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483B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483B1
KR101929483B1 KR1020170077497A KR20170077497A KR101929483B1 KR 101929483 B1 KR101929483 B1 KR 101929483B1 KR 1020170077497 A KR1020170077497 A KR 1020170077497A KR 20170077497 A KR20170077497 A KR 20170077497A KR 101929483 B1 KR101929483 B1 KR 10192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value
refrigerator
average valu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3576A (en
Inventor
김은정
김정연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483B1/en
Publication of KR2017007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5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4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F24F2003/166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4Filters in the air flow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품을 보관하는데 있어서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의 크기를 감지하여 냉장고 내에 불쾌한 냄새가 남아 있지 않도록, 냄새의 강도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탈취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새로이 식품이 투입되어 냄새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빠른 탈취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키고, 냄새가 다른 식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detecting a degree of odor generated from a food in storing food and preventing unpleasant odors from being left in the refrigerator. By detecting the intensity and controlling the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intensity, it is possible to quickly deodorize even when a food is newly added and smell is generated, thereby reducing the uncomfortable feeling of the user and preventing the smell from affecting other foods. It is effective.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장고에 투입되는 음식으로 인한 냄새를 탈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for taking in odors due to food put in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냉장고는 냉장고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냉매순환 시스템이 구비된다.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refrigerant circulation system as means for supplying cold air 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매 순환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와,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저온 저압으로 팽창하는 확장밸브와 확장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흐르며 외부 공기와 열 교환하는 증발기로 이루어진다.Generally, a refrigerant circulation system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refrigerant, a condenser for flowing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an expansion valve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to a low temperature and a low pressure, And an evaporator that exchanges heat with air.

증발기와 열 교환하여 냉각된 공기는 냉각기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압축기와 응축기는 냉장고의 후방에 제공되는 기계실에 장착된다. 냉각장치의 경우, 응축기와 실내 공기가 열 교환하도록 하기 위하여, 응축기의 일측에 팬이 장착된다. 따라서, 송풍팬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실내 공기가 상기 응축기와 접촉하여 열교환하게 된다.The air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evaporator flows into the cooler. And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er are mounted in a machine room provided behind the refrigerator. In the case of a cooling device, a fa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ondenser to allow heat exchange between the condenser and the room air. Therefore, the room air forced to flow by the blowing fan makes contact with the condenser and performs heat exchange.

이러한 냉장고는 복수의 실로 구비되는 냉장고 내부의 공간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냉기를 공급하여 각각의 실에 보관조건이 상이한 식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Such a refrigerator supplies different cold air to a space inside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hambers, so that foods having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can be stored in the respective chambers.

냉장고는 식품을 보관하는 만큼, 식품 투입시 식품으로부터 냄새가 발생할 수 있고, 보관된 다른 식품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As the refrigerator stores fo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dor may be generated from the food when the food is put in, and affect the other stored food.

그에 따라 냉장고는 탈취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냉장고 내의 식품냄새를 제거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refrigerator has a deodorizing function, so that the odor of the food in the refrigerator is removed.

그러나 식품의 냄새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특히 새로운 식품이 투입할 때마다 그에 따른 새로운 냄새가 발생하게 되므로 냉장고 내의 냄새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dor of the food is constantly generated, and a new odor is generated according to each new food, so that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odor in the refrigerator.

그로 인하여 사용자는 탈취를 위한 보조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수명에 한계가 있어 주기적으로 교체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 user may use an auxiliary agent for deodoriz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time thereof is limited and it is periodically replaced.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냉장고 내의 식품냄새를 제거하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more effectively remove the food odor in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품을 보관하는데 있어서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감지하여 냄새가 탈취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odors to be deodorized by detecting odors generated from foods in storing foods.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장실의 내측 벽면에 장착된 패널, 상기 패널에 결합되어 냉장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냄새를 제거하도록, 탈취팬과 필터로 구성된 탈취부, 상기 필터를 수용하고,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탈취부케이스, 상기 탈취부케이스와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냄새센서 및 상기 냄새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감지값의 제1설정시간 동안의 제 1 평균값과 제1설정시간 이후의 제2설정시간 동안의 제 2 평균값을 비교하여 평균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탈취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partitioned by a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to form an internal spac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a panel mounted on an inner wall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n odor sensor mounted on the panel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eodorizer case, and an odor sensor attached to the panel, the deodorant case comprising a deodorizing fan and a fil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odorant fa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verage value by comparing the first average value for the first set tim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for the second set time after the first set time,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평균값을 기준값으로 하고, 상기 제 2 평균값을 현재값으로 하여,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의 비율에 따라 냄새의 농도를 판단하여 상기 탈취팬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을 소정 시간 단위로 재산출하여,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현재값을 통해 상대적인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 1 시간 단위로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감지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 1 시간보다 큰, 제 2 시간 단위로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을 재산출하여 냄새의 농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eodorizing pan by using the first average value as a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as a current value and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the odor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The control unit re-calculates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by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determines a change in relative odor through the continuously changed referenc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ensed value of the odor sensor in a first time unit and re-calculates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in units of a second time larger than the first time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the odor .

상기 냄새센서는 반도체형 가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냄새센서는 식품의 냄새인 H2S, TMA, MM에 반응하는 In2O2, SnO2 중 어느 하나를 감지재료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dor sensor is a semiconductor type gas sensor. In addition, the odor sensor includes any one of In2O2 and SnO2 which reacts with H2S, TMA, and MM, which are food odors, as a sensing material.

상기 냄새센서는 발열온도가, 상기 냉장고 내부의 냉매가스의 발화점 이하로, 325도 이하인 소자가열히터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재료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odor sensor includes an element heater including a heater element having a heat generation temperature of 325 degrees or less below a temperature of the ignition point of the refrigerant gas in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케이스에 의해 내부공간이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된 냉장고에서, 상기 냉장실의 내측 벽면에 장착된 패널에 설치된, 냄새센서가, 상기 냉장고의 식품이 저장되는 실 내부의 냄새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냄새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감지값의 제1설정시간 동안의 제 1 평균값과 제1설정시간 이후의 제2설정시간 동안의 제 2 평균값을 비교하여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냄새의 변화에 따라, 상기 패널에 결합된 탈취팬이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탈취팬에 의해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기가,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탈취부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필터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rigerator in which an inner space is divided into a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by a case and an odor sensor provided on a panel mount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disposed in a chamber A first average value during a first set time of the sensed value sensed by the odor sensor and a second average value during a second set time after the first preset time are compared to determine a change in odor The deodorant pan connected to the panel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mperature and the odor of the deodorizing pan, and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accommodated in the deodorizing case formed with the space in which the air can flow in and out by the deodorizing fan And discharging it.

본 발명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로 인하여 냉장고 내에 불쾌한 냄새가 남아 있지 않도록, 냄새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탈취기능을 제어함으로써, 필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식품이 투입되어 냄새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빠른 탈취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키고, 냄새가 다른 식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use the filter by detecting the odor and controlling the deodorizing function so that no unpleasant odor remains in the refrigerator due to the odor generated from the food, It is possible to rapidly deodorize even if it occurs, thereby reducing the user's discomfort and preventing the odor from affecting other food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주요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탈취부의 구성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냄새감지를 위한 센서의 위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새센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새센서의 방수재의 종류에 따른 센서특성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새센서의 종류에 따른 감지신호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냉장고에 투입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감지되는 냄새의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탈취모드 설정에 따른 냄새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냉장고에 있어서 냄새를 감지하고 탈취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탈취를 위한 제어방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탈취모드가 표시되는 표시부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deodo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 of a sensor for detecting odors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do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sens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waterproof material of the odo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illustrating sensed signal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do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odor sens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put in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odor according to the deodorization mode setting of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odor and deodorizing in a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deodoriz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in which a deodorization mod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도시된 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실(12)과 냉동실(13)로 구획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와,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4)(15), 냉동실 도어에 의해 개략적인 외관이 형성된다.1,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 forming an internal space defined by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nd a freezing compartment 13,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4 for opening and clos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5), a rough outer appearance is formed by the freezing chamber door.

냉장실(12)은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냉장실도어(14)(15)에 의해 개폐된다.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is opened and clos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14 and 15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respectively.

냉장실도어(14)(15)는 케이스(11)의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 냉장실도어(14)와, 케이스(11)의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우측 냉장실도어(15)를 포함한다.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s 14 and 15 include a lef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4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case 11 and a righ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5 rotatably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case 11.

이때, 냉장실(12)은 좌측도어와 우측도어에 의해 개방되어 하나의 실을 구성하나, 경우에 따라 좌, 우 각각 개별실이 구비될 수 있다. 냉장실(12)의 도어는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is opened by the left door and the right door to constitute one room, but a left and right private room may be provided in some cases. The doo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힌지부(112)(113)는 냉장실도어(14)(15)가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좌측 냉장실도어(14)를 케이스(11)에 연결하는 힌지부(113)와, 우측 냉장실도어(15)를 케이스(11)에 연결하는 힌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냉장실도어(14)가 연결되는 힌지부(113)는 우측 냉장실도어(15)가 연결되는 힌지부(11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inge portions 112 and 113 allow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s 14 and 15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11. A hinge portion 113 for connecting the left fridge chamber door 14 to the case 11 and a hinge portion 112 for connecting the right fridge chamber door 15 to the case 11. The hinge portion 113 to which the lef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4 is connecte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hinge portion 112 to which the right refrigerating chamber door 15 is connected.

힌지부(112)에는 도어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우측 냉장실도어(15)가 여닫음 동작할 시 도어스위치가 접점됨으로써 냉장실(12)을 조명하는 조명등(미도시)이 점등/점멸된다. 도어스위치는 우측 냉장실도어(15)가 닫힐 시 조명등을 점멸시키고, 우측 냉장실도어(15)가 열릴 시 상기 조명등을 점등시킨다.A door switch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hinge portion 112 to turn on / off the illuminating lamp (not shown) illuminat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by contacting the door switch when the right fridge door 15 is closed . The door switch blinks the illumination lamp when the righ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5 is closed and lights up the righ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5 when the door is opened.

또한, 도어스위치는 도어스위치 커넥터(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도어스위치 커넥터가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냉장실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door switch further includes a door switch connector (not shown),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is opened or closed as the door switch connector is drawn inward.

냉동실(13) 또한, 좌우로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다. The freezing chamber 13 is also provided with a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경우에 따라 냉동실(13)은 케이스(11)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동실도어는 케이스(11)의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 되며 수납될 시에는 냉동실(13)을 밀폐하고, 케이스(11)로부터 당겨지며 인출될 시에는 냉동실(13)을 개방시킨다. 냉장고는 이와 같이 슬라이딩되는 별도의 보관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freezer compartment 13 is coupled to slide along the case 11 and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food. In this case, the freezing chamber door slides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1, and when it is stored, the freezing chamber 13 is closed and pulled out from the case 11, and when it is drawn out, the freezing chamber 13 is opened.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torage room slidable in this manner.

냉장실(12)의 도어에는 컨트롤패널(미도시)이 구비된다. 컨트롤패널에는 냉장고(1)의 운전을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미도시)와, 냉장고의 현재 운전모드 및 운전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된다. The doo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not shown). The control panel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not shown) including at least one button for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the current operation mode and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or.

냉장실(12)의 내부에는 탈취부(16)가 구비된다. 또한 탈취부(16)는 패널(17) 내측에 냄새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냉장실(12) 내부의 냄새의 강도를 측정한다. 이때 패널(17)에는 조명이 구비될 수 있다. A deodorizing section (16) is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An odor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panel 17 to measure the intensity of the odor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t this time, the panel 17 may be provided with illumination.

탈취부(16)는 설정된 탈취모드에 따라 동작하여 냉장실(12)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이때 탈취부(16)는 냉장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구비되는 필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필터에 이물질, 냄새물질, 세균 등이 흡착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탈취부(16)는 냉장고 내부의 공기를 살균하고 냄새를 제거한다. 탈취부(16)는 냄새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여 동작모드, 즉 탈취모드가 변경되어 설정된 탈취모드에 따라 동작한다. The deodorizing unit 16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set deodorizing mode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 At this time, the deodorizing unit 16 sucks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so as to pass through the filter, thereby allowing the filter to adsorb foreign matter, odorous substances, bacteria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deodorizing unit 16 sterilizes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or and removes the odor. The deodorizing unit 16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deodorizing mode set by changing the deodorizing mode in accordance with the intensity of the odor measured by the odor sensor.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기계식 버튼(button) 또는 정전/정압 방식의 터치 버튼(touch butto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는 김치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선택부가 구비된다. The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mechanical button or a touch button of an electrostatic / static pressure type so as to receive various operation commands from a user. At this time, the input unit is provided with a mode selection unit for setting the kimchi mode.

표시부는 LED, LCD, 유기 EL과 같은 형태의 발광체로서, 냉장고(1)의 상태정보, 또는 고장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한다. 또한, 컨트롤패널(18)에는 점등 및 점멸되어 냉장고(1)의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버저(buzzer) 또는 스피커(speaker) 등의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is a light emitting unit such as an LED, an LCD, or an organic EL, and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r failure information of the refrigerator 1 in a visualized form. The control panel 18 may include a lamp (not shown) that lights up and blinks to indicate the state of the refrigerator 1 and may include an acoustic outputting means (not shown) for outputting sound such as a buzzer or a speaker, .

이러한 냉장고(1)는 냉매배관을 따라 냉매가 순환하며 압축, 팽창, 증발 및 응축되는 순환 사이클을 이루면서, 순환 사이클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냉매의 상변화에 의해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냉장 또는 냉동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미도시),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밸브(미도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작용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작용하는 열교환기(미도시), 열교환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미도시) 냉장실팬과 냉동실팬으로 각각 구비된다. 또한, 냉장고(1)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The refrigerator (1) has a circulation cycle in which the refrigerant circulates along the refrigerant pipe and compresses, expands, evaporates, and condenses. The refrigerator (1) performs refrigeration or freezing by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ambient air by phase change of the refrigerant during the circulation cycle (Not shown)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a heat exchanger (not shown) serving as the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and a condenser (Not shown) for flowing heat-exchanged air, and a freezer compartment fan, respectively. Further,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냉장고(1)는 설정된 운전모드와 측정되는 온도를 바탕으로 냉각시스템을 제어하여 각 실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보존하기 위한 환경을 형성한다. The refrigerator (1) controls the cooling system on the basis of the set operation mode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to form an environment for storing foodstuffs accommodated in the respective rooms.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주요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입력부(170), 표시부(180), 감지부(120), 데이터부(190), 압축기(161), 냉동실팬(141), 냉장실팬(151), 냉동실팬구동부(140), 냉장실팬구동부(150), 압축기구동부(160), 탈취부(130)(16), 그리고 냉장고(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2,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n input unit 170, a display unit 180, a sensing unit 120, a data unit 190, a compressor 161, a freezer compartment fan 141, a refrigerating compartment fan 151 A refrigerator fan driving unit 150, a compressor driving unit 160, a deodorizing unit 130 and a refrigerator 1, and 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of the refrigerator 1.

감지부(12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냉장고(1)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감지부(120)는 온도센서(121), 압력센서, 냄새센서(122), 팬모터센서, 제상센서 등의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nsing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to sense an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or 1 and input the sensed state to the controller 110. [ The sensing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121, a pressure sensor, an odor sensor 122, a fan motor sensor, and a defrost sensor, bu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온도센서(121)는 냉장실(12)의 온도륵 감지하는 냉장실온도센서, 냉동실(13)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동실온도센서, 실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센서,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The temperature sensor 121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a freezing compartment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3, an outdoo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Sensor.

냄새센서(122)는 냉장실(12) 내부의 냄새를 감지한다. 냄새센서(122)는 냉장실 뿐 아니라 냉동실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냄새센서(122)는 가스센서로,냉장실에 투입된 식품으로 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감지한다. The odor sensor 122 senses the odor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The odor sensor 122 may be included in the freezer as well as the freezer. At this time, the odor sensor 122 is a gas sensor and detects the odor generated from the food put into the refrigerating chamber.

탈취부(130)(16)는 탈취팬(131), 필터(132), 살균램프(133)를 포함한다. The deodorizing units 130 and 16 include a deodorizing fan 131, a filter 132, and a sterilizing lamp 133. [

탈취팬(131)은 냉장고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특히 냉장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고, 필터링된 공기가 다시 냉장실 내부를 순환하도록 한다. 이때 탈취팬(131)은 경우에 따라 냉장고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eodorizing fan 131 circulates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or, in particular, to suck air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llowing the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 and allowing the filtered air to circulate insid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gain. At this time, the deodorizing fan 131 may cause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o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탈취팬(131)은 냄새센서(122)에 의해 냉장고 내부의 냄새가 감지되고 냄새의 강도가 일정수치 이상이 되면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냉장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냄새가 감소하도록 한다. The odor sensor 122 detects the odor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nd if the odor intensity i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the odor sensor 122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10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or to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the odor.

살균램프(133)는 소정시간 점등하여 세균 또는 박테리아를 살균한다. 이때 살균램프(133)는 가시광LED로 구성된다. 살균램프(133)는 필터(132)에 빛을 조사하여 필터의 제균력을 향상시킨다. The sterilizing lamp 133 lights up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terilize bacteria or bacteria. At this time, the sterilizing lamp 133 is composed of a visible light LED. The sterilizing lamp 133 irradiates the filter 132 with light to improve the sterilizing power of the filter.

필터(132)는 복수의 필터로 구성되어, 냉장실(12) 내부의 부유물, 예를 들어 미세한 입자 또는 세균을 흡착하여 필터링하고 제거한다. 이때 필터(132)는 살균램프(133)가 점등되는 경우, 살균램프의 빛에 의해 제균력이 증가한다. 또한, 필터(132)는 냄새입자를 흡착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효과를 갖는다. The filter 13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s to adsorb, filter and remove floating matters, for example, fine particles or bacteria,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 At this time, when the sterilizing lamp 133 is turned on, the filter 132 increases the sterilizing power by the light of the sterilizing lamp. Further, the filter 132 has a deodorizing effect of adsorbing odor particles to remove the odor.

데이터부(190)에는 냉장고(1)의 동작제어를 위한 냉장고의 제어데이터, 입력된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 냉장고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 냉장고 동작 중 측정되거나 발생하는 운전데이터가 저장된다. The data unit 190 stores control data of the refrigerat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 data on the inputted operation setting,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frigerator is normally operated, and operation data measured or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

또한, 데이터부(190)에는 감지부(120)로부터 측정되어 입력되는 측정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데이터부(190)에는 냄새센서(122)로부터 측정된 냄새데이터가 누적하여 저장되며 냄새의 강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The data unit 190 stores measurement data measured and input from the sensing unit 120. In particular, the data unit 190 accumulates and stores the measured odor data from the odor sensor 122 and stores data for determining the strength of the odor.

입력부(170)는 앞서 설명한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냉장고(1)의 운전모드 또는 운전설정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입력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터치입력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입력부(170)에는 사용자가 입력을 제한하도록 키-락(key-lock) 기능을 수행하는 락버튼과, 실별 온도설정을 위한 온도설정버튼, 운전모드버튼이 구비된다. The input unit 170 is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control panel, and inputs data relating to the operation mode or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refrigerator 1. The input unit 170 may include at least one button or touch input means. For example, the input unit 170 is provided with a lock button for performing a key-lock function to restrict input by a user, a temperature setting button for setting a true temperature, and an operation mode button.

표시부(180)는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냉장고(1)의 운전상태 및 동작상태를 이미지, 문자, 특수문자 등의 조합으로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80 is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and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or 1 by a combination of images, characters, special characters, and the like.

표시부(180)는 각 실별, 즉 냉장실과 냉동실에 대한 온도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며, 특히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대한 냄새의 강도 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모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temperature and operating conditions for each room, that i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nd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a deodorizing mode for removing the odor intensity or the smell to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냉장고(1)는 표시부(180) 외에도 동작에 따른 경고음이나 효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램프의 점등 여부, 점등색상, 점멸제어를 통해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display unit 180, the refrig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a warning sound or an effect sou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a lamp for indicating whether the lamp is on, a lighting color, or a blinking control.

제어부(110)는 입력부(17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냉장고(1)의 동작을 설정하고, 동작상태가 표시부(18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냉장고의 각 실별 상태가 표시부(180)를 각각 출력되도록 하며,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각 실을 상이하게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감지부(120)에 구비되는 각종 센서들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냉장고(1)의 운전상태를 분석하고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10 sets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 corresponding to the data input from the input unit 170 and outputs the operation state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 The control unit 110 outputs the respective display states of the refrigerators to the display unit 180 and controls the respective rooms in accordance with th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70. [ The control unit 110 analyzes and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or 1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sensing unit 120. [

제어부(110)는 냄새센서(122)로부터 입력되는 냄새데이터에 대응하여 냄새의 강도를 판단하고, 냄새데이터가 데이터부(190)에 누적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intensity of the odor corresponding to the odor data input from the odor sensor 122 and accumulates and stores the odor data in the data unit 190.

제어부(110)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냄새센서(122)로부터 냄새데이터를 입력 받으며, 일정시간 간격으로 냄새의 강도를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여 탈취부(130)를 제어하여 냉장고 내부의 식품 냄새를 제거한다. The controller 110 receives the odor data from the odor sensor 122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determines the intensity of the od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deodorization unit 130 in accordance with the intensity of the odor to remove the food odor inside the refrigerator.

제어부(110)는 냄새의 강도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누적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냄새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냄새의 강도를 판단한다. 냉장고(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의 순환에 따라 냉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냉장/냉동의 냉각 사이클에 따라 냉기가 투입되는 시점에도 기류와 온도의 변화에 따라 냄새센서의 감지값에 변화가 있으므로 측정되는 냄새의 감지값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한다.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of the odor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in determining the intensity of the odor to determine the intensity of the odor. As described above, the refrigerator 1 is configured to supply the cold air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Accordingly, even when the cold air is supplied according to the cooling / cooling cycle, the sensed value of the odor sensor changes The average value of the detected value of the smell is used.

제어부(110)는 탈취모드의 설정에 있어서 탈취모드가 변경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변경 이전의 냄새의 강도와 변경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냄새의 강도를 비교하여 탈취모드를 재 설정한다.  The control unit 110 resets the deodorizing mode by comparing the intensity of the odor before the change with the intensity of the odor at a point of tim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based on the point of time when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in the setting of the deodorization mode.

제어부(110)는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여 탈취모드를 일반자동모드 또는 파워모드로 설정하여 탈취부(130)를 제어한다. 이때 표시부(180)는 제어부(110)에 의해 설정되는 탈취모드에 대응하여 일반자동모드 또는 파워모드를 표시한다.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deodorization unit 130 by setting the deodorization mode to the normal automatic mode or the power mode in accordance with the strength of the odor.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a normal automatic mode or a power mode corresponding to the deodorization mode set by the control unit 110. [

제어부(110)는 탈취모드에 따라 탈취팬(131)의 회전속도와 동작시간을 제어하며, 설정된 탈취모드에 대응하여 탈취부(130)가 소정 주기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냉장고 내부의 공기가 필터(132)와 살균램프(133)를 통과하도록 하여 냄새를 제거한다.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deodorization fan 131 according to the deodorization mode and allows the deodorization unit 130 to oper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deodorization mode so that the air in the refrigerator is supplied to the filter 132 And the sterilizing lamp 133 to remove the smell.

예를들어, 일반자동모드에서는 탈취부(130)가 10분 동작 후 60분 대기하며, 70분 주기로 이러한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파워모드에서 탈취부(130)는 10분 동작 후 5분 정지하는 동작을 15분 주기로 반복한다. For example, in the normal automatic mode, the deodorization unit 130 waits for 60 minutes after 10 minutes of operation, and repeats this operation at a cycle of 70 minutes. On the other hand, in the power mode, the deodorization unit 130 repeats the operation for stopping for 5 minutes after the operation for 10 minutes at a cycle of 15 minutes.

특히 제어부(110)는 식품이 투입된 후 소정 시간 후 냄새의 강도가 강해짐에 따라 냄새센서(122)를 통해 냄새를 감지하여 식품 투입 후 즉각적인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탈취모드를 설정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smell through the odor sensor 122 as the intensity of the odor becomes strong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ood is put in, and sets the deodorizing mode so that immediate deodorization is performed after the food is input.

또한, 제어부(110)는 냄새센서(122)에 이상이 있는 경우, 파워모드를 일반자동모드로 변경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냄새센서 이상 시, 도어스위치를 이용하여, 도어가 오픈되는 경우, 오픈 시점을 기준으로 파워모드를 설정한다. 즉 제어부(110)는 도어가 열리는 시점에서 식품이 투입되는 것으로 보고 도어 오픈 후 소정 시간 동안 파워모드로 탈취부(130)가 동작하도록 하여 냄새를 제거한다. In addition, when the odor sensor 122 is abnormal, the control unit 110 changes the power mode to the normal automatic mod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uses the door switch when the odor sensor is abnormal, and sets the power mode based on the open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at the food is inserted at the tim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operates the deodorization unit 130 in the power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oor is opened to remove the odor.

압축기구동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압축기(161)가 동작하도록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압축기(161)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때 압축기구동부(160)는 압축기(161)제어를 위한 인버터(미도시) 및 인버터구동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mpressor driving unit 160 supplies operating power to operate the compressor 161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1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61. [ At this time, the compressor driving unit 160 may include an inverter (not shown) and an inverter driving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compressor 161.

냉장실팬구동부(150)는 냉장실(12)로 열교환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장실팬(151)의 회전동작 및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냉동실팬구동부(140)는 냉동실(13)로 열교환된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동실팬(141)의 회전동작 및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an driving unit 150 controls the rotating operation and the rotating speed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an 151 so that the cool air exchanged wit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is supplied. Also, the freezer compartment fan driving unit 140 controls the rotation operation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freezer compartment fan 141 so that the cool air that has been heat-exchanged with the freezing compartment 13 is supplied.

압축기(161)는 냉매를 압축하여 냉장고(1)내에서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고 냉매를 조절하여 토출되는 냉기의 온도를 제어한다. 냉장실팬(151) 및 냉동실팬(141)은 열교환기에 의해 냉매와 열교환된 냉기가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로 각각 토출되도록 한다. The compressor (161) compresses the refrigerant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in the refrigerator (1),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by adjusting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an (151)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fan (141) are arranged such that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by the heat exchanger is discharg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respectively.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탈취부의 구성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deodo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탈취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취팬(131), 필터(132), 살균램프(133)로 구성된다. The deodorization unit 130 includes a deodorization fan 131, a filter 132, and a sterilizing lamp 133, as described above.

또한, 탈취부(130)(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12) 내부 벽에 설치되는 패널(17)에 구비된다. 패널(17)은 냉장실(12)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고 냉장실조명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패널(17)에는 내측에 냄새센서(122)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3, the deodorizing units 130 and 16 are provided on the panel 17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As shown in FIG. The panel 17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and can be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Further, the panel 17 is provided with an odor sensor 122 on the inner side thereof.

탈취부(16)(130)는 탈취팬(131), 팬케이스(135), 살균램프모듈(133a), 필터케이스(134), 복수의 필터(132), 그리고 탈취부케이스(136), 연결판(137), 탈취부전면케이스(138)로 구성된다. The deodorizing unit 16 and 130 are connected to the deodorizing fan 131, the fan case 135, the sterilizing lamp module 133a, the filter case 134, the plurality of filters 132, and the deodorizing case 136, A plate 137, and a deodorizer front case 138.

탈취팬(131)은 패널(17)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팬케이스(135)는 탈취팬(131)이 패널(17)에 고정되도록 탈취팬(131)을 지지한다. 살균램프모듈(133a)은 내부에 살균램프(133)가 삽입고정된다. 이때 살균램프(133)는 적어도 하나의 가시광LED로 구성된다. 탈취부케이스(136)는 팬케이스(135)와 연결되어 살균램프모듈(133a)부터 필터케이스(134)를 커버한다. 연결판(137)은 탈취부케이스(136)와 탈취부전면케이스(138)를 연결하며, 탈취부케이스(136)와 탈취부전면케이스(138) 사이에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The deodorization fan 131 is inserted into the panel 17 and the fan case 135 supports the deodorization fan 131 so that the deodorization fan 131 is fixed to the panel 17. The sterilizing lamp module 133a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terilizing lamp 133 therein. At this time, the sterilizing lamp 133 is composed of at least one visible light LED. The deodorization case 136 is connected to the fan case 135 to cover the filter case 134 from the sterilizing lamp module 133a. The connection plate 137 connects the deodorization part case 136 and the deodorization part front case 138 and forms a space between the deodorization part case 136 and the deodorization part front case 138 .

필터(132)는 필터케이스(134)에 삽입된다. 필터(132)는 제 1 광촉매필터(132a), 제 1 탈취필터(132b), 제 2 탈취필터(132c), 제 2 광촉매필터(132d)를 포함한다. 즉 필터(132)는 두개의 광촉매필터(132a)(132d)와 두개의 탈취필터(132b)(132c)로 구성된다. 이때 필터의 구성은 가변될 수 있다. The filter 132 is inserted into the filter case 134. The filter 132 includes a first photocatalytic filter 132a, a first deodorization filter 132b, a second deodorization filter 132c, and a second photocatalytic filter 132d. That is, the filter 132 is composed of two photocatalytic filters 132a and 132d and two deodorizing filters 132b and 132c.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may be variable.

이때 필터(132)는 냉장실 내부의 공기중 상대적으로 큰 부유물질(균, 먼지)를 1차 필터링하는 전단필터와 통기성을 가지며 공극이 조밀한 필터에 의해 미세한 입자와 세균이 흡착하는 필터로 구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lter 132 is divided into a front-end filter for firstly filtering relatively large floating substances (bacteria and dust) in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ilter for adsorbing fine particles and bacteria by a filter having air permeability .

광촉매필터(132a)(132d)는 광촉매가 코팅된 필터로써, 살균램프(133)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직접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필터(132)에 광이 조사되는 범위가 넓을수록 제균력이 증가한다.The photocatalytic filters 132a and 132d are filters coated with a photocatalyst and disposed to directly face the sterilizing lamp 133 so as to receive a larg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sterilizing lamp 133. The wider the range in which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filter 132, The power increases.

그에 따라 탈취부케이스(136)와 필터케이스(134)는 살균램프모듈(133a)과 필터(132)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살균램프(133)의 빛이 필터(132)에 조사되도록 한다. 이때 필터(132)와 살균램프(133)는 수평보다 20~45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필터(132)는 빛이 조사되는 면적이 넓을수록 광촉매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므로 살균램프(133)의 LED는 Chip type이 사용된다.The deodorizing part case 136 and the filter case 134 are formed so that the sterilizing lamp module 133a and the filter 1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light of the sterilizing lamp 133 is irradiated . At this time, the filter 132 and the sterilizing lamp 133 are arranged to be inclined by 20 to 45 degrees from the horizontal. In addition, since the filter 132 can maximize the photocatalytic effect as the area irradiated with the light is wider, a chip type LED is used for the LED of the sterilizing lamp 133.

또한, 필터(132)와 살균램프(133)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조사범위는 넓어지나 빛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필터(132)와 살균램프(133) 사이의 거리는 3~10mm로 설정된다. 이때, 살균램프모듈(132a)은 살균램프(133)가 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코팅된다. Furth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lter 132 and the sterilizing lamp 133 is increased, the irradiation range is widened but the light intensity is weakened.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lter 132 and the sterilizing lamp 133 is set to 3 to 10 mm . At this time, the sterilizing lamp module 132a is silicon-coated to prevent the sterilizing lamp 133 from being damaged by water.

이때 광촉매필터는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가 조사된 빛과 반응하여 전자(e-)와 정공(h+, +전하를 가진 전자와 같은 거동을 하는 입자)이 발생하는데, 전자는 광촉매 표면의 산소와 반응하여 수퍼옥사이드를 생성하고, 정공은 공기 속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하여 하이드록시라디칼(OH-)을 생성한다. At this time, the photocatalytic filter reacts with the irradiated light by the photocatalyst coated on the surface, and generates electrons (e) and holes (particles that behave like electrons having h + and + charges) To generate superoxide, and holes react with moisture present in the air to generate a hydroxy radical (OH-).

이렇게 생성된 하이드록시라디칼은 강력한 유기물질들을 산화분해 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공기 속에서 항상 존재하고 있는 악취물질, 바이러스, 박테리아 같은 세균 등을 분해하여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바뀌게 된다.Hydroxy radicals produced by this process are highly capable of oxidizing and decomposing strong organic materials, so they decompose bacteria, such as odorous substances, viruses and bacteria, which are always present in the air, to form water (H2O) and carbon dioxide (CO2) .

광촉매 반응의 작용은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과 산화,환원 반응간의 경쟁반응이며 전자와 정공이 생성되어 유지되는 시간이 길수록 산화 환원반응이 유리하기때문에 Cu와 같은 금속을 함께 사용하면 재결합 시간을 늦추어 광촉매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e photocatalytic reaction is a competitive reaction between the re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and the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The longer the time that electrons and holes are generated and maintained, the more favorable the redox reaction. Therefore, when a metal such as Cu is used together, The effect can be increased.

광촉매는 제균과 탈취 효과가 있으므로, 광촉매필터(132a)(132d)는 제균은 물론 탈취효과가 있다. Since the photocatalyst has a sterilization and deodorizing effect, the photocatalytic filters 132a and 132d have a deodorizing effect as well as a sterilization effect.

광촉매필터(132a)(132d)는 탈취효과가 있기는 하나 냄새제거 및 분해 속도가 느리므로, 필터(132)에는 별도의 탈취필터(132b)(132c)가 구비된다. Although the photocatalytic filters 132a and 132d have a deodorizing effect, the deodorizing and decomposing velocities of the photocatalytic filters 132a and 132d are slow. Therefore, the deodorizing filters 132b and 132c are separately provided in the filter 132.

탈취필터(132b)(132c)는 활성탄을 사용한 것으로 냄새 흡착 및 제거에 용이하다. 탈취부(130)는 탈취필터(132b)(132c)를 두개 포함하고 탈취효과가 있는 관촉매필터까지 구비함에 따라 단시간에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The deodorization filters 132b and 132c are made of activated carbon and are easy to adsorb and remove odors. Since the deodorization unit 130 includes two deodorization filters 132b and 132c and a pipe catalyst filter having a deodorization effect, the deodorization unit 130 can remove the odor in a short time.

이때 제 1 광촉매필터(132a)와 제 2 광촉매필터(132d) 사이에 탈취필터(132b)(132c)가 구비됨에 따라, 살균램프(133)의 빛이 광촉매필터에 조사되어 광 공기가 1차 제균되고, 탈취필터에 의해 냄새가 제거된다. 탈취필터는 공극이 큰 메쉬타입(Mesh type)이 사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deodorization filters 132b and 132c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hotocatalytic filters 132a and 132d, the light of the sterilizing lamp 133 is irradiated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the odor is removed by the deodorizing filter. The deodorization filter may be a mesh type having a large pore size.

그에 따라 탈취부(130)를 통과한 공기는 살균될 뿐 아니라 냄새 또한 제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odorization unit 130 is not only sterilized but also the odor can be removed.

이때 살균램프(133)와 가장 먼 거리의 전단필터인 제 2 광촉매필터(132d)에도 살균램프(133)의 빛이 반사되어 조사된다. 또한 탈취필터가 매쉬타입이므로 살균램프(133)의 빛이 통과하여 제 2 광촉매필터에도 빛이 조사될 수 있다. 제 1 광촉매필터또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부직포로 구성된다. At this time, light of the sterilizing lamp 133 is also reflected and irradiated to the second photocatalytic filter 132d, which is a front-end filter farthest from the sterilizing lamp 133. [ In addition, since the deodorization filter is a mesh type, the light from the sterilizing lamp 133 passes through the second photocatalytic filter. The first photocatalytic filter is also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냄새감지를 위한 센서의 위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 of a sensor for detecting odors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냄새센서(122)는 탈취부(130)(16)가 구비되는 패널(17)에 구비된다. The odor sensor 122 is provided on the panel 17 provided with the deodorization units 130 and 16.

이때, 냄새센서(122)는 탈취부(130)에 의해 냄새가 제거되면 냄새를 감지할 수 없으므로, 탈취부(130)(16) 주변에 설치하되, 탈취부(130)에 의해 제균 및 탈취가 되지 않은 공기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odor sensor 122 can not sense the odor when the odor is removed by the odor sensor 130, it is installed around the odor sensor 130 and 16, So that the user can sense the smell of the air which has not been detected.

또한, 바람이 부는 장소의 경우 바람의 흐름에 의해 가스(냄새입자)의 흐름이 불안정해지므로 냄새센서(122)의 감지성능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냉장실팬(151)의 토출구와 소정거리 떨어지고, 탈취부(130) 주변이면서 탈취부(130)의 바람의 영향이 적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indy place, the flow of gas (odor particles) becomes unstable due to the wind flow, which causes a variation in the sensing performance of the odor sensor 122.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ich is away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an 15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located around the deodorization unit 130 but less influenced by the wind of the deodorization unit 130.

따라서 냄새센서(122)는 탈취부(130)(16)를 중심으로 탈취팬의 바람과 직각으로 만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P3), 하(P2), 좌(P1), 우(P4)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냉장실 내부의, 공기중 냄새를 측정한다. Therefore, the odor sensor 122 is disposed in the upper part P3, the lower part P2, the left part P1, and the right part P4, except for the part where the odor sensor 122 and the deodorizing fan meet at right angles to the wind, And the odor in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or is measured on one side.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새센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do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새센서(122)는 센서모듈(210), 케이스(220), 커넥터(221), 신호선(222)으로 구성된다. 5 (a), the odor sensor 122 is composed of a sensor module 210, a case 220, a connector 221, and a signal line 222.

이때 센서모듈(210)은 센서보드(224)에 고정설치되고, 센서보드(224)에는 센서모듈(210)의 신호를 처리하여 커넥터(221)로 전송하는 처리회로(미도시)가 구비된다. At this time, the sensor module 210 is fixed to the sensor board 224 and the sensor board 224 is provided with a processing circuit (not shown) for processing the signal of the sensor module 210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connector 221.

또한, 케이스(220) 내부에는 센서모듈(21)과 커넥터(221) 및 신호선(222)이 장착완료된 상태에서 방수재(223)에 의해 몰딩되어 방수처리된다. The sensor module 21, the connector 221, and the signal line 222 are molded in the case 220 by the waterproof material 223 and waterproofed.

이때 방수재(223)는 센서모듈(210)과 센서보드(224)에 실장되는 처리회로와 신호가 전달되는 커넥터(221)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보드(224)와 센서모듈(210)의 일부, 커넥터(221)의 일부가 방수재(223)에 의해 몰딩처리된다. 방수재(223)의 높이는 최소 센서보드(224)의 높이보다 높고, 센서모듈(210)의 상단부보다 낮도록 한다. 센서모듈(210)의 상단부보다 높게 방수재(223)가 몰딩처리되는 경우, 센서모듈(210) 내부로 냄새입자가 도달하지 못하게 되므로 냄새감지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방수재(223)는 우레탄이 사용된다. 실리콘이 방수재(223)로 사용되는 경우 센서모듈(210)의 성능에 영향을 주므로 우레탄 몰딩을 이용한다. The waterproofing material 223 protects the sensor 221 and the sensor module 210 from moisture and protects the processing circuit mounted on the sensor module 210 and the sensor board 224 and the connector 221, A part of the connector 221 is molded by the waterproofing material 223. The height of the waterproof material 223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minimum sensor board 224 and lower than that of the sensor module 210. When the waterproofing material 223 is mold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ensor module 210, the odor particles can not reach into the sensor module 210, so that the odor can not be detected. Urethane is used as the waterproof material 223. Urethane molding is used because silicone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 module 210 when used as the waterproof material 223.

센서모듈(210)은 도 5의 (b) 및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캡(211)과 센서모듈(210)이 센서보드(224)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면서 감지된 신호를 센서보드(224)로 인가하는 브릿지(212)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센서모듈(210)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브릿지(212)를 통해 센서보드(224)로 인가되고, 센서보드 내의 처리회로로부터 커넥터(221)로 인가되어 신호선(222)을 통해 제어부(110)로 전송된다.5A and 5B, the sensor module 210 includes a sensor cap 211 for protecting an internal sensor and a sensor module 210 for detecting the sensor module 210 while being fixedly mounted on the sensor board 224, And a bridge 212 for applying a signal to the sensor board 224.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module 210 is applied to the sensor board 224 through the bridge 212 and applied from the processing circuit in the sensor board to the connector 221 to be supplied to the controller 110 ).

센서캡(211)은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태는 원통형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각형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센서를 보호하는 형태라면 어느것이나 채택 가능하다. Although the sensor cap 211 is shown as a cylindrical shape, the shape of the sensor cap 211 is not limited to a cylindrical shape, but may be a rectangular shape, and any shape can be adopted as long as it protects the sensor from external impact.

센서캡(211)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홀(213)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4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캡(211)의 홀(213)은 냄새입자의 출입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냄새입자가 내부의 센서에 도달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센서캡(211)은 상부가 매쉬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nsor cap 211 has at least one hole 213 formed therein. Preferably, four holes may be formed. The holes 213 of the sensor cap 211 are formed in such a size that the odor particles can be taken in and out so that the odor particles reach the sensor inside. In some cases, the upper part of the sensor cap 211 may be formed as a mesh network.

이때 센서캡(211)은 금속재질로, 냉장고(1) 내부의 저온에 의해 센서캡(211)의 표면에 수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센서모듈(210)의 일부는 방수재(223)에 의해 몰딩처리되므로, 센서캡(211)의 표면의 수분이 흘러내리더라도 동작에 영향을 받지않는다. At this time, the sensor cap 211 is made of metal, and moisture may b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sensor cap 211 due to the low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1. [ However, since a part of the sensor module 210 is molded by the waterproofing material 223, even if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sensor cap 211 flows down, the operation is not affected.

또한, 발생한 수분에 의해 홀(213)이 막히거나 홀(213)을 통해 센서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도 있겠으나, 센서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소자가열히터(204)가 구비되어 발열함에 따라, 센서캡(211) 내부의 가열된 공기는 상단부로 이동하여 홀(2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홀(213)이 수분에 의해 막히거나 수분이 홀(213)을 통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holes 213 may be blocked by water generated or moisture may penetrate into the sensor through the holes 213. However, since the sensor is provided with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described below, The heated air in the cap 211 moves to the upper end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213. This prevents the hole 213 from being clogged by moisture or penetrating moisture through the hole 213 do.

센서는 반도체형 가스센서인 것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반도체형 가스센서의 경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낮은온도에서도 작동하며, 구동방식이 간단하고, 독성이 없어 식품을 보관하는 냉장고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냉장고에는 냉매가 흐르므로, 냉매가스의 누설에 대비하여 센서의 소자가열히터의 임계온도가 일정온도를 넘어서지 않는 반도체형 가스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nsor is a semiconductor type gas sensor as an example. The semiconductor type gas sensor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operates at a low temperature, is simple to drive, and is easy to apply to a refrigerator that stores food without toxicity. Further, since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frigerator, it is preferable to use a semiconductor type gas sensor in which the critical temperature of the element heating heater of the sensor does not exceed a certain temperature in preparation for leakage of the refrigerant gas.

센서는 소자가열히터(204), 기판(203), 전극(202) 그리고 감지재료(201)로 구성된다. The sensor is composed of an element heating heater 204, a substrate 203, an electrode 202 and a sensing material 201.

감지재료(201)는 공기중의 입자와 반응하여 소정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n형 산화물 반도체 계의 감지재료가 사용된다. The sensing material 201 reacts with particles in the air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ignal, and an n-type oxide semiconductor-based sensing material is used.

감지재료(201)는 감지하고자 하는 가스에 따라 다양한 금속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재료(201)는 SnO2, ZnO, WO4, Fe2O3, In2O3 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냄새센서(122)는 냉장고에 설치되어 식품의 냄새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앞서 설명한 금속산화물 중 식품의 냄새에 대하여 반응하는 감지재료를 사용한다. 식품의 냄새는 주로 H2S, TMA, MM이므로, 감지재료는 이러한 가스성분에 반응하는 In2O2, SnO2가 사용될 수 있다. A variety of metal oxides may be used for the sensing material 201 depending on the gas to be sensed. For example, the sensing material 201 may be SnO2, ZnO, WO4, Fe2O3, In2O3. At this time, since the odor sensor 122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to sense the odor of the food, a sensing material that reacts to the odor of the food among the metal oxides described above is used. Since the smell of food is mainly H2S, TMA, MM, the sensing material can be In2O2, SnO2 which reacts to these gas components.

소자가열히터(204)는 기판(203)을 가열하여 감지재료(201)가 반응하도록 한다. 기판(203)은 알루미늄이고 소자가열히터(204)는 산화 루테늄(RuO2)인 것을 예로하여 설명한다.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heats the substrate 203 to allow the sensing material 201 to react. The substrate 203 is made of aluminum, and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is made of ruthenium oxide (RuO2).

감지재료(201)는 고온이 되면, 기상분자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져 반도체 내부에까지 진행되고, 산화물 내부의 결함농도가 영향을 받아서 도전율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소자가열히터(204)는 기판(203)을 가열하여 감지재료(201)의 반응성이 증가하도록 한다.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ensing material 201 becomes high, interaction with the gaseous molecules becomes active and proceeds to the interior of the semiconductor, and the concentration of defects in the oxide is affected, thereby changing the conductivity. Thus, the device heating heater 204 heats the substrate 203 to increase the reactivity of the sensing material 201.

냄새센서(122)는 연속하여 동작하므로, 센서의 소자가열히터(204)가 장시간 발열하게 되므로, 소자가열히터(204)의 임계온도가 일정온도를 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냉장고(1)에는 냉매가 흐르므로, 냉매가스가 누설되는 경우, 냄새센서(122)의 소자가열히터(204)에 의해 발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소자가열히터(204)의 임계온도가 낮은 센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소자가열히터(204)의 임계온도가 325도 이하인 센서를 사용한다. Since the odor sensor 122 continuously operates,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of the sensor generates heat for a long time, so that the critical temperature of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does not exceed a certain temperature. Particularly, since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frigerator 1, if the refrigerant gas leak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frigerant gas is ignited by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of the odor sensor 122. Therefore, for safety, the critical temperature of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is Use a low sensor. For example, a sensor whose critical temperature of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is 325 degrees or less is used.

한편, 소자가열히터(204)는 발열하는 구성으로, 냉기를 공급하여 식품을 보관하는 냉장고(1)의 특성과 상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자가열히터(204)에 의해 센서캡(211) 내부의 가열된 공기는 홀(2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소자가열히터(204)가 발열하여 소자가열히터(204) 자체의 온도는 높더라도, 센서모듈(210)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는 소자가열히터(204)에 의한 온도변화가 적어, 소자가열히터(204)는 냉장고(1)의 내부 온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generates heat and is contrary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refrigerator 1 that stores the food by supplying cool air. The heated air inside the sensor cap 21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213 by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as described above. However,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itself is high due to the heating of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the temperature change due to the element heating heater 204 is smal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nsor module 210, The heater 204 does not affec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1.

예를 들어 소자가열히터(204)가 200도 이상으로 발열하는 경우,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캡(211)의 온도는 약 16 내지 18도이고, 센서모듈(210)로부터 5mm 떨어진 지점의 온도는 약 1.7 내지 2.3도, 센서모듈(210)로부터 2cm 떨어진 지점의 온도는 약 0 내지 0.1도로 측정되었다. 소자가열히터(204)를 포함하는 센서의 주변에는 센서캡(211)이 구비되고, 센서캡(211)의 외부에는 케이스(220)가 구비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모듈(210)로부터 5mm 떨어진 지점은 케이스(220) 내부이고, 센서모듈(210)로부터 2cm 거리에서의 온도가 낮게 측정되므로, 따라서 소자가열히터(204)는 의한 냄새센서(122) 주변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cap 211 for protecting the sensor is about 16 to 18 degrees and the temperature at a point 5 mm away from the sensor module 210 is about 1.7 to 2.3 degrees, and the temperature 2 cm away from the sensor module 210 was measured at about 0 to 0.1 degrees. A sensor cap 211 is provided around the sensor including the device heating heater 204 and a case 220 is provided outside the sensor cap 211. The sensor cap 211 is disposed outside the sensor cap 211 at a distance of 5 mm from the sensor module 210 The point is inside the case 220 and the temperature at a distance of 2 cm from the sensor module 210 is measured to be low so that the device heating heater 204 does not affect the temperature change around the odor sensor 122 .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냄새센서(122)는 감지재료(201)가 공기중의 물질과 반응하는 경우 전극(202)간의 전기전도도가 변경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냄새를 감지하게 된다. The odor sensor 12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nses the odor by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the electrodes 202 changes when the sensing material 201 reacts with a substance in the air.

냄새센서(122)는 깨끗한 공기에서, 전극(202) 사이의 자유전자가 입자표면에서 공기중의 전화친화력이 높은 산소와 결합하게 되어 자유전자의 수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낮아지며 저항값이 상승하게 된다. In the clean air, the odor sensor 122 combines the free electrons between the electrodes 202 with oxygen having a high affinity for the air in the air at the particle surface, so that the number of free electrons decreases, the electric conductivity decreases, .

한편, 오염된 공기에서, 즉 환원성 가스가 존재하는 경우, 환원성가스와 산소가 결합하게 되고 감지재료(201) 표면의 산소기체가 감소하게 되며 그에 따라 자유전자가 증가하고 전기전도도는 상승하며, 그에 대응하여 저항값은 작아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aminated air, that is, in the presence of the reducing gas, the reducing gas and the oxygen are combined and the oxygen gas on the surface of the sensing material 201 is reduced, whereby the free electrons are increased and the electric conductivity is increased. The resistance value correspondingly decreases.

따라서 오염된 공기에서 냄새센서(122)는 전기전도도가 상승하게 되고 저항값은 작아지므로 이를 소정의 신호로 출력하여 냄새를 감지하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contaminated air, the odor sensor 122 increas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resistance value becomes smaller, so that the odor sensor 122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to sense the odor.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새센서의 방수재의 종류에 따른 센서특성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FIG. 6 is a graph showing sens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waterproof material of the odo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냉장고(1)는 냉기를 투입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냄새센서(122)는 수분에 취약한 내부의 전기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방수처리된다. Since the refrigerator 1 is configured to keep the temperature at a constant level by supplying cold air, the odor sensor 122 is waterproofed to protect the internal electric circuit which is vulnerable to moisture.

특히, 냄새센서(122)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케이스(220)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모듈(210), 센서보드(224), 커넥터(221), 특히 센서보드(224)에 실장되는 처리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방수재(223)로 몰딩처리된다. 이때, 방수재(223)는 우레탄이 사용된다. Particularly, as described above, the odor sensor 122 is mounted on the sensor module 210, the sensor board 224, the connector 221, and in particular, the sensor board 224, The waterproofing material 223 is molded. At this time, urethane is used as the waterproof material 223.

도 6의 (a)는 냄새센서의 센서가 우레탄에 노출되는 경우의 신호변화(S41)고, 도 6는 (b)는 센서가 실리콘에 노출되는 경우의 신호변화(S42)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6A is a graph showing a signal change (S41) when the sensor of the odor sensor is exposed to urethane, and FIG. 6B is a graph showing a signal change (S42) when the sensor is exposed to silicon .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처리되지 않은 센서를 제 1 시간(T41)에, 우레탄에 노출시키는 경우, 센서는 냄새를 감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이 감소하나, 일정시간 경과후 제 2 시간(T42)에는 다시 정상적으로 냄새를 감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6A, when the sensor that has not been subjected to the molding process is exposed to the urethane at the first time T41, the sensor can not detect the odor and the voltage of the output signal decreases After the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the smell is detected again at the second time (T42).

한편, 도 6의 (b)와 같이, 몰딩처리되지 않은 센서를 제 3 시간(T43)에 실리콘에 노출시키는 경우, 센서는 냄새를 감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이 감소한다. 소정시간 경과 후, 제 4 시간(T44)에 센서의 출력 신호의 전압이 상승하면서 센서가 작동하는 것처럼 보여지나, 일정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초기의 감지신호의 전압에는 도달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냄새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nprocessed sensor is exposed to silicon in the third time T43 as shown in FIG. 6 (b), the sensor can not detect the smell and the voltage of the output signal decreases. After the e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the voltag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rises at the fourth time T44, so that the sensor seems to operate. However, even if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voltage of the initial sensing signal is not reached, Can not.

실리콘에 노출되기 전, 즉 제 3 시간(T43) 이전의 신호의 전압이 정상적인 냄새감지신호의 전압이라고 할때, 실리콘 노출 후에는 정상적인 냄새감지신호를 출력하지 못하게 된다.When the voltage of the signal before the silicon exposure, that is, before the third time (T43) is the voltage of the normal odor detection signal, the normal odor detection signal can not be output after the silicon exposure.

방수처리에 실리콘을 많이 사용되나, 이와 같이 냄새센서는 실리콘에 노출되는 경우 냄새감지가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냄새센서(122)는 우레탄의 방수재(223)를 이용하여 몰딩처리한다. Silicone is often used for waterproofing, but odor sensors can not detect odors when exposed to silicon. Therefore, the odor sensor 122 performs the molding process using the waterproofing material 223 of the urethane.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냄새센서의 종류에 따른 감지신호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illustrating sensed signal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dor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냄새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는 가스센서와 먼지센서가 사용된다. 가스센서와 먼지센서 중 식품의 냄새에 적합한 센서를 선정하기 위해, 냉장고(1)에, 냄새가 강한 김치를 투입하여 감지신호를 비교하였다. Gas sensors and dust sensors are used to detect odors. In order to select a sensor suitable for the smell of the food among the gas sensor and the dust sensor, a smell strong kimchi was put into the refrigerator (1) to compare sensed signal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시간(T51)에 김치를 투입한 경우, 먼지센서(S52)는 김치의 투입 전과 후의 신호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kimchi was put in the first time T51, the dust sensor S52 did not show a change in the signal before and after the insertion of the kimchi.

반면, 가스센서(S51)의 경우, 김치를 투입하고 소정시간 경과후 제 2 시간(T52)부터 감지신호가 변화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gas sensor S51, the sensing signal changed from the second time T52 after the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insertion of the kimchi.

따라서 냄새센서(122)는 식품의 냄새를 감지하는 가스센서를 사용한다. Thus, the odor sensor 122 uses a gas sensor that senses the smell of the food.

도 8 은 본 발명의 냉장고에 투입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감지되는 냄새의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FIG. 8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odor sens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put in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식품이 투입되면, 식품으로 냄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냄새센서(122)는 식품의 냄새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냄새센서(122)의 감지값은 전압값으로 출력되며 전압값이 클수록 냄새가 많이 나는 것을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8, when a food is put into the refrigerator 1, a smell is generated in the food. At this time, the odor sensor 122 senses the smell of food and outputs a signal. The sensed value of the odor sensor 122 is output as a voltage value, and the larger the voltage value, the more the odor is emitted.

식품의 종류에 따라 무, 고추, 버슷, 양파, 돼지고기, 고등어, 사과, 김치, 귤 그리고 물을 냉장고(1)에 투입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냄새의 변화를 냄새센서(122)를 통해 감지하였다.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food, the change of the smell according to the lapse of time after putting radish, red pepper, bursl, onion, pork, mackerel, apple, kimchi, tangerine and water into the refrigerator (1) .

이때 돼지고기는 육류, 고등어는 어류, 배추, 양파, 무, 고추는 채소류, 사과, 귤은 과일류로써 다양한 식품의 종류로 많이 소비되는 식품을 선정한 것이고, 특히 야채의 경우 버섯과 양파는 경채류 야채이고, 고추, 사과는 과채류, 무와 당근은 근채류로 구매빈도가 높은 야채를 대표하는 식품으로 선정하여 냄새의 변화를 감지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냉장고에 많이, 자주 투입하는 식품을 선정하여 냄새의 변화를 감지하였다. At this time, the food which is consumed a lot of various foods as the kind of food is selected as the pork meat, the mackerel fish, the Chinese cabbage, the onion, the radish, the pepper the vegetables, the apple and the mandarin orange fruit. Especially, , Peppers and apples were selected as fruit vegetables, radish and carrot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vegetables with high purchase frequency as root vegetables, and the change of smell was detected. In general, the user generally selects a food to be frequently input into the refrigerator and senses the change of the smell.

무, 고추, 버섯, 양파의 경우 H2S, 돼지고기, 고등어는 암모니아와 TMA, 사과와 귤은 에틸렌, 김치는 MM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H2S, TMA, MM을 대표적인 식품의 냄새로 설정하고, 이에 반응하는 In2O3 또는 SnO2를 감지재료로하는 가스센서를 냄새센서로 사용하도록 한다. In the case of radish, pepper, mushroom, onion H2S, pork, mackerel, ammonia and TMA, apple and tangerine ethylene, kimchi MM were measured. Therefore, H2S, TMA, and MM are set as representative food odors, and a gas sensor using In2O3 or SnO2 as a sensing material is used as an odor sensor.

식품을 투입한 초기에는, 냄새센서(122)에의해 감지신호의 값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또한, 식품의 종류에 따라 냄새의 크기에 차이가 있으나, 식품이 투입된 초기에 감지신호의 값의 변화가 크게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In the early stage of the introduction of the food, a change in the value of the sensing signal by the odor sensor 122 appears to be great. In addition,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smell depending on the kind of food, it is the same in that the value of the detection signal greatly changes in the early stage of the food.

식품 투입 후, 일정시간 이상 경과하면 식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냄새의 크기가 더이상 증가하지 않고, 일정한 값에 수렴한다.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food, the odor does not increase any more regardless of the type of food, and converges to a constant value.

냄새가 강한 김치의 경우, 단시간에 냄새가 크게 측정되나 일정시간 후부터 그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김치, 무, 버섯이 투입초기에 냄새의 크기가 크지만, 초기에 냄새의 크기가 작았던 식품이라도 약 18시간이 경과하면, 다소 크기의 차이는 있으나 냄새값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게 된다. In case of a strong smell, the smell is measured in a short time, but the size remains constant after a certain time. The kimchi, radish and mushroom are large in size at the initial stage, but even if the size of the food is small, the odor value is maintained at about 18 hours.

따라서 냄새센서(122)는 다양한 식품에 대하여, 식품의 냄새를 감지하고, 특히 식품이 투입되는 초기에 식품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odor sensor 122 can detect the odor of the food, and especially the odor of the food in the early stage of the food, for various foods.

이때, 물의 경우에도 냄새는 있으나, 다른 식품에 비해 냄새가 약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물은 냄새의 강도가 작으므로, 냄새센서를 이용한 냄새 감지 및 그에 따른 탈취모드의 변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At this time, even in the case of water, there is an odor, but it is understood that the odor is weaker than other foods. Therefore, water has a small intensity of odor, so that it does not affect the odor detection using the odor sensor and thus the change of the deodorization mode.

도 9 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탈취모드 설정에 따른 냄새의 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odor according to the deodorization mode setting of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내부의 냄새가, 냄새센서(122)에 의해 감지된다. 냄새센서(122)는 가스센서이므로 가스농도를 감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9, the odor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1 is sensed by the odor sensor 122. Since the odor sensor 122 is a gas sensor, it senses the gas concentration.

초기구간(D0)에서, 냉장고(1)의 내부에는 기 투입되어 식품으로 부터 발생하는 냄새가 냄새센서(122)에 의해 일정하게 측정된다. 이때 탈취부(130)는 일반자동모드로 동작한다. 탈취부(130)는 일반자동모드에서 약 10분간 탈취팬(131)을 제어하고, 60분간 대기하며, 70분 주기로 반복하여 동작한다. In the initial section D0, the odor sensor 122 measures the odor generated from the food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tor 1. [ At this time, the deodorization unit 130 operates in the normal automatic mode. The deodorization unit 130 controls the deodorization fan 131 for about 10 minutes in the normal automatic mode, waits for 60 minutes, and operates repeatedly at a cycle of 70 minute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품의 냄새는 시간이 경과하면 일정한 값(농도)을 갖게 되고, 냄새센서(122)는 새로운 냄새가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하여 감지값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As described above, the smell of food has a constant value (concentration) over time, and when the smell sensor 122 generates a new smell, the change in the sensed value is large.

제 1 시간(T11)에 식품이 투입되면, 식품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에 의해 냉장고 내부의 가스 농도가 증가하고, 냄새센서(122)는 새로 투입된 식품의 냄새를 감지한다. When the food is put in the first time T11, the gas concentration inside the refrigerator increases due to the odor generated from the food, and the odor sensor 122 senses the smell of the newly introduced food.

제어부(110)는 냄새센서(122)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탈취모드를 일반 자동모드에서 파워모드로 변경한다. 그에 따라 제 1 구간(D1)에서는 탈취부(130)가 파워모드로 동작한다. The control unit 110 changes the deodorization mode from the normal automatic mode to the power mode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dor sensor 122. [ Accordingly, in the first section D1, the deodorization unit 130 operates in the power mode.

파워모드가 설정되면, 탈취부(130)가 동작하여, 탈취팬(131)에 의해 탈취부로 흡입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균 및 탈취된다. When the power mode is set, the deodorization unit 130 operates, and the air sucked into the deodorization unit by the deodorization fan 131 is sterilized and deodo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이때 탈취부(130)는 파워모드에서 10분간 탈취팬(131)이 동작하고 5분 간 동작정지되며, 15분 주기로 동작을 반복한다. 따라서 탈취부(130)가 반복 동작하여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deodorization unit 130 operates the deodorization fan 131 for 10 minutes in the power mode, stops operation for 5 minutes, and repeats the operation in a cycle of 15 minutes. Therefore, the deodorizing unit 130 is repeatedly operated to remove the odor.

파워모드가 설정되면 탈취부(130)가 동작하여 냄새가 제거됨에 따라 냉장고 내부의 가스 농도는 감소하게 된다. When the power mode is set, the deodorizing unit 130 operates to remove the odor, so that the gas concentration inside the refrigerator decreases.

냄새센서(122)에 의해 감지되는 가스농도가 감소하면, 제어부(110)는 제 2 시간(T12)에 탈취모드를 파워모드에서 일반자동모드로 변경한다. 그에 따라 제 2 구간(D2)에서 탈취부(130)는 70분 주기로 10분 탈취팬(131)이 동작하고 60분 정지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When the gas concentration sensed by the odor sensor 122 decreases, the control unit 110 changes the deodorizing mode from the power mode to the normal automatic mode at the second time T12. Accordingly, in the second section D2, the deodorization unit 130 repeats the operation of operating the 10-minute deodorization fan 131 for a period of 70 minutes and stopping for 60 minutes.

일반자동모드에서는 탈취팬(131)이 10분 동작하고 정지하므로 탈취성능은 저하된다. In the normal automatic mode, the deodorization performance is degraded because the deodorization fan 131 operates for 10 minutes and stops.

냉장고(1)에 새로이 식품이 투입되면, 제어부(110)는 제 3 시간(T13)에 탈취모드를 파워모드로 재 변경하고, 제 3 구간(D3)동안 탈취부(130)는 파워탈위모드로 동작하여 냄새를 제거한다. 그에 따라 냉장고 내 가스농도는 다시 감소하게 된다. When food is newly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tor 1, the control unit 110 changes the deodorization mode to the power mode at the third time T13, and the deodorization unit 130 changes the power mode Remove the smell by operating. As a result, the gas concentration in the refrigerator decreases again.

도 10 은 본 발명의 냉장고에 있어서 냄새를 감지하고 탈취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odor and deodorizing in a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10)는 냄새센서(122)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냄새의 강도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탈취모드를 변경하여 탈취부(130)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odor sensor 122, determines the intensity of the odor, and changes the deodorization mode accordingly to control the deodorization unit 130.

냄새센서(122)로부터 제어부(110)로 입력되는 감지신호는 0 내지 5V의 전압값이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전압값을 저항값으로 변경하고, 냄새의 강도를 판단한다. The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odor sensor 122 to the control unit 110 is a voltage value of 0 to 5V. The control unit 110 changes the voltage value of the input sensed signal to a resistance value and determines the intensity of the smell.

감지신호에서, 가스농도가 높고 냄새가 강할 수록 전압값의 크기는 크고, 가스농도가 낮고 냄새가 약할수록 전압값은 작다. 이러한 감지신호의 전압값을 저항값으로 변경하여 감지값을 산출하므로, 감지값의 크기가 작을 수록 냄새가 강하고, 크기가 클수록 냄새가 약한것을 의미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대치 검지방식을 사용하여 냄새의 변화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10)는 냄새의 절대값의 크기가 아니라 상대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전보다 냄새가 증가했는지/강해졌는지, 또는 냄새가 감소하였는지/약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상대적인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110)는 감지신호의 전압값을 저항값으로 변경하여 감지값을 산출한다. In the detection signal, the voltage value is large as the gas concentration is high and the smell is strong, and the voltage value is small as the gas concentration is low and the smell is weak. Since the detection value is calculated by changing the voltage value of the sensing signal to the resistance value, the smaller the sensing value is, the stronger the smell, and the larger the size, the weaker the smell.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change of the smell using the relative detection method.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uses a relative value, not a magnitud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odor, to determine whether the odor has increased / increased or the odor has decreased / decrea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ve change, the controller 110 changes the voltage value of the sensing signal to a resistance value to calculate the sensing value.

이때, 제어부(110)는 감지신호로부터 산출되는 감지값을 바탕으로, 기준값(Ro)과 현재값(Rs)을 산출하고, 기준값(Ro)과 현재값(Rs)의 비율에 따라 냄새의 변화를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기준값(Ro)과 현재값(Rs)의 비율을 바탕으로 이전과 현재의 냄새의 변화를 오염도로 판단하여, 이전보다 냄새가 강해졌는지 혹은 냄새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the reference value Ro and the current value Rs based on the sensed value calculated from the sensed signal, and changes the odor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reference value Ro to the current value Rs .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smell is stronger or smell is removed than before based on the ratio of the reference value Ro to the current value Rs based on the ratio of the previous and the current smell to the smell.

따라서 제어부(110)는 현재값(Rs)/기준값(Ro)을 오염도로 판단할때, 오염도의 값이 작을수록 이전보다 오염도가 상승하여 냄새가 강해진 것이고, 오염도의 값이 클수록 이전보다 오염도가 감소하여 냄새가 약해진 것으로 판단한다. Accordingly, when the current value Rs / the reference value Ro is determined as the pollution degree, the controller 110 increases the pollution degree as the value of the pollution degree becomes smaller and the smell becomes stronger. As the value of the pollution degree becomes larger, It is judged that the smell is weakened.

예를들어 새로운 식품이 투입되어 냄새가 강해지는 경우, 오염도는 증가하고, 탈취부(130)에 의해 냄새가 제거되면 오염도는 감소한다. For example, when new food is added and the smell becomes stro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creases, and when the smell is removed by the deodorization unit 130, the degree of contamination decreases.

제어부(110)는 현재값(Rs)/기준값(Ro)의 값이 설정값 이하면 탈취모드를 파워모드로 설정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사용자가 냄새가 강하다고 느끼는 가스농도를 바탕으로 설정된다. The control unit 110 sets the deodorization mode to the power mode if the value of the current value Rs / reference value Ro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et value. Here, the set value is set based on the gas concentration that the user feels strong smell.

제어부(110)는 냄새센서(122)의 감지신호에 대하여, 일정 기간 동안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값을 바탕으로 냄새의 강도를 판단하고 탈취모드를 변경한다. 냉장고(1)는 냉매의 순환에 따라 냉기를 공급하는것을 반복하여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온도에 도달하여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냉장고는 운전 사이클에 따라 내부의 기류와 온도가 가변되고, 그에 따라 냄새센서(122)의 감지신호의 값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10)는 평균값을 산출하여 냄새의 강도를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the average of the sensed signal of the odor sensor 122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etermines the intensity of the odor based on the average value, and changes the deodorizing mode. The refrigerator (1) repeats the supply of cold air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refrigerator reaches and maintains the set target temperature. In such a refrigerator, the air flow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ing cycle, and accordingly, the value of the sensing signal of the odor sensor 122 may be varied, so that the controller 110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to determine the intensity of the odor.

제어부(110)는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감지값을 산출하고, 감지값을 이용하여 기준값(Ro)과 현재값(Rs)을 일정시간 주기로 재 산출한다. 이때 현재값(Rs)은 최근 소정 시간 내에 측정되는 값의 평균이고, 기준값(Ro)은 현재값을 산출한 시간을 제외하고, 그 이전 소정시간 내에 측정된 값의 평균값이다.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a sens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ly input sensed signal and recalculates the reference value Ro and the current value R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using the sensing value. Here, the current value Rs is an average of values measur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reference value Ro is an average value of the values measured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xcept for the time at which the current value is calculated.

이때 기준값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한 주기로 재 산출되어 변경되는 값으로, 고정된 값이 아니다. 따라서 제 1 시간의 기준값과 제 2 시간의 기준값은 상이하며, 그에 따라 산출되는 오염도는 시간을 기준으로 할때 상대적이 값이 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염도는 이전 보다 냄새가 강해졌는지 약해졌는지를 판단하는 것이지, 절대적인 수치가 큰지 작은지를 비교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that is re-calculated and changed at a predetermined period as described above, and is not a fixed value. Therefore, the reference value of the first time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cond time, and the pollution degree thus calculated becomes a relative value based on time.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smell is stronger or weaker than before, and it is not to be compared whether the absolute value is larger or smaller.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최근 10분 동안 냄새센서(12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감지값에 대한 평균을 현재값(Rs)으로 산출하고, 이전 1시간동안 입력되는 감지신호의 감지값에 대한 평균을 기준값으로 산출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calculate an average of the sensed values of the sensing signals input from the odor sensor 122 for the last 10 minutes as a current value Rs, Is calculated as a reference value.

제어부(110)는 현재값을 산출하는데 사용된 10분을 제외하고 그 이전의 1시간 동안의 감지값에 대한 평균을 기준값(Ro)로 산출한다. 즉 이전 1시간은 현재값 산출에 사용되는 10분을 제외하고, 10분 전을 기준으로 이전 1시간에 대한 평균값이다. 따라서 현재값은 10분 전부터 현재까지 입력된 감지신호에 대한 감지값의 평균이고, 기준값은 70분 전부터 10분 전 까지 입력된 감지신호에 대한 감지값의 평균이다. The controller 110 calculates an average of the sensed values for the previous one hour as a reference value Ro, except for 10 minutes used for calculating the current value. That is, the previous 1 hour is the average value for the previous 1 hour based on 10 minutes before, excluding 10 minutes used for calculating the present value. Therefore, the present value is the average of the detection values for the detection signals inputted from 10 minutes ago to the present, and the reference value is the average of the detection values for the detection signals inputted from 70 minutes before to 10 minutes ago.

또한, 제어부(110)는 1분 단위로 감지값을 연산하여 10분 단위로 현재값(Rs)과 기준값(Ro)을 산출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computes the sensed value in units of one minute to calculate the current value Rs and the reference value Ro in units of ten minutes.

제어부(110)는 1분단위로 감지값을 연산하여 10분 동안의 복수의 감지값, 즉 10개의 감지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현재값(Rs)을 산출하고, 1시간 동안의 감지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기준값으로 산출한다. 이때 현재값(Rs)은 10분동안의 감지값의 평균이고, 10분 단위로 산출되므로, 기준값(Ro)은 1시간 동안에 산출되는 현재값의 평균이 된다. 즉 1시간 동안 산출되는 6개의 현재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기준값을 산출한다. The control unit 110 computes the sensed value at the end of the first minute and calculates a current value Rs by calculating a plurality of sensed values for 10 minutes, that is, an average of 10 sensed values, And calculates it as a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the current value Rs is the average of the sensing values for 10 minutes, and is calculated in units of 10 minutes, so that the reference value Ro is an average of the current values calculated in one hour. That is, the average value of the six current values calculated in one hour i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reference value.

도 10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현재, Tn를 기준으로, 최근 10분, 즉 Tn-1 시간부터 현재 Tn 까지의 제 2 구간(P32) 동안 측정되는 감지값의 평균을 산출하여, 현재 Tn의 현재값(Rs1)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현재 Tn에 대한 기준값(Ro1)을 10분 전인 Tn-1 시간부터 1시간 전인 Tn-3 시간까지의 제 1 구간(P31) 동안 측정되는 감지값의 평균으로 설정한다. As shown in FIG. 10A,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nsing value measured during the second interval P32 from the last 10 minutes, that is, Tn-1 time to the current Tn, And the current value Rs1 of the current Tn is set. Also, the controller 110 sets the reference value Ro1 for the current Tn as the average of the detection values measured during the first interval P31 from Tn-1 hours before 10 minutes to Tn-3 hours before 1 hou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값과 기준값은 10분 단위로 재산출되므로, Tn으로부터 10분 후인 Tn+1 시간에, Tn+1에 대한 기준값(Ro2)은, Tn으로부터 1시간 전인 Tn-2 까지의 제 3구간(P33) 동안 측정되는 감지값의 평균으로 산출된다. 이때 Tn+1의 현재값(Rs2)은 Tn+1과 Tn 의 제 4 구간(P34) 동안 측정되는 감지값의 평균으로 산출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rrent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are re-calculated in units of 10 minutes, the reference value (Ro2) for Tn + 1 in Tn + 1 time after 10 minutes is Tn + 1 Is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he sensing values measured during the third section P33. Here, the current value Rs2 of Tn + 1 is calculated as an average of the detection values measured during Tn + 1 and the fourth period P34 of Tn.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값(R0 내지 R20)은 1분 단위로 산출되고, 감지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현재값(Rs1, Rs2)이 산출된다. 따라서 Tn-1 시간부터 현재 Tn 까지의 제 2 구간(P32) 동안 측정되는 10개의 감지값(R0 내지 R9)의 평균을 연산하여 Tn의 현재값(Rs1)이 산출되고, Tn으로부터 Tn+1 사이의 제 4 구간(P34)동안, 산출되는 10개의 감지값(R10 내지 R19)의 평균을 연산하여 Tn+1에 대한 현재값(Rs2)이 산출된다. As shown in FIG. 10 (b), the sensing values R0 to R20 are calculated in units of one minute, and the current values Rs1 and Rs2 are calculated by calculating an average of the sensing values. Accordingly, the current value Rs1 of Tn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ten sensing values R0 to R9 measured during the second interval P32 from the time Tn-1 to the current time Tn, The current value Rs2 for Tn + 1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ten sensed values R10 to R19 calculated during the fourth period P34 of the first period P34.

Tn의 현재값(Rs1)과 Tn+1의 현재값(Rs2)이 각각 산출되고, 이때 기준값은 이전 1시간, 즉 Tn-3시간 부터 Tn-1시간의 제 1 구간(P31)동안에 산출되는 복수의 감지값의 평균, 즉 제 1 구간(P31)동안 산출되는 60개의 감지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Tn의 기준값(Ro1)이 산출된다. 즉, 제 1 구간(P31) 동안 산출되는 6개의 현재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Tn의 기준값(Ro1)을 산출할 수 있다. A current value Rs1 of Tn + 1 and a current value Rs2 of Tn + 1 are calculated, and the reference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previous one hour, that is, from Tn-3 time to Tn-1 time during the first section P31 The reference value Ro1 of Tn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sensing values of the first period P31, that is, the average of the sixty sensing values calculated during the first period P31. That 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eference value Ro1 of Tn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six current values calculated during the first section P31.

Tn+1의 기준값(Ro2)은 Tn-2 시간부터 Tn시간 까지의 제 3구간(P33) 동안 산출된 60 개의 감지값, 또는 6개의 현재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산출된다. The reference value Ro2 of Tn + 1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60 detection values or six current values calculated during the third interval P33 from Tn-2 time to Tn time.

기준값이 현재값 산출에 사용되는 10분을 제외한 10분 이전의 1시간의 평균을 산출하는 것은, Tn의 기준값(Ro1)이 Tn에 산출되는 현재값(Rs1)을 제외하고 Tn-1의 현재값(Rs0)까지의 평균을 연산하여 산출되기 때문이다. Tn+1의 기준값(Ro2)은 Tn에 산출되는 현재값(Rs1)을 포함하는 평균을 연산하여 산출된다. The calculation of the average of one hour before 10 minutes excluding the 10 minutes in which the reference value is u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current value is to calculate the current value of Tn-1 excluding the current value Rs1 calculated in Tn as the reference value Ro1 of Tn (Rs0) is calculated and calculated. The reference value Ro2 of Tn + 1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an average including the current value Rs1 calculated at Tn.

제어부(110)는 이와 같이 재 산출되는 기준값(Ro)과 현재값(Rs)을 바탕으로 냄새의 변화, 즉 시간에 따른 오염도를 산출하여, Tn 시간의 오염도와 Tn+1 시간의 오염도를 비교하여 탈취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Tn 시간의 오염도는 Rs1/Ro1 이고, Tn+1 시간의 오염도는 Rs2/Ro2가 된다.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the change of the odor, that i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ver time based on the re-calculated reference value Ro and the current value Rs, and compares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Tn time with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Tn + 1 hour Set the deodorization mode. At this time, the pollution degree of Tn time is Rs1 / Ro1, and the pollution degree of Tn + 1 hour is Rs2 / Ro2.

제어부(110)는 Rs/RO의 오염도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이전보다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냄새가 강하게 나는 것으로 판단하여 탈취모드를 파워모드로 변경한다. 탈취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탈취팬이 냉장고 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그에 따라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여 공기중의 세균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또한 냄새를 제거한다. If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Rs / RO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at the smell is stronger than the previous one and changes the deodorization mode to the power mode. The deodorization unit 130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deodorization fan sucks air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ly,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to remove germs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also removes the smell.

파워모드에서, 탈취팬은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10분간 작동 후 5분 정지하는 동작을 설정시간 동안 반복한다. In the power mode, the deodorizing fan repeats the operation for stopping for 5 minutes after the operation for 10 minutes for the set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10. [

탈취모드가 파워모드로 변경된 후에도 냄새센서(122)는 지속적으로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하고, 제어부(110)는 감지신호의 감지값을 산출하여 기준값(Ro)과 현재값(Rs)을 산출함으로써 오염도를 판단한다. After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to the power mode, the odor sensor 122 continuously in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10. The controller 110 calculates a sensed value of the sensed signal and outputs the sensed value as the reference value Ro and the current value Rs.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이때 제어부(110)는 파워모드로 동작 중 산출된 현재값(Rs)이, 파워모드로 변경되지 직전의 기준값보다 큰경우, 탈취모드를 일반자동모드로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파워모드로 동작중, 산출되는 오염도가 설정값보다 크면 탈취모드를 일반자동모드로 변경한다. At this time, when the current value Rs calculated during operation in the power mod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just before the power mode is changed, the controller 110 changes the deodorization mode to the normal automatic mode. If the calculated degree of contamination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during operation in the power mode, the control unit 110 changes the deodorization mode to the normal automatic mode.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탈취를 위한 제어방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deodoriz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 운전 중, 냄새센서(122)는 냉장고 내부의 냄새를 측정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S310). 11, during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1, the odor sensor 122 measures the odor inside the refrigerator and inputs a sensed signal to the controller 110 (S310).

제어부(110)는 냄새센서(12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로부터 냄새에 대한 감지값을 산출하고, 냉장고 내부의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과 현재값을 산출한다(S320).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a sensed value for the smell from the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odor sensor 122, and calculates a reference value and a current value for determining the change of the odor in the refrigerator (S320).

이때 제어부(110)는 감지신호의 전압값을 저항값으로 변환하여 감지값을 산출하고, 감지값의 평균을 이용하여 기준값과 현재값을 산출한다. 제어부(110)는 1분 단위로 감지값을 산출하고, 최근 10분간의 평균으로 현재값을 산출하며, 이전 1시간, 현재값 산출에 사용된 10분을 제외한 그 이전의 1시간의 감지값의 평균을 연산하여 기준값을 산출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converts the voltage value of the sensing signal into a resistance value to calculate a sensing value, and calculates a reference value and a current value using an average of the sensed values.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the detection value in units of one minute, calculates the current value as an average of the last 10 minutes, and calculates the current value of the previous 1 hour, the 10-minute detection value The average is calculated to calculate a reference value.

냄새센서(122)는 냄새가 강한경우 냄새입자와 반응하여 전압이 높게 측정되고 냄새가 약한 경우 냄새입자와의 반응이 적어 전압이 낮게 측정된다. 따라서 감지값은 저항값이므로 냄새가 강한 경우 낮게 산출되고 냄새가 약한 경우 높게 산출된다. 현재값과 기준값 또한, 냄새가 강한 경우 낮게 산출되고 냄새가 약한 경우 높게 산출된다. When the odor is strong, the odor sensor 122 reacts with the odor particles and the voltage is measured to be high. When the odor is weak, the odor sensor 122 reacts with the odor particles so that the voltage is low. Therefore, the detection value is a resistance value, so it is calculated low when the smell is strong and high when the smell is weak. The present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are also calculated to be low when the smell is strong and high when the smell is weak.

제어부(110)는 현재값과 기준값의 비율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냉장고 내부의 오염도를 판단한다(S330). 이때 현재값을 기준값을 나눈 값을 오염도로 하여 냉장고 내부의 냄새에 대한 상대적인 변화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110 compares the ratio between the current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with the set value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side the refrigerator (S330). At this time,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urrent value by the reference value is regarded as the contamination degree, and the change relative to the smell in the refrigerator is determined.

즉 이전 1시간의 냄새의 강도와 최근 10분의 냄새의 강도의 비율을 산출하여 그 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냄새가 강한것, 특히 이전 1시간 보다 냄새가 더 강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값 이상이면 이전 1시간 보다 냄새가 약해진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the ratio of the intensity of the smell of the previous 1 hour to the intensity of the smell of the last 10 minutes is calculated. If the value is less than the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smell is stronger, especially the smell is stronger than the previous one hour. It is judged that the smell is weaker than the previous one hour.

제어부(110)는 오염도가 설정값 미만이면 탈취모드를 일반자동모드에서 파워모드로 변경한다(S340). If the contamination degree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controller 110 changes the deodorization mode from the normal automatic mode to the power mode (S340).

한편, 제어부(110)는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일반자동모드를 유지한다(S390). 이때 탈취모드가 파워모드인 상태에서 오염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냄새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10)는 탈취모드를 일반자동모드로 변경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amination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the controller 110 maintains the normal automatic mode (S390). At this time, if the deodorization mode is the power mode, i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odor has decreased and the controller 110 changes the deodorization mode to the normal automatic mode.

제어부(110)는 탈취모드 변경에 대응하여 탈취부(130)의 탈취팬(131)을 제어하고, 탈취팬(131)은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냉장고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S350). 그에 따라 흡입된 공기를 탈취부(130) 내부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균되고 탈취된다. 필터에는 제균필터와 탈취필터가 구비된다.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deodorization fan 131 of the deodorization unit 130 in response to the deodorization mode change and the deodorization fan 131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to suck the air inside the refrigerator S350. The sucked air is sterilized and deodo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inside the deodorizer 130. [ The filter is provided with an antibacterial filter and a deodorizing filter.

이때, 탈취팬(131)은 일반자동모드에서 약 10분간 동작 후 60분 대기하는 것을 반복하여 동작하고, 파워모드에서 10분간 동작 후 5분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동작한다. At this time, the deodorizing fan 131 repeatedly operates in the normal automatic mode for about 10 minutes and then for 60 minutes in the normal automatic mode, and repeats operation for 10 minutes in the power mode and 5 minutes in the power mode.

냄새센서(122)는 지속적으로 냉장고 내부의 냄새를 측정하여(S360),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The odor sensor 122 continuously measures the odor of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S360), and inputs the odor to the control unit (110).

제어부(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신호에 대한 감지값을 산출하고 그에 따른 현재값과 기준값을 산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a sensing value for the sensing signal and calculates a current value and a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sensing value.

제어부(110)는 탈취모드가 일반자동모드에서 파워모드로 변경된 후, 산출된 현재값이 탈취모드 변경전 기준값과 비교한다(S370).After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from the normal automatic mode to the power mode, the controller 110 compares the calculated current value with the reference value before deodorization mode change (S370).

이때, 현재값이 탈취모드 변경전 기준값보다 큰 경우, 냄새가 약해진것으로 판단하여 탈취모드를 일반 자동모드로 변경한다(S390). At this time, if the current value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before the deodorization mode ch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odor is weak and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to the normal automatic mode (S390).

한편, 현재값이 탈취모드 변경전 기준값 이하인 경우, 파워모드를 유지한다. 파워모드가 유지되면, 제어부(110)는 탈취모드 변경 후 설정시간 경과 여부를 판단한다(S380). 이때 제어부(110)는 파워모드가 최대 5시간을 넘지 않도록 설정시간을 설정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valu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before the deodorizing mode change, the power mode is maintained. If the power mode is maintained,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set time has elapsed after changing the deodorizing mode (S38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sets the set time so that the power mode does not exceed a maximum of 5 hours.

제어부(110)는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면, 현재값과 기준값의 비율, 즉 오염도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탈취모드를 유지하거나 변경한다. When the preset time has not elapsed, the control unit 110 compares the ratio of the current value with the reference value, that i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with the set value to maintain or change the deodorizing mode.

또한, 제어부(110)는 탈취모드 변경 후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파워모드를 해제하고 자동모드로 변경한다(S390). If the set time has passed after the deodorization mode change, the controller 110 cancels the power mode and changes to the automatic mode (S390).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탈취모드가 표시되는 표시부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in which a deodorization mod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표시부(180)는 탈취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오프상태에서 도 12의 (a)와 같이 탈취모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When the deodorization mode is not set, the display unit 180 does not display information on the deodorization mode as shown in Fig. 12 (a) in the off state.

한편 탈취모드가 설정되면 표시부(180)는 일반자동모드에서 도 12의 (b)와 같이 일반자동모드에 대한 아이콘과 문자를 표시하고, 파워모드 설정 시 도 12의 (c)와 같이 파워모드를 아이콘과 그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한다. 예를들어 일반자동모드에서는 탈취모드 아이콘과 '센싱'이 표시되고, 파워모드에서는 탈취모드 아이콘과 '파워센싱'이 표시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eodorization mode is set,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icons and characters for the normal automatic mode as shown in FIG. 12 (b) in the normal automatic mode, Displays the icon and its corresponding character. For example, in the normal automatic mode, the deodorization mode icon and 'sensing' are displayed. In the power mode, the deodorization mode icon and the 'power sensing' are displayed.

이때 탈취모드에 대한 설정은 아이콘 뿐 아니라, 그에 대응하는 이미지, 문자, 특수문자가 표시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tting for the deodorizing mode may be not only the icon but also the corresponding image, character, and special character, and may be displayed by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m, and the lamp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occas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탈취모드가 변경되면 표시부(180)를 제어하여 탈취모드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display unit 180 to output information on the deodorization mod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냄새센서를 구비하여 냉장고 내부의 냄새를 측정함으로써, 식품으로부터 발생한 냄새의 정도에 따라 탈취모드를 자동 변경하여 탈취부를 동작시켜 냄새를 제거한다. 그에 따라 냄새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냄새가 강한 경우에 탈취부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수명이 정해져 있는 필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dor sensor to measure the odor inside the refrigerator, thereby automatically changing the deodoriz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gree of odor generated from the food, and operating the deodorizer to remove the odor. Thereby reducing the user's discomfort due to the smell. Further, when the smell is strong, the deodorizing unit is operated, and the filter whose lifetime is determined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냉장고
110: 제어부 120: 감지부
121: 온도센서 122: 냄새센서
130: 탈취부 131: 탈취팬
132: 필터 133: 살균램프
161: 압축기 170: 입력부
180: 표시부
210: 센서모듈 223: 방수재
224: 센서보드 211: 센서캡
201: 감지재료 204: 소자가열히터
1: Refrigerator
110: control unit 120:
121: temperature sensor 122: odor sensor
130: Deodorization unit 131: Deodorization fan
132: filter 133: sterilization lamp
161: compressor 170: input part
180:
210: Sensor module 223: Waterproofing material
224: Sensor board 211: Sensor cap
201: sensing material 204: element heating heater

Claims (35)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냉장실의 내측 벽면에 장착된 패널;
상기 패널에 결합되어 냉장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냄새를 제거하도록, 탈취팬과 필터로 구성된 탈취부;
상기 필터를 수용하고,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탈취부케이스;
상기 탈취부케이스와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냄새센서; 및
상기 냄새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감지값의 제1설정시간 동안의 제 1 평균값과 제1설정시간 이후의 제2설정시간 동안의 제 2 평균값을 비교하여 평균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탈취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se partitioned by a refrigerating chamber and a freezing chamber to form an internal space;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panel mount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 deodorizing unit coupled to the panel and configured to remove air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to remove the odor;
A deodorization case housing the filter and having a space in which air can be taken in and out;
An odor sensor mounted on the panel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eodorizer case; And
A first average value during a first set time of the sensed value sensed by the odor sensor and a second average value during a second set time after the first set time are compa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odorant fan The refrigerato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평균값을 기준값으로 하고, 상기 제 2 평균값을 현재값으로 하여,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의 비율에 따라 냄새의 농도를 판단하여 상기 탈취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eodorizing pan by using the first average value as a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as a current value and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the odor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Refrigera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을 소정 시간 단위로 재산출하여,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현재값을 통해 상대적인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re-calculates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by a predetermined time unit, and determines a change in relative odor through the continuously changed referenc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시간 단위로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감지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 1 시간보다 큰, 제 2 시간 단위로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을 재산출하여 냄새의 농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ensed value of the odor sensor in a first time unit,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the odor is determined by recalculating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in a second time unit larger than the first ti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값을 상기 기준값으로 나눈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설정값 미만이면 냄새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냄새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are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urrent value by the reference value with a preset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odor has increased when the value is less than the set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odor has decreased when the valu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t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냉장실 내의 공기의 흐름 및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감지값의 평균을 산출하여 냄새의 농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concentration of the odor by calculating an average of the sensed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low and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a refrigeration cycle of the refrige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팬이 설정된 일반자동모드 또는 파워모드 중 어느 하나의 탈취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탈취팬의 회전속도와 동작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the deodorizing fan to operate in a deodorizing mode of either a normal automatic mode or a power mode, and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operating time of the deodorizing fa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을 재산출하여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the controller re-calculates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to determine a change in smel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탈취모드가 변경되기 전에 산출된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탈취모드가 변경된 이후에 산출되는 상기 제 2 평균값을 비교하여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deodorizing mode is changed,
The first average value calculated before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And comparing the second average value calculated after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to determine a change in smel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모드가 상기 파워모드로 변경된 후,
재산출된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에 대한 비율을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탈취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to the power mode,
Wherein the controller changes the deodorizing mode by comparing the re-calculated ratio of the first average value to the second average value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취팬이 상기 파워모드로 설정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파워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releases the power mode when the deodorizing fan is maintained in the power mode for a set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는 반도체형 가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dor sensor is a semiconductor type gas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는 식품의 냄새인 H2S, TMA, MM에 반응하는 In2O2, SnO2 중 어느 하나를 감지재료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dor sensor includes any one of In2O2 and SnO2 which reacts with H2S, TMA, and MM, which are food odors, as a sensing material.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는 상기 감지재료를 가열하는 소자가열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자가열히터는 발열온도가, 상기 냉장고 내부의 냉매가스의 발화점 이하로, 32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dor sensor further comprises an element heating heater for heating the sensing material,
Wherein the element heating heater has an exothermic temperature of 325 degrees or less below the ignition point of the refrigerant gas inside the refrige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는 소형으로, 저온에서 동작 가능하고, 독성이 없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dor sensor is small, is operable at low temperatures,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tox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는 우레탄으로 몰딩되어 방수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dor sensor is molded with urethane and waterproof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는 상기 감지재료를 보호하는 센서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캡은 공기중 냄새입자의 출입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dor sensor further comprises a sensor cap to protect the sensing material,
Wherein the sensor cap is formed with a hole for inserting and discharging odor particles in the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식품이 저장되는 상기 냉장고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odorizing unit is configured to suck indoor air of the refrigerator in which food is stor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and to allow the sucked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성기 필터는 광촉매필터와 탈취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광촉매필터에 의해 공기중 입자가 흡착되어 제균되고, 상기 탈취필터를 통해 냄새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nital filter includes a photocatalytic filter and a deodorizing filter,
Wherein particles of air are adsorbed and removed by the photocatalytic filter while air sucked by the deodorizing fan passes through the filter, and the odor is removed through the deodorizing filte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탈취필터를 적어도 2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ilter includes at least two deodorization filter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드에 대응하는 이미지, 아이콘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n image, an icon and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deodorizing mode.
케이스에 의해 내부공간이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된 냉장고에서, 상기 냉장실의 내측 벽면에 장착된 패널에 설치된, 냄새센서가, 상기 냉장고의 식품이 저장되는 실 내부의 냄새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냄새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감지값의 제1설정시간 동안의 제 1 평균값과 제1설정시간 이후의 제2설정시간 동안의 제 2 평균값을 비교하여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냄새의 변화에 따라, 상기 패널에 결합된 탈취팬이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탈취팬에 의해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기가,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탈취부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필터를 통과하여 토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The odor sensor installed on a panel mount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inner space is partitioned by the case into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ensing the odor inside th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Comparing a first average value of the sensed value sensed by the odor sensor with a first mean value during a second set time period after the first set time period to determine a change in odor;
Operating the deodorizing pan coupled to the panel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odor; And
And the air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discharged by the deodorizing fan through a filter accommodated in a deodorizing case having a space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 and out.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평균값을 기준값으로 하고, 상기 제 2 평균값을 현재값으로하여,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의 비율에 따라 냄새의 농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nge of the odor may include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the odor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with the first average value as th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as the current value Wherein the refrigerator is a refrigerator.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을 소정 시간 단위로 재산출하여,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상기 기준값과 상기 현재값을 통해 상대적인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nge of the odor may include re-calculating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on a predetermined time basis to determine a change in relative odor through the continuously changed reference value and the present value Of the refrigerator.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값을 상기 기준값으로 나눈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설정값 미만이면 냄새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냄새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step of judging the change of the odor may include comparing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current value by the reference value with a set value and judging that the odor is increased when the value is less than the set value and judging that the odor is decreased when the value is not less than the set value Of the refrigerator.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 1 시간 단위로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감지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 1 시간보다 큰, 제 2 시간 단위로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을 재산출하여 냄새의 농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nge of the odor may include computing the sensed value of the odor sensor in a first time unit and re-calculating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in a second unit of time greater than the first time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the odor.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냉장실 내의 공기의 흐름 및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감지값의 평균을 산출하여 냄새의 농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nge of the odor comprises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the odor by calculating an average of the sensed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low of the air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refrigerator, / RTI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팬이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탈취팬의 회전속도와 동작시간이 제어하여 상기 탈취팬이 일반자동모드 또는 파워모드 중 어느 하나의 탈취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deodorizing fan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operating time of the deodorizing fan so that the deodorizing fan operates in either a normal automatic mode or a power mode.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을 재산출하여 냄새의 변화를 재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Further comprising re-calculating the first average value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when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to re-determine the change of the smell.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드가 변경되면,
상기 탈취모드가 변경되기 전에 산출된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탈취모드가 변경된 이후에 산출되는 상기 제 2 평균값을 비교하여 냄새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n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the first average value calculated before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and the second average value calculated after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to determine a change in the smell.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드가 상기 파워모드로 변경된 후,
재산출된 상기 제 1 평균값과 상기 제 2 평균값에 대한 비율을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탈취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After the deodorization mode is changed to the power mode,
Further comprising changing the deodorizing mode by comparing a re-calculated ratio of the first average value to the second average value with a predetermined set value.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모드가 설정된 후, 냄새가 감소한 경우 상기 파워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일반자동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And releasing the power mode and setting the normal automatic mode when the smell decreases after the power mode is s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77497A 2017-06-19 2017-06-19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929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497A KR101929483B1 (en) 2017-06-19 2017-06-19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497A KR101929483B1 (en) 2017-06-19 2017-06-19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229A Division KR101771590B1 (en) 2015-09-16 2015-09-16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576A KR20170073576A (en) 2017-06-28
KR101929483B1 true KR101929483B1 (en) 2018-12-14

Family

ID=5928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497A KR101929483B1 (en) 2017-06-19 2017-06-19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48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479A1 (en) *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Delivery robot loading box sta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321442B1 (en) * 2020-03-31 2021-11-03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Delivery robot loading box condi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609B1 (en) * 2017-07-10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clothes cabinet
KR102168062B1 (en) * 2019-07-10 2020-10-20 이현지 deodorizer for refrigerator
CN111322811A (en) * 2020-04-08 2020-06-23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freshness detection device and method
WO2022231974A1 (en) * 2021-04-26 2022-11-03 Therm-O-Disc Incorporated Sensor assembly for a refrigerant leak detection
CN114485005A (en) * 2022-01-28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Odor removal device, refrigeration equipment, odor removal control method and control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856Y1 (en) 2004-08-31 2004-11-16 주식회사 오토전자 Sensor assembly for air cond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856Y1 (en) 2004-08-31 2004-11-16 주식회사 오토전자 Sensor assembly for air conditio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479A1 (en) *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Delivery robot loading box sta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321442B1 (en) * 2020-03-31 2021-11-03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Delivery robot loading box condi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576A (en)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590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929483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same
US6606869B2 (en) Refrigerator
TWI407067B (en) Refrigerator
JP2545668B2 (en) Sterilizer and deodorizer for refrigerator
JP2019045143A (en) Air conditioner
JP3754601B2 (en) refrigerator
JP2011033296A (en) Refrigerator
JP4752975B2 (en) refrigerator
KR20200074630A (en) artificial intelligence refrigerator
JP2014173744A (en) Refrigerator
JP2007205712A (en) Storage unit
JP5435056B2 (en) refrigerator
KR20200071364A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JP4273691B2 (en) refrigerator
KR20140019565A (en) Refrigerator mounted with pollution sensing device
JP2010091268A (en) Refrigerator
JP2009063280A (en) Refrigerator
JP2004044988A (en) Refrigerator
JP2006258332A (en) Refrigerator
KR20110013120A (en) Refrigerator
CN216694135U (en) Purification device and refrigerator
WO2022025064A1 (en) Freshness keeping device
CN115930538A (en) Refrigerator, odor removal device for refrigerator and odor removal method
JPS63267874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