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973B1 - Touch Screen Panel - Google Patents

Touch Screen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973B1
KR102040973B1 KR1020120146482A KR20120146482A KR102040973B1 KR 102040973 B1 KR102040973 B1 KR 102040973B1 KR 1020120146482 A KR1020120146482 A KR 1020120146482A KR 20120146482 A KR20120146482 A KR 20120146482A KR 102040973 B1 KR102040973 B1 KR 102040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ctrodes
substrate
touch screen
screen pane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7550A (en
Inventor
강성구
이춘협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973B1/en
Priority to US13/791,556 priority patent/US9019232B2/en
Publication of KR2014007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5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9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1 감지전극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 감지전극들; 상기 제1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패턴들; 상기 기판의 제2 면 상에 상기 제1 감지전극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3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3 감지전극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감지전극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4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4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패턴들을 포함하되,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1 면의 감지전극들과 상기 제2 면의 감지전극들은 상기 기판의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들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be connected in a first direction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nd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sensing electro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long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third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overlap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on a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and overlapp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4 sens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fourth sensing electrodes along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sensing electrodes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nsing electrodes on the second surface are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vertical connection portion.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Touch screen panel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flexible)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ouch screen panels, and more particularly to flexible touch screen panels.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The touch screen panel is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by selecting instructions displayed on a screen such as an image display device with a human hand or an object.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To this end, the touch screen panel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o convert a contact position in direct contact with a human hand or an o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ly, the instruction content selected at the contact position is received as an input signal.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Such a touch screen panel may be replaced with a separate input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and thus its use range is gradually expanding.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As a method of implementing a touch screen panel, a resistive film method, a light sensing method, and a capacitive method are known.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전극이 주변의 다른 감지전극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Among them, the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converts a contact posi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formed by the conductive sensing electrode when the human hand or an o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another sensing electrode or a ground electrode. do.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의 외면에 부착되어 제품화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높은 투명도 및 얇은 두께의 특성이 요구된다. Such a touch screen panel is general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be commercialized. Therefore, the touch screen panel requires high transparency and thin thickness.

또한, 최근 들어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 경우 상기 플렉서블 영상표시장치 상에 부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요구된다. In addition, recently, a flexible image display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In this case, a touch screen panel attached to the flexible image display apparatus also requires a flexible characteristic.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감지전극들이 ITO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을 사용하여 구현되는데, 이 경우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굴곡 또는 접히는 동작시 상기 감지전극에 크랙(Crack)이 발생하여 구동불량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the touch screen panel is implemented by using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n this case, when the flexible touch screen panel is bent or folded, a crack may occur in the sensing electrode, causing driving failu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면서 다양한 굴곡 또는 변형 환경에서도 쉽게 손상되지 않고 강건한 도전막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이 요구된다. There is a need for a touch screen panel that has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can secure robust conductive film characteristics without being easily damaged even under various bending or deformation environ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특성과 강건한 도전막 특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panel capable of securing both flexible and robust conductive film characteristic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1 감지전극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 감지전극들; 상기 제1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패턴들; 상기 기판의 제2 면 상에 상기 제1 감지전극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3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3 감지전극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감지전극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4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4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패턴들을 포함하되,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1 면의 감지전극들과 상기 제2 면의 감지전극들은 상기 기판의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들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be connected in a first direction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nd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sensing electro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long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third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overlap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on a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and overlapp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4 sens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fourth sensing electrodes along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sensing electrodes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nsing electrodes on the second surface are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vertical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전극들은 일부분이 상기 수직 연결부들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반대면의 감지전극들에 접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nsing electrodes may be partially formed to extend into the vertical connectors to contact the sensing electrod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bstrat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전극들은 상기 수직 연결부들에 의해 개구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nsing electrodes may have a region opened by the vertical connector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은 하나의 감지전극이 갖는 감지영역 내에 다수개의 상기 수직 연결부들이 포함되도록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bstrate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vertical connection parts are included in a sensing area of one sensing electrod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전극들 각각은 상기 메쉬 형태의 기판에 대응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each of the sensing electrodes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bstrate of the mesh shap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브리지 패턴들, 및 상기 제3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브리지 패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first bridge patterns connect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bridge patterns connecting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along the first direction are further included. It may includ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리지 패턴들은 상기 제2 감지전극들로부터 분리된 패턴을 갖되,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라인 단위로 연결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bridge patterns have a pattern separated from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wherei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while the second direction is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connected line by lin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패턴들과 상기 제1 브리지 패턴들의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miconducto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the first bridge pattern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리지 패턴들은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감지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bridge pattern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through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감지전극들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리지 패턴들은 불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o fourth sensing electrod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bridge patterns may be formed of an opaque metal material.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을 각각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라인 단위로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외곽 배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may further include outer wirings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to an external driving circuit in line units alo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respectively.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은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Acry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테르술폰(PES) 및 폴리이미드(P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된 박막형 필름기판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ubstrate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acryl (Acryl), polymethylmethacrylate (PMMA), triacetylcellulose (TAC), polyethersulfone (PES) and poly It may be a thin film substrate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d (PI).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의 양 면에 감지전극들을 중첩되도록 형성하고 수직 연결부들을 통해 기판 양 면의 감지전극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부분적인 크랙 또는 단선이 발생하여도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플렉서블 특성과 강건한 도전막 특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electrod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sensing electrodes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vertical connection portions, so that even if a partial crack or disconnection occurs, The driving failure can be minimized, and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the robust conductive film characteristics can be secured together.

또한, 기판과 감지전극들을 메쉬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플렉서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by forming the substrate and the sensing electrodes in a mesh form.

도 1a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a는 도 1a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1 면의 감지전극들, 도 2b는 제2 면의 감지전극들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a의 I-I' 선 및 Ⅱ-Ⅱ' 선 방향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부분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1 면의 감지전극들, 도 4b는 제2 면의 감지전극들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a의 III-III' 선 및 IV-IV' 선 방향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부분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1 면의 감지전극들, 도 6b는 제2 면의 감지전극들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a의 V-V' 선 및 VI-VI' 선 방향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부분 단면도.
1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ouch screen panel,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the touch screen panel of FIG. 1A.
FIG. 2A is a partial enlarged view illustrating sensing electrodes of a first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of FIG. 1A, and FIG. 2B illustrates sensing electrodes of a second surface.
3A and 3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touch screen panel taken along line II ′ and line II-II ′ of FIG. 2A, respectively.
4A is a partial enlarged view illustrating sensing electrodes of a first surface of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llustrates sensing electrodes of a second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5A and 5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touch screen panel taken along lines III-III 'and IV-IV' of FIG. 4A, respectively.
6A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sensing electrodes of a first surface of a touch screen panel and FIG. 6B illustrates sensing electrodes of a second su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the touch screen panel taken along the line VV ′ and VI-VI ′ of FIG. 6A,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 1A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ouch screen panel, and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touch screen panel of FIG. 1A.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제1 면(10F) 및 상기 제1 면(10F)에 반대하는 제2 면(10B)을 갖는 기판(10), 상기 기판(10)의 제1 면(10F)의 감지전극들(110), 상기 기판(10)의 제2 면(10B)의 감지전극들(120), 및 상기 기판(10)의 외곽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전극들(110, 120)을 패드부(15)를 통해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하는 외곽 배선들(17)을 포함한다. 1A and 1B,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bstrate 10 having a first surface 10F and a second surface 10B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10F. ), Sensing electrodes 110 of the first surface 10F of the substrate 10, sensing electrodes 120 of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substrate 10,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substrate 10. And outer wirings 17 form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s 110 and 120 to connect an external driving circuit (not shown) through the pad unit 15.

기판(10)은 영상 표시영역과 중첩되고 감지전극들(110, 120)이 형성되는 터치활성영역(AA)과, 상기 터치활성영역(AA)의 외곽부에 위치하고 외곽 배선들(17)이 형성되는 터치비활성영역(NA)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substrate 10 has a touch active area AA overlapping the image display area and forming the sensing electrodes 110 and 120, and outer wirings 17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touch active area AA. The touch inactive area (NA) can be divided into.

기판(10)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며 투명하면서도 고 내열성 및 내 화학성의 특성을 갖는 물질로 구현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Acry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테르술폰(PES) 및 폴리이미드(P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된 박막형 필름기판일 수 있다. The substrate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transparent, high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properties,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acryl, polymethylmethacryl It may be a thin film substrate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tex (PMMA), triacetyl cellulose (TAC), polyether sulfone (PES) and polyimide (PI).

상기 기판(10)의 제1 면(10F)의 감지전극들(110)은 기판(10) 상의 터치활성영역(AA)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제1 방향(D1)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전극들(111)과, 상기 제1 감지전극들(111)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감지전극들(111)의 사이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2 감지전극들(112)을 포함한다. The sensing electrodes 110 of the first surface 10F of the substrate 10 are distributed and disposed in the touch active area AA on the substrate 1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1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so as not to overlap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and intersect the first direction D1.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the direction (D2).

즉, 제1 감지전극들(111)과 제2 감지전극들(112)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예컨대, 제1 감지전극들(111)은 열 방향(수직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열 라인 단위로 각각의 외곽 배선(17)과 연결되고, 제2 감지전극들(112)은 행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행 라인 단위로 각각의 외곽 배선(17)과 연결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are alternately arranged to be connected along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are formed to be connected in a column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each outer wiring 17 in column lines,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are arranged in a row direction ( It is formed to be connected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uter wiring 17 in a row line unit.

이러한 제1 감지전극들(111) 및 제2 감지전극들(112)은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to allow light to pass therethrough.

그런데,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박막형 기판에 감지전극들이 형성될 경우, 플렉서블 기판이 굴곡 또는 접히는 동작시 감지전극들에 부분적인 크랙(Crack) 또는 단선이 발생하여 구동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sensing electrodes are formed on the thin film substrate having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partial cracks or disconnections may occur in the sensing electrodes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bent or folded to cause driving failure.

이에 본 발명은 감지전극들의 손상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기판의 양 면에 감지전극들을 중첩되도록 형성하고 수직 연결부들을 통해 기판 양 면의 감지전극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minimize the driving failure of the touch screen panel due to the damage of the sensing electrodes, the sensing electrod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to overlap and the sensing electrodes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vertical connection. Formed to be connected.

구체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의 제2 면(10B)에는 상기 제1 감지전극(111)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3 감지전극들(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감지전극들(121)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감지전극들(112)과 중첩되도록 복수의 제4 감지전극들(122)이 형성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B, a plurality of third sensing electrodes 121 ar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substrate 10 to overlap the first sensing electrode 111. A plurality of fourth sensing electrodes 122 are formed between the three sensing electrodes 121 and overlap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또한, 기판(10)에는 제1 면(10F)과 제2 면(10B)를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들(130)이 형성되며,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1 면(10F)의 감지전극들(110)과 상기 제2 면(10B)의 감지전극들(120)은 상기 수직 연결부들(130)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vertical connection parts 130 connecting the first surface 10F and the second surface 10B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0, and the sensing electrodes 110 of the first surface 10F are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 And the sensing electrodes 120 of the second surface 10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vertical connectors 130.

구체적으로, 제1 감지전극들(111)은 제3 감지전극들(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감지전극들(112)은 제4 감지전극들(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detail,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121,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sensing electrodes 122.

상기 감지전극들 및 수직 연결부들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sensing electrodes and the vertical connecto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외곽 배선들(17)은 제1 감지전극들(111) 및 제2 감지전극들(1112)을 각각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을 따른 라인 단위로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각각 행 라인 단위 및 열 라인 단위의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1, 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패드부(15)를 통해 위치검출회로와 같은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한다. The outer wirings 17 connect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12 to an external driving circuit in line units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1 and 1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ow line unit and a column line unit,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ing circuit such as a position detection circuit through the pad unit 15. Connect with the furnace.

이러한 외곽 배선들(17)은 영상이 표시되는 터치활성영역(AA)을 피해 터치 스크린 패널 외곽의 터치비활성영역(NA)에 배치되는 것으로, 재료 선택의 폭이 넓어 감지전극들의 형성에 이용되는 투명전극물질 외에도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wirings 17 are disposed in the touch inactive area NA outside the touch screen panel to avoid the touch active area AA where an image is displayed. The outer wirings 17 have a wide range of material selection and are used for forming the sensing electrodes. In addition to the electrode material, it may be formed of low-resistance metal materials such as molybdenum (Mo), silver (Ag), titanium (Ti), copper (Cu), aluminum (Al), molybdenum / aluminum / molybdenum (Mo / Al / Mo). have.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3 감지전극들(121) 및 제4 감지전극들(122)을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외곽 배선들이 기판의 제1 면 (10F)에 형성된 바와 동일하게 제2 면(10B)에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uter wirings for connecting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121 and the fourth sensing electrodes 122 to an external driving circuit ar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0F of the substrate in the same manner. It may be formed on two sides 10B.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로,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접촉물체가 접촉되면, 감지전극들(110, 120)로부터 외곽 배선들(17) 및 패드부(15)를 경유하여 구동회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다음으로,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creen panel is a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When a contact object such as a human hand or a stylus pe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uter wirings 17 and the pad unit (from the sensing electrodes 110 and 120) are touched. Via 15), the change in capacitance depending on the contact position is transmitted to the drive circuit. Next, the contact position is grasped by convert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an X and Y input processing circuit (not shown) or the like.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전극들(110, 120)이 기판(10)의 양면에 배치되므로, 어느 일면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는 반대면에서의 터치 이벤트와 동일한 관계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영역에서는 양 면의 감지전극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touch scree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ing electrodes 110 and 120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10, the touch event occurring on one surface has the same relationship as the touch event on the opposite surf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some regions, the sensing electrodes of both surfaces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도 2a는 도 1a의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1 면의 감지전극들, 도 2b는 제2 면의 감지전극들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a의 I-I' 선 및 Ⅱ-Ⅱ' 선 방향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FIG. 2A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sensing electrodes of a first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of FIG. 1A, and FIG. 2B is a sensing electrode of a second surface, and FIGS. 3A and 3B are lines II ′ and II of FIG. 2A, respectively. Partial sectional view of the touch screen panel along the -II 'line direction.

편의상, 도 2a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10)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실제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2a에 도시된 구조가 상기 기판(10)의 제1 면(10F) 상에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2b에 도시된 구조는 기판(10)의 제2 면(10B) 상에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For convenience, in FIG. 2A, a portion of the substrate 10 shown in FIG. 1A is enlarged, but the actual touch screen panel has a structure shown in FIG. 2A repetitively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0F of the substrate 10. It has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Similarly, the structure shown in FIG. 2B has a structure that is repeatedly arranged on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substrate 10.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10)의 제1 면(10F) 상에 제1 방향(D1)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 감지전극들(111), 상기 제1 감지전극들(111)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 감지전극들(112), 및 상기 제1 감지전극들(111)을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패턴들(115)을 포함한다.2A to 3B,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devices formed to be connected along a first direction D1 on a first surface 10F of the substrate 10. The plurality of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111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and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D2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1. ) An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115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즉, 제1 감지전극들(111)은 제1 연결패턴들(115)에 의해 제1 방향(D1)을 따라 연결되고, 제2 감지전극들(112)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된 섬 형상의 패턴을 갖는다. That is,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are connec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by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15,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Has a pattern.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1, 112)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1, 112)의 재질, 형상 및 배치구조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1 and 11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in the same diamond shape. The material,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1 and 112 may have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한편,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기판(10)의 제2 면(10B) 상에 상기 제1 감지전극들(111)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3 감지전극들(121), 상기 제3 감지전극들(121)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감지전극들(121)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4 감지전극들(122), 및 상기 제4 감지전극들(122)을 상기 제2 방향(D2)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패턴들(125)을 포함한다.The touch screen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sensing electrodes 121 and the third sensing electrode formed to overlap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on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substrate 10. The plurality of fourth sensing electrodes 122 and the fourth sensing electrodes 122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21 and overlapp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2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5 connected together.

즉, 제3 감지전극들(121)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된 섬 형상의 패턴을 가지며, 제4 감지전극들(122)은 제2 연결패턴들(125)에 의해 제2 방향(D2)을 따라 연결된다.That is,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121 have island patterns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ourth sensing electrodes 122 have a second direction D2 by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5. Are connected accordingly.

상기 기판(10)의 제1 면(10F)의 감지전극들(110)과 제2 면(10B)의 감지전극들(120)은 각 감지전극들의 감지영역이 전체적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면(10F)의 감지전극들(110) 중 제1 감지전극들(111)은 제1 연결패턴들(115)에 의해 제1 방향(D1)을 따라 연결되고, 제2 면(10B)의 감지전극들(120) 중 제4 감지전극들(122)은 제2 연결패턴들(125)에 의해 제2 방향(D2)을 따라 연결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sensing electrodes 110 of the first surface 10F of the substrate 10 and the sensing electrodes 120 of the second surface 10B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such that the sensing regions of the sensing electrodes overlap with each other.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of the sensing electrodes 110 of the first surface 10F are connec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by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15 and the second surface 10B. The fourth sensing electrodes 122 of the sensing electrodes 120 of FIG. 11 are connect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by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5.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10)의 제1 면(10F)의 감지전극들(110)과 제2 면(10B)의 감지전극들(120)은 각 감지전극들의 감지영역이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ensing electrodes 110 of the first surface 10F and the sensing electrodes 120 of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substrate 10 partially overlap with each other. It may be formed to.

상기 제1 내지 제4 감지전극들(111, 112, 121, 122)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15, 125)은 ITO 등을 포함하는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sensing electrodes 111, 112, 121, and 12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115 and 12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including ITO.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15, 125)이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투명전극물질의 패터닝 단계에서부터 감지전극들 및 연결패턴들을 일체로 패터닝함에 의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115 and 125 ar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the process may be simplified by integrally patterning the sensing electrodes and the connection patterns from the patterning step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상기 제1 면(10F)의 감지전극들(110)과 상기 제2 면(10B)의 감지전극들(120)은 상기 제1 면(10F)과 상기 제2 면(10B)을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들(130)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sensing electrodes 110 of the first surface 10F and the sensing electrodes 120 of the second surface 10B are vertically connected to connect the first surface 10F and the second surface 10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oles 130.

일부 실시예에서, 수직 연결부들(130)은 기판(10)을 관통하는 다수의 컨택홀(contact hole)들을 의미하며, 상기 다수의 컨택홀들이 형성된 기판(10)에 감지전극들(110, 12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각 감지전극들의 일부분이 상기 컨택홀들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기판(10)의 양 면에 형성된 감지전극들이 서로 접하게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vertical connectors 130 refer to a plurality of contact holes penetrating the substrate 10, and the sensing electrodes 110 and 12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0 on which the plurality of contact holes are formed. ), A portion of each sensing electrode is formed to extend into the contact holes so that the sensing electrod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특히, 박막형 기판의 경우, 기판(10)의 두께가 매우 얇으므로 감지전극들(110, 120)을 형성하는 재료 물질이 기판(10)의 컨택홀들에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thin film substrate, since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10 is very thin, the material material forming the sensing electrodes 110 and 120 may be easily filled in the contact holes of the substrate 10.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연결부들(130)이 하나의 감지영역에 두 개씩 형성됨을 예시하였으나, 수직 연결부들(130)의 개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wo vertical connectors 130 are formed in one sensing area, but the number, size, and shape of the vertical connectors 130 may be variously modified.

기판(10)의 제1 면(10F) 상에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된 제2 감지전극들(112)은 수직 연결부들(130)에 의하여, 기판(10)의 제2 면(10B) 상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4 감지전극들(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제2 감지전극들(112)은 분리된 형상을 갖되 전기적으로는 서로 연결된다.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the first surface 10F of the substrate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substrate 10 by the vertical connectors 130. The fourth sensing electrodes 122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s a result,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have a separate shape bu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기판(10)의 제2 면(10B) 상에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된 제3 감지전극들(121)은 수직 연결부들(130)에 의하여, 기판(10)의 제1 면(10F) 상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감지전극들(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제3 감지전극들(121)은 분리된 형상을 갖되 전기적으로는 서로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121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the second surface 10B of the substrate 10 ar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0F of the substrate 10 by the vertical connection portions 130.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121 have a separate shape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10)의 양 면에 감지전극들(110, 120)을 중첩되도록 형성하고 수직 연결부들(130)을 통해 기판 양 면의 감지전극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부분적인 크랙 또는 단선이 발생하여도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플렉서블 특성과 강건한 도전막 특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sensing electrodes (110, 120)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10 so as to overlap and the sensing electrodes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vertical connection portion 130, Even if a partial crack or disconnection occurs, driving failure of the touch screen panel can be minimized, and flexible and robust conductive film characteristics can be secured together.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1 면의 감지전극들, 도 4b는 제2 면의 감지전극들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a의 III-III' 선 및 IV-IV' 선 방향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4A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sensing electrodes of a first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llustrates sensing electrodes of a second surface, and FIGS. 5A and 5B are respectively of FIG. 4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screen panel along the III-III 'line and IV-IV' line directions.

전술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ncerning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disclosures unless there is a contradiction, and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제2 감지전극들(112)을 제2 방향(D2)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브리지 패턴들(117), 및 제3 감지전극들(121)을 제1 방향(D1)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브리지 패턴들(127)을 더 포함한다. 4A to 5B,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ridge patterns 117 connecting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along a second direction D2, and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bridge patterns 127 connecting the three sensing electrodes 121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상기 제1 브리지 패턴들(117)은 제2 감지전극들(112)로부터 분리된 패턴을 갖되, 제2 감지전극들(112)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제2 감지전극들(112)을 제2 방향(D2)을 따른 라인 단위로 연결한다.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may have a pattern separated from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2, respectively. 112 is connected in a line unit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상기 제2 브리지 패턴들(127)은 제3 감지전극들(121)로부터 분리된 패턴을 갖되, 제3 감지전극들(121)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제3 감지전극들(121)을 제1 방향(D1)을 따른 라인 단위로 연결한다.The second bridge patterns 127 may have a pattern separated from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121,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m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s of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121, and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 121 is connected in a line unit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또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서로 중첩되는 제1 연결패턴들(115)과 제1 브리지 패턴들(117)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절연막(1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panel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sulating layer 141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15 and 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overlapping each other.

제2 연결패턴들(125)과 제2 브리지 패턴들(127)의 사이에는 제2 절연막(14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42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5 and the second bridge patterns 127.

제2 브리지 패턴들(127)은 제1 브리지 패턴들(11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제2 절연막(142)은 제1 절연막(14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제1 브리지 패턴들(117)과 제1 절연막(141)에 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second bridge patterns 127 have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42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insulating layer 141, Only 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41 will be described.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막(141)은 절연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제1 연결패턴들(115)과 제1 브리지 패턴들(117)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10)의 제1 면(10F)의 감지전극들(110)을 모두 커버하도록 터치활성영역(AA)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nsulating layer 141 may be parti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15 and 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to be insulated,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substrate The touch active region AA may be entirely formed to cover all of the sensing electrodes 110 of the first surface 10F of (10).

부가적으로, 설계구조에 따라서는 기판(10) 상에 형성된 패턴들을 보호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양 면에 전면적으로 보호막(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ective film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touch screen panel to protect the patterns formed on the substrate 10, depending on the design structure.

제1 브리지 패턴들(117)은 상기 감지전극들 및 연결패턴들과 같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불투명한 저저항 금속물질로 형성되되 가시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그 폭이나 두께, 길이 등이 조절될 수 있다. 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ar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the sensing electrodes and the connection patterns, or are formed of an opaque low resistance metal material, and the width, thickness, length, etc. of 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are controlled to prevent visualization. Can be.

제1 브리지 패턴들(117)이 저저항의 불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터치비활성영역(NA)에 배치되는 외곽 배선들(17)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동시에 형성함에 의해 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즉, 제1 브리지 패턴들(117)은 외곽 배선들(17)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are formed of a low resistance opaque metal material, the process may be simplified by simultaneously forming the outer interconnections 17 disposed in the touch inactive region NA. have. That is, 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wirings 17.

단, 가시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그 폭이 한정되며, 따라서 제1 브리지 패턴들(117)의 폭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는 제1 연결패턴들(115)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width of 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15 formed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브리지 패턴들(117)은 가시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사선 방향으로 기울여져 설계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bridge patterns 117 may be designed to be inclined diagonally so that visualization may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1 면의 감지전극들, 도 6b는 제2 면의 감지전극들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a의 V-V' 선 및 VI-VI' 선 방향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6A is a partial enlarged view illustrating sensing electrodes of a first surface of a touch screen panel, and FIG. 6B illustrates sensing electrodes of a second surface, and FIGS. 7A and 7B are respectively illustrated in FIG. 6A.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screen panel along the VV 'line and VI-VI' line directions.

전술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ncerning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disclosures unless there is a contradiction, and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감지전극들(210, 220)이 수직 연결부들(230)에 의해 개구된 영역을 갖는 메쉬 형태를 갖는다. 6A to 7B,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mesh shape in which sensing electrodes 210 and 220 have an area opened by vertical connectors 230.

구체적으로, 기판(20)은 하나의 감지전극이 갖는 감지영역 내에 다수개의 수직 연결부들(230)이 포함되도록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되며, 감지전극들 각각은 상기 메쉬 형태의 기판(20)에 대응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substrate 20 is formed in a mesh shape such that a plurality of vertical connection parts 230 are included in a sensing area of one sensing electrode, and each of the sensing electrodes is the mesh type substrate 20.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corresponding to the.

여기서, 메쉬 형태의 다공성 기판(20)이 구현되도록 광감성 드라이 필름(Photosensitive Dry Film)을 이용한 노광 방식으로 기판(20)을 패터닝하거나, 건식 혹은 습식 식각에 의한 국부 패터닝을 통해 기판(20)에 다수의 개구부 즉, 수직 연결부들(230)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substrate 20 is patterned by an exposure method using a photosensitive dry film so as to realize the porous substrate 20 in the form of a mesh, or is formed on the substrate 20 by local patterning by dry or wet etching. A plurality of openings, that is, vertical connection parts 230 may be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상의 수직 연결부들(230)이 하나의 감지영역에 네 개씩 형성됨을 예시하였으나, 수직 연결부들(230)의 개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four rectangular connecting parts 230 are formed in one sensing area, but the number, size, and shape of the vertical connecting parts 230 may be variously modified.

다른 실시예에서, 수직 연결부들(230)은 감지전극들의 감지영역 내부뿐만 아니라 감지전극들의 이격된 사이의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vertical connectors 230 may be formed not only in the sensing region of the sensing electrodes but also in the spaced apart region of the sensing electrodes.

본 실시예에서 수직 연결부들(230)에 관한 특징 이외에 기판(20)의 양 면에 형성된 감지전극들(210, 220) 및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215, 225)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하여는 별도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vertical connectors 2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ctures of the sensing electrodes 210 and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215 and 225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ubstrate 20 are described above.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s, it will not be described separately.

본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메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높은 유연성 및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다. 기판(20)뿐만 아니라 감지전극들 자체도 형태변형을 야기시키는 외력에 강건한 구조를 가지므로 터치 스크린 패널의 플렉서블 특성과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touch screen panel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thereby providing higher flexibility and elasticity. Since not only the substrate 20 but also the sensing electrodes themselves have a structure that is robust to external forces causing deformation, the flexible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of the touch screen panel may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기판 15: 패드부
17: 외곽 배선들 111: 제1 감지전극들
112: 제2 감지전극들 115: 제1 연결패턴들
121: 제3 감지전극들 122: 제4 감지전극들
125: 제2 연결패턴들 117: 제1 브리지 패턴들
127: 제2 브리지 패턴들 130: 수직 연결부들
141: 제1 절연막 142: 제2 절연막
10: substrate 15: pad portion
17: outer wirings 111: first sensing electrodes
112: second sensing electrodes 115: first connection patterns
121: third sensing electrodes 122: fourth sensing electrodes
125: second connection patterns 117: first bridge patterns
127: second bridge patterns 130: vertical connections
141: first insulating film 142: second insulating film

Claims (13)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 상에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1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1 감지전극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2 감지전극들;
상기 제1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패턴들;
상기 기판의 제2 면 상에 상기 제1 감지전극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3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3 감지전극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감지전극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제4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4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패턴들을 포함하되,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1 면의 감지전극들과 상기 제2 면의 감지전극들은 상기 기판의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수직 연결부들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A substrate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be connected in a first direction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nd 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sensing electro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long the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third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overlap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on a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third electrode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and overlapp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4 sensing electrodes;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for connecting the fourth sensing electrod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nsing electrodes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nsing electrodes of the second surface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vertical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들은
일부분이 상기 수직 연결부들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판의 반대면의 감지전극들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ing electrodes
A portion of the touch screen panel is formed to extend into the vertical connection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nsing electrode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bstr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들은
상기 수직 연결부들에 의해 개구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ing electrodes
And an area opened by the vertical connect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하나의 감지전극이 갖는 감지영역 내에 다수개의 상기 수직 연결부들이 포함되도록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bstrate
The touch screen pan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mesh (mesh) so that the plurality of the vertical connection portion in the sensing region of one sensing electro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들 각각은
상기 메쉬 형태의 기판에 대응되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sensing electrodes
A touch screen panel formed in a mesh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bstrate of the mesh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브리지 패턴들, 및 상기 제3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브리지 패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first bridge patterns connect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bridge patterns connecting the third sensing electrodes along the first direction. Touch screen pane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리지 패턴들은
상기 제2 감지전극들로부터 분리된 패턴을 갖되,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라인 단위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bridge patterns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have a pattern separated from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parts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re connected in a line unit along the second direction. Touch screen pane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패턴들과 상기 제1 브리지 패턴들의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ouch screen panel further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the first bridge pattern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리지 패턴들은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감지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bridge patterns
And a touch ho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through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감지전극들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리지 패턴들은 불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to fourth sensing electrod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ar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nd the first and second bridge patterns are formed of an opaque metal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을 각각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른 라인 단위로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외곽 배선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outer wirings for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with an external driving circuit in line units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은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are disposed on the same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Acry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테르술폰(PES) 및 폴리이미드(P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된 박막형 필름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strate
In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acrylic (Acryl),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triacetyl cellulose (TAC), polyethersulfone (PES) and polyimide (PI) A touch screen panel comprising a thin film substrat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material.

KR1020120146482A 2012-12-14 2012-12-14 Touch Screen Panel KR1020409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482A KR102040973B1 (en) 2012-12-14 2012-12-14 Touch Screen Panel
US13/791,556 US9019232B2 (en) 2012-12-14 2013-03-08 Touch scree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482A KR102040973B1 (en) 2012-12-14 2012-12-14 Touch Screen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550A KR20140077550A (en) 2014-06-24
KR102040973B1 true KR102040973B1 (en) 2019-11-06

Family

ID=5093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482A KR102040973B1 (en) 2012-12-14 2012-12-14 Touch Screen Pane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19232B2 (en)
KR (1) KR1020409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5491B2 (en) * 2011-05-13 2015-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nductive sheet and touch panel
DE102011108153A1 (en) * 2011-07-22 2013-01-24 Polyic Gmbh & Co. Kg Multi-layer body
KR102074418B1 (en) * 2013-01-29 2020-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touch screen panel
KR102075040B1 (en) * 2013-02-05 2020-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TWI492105B (en) * 2013-10-25 2015-07-1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Touch mouse and touch printed circuit board thereof
US9105255B2 (en) * 2013-12-20 2015-08-11 Sharp Kabushiki Kaisha Discriminative capacitive touch panel
KR102193454B1 (en) * 2013-12-30 2020-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6698291B2 (en) * 2014-08-13 2020-05-27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927939B2 (en) 2014-08-13 2018-03-27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264888B1 (en) * 2014-08-13 2021-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Panel
JP6240789B2 (en) * 2014-09-08 2017-11-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nductive film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KR20160041487A (en) * 2014-10-08 201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324552B2 (en) * 2014-11-10 2019-06-18 Wonder Future Corporation Touch panel having a curved surface input region and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med of ductile wire materials
CN104375728B (en) * 2014-11-18 2017-06-06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Capacitance type touch-control panel
KR102267357B1 (en) 2014-12-15 2021-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device
KR102283921B1 (en) * 2015-01-09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touch panel
KR102291466B1 (en) * 2015-01-20 2021-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KR102339300B1 (en) * 2015-04-0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touch screen display device
KR102338359B1 (en) * 2015-04-09 2021-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KR102428711B1 (en) * 2015-12-28 2022-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US10168844B2 (en) 2015-06-26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543916B1 (en) * 2015-09-21 2023-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419688B1 (en) * 2015-12-11 2022-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496554B1 (en) * 2016-05-25 2023-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US10430000B2 (en) * 2016-08-05 2019-10-01 Innolux Corporation Touch display device
KR20180079025A (en)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n-cell touch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80099230A (en) * 2017-02-28 2018-09-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Digitiz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161709B1 (en) * 2017-05-08 2020-10-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382639B1 (en) 2017-10-31 2022-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20190187843A1 (en) * 2017-12-15 2019-06-20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touch panel,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CN107977116B (en) * 2017-12-15 2020-02-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Flexible touch panel, touch display screen and touch display device
CN108628047B (en) * 2018-04-02 2021-07-30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200126471A (en) * 2019-04-29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nput sensing circuit and display module having the same
KR20210057862A (en) * 2019-11-12 2021-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o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53B1 (en) 2004-07-26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sensing element
TWI322374B (en) * 2006-04-14 2010-03-21 Ritdisplay Corp Light transmissio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920129B2 (en) 2007-01-03 2011-04-05 Apple Inc. Double-sided touch-sensitive panel with shield and drive combined layer
TW200842681A (en) 2007-04-27 2008-11-01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pattern structure of a capacitive touch panel
TWI378378B (en) * 2008-03-19 2012-12-0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influence of conducting material from point detection of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EP2113827B8 (en) * 2008-04-30 2018-09-19 InnoLux Corporation Touch input device
KR100978461B1 (en) * 2008-07-04 2010-08-26 안영수 Touch panel device of digital capacitive coupling type with high sensitivity
JP2010182277A (en) * 2009-01-09 2010-08-19 Rohm Co Ltd Input device
KR101076234B1 (en) * 2009-02-13 2011-10-26 주식회사 포인칩스 Touch screen input device
JP5591834B2 (en) 2009-03-04 2014-09-17 ナム、ドンシク Touch panel sensor
TWI379226B (en) * 2009-03-13 2012-12-11 Tpk Touch Solutions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tegrated capacitive touch device
US20120098791A1 (en) * 2009-06-30 2012-04-26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s, method for fabricating touch panels, display devic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s
KR101322981B1 (en) * 2009-12-01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omprising Touch Device
US8970508B2 (en) * 2010-02-11 2015-03-03 L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KR101726623B1 (en) * 2010-03-16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Panel
KR101204121B1 (en) * 2010-03-29 2012-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Mutual capacitive type touch panel
KR101156866B1 (en) * 2010-06-09 2012-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Touch panel
KR20120000368U (en) * 2010-07-06 2012-01-12 더리드 인베스트먼트 엘티디. Touch panel
US20120019473A1 (en) * 2010-07-21 2012-01-26 Chimei Innolux Corporation Systems for displaying images
KR101696483B1 (en) 2010-12-06 2017-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de desplay device
KR101844536B1 (en) 2010-12-13 2018-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having a Polarizer
KR20120072793A (en) 2010-12-24 2012-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Touch screen
JP2012178093A (en) * 2011-02-28 2012-09-13 Japan Display East Co Ltd Touch panel device
KR20120106165A (en) 2011-03-17 201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screen panel apparatus with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KR20120133848A (en) * 2011-06-01 2012-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touch screen panel
TWI448951B (en) 2011-07-07 2014-08-1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Resistive touch panel
TW201317873A (en) * 2011-10-28 2013-05-01 Sentelic Corp Two-layer capacitive touchpad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415583B1 (en) * 2011-12-16 2014-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 panel and forming method for the same
JP6143797B2 (en) * 2012-02-10 2017-06-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Mesh pattern for touch sensor electrodes
US8661662B1 (en) * 2012-08-10 2014-03-04 Eastman Kodak Company Making transparent touch-responsive device with micro-wire electrodes
US9046974B2 (en) * 2012-02-28 2015-06-02 Eastman Kodak Company Transparent touch-screen capacitor with micro-wire electrode
US8937607B2 (en) * 2012-03-30 2015-01-20 Sharp Kabushiki Kaisha Capacitive touch panel with dynamically allocated electrodes
US9348470B2 (en) * 2012-03-30 2016-05-24 Sharp Kabushiki Kaisha Projected capacitance touch panel with reference and guard electrode
KR101542043B1 (en) * 2012-06-27 2015-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US8988387B2 (en) * 2012-08-02 2015-03-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Touch sensor panel with in-plane backup bypass connections
US9128572B2 (en) * 2012-08-16 2015-09-08 Eastman Kodak Company Making touch screens with diamond-patterned micro-wire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68109A1 (en) 2014-06-19
US9019232B2 (en) 2015-04-28
KR20140077550A (en)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973B1 (en) Touch Screen Panel
KR102100440B1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KR102060798B1 (en) Touch Screen Panel
US10768757B2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1905789B1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2075040B1 (en) Touch Screen Panel
KR102028157B1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2230808B1 (en) Touch Screen Panel
JP5501985B2 (en) Touch screen panel device
KR101040881B1 (en) Touch screen panel
KR102094937B1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77813B1 (en) Touch pan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41255B1 (en) touch screen panel
TWI521397B (en) Touch screen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027695A (en) Touch screen panel
KR20160057572A (en) Touch Screen Panel
KR20150087632A (en) Touch Screen Panel
KR20160057575A (en) Display device intergrated touch screen panel
JP2016045684A (en) Capacitive touch panel
US10521057B2 (en) Touch screen panel having overlapping sensing electr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16583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985437B1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2131778B1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