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978B1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978B1
KR101955978B1 KR1020120055024A KR20120055024A KR101955978B1 KR 101955978 B1 KR101955978 B1 KR 101955978B1 KR 1020120055024 A KR1020120055024 A KR 1020120055024A KR 20120055024 A KR20120055024 A KR 20120055024A KR 101955978 B1 KR101955978 B1 KR 101955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s
loaded
unloading
web pag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160A (ko
Inventor
손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978B1/ko
Priority to US13/609,935 priority patent/US9529931B2/en
Priority to EP12006477.9A priority patent/EP2667312B1/en
Priority to CN201210552134.5A priority patent/CN103428554B/zh
Publication of KR2013013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4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of access to content, e.g. by ca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2Erasing, e.g. deleting, data cleaning, moving of data to a wastebas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3Storage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34Hyper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89Automatic jus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94Calculation of difference between fi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수의 웹페이지가 로딩되어 메모리공간이 부족해진 경우, 로딩된 웹페이지를 사용자 중요도에 따라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언로딩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부족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웹페이지가 실행됨에 따라 메모리용량 초과에 근접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주고 사용자의 선택적 언로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고 웹브라우저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MEMORY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용량의 부족에 따라 로딩된 다수의 웹페이지를 언로딩해야하는 경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로딩된 다수의 웹페이지들의 언로딩을 제어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방송, 영상, 이미지를 시청한다.
최근, 모바일 기기, 스마트 TV 등과 같은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웹브라우저와 같이 메모리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한다. 이때, 웹브라우저가 화면에 표시하는 웹페이지는 일반적으로 메모리의 제약 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이 이루어지지 때문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다수의 웹페이지들이 실행되는 경우 필연적으로 메모리의 부족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이와 같은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포그라운드에 위치하는 웹페이지를 제외하고 백그라운드에 위치하는 다른 웹페이지들의 컨텐츠를 일괄적으로 언로딩하는 방식으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로딩된 다수의 웹페이지를 한꺼번에 언로딩하게 되면, 백그라운드에 위치하지만 사용자 편집이 있었거나 중요 데이터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들까지도 모두 삭제되므로,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또는 해당 웹페이지를 다시 로딩하여 편집해야 하므로 시간이 낭비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웹브라우저 실행이 가능한 임베디드기기에 복수의 웹페이지가 로딩된 경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하여 언로딩를 제어함으로써 메모리 부족을 해소하고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 중 언로딩 대상이 되는 웹페이지들의 리스트와 실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언로딩될 웹페이지로부터 편집된 데이터만을 가져오거나 또는 메모리 부족시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에 대한 선택적 언로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한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의 가용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언로딩 우선순위는 미리설정된 기준에 따라 할당되고,상기 미리설정된 기준은, 웹페이지의 최종 사용시간으로부터 경과시간, 웹페이지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웹페이지의 편집 여부, 웹페이지의 텍스트 편집 여부, 편집된 텍스트의 길이, HTML5 캔버스에서 사용자 드로우(darw) 여부, 웹페이지의 클릭 횟수, 웹페이지가 읽기 모드 인지 여부, 웹페이지가 읽혀진 총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신호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대한 언로딩 실행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언로딩 실행 모드는 자동 언로딩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언로딩 모드의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의 가용기준치보다 작을 때까지,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를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언로딩 실행 모드는 수동 언로딩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언로딩 모드의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와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실행 정보로 구성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모리에 복수의 웹페이지가 로딩된 경우, 각 웹페이지의 편집 사용 여부, 로딩 후 경과시간, 사용하는 메모리용량, 및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나 또는 현재의 가용메모리용량을 나타내는 메모리 표시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표시자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언로딩될 웹페이지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팝업창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팝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팝업창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실행 정보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 중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의 각 써머리 오브젝트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표시자에 롱터치입력 또는 더블탭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의 가용기준치보다 작을 때까지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를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언로딩될 웹페이지가 편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한 다음 언로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은,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입력받은 웹주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를 메모리에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의 가용기준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메모리의 메모리용량이 가용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자동 언로딩 모드 및 수동 언로딩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와; 자동 언로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의 가용기준치보다 작을 때까지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를 언로딩하는 단계와; 수동 언로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와 그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실행 정보로 구성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여 선택받은 웹페이지를 언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언로딩 우선순위는 미리설정된 기준에 따라 할당되고, 상기 미리설정된 기준은, 웹페이지의 최종 사용시간으로부터 경과시간, 웹페이지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웹페이지의 편집 여부, 웹페이지의 텍스트 편집 여부, 편집된 텍스트의 길이, HTML5 캔버스에서 사용자 드로우(darw) 여부, 웹페이지의 클릭횟수, 웹페이지가 읽기 모드 인지 여부, 웹페이지가 읽혀진 총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은,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언로딩 대상이 되는 웹페이지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생성하고, 생성된 팝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팝업창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실행 정보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 중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의 각 써머리 오브젝트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은, 상기 써머리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상기 써머리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은, 영상 표시 장치에 복수의 웹페이지가 로딩된 경우, 각 웹페이지의 편집 사용 여부, 로딩 후 경과시간, 사용하는 메모리용량, 및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더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하는 단계는, 새로운 웹페이지가 로딩되면, 상기 새로운 웹페이지를 포함하여 상기 로딩된 웹페이지에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의 가용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화면 출력 수단 및 오디오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들에 대한 각 문서 선택자를 생성하고, 상기 각 문서 선택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문서 선택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문서 선택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편집내용을 현재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웹페이지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하는 단계 이전에, 언로딩될 웹페이지가 편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수의 웹페이지가 로딩되어 메모리공간이 부족해짐에 따라 웹페이지의 언로딩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도, 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로딩된 웹페이지들이 언로딩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웹페지이지의 임의 언로딩에 따른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수의 웹페이지들이 로딩되어 메모리용량이 가용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주고 사용자의 선택적 언로딩이 가능하도록 로딩된 웹페이지들에 대한 언로딩 우선순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고 임베디드기기에서의 웹브라우저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와 외부 입력 장치의 상호 동작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의 예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의 다른 예시 흐름도;
도 5는 도 4의 언로딩 우선순위의 예시 할당 기준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언로딩될 웹페이지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보인 화면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팝업창에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들의 써머리 오브젝트(summary object)를 추가적으로 표시한 화면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로딩된 웹페이지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나타낸 화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 표시 장치,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 표시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 표시 장치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스마트 TV, 웹폰, PDA, 핸드폰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스마트 TV를 예로 들어 기술한다.
먼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한가지 예로서 스마트 TV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와, 입력 장치(2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20), 신호 입출력부(130), 전원 공급부(135), 인터페이스부(140), 제어부(150), 메모리(160), 디스플레이부(170), 오디오 출력부(18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개시된 구성 요소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한 구성 요소의 일부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입력받은 웹주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를 로딩하는 메모리(160)와, 상기 메모리(160)에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0)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160)의 가용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언로딩 우선순위는 미리설정된 기준에 따라 할당되며, 상기 미리설정된 기준은 웹페이지의 최종 사용시간으로부터 경과시간, 웹페이지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웹페이지의 편집여부, 웹페이지의 텍스트 편집여부, 편집된 텍스트의 길이, HTML5 캔버스에서 사용자 드로우(darw) 여부, 웹페이지의 클릭횟수, 웹페이지가 읽기 모드인지 여부, 웹페이지가 읽혀진 총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되는 언로드 실행 모드는 자동 언로딩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자동 언로딩 모드의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160)의 가용기준치보다 작을 때까지,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를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되는 언로드 실행 모드는 수동 언로딩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0) 상기 수동 언로딩 모드의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와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실행 정보로 구성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또는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튜너(110)는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한다. 반면, RF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RF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튜너일 수 있다.
상기 튜너(1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는 복조부(120)로 입력되고, 튜너(11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제어부(15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하나의 튜너(110)가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다수의 튜너,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튜너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1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튜너는 기저장된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제 2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 2 튜너는 제 1 튜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 또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복조부(120)는 상기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ATSC 방식이면,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이때,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리드 솔로몬 복호화 등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몬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튜너(1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가 DVB 방식이면, 상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이때,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리드 솔로몬 복호화 등의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몬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조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상기 제어부(150)로 입력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스트림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15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영상을,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180)에는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신호 입출력부(13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 신호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하고, 이를 위해, A/V 입출력부(미도시) 및/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V 입출력부는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된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50)에 전달된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입출력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블루레이(Blu-ray) 플레이어,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휴대기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또한, 메모리장치,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된 다양한 미디어 파일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신호 입출력부(13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입출력부(130)는 상술한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셋톱 박스,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V)용 셋톱 박스와 연결되어 신호 입력 및 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입출력부(13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톱 박스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톱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IPTV는 전송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되는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9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9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90)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90)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9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9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0)로부터 전원 제어,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의 언로딩 실행 모드(이하에 기술되는 자동 언로딩 모드 및 수동 언로딩 모드를 포함함)의 선택, 언로딩될 웹페이지의 사용자 선택 등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신호를 상기 입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와 입력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70)가 멀티 터치 기능을 갖는 레이어구조의 터치 스크린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제어부(15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70)의 소정 영역 및/또는 포인트가 터치됨을 감지하는 것으로 입력 신호를 수신하므로, 상기 입력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상기 제어부(15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대응하는 RF 방송 신호를 튜닝(tuning)하도록 튜너(110)를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150)는 RF 방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음성 처리부, 데이터 처리부,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스트림 신호(TS), 예를 들어,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MPEG-2 디코더를 이용하여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고, H.264 디코더를 이용하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등이 조절되도록 영상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 의해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로 전달되거나, 또는 외부 출력 단자를 통해 외부 출력 장치(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에 대한 음성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MPEG-2 디코더를 이용하여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고, MPEG 4 디코더를 이용하여 DMB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며, AAC 디코더를 이용하여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0), 예를 들어, 스피커로 전달되거나, 또는 외부 출력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SIF)는 튜너(110) 또는 신호 입출력부(13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에 의해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표시되고,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데이터 처리, 예를 들어,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는 각각의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PG 정보는, 예를 들어, ATSC 방식에서는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를 포함하고, DVB 방식에서는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OSD 처리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OSD 신호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이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감지된 메모리용량이 미리설정된 가용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그에 근접한 경우 오디오 출력부(180) 및/또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에 수신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언로딩 실행 모드(자동 언로딩 모드, 수동 언로딩 모드)에 따라서 기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한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50)의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거나,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웹브라우저에 실행하여 입력받은 웹주소에 대응하는 웹페이지, 해당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 및/또는 웹페이지 생성 데이터, 웹 데이터(HTML, Java Script, CSS, image 등) 등이 로딩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는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 중에서 편집이 사용된 웹페이지(또는 그 웹페이지의 URL)를 더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등을 RGB 신호로 변환하여서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상기 메모리(160)에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웹페이지를 표시한다. 또한,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에서 현재 사용하는 하나의 웹페이지만을 표시할 수도 있고, 복수의 웹페이지들을 병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입력 장치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이나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터치 입력이 있으면,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상기 신호(들)를 처리하여 얻어진 대응 데이터를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는 제어부(150)에 의해 처리된 음성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8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출력부(180)는 제어부(150)에 의해 감지된 메모리(160)의 가용기준치 초과여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예를 들어 가용기준치 초과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2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입력 신호를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한다. 상기 입력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 마우스, 키보드 등을 포함하는 외부 입력 장치이거나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입력신호를 블루투스(Bluetooth), RF 통신,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는 공간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원격 제어 장치는 공간에서 본체의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와 연결되는 입력 장치(20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35)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 전반에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상기 전원 공급부(135)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가능한 제어부(150)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0)와,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 공급부(135)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고정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케이블, 위성통신, IPTV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상기한 구성요소 외에, 다수의 센서, 무선 인터넷 모듈, 출력장치, 카메라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처리를 위해 제어부(150)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음성센서, 위치센서, 동작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센서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제어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추가되거나, 통합,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100) 및 입력 장치(200)의 상호 동작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예로서 TV 수상기를 도시하였고, 입력 장치(200)의 예로서 공간 원격 제어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와 입력 장치(200)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 장치(200)는 RF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의 화면에는 입력 장치(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포인터(10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200)는 상하, 좌우, 및 앞뒤의 움직임이나 회전을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 장치(200)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장치(200)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그 버튼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이면 영상 표시 장치(100)내에 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에 인가되는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기술한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먼저,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입력받은 웹주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웹페이지를 메모리에 로딩하고(S200),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한다(S210). 이때,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는 예를 들어, 여러 웹문서들에 대한 레이어를 화면상에 겹치게 배열하고 상기 레이어들 중 하나만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나머지 레이어는 모두 투명하게 처리함으로써 웹문서간의 화면 전환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전면에는 가장 최근에 로딩이 완료된 웹페이지 또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를 하나의 디스플레이부(170)에 두 개 이상 병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이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의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용량의 정보는 구체적인 수량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전체 메모리용량 대비 현재 남은 사용가능한 메모리용량의 비율이 도표 또는 다이어그램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메모리용량의 정보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용량의 정보는 실시간 표시될 수 있고,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메모리용량이 가용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근접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70)의 적어도 일부의 색 변경, 깜빡임, 오디오 출력부(180)에 의한 소리 알람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한다(S220). 실시예에서, 상기 언로딩 우선순위는 미리설정된 기준에 따라 할당되는데, 상기 미리설정된 기준은 웹페이지의 최종 사용시간으로부터 경과시간, 웹페이지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웹페이지의 편집여부, 웹페이지의 텍스트 편집여부, 편집된 텍스트의 길이, HTML5 캔버스에서 사용자 드로우(darw) 여부, 웹페이지의 클릭횟수, 웹페이지가 읽기 모드인지 여부, 웹페이지가 읽혀진 총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웹페이지가 편집 사용된 적이 없거나 또는 최종 사용시간으로부터 가장 오래된 웹페이지면 제어부(150)는 해당 웹페이지에는 높은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웹페이지가 로딩되어 메모리 공간 부족이 발생하고 이에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를 필연적으로 언로딩해야만 하는 경우, 로딩된 다수의 웹페이지들의 언로딩 우선순위는 예를 들어, 최종 사용시간으로부터 경과시간이 가장 오래된 웹페이지, 확대 또는 축소된 적이 없었던 웹페이지, 편집이 사용되지 않은 웹페이지, 편집은 사용되었으나 텍스트 편집이 아닌 웹페이지, 편집된 텍스트 길이가 짧은 웹페이지, HTML5 캔버스에서 사용자 드로우가 안 된 웹페이지의 순으로 높은 언로딩 우선순위가 할당된다. 또한, 웹페이지의 클릭횟수가 적은 웹페이지이거나, 읽기 전용 웹페이지인 경우, 또는 읽기 전용 웹페이지의 읽혀진 총시간이 짧은 웹페이지에는 높은 언로딩 우선순위가 할당된다. 이와 같이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는 새로운 웹페이지가 로딩되거나 또는 기존 웹페이지가 언로딩되면 자동으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로딩된 웹페이지에 새로운 텍스트 편집이 수행되거나 또는 확대/축소 등이 있으면, 기할당된 웹페이지의 언로딩 우선순위가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메모리(160)의 가용기준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230). 이때,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은 제어부(150)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가용기준치는 초기설치시 미리정해지거나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정한 허용메모리용량일 수 있다.
판단 결과,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가용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한다(S240).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은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가 높은 웹페이지들부터 자동 언로딩된다. 이때, 현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웹페이지는 언로딩 우선순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로딩된 웹페이지가 다수인 경우에는,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가 가용기준치보다 작게 될 때까지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를 반복적으로 언로딩할 수 있다.
또한,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의 언로딩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가용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가용기준치를 초과하기 전이라도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의 실행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자와 해당 웹페이지의 언로딩 우선순위가 표시된 팝업창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팝업창에 표시된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웹페이지를 선택적으로 언로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웹페이지들에 대한 언로딩을 수행하기 전에 편집중인 웹페이지들을 저장하고, 편집중인 웹페이지들과 연관된 문서 선택자들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제외한 로딩된 모든 웹페이지들을 언로딩하되 중요 데이터, 예를 들어 편집된 텍스트 문서, 를 자동으로 저장한 다음 언로딩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문서 선택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기저장된 편집된 웹페이지들 중에서 해당 문서 선택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편집내용이 현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에 포함되도록하여 계속 편집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언로딩 대상이 되는 웹페이지들 중 편집된 내용만을 현재 사용중인 웹페이지에 가져와서 계속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언로딩될 웹페이지가 편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그 편집된 데이터만을 검출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메모리 허용공간을 초과하더라도 로딩된 다수의 웹페이지들을 일괄적으로 언로딩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순착적으로 언로딩하기 때문에 데이터 손실은 최소화하면서 부족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의 다른 예시 흐름도를 보여준다. 먼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웹브라우저를 실행하여 복수의 웹페이지를 메모리에 로딩한다(S300).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로딩된 웹페이지가 포그라운드에 표시될 수 있다.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이 사용하는 메모리(160)의 메모리용량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다(S310).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 사용량의 표시는 전체 메모리용량 중 현재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총 메모리용량을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 남은 사용가능한 메모리용량을 나타내는 '메모리 표시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일측에 표시하는 것으로 구현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 표시자는 사용중인 메모리용량을 구체적인 수치로 표시한 텍스트이거나 또는 전체 메모리용량 대비 현재 사용가능한 메모리용량의 비율을 나타낸 도표, 다이어그램, 또는 이미지 등일 수 있다. 다만, 열거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구현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 표시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일측에 항상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입력 장치(200)에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의 일정 영역내의 포인트에 위치하면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제공하는데, 상기 입력신호에는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대한 언로딩 실행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언로딩 실행모드는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자동 언로딩 모드 및 수동 언로딩 모드를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수동 언로딩 모드의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와 그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실행 정보로 구성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 표시자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50)는 상기 할당된 우선순위에 따라 언로딩될 웹페이지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팝업창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생성된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언로딩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가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장치(200, 도 1)를 통해 인가된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가 언로딩될 웹페이지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팝업창이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자동 언로딩 모드의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의 가용기준치보다 작을 때까지,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를 언로딩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 표시자에 롱터치입력 또는 더블탭 입력이 인가되면,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을 자동으로 언로딩하는 자동 언로딩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웹페이지들이 언로딩되었지만 아직 가용기준치를 초과하지는 않은 경우라도, 필요에 따라 간단한 입력신호를 주어서 상기 자동 언로딩 모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가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장치(200, 도 1)의 키버튼을 통해 인가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 언로딩 모드가 수행되게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한다(S320). 여기서, 상기 언로딩 우선수위는 미리설정된 기준에 따라 할당되며, 상기 미리설정된 기준은 웹페이지의 마지막 사용시간으로부터 경과시간, 웹페이지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웹페이지의 편집여부, 웹페이지의 텍스트 편집여부, 편집된 텍스트의 길이, HTML5 캔버스에서 사용자 드로우(darw) 여부, 웹페이지의 클릭횟수, 웹페이지가 읽기 모드인지 여부, 웹페이지가 읽혀진 총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에 대한 언로딩 우선순위의 예시 할당 기준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사용시간으로부터 가장 오래된 웹페이지, 확대/축소된 적이 없는 웹페이지, 편집 사용이 없는 웹페이지, 텍스트 편집이 없거나, 또는 텍스트 편집이 있더라도 편집된 텍스트의 길이가 짧은 웹페이지는 상대적으로 높은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받는다. 또한, HTML5 캔버스에서 사용자 드로우(draw)가 안된 웹페이지, 로딩후 클릭횟수가 적은 웹페이지, 읽기전용 웹페이지의 경우도 상대적으로 높은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받는다. 또한, 예를 들어 가장 오랫동안 읽힌 웹페이지, 최종 사용시간으로부터 경과시간이 짧은 웹페이지, 확대/축소가 많은 웹페이지, 편집된 텍스트 길이가 긴 웹페이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받는다. 이와 같이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받게 되고,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에 언로딩은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가 높은 웹페이지부터 수행된다.
한편, 메모리(160)의 메모리용량이 가용기준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 결과(S330), 가용기준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복수의 로딩된 웹페이지에 대한 언로딩 실행 모드를 판단한다(S350). 즉,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언로딩 실행 모드가 자동 언로딩 모드이면,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언로딩한다(S360). 이때, 언로딩은 남은 웹페이지들이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가용기준치보다 작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단계(S350)의 판단 결과,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된 언로딩 실행 모드가 수동 언로딩 모드이면,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와 그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 구성된 리스트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한다(S370). 그러면, 사용자는 제공된 팝업창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언로딩할 웹페이지를 선택하고,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로딩된 웹페이지가 언로딩된다(S380). 여기서,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100)는 미리 사용자 입력(예, 터치입력 또는 입력장치를 통한 입력)을 통해 자동 언로딩 모드 및 수동 언로딩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단계(S330)에서 아직 메모리(160)의 공간에는 여유가 있으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임의 언로딩 모드를 수행하도록 선택된 경우에는(S340),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와 그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정보로 이루어진 팝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한다(S370). 여기서, 상기 팝업창은 로딩된 웹페이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실행 정보, 예를 들어 웹페이지의 이름, 편집 사용 여부, 로그인 여부, 동영상 실행 여부 등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팝업창은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의 써머리 오브젝트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써머리 오브젝트(summary object)란,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를 시각적으로 즉각 식별할 수 있는 대표 이미지, 썸네일 이미지, 또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하기 이전에,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를 저장하고,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들에 대한 각 문서 선택자를 생성하고, 상기 각 문서 선택자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문서 선택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문서 선택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편집내용을 현재 디스플레이부(170)가 표시하는 웹페이지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하기 이전에, 언로딩될 웹페이지가 편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면, 그 편집된 데이터를 검출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언로딩될 웹페이지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팝업창(175)을 도시한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상부 일측에는 전체 메모리용량 대비 현재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차지하는 메모리용량 또는 현재 남은 사용가능한 메모리용량을 나타내는 메모리 표시자(171)가 표시된다.
실시예에서, 도시된 메모리 표시자(171)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50)는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언로딩될 웹페이지들의 리스트가 포함된 팝업창(175)을 구성하고, 구성된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70)가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장치(200)을 통해 인가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팝업창이 구성된다.
상기 팝업창(17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딩 대상이 되는 웹페이지들에 관한 정보를 좌측(175a)에 표시하고, 언로딩 대상이 되지 않는 웹페이지들, 즉 계속 실행 대상인 웹페이지들에 관한 정보를 우측(175b)에 표시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페이지들에 관한 정보는, 해당 웹페이지의 이름이나 실행정보, 해당 웹페이지에서의 편집 사용 여부, 편집 내용, 로그인 여부, 동영상의 재생 여부 및 버퍼링의 수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창(175)은 언로딩 대상이 되는 웹페이지들(175a) 및/또는 계속 실행 대상인 웹페이지들(175b)에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메모리용량이 부족해짐에 따라 필연적으로 자동 언로딩을 수행하기 이전에도 언로딩 대상인 웹페이지들의 관한 정보를 미리 제공받을 수 있고, 그로부터 특정 웹페이지를 언로딩 대상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외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팝업창(175)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언로딩될 웹페이지를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팝업창(150)이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어부(150)에 아무런 입력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팝업창(175)은 언로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 표시자(171)에 롱터치 입력 또는 더블탭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에서 기술한 자동 언로딩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70)가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0)를 통해 인가된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 언로딩 모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팝업창에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들의 써머리 오브젝트(summary object)를 추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팝업창(175)은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실행 정보를 더 표시하고, 로딩된 웹페이지들 중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의 써머리 오브젝트를 더 표시한다. 여기서 써머리 오브젝트(summary object)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편집을 사용한 하나 이사의 웹페이지를 시각적으로 즉각 식별할 수 있는 대표 이미지, 썸네일 이미지, 또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70)의 상단 일측에는 메모리사용량 정보를 제공하는 메모리 표시자(171)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메모리 표시자(171)에 롱터치 입력 또는 더블탭 입력, 또는 입력 장치(200)를 통해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웹페이들에 대한 자동 언로딩모드가 수행된다.
디스플레이부(170)의 중앙에 표시되는 팝업창(175)의 하단에는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편집이 사용된 웹페이지들의 리스트가 써머리 오브젝트의 형태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도시된 팝업창(175)은 편집이 사용된 웹페이지들을 별개 리스트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또 다른 언로딩 선택 기준을 제공하고 중요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실시예에서, 언로딩될 웹페이지가 편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편집된 데이터만을 검출하여 저장한 다음 언로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팝업창(175)에서 편집이 사용된 웹페이지들은 제어부(150)의 제어명령에 따라, 편집된 내용들을 메모리(160, 도 1)에 임시저장한 다음에 언로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써머리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상기 써머리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써머리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거나 또는 입력 장치(200)를 통해 소정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 또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그 써머리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70)의 전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써머리 오브젝트 리스트에서 Tab3에의 터치입력 또는 입력신호가 있으면 대응하는 인터넷뱅킹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170)의 전면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웹페이지에서 편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변경으로 인해 기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변경이 있으면 제어부(150)는 모든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에 대한 언로딩 우선순위를 갱신하여 재할당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갱신된 언로딩 우선순위를 표시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로딩된 웹페이지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173)가 디스플레이부(170)의 일측에 표시하였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웹페이지가 로딩된 경우, 각 웹페이지의 편집 사용 여부, 로딩 후 경과시간, 차지하는 메모리크기, 및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173)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의 일측에 표시된다. 상기 인디케이터(173)는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 표시자(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173)는 로딩된 웹페이지들에 관한 실행 정보로서, 각 웹페이지에 관한 간단한 식별 정보, 편집 사용 여부, 로딩후 경과시간, 사용하는 메모리용량,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 로그인여부 또는 동영상 버퍼링 정도 등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인디케이터(173)는 예를 들어 로딩된 웹페이지들의 수만큼 구획되어, 구획된 영역(173a, 173b, 173c, 174d)마다 각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에 관한 실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된 영역(173a, 173b, 173c, 174d)내의 일측에는 해당하는 웹페이지에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가 각각 텍스트로 표시(174a, 174b, 174c, 174d)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획된 영역(173a, 173b, 173c, 174d)에 위치하는 웹페이지들의 표시순서는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예를 들어 언로딩 우선순위가 높거나 낮은 순서대로 차례로 배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구획된 특정 영역(173a, 173b, 173c, 174d)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거나 그에 상응하는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관계 없이, 해당 영역의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부(170)의 전면에 표시되도록 구현가능하다. 이때 기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변경이 있으면 제어부(150)는 모든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에 대한 언로딩 우선순위를 갱신하여 재할당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갱신된 언로딩 우선순위를 표시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수의 웹페이지가 로딩되어 메모리공간이 부족해짐에 따라 웹페이지의 언로딩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도, 사용자 중요도에 따라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에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웹페이지를 언로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임의 언로딩에 따른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다수의 웹페이지들을 실행함에 따라 메모리용량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이에 근접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사용자의 선택적 언로딩이 가능하도록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고 웹브라우저의 사용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영상 표시 장치 110 - 튜너
120 - 복조부 130 - 신호 입출력부
135 - 전원 공급부 140 - 인터페이스부
150 - 제어부 160 - 메모리
170 - 디스플레이부 171 - 메모리 표시자
173 - 인디케이터 180 - 오디오 출력부
19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0 - 입력 장치

Claims (22)

  1.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언로딩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편집된 데이터를 검출 및 저장하고,
    상기 편집된 데이터와 연관된 아이콘을 생성 및 표시하고,
    성기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편집된 데이터를 현재 표시된 웹페이지에 표시하고,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의 가용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 중 적어도 일부를 언로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우선순위는 미리설정된 기준에 따라 할당되고,
    상기 미리설정된 기준은, 웹페이지의 최종 사용시간으로부터 경과시간, 웹페이지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웹페이지의 편집 여부, 웹페이지의 텍스트 편집 여부, 편집된 텍스트의 길이, HTML5 캔버스에서 사용자 드로우(darw) 여부, 웹페이지의 클릭 횟수, 웹페이지가 읽기 모드 인지 여부, 웹페이지가 읽혀진 총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생성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신호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선택되는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대한 언로딩 실행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실행 모드는 자동 언로딩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언로딩 모드의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의 가용기준치보다 작을 때까지,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를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실행 모드는 수동 언로딩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언로딩 모드의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와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실행 정보로 구성된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모리에 복수의 웹페이지가 로딩된 경우, 각 웹페이지의 편집 사용 여부, 로딩 후 경과시간, 사용하는 메모리용량, 및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나 또는 현재의 가용메모리용량을 나타내는 메모리 표시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표시자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언로딩될 웹페이지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팝업창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팝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창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실행 정보와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들 중 편집을 사용한 웹페이지의 각 써머리 오브젝트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 표시자에 롱터치입력 또는 더블탭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가 사용하는 메모리용량이 상기 메모리의 가용기준치보다 작을 때까지 할당된 언로딩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로딩된 복수의 웹페이지를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20055024A 2012-05-23 2012-05-23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 KR101955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024A KR101955978B1 (ko) 2012-05-23 2012-05-23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
US13/609,935 US9529931B2 (en) 2012-05-23 2012-09-11 Image display device and memory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EP12006477.9A EP2667312B1 (en) 2012-05-23 2012-09-14 Image display device and memory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CN201210552134.5A CN103428554B (zh) 2012-05-23 2012-12-18 图像显示装置及其存储器管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024A KR101955978B1 (ko) 2012-05-23 2012-05-23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160A KR20130131160A (ko) 2013-12-03
KR101955978B1 true KR101955978B1 (ko) 2019-03-08

Family

ID=4725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024A KR101955978B1 (ko) 2012-05-23 2012-05-23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9931B2 (ko)
EP (1) EP2667312B1 (ko)
KR (1) KR101955978B1 (ko)
CN (1) CN1034285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8083B2 (en) * 2011-07-08 2018-03-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ab trimming
KR102039028B1 (ko) * 2012-02-24 2019-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CN104135687A (zh) * 2014-07-29 2014-11-05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节目数据处理的方法及数字电视终端
US10528647B2 (en) * 2016-06-10 2020-01-07 Ebay Inc. Optimization for browser rendering during navigation
KR102654807B1 (ko) * 2016-08-18 2024-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CN106709864B (zh) * 2016-12-08 2019-03-12 彭志勇 基于WebGL的大容量图像缓存方法
US20180217964A1 (en) * 2017-02-02 2018-08-02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ntent-aware energy savings for web browsing utilizing selective loading priority
KR102462516B1 (ko) 2018-01-09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컨텐츠 제공 방법
CN113050910B (zh) * 2019-12-26 2023-12-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语音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9541A1 (en) * 2002-09-10 2004-03-11 Swahn Alan Earl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system
US20070136533A1 (en) * 2005-12-09 2007-06-14 Microsfoft Corporation Pre-storage of data to pre-cached system memory
US20120090004A1 (en) * 2010-10-08 2012-04-12 Jeong Young H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1175B2 (ja) * 1998-03-19 2008-04-23 富士通株式会社 検索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2001103254A (ja) * 1999-09-30 2001-04-13 Minolta Co Ltd 画像処理システム
US6681298B1 (en) * 2000-07-12 2004-01-20 Powertv, Inc. Hypertext markup language cache system and method
US6910106B2 (en) * 2002-10-04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mechanisms for proactive memory management
JP4029711B2 (ja) * 2002-10-04 2008-0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176428B2 (en) * 2002-12-03 2012-05-08 Datawind Net Access Corporation Portable internet access device back page cache
US7136885B2 (en) 2002-12-20 2006-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ree space management
US7870352B2 (en) * 2003-11-13 2011-01-11 Stalker Altan J State-based memory unloading
US8224964B1 (en) * 2004-06-30 2012-07-17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of accessing a document efficiently through multi-tier web caching
JP4566638B2 (ja) * 2004-07-09 2010-10-2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0866627B1 (ko) * 2007-01-29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 플로우를 이용한 페이지 프리로드 방법 및 그시스템
US7856437B2 (en) * 2007-07-31 2010-1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oring nodes representing respective chunks of files in a data store
US8935620B1 (en) * 2008-03-20 2015-01-13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content management
US8395643B2 (en) 2008-05-20 2013-03-12 Microsoft Corporation Motion-based data review and zoom
EP2224351A1 (en) * 2009-02-26 2010-09-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use in association with a multi-tab interpretation and rendering function
US8751953B2 (en) * 2010-06-04 2014-06-10 Apple Inc Progress indicators for loading content
CN102073559A (zh) 2011-01-12 2011-05-25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网页输入数据保护方法及系统
US9069551B2 (en) * 2011-12-22 2015-06-30 Sandisk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exiting hibernation in response to a triggering event
US8914594B2 (en) * 2011-12-22 2014-12-16 Sandisk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loading data from a non-volatile memory to a volatile memory
US9201810B2 (en) * 2012-01-26 2015-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mory page eviction priority in mobile computing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9541A1 (en) * 2002-09-10 2004-03-11 Swahn Alan Earl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system
US20070136533A1 (en) * 2005-12-09 2007-06-14 Microsfoft Corporation Pre-storage of data to pre-cached system memory
US20120090004A1 (en) * 2010-10-08 2012-04-12 Jeong Young H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7312B1 (en) 2019-11-06
EP2667312A1 (en) 2013-11-27
KR20130131160A (ko) 2013-12-03
US20130318428A1 (en) 2013-11-28
CN103428554A (zh) 2013-12-04
CN103428554B (zh) 2017-04-12
US9529931B2 (en)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978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메모리 관리 방법
KR10177431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KR10174298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9762947B2 (en)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menu i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KR10166198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63075B1 (ko) 서비스 시스템, 디지털 기기 및 그 서비스 처리 방법
KR2013010374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708691B1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2014012021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015751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07767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1729407B1 (ko) 통합 채널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688141B1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US904949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08646B1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101714661B1 (ko)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US20150012940A1 (en) Cont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content control apparatus
KR10224321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50098624A (ko) 영상표시기기
KR10168972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2562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1980620B1 (ko) 싱크 디바이스, 소스 디바이스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120118976A (ko) 가상 채널 브라우징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80510A (ko)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한 영상표시기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2015000986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