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258A - Oral hygiene device ha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and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ral hygiene device ha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and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258A
KR20150080258A KR1020130168642A KR20130168642A KR20150080258A KR 20150080258 A KR20150080258 A KR 20150080258A KR 1020130168642 A KR1020130168642 A KR 1020130168642A KR 20130168642 A KR20130168642 A KR 20130168642A KR 20150080258 A KR20150080258 A KR 20150080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ing
unit
oral
toothbrush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희찬
Original Assignee
차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희찬 filed Critical 차희찬
Priority to KR102013016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258A/en
Publication of KR20150080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2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means for controlling duration, e.g. time of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source of radiation, e.g. UV, IR, LASER, X-ray for irradiating the teeth and associat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vibrating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81Determining interstitial fluid distribution or content within body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76Body hygiene; Dressing; Knot tying
    • G09B19/0084Dental 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hygiene device based o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ral hygiene device using two-way communications capable of detecting toothbrushing habit information and oral health condition of a user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user terminal or a diagnosing server and synchronizing the same and recei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s and diagnosing information and a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For this, provided is the oral hygiene device having a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comprising: a toothbrushing state detection unit to detect the position of a toothbrush head and a movement state; an oral state detection unit to detect a biological cover including protein and hormone inside the oral cavity and an image inside an oral cavity by being placed on the toothbrush head; a memory unit to store detection data of the toothbrushing state detection unit and the oral state detection unit; a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detec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 toothbrushing instruction data by using the detection data; and a displaying unit to visually and acoustically display corrective toothbrush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oothbrushing instruction data.

Description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칫솔질 지도 시스템{Oral hygiene device ha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and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hygiene device having a toothbrushing function and a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including the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정보통신 기술에 기반한 구강 위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칫솔질 습관 정보와 구강의 건강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진단 서버에 전송하여 동기화하고, 칫솔질 지도와 진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을 이용한 구강 위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칫솔질 지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hygiene apparatus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al hygiene apparatus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hygiene apparatus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hygiene apparatus us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a brushing instru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음식을 먹고 난 후 양치를 하지 않으면 찌꺼기들이 치아에 남아 세균덩어리의 막을 형성하는 데, 이를 치태라고 한다. 그리고, 치태를 그대로 방치하면 돌처럼 단단해져 석회화된 것을 치석이라고 한다.Generally, if you do not brush your teeth after eating food, the dirt remains in your teeth and forms a film of bacterial mass, which is called plaque. And, when the plaque is left untouched, it becomes hard like stone and calcified is called tartar.

이와 같은 치태와 치석은 각종 구강 내 질환과 구취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식사 후 올바른 칫솔질을 통해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치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전동 칫솔, LED 램프를 구비한 칫솔 등 다양한 기능성 칫솔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Since such plaque and calculus can cause various oral diseases and bad breath, it is important to remove it through proper brushing after eating. Meanwhile, various functional toothbrushes such as electric toothbrushes and toothbrushes equipped with LED lamp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to efficiently remove plaque.

한 조사에 의하면, 성인의 약 70%가 구강 내 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적절하지 못한 칫솔 및 치약의 선택이 한가지 원인일 수 있지만, 그보다도 잘못된 칫솔질 습관에 기인한다. According to one study, about 70% of adults are reported to have oral disease. This may be one reason for the selection of an inappropriate toothbrush and toothpaste, but it is due to erroneous brushing habits.

치과에서는 하루 3회, 식후 3분 이내, 3분 이상 칫솔질을 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리고, 칫솔질을 좌우로 하는 경우 치아의 마모 및 잇몸 손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칫솔질은 치아의 교합면(씹는면) 방향으로 쓸어 내듯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칫솔질 지도(toothbrushing instruction)는 구강 내 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In dentistry, it is recommended to brush three times a day, three minutes after eating, and three minutes or more. If the brushing is to the left or the right, it causes abrasion of the teeth and damage of the gum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ferred brushing move up and down as it sweeps in the direction of the occlusal surface (chewing face) of the teeth. Such toothbrushing instructions that lead to proper brushing habits are very important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traoral diseases.

따라서,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 및 칫솔질 지도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development of an oral hygiene apparatus and a 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a 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5891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0-0115891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6306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9-010630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칫솔질 습관과 구강의 건강상태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칫솔질 지도 정보를 수신하는 쌍방향 통신을 이용한 구강 위생 장치 및 칫솔질 지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hygiene device us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for detecting a user's brushing habit and oral health stat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nd a brushing map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칫솔질과 구강의 건강상태에 관한 전문적인 진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구강 위생 장치 및 칫솔질 지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hygiene apparatus and a brushing guidance system which can receive professional diagnostic information on brushing and health state of the oral cav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칫솔질 지도 정보와 진단 정보에 기초하여 칫솔질 시간, 진동 모드, 광 조사 모드를 조절할 수 있는 구강 위생 장치 및 칫솔질 지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hygiene device and a brushing guidance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brushing time, a vibration mode, and a light irradiation mode based on brushing map information and diagnostic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칫솔 헤드의 위치 및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칫솔질 상태 검출부; 상기 칫솔 헤드에 구비되어 구강 내의 단백질, 호르몬을 포함한 생물학적 표지와 구강 내의 영상을 검출하는 구강 상태 검출부; 상기 칫솔질 상태 검출부와 구강 상태 검출부의 검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칫솔질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른 칫솔질 교정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가 제공된다.A toothbrush state detector for detecting a position and a motion state of the toothbrush head; An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provided in the toothbrush head for detecting biological markers including proteins and hormones in the oral cavity and images in the oral cavity; A memory unit for storing detection data of the tooth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and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data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the brushing map data calculated using the detection data; 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or audibly displaying brushing correction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brushing map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구강 상태 검출부의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진단 데이터를 더 수신할 수 있다.Further, in the oral ca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receive the diagnostic data calculated from the user's terminal using the detection data of the oral condition detection unit.

또한, 상기 칫솔질 지도 데이터와 상기 칫솔질 상태 검출부의 검출 데이터를 비교하고,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알리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mpare the brushing map data with the detection data of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and to inform the display unit of a difference in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는 칫솔질 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검출된 칫솔질 시간이 상기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른 칫솔질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알리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oral ca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imer for detecting the brushing time and storing the brushing time in the memory unit,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brushing time detected by the timer exceeds the brushing time according to the brushing map data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be notified via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은 모터 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 헤드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 및 상기 칫솔 헤드에 구비되어 적외선,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포함한 특정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진동부 또는 광 조사부를 동작시키는 모드 선택부와,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 및 상기 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광 조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oothbrush device including a vibration unit that transmits vibration to a toothbrush head using a motor or sound waves; And a light irradiation unit provided on the toothbrush head for irradiating a light beam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including infrared rays, visible rays, and ultraviolet rays,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for operating the vibration unit or the light irradiation unit according to the brushing map data, A vib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and a light irradi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irradiation unit.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강 위생 장치; 및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구강 위생 장치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칫솔질 지도 데이터를 상기 구강 위생 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칫솔질 지도 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hygiene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data detected in the oral care device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brushing map data to the oral care device using the detection data, .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구강 위생 장치에서 검출된 구강 상태에 관한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진단 데이터를 상기 구강 위생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diagnostic data calculated using the detection data related to the oral condition detected by the oral care device to the oral care device.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스마트 시계(smart watch)를 포함한 착용형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be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 PC, a notebook, a tablet PC,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smart watch.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은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USB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RFID 통신 또는 NFC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be Zigbee, WiFi, Bluetooth, USB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RFID communication, or NFC.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질 지도 시스템은 원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칫솔질 지도 데이터 또는 진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진단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rush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iagnosis server for receiving the detection data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the brushing map data or diagnostic data calculated using the detec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의 쌍방향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적극적인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al hygiene apparatus having the brushing ma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n active brushing guidance function by using the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또한, 사용자는 칫솔질과 구강의 건강상태에 관한 전문적인 지도 및 진단을 받을 수 있으며, 치과의사와 같은 전문 의료인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처방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receive professional guidance and diagnosis on toothbrushing and oral health, and a professional medical practitioner, such as a dentist, can perform an optimized and customized prescription for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일반인 및 구강 건강에 많은 주의가 필요한 만성 질환 보유자(암, 신장, 당뇨, 임산부) 등에게 구강 건강상태에 따른 최적의 칫솔질 솔루션을 제공하여 건강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 사용자와 전문 의료인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치료 및 진단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health maintenance by providing an optimal brushing solution according to oral health condition to a general person and a chronic disease holder (cancer, kidney, diabetes, pregnant woman) who need a lot of attention for oral health. The user and the professional can establish a close relationship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reatment and diagnosis.

또한, 본 발명은 칫솔질에 대한 관심 및 동기를 유발시켜 구강 건강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도록 함으로써 향후 고가의 비용을 초래하는 치과 치료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brushing to be paid more attention to oral health,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cost of dental treatment that will result in high costs in the future, and an advantage to improve quality of life .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강 상태 검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진동 및 광 조사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칫솔질 지도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칫솔질 지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ral ca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shown in FIG. 1,
FIG. 3 is a structural diagram for explaining a vibration and light emission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ral care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rushing map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rushing map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to deno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Oral hygiene device having a brushing function)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oral car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가 위치한 칫솔 헤드(102) 부위에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 구강 상태 검출부(120) 및 광 조사부(190)가 구비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ral car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the oral car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ush state detector 110, a mouth state detector 120, and a light irradiation unit 190 .

그리고, 칫솔 본체(104)에는 메모리부(130), 통신부(140), 표시부(150), 제어부(160), 타이머(170) 및 진동부(180)가 구비된다.
The toothbrush body 104 is provided with a memory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 control unit 160, a timer 170, and a vibration unit 180.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는 칫솔모의 위치 및 운동 상태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칫솔질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는 각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센서, 압력센서, 기울기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칫솔 헤드(102) 이외에 칫솔 본체(104)에 내장될 수도 있다.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detects the position and motion state of the bristles and obtains data on the brushing operation of the user. The tooth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may be an angular veloc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pressure sensor, a tilt sensor, or the like, and may be embedded in the toothbrush body 104 in addition to the toothbrush head 102.

그리고,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데이터는 메모리부(130)에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The data detected by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in real time.

구강 상태 검출부(120)는 칫솔 헤드(102)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구강 건강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강 상태 검출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물학적 표지 검출 센서(122)와 카메라(124)로 구성된다.The oral condition detection unit 120 is provided in the toothbrush head 102 and obtains data on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120 is composed of a biological mark detecting sensor 122 and a camera 124, as shown in FIG.

생물학적 표지 검출 센서(122)는 구강 내의 단백질, 호르몬, 박테리아, pH, 기타 화학 성분을 포함한 각종 생물학적 표지(biomarker)를 검출한다. 생물학적 표지 검출 센서(122)는 예를 들면 날숨 호흡에 따른 호기 분석을 통해 폐 또는 위에 포함된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The biological label detection sensor 122 detects various biological markers including proteins, hormones, bacteria, pH, and other chemical components in the oral cavity. The biological marker detection sensor 122 can detect the substance contained in the lung or the upper part through exhalation analysis according to, for example, respiration.

카메라(124)는 구강 내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다. The camera 124 captures images or moving images in the oral cavity.

생물학적 표지 검출 센서(122)에서 검출된 데이터와 카메라(124)에서 촬연된 데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30)에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The data detected by the biological marker detection sensor 122 and th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124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in real time as shown in FIG.

메모리부(130)는 상술한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와 구강 상태 검출부(12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The memory unit 130 stores the data detected from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and the oral state detecting unit 12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ler 160. [

통신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검출 데이터를 전달받아 근거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 등의 사용자 단말(2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은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USB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receives the detection data from the control unit 160 and transmits the detec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200 such as a mobile device in real time through the local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s shown in FIG. 3 and FIG. At this time, Zigbee, WiFi, Bluetooth, USB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한편, 통신부(14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칫솔질 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칫솔질 지도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칫솔질 지도 데이터 및 진단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3 and 4, the communication unit 140 receives the brushing map data for correcting the user's brushing habits from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diagnostic data for the user's oral condition, . Details of the brushing map data and the diagnostic data will be described later.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200)과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장치에서 획득한 칫솔질 습관에 관한 정보 및 구강의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동기화시킬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brushing habit acquired in the oral car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e of the oral cavity to the user terminal 200, .

표시부(150)는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른 칫솔질 교정 정보를 제어부(160)로부터 전달받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즉, 칫솔 본체(104)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칫솔질 교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칫솔질 교정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표시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칫솔질 교정 정보에 따라 칫솔질을 함으로써 점차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The display unit 150 receives the brushing corr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rushing map data from the control unit 160 and visually or audibly displays the brushing correction information. That is, the toothbrush body 104 is provided with a display to visually display brushing correction information, and the brushing correction information can be output through a speaker. In addition, the user can gradually brush his / her proper brushing habit by performing brushing according to the brushing correction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타이머(170)는 사용자의 칫솔질 시간(brushing time)을 검출하여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 이때,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칫솔질 시간 데이터는 상술한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와 구강 상태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데이터와 함께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고, 칫솔질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The timer 170 detects the brushing time of the user and stores the brushing time in the memory unit 130. At this time, the brushing tim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together with the data detected by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and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120 , And can be used to generate brushing map data.

진동부(180)는 모터를 이용하거나, 음파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칫솔 헤드(102)에 진동을 전달하여 양치 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진동부(180)는 도 1에서와 같이 제어부(160)에 의해 진동의 세기가 제어될 수 있다.
The vibration unit 180 serves to improve the tooth brushing effect by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toothbrush head 102 using a motor or using a sound wave or an ultrasonic wave. The vibrating unit 180 can be controlled in intensity by the controller 160 as shown in FIG.

광 조사부(190)는 잇몸 출혈 예방, 입냄새 제거, 살균 등의 효과가 있는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구강의 청결 및 건강 상태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적외선 램프, 가시광선 램프 또는 자외선 램프가 칫솔 헤드(102)에 구비되는데, 이때 LED(발광다이오드) 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 광 조사부(190)는 제어부(160)에 의해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이 선택적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조사 광량이 제어될 수 있다.
The light irradiating unit 190 irradiates infrared rays, visible rays or ultraviolet rays having the effect of preventing gum bleeding, removing bad breath, sterilizing, etc. to improve the cleanliness and health of the oral cavity. To this end, an infrared lamp, a visible light lamp, or an ultraviolet lamp is provided in the toothbrush head 102, wherein an LED (light emitting diode) lamp can be applied. The light irradiating unit 190 can selectively irradiate infrared rays, visible rays, or ultraviolet rays by the controller 160, and the irradiation light amount can be controlled.

제어부(160)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통신부(140)에서 전송받은 칫솔질 지도 데이터와,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표시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가진다. 즉, 사용자가 칫솔질 교정 정보에 따라 칫솔질을 하지 않는 경우 이를 알림으로써 잘못된 칫솔질 습관을 바로잡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ompares the brushing map data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40 with the data detected by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by incorporating a predetermined control program and if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range, To the user. That is, if the user does not brush according to the brushing correction information, the wrong brushing habit can be corrected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incorrect brushing.

또한, 제어부(160)는 타이머(170)에 의해 검출된 칫솔질 시간이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른 칫솔질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표시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have a function of notifying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when the brushing time detected by the timer 170 exceeds the brushing time according to the brushing map data.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진동 및 광 조사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제어부(160)는 도 2에서와 같이 모드 선택부(162), 진동 제어부(164) 및 광 조사 제어부(166)를 구비하여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칫솔질 모드(brushing mode)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칫솔질 모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vibration and light emission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he controller 160 includes a mode selector 162, a vibration controller 164, and a light controller 166 to automatically adjust a brushing mode based on brushing map data, Can be embedded. In addition, the brushing mode can be manually configured by the user.

모드 선택부(162)는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라 진동 모드와 광 조사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모두를 선택할 수 있다. The mode selection unit 162 can select either the vibration mode or the light irradiation mode or all of them in accordance with the brushing map data.

진동 모드의 경우, 진동 제어부(164)에 의해 진동부(180)의 진동 세기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광 조사 모드의 경우 광 조사 제어부(166)에 의해 광 조사부(190)의 적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램프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며, 조사 광량을 조절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vibration mode, the vibration control unit 164 adjusts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vibration unit 180. In the light irradiation mode, the light irradiation control unit 166 selectively operates the infrared lamp or ultraviolet lamp of the light irradiating unit 190 to adjust the irradiated light amount.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가 위치한 칫솔 헤드(102) 부위에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 구강 상태 검출부(120) 및 광 조사부(190)가 구비된다. 그리고, 칫솔 본체(104)에는 메모리부(130), 표시부(150), 제어부(160), 타이머(170) 및 진동부(180)가 구비된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120, and the light irradiating unit 190 are provided on the portion of the toothbrush head 102 where the bristles are located A memory unit 130, a display unit 150, a controller 160, a timer 170, and a vibration unit 180 are provided in the toothbrush body 104. [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100")는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통신부(140)를 구비하지 않고, 제어부(16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The oral car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FIG. 1 in that it does not include the communication unit 140 and differ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60".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 구강 상태 검출부(120) 및 타이머(170)에서 검출되어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칫솔질 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칫솔질 지도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correct the user's brushing habits us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and detected by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120 and the timer 170 And a program capable of calculating the toothbrushing map data.

이때, 칫솔질 지도 데이터는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의 검출 데이터를 분석하여 양치 부위에 따른 올바른 칫솔질 패턴을 가지도록 생성된다. 그리고, 칫솔질 지도 데이터는 구강 상태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구강의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 또는 타이머(170)에서 검출된 칫솔질 시간 정보가 추가 반영되어 얻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ushing map data is generated so as to have the correct brushing pattern according to the tooth part by analyzing the detection data of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part 110. [ The brushing map data may be obtained by further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e of the mouth detected by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120 or the brushing tim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timer 170. [

또한, 칫솔질 지도 데이터는 칫솔질 패턴에 따라 구강 위생 장치(100)의 진동부(180)와 광 조사부(190)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가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부(180)의 진동 세기를 조절하고, 광 조사부(190)에서 조사되는 광의 종류(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및 조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brushing map data may include data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180 and the light irradiation unit 190 of the oral car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brushing pattern. That is, the control unit 160 adjusts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vibration unit 180 based on the brushing map data, and controls the type of the light (infrared light,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

제어부(160")는 산출된 칫솔질 지도 데이터와,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표시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가진다. 즉, 사용자가 칫솔질 교정 정보에 따라 칫솔질을 하지 않는 경우 이를 알림으로써 잘못된 칫솔질 습관을 바로잡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compares the calculated brushing map data with the data detected by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and has a function of informing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more than a certain range, If the user does not brush according to the brushing correction information, the wrong brushing habit can be corrected by notifying the user.

또한, 제어부(160")는 타이머(170)에 의해 검출된 칫솔질 시간이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른 칫솔질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표시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Further, the control unit 160 " may have a function of notifying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when the brushing time detected by the timer 170 exceeds the brushing time according to the brushing map data.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구강 상태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각종 생물학적 표지에 관한 데이터와, 구강 내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구강 건강상태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구비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alyzes the data related to various biological markings detected by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120 and the image data in the oral cavity to calculate diagnostic data on the user's oral health state, A program tha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may be provided.

(칫솔질 지도 시스템)(Brushing instruction system)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질 지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구강 위생 장치(100)에 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brushing map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The oral care implemen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칫솔질 지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칫솔질 지도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위생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로 구성된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rushing map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mposed of the oral care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구강 위생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칫솔질 동작에 관한 칫솔질 상태와 구강의 건강 상태, 그리고 칫솔질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ral care apparatus 100 can detect the state of brushing, the state of health of the oral cavity, and the time of brushing on the brushing operation.

그리고, 구강 위생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칫솔질 지도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 칫솔질이 잘못된 경우와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른 칫솔질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The oral hygiene apparatus 100 has a function of visually or audibly displaying the brushing ma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 function of notifying the user when brushing is incorrect, and when the brushing time according to the brushing map data is exceeded Function.

그리고, 구강 위생 장치(100)는 진동 모드 또는 광 조사 모드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The oral care apparatus 100 has a function of selecting and controlling the vibration mode or the light irradiation mode.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PC,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기타 모바일 기기이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 시계(smart watch)와 같은 착용형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수 있으며, 상술한 모바일 기기와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구강 위생 장치(100)의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 구강 상태 검출부(120) 및 타이머(17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칫솔질 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칫솔질 지도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에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wearable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mobile device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data detected by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120 and the timer 170 of the oral care apparatus 100, and uses the detected data to calibrate the user's brushing habits And a program or an application capable of calculating toothbrushing map data.

이때, 칫솔질 지도 데이터는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의 검출 데이터를 분석하여 양치 부위에 따른 올바른 칫솔질 패턴을 가지도록 생성된다. 그리고, 칫솔질 지도 데이터는 구강 상태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구강의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 또는 타이머(170)에서 검출된 칫솔질 시간 정보가 추가 반영되어 얻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ushing map data is generated so as to have the correct brushing pattern according to the tooth part by analyzing the detection data of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part 110. [ The brushing map data may be obtained by further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e of the mouth detected by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120 or the brushing tim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timer 170. [

또한, 칫솔질 지도 데이터는 칫솔질 패턴에 따라 구강 위생 장치(100)의 진동부(180)와 광 조사부(190)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가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동부(180)의 진동 세기를 조절하고, 광 조사부(190)에서 조사되는 광의 종류(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및 조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brushing map data may include data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180 and the light irradiation unit 190 of the oral car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brushing pattern. That is, the control unit 160 adjusts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vibration unit 180 based on the brushing map data, and controls the type of the light (infrared light,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200)이 상술한 칫솔질 지도 데이터를 구강 위생 장치(100)로 전송하지 않고, 직접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칫솔질 지도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되는 칫솔질 지도 정보에 따라 구강 위생 장치(100)로 칫솔질을 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 can be configured to output the brushing map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or the speaker directly, without transmitting the brushing map data described above to the oral care apparatus 100 . Accordingly, the user can brush the oral car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brushing map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구강 위생 장치(100)의 구강 상태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각종 생물학적 표지에 관한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구강 건강상태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The user terminal 200 analyzes the data and image data related to various biological signs detected by the oral condition detection unit 120 of the oral care apparatus 100 to calculate diagnostic data on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user, A program or an applicatio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칫솔질 진단 시스템의 구강 위생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하게 된다. 이때, 근거리 통신은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USB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가시광 통신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dental hygiene apparatus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brushing diagnostic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Zigbee, WiFi, Bluetooth, USB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은 상술한 칫솔질 지도 데이터 또는 진단 데이터를 구강 위생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양자간에 쌍방향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강 위생 장치(100)에서 검출된 데이터와, 사용자 단말(200)에서 산출된 칫솔질 지도 데이터 또는 진단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전송되거나 임의의 시간에 전송되어 양자간에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n,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the above-described brushing map data or diagnostic data to the oral care device 100, where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m. The data detected by the oral care device 100 and the brushing map data or diagnostic data calculated at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transmitted in real time or may be transmitted at any time so that the two are synchronized.

이로 인해 사용자의 칫솔질 습관 또는 구강 상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지더라도 사용자 단말(200)이 보다 정확한 칫솔질 지도 데이터 및 진단 데이터를 산출하여 구강 위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양질의 칫솔질 교정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user's brushing habit or oral condition changes with time, the user terminal 200 can calculate and transmit more accurate brushing map data and diagnostic data to the oral care hygiene device 100. In addition, the user can use good quality brushing correction information and obtain accurate diagnosis inform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칫솔질 지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칫솔질 지도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위생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진단 서버(300)로 구성된다. 존 실시예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진단 서버(300)가 더 구비되고, 진단 서버(300)에서 진단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rushing map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ing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mposed of the oral care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diagnosis server 300 as shown in FIG. The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diagnostic server 300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diagnosis server 300 performs the diagnostic function and transmits the diagnostic func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

진단 서버(300)는 치과 등의 의료 기관 또는 의료 업체에 구비될 수 있다. 진단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원거리 쌍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The diagnosis server 300 may be provided in a medical institution such as a dentist or a medical company. The diagnosis server 300 performs remote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진단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구강 상태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각종 생물학적 표지에 관한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정밀 분석하여 사용자의 구강 건강상태에 대해 보다 정확한 진단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진단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되어 사용자가 전문적인 진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diagnostic server 300 receives data and image data related to various biological markings detected by the oral condition detection unit 120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analyzes the data and image data to obtain more accurate diagnostic data on the user's oral health state Can be calculated. Then, the calculated diagnostic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pecialized diagnostic information.

또한, 진단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의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gnosis server 300 may receive the detection data of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store the data in a database.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문 의료인이 진단 서버(300)를 통해 환자의 구강 상태에 관한 정보와 칫솔질 습관에 관한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에 전문적인 처방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원격 진료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fessional healthcare provider can directly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oral condition of the patien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brushing habit through the diagnosis server 300, and transmit the professional prescrip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It is possibl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200)의 칫솔질 지도 데이터 산츨 기능 및 구강 위생 장치의 제어 기능이 진단 서버(3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구강 위생 장치(100)와 진단 서버(300)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중계기 역할만을 수행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gnostic server 300 can perform the brushing map data generating function and the oral care apparatus control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performs only a relay function to connect the oral care device 100 and the diagnosis server 300 in an intermediate manner.

즉, 구강 위생 장치(100)의 칫솔질 상태 검출부(110), 구강 상태 검출부(120) 및 타이머(170)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200)을 거쳐 진단 서버(300)에 전송되고, 진단 서버(300)에서 사용자의 칫솔질 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칫솔질 지도 데이터를 보다 정밀하게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칫솔질 지도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0)과 구강 위생 장치(100)에 전송된다. 이때, 칫솔질 지도 데이터는 진동부(180)와 광 조사부(190)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That is, the data detected by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10,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120 and the timer 170 of the oral care apparatus 100 are transmitted to the diagnosis server 300 via the user terminal 200, It is possible to more precisely calculate the brushing map data for correcting the user's brushing habit in the controller 300. Then, the brushing map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oral care hygiene apparatus 100. At this time, the brushing map data may include data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180 and the light irradiation unit 19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100" : 구강 위생 장치
102 : 칫솔 헤드
104 : 칫솔 본체
110 : 칫솔질 상태 검출부
120 : 구강 상태 검출부
122 : 생물학적 표지 검출 센서
124 : 카메라
130 : 메모리부
140 : 통신부
150 : 표시부
160, 160" : 제어부
162 : 모드 선택부
164 : 진동 제어부
166 : 광 조사 제어부
170 : 타이머
180 : 진동부
190 : 광 조사부
200 : 사용자 단말
300 : 진단 서버
100, 100 ": Oral hygiene device
102: toothbrush head
104: Toothbrush body
110: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120: mouth condition detector
122: Biological marker detection sensor
124: camera
130: memory unit
140:
150:
160, 160 ": control unit
162: Mode selection unit
164:
166: Light irradiation control unit
170: Timer
180:
190: light irradiation unit
200: user terminal
300: Diagnostic server

Claims (10)

칫솔 헤드의 위치 및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칫솔질 상태 검출부;
상기 칫솔 헤드에 구비되어 구강 내의 단백질, 호르몬을 포함한 생물학적 표지와 구강 내의 영상을 검출하는 구강 상태 검출부;
상기 칫솔질 상태 검출부와 구강 상태 검출부의 검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검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칫솔질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른 칫솔질 교정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
A toothbrush state detector for detecting a position and a motion state of the toothbrush head;
An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provided in the toothbrush head for detecting biological markers including proteins and hormones in the oral cavity and images in the oral cavity;
A memory unit for storing detection data of the tooth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and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data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the brushing map data calculated using the detection data; And
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or audibly displaying brushing corr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rushing map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구강 상태 검출부의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진단 데이터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further receives diagnostic data calculated from detection data of the oral condition detecting unit from the user termin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질 지도 데이터와 상기 칫솔질 상태 검출부의 검출 데이터를 비교하고,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알리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mpare the brushing map data with the detection data of the brushing state detecting unit and to inform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range, .
제3항에 있어서,
칫솔질 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검출된 칫솔질 시간이 상기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른 칫솔질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timer for detecting the brushing time and storing the detected time in the memory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notify,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the brushing time detected by the timer exceeds a brushing time according to the brushing map data.
제4항에 있어서,
모터 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칫솔 헤드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부; 및
상기 칫솔 헤드에 구비되어 적외선, 가시광선 및 자외선을 포함한 특정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칫솔질 지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진동부 또는 광 조사부를 동작시키는 모드 선택부와,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 및 상기 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광 조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질 지도 기능을 구비한 구강 위생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vibration unit for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toothbrush head using a motor or sound waves; And
Further comprising a light irradiating unit provided on the toothbrush head for irradiating a light beam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including infrared rays, visible rays, and ultraviolet rays,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for operating the vibration unit or the light irradiation unit according to the brushing map data, a vib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and a light irradi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irradiation unit. And an oral hygiene device.
제5항에 따른 구강 위생 장치; 및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구강 위생 장치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칫솔질 지도 데이터를 상기 구강 위생 장치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칫솔질 지도 시스템.
An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And
And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the data detected by the oral care device through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the brushing map data calculated using the detection data to the oral car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구강 위생 장치에서 검출된 구강 상태에 관한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진단 데이터를 상기 구강 위생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질 지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diagnostic data calculated using the detection data related to the oral condition detected by the oral care device to the oral car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PC,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스마트 시계(smart watch)를 포함한 착용형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질 지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 PC, a notebook, a tablet PC,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smart watc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USB 통신, 적외선 통신, 가시광 통신, 초음파 통신, RFID 통신 및 NF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질 지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cal communication includes Zigbee, WiFi, Bluetooth, USB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ltrasonic communication, RFID communication, and NFC.
제6항에 있어서,
원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검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칫솔질 지도 데이터 또는 진단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진단 서버를 더 포함하는 칫솔질 지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diagnostic server for receiving the detection data from the user terminal via a remote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the brushing map data or diagnostic data calculated using the detec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KR1020130168642A 2013-12-31 2013-12-31 Oral hygiene device ha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and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201500802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642A KR20150080258A (en) 2013-12-31 2013-12-31 Oral hygiene device ha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and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642A KR20150080258A (en) 2013-12-31 2013-12-31 Oral hygiene device ha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and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58A true KR20150080258A (en) 2015-07-09

Family

ID=5379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642A KR20150080258A (en) 2013-12-31 2013-12-31 Oral hygiene device ha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and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0258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4602A (en) * 2016-08-23 2016-11-09 深圳市云利智能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toothbrush brushing zone identifies device
KR20170075334A (en) * 2015-12-23 2017-07-03 차희찬 Customized oral care system, oral care device, applica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6950892A (en) * 2017-05-10 2017-07-14 深圳缇铭科技有限公司 The method of work for monitoring system of brushing teeth and monitoring system of brushing teeth
KR20180114570A (en) * 2017-04-10 2018-10-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Toothbrush and the method
KR20190081877A (en) * 2017-12-29 2019-07-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
WO2019189993A1 (en) * 2018-03-29 2019-10-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toothbrush and mobile terminal
EP3649982A1 (en) * 2018-11-08 2020-05-13 Sanggeun Lee Or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toothbrush
US10881285B2 (en) 2016-11-09 2021-01-05 Koninklijke Philips N.V. Network for collaborating personal care devices
WO2022013534A1 (en) * 2020-07-14 2022-01-20 Playbrush Ltd Toothbrush system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334A (en) * 2015-12-23 2017-07-03 차희찬 Customized oral care system, oral care device, applica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6094602A (en) * 2016-08-23 2016-11-09 深圳市云利智能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toothbrush brushing zone identifies device
CN106094602B (en) * 2016-08-23 2019-08-06 深圳市云利智能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toothbrush brushing zone identification device
US10881285B2 (en) 2016-11-09 2021-01-05 Koninklijke Philips N.V. Network for collaborating personal care devices
KR20180114570A (en) * 2017-04-10 2018-10-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Toothbrush and the method
CN106950892A (en) * 2017-05-10 2017-07-14 深圳缇铭科技有限公司 The method of work for monitoring system of brushing teeth and monitoring system of brushing teeth
KR20190081877A (en) * 2017-12-29 2019-07-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Teeth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mirror display and toothbrush
WO2019189993A1 (en) * 2018-03-29 2019-10-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toothbrush and mobile terminal
EP3649982A1 (en) * 2018-11-08 2020-05-13 Sanggeun Lee Or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toothbrush
WO2022013534A1 (en) * 2020-07-14 2022-01-20 Playbrush Ltd Toothbrush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0258A (en) Oral hygiene device having toothbrushing instruction function and toothbrushing instruction system having the same
US11944187B2 (en) Tracked toothbrush and toothbrush tracking system
JP5562340B2 (en) System for oral health status detection, treatment and coverage feedback
ES2795030T3 (en) Personal hygiene device
US10918470B1 (en) Wireless teeth whitening system
CN110621259B (en) Intraoral scanning device, method of operating such a device and scanner system
KR101559661B1 (en) Toothbrush with a camera and tooth medical examination system using this
EP2671504A2 (en) Multifunction wand for an intra-oral imaging system
US115897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near infrared-based diagnostic images of teeth
KR102429444B1 (en) Customized oral care system, oral care device, applica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WO2015073062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toothbrush with smart sensors for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US11771213B2 (en)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oral care device
KR101911834B1 (en) Smart Toothbrush and the method
KR20180040060A (en) Method for determining a tooth brushing section, and Smart toothbrush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S2890987T3 (en) Network for collaborative personal care devices
WO2018221444A1 (en) Tooth-brushing support system, tooth-brushing support method, tooth-brushing support device, and tooth-brushing support program
KR101853101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of smart oral cavity teeth
KR20170075335A (en) Intelligent oral care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200105557A (en) Smart toothbrush and Oral management system
CN1107697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caries detection
KR102532524B1 (en) Virtual tooth extrac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CN114305327A (en) Living body monitoring device
CN114305352A (en) Living body monitoring device
KR20190060458A (en) Oral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oral cleaner
KR102236486B1 (en) A electric loupe and diagnosis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