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861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861B1
KR102544861B1 KR1020180059233A KR20180059233A KR102544861B1 KR 102544861 B1 KR102544861 B1 KR 102544861B1 KR 1020180059233 A KR1020180059233 A KR 1020180059233A KR 20180059233 A KR20180059233 A KR 20180059233A KR 102544861 B1 KR102544861 B1 KR 102544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node
rrc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063A (ko
Inventor
박수영
윤수하
정의창
박홍주
신승혁
이수민
이장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861B1/ko
Priority to US17/057,213 priority patent/US11589416B2/en
Priority to EP19806692.0A priority patent/EP3758437A4/en
Priority to PCT/KR2019/005866 priority patent/WO2019225900A1/ko
Priority to CN201980034702.2A priority patent/CN112166646A/zh
Publication of KR2019013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은, 기지국의 세컨더리 노드와의 연결 해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LTE 대역(예를 들어, 6기가(GHz) 이하 대역) 주변 뿐 아니라,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28기가(28GHz) 대역이나 39기가(39GHz)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도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3GPP 표준에서는 복수의 캐리어를 사용하여 한 단말에 고속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들을 정의하였다. 두 셀 간에 이상적인 백홀(ideal backhaul)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carrier aggregation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는 두 셀 간에 비 이상적인 백홀(non-ideal backhaul)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중 접속 (dual connectivity: DC)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5G 통신시스템에 대한 표준이 정의되면서, 기존에 있던 LTE-LTE 조합의 CA나 DC 시스템 외에, LTE-NR 조합이나 NR-NR 조합으로 구성된 CA나 DC 시스템들이 존재할 수 있어졌다. 특히, 5G 통신시스템 초기에는 LTE 셀을 마스터 노드 (master node)로 하고 NR셀을 세컨더리 노드 (secondary node)로 하는 DC 시스템(EN-DC)이 우선 고려되고 있다. 단말이 DC 상태인 경우, 세컨더리 셀 (secondary cell: SCell)이 활성화 (activation)된 상태에서 단말은 불필요한 전류를 소모하게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중 접속 상태의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세컨더리 노드와의 연결 해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타이머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 정보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시점에 따라 상기 기지국의 세컨더리 노드와의 연결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과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기지국의 세컨더리 노드와의 연결 해제를 결정하고, 상기 연결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타이머 정보를 포함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타이머 정보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시점에 따라 상기 기지국의 세컨더리 노드와의 연결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과 상기 세컨더리 노드의 연결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중 접속 상태의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DRX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간 이중 접속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와 5G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5G 시스템에서 기지국 내 주파수 집성 기술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DCP 장치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DRX 동작 및 BWP 변경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다른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DRX 동작 및 BWP 변경 동작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세컨더리 노드의 해제를 요청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세컨더리 노드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세컨더리 노드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RRC connection release를 요청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RRC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RRC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LTE (long term evolution)에서 단말은 RRC CONNECTED와 RRC IDLE로 동작할 수 있다. NR (new radio)의 경우, 상기 두 개의 상태 (state)외에 RRC INACTIVE 상태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상태 천이는 각각의 RAT의 RRC에서 담당한다. 또한, DC 시스템에서는 마스터 노드의 RRC에서만 상태 천이가 발생한다.
기지국과 단말 간 전송에서 10ms 무선 프레임 (radio frame) 단위를 사용한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ms의 서브 프레임 (subframe) 10개로 구성된다. 매 subframe 포함된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단말이 수신할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할 데이터가 있는지 알기 위해, 매 subframe마다 PDCCH를 모니터링 해야 한다. 단말이 매 subframe마다 항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 아니므로, 매 subframe 마다 PDCCH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배터리 소모가 크다.
DRX는 이러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한 동작이다. 트래픽이 없으면 단말은 일정 기간 동안 sleeping 모드 (RF 송수신기 off)로 들어갔다가 wake-up하여 트래픽이 있으면 active 모드(RF 송수신기 on)가 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는 단말이 언제 그리고 얼마 동안 sleeping하고 wake-up할지 정하는 설정 (configuration) 정보를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 또는 기지국이 방송하는 SIB2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2)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한다.
DRX는 휴지 상태 (RRC_Idle 상태)와 연결 상태 (RRC_Connected 상태)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휴지 상태에서 적용되는 DRX를 Idle mode DRX, 연결 상태에서 적용되는 DRX를 Connected mode DRX (C-DRX)라 한다. Idle mode DRX는 페이징 모니터링 (paging monitoring) 주기와 연관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RRC_Idle 상태는 기지국과 단말 간에 무선 연결 (RRC 연결)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RRC_Connected 상태는 기지국과 단말 간에 무선 연결 (RRC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DRX 동작을 도 1에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DRX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와 같이 Idle mode DRX만 설정된 경우, 단말은 connected 상태에서 데이터 수신 여부에 상관없이 매 subframe마다 PDCCH를 모니터링 한다 (110). 반면, 도 1b와 같이 C-DRX가 설정된 경우, 단말은 connected 상태에서도 실제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RF 송수신기를 off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인다 (130). 따라서, sleep 모드에 들어간 inactive 시간만큼 배터리가 절감된다.
구체적으로, 도 1a를 통해 idle mode DRX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를 참고하면, RRC_Idle 상태 (이하 Idle 상태)에 있는 단말로 향하는 트래픽이 발생하면, 해당 단말로 paging이 발생한다. 단말은 주기적으로, 즉 paging DRX Cycle (120)마다 wake-up하여 PDCCH를 모니터링 한다. Paging이 있으면 단말은 Connected 상태로 천이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없으면 다시 sleeping 모드에 들어간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RRC_Idle 상태에서도 긴 주기의 DRX Cycle이 존재할 수 있다.
단말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paging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긴 주기의 DRX Cycle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긴 주기의 DRX Cycle은 짧은 DRX Cycle의 정수배일 수 있다.
단말은 Idle mode DRX 설정 (configuration) 정보를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 또는 기지국이 방송하는 SIB2 메시지로부터 획득한다. 이를 이용하여 단말은 PDCCH를 모니터링할 서브프레임을 계산한다. Idle 상태에 있는 단말은 paging DRX Cycle 당 하나의 subframe (PO)만을 모니터링 하게 된다.
도 1b를 통해 connected mode DRX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이 RRC_Connected 상태 (이하 connected 상태)에서 스케줄링 정보 (예, DL grant)를 수신하면 DRX inactivity timer (140)와 RRC inactivity timer (150)가 개시된다.
DRX inactivity timer (140)가 만료되면 DRX 모드가 시작되고, 단말은 DRX cycle 주기로 깨어나 정해진 시간 (on duration timer) 동안 PDCCH를 모니터링 한다.
DRX cycle은 short DRX cycle (160)과 long DRX cycle (170) 2종류가 있다. Short DRX cycle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Short DRX가 설정되면, 단말은 DRX 모드를 시작할 때 먼저 short DRX cycle (!60)로 시작해서 long DRX cycle (170)로 넘어간다. Long DRX cycle은 short DRX cycle의 배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short DRX cycle에서 단말은 더 자주 wake-up한다.
RRC inactivity timer (150)가 만료되면 단말은 Idle 상태로 천이하여 paging DRX cycle을 시작한다.
한편, 5G 시스템에서는 RRC_Idle과 RRC_Connected외에 RRC_Inactive 상태가 추가되었다. RRC_Inactive에서 코어 네트워크 (Core Network) 는 단말을 Connected 상태로 인식하여 paging 메시지를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전달한다. 또한, paging을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상기 paging과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하여 RAN 기반 영역 (RAN based area)에 전송한다.
단말을 RRC_Inactive 상태에서 RRC_Connected로 전환시키기 위해, 기지국은 resume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resume 메시지는 UE AS context 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UE AS context ID를 포함할 수 있다. RRC_Inactive 상태에서는 기지국과 단말 모두 UE As context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NR에서는 LTE와의 연동을 고려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다중 네트워크 간의 이중 접속 (multi RAT-dual connectivity: MR-DC)이다. MR-DC는 LTE가 마스터 노드 (master node: MN)이 되는 경우와 NR이 MN이 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Core 망이 어떤 것이 되는지에 따라 다른 망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8051151613-pat00001
상기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 2에서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간 이중 접속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다중 네트워크간 이중 접속의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주파수 집성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와 5G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를 참고하면, LTE 또는 5G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기지국 (eNB/gNB)에서 각각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계층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이하 PDCP) (265, 297), 무선 링크 제어 (radio link control, 이하 RLC) (270, 295), 매체 접근 제어 (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 (275,290),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PHY) (280, 285)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 내 주파수 집성 기술(예를 들어, CA 또는 DC) 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5G 시스템에서 기지국 내 주파수 집성 기술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을 통해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301)으로부터 순방향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 (303)과 순방향 중심 주파수가 f3인 캐리어(302)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캐리어들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주파수 집성 기술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 (301)은 주파수 집성기술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304)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들을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 (304)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기지국이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하향 링크 캐리어들을 집적하거나 또는 상향 링크 캐리어들을 집적 (어그리게이션)하는 것을 “기지국 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intra-eNB CA)이라고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서로 다른 기지국들의 하향 링크 캐리어들을 어그리게이션하거나 상향 링크 캐리어들을 어그리게이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5G 시스템에서 기지국 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5G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기지국 1 (315)은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고 기지국 2 (319)는 중심 주파수가 f2인 캐리어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때, 단말(317)이 순방향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와 순방향 중심 주파수가 f2 캐리어를 어그리게이션(결합)하면, 하나의 단말이 둘 이상의 기지국의 캐리어들을 어그리게이션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를 “기지국 간(inter-ENB/GNB) 캐리어 어그리게이션(혹은 기지국 간 CA)”이라고 명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이중 접속 또는 다중 연결 (이하 “DC”라 칭하기로 한다)이라 한다.
예를 들어 다중 연결 (DC)이 설정되었다는 것은 기지국 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설정되었다는 것, 하나 이상의 셀 그룹이 설정되었다는 것, 보조 셀 그룹 (SCG: secondary cell group)가 설정되었다는 것, 서빙 기지국이 아닌 다른 기지국의 제어를 받는 세컨더리 셀이 적어도 하나 설정되었다는 것, pSCell(primary SCell)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 세컨더리 기지국을 (SeNB: secondary eNB, 이하 “SeNB“라 칭하기로 한다, SgNB: secondary gNB, 이하 “SgNB”라 칭하기로 한다. ) 위한 MAC 엔터티(entity)가 설정되어 있다는 것, 단말에 2 개의 MAC 엔터티들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 등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빈번하게 사용될 용어들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의 하나의 하향 링크 캐리어와 하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때, 최대 전송 속도와 어그리게이트되는 캐리어들의 수는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하향 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특히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다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다'는 것으로 표현할 것이며, 프라이머리 서빙 셀 (이하 PCell)과 세컨더리 서빙 셀 (이하 SCell), 혹은 활성화된 서빙 셀 등의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상기 용어들은 LTE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그대로의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캐리어, 컴포넌트(component) 캐리어, 서빙 셀 등의 용어가 혼용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동일한 기지국 또는 동기가 맞춰져 있는 기지국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셀 그룹 혹은 캐리어 그룹 (cell Group, carrier group; CG, 이하 “CG”라 칭하기로 한다)으로 정의한다. 상기 셀 그룹은 다시 마스터 셀 그룹 (master cell group; MCG, 이하 “MCG”라 칭하기로 한다)과 세컨더리 셀 그룹 (SCG)로 구분된다.
상기 MCG란 PCell을 제어하는 기지국 (이하 마스터 기지국, MeNB 또는 Mg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상기 SCG란 PCell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아닌 기지국, 다시 말해서 SCell들만을 제어하는 기지국(이하 슬레이브 기지국, SeNB 또는 Sg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특정 서빙 셀이 MCG에 속하는지 SCG에 속하는지는 해당 서빙 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준다.
하나의 단말에는 하나의 MCG와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SCG가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SCG가 설정되는 경우만 고려하지만, 하나 이상의 SCG가 설정되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이 별다른 가감 없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PCell과 SCell은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 셀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PCell과 SCell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는데, 예를 들어 PCell은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지만, SCell은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를 반복한다. 단말의 이동성은 PCell을 중심으로 제어되며, SCell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부가적인 서빙 셀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의 PCell과 SCell은 LTE 규격 36.331이나 36.321 등에서 정의된 PCell과 SCell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의 PCell과 SCell은 5G 규격 38.331이나 38.321 등에서 정의된 PCell과 SCell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매크로 셀(macro cell)과 피코 셀(pico cell)이 혼재한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매크로 셀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서 제어되는 셀로서,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상기 피코 셀은 S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셀로서, 통상적으로 매크로 셀에 비해서 현저하게 좁은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을 구분하는 엄격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매크로 셀의 영역은 반경 500 m 정도, 피코 셀의 영역은 반경 수십 m 정도로 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피코 셀과 스몰 셀을 혼용한다. 이 경우, 매크로 셀은 LTE나 5G 기지국(MeNB 또는 MgNB) 일 수 있고, 피코 셀은 5G나 LTE 기지국(SeNB 또는 SgNB)일 수 있다. 특히, 피코 셀을 지원하는 5G 기지국은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매크로 셀과 매크로 셀이 혼재한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매크로 셀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서 제어되는 셀로서,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 매크로 셀은 LTE 기지국(MeNB)과 LTE기지국(SeN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이 경우 매크로 셀은 LTE(MeNB) 기지국과 NR 기지국(SgN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이 경우 매크로 셀은 NR(MgNB) 기지국과 LTE 기지국(SeN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이 경우 매크로 셀은 NR(MgNB) 기지국과 NR 기지국(SgN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기지국 1 (315)이 MeNB이고, 기지국 2 (319)가 SeNB라면, 중심 주파수 f1인 서빙 셀(310)이 MCG에 속하는 서빙 셀이고 중심 주파수 f2인 서빙 셀(320)이 SCG에 속하는 서빙 셀이다.
후술될 설명에서는 이해를 위해 MCG와 SCG 대신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셋 (primary set)과 세컨더리 셋 (set) 혹은 프라이머리 캐리어 그룹 (primary carrier group)과 세컨더리 캐리어 그룹 (secondary carrier group)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용어가 다르게 사용될 지라도, 그 사용되는 용어만 다를 뿐, 그 의미하는 바는 동일함에 유념하여야 한다. 이러한 용어들의 주요한 사용 목적은 어떠한 셀이 특정 단말의 PCell을 제어하는 기지국의 제어를 받는지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셀이 특정 단말의 PCell을 제어하는 기지국의 제어를 받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 단말과 해당 셀의 동작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단말에는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SCG가 설정될 수 있다. SCG는 여러 개의 SCell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하나의 SCell은 특별한 속성을 가진다.
통상적인 기지국 내 CA에서 단말은 PCell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이하 “PUCCH”라 칭하기로 한다)를 통해, PCell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이하 “HARQ”라 칭하기로 한다) 피드백과 채널 상태 정보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이하 “CSI”라 칭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SCell에 대한 HARQ 피드백과 CSI도 전송한다. 이는 상향 링크 동시 전송이 불가능한 단말에 대해서도 CA 동작을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기지국 간 CA 동작 또는 dual connectivity의 경우, SCG SCell들의 HARQ 피드백과 CSI를 PCell의 PUCCH를 통해 전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HARQ 피드백은 HARQ 라운드 트립 시간(RTT: round trip time, 이하 “RTT “라 칭하기로 한다)(통상 8 ms) 내에 전달되어야 하는데, MeNB와 SeNB 사이의 전송 지연이 HARQ RTT 보다 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문제점 때문에 SCG에 속하는 SCell 중 한 셀에 PUCCH 전송 자원이 설정되고, 상기 PUCCH를 통해 SCG SCell들에 대한 HARQ 피드백과 CSI 등이 전송된다. 상기 특별한 SCell을 pSCell로 명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기지국 간 CA는 다중 연결 과 혼용하여 사용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DCP 엔티티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DCP 엔티티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단말은 340와 같이 RLC 엔티티를 두 개 형성해서 MeNB와 SeNB 모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VoLTE와 같이 서비스 품질 (QoS: 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칭하기로 한다) 요구 조건이 엄격한 서비스라면 단말은 335와 같이 MeNB에만 RLC 엔티티를 설립하여 MeNB의 서빙 셀만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혹은 단말은 365와 같이 SeNB의 서빙 셀들로만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베어러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335와 같이 MeNB의 서빙 셀로만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베어러를 MCG베어러로, 340과 같은 베어러를 다중베어러로, 365와 같이 SeNB의 서빙 셀로만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베어러를 SCG베어러로 명명한다.
MCG베어러와 SCG베어러의 PDCP 엔티티는 하나의 RLC 엔티티와 연결되며, 다중베어러의 PDCP 엔티티는 두 개의 RLC 엔티티들과 연결된다. MCG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혹은 MCG의 서빙 셀들과 관련된 MAC 엔티티와 연결된) RLC 엔티티를 MCG RLC (337,345), SCG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RLC 엔티티를 SCG RLC (350, 370)로 명명한다. MCG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MAC (339, 355)를 MCG-MAC, SCG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MAC (360, 375)을 SCG-MAC으로 명명한다.
MAC과 RLC 엔티티 사이는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사용하여 연결되며, MCG RLC와 MCG-MAC 사이의 논리 채널은 MCG 논리 채널로, SCG RLC와 SCG-MAC 사이의 논리 채널은 SCG 논리 채널로 명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매크로 셀 영역은 스몰 셀 신호는 수신되지 않고 매크로 셀 신호만 수신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스몰 셀 영역은 매크로 셀 신호와 스몰 셀 신호가 함께 수신되는 영역을 의미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하향 링크 데이터 수요가 큰 단말이 매크로 셀 영역에서 스몰 셀 영역으로 이동했을 때 단말에게 스몰 셀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의 일부 베어러 중 파일 트랜스퍼 프로토콜 (FTP: file transfer protocol)처럼 하향 링크 데이터 양이 많은 베어러는 MCG 베어러에서 다중 베어러 혹은 SCG 베어러로 재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프로토콜 계층은 LTE 통신 시스템 또는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CA 또는 DC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LTE-LTE 조합의, LTE-NR, NR-NR 조합의 CA 또는 DC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LTE-LTE 조합 또는 NR-NR 조합의 DC의 경우, MeNB (또는 MgNB)에 PDCP 엔티티가 설립되고, MeNB (또는 MgNB)와 SeNB (또는 SgNB)에 각각 RLC 엔티티가 설립되어 PDCP 엔티티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MeNB (또는 MgNB) 및 SeNB (또는 SgNB)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중 베어러). 또는, 각각의 MeNB (또는 MgNB)와 SeNB (또는 SgNB)가 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를 설립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MCG, SCG).
한편, LTE-NR 조합의 DC의 경우, 마스터 노드가 LTE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이라면, MgNB에 PDCP 엔티티가 설립되고, MgNB와 SeNB에 각각 RLC 엔티티가 설립되어 PDCP 엔티티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MgNB 및 SeNB 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중 베어러). 또는, 각각의 MgNB와 SeNB가 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를 설립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MCG, SCG). 마스터 노드가 5G 기지국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a 및 도 2b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오면, (210), (220), (230)은 코어 망이 EPC (LTE 망)이고, 마스터 노드가 LTE 기지국인 경우인 option 3의 DC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210),(220), (230)에 따르면, 제어 평면 (control plane: CP)의 정보는 마스터 노드인 LTE 기지국을 통해 단말에 전송되는 반면, 사용자 평면 (user plane: UP)의 정보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240)은 코어 망이 5GC이고, 마스터 노드가 LTE 기지국인 경우인 option 7의 DC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240)에 따르면, CP 신호는 마스터 노드인 LTE 기지국을 통해 단말에 전송되며, UP 신호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250)은 코어 망이 5GC이고, 마스터 노드가 5G 기지국인 경우인 option 4의 DC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250)에 따르면, CP 신호는 마스터 노드인 5G 기지국을 통해 단말에 전송되며, UP 신호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DRX configuration은 MAC에 연관된 것으로 EN-DC의 MN과 SN은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MN과 SN이 서로 DRX configuration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EN-DC는 하나의 RRC state를 갖고, 이는 MN RRC를 기반으로 한다.
단말이 5G로만 동작하는 경우에, 6GHz 미만의 대역폭 (below 6)와 6GHz 이상의 대역폭 (above 6)이 DC로 연결되는 경우가 가능하다. 또한, Below 6와 Above 6는 하나의 RRC state를 가지면서 각각을 위한 MAC이 존재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 위에서 MR-DC에서 정의한 MAC과 RRC의 정의 및 동작이 모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MR-DC에서 secondary Cell은 RRC connected 와 release 상태만 구분되어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PSCell을 제외하고 다른 SCell 들은 MAC CE로 활성화/비활성화 (activation/deactivation) 될 수있다. 다만, PSCell은 설정과 동시에 활성화 (activation) 상태가 되고, 이 상태는 PSCell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계속 유지된다. 따라서, PSCell의 활성화 (activation) 상태는 기지국에서 세컨더리 노드 해제 메시지 (secondary Node Release message)를 전송하기 전까지는 계속 유지하게 된다. PSCell의 activation 상태에서 단말은 full 전원을 공급 (power amp 등 RF 소자의 구동 시작)하게 되므로, 단말의 소모 전류가 IDLE 상태에 비해서 많다. 하지만, PSCell을 통해서 받을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활성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단말의 전류가 불필요하게 소모되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DC 시나리오를 참고하면, RRC 계층은 마스터 노드에만 존재하므로 마스터 노드와 세컨더리 노드는 하나의 RRC 상태로 운용 된다. 즉, 마스터 노드의 RRC 상태에 따라 세컨더리 노드도 동일한 RRC 상태로 동작한다. 따라서, 한번 세컨더리 노드가 활성화된 이후에는 세컨더리 노드에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마스터 노드의 상태에 따라 상기 세컨더리 노드가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단말의 전력 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번 세컨더리 노드가 활성화된 이후에는 세컨더리 노드에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세컨더리 노드는 RRC_IDLE로 천이되는 과정이 없어, RRC_CONNECTED(ACTIVATION)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단말의 전력 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은 LTE의 이중 접속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PSCell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SCell에 대해서도 동일한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세컨더리 셀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단말 전력 소모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 default BWP를 활용
한가지 실시예로 PSCell이 activation 상태에서 단말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NR에서 도입한 기본 밴드폭 부분 (default BWP)를 활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Default BWP는 initial BWP와 동일할 수도 있고, 기지국에서 임의의 자원을 설정할 수도 있다. Default BWP는 initial BWP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고, initial BWP보다 클 수도 있다. Default BWP는 동기 신호 블록 (SS block)과 잔여 최소 시스템 정보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RMSI)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원일 수 있다.
단말이 default BWP 이외의 BWP에서 동작하는 상황에서 BWP-비활성화 타이머 (이하, BWP-InactivityTimer)가 만료될 때까지 스케줄링 (scheduling)을 받지 못할 경우, 단말은 동작하던 BWP를 deactivate하고, default BWP를 activate하도록 표준에서 정의되었다.
BWP-InactivityTimer는 새로운 BWP가 activation되거나, 다운링크에 데이터를 scheduling 받거나 하는 경우에 reset된다. timer의 재설정 (reset)이란, timer의 값을 0으로 돌려 재시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default BWP가 명시적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initial BWP가 default BWP를 대체할 수 있다.
이는 PSCell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BWP-InactivityTimer가 만료될 때까지 PSCell에서 적어도 다운링크와 업링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위한 자원을 할당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default BWP로 동작하도록 한다.
2) DRX 동작을 활용
추가적인 실시예로 PSCell이 activation 상태에서 단말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LTE에서도 적용되어 있던 DRX 동작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DRX 동작에서 단말이 받거나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단말은 sleep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또한, sleep 상태로 들어간 단말은 주기적으로 PDCCH를 decoding할 수 있다. MR-DC에서 단말은 MN과 SN에 대해서 별도의 DRX configuration을 설정하기 때문에, PSCell에 대한 DRX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PSCell은 항상 activation 상태이기 때문에, connected 상태의 DRX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Connected DRX로 동작하는 경우, sleep 상태에서 단말은 적어도 일부분의 RF 모듈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단말은 Power amp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단말의 Base band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C-DRX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은 PDCCH가 수신되는 타이밍에 맞춰 적어도 일부분의 RF 모듈의 전원을 인가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PDCCH를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한 적어도 다운링크와 업링크 중 하나 이상의 자원 할당 정보가 전송되면, 단말은 active 상태로 유지하고 PDCCH를 통해 상기 단말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단말은 sleep 상태로 다시 변경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에서 설명한 1)의 방법과 2)의 방법을 순서대로 조합하여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단말은 S410 단계에서 DL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DL 데이터 스케줄링을 받은 단말은 Scheduling을 받은 시점에 BWP-Inactivity Timer와 DRX inactivity Timer를 재설정 (reset)할 수 있다. timer의 재설정 (reset)이란, timer의 값을 0으로 돌려 재시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BWP-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 단말은 S420 단계에서 Default BWP로 동작한다.
이후, DRX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는 경우, 단말은 S430 단계에서 DRX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는 BWP-inactivitytimer가 DRX inactivitytimer보다 짧게 설정된 경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 도 4에서 설명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DRX 동작 및 BWP 변경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scheduling을 받은 시점 (410)에 BWP-Inactivity Timer (420)와 DRX inactivity Timer (430)를 시작 (reset)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동작 (running)하지 않는 timer를 시작시키거나, 동작 (running) 중인 timer의 값을 0으로 돌려 재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BWP-Inactivity Timer (420)가 DRX inactivity Timer (430)보다 길게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때, 단말은 BW 1으로 동작 (440)할 수 있으며,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 (460)한다. 그리고, BWP-InactivityTimer (420)가 만료될 때까지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default BWP (BW2)로 동작 (450)할 수 있다. 또는, 상기 BW2는 BW1보다 작은 대역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BW2가 default BWP의 대역폭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BW2가 BW1보다 작게 설정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W1은 default BWP의 대역폭은 기지국이 설정한 다른 대역폭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했듯이 default BWP는 initial BWP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했듯이 default BWP는 SSB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했듯이 default BWP는 SSB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그리고, DRX inactivity Timer (430)가 만료될 때까지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DRX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설정된 DRX 주기에 따라 sleep으로부터 깨어나서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다른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단말은 S510 단계에서 DL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DL 데이터 스케줄링을 받은 단말은 Scheduling을 받은 시점에 BWP-Inactivity Timer와 DRX inactivity Timer를 재설정 (reset)할 수 있다.
이후, DRX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는 경우, 단말은 S520 단계에서 DRX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BWP-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 단말은 S530 단계에서 Default BWP로 동작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BWP-inactivitytimer가 DRX inactivitytimer보다 길게 설정된 경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 도 6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DRX 동작 및 BWP 변경 동작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단말은 scheduling을 받은 시점 (610)에 DRX inactivity Timer (620)와 BWP-Inactivity Timer (630)을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BWP-Inactivity Timer (630)가 DRX inactivity Timer (620)보다 짧게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때, 단말은 BW 1으로 동작 (640)할 수 있으며,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 (660)한다. 그리고, DRX inactivity Timer (620) 가 만료될 때까지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DRX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설정된 DRX 주기에 따라 깨어나서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BWP-InactivityTimer (630)가 만료될 때까지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default BWP (BW2)로 동작 (650)할 수 있다. 또는, 상기 BW2는 BW1보다 작은 BW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BW2가 default BWP의 BW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BW2가 BW1보다 작게 설정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W1은 default BWP의 BW는 기지국이 설정한 다른 BW로 동작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했듯이 default BWP는 initial BWP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했듯이 default BWP는 SSB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했듯이 default BWP는 SSB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한편,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econdary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해야 세컨더리 노드 (SN)에 대한 단말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에 해제 (Release)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안한다. 또한, release된 SN을 다시 연결하기 위해서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SN addition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releas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세컨더리 노드의 해제를 요청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고하면, 단말은 S710 단계에서 세컨더리 노드 해제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 메시지를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은 PSCell 또는 SCell을 통해 송수신될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세컨더리 노드의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마스터 노드에서 할당한 자원을 통해서 물리 (physical: PHY) 계층, 매체 접속 제어 (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또는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노드는 S720 단계에서 세컨더리 셀의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S730 단계에서 RRC 연결 재설정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7b를 참고하면, 단말은 S740 단계에서 세컨더리 노드 해제 요청 메시지를 세컨더리 노드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도 7의 (a)와 달리, 단말은 세컨더리 노드에서 할당한 자원을 통해 PHY, MAC, RRC 계층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세컨더리 노드 해제 요청을 세컨더리 노드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세컨더리 노드가 상기 요청을 마스터 노드로 전달할 수 있으며, 마스터 노드는 S750 단계에서 세컨더리 노드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노드는 S760 단계에서 RRC 연결 재설정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세컨더리 노드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1) RRC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
단말은 RRC에서 이미 정의한 RRC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 전송하여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로 RRC 연결 재설립 요청 (RRCConnectionReestablishmentRequest) 메시지를 통해서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RRCConnectionReestablishmentRequest에 bit 하나를 추가하여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을 알려주는 방법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을 위한 RRC 메시지를 새로 추가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할당 받은 상향링크 (uplink: UL)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RRC 전송을 위해서 기지국에 UL 자원을 요청하고,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RRC 메시지(secondary node release 메시지)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DRX inactivity timer나, BWP inactivity time, 또는 Data inactivity timer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할당 받은 UL 자원이 있는 경우, 단말은 해당 자원을 이용하여 RRC 메시지 (secondary node release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할당 받은 UL 자원은 grant 자원, grant free type 1 자원, grant free type 2 자원 중 하나 일 수 있다.
단말이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2) MAC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
단말은 MAC에서 이미 정의한 MAC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 보내서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로 MAC CE를 통해서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AC CE에 포함되는 LCG ID 리스트에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을 위한 ID를 추가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할당 받은 UL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MAC CE 전송을 위해서 기지국에 UL 자원을 요청하고, 할당 받은 자원으로 MAC CE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DRX inactivity timer나, BWP inactivity time, 또는 Data inactivity timer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할당 받은 UL 자원이 있는 경우, 단말은 해당 자원에 MAC CE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할당 받은 UL 자원은 grant 자원, grant free type 1 자원, grant free type 2 자원 중 하나 일 수 있다.
3) PHY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
단말은 PHY에서 정의한 PHY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 보내서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로 NR의 PHY에서 정의한 SR을 활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을 위한 Logical ID를 새로 정의하고 이 Logical ID를 SR configuration에 포함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단말은 상기 지정된 Logical ID와 연관되어 있는 SR 자원에 SR 신호를 전송하여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메시지를 전송 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RRC_CONNECTED 상태에서 단말에 할당한 UL-SCH 자원이 있는 경우에, 상기 UL-SCH 자원과 연관되어 있는 logical ID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SR을 수신하는 경우, 기지국이 상기 SR을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으로 해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단말은 RRC_CONNECTED 상태에서 할당 받은 UL-SCH 자원이 있는 경우에, 상기 UL-SCH 자원과 연관되어 있는 logical ID에서 SR 신호를 전송하여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SR configuration에서 설정된 SR 자원에 추가로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단말은 SR configuration에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메시지의 전송에 대한 1bit을 추가하여 해당 SR 자원으로 요청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한가지 실시예로 SR 자원으로 요청 가능하다고 표시된 경우, 단말은 RRC_CONNECTED 상태에서 할당 받은 UL-SCH 자원이 있는 경우에, 상기 UL-SCH 자원과 연관되어 있는 logical ID에서 SR 신호를 전송하여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한가지 실시예로 SR 자원으로 요청 가능하다고 표시된 경우, 상기 UL-SCH 자원과 연관되어 있는 logical ID에서 SR 신호와 다른 신호 (phase의 변화, bit 정보의 변화 등)를 전송하여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방식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단말은 상기의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을 전송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단말은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을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단말이 더 이상 SN와의 연결이 필요 없다고 판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로, 단말은 SN을 통해서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되는 APP의 실행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AR APP을 위해서 SN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황에서 AR APP이 종료되는 경우 단말은 SN과의 연결이 필요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AP에 포함된 모듈에서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 CP에 포함된 모듈에서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PDCP 계층이나 RRC 계층에서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단말은 MN에서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SN이 Release되는 시점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MN의 RRC CONNECTED 상태에서 RRC IDLE로 전환하기 위해 설정한 타이머 정보(예를 들어, datainactivitytimer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좀더 상세하게는 단말은 SN에서 스케줄링을 받은 시점에서 SN을 위한 data inactivitytimer를 시작하고, 해당 타이머가 MN 에서 수신한 datainactivitytimer의 만료 값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 (즉, SN의 data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가 될 때까지 다운링크나 업링크를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 받지 못하는 경우에 단말은 더 이상 SN의 유지가 필요 없다고 판단하고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SN Release를 위한 datainactivitytimer가 MN을 위한 datainactivitytimer와 별도로 존재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로 SN이 Release 되는 시점을 MN이나 SN에서 직접 알려주는 방법도 가능하다. 좀더 자세하게는 해당 정보 (SN이 release 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는 SN addition이나 SN Modification을 위해서 전송되는 메시지(예를 들어, RRCConnectionReconfiguration)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SN이나 MN에서 전송하는 system information에 상기 정보가 포함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정보에 SN release 전송을 위한 datainactivitytimer와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해주는 방법도 가능하다.
좀더 상세하게는 단말이 SN에서 스케줄링 받은 시점에서 SN release를 위한 타이머를 시작 (또는, reset)하고, 해당 타이머가 MN 에서 수신한 datainactivitytimer의 값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 (즉, SN의 data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가 될 때까지 다운링크나 업링크를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 받지 못하는 경우에 단말은 더 이상 SN의 유지가 필요 없다고 판단하고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SN을 위한 별도의 타이머가 존재해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방법들로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과 조합하여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다. 다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Default BWP로 동작하는 과정이나 DRX cycle로 동작하는 과정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세컨더리 노드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서 S810 단계 내지 S830 단계는 도 3의 S310 단계 내지 S330 단계와 동일하며, 도 8의 (b)에서 S850 단계 내지 S870 단계는 도 3의 S340 단계 내지 S360 단계와 동일하다.
단말은 BWP-InactivityTimer가 만료되고, DRX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면, S840 단계에서 또는 S880 단계에서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 단말은 BWP-InactivityTimer 또는 DRX inactivity timer 중 긴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위에서 정의한 단말은 SN Release를 위한 타이머(MN에서 받은 datainactivityTimer, SN release를 위한 별도의 타이머, SN에서 받은 datainactivityTim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가 만료되면 상기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BWP-InactivityTimer와 DRX inactivity timer의 타이머 중 하나가 만료되는 경우 단말은 상기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Default BWP로 동작하는 과정이나 DRX cycle로 동작하는 과정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RRC CONNECTED 상태에서 RRC IDLE로 전환하기 위한 타이머 (datainactivitytimer)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단말은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세컨더리 노드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도 3 및 도 5와 유사하게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9a 및 도 9b는 data inactivity timer가 더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 data inactivity timer (910) (930)가 만료되는 경우, 단말은 releas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920) (940).
다만, 본 도면에서는 data inactivity timer가 BWP-inactivityTimer 및 DRX inactivityTimer보다 길게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data inactivity timer가 더 짧은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단말은 datainactivity timer가 만료되는 경우에도 상기 release 요청을 전송하지 않고, BWP-inactivityTimer 및 DRX inactivityTimer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혹은 BWP-inactivityTimer 및 DRX inactivityTimer 중 길게 설정된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release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이 판단하기에 MN과 SN에 모두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되면, 기지국에 RRC IDLE 상태로 변경해 달라는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이 기지국에 RRC Connection Release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release된 MN과 SN을 다시 연결하기 위해서는 RRC 시그널링을 통한 연결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releas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RRC connection release를 요청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단말은 S1010 단계에서 RRC connection release 요청 메시지를 MN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은 MN 및 SN을 통해 송수신될 데이터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세컨더리 노드의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마스터 노드에서 할당한 자원을 통해서 PHY, MAC, RRC 계층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한편, 단말은 “RRC connection Release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점을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단말이 더 이상 MN과 SN과의 연결이 필요 없다고 판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단말은 데이터 수신 요구되는 APP의 실행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로, 단말은 MN에서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Release되는 시점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MN의 RRC CONNECTED 상태에서 RRC IDLE로 전환하기 위해 설정한 타이머 정보(예를 들어, datainactivitytimer와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좀더 상세하게는 MN과 SN에서 받은 최종 스케줄링 시점에서 타이머를 시작하고, 해당 타이머가 MN RRC에서 받은 datainactivitytimer의 만료값과 동일하게 되는 경우(즉, data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가 될 때까지 다운링크나 업링크를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 받지 못하는 경우에 단말은 더 이상 MN, SN의 유지가 필요 없다고 판단하고 “RRC connection Release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8 및 도 9의 내용이 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단말은 상술한 내용을 조합하여 RRC connection releas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Default BWP로 동작하는 과정이나 DRX cycle로 동작하는 과정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MN과 SN에 대한 해제를 위해 RRC connection releas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의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이 RRC connection release 요청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RRC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에서 S1110 단계 내지 S1130 단계는 S810 단계 내지 S830 단계와 동일하며, 도 11b에서 S1150 단계 내지 S170 단계는 도 8 (b)의 S850 단계 내지 S870 단계와 동일하다.
단말은 BWP-InactivityTimer가 만료되고, DRX inactivity timer가 만료되면, S1140 단계에서 또는 S1180 단계에서 RRC connection release 요청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RRC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9a 및 도 9b와 유사하게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a 및 도 12b를 참고하면, data inactivity timer (1210) (1230)가 만료되는 경우, 단말은 RRC connection releas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1220) (1240). 이외에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상술한 RRC connection Release 요청”메시지와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메시지는 동일한 내용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하나의 신호를 MN이 받는 경우에는 “RRC connection Release 요청”으로 해석하고, 또한 SN이 받은 경우에는 “secondary node Release 요청”으로 해석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두 메시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의되어 다른 내용을 갖는 메시지 일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신호가 두 메시지를 모두 포함하되 bit이나 bit map, 또는 ID값으로 구분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두 메시지 중 하나의 메시지만 정의되고 사용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MR-DC에서 SN을 통해 송수신되는 data가 있는 경우에도 RRC_IDLE 상태로 변경되면, 단말과 SN과의 통신이 중단 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의 RRC_CONNECTED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단말의 RRC state는 MN의 RRC state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일부 네트워크에서는 SN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중에도, MN의 RRC 계층에서의 RRC_IDLE 천이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MN의 RRC state가 RRC_IDLE로 천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SN을 통해서 수신하던 데이터가 끊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안 한다.
MN의 RRC가 RRC_IDLE로 천이되는 조건 중 한가지는 datainactivitytimer가 만료되는 경우이다. 이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Connected DRX가 동작하는 경우, MN과 연관되어 있는 모듈 중 SN과 연관되지 않은 모듈의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그 이후 계속해서 다운링크 데이터가 없어서 datainactivitytimer가 만료되면 단말과 기지국은 RRC_IDLE로 천이하게 된다. DTCH, DCCH, CCCH에 대한 MAC SDU를 MAC 계층에서 수신한 경우, datainactivitytimer는 reset이나 restart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의 datainactivitytimer가 만료되지 않도록 하는 단말의 방법을 제안한다. 아래에서 기술되는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단말은 MN이 RRC_IDLE로 천이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1) RRC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
단말은 RRC에서 정의되어 있는 RRC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 전송하여 MN이 RRC_CONNECTED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단말은 RRCConnectionReestablishmentRequest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서 RRCConnectionReestablishmentRequest를 수신한 경우에,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 ConnectionReestablishment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이는 datainactivitytimer를 reset 시키는 효과가 있게 한다.
시그널링 (Signaling)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SN으로 인해 MN이 RRC_CONNECTED 상태 유지를 위한 요청 메시지임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RRC_CONNECTED 상태 유지를 위한 요청 메시지 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요청에 대한 별도의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datainactivitytimer만 reset할 수 있다.
할당 받은 UL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RRC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서 기지국에 UL 자원을 요청하고,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RX inactivity timer나, BWP inactivity time, 또는 Data inactivity timer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할당 받은 UL 자원이 있는 경우, 단말은 해당 자원을 이용하여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할당 받은 UL 자원은 Grant 자원, grant free type 1 자원, grant free type 2 자원 중 하나 일 수 있다.
2) 상위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
단말에서는 EN-DC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의 상위 계층에서 LTE 쪽으로 임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단말의 TCP 계층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단말의 Application 계층에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잘 알려진 외부서버 (예를 들어, www.google.com 서버)로 ping 메시지를 LTE로 전달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할당 받은 UL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상위 메시지 전송을 위해서 기지국에 UL 자원을 요청하고,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상위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DRX inactivity timer나, BWP inactivity time, 또는 Data inactivity timer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할당 받은 UL 자원이 있는 경우, 단말은 해당 자원을 이용하여 상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할당받은 UL 자원은 Grant 자원, grant free type 1 자원, grant free type 2 자원 중 하나 일 수 있다.
3) MAC CE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
단말은 MAC CE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여 MN이 RRC_CONNECTED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단말이 이미 정의되어 있는 MAC CE 메시지 중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이 전송한 각 MAC CE에 맞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고, 이는 datainactivitytimer를 reset 시키는 효과가 있다.
signaling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SN으로 인해 MN이 RRC_CONNECTED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음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상기 요청에 대한 별도의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도 datainactivitytimer가 reset될 수 있다.
할당 받은 UL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MAC CE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서 기지국에 UL 자원을 요청하고,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MAC C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RX inactivity timer나, BWP inactivity time, 또는 Data inactivity timer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할당받은 UL 자원이 있는 경우, 단말은 해당 자원을 이용하여 MAC CE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할당 받은 UL 자원은 Grant 자원, grant free type 1 자원, grant free type 2 자원 중 하나 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MAC 계층에서 MAC CE를 수신한 경우 Data inactivity timer의 start나 restart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의 표 2와 같이 표준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표 2]
Figure 112018051151613-pat00002
한편, 모든 네트워크에서 상기의 방법이 동작할 필요가 없다. 표준에 따라 RRC state를 하나로 관리하고, SN에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RRC CONNECTED 상태로 유지하는 기지국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에서 제기한 문제가 발생하는 기지국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이를 구별하여 상기 동작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를 구별하는 방법을 하기에서 제안한다.
1) 네트워크 정보(MCC/MNC) 확인
하나의 실시예로는 단말이 캠프 온 (camp on)한 기지국의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단말은 기지국에서 전송한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글로벌 셀 식별자 (Global cell ID)나, MCC/MNC를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문제가 있는 네트워크 정보가 미리 단말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단말은 확인한 시스템 정보에 따라 동작을 달리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SN을 통해서 데이터 전송 중에 RRC_IDLE로 전환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정보를 DB에 저장해서 상기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DB는 단말 내부 또는 단말 외부의 별도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이 5G로만 동작하는 경우에, below 6와 above 6가 DC로 연결되는 경우가 가능하다. 또한, Below 6와 Above 6는 하나의 RRC state를 가지면서 각각을 위한 MAC이 존재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 위에서 MR-DC에서 정의한 MAC과 RRC의 정의 및 동작으로 모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단말은 S1310 단계에서 기지국 또는 노드와의 연결 해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해제는 세컨더리 노드와의 연결 해제 또는, 마스터 노드와 세컨더리 노드 모두에 대한 연결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술한 방법으로 연결을 해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그리고, 단말은 S1320 단계에서 연결 해제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세컨더리 노드 또는 마스터 노드와 세컨더리 노드 모두와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RRC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RRC 메시지는 기존에 정의되어 있는 메시지 (예를 들어, RRCconnectionReestablishment request)에 미리 정해진 수의 비트 (예를 들어, 1 비트)를 포함시킨 형태이거나 또는 상기 요청을 위한 별도의 메시지가 정의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MAC 계층에서 전송될 수 있는 메시지 또는 PHY 계층에서 전송될 수 있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330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여 기지국과의 연결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S1410 단계에서 단말에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타이머 정보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RRC 시그널링 등을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S1420 단계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S143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시점 및 상기 기지국이 설정한 타이머 값에 기반하여 단말로부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또한, 기지국은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RRC, MAC, PHY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S1440 단계에서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세컨더리 노드와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또는 마스터 노드 및 세컨더리 노드와 단말과의 연결 모두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1510), 제어부 (1520), 저장부 (15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5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510)는 예를 들어, 기지국에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152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5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530)는 상기 송수신부 (15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5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 (1610), 제어부 (1620), 저장부 (16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6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610)는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62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6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630)는 상기 송수신부 (16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6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설명의 순서가 반드시 실행의 순서와 대응되지는 않으며, 선후 관계가 변경되거나 병렬적으로 실행 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되고 일부의 구성요소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실시예에 포함된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조합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1 노드와의 제 1 셀룰러 연결 및 제 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2 노드와 제 2 셀룰러 연결을 설립하는 단계;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과 관련된 스케줄링 정보의 수신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구동 시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타이머들을 리셋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타이머들 중 제 1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대역폭을 지정된 크기로 축소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타이머들 중 제 2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노드와의 통신에 대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이머들 중 제 3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노드와의 연결 해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1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2 노드와의 연결 해제를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포함한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또는 PHY(physical) 계층에 정의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제 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1 노드와의 제 1 셀룰러 연결 및 제 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2 노드와 제 2 셀룰러 연결을 설립하고,
    상기 제 1 노드로부터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과 관련된 스케줄링 정보의 수신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구동 시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타이머들을 리셋하고,
    상기 복수의 타이머들 중 제 1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대역폭을 지정된 크기로 축소하고,
    상기 복수의 타이머들 중 제 2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노드와의 통신에 대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를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타이머들 중 제 3 타이머의 만료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노드와의 연결 해제를 결정하고,
    상기 연결 해제를 요청하기 위한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1 노드로 전송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2 노드와의 연결 해제를 지시하는 비트 정보를 포함한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 요청 메시지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또는 PHY(physical) 계층에 정의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단말.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80059233A 2018-05-24 2018-05-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KR102544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33A KR102544861B1 (ko) 2018-05-24 2018-05-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US17/057,213 US11589416B2 (en) 2018-05-24 2019-05-16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806692.0A EP3758437A4 (en) 2018-05-24 2019-05-16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9/005866 WO2019225900A1 (ko) 2018-05-24 2019-05-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CN201980034702.2A CN112166646A (zh) 2018-05-24 2019-05-16 减少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功耗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33A KR102544861B1 (ko) 2018-05-24 2018-05-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63A KR20190134063A (ko) 2019-12-04
KR102544861B1 true KR102544861B1 (ko) 2023-06-19

Family

ID=6861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233A KR102544861B1 (ko) 2018-05-24 2018-05-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89416B2 (ko)
EP (1) EP3758437A4 (ko)
KR (1) KR102544861B1 (ko)
CN (1) CN112166646A (ko)
WO (1) WO2019225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0200B (zh) * 2018-08-09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带宽部分处理方法及装置
WO2020194192A1 (en) * 2019-03-28 2020-10-01 Nokia Technologies Oy Bandwith part inactivity timer for unlicensed spectrum operations
US11601880B2 (en) * 2019-05-01 2023-03-0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for a user equipment in a multi-radio connectivity mode or carrier aggregation mode
CN116420424A (zh) * 2020-10-23 2023-07-11 Lg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的用于功率节省的方法和装置
KR102645665B1 (ko) * 2020-11-30 202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s 세션을 위한 데이터 비활성 타이머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5707052A (zh) * 2021-08-10 2023-02-17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于双连接配置的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3994765B (zh) * 2021-09-22 2024-04-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bwp切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7473A1 (en) * 2014-06-24 2017-05-04 Nokia Technologies Oy Dual connectivity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3391B2 (en) * 2001-02-12 2009-0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automated session resource clean-up by determining whether server resources have been held by client longer than preset thresholds
EP1798998B1 (en) * 2005-12-14 2011-06-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directed radio resource control in a UMTS network
US8265034B2 (en) * 2006-05-17 2012-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 signaling connection release indication
CN106160992B (zh) * 2010-02-12 2020-07-0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增强无线发射/接收单元的小区边缘性能的方法及网络
CN102202422B (zh) * 2010-03-22 2014-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状态迁移方法和网络设备
WO2012149321A1 (en) * 2011-04-29 2012-1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witching activation of ue receivers
CN108684080A (zh) * 2012-04-27 2018-10-19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
US9467941B2 (en) 2012-06-07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based fast dormancy
US8995394B2 (en) * 2012-06-15 2015-03-31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for fast dormancy on wireless networks
WO2014085980A1 (en) * 2012-12-04 2014-06-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mobile power management
CN103906049B (zh) * 2012-12-28 2019-09-2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同步辅小区和ue之间加密信息的方法
JP2016514930A (ja) * 2013-04-04 2016-05-23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フロードを通じた改善されたwlan使用のための3gppwlan相互作用のための方法
KR101817484B1 (ko) * 2013-04-11 2018-01-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 처리 방법, ue 및 통신 시스템
JP6272988B2 (ja) * 2013-04-15 2018-01-31 アイディーエーシ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ミリ波(mmw)デュアル接続のための不連続受信(drx)方式
JP6018300B2 (ja) * 2013-05-10 2016-11-02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
US9713142B2 (en) * 2013-07-14 2017-07-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ata radio bearers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5037820A1 (en) * 2013-09-13 2015-03-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and updating tracking area in c-ran and apparatus therefor
US9992711B2 (en) 2013-10-28 2018-06-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ual connectivity in heterogeneous network
US9661657B2 (en) * 2013-11-27 2017-05-23 Intel Corporation TCP traffic adaptation in wireless systems
WO2015143702A1 (zh) * 2014-03-28 2015-10-01 富士通株式会社 承载管理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US20150282080A1 (en) * 2014-03-28 2015-10-01 Broadcom Corpor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dual drx cycles
WO2015166892A1 (ja) * 2014-04-28 2015-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0057937B2 (en) * 2014-05-02 2018-08-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mmunications via multiple access points
EP2945423A1 (en) * 2014-05-13 2015-11-18 HTC Corporation Device for handling measurement configuration for dual connectivity with carrier aggregation
JP6353158B2 (ja) * 2014-08-08 2018-07-0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二重連結のためのサービス解除を通報する方法及び装置
US10219317B2 (en) * 2014-09-25 2019-0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handling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SeNB related bearer release at a user equipment in a dual connectivity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198652B1 (ko) * 2015-07-31 2021-01-05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지국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22933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내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564318B1 (ko) * 2015-08-21 202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연결을 이용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7052206A1 (ko) 2015-09-23 2017-03-30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이동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8141862B (zh) * 2015-10-06 2022-01-28 日本电气株式会社 与双连接相关的设备
EP3611866A1 (en) * 2017-10-26 2020-02-19 Ofinno, LLC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epo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7473A1 (en) * 2014-06-24 2017-05-04 Nokia Technologies Oy Dual connectivity managem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103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8437A1 (en) 2020-12-30
CN112166646A (zh) 2021-01-01
US20210227623A1 (en) 2021-07-22
US11589416B2 (en) 2023-02-21
KR20190134063A (ko) 2019-12-04
WO2019225900A1 (ko) 2019-11-28
EP3758437A4 (en)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1162B2 (ja) 基地局及び方法
KR1025448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Andres-Maldonado et al. Narrowband IoT data transmission procedures for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EP33782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ignaling overhead and reducing battery of terminal
KR20150067770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불연속 동작을 개시하는 사용자 장비
US202202254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28951B2 (en) Communications terminal,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N107889216B (zh) 数据发送、接收方法及装置、基站、终端
US20220110060A1 (en) Resource reservation indication for mode 2 resource allocation with power saving
CN111836302A (zh) 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KR20210044152A (ko)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발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578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ake-up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503656A (zh) 支持多连接的移动通信系统中用于提供终端发热相关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20210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power headroom report for supporting dynamic power sharing
US11937182B2 (en) Sidelink resource allocation with power saving operation
KR20240040741A (ko) 비-독립형 또는 이중 접속을 위한 사용자 장비 (ue) 보조 종단 선택
KR2020012172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저전력 소모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94059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 절감을 위한 링크 별 활성화 및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KR20200071736A (ko) 네트워크 액세스 우선 순위화
JP2015035688A (ja) 基地局
US20220346015A1 (en)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management for groupcast and broadcast
US20240080773A1 (en) Prioritizing cell selection in a user equipment
WO2022235193A9 (en) Network node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handling secondary cell group operation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22211694A1 (en) Network node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handling resume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7121630A (zh) 无线通信网络中的用户设备、网络节点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