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421B1 - 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 - Google Patents

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421B1
KR102030421B1 KR1020170184713A KR20170184713A KR102030421B1 KR 102030421 B1 KR102030421 B1 KR 102030421B1 KR 1020170184713 A KR1020170184713 A KR 1020170184713A KR 20170184713 A KR20170184713 A KR 20170184713A KR 102030421 B1 KR102030421 B1 KR 102030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unit
content
gesture recognition
oper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7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1877A (en
Inventor
서희정
황설아
김수
김유슬
신은주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421B1/en
Publication of KR20190081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4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7/0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제1 명령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제1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1 프로세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 제2 명령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제2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2 프로세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칫솔부, 상기 칫솔부의 움직임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동작인식 칫솔; 및 상기 동작인식 칫솔에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동작인식 칫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할 콘텐츠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include a first memory for storing a first command, a first processor for executing the first command to perform first operation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ontent, and photographing the front A mirror display device including a photographing unit; A second memory for storing a second command, a second processor for executing the second command to perform second operation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a toothbrush unit, the toothbrush An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including a sensor unit and a battery unit for sen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iver unit for driving a negative movement; And a charging unit which wirelessly provides charging power to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wherein the first operations include determining content to be displayed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cognitive toothbrush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미러 표시장치와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

본 발명은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미러 기능과 표시 기능을 갖춘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이 가능한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mirror display device having a mirror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and a toothbrush capable of recognizing an operation.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의 부양부담 가중, 노인의료비의 증가 등 사회, 복지 수요증 가에 따른 국가제정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 IT기술의 발달로 IT기술과 BT기술을 융합한 ubiquitous/mobile healthcare 기술을 사용하여, 질환의 예방과 관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는 점에서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As the population ages, the burden of enactment of the productive population and the increase of the elderly's medical expenses are increasing, and the burden of national legislation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social and welfare demands. Using ubiquitous / mobile healthcare technology, which combines technology, there is much consensus that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made first.

생활습관병(Life-style disease)은 개인의 바르지 않은 생활 습관으로 인하여 발병할 수 있는 질환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당뇨, 고혈압, 비만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생활 습관병 중에서, 구강질환은 다른 질병보다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하고, 효과적인 관리만으로도 그 효과가 크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Life-style disease refers to a disease that can occur due to an incorrect lifestyle of an individual, and typically includes diabetes, hypertension, and obesity. Among these lifestyle diseases, oral disease is more important to prevent and manage than other diseases, and effective management has proved to be effective.

대표적인 구강질환은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그리고 부정교합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은 구강내의 세균막, 즉 플라그의 침착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Representative oral diseases are known as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 and malocclusion. Dual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occur due to the deposition of bacterial membranes, or plaques, in the oral cavity.

그러므로 치과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서 구강내의 세균막 관리가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하다. 세균막 관리 방법중 기계적인 방법, 즉 칫솔질을 포함한 물리적인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정기적인 치과 방문시 빠지지 않고 시행되는 것이 치태조절능력평가이며, 치석제거를 위한 스케일링 시술시에도 양치질 습관 교육이 가장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ntal diseases, oral bacterial membrane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bacterial membrane management methods, mechanical methods, ie, physical methods including brushing, are known to be the most effective. It is the evaluation of plaque control ability that is carried out at regular dental visits, and the brushing habits education is emphasized the most importantly in scaling procedure for removing tartar.

매번 치과내원시마다 양치질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잘못된 양치질 습관을 고치도록 교육함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양치습관에 대한 효과적인 측정 및 평가에 있어서 나이와 구강내 상태에 따른 간단한 가이드라인만 있을뿐, 환자 개개인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수치화된 데이터를 근거로 한 효과적인 관리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부족했다. The importance of brushing is emphasized at every dental visit, and despite training to correct wrong brushing habits, there are generally only simple guidelines based on age and oral condition in effectiv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brushing habits. There was a lack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effective management method based on systematic and numerical data.

치과에서의 양치질 교육은 일회성으로 그치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장기적으로 환자의 습관교정에 실패하여 치아를 상실하게 되어 저작, 발음등 기능이상과 심미적인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Tooth brushing education in dentistry is often one-off, failing to correct the habits of patients in the long term, the tooth is lost, causing dysfunction and pronunciation problems and aesthetic problems.

최근 양치질의 효율을 높이고자 전동칫솔(초음파, 진동 등)에 대한 제품은 시장에 나와 있지만, 효율성 및 안정성에 대한 많은 의견들이 대두되고 있다. Recently, products for electric toothbrushes (ultrasound, vibration, etc.) have been put on the marke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rushing teeth. However, many opinions on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have been raised.

예를 들어, 최근 개발된 전동 칫솔은, 사용자에게 양치시간에 대한 feedback을 줌으로써, 평균 수동 양치질 그러나, 이는 개인의 양치습관에 의존적인 방법으로, 전체 시간만 평가하였을 뿐, 양치질의 질(Quality)은 고려하지 않은 결과이다. 또한, 양치시간이 길 어지더라도 효과적으로 모든 치아를 닦아주지 못하면 충지의 가능성을 제거하지는 못하게 된다. For example, recently developed electric toothbrushes can give users feedback on brushing time, which means manual brushing, but it only evaluates the overall time in a way that depends on the individual's brushing habits. Is not considered. In addition, even longer brushing time will not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filling if you do not wipe all teeth effectively.

따라서, 이와 같은 구강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IT/Health관련 기술을 융합하여, 양치질의 정량적인 측정과 유아 등과 같은 치아 관리에 소홀할 수 있는 개인에 맞춘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such oral diseases, the convergence of various IT / Health-related 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personalized management that can neglect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eeth and dental care, such as infants.

KR 10-2013-0095750 AKR 10-2013-0095750 A

본 발명은 유아의 치아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that induces effective dental care of infants.

또한, 본 발명은 유아의 양치칠 과정을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교육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치아 관리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ental care education by providing education content by subdividing the process of brushing the teeth of children.

또한, 본 발명은 유아가 사용하는 칫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올바른 칫솔질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induce the correct brushing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oothbrush used by the infant.

또한, 본 발명은 유아가 보기 편한 위치에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that allows the infant to display the content in a comfortable location.

실시예는, 제1 명령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제1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1 프로세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 제2 명령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제2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2 프로세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칫솔부, 상기 칫솔부의 움직임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동작인식 칫솔; 및 상기 동작인식 칫솔에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동작인식 칫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할 콘텐츠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include a first memory for storing a first command, a first processor for executing the first command to perform first operation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ontent, and photographing the front A mirror display device including a photographing unit; A second memory for storing a second command, a second processor for executing the second command to perform second operation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a toothbrush unit, the toothbrush An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including a sensor unit and a battery unit for sen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iver unit for driving a negative movement; And a charging unit which wirelessly provides charging power to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wherein the first operations include determining content to be displayed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cognitive toothbrush can be provided.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동작인식 칫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콘텐츠의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표시부의 표시 영역 중 설정된 콘텐츠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operations may include sett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generated content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and displaying the conten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et content 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mirror display device and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of displaying.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2 동작들은, 상기 충전부로부터의 충전 전력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수신되는 충전 전력이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충전부 이탈 신호를 상기 미러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입력부로 수신되는 실행 신호를 상기 미러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미러 표시장치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전송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센서부로부터 검출되는 위치 정보를 상기 미러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econd operations may include: monitoring whether the charging power is received from the charging unit; transmitting a charger disconnection signal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when the charging power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ransmitting the received execution signal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periodically in response to th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mirror display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mirror display device and a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2 동작들은, 상기 충전부로부터의 충전 전력이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 충전부 결합 신호를 상기 미러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econd operations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charging unit coupling signal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when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동작인식 칫솔로부터 충전부 이탈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텐츠는 양치질 준비 교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still another aspect, the first operations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first content when receiving a charge release signal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wherein the first content includes a mirror display device including gargage preparation training conten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ental care training system using a tactile toothbrush.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동작 인식칫솔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인식칫솔의 높이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영역 중 상기 높이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콘텐츠의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칫솔질 방법 교육 콘텐츠를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operations may include generating height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and the height of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second conten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wherein the second content may provide a mirror display device including a brushing method education content and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제2 콘텐츠의 재생 시점과 수신된 동작인식 칫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3 콘텐츠를 더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콘텐츠는 상기 동작인식 칫솔의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이미지 콘텐츠를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operations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third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e playback time of the second conten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gesture recognition position, wherein the third content is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mirror display device including image contents moving in response t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and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may be provided.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충전부 결합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콘텐츠 표시를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operations may provide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mirror display device and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further comprising terminating content display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harging unit coupling signal.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동작인식 칫솔은 충격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들은, 상기 충격감지센서로부터의 수신된 충격량이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 충격 감지 신호를 상기 미러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인식 칫솔의 구동을 강제 종료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충격 감지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재생 중인 제2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하는 동작 및 상기 제5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콘텐츠는 오염된 동작인식 칫솔의 세척 방법 콘텐츠를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still another aspect,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further includes a shock sensor, and the second operations include: transmitting a shock detection signal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when the amount of impact received from the shock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nd forcibly terminating driving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wherein the first operations include: stopping the playback of the second content being played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shock detection signal and displaying the fifth content; In addition, the fifth content may provide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mirror display device and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including a cleaning method content of a contaminated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동작들은,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유아의 섭취한 음식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콘텐츠의 종류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유아의 섭취한 음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칫솔모의 진동을 조절하기 위한 진동 제어 신호를 상기 동작인식 칫솔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the first operations may include determining a type of the second content based on the ingested food information of the infant receiv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and based on the ingested food information of the infant receiv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mirror display device and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a vib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of the bristles to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아의 키 높이를 고려하여 미러 표시장치에 콘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유아가 콘텐츠를 시청하기 편리하도록 한 이점이 있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fant is convenient to watch the content by 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mirror display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infant.

또한, 실시예는 동작인식 칫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양치질의 단계별로 적절한 양치질 교육 내용을 유아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delivered to the infant the appropriate training content of the teeth in the step of brushing the teeth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또한, 실시예는 유아의 잘못된 양치질에 대한 정보를 피드백함으로써 치아 관리 교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improve the efficiency of dental care education by feeding back information on the wrong brushing of the infant.

또한, 실시예는 유아가 양치질 교육을 시청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increase the effect of the education by automatically displaying the content even if the infant does not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for watching the brushing education.

또한, 실시예는 유아의 부주의에 따른 칫솔이 오염된 경우 칫솔의 세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 개념이 부족한 유아가 오염된 칫솔로 양치질을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can induce the cleaning of the toothbrush when the toothbrush due to carelessness of the infant is contamin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infant lacking hygiene concept brushing teeth with the contaminated toothbrush.

또한, 실시예는 보호자의 단말기로부터 유아의 섭취 음식 정보를 전달 받아 적절한 양치 방법을 콘텐츠의 표시를 통해 유아에게 전달하고 유아가 사용하는 동작인식 칫솔의 칫솔부의 진동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치아의 적절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receives the infant's ingestion food information from the guardian's terminal to deliver the appropriate brushing method to the infant through the display of the content and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teeth by adjusting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toothbrush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used by the infant Yet it allows for proper cleaning of the teet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미러 표시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예시적인 동작인식 칫솔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동작인식 칫솔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미러 표시장치의 제1 동작들과 동작인식 칫솔의 제2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미러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미러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제2 콘텐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미러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제2 콘텐츠의 표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미러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제3 콘텐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미러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제4 콘텐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칫솔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mirror display device and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irror display devic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first operations of the mirror display device and second operations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6 illustrates an example of first content displayed on a mirror display device.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second content displayed on a mirror display device.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display position of second content displayed on a mirror display device.
9 is an exemplary view of third content displayed on a mirror display device.
10 is an exemplary view of fourth content displayed on a mirror display device.
11 is a block diagram of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a restric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ing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미러 표시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예시적인 동작인식 칫솔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동작인식 칫솔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a mirror display device and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irror display,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10)은 미러 표시장치(100), 동작인식 칫솔(200), 충전부(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dental care training system 10 may include a mirror display device 100,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a charging unit 300, and a network 400.

네트워크(400)는 미러 표시장치(100) 및 동작인식 칫솔(200)들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에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요소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400)는 컴퓨터 네트워크들, 전화 또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 인터넷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기통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네트워크(400)는 광역(예: WAN) 또는 근거리(예: LAN)를 포괄하는 공유형 공공, 또는 사설의 데이터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네트워크(400)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사용하여 패킷 교환의 방식으로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 및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network 400 may include any element or system that facilitates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network nodes, such as the mirror display 100 and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es 200. For example, network 400 may include one or more tele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computer networks, telephone or other communications networks, the Internet, and the like. In addition, network 400 may include a shared public or private data network covering a wide area (eg, WAN) or local area (eg, LAN). In some implementations, the network 400 can facilitate data exchange in the manner of packet exchange using the Internet Protocol (IP). In addition, the network 400 may facilitate wired and / or wireless connections and communications.

미러 표시장치(100)는 제1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메모리(110), 적어도 하나의 제1 프로세서(120), 제1 통신부(130, 표시부(140) 및 촬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memory 110, at least one first processor 120, a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nd a photographing unit 150 storing first instructions. It may include.

제1 명령어들은 제1 프로세서(120)로 하여금 제1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제1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가능 하다. 상기 제1 동작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first instructions are executable by the first processor 120 to cause the first processor 120 to perform the first operation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operations will be given later.

표시부(140)는 표시패널, 편광판, 코팅막으로 구성되어 거울 기능 및 표시패널의 적어도 일 영역에 각종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140 includes a display panel, a polarizing plate, and a coating film so as to perform at least one of a mirror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various contents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display panel.

촬영부(150)는 표시부(140)의 상측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표시부(140)가 바라보면 정면을 촬영할 수 있고, 제1 프로세서(120)의 제어 하에 초점이 조절되어 특정 영역을 정밀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5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area of the display unit 140 to photograph the front when the display unit 140 is viewed, and the focus is adjusted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processor 120 to obtain a precise photographing image of a specific region. Can be generated.

동작인식 칫솔(200)은 칫솔부(201)와 몸체부(202)로 구성된다.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s composed of a toothbrush portion 201 and the body portion (202).

칫솔부(201)는 몸체부(202)에 연결되고 몸체부(202)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진동할 수 있다.The toothbrush portion 201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02 and may move or vibr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body portion 202.

동작인식 칫솔(200)은 제2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메모리(210),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세서(220), 제2 통신부(230), 센서부(240), 구동부(250), 입력부(260) 및 배터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memory 210, at least one second processor 22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a sensor unit 240, and a driver 250 to store second instructions. It may include an input unit 260 and a battery unit 270.

제2 명령어들은 제2 프로세서(220)로 하여금 제2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제2 프로세서(220)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상기 제2 동작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second instructions are executable by the second processor 220 to cause the second processor 220 to perform the second operations. Details of the second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later.

센서부(140)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동작감지 칫솔(100)의 위치 정보, 움직임 정보 등을 측정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ravity 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d a motion sensing toothbrush 100. Location information, mo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구동부(250)는 몸체부(202)에 실장되어 상기 칫솔부(201)에 연결된 모터와 제2 프로세서(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제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iving part 250 may be configured as a motor control device mounted on the body part 202 and driving the mot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otor connected to the toothbrush part 201 and the second processor 220.

입력부(260)는 물리적인 버튼 또는 사용자(1)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220)는 입력부(26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1)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250)의 제어, 제2 통신부(230)를 통한 각종 데이터 송수신 및 배터리부(270)의 충전 제어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60 may be configured as a physical button or a touch panel for receiving a touch input of the user 1. The first processor 220 controls the driver 250 based on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1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260, transmits / receives various data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and charges the battery unit 270. The control operation can be performed.

여기서의 입력 정보는 실행 신호 및 종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행 신호는 동작인식 칫솔(200)의 구동신호이고, 종료 신호는 동작인식 칫솔(200)의 구동 종료 신호이다. 그리고 여기서의 구동은 구동부(250)의 구동을 의미한다.The input information here may include an execution signal and an end signal. The execution signal is a drive signal of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and the end signal is a drive end signal of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n this case, the driving means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50.

배터리부(270)는 충전전력을 저장하고 동작인식 칫솔(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배터리제어장치 그리고 충전부(300)로부터 전력 수신을 위한 유도 결합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270)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부(300)를 통해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의 무선 충전 방식은 비접촉 무선 충전으로써 유도 결합 방식에 따른 무선 충전 방식이다.The battery unit 270 stores a charging power and provides a battery for providing the power necessary to perform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a battery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and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charging unit 300. It may comprise an inductive coupling coil. The battery unit 270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charging unit 300 in a wireless charging manner.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here is a wireless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ductive coupling method as a non-contact wireless charging.

동작인식 칫솔(200)이 충전부(300)와 접촉하면 기 설정치 이상의 충전 전력을 충전부(30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동작인식 칫솔(200)이 충전부(30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면 충전부(300)로부터의 전력 수신을 중단한다. 전력 수신의 중단에 대한 판단은 동작인식 칫솔(200)이 충전부(30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는 시점에 수신되는 충전량은 상기 기 설정치 미만이 되는 시점으로써, 수신되는 충전량이 기 설정치 미만이 되면 전력 수신을 중단한다. 또한, 동작인식 칫솔(200)이 다시 충전부(300)에 소정의 거리 범위 내로 들어가면 충전부(300)로부터 충전 전력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거리는 동작인식 칫솔(200)와 충전부(300) 사이의 거리가 수 센치미터에 해당하는 거리이다.When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s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unit 300, the charging power of the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received from the charging unit 300. When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s out of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harging unit 300, the reception of the power from the charging unit 300 is stopped. The determination of the interruption of the power reception is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s out of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harging unit 300, and the amount of charge received is less than the preset value. Stop reception.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enters into the charging unit 300 agai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it may start receiving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unit 300.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a distance corresponding to a distance of several centimeters between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and the charging unit 300.

제1 통신부(130) 및 제2 통신부(230) 각각은 전자기 신호들로도 칭해지는 RF 신호들인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한다. 제1 통신부(130) 및 제2 통신부(230) 각각은 전기 신호들을 전자기 신호들로/로부터 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들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들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제1 통신부(130) 및 제2 통신부(230) 각각은 선택적으로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DEC 칩셋,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잘 알려진 회로를 포함한다. RF 회로(1070는 선택적으로 네트워크들, 예컨대 월드 와이드 웹(WWW)으로도 지칭되는 인터넷, 인트라넷,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및/또는 대도시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및 다른 디바이스들과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한다. 무선 통신은, 선택적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EV-DO(Evolution, Data-Only), HSPA, HSPA+, DC-HSPDA(Dual-Cell HSPA), LTE(long term evolu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예를 들어,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용 프로토콜(예를 들어,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및/또는 POP(post office protocol)), 인스턴트 메시징(예를 들어,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SIMPLE(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 IMPS(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및/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본 문헌의 출원일 현재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들, 프로토콜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한다.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receives and transmits data, which are RF signals, also called electromagnetic signals.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converts electrical signals into / from electromagnetic signals and communicates with communication networks and other communication devices via the electromagnetic signals.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may optionally include an antenna system, an RF transceiver, one or more amplifiers, tuners, one or more oscillators,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CODEC chipset, and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Well-known circuitry for performing these function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ards, memories, and the like. RF circuitry 1070 may optionally include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ntranet, and / or wireless networks, also referred to as the World Wide Web (WWW), such as cellular telephone networks,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s), and / or metropolitan areas. Communicates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nd other devices, which optionally includ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EDGE), and high-speed HSDPA.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Evolution, Data-Only (EV-DO), HSPA, HSPA +, Dual-Cell HSPA (DC-HSPDA), long term evolution (LTE), near NFC field communication,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Bluetooth, Wireless Fidelity (Wi-Fi) (e.g.,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and / or IEEE 802.11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 X, e-mail protocols (e.g.,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IMAP) and / or post office protocol (POP)), instant messaging (e.g.,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XMP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SIMPLE) Any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protocol including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 (IMPS),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IMPS), and / or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communication protocols not yet developed as of the filing date of this document. Use any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tandards, protocols and techniqu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도 5는 미러 표시장치의 제1 동작들과 동작인식 칫솔의 제2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미러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미러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제2 콘텐츠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미러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제2 콘텐츠의 표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미러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제3 콘텐츠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미러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제4 콘텐츠에 대한 예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first operations of a mirror display device and second operations of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FIG. 6 is an exemplary view of first content displayed on the mirror display device, and FIG. 7 is a mirror display device.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second content displayed on a screen, FIG.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isplay position of second content displayed on a mirror display device, and FIG. 9 is an illustration of third content displayed on a mirror display devic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fourth content displayed on a mirror display device.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명령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110), 제1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1 프로세서(120),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130),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140) 및 촬영부(150)를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들은 동작인식 칫솔(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할 콘텐츠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5 to 10, a first memory 110 storing a first command, a first processor 120 executing the first command to perform first operations,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130, in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including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photographing unit 150 for displaying the content, the first operations ar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othbrush 200. May include determining.

동작인식 칫솔(200)의 위치 정보에는 동작인식 칫솔(200)에 충전부(300)에서 이탈할 때의 위치 정보 동작인식 칫솔(200)이 충전부(300)에서 다시 충전될 때의 위치 정보, 동작인식 칫솔(200)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 정보, 동작인식 칫솔(200)을 세척할 때의 위치 정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s recharged from the charging part 300 to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The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othbrush 200, the position recognition when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콘텐츠는 제1 내지 제4 콘텐츠(C1, C2, C3, C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s may include first to fourth contents C1, C2, C3, and C4.

제1 콘텐츠(C1)는 양치질 준비 교육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양치질 준비 교육 콘텐츠는 동작인식 칫솔(200)의 칫솔모에 치약을 바르는 방법에 관한 정보, 바르는 치약의 양에 관한 정보 등 양치질 전에 양치질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교육 정보에 관한 콘텐츠가 될 수 있다.The first content C1 may include gargle preparation education content. Brushing preparation training content may be content about training information necessary to prepare the brush before brushing, such as information about how to apply toothpaste to the brush head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othpaste applied.

제2 콘텐츠(C2)는 칫솔질 방법 교육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칫솔질 방법 교육 콘텐츠는 동작인식 칫솔(200)을 이용하여 양치질하는 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질 방법에 관한 정보, 구강내 치아별 칫솔질 방법에 관한 정보에 관한 콘텐츠가 될 수 있다.The second content C2 may include brushing method teaching content. The brushing method training content may be content about how to brush teeth using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more specifically, information about a brushing method, information about a brushing method for each tooth in the oral cavity.

제3 콘텐츠(C3)는 동작인식 칫솔(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작 인식 칫솔(200)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인식 칫솔(200)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 움직이는 영상을 포함하는 콘텐츠가 될 수 있고, 해당 콘텐츠는 촬영부(15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될 수 있다.The third content C3 is an image including an image which moves along the movement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The content may be an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50.

제4 콘텐츠(C4)는 양치질이 끝난 후 동작인식 칫솔(200)의 세척 방법 정보에 관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content C4 may include content about cleaning method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brush 200 after brushing teeth.

또한, 제1 동작들은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충전부 이탈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콘텐츠(C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콘텐츠(C1)가 표시부(140) 상에 표시되는 영역은 특별한 영역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first operations may display the first content C1 upon receiving the charge release signal from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The area where the first content C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area.

미러 표시장치(100)는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수신되는 충전부 이탈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콘텐츠(C1)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는 동작인식 칫솔(200)를 거치할 때 미러 표시장치(100)를 통해 제1 콘텐츠(C1)를 시청하면서 양치질을 위한 준비 단계에 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may automatically display the first content C1 in response to the charge release signal received from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Therefore, the infant may be trained on the preparation step for brushing teeth while watching the first content C1 through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when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s mounted.

또한, 제1 동작들은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수신되는 실행 신호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동작인식 칫솔(200)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실행 신호는 동작인식 칫솔(200)의 구동을 명령하는 사용자의 명령 신호이다. 그리고 동작인식 칫솔(200)는 위치정보 전송 요청 신호에 수신에 응답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위치 정보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perations may include transmitting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in response to an execu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Here, the execution signal is a user's command signal for commanding the operation of the toothbrush 200. In addition,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may detect its lo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유아는 동작인식 칫솔(200)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기 위해 동작인식 칫솔(200)의 입력부(260)에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동작인식 칫솔(200)은 실행 신호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미러 표시장치(100)는 실행 신호의 수신에 응답아혀 위치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동작인식 칫솔(200)로 전송하고, 동작인식 칫솔(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 전송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센서부(240)로부터 검출되는 동작인식 칫솔(200)의 위치 정보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infant inputs an execution command to the input unit 260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to brush teeth using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transmits the execution signal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Can transmit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execution signal, and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responds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sig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device 200 detected from the 240 may be transmitted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또한, 제1 동작들은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인식 칫솔(200)의 높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인식 칫솔(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인식 칫솔(200)이 위치한 높이가 제1 높이(H1)인 경우, 표시부(140)의 최하단으로부터 제2 높이(H2)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콘텐츠(C2)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높이(H1) 별로 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2 높이(H2)들에 관한 정보는 제1 메모리(11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로세서(120)는 계산된 제1 높이(H1)에 매칭되는 제2 높이(H2)를 제1 메모리(110)로부터 읽어 드려 제2 콘텐츠(C2)의 표시 높이를 설정하고, 제2 콘텐츠(C2)를 설정된 높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키 높이에 적절한 높이로 제2 콘텐츠(C2)가 표시됨에 따라 유아가 정면을 응시한 상태로 편안하게 제2 콘텐츠(C2)를 시청하면서 양치질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perations may generate height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For example, when the height at which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s located is the first height H1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the second height H2 corresponds to the second height H2 from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140. The second content C2 may be displayed in the region. In addi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second heights H2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heights H1 may be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0 in advance. Therefore, the first processor 120 reads the second height H2 matching the calculated first height H1 from the first memory 110 to set the display height of the second content C2, and 2 The content C2 can be displayed at the set height. Therefore, as the second content C2 is displayed at a height appropriate for the height of the infant, the infant may brush teeth while watching the second content C2 in a comfortable gaze state.

또한, 제1 동작들은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와 제2 콘텐츠(C2)의 재생 시점에 기초하여 제3 콘텐츠(C3)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perations may generate the third content C3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and the playback time of the second content C2.

예를 들어, 제2 콘텐츠(C2)의 총 재생 시간이 3분이라고 한다면, 1분간의 설측면 양치 방법에 관한 콘텐츠가 재생되고 이어서 1분간 협측면 양치 방법에 관한 콘텐츠가 재생되며 이어서 1분간 교합면 양치 방법에 관한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제2 콘텐츠(C2)의 재생 시점이란, 설측면 양치 방법에 관한 콘텐츠, 협측면 양치 방법에 관한 콘텐츠 및 교합면 양치 방법에 관한 콘텐츠 중 어떤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러 표시장치(100)는 제2 콘텐츠(C2)가 재생 시작 시점부터 1분간은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인식 칫솔(200)의 움직임이 설측면 양치 방법에 따라 미리 저장된 움직임에 매칭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미러 표시장치(100)는 제2 콘텐츠(C2)가 재생 시작 시점 후 1분이 지난 시점부터 2분까지는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인식 칫솔(200)의 움직임이 협측면 양치 방법에 따라 미리 저장된 움직임에 매칭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미러 표시장치(100)는 제2 콘텐츠(C2)가 재생 시작 시점부터 2분이 지난 시점부터 3분까지는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인식 칫솔(200)의 움직임이 교합면 양치 방법에 따라 미리 저장된 움직임에 매칭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otal reproduction time of the second content C2 is 3 minutes, the content related to the lingual toothbrushing method for 1 minute is played, followed by the content related to the buccal tooth brushing method for 1 minute, and then the occlusion for 1 minute. The content relating to the tooth brushing method can be played. The reproduction time point of the second content C2 may correspond to a time point for determining which of the content related to the lingual tooth brushing method, the content related to the buccal tooth brushing method, and the content related to the occlusal tooth brushing method is being played. have. For example,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may move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for one minute from the start of the second content C2. According to the brushing metho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it matches the pre-stored movement. In addition, the mirror display apparatus 100 may move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until one minute after the second content C2 starts playing. According to this buccal surface brushing metho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matches with the pre-stored motion. In addition, the mirror display apparatus 100 may move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until two minutes after the second content C2 starts playing. According to this occlusal brushing metho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matches a pre-stored motion.

또한, 미러 표시장치(100)는 제2 콘텐츠(C2)의 재생 시점과 동작인식 칫솔(200)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제3 콘텐츠(C3)의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rror display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to display the third content C3 according to the playback time of the second content C2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device 200.

제3 콘텐츠(C3)는 촬영부(150)의 촬영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ontent C3 may include a captur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unit 150.

미러 표시장치(100)는 제2 콘텐츠(C2)의 재생과 동시에 촬영부(150)를 통해 미리 표시장치(100)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미러 표시장치(100)는 촬영부(150)의 촬영 개시과 동시에 동작인식 칫솔(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부(150)의 줌을 조절하여 동작인식 칫솔(200)이 위치한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촬영을 할 수 있다.The mirror display apparatus 100 may photograph the front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50 at the same time as the reproduction of the second content C2. In addition, the mirror display apparatus 100 adjusts the zoom of the photographing unit 150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at the same time as the photographing unit 150 starts to photograph the photographing unit 150 in the area where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is located. You can focus and shoot.

또한, 미러 표시장치(100)는 제2 콘텐츠(C2)의 재생 시점과 동작인식 칫솔(200)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동작인식 칫솔(200)의 움직임이 미리 저장된 움직임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 제2 콘텐츠(C2)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촬영 영상을 포함하는 제3 콘텐츠(C3)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측면 양치 방법에 관한 제2 콘텐츠(C2)가 재생중인 경우, 미러 표시장치(100)는 제2 콘텐츠(C2)가 재생 시작 시점 후 1분이 지난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 촬영된 영상을 포함하는 제3 콘텐츠(C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 콘텐츠(C2)는 잘못된 양치질이라는 표시 문구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does not match the previously stored movement according to the playback time of the second content C2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may perform the second operation. The third content C3 including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content C2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second content C2 related to the buccal surface brushing method is being reproduced,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may capture an image taken from the time point one minute after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content C2 to the present time. The third content C3 including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third content C2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an indication phrase of invalid brushing of teeth.

제1 동작들은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수신되는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제4 콘텐츠(C4)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의 종료 신호는 사용자가 동작인식 칫솔(200)의 구동을 종료시키는 명령 신호이다.The first operations may display the fourth content C4 in response to the end signal received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Here, the end signal is a command signal for the user to end the operation of the toothbrush 200.

유아는 미러 표시장치(100)를 통해 표시되는 제4 콘텐츠(C4)를 시청하면서 동작인식 칫솔(200)를 세척할 수 있다.The infant may wash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while watching the fourth content C4 displayed through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제1 동작들은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충전부 결합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표시부(140)에서 표시되는 콘텐츠의 표시를 종료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s may include an operation of terminating display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charging unit coupling signal from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제2 명령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210), 제2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2 프로세서(220),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230),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260), 칫솔부(201), 상기 칫솔부(201)의 움직임을 구동시키는 구동부(250)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240) 및 배터리부(270)를 포함하는 동작인식 칫솔(200)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들은, 충전부(300)로부터의 충전 전력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수신되는 충전 전력이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충전부 이탈 신호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기 설정치는 동작인식 칫솔(200)과 충전부(300)의 이격 거리가 기 설정된 센치미터가 되는 거리에서 동작인식 칫솔(200)이 충전부(300)로부터 수신 가능한 충전 전력치가 된다.A second memory 210 for storing a second command, a second processor 220 for executing the second command to perform second operation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Operation including a receiving unit 260, a toothbrush 201, the sensor unit 240 and the battery unit 270 to sens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ive unit 250 for driving the movement of the toothbrush 201. In the recognition toothbrush 200, the second operations include monitoring whether the charging power is received from the charging unit 300, and when the received charging power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charging unit departure signal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It may include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Here, the preset value is a charging power value that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can receive from the charging unit 300 at a distanc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and the charging unit 300 becomes a preset cm.

또한, 제2 동작들은, 입력부(260)로 수신되는 실행 신호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작 및 미러 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전송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주기적으로 센서부(240)로부터 검출되는 위치 정보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실행 신호는 구동부(250)의 구동을 개시하는 사용자의 명령 신호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perations may include a sensor unit 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execution signal received by the input unit 260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and a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240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The execution signal here is a command signal of a user who starts driving of the driving unit 250.

또한, 제2 동작들은, 입력부(260)로 수신되는 종료 신호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종료 신호는 구동부(250)의 구동을 종료하는 사용자의 명령 신호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perations may include transmitting an end signal received by the input unit 260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The end signal here is a command signal of a user who terminates driving of the driver 250.

또한, 제2 동작들은, 충전부(300)로부터의 충전 전력이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 충전부 결합 신호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양치질이 끝난 후 유아가 동작인식 칫솔(200)을 충전부(300)에 거치시키면 동작인식 칫솔(200)은 충전부(300)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동작인식 칫솔(200)은 충전부 결합 신호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operations may include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a charger coupling signal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when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er 3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after the brushing is finished, the infant mounts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to the charging unit 300,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receives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unit 300.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transmits the charging unit coupling signal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인식 칫솔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11 is a block diagram of a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인식 칫솔(200)는 충격감지센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동작들은, 충격감지센서(280)로부터 수신되는 충격량이 기 설정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동작, 충격량이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 충격 감지 신호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작 및 구동 중인 동작인식 칫솔(200)의 구동을 강제 종료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주의에 의해서 유아가 동작인식 칫솔(200)를 바닥에 떨어 뜨리는 경우 동작인식 칫솔(200)은 충격감지센서(280)로부터 수신되는 충격량에 기초하여 동작인식 칫솔(200)이 바닥에 떨어 졌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동작인식 칫솔(200)의 구동을 강제로 종료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may further include an impact sensor 280. The second operation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impact amount received from the shock detection sensor 28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ransmitting an impact detection signal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when the impact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nd detecting driving oper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cibly terminating driving of the toothbrush 200. When the infant inadvertently drops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on the floor,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determines that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has dropped on the floor based on the amount of impact received from the shock sensor 280. can do. In this case, driving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may be forcibly terminated.

제1 동작들은,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충격 감지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되는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하는 동작, 현재 제2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중인 경우 제2 콘텐츠의 표시를 중단하고 제5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실행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응답하여 중단된 제2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제5 콘텐츠는 오염된 동작인식 칫솔(200)의 세척 방법에 관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s may include determining a type of content that is currently displaye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shock detection signal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and stopping display of the second content when the second content is being displayed. 5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content, and when the execu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replaying the second content which has been stopped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signal. The fifth content herein may include content related to a cleaning method of the contaminated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위생에 대한 적절한 개념이 확립되지 않은 유아가 부주의로 동작인식 칫솔(200)를 바닥에 떨어 뜨렸음에도 불구하고 세척하지 않고 다시 양치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러 표시장치(100)는 제2 콘텐츠의 표시를 즉각 중단하고 제5 콘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유아로 하여금 오염된 동작인식 칫솔(200)를 세척할 수 있도록 유도 한다. 그리고, 유아가 세척 후 다시 동작인식 칫솔(200)의 구동을 실행시키면, 실행 신호를 수신한 미러 표시장치(100)는 중단된 제2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Infants who do not have an adequate concept of hygiene can brush their teeth again without washing, even though they have inadvertently dropped the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on the floor.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immediately stops displaying the second content and displays the fifth content to induce the infant to clean the contaminated mo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When the infant performs driving of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again after washing, the mirror display apparatus 100 having received the execution signal may subsequently play the second content that has been interrupt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10)은 보호자 단말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 guardian terminal 500.

제1 동작들은, 동작인식 칫솔(200)로부터 충전부 이탈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보호자 단말기(500)로 양치 진행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500)는 양치 진행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보호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단말기(500)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각종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의 각종 아이콘은 유아가 섭취한 음식 정보에 관한 아이콘이다. 그리고 각종 아이콘은 고기류 섭취를 나타내는 아이콘, 죽 등 부드러운 음식 섭취를 나타내는 아이콘 및 복합 재료의 음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될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50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미러 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s may transmit the brushing progress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500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of the charging unit departure signal from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200. The guardian terminal 500 may execute a pre-installed application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brushing progress signal, and the guardian may select one of various icons on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terminal 50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Various icons herein are icons relating to food information ingested by an infant. The various icons may be icons representing meat intake, icons representing soft food intake such as porridge, and icons representing food of a composite material. The guardian terminal 5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con to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미러 표시장치(100)는 수신된 유아의 섭취 음식 정보를 의미하는 아이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콘텐츠(C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제2 콘텐츠(C2)를 전술한 제2 콘텐츠(C2)의 재생 시점에 맞추어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의 복수의 제2 콘텐츠(C2)들 각각은 고기류와 같이 딱딱한 음식이나 치간에 잘끼는 음식을 섭취한 경우의 적절한 양치 방법에 관한 콘텐츠, 죽 등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한 경우의 적절한 양치 방법에 관한 콘텐츠 및 복합 재료의 음식을 섭취한 경우의 적절한 양치 방법에 관한 콘텐츠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The mirror display apparatus 100 select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ents C2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icon representing the received food information of the infant, and then selects the selected second contents C2 as described above. Playback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layback time of the content C2.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tents (C2) herein relates to a proper brushing method when a hard food such as meat or a food interdental is eaten, and a method for proper brushing when a soft food such as porridge is ingested. It may be any of the contents regarding the proper brushing method when the content and the food of the composite material are ingested.

유아는 자신이 섭취한 음식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양치 방법에 대한 교육 내용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죽 등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한 경우에는 치아에 무리가 가지 않는 양치 방법에 관한 제2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제2 콘텐츠에 따라 적절한 양치를 진행할 수 있다.Infants can be given instruction on proper brushing methods,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they eat. For example, when a soft food such as porridge is ingested, proper brushing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content while watching the second content regarding the toothbrushing method that does not overdo the tooth.

또한, 미러 표시장치(100)는 유아의 섭취 음식 정보를 의미하는 아이콘에 대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동작인식 칫솔(200)로 진동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rror display device 100 may transmit the vibration control information to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icon representing the infant's intake food information.

예를 들어, 고기류 섭취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동작인식 칫솔(200)로 제1 진동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죽 등 부드러운 음식 섭취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동작인식 칫솔(200)로 제2 진동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복합 재료의 음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동작인식 칫솔(200)로 제3 진동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vibration contro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icon representing the meat intake. In another aspect, the second vibration contro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icon indicating the soft food intake, such as porridge. In another aspect, the third vibration control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20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icon representing the food of the composite material.

제2 동작들은, 수신된 진동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250)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칫솔부(201)를 제1 진동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부(250)를 제어하고, 제2 진동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칫솔부(201)를 제2 진동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부(250)를 제어하며, 제3 진동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칫솔부(201)를 제3 진동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의 제1 진동은 제2 진동보다 더 큰 진동을 의미하고, 제3 진동은 제1 진동보다는 작으나 제2 진동보다는 더 큰 진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가 섭취한 음식에 따라 칫솔부(201)의 진동이 조절됨에 따라 유아의 섭취한 음식 별로 적절한 치아 세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치아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s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driver 250 based on the received vibration control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first vibration control information is received, the driving unit 250 is controlled to move the toothbrush unit 201 in the first vibration, and when the second vibration control information is received, the toothbrush unit 201 is converted into the second vibration. The driving unit 250 may be controlled to move, and when the third vibration control information is received, the driving unit 250 may be controlled to move the toothbrush unit 201 with the third vibration. Here, the first vibration means a vibration greater than the second vibration, and the third vibration means a vibration smaller than the first vibration but larger than the second vibration. Accordingly, as the vibration of the toothbrush unit 20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ood ingested by the infant, proper tooth cleaning for each ingested food of the infant may be performed, and the tooth damage may be minimized.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with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Particular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by way of example shows a functional connection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in the actual device replaceable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It may be represented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specifical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importan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0)

제1 명령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제1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1 프로세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전방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
제2 명령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 제2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2 프로세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칫솔부, 상기 칫솔부의 움직임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동작인식 칫솔; 및
상기 동작인식 칫솔에 무선으로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동작인식 칫솔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할 콘텐츠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동작인식 칫솔로부터 충전부 이탈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텐츠는 양치질 준비 교육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들은,
상기 동작 인식칫솔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인식칫솔의 높이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높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표시 영역 중 상기 높이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콘텐츠의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칫솔질 방법 교육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들은,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유아의 섭취한 음식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콘텐츠의 종류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유아의 섭취한 음식 정보에 기초하여 칫솔모의 진동을 조절하기 위한 진동 제어 신호를 상기 동작인식 칫솔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미러 표시장치와 동작인식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교육 시스템.
A first memory for storing a first instruction, a first processor for executing the first instruction to perform first operation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ontent, and 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front Mirror display;
A second memory for storing a second command, a second processor for executing the second command to perform second operation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a toothbrush unit, the toothbrush An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including a sensor unit and a battery unit for sen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river unit for driving a negative movement; And
It includes a charging unit for providing a charging power to the operation recognition toothbrush wirelessly,
The first operations,
Determining the content to be display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The first operation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first content when receiving a charge release signal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The first content includes gargle preparation education content,
The first operations,
Generating height information of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Displaying second content o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information in the display region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height information;
The second content includes brushing method teaching content,
The first operations,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econd content based on the food information of the infant received from the parental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a vibration control signal to the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for controlling vibration of the bristles based on the food information of the infant receiv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Dental care education system using mirror display and gesture recognition toothbrus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84713A 2017-12-29 2017-12-29 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 KR102030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713A KR102030421B1 (en) 2017-12-29 2017-12-29 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713A KR102030421B1 (en) 2017-12-29 2017-12-29 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877A KR20190081877A (en) 2019-07-09
KR102030421B1 true KR102030421B1 (en) 2019-11-18

Family

ID=6726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713A KR102030421B1 (en) 2017-12-29 2017-12-29 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4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207082A (en) * 2020-05-11 2021-11-12 Dentview Oy A device for instructing oral hygiene
KR102461513B1 (en) * 2020-12-30 2022-10-31 이상재 Helper system that tells you how and when to brush your teeth and wash your hands
US11645945B2 (en) 2021-09-08 2023-05-09 Sangjea LEE Education device teaching how to brush teeth and clean hands
KR102423239B1 (en) * 2021-09-08 2022-07-19 이상재 Education Device teaching how to brush teeth and clean han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9454A (en) * 2014-02-20 2017-04-06 ブラウン ゲーエムベーハー Oral care system
JP2017532076A (en) * 2014-08-04 2017-11-02 サラボー, デーヴィッドSARUBBO, Davide Inspection system for appropriate oral hygiene procedur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344A (en) * 2009-08-05 2011-02-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patial movement recognition remote control apparatus, image proces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patial movement recognition remote control system which includes this
FI20105846A0 (en) 2010-08-11 2010-08-11 Vti Technologies Oy Brushing Monitoring Device
KR20150080258A (en) * 2013-12-31 2015-07-09 차희찬 Oral hygiene device ha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and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9454A (en) * 2014-02-20 2017-04-06 ブラウン ゲーエムベーハー Oral care system
JP2017532076A (en) * 2014-08-04 2017-11-02 サラボー, デーヴィッドSARUBBO, Davide Inspection system for appropriate oral hygiene proced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877A (en)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421B1 (en) 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
US11671774B2 (en) Impression procedure
US9882986B2 (en) Apparatus for capturing brushing habits
JP6999819B2 (en) Personal hygiene system
US2022014235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structing tooth brushing,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9196646A1 (en) Artificial-intelligence-based toothbrushing recommend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8205858A1 (en) Operation method for teeth-brushing monitoring system, and teeth-brushing monitoring system
US20170304024A1 (en) Intraoral vibratory multifunctional device and wireless system for interaction between device, patient, and dentist
US200802127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edical Alerts
US20110275424A1 (en) Personal hygiene system
US202300176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oth-brushing guide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759898B1 (en) Toothbrushing managing appratus detachable with toothbrush and system thereof
CN1055285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ly assisting in cleaning teeth
CN109690690B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a user in concentrating on performing personal care activities
KR102429444B1 (en) Customized oral care system, oral care device, applica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JP7100587B2 (en) Systems and methods that detect user movements of oral healthcare devices and provide feedback
CN107403065A (en) Detection method, device and the server of dental problems
CN109698021B (en) Method for operating a medical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image acquisition device
KR20150080258A (en) Oral hygiene device ha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and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the same
CN109952073B (en) Network for collaborating personal care devices
CN114343901A (en) Control method of oral cleaning device and setting method of oral cleaning strategy
WO2018205851A1 (en) Operation method for teeth-brushing monitoring apparatus, teeth-brushing monitoring apparatus, toothbrush base, and toothbrush
CN117179941A (en)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of oral care equipment
TWI592144B (en) Electric toothbrush system
CN114360020A (en) Oral cleaning area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