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989B1 - Automated Guided Vehicles - Google Patents

Automated Guided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989B1
KR101981989B1 KR1020170145641A KR20170145641A KR101981989B1 KR 101981989 B1 KR101981989 B1 KR 101981989B1 KR 1020170145641 A KR1020170145641 A KR 1020170145641A KR 20170145641 A KR20170145641 A KR 20170145641A KR 101981989 B1 KR101981989 B1 KR 101981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ylinder
driving unit
vehicle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0344A (en
Inventor
박종현
김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탈
Priority to KR1020170145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989B1/en
Publication of KR2019005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3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인운반차량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각종 상태 및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전방 감지 및 상기 몸체부를 보호하는 장비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면에 노출되어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 물류를 싣거나 내리는 실린더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하면에 노출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n internal space, a sensor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to detect various states and conditions, and a sensor portion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A cylinder part which is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and which lifts or lowers the material through an upward or downward movement and is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The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Description

무인운반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s}Automated Guided Vehicles

본 발명은 무인운반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하중을 견딜 수 있고 360도 자율 주행을 할 수 있는 무인운반차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manned vehicle capable of withstanding a high load and capable of 360 degree autonomous driving.

일반적으로, 무인운반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s)은 지면 바닥에 설치된 가이드라인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고서도 제품이나 부품과 같은 화물을 다른 장소까지 이동시키는 장치이다.Generally, automated guided vehicles move along guide lines installed on the ground floor, and they are devices that move a cargo such as a product or a part to another place without an operator operating the car.

이러한, 무인운반차량은 현대 산업현장에서 생산성의 증대와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전반적인 생산시스템이 자동화/지능화되고, 생산 물류시스템도 함께 자동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물류 시스템의 자동화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These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s play a pivotal role in the automation of the logistics system as the productivity of the modern industrial field increases and the overall production system is automated / intelligent to meet the various demands of the customers and the production logistics system is also automatized .

그래서, 종래의 무인운반차량은 다양한 동선에서 회전반경을 확보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58764호'와 같이 무인운반차량에 승강장치를 구비하여, 주행장치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방향전환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ecure a turning radius on various copper lines, the conventional unmanned conveying vehicle is provided with a landing gear on an unmanned conveying vehicle such a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8-058764', and the travel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So as to make the direction changeable.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무인운반차량을 방향 전환을 위한 승강장치에만 한정되어 있어 높이가 다양한 컨베이어 등의 자동화 라인에 대응할 수 없으며, 수톤 이상이 되는 화물을 운반하는데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limited to a lifting devic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an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 so that it can not cope with an automation line such as a conveyor having various heights and is difficult to apply to transportation of a cargo of several tons or more.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승강장치의 용량과 승강축의 높이를 증가시켜야 하며, 수톤 이상이 되는 화물을 지지함에 있어 승강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한 화물의 손상 및 무인운반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실정이다.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landing gear and the height of the elevation shaft, and in order to support the cargo of more than a few tons, a solution for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cargo and the damage of the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 due to malfunction of the landing gear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무인운반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vehicle capable of withstanding high loads.

또한, 협소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자율 주행을 할 수 있는 무인운반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manned vehicle capable of autonomous traveling in a narrow and narrow sp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운반차량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각종 상태 및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전방 감지 및 상기 몸체부를 보호하는 장비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면에 노출되어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 물류를 싣거나 내리는 실린더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하면에 노출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manned vehicle comprising: a body having an inner space;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body unit for sensing various states and conditions; A cylinder portion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and loaded or unloaded through an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ylinder portion being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driving unit which is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to move the body.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구비되어 유압에 의해 상판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실린더와,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의 사행을 방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상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에 적재되는 물류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우레탄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The cylinder portion includes a bottom plate fixed to the body portion, an upper pl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cylinder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and lifting or lowering the top plate by hydraulic pressure, A shaft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s to prevent meandering of the upper plate, and a urethane pad provided on the upper plate to minimize damage to the goods loaded on the upper plate.

상기 구동부는 BLDC 모터가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우레탄 바퀴와, 상기 우레탄 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우레탄 바퀴가 평탄하지 못한 곳에서도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틸트축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와 접하는 바닥에 구비된 마그네트 테이프를 추적하는 마그네트 가이드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includes a case having a built-in BLDC motor, a pair of urethane whe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se to rotate, and a tiltable member connected to the urethane wheel so that the urethane wheel can reach the floor even when the urethane wheel is not flat. And a magnet guide senso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rotate the driving portion to rotate from the body portion and a magnet guide senso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to track a magnet tape provided on a floor contacting with the driving portion. have.

상기 장비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방을 감지하는 전방감지 레이더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충돌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보호는 범퍼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전면 LED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전장판넬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더 및 상기 전면 LED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제어하는 터치식 제어장치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 후방에 구비되어 상태를 전달하는 스피커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하면에 노출되어 상기 구동부와 함께 상기 몸체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보조 휠과,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방향지시 및 상태확인을 표시하는 측면 LED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충전 가능토록 하는 외부 충전용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A bumper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to protect the body from the impact; a front LED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to emit light; A switch for operating the radar and the front LED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touch control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or controlling the cylinder, An auxiliary wheel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and expos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ody to move the body together with the driving unit, A side LED for indicating a direction indication and a status confirmation; I may include a port for an external filling of ever possible.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부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마크 센서와, 상기 무인운반차량의 앞뒤를 인식하는 전/후방 대차감지센서와, 상기 실린더부의 실린더 위치를 확인하는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와, 상기 무인운반차량의 비상정지를 위한 비상정지 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mark sensor for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body part, a front / rear truck detection sensor for recogniz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unmanned vehicle, a cylinder position confirmation sensor for confirming a cylinder position of the cylinder part, And an emergency stop detection sensor for emergency stop of the vehicle.

상기 마그네트 가이드 센서, 상기 마크 센서, 상기 전/후방 대차감지센서 및 상기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마그네트 가이드 센서, 상기 마크 센서, 상기 전/후방 대차감지센서 및 상기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agnet guide sensor, the mark sensor, the front / rear truck detection sensor, and the cylinder position confirmation sensor in connection with the magnet guide sensor, the mark sensor, the front / rear truck sensor, A control board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제어 보드에는 상기 제어 보드, 상기 전방감지 레이더, 상기 스피커 및 상기 터치식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 보드, 상기 전방감지 레이더, 상기 스피커 및 상기 터치식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PC가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boar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the front sensing radar, the speaker, and the control PC for controlling the control board, the front sensing radar, the speaker, and the touch-type control device, .

본 발명의 따른 무인운반차량에 의하면, 실린더부를 구비하여 유압을 활용함으로써 고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er portion is provided and can withstand the high load by utilizing the hydraulic pressure.

또한, 구동부에 회전축을 구비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은 구동 반경으로 주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Further, since the driving shaft is provided with the rotation shaft, the vehicle can travel at a small driving radius in a narrow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운반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운반차량의 실린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인운반차량의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인운반차량의 제어 보드와 제어 PC를 나타낸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ylinder portion of the unmanned conveyance vehicle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of the unattended carrying vehicle shown in FIG. 1;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board and a control PC of the unattended carrying vehicle shown in Fig. 1.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운반차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n unmann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운반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운반차량의 실린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인운반차량의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인운반차량의 제어 보드와 제어 PC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conveyanc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ylinder portion of the unmanned conveyance vehicle shown in FIG. 1,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board and control PC of the unattended carrying vehicle shown in Fig. 1.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운반차량(10)은 몸체부(100), 센서부(200), 장비부(300), 실린더부(400) 및 구동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4, an unmanned conveyance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sensor 200, an equipment 300, a cylinder 400, A driving unit 500 may be provided.

상기의 몸체부(100)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직사각형의 박스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의 센서부(200), 장비부(300), 실린더부(400) 및 구동부(500)가 장착될 수 있다.The body part 100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the sensor part 200, the equipment part 300, the cylinder part 400 and the driving part 500 may be mounted .

상기의 센서부(200)는 몸체부(100)에 구비되어 무인운반차량(10)의 각종 상태 및 주변 상황을 감지하여 작업자가 무인운반차량(10)의 상태와 주변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0 is provided in the body 100 to detect various states and surrounding conditions of the unmanned vehicle 1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grasp the state of the unmanned vehicle 10 and surrounding conditions can do.

상기의 장비부(300)는 몸체부(100)에 구비되어 몸체부(100)의 전방을 감지하고 몸체부(100)를 보호하는 등의 역할을 하여 무인운반차량(10)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equipment unit 300 is provided on the body 100 to sense the front of the body 100 and to protect the body 100 so that the unmanned vehicle 10 can operate smoothly can do.

상기의 실린더부(400)는 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몸체부(100)의 상면에 일부가 노출되어 몸체부(100)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실린더부(400)의 상승 또는 하강 작용을 통해 무인운반차량(10)에 물류를 싣거나 무인운반차량(10)에서 물류를 내릴 수 있다.The cylinder part 40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100 and may be partly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may be raised or lowered from the body part 100. It is possible to load the unmanned conveying vehicle 10 or lower the unmanned conveying vehicle 10 by raising or lowering the cylinder part 400. [

상기의 구동부(500)는 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몸체부(100)의 하면에 일부가 노출되어 몸체부(100)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500)는 몸체부(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전륜구동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50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0 to partially expose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0 to allow the body 100 to move. Here, the driving unit 5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body 100 and can be operated by the all-wheel drive system.

다음은 상기의 실린더부(40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cylinder part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의 실린더부(40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몸체부(100)의 상면에 일부가 노출되어 몸체부(100)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The cylinder 40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0 and may be partly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to be lifted or lowered from the body 100,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의 실린더부(400)는 바닥판(410), 상판(420), 실린더(430), 샤프트(440) 및 우레판 패드(450)를 구비할 수 있다.2, the cylinder 400 may include a bottom plate 410, an upper plate 420, a cylinder 430, a shaft 440, and a urea pad 450.

상기의 바닥판(410)은 몸체부(100)에 고정되어 실린더부(400)가 몸체부(100)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의 상판(420)은 상기 바닥판(41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격된 상기 바닥판(410)과 상판(420) 사이에는 상기의 실린더(430)가 구비되어 유압에 의해 상판(420)이 바닥판(410)으로부터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430)는 DC24V 600W급 복동 유압 파워팩이 적용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고, 개별 500kgf 이상이 적용된 실린더(430) 두 개를 한 쌍으로 하여 750kgf의 하중에도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The bottom plate 410 is fixed to the body 100 so that the cylinder 400 is fixed to the body 100. The upper plate 42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4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cylinder 430 is provided between the separated bottom plate 410 and the upper plate 420 so that the upper plate 420 can be raised or lowered from the bottom plate 410 by hydraulic pressure. Here, the cylinder 430 may be raised or lowered by applying a 24 VDC 600 W class double acting hydraulic power pack, and two cylinders 430 each having 500 kgf or more applied thereto may be paired to correspond to a load of 750 kgf.

이와 같이, 유압을 활용하여 실린더(430)를 작동함으로써 내구성,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전동리프트방식에 비해 유지보수비용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전동리프트방식에 비해 개조 또는 허용하중 증량이 필요할 시 실린더(430)만 추가하면 되므로 개조 또는 허용하중 증량이 용이하다. 그뿐만 아니라 구성모듈이 전동리프트방식에 비해 단순하므로 생산기간이 짧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the cylinder 430 utilizing the hydraulic pressure, durability, stability and reliability can be ensured, and the maintenance cost and time can be shortened as compared with the electric lift system. Further, when the modification or allowable load increase is required as compared with the electric lift system, only the cylinder 430 needs to be added, so that it is easy to modify or increase the allowable load. 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module is simpler than the electric lift method, the production period is short and maintenance is easy.

한편, 샤프트(440)는 실린더(430)와 마찬가지로 바닥판(410)과 상판(420) 사이에 구비되면 복수개 이상이 구비되어 유압에 의해 실린더(43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시 상판(420)의 사행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410)과 상판(420) 사이에는 바닥판(410)과 상판(42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미부호)가 구비될 수 있다.The shaft 4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410 and the upper plate 420 in the same manner as the cylinder 430. The shaft 4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r more than four shafts 440. When the cylinder 430 is lifted or lowered by hydraulic pressure, An effect of preventing meandering can be exhibited. A plurality of supports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410 and the top plate 420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bottom plate 410 and the top plate 420.

한편, 상판(420)의 상부에는 상기의 우레판 패드(450)가 구비될 수 있다. 우레판 패드(450)는 상판(42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물류가 상판(420)과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차단하여 상판(420)에 적재되는 물류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Meanwhile, the urea pad 4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420. The urea pad 450 is provid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420 to prevent the direct contact of the upper part with the upper plate 420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load on the upper plate 420 .

다음은 상기의 구동부(50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unit 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의 구동부(500)는 케이스(510), 우레탄 바퀴(520), 틸트축(530), 회전축(540) 및 마그네트 가이드센서(55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riving unit 500 may include a case 510, a urethane wheel 520, a tilt shaft 530, a rotating shaft 540, and a magnet guide sensor 550.

상기의 케이스(510)는 BLDC 모터가 내장될 수 있는데, 일반 DC모터에 비해 최소 1.5배 이상의 hi Torque 발생 가능하고, 이는 모터의 소형화가 가능케 함으로써 낮은 높이의 이송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case 510 can accommodate a BLDC motor, which can generate hi torques of at least 1.5 times as large as a general DC motor. This enables the motor to be downsized, Can be exercised.

한 쌍의 상기의 우레탄 바퀴(520)는 케이스(5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함으로써 무인운반차량(10)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레탄 바퀴(520)에는 상기의 틸트축(530)이 연결되는데 틸트축(530)은 우레탄 바퀴(520)와 연결되어 우레탄 바퀴(520)가 평탄하지 못한 바닥에서도 모두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인운반차량(10)이 안정감 있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pair of urethane wheels 52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se 510 and may rotate to allow the unmanned vehicle 10 to move. The tilt shaft 530 is connected to the urethane wheel 520. The tilt shaft 530 is connected to the urethane wheel 520 so that the urethane wheel 520 can reach the floor even on the uneven surface, The transport vehicle 10 can be moved in a stable manner.

한편, 우레탄 바퀴(520)는 이동공간이 협소할 경우 이동이 불가능한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스(510)의 상부에 회전축(5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500)가 몸체부(100)로부터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작은 구동 반경으로 자율주행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rethane wheel 520 can not move when the moving space is narr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rethane wheel 520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540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510.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500 can be rotated from the body 100, so that the driving unit 500 can autonomously travel with a small driving radius,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even in a narrow space.

한편, 상기의 마그네트 가이드센서(550)는 케이스(510)의 전면에 구비되어 구동부(500)와 접하는 바닥(20)에 구비된 마그네트 테이프(21)를 감지할 수 있다. 무인운반차량(10)은 마그네트 가이드센서(550)가 마그네트 테이프(21)를 감지하여 따라가면서 조향이 조절될 수 있다.The magnet guide sensor 55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510 to detect the magnet tape 21 provided on the floor 20 contacting the driving unit 500. The manned vehicle 10 can be steered while the magnet guide sensor 550 senses the magnet tape 21 and follows it.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station 및 모니터링을 위해 각각의 위치마다 RFID tag를 부착하여 무인운반차량(10)에서 FRID 리더기를 통해 태그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무인운반차량(10)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닥(20)에 부착된 테이프의 색상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무인운반차량(10)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RFID tag may be attached to each station and each location for monitoring, so that the unmanned vehicle 10 can be moved in a manner recognizing the tag through the FRID reader in the unmanned vehicle 10 . In addition, the unmanned vehicle 10 can be mov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lor of the tape attached to the floor 20 is recognized using a camera.

한편, 구동부(500)에는 손잡이(560)를 구비하여 구동부(500)를 무인운반차량(10)으로부터 쉽게 탈착되도록 하여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unit 500 is provided with the handle 560 so that the driving unit 50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manned vehicle 10, thereby facilitating replacement and maintenance.

다음은 상기의 장비부(30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quipment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의 장비부(300)는 전방감지 레이더(310), 범퍼(320), 전면 LED(330), 전장판넬(340), 스위치(350), 터치식 제어장치(360), 스피커(370), 보조 휠(380), 측면 LED(390) 및 외부 충전용 포트(301)를 구비할 수 있다.1, the equipment unit 300 includes a front sensing radar 310, a bumper 320, a front LED 330, an electric panel 340, a switch 350, a touch control unit 360, A speaker 370, an auxiliary wheel 380, a side LED 390, and an external charging port 301. [

상기의 전방감지 레이더(310)는 몸체부(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방을 감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무인운반차량(10)이 이동할 시 또 다른 무인운반차량(10)과 부딪히거나 작업자와 부딪혀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ront sensing radar 31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to sense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100. When the unmanned vehicle 10 moves, it collides with another unmanned vehicle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from occurring.

상기의 범퍼(320)는 몸체부(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또 다른 무인운반차량(10)이나 작업자와 충동하였을 시 몸체부(100)가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여 몸체부(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umper 32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body part 100 to prevent direct contact of the body part 100 when the vehicle is in collision with another unmanned vehicle 10 or a worker so that the body part 100 is damaged Can be prevented.

상기의 전면 LED(330)는 몸체부(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전면 LED(330)는 무인운반차량(10)이 이동할 시 빛을 발광하여 이동중에 있음을 전방에 알림으로써 충돌 등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The front LED 33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 to emit light. The front LED 330 informs the front of the vehicle that the unmanned conveying vehicle 10 is emitting light when moving,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in advance.

상기의 전장판넬(340)의 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실린더부(400)에 제공하는 유압이나 배터리 등의 각종 장치들이 내장되어 무인운반차량(10)이 용이하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Various devices such as a hydraulic pressure 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art 100 of the electric field panel 340 and provided to the cylinder part 400 are install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vehicle 10 have.

상기의 스위치(350)는 몸체부(100)의 상면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높이가 낮으므로 작업자가 스위치(350)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의 전방감지 레이더(310) 및 전면 LED(330)가 스위치(350)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The switch 35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Since the height of the body 100 is low,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switch 350 and the front sensing radar 310 and the front LED 330 can be operated through the switch 350.

상기의 터치식 제어장치(360)는 스위치(350)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00)의 상면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식 제어장치(360)는 상기의 실린더부(4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터치방식으로 구동되므로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다.The touch-type control device 36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like the switch 350. The touch-type control device 360 can control the cylinder 400, and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operator because it is driven in a touch manner.

상기의 스피커(370)는 몸체부(100)의 상면 후방에 구비되어 무인운반차량(10)이 이동중이거나 물류를 적재중이거나 하는 등의 무인운반차량(10)의 상태를 청각적으로 주위에 알림으로써 충돌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The speaker 370 is provided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to notify the surroundings of the status of the unmanned carrying vehicle 10 such as the unmanned carrying vehicle 10 being moving or loading the good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상기의 보조 휠(380)은 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몸체부(100)의 하면에 노출되어 구동부(500)와 함께 몸체부(10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휠(380)은 통 우레탄으로 제작되어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auxiliary wheel 380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00 and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body 100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driving unit 500. [ Here, the auxiliary wheel 380 is made of a cylinder urethane and can exhibi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lip phenomenon.

상기의 측면 LED(390)는 몸체부(100)의 측면에 구비되어 방향지시 및 상태확인을 표시하여 몸체부(100)의 측면에서도 무인운반차량(10)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The side LED 39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part 100 to indicate the direction and state of the body part 100 so that the state of the vehicle 10 can be easily checked on the side of the body part 100 .

상기의 외부 충전용 포트(301)는 몸체부(1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외부 충전용 포트(301)를 구비함으로써 무인운반차량(10)을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외부로부터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The external charging port 301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100. By providing the external charging port 301, power for operating the unmanned vehicle 10 can be smoothly supplied from the outside.

다음은 상기의 센서부(20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ensor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센서부(200)는 마크 센서(210), 전/후방 대차감지센서(220),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230), 비상정지 감지센서(240)를 구비할 수 있다.4, the sensor unit 200 may include a mark sensor 210, a front / rear truck detection sensor 220, a cylinder position detection sensor 230, and an emergency stop detection sensor 240 .

상기의 마크 센서(210)는 몸체부(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센서로서 현재 위치의 주변 상황을 파악하여 적재할 물류가 얼마 정도 떨어져 있는지,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한지, 작업자가 인접해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The mark sensor 210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ody part 100. The sensor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current position and determines how far the goods to be loaded are separated, whether the goods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

상기의 전/후방 대차감지센서(220)는 무인운반차량(10)의 앞뒤를 인식하는 센서로서 무인운반차량(10)의 앞뒤를 인식하여 안정적인 물류운송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front / rear truck detection sensor 220 recognizes the front and rear of the unmanned vehicle 10 as a sensor for recogniz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unmanned vehicle 10, thereby enabling stable transportation of the goods.

상기의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230)는 상기의 실린더부(400)의 실린더(430)의 현 위치 즉, 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들어가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몸체부(10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나와 있는 상태인지를 파악하여 물류가 용이하게 적재되도록 함과 동시에 잘못된 작동으로 인해 물류가 떨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230)는 상기의 터치식 제어장치(360)와 연계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cylinder position determination sensor 230 may be positioned at a current position of the cylinder 430 of the cylinder 400 or in an internal space of the body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ccidents such as the drop of the logistics due to erroneous operation. Here, the cylinder position confirmation sensor 230 may be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the touch-type control device 360.

상기의 비상정지 감지센서(240)는 무인운반차량(10)에 돌발상황 즉, 이동 경로에 예상치 못한 이물질이 있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상황을 감지하여 무인운반차량(10)이 비상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정지 감지센서(240)는 장치부의 전면 LED(330), 스피커(370), 및 측면 LED(390)와 연계되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무인운반차량(10)이 비상정지 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The emergency stop detection sensor 240 senses an unexpected situation in the unmanned vehicle 10, that is, an unexpected foreign object or a shock is applied to the moving route, thereby causing the unmanned vehicle 10 to stop in an emergency . Here, the emergency stop detection sensor 240 can be visually and audibly associated with the front LED 330, the speaker 370, and the side LED 390 of the apparatus section to inform that the unmanned conveying vehicle 10 is in an emergency stop state .

이외에도 센서부(200)에서는 좌/우 모터구동, 상태확인 LED 작동, 유압장치 작동, 전압감시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200 can perform the functions of driving the left / right motor, operating the status confirmation LED, operating the hydraulic device, and monitoring the voltage.

한편, 구동부(500)의 마그네트 가이드센서(240), 센서부(200)의 마크 센서(210), 전/후방 대차감지센서(220) 및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230)에는 제어 보드(6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제어 보드(600)는 마그네트 가이드센서(240), 마크 센서(210), 전/후방 대차감지센서(220) 및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230)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ntrol board 600 is connected to the magnet guide sensor 240 of the driving unit 500, the mark sensor 210 of the sensor unit 200, the front / rear truck sensor 220 and the cylinder position sensor 230 Can be connected. The control board 600 may be connected to and control the magnet guide sensor 240, the mark sensor 210, the front / rear truck detection sensor 220, and the cylinder position detection sensor 230.

그리고 제어 보드(600)에는 상기의 제어 보드(600)를 제어하는 제어 PC(700)가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어 PC(700)를 제어 보드(600)를 제어함으로써 마그네트 가이드센서(240), 마크 센서(210), 전/후방 대차감지센서(220) 및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230)를 컨트롤할 수 있다.A control PC 70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board 6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600. The operator can control the control board 600 to control the magnet guide sensor 240, the mark sensor 210, the front / rear truck sensor 220 and the cylinder position sensor 230 by controlling the control PC 700 have.

또한, 제어 PC(700)에는 장치부의 전방감지 레이더(310), 스피커(370) 및 터치식 제어장치(360)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 PC(700)를 통해 작업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PC 700 is connected to the front sensing radar 310, the speaker 370 and the touch-type control device 360 of the device unit and can be directly controlled by the operator through the control PC 70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운반차량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unmanned conveyanc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dily suggest another embodiment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is also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10: 무인운반차량 20: 바닥
21: 마그네트 테이프 100: 몸체부
200: 센서부 210: 마크 센서
220: 전/후방 대차감지센서 230: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
240: 비상정지 감지센서 300: 장비부
310: 전방 감지 레이더 320: 범퍼
330: 전면 LED 340: 전장판넬
350: 스위치 360: 터치식 제어장치
370: 스피커 380: 보조 휠
390: 측면 LED 301: 외부 충전용 포트
400: 실린더부 410: 바닥판
420: 상판 430: 실린더
440: 샤프트 450: 우레탄 패드
500: 구동부 510: 케이스
520: 우레탄 바퀴 530: 틸트축
540: 회전축 550: 마그네틱 가이드센서
560: 손잡이 600: 제어 보드
700: 제어 PC
10: unmanned vehicle 20: floor
21: Magnet tape 100: Body part
200: sensor unit 210: mark sensor
220: front / rear truck detection sensor 230: cylinder position detection sensor
240: Emergency stop detection sensor 300: Equipment part
310: Front sensing radar 320: Bumper
330: front LED 340: full length panel
350: Switch 360: Touch-type control device
370: Speaker 380: Auxiliary wheel
390: side LED 301: external charging port
400: cylinder part 410: bottom plate
420: top plate 430: cylinder
440: shaft 450: urethane pad
500: driving part 510: case
520: Urethane wheel 530: Tilt shaft
540: rotating shaft 550: magnetic guide sensor
560: handle 600: control board
700: Control PC

Claims (7)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각종 상태 및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전방 감지 및 상기 몸체부를 보호하는 장비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면에 노출되어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 물류를 싣거나 내리는 실린더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하면에 노출되어 상기 몸체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실린더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상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구비되어 유압에 의해 상판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실린더와,
상기 바닥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의 사행을 방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상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판에 적재되는 물류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우레탄 패드를 포함하는 무인운반차량으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부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마크 센서와,
상기 무인운반차량의 앞뒤를 인식하는 전/후방 대차감지센서와,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실린더 위치를 확인하는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와,
상기 무인운반차량의 비상정지를 위한 비상정지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량.
A body portion having an internal space,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body unit for sensing various states and conditions,
An equipment part provided on the body part for detecting the front part of the body part and protecting the body part,
A cylinder portion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and loaded or unloaded through an upward or downwardly expose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 driving unit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and exposed to a bottom surface to allow the body to move;
A bottom plate provided on the cylinder portion and fixed to the body portion,
An upper pl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cylind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and which raises or lowers the top plate by hydraulic pressure,
A shaft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to prevent meandering of the top plate,
And an urethane pad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to minimize damage to the logistics loaded on the upper plat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mark sensor that detects a current position of the body unit,
A front / rear vehicle detection sensor for recogniz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unmanned vehicle,
A cylinder position confirmation sensor for confirming the cylinder position of the cylinder portion,
And an emergency stop detection sensor for emergency stop of the unmanned conveyance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BLDC 모터가 내장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우레탄 바퀴와,
상기 우레탄 바퀴와 연결되어 상기 우레탄 바퀴가 평탄하지 못한 곳에서도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틸트축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와 접하는 바닥에 구비된 마그네트 테이프를 추적하는 마그네트 가이드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a case having a built-in BLDC motor,
A pair of urethane whe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se and rotating,
A tilt shaft connected to the urethane wheel so that the urethane wheel can reach the floor even when the urethane wheel is uneven,
A rotating shaft provided on the case to rotate the driving unit from the body,
And a magnet guide senso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to track a magnet tape provided on a floor in contact with the driv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방을 감지하는 전방감지 레이더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충돌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보호는 범퍼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전면 LED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전장판넬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레이더 및 상기 전면 LED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제어하는 터치식 제어장치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 후방에 구비되어 상태를 전달하는 스피커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하면에 노출되어 상기 구동부와 함께 상기 몸체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보조 휠과,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방향지시 및 상태확인을 표시하는 측면 LED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충전 가능토록 하는 외부 충전용 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pparatus includes a front sensing rada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sensing a front portion,
A bumpe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to protect the body part from a collision,
A front LED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for emitting light,
An electric field panel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A switch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operate the radar and the front LED,
A touch-type control device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control the cylinder part,
A speaker provided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or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body,
An auxiliary wheel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and exposed to a lower surface thereof to move the body together with the driving unit;
A side LED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or displaying a direction indication and a status confirmation,
And an external charging por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for charging from the outsid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가이드 센서, 상기 마크 센서, 상기 전/후방 대차감지센서 및 상기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마그네트 가이드 센서, 상기 마크 센서, 상기 전/후방 대차감지센서 및 상기 실린더 위치확인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량.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agnet guide sensor, the mark sensor, the front / rear truck detection sensor, and the cylinder position confirmation sensor in connection with the magnet guide sensor, the mark sensor, the front / rear truck sensor,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boar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에는 상기 제어 보드, 상기 전방감지 레이더, 상기 스피커 및 상기 터치식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 보드, 상기 전방감지 레이더, 상기 스피커 및 상기 터치식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PC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운반차량.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boar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board, the front sensing radar, the speaker, and the touch control device to connect the control board, the front sensing radar, the speaker, and the control PC for controlling the touch control device Features unmanned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45641A 2017-11-03 2017-11-03 Automated Guided Vehicles KR101981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641A KR101981989B1 (en) 2017-11-03 2017-11-03 Automated Guided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641A KR101981989B1 (en) 2017-11-03 2017-11-03 Automated Guided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344A KR20190050344A (en) 2019-05-13
KR101981989B1 true KR101981989B1 (en) 2019-05-24

Family

ID=6658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641A KR101981989B1 (en) 2017-11-03 2017-11-03 Automated Guided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9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446B1 (en) * 2019-11-15 2021-02-26 주식회사 엠시스템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5956A1 (en) * 2019-10-29 2021-05-05 IMS Gear SE & Co. KGaA Driverless transport device and passenger transport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and
KR102569804B1 (en) 2021-10-21 2023-08-22 김기범 Automated guided vehicle with double damper applied
KR102393745B1 (en) * 2021-10-29 2022-05-04 주식회사 아이에스티이 Automated guided vehicle for transporting roll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993A (en) * 1999-05-10 2000-11-21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Lift device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2707A (en) * 1994-06-29 1996-03-19 Bridgestone Corp Unmanned transportation vehicle
JP3317051B2 (en) * 1994-10-19 2002-08-19 神鋼電機株式会社 Coil clamp device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for strip coil transf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993A (en) * 1999-05-10 2000-11-21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Lift device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446B1 (en) * 2019-11-15 2021-02-26 주식회사 엠시스템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344A (en)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989B1 (en) Automated Guided Vehicles
CN109809334B (en) Method for moving forklift to operate and lift
US111424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loading and unloading at a dock station
KR101884825B1 (en) Automatic Storage System Using Unmanned Transport
JP5886863B2 (en) Container transshipment system
US11247672B2 (en) Automatically guided transportation vehicle for containe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also system with an automatically driven transportation vehicle
US11332352B2 (en) Autonomous lift system
CN112977670A (en) Omnidirectional trolley conveying mechanism
KR101462527B1 (en) Automated guided vehicles
CN105480902A (en) Universal forklift type AGV
CN104442452A (en) Unmanned electric trackless three-direction stacking forklift truck
CN113493173B (en) Conveying device
CN113443585A (en) Stacking robot
JP2016141324A (en) Transporting cart
KR20220067668A (en) Smart container shuttle
WO2018221409A1 (en) Drive unit and horizontal conveyance carriage
KR20150044046A (en) mobile flatform for vessel cargo transf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15867594U (en) Automatic logistics trolley transfer device for special-shaped heavy-weight plate
KR20140000187U (en) Automated Guided Vehicle
CN210001540U (en) Double shelf fork truck
CN205346736U (en) Universal type fork truck formula AGV
KR20200119401A (en) Autonomous traveling logistics robot and autonomous driving method
KR20190044898A (en) samrt automatic freight mobility
CN220334690U (en) Backpack type carrying robot
CN217477139U (en) Automatic guiding type electric truck bottom battery replac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