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660B1 - A monitoring system for fire outbreak - Google Patents

A monitoring system for fire outbrea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660B1
KR101993660B1 KR1020170155331A KR20170155331A KR101993660B1 KR 101993660 B1 KR101993660 B1 KR 101993660B1 KR 1020170155331 A KR1020170155331 A KR 1020170155331A KR 20170155331 A KR20170155331 A KR 20170155331A KR 101993660 B1 KR101993660 B1 KR 10199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ensor
detection
receiver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7877A (en
Inventor
서영우
이용선
Original Assignee
(주)도요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요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도요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70155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660B1/en
Publication of KR2019005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6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6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power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꽃감지센서 및 화상카메라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불꽃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 발생 감지시 화재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송신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알람 경보를 제공하는 화재수신기 및 상기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화재수신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종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화재수신기의 화재 경보 알람시, 통제실, 관리실 및 관리자의 업무장소 등에 원격으로 설치되는 영상단말기를 통해 화재발생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영상단말기를 통해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화재상황판단 및 대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n image camera integrally. The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flame detection sensor and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e camera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based on the data and transmi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receiver when a fire is detected, a fire receiv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at least one video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sensor values and photographe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through a fire receiver, The sensor value and the image data are combined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fire alarm in a fire occurrence area through a video terminal installed remotely in a control room, a management room, By providing the sensor sensor value change and fire image monitoring in real time, the administrato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place of fire and the progress of fire through the video terminal, To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Description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A monitoring system for fire outbreak}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꽃감지센서 및 화상카메라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불꽃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 발생 감지시 화재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송신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알람 경보를 제공하는 화재수신기 및 상기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화재수신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종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화재수신기의 화재 경보 알람시, 통제실, 관리실 및 관리자의 업무장소 등에 원격으로 설치되는 영상단말기를 통해 화재발생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영상단말기를 통해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화재상황판단 및 대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n image camera integrally. The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flame detection sensor and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e camera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based on the data and transmi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receiver when a fire is detected, a fire receiv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at least one video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sensor values and photographe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through a fire receiver, The sensor value and the image data are combined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fire occurrence determination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fire alarm in a fire occurrence area through a video terminal installed remotely in a control room, a management room, By providing the sensor sensor value change and fire image monitoring in real time, the administrato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place of fire and the progress of fire through the video terminal, To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일반적으로 화재감지 설비는, 화재 감시구역별로 설치되며 화재를 초기 단계에 자동적으로 탐지하여 화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화재감지기와,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수동에 의한 조작으로 화재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기,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기에 중계해주는 별도의 중계기와, 상기 감지기, 발신기 또는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 알람(경종)을 발생시켜 화재 발생을 알리는 화재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Generally, a fire detection system is provided for each fire monitoring area,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fire at an early stage and generating a fire detection signal, and a fire detector for generating a fire signal And a fire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tector, the transmitter or the repeater to generate an alarm (alarm) and notify the occurrence of the fire, And the like.

이러한 일반적인 화재감지 설비는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화재수신기에서 경보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는 하나, 정확한 화재발생장소나 화재진행상황에 대해서는 상세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화재수신기에 오경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실제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게 되어, 이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현장에 일일이 직접 찾아가서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general fire detection system detects the occurrence of fire by detecting the fire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by the fire detector.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fire detector is installed in a fire detector, and it is difficult for a manag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fire has actually occurred when a false alarm occurs in a fire receiver.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화재감지기에 의한 화재 발생 감지시, 화재가 발생한 장소의 영상을 함께 제공하는 화재감지 시스템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3990호에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fire detec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to provide images of a place where a fire occurs when a fire is detected by a fire detector. One example of such a technology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0413990 .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재감지 시스템은, 화재감지기에 의한 화재 발생 감지시, 화재감지기 주변이나 화재 발생 건물 주변에 설치된 CCTV 등의 영상취득장치로부터 영상을 취득하여 화재관리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으로 제공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fire detection system, when a fire is detected by a fire detector, an image is captured from a video capturing device such as a CCTV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fire detector or around a fire occurrence building, Scree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화재감지기에 의한 화재 발생 감지시, 화재관리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재감지기 주변이나 화재 발생 건물 주변에 설치된 영상취득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주변 영상을 제공하고 있기는 하나, 화재 발생을 감지한 화재감지기 주변이나 화재 발생 건물 주변에 영상취득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영상 제공이 불가능하며, 또한 영상취득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영상취득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이 불분명하게 촬영되어 제공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when a fire is detected by a fire detector, a peripheral image captured by an image capturing device installed around a fire detector or around a fire occurrence building is provided through a display unit provided in a fire management apparatus However, even if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s installed, it is impossible to provide the image if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s not installed around the fire sensor which detects the fire occurrence or around the fire occurrence building,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lace of occurrence and the progress of the fire are photographed unclearly.

또한,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었으나, 주변 영상취득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에서는 화재 발생이 제대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이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관리자가 직접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현장에 찾아가서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 fire is detected by a fire detector but the fire is not properly detected in an image provided through a peripheral image capturing device, in order to accurately check the fire occurrence,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go to the server and check it on a daily basi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13990호(등록일: 2006.04.07.)의 "화재 감지 시스템""Fire Detection System" of Utility Model No. 0413990 (Registered on Apr. 7, 2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불꽃감지센서 및 화상카메라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불꽃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 발생 감지시 화재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송신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알람 경보를 제공하는 화재수신기 및 상기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화재수신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종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화재수신기의 화재 경보 알람시, 통제실, 관리실 및 관리자의 업무장소 등에 원격으로 설치되는 영상단말기를 통해 화재발생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영상단말기를 통해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화재상황판단 및 대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n image camera which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o detect a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flame sensor and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mera,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a fire occurrence and transmi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to a fire receiver when a fire is detected; a fire receiv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to provide an alarm; And at least one video terminal for selectively receiving and receiving sensor values and photographe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through a fire receiver, And judg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not by synthesizing the image data,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determination of fire occurrence. Especially, in case of fire alarm alarm of fire receiver, the sensor of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through video terminal installed remotely on the control room, management room, By monitoring the change of value and monitoring the fire image in real time, it is possible for the manager to accurately recognize the place of fire and the progress of the fire through the video terminal, so that the fire detection And a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불꽃감지센서 및 화상카메라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불꽃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송신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와; 화재 발생시,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알람 경보를 제공하는 화재수신기; 및 상기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수신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영상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화재발생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n image camera integrally, the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flame detection sensor,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for determining a fire occurrenc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fire detection signal to a fire receiver; A fire receiver for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providing an alarm when the fire occurs; And at least one video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and receiving sensor values and photographe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through the fire receiver, , And provides a real time monitoring of a sensor value change and a fire image of a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fire occurrence area remotely through the video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화재수신기의 화재 경보 알람시, 통제실이나 관리실 또는 관리자의 업무장소 등에 원격으로 설치되는 영상단말기를 통해 화재발생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대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in which a sensor value change of a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fire occurrence area through a video terminal remotely installed in a control room, And the fire image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so that the manag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place where the fire occurs, the progress of the fire, etc., so that prompt response can be achieved.

또한, 화재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종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재수신기의 폴스알람(false alarm, 오경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occurrence of fire by determin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combining the sensor value measur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captured image data, alarm, false alarm)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또한, 화재수신기의 화재 경보 알람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화재 발생을 검출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방재센터에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방재센터에서의 정확한 화재 상황 판단과 그에 따른 신속한 출동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e alarm of the fire receiver is alarmed,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fire occurrence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and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re transmit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center, There is an effect that prompt dispatch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영상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화재수신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e receiver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deo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unless they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영상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구비되는 화재수신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 is a system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e receiver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불꽃감지센서(110) 및 화상카메라(120)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불꽃감지센서(110)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상기 화상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200)로 송신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와; 화재 발생시, 상기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알람 경보를 제공하는 화재수신기(200); 및 상기 화재수신기(200)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수신기(200)를 통해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3,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me detection sensor 110 and a video camera 120 integrally, (10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camera (110) and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mera (120) and transmitting the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receiver )Wow; A fire receiver (200)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and providing an alarm when the fire occurs; And at least one video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200) for selectively receiving sensor values and photographe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through the fire receiver (200) (300). ≪ / RTI >

즉,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화재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종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화재수신기의 화재 경보 알람시, 통제실, 관리실 및 관리자의 업무장소 등에 원격으로 설치되는 영상단말기를 통해 화재발생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영상단말기를 통해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화재상황판단 및 대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 fire occurs by synthesizing the sensor value measur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captured image data,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nsor value of a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fire occurrence area through a video terminal remotely installed in a control room, a management room, and an administrator's work place in case of a fire alarm alarm of a fire receiver, By providing the fire image in real time, the administrato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place of fire and the progress of the fire through the video terminal,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mptly determine and respond to the fire situation.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each configuration of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대형 건물이나 종합시장, 공장, 발전소 또는 그 이외의 화재에 민감한 구역 등에서 화재 발생을 신속하게 발견하고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 화재수신기(200) 및 복수의 영상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quickly detecting and coping with a fire in a large building, a general market, a factory, a power plant, or other fire sensitive areas,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a fire receiver 200, and a plurality of video terminals 300, as shown in FIG.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는 화재 감시 대상 공간 내에서 화재 감시구역별로 설치되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are installed in the fire monitoring area in the fire monitoring area to detect a fire occurrence.

상기 화재감지센서(100)는, 화재 발생시 불꽃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110)와, 상기 불꽃감지센서(110)의 감지영역을 촬영하는 화상카메라(120)를 일체로 구비하며, 자체 내장된 제어부(미도시)에서 상기 불꽃감지센서(110)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상기 화상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선을 통해 화재수신기(200)에 화재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integrally includes a flame detection sensor 110 for detecting a flame when a fire occurs and an image camera 120 for photographing a detection region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0, The control unit (not shown)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flame sensor 110 and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mera 120.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o the fire receiver (200).

더불어, 이와 같은 화재감지센서(100)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신호선을 통해 화재수신기(200)를 거쳐 후술되는 영상단말기(300)로 전달되어, 영상단말기(3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value and the photographed image data measured through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are transmitted to the video terminal 300 through the fire signal receiver 200 via the signal line, Lt; / RTI >

상기 화재감지센서(100)에 구비되는 불꽃감지센서(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적외선 센서를 통해 불꽃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flame detection sensor 110 provided in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infrared sensor. When a fire occurs, the infrared sensor senses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flame through the infrared sensor, have.

이때, 화재감지센서(100)에는 불꽃감지센서(110)를 통해 측정되는 센서값과 화상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may include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sensor values measured through the flame sensor 110 and image data captured through the image camera 120.

또한, 화재감지센서(100)의 제어부(미도시)에는 화재 판별 알고리즘이 구비되어 있어, 화재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불꽃감지센서(110)로부터 검출되는 센서값의 변화와, 화상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불꽃 검출 여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is provided with a fire detection algorithm. The fire detection algorithm detects a change in the sensor value detected from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0, And whether a fire occurs or not is determined by analyzing whether or not the flame is detected.

즉,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화재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함에 있어서는, 불꽃감지센서(110)를 통해 검출되는 센서값의 변화와, 화상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불꽃 검출 여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데, 검출되는 센서값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일정 기준값 이상으로 나타나거나, 또는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불꽃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식하여, 이와 같은 센서값의 변화와 촬영 영상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게 됨으로써, 화재 발생 검출에 대한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That is, in determin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through the fire detection algorithm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it is possible to detect a change in the sensor value detected through the flame sensor 110 and a change in the sensor value detected from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mera 120 If a change in the detected sensor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if a flame motion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is detect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data, it is recognized as a fire occurrence , And the change in the sensor value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re integra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fire detection.

한편, 화재수신기(200)는 화재 감시 대상 공간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통제실 등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외부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음을 울리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fire receiver 200 is installed in a control room or the like for monitoring a fire occurring in a fire monitoring target space, and plays a role of emitting an alarm sound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 fire outside when a fire occurs.

즉, 상기 화재수신기(200)는 화재 감시구역별로 설치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와 신호선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That is, the fire receiver 2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installed in each fire monitoring area through a signal line, and when a fir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

이러한, 화재수신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전면에 화재 발생 여부를 알리는 복수의 경보램프(210)와, 수신기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스위치(220)가 구비되며, 화재 발생시 경보음을 울리는 알람부(미도시)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the fire receiv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alarm lamps 210 for indicat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various operation switches 220 for operating the receiver. An alarm unit (not shown) for sounding is provided.

여기서 알람부(미도시)는 화재수신기(200)에 내장되거나 또는 화재수신기(200)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alarm unit (not shown) may be embedded in the fire receiver 200 or may be provided outside the fire receiver 200.

화재수신기(200)에 구비되는 복수의 경보램프(210)는, 화재 발생시 점등되는 메인 경보램프(211)와, 화재 감시구역별 화재 발생여부를 표시하도록 점등되는 복수의 보조 경보램프(212)로 이루어져 있다.The plurality of alarm lamps 210 provided in the fire receiver 200 includes a main alarm lamp 211 that is turned on when a fire occurs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alarm lamps 212 that are turned on consist of.

이때, 복수의 보조 경보램프(212)는 화재 감시구역별로 설치되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와 각각 대응하여, 감시구역별로 화재 발생 여부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auxiliary alarm lamps 212 are provided for each fire monitoring area, and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respectively, so as to display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not.

이에 따라, 복수의 화재 감시구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구역 이상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된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00)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화재수신기(200)로 전달되며, 화재수신기(200)에서는 화재 발생을 표시하는 메인 경보램프(211)와 함께, 해당 화재 발생 구역을 표시하는 보조 경보램프(212)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알람부(미도시)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Accordingly, when a fi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e monitoring zones and a fire detection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install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The fir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e receiver 200. The fire receiver 200 lights the auxiliary alarm lamp 212 indicating the fire occurrence area together with the main alarm lamp 211 indicating the fire occurrence , And an alarm unit (not shown).

영상단말기(3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통제실, 관리실 및 관리자의 업무장소 등에 각각 원격으로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수신기(200)와 신호선을 통해 각각 연결되어, 화재수신기(200)를 통하여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또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1, the video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200 through a signal line, and is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200 The sensor value and / or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on the screen.

또한, 상기 도 1에서는 화재수신기(200)와 영상단말기(300)가 유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통신 등의 수단을 통해 영상단말기가 원격지에서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the fire receiver 200 and the video terminal 300 are shown as wired connectio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video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 fire receiver And the like.

즉, 이와 같이 통제실, 관리실 및 관리자의 업무장소 등의 원격지에 설치되는 영상단말기(300)는 화재 감시구역별로 설치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또는 영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되어 화재수신기(200)의 화재 경보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 화재발생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화재상황판단 및 대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video terminal 300 installed at a remote place such as the work place of the control room, the management room, and the manager can selectively transmit the sensor value and / or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When a fire alarm is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and a fire alarm alarm of the fire receiver 200 is detected,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By monitoring the change and fire images in real time, the administrato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progress of the fire, so that the fire situation can be determined and responded quickly.

이러한 영상단말기(300)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C용 디스플레이나 TV용 디스플레이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단말기를 전용 디스플레이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such a video terminal 300, a commonly used PC display or a TV display may be used, or a separate terminal may be used as a dedicated display.

이때, PC용 디스플레이를 영상단말기로 구성하는 경우, PC용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는 PC(미도시)에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또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PC용 디스플레이를 영상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TV용 디스플레이를 영상단말기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또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제어모듈(미도시)을 TV용 디스플레이에 설치하여 영상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C display is configured as a video terminal, dedicated software (not shown) capable of providing sensor values and / or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to a PC (not shown) The display for the PC can be used as a video terminal.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for a TV is constituted by a video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or value and / or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on a screen A control module (not shown) with dedicated software can be installed in the TV display and used as a video terminal.

더불어, 상기와 같은 영상단말기에는 영상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입력수단(미도시)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nput unit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video terminal to control the screen of the video terminal.

또한, 전용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단말기(30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10)와,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또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용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20)와,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전송된 센서값 및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화면제어부(330) 및 상기 화면제어부(33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작버튼(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display unit 310 for displaying a screen, the sensor value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and / A memory unit 320 for storing dedicated software capable of providing image data on a screen, and a controller 32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310 to display sensor values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340 for selectively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screen control unit 330 and the screen control unit 330.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화재감지센서(100)의 센서값은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표시될 수 있어, 관리자는 영상단말기(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변화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화재 발생 여부 및/또는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화재감지센서(100)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화재 상황을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1 and 4,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video terminal 300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analog signal, The user can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fire has occurred and / or the progress of the fire while confirming the change of the analog signal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directly, So that the fire situation can be judged more accurately.

이때,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단말기(300)에 구비되는 조작버튼(340, 또는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화면 분할을 통해, 감시구역별로 구비된 화재감지센서(100)의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복합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s (or input means) provided on the video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administrator,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provided for each monitoring area, The photographed image data can also be confirmed in a complex manner on the display screen.

즉,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단말기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관리자의 조작버튼 조작에 따라, 도 4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표시되는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을 제공하거나, 도 4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화재감지센서에서 촬영된 주변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도 4의 (c)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여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및 주변 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도 4의 (d)와 같이,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이나 또는 주변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That is,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through a video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or value of a fire detection sensor to be displayed, or to provide a peripheral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through a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4 (b)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surrounding image can be simultaneously provided by dividing the screen and the sensor value of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selected by the manager, It can be provided on the scree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순히 화재수신기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데 그치지 않고, 통제실, 관리실 및 관리자의 업무장소 등에 원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영상단말기를 통해, 관리자에게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변화 및 주변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e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merely confirm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through a fire receiver or not, and it can be applied to a plurality of video terminals remotely installed in a control room, a management room, It is possible to allow the manager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progress of the fire accurately so that the manager can recognize the change of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surrounding image in real time.

또한, 화재 감시구역 별로 구비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가 각각, 불꽃감지센서 및 화상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 발생 감지시, 불꽃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수신기의 폴스알람(false alarm, 오경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provided for each fire monitoring area may include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n image camera. When a fire is detected, a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 sensor valu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occurrence of a fire,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a false alarm of the fire receiver (false alarm, false alarm)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화재수신기에도 영상단말기와 같은 화면을 제공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e receiver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ary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screen such as a video terminal.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수신기(200)의 본체 전면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2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또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3, an auxiliary display unit 230 may b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fire receiver 200, an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through the auxiliary display unit 230 Sensor value and / or image data on a screen.

이와 같이 화재수신기(200)에 보조 디스플레이부(23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화재수신기(200)의 화재 경보 알람시, 영상단말기(300) 외에도 관리자가 화재수신기(200)의 보조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화재발생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00)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fire receiver 200 is provided with the auxiliary display unit 23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video terminal 300, when the fire alarm of the fire receiver 200 is alarmed, )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install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and the fire image in real time.

또한, 화재수신기(200)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230)의 화면 조작을 위한 보조스위치(240)가 구비되어 있어, 관리자의 보조스위치(240) 조작에 따라, 상술한 도 4에서와 같이, 보조 디스플레이부(230)의 화면을 분할하여 화재감지센서(100)의 센서값 및 영상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e receiver 20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switch 240 for operating the screen of the auxiliary display unit 23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switch 240 of the administrator,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230 may divid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30 to provide the sensor value and the image data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한편, 상기 화재수신기(200)는 통신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소방서 등의 방재센터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e receiver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may be configured to interwork with a fire prevention center such as a fire department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이 경우, 화재수신기(200)의 화재 경보 알람시, 화재 발생을 검출한 화재감지센서(100)의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방재센터에 전송되어, 방재센터에 화재 발생을 알림으로써, 방재센터에서 해당 화재감지센서(100)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화재 상황 판단과 그에 따른 신속한 출동을 도모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ire alarm of the fire receiver 200 is alarmed,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detecting the fire occurrence and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re transmit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center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As a notification, the disaster prevention center can confirm the change of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and the fire image,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ccurate fire situation and promptly dispatch i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화재감지센서(100)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화재 감시구역 중 적어도 어느 한 구역 이상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발생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00)가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통제실에 설치된 화재수신기(200)로 화재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The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fire occurs i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fire monitoring areas provided with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The sensor 100 senses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send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receiver 200 installed in the control room.

이때, 화재 감시구역별로 설치된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불꽃감지센서(110)와 화상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상기 불꽃감지센서(110)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상기 화상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화재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수신기(200)에 화재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provided for each fire monitoring zone may detect sensor values measured through the flame sensor 110 using the flame sensor 110 and the image camera 120, And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mera 120.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fire detector 200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receiver 200.

더불어, 이와 같은 복수의 화재감지센서(100)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는 신호선을 통해 화재수신기(200)를 거쳐 영상단말기(300)로 전달된다.In addition, the sensor value and the photographed image data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100 are transmitted to the video terminal 300 through the fire signal receiver 200 through the signal line.

이때,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화재수신기(200)에서는 화재 발생을 표시하는 메인 경보램프(211)와, 해당 화재 발생 구역을 표시하는 보조 경보램프(212)를 점등시키는 동시에, 알람부(미도시)를 통해 화재 발생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fire receiver 200 receiving the fire detection signal, the main alarm lamp 211 indicating the fire occurrence and the auxiliary alarm lamp 212 indicating the fire occurrence area are turned on and the alarm unit ) To generate an alarm sound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더불어, 화재수신기(200)에서는 화재 발생 경보와 함께, 화재 발생을 검출한 화재감지센서(100)의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방재센터에 전송하여, 방재센터에 정확한 화재 상황을 통보한다.In addition, in the fire receiver 200,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which detects fire occurrence and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re transmit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center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together with the fire occurrence alarm, .

또한, 관리자는 통제실, 관리실 및 관리자의 업무장소 등에 설치된 영상단말기(300)를 통해 화재 발생을 검출한 화재감지센서(100)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영상단말기(300)에 구비된 조작버튼(340, 또는 입력수단)을 통해 영상단말기(300)를 조작하여, 화재발생구역 이외에도 그 주변 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00)로부터 검출되는 센서값 변화 및 주변 영상을 확인하여 주변 상황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정확한 화재 상황을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Also, the manager can check the sensor value change and the fire imag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00 which detects fire occurrence through the video terminal 300 installed in the control room, the management room, and the work place of the manager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progress of the fire and to operate the video terminal 300 through the operation buttons 340 or the input means provided in the video terminal 300 to detect a fi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by checking the sensor value change and the surrounding image detected from the sensor 100, so that the accurate fire situation can be recognized and promptly coped with.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화재수신기의 화재 경보 알람시, 통제실이나 관리실 또는 관리자의 업무장소 등에 원격으로 설치되는 영상단말기를 통해 화재발생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화재발생장소 및 화재진행상황 등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대응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fire in a fire occurrence area through a video terminal remotely installed in a control room, a management room,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change of the sensor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fire image in real time so that the manag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place where the fire occurs and the progress of the fire so that quick response can be achieved.

또한, 화재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종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 판단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재수신기의 폴스알람(false alarm, 오경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occurrence of fire by determin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combining the sensor value measur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captured image data, alarm, false alarm)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또한, 화재수신기의 화재 경보 알람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화재 발생을 검출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과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방재센터에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방재센터에서의 정확한 화재 상황 판단과 그에 따른 신속한 출동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e alarm of the fire receiver is alarmed,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fire occurrence through the network communication and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re transmit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center, There is an effect that prompt dispatch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0 : 화재감지센서 110 : 불꽃감지센서
120 : 화상카메라 200 : 화재수신기
210 : 경보램프 211 : 메인 경보램프
212 : 보조 경보램프 220 : 조작스위치
230 : 보조 디스플레이부 240 : 보조스위치
300 : 영상단말기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메모리부 330 : 화면제어부
340 : 조작버튼
100: fire detection sensor 110: flame detection sensor
120: image camera 200: fire receiver
210: Alarm lamp 211: Main alarm lamp
212: auxiliary alarm lamp 220: operation switch
230: auxiliary display unit 240: auxiliary switch
300: video terminal 310:
320: memory unit 330:
340: Operation button

Claims (12)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불꽃감지센서 및 화상카메라를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불꽃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센서값과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화재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송신하는 복수의 화재감지센서와;
화재 발생시,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알람 경보를 제공하는 화재수신기; 및
상기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상기 화재수신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화재감지센서는,
상기 불꽃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센서값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일정 기준값 이상으로 나타나거나, 또는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불꽃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으로 인식하는, 센서값 및 영상데이터 기반의 복합 판단 로직을 통해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단말기는,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 영상데이터를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용 소프트웨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센서값 및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화면제어부; 및
상기 화면제어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작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 발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원격으로 화재발생구역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 변화 및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되, 상기 조작버튼의 조작에 따라, 관리자에게 화재발생구역의 센서값 또는 화재 영상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flame detection sensor and an image camera are integra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the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flame sensor and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mera and transmi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fire receiver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 fire receiver for receiving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and providing an alarm when the fire occurs; And
At least one video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for selectively receiving and receiving sensor values and photographe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through the fire receiver;
, ≪ / RTI >
The fire detection sensor comprises:
A sensor value and a sensor value, which are recognized when a change in the sensor value measured by the flame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a flame motion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is detected from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mera,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through the compound judgment logic based on the image data,
The video terminal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 memory unit for storing dedicated software for providing sensor values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e sensor on a screen;
A scre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sensor values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creen control unit;
, ≪ / RTI >
A method for detecting a fire in a fire occurrence area, comprising the steps of: (a) detecting a sensor value of a fire occurrence area and a fire image in a fire occurrence area remotely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a fire occurs; Wherein the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provide fire imag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화재수신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terminal includes:
And is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단말기는,
PC용 디스플레이, TV용 디스플레이 또는 전용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deo terminal includes:
A PC display, a TV display, or a dedicated displa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단말기에는,
영상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수단이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video terminal,
And an input means for controlling a screen of the video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 분할을 통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화재발생구역의 센서값 또는 화재 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ncludes:
Wherein the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rovide sensor values or fire images of at least two fire occurrence areas through screen divi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화재감지센서의 센서값은,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value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provided through the video terminal comprises:
Wherein the alarm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n analog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센서에는,
상기 불꽃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센서값의 변화와, 상기 화상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로부터 불꽃 검출 여부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값 및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e detection sensor,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a change in a sensor value detected from the flame detection sensor and a flame detection result from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mera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sensor value and the image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감지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me detection sensor comprises:
Wherein the at least one infrared sensor comprises at least one infrared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에는,
상기 복수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센서값 및 영상데이터를 화면으로 제공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조작을 위한 조작스위치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e receiver,
An auxiliary display unit for providing sensor values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s on a screen,
An operation switch for operating a screen of the auxiliary display unit
And a fir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fire situ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방재센터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감지시, 화재수신기에 구비된 경보램프 및 알람부를 통해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동시에, 화재발생구역의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센서값과 영상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된 방재센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receiver comprises:
Connec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center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When a fire is detected, the fire alarm is provided to the fire alarm receiver and the alarm unit, and the sensor value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in the fire occurrence area are transmitted to the disaster prevention center connected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Wherein the fire detection and fire situation monitoring system comprises:
KR1020170155331A 2017-11-21 2017-11-21 A monitoring system for fire outbreak KR101993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31A KR101993660B1 (en) 2017-11-21 2017-11-21 A monitoring system for fire outbrea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31A KR101993660B1 (en) 2017-11-21 2017-11-21 A monitoring system for fire outbrea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77A KR20190057877A (en) 2019-05-29
KR101993660B1 true KR101993660B1 (en) 2019-06-27

Family

ID=6667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331A KR101993660B1 (en) 2017-11-21 2017-11-21 A monitoring system for fire outbrea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66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67B1 (en) * 2019-11-27 2020-02-27 여상원 Maintenance and management businesssupport system
KR102087000B1 (en) * 2019-08-13 2020-05-29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Fire
KR20210106727A (en) 2020-02-21 2021-08-31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for monitoring of fire alarm control panel
KR20230123540A (en) 2022-02-16 2023-08-24 (주)링스텔레콤 Fire detection system verifing for malfun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1690A (en) * 2019-08-27 2019-12-03 南瑞集团有限公司 A kind of long-range fire-fighting centralized monitoring system of unattended substation
KR102290688B1 (en) * 2019-09-09 2021-08-19 주식회사 랩시드 Real-time laboratory monitoring system
KR102396888B1 (en) 2020-04-16 2022-05-11 양우태 Real-time smart fire fighting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KR102476989B1 (en) * 2020-12-08 2022-12-13 (주)메티스 Integrated fire detecting device and fire alarm system therewith
KR102643507B1 (en) * 2022-10-25 2024-03-05 이엠시티 주식회사 Data collection apparatus for fire receiver based on photographing data and remote fire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643500B1 (en) * 2022-10-25 2024-03-05 이엠시티 주식회사 Data collection apparatus for fire receiver based on communication signal photographing data and remote fire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0655B2 (en) * 1994-09-22 1999-04-12 アニマ電子株式会社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heat and the lik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573272B1 (en) * 2015-07-10 2015-12-18 주식회사 아이알티코리아 Fire detection device and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767980B1 (en) 2017-04-11 2017-08-14 김수언 Intelligent flame detector and flame detecting method by using infrared thermal camera
KR101775463B1 (en) 2016-09-21 2017-09-07 (주)전원테크 Fire supervisory apparatus to be installed on building and unite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816A (en) 1999-09-29 2001-06-19 Canon Inc Ink-jet record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0655B2 (en) * 1994-09-22 1999-04-12 アニマ電子株式会社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heat and the lik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573272B1 (en) * 2015-07-10 2015-12-18 주식회사 아이알티코리아 Fire detection device and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775463B1 (en) 2016-09-21 2017-09-07 (주)전원테크 Fire supervisory apparatus to be installed on building and unite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KR101767980B1 (en) 2017-04-11 2017-08-14 김수언 Intelligent flame detector and flame detecting method by using infrared thermal camer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00B1 (en) * 2019-08-13 2020-05-29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Fire
KR102082367B1 (en) * 2019-11-27 2020-02-27 여상원 Maintenance and management businesssupport system
KR20210106727A (en) 2020-02-21 2021-08-31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system for monitoring of fire alarm control panel
KR20230123540A (en) 2022-02-16 2023-08-24 (주)링스텔레콤 Fire detection system verifing for mal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877A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660B1 (en) A monitoring system for fire outbreak
US115164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ject location notification in a fire alarm system
KR101544019B1 (en) Fire detection system using composited video and method thereof
KR101223680B1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KR101398819B1 (en) System unite management system for environment monitoring of unattended building
KR101566839B1 (en) Security CCTV System Having Self-diagnosis Function and Self-diagnosis Method of the Same
KR101684374B1 (en) Integrated fire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fire detection capabilities of the House of Commons
JP7249260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9633534B2 (en) Dual-detector capacity intrus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ation thereof
CN105844209B (en) visitor identification based on infrared radiation detection
KR101854726B1 (en) Automatic broadcasting system for sensor based abnormal detection
KR101426331B1 (en) fir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
GB2519427A (en) Method of installing PIR sensor with camera
JP6310243B2 (en) Automatic fire alarm equipment
KR101447528B1 (en) Fire alarm controlling device using CCTV and system thereof
KR1017983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fire
JP2000132763A (en) Fire detector
JP2015111327A5 (en)
KR101924854B1 (en) A multi-functional fire alarm receiver
KR20210144455A (en) Convergence monitoring system based on real-time visualization technology of sensor data and image data
KR20080020344A (en) System for notifying a fire and method at the same
US103977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sound levels
KR101750747B1 (en) Electronic fire detector by bluetooth ibeacon transmitter and receiving system
KR102327158B1 (en) Remote firefighting management system using CCTV image
JP2012155531A (en) Complex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