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528B1 -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 Google Patents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528B1
KR101580528B1 KR1020140033394A KR20140033394A KR101580528B1 KR 101580528 B1 KR101580528 B1 KR 101580528B1 KR 1020140033394 A KR1020140033394 A KR 1020140033394A KR 20140033394 A KR20140033394 A KR 20140033394A KR 101580528 B1 KR101580528 B1 KR 101580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latform
front wheel
frame
dispos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1416A (en
Inventor
황권태
이상훈
은희광
이동우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3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528B1/en
Publication of KR2015011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5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조물이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1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안착판(120) 사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판(120)을 회동시켜 틸팅구동을 구현하는 기립수단(130)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부(100);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가 중앙에 탑재되며,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2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후륜플렛폼(200); 상기 후륜플렛폼(20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기립수단(130)의 틸팅구동에 의해 안착된 구조물이 전방으로 눕혀지면서 전단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3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전륜플렛폼(300); 및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이송판(411)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410)과, 직립배치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체결되고 승강구동하며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수단(420) 및, 상기 승강수단(42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공간(431)이 마련된 탑승부(430)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400);를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를 개시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asma display panel comprising a base frame 110, a seating plate 120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and having a structure mounted thereon, (130) hinged to the base frame (110) and rotating the seating plate (120)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0) to implement tilting driving; A rear wheel platform 200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structure supporting portion 100 and movable around a plurality of wheel portions 210 at a lower periphery thereof; A structure disposed at a front position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seated by the tilting drive of the standing means 130 supports the load of the structure appli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while being laid forward, A front wheel platform 300 that is movable with the rear wheel 310 disposed thereon; And horizontal transportation means (410) mounted on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horizontally moving the delivery plate (411) within a horizontal area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 lifting unit 420 that is coupled to the elevating unit 420 and is vertically elevated and controlled by the elevating unit 420 and a boarding space 430 that is fastened to the top of the elevating unit 420 and includes a boarding space 431 for boarding an operator And an elevating table (400) including the elevating table (400).

Figure R1020140033394
Figure R1020140033394

Description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0001]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0002]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위성 등의 구조물의 조립작업시 작업자의 접근성과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구조물의 자세 변환이 자유로우면서도 작업자가 배치된 위치를 수직 및 수평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한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lley for assembling a structure having a high work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olley for assembling a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olley for assembling structures equipped with a high-work platform which can b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ved and can easily secure a work space.

일반적으로 인공위성 등의 구조물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구조물의 전체 부위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한 자세로 정밀한 부품을 조립하여야 완성도 있는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 작업의 효율성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In general, it is important for the operator to assure the accessibility to the whole part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assemble the structures such as satellites. This is because the precise parts are assembled in a posture that is easy for the operator to work, This is because it has a profound influence on Korea.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인공위성 등의 구조물을 상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조물의 자세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트롤리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종래의 트롤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트롤리는 베이스프레임을 형성하는 하부플렛폼의 경우 구조물이 직접 안착되어 틸팅구동시키는 후륜부 이외에, 안착된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틸팅되면서 눕혀지는 경우 구조물의 하중이 후륜부의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후륜부의 전방위치에는 구조물의 하중을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전륜부가 구비되어야 했었다.To this end, a trolley capable of freely deforming the posture of a structure in a state where a structure such as an artificial satellite is seated on the upper part is conventionally used. Here, FIG. 1 discloses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rolley. Referring to FIG. 1, in the case of a lower platform in which a base frame is formed, a conventional trolley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ructure is directly mounted and tilted in addition to a rear wheel por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rear wheel had to be provided with a front wheel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structure in an auxiliary manner.

그러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후륜부와 전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부플렛폼을 형성함에 따라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지 않고 후륜부 상에 직립배치된 경우 상기 전륜부가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 구조물의 전부위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되지 않아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시마다 트롤리를 작업하기 편한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rear wheel and the front wheel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the lower platform, when the structure is not til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disposed upright on the rear wheel portion, The accessibility is not ensured and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ered.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trolley must be moved and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easy to work at each operation.

또한, 대형 구조물의 경우 상부 부분에 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상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사다리의 경우 바닥에서 미끄려져 전복되거나 작업자가 추락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하거나 전복되는 중에 구조물과 충돌하여 구조물에 충격을 가하거나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a large structure, work is performed using a ladder so that the worker can be placed at an upper position when work is required at the upper part. However, in case of a ladder, slippage occurs at the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may be impacted or damaged due to collision with the structure during overturning.

더욱이, 전륜부가 후륜부의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트롤리 크기가 전체적으로 대형화되며 무게가 무거워짐에 따라 시설 바닥에 대한 하중부담을 가할 염려가 있으며, 이동이나 방향전환시 전륜부의 돌출된 구조에 따라 주변 시설물들과 부딪히면서 장치가 훼손되거나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wheel por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wheel portion, the trolley size is enlarged as a whole and the weight is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fear that load on the floor of the facility may be burdened. So that the apparatus is damaged or leads to a safety accident.

더불어, 종래의 트롤리는 구조물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기립수단에 의해 틸팅되어 직립배치되는 경우, 안착판의 후방 위치에는 안착판의 직립배치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이 길게 연장배치되어 있어 작업공간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후륜부의 후방 공간활용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rolley, when the seating plate on which the structure is seated is tilted by the standing means and disposed in an upright position,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upright position of the seating plate is extended at the rear position of the seating plate, And the rear space utilization of the rear wheel portion is lower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7789호(2011.03.31), 인공위성 탑재 안테나 장착용 트롤리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27789 (March 31, 2011), a trolley for mounting an antenna mounted on a satellit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륜플렛폼 상에서 승강구동하며 작업자가 탑승한 탑승부를 원하는 상하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륜플렛폼의 수평면적 내에서 자유롭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for elevating and lowering on a front wheel platform and capable of adjusting a height of a riding portion, And to provide a trolley for assembling a structure equipped with a work st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륜플렛폼과 전륜플렛폼이 체결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전륜플렛폼을 후륜플렛폼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면서 동시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전반적인 하중을 경감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wheel platform and a front wheel platform which are detachably fastened by fastening means to selectively fasten the front wheel platform to the rear wheel platform only when necessary so that the operator's accessibility to the entire structure is ensured, And to provide a trolley for assembling a structure, which is capable of downsizing and is capable of reducing the overall load of the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조물이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1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안착판(120) 사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판(120)을 회동시켜 틸팅구동을 구현하는 기립수단(130)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부(100);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가 중앙에 탑재되며,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2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후륜플렛폼(200); 상기 후륜플렛폼(20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기립수단(130)의 틸팅구동에 의해 안착된 구조물이 전방으로 눕혀지면서 전단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3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전륜플렛폼(300); 및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이송판(411)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410)과, 직립배치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체결되고 승강구동하며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수단(420) 및, 상기 승강수단(42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공간(431)이 마련된 탑승부(430)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400);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olley for assembling a structure including a high work platform, including: a base frame; a seating plat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standing means 130 hinged between the base frame 110 and the seating plate 120 to implement the tilting driving by rotating the seating plate 120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110 (100); A rear wheel platform 200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structure supporting portion 100 and movable around a plurality of wheel portions 210 at a lower periphery thereof; A structure disposed at a front position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seated by the tilting drive of the standing means 130 supports the load of the structure appli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while being laid forward, A front wheel platform 300 that is movable with the rear wheel 310 disposed thereon; And horizontal transportation means (410) mounted on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horizontally moving the delivery plate (411) within a horizontal area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 lifting unit 420 that is coupled to the elevating unit 420 and is vertically elevated and controlled by the elevating unit 420 and a boarding space 430 that is fastened to the top of the elevating unit 420 and includes a boarding space 431 for boarding an operator (Not shown).

여기서,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블럭(412)과, 상기 회동블럭(412)과 대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지지블럭(413) 및, 상기 회동블럭(412)과 지지블럭(413)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4)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회동블럭(412)의 회동되는 각도와 상기 가이드바(414)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e horizontal transporting unit 410 includes a pivot block 412 hinged to one side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ivot block 412 spaced apart from the pivot block 4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guide block 413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guide block 411 is disposed and a guide block 413 extending linearly between the rotation block 412 and the support block 413 and being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plate 411, The guide plate 414 includes a guide plate 414 and a guide plate 414. The guide plate 414 includes a guide plate 414 and a guide bar 414. The guide plate 414 includes a guide plate 414, Th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상기 전륜플렛폼(300) 상에서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16)과, 각 가이드레일(416)에 지지되어 각각의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딩블럭(417)과, 각 슬라이딩블럭(417)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8)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슬라이딩블럭(417)이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리와 상기 이송판(411)이 가이드바(418)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410 includes guide rails 416 extending horizontally in parallel on opposite sides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guide rails 416 supported by the guide rails 416, A sliding block 417 reciprocating along the rail 416 and a guide bar 417 extending linearly between the sliding blocks 417 and slidably fastened to the feed plate 411 by being inserted or seated therethrough And the conveyance plate 411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liding block 417 slides along the guide rail 416 and the distance that the conveyance plate 411 slides within the guide bar 418 The position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horizontal area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후륜플렛폼(200)의 전단과 전륜플렛폼(300)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륜플렛폼(200)과 전륜플렛폼(300)을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astening means 500 disposed between a front end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a rear end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to detachably couple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

또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단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306)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연장프레임(303)과, 상기 연장프레임(303)의 타단 하부에 체결되어 지면과 접촉되며 상기 연장프레임(303)을 지지하는 지지부(304)를 포함하는 보조지지수단;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연장프레임(303)이 상기 힌지축(30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측부에 밀착되거나,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 방향 또는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부(304)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하중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n extension frame 303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hingedly coupled to a hinge shaft 306 having one end vertically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an auxiliary supporting mean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ongated frame 303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ncluding a support 304 for supporting the elongate frame 303, The frame 303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306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or is rotated by the supporting portion 304 in both directions or forward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The position where the load of the structure is supported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승강수단(420)은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에 체결된 탑승부(430)의 지향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The elevating means 420 is hinged to a hinge shaft 424 dispos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conveying plate 411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424, The orientation of the portion 430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승강수단(420)은, 승강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 개의 승강프레임(421) 및,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의 상단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탑승부(430)가 체결되는 수평프레임(423)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423)은 상기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면서 상기 탑승부(4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elevating means 420 includes a plurality of elevating frames 421 whose vertical height is adjus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driv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elevating frames 421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horizontal frame 423 includes a hinge shaft 424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uppermost lift frame 421. The hinge shaft 424 is coupled to the hinge shaft 424, An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boarding portion 430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hinge shaft 424 up and down.

또한, 상기 기립수단(1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연장된 길이방향의 양단 사이에 길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바(140)와, 상기 가이드바(140)에 하부가 지지되어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는 상기 안착판(120)의 하단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 및, 일단은 상기 안착판(120)의 중앙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ing means 130 includes a guide bar 140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10 and extending between both ends of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10, A sliding block 150 having a lower portion supported by the bar 140 and sliding along an extend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140 and an upper portion hing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late 120, And a guide frame 160 hing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eating plate 120 and hinged to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base frame 110 at the other end.

또한,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는,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70)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71)와,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에 기어결합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력을 분배하는 동력전달축(174) 및, 상기 동력전달축(174)의 양측에 각각 기어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둘레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이 나사결합되는 나사축(175)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175)에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의 나사공의 내측에는 상기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175)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The structure support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sliding driving unit 17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sliding the sliding block 150 along the guide bar 140, A power transmission shaft 174 which is gear-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171 and distributes the rotational force in both directions, and a power transmission shaft 174 which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74 And a screw shaft 175 that is threa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bar 140 and extends along the extend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140 and is formed with a male screw thread and a screw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block 150 is screwed And a female screw thread engaging with the 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crew hole of the sliding block 150 which is screwed to the screw shaft 175. When the screw shaft 175 is rotated, 150 may move sliding along the guide bar 140.

한편,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는, 상기 안착판(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판(120)의 틸팅된 상태를 감지하는 틸팅센서부(180) 및, 상기 틸팅센서부(180)와 신호연결되어 상기 틸팅센서부(180)에 의해 감지된 안착판(120))의 틸팅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틸팅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ructure supporting unit 100 includes a tilting sensor unit 18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plate 120 to detect a tilted state of the seating plate 120, And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171 according to the received tilting state information. The microcomputer further includes a microcomputer (not shown) for receiving the til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eating plate 120 sensed by the tilting sensor unit 180 .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trolley for assembling the structure equipped with the elevat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전륜플렛폼 상에서 승강구동하며 작업자가 탑승한 탑승부를 원하는 상하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륜플렛폼의 수평면적 내에서 자유롭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어 구조물에 근접한 상부 위치로 작업자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접근성과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First, it can elevate and lower on the front wheel platform, and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boarding passenger to the desired vertical height. The operator can freely move horizontally within the horizontal area of the front wheel platform to move the worker to the upper position close to the structur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the working efficiency.

둘째, 구조물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후륜플렛폼과,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어 눕혀지면서 하중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구조물의 하중을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전륜플렛폼이 체결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큰 하중 지지가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전륜플렛폼을 후륜플렛폼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전반적인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Second, a front wheel platform that directly supports a load of a structure and a front wheel platform that supports the load of the structure when the load is til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oves forward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Since the front wheel platform can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rear wheel platform only when a large load is required, the operator's accessibility to the entire structure can be ensured, the device can be downsized, and the overall load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후륜플렛폼의 상부에 안착된 구조물을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어 눕혀지면서 구조물의 하중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전륜플렛폼을 후륜플렛폼에 체결시켜 이용되고, 구조물이 직립배치되는 경우와 트롤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전륜플렛폼을 분리시켜 후륜플렛폼만을 이용하므로, 트롤리가 차지하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동시 주변 시설물들과 부딪히면서 장치가 훼손되거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Also, when the structur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wheel platform is til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laid down, the front wheel platform is used by being fastened to the rear wheel platform only when the load center of the structure is moved forwar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occupied by the trolley and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device may be damaged or a safety accident may be caused by colliding with the surrounding facilities when moving.

셋째, 전륜플렛폼의 전단 양측단에 회동되거나 슬라이딩되면서 구조물의 하중이 지지되는 위치를 전륜플렛폼의 양측방 또는 전방에서 이격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보조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보조지지수단이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만큼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전륜플렛폼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야 하는 길이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Third, there is an auxiliary supporting means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where the load of the structure is supported by being pivoted or slid on both ends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wheel platform to the positions spaced from both sides or front of the front wheel platfor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ngth required to extend forward of the front wheel platform so as to support the load and to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structure by the length of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extending forward.

넷째, 상기 탑승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은 수평이송수단에 탑재된 이송판에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에 체결된 탑승부의 지향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탑승부 내에서 이동할 필요없이 지향방향을 돌려 구조물의 작업부위로 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Fourth, since the eleva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arding portion can adjust the direction of the boarding portion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while rotating horizontally on the conveying board mounted on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move in the boarding portion, So that the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can be maximized.

다섯째, 승강수단의 상부에는 탑승부가 체결되는 수평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승강수단의 승강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면서 상기 탑승부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형 구조물의 상부 위치로 탑승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구동력이 필요한 승강수단을 구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Fifth, a horizontal frame to which the boarding part is fastened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device, and the horizontal frame is hinged to the elevating frame of the elevating device so as to vertically rotat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arding part. It is not necessary to drive the elevating means which requires a relatively large driving force,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of the work table can be reduced.

여섯째,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지면서 상기 구조물이 안착되는 안착판이 직립배치되는 경우, 슬라이딩 블록이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안착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안착판에 밀착되어 회동하는 구조로 구비되어 후륜플렛폼의 후방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트롤리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Sixth, in the case where the seating plate on which the structure is placed is placed upright while the structure is laid horizontally, the sliding block slides between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base frame, and the supporting frame supporting the seating plate closely contacts the seating plate So that the rear space of the rear wheel platform can be utilized to the maximum, thereby minimizing the length of the trolley and reducing the cost.

일곱째, 틸팅센서부가 안착판에 배치되어 안착판가 틸팅된 상태를 감지하며, 제어부는 상기 틸팅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안착판의 틸팅상태 정보에 따라 구동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경사각으로 안착판의 틸팅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Seventh, the tilting sensor unit is disposed on the seat plate to detect the tilting of the seat plat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 drive of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til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eat plate sensed by the tilting sensing unit, The tilting angle of the seat plate can be precisely controll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롤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부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지지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이송수단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olle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trolley for assembl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of a structure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liding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 structure supporting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transpor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는, 전륜플렛폼(300) 상에서 승강구동하며 작업자가 탑승한 탑승부(430)를 원하는 상하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자유롭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대(400)가 구비된 트롤리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지지부(100), 후륜플렛폼(200), 전륜플렛폼(300) 및 고소작업대(4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trolley for assembling a structure having a high work platfor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levate and lower the trolley 300 on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rider 430, 2 to 4, the structure supporting portion 100, the rear wheel platform 200,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the rear wheel supporting portion 400 are mounted on the trolley, And a high altitude work platform 400.

먼저, 구조물 지지부(100)는, 인공위성 등의 구조물이 상부에 안착되면서 체결되어 구조물의 자세를 자유롭게 변형하여 작업자의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한 회동구조물로서,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조물이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1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안착판(120) 사이에 힌지결합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안착판(120)을 회동시켜 틸팅구동을 구현하는 기립수단(1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First, the structure supporting unit 100 is a pivoting structure for providing a worker with accessibility by deforming the posture of the structure freely while the structure such as artificial satellite is seated on the upper part to fix the posture of the structure. The pivoting structure includes a base frame 110, A seating plate 120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and having a structure to be seat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eating plate 120 hinged between the base frame 110 and the seating plate 120, And rising means (130) for turning the tilting drive to implement the tilting drive.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연장된 길이방향의 양단 사이에 길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바(140)와, 상기 가이드바(140)에 하부가 지지되어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는 상기 안착판(120)의 하단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 및, 일단은 상기 안착판(120)의 중앙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16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2 and 3, the guide bar 14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s between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10, A sliding block 150 slidably supported on the guide bar 140 and extending along the extend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140 and hing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late 120, And a guide frame 160 hing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eating plate 120 and hinged to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base frame 110 at the other end.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12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위치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면 안착판(120)의 상부에 안착된 구조물은 직립배치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슬라이딩블럭(150)에 하부가 힌지결합된 안착판(120)의 하부가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방 위치로 후퇴하게 되며, 동시에 가이드프레임(160)이 안착판(120)의 중앙부 양측을 지지하면서 상향 회동하여 안착판(12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위치에서 직립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판(120)에 안착된 구조물은 안착판(120)과 함께 틸팅되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3 (a), when the seating plate 120 is horizontally dispose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base frame 110, the structure that is seated on the seating plate 120 is arranged do. 3B, when the sliding block 150 is slid along the guide bar 140,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late 120, which is hin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block 150, The seat frame 120 is retracted to the rear position of the base frame 110 and the guide frame 160 is rotated upward while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eat plate 120, . In this case, the structure that is seated on the seating plate 120 can b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tilted together with the seating plate 120 and laid horizontally.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상향 돌출 형성되면서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의 안착판(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17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블록(170)의 구성으로 인해, 기립수단(130)의 각 구성들의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 한계점 이전에 동작을 제한시킴으로써 구성품들이 훼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착판(120)의 수평배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block 17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late 120 horizontally disposed while being protruded upward.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block 17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ponents from being damaged or deformed by restricting the operation before the turning and sliding limit points of each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standing means 130, Can be stably supported.

그리고, 상기 안착판(12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물을 안착판(120) 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판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구조물은 상기 안착판(1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판 상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안착판(120)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 및 틸팅되어 직립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1, a rotating plate that can rotate a structure, which is seated on the seating plate 120, on the seating plate 120 may be disposed on the seating plate 120. [ That is, the structure is detachably coupled to a rotating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plate 120, and the seating plate 120 is horizontally disposed and tilted to be vertically disposed, By rotating it, the operator's accessibility can be improved.

더불어,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은,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supporting unit 100 may include a sliding driving unit 170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sliding the sliding block 150 along the guide bar 14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70)는 후술되는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71)와,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에 기어결합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력을 분배하는 동력전달축(174) 및, 상기 동력전달축(174)의 양측에 각각 기어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둘레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축(175)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175)에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의 나사공의 내측에는 상기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175)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4, the sliding driving unit 170 includes a driving motor 171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a microcomputer to be described later, A power transmission shaft 174 for distributing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74 and a power transmission shaft 174 for guiding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74 and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74, And a screw shaft 175 screwed into a screw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screw 150. The screw 150 is screwed to the screw shaft 175, So that the sliding block 150 is slid along the guide bar 14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175.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에는 감속기(172)가 배치되어 슬라이딩블럭(150)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적절한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감속기(172)와 동력전달축(174) 사이와, 상기 동력전달축(174)과 각 나사축(175)에는 구동모터(171)의 회전방향을 슬라이딩블럭(150)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기어박스(173a,173b,173c)가 배치된다.A speed reducer 172 is disposed on the rotary shaft of the driving motor 171 to control an appropriate number of rotations required to move the sliding block 150. The speed reducer 172 is disposed between the reducer 172 and the power transmitting shaft 174 Gear boxes 173a, 173b and 173c for switch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171 to the direction for moving the sliding block 150 are disposed in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74 and the respective screw shafts 175 do.

이와 같은 기립수단(130)의 구성으로 인해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지면서 상기 구조물이 안착되는 안착판(120)이 직립배치되는 경우, 슬라이딩블럭(150)이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안착판(120)을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160)이 안착판(120)에 밀착되어 회동하는 구조로 구비되어 후륜플렛폼(140)의 후방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seating plate 120 on which the structure is seated is arranged upright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tanding means 130 such that the structure is laid horizontally and the sliding block 150 is disposed between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10 And the guide frame 160 supporting the seating plate 120 move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plate 120 so that the rear space of the rear wheel platform 140 can be maximally utilized .

한편,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는 안착판(120)의 현재 틸팅구동된 상태를 감지하여 틸팅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안착판(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판(120)의 틸팅된 상태를 감지하는 틸팅센서부(180) 및, 상기 틸팅센서부(180)와 신호연결되어 상기 틸팅센서부(180)에 의해 감지된 안착판(120))의 틸팅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틸팅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structure support unit 100 is provided to precisely control the tilting angle of the seating plate 120 by sensing the state of the seating plate 120 being currently tilted. To this end, the structure supporting unit 1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late 120, A tilting sensor unit 180 for detecting a tilted state of the tilting sensor unit 120 and a til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tilting sensor unit 180 sensed by the tilting sensor unit 180 in signal connection with the tilting sensor unit 180) And a microcomput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171 according to the received tilting status information.

이러한 틸팅센서부(180) 및 마이컴를 통해 감지된 안착판(120)의 틸팅상태 정보에 따라 슬라이딩 구동부(170)의 구동모터(171)의 회전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경사각으로 안착판(120)의 틸팅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71 of the sliding driving unit 17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il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eating plate 120 sensed by the tilting sensor unit 180 and the micom,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tilting angle of the motor.

상기 후륜플렛폼(200)은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조물 지지부(100)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구조물 지지부(100)가 중앙에 탑재되며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21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부(120)는 후륜플렛폼(200)의 설치위치나 설치된 방향을 변경시키고자 이동시킬 때 이용된다.The rear wheel platform 200 is a frame structure that directly supports the load of the structure supporting unit 100 including a structure. The structure supporting unit 100 is mounted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wheel units 210 are disposed at a lower circumference . Here, the wheel unit 120 is used to move the rear wheel platform 200 to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플렛폼(200)의 하부에는 후륜플렛폼(200)의 수평조절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잭스크류(21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잭스크류(211)는 바퀴부(210)에 의해 후륜플렛폼(200)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하강구동하여 지면에 접촉되면서 구조물 지지부(100) 및 구조물의 하중이 상부에 가해지도록 후륜플렛폼(200)의 하부를 지지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jack screws 211 for performing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may be disposed under the rear wheel platform 200. The jack screw 211 is driven to move downward while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s moved by the wheel 210 to contact the ground so that the load of the structure support 100 and the structure are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후륜플렛폼(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퀴부(210)와 잭스크류(211)는 후륜플렛폼(200)의 둘레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후륜플렛폼(200)이 후술되는 전륜플렛폼(300)의 체결없이도 단독적으로 지면 상에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wheel 210 and the jack screws 211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n a manner such that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wheel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form 300 is installed so as to be independently supported on the ground without fastening the platform 300.

상기 전륜플렛폼(300)은, 후륜플렛폼(20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기립수단(130)의 틸팅구동에 의해 안착된 구조물이 전방으로 눕혀지면서 전단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로서, 골조를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301)이 대략 사각의 프레임 구조로 구비되며 둘레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31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바퀴부(310)는 전륜플렛폼(300)의 설치위치나 설치된 방향을 변경시키고자 이동시킬 때 이용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륜플렛폼(300)의 하부에는 후륜플렛폼(200)과 마찬가지로 전륜플렛폼(300)의 수평조절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잭스크류가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wheel platform 300 includes a frame structure 300 disposed at a front position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supporting a load of a structure applied in a forward direction while a structure seated by the tilting drive of the standing- A base frame 301 for forming a frame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wheel portions 310 are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Although not show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is provided with a front wheel platform 300, which is similar to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lthough the wheel portion 310 is used to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 A plurality of jackscrews for performing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jackscrew 300 may be disposed.

상기 고소작업대(400)는, 작업자를 구조물의 상부위치에 근접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수단으로서,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이송판(411)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410)과, 상기 이송판(411)에 체결되고 승강구동하며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수단(420) 및 상기 승강수단(42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공간(431)이 마련된 탑승부(4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elevating table 400 is a conveying means for moving the operator closer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structure. The elevating table 40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 vertical conveying unit 410 for horizontally moving the conveying unit 411 and an elevating unit 420 which is coupled to the conveying plate 411 and is driven to ascend and descend, And a boarding section 430 provided with a boarding space 431 for boarding an operator.

여기서,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승강수단(420)이 탑재되는 이송판(411)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동작원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4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horizontally conveying the conveyance plate 411 on which the elevating means 420 is mounted.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전륜플렛폼(3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블럭(412)과, 상기 회동블럭(412)과 대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지지블럭(413) 및, 상기 회동블럭(412)과 지지블럭(413)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4)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회동블럭(412)의 회동되는 각도와 상기 가이드바(414)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2,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410 includes a pivot block 412 hinged to one side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block 412 horizontally opposite to the pivot block 412. [ A supporting block 413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block 4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pporting block 413 and a supporting block 413 disposed between the supporting block 413 and the supporting block 413. The conveying plate 411 is inserted / And the guide plate 414 is fixed to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The guide plate 414 is fixed to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block 412 and a distance of sliding in the guide bar 414. [ Th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horizontal area of the light source can be adjusted.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전륜플렛폼(300) 상에서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16)과, 각 가이드레일(416)에 지지되어 각각의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딩블럭(417)과, 각 슬라이딩블럭(417)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8)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슬라이딩블럭(417)이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리와 상기 이송판(411)이 가이드바(418)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5, the horizontal transporting unit 410 includes guide rails 416 extending horizontally in parallel on opposite sides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guide rails 416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guide rails 416, A sliding block 417 supported on the guide rail 416 and reciprocating along each of the guide rails 416 and a sliding block 417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between the sliding blocks 417. The conveying plate 411 is inserted, And a guide bar 418 fastened to the guide bar 418. The conveying plate 411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liding block 417 is slid along the guide rail 416, Th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horizontal area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that the front wheel 300 is slidably moved.

더불어, 승강수단(420)은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에 체결된 탑승부(430)의 지향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블럭(412)의 회동에 따라 구조물을 중심으로 탑승부(430)의 위치가 조절되더라도 작업자가 탑승부 내에서 이동할 필요없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승강수단(420)을 회동시켜 지향방향을 돌림으로써 구조물의 작업부위로 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elevating means 420 is hinge-connected to the hinge shaft 424 dispos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conveying plate 411 so that the elevating means 420 rotates horizontally about the hinge shaft 424, The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430 can be adjusted. Accordingly, even if the position of the boarding portion 430 is adjusted around th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turning block 412,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move in the boarding portion, and the elevating means 420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424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worker can be maximized.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420)은 승강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 개의 승강프레임(421)과,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의 상단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탑승부(430)가 체결되는 수평프레임(423)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수평프레임(423)은 상기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면서 상기 탑승부(4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elevating means 420 includes a plurality of elevating frames 421 whose vertical height is adjus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vating driving portion, one end of the elevating frame 421, And the horizontal frame 423 includes a hinge shaft 424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uppermost lift frame 421 and one end hinged to the hinge shaft 424, An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boarding part 430 can be adjusted while being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hinge axis 424.

이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423)은 승강수단(420)의 승강프레임(421)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면서 탑승부(4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형 구조물의 상부 위치로 탑승부(430)를 이동시킬 수 있어 상대적으로 큰 구동력이 필요한 승강프레임(421)을 승강구동시킬 필요없이 작업대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423 is hinged to the elevating frame 421 of the elevating means 420 so that it can vertical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oarding portion 430 while rotating up and down to thereb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oarding portion 430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vertical height of the work table without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ing frame 421 which requires a relatively large driving force, so tha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승강프레임(421)은 상하로 배치되되 각 승강프레임(421)이 갖는 둘레를 달리하여 상호간에 삽입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421)을 승강구동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미도시)의 경우 구동모터와 기어부재 등의 조합된 구성, 유압 및 공압 구동 방식의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elevating frames 421 may be vertically disposed, and the elevating frames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elevating frames 421 with different peripheries, and the height of the elevating frames 421 may be adjusted. Further, in the case of an elevation driving unit (not shown)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frame 421, a combined structure of a driving motor and a gear member, an actuator of a hydraulic pressure and a pneumatic driving system, or the like may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는 전륜플렛폼(300)을 보조하여 후륜플렛폼(200)에 안착된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지지수단이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단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306)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연장프레임(303)과, 상기 연장프레임(303)의 타단 하부에 체결되어 지면과 접촉되며 상기 연장프레임(303)을 지지하는 지지부(30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Meanwhile, the trolley for assembl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uxiliary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to support the load of the structure mounted on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 hinge shaft 306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FIG. 2 and FIG. 5 and having one end vertical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a supporting portion 304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elongate frame 303 and contacts the ground surface and supports the elongate frame 303.

따라서, 보조지지수단은 연장프레임(303)이 상기 힌지축(30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측부에 밀착되거나,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 방향 또는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부(304)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하중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longated frame 303 pivots about the hinge shaft 306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or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or forward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The position where the load of the structur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304 can be adjusted.

즉,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구조물이 안착판(12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어 눕혀지면서 구조물의 하중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륜플렛폼(300)의 지지력으로 구조물의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을 경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 또는 전방으로 인출되게 회동함으로써 전단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무의 하중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can not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structure due to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s the load center of the structure moves forward as the structure is tilted and laid horizontally by the seat plate 120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load of the structural members appli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by rotating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so as to be drawn out to both sides or forward.

이로 인해,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어 눕혀지는 경우 상기 연장프레임(303)을 회동시켜 전륜플렛폼(300)의 전방 또는 양측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부(304)가 배치되도록 구동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프레임(303)이 갖는 길이만큼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전륜플렛폼(300)의 측방 또는 전방으로 연장형성되어야 하는 길이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tructure is til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laid down, the extension frame 303 is rotated to be driven such that the support portion 304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load of the structure in a stable state and to reduce the length required to extend laterally or forwardly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so as to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structure by the length of the extension frame 303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trolley for assembling the structure.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후륜플렛폼(200)의 후단의 양측에도 배치됨으로써 후륜플렛폼(200)의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륜플렛폼(200)에 보조지지수단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전륜플렛폼(300)이 후륜플렛폼(200)에 체결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The situation where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is fastened to the rear wheel platform 200 when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s fastened to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can be minimiz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는 후륜플렛폼(200)과 전륜플렛폼(300)이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구조물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음려 장치의 전반적인 하중을 경감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후륜플렛폼(200)의 전륜플렛폼(300)과 전륜플렛폼(300)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륜플렛폼(200)과 전륜플렛폼(300)을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51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trolley for assembl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ensuring the operator's accessibility to the entire structure,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ar wheel platform 300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the rear wheel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s shown in FIG. 3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160)은 도면에서와 같이 후륜플렛폼(200)의 전단 양측 위치에 개구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공(510)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후단에 상기 체결공(5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공(520) 및, 전륜플렛폼(300)의 체결공(520)을 관통하여 후륜플렛폼(200)의 체결공(510)에 회전결합되어 전륜플렛폼(300)과 후륜플렛폼(200)를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체결볼트(53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160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510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s shown in the figure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51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520 formed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510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through the fastening holes 520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a fastening bolt 530 for selectively fastening the rear wheel platform 200 to the rear wheel platform 200.

또한, 상기 체결공(510,520)과 체결볼트(530)의 조합된 구성 이외에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조합된 구성 등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두 부재를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 체결수단(500)으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uch as a combination of the fitting projections and the fitting grooves in addition to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coupling holes 510 and 520 and the fastening bolt 530, the two members can be selectively detachably fastened And can be used as the fastening means 500.

이와 같은 체결수단(500)으로 인해 큰 하중 지지가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전륜플렛폼(300)을 후륜플렛폼(200)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전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성이 보장되고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장치의 전반적인 하중을 경감할 수 있다.Since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can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rear wheel platform 200 only when a large load is required due to the fastening means 500, the operator's accessibility to the entire structure is ensured, And the overall load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후륜플렛폼(200)의 상부에 안착된 구조물을 수평방향으로 틸팅되어 눕혀지면서 구조물의 하중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전륜플렛폼(300)을 후륜플렛폼(200)에 체결시켜 이용되고, 구조물이 직립배치되는 경우와 트롤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전륜플렛폼(300)을 분리시켜 후륜플렛폼(200)만을 이용하므로, 트롤리가 차지하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동시 주변 시설물들과 부딪히면서 장치가 훼손되거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front wheel platform 300 is used by fastening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to the rear wheel platform 200 only when the structure cent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s til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oad center of the structure is moved forward,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is separated and only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s used. Therefore, the installation space occupied by the trolley can be minimized, and the apparatus can be damaged or collapsed I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그리고, 상기 전륜플렛폼(300)과 후륜플렛폼(200) 중 하나의 플렛폼의 체결수단(500)에는 다른 하나의 플렛폼의 체결수단(500)을 향해 일정길이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된 체결가이드핀(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플렛폼의 체결수단(500)에는 상기 체결가이드핀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미도시)이 구비되어, 전륜플렛폼(300)과 후륜플렛폼(200)이 체결되기 위해 상호 근접되는 중에 상기 체결가이드핀이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체결수단(500)에 의한 체결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ans 500 of one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guide pin (not shown) extending horizontally to a fastening means 500 of another platform, (Not shown) for inserting the fastening guide pin is provided on the other fastening means 500 of the platform so that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re fastened The fastening guide pin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while being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so that fastening by the fastening means 500 can be facilitated.

또한,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가이드핀의 삽입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배치되어,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감지여부를 통해 전륜플렛폼(300) 및 후륜플렛폼(200)의 상호 체결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inserted state of the fastening guide pin is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mutual engagement state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s detected by the external As shown in FIG.

더불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후단에 배치된 바퀴부(310)와 후륜플렛폼(200)의 전단에 배치된 바퀴부(150)는 나사축이나 액추에이터 등의 별도의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비되어 전륜플렛폼(300)과 후륜플렛폼(200) 간의 체결높이를 조절하여 일치시킴으로써 상호간의 체결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heel 310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the wheel 150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re lifted up and down by separate elevating means such as a screw shaft or an actuator So that the fastening height between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s adjusted so that the fastening between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the rear wheel platform 200 is facilitated.

한편, 상기 고소작업대(400)에는 구동모터나 액추에이터 등과 같이 승강수단(420) 및 수평이송수단(410)이 동작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마이컴은 입력신호에 따라 각 구동수단을 프로그램밍된 사항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의 구동을 중앙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리모컨 컨트롤러 등의 조작수단과 유무선 통신수단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조작수단을 통해 설정사항 및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승강구동 및 수평이동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levating table 400 is provided with driving means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required to operate the elevating means 420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410 such as a driving motor or an actuator, By controlling the means according to the programmed items, it is possible to central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structure trolle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is connected to an operating mean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nd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operator inputs a user input signal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trolley for assembling the setting items and the structure through the operating means, May be provided so as to be driven.

상술한 바왁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전륜플렛폼(300) 상에서 승강구동하며 작업자가 탑승한 탑승부(430)를 원하는 상하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자유롭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어 구조물에 근접한 상부 위치로 작업자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접근성과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trolley for assembl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bawack can elevate and lift on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boarding portion 430 on which the operator is mounted to a desired height The operator can freely move horizontally within the horizontal area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can move the worker to an upper position close to the structur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the worker's accessibility and work efficienc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구조물 지지부 110...베이스프레임
120...안착판 130...기립수단
200...후륜플렛폼 300...전륜플렛폼
302...보조지지수단 400...고소작업대
410...수평이송수단 411...이송판
420...승강수단 430...탑승부
500...체결수단
100 ... structure support 110 ... base frame
120 ... seat plate 130 ... standing means
200 ... rear wheel platform 300 ... front wheel platform
302 ... auxiliary support means 400 ... elevation workbench
410 ... horizontal conveying means 411 ... conveying plate
420 ... elevating means 430 ... boarding section
500 ... fastening means

Claims (10)

삭제delete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조물이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1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안착판(120) 사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판(120)을 회동시켜 틸팅구동을 구현하는 기립수단(130)을 포함하는 구조물 지지부(100);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가 중앙에 탑재되며,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2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후륜플렛폼(200);
상기 후륜플렛폼(200)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기립수단(130)의 틸팅구동에 의해 안착된 구조물이 전방으로 눕혀지면서 전단방향으로 가해지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둘레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바퀴부(310)가 배치되어 이동가능한 전륜플렛폼(300); 및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이송판(411)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수단(410)과, 직립배치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체결되고 승강구동하며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승강수단(420) 및, 상기 승강수단(420)의 상단에 체결되며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탑승공간(431)이 마련된 탑승부(430)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400);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블럭(412)과, 상기 회동블럭(412)과 대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지지블럭(413) 및, 상기 회동블럭(412)과 지지블럭(413)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4)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회동블럭(412)의 회동되는 각도와 상기 가이드바(414)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A base plate 110 and a seating plate 120 disposed on the base frame 110 and having a structure mounted thereon and a base plate 110 hinged between the base frame 110 and the seating plate 120, A structure supporting part (100) comprising standing means (130) for rotating the seating plate (120) with respect to the frame (110) to implement tilting driving;
A rear wheel platform 200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structure supporting portion 100 and movable around a plurality of wheel portions 210 at a lower periphery thereof;
A structure disposed at a front position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seated by the tilting drive of the standing means 130 supports the load of the structure appli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while being laid forward, A front wheel platform 300 that is movable with the rear wheel 310 disposed thereon; And
A horizontal conveying means 410 mounted on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for horizontally moving the conveyance plate 411 within a horizontal area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 riding part 430 which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part 420 and has a boarding space 431 for an operator to board the inside of the riding part 420, (400),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400)
The horizontal transporting means (410)
A rotating block 412 hinged to one side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supporting block 413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block 4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guide bar 414 extending linearly between the pivot block 412 and the support block 413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eed plate 411 by being inserted or seated therethrough,
The position of the feed plate 4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horizontal area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 412 and the distance of sliding in the guide bar 414 And a trolley for assembling the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수단(410)은, 상기 전륜플렛폼(300) 상에서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배치되는 가이드레일(416)과, 각 가이드레일(416)에 지지되어 각각의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슬라이딩블럭(417)과, 각 슬라이딩블럭(417) 사이에 직선형태로 연장배치되며 상기 이송판(411)이 관통삽입되거나 안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바(418)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판(411)은 상기 슬라이딩블럭(417)이 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거리와 상기 이송판(411)이 가이드바(418)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수평면적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rizontal conveying means 410 includes guide rails 416 extending horizontally in parallel on opposite sides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nd guide rails 416 supported by the guide rails 416, A guide bar 418 which extends linearly between the sliding blocks 417 and is slidably inserted into or inserted into the sliding plate 411 so as to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sliding block 417, / RTI >
The feed plate 41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according to the distance that the sliding block 417 slides along the guide rail 416 and the distance that the feed plate 411 slides in the guide bar 418. [ ) I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in a horizontal area of the trolley (10).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플렛폼(200)의 전단과 전륜플렛폼(300)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륜플렛폼(200)과 전륜플렛폼(300)을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fastening means 500 dispos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to detachably couple the rear wheel platform 200 and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 A trolley for constructing structures.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단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306)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연장프레임(303)과,
상기 연장프레임(303)의 타단 하부에 체결되어 지면과 접촉되며 상기 연장프레임(303)을 지지하는 지지부(304)를 포함하는 보조지지수단;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지지수단은, 연장프레임(303)이 상기 힌지축(30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측부에 밀착되거나, 상기 전륜플렛폼(300)의 양측 방향 또는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지지부(304)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하중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 extension frame 303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hingedly coupled to a hinge shaft 306 having one end vertically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And an auxiliary supporting mean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ongated frame (303) and including a support portion (304) for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and supporting the elongate frame (303)
The auxiliary supporting mean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extension frame 303 pivots about the hinge shaft 306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or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or forward of the front wheel platform 300, Wherein a position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structure is adjusted by the supporting part (30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20)은 하단이 상기 이송판(411)에 상하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에 체결된 탑승부(430)의 지향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elevating means 420 is hinge-connected to a hinge shaft 424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veying plate 411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rotates horizontally about the hinge shaft 424, 430) of the trolley (1) is adjust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20)은,
승강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 개의 승강프레임(421) 및,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의 상단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탑승부(430)가 체결되는 수평프레임(423)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423)은 상기 최상단의 승강프레임(42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424)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면서 상기 탑승부(4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levating means (420)
A plurality of elevating frames 421 whose vertical height is adjus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vating carriage portion, one end of the elevating frame 421 which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elevating frame 421, And a horizontal frame 423,
The horizontal frame 423 is hinged to a hinge shaft 424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uppermost lift frame 421 and rotates up and down about the hinge shaft 424,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rolley is adjusted.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수단(1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폭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10)의 연장된 길이방향의 양단 사이에 길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바(140)와,
상기 가이드바(140)에 하부가 지지되어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는 상기 안착판(120)의 하단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 및,
일단은 상기 안착판(120)의 중앙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 양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프레임(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tanding means (130)
A guide bar 14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between both ends of the extended length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10,
A sliding block 150 slidably supported on the guide bar 140 and extending along the extend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140 and hing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late 120,
And a guide frame (160) hinged to both sides of a central portion of the seating plate (120) at one end and hinged to both sides of a rear end of the base frame (1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는,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70)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71)와,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축에 기어결합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력을 분배하는 동력전달축(174) 및,
상기 동력전달축(174)의 양측에 각각 기어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140)의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둘레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이 나사결합되는 나사축(175)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나사축(175)에 나사결합되는 슬라이딩블럭(150)의 나사공의 내측에는 상기 숫나사산과 치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175)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블럭(150)이 가이드바(1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ructure support part
The sliding block (150) further includes a sliding driver (17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sliding along the guide bar (140)
The sliding driving unit 170 includes:
A drive motor 171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A power transmitting shaft 174 gear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171 to distribute rotational force in both directions,
The sliding block 150 is gear-engaged at both sides of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174 and extends along the extend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ar 140,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liding block 150, And a screw shaft 175,
The sliding block 150 is screwed to the screw shaft 175 and a fe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hread hol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s. 140). ≪ / RTI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지지부(100)는,
상기 안착판(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판(120)의 틸팅된 상태를 감지하는 틸팅센서부(180) 및,
상기 틸팅센서부(180)와 신호연결되어 상기 틸팅센서부(180)에 의해 감지된 안착판(120))의 틸팅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틸팅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71)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ructure support part
A tilting sensor unit 18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late 120 for detecting a tilted state of the seating plate 120,
And receives the til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eating plate 120 sensed by the tilting sensor unit 180 in signal connection with the tilting sensor unit 180 and outputs the til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riving motor 171 Further comprising: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rive of the trolley.
KR1020140033394A 2014-03-21 2014-03-21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KR1015805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94A KR101580528B1 (en) 2014-03-21 2014-03-21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94A KR101580528B1 (en) 2014-03-21 2014-03-21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416A KR20150111416A (en) 2015-10-06
KR101580528B1 true KR101580528B1 (en) 2015-12-29

Family

ID=5434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94A KR101580528B1 (en) 2014-03-21 2014-03-21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5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19B1 (en) * 2015-12-08 2017-02-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Solar panel transfer and assembly support device
CN107334536B (en) * 2017-07-31 2023-05-30 成都博恩思医学机器人有限公司 Internal supporting mechanism and control console
KR102115431B1 (en) * 2018-09-07 2020-05-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Optical table transfer apparatus and transferring method for thermal vacuum test using electric motor
CN111646399B (en) * 2020-07-08 2024-05-17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Roller assembly of lifting device
KR102458584B1 (en) * 2020-10-16 2022-11-09 이응창 Safety lift for high work
CN112454080B (en) * 2020-11-26 2022-01-21 德清县益明机械配件有限公司 Diversified grinding device of machine part production
CN115847366A (en) * 2022-01-13 2023-03-28 克诺尔车辆设备(苏州)有限公司 Assistance device for assisting the mounting or dismounting of a brake on a bogie of a rail vehicle
CN115059276B (en) * 2022-07-22 2023-11-1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Working platform
CN115262995A (en) * 2022-08-19 2022-11-01 江苏和天下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Auxiliary stand is used in installation of ALC light weight wallboard
CN116221582B (en) * 2023-05-08 2023-07-21 西安诚安测控科技有限公司 Radar detec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89B1 (en) 2009-12-18 2011-04-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ntenna panel integration trolle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291B2 (en) * 1991-12-07 1994-11-24 日本機工株式会社 Self-propelled cargo loading / unloading machine
KR100933361B1 (en) * 2008-01-29 2009-12-22 씨에스주식회사 Aerial platform
KR101008150B1 (en) * 2008-06-04 2011-01-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Trolley for assembly of large size satelli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89B1 (en) 2009-12-18 2011-04-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ntenna panel integration troll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416A (en)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528B1 (en)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EP2960183B1 (en) Stacker cra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710791B1 (en) Operating table column for an operating table
KR101762570B1 (en) Electromotion rail lift to mobile in every direction
CN107499879B (en) Turnover device
US11661323B2 (en) Device for lifting loads
KR101118781B1 (en) Automated slop control equipment of concave and convex plate
CN101309851A (en) Lifting system
KR102135197B1 (en) Hand lift device
KR20100089210A (en) Multipurpose lift device for move style
CN108862100A (en) A kind of battery of electric vehicle lifting machine of adjustable angle
KR101517437B1 (en) Trolley For Structure Assembly
KR101761260B1 (en) Up-down work table
KR101635367B1 (en) Carrier
JP6282211B2 (en) Panel construction machine and panel construction method
KR101536203B1 (en) Trolley For Structure(Satellite) Of Middle And Large Size
KR101181058B1 (en) Patient bed having assistance Robot
CN102828629B (en) working platform device
CN113979385A (en) Lifting vehicle
JP6865151B2 (en) Heavy load carrier
CN113023633B (en) Portable electric power construction elevating platform
KR20200002553A (en) Cargo loading unit and hand lif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35211B1 (en) Hand lift device
CN110740965A (en) Lifting platform for lifting vehicle
KR101252098B1 (en) high-place worktable for agri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