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439B1 -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439B1
KR101952439B1 KR1020120022053A KR20120022053A KR101952439B1 KR 101952439 B1 KR101952439 B1 KR 101952439B1 KR 1020120022053 A KR1020120022053 A KR 1020120022053A KR 20120022053 A KR20120022053 A KR 20120022053A KR 101952439 B1 KR101952439 B1 KR 101952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data
contents
communication channe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641A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2002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43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0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7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s network provides a telephone service in addition or as an alternative, e.g. for backup purposes, to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the telephone services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 가능한 푸시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망과 분리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 가능한 통화장치와 연동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시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역방향 통신 연결을 위한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채널이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될 N(N≥1)개의 전달 내용 중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n(1≤n<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망과 분리된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상기 무선단말의 호 발신 절차를 통해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통화장치로 전달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확인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통화장치의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확인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지정된 서비스 제공에 이용 가능한 구조로 조합한다.

Description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Inverse Multip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 가능한 푸시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망과 분리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 가능한 통화장치와 연동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시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역방향 통신 연결을 위한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채널이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될 N(N≥1)개의 전달 내용 중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n(1≤n<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망과 분리된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상기 무선단말의 호 발신 절차를 통해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통화장치로 전달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확인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통화장치의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확인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지정된 서비스 제공에 이용 가능한 구조로 조합하는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정보를 요청한 후에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되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순방향).
최근 전화통화망(=이동통신망)은 물론 데이터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스마트폰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한편 전화통화망(=이동통신망)에만 연결되어 교환기를 경유하는 전화 통화채널 또는 데이터채널이 연결되는 피쳐폰은 서버에 접속하여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 없이 호를 착신하거나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러나 데이터망과 전화통화망에 다중 접속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은, 상기 전화통화망 이외에 데이터망에 접속하는 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은 폐쇄된 전화통화망 이외에 데이터망에 접속함으로 인해, 해킹/탈옥의 위험에 거의 무방비로 노출됨으로써 보안성이 극도로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특히 각종 보안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보안 위험으로부터 적절히 관리되는 일반 컴퓨터와 달리 상기 무선단말은 누구라도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치명적인 보안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 가능한 푸시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망과 분리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 가능한 통화장치와 연동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시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역방향 통신 연결을 위한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채널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될 N(N≥1)개의 전달 내용 중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n(1≤n<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망과 분리된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상기 무선단말의 호 발신 절차를 통해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통화장치로 전달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확인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통화장치의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확인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지정된 서비스 제공에 이용 가능한 구조로 조합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은,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 가능한 푸시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망과 분리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 가능한 통화장치와 연동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시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역방향 통신 연결을 위한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채널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될 N(N≥1)개의 전달 내용 중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n(1≤n<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망과 분리된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상기 무선단말의 호 발신 절차를 통해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통화장치로 전달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확인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통화장치의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확인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지정된 서비스 제공에 이용 가능한 구조로 조합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전에, 상기 푸시 메시지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로 제공될 메시지 내용을 구성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시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내용을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메시지 식별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메시지 내용에 할당된 식별코드를 포함하거나,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메시지 내용이 저장된 저장매체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주소를 포함하거나, 상기 접속주소와 식별코드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전달 내용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확인될 전달 내용을 매칭하는 고유한 인덱스 값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과 합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이 연결된 후, 상기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될 통화장치 정보가 상기 무선단말로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은, 무선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 가능한 푸시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 가능한 통화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시 서버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 역방향 통신 연결을 위한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이 접속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과 데이터 통신채널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과 연결된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될 N(N≥1)개의 전달 내용 중 n(1≤n≤N)개의 전달 내용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통화장치를 통해 상기 N개의 전달 내용 중 (N-n)개의 전달 내용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n개의 전달 내용과 (N-n)개의 전달 내용을 서비스 제공에 이용 가능한 구조로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은, 상기 푸시 메시지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로 제공될 메시지 내용을 구성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푸시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내용을 상기 무선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메시지 식별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메시지 내용에 할당된 식별코드를 포함하거나,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메시지 내용이 저장된 저장매체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주소를 포함하거나, 상기 접속주소와 식별코드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은, 상기 n개의 전달 내용과 (N-n)개의 전달 내용에 고유한 인덱스 값이 상기 무선단말과 합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은,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될 통화장치 정보가 상기 무선단말로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시스템은, 무선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 가능한 푸시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 가능한 통화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구현되는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푸시 서버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 역방향 통신 연결을 위한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는 푸시 메시지 처리부와,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이 접속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과 데이터 통신채널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통신채널 연결 제어부와, 상기 무선단말과 연결된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될 N(N≥1)개의 전달 내용 중 n(1≤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와, 상기 통화장치를 통해 상기 N개의 전달 내용 중 (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는 전화 통화채널 연동부와, 상기 n개의 전달 내용과 (N-n)개의 전달 내용을 서비스 제공에 이용 가능한 구조로 조합하는 전달 내용 확인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시스템은, 상기 푸시 메시지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로 제공될 메시지 내용을 구성하여 관리하는 메시지 내용 관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애플리케이션 인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망을 통한 역방향 통신 연결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이점과,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채널과 전화통화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특정 작업을 다중 처리함으로써 보안성이 극단적으로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역방향 다중 통신을 위해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역방향 다중 통신을 위한 메시지 내용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서버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단말 측에 구현되거나, 반대로 단말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서버 측에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데이터망을 통해 무선단말(200)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여 상기 무선단말(200)과 상기 데이터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연결하되,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수신되어야 할 전달 내용의 일부를 전화통화망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수신하는 역방향 다중 통신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역방향 다중 통신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역방향 다중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망을 통해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푸시 서버(125)와 연결되고, 전화통화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과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되는 통화장치(160)와 연결된 운영 서버(100)에 구현되며,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과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운영 서버(100)의 물리적 구성과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푸시 서버(12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이용 가능한 지정된 푸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200)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서버의 총칭으로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플랫폼 제조사에서 운영하는 푸시 메시징 서버, 상기 무선단말(200)이 접속한 통신사에 운영하는 푸시 메시징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푸시 서버(125)는 상기 제조사/통신사에서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푸시 메시징 서버로 푸시 메시지 발송을 요청하는 메시지 발송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 서버(125)가 상기 메시지 발송 서버인 경우에 상기 푸시 서버(125)는 상기 운영 서버(100)를 운영하는 운영 기관에 구비되거나, 또는 운영 기관과 제휴된 기관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푸시 서버(125)가 상기 운영 서버(100)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통화장치(160)는 전화통화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과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되고, 상기 운영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하는 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DTMF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하거나, 또는 반대로 상기 운영 서버(100)로부터 제공되거나 또는 지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거나 또는 동적으로 생성되는 디지털 정보를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송출 가능한 음성멘트 또는 DTMF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단말(200)로 송출하는 기능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자동응답서버(Automatic Response Server),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장치, IP 기반 사설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215)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인증하는 회원 가입/인증부(130)와, 프로그램제공서버(170)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 제공된 애플리케이션(215)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애플리케이션 인증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회원 가입/인증부(130)는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의 사용자,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215)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켜 회원을 관리하는 저장매체(115)에 회원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215)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인증한다. 상기 회원을 관리하는 저장매체(115)는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인증하는 서버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인증하는 주체가 운영 서버(100)라면, 상기 회원을 관리하는 저장매체(115)는 본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푸시 서버(125)가 상기 운영 서버(100)와 제휴된 기관의 메시지 발송 서버로서 상기 회원을 관리한다면 상기 회원을 관리하는 저장매체(115)는 상기 메시지 발송 서버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135)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제공되는 시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과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5 앱 인증 방식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135)는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고된 애플리케이션(215)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됨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푸시 식별 정보를 확인/획득하여 저장매체(11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푸시 서버(125)가 상기 제조사/통신사에 구비된 푸시 메시징 서버(예컨대, 애플사의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서버, 구글사의 C2DM(Cloud to Device Messaging)서버 등)이고, 상기 운영 서버(100)가 상기 푸시 서버(125)를 통해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메시지 발송 서버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푸시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애플리케이션(2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푸시 대상 식별값(예컨대, 애플사의 APNS에 의해 관리되는 푸시 토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푸시 서버(125)가 상기 운영 서버(100)를 운영하는 운영 기관에서 운영하는 메시지 발송 서버이고,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푸시 서버(125)로 푸시 메시지 발송을 의뢰하는 서버인 경우에, 상기 푸시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애플리케이션(2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푸시 대상 식별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푸시 서버(125)(=운영 기관의 메시지 발송 서버)가 상기 푸시 대상 식별값을 관리하는 경우에 상기 운영 서버(100) 측의 저장매체(115)에 저장되는 푸시 식별 정보는 상기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애플리케이션(2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푸시 대상 식별값과 매핑된 푸시 매핑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푸시 대상 식별값은 상기 회원 정보와 매핑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푸시 매핑 코드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푸시 서버(125)가 상기 운영 서버(100)와 제휴된 기관에서 운영하는 메시지 발송 서버이고,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푸시 서버(125)로 푸시 메시지 발송을 의뢰하는 서버인 경우에, 상기 푸시 서버(125)(=제휴된 기관의 메시지 발송 서버)는 상기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애플리케이션(2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푸시 대상 식별값을 관리하며, 상기 운영 서버(100) 측의 저장매체(115)에 저장되는 푸시 식별 정보는 상기 푸시 서버(125)(=제휴된 기관의 메시지 발송 서버)가 관리하는 푸시 대상 식별값과 매핑된 푸시 매핑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135)는 상기 확인된 푸시 식별 정보를 상기 회원 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하여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푸시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저장매체(11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215)을 운영하는 서버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운영하는 주체가 운영 서버(100)라면, 상기 푸시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저장매체(115)는 본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 서버(10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푸시 서버(125)가 상기 운영 서버(100)와 제휴된 기관의 메시지 발송 서버로서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운영한다면 상기 푸시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저장매체(115)는 상기 메시지 발송 서버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제공될 데이터를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부(105)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상기 확인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내용을 구성하여 관리하는 메시지 내용 관리부(110)와, 상기 푸시 서버(125)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는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는 푸시 메시지 처리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확인부(10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215)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푸시 조건 또는 상기 푸시 메시지를 통해 제공될 데이터를 확인하는 푸시 조건이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푸시 조건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제공될 데이터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확인부(105)는 지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푸시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지정된 서버로부터 상기 푸시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확인되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푸시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제공될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푸시 조건이 증권거래의 관심종목의 거래가격이 특정 기준치 이상 하락하거나 또는 상승하는 경우에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데이터 확인부(105)는 상기 관심종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특정 기준치 이상 하락하거나 또는 상승한 관심종목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관심종목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기준치 이상 하락하거나 또는 상승한 관심종목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확인되는 각종 종목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특정 기준치 이상 하락하거나 또는 상승한 관심종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내용 관리부(110)는 상기 데이터 확인부(105)에 의해 확인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내용을 구성하는 메시지 구성 정책이 설정되며, 상기 설정된 메시지 구성 정책에 따라 상기 데이터 확인부(105)에 의해 확인된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내용으로 구성한다. 상기 메시지 구성 정책은, 상기 확인된 데이터를 웹페이지 형태의 메시지 내용으로 구성하는 정책,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화면 중에서 상기 확인된 데이터를 표시할 인터페이스 화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데이터를 표시 가능한 포맷의 메시지 내용을 구성하는 정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내용 관리부(110)는 상기 메시지 구성 정책에 따라 구성된 메시지 내용을 지정된 저장매체(115)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구성된 메시지 내용은 상기 회원 정보와 푸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원을 관리하는 저장매체(115) 또는 상기 푸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15)의 구현 방식에 따라 상기 구성된 메시지 내용은 상기 회원 정보와 푸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또는 원격으로 매핑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메시지 내용이 웹페이지 형태로 구성된다면, 상기 메시지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매체(115)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접속하는 접속 주소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 내용 관리부(110)는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되는 특정 메시지 내용을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특정 메시지 내용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메시지 식별 정보가 결정하여 상기 저장되는 특정 메시지 내용에 설정/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식별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되는 특정 메시지 내용에 할당된 식별코드를 포함하거나,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메시지 내용이 저장된 저장매체(115)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주소를 포함하거나, 상기 접속 주소와 식별코드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메시지 처리부(120)는 상기 구성된 메시지 내용을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전달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가 상기 푸시 서버(125)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발송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푸시 서버(125)가 상기 제조사/통신사에서 운영하는 푸시 메시징 서버라면, 상기 푸시 메시지 처리부(120)는 상기 푸시 메시징 서버와 합의된 푸시 메시지 규격에 따라 상기 푸시 식별 정보와 메시지 내용을 근거로 메시지 헤더와 본문을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푸시 메시징 서버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 본문은 값, 상기 메시지 내용의 일부, 상기 메시지 내용의 요약, 저장된 메시지 내용을 식별하는 메시지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시지 본문에 사익 메시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시지 식별 정보는 상기 푸시 메시지의 히든 영역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메시지 식별 정보는 출력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푸시 서버(125)가 상기 운영 기관과 제휴된 기관에서 운영하는 메시지 발송 서버라면, 상기 푸시 메시지 처리부(120)는 상기 메시지 발송 서버와 합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메시지 내용을 근거로 메시지 본문을 구성하고, 상기 메시지 발송 서버에서 관리하는 푸시 대상 식별값과 매핑된 푸시 식별 정보(또는 회원 정보)와 상기 메시지 본문을 상기 메시지 발송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메시지 발송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 메시징 서버와 합의된 푸시 메시지 규격에 따라 메시지 헤더와 본문을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푸시 메시징 서버를 통해 푸시 메시지를 발송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200)이 접속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과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통신채널 연결 제어부(140)와, 상기 무선단말(200)과 연결된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수신될 N(N≥1)개의 전달 내용 중 n(1≤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를 구비한다.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푸시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이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데이터 통신채널(280) 연결을 요청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채널 연결 제어부(14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과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되는 과정 또는 연결된 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13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앱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되는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됨에 의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는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으로부터 수신될 N개의 전달 내용 중 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개의 전달 내용 중 나머지 (N-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통화장치(160)를 통해 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는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이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시지 내용이 웹페이지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된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한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의 웹페이지 요청을 수락하여 상기 웹페이지 형태로 저장된 메시지 내용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내용에 대한 식별코드와 상기 저장매체(115)에 저장된 메시지 내용에 할당된 식별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으로부터 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수신되는 n개의 전달 내용에 대한 항목이 미리 지정된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으로부터 상기 지정된 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수신되는 n개의 전달 내용에 대한 항목이 미리 지정되지 않고 동적 결정 가능한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에 대응하는 항목 중에서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수신할 n개의 전달 내용에 대한 항목을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과 합의(예컨대, 서버 측에서 항목을 결정하여 단말 측으로 전달하거나, 단말 측에서 항목을 결정하여 서버 측으로 전달하거나, 서버 측에서 일부 항목을 결정하고 단말 측에 다른 일부 항목을 결정하여 상호 교환)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으로부터 상기 합의된 항목에 대응하는 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상기 메시지 내용이 전달되는 시점과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으로부터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이 수신되는 시점 사이의 어느 한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수신되는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통화장치(160)를 경유하여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수신될 (N-n)개의 전달 내용을 식별하여 조합하기 위한 고유한 인덱스 값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과 합의(예컨대, 서버 측에서 인덱스 값을 결정하여 단말 측으로 전달하거나, 단말 측에서 인덱스 값을 결정하여 서버 측으로 전달하거나, 서버 측에서 일부 인덱스 값을 결정하고 단말 측에 다른 일부 인덱스 값을 결정하여 상호 교환)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인덱스 값은 동적으로 결정되는 고유 코드값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 또는 애플리케이션(215)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자(예컨대, 전화번호, 고유 키 값, 앱 식별 값, 무선단말(2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 등)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는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200)과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될 통화장치(160)에 대한 통화장치(160) 정보(예컨대, 통화장치(160)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화장치(160) 정보는 상기 메시지 내용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에 상기 통화장치(160) 정보가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푸시 메시지 수신 또는 메시지 내용 수신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통화장치(160) 정보를 자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상기 통화장치(160)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통화장치(160) 정보를 근거로 전화통화망을 통해 상기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하며,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의 DTMF 신호를 통해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통화장치(160)로 송출한다.
상기 통화장치(160)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290)의 DTMF 신호를 통해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고 디지털화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통화장치(160)로부터 상기 N개의 전달 내용 중 (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는 전화 통화채널 연동부(155)와, 상기 n개의 전달 내용과 (N-n)개의 전달 내용을 조합하여 N개의 전달 내용을 조합하는 전달 내용 확인부(150)를 구비하며,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제어부(165)를 구비한다.
상기 전화 통화채널 연동부(155)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145)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과 합의된 인덱스 값을 확인하고, 상기 통화장치(160)로부터 수신되는 전달 내용 중에 상기 인덱스 값에 대응하는 (N-n)개의 전달 내용을 확인한다.
상기 통화장치(160)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과 합의된 인덱스 값에 대응하는 (N-n)개의 전달 내용이 수신되면, 상기 전달 내용 확인부(150)는 상기 인덱스 값을 근거로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수신된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상기 통화장치(160)로부터 수신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조합하여 N개의 전달 내용을 서비스 제공이 이용 가능한 구조로 조합한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이 상기 운영 서버(100)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전달 내용 확인부(15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각 서비스 단계에서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이용할 수 있도록 조합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제어부(165)는 상기 전달 내용 확인부(150)에 의해 조합된 N개의 전달 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200)로 지정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 서버(100)와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무선단말(200)과 애플리케이션(2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데이터망을 통해 무선단말(200)로 푸시된 메시지가 수신됨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연결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지정된 작업의 일부가 수행된 이후에 전화통화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와 연결된 통화장치(160)로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하여 상기 지정된 작업의 나머지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 구성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215)과 무선단말(200)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2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무선단말(200)은 데이터망과 전화통화망에 다중 접속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제어부(101)와 메모리부(213)와 화면 출력부(202)와 키 입력부(203)와 사운드 출력부(204)와 사운드 입력부(205)와 카메라부(206)와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과 NFC모듈(210)과 위치 측위모듈(211)과 USIM 리더부(212)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07)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본 제어부(1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13)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저장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13)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21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편의상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215)을 줄여서 “앱”이라고도 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202)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출력자원에 대응되는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화면출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203)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자원에 대응되는 키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02)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키입력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204)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출력자원에 대응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20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자원에 대응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206)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에 접속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상기 무선단말(200)을 무선 통신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상기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전화 통화채널(290)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전화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은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NFC모듈(210)은 ISO 18000 시리즈 규격의 무선통신 규격 중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단말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접 통신모듈로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NFC모듈(210)은 13.56Mz 주파수 대역 이외에 ISO 18000 시리즈 규격이 지원하는 다른 주파수 대역(예컨대, 900Mhz 대역 등)의 근접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아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NFC모듈(210)이 근접하여 통신하는 대상에 따라 상기 NFC모듈(210)은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역방향 다중 통신을 개시시키는 메시지는 상기 NFC모듈(210)을 통해 수신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 상기 NFC모듈(210)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는 상기 푸시 메시지와 다른 별도의 메시지 규격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211)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모듈(211)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과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212)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21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프로그램제공서버(170)(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215)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215)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동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이 미리 구동 중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본 발명의 역방향 다중 통신 시스템 상에 구비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215)이거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메시지 발송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운영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나 또는 사용자의 회원 자격을 인증받는 회원 가입/인증부(220)와,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받는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회원 가입/인증부(220)와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는 통신 연결 매크로 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회원 가입/인증부(220)는 상기 화면 출력부(202)를 통해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와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회원 계정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킨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회원 가입은 상기 무선단말(200) 이외에 별도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이미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회원으로 가입된 경우, 상기 회원 가입/인증부(220)는 상기 사용자의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회원 계정을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가 회원인지 인증시킨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통신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과 전화통화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시킨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탑재된 시점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시키거나, 또는 상기 운영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되는 시점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215)과 운영 서버(100) 사이에 미리 합의된 암/복호화 절차(예컨대, SRP 등)에 따라 수행되며, 편의상 상기 암/복호화 절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앱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키 값이 설정된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제공서버(170)를 통해 다운로드되며, 이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고유 키 값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고유 키 값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고유 키 값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앱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프로그램제공서버(170)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에 기 지정된 절차에 따라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앱 식별 값(예컨대, 애플사의 APNS에 의해 할당되는 디바이스 토큰 등)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앱 식별 값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앱 식별 값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앱 식별 값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앱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이 설정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가 정의된 인증서가 탑재된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제공서버(170)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인증서에 정의된 인증 절차에 따라 상기 인증서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인증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인증 절차에 더 이용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앱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상기 전화통화망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부터 발송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번호를 상기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인증번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임과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앱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제1 내지 제4 앱 인증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인증 방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푸시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푸시 메시지 확인부(230)와, 상기 푸시된 메시지의 확인에 의해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연결하는 데이터 통신채널 연결부(235)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단말(200)은 지정된 푸시 서버(125)로부터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푸시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이 구비되며, 상기 푸시 메시지 확인부(230)는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푸시 서버(125)로부터 푸시된 푸시 메시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푸시 서버(125)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상기 푸시 메시지가 푸시되는 시점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구동 중이지 않다면, 상기 무선단말(200)로 상기 푸시 메시지가 수신됨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푸시 서버(125)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상기 푸시 메시지가 푸시되는 시점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백그라운드 상태로 구동 중이라면, 상기 무선단말(200)로 상기 푸시 메시지가 수신됨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활성화되어 상기 무선단말(200)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푸시 서버(125)로부터 상기 무선단말(200)로 상기 푸시 메시지가 푸시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모드가 대기모드(또는 비활성모드)라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대기모드가 해제(또는 활성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활성화되어 상기 무선단말(200)의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 메시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구동/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직접 수신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푸시 메시지는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구성된 메시지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 발송되는 메시지의 총칭으로서, 메시지 헤더와 본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시지 본문은 널(NULL) 값, 상기 메시지 내용의 일부, 상기 메시지 내용의 요약, 저장된 메시지 내용을 식별하는 메시지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시지 본문에 상기 메시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시지 식별 정보는 상기 푸시 메시지의 히든(Hidden) 영역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메시지 식별 정보는 출력되지 않는다.
상기 푸시 메시지 확인부(230)에 의해 상기 푸시 메시지가 확인됨에 의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연결부(235)는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패킷 통신 기반의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연결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시킬 수 있다. 만약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되기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이 인증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에 대한 유효성 인증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연결부(235)에 의해 상기 운영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되는 과정 또는 연결된 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부(225)는 상기 제1 내지 제5 앱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에 대한 유효성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인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푸시된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는 메시지 내용 확인부(240)와, 상기 확인된 메시지 내용을 표시하는 메시지 내용 표시부(245)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됨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표시부(2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푸시 메시지 확인부(230)에 의해 상기 푸시 메시지가 확인됨에 의해, 상기 메시지 내용 확인부(240)는 상기 푸시 메시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 연결부(235)에 의해 상기 운영 서버(100)와 상기 데이터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됨에 의해, 상기 메시지 내용 확인부(240)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 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00)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됨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250)는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됨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메시지 내용 표시부(245)는 상기 메시지 내용 확인부(240)에 의해 확인된 메시지 내용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될 N(N≥1)의 전달 내용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표시부(250)와, 상기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N개의 전달 내용이 획득되는 전달 내용 획득부(255)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획득된 N개의 전달 내용 중에 n(1≤n≤N)개의 전달 내용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통신채널 제어부(260)를 구비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250)는 상기 지정된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250)는 상기 운영 서버(100)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됨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할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시지 내용이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됨에 의해 결정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달 내용 획득부(255)는 상기 키 입력부(203)와 연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달 내용을 입력 받거나, 상기 메모리부(213) 또는 USIM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달 내용을 추출하거나, 지정된 데이터 생성 규칙(예컨대, 난수 생성 규칙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달 내용을 생성하는 과정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될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한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250)는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화면에 상기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이 획득된 후에 상기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채널 제어부(260)는 상기 운영 서버(100)와 합의된 규칙에 따라 상기 획득된 N개의 전달 내용 중에서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할 n개의 전달 내용을 결정하고, 상기 운영 서버(100)와 연결된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통신채널 제어부(260)는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망을 선택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개의 전달 내용과 (N-n)개의 전달 내용은 하나의 데이터 블록에 대한 일부 값과 나머지 일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4자리 비밀번호 중 n개의 전달 내용에는 2자리의 비밀번호가 포함되고, (N-n)개의 전달 내용에는 나머지 2자리의 비밀번호가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될 N개의 전달 내용 중에 n개의 전달 내용을 회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표시부(250)와, 상기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하는 전달 내용 획득부(255)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획득된 n개의 전달 내용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통신채널 제어부(260)를 구비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250)는 상기 지정된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250)는 상기 운영 서버(100)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됨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될 N개의 전달 내용 중에서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전송될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메시지 내용이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됨에 의해 결정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될 N개의 전달 내용 중에서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제외한 (N-n)개의 전달 내용은 상기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되는 과정 또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된 이후에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전달 내용 획득부(255)는 상기 키 입력부(203)와 연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달 내용을 입력 받거나, 상기 메모리부(213) 또는 USIM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달 내용을 추출하거나, 지정된 데이터 생성 규칙(예컨대, 난수 생성 규칙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달 내용을 생성하는 과정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될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한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250)는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화면에 상기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이 획득된 후에 상기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채널 제어부(260)는 상기 운영 서버(100)와 연결된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n개의 전달 내용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통신채널 제어부(260)는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8)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망을 선택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 방법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는 n개의 전달 내용 중에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상기 통화장치(160)로 전달될 (N-n)개의 전달 내용과 매핑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 값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수신된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수신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조합하여 N개의 전달 내용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덱스 값은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할당되거나, 또는 상기 통신채널 제어부(260)에 의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의 연결에 의해 상기 전화통화망을 통해 지정된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되도록 처리하는 통화채널 연결 처리부(265)를 구비하며,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N-n)개의 전달 내용이 상기 통화장치(160)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통화채널 제어부(270)를 구비한다.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통화장치(160)를 호출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통화장치(160)가 상기 무선단말(200)을 호출하여 연결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통화채널 연결 처리부(265)는 상기 전화통화망을 통해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할 통화장치(160) 정보(예컨대,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할 통화장치(160)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된 이후에, 상기 통화채널 연결 처리부(265)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됨에 의해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예컨대, 상기 전달 내용 획득부(255)를 통해 지정된 개수의 전달 내용이 획득된 조건, 상기 통신채널 제어부(260)를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n개의 전달 내용이 전송된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이 만족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통화망을 통해 상기 통화장치(160)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통화채널 연결 처리부(265)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된 이후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통화장치(160)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160)로 전화 통화채널(290) 연결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하며, 만약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을 통해 연결되는 전화통화망을 통해 상기 통화장치(160)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의 연결이 시도되기 전에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전달할 (N-n)개의 전달 내용이 획득된 경우, 상기 통화채널 제어부(270)는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이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 연결을 시도하는 통화장치(160)의 전화번호에 부가되는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 형태(예컨대, 상기 통화장치(160)의 전화번호가 ‘0212345678’이라면 ‘0212345678**9876’의 형태)로 상기 통화장치(160)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화채널 제어부(270)는 상기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된 이후에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이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송출되는 DTMF 신호의 형태로 상기 통화장치(160)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통화채널 연결 처리부(265)에 의해 연결되는 전화 통화채널(290)이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 연결과 동시에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을 송출할 수 있는 경우라면, 상기 통화채널 제어부(270)는 상기 통화장치(160)가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착신하는 착신 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착신 신호가 인식된 이후에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의 DTMF 신호를 통해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이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통화채널 연결 처리부(265)에 의해 연결되는 전화 통화채널(290)이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 연결과 동시에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을 송출할 수 없는 경우라면, 상기 통화채널 제어부(270)는 상기 통화장치(160)가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착신하는 착신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착신신호가 인식된 이후에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멘트(예컨대, (N-n)개의 전달 내용의 송출을 요청하는 음성멘트) 또는 음성메뉴 식별 신호(예컨대, DTMF 신호의 형태로 (N-n)개의 전달 내용의 송출을 요청하는 신호)를 인식하며, 상기 음성멘트 또는 음성메뉴 식별 신호 중에서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을 요청하는 음성멘트 또는 음성메뉴 식별 신호가 인식된 경우에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의 DTMF 신호를 통해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이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은 일괄 송출되거나, 또는 상기 음성멘트 또는 음성메뉴 식별 신호의 인식 결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송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통화채널 제어부(270)는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전화번호에 부가하는 방식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된 이후에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의 DTMF 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방식을 조합한 방식을 통해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이 상기 통화장치(160)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의 연결이 시도되기 전에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전달할 (N-n)개의 전달 내용이 획득된 경우,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메모리부(213) 또는 USIM으로부터 추출되거나, 지정된 데이터 생성 규칙에 따라 생성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되어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의 DTMF 신호를 통해 상기 통화장치(160)로 송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된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이 입력되는 경우라도, 상기 통화채널 제어부(270)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상기 통화장치(160)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멘트 또는 음성메뉴 식별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N-n)개의 전달 내용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실시 방법에 의하면, 중에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상기 통화장치(160)로 전달되는 (N-n)개의 전달 내용 중에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된 n개의 전달 내용과 매핑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 값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수신된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수신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조합하여 N개의 전달 내용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역방향 다중 통신을 위해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215)으로부터 등록된 푸시 조건에 따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 서버(100)에서 상기 무선단말(200)로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푸시 메시지 발송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프로그램제공서버(170)로부터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무선단말(200)로 애플리케이션(215)이 다운로드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이 최초 구동됨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로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 인증을 요청하며(3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한다(300).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지정된 회원 가입 절차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215) 사용자를 상기 운용 서버의 회원으로 가입시키고(305), 상기 운영 서버(100)로 역방향 다중 통신을 위한 푸시 조건을 등록하며(31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등록된 푸시 조건을 저장한 후(310), 상기 푸시 조건을 근거로 역방향 다중 통신을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제공할 데이터를 확인한다(315).
만약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제공할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을 구성하여 저장하고(320), 지정된 푸시 서버(125)를 통해 상기 구성된 메시지 내용을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전달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가 상기 무선단말(200)로 발송되도록 처리하며(325), 상기 푸시 서버(125)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접속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발송한다(330).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역방향 다중 통신을 위한 메시지 내용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무선단말(200)로 푸시 메시지가 수신됨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200)이 상기 운영 서버(100)로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연결하여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 수신/출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무선단말(200)로 푸시 메시지가 수신됨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푸시 서버(125)로부터 푸시된 푸시 메시지를 확인하고(400),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되도록 처리함과 동시에,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시키며(405),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이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하고(410), 만약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이 인증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과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연결한다(41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무선단말(200)로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으로 전송하며(420),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을 수신하여 출력한다(425).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무선단말(200)로 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운영 서버(100)로 전달될 N개의 전달 내용 중 n개의 전달 내용은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전송하되 나머지 (N-n)개의 전달 내용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접속한 전화통화망의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송출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n개의 전달 내용과 (N-n)개의 전달 내용이 조합되어 지정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 수신/출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운영 서버(100)로 전달될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500).
만약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N개의 전달 내용이 획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와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데이터 통신채널(280)과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다중 전송하기 위한 인덱스 값을 합의하고(505),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며(51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한다(515).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전화통화망을 통해 지정된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하고(520),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의 DTMF 신호를 통해 상기 획득된 N개의 전달 내용 중에서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통화장치(160)로 송출하며(525), 상기 통화장치(160)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의 DTMF 신호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고(530),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n)개의 전달 내용을 제공한다(53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통화장치(160)로부터 상기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고(540), 상기 인덱스 값을 통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수신된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수신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조합하여 N개의 전달 내용을 구성한 후(545), 상기 구성된 N개의 전달 내용을 통해 지정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550).
도면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역방향 다중 통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무선단말(200)로 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운영 서버(100)로 전달될 N개의 전달 내용 중 n개의 전달 내용은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전송하되 나머지 (N-n)개의 전달 내용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접속한 전화통화망의 전화 통화채널(290)이 연결된 시점에 획득 및 송출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에 의해 n개의 전달 내용과 (N-n)개의 전달 내용이 조합되어 지정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 수신/출력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무선단말(200)의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운영 서버(100)로 전달될 N개의 전달 내용 중에서 n개의 전달 내용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600).
만약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n개의 전달 내용이 획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상기 n개의 전달 내용과 (N-n)개의 전달 내용을 조합하기 위한 인덱스 값을 상기 운영 서버(100)와 합의하고(605),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며(61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상기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한다(615).
상기 애플리케이션(215)은 전화통화망을 통해 지정된 통화장치(160)와 전화 통화채널(290)을 연결하고(620),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일 연결된 상태에서 (N-n)개의 전달 내용이 획득되어 인덱스 값과 함께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DTMF 신호를 통해 상기 통화장치(160)로 송출하며(625), 상기 통화장치(160)는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의 DTMF 신호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상기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고(630), 상기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n)개의 전달 내용을 제공한다(63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통화장치(160)로부터 상기 인덱스 값을 포함하는 (N-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하고(640), 상기 인덱스 값을 통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280)을 통해 수신된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290)을 통해 수신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조합하여 N개의 전달 내용을 구성한 후(645), 상기 구성된 N개의 전달 내용을 통해 지정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650).
100 : 운영 서버 105 : 데이터 확인부
110 : 메시지 내용 관리부 115 : 저장매체
120 : 푸시 메시지 처리부 125 : 푸시 서버
130 : 회원 가입/인증부 135 : 애플리케이션 인증부
140 : 통신채널 연결 제어부 145 : 데이터 통신채널 운영부
150 : 전달 내용 확인부 155 : 전화 통화채널 연동부
160 : 통화장치 165 : 서비스 제공 제어부
200 : 무선단말 215 : 애플리케이션

Claims (9)

  1.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 가능한 푸시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망과 분리된 전화망을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채널을 연결 가능한 통화장치와 연동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시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로 역방향 통신 연결을 위한 푸시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처리하는 제1 단계;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무선단말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채널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될 N(N≥1)개의 전달 내용 중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n(1≤n<N)개의 전달 내용을 상기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무선단말의 데이터망을 경유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n개의 전달 내용을 수신한 후 상기 데이터망과 분리된 상기 전화망을 경유하는 상기 무선단말의 호 발신 절차를 통해 상기 통화장치와 연결된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통화장치로 전달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확인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n개의 전달 내용과 상기 통화장치의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확인된 (N-n)개의 전달 내용을 지정된 서비스 제공에 이용 가능한 구조로 조합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전에,
    상기 푸시 메시지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로 제공될 메시지 내용을 구성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된 전달 내용과 상기 전화 통화채널을 통해 확인될 전달 내용을 매칭하는 고유한 인덱스 값이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과 합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채널이 연결된 후,
    상기 무선단말과 전화 통화채널이 연결될 통화장치 정보가 상기 무선단말로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022053A 2012-03-02 2012-03-02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KR101952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053A KR101952439B1 (ko) 2012-03-02 2012-03-02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053A KR101952439B1 (ko) 2012-03-02 2012-03-02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641A KR20130100641A (ko) 2013-09-11
KR101952439B1 true KR101952439B1 (ko) 2019-02-27

Family

ID=4945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053A KR101952439B1 (ko) 2012-03-02 2012-03-02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681B1 (ko) * 2013-11-21 2015-06-15 김원혁 보안 푸시 메시징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601B1 (ko) * 2008-01-21 2016-01-1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다중 매체 분리 인증 기반 일회용 인증코드 구현 방법
KR100974499B1 (ko) * 2008-05-26 2010-08-10 주식회사 케이티 푸쉬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10124194A (ko) * 2011-10-31 2011-11-16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641A (ko)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6883B2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provisioning
US2017010974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ducting Payment Transactions
CN104469978B (zh) 用于激活移动终端的装置、方法和系统
JP201817001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端末認証方法及び装置
RU2011140867A (ru) Доставка мобильного контента в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EP28190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allets between mobile devices
KR20130085509A (ko)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US9621231B2 (en) System, an apparatus, a device, a computer program and a method for device with short range communication capabilities
US9706335B2 (en) Cellular devices and pairing server implementing a pairing method
US92886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two-way SMS
KR20120061022A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망의 발신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발신측 장치, 착신 단말 및 프로그램
US20050102519A1 (en)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a user for a service offered via a communication system
KR101727318B1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화망의 발신자 인증 요청 방법
KR101952439B1 (ko) 역방향 다중 통신 제공 방법
EP2282563A1 (en) Method for releasing a mobile communication card for the use of a servci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user equipment for intera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962471B1 (ko) 역방향 다중 통신 제어 방법
KR102378560B1 (ko) 자기 발신번호를 이용한 국내 메시징 기반의 해외 메시지 발송 방법
KR20180034369A (ko) 다중 통신을 이용한 무선 거래 방법
KR101832366B1 (ko) 인바운드 로머에 무 SIM 기기를 통한 WiFi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00642A (ko) 역방향 다중 통신을 이용한 증권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163676B1 (ko) 동적 분할 코드를 이용한 다중 인증 방법
US10701557B2 (en) Authentication method for connecting a companion device when same is disconnected from a subscriber device
KR20130030353A (ko) 데이터망과 음성망을 다중 이용하는 배달주문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10165A (ko) 사이트 안심 이용 방법
US20230048238A1 (en) Personal emulating device for emulating global phone communication as domestic mobile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