일종의 텍스트 분석과정이 필요하다.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prepared by the user 2 includes a plurality of sentences including a number of terms. Therefore, among these terms, the user 2 actually needs some kind of text analysis process to find out what travel information is of interest.

이를 위해 별도로 텍스트 추출파트(미도시)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이 텍스트 추출파트는 여행계획 요청서(10)에 포함된 텍스트들을 어절 별로 나누되, 다시 그 자체만으로도 특정 의미를 갖는 명사와 같은 텍스트 및 감정을 나타내는 감정텍스트, 텍스트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 연결텍스트 등으로 잘게 쪼개어 용어화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텍스트 분석 과정에서 기본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과정 중 하나이며, 이 텍스트 추출파트에서 얼마나 작은 단위로 용어를 쪼개느냐에 따라 최종적으로 도출될 세부 여행지의 정확도가 상승하거나 하락할 수 있는 요인이 됨은 물론이다.For this purpose, a text extracting part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The text extracting part may separate texts included in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by word, but again, such as a noun having a specific meaning by itself. And an emotional text indicating emotion, a link text used for linking between texts, and the like. This is one of the processes that can be performed as a basic task in the general text analysis process, and depending on how small the term is divided in this text extraction part, the accuracy of the final destination to be derived may increase or decrease. to be.

다만 여기서 용어를 나누는 기준을 굳이 복잡하게 잡지 않고, 단순히 하나의 어절을 기준으로 용어를 나누되, 이 어절에 조사나 접사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인식하고 추후 필요에 따라 제외하여 용어로서 활용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출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terminology of dividing the term is not complicated, but simply divides the term based on a single word, but this word may contain an investigation or affix. Of course, it can also have a configuration to make.

이러한 방식을 활용하여 여행계획 요청서(10)에서 용어를 분할하여 판단할 수 있게 되면, 다시 이 용어들의 등장빈도와 근접도에 따라 군집화한 군집화팩터를 통해 유효 용어를 도출하는 비교 도출파트(221)의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예를 들면 여행계획 요청서(10)에 제주라는 단어가 가장 반복적으로 등장하거나 혹은 여행계획 요청서(10)의 특정 문장에서 제주라는 단어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등장빈도를 파악하는 것이며, 근접도의 경우에는 적용하는 방법에 따라 어느 정도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예를 들면 제주도와 좋다 혹은 제주도와 가고 싶다 등의 용어들은 반복 등장할 확률이 높은데, 이 때 '제주도가 매우 좋다'나 '제주도는 말과 귤 바다가 있어 가고 싶다' 등과 같이 제주도와의 사이에 다른 용어가 위치하여, 다시 말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주도/좋다 세트와 제주도/가고 싶다 세트는 서로 다른 근접도를 갖게 되므로 이들의 샘플이 다양하게 모였을 때 이러한 근접도를 비교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두 단어의 연관성이 얼마나 큰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접도 판단의 경우에는 현재 빅데이터 분야에서 워드 마이닝과 같은 작업 시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엔진이 공개되어 있으며, 이들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수 있음은 물론이지만, 단순히 근접도와 등장빈도를 각각 비교하는 것은 수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기에는 비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When the term can be determined by dividing the term in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using this method, the comparison derivation part 221 which derives the effective term through the clustering factor cluster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proximity of the terms. It can be equipped with For example, if the word Jeju appears most repetitively in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or the word Jeju appears repeatedly in a specific sentence of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appearance, and in case of proximity. Although it may vary to some extent depending on how it is applied, for example, terms like Jeju Island or Jeju Island are highly likely to appear repeatedly. 'I want to go to the sea' and other terms are located between Jeju Island, that is, it is usually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Therefore, the Jeju Island / Good Set and the Jeju Island / Want to Go Set have different proximity, so when these samples are gathered in various ways, comparing these proximity can actually determine how big the two words are. Can be. In the case of such proximity determination, various data mining engines that are currently used in operations such as word mining in the big data field are disclosed,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can be used, but simply compare the proximity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respectively. It's an inefficient way to handle a lot of data.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비교 도출파트(221)에서는 이러한 용어를 군집화팩터를 통해 군집화를 진행하게 되는데, 군집화팩터는 둘 이상의 용어를 반복적으로 등장빈도와 근접도를 비교하여 여행계획 요청서(10)에 포함된 용어들 각각의 중요도를 파악해 실제 분석에 활용될 유효 용어를 도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용어들을 군집화팩터를 통해 그 유효도의 고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a method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 comparison derivation part 221 performs clustering of these terms through a clustering factor, which clusters two or more terms repeatedly and compares the appearance frequency and the proximity to request a travel plan. The importance of each of the terms in 10) is identified so that effective terms to be used in actual analysis can be derived. In other words, terms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clustering factor.

이 군집화팩터는 용어 분석 시 전체 용어를 비교 판단하는 것 보다는 의미가 있다고 예상되는 용어만 미리 추출하여 이를 비교 판단할 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각 용어의 등장빈도와 근접도가 유효한 기준값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This clustering factor is configured to extract only the terms that are expected to have meaning in advance when comparing the terms in terms of terms, and to utilize them when comparing the terms. That is, the frequency and proximity of each term can be used as a valid reference value. For example:

특정 유저(2)가 업로드한 여행계획 요청서(10)의 내용이 다음과 같고 여행 목적으로서 역사와 체험을 지정했다고 가정한다.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s of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uploaded by the specific user 2 are as follows and the history and experience are designated as the purpose of the trip.

'저는 ㅁㅁ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ㅇㅇㅇ입니다. 저는 이번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x월 y일부터 x월 z일까지 2학년 1학기 역사교과서에서 보았던 이순신장군의 부임지인 전라좌수영을 살펴보고 싶습니다. 또한 전라좌수영 주변에서 이순신장군이 전쟁을 벌였던 유적지도 관람하고 싶습니다.''I'm a sophomore in high school. For this summer vacation,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Jeolla Jun Swim, the Adjunct Officer of Admiral Yi Sun-shin, seen in the history textbook for the second semester from x y to x z. I would also like to see the ruins of Admiral Yi Sun-shin near Jeollasa Swimming. '

이러한 문장에서 '전라좌수영', '이순신장군', '싶습니다'와 같은 용어는 세트를 이루어 여행계획 요청서(10)에 반복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어들은 등장빈도가 다른 용어들과 대비할 때 높고, 이순신장군과 전라좌수영은 전라좌수영/싶습니다나 이순신장군/싶습니다보다 근접하게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싶습니다의 경우 이 세 용어를 제외한 다른 용어들의 근접도가 전혀 없어 0을 나타내는 것 보다는 높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군집화팩터를 통해 유효 용어가 도출되는 경우 바로 이 전라좌수영, 이순신장군, 싶습니다의 용어가 도출될 수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In these sentences, terms such as 'Jeollasak swimming', 'General Yi Sun-sin' and 'I want to' can be seen in a set of trip plan requests 10 repeatedly. These terms are higher in frequency compared to other terms, and General Yi Sun-sin and Jeolla-na Swimming can be found closer than Jeolla-na Swimming / I want or Yi Sun-shin. Of course, there is no proximity of these three terms except for these three terms, so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formed higher than 0. Therefore, if a valid term is derived through the clustering factor, it is this Jeolla left swimming, Yi Soon Shi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erm can be derived.

이러한 군집화팩터 적용은 유효한 텍스트의 추출시간이 기존의 다른 기술들과 대비하였을 때 짧아 빠르게 텍스트 추출이 가능하여 여행계획 요청서(10)의 길이가 길거나 혹은 여행계획 요청서(10)를 수 많은 유저(2)로부터 송부 받은 경우에는 이러한 빠른 텍스트 추출을 통해 같은 하드웨어를 보유한 경우에도 더 많은 분석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유효 용어를 더욱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1)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Application of such a clustering factor is shorter when the effective text extraction time is compared with other existing technologies, so that text can be extracted quickly, so that the length of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10 is long or many users (2) In the case of sending a text message, the quick text extraction enables the analysis of the system 1 even if the user has the same hardware.

여기서 군집화팩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군집화팩터는 다음의 수학식 1로 설명될 수 있다.Herein, the clustering fac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lustering factor may be described by Equation 1 below.

수학식 1.

Figure 112018024084168-pat00002
Equation 1.
Figure 112018024084168-pat00002

여기서, CFab는 용어 a에 대한 용어 b의 군집화팩터, Cont(a,b)는 용어 a와 근접한 용어 b의 누적 합, Cont(b,a)는 용어 b와 근접한 용어 a의 누적 합, Cont(a,all)은 용어 a와 근접한 용어 전체의 누적 합, Cont(b,all)은 용어 b와 근접한 용어 전체의 누적 합을 의미한다.Where CF ab is the clustering factor of term b for term a, Cont (a, b) is the cumulative sum of term b in proximity to term a, Cont (b, a) is the cumulative sum of term a in proximity to term b, Cont (a, all) means the cumulative sum of all the terms that are close to the term a, and Cont (b, all) means the cumulative sum of all the terms that are close to the term b.

즉, 앞선 여행계획 요청서(10)를 계속해서 활용하여 설명하면, '이순신장군'과 '전라좌수영'의 두 용어는 이 근접하여 사용되는 빈도가 높으며, 그 출현 빈도 역시 높은 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군집화를 수행할 경우 '이순신장군'과 '전라좌수영'은 한 그룹으로 군집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you continue to use the previous travel planning request (10) to explain, the two terms 'General Yi Sun-sin' and 'Jeollasak swimming' are frequently used in close proximity, an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is also high. Therefore, when performing clustering on this, it is likely that 'General Yi Sun-shin' and 'Jeolla-ja swimming' will be clustered into one group.

나아가 날짜에서도 'x월', 'y일', 'z일'과 같이 날짜나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근접 사용되는 빈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텍스트를 한 그룹으로 군집화하는 경우, 문장 내에 포함된 모든 용어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는 것에 비해 보다 빠른 군집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erms of dates, terms representing dates and times such as 'x month', 'y day', and 'z day' are frequently used in close proximity. Therefore, when grouping such texts into a group, the sentence It can be said that faster clustering can be performed as compared to classification of all terms included therein.

이러한 방식으로 군집화가 수행되면, 이 유효 용어를 통해 다시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포함된 여행지 데이터와 각각 매칭시켜 매칭된 복수의 여행지 데이터를 세부 여행지로서 도출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세부여행지 도출파트(222)라고 할 수 있다. 즉, 이순신장군과 전라좌수영의 경우라면, 전라좌수영에 위치한 건물인 진남관, 군기고 등의 유적, 변산반도, 여수 등의 세부 여행지 정보도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일종의 유사도 비교를 활용하는 것이되, 이러한 유사도비교의 경우 빅데이터 분석(특히 텍스트분석)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상용엔진이나 관련 분석법을 활용하여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나아가 이 방식을 역으로 활용하여 전라남도라는 더 큰 범위의 여행지도(30) 역 추적 과정을 통해 도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When clustering is performed in this manner, the valid terms can be matched with the destination data included i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210 again to derive a plurality of matched destination data as detailed destinations. It may be referred to as a detailed destination derivation part 222. That is, in the case of Admiral Yi Sun-sin and Jeollasa-swimming, detailed travel information such as Jinnamgwan, a building located in Jeollasa-swimming, Gungi-go, and Byeonsan Peninsula and Yeosu can be derived. Such information uses a kind of similarity comparison, but the similarity comparison can be applied by using a commercial engine or related analysis method widely used in big data analysis (especially text analysis) fiel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Do it. Furthermore, by utilizing this method as a reverse, it can also be derived through a process of tracking a larger range of travel maps (30) called Jeollanam-do.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8은 본 발명의 경로 비교도 생성방법에 대한 프로세스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경로 비교도가 적용된 안내장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0은 실제 AR이 적용된 안내장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low for a method of generating a path comparis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uide scene to which a path comparis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guide scene.

나아가 여행정보 제공모듈(400)은, GIS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세부 여행지 주변의 지도를 수신하는 지도 수신부(410)와, 수신된 지도에 세부 여행지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 적용부(420) 및, 세부 여행지를 연결하는 도로, 보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선을 기반으로 지도에 경로(31)를 표시하여 여행지도(30)를 생성하는 경로 표시부(430)의 구성을 더 갖출 수 있다. 이는 여행계획을 짤 때에 지도상에 예상되는 여행지를 표시하여 해당 여행지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경로(31)를 짜는 구성을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경로 표시부(430)는 GIS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도로와 도보 정보를 판단하여 가장 짧은 거리나 가장 직선방향으로 가는 경로(31) 등 다양한 조건을 통해 경로(31)를 지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00 includes a map receiver 410 for receiving a map around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from the GIS database, a map application unit 420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on the received map, and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The route display unit 430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the route 31 on the map based on at least one moving line among the roads and sidewalks to be connected to generate the travel map 30. This is to indicate the configuration of the route 31 to be sequentially moved to the corresponding travel destination by displaying the expected travel destination on the map when planning the trip. Here, the path display unit 430 may determine the road and walking information through the GIS database, and may specify the path 31 through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shortest distance or the path 31 going in the straightest direction.

나아가, 여행정보 제공모듈(400)에는 유저(2)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을 갖출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00 may be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identifying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user 2 to provide location-based information.

즉, 유저(2)가 보유한 유저(2)단말(3)을 통해 측정된 GPS정보를 기반으로 유저(2)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부(440)와, 현재 위치를 시작점(41)으로 설정하여 시작점(41)으로부터 경로(31)를 통해 다음에 도달할 수 있는 세부 여행지를 경유거점(42)으로 지정하는 경유거점 지정부(450) 및, 경유거점(42) 다음에 도달할 수 있는 세부 여행지를 복수 개 산출하여 확장거점(43)으로 지정하는 확장거점 지정부(460)와, 지도와 별도로 생성되는 도표로서 중앙부위에 시작점(41)을 배치한 상태에서 배치된 시작점(41)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경유거점(42)을 계층 구조(Hierarchy Structure)로 배치하고, 또한 각각의 경유거점(42)을 기준으로 하여 다시 복수개의 확장거점(43)을 계층 구조로 추가 배치한 경로 비교도(40)를 생성하는 비교도 생성부(47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detecting unit 440 for grasp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2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user 2 terminal 3 held by the user 2 and the starting point 41 from the current position. Passing point designation unit 450 that designates a detailed travel destination that can be reached next from the starting point 41 through the path 31 by way of the waypoint 42 and the waypoint 42 can be reached next. An expansion point designation unit 460 for calculating a plurality of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and designating the expansion point 43 as an expansion point 43, and a starting point 41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a starting point 41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as a chart generated separately from a map. Comparing a route in which a plurality of waypoints 42 are arrang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the above,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points 43 are further arrang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each waypoint 42. The comparison diagram generating unit 470 for generating the diagram 40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이 구성은 유저(2)의 현재 위치를 GPS를 통해 파악하여 유저(2)에게 현재 위치 기반의 다른 경로(31)들을 추천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여행이 항상 제 시간에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여행 중간중간에도 계속해서 세부 여행지를 파악하여 일정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 때 활용될 수 있는 것이 바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세부 여행지들의 경로(31)를 다시 한번 살펴볼 수 있는 경로 비교도(40)라고 할 수 있다. 경로 비교도(40)는 현재 위치를 시작점(41)으로 두고, 이 시작점(41)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세부 여행지를 경유거점(42)으로 지정하여, 시작점(41)에서 각각의 경유거점(42)으로 갈 수 있는 길이나 예상 시간 등의 정보를 모두 계층구조로 나열하여 표시한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세부 여행지를 거칠 수 있는 충분한 여유가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경유거점(42)을 다시 기준으로 하여 다음에 이동할 수 있는 세부 여행지를 확장거점(43)으로 지정하고, 경유거점(42)에서 확장거점(43)으로 이동하는 경로(31)를 다시 계층구조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This configuration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recommending other routes 31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to the user 2 by grasp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2 through GPS, since the trip is not always made on time, In the middle of the trip, it is necessary to keep track of the detailed destination and adjust the schedule. In this case, it can be said that the path comparison diagram 40 which can look back on the route 31 of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s available. The route comparison diagram 40 sets the current position as the starting point 41 and designates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that can be moved from the starting point 41 as the waypoint 42, from the starting point 41 to each waypoint 42. All information such as length of time to go and estimated time is list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re may be enough room to go through one or mor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that can be moved next to the reference point via the stopover point 42 is designated as the extension point 43, and the stopover point 42 In this case, the path 31 moving from the expansion base 43 to the extension base 43 is display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따라서 유저(2)는 한 눈에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갈 수 있는 세부 여행지와 그 동선을 확인할 수 있어 유저(2)의 감이나 경험만으로 움직일 때 보다 훨씬 분석적인 여행 및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2 can check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and the moving lines which can go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at a glance, and thus the travel and movement can be much more analyzed than when the user 2 moves only by the feeling or experience of the user 2.

여기서 경로 비교도(40)를 더욱 활용하는 다음의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Here, the following method of further utilizing the path comparison diagram 40 may also be considered.

먼저, 시스템(1) 구성을 위해, 세부 여행지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서, 세부 여행지에 위치한 차량 및 여행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의 수를 감지하여 객체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여행지 복잡도 감지센서(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복잡도 감지센서는 최근에 활용되는 특정 영역에 위치한 사람의 수를 파악하여 그 복잡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로서, CCTV나 적외선 센서 등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rst, in order to configure the system 1, at least one of each destination is installed, and a destination complexity sensor for generating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number of object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ehicle and a traveler located in the destination. (4) may be further provided. This complexity sensor is a sensor that can determine the complexity by grasping the number of people located in a specific area that is recently utilized, of course, CCTV or infrared sensors can be used.

나아가, 여행정보 제공모듈(400)에는 이 객체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경유거점(42) 및 확장거점(43) 각각의 복잡도를 판단하는 복잡도 판단부(480)와, 경유거점(42)과 확장거점(43)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비교동선을 도출하는 비교동선 생성부(490) 및, 비교동선으로 연결된 경유거점(42)과 확장거점(43)의 복잡도 차를 비교동선의 복잡도로 지정하는 복잡도 지정부(500)와, 비교동선을 경로 비교도(40)에 합성하는 비교동선 합성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00 includes a complexity determination unit 480 for determining the complexity of each of the waypoint 42 and the expansion point 43 based on the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waypoint 42 and the expansion point. A comparison line generation unit 490 for deriving a plurality of comparison lines connecting 43 and a complexity index for designating the complexity difference between the transit point 42 and the expansion point 43 connected to the comparison line as the complexity of the comparison line. A portion 500 and a comparison line synthesis unit 510 for synthesizing the comparison lines with the path comparison diagram 40 may be provided.

여기서 복잡도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도출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omplexity may be derived through Equation 3 below.

수학식 3.

Figure 112018024084168-pat00004
Equation 3.
Figure 112018024084168-pat00004

수학식 3에서, XD는 특정 비교동선의 복잡도, Y1은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복잡도 감지센서에서 파악된 객체의 수, Y2는 Y1과 비교동선을 형성한 다른 분포 감지센서에서 파악된 객체의 수, r은 분포 감지센서가 포함된 세부 여행지가 경유거점(42) 및 확장거점(43)여부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0과 1 사이의 중요도 가중치, L은 비교동선의 실제 거리를 의미한다.In Equation 3, X D is the complexity of a specific comparison line, Y 1 is the number of objects detected by one of the complexity sensors as a reference, and Y 2 is detected by another distribution sensor forming a comparison line with Y 1 . Number of objects, r is the weight of importance between 0 and 1, where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including the distribution sensor is differentially appli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a route point 42 or an extension point 43, and L is the actual distance of the comparison line do.

복잡도 감지센서에서 파악된 객체의 수는 다시 말해 해당 경유거점(42) 혹은 확장거점(43)의 복잡도가 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시작점(41)의 경우 복잡도를 0이라고 놓고 계산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중요도 가중치의 경우 미리 결정되는 값으로서, 예를 들어 3천명이 수용 가능한 세부 여행지에 100명의 분포가 파악되는 것과 300명이 수용 가능한 세부 여행지에 100명의 분포가 파악되는 것은 그 실질적인 차이가 엄청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수리 등의 이유로 평소보다 적은 면적만을 개방하거나 갑작스런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고자 미리 중요도 가중치를 1과 0사이에서 지정하여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objects identified by the complexity detecting sensor may be, for example, the complexity of the corresponding transit point 42 or the expansion point 43. Here, the starting point 41 may be calculated by setting the complexity to 0. Furthermore, in the case of importance weighting, as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of 100 people in a detailed destination that can accommodate 3,000 people and the distribution of 100 by a detailed destination that can accommodate 300 people can be enormous. I can understand. In addition, since only a smaller area than usual may be opened or a sudden problem may occur due to repair, etc., the importance weight may be specified between 1 and 0 in advance to correct such a difference.

따라서 측정된 분포와 중요도 가중치에 따라 각 경유거점(42), 확장거점(43) 및 비교동선의 복잡도가 도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complexity of each transit point 42, the expansion point 43, and the comparative moving line may be derived according to the measured distribution and the importance weight.

나아가, 여행정보 제공모듈(400)에는 이러한 복잡도에 비례하여 비교동선의 길이를 가감 제어하는 복잡도 반영부(520)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되, 이 때 비교동선의 길이는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00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of a complexity reflecting unit 520 that controls the length of the comparison line in proportion to the complexity, wherein the length of the comparison line is expressed by Equation 4 below. It can be calculated through

수학식 4.

Figure 112018024084168-pat00005
Equation 4.
Figure 112018024084168-pat00005

여기서, A(x,y)는 비교동선의 길이, NK는 비교동선의 기준 길이, K0는 비교동선의 최대 복잡도, K1은 전체 복잡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전체 객체의 수 중 선택된 비교동선에 포함되는 복잡도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객체의 수의 비, K2는 선택된 비교동선의 복잡도를 의미한다.Here, A (x, y) is the length of the comparative copper wire, N K is the reference length of the copper copper wire, K 0 is the maximum complexity of the copper copper wire, K 1 is the selected comparative copper wire among the total number of objects detected by the total complexity sensor the ratio of the complexity of the number of objects detected by the sensors included in, and K 2 indicates the complexity of the selected comparative copper.

이에 따라 비교동선은 특정한 기준 길이에서 복잡도에 따라 상이하게 변화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되, 특히 단순히 이 비교동선의 길이를 비교동선의 복잡도만 고려하지 않고, 전체 비교동선 들의 복잡도를 고려함으로써 해당 비교동선의 길이를 더욱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2)는 단순히 이 비교동선의 길이 비교만으로도 육안으로 충분한 복잡도 판단을 통해 적합한 동선 수정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Accordingly, the comparison line may have a length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complexity at a specific reference length, and in particular, the length of the comparison line does not merely consider the complexity of the comparison line, but also considers the complexity of all the comparison lines. More complex lengths can be applied. Therefore, the user 2 can, of course, make it possible to modify the appropriate copper line simply by comparing the lengths of the comparative copper lines with the naked eye by determining sufficient complexity.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R-based theme tour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the custom learning of the virtual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시스템 2: 유저
3: 단말 4: 여행지 복잡도 감지센서
10: 여행계획 요청서 20: 캐릭터
30: 여행지도 31: 경로
40: 경로 비교도 41: 시작점
42: 경유 거점 43: 확장 거점
100: 여행정보 입력모듈 110: 여행정보 입력부
200: 여행성호 확인모듈 210: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여행선호도 조사부 221: 비교 도출파트
222: 세부 여행지 도출파트
300: 캐릭터 육성모듈 310: 캐릭터 생성부
320: 캐릭터 육성부 400: 여행정보 제공모듈
410: 지도 수신부 420: 지도 적용부
430: 경로 표시부 440: 위치 파악부
450: 경유거점 지정부 460: 확장거점 지정부
470: 비교도 생성부 480: 복잡도 판단부
490: 비교동선 생성부 500: 복잡도 지정부
510: 비교동선 합성부 520: 복잡도 반영부
1: system 2: user
3: terminal 4: travel complexity sensor
10: Travel Plan Request Form 20: Character
30: Travel Map 31: Routes
40: path comparison diagram 41: starting point
42: transit hub 43: expansion hub
100: travel information input module 110: travel information input unit
200: Travel confirmation number module 210: Travel information database
220: travel preference research unit 221: comparison derived parts
222: Cebu destination depart
300: character development module 310: character generator
320: character development unit 400: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10: map receiver 420: map application unit
430: route display unit 440: position grasping unit
450: Route point designation unit 460: Expansion point designation unit
470: comparison degree generation unit 480: complexity determination unit
490: comparison line generation unit 500: complexity designation unit
510: non-combination line synthesis unit 520: complexity reflecting unit

Claims (10)

가상 캐릭터의 커스터마이징 학습을 통한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으로서,
유저로부터 여행 목적 및 여행지를 포함하는 여행정보를 입력 받는 여행정보 입력부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여행정보와 관련하여 문장으로 작성된 여행계획 요청서를 입력 받는 요청서 입력부를 구비한 여행정보 입력모듈;
여행지 데이터가 저장된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여행계획 요청서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의 여행 선호도를 판단하여 상기 여행지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세부 여행지를 도출하는 여행선호도 조사부를 구비한 여행선호 확인모듈;
가상의 캐릭터를 생성하는 캐릭터 생성부와, 상기 여행선호 확인모듈에서 상기 세부 여행지의 도출 진척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외형을 변형시켜 육성하는 캐릭터 육성부를 구비한 캐릭터 육성모듈;
육성된 상기 캐릭터를 통해 AR(Augmented Reality) 기반으로 상기 세부 여행지 각각을 지도에 표시한 여행지도 및 상기 세부 여행지에 대한 안내정보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여행정보 제공모듈;
상기 세부 여행지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세부 여행지에 위치한 차량 및 여행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의 수를 감지하여 객체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여행지 복잡도 감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여행정보 제공모듈은,
GIS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세부 여행지 주변의 지도를 수신하는 지도 수신부와,
상기 지도에 상기 세부 여행지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도 적용부 및,
상기 세부 여행지를 연결하는 도로, 보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선을 기반으로 상기 지도에 경로를 표시하여 상기 여행지도를 생성하는 경로 표시부와,
상기 유저가 보유한 유저단말의 GPS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부와,
상기 현재 위치를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경로를 통해 다음에 도달할 수 있는 상기 세부 여행지를 경유거점으로 지정하는 경유거점 지정부 및,
상기 경유거점에서 상기 경로를 통해 다음에 도달할 수 있는 상기 세부 여행지를 복수 개 산출하여 확장거점으로 지정하는 확장거점 지정부와,
상기 지도와 별도로 생성되는 도표로서, 상기 시작점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경유거점을 계층 구조(Hierarchy Structure)로 배치하고, 상기 경유거점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확장거점을 계층 구조로 추가 배치한 경로 비교도를 생성하는 비교도 생성부 및,
상기 객체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경유거점 및 상기 확장거점 각각의 복잡도를 판단하는 복잡도 판단부와,
상기 경유거점과 상기 확장거점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비교동선을 도출하는 비교동선 생성부 및,
상기 비교동선으로 연결된 상기 경유거점과 상기 확장거점의 복잡도 차를 상기 비교동선의 복잡도로 지정하는 복잡도 지정부와,
상기 비교동선을 상기 경로 비교도에 합성하는 비교동선 합성부 및,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상기 복잡도에 비례하여 상기 비교동선의 길이를 가감 제어하는 복잡도 반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
수학식.
Figure 112019061427587-pat00020

(여기서, A(x,y)는 비교동선의 길이, NK는 비교동선의 기준 길이, K0는 비교동선의 최대 복잡도, K1은 전체 복잡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전체 객체의 수 중 선택된 비교동선에 포함되는 복잡도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객체의 수의 비, K2는 선택된 비교동선의 복잡도를 의미한다.)
As an AR-based theme travel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custom learning of virtual characters,
A travel information input module including a travel informa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ravel information including a travel destination and a travel destination from a user, and a request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travel plan request form written in sentences rela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from the user;
A travel preference confirmation module including a travel destination information database in which travel data is stored and a travel preference survey unit for determining a travel preference of the user based on the travel plan request document and deriving a plurality of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from the travel data;
A character development module including a characte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virtual character and a character development unit for modifying and developing the appearance of the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deriving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from the travel preference confirmation module;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the user with a travel map displaying each of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on a map and guide information about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based on AR (Augmented Reality) through the raised character;
At least one for each detailed travel destination, a travel destination complexity detection sensor for generating the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number of objects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the vehicle and the traveler located in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A map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map around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from a GIS database;
A map application unit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on the map;
A route display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travel map by displaying a route on the map based on at least one moving line of a road and a sidewalk connecting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A location detecting unit for grasp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A transit point designation unit for setting the current position as a starting point and designating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that can be reached next through the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An expansion point design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plurality of detailed travel destinations that can be reached next through the route from the waypoint and designate an extension point;
As a chart generated separately from the map, a plurality of waypoints are arrang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the starting point, and a route comparison in which the plurality of extension points are further arrang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the waypoints is compared. Comparative diagra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diagram,
A complexity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complexity of each of the route point and the expansion point based on the object detection information;
A comparison line generation unit for deriving a plurality of comparison lines connecting the transit point and the extension point;
A complexity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a difference in complexity between the transit point and the extension point connected to the comparison line as the complexity of the comparison line;
A comparative copper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the comparative copper to the path comparison diagram,
And a complexity reflecting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length of the comparison line in proportion to the complexity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Equation.
Figure 112019061427587-pat00020

(Where A (x, y) is the length of the comparison line, N K is the reference length of the comparison line, K 0 is the maximum complexity of the comparison line, K 1 is the total number of objects detected by the total complexity sensor The ratio of the number of objects detected by the complexity sensor included in the movement line, K 2 means the complexity of the selected comparison move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선호도 조사부는,
상기 여행계획 요청서에 포함된 용어의 등장빈도와 근접도에 따라 군집화한 군집화팩터를 통해 유효 용어를 도출하는 비교 도출파트와,
상기 유효 용어를 기반으로 상기 세부 여행지를 도출하는 세부여행지 도출파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vel preference survey unit,
A comparative derivation part for deriving valid terms through a clustering factor cluster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proximity of terms included in the travel plan request form;
And a detailed destination derivation part for deriving the detailed destination based on the valid ter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화팩터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8024084168-pat00006

(여기서, CFab는 용어 a에 대한 용어 b의 군집화팩터, Cont(a,b)는 용어 a와 근접한 용어 b의 누적 합, Cont(b,a)는 용어 b와 근접한 용어 a의 누적 합, Cont(a,all)은 용어 a와 근접한 용어 전체의 누적 합, Cont(b,all)은 용어 b와 근접한 용어 전체의 누적 합을 의미한다.)
The method of claim 2,
The clustering factor is,
The AR-based theme travel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Figure 112018024084168-pat00006

Where CF ab is the clustering factor of term b for term a, Cont (a, b) is the cumulative sum of term b in close proximity to term a, Cont (b, a) is the cumulative sum of term a in close proximity to term b, Cont (a, all) is the cumulative sum of all the terms that are close to term a, and Cont (b, all) is the cumulative sum of all the terms that are close to term b.)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잡도 지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상기 복잡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기반 테마여행 AI 큐레이션 제공시스템.
수학식 3.
Figure 112019061427587-pat00008

(여기서, XD는 특정 비교동선의 복잡도, Y1은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복잡도 감지센서에서 파악된 객체의 수, Y2는 상기 Y1과 비교동선을 형성한 다른 분포 감지센서에서 파악된 객체의 수, r은 상기 분포 감지센서가 포함된 상기 세부 여행지가 상기 경유거점 및 상기 확장거점여부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0과 1 사이의 중요도 가중치, L은 상기 비교동선의 실제 거리를 의미한다.)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lexity designation unit,
An AR-based theme travel AI cur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complexity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3).
Equation 3.
Figure 112019061427587-pat00008

(Where X D is the complexity of a particular comparable copper line, Y 1 is the number of objects identified by one of the complexity sensors used as a reference, and Y 2 is determined by another distribution sensor forming a comparative copper line with Y 1 The number of objects, r is an importance weight value between 0 and 1 to which the detailed travel destination including the distribution sensor is differentially applied depending on whether the transit point and the expansion point, L means the actual distance of the comparison lin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28112A 2018-03-09 2018-03-09 A System of Providing Theme Travel AI Curation Based on AR through Customization Learning of Virtual Character KR1020429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12A KR102042919B1 (en) 2018-03-09 2018-03-09 A System of Providing Theme Travel AI Curation Based on AR through Customization Learning of Virtual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12A KR102042919B1 (en) 2018-03-09 2018-03-09 A System of Providing Theme Travel AI Curation Based on AR through Customization Learning of Virtual Charac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52A KR20190107252A (en) 2019-09-19
KR102042919B1 true KR102042919B1 (en) 2019-11-11

Family

ID=6806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12A KR102042919B1 (en) 2018-03-09 2018-03-09 A System of Providing Theme Travel AI Curation Based on AR through Customization Learning of Virtual Chara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9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787B1 (en) * 2020-07-01 2022-08-23 (주)케이시크 connected tour service method based on self-driving vehicle
KR102538718B1 (en) * 2020-10-21 2023-06-12 주식회사 와이드브레인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R Game
KR102383284B1 (en) * 2021-08-03 2022-04-11 주식회사 만나통신사 System for providing business fieldtrip service using metaverse
KR102539989B1 (en) * 2022-09-07 2023-06-05 (주)휴먼아이티솔루션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providing tourism experience service using metaverse sp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195B1 (en) * 2005-10-17 2007-0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racter growing service by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JP2012048559A (en) * 2010-08-27 2012-03-08 Denso Corp Drive tour plan preparation system
KR101741408B1 (en) * 2016-10-17 2017-05-3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nalysis system for large-scale scholarly paper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444A (en) * 2010-10-08 2012-04-18 이윤열 System for providing tour information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80014910A (en) * 2016-08-02 2018-02-12 김지현 Tour content and its delivery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in Virtual Real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195B1 (en) * 2005-10-17 2007-0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racter growing service by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JP2012048559A (en) * 2010-08-27 2012-03-08 Denso Corp Drive tour plan preparation system
KR101741408B1 (en) * 2016-10-17 2017-05-3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nalysis system for large-scale scholarly paper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252A (en)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19B1 (en) A System of Providing Theme Travel AI Curation Based on AR through Customization Learning of Virtual Character
CN101053001B (en) Map information updating device and map information updating method
Karimi et al. Personalized accessibility map (PAM): A novel assisted wayfinding approach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N101313304B (en) Schematic destination maps
JP3548459B2 (en) Guid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guide information presenting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recording guide information presenting program, guide script generating apparatus, guid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guide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recording medium
CA2257258C (en) Computer aided routing and positioning system
KR101615892B1 (e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for processing big data for travel infomation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rocessing of the same
US20090055093A1 (en) Pictorial navig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US11448516B2 (en) Scenic route-based navigation directions
Prandi et al. Accessible wayfinding and navigation: a systematic mapping study
JP2007256959A (en) Map information updating apparatus and map information updating method
Wakamiya et al. Lets not stare at smartphones while walking: Memorable route recommendation by detecting effective landmarks
EP1577642A1 (en) Behavior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Vaez et al. Visitors' wayfinding strategies and navigational aids in unfamiliar urban environment
JP6956232B2 (en) Search system, search method, and search program
KR101001101B1 (en) Spatial information search system and method
KR102150074B1 (en) GPS-based navigation system
JP747091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070023511A (en) A travel map system which uses internet
KR20220048108A (en) User-based sharing platform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and planning travel schedule for free independent tourism
Chandrasekara et al. Landmarks based route planning and linear path generation for mobile navigation applications
Vaez et al.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Urban Form and Navigational Aids on Wayfinding Behaviour and Spatial Cognition
JP2020194278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program,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2018022505A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information
JP72403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