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201B1 -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201B1
KR101927201B1 KR1020120003412A KR20120003412A KR101927201B1 KR 101927201 B1 KR101927201 B1 KR 101927201B1 KR 1020120003412 A KR1020120003412 A KR 1020120003412A KR 20120003412 A KR20120003412 A KR 20120003412A KR 101927201 B1 KR101927201 B1 KR 10192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main body
receiving groove
back surfac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285A (ko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201B1/ko
Priority to PCT/KR2012/008977 priority patent/WO2013105719A1/en
Priority to US13/669,657 priority patent/US9019702B2/en
Priority to AU2012258337A priority patent/AU2012258337A1/en
Priority to TW101148785A priority patent/TWI597009B/zh
Priority to EP12199360.4A priority patent/EP2615520B1/en
Priority to JP2012287178A priority patent/JP6207155B2/ja
Priority to CN201310010217.6A priority patent/CN103207646B/zh
Publication of KR2013008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4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positive interaction, e.g. male-femal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7Telephone sets adapted to be mounted on a desk or o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본체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출몰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돌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를 평면에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함으로써 거치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나 케이스를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가 용이하고, 소형화, 슬림화된 단말기의 외관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가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또는 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기술 및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 영역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초기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상대방 호출,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점차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모바일 뱅킹(mobile baking)과 같은 금융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사용자들도 점차 청소년 계층으로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일반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강화되고,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통상적인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에 근접한 휴대용 단말기가 상용화되었다. 따라서 이동 중에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동영상 감상, 더 나아가서는 사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물리적인 스위치들로 이루어지는 자판을 활용하는 대신에, 대체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면서,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되면서도 확장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성과 휴대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게 되었다. 터치 스크린은 화면상에 자판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자판 기능을 활성화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나 휴대용 게임기와 달리, 태블릿 PC는 별도의 커버나 케이스와 같은 악세사리를 이용하여 거치대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나 휴대용 게임기 등에 비해 태블릿 PC의 크기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들고 사용하는데 무리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별도의 커버나 케이스를 구매하여 태블릿 PC를 보호함과 아울러 거치대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커버나 케이스를 휴대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이 있고, 단말기에 장착한 상태로 휴대하는 것 또한 불편하다. 더욱이, 별도의 커버나 케이스를 장착하는 것은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 슬림화 추세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지판을 구비함으로써 자가 거치가 가능하면서, 휴대가 용이한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 기능을 제공하는 지지판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실의 위험이 없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커버나 케이스를 추가로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형화, 슬림화에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본체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출몰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돌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는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홈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용홈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개구부에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조작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가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맞물리고, 상기 조작홈은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어 저장 매체를 장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슬롯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은 상기 수용홈의 일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수용홈의 타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판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위치로부터 회동하여 90도 각도 지점 또는 180도 각도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및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일측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 상에 형성되는 캠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캠 부재는 그의 외주면이 상기 판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캠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평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평면들 중 하나에 대면하게 밀착되어 상기 지지판을 90도 각도 지점 또는 180도 각도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캠 부재는 외주면에 걸림 홈들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며, 상기 판 스프링의 일부분이 상기 걸림 홈들 중 하나와 맞물려 상기 지지판을 90도 각도 지점 또는 180도 각도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인쇄 문양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쇄 문양은 상기 지지판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장치; 및 상기 본체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출몰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배면에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판은 상기 부가 장치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배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는 거치대로 활용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더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부가 장치들이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제공되며, 상기 지지판이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부가 장치들 중 하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부가 장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가 장치는 상기 슬롯에 장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저장 매체 또는 배터리 팩이며, 상기 지지판이 상기 슬롯 및 부가 장치를 개폐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및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일측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 상에 형성되는 캠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캠 부재는 그의 외주면이 상기 판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접철된 위치로부터 회동하여 90도 각도 지점 또는 180도 각도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조작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가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맞물리고, 상기 조작홈은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를 평면에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함으로써, 거치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나 케이스를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판은 단말기의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위험이 없고, 소형화, 슬림화된 단말기의 외관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더욱이, 통상적인 태블릿 PC 등의 부가 장치로서 배터리 팩, 또는, 휴대용 단말기 외관으로 드러나는 메모리 카드나 사용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과 같은 저장 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슬롯을 지지판으로 은폐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지지판이 180도 각도 지점까지 회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지지판이 본체의 수용홈에 수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11)가 설치된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판(102)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101)의 배면에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판(102)은 상기 본체(101)의 배면으로 출몰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판(102)은 상기 본체(101)의 배면에 접철되거나 상기 본체(10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 상기 단말기(100)는 키보드와 같은 별도의 입력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는 않다. 다만, 사용자는 도킹 스테이션 방식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등을 통해 별도의 키보드와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1)의 전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홀(113a)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접속하거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113b)가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1)의 배면에는 상기 지지판(10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5), 카메라 모듈(117), 저장 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119a)들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115)에는 상기 단말기(100)의 제조사나 상기 단말기(100)가 공급되는 통신사의 로고 등의 인쇄 문양(119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 문양(119b)은 스티커 등을 부착하거나, 상기 본체(101)의 케이스에 각인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15)은 상기 본체(101)의 배면에서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쪽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아울러, 상기 수용홈(115)은 상기 본체(101)의 배면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지지판(102)을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02)의 외측면은 상기 본체(101)의 배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판(102)은 상기 본체(101)의 배면 일부 영역만을 개폐하면서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될 수 있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수용홈(115)이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판(102)은 상기 본체(101)의 배면 전체를 개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수용홈(115)이 형성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본체(101)의 배면 중, 상기 지지판(102)에 의해 개폐되는 영역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117), 슬롯(119a)이 배치된 구성만을 예시하고 있지만, 배터리 팩을 장착하기 위한 추가의 슬롯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롯(119a)을 통해 통신이나 그래픽 기능 등을 강화하기 위한 확장 카드(expansion card), 대용량 콘텐츠가 내장된 게임 팩 등 다양한 부가 장치를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117)은 상기 수용홈(115)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10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촬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102)에 개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17)이 상기 개구부(121)에 수용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어 촬영 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롯(119a)들은 메모리 카드나 사용자 식별 모듈과 같은 저장 매체를 결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제공된다. 상기 단말기(100)에 제공된 접속 핀(미도시)들과 적절한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저장 매체는 상기 슬롯(119a)들 중 하나의 내부로 일정 길이만큼 삽입된다. 상기 슬롯(119a)으로 삽입되지 않은 저장 매체의 일부분은 상기 수용홈(115) 상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저장 매체를 취출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롯(119a)들 또한 상기 지지판(102)에 의해 은폐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02)의 회동축(A)을 상기 수용홈(115)의 일측단에 배치하고, 상기 슬롯(119a)들은 상기 회동축(A)과 이격된 상기 수용홈(115)의 타측단에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축(A)과 슬롯(119a)들을 이격된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지지판(102)이 회동하여 상기 슬롯(119a)들을 개방했을 때, 사용자가 저장 매체를 장착하거나 취출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착탈식 배터리 팩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경우, 배터리 팩을 장착하는 공간이나 배터리 커버에 의해 은폐되는 공간을 활용하여 저장 매체를 장착하는 슬롯들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착탈식 배터리 팩 구조의 단말기에서는 저장 매체를 장착하는 슬롯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배터리 팩이 내부에 완전히 내장되며, 사용자가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의 단말기인 경우, 통상적으로 저장 매체를 결합하기 위한 슬롯이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으며, 노출된 슬롯은 다시 별도의 커버에 의해 은폐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경우, 상기와 같이 지지판(102)이 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판(102)에 의해 개페되는 영역 내에 메모리 카드나 사용자 식별 모듈을 장착하는 슬롯(119a)들을 배치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101)에 배터리 팩이 내장되면서 사용자가 교체할 수 없는 구조라 하더라도, 메모리 카드나 사용자 식별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슬롯(119a)에 별도의 커버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지지판(102) 자체로서 상기 슬롯(119a)들을 은폐하는 커버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02)에 의해 개폐되는 영역에 배터리 팩을 삽입, 장착할 수 있는 슬롯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102)을 상기 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상기 지지판(102)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본체(101)의 배면 일부분에 상기 수용홈(115)을 형성함과 아울러, 저장 매체를 장착하는 상기 슬롯(119a)들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커버 등을 배치하여 저장 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슬롯들을 은폐하는 구조에서는 커버와 본체 사이의 경계선이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외관 디자인이 저하되는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는 지지판(102)을 이용하여 저장 매체를 장착하는 슬롯(119a)들을 은폐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0)의 외관 디자인이 저하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02)은 상기 본체(101)의 배면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90도 각도 지점에 멈추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각도 지점에 멈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본체(101)의 배면에서 90도 각도만큼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를 평면(129a)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1)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판(102)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를 평면(129a)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판(102)의 크기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상기 본체(101)는 평면(129a)에 대하여 대략 10도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통해 동영상 등을 감상하거나 키보드를 활성화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본체(101)의 배면에서 180도 각도만큼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를 벽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121)는 벽걸이용 홀로 활용된다. 벽걸이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를 디지털 액자나 시계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주방이나 공작실(工作室)과 같이 두 손을 모두 사용해야만 하는 환경에서 상기 단말기(100)를 벽에 걸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면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텔레비전 수상기나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또는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감상하는 때, 외부 기기에 인접하는 벽에 상기 단말기(100)를 걸어 놓고 케이블로 외부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02)을 일정 각도 지점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캠 부재(127a, 127b)와 판 스프링(125a, 125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127a, 127b)는 상기 지지판(102)의 적어도 일측단, 바람직하게는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캠 부재(127a, 127b)는 상기 지지판(102)의 회동축(A)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102)이 회동하면 상기 회동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판 스프링(125a, 125b)은 상기 본체(101)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캠 부재(127a, 127b)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102)이 회동하면 상기 캠 부재(127a, 127b)는 상기 판 스프링(125a, 125b)과 마찰하며, 상기 지지판(102)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캠 부재(127a, 127b)와 판 스프링(125a, 125b) 사이의 정지 마찰력이 작용하여 상기 지지판(102)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캠 부재(127a, 127b)와 판 스프링(125a, 125b) 사이의 정지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02)이 회동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지지판(102)을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홈(1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작홈(123)이 상기 지지판(10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수용홈(115)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동축(A)과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상기 조작홈(123)이 형성되어야 함에 유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동축(A)이 상기 지지판(102)의 한 쪽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상기 조작홈(123)은 상기 지지판(102)의 다른 한 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되면, 상기 지지판(102)의 가장자리는 상기 수용홈(115)의 내측벽과 맞물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작홈(123)은 상기 수용홈(115)의 내측벽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조작홈(123)과 수용홈(115)의 내측벽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여 사용자는 상기 지지판(102)을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102)을 일정 위치에서 정지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캠 부재(127a, 127b)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평면(129a)이나 걸림 홈(129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127a)의 외주면에 평면(129a)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평면(129a)이 상기 판 스프링(125a)과 밀착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판(102)의 정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된 위치로부터 180도만큼 개방된 위치까지 다수의 평면들이 상기 캠 부재(127a)의 외주면에 형성된다면, 상기 지지판(102)의 정지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평면(129a)은 적어도 두 개의 지점, 즉,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된 지점과, 상기 지지판(102)이 회동하여 90도 만큼 개방된 지점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180도 각도 지점에서 상기 지지판(102)이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평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지지판(102)이 180도 각도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주로 벽걸이 형태로 활용되므로, 상기 평면(129a)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본체(101)의 무게에 의해 상기 지지판(102)은 180도 각도 지점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면(129a)은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됨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원통 형상인 상기 캠 부재(127b)의 외주면에 걸림 홈(129b)들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본체(101)에 설치되는 판 스프링(125b)의 일부분(125c)을 상기 걸림 홈(129b)들 중 하나와 맞물리게 하기 위해 상기 판 스프링(125b)을 부분적으로 절곡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125b)의 일부분이 상기 걸림 홈(129b)들 중 하나에 맞물리는 지점은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되거나 상기 본체(101)로부터 회동하여 90도 각도 지점에 이르렀을 때이다. 상기 걸림 홈(129b) 또한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본체(101)로부터 회동하여 180도 각도 지점에 정지되었을 때 상기 판 스프링(125b)의 일부분(125c)과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캠 부재(127a)의 외주면에 평면(129a)을 형성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상기 걸림 홈(129b)은 상기 지지판(102)이 상기 수용홈(115)에 수용된 지점과, 상기 지지판(102)이 회동하여 90도 만큼 개방된 지점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 또한 상기 수용홈(115)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단자가 상기 수용홈(115)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17)이 배치된 위치 또는 그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개구부(121)가 상기 수용홈(115)에 배치된 인터페이스 단자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지지판(102)이 추가의 개구부(12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17)에 인접하게 배치된 인터페이스 단자를 수용할 수 있다.
100: 휴대용 단말기 101: 본체
115: 수용홈 117: 카메라 모듈
119a; 슬롯 119b: 인쇄 문양
102: 지지판 121: 개구부

Claims (19)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본체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출몰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돌출하며,
    적어도 90도 각도 지점과 180도 각도 지점 중 어느 하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홈의 일부분이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개구부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조작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가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맞물리고, 상기 조작홈은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어 저장 매체를 장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슬롯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은 상기 수용홈의 일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수용홈의 타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및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일측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 상에 형성되는 캠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캠 부재는 그의 외주면이 상기 판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평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평면들 중 하나에 대면하게 밀착되어 상기 지지판을 90도 각도 지점 또는 180도 각도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외주면에 걸림 홈들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며, 상기 판 스프링의 일부분이 상기 걸림 홈들 중 하나와 맞물려 상기 지지판을 90도 각도 지점 또는 180도 각도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인쇄 문양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쇄 문양은 상기 지지판에 의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장치; 및
    상기 본체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으로 출몰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배면에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판은 상기 부가 장치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의 배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는 거치대로 활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더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부가 장치들이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제공되며, 상기 지지판이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부가 장치들 중 하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부가 장치는 카메라 모듈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가 장치는 상기 슬롯에 장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저장 매체 또는 배터리 팩이며, 상기 지지판이 상기 슬롯 및 부가 장치를 개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 중, 상기 지지판이 개폐하는 영역에서, 상기 슬롯은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및
    상기 지지판의 적어도 일측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판의 회동축 상에 형성되는 캠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캠 부재는 그의 외주면이 상기 판 스프링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본체의 배면에 접철된 위치로부터 회동하여 90도 각도 지점 또는 180도 각도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조작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가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맞물리고, 상기 조작홈은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20003412A 2012-01-11 2012-01-11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92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12A KR101927201B1 (ko) 2012-01-11 2012-01-11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CT/KR2012/008977 WO2013105719A1 (en) 2012-01-11 2012-10-30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US13/669,657 US9019702B2 (en) 2012-01-11 2012-11-06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AU2012258337A AU2012258337A1 (en) 2012-01-11 2012-11-22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TW101148785A TWI597009B (zh) 2012-01-11 2012-12-20 可攜式終端
EP12199360.4A EP2615520B1 (en) 2012-01-11 2012-12-24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JP2012287178A JP6207155B2 (ja) 2012-01-11 2012-12-28 支持板を設ける携帯用端末機
CN201310010217.6A CN103207646B (zh) 2012-01-11 2013-01-11 具有支撑板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12A KR101927201B1 (ko) 2012-01-11 2012-01-11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285A KR20130082285A (ko) 2013-07-19
KR101927201B1 true KR101927201B1 (ko) 2018-12-11

Family

ID=4768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412A KR101927201B1 (ko) 2012-01-11 2012-01-11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19702B2 (ko)
EP (1) EP2615520B1 (ko)
JP (1) JP6207155B2 (ko)
KR (1) KR101927201B1 (ko)
CN (1) CN103207646B (ko)
AU (1) AU2012258337A1 (ko)
TW (1) TWI597009B (ko)
WO (1) WO2013105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1633A (zh) * 2013-08-21 2020-07-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DE102014202468A1 (de) * 2013-08-21 2015-02-26 Lenovo (Beijing) Co.,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CN105531640B (zh) * 2013-09-25 2018-11-16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计算机的锁杆
CN203882011U (zh) * 2014-03-03 2014-10-15 温州明发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放大镜装置
WO2015167516A1 (en) * 2014-04-30 2015-1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eaf spring computer device stand
EP3010217A1 (en) * 2014-10-19 2016-04-20 Zoom.Me Sp. z o.o. Digital photo frame
EP3010216A1 (en) * 2014-10-19 2016-04-20 Zoom.Me Sp. z o.o. Digital photo frame
USD855052S1 (en) * 2015-10-30 2019-07-30 Lenovo (Beijing) Co., Ltd. Tablet computer
CN105824360A (zh) * 2016-03-10 2016-08-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保护套、电子设备及设备支撑系统
TWI624209B (zh) * 2016-10-14 2018-05-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支撐組件
CN109714455A (zh) * 2018-12-24 2019-05-03 重庆蓝岸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产品标识信息存放系统及手持终端
CN110032241A (zh) * 2019-01-30 2019-07-19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移动终端
US11329682B2 (en) 2020-07-29 2022-05-10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non-touch user interface
TWM632277U (zh) * 2022-05-20 2022-09-21 振曜科技股份有限公司 多功能顯示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3414A1 (en) 2008-12-01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supporting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200B2 (ja) 1989-06-26 1995-06-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の現在位置表示装置
US5199888A (en) * 1992-01-24 1993-04-06 Compaq Computer Corporation Apparatus for covering the electrical connectors of a notebook computer
US5375076A (en) * 1993-09-10 1994-12-20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ombined notepad and notebook computer
US5592362A (en) * 1993-10-29 1997-01-07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system having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external expansion unit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KR0138235B1 (ko) * 1994-08-23 1998-07-01 김광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힌지장치
US6002581A (en) * 1997-08-19 1999-12-14 Gateway 2000, Inc. Lap top computer system with elevating port cover
FR2773302B1 (fr) * 1997-12-30 2000-02-04 Bull Cp8 Dispositif lecteur de carte, notamment de carte a puce
US6157717A (en) * 1998-03-19 2000-12-05 Qualcomm Incorporated Snap hinge mechanism for flip style portable phone
JP3005543B1 (ja) * 1998-10-14 2000-01-31 日本電気オフィスシステム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
JP2000132278A (ja) 1998-10-22 2000-05-12 International Intelligent Infomation:Kk 知的情報家電:インフォメーションパネル
JP4634668B2 (ja) * 2001-08-30 2011-02-16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US6757160B2 (en) * 2002-06-06 2004-06-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door for use with an electronic device
KR20040095406A (ko) *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거치수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052831A1 (en) 2003-09-08 2005-03-10 Inventec Corporation Lift-back tablet computer background of the invention
KR100560921B1 (ko) * 2003-10-16 2006-03-14 주식회사 팬택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CN2742724Y (zh) * 2004-05-26 2005-11-23 广州矽金塔电子有限公司 具有支撑架的便携式电子产品
US20060028791A1 (en) * 2004-08-03 2006-02-09 Tatung Co., Ltd. Mobile computer and peripheral device arrangement
US20060109617A1 (en) * 2004-11-22 2006-05-25 Tatung Co., Ltd. Touch pen holder and touch pen arrangement
TWI280772B (en) * 2005-06-21 2007-05-01 Inventec Appliances Corp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prop
TW200743935A (en) * 2006-05-19 2007-12-01 First Int Computer Inc Variable structure of the panel of portable computer
KR100790106B1 (ko) * 2006-05-2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WI309346B (en) * 2006-08-30 2009-05-01 Asustek Comp Inc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US7502222B2 (en) * 2006-09-20 2009-03-10 Arima Computer Corporation Tablet PC and method for sustaining the same
KR101425223B1 (ko) * 2007-09-28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WI352277B (en) * 2007-12-07 2011-11-11 Asustek Comp Inc Fold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ual mode
CN101730411A (zh) * 2008-10-24 2010-06-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US7782610B2 (en) 2008-11-17 2010-08-24 Incase Designs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battery
CN101754609B (zh) * 2008-12-08 2012-08-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TWI359353B (en) * 2009-05-19 2012-03-01 Htc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10077061A1 (en) 2009-07-03 2011-03-31 Alex Danze Cell phone or pda compact case
CN102473022B (zh) * 2009-07-22 2014-11-05 惠普开发有限公司 模块化平板监视器支架
TW201106132A (en) * 2009-08-11 2011-02-16 Acer Inc Notebook computer
JP2011065616A (ja) * 2009-08-21 2011-03-31 Sony Corp 電子機器
CN102105027A (zh) * 2009-12-22 2011-06-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CN102137578A (zh) * 2010-01-26 2011-07-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支撑装置的设备
US8231099B2 (en) * 2010-04-22 2012-07-31 E-Lead Electronic Co., Ltd. Protective cover support r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201689372U (zh) 2010-05-19 2010-12-29 袁卢辉 一种多段支撑式平板触控电脑保护壳
JP5554682B2 (ja) * 2010-10-27 2014-07-2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3414A1 (en) 2008-12-01 201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having support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19702B2 (en) 2015-04-28
JP2013143772A (ja) 2013-07-22
TW201338685A (zh) 2013-09-16
AU2012258337A1 (en) 2013-07-25
EP2615520B1 (en) 2018-05-02
US20130176681A1 (en) 2013-07-11
TWI597009B (zh) 2017-08-21
JP6207155B2 (ja) 2017-10-04
KR20130082285A (ko) 2013-07-19
CN103207646B (zh) 2018-04-10
CN103207646A (zh) 2013-07-17
WO2013105719A1 (en) 2013-07-18
EP2615520A3 (en) 2015-09-02
EP2615520A2 (en)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AU2013278222B2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terminal
US8195255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7199554B2 (en) Desktop charger for bar-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EP2432197B1 (en) Slid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pivoting stand
US9081544B2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CN101005523A (zh) 便携式通信设备
US20110128511A1 (en) Folding-type portable device
KR10175647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EP1594293A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KR2006003718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JP2014107714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58207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0790106B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13332B1 (ko)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
KR100881579B1 (ko) 멀티 모드 구조
KR20090005910U (ko) 휴대용 디지털기기 케이스
KR100697648B1 (ko) 개인휴대단말기
JP2002149275A (ja) 電子機器
CN117640809A (zh) 折叠式便携设备用附着型自动铰链保护罩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6508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24151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34292A (ko) 자기 거치 타입 휴대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