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050B1 -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050B1
KR102036050B1 KR1020140193119A KR20140193119A KR102036050B1 KR 102036050 B1 KR102036050 B1 KR 102036050B1 KR 1020140193119 A KR1020140193119 A KR 1020140193119A KR 20140193119 A KR20140193119 A KR 20140193119A KR 102036050 B1 KR102036050 B1 KR 102036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th
empty space
side objec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613A (ko
Inventor
심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19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050B1/ko
Priority to DE102015016899.1A priority patent/DE102015016899B4/de
Priority to US14/983,469 priority patent/US9643650B2/en
Priority to CN201511020983.6A priority patent/CN105752081B/zh
Publication of KR20160080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B62D15/0255Automatic changing of lane, e.g. for passing another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008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potential obstacles in vehicl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lane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8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vehicle path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0Direction indicator va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1Later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0Steering systems
    • B60W2710/207Steering angle of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2Curvature of the ro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선을 변경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차량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물체를 검출하고, 전방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을 인식하는 공간 인식부와 차량의 폭, 길이 및 최대조향각 정보를 기초하여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검출하는 경로 검출부 및 차량을 검출된 경로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Apparatuses and Methods for line changing}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 중인 차선을 변경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물체의 상황에 기초하여 차선을 변경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센서는 감지할 수 있는 시야가 넓어 다른 장치의 센서로 사용된다.
시야가 넓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차선 변경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센서는 사각지대의 물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해주는 센서로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운전자가 신체적 장애가 있거나 또는 주변상황에 의해 경고를 인지하지 못한 채, 차선 변경을 시도하면 사고를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카메라센서를 이용하여 도로위의 상황을 인식하고 차선을 변경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차선 변경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물체를 검출하고, 전방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을 인식하는 공간 인식부와 차량의 폭, 길이 및 최대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및 차량이 생성된 경로로 이동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선 변경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차선 변경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물체를 검출하고, 전방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을 인식하는 공간 인식단계와 차량의 폭, 길이 및 최대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단계 및 차량이 생성된 경로로 이동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차선 변경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주행중인 도로 위의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한 상황을 기초하여 차선을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안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반경 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의 구성요소를 명명함에 있어 자차량 또는 차량으로 기재된 경우 같은 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는 차량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물체를 검출하고, 전방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을 인식하는 공간 인식부와 차량의 폭, 길이 및 최대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및 차량이 검출된 경로로 이동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100)는 차량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물체를 검출하고, 전방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을 인식하는 공간 인식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간 인식부(110)는 차량에 구비된 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물체를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전방물체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인식부(110)는 검출한 전방물체 및 전방물체와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차량에 구비된 2개의 전방 카메라 중, 한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의 횡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나머지 한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의 종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한 횡 방향 정보와 종 방향 정보를 취합하여 물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물체에 대하여 위치 및 거리를 구할 수 있다. 하나의 물체뿐만 아니라, 차량 전방의 감시 영역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의 위치 및 거리를 구함으로써, 동일 주행차선에 존재하는 전방물체뿐만 아니라, 전방의 옆 주행차선에 존재하는 전측방물체까지 검출이 가능해져, 전방의 옆 주행차선의 빈 공간까지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빈 공간은 차량에 구비된 2개의 전방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영역으로, 도면에 도시한 빈 공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기존방식의 차선 변경 장치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횡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종 방향 정보를 획득하였다. 기존방식의 차선 변경 장치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횡 방향 정보와 종 방향 정보를 취합하여 물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물체에 대하여 위치 및 거리를 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레이더를 이용하여 얻은 횡 방향 정보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얻은 횡 방향 정보와 달리 감시 영역이 협소하기 때문에 동일 차선에 존재하는 전방물체만 인식할 뿐, 전방의 옆 주행차선에 존재하는 전측방물체는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방식의 차선 변경 장치는 전방의 옆 주행차선의 빈 공간을 인식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100)는 차량의 폭, 길이 및 최대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경로 생성부(120)는 검출한 전방물체와 전측방물체 사이의 빈 공간의 폭이 차량의 폭보다 크면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120)는 자차량과 검출한 전방물체와의 빈 공간이 충분하여 자차량 앞바퀴의 회전 반경과 전방물체가 겹치지 않으면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앞의 회전 반경은 자차량의 조향각에 관련된 정보이다. 또한 경로 생성부(120)는 자차량과 검출한 전측방물체와의 빈 공간이 충분하여 자차량 뒷바퀴의 회전 반경과 측방물체와 겹치지 않으면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자차량 뒷바퀴의 회전반경은 자차량의 조향각 및 자차량 길이에 관련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100)는 경로 생성부(120)에서 생성한 경로로 이동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검출된 경로에 따른 조향각 및 해당 조향각에 따른 조향토크를 계산하고, 자차량을 계산한 조향각 및 조향토크로 제어하여 검출한 경로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공간 인식부(110)가 인식한 빈 공간의 위치는 자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지는데, 빈 공간의 달라진 위치를 이용하여 자차량의 실시각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가 추정한 실시각 위치와 검출된 경로를 비교하여 해당 위치의 조향각 및 조향토크로 자차량을 제어하면 자차량은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 분리대(223)와 가드레일(226)이 설치된 2차선 도로에 두 대의 차량(210, 220)이 2차 주행도로에서 운행 중이며, 차량(210)이 1차 주행도로로 차선을 변경을 시도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를 설명하면, 공간 인식부는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횡 방향 정보와 종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횡 방향 정보와 종 방향 정보를 취합하여 전방 물체인 차량(220)과 전측방물체인 중앙 분리대(223) 및 가드레일(226)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공간 인식부는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감시할 수 있는 영역에서 검출한 전방 물체(220)와 전측방물체(223, 226)에 의해 가려진 영역을 제외한 빈 공간(230)을 인식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는 차량의 폭, 길이 및 회전반경 정보를 기초하여 인식한 빈 공간(230)으로 이동가능한 경로(240)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분리대와 가드레일이 설치된 2차선 도로에서 2차 주행도로에서 운행중인 차량(310)이 1차 주행도로로 차선을 변경을 시도할 때, 경험할 수 있는 3가지의 경우를 개시하였다. (A)의 경우, 2대의 차량(320a, 330a)이 각각 2차 주행도로와 1차 주행도로에 위치하며 310a보다 앞서 주행하고 있다. 또한 2대의 차량(320a, 330a)이 350a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때, 310a는 빈 공간(340a)을 인식할 수 있다. (B)의 경우, 1대의 차량(320b)이 2차 주행도로에 위치하며 310b보다 앞서 주행한다. 이때, 310b는 빈 공간(340b)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310b의 최대조향각에 따른 좌측 앞바퀴의 최소 회전반경(350b) 및 우측 앞바퀴의 최소 회전 반경(355b)을 가진다. (C)의 경우, 2대의 차량(320c, 330c)이 각각 2차 주행도로와 1차 주행도로에 위치하며 310c보다 앞서 주행한다. 이때, 310c는 빈 공간(340c)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310c의 최대조향각에 따른 좌측 앞바퀴의 최소 회전반경(350c), 우측 앞바퀴의 최소 회전반경(355c), 좌측 뒷바퀴의 최소 회전반경(360c) 및 우측 뒷바퀴의 최소 회전반경(365c)을 가진다. 전술한 회전반경은, 물체가 원운동을 할 경우, 원의 크기와 관련된 값이다. 예를 들어 원의 크기가 작으면 작은 회전반경 값을 가지며, 원이 크면 큰 회전반경 값을 갖는다. 차량은 최대조향각으로 운행할 때 가장 작은 원운동을 하게 되므로, 최대조향각일 때 최소 회전반경을 갖는다.
즉, 전술한 최소 회전반경은 차량(310)이 조작할 수 있는 최대조향각에서 차량(310)의 움직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좌측방향의 회전 반경만을 사용한 이유는 차량(310)이 2차 주행도로에서 1차 주행도로로 차선변경의 조건에 의한 것으로,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310)이 좌측차선 변경이 아닌 우측차선 변경을 하면 우측방향의 회전 반경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부는 차량의 폭 정보를 기초하여 1차 주행도로의 빈 공간(340a)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경로 생성부는 350a의 간격이 차량(310a)의 폭보다 큰 경우에만 1차 주행도로의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350a의 간격은 2대의 차량(320a, 330a)와 충돌하지 않고 1차 주행도로로 차선을 변경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350a의 간격이 차량(310a)의 폭보다 특정 배수 이상일 경우에만 경로를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특정 배수는 실험에 의한 데이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는 값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부는 차량의 최대조향각 정보를 기초하여 빈 공간(340b)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경로 생성부는 최대조향각으로 이동하는 차량(310b)의 우측 앞바퀴가 그리는 최소 회전반경(355b)이 빈 공간(340b) 안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1차 주행도로의 빈 공간(340b)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B)의 경우와 달리 355b가 빈 공간(340b) 밖에 존재하는 경우, 차량(310b)이 차선을 변경하면 앞선 차량(320b)와 충돌할 것이다. 따라서 경로 생성부는 차량의 최대조향각에서의 최소 회전반경 정보를 기초하여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차선변경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부는 차량의 길이 및 차량의 최대조향각 정보를 기초하여 빈 공간(340c)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310c)의 뒷바퀴의 최소 회전 반경(360c, 365c)은 차량의 최대조향각 뿐만 아니라 차량의 길이와도 관련이 있다. 이는, 길이가 긴 차량과 길이가 짧은 차량 모두 조타기에 의해 같은 조향각으로 운행되더라도, 길이가 긴 차량의 뒷바퀴 회전반경이 길이가 짧은 차량의 뒷바퀴 회전반경보다 크다. 이러한 사실은 경험을 통해 알 수 있다. 경로 생성부는 차량(310c) 우측 앞바퀴의 최소 회전 반경(355C)이 빈 공간(340c)안에 포함되며 좌측 뒷바퀴의 최소 회전 반경(360c)이 330c차량과 겹치지 않으면 1차 주행도로의 빈 공간(340c)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우측 앞바퀴의 최소 회전반경(355c)이 빈 공간(340c) 안에 위치하더라도 좌측 뒷바퀴의 회전반경(360c)이 옆차량(330c)와 겹치는 상황이라면, 310c차량이 1차 주행도로로 차선변경을 시도할 경우, 전방차량(320c)의 충돌은 피할 수 있어도, 옆차량(330c)과 충돌하게 될 것이다. 전술한 차선 변경에 의한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경로 생성부는 차량의 길이 및 차량의 최대조향각에서의 최소 회전반경 정보를 기초하여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차선변경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반경 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는 차량의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조향각을 제한하는 최대조향각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경로 생성부는 차량의 폭, 길이 및 제한된 최대조향각 정보를 기초하여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410)이 420의 회전반경으로 회전 운동을 하면 430방향으로 구심력이 작용한다. 회전 운동과 구심력과의 관계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물체가 회전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 구심력이 존재해야 한다. 물체의 회전운동을 하기 위한 구심력은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4127707722-pat00001
F : 구심력, m : 물체의 질량, r : 회전축과의 거리, v : 물체의 순간 속도
만약, 물체에 작용하는 구심력보다 더 큰 구심력을 원하는 회전운동을 시도하면 물체는 회전운동의 접선방향으로 튕겨나가게 된다. 본 발명과 연관지어 설명하면, 일정한 속도[v]를 가진 차량(410)이 420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면 430의 방향으로 구심력이 작용한다. 이 구심력은 차량(410)과 도로와의 마찰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410차량에 작용할 수 있는 구심력은 한정되는데 회전운동을 하기 위한 요구 구심력이 크면(즉, 410의 속도가 빠르거나, 작은 회전 반경을 갖는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차량(410)은 원하는 회전운동(420)을 할 수 없게 된다. 전술한 경우는 상황에 따라 차량의 전복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410)이 차선 변경을 하면, 속도를 측정하여 일정 속도를 초과하면, 차량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요구 구심력을 낮출 수 있다. 속도와 회전반경의 관계는 실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생성부는 전술한 조건에 의해 제한된 최대조향각, 차량의 폭 및 차량의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는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측방물체를 검출하는 측방물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경로 생성부는 차량이 측방물체와 충돌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로에서 3대의 차량(510, 520, 530)이 같은 방향으로 운행 중이며, 540은 510차량에서 인식할 수 있는 빈 공간이며, 550은 측방물체 검출부를 통해 측방물체를 검출할 수 있는 영역이다. 또한 520차량 뒤 및 530차량 옆에서 운행중인 510차량이 530차량 앞으로 차선변경을 할 경우, 경로 생성부는 560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510차량의 공간 인식부는 전방물체만을 검출하기 때문에 530차량을 인지할 수 없다. 이 상황에서 510차량의 경로 생성부는 560의 경로뿐만 아니라 565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510차량이 565의 경로를 따라 움직일 경우, 530차량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따라 530차량과 충돌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는 측방물체 검출부를 통해 550영역에 존재하는 측방물체 530차량의 위치 및 움직임을 인식하여 530차량과의 충돌을 미리 예측하고, 이러한 예측을 기초하여 경로 생성부는 565경로가 아닌 560의 경로를 생성하여 530차량과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차량의 위치 및 움직임을 인식하여 충돌을 예측하는 방법은 530차량과 같은 측방물체의 위치 및 움직임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기초로 예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는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측방차선을 검출하고, 검출한 측방차선을 이용하여 주행도로를 인식하는 주행도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경로 생성부는 차량을 빈 공간 내의 주행도로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를 구비한 610차량과 타차량(620)이 중앙 분리대 및 가드레일을 갖는 도로의 2차 주행도로에서 운행중에 있다. 630는 공간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빈 공간이며, 640, 643 및 646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한 측방차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는 검출한 측방차선(640, 643, 646)을 기초하여 도로의 1차 주행도로 및 2차 주행도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는 빈 공간(630)과 인식한 1차 주행도로가 이루는 공간인 영역(650)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측방차선(640, 643, 646)은 1대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측방차선은 일정한 정보(색상 및 너비)를 갖기 때문에, 미리 차선의 정보(색상 또는 너비)를 입력하면, 입력한 차선의 정보를 기초하여 차선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전방물체는 일정한 정보를 갖지 않기 때문에 정보를 미리 입력할 수 없기 때문에 1대의 카메라 장치가 아닌 2대의 카메라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즉, 측방차선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종 방향 또는 횡 방향 정보만 있으면 가능하나, 전방물체는 종 방향 정보 및 횡 방향 정보가 있어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빈 공간(630)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일정 영역에 한정될 수 있으나 측방차선(640, 643, 646)은 빈 공간(630)보다 넓은 영역에 대해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측방차선(640, 643, 646)을 이용하여, 640과 다음 측방차선인 643가 만드는 공간을 1차 주행도로로 인식할 수 있으며, 643 측방차선과 옆 차선인 646차선이 만드는 공간을 2차 주행도로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기초하여 자차량(610)이 운행 중인 주행도로의 정보까지 인식할 수 있다.
도 6에서, 전술한 방법으로 인식한 빈공간(630)과 1차 주행도로가 겹쳐지는 공간(650)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생성부는 650의 영역으로 이동가능한 경로(660)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차선 변경 장치는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측방차선을 검출하고, 측방차선을 이용하여 주행도로를 인식하는 주행도로 인식부 및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측방물체를 검출하는 측방물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경로 생성부는 차량을 측방물체와 충돌하지 않고 빈 공간 내의 주행도로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차선 변경 장치의 경로 생성부가 주행도로 인식부가 인식한 주행도로와 공간 인식부가 인식한 빈 공간이 겹치는 영역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검출함에 있어 측방물체의 위치 및 움직임을 추가하여 고려할 수 있다. 이는 도 6의 상황에 도5의 상황을 추가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측방물체 검출부가 이동하는 측방물체를 검출하면, 제어부는 측방물체와 충돌하지 않고 생성된 경로로 이동하기 위한 가속도를 계산하고, 차량을 계산된 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의 (A)는 도 5와 유사하게 도로에서 3대의 차량(710a, 720a, 730a)이 같은 방향으로 운행 중이며, 740a은 710a차량에서 인식한 빈 공간이며, 750a은 측방물체 검출부를 통해 물체를 검출할 수 있는 영역이다. 또한 720a차량 뒤 및 730a차량 옆에서 운행중인 710a차량이 730a차량 앞으로 차선변경을 할 경우, 경로 생성부는 760a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710a 및 720a 차량의 속도는 동일하지만, 730a의 속도가 빠르다면 3대의 차량(710a, 720a, 730a)은 일정 시간(t)이 지나는 (B)에서는 710b, 720b, 735b의 위치하게 되어 710b차량은 차선 변경을 할 수 없다. 즉, 710차량이 차선 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t) 안에 차선 변경을 완료해야 한다.
일정 시간 안에 차선 변경을 완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측방물체 검출부가 특정 시간 간격으로 측방물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일정 시간 간격의 측방물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는 측방물체의 상대속력 및 상대가속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대속력 및 상대가속도를 기초하여 자차량이 차선 변경할 수 있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한 시간 내에 차선변경을 완료하도록 자차량의 가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7의 (A)와 (B)는 자차량(710)의 기준에 의한 상황을 도시하였으며, 710, 720, 730 차량 모두 이동하거나 또는 730만 이동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검출된 경로로 이동하기 위한 조향각 및 조향토크를 계산하고, 차량을 계산한 조향각 및 조향토크로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가 설치된 자차량이 움직이면 공간 인식부가 인식한 빈 공간은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변한다. 예를 들어, 자차량이 전방으로 나아가면 빈 공간과의 거리는 줄어들고, 자차량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빈 공간은 좌측으로 이동하며, 자차량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빈 공간은 우측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자차량의 이동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한 이동위치에 따라 제어부는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한 경로로 움직이기 위한 조향각 및 조향토크를 계산하고 제어함으로써 자차량이 경로 생성부에서 생성한 경로를 따라 차선변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는 자차량의 이동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 빈 공간뿐만 아니라 카메라로 검출하는 모든 물체를 기준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빈 공간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공간 인식부는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물체를 검출하고, 전방 감시 영역에서 검출한 전방물체의 영역을 제외함으로써 빈 공간임을 인식할 수 있다(S800). 간략하게 설명하면, 전방물체는 전방을 감시하는 2대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에 대해 횡 방향 정보와 종 방향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얻은 횡 방향 정보와 종 방향 정보를 취합하여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경로 생성부는 미리 입력된 자차량의 폭, 길이 및 최대조향각 정보를 기초하여 자차량이 인식한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한다(S810). 간략하게 설명하면 인식한 빈 공간의 폭보다 자차량의 폭이 작고, 자차량의 앞 바퀴의 회전반경이 인식한 빈 공간에 포함되며, 뒷 바퀴의 회전반경이 측면물체와 겹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경로 생성부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전술한 위의 조건에 하나라도 해당사항이 없으면 경로 생성부는 경로를 생성할 수 없다.
경로 생성부에서 경로를 생성하지 않으면 즉, 자차량의 폭이 인식된 빈 공간의 폭보다 크거나, 자차량의 앞 바퀴의 회전반경이 인식된 빈 공간을 벗어나거나 또는 자차량의 뒷 바퀴의 회전반경이 인식된 빈 공간을 벗어나면 운전자에게 알람을 제공한다(S820).
경로 생성부에서 경로를 생성하면 즉, 인식된 빈 공간의 폭이 자차량의 폭보다 크고, 인식된 빈 공간에 자차량의 앞 바퀴의 회전반경이 포함되며, 뒷 바퀴의 회전반경이 측면물체와 겹치지 않으면, 측방물체 인식부가 자차량에 구비된 측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방물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830). 경로 생성부가 경로를 생성함에 있어서 측방물체의 존재를 고려하였지만, 측방물체의 움직임까지는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S830 단계 및 S850 내지 S880 단계는 측방물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차선변경을 하는 경우로서, 필요에 따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S830에서 측방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는 관여하지 않고, 생성된 경로로 이동하도록 차량을 제어한다(S840).
S830 단계에서 측방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차량과 측방물체의 속도를 비교한다(S850). 자차량과 측방물체의 속도를 비교하는 방법은, 측방 카메라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하여 얻은 측방물체의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t시각에 자차량의 측방 카메라로 측정한 측방물체의 위치[p1]와, dt시간이 지난 후 t+dt시각에 동일한 측방 카메라로 측정한 측방물체의 위치[p2]를 비교하여 p2가 p1보다 앞서면, 측방물체가 자차량보다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고, p2와 p1이 같으면, 측방물체와 자차량의 속도가 같음을 의미하고, p2가 p1보다 뒤쳐지면, 측방물체가 자차량보다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850 단계에서 자차량의 속도가 측방물체의 속도보다 빠르거나 같으면 제어부는 속도는 관여하지 않고, 생성된 경로로 이동하도록 차량을 제어한다(S840). S850단계에서 측방물체의 속도가 자차량 속도보다 크면 제어부는 측방물체의 상대속도를 계산한다(S860). 상대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은 자차량과 측방물체의 속도를 비교하는 방법에서 사용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즉, t시각에 자차량의 측방 카메라로 측정한 측방물체의 위치[p1]와, dt시간이 지난 후 t+dt시각에 동일한 측방 카메라로 측정한 측방물체의 위치[p2]를 얻고, dt시간동안 측방물체의 변화위치[p2-p1]를 dt시간으로 나눠 측방물체의 상대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S860 단계에서 계산한 상대속도를 이용하여 차선변경을 할 수 있는 시간[tg]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 공간의 여유길이[l]을 계산한 상대속도[v]로 나눗셈을 함으로서 얻을 수 있다. 여유길이[l]는 빈 공간의 폭에서 자차량의 폭을 뺀 길이가 될 수 있다. 시간[tg]과 여유길이[l]를 이용하여 경로로 이동하기 위한 가속도[a]를 다음 수학식2를 사용하여 계산한다(S870).
Figure 112014127707722-pat00002
수학식 2의 가속도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일정 가속도로 자차량이 움직이는 경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에 가속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반드시 수학식 2를 적용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S870단계에서 계산한 가속도로 자차량의 속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S810단계에서 생성된 경로로 이동하도록 자차량의 조향각 및 조향토크를 제어한다(S880).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8을 이용하여 설명한 차선 변경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인 차선 변경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 변경 방법은 차량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물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전방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을 인식하는 공간 인식단계와 차량의 폭, 길이 및 최대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인식한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단계; 및 차량을 생성한 경로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방법은 빈 공간 인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900). 구체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2대의 전방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 카메라 측정 영역 내의 물체를 검출한다. 2대의 전방 카메라 센서는 각각 횡 방향 정보와 종 방향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횡 방향 정보와 종 방향 정보를 취합하여 측정 영역 내의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측정 영역에서 검출된 물체에 가려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빈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빈 공간은 2대의 전방 카메라가 차량의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방법은 경로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910). 구체적으로, 인식한 빈 공간의 폭이 차량의 폭보다 크고, 인식한 빈 공간에 차량의 좌우 앞바퀴의 최소회전반경이 포함되며, 좌우 뒷바퀴의 최소회전반경이 옆 차량과 겹치지 않으면, 경로 생성 단계에서 차선 변경을 위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앞바퀴의 최소회전반경은 자차량이 최대조향각으로 운행할 때의 회전반경이며, 뒷바퀴의 최소회전반경은 자차량이 최대조향각으로 운행할 때 회전 반경으로서, 차량의 길이와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변경 방법은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920). 제어 단계는 S910단계에서 생성된 경로를 따라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S900단계에서 인식한 빈 공간은 자차량이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자차량이 빈 공간 방향으로 이동하면, 자차량과 빈 공간의 거리는 감소하여, 카메라 센서는 빈 공간이 다가오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고, 자차량이 빈 공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자차량과 빈 공간의 거리는 증가하여, 카메라 센서는 빈 공간이 멀어지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자차량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카메라 센서는 빈 공간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자차량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카메라 센서는 빈 공간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정보를 기초하여 자차량의 움직임을 관측할 수 있고, 특정 위치에서 차량의 조향각을 조정하여 자차량이 S910 단계에서 생성된 경로로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차선 변경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차선 변경 장치가 수행하는 각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차량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물체 및 측방물체를 검출하고, 상기 전방물체와 상기 측방물체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물체와 상기 측방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을 인식하는 공간 인식부;
    상기 전방물체와 상기 측방물체 간의 간격이 상기 차량의 폭보다 소정의 배수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의 폭, 길이 및 최대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 및
    상기 차량이 상기 경로로 이동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빈 공간의 폭이 상기 차량의 폭보다 크고, 상기 차량의 앞 바퀴의 회전반경이 상기 빈 공간에 포함되며, 상기 차량의 뒷 바퀴의 회전반경이 상기 측방물체와 겹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경로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측방물체의 속도보다 빠르거나 같으면 차량의 속도는 관여하지 않고 생성된 경로로 이동하도록 차량을 제어하고, 상기 측방물체의 속도가 상기 차량 속도보다 크면 측방물체의 상대속도를 기초로 산출된 차량의 가속도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선 변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조향각을 제한하는 최대조향각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폭, 상기 길이 및 제한된 최대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변경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측방물체를 검출하는 측방물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차량을 상기 측방물체와 충돌하지 않고 상기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변경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측방차선을 검출하고, 상기 측방차선을 이용하여 주행도로를 인식하는 주행도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차량을 상기 빈 공간 내의 상기 주행도로로 이동가능한 상기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변경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측방차선을 검출하고, 상기 측방차선을 이용하여 주행도로를 인식하는 주행도로 인식부 및 상기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측방물체를 검출하는 측방물체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차량을 상기 측방물체와 충돌하지 않고 상기 빈 공간 내의 상기 주행도로로 이동가능한 상기 경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변경 장치.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물체 검출부가 이동하는 측방물체를 검출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방물체와 충돌하지 않고 상기 경로로 이동하기 위한 상기 가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차량을 상기 가속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변경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로 이동하기 위한 조향각 및 조향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차량을 상기 조향각 및 상기 조향토크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변경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로가 생성되지 않을 경우, 운전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변경 장치.
  9. 차량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물체 및 측방물체를 검출하고, 상기 전방물체와 상기 측방물체 간의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물체와 상기 측방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을 인식하는 공간 인식단계;
    상기 전방물체와 상기 측방물체 간의 간격이 상기 차량의 폭보다 소정의 배수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의 폭, 길이 및 최대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빈 공간으로 이동가능한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경로로 이동되도록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생성 단계는 상기 빈 공간의 폭이 상기 차량의 폭보다 크고, 상기 차량의 앞 바퀴의 회전반경이 상기 빈 공간에 포함되며, 상기 차량의 뒷 바퀴의 회전반경이 상기 측방물체와 겹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경로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측방물체의 속도보다 빠르거나 같으면 차량의 속도는 관여하지 않고 생성된 경로로 이동하도록 차량을 제어하고, 상기 측방물체의 속도가 상기 차량 속도보다 크면 측방물체의 상대속도를 기초로 산출된 차량의 가속도로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선 변경 방법.
KR1020140193119A 2014-12-30 2014-12-30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2036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119A KR102036050B1 (ko) 2014-12-30 2014-12-30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
DE102015016899.1A DE102015016899B4 (de) 2014-12-30 2015-12-29 Spurwechselregelungs- bzw. -steuerungsvorrichtung und Spurwechselregelungs- bzw. -steuerungsverfahren
US14/983,469 US9643650B2 (en) 2014-12-30 2015-12-29 Lane chang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CN201511020983.6A CN105752081B (zh) 2014-12-30 2015-12-30 车道变换控制装置及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119A KR102036050B1 (ko) 2014-12-30 2014-12-30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613A KR20160080613A (ko) 2016-07-08
KR102036050B1 true KR102036050B1 (ko) 2019-10-24

Family

ID=5611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119A KR102036050B1 (ko) 2014-12-30 2014-12-30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43650B2 (ko)
KR (1) KR102036050B1 (ko)
CN (1) CN105752081B (ko)
DE (1) DE10201501689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050B1 (ko) 2014-12-30 2019-10-24 주식회사 만도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
JP6363516B2 (ja) * 2015-01-21 2018-07-2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走行制御装置
BR112018001589A2 (pt) * 2015-07-28 2018-09-18 Nissan Motor Co., Ltd. método de controle de viagem e aparelho de controle de viagem
JP6316265B2 (ja) * 2015-12-01 2018-04-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線変更制御装置
KR20170071120A (ko) * 2015-12-15 2017-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kas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lkas 제어 방법
KR101807386B1 (ko) * 2016-01-26 2018-01-10 주식회사 만도 협력주행방법 및 협력주행장치
JP6246844B2 (ja) * 2016-02-18 2017-1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EP3208786B1 (en) * 2016-02-22 2023-06-07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inter-vehicle traffic gaps and time instances to perform a lane change manoeuvre
JP6323473B2 (ja) * 2016-02-25 2018-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走行制御装置
US9988046B2 (en) * 2016-07-26 2018-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hanced collision avoidance
DE102016009762A1 (de) * 2016-08-11 2018-02-15 Trw Automotive Gmbh Steuerungssystem und Steuerungs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Wahrscheinlichkeit für einen Fahrspurwechsel eines vorausfahrenden Kraftfahrzeugs
TWI620677B (zh) * 2016-08-25 2018-04-11 崑山科技大學 車輛切換車道之自動控制方法
DE102016116963A1 (de) * 2016-09-09 2018-03-1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orrichtung zum Warnen eines Fahrzeugführers eines Fahrzeugs vor einem Objekt sowie Fahrzeug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KR102572631B1 (ko) * 2016-10-07 2023-08-31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차량의 충돌 완충 장치 및 방법
JP6577926B2 (ja) * 2016-09-26 2019-09-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走行支援装置及び走行支援方法
BR112019006989A2 (pt) * 2016-10-07 2019-06-25 Nissan Motor método de avaliação de veículo, método de correção de rota de deslocamento, dispositivo de avaliação de veículo e dispositivo de correção de rota de deslocamento
US10539961B2 (en) * 2016-11-01 2020-01-21 Ford Global Technologies Steering capability prediction
DE102016120876A1 (de) * 2016-11-02 2018-05-03 HELLA GmbH & Co. KGaA Verfahren, System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r Erkennung eines möglichen Spurwechsels eines Fremdfahrzeugs, sowie Fahrzeug
KR102569539B1 (ko) * 2016-11-07 2023-08-24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차량용 물체감지시스템 및 차량용 물체감지방법
JP6547969B2 (ja) * 2016-11-30 2019-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装置
JP6642399B2 (ja) * 2016-12-07 2020-0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制御装置
JP6544348B2 (ja) 2016-12-22 2019-07-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装置
JP6515912B2 (ja) * 2016-12-22 2019-05-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装置
JP6635023B2 (ja) 2016-12-26 2020-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線変更支援装置
US10229599B2 (en) * 2017-01-19 2019-03-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ane changing
US10416680B2 (en) * 2017-03-14 2019-09-17 Aptiv Technologies Limited Angle finding for a detector having a paired staggered array
US10514457B2 (en) 2017-03-31 2019-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ne change advisor
US11142246B2 (en) * 2017-04-12 2021-10-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Lane change assist apparatus for vehicle
US10814913B2 (en) 2017-04-12 2020-10-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Lane change assist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8108572B4 (de) * 2017-04-12 2023-05-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purwechselunterstütz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N106945663B (zh) * 2017-04-13 2020-09-25 大陆投资(中国)有限公司 转弯车辆防碰撞方法
JP6642522B2 (ja) * 2017-06-06 2020-0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線変更支援装置
JP6627822B2 (ja) * 2017-06-06 2020-0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線変更支援装置
JP6627821B2 (ja) 2017-06-06 2020-0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線変更支援装置
FR3066985B1 (fr) * 2017-06-06 2020-10-30 Renault Sas Dispositif d'assistance a la conduite d'un vehicule automobile dans une voie de circulation
CN109050533B (zh) * 2017-06-09 2020-11-17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一种车辆自动换道控制方法和装置
JP2019003234A (ja) * 2017-06-09 2019-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FR3067683A1 (fr) * 2017-06-16 2018-12-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position d'architecture pour la securisation des fonctions vehicule adaptee au vehicule autonome.
KR102348120B1 (ko) * 2017-08-24 2022-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차로 변경 시 경로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74916B1 (ko) * 2017-09-29 2022-03-16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차선 유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10449959B2 (en) * 2017-10-30 2019-10-22 Wipro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n autonomous vehicle
US10401863B2 (en) * 2017-11-22 2019-09-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oad corridor
US10377383B2 (en) 2017-12-11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ane change
KR102485394B1 (ko) * 2017-12-11 2023-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및 그 제어 방법
JP6881290B2 (ja) * 2017-12-28 2021-06-02 株式会社デンソー 運転支援装置
JP6958385B2 (ja) * 2018-01-24 202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
CN111527533A (zh) * 2018-01-29 2020-08-11 京瓷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拍摄装置、移动体以及图像处理方法
JP2019144691A (ja) * 2018-02-16 2019-08-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JP7054048B2 (ja) * 2018-02-19 2022-04-1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FR3078045B1 (fr) * 2018-02-22 2021-03-05 Renault Sas Dispositif et procede d'aide a la conduite d'un vehicule automobile
WO2019173426A1 (en) * 2018-03-07 2019-09-12 Robert Bosch Gmbh Known lane intervals for automated driving
DE102018203560A1 (de) * 2018-03-08 2019-09-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Erkennung einer Fahrspurbegrenzung
JP7080091B2 (ja) * 2018-04-02 2022-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117584B2 (en) * 2018-04-27 2021-09-14 Honda Motor Co., Ltd. Merge behavior systems and methods for mainline vehicles
US11572099B2 (en) 2018-04-27 2023-02-07 Honda Motor Co., Ltd. Merge behavior systems and methods for merging vehicles
JP6710722B2 (ja) * 2018-06-15 2020-06-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61669B2 (ja) * 2018-06-15 2021-04-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018632B (zh) * 2018-06-22 2020-10-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变道控制方法和装置
US11299149B2 (en) * 2018-07-23 2022-04-12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Considerate driving system
DE102018215055A1 (de) * 2018-09-05 2020-03-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Spurwechselangabe eines Fahrzeugs, ein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und ein Fahrzeug
JP7067379B2 (ja) * 2018-09-07 2022-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線変更支援装置
ES2963510T3 (es) * 2018-09-18 2024-03-27 Volvo Car Corp Método y sistema para evitar colisiones
CN109445428A (zh) * 2018-10-08 2019-03-08 北京海纳川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自动驾驶车辆的变道方法、装置及具有其的自动驾驶车辆
KR102115915B1 (ko) * 2018-10-08 2020-05-27 주식회사 만도 차선 인식의 왜곡을 판단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40559A (ko) * 2018-10-10 2020-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시 차로 변경 차량 예측 장치 및 그의 예측 방법과 그를 이용하는 차량
JP2020075665A (ja) * 2018-11-09 2020-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制御装置
TWI675771B (zh) * 2018-11-12 2019-11-01 華創車電技術中心股份有限公司 車道變換系統及車道變換方法
US10919532B2 (en) * 2018-12-04 2021-02-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longitudinal control in automatic lane change in an assisted driving vehicle
CN109435886B (zh) * 2018-12-05 2021-02-23 广西农业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安全驾驶辅助检测方法
DE102018221860A1 (de) * 2018-12-17 2020-07-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ssistenzsystem zur Vorbereitung und/oder Durchführung eines Spurwechsels
DE102018132523A1 (de) * 2018-12-17 2020-06-18 Trw Automotive Gmbh Verfahren sowie System zum Steuern eines Kraftfahrzeugs
US11577734B2 (en) * 2018-12-20 2023-02-14 Nauto,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driver behavior
JP6714116B1 (ja) * 2019-02-06 2020-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方法
DE102019105547A1 (de) * 2019-03-05 2020-09-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Erkennung eines ein- bzw. ausscherenden Fahrzeugs
JP7316064B2 (ja) * 2019-03-08 2023-07-27 株式会社Subaru 車両の制御装置、車両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979305B (zh) * 2019-03-18 2021-06-22 毫末智行科技有限公司 车辆异常换道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9910883A (zh) * 2019-04-15 2019-06-21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具有冗余保护的车道中心线的保持控制装置及其方法
JP7427869B2 (ja) * 2019-04-25 2024-02-0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御装置
CN112634627B (zh) * 2019-10-08 2023-03-10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高速巡航状态下的换道方法、装置及汽车
KR20210044963A (ko) * 2019-10-15 2021-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차량의 차선변경 경로 결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4630776A (zh) * 2019-11-06 2022-06-14 沃尔沃卡车集团 用于控制车速的控制设备和方法
CN110775056B (zh) * 2019-11-25 2021-10-15 苏州智加科技有限公司 基于雷达探测的车辆行驶方法、装置、终端及介质
US11061403B2 (en) * 2019-12-12 2021-07-13 Baidu Usa Llc Path planning with a preparation distance for a lane-change
CN111238520B (zh) * 2020-02-06 2022-10-14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自动驾驶变道路径规划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7393721B2 (ja) 2020-02-13 2023-12-07 マツダ株式会社 走行経路生成システム及び車両運転支援システム
CN111340880B (zh) * 2020-02-17 2023-08-04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生成预测模型的方法和装置
CN111443709B (zh) * 2020-03-09 2023-08-29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车辆变道路线规划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JP7449751B2 (ja) * 2020-03-30 2024-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516677B (zh) * 2020-04-28 2023-03-21 深圳市国脉畅行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行驶盲区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7474136B2 (ja) * 2020-06-30 2024-04-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002789A (ko) 2020-06-30 2022-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로 변경 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로 변경 방법
JP7247974B2 (ja) * 2020-06-30 2023-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CN113954836B (zh) * 2020-07-20 2023-08-04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分段式导航换道方法及其系统、计算机设备、存储介质
CN114084136B (zh) * 2020-08-05 2024-01-30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变道过程中的纵向控制跟车目标选择方法及装置
CN111976721B (zh) * 2020-09-02 2022-11-22 湖北汽车工业学院 一种基于矩形聚类碰撞锥模型的主动避障控制方法
CN112141110A (zh) * 2020-09-30 2020-12-2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变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81059B1 (ko) * 2020-11-13 2022-12-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주행 차량의 차로 변경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429004B (zh) * 2020-12-02 2022-03-15 北京理工大学 一种车辆自动换道控制方法
US11623645B2 (en) * 2021-03-24 2023-04-1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Vehicle behavior planning for overtaking vehicles
US11753009B2 (en) * 2021-04-30 2023-09-12 Nissan North America, Inc. Intelligent pedal lane change assist
CN113479217B (zh) * 2021-07-26 2022-07-29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自动驾驶的变道避障方法与系统
CN114274974B (zh) * 2021-11-30 2023-09-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自动驾驶中的弯道行驶控制方法、系统及车辆
US20230278554A1 (en) * 2022-03-01 2023-09-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reet lane-level matching method for automotive applications
CN114877911B (zh) * 2022-07-08 2022-10-04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路径规划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6975A (ja) * 2006-03-28 2007-10-11 Aisin Aw Co Ltd 周辺状況認識装置及び方法
JP2009040267A (ja) * 2007-08-09 2009-02-26 Toyota Motor Corp 走行制御装置
JP2009151522A (ja) * 2007-12-20 2009-07-09 Toyota Motor Corp 緊急退避システム、緊急退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1492B2 (ja) * 2003-06-26 2007-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走行支援装置
CN1737501A (zh) * 2004-08-20 2006-02-22 爱信精机株式会社 用于车辆的停车辅助装置与停车辅助方法
CN100465041C (zh) * 2004-08-20 2009-03-04 爱信精机株式会社 用于车辆的驾驶辅助装置和方法
JP4062310B2 (ja) * 2005-02-07 2008-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運転意図推定装置、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4877384B2 (ja) 2009-12-01 2012-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操舵装置
JP5552339B2 (ja) * 2010-03-12 2014-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DE102011016770B4 (de) 2011-04-12 2021-02-04 Daimler Ag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s Fahrzeugs bei einem Fahrspurwechsel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20130128893A (ko) * 2012-05-18 2013-1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차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9174672B2 (en) * 2013-10-28 2015-11-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th planning for evasive steering maneuver in presence of target vehicle and surrounding objects
KR102036050B1 (ko) 2014-12-30 2019-10-24 주식회사 만도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6975A (ja) * 2006-03-28 2007-10-11 Aisin Aw Co Ltd 周辺状況認識装置及び方法
JP2009040267A (ja) * 2007-08-09 2009-02-26 Toyota Motor Corp 走行制御装置
JP2009151522A (ja) * 2007-12-20 2009-07-09 Toyota Motor Corp 緊急退避システム、緊急退避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016899A1 (de) 2016-06-30
KR20160080613A (ko) 2016-07-08
CN105752081B (zh) 2018-08-17
US20160185388A1 (en) 2016-06-30
CN105752081A (zh) 2016-07-13
US9643650B2 (en) 2017-05-09
DE102015016899B4 (de)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050B1 (ko) 차선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2553730B1 (ko) 차량의 충돌 회피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513268B2 (en) Vehicle safety system
US10850737B2 (en) Driving lane changing apparatus and driving lane changing method
EP3023963B1 (en) Drive assist device for vehicle, and drive assist method for vehicle
CN108189835A (zh) 一种自动驾驶的避撞控制方法及系统
KR102568114B1 (ko) 자율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JP6539228B2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KR101382656B1 (ko) V2x 통신을 이용한 교차로 접근차량 경보 장치 및 방법
JP5160311B2 (ja) 自律移動装置及び自律移動装置の制御方法
JP6485328B2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KR102374921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953810B2 (ja) 車両走行支援装置
KR20190033159A (ko) 충돌 방지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6122308A5 (ko)
CN104802795A (zh) 用于在自主车辆操作期间适应行人的系统
KR20210008034A (ko) 수동 적외선 보행자 검출 및 회피 시스템
JP2008191781A (ja) 衝突回避システム
WO2018110402A1 (ja) 先行車両の走行軌跡予測装置及びその搭載車両
KR101414571B1 (ko)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40389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9941280A (zh) 自主性道路汇合辅助系统
KR102488056B1 (ko) 컷인 차량을 고려한 긴급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173897B2 (en) Vehicle safety system
KR20170119842A (ko) 자율 주행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