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156B1 - Drone with air cleaning function - Google Patents

Drone with air clean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156B1
KR101997156B1 KR1020180007366A KR20180007366A KR101997156B1 KR 101997156 B1 KR101997156 B1 KR 101997156B1 KR 1020180007366 A KR1020180007366 A KR 1020180007366A KR 20180007366 A KR20180007366 A KR 20180007366A KR 101997156 B1 KR101997156 B1 KR 10199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ir
filter
propeller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연호
김동민
조성훈
류영세
오권호
이윤표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1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1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for air purification, including: a drone main body capable of flight; an air purification filter body purifying sucked air generated in a propeller part of the drone main body; and a filter support body connected to and mounted on the dron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air purification filter body, thereby effectively purifying the air in a wide indoor space using the air purification filter body while freely flying using the drone main body.

Description

공기 정화용 드론{Drone with air cleaning function}[0002] Drone with air cleaning function [

본 발명은 공기 정화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for air purification.

일반적으로, 최근 현대인들은 주택, 사무실, 지하 공간 등의 실내 공간에서 하루 시간의 80%정도를 생활하고 있다.In general, modern people are living 80% of the day in indoor space such as houses, offices and underground spaces.

이처럼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에게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은 일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For modern people,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maintaining health.

그리고, 근래에 들어 미세먼지 등의 증가로 실내외 공기가 나빠지고 있어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공기 청정기가 제안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indoor and outdoor air has been deteriorated due to an increase in fine dust and the like, and various air cleaners for purifying indoor air have been proposed.

공기청정기는 실내에 위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기 위한 장치이며,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먼지와 세균을 없애고 나쁜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The air purifier is located inside the room to purify polluted air and convert it into fresh air. It passes air through the filter to remove dust and germs and to remove bad smell.

공지의 공기 청정기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58216호 '참숯필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37087호 '헤파필터와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가 제안된 바 있다. As a known air cleaner, Korean Utility Model No. 0358216 entitled "Air purifier equipped with charcoal filter"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37087 "HEPA filter and air purifier using the same"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58216호 '참숯필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37087호 '헤파필터와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등과 같이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정해진 위치 즉, 고정된 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를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게 되므로 공기를 정화시키는 면적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 air cleaners, such as Korean Utility Model No. 0358216, "Air Cleaner with Charcoal Filter" 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37087 "HEPA Filter and Air Cleaner Using the Air Cleaner" The air is purified by passing the air through the filt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ea for purifying the air is limited.

따라서, 실내 체육관, 대강당, 영화관, 전시장 등과 같이 면적이 매우 큰 실내 공간을 가지는 경우 다수의 공기 청정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공기 청정기의 설치 비용이 매우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having an indoor space having a very large area such as an indoor gymnasium, an auditorium, a movie theater, an exhibition hall, etc., a large number of air cleaners must be installed, thus increasing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air cleaner.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58216호 '참숯필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2004년 08월 05일)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58216 'Air cleaner with charcoal filter' (August 05, 2004)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37087호 '헤파필터와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2003년 12월 31일)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0337087 'HEPA filter and air purifier using it' (December 31, 20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드론을 통해 넓은 실내 공간에서 공기 청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for effectively cleaning air in a spacious indoor space through a dron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은 비행 가능한 드론 본체, 상기드론 본체의 프로펠러부에서 발생되는 흡입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 필터체, 드론 본체에 연결되어 장착되고 공기정화 필터체의 위치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purifying dron comprising a flyable drone body, an air purifying filter body for purifying intake air generated in a propeller portion of the dron body, And a fil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lter support.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 지지체는 상기 드론 본체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공기정화 필터체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필터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support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drones, and may include a filter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air filtering filter can be detachably mounted.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 지지체는 상기 드론 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메쉬를 가지는 보호망부재 및 상기 드론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보호망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망지지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망지지 프레임부재는 복수의 개방부를 가지고 상기 드론 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부 및 일단부 측이 상기 드론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상기 망지지 프레임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support includes a protection net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meshes through which air can pass, and a net support frame member connected to the drones and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netting member, , The net supporting frame member has a main fram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to surround the drone main body, one end side fixed to the dron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side fixed to the main frame portion, And a support frame portion for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frame portion.

상기 메인 프레임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가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측에 위치되며 상기 공기정화 필터체가 장착될 수 있는 상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드론 본체가 착륙할 때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적어도 드론 본체를 전부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로펠러부의 상부 측에 필터 장착부가 될 수 있다.The main frame part includes a base frame to which the support frame part is connected, an upper frame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on which the air filtering filter can be mounted, a lower frame which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a lower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base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upper frame may cover at least the drone main body And the filter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peller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 장착부를 지지하며 각 프로펠러부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필터 지지 프레임부가 위치되고, 상기 필터 지지 프레임부는 상기 프로펠러부의 길이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공기 흡입용 개방부를 형성하고 프로펠러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하부 테두리 프레임, 상기 하부 테두리 프레임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테두리 프레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 하단부가 상기 하부 테두리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테두리 프레임에 연결되어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복수의 연결 테두리 프레임, 상기 상부 테두리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필터 장착부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1필터 장착부를 연결하는 제1필터 지지프레임 및 상기 연결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제2필터 장착부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2필터 장착부를 연결하는 제2필터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lter support frame portion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spective propeller portions are supported in the upper frame, and the filter support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ir intake opening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propeller portion, A lower frame frame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the propeller section and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an upper frame frame spaced from an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frame and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lower frame frame,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 frame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frame and having upper end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frame so as to be inclin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 frame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frame and the upper frame frame, 1 filter sheet And a second filter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connection frame frame and the second filter mount to support a position of a first filter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mount and a second filter mount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frame frame .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정화 필터체는 상기 상부 테두리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프로펠러부의 수직 방향에 위치되는 제1공기 필터, 상기 연결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프로펠러부를 마주하도록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2공기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filtering filter body may include a first air filter positioned inside the upper frame and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unit, a plurality of air filters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frame frames and tilted to face the propeller unit, 2 air filter.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테두리 프레임의 하부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의 개방부 내경이 상기 프로펠러부의 길이와 같거나 큰 흡입 가이드부가 위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dge frame may have a cone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end, and a suction guide portion hav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at the lower e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propeller.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은 공기 탈취제를 분사시키는 탈취제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purifying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odorant jetting unit for jetting the air deodoran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은 상기 드론 본체를 조종하는 무선 조종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조종기에는 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대기 측정센서부 및 제1대기 측정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rones for air clea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adio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ones, and the radio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unit and a first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unit, And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a result of the measurement.

본 발명에서 상기 무선 조종기에는 상기 제1대기 측정센서부에서 측정된 대기 오염 정도가 기설정된 오염 정도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알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a user whe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easured by the first waiting measurement sensor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egree of pollu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드론 본체에는 비행 중 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여 무선 조종기로 전송하는 제2대기 측정센서부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대기 측정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대기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s are provided with a second waiting measurement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during flight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radio controller,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wai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cond waiting measurement sensor unit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드론 본체로 자유롭게 비행하면서 공기정화 필터체를 이용하여 넓은 면적의 실내에서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an be effectively purified in a large-sized room by using the air purifying filter body while flying freely to the dron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탈취제 분사부로 공기 탈취제를 분사하여 공기 정화 뿐만아니라 실내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eodorant is injected into the deodorant spraying part to remove air from the room as well as ai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필터 지지체가 드론 본체를 감싸 위치되어 도전 본체를 보호하여 드론 본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착륙 또는 낙하 시 발생되는 드론 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support is placed around the dron body to protect the conductive body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ron body, and to prevent breakage of the dron body generated during landing or dropping It is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을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rones for air pur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air cleaning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4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urifying air using the air cleaning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ir cleaning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ir cleaning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의 한 실시예는 드론 본체(100)를 포함한다.1 to 3, an embodiment of the air purifying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rones 100.

드론 본체(100)는 내부에 배터리가 위치되고, 프로펠러 구동부가 구비되는 드론 몸체부(110), 드론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로펠러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프로펠러부(120)를 포함한다.The drone main body 100 includes a drum body 110 having a battery disposed therein and a propeller driving unit, a plurality of propeller units 120 rotatably installed on the drone body 110 and rotated by a propeller driving unit, .

드론 본체(100)는 프로펠러부(120)의 회전에 의해 양력을 얻어 공중에서 떠다니면서 이동할 수 있고, 카메라부,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ron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data storage unit that is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unit 120 and can move while floating in the air and stores images or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nd the camera unit.

드론 본체(100)는 무선 조종기(10)를 통해 발생되는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하며, 드론 본체(100)를 조종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와 연계되어 휴대 단말기로도 연계되어 스마트폰 등에 휴대용 단말기로 조종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The dron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capable of flying the dron main body 100 by inducing a radio wave generated through the radio control device 10, And it can be handled as a portable terminal in a smart phone or the like.

드론 본체(100)는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비행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의 총칭으로, 2010년대를 전후하여 군사적 용도 외 다양한 민간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공지의 드론이다. The drone main body 100 is a generic name of an airplane and a helicopter-shape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that can fly and steer by induction of a radio wave, and is used in various private fields other than military use around the year 2010 It is a known drones.

헬리콥터나 드론처럼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양력을 발생시키는 비행 물체의 경우, 프로펠러 회전의 반작용에 의해 본체가 프로펠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싱글로터 헬리콥터의 경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일 로터(tail rotor)가 필요하지만, 드론 본체(100)는 앞뒤 프로펠러의 회전을 반대로 하여 프로펠러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반작용을 상쇄시키는 원리를 기본으로 한다. 즉, 드론 본체(100)는 각각의 로터 프로페러 회전을 제어하여 상승비행모드(ascend), 하강비행모드(descend), 전진비행모드 (forward), 후진비행모드(backward), 우횡비행모드(roll right), 좌횡비행모드 (roll left), 좌회전비행모드(yaw left), 우회전비행모드(yaw right)가 가능하다. 드론 본체(100)는 상대적으로 작은 복수 개의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양력을 얻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각각의 프로펠러로부터 발생하는 양력을 조절하여 전진 및 후진과 방향 전환을 한다.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하며 무인 비행체로써 공지의 드론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고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In the case of a flying object, such as a helicopter or a drone, which generates lift by rotation of the propeller, the reaction of the propeller rotation causes the body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In the case of a single rotor helicopter, a tail rotor is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but the drone body 100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unteracting the reaction caused by propeller rotation by reversing the rotation of the front and rear propellers. That is, the drone main body 100 controls the rotation of each rotor propeller so that the dron main body 100 can ascend, ascend, descend, forward, backward, right, roll left, yaw left, and yaw right modes. The drone main body 100 obtains lift by using a plurality of relatively small propellers and adjusts lift generated from each propeller by induction of radio waves to advance and reverse and change directions. It can be carried out by induction of radio waves and variously modified to a known dron as a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드론 본체(100)에서 프로펠러부(120)의 상부 측에는 프로펠러부(12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 필터체(200)가 위치된다. An air purifying filter body 200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by the propeller part 12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peller part 120 in the drone main body 100.

드론 본체(100)에는 공기정화 필터체(200)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는 필터 지지체(300)가 연결되어 장착된다. A filter support 300 capable of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air purifying filter 200 is connected to the drone main body 100.

필터 지지체(300)는 드론 본체(100)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공기정화 필터체(2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필터 장착부(210)가 구비된다.The filter support 30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drone main body 100 and is provided with a filter mounting portion 210 to which the air purifying filter body 200 can be detachably mounted.

공기정화 필터체(200)는 필터 지지체(300)에 장착되어 프로펠러부(120)의 상부 측에 프로펠러부(120)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프로펠러부(120)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The air purifying filter element 200 is mounted on the filter support 300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peller part 12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opeller part 120 to purify the air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part 120 do.

공기정화 필터체(200)는 상부 프레임(421b)에 구비되는 필터 장착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교체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t is noted that the air purifying filter element 20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mounting part 210 provided in the upper frame 421b and can be replaced.

공기정화 필터체(200)는 미세한 유해물질과 오염된 먼지까지도 걸러주는 공지된 특수 대전섬유인 석면 섬유로 제작된 여과지인 헤파필터(HEPA :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흡착력으로 공기에 함유되어 인체에 해로운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 곰팡이 등과 같은 유해물질과 인체에 가장 해로운 미립자인 대략 0.3마이크론 크기의 오염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공기 정화 필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air purifying filter element 200 is, for example, 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HEPA) filter made of asbestos fiber, which is a known special charging fiber for filtering fine dust and harmful harmful substances. 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known air purification filters contained in the air to filter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mites, viruses, fungi, etc. harmful to human body and pollutant dusts of about 0.3 micron size which are the most harmful particles to human body. .

필터 지지체(300)는 드론 본체(100)를 감싸고 드론 본체(100)의 프로펠러부(120)에 의해 외부 측의 공기가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보호망체(400)로 형성된다. The filter support 300 is formed as a protection net member 400 so as to surround the dron main body 100 and smoothly introduce air from the outside by the propeller part 120 of the dron main body 100.

보호망체(400)는 드론 본체(10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드론 본체(100)는 보호망체(400)의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 측으로 여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위치된다. The protector body 400 is formed to enclose the dron body 100 and the dron body 100 is positioned such that a clearanc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side of the protector net 400.

드론 본체(100)의 프로펠러부(120)는 회전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로 강하게 배출시키면서 양력을 발생시킨다.The propeller part 120 of the drone main body 100 rotates to suck the air and generate strong lift while strongly discharging the air.

드론 본체(100)는 비행 시 프로펠러부(120)의 회전으로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공기의 흡입력으로 공기를 보호망체(400)의 내부로 흡입하고, 공기정화 필터체(200)는 프로펠러부(120)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어 드론 본체(100)의 비행 시 프로펠러부(120)의 회전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Since the drone main body 100 sucks the surrounding air by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part 120 during the flight, the air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net 40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And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drones 120 so as to purify the air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unit 120 during flight of the drones 100. [

즉, 프로펠러부(120)의 회전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정화 필터체(2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That is, the air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unit 120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ing filter 200.

한편, 보호망체(400)는 드론 본체(100)를 감싸 보호하여 착륙 또는 낙하 시 발생되는 드론 본체(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tection net 400 protects the drone main body 100 and protects the drone main body 100 from being damaged during landing or dropping.

즉, 드론은 비행 중에 배터리의 소모 또는 사용자의 조종 실수로 나무, 건물의벽 등에 부딪쳐 낙하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That is, the drones may be accidentally fallen due to battery consumption or maneuvering mistakes while flying, such as colliding with trees or walls of a building.

보호망체(400)는 드론 본체(100)의 낙하 사고 발생 시 드론 본체(100)를 감싸 보호하여 드론 본체(100)로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한다.The protection net 400 protects the drones 100 when the drones 100 fall down, thereby minimizing the impact of the drones 100 on the drones 100.

더 상세하게 보호망체(400)는 드론 본체(10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메쉬를 가지는 보호망부재(410), 드론 본체(100)에 연결되며 보호망부재(410)의 위치를 지지하는 망지지 프레임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rotection net 400 includes a protection net member 410 having a plurality of meshes through which the air can pass, a protection net member 410 connected to the drones 100, And a net supporting frame member 420 supporting the position.

보호망부재(410)는 망사 천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protection net member 410 is formed of a mesh fabric.

망지지 프레임부재(420)는 복수의 개방부를 가지고 드론 본체(10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부(421), 일단부 측이 드론 본체(100)에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메인 프레임부(421)에 고정되어 망지지 프레임부재(420)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 supporting frame member 420 includes a main frame portion 421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and surrounding the drone main body 100. The main frame portion 421 has one end side fixed to the dron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end side fixed to the main frame portion 421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net support frame member 420. The support frame member 422 may be formed of a metal or the like.

메인 프레임부(421)는 복수의 막대형 프레임이 연결되어 복수의 개방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main frame portion 421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bar-shaped frames are connected to form a plurality of open portions.

메인 프레임부(421)는 복수의 개방부가 구비되어 개방부를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어 프로펠러부(120)의 작동에 의한 양력으로 드론 본체(100)가 원활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ain frame portion 4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 portions so that the air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open portions so that the drones 100 can smoothly fly by lifting due to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portion 120.

메인 프레임부(421)는 지지 프레임부(422)가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421a), 베이스 프레임(421a)의 상부 측에 위치되며 공기정화 필터체(200)가 장착될 수 있는 상부 프레임(421b), 베이스 프레임(421a)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드론 본체(100)가 착륙할 때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421c), 베이스 프레임(421a)과 상부 프레임(421b)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 프레임(421d), 베이스 프레임(421a)과 하부 프레임(421c)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 프레임(421e)을 포함한다.The main frame part 421 includes a base frame 421a to which the support frame part 422 is connected, an upper frame 421b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421a and on which the air filtering filter body 200 can be mounted, A lower frame 421c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frame 421a and seated on the ground when the drones 100 land, an upper connection frame 421d connecting the base frame 421a and the upper frame 421b And a lower connection frame 421e connecting the base frame 421a and the lower frame 421c.

베이스 프레임(421a)은 드론 본체(1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링형상 또는 복수의 막대형 프레임이 연결된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ase frame 421a may have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one main body 100 or a polygonal shape to which a plurality of bar-shaped frames are connected.

또한, 상부 프레임(421b)과 하부 프레임(421c)은 각각 베이스 프레임(421a)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링형상 또는 복수의 막대형 프레임이 연결된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rame 421b and the lower frame 421c may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base frame 421a and may have a ring shape or a polygonal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bar-shaped frames are connected.

상부 프레임(421b)은 적어도 드론 본체(100)를 전부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프로펠러부(120)의 상부 측에 필터 장착부(2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프로펠러부(12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보호망체(4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게 한다.The upper frame 421b is formed to have a size enough to cover at least the drone main body 100 so that the filter mounting part 210 can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peller part 120, So that the air can be sucked into the protection net 400.

또한, 하부 프레임(421c)은 드론 본체(100)를 적어도 전부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평면의 하부면을 가져 드론 본체(100)가 지면에 착륙할 때 안정적으로 착륙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421c is formed to have a size enough to cover at least the drone main body 100, and allows the lower surface to be stably landed when the drone main body 100 lands on the ground.

상부 프레임(421b)의 내부에는 필터 장착부(210)를 지지하며 각 프로펠러부(120)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필터 지지 프레임부(423)가 위치된다. In the upper frame 421b, a plurality of filter support frame portions 423 are disposed, which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spective propeller portions 120, respectively.

필터 지지 프레임부(423)는 프로펠러부(120)의 길이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공기 흡입용 개방부를 형성하고 프로펠러부(120)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부 프레임(421b)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하부 테두리 프레임(423a), 하부 테두리 프레임(423a)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하부 테두리 프레임(423a)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 하단부가 하부 테두리 프레임(423a)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에 연결되어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복수의 연결 테두리 프레임,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필터 장착부(211)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과 제1필터 장착부(211)를 연결하는 제1필터 지지프레임(423d), 연결 테두리 프레임(423c)사이에 위치되는 제2필터 장착부(212)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연결 테두리 프레임과 제2필터 장착부(212)를 연결하는 제2필터 지지프레임(423e)을 포함한다. The filter support frame portion 423 forms an air intake opening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propeller portion 12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peller portion 120 and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421b, An upper frame frame 423b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frame 423a and smaller than the lower frame frame 423a, a lower frame frame 423a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frame 423a, The upper frame frame 423b and the upper frame frame 423b to support the position of the first filter mounting part 211 located inside the upper frame frame 423b, A first filter supporting frame 423d for connecting the first filter mounting portion 211 and a second filter mounting portion 212b for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lter mounting portion 212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frame frames 423c, And a second filter support frame (423e) for connecting the frame and the second filter mounting piece (212).

하부 테두리 프레임(423a)과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은 육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연결 테두리 프레임은 하부 테두리 프레임(423a)과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의 각 꼭지점 부분을 연결하여 육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의 둘레로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6개의 필터 장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The lower frame frame 423a and the upper frame frame 423b have a hexagonal frame shap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 frames connect the vertex portions of the lower frame frame 423a and the upper frame frame 423b to form a hexagonal frame shape The branching frame 423b forms six filter mounting spaces that are inclined around the upper edge frame 423b.

필터 장착부(210)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의 내부, 연결 테두리 프레임(423c)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공기정화 필터체(200)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의 내부에 위치되어 프로펠러부(120)의 수직 방향에 위치되는 제1공기 필터(220), 연결 테두리 프레임(423c)사이에 위치되어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2공기 필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mounting portion 210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frame frame 423c and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frame 423b and the air filtering filter body 200 is positioned inside the upper frame frame 423b, And a plurality of second air filters 230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frame frame 423c and the first air filter 220 and the connection frame frame 423c.

제1공기 필터(220)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의 내부에 위치된 제1필터 장착부(2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로펠러부(120)의 수직 방향에 위치되고, 제2공기 필터(230)는 연결 테두리 프레임(423c)사이에 위치되는 필터 장착면 즉, 육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423b)의 둘레로 형성되고 연결 테두리 프레임으로 구분되는 6개의 필터 장착 공간 내에 장착된다. The first air filter 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ilter mounting portion 211 located inside the upper frame frame 423b and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portion 120 and the second air filter 230 Is mounted in six filter mounting spaces formed around the filter mounting surface, i.e., the upper rim frame 423b having a hexagonal frame shape,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rim frames 423c and separated by the connecting rim frame.

제2필터 장착부(212)는 프로펠러부(120)를 마주하도록 기울어지게 각 필터 장착 공간에 위치되고, 이에 제2공기 필터(230)도 프로펠러부(120)를 마주하도록 기울어지게 각 필터 장착 공간에 위치된다. The second filter mounting portion 212 is located in each filter mounting space so as to be inclined to face the propeller portion 120 so that the second air filter 230 is inclined to face the propeller portion 120, .

또한, 하부 테두리 프레임(423a)의 하부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의 개방부 내경이 프로펠러부(120)의 길이와 같거나 큰 흡입 가이드부(424)가 위치될 수 있다.A lower end of the lower frame 423a is formed with a cone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end and a suction guide portion 424 having an opening inner diameter equal to or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propeller portion 120 is located .

흡입 가이드부(424)는 하부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로펠러부(120)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으로 공기가 더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suction guide portion 424 is formed in a cone shape having a smaller inner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air can be sucked more smoothly by the suction force by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portion 120.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은 프로펠러부(120)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프로펠러부(120)의 수직 방향에 위치된 제1공기 필터(220)와 제1공기 필터(220)의 둘레로 기울어져 프로펠러부(120)를 마주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2공기 필터(230)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공기 정화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That is, the air d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sucked by the rotation of the propeller unit 120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filter 220 and the first air filter 220 l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unit 120 And the second air filter 230, which is positioned to face the propeller part 120 by being inclined around the first air filter 230, can maximize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용 드론의 한 실시예는 공기 탈취제를 분사시키는 탈취제 분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air cleaning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odorant spraying unit 500 for spraying the air deodorant.

탈취제 분사부(500)는 액상의 탈취제를 노즐로 분사하여 실내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odorant sprayer 500 injects the liquid deodorant into the nozzle so as to remove the odor of the room.

탈취제 분사부(500)는 액상의 탈취제를 저장하는 탈취제 저장부, 탈취제 저방부에 저장된 액상의 탈취제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무선 조종기(10)를 이용하여 분사 노즐로 액상의 탈취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odorant spraying unit 500 includes a deodoran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eodorant in the liquid phase and a spray nozzle for spraying the deodorant in the liquid phase stored in the deodorant storage unit. As shown in FIG.

탈취제 분사부(500)는 드론 본체(100)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메인 프레임부(421)재에 위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It is noted that the deodorant spraying part 500 may be located in the main frame part 421, for example, being located in the drone main body 100.

탈취제 분사부(500)는 드론 본체(100)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The deodorant spraying unit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drone main body 100 and is operated by receiving electric power through a battery.

또한, 탈취제 분사부(500)는 무선 조종기(10)와 무선 통신을 통해 드론 본체(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와 연결되어 무선 조종기(10)를 통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The deodorant spraying unit 500 may be connected to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main body 100 through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control unit 10 so that operation of the deodorant spraying unit 50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radio control unit 10. [

사용자는 무선 조종기(10)로 탈취제 분사부(5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odorant spraying unit 500 with the radio controller 10. [

또한, 무선 조종기(10)에는 미세 먼지 등의 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대기 측정센서부(11) 및 제1대기 측정센서부(11)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radio control device 10 is also provided with a first atmosphere measurement sensor section 11 capable of measuring the degree of air pollution such as fine dust and a second atmosphere measurement sensor section 11 capable of displaying the result measured by the first atmosphere measurement sensor section 11 A display unit 12 may be provided.

무선 조종기(10)에는 제1대기 측정센서부(11)에서 측정된 대기 오염 정도가 기설정된 오염 정도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알림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ntroller 10 may be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for notifying the user whe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easured by the first waiting measurement sensor unit 1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egree of pollution.

알림부(미도시)는 스피커부 또는 램프부를 포함하여 스피커부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램프부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대기 오염이 나쁜 것을 알림하고, 사용자가 무선 조정기로 드론 본체(100)를 비행시켜 해당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notification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speaker unit or a lamp unit so as to generate a warning sound in the speaker unit or to lighten the lamp unit to inform the user that air pollution is bad, and the user may fly the drones 100 with the wireless regulator So that the air in the room can be purified.

또한, 드론 본체(100)에는 비행 중 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여 무선 조종기(10)로 전송하는 제2대기 측정센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drones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unit 600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during flight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radio controller 10.

제2대기 측정센서부(600)는 드론 본체(100)가 비행 중에 비행 중인 지역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여 무선 조종기(1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부(12)는 제2대기 측정센서부(600)로부터 전달받은 대기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atmosphere measurement sensor unit 600 measures the air condition of the area where the drones 100 are flying during the flight and transmits the measured air condition to the radio controller 10 and the display unit 12 receives the second air measurement sensor unit 600 )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waiting information.

즉, 사용자는 드론 본체(100)가 비행하는 지역의 공기 상태를 확인하면서 드론 본체(100)를 조종하여 비행시킬 수 있어 드론 본체(100)를 비행시키면서 공기 오염 정도기 심한 지역에서 드론 본체(100)를 제자리에서 비행(호버링)시켜 공기가 오염된 실내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user can fly and control the dron body 100 while checking the air condition of the area where the dron body 100 is flying, so that the user can fly the dron body 100 while droning the dron body 100 (Hovering) in place to effectively clean the air-contaminated room.

제1대기 측정센서부(11)와 제2대기 측정센서부(600)는 대기질 측정시 대기 속에 포함된 각종 유해가스와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측정센서, 이산화황 측정센서, 일산화 탄소와 이산화질소 측정센서, 오존 측정센서, 방사능 측정센서, 미세먼지 측정센서 등의 공지의 대기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The first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unit 11 and the second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unit 600 measure a carbon dioxide measurement sensor, a sulfur dioxide measurement sensor, carbon monoxide and nitrogen dioxide measurement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using a known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such as a sensor, an ozone measurement sensor, a radiation measurement sensor, and a fine dust measurement sensor.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공기 정화용 드론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air cleaning dron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무선 조종기(10)를 이용하여 작동 신호를 드론 본체(100)에 전송하고 드론 본체(100)는 사용자의 조종 신호를 전송받아 프로펠러부(12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으로 비행하게 된다.4, the user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drone main body 100 using the radio control unit 10, and the drone main body 10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user and generates the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unit 120 It will fly with lift.

그리고, 드론 본체(100)는 사용자의 조종 신호에 따라 비행하면서 비행 지역 즉,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Then, the drones 100 purify air in the flying area, that is, indoor air, while fly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user.

즉, 사용자는 드론 본체(100)를 무선 조종기(10)로 조종하여 비행 시키면서 프로펠러부(120)의회전으로 공기를 흡입시켜 공기정화 필터체(200)를 통과시킴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That is, the user controls the drones 100 by the remote controller 10, while the air is sucked through the air purifying filter body 200 while flying the propeller unit 120 while flying the air.

이 때 각 프로펠러부(120)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필터 지지 프레임부(422)에 구비되는 제1공기 필터(220), 복수의 제2공기 필터(230)를 통해 공기를 효율적으로 정화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air is efficiently purified through the first air filter 2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ir filters 230 provided in the filter support frame portion 42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each propeller portion 120 .

그리고, 사용자는 탈취제 분사부(5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탈취제 분사부(500)에서 탈취제를 분사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중에 실내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ively remove the odor of the room while purifying the air by spraying the deodorant from the deodorant spraying unit 500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deodorant spraying unit 500.

또한, 사용자는 무선 조종기(10)의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드론 본체(100)가 비행하는 위치에서의 공기 상태를 확인하면서 드론 본체(100)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드론 본체(100)를 호버링하여 공기 정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user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dron body 100 while checking the air condi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dron body 100 is flying through the display unit 12 of the radio remote controller 10,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드론 본체(100)로 자유롭게 비행하면서 공기정화 필터체(200)를 이용하여 넓은 면적의 실내에서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an be effectively purified in a large-sized room by using the air purifying filter body 200 while flying freely to the dron body 1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탈취제 분사부(500)로 공기 탈취제를 분사하여 공기 정화 뿐만아니라 실내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deodorizing agent can be sprayed to the deodorant spraying unit 500 to remove air odor as well as air purif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필터 지지체(300)가 드론 본체(100)를 감싸 위치되어 도전 본체를 보호하여 드론 본체(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착륙 또는 낙하 시 발생되는 드론 본체(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support 300 is placed around the dron body 100 to protect the conductive body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ron body 100, The breakage of the drone main body 100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 : 무선 조종기 11 : 제1대기 측정센서부
12 : 디스플레이부 100 : 드론 본체
110 : 드론 몸체부 120 : 프로펠러부
200 : 공기정화 필터체 210 : 필터 장착부
211 : 제1필터 장착부 212 : 제2필터 장착부
220 : 제1공기 필터 230 : 제2공기 필터
300 : 필터 지지체 400 : 보호망체
410 : 보호망부재 420 : 망지지 프레임부재
421 : 메인 프레임부 421a : 베이스 프레임
421b : 상부 프레임 421c : 하부 프레임
421d : 상부 연결 프레임 421e : 하부 연결 프레임
422 : 지지 프레임부 423 : 필터 지지 프레임부
423a : 하부 테두리 프레임 423b : 상부 테두리 프레임
423c : 연결 테두리 프레임 423d : 제1필터 지지프레임
423e : 제2필터 지지프레임 424 : 흡입 가이드부
500 : 탈취제 분사부 600 : 제2대기 측정센서부
10: Radio control unit 11: First atmosphere measurement sensor unit
12: display part 100: dron body
110: drone body part 120: propeller part
200: air purifying filter body 210: filter mounting part
211: first filter mounting portion 212: second filter mounting portion
220: first air filter 230: second air filter
300: filter support 400: protective net
410: protection net member 420: net support frame member
421: Main frame part 421a: Base frame
421b: upper frame 421c:
421d: upper connection frame 421e: lower connection frame
422: Support frame part 423: Filter support frame part
423a: lower frame frame 423b: upper frame frame
423c: connection frame frame 423d: first filter support frame
423e: second filter support frame 424: suction guide part
500: deodorant spraying part 600: second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part

Claims (11)

비행 가능한 드론 본체, 상기 드론 본체의 프로펠러부에서 발생되는 흡입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 필터체 및 상기 드론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공기정화 필터체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지지체는, 상기 드론 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메쉬를 가지는 보호망부재 및 상기 드론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보호망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망지지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망지지 프레임부재는, 복수의 개방부를 가지고 상기 드론 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부 및 일단부 측이 상기 드론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메인 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상기 망지지 프레임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용 드론.
An air purifying filter body for purifying intake air generated in a propeller portion of the drone main body, and a filter support mounted on the dron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air purifying filter body,
The filter support includes a protection net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meshes through which air can pass and a net support frame member connected to the drones and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netting member,
The mesh support frame member includes a main fram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and formed to surround the drone main body, one end side fixed to the dron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side fixed to the main frame portion, And a support frame portion
Drones for air purification.
제1항에서,
상기 필터 지지체는 상기 드론 본체를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공기정화 필터체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필터 장착부가 구비되는 공기 정화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support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drone body, and the filter mounting portion is detachably mountable to the air purifying filter body.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가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측에 위치되며 상기 공기정화 필터체가 장착될 수 있는 상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드론 본체가 착륙할 때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적어도 드론 본체를 전부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로펠러부의 상부 측에 필터 장착부가 되는 공기 정화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frame unit includes:
A base frame to which the support frame part is connected;
An upper frame located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on which the air filtering filter can be mounted;
A lower fram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frame and seated on the ground when the drones are landing;
An upper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base frame and the upper frame; And
And a lower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base frame and the lower frame,
Wherein the upper frame is formed to have a size enough to cover at least the entire drone body, and a filter mounting sec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peller section.
제4항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 장착부를 지지하며 각 프로펠러부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필터 지지 프레임부가 위치되고,
상기 필터 지지 프레임부는,
상기 프로펠러부의 길이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공기 흡입용 개방부를 형성하고 프로펠러부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하부 테두리 프레임;
상기 하부 테두리 프레임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하부 테두리 프레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상부 테두리 프레임;
하단부가 상기 하부 테두리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테두리 프레임에 연결되어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복수의 연결 테두리 프레임;
상기 상부 테두리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필터 장착부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1필터 장착부를 연결하는 제1필터 지지프레임; 및
상기 연결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제2필터 장착부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2필터 장착부를 연결하는 제2필터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 정화용 드론.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lurality of filter support frame portion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each propeller portion are positioned inside the upper frame,
The filter support frame portion
A lower frame frame which forms an air intake opening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propeller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peller part;
An upper rim frame spaced apart from an upper side of the lower rim frame and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lower rim frame;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 frames, each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to be inclined;
A first filter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upper rim frame and the first filter mount to support a position of a first filter mount positioned inside the upper rim frame; And
And a second filter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connection frame frame and the second filter mount to support a position of a second filter mount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frame frames.
제5항에서,
상기 공기정화 필터체는 상기 상부 테두리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프로펠러부의 수직 방향에 위치되는 제1공기 필터, 상기 연결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프로펠러부를 마주하도록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복수의 제2공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ir filter comprises a first air filter positioned inside the upper frame and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propeller, a plurality of second air filters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frame frames and tilted to face the propeller, And a dew point.
제6항에서,
상기 하부 테두리 프레임의 하부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의 개방부 내경이 상기 프로펠러부의 길이와 같거나 큰 흡입 가이드부가 위치되는 공기 정화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lower end of the lower rim frame is formed in a cone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end and a suction guide portion hav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at the lower e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propeller.
제1항에서,
공기 탈취제를 분사시키는 탈취제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eodorant jetting section for jetting the air deodorant.
제1항에서,
상기 드론 본체를 조종하는 무선 조종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조종기에는 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대기 측정센서부 및 제1대기 측정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공기 정화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adio manipulator for manipulating the drones,
Wherein the radio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air and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a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unit.
제9항에서,
상기 무선 조종기에는 상기 제1대기 측정센서부에서 측정된 대기 오염 정도가 기설정된 오염 정도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알림부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adio control unit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unit for informing a user whe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measured by the first waiting measurement sensor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degree of contamination.
제9항에서,
상기 드론 본체에는 비행 중 공기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여 무선 조종기로 전송하는 제2대기 측정센서부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대기 측정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대기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공기 정화용 드론.
The method of claim 9,
The drones are provided with a second atmospheric measurement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during flight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a radio control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outputs the wai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waiting measurement sensor unit to a screen.
KR1020180007366A 2018-01-19 2018-01-19 Drone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1019971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66A KR101997156B1 (en) 2018-01-19 2018-01-19 Drone with air clean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66A KR101997156B1 (en) 2018-01-19 2018-01-19 Drone with air clean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156B1 true KR101997156B1 (en) 2019-07-05

Family

ID=6722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366A KR101997156B1 (en) 2018-01-19 2018-01-19 Drone with air clean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15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036A (en) * 2019-10-24 2021-05-04 정하익 Drone, tunnel disinfection drone, underground disinfection dron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4573A1 (en) * 2006-05-23 2009-12-03 Wilson Samuel B Dual-Use Modular Propulsion surveillance Vehicle with Detachable Unmanned Airborne Vehicles
US20160001883A1 (en) * 2014-07-02 2016-01-07 Skycatch, Inc.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interface
US20160214717A1 (en) * 2013-10-08 2016-07-28 Shelton Gamini De Silva Combin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the method and system to engage in multiple applications
KR20160098807A (en) * 2015-02-11 2016-08-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A drone having high accessibility
US20160288904A1 (en) * 2015-03-30 2016-10-06 The Boeing Company Airborne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a volume of air
CN106908571A (en) * 2017-03-06 2017-06-30 安徽科创中光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city's atmospheric environment remote sensing system
KR20170076988A (en) * 2015-12-26 2017-07-05 자이로캠주식회사 The air cleaner and electric fan based on hovering or flying dro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4573A1 (en) * 2006-05-23 2009-12-03 Wilson Samuel B Dual-Use Modular Propulsion surveillance Vehicle with Detachable Unmanned Airborne Vehicles
US20160214717A1 (en) * 2013-10-08 2016-07-28 Shelton Gamini De Silva Combin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the method and system to engage in multiple applications
US20160001883A1 (en) * 2014-07-02 2016-01-07 Skycatch, Inc.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interface
KR20160098807A (en) * 2015-02-11 2016-08-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A drone having high accessibility
US20160288904A1 (en) * 2015-03-30 2016-10-06 The Boeing Company Airborne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a volume of air
KR20170076988A (en) * 2015-12-26 2017-07-05 자이로캠주식회사 The air cleaner and electric fan based on hovering or flying drone
CN106908571A (en) * 2017-03-06 2017-06-30 安徽科创中光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city's atmospheric environment remote sens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036A (en) * 2019-10-24 2021-05-04 정하익 Drone, tunnel disinfection drone, underground disinfection drone
KR102516453B1 (en) * 2019-10-24 2023-04-03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Drone, equipment, cleaner and disinfection, sterilization, clean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1147B (en) Multifunctional photoelectric acoustic ion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10299311A1 (en) Multifunction Disinfection Drone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76988A (en) The air cleaner and electric fan based on hovering or flying drone
EP3434986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system
KR101930211B1 (en) Drone type compact air purifier
US11753133B2 (en) Flying robot with Coanda effect fan and internal rear projector
JPWO2017043599A1 (en) Air cleaner
EP1019171A4 (en) Portable clean air supply assembly for designated volume air cleaning
KR102151147B1 (en) Dust removing system using drone
KR101997156B1 (en) Drone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102194461B1 (en) Underground parling lot air purification system
WO2021194650A1 (en) Multifunction disinfection drone apparatus and method
CA23715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ystematic eradication of mosquitoes adjacent to dwellings
KR101997148B1 (en) Drone for elimination of noxious insects
KR101450304B1 (en) Dust collector
US20220355928A1 (en) Atmospheric environment-improving drone having life-saving and advertising functions
TWI752292B (en) Air cleaning device
JP2018100805A (en) Simple clean booth
CN207617965U (en) A kind of furred ceiling cleaning unmanned plane
JP7343088B2 (en) Systems and devices for air purification
CN208081172U (en) roof cleaning device
KR102264046B1 (e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drones
CN212842087U (en) Multifunctional efficient indoor air purifier
CN107839880A (en) A kind of furred ceiling cleans unmanned plane
CN211190744U (en) Spraying equipment for aeronautical machi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