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622B1 - Touch window - Google Patents

Touch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622B1
KR101926622B1 KR1020110126152A KR20110126152A KR101926622B1 KR 101926622 B1 KR101926622 B1 KR 101926622B1 KR 1020110126152 A KR1020110126152 A KR 1020110126152A KR 20110126152 A KR20110126152 A KR 20110126152A KR 101926622 B1 KR101926622 B1 KR 101926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ctrode
electrode pattern
pattern
touch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9916A (en
Inventor
박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622B1/en
Publication of KR20130059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9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6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윈도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감지전극패턴층을 통해 화면영역(V/A)과 비활성영역(D/A)을 구현하는 터치센서모듈과 상기 터치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신호입력을 수용하여 처리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FPCB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FPCB 모듈은 적어도 2 이상의 터치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비에 다수의 터치센서모듈을 결합하는 경우 다수의 터치 제품에도 하나의 FPCB 어세이를 사용하여 장비의 기구적 공간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window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sensor module that is disposed under a transparent window and implements a screen area (V / A) and a non-active area (D / A) And an FPCB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and including a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touch signal input. The FPCB module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wo or more touch sensor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touch sensor modules are coupled to on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echanical space utilization of the equipment by using one FPCB assay for a plurality of touch products, It is effective.

Description

터치윈도우{Touch window}Touch window {Touch window}

본 발명은 다수의 터치패널을 적용하는 제품의 활용도를 향상할 수 있는 모듈을 구비한 터치윈도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window having a module capable of improving utilization of a product to which a plurality of touch panels are applied.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의 주요 구성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다층의 구조의 접착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X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터치패널은 투명윈도우(window;10) 하부에 상부 OCA(50), 그 하부에 상부전극층(ITO;40)과 하부OCA(30), 하부전극층(20)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하부에 액정패널(LCD;60)과 접착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층의 합착으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패널(TSP)는 FPCB 모듈과의 본딩을 위해 상술한 상부 OCA(50),상부전극층(ITO;40),하부OCA(30)를 절단하여 연결패드(P)가 노출되는 본딩영역(C)을 구비하게 된다.FIGS. 1 and 2 show the main components of the capacitive touch panel. Fig. 1 shows a plan view of such an adhesive structure having such a multi-layer structure, and Fig. 2 shows a sectional view cut along the X-ray of Fig. Referring to FIG. 1, the touch panel includes an upper OCA 50 under a transparent window 10, an upper electrode layer 40 (ITO) 40 under the OCA 50, a lower OCA 30 and a lower electrode layer 20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LCD) 60 is bonded to the lower portion. The touch screen panel TSP formed by joining the various layers cuts the upper OCA 50, the upper electrode layer 40 and the lower OCA 30 for bonding with the FPCB module to form connection pads P Is exposed.

도 3은 상술한 구조의 터치패널의 평면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 화면영역(10)에서 배선부의 말단인 상술한 연결패드(P)는 연성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연결되며, 상기 FPCB는 커넥터(90)을 통해 외부의 메인IC가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PCB;70)에 연결되게 된다. 메인IC가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PCB;70)에는 터치 IC(80)를 실장하여 구성될 수 있다.3 is a plan view of the touch panel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the screen region 10,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P, The FPCB is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CB) 70 on which an external main IC is formed through a connector 90. The touch IC 80 may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70 on which the main IC is formed.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터치패널의 연결을 다중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결합모듈에 대한 기술이 없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no description of a coupling module capable of multiplexing the connection of the touch panel.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비에 다수의 터치센서모듈을 결합하는 경우 다수의 터치 제품에도 하나의 FPCB 어세이를 사용하여 장비의 기구적 공간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sensor module, in which a single FPCB And to provide equipment that can increase utilization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감지전극패턴층을 통해 화면영역(V/A)과 비활성영역(D/A)을 구현하는 터치센서모듈; 상기 터치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신호입력을 수용하여 처리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FPCB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FPCB 모듈은 적어도 2 이상의 터치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치윈도우로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ensor module including: a touch sensor modul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a transparent window and implementing a screen area (V / A) and a non-active area (D / A) through a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And a FPCB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module and including a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touch signal input, wherein the FPCB module includes a touch window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wo touch sensor modules, .

또한, 상기 FPCB 모듈은, 상기 감지전극패턴층의 터치신호를 수용하는 터치IC를 포함하는 집적회로부; 상기 집적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수의 터치센서모듈의 연결패드와 결합하는 접합패드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치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FPCB module may include an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a touch IC that receives a touch signal of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And a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portion and including a bonding pad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ds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modules.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집적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브랜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랜치부의 말단에 상기 접합패드부가 구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two branch port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portion, and the bonding pad portion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branch portion.

또한, 상기 브랜치부는,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연성(flexible)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nch portion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made of any one of polyimi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carbonate (PC).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를 구성하는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 상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패턴화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odule constituting 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substrate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and a base substrate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may include a first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또는, 상술한 구조와는 달리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윈도우에 제1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며, 일면에 감지전극이 형성되는 제1감지전극패턴층과, 상기 제1감지전극패턴층의 타면에 제2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며, 일면에 감지전극이 형성되는 제2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unlik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touch sensor module includes a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bonded to the transparent window through a first adhesive material layer and having sensing electrod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that is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layer through a second adhesive material layer and has sensing electrod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아울러,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윈도우 상에 직접 형성되며, 상호 절연되도록 패터닝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touch sensor module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directly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and patterned to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 윈도우의 일면 상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어느 한쪽면에 직접 형성되며, 상호 절연되도록 패터닝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odule may include a base substrate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first and second sensors formed directly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patterned to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tructure including an electrode pattern.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감지전극패턴층의 감지전극과 상기 배선부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감지전극 패턴층 또는 제2감지전극패턴층은, 각각의 단위감지전극이 메쉬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메쉬구조는, 상기 단위패턴의 외각부를 형성하는 외부라인패턴;과 상기 외부라인패턴 내부를 교차구조로 연결하는 내부라인패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sensing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s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iring portion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this case, the unit sensing electrodes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or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are formed in a mesh structure, and the mesh structure may include an outer line pattern forming an outer portion of the unit pattern, And an internal line pattern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line pattern in a crossing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제1감지전극 패턴층 또는 제2감지전극패턴층은, 각각 일부가 상호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감지전극패턴 또는 상기 제2감지전극패턴 중 어느 하나는 주기성을 가지는 곡률패턴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주기성을 가지는 곡률패턴은, 제n곡률부와 제(n+1)곡률부의 사이에 선형 감지전극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or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constituting the touch sens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such that a part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or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overlaps with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or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In this case, the curvature pattern having the periodicity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linear sensing electrode pattern is disposed between the n-th curvature portion and the (n + 1) -th curvature portion .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비에 다수의 터치센서모듈을 결합하는 경우 다수의 터치 제품에도 하나의 FPCB 어세이를 사용하여 장비의 기구적 공간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touch sensor modules are coupled to on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echanical space utilization of the equipment by using one FPCB assay for a plurality of touch products, It is effectiv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터치윈도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및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터치윈도우의 평면도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FPCB 모듈로 구현되는 터치윈도우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8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전극패턴과 금속배선패턴이 구현되는 터치센서모듈의 평면도 및 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서 형성한 감지전극패턴의 형상을 달리 구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6에서 도시한 터치센서모듈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과 다른 구조의 터치센서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개념도이다.
FIG. 1 and FIG. 2 are a plan view and a main part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ouch window,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lan view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ouch window.
4 and 5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a touch window implemented by the FPCB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a plan view and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sensor module in which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and the metal wiring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mplemented.
FIG. 9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hapes of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s formed in FIGS. 7 and 8 are differently embodied.
FIG. 10 show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touch sensor module shown in FIG.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sensor module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의 요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in part of a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는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감지전극패턴층을 통해 화면영역(V/A)과 비활성영역(D/A)을 구현하는 터치센서모듈(TSP1, TSP2)과 상기 터치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신호입력을 수용하여 처리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FPCB 모듈(F)을 포함하되, 상기 FPCB 모듈은 적어도 2 이상의 터치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B1, B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ouch sensor modules TSP 1 and TSP 2 disposed at the bottom of a transparent window and implementing a display area V / A and a non-active area D / A through a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And an FPCB module (F)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module and including a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touch signal input, wherein the FPCB module includes connection portions (B1, B2)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wo or more touch sensor modules, B2).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것은 투명윈도우(미도시)의 하부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모듈의 적층구조를 평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모듈(TSP)은 터치 자극에 대응하여 정전용량의 차이를 감지하는 제1감지전극패턴(112;Tx)와 제2감지전극패턴(132;Rx)이 상호 이격된 구조로 배치되며, 각각의 감지전극의 패턴은 비활성영역(D/A)에 배치되는 배선패턴(미도시)을 통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4, the structure of the touch sensor module is shown in a plan view. The touch sensor module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a transparent window (not show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TSP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132 Rx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ense a capacitance difference corresponding to a touch stimulu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via a wiring pattern (not shown) disposed in the inactive area D / A.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센서모듈(TSP) 내부의 감지전극패턴에는 배선부가 연결되어, 터치센서모듈(TSP)의 화면표시 및 접촉 감지 패널이 적용되는 배선부는 접촉의 수와 위치 등을 판단하고 터치센서모듈(TSP)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전자기기 내부의 다양한 기구 형상에 대응하기 위해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회로패턴은 연결패드와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접촉 여부 및 접촉이 발생한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의 FPCB는, 상기 감지전극패턴층(Tx, Rx)의 터치신호를 배선부를 통해 수용하는 터치IC(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wiring part is connected to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in the touch sensor module TS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reen display of the touch sensor module TSP and the wiring part to which the touch sensing panel is applied judge the number and position of contact,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uch sensor module TSP. In this cas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s used in order to cope with various device shapes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The circuit pattern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d to receive the sensing signal,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ntact state and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has occurred by using the sensing signal. In this case, the FPCB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touch IC (not shown) for receiving a touch signal of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s Tx and Rx through a wiring portion.

이러한 터치센서모듈(TSP1, TSP2)은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2 이상의 개수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하기 위한 FPCB 모듈(F)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나의 IC 칩을 구비하는 집적회로부(410)와 상기 집적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수의 터치센서모듈의 연결패드부와 결합하는 접합패드부(P1, P2), 그리고 집적회로부와 접합패드부를 연결하는 브랜치부(B1, B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패드부(P1, P2)는 상기 터치센서모듈의 연결패드부와 ACF 본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연결패드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3의 도시된 것과 같이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배선패턴의 말단에 패드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or modules TSP1 and TSP2 are provided with an FPCB module F for implementing a structure capable of connecting at least two or more touch sensors. That is, an integrated circuit portion 410 having one IC chip, bonding pad portions P1 and P2,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portion and are coupled to connection pad portions of a plurality of touch sensor modules, And branch portions B1 and B2 connecting the pad portions. The bonding pad portions P1 and P2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ad portion of the touch sensor module by ACF bonding or the like. 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on pad portion may be formed in a pad shape at the end of a wiring pattern connected to the sensing electrode as shown in FIG.

상기 접합패드부(P1, P2)는 상기 브랜치부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브랜치(branch)부(B1, B2)는 도시되 도면에서는 2개인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그 이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터치 IC 회로를 구비하되 다수의 복합연결 방식의 브랜치부(B1, B2)를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터치센서모듈을 연결하는 구조의 터치윈도우를 제공한다. Although the bonding pad portions P1 and P2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branch portions and the branch portions B1 and B2 have two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 something to do.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window having a single touch IC circuit and a plurality of bridge units B1 and B2 of a complex connection type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touch sensor modules using the branch units B1 and B2.

또한, 상기 브랜치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MMA(PolyMethly MethaAcryl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연성(flexible)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ranch portion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made of any one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C (polycarbonate), PES (polyether sulfone), PI (polyimide) and PMMA (poly methlylacrylate).

도 4는 설명을 위해 평면상으로 구현하였으나, 도 5와 같이 FPCB 모듈(F)의 앞면 및 뒷면에 각각에 브랜치(B1, B2)를 형성하여, 터치센서모듈(TSP1, TSP2)이 접히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5, the branches B1 and B2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PCB module F, respectively, so that the touch sensor modules TSP1 and TSP2 are folde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implement this.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요지에 의하면, 하나의 장비에 다수의 터치센서모듈을 결합하는 경우 다수의 터치 제품에도 하나의 FPCB 어세이를 사용하여 장비의 기구적 공간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touch sensor modules are connected to one equipment, a single FPCB assay can be used for a plurality of touch products to increase the mechanical space utilization of the equipment, .

터치센서모듈(TSP)은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odule TSP may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투명윈도우(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터치센서모듈(TSP)은 베이스기판(130, 110)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 또는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패턴화되는 감지전극(132, 11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6, a touch sensor module TSP formed under the transparent window 100 includes a base substrate 130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patter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132, 112).

즉, 상기 투명윈도우(100)에 제1접착물질층(140)을 매개로 접착되며, 일면에 감지전극패턴(132)이 형성되는 제1감지전극패턴층과, 상기 제1감지전극패턴층의 타면에 제2접착물질층(120)을 매개로 접착되며, 일면에 감지전극패턴(112)이 형성되는 제2감지전극패턴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is bonded to the transparent window 100 through the first adhesive material layer 140 and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13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which is adhered to the other surface via a second adhesive material layer 120 and has a sensing electrode pattern 112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특히,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제1감지전극패턴(132)와 제2감지전극패턴(112)는 상호 다른 베이스기재(130, 110)에 각각 형성되어 이격되는 구조이며, 상기 제1 및 제2감지전극패턴은 상호 이격되는 배치에서 평면도 상으로는 오버랩되는 영역(Q1)이 형성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6 and 7, each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s 13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112 is formed on and separated from the other base substrates 130 and 110,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region Q1 overlapping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is formed in a plan view.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제1감지전극패턴(Tx1)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감지전극패턴(Rx1)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오버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감지전극패턴층을 구성하는 단위 감지전극 패턴 즉, Rx1, Rx2, Rx3의 각각의 양단에는 각각의 배선부가 연결된다. That is,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Rx1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Tx1 may be linearly formed and overlapp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S. 6 and 7. Particularly, respective wir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unit sensing electrode pattern, that is, Rx1, Rx2, and Rx3, which constitute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Rx1의 양단에는 a1, a2의 단위배선부가 연결되며, Rx2에는 b1, b2의 단위배선부가 연결되는 구조이다. 즉, 이를 통해 단위 감지전극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단위배선부를 가지는 구조를 구비해 센싱영역의 양쪽에 배선을 가짐으로써 센싱을 위한 전하의 충진시간을 단축하여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a unit wiring portion of a1 and a2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Rx1, and a unit wiring portion of b1 and b2 is connected to Rx2.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has a unit wiring por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nit sensing electrode, thereby providing wiring on both sides of the sensing region, thereby shortening the charging time of the charge for sensing and improving the sensing performance.

물론, 제1감지전극패턴을 구성하는 Tx1, Tx2, Tx3 의 양단에도 배선부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제2감지전극패턴(Rx1, Rx2, Rx3)의 양단에 각각 배선부를 형성하는 더블라우팅(double routing) 구조를 실제로 구현한 평면도이다. 이러한 구조는 터치윈도우의 제1감지전극패턴 또는 제2감지전극패턴의 단위 감지전극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단위배선부를 가지는 구조를 구비해 센싱영역의 양쪽에 배선을 가짐으로써 센싱을 위한 전하의 충진시간을 단축하여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ructure in which the wir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x1, Tx2, and Tx3 constitu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7 is a plan view actually implementing a double routing structure in which wiring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Rx1, Rx2 and Rx3. Such a structure has a unit wiring por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nit sensing electrodes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or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of the touch window and has wirings on both sides of the sensing region to charge the charge for sensing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and improve the sensing performance.

도 8은 도 7에서 상호 오버랩되는 영역을 가지는 다수의 감지전극패턴의 배열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 patterns having mutually overlapping regions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감지전극패턴이 오버랩되게 구현되는 경우, 특히 어느 하나의 감지전극패턴을 곡률패턴으로 구현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are form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 sensing electrode pattern is formed in a curvature pattern.

즉, 본 실시예에서의 감지전극패턴층은 2개의 감지전극패턴층이 상호 이격되어 대향배치됨과 동시에, 배치되는 패턴의 형상이 상호 오버랩되되, 그중 어느 하나가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는 곡률을 구비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in this embodiment, the two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s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mutual spacing, and the shapes of the arranged sensing patterns overlap each other, and any one of them has a curvature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icity .

즉,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감지전극패턴(Tx1)이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는 곡률패턴을 구비하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감지전극패턴(Rx1)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6의 구조에서 각각의 제1감지전극패턴(132)와 제2감지전극패턴(112)는 상호 다른 베이스기재(130, 110)에 각각 형성되어 이격되나, 상부에서 바라보는 평면도 상에는 제1감지전극패턴(132)는 곡률패턴을 형성하는 구조이며, 제2감지전극패턴(112)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오버랩되는 영역(도 8의 Q2)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아닌 형태로, 도 7의 오버랩 영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감지전극패턴의 말단에는 배선패턴(a1, a2, b1, b2)이 양쪽에 모두 연결되어 더블라우팅 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감지전극에서 센싱한 신호를 더욱 빠르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Tx1 may have a curvature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icity,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Rx1 formed to be spaced apart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6, each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s 132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112 is formed on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base substrates 130 and 110, but on the plan view viewed from above,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132 is a structure for forming a curvature pattern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112 is formed in a linear shape so that the regions (Q2 in FIG. 8) that are mutually overlapped are not rectangular or square, 7 overlapping each other. In addition, the wiring patterns a1, a2, b1, and b2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and double-routed. This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faster sensing of the sensing signal at the sensing electrode.

본 발명에서 이하 곡률패턴이라 함은,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마루와 골 형상을 가지는 직선형이 아닌 패턴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루와 골(S1, S2, S3)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사인형 곡률이나, 코사인형 곡률패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 외에 그재그형 직선 절곡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의 A 및 B 선분은 각 곡률패턴의 마루와 골의 정점을 지나는 가상의 선분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ature pattern is defined as including all non-linear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icity and having a floor and a bony shape. Particularly preferably, as shown in FIG. 8, the floor and the valleys S1, S2 and S3 may have a sine-like curvature or a cosine-like curvature pattern which is periodically repeated. In addition to this structure, It may be formed in a periodically repeated structure. 8A and 8B are imaginary line segments passing through the floor of each curvature pattern and the apex of the goal.

특히, 상기 주기성을 가지는 곡률패턴은, 제n곡률부와 제(n+1)곡률부의 사이에 직선형 감지전극패턴이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n은 1이상의 자연수). 즉, 도 8에 도시된 구조를 참조하면, 제1감지전극패턴(Tx1)의 제1곡률부(S1)과 제2곡률부(S 2) 사이에 직선형 제2감지전극패턴(Rx1)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감지전극패턴이 곡률패턴인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제1감지전극패턴이 직선패턴이며, 제2감지전극패턴이 곡률패턴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1감지전극패턴(Tx1)과 상기 제2감지전극패턴(Rx1)이 오버랩되는 각도(θ12)는 직각이 아니라 예각 또는 둔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ature pattern having the periodicity is formed such that a linear sensing electrode pattern is disposed between the n-th curvature portion and the (n + 1) -th curvature portio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8, a linear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Rx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urvature portion S1 and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S2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Tx1 . Of cours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is a curvature pattern. Alternatively,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may be a linear pattern,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may be a curvature pattern. In addition, the angles? 1 and? 2 at which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Tx1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Rx1 overlap can be formed at an acute angle or an obtuse angle instead of the right angle.

아울러,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는 곡률패턴이 사인형이나 코사인형의 주기성을 가지는 경우, 제2감지전극패턴은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의 1/2지점, 즉 변곡점 지점을 지나며 교차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구도는 교차영역(Q2)를 극대화하여 터치 센싱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광학특성을 종래의 직교구조의 배치보다 투명하게 형성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구조에서 또한, 상기 제1 및 제2접착절연층은 OCA 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층은 베이스기재상에 ITO(Indium-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Ag 나노와이어(Ag NW) 또는 전도성 폴리머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전극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Particularly preferably, when the curvatur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periodicity of a sine or cosine type,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crosses the first curvature portion and the second curvature portion, that is, the inflection point, . This arrangement maximizes the crossing area Q2 to improve the touch sensing efficiency, and also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visibility by form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 more transparent than the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orthogonal structure. 6,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insulating layers may be OCA films,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s may be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IZO An electrode pattern may be formed of any one of indium zinc oxide (ITO), zinc oxide (ZnO), carbon nanotube (CNT), graphene, Ag nanowire (Ag NW), and conductive polymer.

또는, 도 6의 구조에서, 상기 제2 및 제1 감지전극패턴(112, 132)을 각각 연결하는 금속배선부(111, 131)를 형성하되, 상술한 투명 전극물질을 이용하는 것이아니라, Ag, Al, Cu 등의 도전성물질을 이용하여 배선부와 감지전극패턴을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n the structure of FIG. 6, the metal wiring parts 111 and 131 for connecting the second and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s 112 and 132 are formed. Instead of using the above-described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g, A step of simultaneously forming a wiring portion and a sensing electrode pattern using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l or Cu may be used.

이는 ITO 물질을 이용하여 전극의 패턴 형성시 패턴의 형상이 보이게 되며, ITO 물질이 고가의 물질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됨은 물론, ITO 물질의 막경도 저하로 하나의 단일한 베이스기판에 양면 ITO 물질층을 가지는 구조를 구현하기가 어려운 제조상의 문제를 해소하여, ITO 물질 대신, 광학기재에 도전성물질을 형성, 패터닝하여 유효부와 배선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추며 막경도 저하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는 공정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pattern can be seen when the pattern of the electrode is formed using the ITO material,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expensive ITO material and the film hardness of the ITO material is lowered, Laye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an effective portion and a wiring portion simultaneously by forming and pattern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n optical substrate instead of an ITO material, There is also an effect of providing a process capable of realizing various degrees of freedom of design without receiving it.

도 9는 도 7 및 도 8에서 형성한 감지전극패턴의 형상을 달리 구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9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hapes of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s formed in FIGS. 7 and 8 are differently embodied.

도시된 도 9를 참조하면, 도시된 구조와 같이 전극패턴이 메쉬형으로 구성된 구조의 터치센서모듈을 구현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감지전극패턴은 제2실시예와는 달리 감지전극패턴의 하나의 패턴, 즉 단위패턴이 메쉬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쉬구조'란 상기 단위패턴의 외각부를 형성하는 외부라인패턴(M1)과 상기 외부라인패턴 내부를 교차구조로 연결하는 내부라인패턴(M2)을 포함하는 구조로 정의한다. 특히, 상기 외부라인패턴(M1)은 다각형 구조 이외에도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라인형상의 도전 물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9, it is possible to form a touch sensor modu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electrode patterns are formed in a mesh shap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one pattern of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s, that is, a unit pattern is formed in a mesh structure. The 'mesh struc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efined as a structure including an outer line pattern M1 forming an outer portion of the unit pattern and an inner line pattern M2 connecting the inner portion of the outer line pattern in an intersecting structure. In particular, the outer line pattern M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n elliptic shape in addition to the polygonal structure, and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n a line shape.

또한, 상기 내부라인패턴(M)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부라인패턴(M2)를 내부에서 교차구조로 연결하는 라인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직선구조의 다수의 패턴이 망구조를 이루며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직선 구조뿐 아니라 다양한 곡선구조의 배치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쉬구조의 감지전극은 3㎛~10㎛의 도전성 물질로 이어지는 선(line)을 다각형 메쉬형상으로 형성하여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ner line pattern M may be formed as a set of lines connecting the outer line pattern M2 internally in a cross structure,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a plurality of patterns of a linear structure may be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to form a network structure. Of course, not only a linear structure but also various curved structures can be applied. The sensing electrode of the me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o a polygonal mesh shape with a line extending from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3 占 퐉 to 10 占 퐉 so that an electric signal can be transmitted.

이 경우 메쉬구조를 이루는 내부패턴라인(M2)의 교차구조에서의 교차각도의 조절과 선폭의 조절을 통해 신호전달의 효율을 크게 증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배선부과 감지전극패턴을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제작하는 공정을 구현하는바, 공정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ITO 물질을 사용하지 않게 되는바, 공정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재료비 및 공정비의 절감에서 오는 신호전달의 효율을 메쉬구조로 증진시켜 고 효율의 제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지전극 및 배선에 이용되는 도전성 물질은 Ag, Cu, Al 등 다양한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fficiency of signal transmission can be greatly improved by controlling the crossing angle and controlling the line width in the crossing structure of the internal pattern line M2 forming the mesh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simultaneously fabricating the wiring part and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using the same material is performed, not only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but also the ITO material is not used, and the process cost can be greatly reduced.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he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reduction of the material cost and the process ratio is promoted to the mesh structure, thereby realizing the high efficiency product.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for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wir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materials such as Ag, Cu, and Al.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것과 같이 투명 전극물질을 이용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7 및 도 8에서의 상기 제2 및 제1 감지전극패턴(112, 132)을 각각 연결하는 배선부(111, 131)를 Ag, Al, Cu 등의 도전성물질을 이용하여 배선부와 감지전극패턴을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ITO 물질을 이용하여 전극의 패턴 형성시 패턴의 형상이 보이게 되며, ITO 물질이 고가의 물질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됨은 물론, ITO 물질의 막경도 저하로 하나의 단일한 베이스기판에 양면 ITO 물질층을 가지는 구조를 구현하기가 어려운 제조상의 문제를 해소하여, ITO 물질 대신, 광학기재에 도전성물질을 형성, 패터닝하여 유효부와 배선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추며 막경도 저하에 구애받지 않는 효과가 구현됨은 상술한 바 있다.
In this embodiment, instead of forming the electrodes us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wiring portions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second and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s 112 and 132 in FIGS. 7 and 8 111, and 131 may be forme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g, Al, or Cu at the same time to form a wiring portion and a sensing electrode pattern. 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pattern can be seen when the pattern of the electrode is formed using the ITO material,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expensive ITO material and the film hardness of the ITO material is lowered, Laye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an effective portion and a wiring portion simultaneously by forming and patterning a conductive material on an optical substrate instead of an ITO material, The effect of not receiving is realized as described above.

도 10을 참조하면, 도 6에서 도시한 터치센서모듈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0, another structure of the touch sensor module shown in FIG. 6 is shown.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기판(230)의 양면에 감지전극(232)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점에서 구조상의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전극의 양단을 더블라우팅 구조로 연결하는 배선부(231)이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감지전극(232) 패턴은 도 7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구조 및 변형범위, 재질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전극 및 배선부를 동시에 패터닝하여 도전성물질로 형성하는 것도 역시 동일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기판(230)의 하면의 감지전극패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2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re is a difference in structure in that a pattern of the sensing electrode 23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substrate 230. In addition, a wiring portion 231 connecting both ends of the sensing electrode in a double routing structure is formed. The sensing electrode 232 may have the structure, the modified range, and the material of the sensing electrode 232 as shown in FIGS. 7 to 9, and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wiring portion may be simultaneously patterned to form a conductive material. The protection substrate 21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film 210 for protecting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230.

도 11은 도 10과 다른 구조의 터치센서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개념도이다.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sensor module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FIG.

도 11을 참조하면, 상술한 다른 실시예와는 달리, 투명윈도우(300)가 형성되며, 베이스기판(310)의 단면에 감지전극패턴(312)가 패터닝되며, 배선부(311)이 상기 감지전극패턴과 동시에 형성되게 된다. 다만, 동일 평면상에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이 구현되는바, 일면에 접촉의 제 1 축(예를 들어, X 축) 성분을 판단하기 위한 제 1 감지 전극 층을 패터닝하고, 접촉의 제 2 축(예를 들어, Y 축) 성분을 판단하기 위한 제 2 감지 전극 층은 상기 제1감지전극층과 절연되는 배치를 구현하여 패터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서는 별도의 베이스기판(310)에 감지전극패턴층을 동일 평면에 형성하는 구성을 일례로 들었으나, 이러한 베이스기판(310) 없이, 상기 투명 윈도우(300)의 일면에 직접 감지전극패턴을 증착,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감지전극과 배선패턴은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하며, 상기 감지전극도 상술한 메쉬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동일하다.11, the transparent window 300 is formed,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312 is patterned on the end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10, and the wiring portion 311 is patterned And is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electrode pattern. Howev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a first sensing electrode layer for determining a first axis (e.g., X-axis) component of contact on one surface is patterne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layer for determining the second axis (e.g., Y-axis) component may be patterned by implementing an arrangement that is insulat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 layer. 11, a sensing electrode pattern layer is formed on a separate base substrate 310 on the same plane. However, the sensing electrode pattern may be direct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300 without the base substrate 310 Deposition, and coating processes. Of course, in this case,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wiring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t the same time using the same material, and the sensing electrode is also realized by the above-described mesh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터치윈도우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뿐만 아니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 구동 등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이 터치센서모듈, 즉 터치스크린패널(TSP;Touch Screen Panel)에 전달되어 접촉 감지 패널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접촉 감지 패널과 표시 장치 사이에 차단층 (Shield Layer)을 배치할 수도 있다.The touch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That is, the display device may be not only a liquid crystal display but als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panel, or the like.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a noise component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display device or the lik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touch sensor module, that is, a touch screen panel (TSP), to cause malfunction of the touch sensor panel, A shield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evice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100, 200, 300: 투명윈도우
110, 130, 230, 310: 베이스기판
112, 132, 212, 312: 감지전극
120, 140, 220, 320: 접착절연층
TSP: 터치센서모듈
V/A; View Area, 화면영역
D/A;Dead Area, 비활성영역
F: FPCB 모듈
B1, B2: 브랜치부
P1, P2: 접합패드부
100, 200, 300: transparent window
110, 130, 230, and 310:
112, 132, 212, 312: sensing electrodes
120, 140, 220, 320: an adhesive insulating layer
TSP: Touch sensor module
V / A; View Area, Screen Area
D / A; Dead Area; Inactive Area
F: FPCB module
B1, B2: Branches
P1, P2: bonding pad portion

Claims (12)

투명윈도우의 하부에 배치되고, 화면영역(V/A)과 비활성영역(D/A)을 구현하는 터치센서모듈;
상기 터치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신호입력을 수용하여 처리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FPCB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FPCB 모듈은 적어도 2 이상의 터치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서모듈은,
상기 투명윈도우의 일면 상에 접착물질층을 매개로 접착되는 베이스기판과,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면 및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패턴화되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을 포함하는 터치윈도우.
A touch sensor module disposed below the transparent window and implementing a screen area (V / A) and a non-active area (D / A);
And an FPCB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module and including a circuit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touch signal input,
Wherein the FPCB module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two or more touch sensor modules,
The touch sensor module includes:
A base substrate adhered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through an adhesive material layer;
And a first and a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pattern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an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FPCB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패턴의 터치신호를 수용하는 터치IC를 포함하는 집적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집적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수의 터치센서모듈의 연결패드와 결합하는 접합패드부를 포함하는 터치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PCB module includes an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a touch IC that receives touch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portion and includes a bonding pad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ds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modul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집적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2 이상의 브랜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랜치부의 말단에 상기 접합패드부가 구현되는 터치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ng portion
And at least two branch port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ircuit portion,
Wherein the bonding pad portion is implemented at an end of the branch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랜치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MMA(PolyMethly MethaAcryl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연성(flexible)재질로 구현되는 터치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3,
The branch portion includes:
A touch window implemented by a flexible material made of any one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C (polycarbonate), PES (polyether sulfone), PI (polyimide) and PMMA (PolyMethly MethaAcry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전극패턴과 연결되는 배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감지전극패턴의 감지전극과 상기 배선부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터치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ir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Wherein the sensing electrode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s and the wiring portion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제 1 감지전극패턴의 양단 및 상기 제 2 감지전극패턴의 양단에 연결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iring portion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and both ends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전극패턴 또는 상기 제 2 감지전극패턴은,
각각의 단위감지전극이 메쉬구조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or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may include:
Wherein each unit sensing electrode is formed in a mesh structur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위감지전극은 서로 교차하는 3㎛ 내지 10㎛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선(line)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nit sensing electrode comprises a line including conductive material of 3 占 퐉 to 10 占 퐉 intersecting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전극 패턴 또는 상기 제2감지전극패턴은,
각각 일부가 상호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감지전극패턴 또는 상기 제2감지전극패턴 중 어느 하나는 주기성을 가지는 곡률패턴을 구비하는 터치윈도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or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may include:
Are arranged such that a part of them overlap each other,
Wherein one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has a curvature pattern having a periodicity.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주기성을 가지는 곡률패턴은,
제n곡률부와 제(n+1)곡률부의 사이에 선형 감지전극패턴이 배치되는 터치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9,
The curvature pattern having the periodicity may include:
And a linear sensing electrode pattern is disposed between the n-th curvature portion and the (n + 1) -th curvature por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곡률패턴은 사인형 또는 코사인형 곡률패턴을 포함하는 터치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urvature pattern comprises a sinusoidal or cosinusoidal curvature patter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전극패턴은 곡률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전극패턴은 직선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전극패턴은 상기 곡률패턴의 변곡점을 지나면서 상기 제1감지전극패턴과 교차하는 터치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includes a curvature pattern,
Wherei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includes a linear pattern,
Wherei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crosses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while passing an inflection point of the curvature pattern.
KR1020110126152A 2011-11-29 2011-11-29 Touch window KR1019266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52A KR101926622B1 (en) 2011-11-29 2011-11-29 Touch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152A KR101926622B1 (en) 2011-11-29 2011-11-29 Touch wind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916A KR20130059916A (en) 2013-06-07
KR101926622B1 true KR101926622B1 (en) 2018-12-11

Family

ID=4885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152A KR101926622B1 (en) 2011-11-29 2011-11-29 Touch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6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704B1 (en) * 2013-10-1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87648B1 (en) * 2014-01-22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KR102187659B1 (en) * 2014-01-22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TWI515628B (en) 2014-06-17 2016-01-01 恆顥科技股份有限公司 Touch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916A (en)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738B1 (en) Touch window
CN106648207B (en) Display device
KR102543916B1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040973B1 (en) Touch Screen Panel
US9083344B2 (en) Touch sensor with integrated signal bus extensions
KR101303635B1 (en) Touch window
KR101402825B1 (en) Touch window for improving structure of electrode pattern
JP6809792B2 (en)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it
US10496232B2 (en) Capacitive touch panel
TW201512914A (en) Touch control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CN112654954B (en)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1357589B1 (en) Touch-window
US11402943B2 (en)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26622B1 (en) Touch window
KR20140099797A (en) Touch Screen Panel
KR101357591B1 (en) Touch window having reinforcing pad
KR20130116854A (en) Touch window
KR101370383B1 (en) Touch-Window
KR101259843B1 (en) Touch window having duoble ruoting circuit
KR101414423B1 (en) Touch screen panel
CN103197806A (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1755703B1 (en) Fabricating method of Touch window
TWM472249U (en) Touch control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20120120711A (en) Touch window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20120120742A (en) Touch window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