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136B1 -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stores onto aircraft - Google Patents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stores onto aircra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136B1
KR102017136B1 KR1020170179987A KR20170179987A KR102017136B1 KR 102017136 B1 KR102017136 B1 KR 102017136B1 KR 1020170179987 A KR1020170179987 A KR 1020170179987A KR 20170179987 A KR20170179987 A KR 20170179987A KR 102017136 B1 KR102017136 B1 KR 102017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haft
assembly
pinion
bod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9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8200A (en
Inventor
류성문
이현석
김광현
한승호
이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7017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136B1/en
Publication of KR2019007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2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1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50Handling or transporting aircraf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10Manufacturing or assembling aircraft, e.g. ji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41Single levers, e.g. paralle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160)가 구비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100)와 저면에 이동바퀴(230)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200)와 상기 받침대 조립체(100)와 상기 몸체 조립체(200)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100)가 상기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기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항공기 날개에 외부 장착물을 설치시 받침대의 위치를 전후, 좌우 조정하여 보다 원활하게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ounting an external mounting of an aircraft, the upper body of the base assembly 100 is provided with a pedestal 160 for loading the mounting body and the lower body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230 on the bottom Link mechanism 300 which connects the assembly 200 and the pedestal assembly 100 and the body assembly 200 so that the pedestal assembly 100 can be elevated and tilted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200. It include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external mounting can be more smoothly mounted to the aircraf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edestal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when installing the external attachment to the aircraft wing.

Description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STORES ONTO AIRCRAFT}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STORES ONTO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미사일 등의 외부 장착물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unting an aircraft external mou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ounting an aircraft external mount for allowing an external attachment such as a missile to be mounted on an aircraft.

전투기와 같은 군용 항공기에는 동체 외곽의 날개 등에 미사일 등의 외부 장착물이 장착된다. 항공기에 미사일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개별적인 미사일에 대해 탈부착시켜야 한다. Military aircraft such as fighters are equipped with external attachments, such as missiles, on the wings outside the fuselage. To mount a missile on an aircraft, the operator must attach and detach the individual missile.

이때, 미사일 등의 외부 장착물은 사람이 들기에는 너무 무겁기 때문에 장착물을 지지하여 이동 및 승하강시킬 수 있는 유압식 또는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xternal mounting such as a missile is too heavy for people to use a hydraulic or electric lift device that can support and move the mounting to move up and down.

종래의 유압식 또는 전동식 리프트 장치는 볼나사, 체인, 와이어를 이용하여 테이블을 승하강시킨다. Conventional hydraulic or electric lift devices raise and lower the table using ball screws, chains, and wires.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전동식 및 유압식 리프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a conventional electric and hydraulic lift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0)에 올려진 장착물(10)의 하중을 계측하여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테이블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정되게 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6)로 X형 링크를 구동시켜 테이블을 승하강시킨다.As shown in FIG. 1, the height of the table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driving a motor by measuring the load of the mounting 10 mounted on the table 100, or as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2. 6) Drive the X link to raise and lower the table.

도 2에서 3a,4a,5,7a,8a는 구속된 회전 중심점이며, 3b,4b는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테이블(1)이 승하강시 구속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In FIG. 2, 3a, 4a, 5, 7a, and 8a are constrained rotation center points, and 3b and 4b perform a sliding motion constrained when the table 1 is moved up and down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ylinder.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2가지 모두 테이블은 바닥면과 수평을 유지하면서 테이블을 승하강시키므로 테이블을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기울이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는 항공기를 측면에서 본 경우 좌우가 경사진 날개 구조에 외부 장착물을 설치하는 장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Both of the tables shown in Figs. 1 and 2 raise and lower the table while keeping the level with the bottom surface, so it is impossible to tilt the tabl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This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device for installing an external attachment to the wing structure inclined left and right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aircraft.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개발되어 논문 발표되고 특허 출원된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등록 제1031872호, 2011.04.21 등록)가 있다.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는 항공기에 크고 무거운 외부 장착물을 장착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된 것이다.As an alternative to this, there is an aircraft exterior mounting apparatus (registration No. 10187187, registered on April 21, 2011),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published in the paper. The aircraft exterior mount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mounting large and heavy external attachments to aircraft.

도 3에는 종래의 유압식 리프트 장치(등록 제1031872호)가 도시되어 있다. FIG. 3 shows a conventional hydraulic lift device (registration 1031872).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의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는 2개의 받침대(50)에 외부 장착물을 거치시키고, 견인부(11)를 견인 차량에 연결하여 이동하거나 인력에 의해 조향되며 이동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the conventional aircraft exterior mounting apparatus mounts external mounts on two pedestals 50 and connects the towing unit 11 to the towing vehicle to be moved or steered by manpower. Done.

승강 프레임(20)은 승강 프레임 고정축(21)을 중심으로 핸들(63)을 작동시켜 구현되는 피스톤 로드(미도시)의 신축에 의해 회전되어 적재 프레임(30)을 승하강시키도록 된다.The lifting frame 20 is rotat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piston rod (not shown) implemented by operating the handle 63 about the lifting frame fixing shaft 21 to raise and lower the loading frame 30.

또한, 적재 프레임(30)은 틸팅 핸들(72)에 의해 작동하는 틸딩바(70)를 신축시킴에 의해 적재 프레임 고정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좌측과 우측의 받침대(50) 높이가 달라져 좌우가 기울어지게(tilting) 된다.In addition, the stacking frame 30 is rotated about the stacking frame fixed shaft 31 by stretching and contracting the tilting bar 70 operated by the tilting handle 72, there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pedestal 5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different and the left and right are tilted.

또한, 레일(40) 위에 놓여 있는 받침대(50)는 개별적으로 레일(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고정구(52)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장착물에 따라서 받침대(50) 1개에 장착물을 거치하거나 2개 모두에 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al 50 lying on the rail 40 can be moved along the rail 40 individually, and can be fixed in a specific position by the fastener 52. As a result, the mounting may be mounted on one pedestal 50 or on both, depending on the mounting.

하지만, 받침대(50)는 둥근 평면을 갖는 안착부(51)의 형상 특성과 받침대(50)가 중심에 대해 회전하는 구조를 구비하지 못하므로, 크고 무거운 장착물은 리프트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거치 가능하여 리프트 길이 방향과 경사지게 장착물을 거치할 수 없다. However, since the pedestal 50 does not have a shape characteristic of the seating portion 51 having a rounded plan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pedestal 50 rotates about the center, a large and heavy mounting is parallel to the length of the lift. It can only be mounted in the direction of the lift, so it is not possible to mount the mou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ined.

따라서, 종래의 항공기 외장물 장착 장치는 받침대(50)에 거치된 장착물을 항공기(주로 날개 아래에 장착)에 장착할 경우 리프트의 길이방향과 항공기상의 2개 장착점을 잇는 방향(항공기 날개의 수직 방향)과 일치시켜야 하고, 정확한 장착 위치에 리프트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리프트를 여러 번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aircraft exterior mounting apparatus, when mounting the mount mounted on the pedestal 50 to the aircraft (mainly mounted under the wing),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 and two mounting points on the aircraft (vertical of the aircraft wing) Direction,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ove the lift several times in order to position the lift in the correct mounting position.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575195호(2015.12.01 등록)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515795 (registered Dec. 1, 2015)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7067호(2005.05.19 공개)Patent Document 2: Publication No. 10-2005-0047067 (published May 19, 2005) 특허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1031872호(2011.04.21 등록)Patent Document 3: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31872 (Registered April 21,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대의 위치를 전후, 좌우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원활하게 항공기에 미사일 등의 외부 장착물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nal aircraft mounting apparatus for mounting an external attachment such as a missile to an aircraft by configuring the position of the pedestal so as to be adjustable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와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와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assembly of the upper side is provided with a pedestal for loading the mounting and the lower body assembly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on the bottom and the And a link mechanism connecting the pedestal assembly and the body assembly to enable the pedestal assembly to be lowered and tiltable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상기 링크기구는 일단이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제1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조립체에 제2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축에 상기 제2축을 회전시키는 기어수단이 설치된 구동링크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제3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조립체에 제4축으로 연결된 종동링크를 포함한다.The link mechanism includes a driving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edestal assembly on a first axis,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dy assembly on a second axis, and a gear means for rotating the second shaft on the second axis, and one end of the link mechanism. And a driven link connected to the pedestal assembly in a third axis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dy assembly in a fourth axis.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종동링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된다.The drive link and the driven link are locat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기어수단은 상기 제2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워엄 기어축을 구비하는 워엄 기어와 상기 워엄 기어와 직교한 상태로 맞물리며 나선 형상으로 되는 워엄과 상기 워엄의 워엄 축에 연결되어 상기 워엄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워엄 핸들을 포함한다.The gear means is connected to the worm gear having a worm gear shaft connected integrally to the second shaft and the worm gear is orthogonal to the worm gear and is connected to the worm shaft of the worm and the worm shaft of the worm to rotate the worm. It includes a worm handle.

상기 구동링크 또는 상기 종동링크에는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수단이 설치된다.The drive link or the driven link is provided with tilting means for allowing the pedestal assembly to tilt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body assembly.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제2축 또는 제3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니언 축을 구비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평행하게 위치되게 상기 몸체 조립체에 고정되는 렉 기어와 상기 피니언 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를 포함한다.The tilting means includes a pinion gear having a pinion shaf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r third shaft, and a rack gear and the pinion shaft fixed to the body assembly to be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and positioned parallel to the pedestal assembly. And a gripping portion connected to rotate the pinion gear.

상기 피니언 축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 조립체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축이 통과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피니언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피니언 지지프레임의 장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피니언 축의 단부에 결합된다.And a pinion support frame installed in the body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pinion shaft is installed and having a long hole through which the pinion shaft passes,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ng hole of the pinion support frame.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inion shaft.

상기 피니언 축에는 수나사가 가공되고 상기 수나사에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가 설치된다.The pinion shaft is machined with a male screw, and a clutch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is installed at the male screw.

상기 클러치는 금속과 상기 금속에 부착된 마찰 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 축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마찰 패드가 상기 몸체 조립체 또는 피니언 지지프레임에 구비한 마찰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된다.The clutch is composed of a metal and a friction pad attached to the metal. The clutch is screwed to the male screw of the pinion shaft and rotates to selectively adhere to the friction surface of the body assembly or the pinion support frame.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상기 받침대가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pedestal is installed in the pedestal assembly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linearly and rotatably.

상기 받침대 조립체는 상기 링크기구와 연결되는 받침판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레일과 상기 한 쌍의 제2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4 레일과, 상기 제3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이동부 및 제4 이동부와, 상기 제3 이동부와 상기 제4 이동부에 각각 회전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받침대를 포함한다.The pedestal assembly is provided o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nd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which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fixed to the upper support plate supporting frame connected to the link mechanism A third rail interconnecting the pair of first moving parts and the second moving part and the pair of first moving parts and a fourth rail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econd moving parts to be movable; A third moving part and a fourth moving part installed on the third rail and the fourth rail so as to be movable, respectively, and the third moving part and the fourth moving part rotatably installed through a rotation means, respectively. It includes a pedestal.

상기 제1 내지 제4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이동부가 제1 내지 제4 레일을 따라 이동한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이동부 고정핸들을 포함한다.And a moving part fixing handl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moving parts to fix or release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moving parts move along the first to fourth rails.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3 및 제4 이동부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축공이 형성되는 가이드 홀더와, 상기 가이드 홀더의 축공과 연통되게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받침대공과 상기 가이드 홀더의 축공에 관통 결합되는 받침대 축과, 상기 받침대공과 수직인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 축에 대한 상기 받침대의 회전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받침대 고정핸들을 포함한다.The rotating means is installed on top of the third and fourth moving parts, respectively, a guide holder having a shaft hole, a pedestal shaft formed through the pedestal hole formed in the pedestal and the shaft hole of the guide holder in communication with the shaft hole of the guide holder. And a pedestal fixing handle coupled to the pedestal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pedestal hole to fix or release rotation of the pedestal about the pedestal shaft.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이 V자 또는 U자로 요입된 구조를 갖는다.The pedestal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recessed in a V or U shape.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와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와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기어수단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고 틸팅수단에 의해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된 링크기구를 포함한다.A pedestal that can be loaded with a pedestal is connected to the pedestal assembly of the upper side where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linearly movable and rotatably installed, and the lower body assembly having a moving wheel on the bottom, and the pedestal assembly and the body assembly The pedestal assembly includes a link mechanism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ody assembly by a gear means and to be tiltable left and right by a tilting means.

본 발명은 항공기 날개에 외부 장착물을 설치시 받침대의 위치를 전후, 좌우 조정하여 보다 원활하게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more smoothly mounted on the aircraf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edestal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when installing the external attachment to the aircraft wing.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장착물을 거치하는 받침대 간의 거치 간격도 조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mounting spacing between the pedestal for mounting the external mounting has the effect of installing a variety of external mounting on the aircraft.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대형, 중량물의 외부 장착물용 리프트 장치에 비해 워엄과 피니언 등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장치로 대체하여 소형으로 승하강 및 틸팅(좌우 기울기 조정) 기능을 갖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를 구현할 있어 항공기에 외부 장착물을 장착하는 용도 뿐만 아니라 리프팅과 틸팅 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replaced with a mechanically operated device such as worm and pinion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large, heavy lifting device for external mounting, the aircraft external mount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lifting and tilting (tilt adjustment) In addition to the use of the external mounting on the aircraf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that require lifting and tilting functions.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리프트 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유압식 리프트 장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링크기구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받침대 조립체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서 링크기구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lift device.
2 and 3 show a conventional hydraulic lift devic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craft exter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k mechanism of FIG. 4; FIG.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edestal assembly portion of FIG. 4; FIG.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nk mechanism portion in the aircraft exter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craft exter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10)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100)와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200) 및 받침대 조립체(100)와 몸체 조립체(200)를 연결하는 링크기구(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aircraft external moun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edestal assembly 100 and a lower body assembly 200 and a pedestal assembly 100 and a body assembly 200. It includes a link mechanism 300 for connecting.

받침대 조립체(100)는 항공기 날개에 장착할 외부 장착물을 적재하기 위한 받침대(160)를 포함한다. 받침대(160)는 외부 장착물을 적재하기 위해 상부면이 V자 또는 U자(반원형)로 요입된 구조를 갖는다. 외부 장착물은 항공기에 장착하는 미사일 등이 해당할 수 있다.The pedestal assembly 100 includes a pedestal 160 for loading an external mount for mounting on an aircraft wing. Pedestal 16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recessed in a V-shaped or U-shaped (semi-circular) to load the external mounting. The external attachment may correspond to a missile mounted on an aircraft.

또한, 받침대 조립체(100)는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160)가 길이방향으로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된다. 받침대 조립체(100)는 받침대(160)를 지지하는 가이드홀더(151)를 기준으로 받침대(160)가 전후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된다.In addition, the pedestal assembly 100 is such that the pedestal 160, which can load the mounting, can be mov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able. The pedestal assembly 100 allows the pedestal 160 to be moved back and forth linearly and rotationally based on the guide holder 151 supporting the pedestal 160.

링크기구(300)는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한다. 링크기구(300)의 승하강은 상부측 받침대 조립체(100)와 하부측 몸체 조립체(200) 사이를 연결하는 구동링크(310)와 종동링크(320)를 양단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켜 구현하며, 좌우 틸팅 기능은 구동링크(310) 또는 종동링크(320)의 회전 중심점을 좌우로 이동시켜 구현한다. 받침대 조립체(100)의 승하강과 좌우 틸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링크(310)와 종동링크(320)는 X자형 구조가 아닌 평행사변형 구조를 갖는다.The link mechanism 300 allows the pedestal assembly 100 to be liftable and tiltable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200.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link mechanism 300 is implemented by rotationally driving the drive link 310 and the driven link 320, which connects between the upper side pedestal assembly 100 and the lower body assembly 200 about both ends of the axis, Left and right tilting function is implemented by mov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 link 310 or driven link 320 to the left and right. The driving link 310 and the driven link 320 for implemen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and left and right tilting functions of the pedestal assembly 100 have a parallelogram structure rather than an X-shaped structure.

몸체 조립체(200)는 육면체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전체 구조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 조립체(200)는 저면에 이동바퀴(230)가 구비된다. 이동바퀴(230)는 브레이크(231)를 구비하여 몸체 조립체(200)가 이동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Body assembly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frame and serves to support the entire structure. Body assembly 200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230 on the bottom. The moving wheel 230 may include a brake 231 to fix a state in which the body assembly 200 is moved.

몸체 조립체(200)는 전체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육면체 프레임(210)과 육면체 프레임(210)의 상부측을 연결하여 링크기구(3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연결 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220)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되며, 후술할 렉 기어 및 렉 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피니언 기어의 좌우 이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간섭방지부(221)를 구비한다.Body assembly 200 includes a connection frame 220 to connect the upper side of the hexahedral frame 210 and the hexahedral frame 210 for supporting the entire structure to install the link mechanism 300. The connection frame 220 is a pair that i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s a rack gear and an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221 for providing a left and right movement space of the pinion gear to move along the rack gear to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링크기구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ink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에는 도 4의 링크기구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k mechanism of FIG. 4.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링크기구(300)는 구동링크(310), 종동링크(320), 기어수단(330), 틸팅수단(35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ink mechanism 300 includes a drive link 310, a driven link 320, a gear means 330, and a tilting means 350.

구동링크(310)와 종동링크(320)는 각각 바아 형상으로 되고 받침대 조립체(100)와 몸체 조립체(20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나란히 연결하는 한 쌍으로 되며 평행사변형 구조를 갖는다. The drive link 310 and the driven link 320 is a bar shape, respectively, and a pair of connecting the pedestal assembly 100 and the body assembly 200 side by side at 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ide by side and a parallelogram structure Have

구동링크(310)는 일단이 받침대 조립체(100)에 제1축(311)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 조립체(200)에 제2축(미도시)으로 연결된다. 종동링크(320)는 일단이 받침대 조립체(100)에 제3축(321)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 조립체(200)에 제4축(323)으로 연결된다. One end of the driving link 310 is connected to the pedestal assembly 100 by the first shaft 31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ody assembly 200 by the second shaft (not shown). The driven link 32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edestal assembly 100 by a third shaft 32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dy assembly 200 by a fourth shaft 323.

실질적으로는, 구동링크(310)의 제1축(311)과 종동링크(320)의 제3축(321)은 받침대 조립체(100)의 받침판 지지프레임(120)에 연결되고. 구동링크(310)의 제2축과 종동링크(320)의 제4축(323)은 몸체 조립체(200)의 연결 프레임(220)에 연결된다. 받침판 지지프레임(120)과 연결 프레임(220)은 상호 평행하게 위치된다.Substantially, the first shaft 311 of the drive link 310 and the third shaft 321 of the driven link 320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support frame 120 of the pedestal assembly 100. The second shaft of the drive link 310 and the fourth shaft 323 of the driven link 32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220 of the body assembly 200. The support plate support frame 120 and the connection frame 220 are positioned in parallel to each other.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제2축을 회전시키는 기어수단(330)이 설치된다. 기어수단(330)은 제2축을 회전시켜 구동링크(310)를 회전시킨다. 구동링크(310)의 회전시 종동링크(320)도 함께 연동 회전되어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승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링크(310)의 제2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하강하고 제2축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받침대 조립체(100)가 승강한다.Gear means 330 for rotating the second shaft is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of the drive link (310). The gear unit 330 rotates the second shaft to rotate the drive link 310. When the drive link 310 is rotated, the driven link 320 is also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pedestal assembly 100 can be rais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200. For example, when the second axis of the drive link 310 rotates clockwise, the pedestal assembly 100 descends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200, and when the second axis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pedestal assembly 100 Go up and down.

기어수단(330)은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워엄 기어(331)와 워엄(335)을 포함한다.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워엄 기어(331)의 워엄 기어축(333)이 일체로 연결되며, 나선 형상으로 되는 워엄(335)이 워엄 기어(331)와 직교한 상태로 맞물린다. The gear means 330 includes a worm gear 331 and a worm 335 which ar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of the drive link 310. The worm gear shaft 333 of the worm gear 33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of the drive link 310, and the worm 335 having a spiral shape is engaged with the worm gear 331 at right angles.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워엄 기어(331)의 워엄 기어축(333)은 제2축에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고 워엄 기어축(333)이 제2축을 대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축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워엄 기어축(333)만 표시할 수 있다. The worm gear shaft 333 of the worm gear 331 integrally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of the drive link 31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and the worm gear shaft 333 may replace the second shaft. . Therefore, only the worm gear shaft 333 may be displayed without separately displaying the second shaft.

참고로, 제2축에 워엄 기어축(333)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는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워엄 기어축(333)은 중공 축으로, 워엄 기어축(333)의 중공에 제2축이 압입식으로 삽입되어 일체로 연결된다. 워엄(335)의 워엄 축(336)에 워엄(335)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워엄 핸들(337)이 연결된다. 워엄 핸들(337)을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워엄(335)의 나선 형상이 회전함에 의해 워엄(335)에 맞물리는 워엄 기어(331)가 회전하게 된다. For reference, the state in which the worm gear shaft 33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may be confirmed in FIG. 8. The worm gear shaft 333 is a hollow shaft, and the second shaft is press-fitted into the hollow of the worm gear shaft 333 and connected integrally. A worm handle 337 capable of rotating the worm 335 is connected to the worm shaft 336 of the worm 335. When the worm handle 337 is gripped and rotated, the worm gear 331 meshing with the worm 335 rotates by rotating the spiral shape of the worm 335.

워엄(335)은 워엄 축(336)의 양단이 기어 지지프레임(34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다. 기어 지지프레임(340)은 일면이 연결 프레임(220)에 고정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워엄(335)의 워엄 축(336)은 베어링, 멈춤링 등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기어 지지프레임(340)에 설치할 수 있다.The worm 335 is rotatably installed so that both ends of the worm shaft 336 are supported by the gear support frame 340. One side of the gear support frame 340 is fixed to the connection frame 22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worm shaft 336 of the worm 335 may be installed on the gear support frame 340 to be rotatable by a bearing, a stop ring, or the like.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제2축을 좌우 이동시키는 틸팅수단(350)이 설치된다.Tilting means 350 is provided to move the second axis left and right on the second axis of the drive link 310.

틸팅수단(350)은 구동링크(310)의 회전 중심축인 제2축을 좌우 이동시켜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2축에 워엄 기어축(333)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틸팅수단(350)은 워엄 기어축(333)을 좌우 이동시키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The tilting means 350 moves the second axis,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driving link 310, to the left and right to tilt the pedestal assembly 100 to the body assembly 200. Since the worm gear shaft 33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the tilting means 350 may be viewed as moving the worm gear shaft 333 left and right.

틸팅수단(350)은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351)와 피니언 기어(351)와 맞물리는 렉 기어(357)를 포함한다. 구동링크(310)의 제2축에 피니언 기어(351)의 피니언 축(353)이 일체로 연결된다. 실질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을 피니언 축(353)과 일체로 연결하지 않고, 제2축이 피니언 축(353)이 되며 피니언 축(353)이 워엄 기어축(333)의 중공에 관통 삽입되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The tilting means 350 includes a pinion gear 351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of the drive link 310 and a rack gear 357 that meshes with the pinion gear 351. The pinion shaft 353 of the pinion gear 35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of the drive link 310. Substantially, as shown in FIG. 6, without connecting the second shaft integrally with the pinion shaft 353, the second shaft becomes the pinion shaft 353 and the pinion shaft 353 of the worm gear shaft 333. It may be inserted through the hollow and connected integrally.

피니언 축(353)의 일측 끝단에 피니언 기어(351)가 설치된다. 피니언 축(353)은 몸체 조립체(200)에 고정된 렉 기어(357)와 맞물려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렉 기어(357)는 제2축 즉, 피니언 축(353)이 회전 중심점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받침대 조립체(100)와 평행하게 위치되어야 하므로, 받침대 조립체(100)와 평행하게 위치되게 몸체 조립체(20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니언 기어(351)와 렉 기어(357)는 피니언 기어(351)가 렉 기어(357)와 맞물려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프레임(220)의 간섭방지부(221)에 위치하고, 렉 기어(357)는 연결 프레임(220)에 설치된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The pinion gear 351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inion shaft 353. The pinion shaft 353 may engage with the rack gear 357 fixed to the body assembly 200 and move left and right. The rack gear 357 should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pedestal assembly 100 so that the second axis, that is, the pinion shaft 353, can move left and right only at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us the body assembly 200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pedestal assembly 100. It is fixed to). Preferably, the pinion gear 351 and the rack gear 357 are positioned on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221 of the connecting frame 220 so that the pinion gear 351 can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357 and move left and right. 357 is firmly fixed to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220.

실질적으로, 렉 기어(357)는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연결판(370')에 고정 결합된다. 연결판(370)은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일부이며, 렉 기어(357)는 연결판(370')의 앞 뒤 2개소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도 5 및 도 7 참조).In practice, the rack gear 357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370 ′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The connecting plate 370 is a part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and the rack gear 357 is fixedly coupled to two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connecting plate 370 ', respectively (see FIGS. 5 and 7).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은 연결 프레임(220)의 양측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은 피니언 축(353)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연결 프레임(220)에 설치되고, 피니언 축(353)이 통과하는 장공(371)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frame 220. Specifically,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frame 2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pinion shaft 353 is installed, and the long hole 371 through which the pinion shaft 353 passes is form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피니언 축(353)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3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360)를 포함한다.And a gripper 360 connected to the pinion shaft 353 to rotate the pinion gear 351.

피니언 축(또는 제2축)(353)은 장공(371)을 관통하여 조립되며 장공(371)을 관통한 피니언 축(353)에 피니언 기어(3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360)가 구비된다. 즉, 파지부(360)는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장공(37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피니언 축(353)의 단부에 결합된다. 파지부(360)가 결합되는 피니언 축(353)의 단부에는 파지부(360)와 형합이 되는 홈이 구비되어 파지부(36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inion shaft (or the second shaft) 353 is assembled through the long hole 371, and the holding unit 360 capable of rotating the pinion gear 351 to the pinion shaft 353 passing through the long hole 371 is provided. It is provided. That is, the gripper 36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inion shaft 353 through the long hole 371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 end portion of the pinion shaft 353 to which the gripper 360 is coupled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that is formed in the gripper 360 to facilitate coupling of the gripper 360.

파지부(360)를 회전시켜 피니언 축(353)을 회전시키면 렉 기어(357)와 장공(371)에 의해 피니언 축(353)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장공(371)의 길이에 의해 피니언 축(353)의 좌우 이동량이 정해지고 결과적으로 틸팅 각도가 일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공(371)의 길이에 따라 틸팅 각도가 0~10 °, -20°~20°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When the pinion shaft 353 is rotated by rotating the gripper 360, the pinion shaft 353 may move left and right by the rack gear 357 and the long hole 371. The length of the long hole 371 determines the amount of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inion shaft 353, and consequently, the tilting angle may be limited to a certain range. For example, the tilting angle may be limited to a range of 0 to 10 ° and −20 ° to 20 °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ong hole 371.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장공(371)을 관통한 피니언 축(353)에는 수나사(355)가 가공되고 수나사(355)에 피니언 기어(351)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380)가 설치된다. A male screw 355 is machined into the pinion shaft 353 passing through the long hole 371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and a clutch 38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351 to the male screw 355. Is installed.

클러치(380)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과 금속에 부착된 마찰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러치(380)는 중공 부분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피니언 축(353)의 수나사(355)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마찰 패드가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에 구비한 마찰면(373)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피니언 기어(351)의 회전 상태를 잠금할 수 있다. The clutch 38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of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may be composed of a metal and a friction pad attached to the metal. The clutch 380 has a female thread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and is screwed to the male thread 355 of the pinion shaft 353, and is selectively adhered to the friction surface 373 provided with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by the rotation of the friction pad. It is possible to lock the rotation state of the pinion gear 351.

마찰면(373)은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외면 일부를 곡선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클러치(380)가 회전하여 마찰 패드 부분이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마찰면(373)과 맞닿아 밀착되면 피니언 축(353)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클러치 잠금 상태가 된다. 또한, 클러치(38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찰 패드 부분이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마찰면(373)과 밀착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거나 인력에 의해 파지부(360)를 회전시켜 피니언 기어(351)가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51)의 좌우 이동시 특정 위치에서 클러치(380)를 잠금하면 피니언 축(353)은 임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클러치(380)는 받침대(160)에 설치된 외부 장착물이나 링크기구(300)의 자중에 의해 피니언 기어(351)가 임의 회전하여 받침대(160)가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friction surface 373 form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to protrude in a curved shape, and the clutch 380 rotates so that the friction pad portion abuts against the friction surface 373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When the pinion shaft 353 is not rotated, the pinion shaft 353 is fixed, and thus the clutch lock state is restricted. In addition, when the clutch 38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release the friction pad part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surface 373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the grip part 360 may be removed by using an appropriate tool or by manpower. The pinion gear 351 may move left and right by rotating. In addition, when the pinion gear 351 is moved left and right, when the clutch 380 is locked at a specific position, the pinion shaft 353 is fixed without rotation. The clutch 380 is for preventing the pedestal gear 351 from tilting due to the arbitrary rotation of the pinion gear 351 due to the external attachment installed on the pedestal 160 or the weight of the link mechanism 300.

링크기구의 승하강 작동 및 틸팅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lifting and tilting operation of the linkage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링크기구(300)는 하부측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회전하는 우측 구동링크(310)에 워엄(335)과 워엄 기어(331)를 설치하고 워엄 핸들(337)을 회전시켜 워엄(335)을 회전시키면 구동링크(310)에 일체로 설치된 워엄 기어(331)의 회전에 의해 링크기구(300)의 높이가 조정된다. 높이가 조정된 링크기구(300)는 워엄(335)과 워엄 기어(331)의 특성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높이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된다.The link mechanism 300 installs the worm 335 and the worm gear 331 on the right drive link 310 which rotates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assembly 200, and rotates the worm handle 337 to rotate the worm 335. When rotated, the height of the link mechanism 300 is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worm gear 331 integrally installed in the drive link 310. The height-adjusted link mechanism 300 is fixed at the height-adjusted position without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m 335 and the worm gear 331.

링크기구(300)의 틸팅 작동은 클러치(380)를 회전시켜 피니언 축(353)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도구나 인력으로 피니언 축(353)을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피니언 축(353)의 회전시 피니언 기어(351)는 렉 기어(357)와 맞물리면서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에 형성한 장공(371)의 길이 범위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피니언 축(353)에 동심으로 설치된 구동링크(310)의 회전 중심점 즉, 제2축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받침대(160)가 지면(또는 바닥면)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틸팅) 된다.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link mechanism 300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clutch 380 to release the rotation lock state of the pinion shaft 353 and then rotating the pinion shaft 353 with a tool or a manpower. When the pinion shaft 353 rotates, the pinion gear 351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357 to move from side to side in the length range of the long hole 371 formed in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As a result, the pinion shaft 353 By mov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 link 310, i.e., the second axis, left and right concentrically, the pedestal 160 is inclined (tilting) to the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or the bottom surface).

기어수단(330), 틸팅수단(350)의 작동이 수동 또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gear means 330, the tilting means 350 may be performed manually or automatically by the power of the motor.

이하에서는 받침대 조립체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edestal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에는 도 4의 받침대 조립체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assembly portion of FIG. 4.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받침대 조립체(100)는 받침판(110), 제1 내지 제4 레일(131,133,137,139), 제1 내지 제4 이동부(135,136,141,143), 받침대(160), 이동부 고정핸들(170)을 포함한다. 4 and 6, the pedestal assembly 100 includes a support plate 110, first to fourth rails 131, 133, 137, 139, first to fourth moving parts 135, 136, 141, 143, pedestal 160, and moving parts. It includes a fixing handle 170.

받침대(160)는 제1 내지 제4 레일(131,133,137,139)과 제1 내지 제4 이동부(135,136,141,143)에 의해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다. 받침대(160)를 레일(131,133,137,139) 위에 설치하여 전후 좌우 직선 이동이 가능하고, 받침대(160) 자체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The pedestal 16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linearly by the first to fourth rails 131, 133, 137 and 139 and the first to fourth moving parts 135, 136, 141 and 143. The pedestal 160 is installed on the rails 131, 133, 137, and 139 so that the front and rear linear movement is possible, and the pedestal 160 itself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10)은 링크기구(300)와 연결되는 받침판 지지프레임(1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사각판 형상이다. 받침판(1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이 설치된다.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한 쌍으로 된 제1 이동부(135)와 제2 이동부(136)가 각각 설치된다. 한 쌍의 제1 이동부(135)를 제3 레일(137)이 상호 연결하고, 한 쌍의 제2 이동부(136)를 제4 레일(139)이 상호 연결한다. 제3 레일(137)에 제3 레일(137)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3 이동부(141)가 설치되고 제4 레일(139)에 제4 레일(139)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4 이동부(143)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3 이동부(141)와 제4 이동부(143)에 각각 받침대(16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plate 11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support frame 120 connected to the link mechanism 300. The first rail 131 and the second rail 133 are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0. Paired first moving parts 135 and second moving parts 136 are provided on the first rail 131 and the second rail 133, respectively. The third rail 137 interconnects the pair of first moving parts 135, and the fourth rail 139 interconnects the pair of second moving parts 136. The third moving part 141 that is movable along the third rail 137 is installed on the third rail 137 and the fourth moving part 143 that is movable along the fourth rail 139 on the fourth rail 139. ) Is installed. In addition, pedestals 160 are installed on the third and fourth moving units 141 and 143, respectively.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135)와 제2 이동부(136)는 받침대(160)를 좌우 직선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3 레일(137)을 따라 이동하는 제3 이동부(141)와 제4 레일(139)을 따라 이동하는 제4 이동부(143)는 받침대(160)를 전후 직선 이동시킨다. 여기서, 좌우 직선 이동은 받침판(11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고, 전후 직선 이동은 받침판(110)의 폭 방향에 해당한다. 그에 따라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은 제3 레일(137) 및 제4 레일(139)과 직교하는 위치로 배치된다.The pair of first moving parts 135 and the second moving parts 136 moving along the first rail 131 and the second rail 133 move the pedestal 160 in a lin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third moving part 141 moving along the third rail 137 and the fourth moving part 143 moving along the fourth rail 139 move the pedestal 160 back and forth linearly. Here, the left and right linear movements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10, and the front and rear linear movements correspond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110. Accordingly, the first rail 131 and the second rail 133 are disposed at positions perpendicular to the third rail 137 and the fourth rail 139.

제1 내지 제4 이동부(135,136,141,14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1 내지 제4 레일(131,133,137,139)을 따라 받침대(160)가 이동한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이동부 고정핸들(170)이 구비된다. 이동부 고정핸들(170)은 회전에 의해 각 레일(131,133,137,139)과 선택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받침대(160)가 각 레일(131,133,137,139)을 이동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A moving part fixing handle 17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moving parts 135, 136, 141, and 143 to fix or release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160 is moved along the first to fourth rails 131, 133, 137, and 139. The moving part fixing handle 170 may be fixed to the rails 131, 133, 137, and 139 selectively by rotation to fix the state in which the pedestal 160 moves the rails 131, 133, 137, and 139.

받침대(160)는 미사일 등의 외부 장착물 적재가 용이하도록 상부면이 V자 또는 U자로 요입된 구조를 갖는다. The pedestal 16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concaved with a V or U shape to facilitate loading of an external attachment such as a missile.

받침대(160)는 제3 이동부(141)와 제4 이동부(143)에 각각 회전수단(15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침대(160)는 받침대(160)를 지지하는 가이드홀더(151)를 기준으로 회전운동 가능하다.The pedestal 16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hird moving part 141 and the fourth moving part 143 through the rotation means 150, respectively. The pedestal 160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guide holder 151 supporting the pedestal 160.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150)은 가이드 홀더(151), 받침대 축(163), 받침대 고정핸들(165)을 포함한다. 가이드 홀더(151)는 제3 및 제4 이동부(143)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축공(153)이 형성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rotation means 150 includes a guide holder 151, a pedestal shaft 163, and a pedestal fixing handle 165. The guide holder 151 is installed on the third and fourth moving parts 143, respectively, and the shaft hole 153 is formed.

가이드 홀더(151)의 상부면에 받침대(160)가 설치되며, 가이드 홀더(151)에 받침대 축(163)을 매개로 받침대(16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가이드 홀더(151)에 축공(153)이 형성되며, 받침대 축(163)은 가이드 홀더(151)의 축공(153)과 연통되게 받침대(160)에 형성된 받침대공(161)과 가이드 홀더(151)의 축공(153)에 관통 결합된다.The pedestal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holder 151, and the pedestal 160 is rotatably fixed to the guide holder 151 via the pedestal shaft 163. A shaft hole 153 is formed in the guide holder 151, and the pedestal shaft 163 has a pedestal hole 161 and the guide holder 151 formed in the pedestal 16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haft hole 153 of the guide holder 151. It is coupled through the shaft hole 153 of the.

받침대(160)는 받침대 고정핸들(165)을 구비된다. 받침대 고정핸들(165)은 받침대공(161)과 수직인 위치에서 받침대(160)에 결합되어 받침대 축(163)을 가압함으로써 받침대 축(163)에 대한 받침대(160)의 회전을 고정 또는 해제한다.Pedestal 160 is provided with a pedestal fixing handle (165). The pedestal fixing handle 165 is coupled to the pedestal 160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pedestal hole 161 to press or hold the pedestal shaft 163 to fix or release the rotation of the pedestal 160 about the pedestal shaft 163. .

받침대(160)는 받침대 축에 베어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받침대 축과 받침대가 면접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받침대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가이드 홀더와 받침대 간 일정한 틈새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를 갖는 받침대 축(163)이 가이어 홀더(151)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설치한 후 받침대(160)를 그 단차면까지 조립하여 가이어 홀더(151)의 상면과 받침대(160)의 저면이 일정한 틈새를 갖도록 한다.The pedestal 160 may be supported by a bearing on the pedestal shaft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edestal shaft and the pedestal are in surface contact. However, in order to smoothly rotate the pedestal it is desirable to leave a certain gap between the guide holder and the pedest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destal shaft 163 having the step is installed to protrude relatively more than the top surface of the ear holder 151, and then the pedestal 160 is assembled to the step surface so that the top surface and the pedestal ( The bottom of 160) should have a certain clearance.

받침대의 전후 좌우 직선 이동과 회전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linear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pedest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받침대(160)의 전후 직선 이동은 이동부 고정핸들(170)을 회전시켜 이동부(135,136,141,143)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받침대(160)를 파지하고 제3 이동부(141)가 제3 레일(137)을 따라 이동되게 하거나 제4 이동부(143)가 제4 레일(139)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것에서 구현 가능하다. Fore and aft linear movement of the pedestal 160 holds the pedestal 160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arts 135, 136, 141 and 143 are movable by rotating the moving part fixing handle 170 and the third moving part 141 makes a third movement. It may be possible to move along the rail 137 or to move the fourth moving part 143 along the fourth rail 139.

그리고, 받침대(160)의 좌우 직선 이동은 제3 레일(137) 및 제4 레일(139)을 파지하고 제3 레일(137)의 제1 이동부(135)가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을 따라 이동되게 하거나 제2 이동부(136)가 제1 레일(131)과 제2 레일(133)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것에서 구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linear movement of the pedestal 160 grips the third rail 137 and the fourth rail 139, and the first moving part 135 of the third rail 137 is formed of the first rail 131 and the first rail 131. The second rail 133 may be moved or the second moving part 136 may be moved along the first rail 131 and the second rail 133.

받침대(160)가 이동된 상태는 각 이동부 고정핸들(170)을 전술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각 이동부(135,136,141,143)가 이동한 상태를 고정함에 의해 가능하다.The state in which the pedestal 160 is moved is possible by rotating each moving part fixing handle 17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mentioned direction to fix the moving state of each moving part 135, 136, 141, 143.

받침대(160)의 회전 작동은 받침대 고정핸들(165)을 회전시켜 받침대 고정핸들(165)의 단부가 받침대 축(163)에 가압 밀착된 상태를 해제한 후 받침대(160)를 파지하고 회전시켜 수행할 수 있다.Rotation operation of the pedestal 160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pedestal fixing handle 165 to release the end of the pedestal fixing handle 16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edestal shaft 163, and then holding and rotating the pedestal 160 can do.

한편, 본 실시예는 1개의 받침대에 대해 다른 1개의 받침대가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여 외부 장착물을 받치는 지지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크기와 길이의 외부 장착물을 받침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djusted to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int for supporting the external mounting by the other one pedestal is movable and fixe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rail with respect to one pedestal. This allows the external mountings of various sizes and lengths to be mounted on the pedestal.

또한 2개의 받침대가 각각 회전함으로써 받침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외부 장착물의 종축을 경사지게 둘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설치시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전체를 움직이지 않고 항공기와 외부 장착물 간의 정확한 결합 위치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The two pedestals can also be rotated respectively so tha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external mounting can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As a result, when the external mount is installed on the aircraft, it is possible to fit the exact engagement position between the aircraft and the external mount without moving the entire aircraft external mount mounting device.

받침대의 전후 좌우 직선 이동 및 회전 작동은 레일 및 받침대 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와 같은 부품들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직선 운동은 볼 나사, 볼 부시, LM 가이드, 가이드 레일, 베어링, 스토퍼, 고정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회전 작동은 베어링, 회전축, 베어링 커버(씰 포함), 베어링 너트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받침대 모두가 이동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나 1개는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받침대만 이동 가능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linear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pedestal is not limited to the rail and pedestal axis,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using the following components. Linear motion can be achieved using ball screws, ball bushes, LM guides, guide rails, bearings, stoppers, fixtures, etc., and rotary motion can be implemented using bearings, rotating shafts, bearing covers (including seals), bearing nut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two pedestals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but one may be fixed and only the other pedestal may be implemented to be movable.

상술한 본 실시예는 기어수단(330)과 틸팅수단(350)을 구동링크(310)에 설치하여 승하강과 틸팅 기능을 구동링크(310)에서 모두 구현한다. 그러나 구동링크(310)에서 승하강 기능을 구현하고 종동링크(320)에서 틸팅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그 다른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gear means 330 and the tilting means 350 are installed in the drive link 310 to implement both the lifting and tilting functions in the drive link 310. However, the driving link 310 may implement the lifting and lowering function, and the driven link 320 may implement the tilting function. Another embodiment thereof is shown in FIG. 8.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에서 링크기구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nk mechanism portion in the aircraft external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는 구동링크(310)의 제2축(313)에 제2축(313)을 회전시키는 기어수단(330)이 설치되고, 종동링크(320)의 제4축(323)에 제4축(323)을 좌우 이동시키는 틸팅수단(350)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7, in another embodiment, a gear means 330 for rotating the second shaft 313 on the second shaft 313 of the drive link 310 is installed, and the driven link 320 is formed of the driven means 320. Tilting means 350 for moving the fourth shaft 323 to the left and right on the four shaft 323 is installed.

기어수단(330)은 제2축(313)을 회전시켜 구동링크(310)를 회전시킨다. 구동링크(310)의 회전시 종동링크(320)도 함께 연동 회전되어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승하강할 수 있다. The gear unit 330 rotates the second shaft 313 to rotate the drive link 310. When the drive link 310 is rotated, the driven link 320 is also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pedestal assembly 100 can be rais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200.

기어수단(330)은 구동링크(310)의 제2축(313)에 일체로 설치되는 워엄 기어(331)와 워엄(335)을 포함한다. 구동링크(310)의 제2축(313)에 워엄 기어(331)의 워엄 기어축(333)이 일체로 연결되며, 나선 형상으로 되는 워엄(335)이 워엄 기어(331)와 직교한 상태로 맞물린다. The gear means 330 includes a worm gear 331 and a worm 335 which are integrally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313 of the drive link 310. The worm gear shaft 333 of the worm gear 33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313 of the drive link 310, and the worm 335 having a spiral shape is orthogonal to the worm gear 331. To interlock.

워엄 기어축(333)은 중공 축으로 워엄 기어축(333)의 중공에 제2축(313)이 삽입되어 일체로 연결된다. 워엄(335)의 워엄 축(336)에 워엄(335)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워엄 핸들(337)이 연결된다. 워엄 핸들(337)을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워엄(335)의 나선 형상이 회전함에 의해 워엄(335)에 맞물리는 워엄 기어(331)가 회전하게 된다. The worm gear shaft 333 is a hollow shaft and the second shaft 313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worm gear shaft 333 is connected integrally. A worm handle 337 capable of rotating the worm 335 is connected to the worm shaft 336 of the worm 335. When the worm handle 337 is gripped and rotated, the worm gear 331 meshing with the worm 335 rotates by rotating the spiral shape of the worm 335.

워엄(335)은 워엄 축(336)의 양단이 기어 지지프레임(34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다. 기어 지지프레임(340)은 일면이 연결 프레임(220)에 고정된다.The worm 335 is rotatably installed so that both ends of the worm shaft 336 are supported by the gear support frame 340. One side of the gear support frame 340 is fixed to the connection frame 220.

틸팅수단(350)은 회전 중심축인 제4축(323)을 좌우 이동시켜 받침대 조립체(100)가 몸체 조립체(200)에 대해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4축(323)에 피니언 축(353)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틸팅수단(350)은 피니언 축(353)을 좌우 이동시키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The tilting means 350 moves the fourth shaft 323, which is a rotation center axis, to the left and right to enable tilting of the pedestal assembly 100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body assembly 200. Since the pinion shaft 35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ourth shaft 323, the tilting means 350 may move the pinion shaft 353 to the left and right.

틸팅수단(350)은 종동링크(320)의 제4축(323)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351)와 피니언 기어(351)와 맞물리는 렉 기어(357)를 포함한다. 종동링크(320)의 제4축(323)에 피니언 기어(351)의 피니언 축(353)이 일체로 연결된다. 실질적으로는 제4축(323)을 피니언 축(353)과 일체로 연결하지 않고, 제4축(323)이 피니언 축(353)이 될 수 있다.The tilting means 350 includes a pinion gear 351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ourth shaft 323 of the driven link 320 and a rack gear 357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351. The pinion shaft 353 of the pinion gear 35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ourth shaft 323 of the driven link 320. The fourth shaft 323 may be the pinion shaft 353 without substantially connecting the fourth shaft 323 integrally with the pinion shaft 353.

피니언 축(353)의 일측 끝단에 피니언 기어(351)가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351)는 몸체 조립체(200)에 고정된 렉 기어(357)와 맞물려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렉 기어(357)는 제4축 즉, 피니언 축(353)이 회전 중심점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받침대 조립체(100)와 평행하게 위치되어야 하므로, 받침대 조립체(100)와 평행하게 위치되게 몸체 조립체(20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니언 기어(351)와 렉 기어(357)는 피니언 기어(351)가 렉 기어(357)와 맞물려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 조립체(200)의 연결 프레임(220)의 간섭방지부(221)에 위치하고, 렉 기어(357)는 연결 프레임(220)에 설치된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The pinion gear 351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inion shaft 353. The pinion gear 351 may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357 fixed to the body assembly 200 to move left and right. The rack gear 357 should b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pedestal assembly 100 so that the fourth axis, that is, the pinion shaft 353 can move left and right only at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us the body assembly 200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pedestal assembly 100. It is fixed to). Preferably, the pinion gear 351 and the rack gear 357 are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221 of the connecting frame 220 of the body assembly 200 such that the pinion gear 351 may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357 and move left and right. Located in the rack gear 357 is firmly fixed to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installed in the connecting frame 220.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은 연결 프레임(220)의 양측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은 피니언 축(353)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연결 프레임(220)에 설치되고, 피니언 축(353)이 통과하는 장공(371)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frame 220. Specifically,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frame 2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pinion shaft 353 is installed, and the long hole 371 through which the pinion shaft 353 passes is form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피니언 축(353)에 연결되어 피니언 기어(3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360)를 포함한다.And a gripper 360 connected to the pinion shaft 353 to rotate the pinion gear 351.

피니언 축(또는 제4축)(353)은 장공(371)을 관통하여 조립되며 장공(371)을 관통한 피니언 축(353)에 피니언 기어(3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360)가 구비된다. 즉, 파지부(360)는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장공(37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피니언 축(353)의 단부에 결합된다. 파지부(360)가 결합되는 피니언 축(353)의 단부에는 파지부(360)와 형합이 되는 홈이 구비되어 파지부(36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inion shaft (or fourth shaft) 353 is assembled through the long hole 371, and the grip portion 360 capable of rotating the pinion gear 351 to the pinion shaft 353 through the long hole 371 is provided. It is provided. That is, the gripper 36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inion shaft 353 through the long hole 371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 end portion of the pinion shaft 353 to which the gripper 360 is coupled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that is formed in the gripper 360 to facilitate coupling of the gripper 360.

파지부(360)를 회전시켜 피니언 축(353)을 회전시키면 렉 기어(357)와 장공(371)에 의해 피니언 축(353)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장공(371)의 길이에 의해 피니언 축(353)의 좌우 이동량이 정해지고 결과적으로 틸팅 각도가 일정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공의 길이에 따라 받침대 조립체(100)의 틸팅 각도가 0~10 °, -20°~20°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When the pinion shaft 353 is rotated by rotating the gripper 360, the pinion shaft 353 may move left and right by the rack gear 357 and the long hole 371. The length of the long hole 371 determines the amount of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inion shaft 353, and consequently, the tilting angle may be limited to a certain range. For example, the tilting angle of the pedestal assembly 100 may be limited to a range of 0 to 10 ° and −20 ° to 20 °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long hole.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장공(371)을 관통한 피니언 축(353)에는 수나사(355)가 가공되고 수나사(355)에 피니언 기어(351)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380)가 설치된다. A male screw 355 is machined into the pinion shaft 353 passing through the long hole 371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and a clutch 380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351 to the male screw 355. Is installed.

클러치(380)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과 금속에 부착된 마찰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러치(380)는 중공 부분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피니언 축(353)의 수나사(355)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마찰 패드가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에 구비한 마찰면(373)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피니언 기어(351)의 회전 상태를 잠금할 수 있다. The clutch 38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of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may be composed of a metal and a friction pad attached to the metal. The clutch 380 has a female thread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and is screwed to the male thread 355 of the pinion shaft 353, and is selectively adhered to the friction surface 373 provided with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by the rotation of the friction pad. It is possible to lock the rotation state of the pinion gear 351.

마찰면(373)은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외면 일부를 곡선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클러치(380)가 회전하여 마찰 패드 부분이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마찰면(373)과 맞닿아 밀착되면 피니언 축(353)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클러치 잠금 상태가 된다. 또한, 클러치(380)를 회전하여 마찰 패드 부분이 피니언 지지프레임(370)의 마찰면(373)과 밀착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거나 인력에 의해 파지부(360)를 회전시켜 피니언 기어(351)가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51)의 좌우 이동시 특정 위치에서 클러치(380)를 잠금하면 피니언 축(353)은 임의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클러치(380)는 받침대(160)에 설치된 외부 장착물이나 링크기구(300)의 자중에 의해 피니언 기어(351)가 임의 회전하여 받침대(160)가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friction surface 373 form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to protrude in a curved shape, and the clutch 380 rotates so that the friction pad portion abuts against the friction surface 373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When the pinion shaft 353 is not rotated, the pinion shaft 353 is fixed, and thus the clutch lock state is restricted. In addition, by rotating the clutch 380 to release the friction pad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surface 373 of the pinion support frame 370, the pinion gear may be rotated by using an appropriate tool or by rotating the grip 360 by an attractive force. 351 may move left and right. In addition, when the pinion gear 351 is moved left and right, when the clutch 380 is locked at a specific position, the pinion shaft 353 is fixed without rotation. The clutch 380 is for preventing the pedestal gear 351 from tilting due to the arbitrary rotation of the pinion gear 351 due to the external attachment installed on the pedestal 160 or the weight of the link mechanism 300.

상술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 구동링크(310)에 받침대 조립체(100)의 승하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워엄(335)과 워엄 기어(331)를 설치하고, 종동링크(320)에 틸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피니언 기어(351)와 렉 기어(357), 클러치(380)를 설치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받침대(160)의 전후, 좌우 및 회전 기능은 동일하게 적용된다.In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worm 335 and the worm gear 331 for installing the lifting function of the pedestal assembly 100 in the drive link 310 is installed, and the tilting function is implemented in the driven link 320 The pinion gear 351, the rack gear 357, and the clutch 380 are installed. In other embodiments,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functions of the pedestal 160 are equally applicabl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항공기 날개에 외부 장착물을 설치시, 받침대에 외부 장착물을 거치(또는 결박장치로 고정)시킨 후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이후 '장착 장치'라 칭함)를 항공기 날개 아래로 이동시키고, 이동바퀴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장착 장치를 고정시킨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en installing the external mounting on the aircraft wing, the external mounting on the pedestal (or fixed with a strapping device) after mounting the external mounting device (hereinafter 'mounting device') Move under the wing of the aircraft, and activate the brake on the wheel to secure the mounting device.

이때, 장착 장치는 항공기 날개 아래의 구조물과의 간섭이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높이를 최저 높이로 조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후, 워엄 핸들(337)을 회전시켜 장착 장치(10)의 받침대 조립체(100)를 적당한 높이로 승강시키고, 클러치(380)의 잠금 해제 후 파지부(360)를 회전시켜 항공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항공기 날개의 좌우 경사진 각도만큼 받침대 조립체(100)를 좌우가 경사지게 조정하여 장착물의 암-수 커넥터 연결 작업 및 기계적 결합장치 결합 작업 등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the mounting device should be adjusted to the minimum height so that interference or collision with the structure under the wing of the aircraft does not occur. Thereafter, when the worm handle 337 is rotated to raise the pedestal assembly 100 of the mounting apparatus 10 to an appropriate height, and the grip portion 360 is rotated after the clutch 380 is unlocked, the aircraft is viewed from the side. By adjusting the pedestal assembly 100 left and right inclined by the left and right inclined angles of the aircraft wing, the female-male connector connection work and the mechanical coupling device coupling work of the mounting are performed.

이때, 종래의 리프트 장치는 외부 장착물과 항공기 간의 정확한 결합 위치에 리프트 장치가 놓이지 않을 경우 리프트 장치 전체를 이동시켜 외부 장착물과 항공기 간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장착 장치(10)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승하강, 틸팅 기능 등을 통해 정확한 결합 위치를 맞출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ventional lift device has been inconvenient to adjust the exact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external mounting and the aircraft by moving the entire lift device when the lift device is not placed in the correct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external mounting and the aircraft,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thout moving the entire mounting apparatus 1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xact engagement position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tilting function and the lik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항공기 날개에 외부 장착물을 설치시 받침대(160)의 위치를 전후, 좌우 조정하여 보다 원활하게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장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external attachment to the aircraft wing, the position of the pedestal 160 may be adjust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so that the external attachment may be more smoothly mounted to the aircraft.

또한 외부 장착물을 거치하는 받침대(160) 간의 거치 간격도 조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외부 장착물을 항공기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대형, 중량물의 외부 장착물용 리프트 장치에 비해 워엄과 피니언 등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장치로 대체하여 소형으로 리프팅(승하강) 및 틸팅(좌우 기울기 조정) 기능을 갖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를 구현할 있어 항공기에 외부 장착물을 장착하는 용도 뿐만 아니라 리프팅과 틸팅 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ounting interval between the pedestal 160 for mounting the external mounting is also adjustable, it is possible to install a variety of external mounting on the aircraft. In addition, it replaces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 worm and a pinion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large, heavy lifting device for external mounting, and replaces an aircraft external mounting device having a lifting (lifting) and tilting (adjustment of left and right tilt) function in a small size.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 of external attachments to the aircraf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requiring lifting and tilting functions.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in the best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Herein,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but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100: 받침대 조립체
110: 받침판 120: 받침판 지지프레임
131,133: 제1 및 제2 레일 135,136: 제1 및 제2 이동부
137,139: 제3 및 제4 레일 141,143: 제3 및 제4 이동부
150: 회전수단 151: 가이드 홀더
153: 축공 160: 받침대
161: 받침대공 163: 받침대 축
165: 받침대 고정핸들 170: 이동부 고정핸들
200: 몸체 조립체 210: 육면체 프레임
220: 연결 프레임 221: 간섭방지부
230: 이동바퀴 231: 브레이크
300: 링크기구 310: 구동링크
311: 제1축 313: 제2축
320: 종동링크 321: 제3축
323: 제4축 330: 기어수단
331: 워엄 기어 333: 워엄 기어축
335: 워엄 336: 워엄 축
337: 워엄 핸들 340: 기어 지지프레임
350: 틸팅수단 351: 피니언 기어
353: 피니언 축 355: 수나사
357: 렉 기어 360: 파지부
370: 피니언 지지프레임 371: 장공
373: 마찰면 380: 클러치
10: aircraft external mounting apparatus 100: pedestal assembly
110: support plate 120: support plate support frame
131 and 133: first and second rails 135 and 136: first and second moving parts
137,139: third and fourth rails 141,143: third and fourth moving parts
150: rotation means 151: guide holder
153: Axis 160: Pedestal
161: pedestal hole 163: pedestal shaft
165: base fixing handle 170: moving unit fixing handle
200: body assembly 210: hexahedral frame
220: connection frame 221: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230: wheel 231: brake
300: link mechanism 310: drive link
311: first axis 313: second axis
320: driven link 321: third axis
323: fourth axis 330: gear means
331: worm gear 333: worm gear shaft
335: Worm 336: Worm axis
337: worm handle 340: gear support frame
350: tilting means 351: pinion gear
353: pinion axis 355: male thread
357: rack gear 360: gripper
370: pinion support frame 371: long hole
373: friction surface 380: clutch

Claims (20)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 및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는
일단이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제1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조립체에 제2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축에 상기 제2축을 회전시키는 기어수단이 설치된 구동링크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제3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조립체에 제4축으로 연결된 종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링크와 상기 종동링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A pedestal assembly on an upper side provided with a pedestal for loading a fixture;
Body assembly of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on the bottom; And
A link mechanism connecting the pedestal assembly and the body assembly to allow the pedestal assembly to be lowered and tiltable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Including;
The link mechanism
A driving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edestal assembly on a first shaf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dy assembly on a second shaft, and a gear means for rotating the second shaft on the second shaft;
One end connected to the pedestal assembly in a third axis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dy assembly in a fourth axis,
And the drive link and the driven link are position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은
상기 제2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워엄 기어축을 구비하는 워엄 기어;
상기 워엄 기어와 직교한 상태로 맞물리며 나선 형상으로 되는 워엄; 및
상기 워엄의 워엄 축에 연결되어 상기 워엄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워엄 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ar means
A worm gear having a worm gear shaf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A worm meshing in a state orthogonal to the worm gear and having a spiral shape; And
A worm handle connected to the worm shaft of the worm to rotate the worm;
Apparatus for mounting outside the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 및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는
일단이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제1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조립체에 제2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축에 상기 제2축을 회전시키는 기어수단이 설치된 구동링크와;
일단이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제3축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 조립체에 제4축으로 연결된 종동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링크 또는 상기 종동링크에는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A pedestal assembly on an upper side provided with a pedestal for loading a fixture;
Body assembly of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on the bottom; And
A link mechanism connecting the pedestal assembly and the body assembly to allow the pedestal assembly to be lowered and tiltable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Including;
The link mechanism
A driving link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edestal assembly on a first shaf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dy assembly on a second shaft, and a gear means for rotating the second shaft on the second shaft;
One end connected to the pedestal assembly in a third axis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ody assembly in a fourth axis,
The drive link or the driven link
And tilting means for tilting the pedestal assembly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제2축 또는 제3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니언 축을 구비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평행하게 위치되게 상기 몸체 조립체에 고정되는 렉 기어; 및
상기 피니언 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tilting means
A pinion gear having a pinion shaf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r third shaft;
A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and fixed to the body assembly to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pedestal assembly; And
A gripp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inion shaft to rotate the pinion gear;
Apparatus for mounting outside the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축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 조립체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축이 통과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피니언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피니언 지지프레임의 장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피니언 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pinion support frame installed in the body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pinion shaft is installed, and having a long hole through which the pinion shaft passes;
And the gripping portion is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pinion shaf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ng hole of the pinion support fram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축에는 수나사가 가공되고 상기 수나사에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pinion shaft is machined with an external thread, and the external screw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lutch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is installed on the external threa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금속과 상기 금속에 부착된 마찰 패드로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 축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마찰 패드가 상기 몸체 조립체 또는 피니언 지지프레임에 구비한 마찰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clutch consists of a metal and a friction pad attached to the metal,
And a screw pad coupled to the male screw of the pinion shaft, and the friction pad being selectively adhered to the friction surface provided on the body assembly or the pinion support frame by ro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상기 받침대가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pparatus for mounting an external aircraf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destal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linearly and rotatably.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 및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조립체에 상기 받침대가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 조립체는
상기 링크기구와 연결되는 받침판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레일;
상기 한 쌍의 제2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4 레일;
상기 제3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이동부 및 제4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와 상기 제4 이동부에 각각 회전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A pedestal assembly on an upper side provided with a pedestal for loading a fixture;
Body assembly of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on the bottom; And
A link mechanism connecting the pedestal assembly and the body assembly to allow the pedestal assembly to be lowered and tiltable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Including;
The pedestal is installed in the pedestal assembly can be mov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linearly, rotatable,
The pedestal assembly
A support plat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a support plate support frame connected to the link mechanism;
First and second rails disposed side by s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 pair of first moving parts and second moving parts installed o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so as to be movable;
A third rail interconnecting the pair of first moving parts;
A fourth rail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econd moving parts;
A third moving part and a fourth moving part installed on the third rail and the fourth rail so as to be movable; And
And the pedestal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means, respectively, in the third moving unit and the fourth moving uni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이동부가 제1 내지 제4 레일을 따라 이동한 상태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이동부 고정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And a moving part fixing handl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moving parts to fix or release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moving parts move along the first to fourth rails. Aircraft External Attachment Mounting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3 및 제4 이동부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축공이 형성되는 가이드 홀더;
상기 가이드 홀더의 축공과 연통되게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받침대공과 상기 가이드 홀더의 축공에 관통 결합되는 받침대 축; 및
상기 받침대공과 수직인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 축에 대한 상기 받침대의 회전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받침대 고정핸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rotating means
Guide holders respectively installed on upper portions of the third and fourth moving parts and formed with shaft holes;
A pedestal shaft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pedestal hole formed in the pedestal and the shaft hole of the guide holder in communication with the shaft hole of the guide holder; And
A pedestal fixing handle coupled to the pedestal at a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pedestal hole to fix or release rotation of the pedestal about the pedestal shaft;
Apparatus for mounting outside the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 및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고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이 V자 또는 U자로 요입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A pedestal assembly on an upper side provided with a pedestal for loading a fixture;
Body assembly of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on the bottom; And
A link mechanism connecting the pedestal assembly and the body assembly to allow the pedestal assembly to be lowered and tiltable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Including;
The pedestal has a structure having an upper surface concaved in the V-shaped or U-shaped,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craft external mounting device.
장착물을 적재할 수 있는 받침대가 전후, 좌우 직선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측의 받침대 조립체;
저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하부측의 몸체 조립체; 및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기어수단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고 틸팅수단에 의해 좌우 틸팅 가능하도록 된 링크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A pedestal assembly of an upper side, on which a pedestal capable of loading a moun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linearly and rotatably;
Body assembly of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on the bottom; And
A link mechanism connecting the pedestal assembly and the body assembly such that the pedestal assembly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a gear means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and tilted left and right by a tilting means;
Apparatus for mounting outside the aircraf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상기 몸체 조립체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나란히 연결하는 구동링크와 종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The link mechanism
And an actuating link and a driven link connecting the pedestal assembly and the body assembly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each other.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은
상기 구동링크에 일체로 연결되는 워엄 기어축을 구비하는 워엄 기어;
상기 워엄 기어와 직교한 상태로 맞물리며 나선 형상으로 되는 워엄; 및
상기 워엄의 워엄 축에 연결되어 상기 워엄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워엄 핸들;
을 포함하며,
상기 워엄 핸들의 회전시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상기 몸체 조립체에 대해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gear means
A worm gear having a worm gear shaf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rive link;
A worm meshing in a state orthogonal to the worm gear and having a spiral shape; And
A worm handle connected to the worm shaft of the worm to rotate the worm;
Including;
And the pedestal assembly moves up and down relative to the body assembly upon rotation of the worm handl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구동링크 또는 상기 종동링크에 일체로 연결되는 피니언 축을 구비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받침대 조립체와 평행하게 위치되게 상기 몸체 조립체에 고정되는 렉 기어;
상기 피니언 축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파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의 회전시 상기 받침대 조립체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틸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tilting means
A pinion gear having a pinion shaf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rive link or the driven link;
A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and fixed to the body assembly to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pedestal assembly;
A gripp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inion shaft to rotate the pinion gear;
Including;
And tilting the incline side of the pedestal assembly during rotation of the gripping portion.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축에는 수나사가 가공되고 상기 수나사에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클러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The pinion shaft is machined with a male thread, and the external screw mou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utch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is installed on the male screw.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조립체는
상기 링크기구와 연결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상기 제1 레일과 제2 레일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3 레일;
상기 한 쌍의 제2 이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4 레일;
상기 제3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이동부 및 제4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와 상기 제4 이동부에 각각 회전수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외부 장착물 장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The pedestal assembly
A support plate connected to the link mechanism;
A first rail and a second rail disposed side by s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 pair of first moving parts and second moving part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A third rail interconnecting the pair of first moving parts;
A fourth rail interconnecting the pair of second moving parts;
A third moving part and a fourth moving part installed on the third rail and the fourth rail so as to be movable; And
And the pedestal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means, respectively, in the third moving unit and the fourth moving unit.
KR1020170179987A 2017-12-26 2017-12-26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stores onto aircraft KR102017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87A KR102017136B1 (en) 2017-12-26 2017-12-26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stores onto aircra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87A KR102017136B1 (en) 2017-12-26 2017-12-26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stores onto aircra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00A KR20190078200A (en) 2019-07-04
KR102017136B1 true KR102017136B1 (en) 2019-09-02

Family

ID=6725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987A KR102017136B1 (en) 2017-12-26 2017-12-26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stores onto aircra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1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464B1 (en) * 2022-06-23 2022-12-06 한화시스템(주) Trolley for avionic external store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029B1 (en) * 2019-07-25 2021-03-03 주식회사 한화 Rotation support for guided missile and assembling support for guided missile having the same
CN110589013B (en) * 2019-08-19 2024-04-02 沈阳宝通门业有限公司 Lifting adjusting bracket applicable to fixed horizontal tail dock
CN111056038B (en) * 2019-12-05 2021-09-21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Equip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 undercarriage
KR102213070B1 (en) 2020-10-12 2021-02-05 드래곤모터스 주식회사 Mobile wastewater purifier
KR102530394B1 (en) * 2020-11-30 2023-05-10 (주)세라젬 Massage apparatus
KR102459304B1 (en) * 2020-12-16 2022-10-2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for mounting of external attachment in aircraft
CN112874813B (en) * 2021-03-05 2024-05-10 贵州航天风华精密设备有限公司 Projectile body support frame for filling space vehicle
CN113264475B (en) * 2021-06-21 2023-10-13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Motor train unit equipment compartment transferring and installing platform and method
KR102422123B1 (en) * 2021-10-20 2022-07-20 베스트모션 주식회사 Assembly device for electric cylinder driving apparatus and synchronized electric cylinder driv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4977001B (en) * 2022-06-21 2023-08-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Climbing frame safety device for electric power overhaul
KR102515651B1 (en) * 2022-11-15 2023-03-29 주식회사 청진 Movement lifting and alignment automation device for ship loading lead line production
CN117226789B (en) * 2023-11-13 2024-01-26 哈尔滨安宇迪航空工业股份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lightweight organism fro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17B1 (en) *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Station for guided missile
KR101031872B1 (en) * 2010-08-02 2011-05-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ounting device for external store loads on aircraf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365A (en) * 2000-10-09 2002-04-17 김병화 Shaft moving device for inserted paper pipe
KR100591364B1 (en) 2005-04-30 2006-06-20 한성물류운반기계(주) Table lift
KR101008142B1 (en) * 2008-08-07 2011-01-1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dvanced Spacecraft Integration Dolly
KR101045426B1 (en) * 2009-08-18 2011-06-3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Seven axis controller
KR101262317B1 (en) * 2011-03-21 2013-05-08 노경택 Apparatus for transferring system support
KR101749982B1 (en) * 2015-03-05 2017-06-22 국방과학연구소 Apparatus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mission equipment for aircraft
KR101575195B1 (en) 2015-10-20 2015-12-07 (주)밀성씨앤티 Table lif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17B1 (en) *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Station for guided missile
KR101031872B1 (en) * 2010-08-02 2011-05-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ounting device for external store loads on aircraf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464B1 (en) * 2022-06-23 2022-12-06 한화시스템(주) Trolley for avionic external stor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00A (en)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136B1 (en)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xternal stores onto aircraft
US4619208A (en) Work surfac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EP2326466B1 (en) Air cushion platform for carrying a manipulator arm and moveable robot
KR101719479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f aircraft mission payload
CA2488331A1 (en) Quick crank adjustable height table
CN107000198B (en) Universal screw driver support for a plate lifting tool, tool equipped with such a support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KR101580528B1 (en)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US9643475B2 (en) Windscreen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0654160B (en) Close mechanism and wall paper shop paste robot are pasted to wall paper shop
KR101666015B1 (en) Simulation apparatus for intermediante shaft of steering system for vehicle
US10899404B2 (en) Door hoist apparatuses including multi-bar actuation assemblies with suction end effectors and methods using the same
JP4771859B2 (en) Electric equipment panel assembly work equipment
CN210476115U (en) Front suspension spring and shock absorber compression device
US10874209B1 (en) Expandable and contractable suspended storage device
JP4272895B2 (en) Vehicle door mounting and holding device
US7143998B1 (en) Vibration absorber jack
US5201234A (en) Support
US20110052356A1 (en) Multidimensional Lifting Handtruck
US10450175B2 (en) System for holding cabinets in place during installation
KR101753462B1 (en) Desk top up and down and angle adjustment
US20210101238A1 (en) Rotation device for a workpiece
KR20170060860A (en) Installation jig for shaft of ship propulsion apparatus
KR102542318B1 (en) Semiconductor component handling device
KR20210096106A (en) Device for mounting the platform to the wall
JP2006142416A (en) Floating/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