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444B1 -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444B1
KR101940444B1 KR1020180018076A KR20180018076A KR101940444B1 KR 101940444 B1 KR101940444 B1 KR 101940444B1 KR 1020180018076 A KR1020180018076 A KR 1020180018076A KR 20180018076 A KR20180018076 A KR 20180018076A KR 101940444 B1 KR101940444 B1 KR 101940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call
server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철우
Original Assignee
현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철우 filed Critical 현철우
Priority to KR102018001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가상 단말을 생성하거나 소멸하기 위한 가상 단말 처리부와; 가상 단말과 복수의 물리적 단말을 포함한 다자간 사이에 호를 발생하여 전화 통화가 가능하게 하고, 전화 통화 중에 가상 단말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데이터를 물리적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COMMUNICATION SYSTEM FOR PROCESSING DATA IN CAL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 중에 비용 충전 또는 선물 아이템 등을 전송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은 무한 경쟁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지만, 치료 방법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심리 상담 센터 또는 정신과 병원 등이 있지만 자신의 정신적 문제가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아 활성화가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화 상담은 자신의 신분이 노출되지 않고 상담 등을 받을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화 상담을 받기 위해서는 비용을 선 충전하고 상담 시간에 소요된 비용이 충전 비용에서 차감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충전된 잔액을 알 수 있도록 통화가 종료되면 충전 잔액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여 잔액이 부족하면 사용자가 비용을 재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통화를 위한 호가 발생하면 외부에서 발생된 호에 참여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의 데이터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중계기 등이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 예로, 통화 시작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통화 진행 시간을 알려주거나, 통화 종료 후에 통화 진행시간, 차감된 비용 또는 잔액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화 통화를 이용하여 상담을 진행하면 잔액이 부족한 경우에는 통화를 종료하고 비용을 재 충전한 후에 상담을 받아야 되기 때문에 상담 진행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선물 아이템을 전달하고 싶으면 전화 통화 이외에 별도의 인터넷 등 통신 수단을 통해 전달해야 되기 때문에 전화 상담을 활성화 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통화 중에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비용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사용자 사이에서 선물 아이템을 전송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가상 단말을 생성하거나 소멸하기 위한 가상 단말 처리부와; 상기 가상 단말과 복수의 물리적 단말을 포함한 다자간 사이에 호를 발생하여 전화 통화가 가능하게 하고, 전화 통화 중에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물리적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다른 단말에 전화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가상 단말 처리부에 상기 가상 단말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복수의 물리적 단말 사이에 진행되는 전화 통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상 단말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비용 충전 요청 데이터, 선물아이템에 관한 데이터, 관리자 메시지에 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상 단말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데이터는 음성데이터인 해당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가상 단말과 복수의 물리적 단말을 포함한 다자간 사이에 발생한 호를 통해 전화 통화 진행 중에 상기 물리적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전화 통화를 중계하는 중계기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물리적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이고, 제어부는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수신된 상기 복수의 물리적 단말 사이에 진행되는 전화 통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전화 통화를 지속하기 위한 비용 충전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전송하고, 비용 충전의 진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전화 통화의 종료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상 단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단말과 복수의 물리적 단말을 포함한 다자간 사이에 호를 발생하여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중계기와; 충전된 비용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물리적 단말 사이의 통화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서버와;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중계기는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복수의 물리적 단말 사이에 진행되는 전화 통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2 서버는 수신된 전화 통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는 충전된 비용이 상기 전화 통화를 지속하기 어려운 경우, 비용 충전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2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버는 수신된 상기 비용 충전 요청 데이터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전송하며, 상기 중계기는 수신된 비용 충전 요청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비용 충전 요청에 관한 음성데이터를 상기 물리적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는 상기 물리적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사용자가 충전한 금액 및 잔액, 충전된 비용을 기초로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시간, 선물아이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상 단말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단말과 복수의 물리적 단말을 포함한 다자간 사이의 전화 통화를 위해 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물리적 단말 사이에 진행되는 전화 통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외부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물리적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수신된 데이터에서 음성신호를 추출하거나, 또는 TTS(TextToSpeech)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에서 전화통화를 통한 상담 진행 중에 비용 충전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된 잔액이 부족해도 전화 통화를 종료하지 않고 계속해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내담자와 상담자 사이에서 상담중에 선물 아이템을 전송할 수 있어 재미있는 상담이 진행되도록 하는 등 사용자가 전화 상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10)은 제1 단말(100), 제2 단말(110), 제3 단말(140), 중계기(120), 제1 서버(130) 및 제2 서버(15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말(100,110)은 스마트 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 단말, 유선 전화, 전화 통화가 가능한 PC 등 전화 통화를 위한 전자기기에 해당된다. 본 발명은 상담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 내담자는 제1 단말(100)을 이용하며 상담자는 제2 단말(110)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제3 단말(140)은 가상의 단말로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에 발생하는 호에 참여하여 다자간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단말(140)을 포함하여 다자간 통화를 진행하면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에 통화가 진행 중이어도 외부에서 제3 단말(140)을 통해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120)는 제3 단말(140)을 생성하거나 소멸시키며, 제1 내지 제3 단말(100,140) 사이에 호가 발생되면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에서 전화 통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중계한다. 또한, 중계기(120)는 제1 또는 제2 서버(130,15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게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등 전화 통화 중계를 수행한다.
제1 서버(130)는 내담자 및 상담자에 관한 정보 등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며 내담자가 충전한 비용을 고려하여 내담자와 상담자 사이의 통화 시간을 관리하는 등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10)을 이용하여 상담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서버(150)는 제3 단말(140)을 관리하며, 제1 서버(13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3 단말(140)을 통해 중계기(120)에 전송하여 중계기(120)에서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중계기(120)로부터 제3 단말(140)를 통해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의 통화 진행 시간 또는 통화 종료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서버(130)에 전송하는 등 중계기(120)가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과 무선 단말 사이, 유선 단말과 유선 단말 사이, 무선 단말과 유선 단말 사이에 전화 통화가 가능한 통신시스템이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내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는 사항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계기(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기(120)는 입력부(200), 통신부(210), 가상 단말 처리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00)는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는데, 사용자의 터치, 푸쉬동작, 음성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이나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0)는 다양한 버튼의 형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센서, 접근하는 모션을 수신하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1 및 제2 단말(100,110) 등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인터넷부(미도시), 방송 송수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유선 통신부(미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부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송신하는데, 무선 인터넷부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ess)등 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는 각종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방송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은, DMBT(Digital Multimedia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e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eestrial) 등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방송 신호에는 교통 데이터, 생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는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것이며,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등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는 다른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가상 단말 처리부(220)는 가상의 단말을 생성하거나 소멸시켜 다자간 통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제1 단말(100)이 제2 단말(110)과 전화 연결을 원하는 경우 가상의 제3 단말(140)을 생성하여 제1 내지 제3 단말(100,140) 사이에 호가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가상 단말 처리부(220)는 발생되는 호에 대한 CALL_ID와 생성된 가상 단말을 대응되도록 한다. 또한,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에 전화 연결이 종료되면 제3 단말(140)을 소멸시키는데, 이때 제2 서버(150)의 요청에 따라 소멸시키거나 또는 통화가 종료되면 자체적으로 소멸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내담자 또는 상담자가 전화 연결을 종료한 경우에는 가상 단말 처리부(220)가 가상 단말을 소멸시킨다. 충전된 잔액이 통화를 지속하기에는 부족하지만 내담자가 비용 충전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서버(130)는 제2 서버(150)에 전화 통화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 서버(150)는 제3 단말(140)을 통해 중계기(120)에 전화 통화 종료 및 제3 단말(140)의 소멸을 요청하여 가상 단말 처리부(220)가 제3 단말(140)을 소멸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1 내지 제3 단말(100,140) 사이에 호가 발생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에 통화가 진행되도록 하며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의 통화 진행 시간, 통화 종료 등에 관한 정보를 제1 서버(130) 또는 제3 단말(140)에 전송한다. 또한, 제3 단말(140)을 통해 제2 서버(15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한 음성신호 또는 TTS(TextToSpeech) 프로그램을 이용한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등 본 발명의 중계기(120)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음성 신호는 비용 충전에 관한 멘트, 통화 가능 시간에 관한 멘트, 선물 아이템에 관한 멘트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중계기(120)가 제1 또는 제2 서버(130,15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에는 CALL_ID 정보, 제1 또는 제2 단말(100,110) 중 어느 단말에 대한 데이터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중계기(120)에서 음성 파일을 추출하기 위한 정보, 멘트 내용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120)는 제1 또는 제2 단말(100,110) 중 해당되는 단말에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음성 데이터 등을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 서버(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서버(130)는 입력부(300), 통신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저장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입력부(300)는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는데, 사용자의 터치, 푸쉬동작, 음성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이나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0)는 다양한 버튼의 형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센서, 접근하는 모션을 수신하는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중계기(120), 제2 서버(150) 등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인터넷부(미도시), 방송 송수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유선 통신부(미도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을 동일·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소켓통신을 이용한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제1 서버(130) 관리자가 용이하게 제1 서버(130)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제1 서버(13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 및 입력부(300)를 터치패널로 구현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며,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데, 일 예로, 내담자 전화번호, 상담자 전화번호, 내담자가 충전한 비용 및 잔액, 충전 금액 및 잔액에 따른 내담자의 통화 가능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330)는 사용자 ID를 이용하여 내담자 및 상담자를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자 ID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30)는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전송할 멘트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멘트 관련 정보는 내담자와 상담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것으로, 충전된 비용 잔액이 부족한 경우 비용 충전을 요청하는 멘트, 비용 충전이 완료된 경우 비용 충전 완료를 알리는 멘트, 선물 아이템에 관한 멘트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제1 단말(100)이 제2 단말(110)에 대한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제2 단말(110)에 대한 전화번호를 제1 단말(100)에 전송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40)는 제2 서버(150)로부터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에 통화 진행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내담자가 충전한 비용을 고려하여 내담자와 상담자 사이에 통화 지속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비용 충전이 필요한 경우 비용 충전에 관한 메시지를 제2 서버(150)에 전송하여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등 제1 서버(13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제2 서버(150)는 필요에 따라 제1 서버(130)에 포함된 구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서버(150)의 제어부(미도시)에는 중계기(120)로부터 제3 단말(140)이 생성되어 호가 발생한 정보를 수신하면, 발생한 호에 대한 CALL_ID와 제3 단말(140)이 대응되도록 관리하며 관련 정보를 중계기(120) 또는 제1 서버(130)에 전송한다. 또한, 제2 서버(150)의 제어부(미도시)는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에 통화가 진행 중인 경우에 제1 서버(1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면 제3 단말(140)을 통해 중계기(120)에 전송하고, 제3 단말(140)로부터 중계기(120)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있으면 해당 정보를 제1 서버(130)에 전송한다.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에서 통화가 종료되어 제3 단말(140)이 존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2 서버(150)의 제어부(미도시)는 중계기(120)에 제3 단말(140)의 소멸을 요청하며 중계기(120)가 제3 단말(140)을 소멸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시스템(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말(100)이 제2 단말(110)에 대한 전화번호 등 정보를 제1 서버(130)에 요청하면(400), 제1 서버(130)는 제2 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100)에 전송한다(405). 제1 단말(100)이 중계기(120)에 제2 단말(110)과의 연결을 요청하면(410), 중계기(120)는 제1 서버(130)에 제2 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415) 제1 서버(130)로부터 제2 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420) 가상 단말인 제3 단말(140)을 생성하고(430), 제1 내지 제3 단말(100,140) 사이에 호를 발생시켜 전화 통화 연결을 한다(440). 이때,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다른 실시예로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계기(120)가 제1 단말(100)로부터 제2 단말(110)에 대한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제3 단말(140)을 생성하고, 제3 단말(140)을 통해 제2 서버(150)에 제2 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제2 서버(150)는 제1 서버(130)에 제2 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제3 단말(140)을 통해 중계기(120)에 제2 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중계기(120)는 제1 내지 제3 단말(100,140) 사이에 호를 발생시켜 전화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단말(100,140) 사이에서 전화 통화가 진행 중에 내담자의 충전된 잔액이 통화를 지속시키기 어려운 경우, 제1 서버(130)는 제2 서버(150)에 요금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445), 제2 서버(150)는 제 3 단말(140)을 통해 중계기(120)에 요금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450,455). 중계기(120)는 요금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요금 충전 안내 멘트를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전송한다(460). 요금 충전에 관한 프로세스는 별도의 요금 충전 서버(미도시)를 구성하여 진행하거나, 또는 제1 서버(130)에 요금 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내담자가 요금 충전을 진행하여 충전이 완료되면(465), 제1 서버(130)는 제2 서버(150)에 요금 충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고(470), 제2 서버(150)는 제3 단말(140)을 통해 중계기(120)에 요금 충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며(475,480), 중계기(120)는 요금 충전 완료 멘트를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전송하고 전화 연결을 계속 유지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담자가 비용 충전을 원하지 않은 경우, 제1 서버(130)는 제2 서버(150)에 전화 통화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 서버(150)는 제3 단말(140)을 통해 중계기(120)에 전화 통화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며, 중계기(120)는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전화 통화 종료 멘트를 전송하고 전화 연결을 종료시킨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통화 중 비용 충전을 설명하였는데, 다른 실시예로 관리자 메시지 전달 또는 선물 아이템 전송 등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관리자 메시지 전달의 경우, 관리자가 내담자 및 상담자에게 전달할 메시지가 있으면 제1 서버(130)에서 제2 서버(150)에 관리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 서버(150)는 제3 단말(140)에 관리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제3 단말(140)은 관리자 메시지를 중계기(120)에 전송하고 중계기(120)는 관련 메시지에 관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전송한다.
선물 아이템의 경우, 중계기(120)에서 통화 시작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에 선물아이템에 관한 내용을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전송하거나, 내담자 또는 상담자가 제1 및 제2 단말(100,110)의 미리 결정된 어느 하나의 다이얼 키를 선택하는 등으로 중계기(120)에 선물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면, 중계기(120)는 제3 단말(140)을 통해 제2 서버(150)에 선물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 제2 서버(150)는 제1 서버(130)에 선물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면, 관련 정보를 제3 단말(140)을 통해 중계기(120)에 전송한다. 중계기(120)는 선물 아이템에 관한 정보에서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선물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1 또는 제2 단말(100,110)에 전송한다. 이후 내담자 또는 상담자가 어느 하나의 선물 아이템을 선택하면 중계기(120)는 선택된 선물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3 단말(140)을 통해 제2 서버(150)에 전송하고, 제2 서버(150)는 제1 서버(130)에 선택된 선물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제1 서버(130)는 선택된 선물 아이템 전송 완료 메시지를 제2 서버(150)에 전송하고, 제2 서버(150)는 제3 단말(140)을 통해 중계기(120)에 전송하며, 중계기(120)는 선물 아이템 전송 완료 멘트를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전송한다. 내담자 또는 상담자는 자신에게 송부된 선물 아이템에 대해 통화 종료 후에 확인할 수 있으며, 선물 아이템 확인 프로세스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선물 아이템은 음료 교환 쿠폰, 영화 관람 쿠폰, 호텔 숙박 쿠폰, 상품 구매 할인 쿠폰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계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말(100)로부터 제2 단말(110)에 대한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500), 제1 서버(130)에 제2 단말(110)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505), 제3 단말(140)을 생성하며(510), 제1 내지 제3 단말(100,140)에 대한 호를 발생시켜 전화 연결을 한다(515). 이때, 도 4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다른 실시예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전화 통화가 진행 중에 제3 단말(140)로부터 요금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520),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요금 충전 안내 멘트를 전송한다(530). 내담자가 요금 충전을 진행하여 충전이 완료되면(535의 예), 제3 단말(140)로부터 요금 충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540),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요금 충전 완료 멘트를 전송한다(545). 반면, 내담자가 요금 충전을 진행하지 않아 통화를 지속하기 어려운 경우(535의 아니오), 제3 단말(140)로부터 전화 통화 종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550) 제1 및 제2 단말(100,110)에 전화 통화 종료 멘트를 전송하고 전화 통화를 종료시킨다(555).
한편, 제1 및 제2 단말(100,110) 사이에 전화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560의 예), 중계기(120) 자체적으로 제3 단말(140)을 소멸시킬 수 있으며, 또는 제3 단말(140)로부터 제3 단말(140)의 소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3 단말을 소멸시킨다(565,570). 충전된 잔액이 전화 통화를 지속시키기에 충분하고, 내담자와 상담자가 통화 종료를 원하지 않는 경우(560의 아니오), 중계기(120)는 전화 통화를 계속 진행시킨다(58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 서버(1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계기(120)로부터 제3 단말(14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600) 제1 내지 제3 단말(100,140) 사이에서 발생하는 호에 대한 CALL_ID와 제3 단말(140)을 대응되도록 관리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계기(120)로부터 제2 단말(110)에 관한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제1 서버(130)에 제2 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제3 단말(140)을 통해 중계기(120)에 전송한다.
제1 서버(130)로부터 요금 충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605), 제3 단말(140)에 요금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중계기(120)에 전송하도록 한다(610). 내담자가 요금 충전을 진행하면(620의 예), 제1 서버(130)로부터 요금 충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630), 제3 단말(140)에 요금 충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635). 반면, 내담자가 요금 충전을 진행하지 않으면(620의 아니오), 제1 서버(130)로부터 전화 통화 종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640), 제3 단말(140)에 전화 통화 종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645).
제1 내지 제3 단말(140) 사이에서 전화 통화가 종료되지 않으면(650의 아니오) 전화 통화가 계속 진행되도록 하지만(670),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650의 예) 제3 단말(140)에 제3 단말(140)의 소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중계기(120)에 전송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 단말 110: 제2 단말
120: 중계기 130: 제1 서버
140: 제3 단말 150: 제2 서버

Claims (14)

  1.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가상 단말을 생성하거나 소멸하기 위한 가상 단말 처리부와;
    호출자 단말로부터의 전화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가상 단말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단말, 상기 호출자 단말 및 피호출자 단말 사이에 하나의 호를 발생하여 전화 통화가 가능하게 하며, 전화 통화 중에 상기 가상 단말이 상기 발생한 호의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가상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발생된 호를 통해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사이에 진행되는 전화 통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외부에 전송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비용 충전 요청 데이터, 선물아이템에 관한 데이터, 관리자 메시지에 관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5. 삭제
  6.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호출자 단말로부터의 전화 연결 요청에 따라 생성된 가상 단말, 상기 호출자 단말 및 피호출자 단말 사이에 발생한 하나의 호를 통한 전화 통화 진행 중에 상기 발생한 호의 외부에서 통화중에 상기 발생한 호를 이용하여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음성데이터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발생한 호에 참여하는 상기 가상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가상 단말로부터 상기 전화 통화를 중계하는 중계기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수신된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 사이에 진행되는 전화 통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 통화를 지속하기 위한 비용 충전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전송하고, 비용 충전의 진행 여부에 따라 상기 전화 통화의 종료 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전송하는 장치.
  9.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호출자 단말로부터의 전화 연결 요청에 따라 가상 단말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단말, 상기 호출자 단말 및 피호출자 단말 사이에 하나의 호를 발생하여 전화 통화가 가능하게 하며, 전화 통화 중에 상기 가상 단말이 상기 발생한 호의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가상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발생된 호를 통해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에 전송하는 중계기와;
    충전된 비용에 따라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 사이의 통화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서버와;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 사이에 진행되는 전화 통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제2 서버는 수신된 전화 통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는 충전된 비용이 상기 전화 통화를 지속하기 어려운 경우, 비용 충전 요청 데이터를 상기 제2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버는 수신된 상기 비용 충전 요청 데이터를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전송하며,
    상기 중계기는 수신된 비용 충전 요청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비용 충전 요청에 관한 음성데이터를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호출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사용자가 충전한 금액 및 잔액, 충전된 비용을 기초로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시간, 선물아이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통신시스템.
  13.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호출자 단말로부터의 전화 연결 요청에 따라 가상 단말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단말, 상기 호출자 단말 및 피호출자 단말 사이의 전화 통화를 위한 하나의 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 사이에 진행되는 전화 통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발생된 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상기 가상 단말을 통해 외부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 단말이 상기 발생한 호의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한 데이터를 상기 발생된 호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발생된 호를 통해 상기 호출자 단말 및 상기 피호출자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수신된 데이터에서 음성신호를 추출하거나, 또는 TTS(TextToSpeech)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18076A 2018-02-13 2018-02-13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0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76A KR101940444B1 (ko) 2018-02-13 2018-02-13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76A KR101940444B1 (ko) 2018-02-13 2018-02-13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444B1 true KR101940444B1 (ko) 2019-01-18

Family

ID=6532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076A KR101940444B1 (ko) 2018-02-13 2018-02-13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4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693A (ja) * 1997-06-26 1999-01-22 Fujitsu Ltd 料金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料金情報通知制御方法
KR20070058809A (ko) * 2005-12-05 2007-06-11 (주) 사이버패스 포스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요금 충전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06428B1 (ko) * 2003-05-21 2008-02-21 아바야 테크놀러지 엘엘씨 통신 접속 재설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693A (ja) * 1997-06-26 1999-01-22 Fujitsu Ltd 料金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料金情報通知制御方法
KR100806428B1 (ko) * 2003-05-21 2008-02-21 아바야 테크놀러지 엘엘씨 통신 접속 재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70058809A (ko) * 2005-12-05 2007-06-11 (주) 사이버패스 포스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요금 충전 시스템 및 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4527B2 (en) Receiving images from an identified remote source via the internet
KR101818004B1 (ko)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EP3021530B1 (en) Data sending method and device
CN104811423A (zh) 位置信息的共享方法和装置
CN105578032A (zh) 远程相机控制方法、远程拍摄系统以及服务器
TW201006274A (en) Call management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EP4102798A1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12311753A (zh) 信息交互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2006246483A (ja) 通信サービスの申込方法、通信端末機及びサーバー
KR20140054487A (ko) 그룹 대화 방법 및 그룹 대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P1739987B1 (en) Character/data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terminal management apparatus and character/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used therein
KR101346394B1 (ko) 인스턴트 메시지의 멀티미디어 링톤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KR101940444B1 (ko)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20379B1 (ko)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05390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엠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0746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2129009B1 (ko) 통화 중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1223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681255B2 (en) Mobile Proximity bonding system and method
JP2008072195A (ja) 通話管理装置、通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952439B1 (ko)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KR100762085B1 (ko) 무선 통신 망에서의 자동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CN113490289B (zh) 下行数据传输方法及装置、用户设备、基站
KR2009000234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푸시 투 토크 통신 방법
KR101962471B1 (ko) 역방향 다중 통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