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157B1 -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157B1
KR102022157B1 KR1020167027184A KR20167027184A KR102022157B1 KR 102022157 B1 KR102022157 B1 KR 102022157B1 KR 1020167027184 A KR1020167027184 A KR 1020167027184A KR 20167027184 A KR20167027184 A KR 20167027184A KR 102022157 B1 KR102022157 B1 KR 102022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er
dual connectivity
base st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indic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400A (ko
Inventor
닝주안 창
하이보 수
얀링 루
웨이웨이 왕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2Release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04W76/36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for reassigning the resources associated with the releas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UE)가 수신하는 단계; 및 표시 메시지에 따라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는 베어러를 심리스하게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BEAR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내용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형 셀들로 배치되는 이종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E)의 스루풋을 증가시키고 이동성 강건성을 증대시키고 네트워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거나 하기 위해 이중 접속성(dual connectivity)(DC)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관련 기술에서 이중 접속성을 이루는 개략도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예컨대 eNB)은, 접속 상태에 있으며 다중-송수신 기능을 갖는 UE에 대해 이중 접속성을 구성할 수 있다. 이중 접속성이 구성될 때, 데이터 전송을 위해 UE에 무선 자원들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상이한 eNB(eNodeB) 상의 스케줄러들이 이용되며, 2개의 eNB는 일반적으로 비이상적인 백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여기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와 S1-MME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eNB가 마스터 eNB(MeNB)로 지칭되며, MeNB와 연관된 서비스 셀들이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MCG)을 구성하고; 부가적인 무선 자원들을 제공하기 위해서만 이용되는 다른 eNB는 이차 eNB(SeNB)로 지칭되며, 이에 대응하여 SeNB와 연관된 서비스 셀들이 이차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SCG)을 구성한다.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서, 베어러는 데이터 전송 채널 및 그것의 구성을 지칭하고, 상이한 베어러들은 상이한 서비스 품질(QoS)로 요구되는 서비스들을 전송하기 위해 상이한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베어러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RB)로 지칭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평면 베어러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DRB)로 지칭되고, 제어 평면 베어러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SRB)로 지칭된다. 이중 접속성이 구성될 때, RB들은 3가지 타입, 즉 MCG 베어러, SCG 베어러 및 분할 베어러로 분류될 수 있다.
도 2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의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개략도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로토콜 스택의 관점에서, MCG 베어러는, MeNB 자원들만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MeNB 상에만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이 위치되는 베어러를 지칭하고; SCG 베어러는, SeNB 자원들만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SeNB 상에만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이 위치되는 베어러를 지칭하고; 분할 베어러는, MeNB 자원들 및 SeNB 자원들 양쪽 모두를 이용하고 MeNB 및 SeNB 양쪽 모두 상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이 위치되는 베어러를 지칭한다.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 관하여, 네트워크 측은, UE의 서비스 속성 및 네트워크 부하에 따라 UE의 서비스가 구성되는 베어러의 타입, 즉 UE의 서비스가 MCG 베어러 상에서 전송되도록 구성되는지 또는 SCG 베어러 상에서 전송되도록 구성되는지 또는 분할 베어러 상에서 전송되도록 구성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관련 기술에서, 네트워크는 무선 자원 관리 접속 재구성의 절차(RRCConnectionReconfiguration)를 통해 DRB의 추가, 수정 및 릴리즈를 지원한다. DRB의 구성(재구성을 포함함) 및 구성 제한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EPS) 베어러 ID(identity)(eps-BearerIdentity). 이 파라미터는 DRB가 확립될 때에만 구성되고, 다른 상태 하에서는 구성될 수 없다.
- DRB ID(drb-Identity). 이 파라미터는 DRB의 존재 동안에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된다.
-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구성(pdcp-Config). 이 파라미터는 DRB가 확립될 때에 구성되어야 하고, 핸드오버 및 RRC 재확립의 경우에 선택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다른 상태 하에서는 구성될 수 없다.
- 무선 링크 제어(RLC) 구성(rlc-Config). 이 파라미터는 DRB가 확립될 때에 구성되어야 하며, 다른 상태 하에서는 선택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 논리 채널 ID(logicalChannelIdentity). 이 파라미터는 DRB가 확립될 때에만 구성되고, 다른 상태 하에서는 구성될 수 없다.
- 논리 채널 구성(logicalChannelConfig). 이 파라미터는 DRB가 확립될 때에 구성되어야 하며, 다른 상태 하에서는 선택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측은, RB의 확립, 수정 및 릴리즈를 포함한 DRB의 관리를 위한 앵커로서 DRB ID를 취한다. UE의 서비스 사이트가 변경(예를 들어, 핸드오버)되는 경우에, 타겟 사이트 및 소스 사이트가 상이한 버전들을 가지면, 타겟 사이트가 소스 사이트에 의한 eNB의 구성을 파싱할 수 없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 타겟 사이트는 전체 구성을 채택할 것이고, 네트워크 측은 RB의 확립과 릴리즈를 포함한 RB 관리를 위한 앵커로서 EPS 베어러 ID를 취한다.
추가로, 이중 접속성이 구성될 때, MeNB 및 SeNB는 논리 채널 ID를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논리 채널의 구성을 독립적으로 유지한다. 즉, MeNB 및 SeNB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논리 채널 ID들로 UE의 상이한 RB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베어러 1 및 베어러 3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들은 MeNB 및 SeNB 각각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중 접속성의 상황 하에서의 DRB ID도 또한 MeNB 및 SeNB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즉 MeNB 및 SeNB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DRB ID들로 UE의 상이한 RB들을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위해 그리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공될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은 본 개시내용의 배경기술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고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관련 기술에서, SCG 베어러로부터 MCG 베어러로의 전환 또는 분할 베어러로부터 MCG 베어러로의 전환 등이 일부 상황들 하에서 발생할 것인데, 이는 서비스 중단을 초래하는 데이터 드롭아웃을 야기시키며, 현재 심리스 베어러 전환은 수행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중 접속성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심리스 베어러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 적용되는 베어러 관리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베어러 관리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표시 메시지에 따라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서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베어러 관리 장치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수신 유닛; 및
표시 메시지에 따라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
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 적용되는 베어러 관리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베어러 관리 방법은, 분할 베어러에 대응하는 이차 셀 그룹(SCG) 부분을 릴리즈하거나; 또는 SCG와 연관된 모든 베어러들이 릴리즈될 때에 대응하는 SCG를 릴리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서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베어러 관리 장치는, 분할 베어러에 대응하는 이차 셀 그룹(SCG) 부분을 릴리즈하거나; 또는 SCG와 연관된 모든 베어러들이 릴리즈될 때에 대응하는 SCG를 릴리즈하거나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1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 접속된 제1 기지국에 적용되는 베어러 관리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베어러 관리 방법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서 무선 접속이 실패한다고 검출하는 단계; 및
연관된 이차 셀 그룹(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제2 기지국이 대응하는 베어러를 릴리즈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 접속된 제1 기지국에서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베어러 관리 장치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서 무선 접속이 실패한다고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 및
연관된 이차 셀 그룹(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제2 기지국이 대응하는 베어러를 릴리즈하게 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 접속된 제2 기지국에 적용되는 베어러 관리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베어러 관리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관된 이차 셀 그룹(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베어러를 릴리즈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 접속된 제2 기지국에서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베어러 관리 장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관된 이차 셀 그룹(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베어러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된 릴리즈 유닛
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9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 통신 시스템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고, UE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표시 메시지에 따라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고,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재확립 절차가 트리거된 이후에, 분할 베어러에 대응하는 이차 셀 그룹(SCG) 부분을 릴리즈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SCG와 연관된 모든 베어러들이 릴리즈될 때, 대응하는 SCG 자원을 릴리즈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0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 통신 시스템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서 무선 접속이 실패한다고 검출하고, 연관된 이차 셀 그룹(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기지국; 및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관된 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베어러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된 제2 기지국
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되는데, 이 프로그램이 사용자 장비(UE)에서 실행될 때,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UE에서 전술한 베어러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가 제공되는데, 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사용자 장비(UE)에서 전술한 베어러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되는데, 이 프로그램이 기지국에서 실행될 때,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기지국에서 전술한 베어러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가 제공되는데, 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기지국에서 전술한 베어러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가 심리스 베어러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개시되며,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이용 방식들이 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 청구항들의 용어들의 범위 내의 많은 변경물, 수정물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 및/또는 예시되는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고/있거나,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include)"라는 용어는,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나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많은 양태들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도면들에서의 컴포넌트들은 반드시 일정한 비례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대신에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명확하게 예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부분들을 예시하고 설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면들의 대응하는 부분들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 도시된 요소들 및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도면들 또는 실시예들에 도시된 요소들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수개의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컴포넌트들을 지시하고, 하나보다 많은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컴포넌트들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관련 기술에서 이중 접속성을 이루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의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 스택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UE 이동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또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또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또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또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3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4의 베어러 관리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4의 UE의 시스템 구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5의 베어러 관리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6의 베어러 관리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6의 베어러 관리 장치의 다른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6의 기지국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7의 통신 시스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 및 도면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방식들 중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세하게 개시되지만, 본 개시내용은 설명된 그러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본 개시내용은 첨부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물들, 수정물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이중 접속성의 상황 하에서, 네트워크 측은 네트워크 부하, 서비스 속성 및 UE 위치에 따라 서비스를 MCG 베어러 상에서 운반할지, SCG 베어러 상에서 운반할지 또는 분할 베어러 상에서 운반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UE 이동의 개략도이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UE의 이동 경로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UE가 지점 A로 이동할 때, 네트워크 측은 UE의 하나 이상의 베어러를 SeNB 상으로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MCG 베어러로부터 SCG 베어러로의 전환 또는 MCG 베어러로부터 분할 베어러로의 전환을 야기시킨다. UE가 지점 C로 이동할 때, 네트워크 측은 SeNB 상의 UE의 하나 이상의 베어러를 다시 MeNB로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SCG 베어러로부터 MCG 베어러로의 전환 또는 분할 베어러로부터 MCG 베어러로의 전환을 야기시킨다.
베어러들 사이의 전환, 예컨대 SCG 베어러로부터 MCG 베어러로의 전환의 경우에, 한가지 방식은, SCG 베어러를 릴리즈한 다음에 MCG 상에서 MCG 베어러를 확립하여 베어러를 복구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베어러의 릴리즈가 처음에 이 베어러와 연관된 PDCP/RLC 엔티티를 릴리즈할 것이고, 그에 의해 서비스 중단을 초래하는 데이터 드롭아웃을 야기시킬 것이라는 단점을 갖는다. 데이터 드롭아웃을 회피하기 위해서, 베어러에 대해 심리스 전환이 수행되어야 하는데, 즉 소스 SCG 베어러는 재구성을 통해 MCG 베어러로 전환된다. 이러한 심리스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이 본 출원에 의해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3가지 문제를 주로 해결한다.
첫번째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MeNB 및 SeNB는 베어러들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들을 독립적으로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MeNB 및 SeNB 각각에 의해 MCG 베어러 1 및 SCG 베어러 1에 대해 구성된 논리 채널 ID들은 양쪽 모두 LCID=1이다. 그러한 경우에, SCG 베어러 1이 MCG 베어러로 심리스하게 전환되면, 기존의 메커니즘은 논리 채널 ID의 수정을 지원할 수 없고, UE 상의 2개의 베어러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들이 양쪽 모두 LCID=1인 상황이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매체 접근 제어(MAC) 엔티티 다중화/역다중화가 수행될 때, 다중화/역다중화의 에러가 발생될 것인데, 그 이유는 논리 채널들이 동일하므로 네트워크 측 및 UE가 논리 채널들 상의 베어러들의 데이터가 속하는 RB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두번째로, RB ID들이 MeNB 및 SeNB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면, 예를 들어, 도 2에서, MeNB 및 SeNB 각각에 의해 MCG 베어러 1 및 SCG 베어러 1에 대해 구성된 RB ID들은 양쪽 모두 DRB=1이다. 그러한 경우에, SCG 베어러 1이 MCG 베어러로 심리스하게 전환되면, 기존의 메커니즘은 DRB 재구성을 수행할 때 앵커로서 DRB ID를 취할 것이고, 따라서 DRB ID 재구성은 그러한 경우에 지원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DRB ID DRB=1을 갖는 2개의 MCG 베어러가 발생하여 DRB ID들의 혼동을 야기시킬 것이며, UE 및 네트워크 측은 2개의 베어러를 인식할 수 없다.
세번째로, SCG 베어러가 MCG 베어러로 전환되는 경우, MeNB는 헤더 압축 알고리즘을 수정하는 것과 같이 MCG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베어러의 서비스 사이트의 변경을 고려하여 상이한 서비스 사이트들에 의해 베어러의 상이한 구성들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우에, 이러한 기능은 기존의 메커니즘에 의해 지원될 수 없다.
전술한 문제들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 적용되는 베어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1): UE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계(402): UE가 표시 메시지에 따라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는 단계.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3): UE가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서, 베어러 타입의 변경은 MCG 베어러로부터 SCG 베어러로의 변경, SCG 베어러로부터 MCG 베어러로의 변경, MCG 베어러로부터 분할 베어러로의 변경 및 SCG 1 베어러로부터 SCG 2 베어러로의 변경(상이한 SCG들에서의 SCG 베어러들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구체적인 상황은 실제 상태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UE와 이중 접속성을 이루는 것들 중 하나, 예컨대 MeNB 또는 SeNB일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구체적인 기지국은 실제 상태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메시지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에 대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베어러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501):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고 변경된 베어러 타입의 베어러를 재구성하기 위한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기지국이 송신하는 단계 - 이 RRC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한 베어러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의 (재)구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구성 정보를 포함함 -;
단계(502): UE가 단계(501)의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구성에 따라 베어러 타입을 전환하고,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베어러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단계(503): UE가 RRC 응답 메시지를 리턴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서, 제1 구성 정보는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logical Channel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프로토콜의 관점에서,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Figure 112016095001703-pct00001
logicalChannelIdentity의 존재 조건 LCID는 다음의 것을 표시한다: 이 정보 요소는 연관된 DRB가 확립될 때에 존재해야 하고,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선택적으로 존재하고(즉, 존재 또는 비존재), 다른 상태 하에서는 존재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메시지는, 기지국이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ID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기 위한 제2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ID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또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601):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고 변경된 베어러 타입의 베어러를 재구성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기지국이 송신하는 단계 - 이 RRC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한 베어러에 대응하는 RB ID의 (재)구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구성 정보를 포함함 -;
단계(602): UE가 단계(601)의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구성에 따라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고, 베어러에 대응하는 RB ID를 (재)구성하고, 앵커로서 EPS 베어러 ID를 이용함으로써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베어러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단계(603): UE가 RRC 응답 메시지를 리턴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서, 제2 구성 정보는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eps-BearIdentity를 포함한다. 기존의 프로토콜의 관점에서,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DRB 추가/수정 리스트(DRB-ToAddModList)에 포함된 EPS 베어러 ID가 UE의 현재 구성에 있으며 베어러가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고 있는 경우, UE는,
- 구성 정보가 DRB ID를 포함할 때에 베어러에 이 DRB ID를 적용하고;
- 구성 정보가 PDCP 구성을 포함할 때에 이 PDCP 구성을 적용하고;
- 구성 정보가 RLC 구성을 포함할 때에 이 RLC 구성을 적용하고;
- 구성 정보가 논리 채널 ID 구성을 포함할 때에 이 논리 채널 ID 구성을 적용하고;
- 구성 정보가 논리 채널 구성을 포함할 때에 이 논리 채널 구성을 적용한다.
Figure 112016095001703-pct00002
eps-BearerIdentity의 존재 조건 EPS-bearer-ID는 다음의 것을 표시한다: 이 정보 요소는 연관된 DRB가 확립될 때에 존재해야 하고,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선택적으로 존재하고(즉, 존재 또는 비존재), 다른 상태 하에서는 존재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메시지는, 기지국이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ID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기 위한 제3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제3 구성 정보에 따라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또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701):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고 변경된 베어러 타입의 베어러를 재구성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기지국이 송신하는 단계 - 이 RRC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한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의 (재)구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구성 정보를 포함함 -;
단계(702): UE가 단계(701)의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구성에 따라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고, 제3 구성 정보에 따라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를 (재)구성하는 단계; 및
단계(703): UE가 RRC 응답 메시지를 리턴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서, 제3 구성 정보는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pdcp-Config를 포함한다. 기존의 프로토콜의 관점에서,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Figure 112016095001703-pct00003
pdcp-config의 존재 조건 PDCP2는 다음의 것을 표시한다: 이 정보 요소는 연관된 DRB가 확립될 때에 존재해야 하고; 완전하게 구성된 E-UTRA내 핸드오버(intra-E-UTRA handover)가 이용되지 않을 때에, RRC 접속 재확립 이후의 첫번째 RRC 접속 재구성이 있을 때에 또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하여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선택적으로 존재하고(즉, 존재 또는 비존재); 다른 상태 하에서는 존재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메시지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제4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또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801):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기지국이 송신하는 단계 - 이 RRC 메시지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의 베어러의 릴리즈 정보를 포함하는 제4 구성 정보를 포함함 -;
단계(802): UE가 단계(801)의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구성에 따라 베어러를 릴리즈하는 단계; 및
단계(803): UE가 RRC 응답 메시지를 리턴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서, 단계(802)는, EPS 베어러 ID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의 현재 구성에 속하면서 정보 요소 DRB-ToAddMod에 포함되지 않을 때, 제4 구성 정보에 따라 EPS 베어러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릴리즈하고; 또는 단계(802)는, EPS 베어러 ID가 UE의 현재 구성에 속하면서 정보 요소 DRB-ToAddMod에 포함되지 않고, 표시 메시지가 RRC 접속 재확립 이후의 첫번째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이며, UE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될 때, 제4 구성 정보에 따라 EPS 베어러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를 릴리즈한다.
구체적으로, EPS 베어러 ID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의 현재 구성에 속하면서 DRB 추가/수정 리스트(DRB-ToAddModList)에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메시지가 RRC 접속 재확립 이후의 첫번째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이고, UE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경우, UE는 EPS 베어러 ID에 대응하는 DRB를 릴리즈한다.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는 베어러를 심리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 적용되는 베어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901): UE가 분할 베어러에 대응하는 이차 셀 그룹(SCG) 부분을 릴리즈하거나; 또는 SCG와 연관된 모든 베어러들이 릴리즈될 때에 대응하는 SCG 자원을 릴리즈하는 단계.
일 실시예에서, UE는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트리거한 이후에 분할 베어러에 대응하는 SCG 부분을 릴리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01): UE가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트리거하는 단계; 및
단계(1002):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트리거한 이후에, UE가 SCG 베어러 및/또는 분할 베어러에 대응하는 SCG 부분인 RB를 릴리즈하는 단계.
이 실시예에서,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 대해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수행하는 것은,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트리거한 이후에, UE가 전통적인 단일 접속 모드(즉, MeNB에만 접속됨)로 리턴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는 SCG와 연관된 구성들, 예컨대 SCG 하의 UE ID, SCG에 대응하는 MAC/PHY 구성, SCG 측정 구성 등을 릴리즈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또 다른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101): UE가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트리거하는 단계; 및
단계(1102):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트리거한 이후에, UE가, 분할 베어러에 대응하는 SCG 부분을 릴리즈하는 것, 모든 SCG 베어러들을 MeNB와 연관시키는 것, 즉 그러한 SCG 베어러들을 MeNB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와 연관시키는 것, 및 SCG와 연관된 구성들을 릴리즈하는 것을 포함하여, 전통적인 단일 접속 모드(즉, MeNB에만 접속됨)로 리턴하는 단계. 예를 들어 SCG와 연관된 구성들은 SCG 하의 UE ID, SCG에 대응하는 MAC/PHY 구성, SCG 측정 구성 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SCG와 연관된 모든 베어러들이 릴리즈될 때, UE는 자발적으로 대응하는 SCG를 릴리즈하는데, SCG를 릴리즈하는 것은 SCG 구성을 릴리즈하는 것 및 SCG 자원을 릴리즈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SCG와 연관된 모든 베어러들이 릴리즈될 때, 대응하는 SCG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추가로, 대응하는 SCG는, 일차 셀의 기능의 일부를 가지며 PUCCH를 갖도록 구성된 SCG의 셀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SCG와 연관된 모든 베어러들이 릴리즈될 때, UE는 자발적으로 대응하는 SCG를 비활성화하는데, 이는 자발적으로 대응하는 SCG와 연관된 모든 이차 셀들(Scell들)(특별 Scell들을 제외함)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별 SCell은, 일차 셀(Pcell)의 기능의 일부를 가지며 PUCCH를 갖도록 구성된 SCG 셀을 지칭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할 베어러로부터 전통적인 베어러로의 또는 분할 베어러로부터 MCG 베어러로의 베어러 변경이 발생할 때, PDCP 엔티티가 재확립될 수 있고/있거나, MCG로의 PDCP 상태 보고의 송신이 트리거될 수 있다. 추가로,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송신되는 수신된 PDCP 상태 보고에 따라 PDCP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베어러로부터 전통적인 베어러로의 또는 분할 베어러로부터 MCG 베어러로의 베어러 변경이 발생할 때, UE는 PDCP 엔티티를 재확립하고/하거나, UE는 MeNB로의 PDCP 상태 보고의 송신을 트리거한다. 추가로, UE는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송신되는 수신된 PDCP 상태 보고에 따라 PDCP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을 추가로 수행, 즉 네트워크 측에 의해 여전히 확인응답되지 않는 것으로서 PDCP 상태 보고에 의해 표시된 PDCP 패킷의 전송 또는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는 베어러를 심리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 접속된 기지국에 적용되는 베어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3의 베어러 관리 방법의 흐름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201):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서 무선 접속이 실패한다고 제1 기지국이 검출하는 단계;
단계(1202): 제1 기지국이 연관된 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1203):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관된 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계(1204): 제2 기지국이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베어러를 릴리즈하는 단계.
예를 들어,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서 무선 접속이 실패한다고 검출할 때, 예를 들어 UE에서 RLF(Radio Link Failure)를 판단하거나 RRC 접속 재확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MeNB는 연관된 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SeNB로 송신하고, 이 요청은 UE가 손실한 무선 접속(Radio Connection With UE Lost) 또는 사용자 무활동(User inactivity)의 릴리즈 이유를 포함한다. SeNB는 대응하는 베어러를 릴리즈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서 RLF를 검출할 때, SeNB는 연관된 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MeNB로 송신하고, 이 요청은 UE가 손실한 무선 접속 또는 사용자 무활동의 릴리즈 이유를 포함한다. MeNB는 응답 메시지를 리턴한다.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 측에서 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함으로써,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는 베어러를 심리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서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에 대응하며, 동일한 내용은 생략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4의 베어러 관리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어러 관리 장치(1300)는 메시지 수신 유닛(1301) 및 구성 유닛(1302)을 포함한다.
여기서, 메시지 수신 유닛(1301)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구성 유닛(1302)은 표시 메시지에 따라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어러 관리 장치(1300)는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응답 유닛(13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 메시지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에 대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 또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ID에 대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2 구성 정보, 또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대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3 구성 정보, 또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제4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성 유닛(1302)은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베어러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고; 또는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ID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고; 또는 제3 구성 정보에 따라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구성 유닛(1302)은, EPS 베어러 ID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의 현재 구성에 속하면서 정보 요소 DRB-ToAddMod에 포함되지 않을 때, 제4 구성 정보에 따라 EPS 베어러 ID에 대응하는 DRB를 릴리즈하고; 또는 EPS 베어러 ID가 UE의 현재 구성에 속하면서 정보 요소 DRB-ToAddMod에 포함되지 않고, 제4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메시지가 RRC 접속 재확립 이후의 첫번째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이며, UE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될 때, 제4 구성 정보에 따라 EPS 베어러 ID에 대응하는 DRB를 릴리즈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구성 정보는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logicalChannelIdentity를 포함하고, logicalChannelIdentity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는 연관된 DRB가 확립될 때에 존재하고; 또는 제2 구성 정보는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eps-BearIdentity를 포함하고, eps-BearIdentity에 대응하는 EPS 베어러 ID는 연관된 DRB가 확립될 때에 존재하고; 또는 제3 구성 정보는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pdcp-Config를 포함하고, pdcp-Config에 대응하는 PDCP 정보는 연관된 DRB가 확립될 때에 존재한다.
여기서, logicalChannelIdentity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하여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또한 존재할 수 있고; 또는 eps-BearIdentity에 대응하는 EPS 베어러 ID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하여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또한 존재할 수 있고; 또는 pdcp-Config에 대응하는 PDCP 정보는, 완전하게 구성된 E-UTRA내 핸드오버가 이용되지 않을 때에, 또는 RRC 접속 재확립 이후의 첫번째 RRC 접속 재구성 동안에, 또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하여 베어러 타입이 변경되는 동안에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전술한 베어러 관리 장치(1300)를 포함하는 UE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4의 UE(1400)의 시스템 구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UE(1400)은 중앙 처리 유닛(CPU)(100) 및 CPU(100)에 결합된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이 도면이 예시적이고, 전기통신 기능 또는 다른 기능을 실현하도록 구조를 보충하거나 대체하는데 다른 타입의 구조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베어러 관리 장치(1300)의 기능들은 CPU(100)로 통합될 수 있고, CPU(100)는 실시예 1의 베어러 관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어러 관리 장치(1300)는 CPU(100)와는 별개의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러 관리 장치(1300)는 CPU(100)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의 기능들은 CPU의 제어 하에 실현된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UE(1400)은 통신 모듈(110), 입력 유닛(120), 오디오 처리 유닛(130), 디스플레이(160) 및 전원(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UE(1400)는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추가로, UE(1400)는 도 14에 예시되지 않은 부분들(관련 기술 참조)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CPU(100)는 때때로 제어기 또는 동작 위젯으로 지칭되고, 그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디바이스 및/또는 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CPU(100)는 입력을 수신하고, UE(1400)의 각각의 부분들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여기서, 메모리(140)는 예를 들어 버퍼,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착탈식 매체,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것은 장애 관련 정보(failure-related information) 및 프로그램 실행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CPU(100)는 정보를 저장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부분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에서의 것들과 유사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된다. UE(1400)의 부분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용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는 베어러를 심리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서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실시예 2의 베어러 관리 방법에 대응하며, 동일한 내용은 생략된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5의 베어러 관리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어러 관리 장치(1500)는, 분할 베어러에 대응하는 SCG 부분을 릴리즈하거나; 또는 SCG와 연관된 모든 베어러들이 릴리즈될 때에 대응하는 SCG를 릴리즈하거나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제1 처리 유닛(150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어러 관리 장치는,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트리거링 유닛(150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트리거링 유닛(1502)이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트리거한 이후에, 제1 처리 유닛(1501)은 SCG 베어러 및/또는 분할 베어러에 대응하는 SCG 부분을 릴리즈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트리거링 유닛(1502)은 SCG와 연관된 구성을 릴리즈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는, 제1 처리 유닛(1501)은 MCG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와 SCG 베어러를 연관시키고, SCG와 연관된 구성을 릴리즈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처리 유닛(1501)은, SCG와 연관된 모든 베어러들이 릴리즈될 때, 대응하는 SCG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되고, 대응하는 SCG는, 일차 셀의 기능의 일부를 가지며 PUCCH를 갖도록 구성된 SCG의 셀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어러 관리 장치는, 분할 베어러로부터 전통적인 베어러로의 또는 분할 베어러로부터 MCG 베어러로의 베어러 변경이 발생할 때, PDCP 엔티티를 재확립하고/하거나, MCG로의 PDCP 상태 보고의 송신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되는 제2 처리 유닛(15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어러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송신되는 수신된 PDCP 상태 보고에 따라 PDCP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유닛(15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전술한 베어러 관리 장치(1500)를 포함하는 UE를 추가로 제공하는데, UE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한다.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는 베어러를 심리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 접속된 기지국에서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실시예 3의 베어러 관리 방법에 대응하며, 동일한 내용은 생략된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6의 베어러 관리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어러 관리 장치(1600)는 검출 유닛(1601) 및 송신 유닛(1602)을 포함하고, 검출 유닛(1601)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에서 무선 접속이 실패한다고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유닛(1602)은 연관된 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제2 기지국이 대응하는 베어러를 릴리즈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6의 베어러 관리 장치의 다른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어러 관리 장치(1700)는 수신 유닛(1701) 및 릴리즈 유닛(1702)을 포함하고, 수신 유닛(1701)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관된 이차 셀 그룹(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릴리즈 유닛(1702)은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베어러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된 베어러 관리 장치(1600)나 베어러 관리 장치(1700)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추가로 제공한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6의 기지국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800)은 CPU(200) 및 CPU(200)에 결합된 메모리(210)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210)는 다양한 데이터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UE로부터 송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CPU(200)의 제어 하에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요청 정보를 UE로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어러 관리 장치(1600) 또는 베어러 관리 장치(1700)의 기능들은 CPU(200)로 통합될 수 있고, CPU(200)는 실시예 3의 베어러 관리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어러 관리 장치(1600) 또는 베어러 관리 장치(1700)는 CPU(200)와는 별개의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러 관리 장치(1600) 또는 베어러 관리 장치(1700)는 CPU(200)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의 기능들은 CPU의 제어 하에 실현된다.
추가로,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800)은 송수신기(220) 및 안테나(23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에서의 것들과 유사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된다. 유의할 점은, 기지국(1800)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추가로, 기지국(1800)은 도 18에 예시되지 않은 부분들(관련 기술 참조)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 측에서 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함으로써,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는 베어러를 심리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 7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내용은 생략된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7의 통신 시스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900)은 제1 기지국(1901), 제2 기지국(1902), 및 제1 기지국(1901) 및 제2 기지국(1902)과의 이중 접속성을 유지하는 UE(190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UE(1903)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표시 메시지에 따라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베어러를 릴리즈하고;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표시 메시지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에 대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 또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ID에 대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2 구성 정보, 또는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대하여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3 구성 정보, 또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제4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트리거한 이후에, UE(1903)는 SCG 베어러 및/또는 분할 베어러에 대응하는 SCG 부분을 릴리즈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SCG와 연관된 모든 베어러들이 릴리즈될 때, UE(1903)는 대응하는 SCG를 릴리즈하거나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1901)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1903)에서 무선 접속이 실패한다고 검출하고, 연관된 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제2 기지국(1902)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제2 기지국(1902)은, 연관된 SCG 베어러 또는 분할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을 제1 기지국(1901)으로부터 수신하고, 릴리즈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베어러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이 프로그램이 UE에서 실행될 때,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UE에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베어러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하는데, 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UE에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베어러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이 프로그램이 기지국에서 실행될 때,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기지국에서 실시예 3의 베어러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하는데, 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기지국에서 실시예 3의 베어러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인데, 이 프로그램이 로직 유닛에 의해 실행될 때, 로직 유닛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전술한 디바이스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 및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이, 전술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면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 및/또는 그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본 개시내용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프로세서, DSP와 통신 결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비의 조합으로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그러한 설명들은 예시적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도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8)

  1. 이중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서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로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상기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수신 유닛; 및
    상기 표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상기 베어러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identity)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logicalChannelId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logicalChannelIdentity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하여 상기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존재함 -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표시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ID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2 구성 정보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eps-BearId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eps-BearIdentity에 대응하는 EPS 베어러 ID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하여 상기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존재함 -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표시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에 대응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엔티티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3 구성 정보 -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pdcp-Config를 포함하고, 상기 pdcp-Config에 대응하는 PDCP 정보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하여 상기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존재함 - 를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응답 유닛을 더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유닛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베어러에 대응하는 상기 논리 채널 ID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베어러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 베어러 ID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고; 또는 상기 제3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베어러에 대응하는 상기 PDCP 엔티티를 구성하거나 재구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
  4. 이중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서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로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상기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수신 유닛; 및
    상기 표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상기 베어러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메시지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상기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제4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유닛은,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EPS) 베어러 ID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상기 UE의 현재 구성에 속하면서 정보 요소 DRB-ToAddMod에 포함되지 않을 때, 상기 제4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EPS 베어러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DRB)를 릴리즈하고; 또는
    상기 EPS 베어러 ID가 상기 UE의 현재 구성에 속하면서 상기 정보 요소 DRB-ToAddMod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4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표시 메시지가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재확립 이후의 첫번째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이며, 상기 UE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될 때, 상기 제4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EPS 베어러 ID에 대응하는 상기 DRB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러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메시지 응답 유닛을 더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장치.
  6.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상기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상기 베어러를 릴리즈하고,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identity)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1 구성 정보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logicalChannelId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logicalChannelIdentity에 대응하는 논리 채널 ID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하여 상기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존재함 -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표시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ID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2 구성 정보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eps-BearIdentity를 포함하고, 상기 eps-BearIdentity에 대응하는 EPS 베어러 ID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하여 상기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존재함 -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표시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에 대응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엔티티에 대하여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거나 재구성되는 제3 구성 정보 -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상기 정보 요소 DRB-ToAddMod에서의 pdcp-Config를 포함하고, 상기 pdcp-Config에 대응하는 PDCP 정보는,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UE(들)에 대하여 상기 베어러 타입이 변경될 때에 존재함 -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7.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상기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베어러의 베어러 타입을 변경하거나 상기 베어러를 릴리즈하고, 응답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 메시지는 이중 접속성 하에서 상기 베어러를 릴리즈하기 위한 제4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UE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EPS) 베어러 ID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된 상기 UE의 현재 구성에 속하면서 정보 요소 DRB-ToAddMod에 포함되지 않을 때, 상기 제4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EPS 베어러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DRB)를 릴리즈하거나; 또는
    상기 EPS 베어러 ID가 상기 UE의 현재 구성에 속하면서 상기 정보 요소 DRB-ToAddMod에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4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표시 메시지가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재확립 이후의 첫번째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이며, 상기 UE가 이중 접속성을 갖도록 구성될 때, 상기 제4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EPS 베어러 ID에 대응하는 상기 DRB를 릴리즈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67027184A 2014-03-28 2014-03-28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2022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74270 WO2015143702A1 (zh) 2014-03-28 2014-03-28 承载管理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137A Division KR20190107170A (ko) 2014-03-28 2014-03-28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400A KR20160128400A (ko) 2016-11-07
KR102022157B1 true KR102022157B1 (ko) 2019-09-17

Family

ID=541939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137A KR20190107170A (ko) 2014-03-28 2014-03-28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20167027184A KR102022157B1 (ko) 2014-03-28 2014-03-28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137A KR20190107170A (ko) 2014-03-28 2014-03-28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512116B2 (ko)
EP (1) EP3125640B1 (ko)
JP (1) JP2017514367A (ko)
KR (2) KR20190107170A (ko)
CN (1) CN106063360B (ko)
WO (1) WO2015143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4240B (zh) * 2014-03-21 2019-12-1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支持多个载波的移动通信系统中发送/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JP5852193B1 (ja) 2014-08-06 2016-02-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
WO2016065591A1 (en) * 2014-10-30 2016-05-0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trol of communication using dual-connectivity mode description
RU2693686C2 (ru) * 2014-11-04 2019-07-03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нтеграции беспроводных сетей широкого охвата с беспроводными локальными сетями
EP3018936B1 (en) * 2014-11-07 2018-05-30 Alcatel Lucent Secondary base station bearer change
US9743319B2 (en) * 2014-11-12 2017-08-22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network configurations
US10869344B2 (en) 2015-03-19 2020-12-15 Acer Incorporated Method of radio bearer transmission in dual connectivity
CN112437491A (zh) 2015-05-15 2021-03-02 夏普株式会社 用户设备和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
CN106304398B (zh) 2015-05-15 2021-08-27 夏普株式会社 用于重配置数据承载的方法和用户设备
CN106559920B (zh) * 2015-09-30 2022-09-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双连接架构下支持sipto或lipa承载释放的方法和设备
KR102076816B1 (ko) * 2016-05-12 2020-02-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314899B (zh) 2016-06-24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08307450A (zh) * 2016-09-30 2018-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WO2018128441A1 (ko) * 2017-01-06 2018-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의 데이터 처리를 가속화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169192B (zh) * 2017-01-06 2023-06-1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电网络节点、无线设备、以及其中执行的用于处理无线通信网络中的连接的方法
KR102324214B1 (ko) 2017-01-06 2021-1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의 데이터 처리를 가속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80212719A1 (en) * 2017-01-24 2018-07-26 Mediatek Inc. Tcp enhancements in reduced radio link quality conditions
CN109196902B (zh) * 2017-03-13 202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终端设备、基站
JP7000449B2 (ja) * 2017-03-23 2022-02-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次のメッセージのために使われるベアラのタイプを指示する方法及び装置
CN108924866B (zh) * 2017-03-24 2022-09-02 夏普株式会社 基站、用户设备和相关方法
EP3410815A1 (en) * 2017-05-31 2018-12-05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CN109246852B (zh) * 2017-06-13 2023-08-11 夏普株式会社 无线协议层实体处理方法以及相应的用户设备
BR112019026296A2 (pt) * 2017-06-14 2020-06-30 Ntt Docomo, Inc. dispositivo de usuário
JP7199798B2 (ja) * 2017-06-15 2023-01-06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7093614B2 (ja) * 2017-06-15 2022-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8232108A1 (en) * 2017-06-16 2018-12-20 Intel Corporation L2 handling for bearer type change
CN111183706B (zh) * 2017-06-16 2023-11-14 苹果公司 在双重连通中使能非活跃模式的gNB的装置
JP2019009720A (ja) * 2017-06-28 2019-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14698143A (zh) * 2017-08-04 2022-07-01 荣耀终端有限公司 数据无线承载标识的获取方法和基站
EP3662700B1 (en) 2017-08-11 2021-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483891B2 (en) 2017-08-11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bearer type change of a plurality of bearers configured for user equipment
US10582556B2 (en) * 2017-08-11 2020-03-03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bearer type change
WO2019052174A1 (zh) * 2017-09-15 2019-03-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改变承载类型的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JP7024067B2 (ja) 2017-09-28 2022-02-22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無線通信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CN111434183B (zh) * 2017-09-29 2024-03-12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以双连接处理用户平面的方法和用户设备
TWI710261B (zh) * 2017-10-02 2020-11-11 新加坡商 聯發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資料恢復方法及其使用者設備
JP2021016011A (ja) * 2017-10-10 2021-02-12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通信制御装置
EP3713323B1 (en) * 2017-11-15 2023-12-20 NTT DoCoMo, Inc. Radio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CN109803390B (zh) * 2017-11-17 2023-05-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消息、策略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
BR112020010173A2 (pt) 2017-11-29 2020-10-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para reestabelecimento de uma conexão de controle de recurso de rádio e terminal
JP2019121831A (ja) * 2017-12-28 201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7043252B2 (ja) * 2017-12-28 2022-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7145611B2 (ja) * 2017-12-28 2022-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EP3530021A4 (en) * 2018-01-10 2019-08-28 ZTE Corporation RELEASE OF SIGNALING CARRIER FOR CELL GROUPS
US11382004B2 (en) * 2018-01-19 2022-07-0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of multiple bearers with differing quality of service lev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761732B1 (en) * 2018-05-07 2022-09-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rrc connec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6892840B2 (ja) * 2018-05-08 2021-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102544861B1 (ko) * 2018-05-24 2023-06-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BR112020024225A2 (pt) 2018-06-01 2021-02-17 Ipcom Gmbh & Co. Kg acesso integrado e mobilidade de retorno
US11140743B2 (en) * 2018-06-05 2021-10-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resource management in multi-RAT dual connectivity environment
CN113225775B (zh) 2018-06-22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制式双连接中的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0831248B (zh) 2018-08-10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知方法、装置及基站
JP7267701B2 (ja) * 2018-09-20 2023-05-0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1720997B2 (en) 2018-10-19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rtificial intelligence (AI) encod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AI decod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0080765A1 (en) 2018-10-19 2020-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rtificial intelligence encod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decoding on image
WO2020080665A1 (en) 2018-10-19 2020-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artificial intelligence encod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decoding on image
KR102525578B1 (ko) 2018-10-19 202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WO2020080873A1 (en) 2018-10-19 2020-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data
JP6826577B2 (ja) * 2018-11-01 2021-02-0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JP6826578B2 (ja) 2018-11-01 2021-02-0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EP3909392A4 (en) * 2019-01-10 2022-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0129718A (ja) * 2019-02-07 2020-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KR20200098339A (ko) 2019-02-12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866963B (zh) * 2019-04-28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通信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通信系统
CN112584550B (zh) * 2019-09-27 2023-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双连接管理方法和通信装置
US20220353950A1 (en) * 2019-10-02 2022-11-03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radio bearer compatibility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20210051749A (ko) * 2019-10-31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호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1148150B (zh) * 2019-12-19 2023-07-04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基站设备和存储介质
US11540346B1 (en) * 2020-04-15 2022-12-27 Sprint Spectrum L.P. Use of threshold RAB-modification rate as basis to control configuration of dual connectivity
EP4108043A4 (en) 2020-07-22 2023-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A PROTOCOL SUPPORTED BY SCG IN DUAL CONNECTIVITY TECHNOLOGY
EP4066571B1 (en) * 2021-01-05 2024-01-31 Ofinno, LLC 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JP7481299B2 (ja) 2021-06-29 2024-05-10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装置、マスタノード、及び通信制御方法
WO2023145094A1 (ja) * 2022-01-31 2023-08-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4413A1 (en) 2012-01-10 2013-07-18 Nokia Siemens Networks Oy Providing a radio bearer on a plurality of component carriers
CN103533662A (zh) 2013-09-27 2014-01-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调度请求方法、上行调度方法及其设备
CN103582124A (zh) 2012-07-24 2014-02-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业务建立的方法、系统和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3859B (zh) * 2012-07-31 2017-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链路失败的恢复方法及装置
KR101925764B1 (ko) * 2012-08-23 2018-12-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시스템에서의 다중 스케줄러들을 이용한 동작
KR102206431B1 (ko) * 2013-02-22 2021-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E-NodeB들과 사용자 단말 간에 동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526044B2 (en) * 2013-05-08 2016-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to UE in heterogeneous cell deployment
US9819469B2 (en) * 2013-07-01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enabling quality of service (QoS) on WLAN for traffic related to a bearer on cellular networks
US9807818B2 (en) * 2013-08-08 2017-10-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radio bearer establishment in dual connectivity
US9973404B2 (en) * 2013-10-30 2018-05-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nnectivity robustness in wireless systems
US9894519B2 (en) * 2014-03-14 2018-02-13 Htc Corporation Connection modification method applicable to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EP2922363B1 (en) * 2014-03-21 2020-01-15 Alcatel Lucent Dual Connectivity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4413A1 (en) 2012-01-10 2013-07-18 Nokia Siemens Networks Oy Providing a radio bearer on a plurality of component carriers
CN103582124A (zh) 2012-07-24 2014-02-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业务建立的方法、系统和设备
CN103533662A (zh) 2013-09-27 2014-01-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调度请求方法、上行调度方法及其设备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40736*
3GPP R2-141163
3gpp R2-141201*
3GPP R2-1412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170A (ko) 2019-09-18
KR20160128400A (ko) 2016-11-07
US20200100313A1 (en) 2020-03-26
US10512116B2 (en) 2019-12-17
CN106063360A (zh) 2016-10-26
US20170013668A1 (en) 2017-01-12
EP3125640A4 (en) 2017-11-22
CN106063360B (zh) 2020-11-03
EP3125640A1 (en) 2017-02-01
EP3125640B1 (en) 2020-08-19
JP2017514367A (ja) 2017-06-01
WO2015143702A1 (zh) 2015-10-01
US10959281B2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157B1 (ko)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
JP704871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ユーザ装置
JP7075387B2 (ja) 測定制御方法、及び基地局
EP3453221B1 (en) Race condition avoidance between master base station initiated secondary base station release and secondary base station initiated secondary base station change procedures
RU2769279C1 (ru) Обработка отказов главной группы сот главным узлом
US20220386207A1 (en) Handling of Stored Conditional 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618609B1 (en) Multi-carrier switching method and device
US202003966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WO2020197480A1 (en) Improvement of conditional handover parameters in 5g
US119249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radio resource control of multi-connectivity
US20230217329A1 (en) Conditional Reconfiguration based on Data Traffic
WO2019223690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6326174A (zh) 用于主节点发起的条件主辅助小区添加的系统和方法
US20220377629A1 (en) Failure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22141934A (ja) 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CN112567807B (zh) 用于切换的核心网指示和安全性处理
US20230108496A1 (en) Triggering a Subsequent Handover during a Dual-Active Protocol Stack Handover
JP6838586B2 (ja) ベアラ管理装置、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EP4282223B1 (en) Signaling for releasing a secondary cell group (scg) configuration
US20240080695A1 (en) User Equipment Reporting of Reconnection after Link Failure
WO2017081360A1 (en) Multi-connectivity of terminal device in cellula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