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737B1 -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linkage air quality measurement indoor tent and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linkage air quality measurement indoor tent and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737B1
KR101893737B1 KR1020180064110A KR20180064110A KR101893737B1 KR 101893737 B1 KR101893737 B1 KR 101893737B1 KR 1020180064110 A KR1020180064110 A KR 1020180064110A KR 20180064110 A KR20180064110 A KR 20180064110A KR 101893737 B1 KR101893737 B1 KR 101893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carbon monoxide
sensor device
portable termin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훈 filed Critical 정성훈
Priority to KR102018006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7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linkage between a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for a tent and a portable terminal which continuously measures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side a tent to notify a user or a manager of a danger by a warning sound or a warning light if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exceeds a set safety reference value and reaches a dangerous level, and uses a BLE beacon to send a danger warning via a portable terminal of a user and a manager near the tent to continuously acquire camping safety and environment quality. The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linkage between a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for a tent and a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sensor device having a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and a BLE beacon therein; a main terminal to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the beacon of the sensor device; a portable terminal to allow a user and a manager to recognize the concentration and danger level of carbon monoxide by the data received by the main terminal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to control the sensor device, the main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linkage air quality measurement indoor tent and portable termina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 실내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된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경보음 및 경보빛으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위험을 알리도록 함과 아울러, BLE 비콘을 이용하여 텐트의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를 통해 위험경보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캠핑의 안전과 환경의 질을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erlocking of a tent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and a portable termin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tinuously measuring a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 a tent interior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exceeds a set safety level The user is notified of the danger to the user or the manager by the alarm sound and the alarm light and the BLE beacon is used to inform the user of danger and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in the vicinity of the t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erlocking of a tent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and a portable terminal.

최근 경제 성장과 주 5일 근무제의 확산으로 경계적, 시간적 여유의 증가에 비례하여 가족여행이나 관광 등 국민의 여가 활동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삶의 질 향상과 개개인의 자기만족에 대한 욕구가 강해짐에 따라 복잡, 다양한 스트레스나 따분한 일상에서 벗어나 여행지에서 심적 위안과 활력을 되찾기 위한 현대인의 생활방식 변화로 생각된다.With the recent economic growth and the spread of the five - day workweek,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people such as family trip and sightseeing are rapidly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boundary and time allowance. A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individual 's desire for self - satisfaction become stronger, it seems to be a change of life style of modern people in order to recover mental comfort and vigor from travel, away from complicated, diverse stress and bored daily life.

현대인이 추구하는 다양한 여가 활동 중에서 캠핑 활동은 다른 레저, 관광에 비해 저렴한 비용과 가족여행 등을 통한 가족 구성원 간 친밀감 증가, 짧은 일정으로도 가능한 점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캠핑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수요 충족을 위한 캠핑 산업과 캠핑장 관련 시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Among the various leisure activities pursued by modern people, camping activities have many merits such as low cost compared with other leisure and sightseeing, increase of closeness between family members through family trips, and short schedule. For this reason, the camping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nd camping industry and camping facilities are rapidly increasing to satisfy the demand.

한편, 전국 캠핑자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사설 캠핑장의 경우 자신이 소유한 산지, 계곡, 하천 등의 땅에 임의로 캠핑장 시설을 설치하여 운용하는 사례가 대부분으로, 안전사고 방지나 피해 보상에 대한 의식 수준이 매우 낮아 캠핑장 이용객들은 재난이나 안전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특히, 안전의식 부재로 인해 일산화탄소 중독 또는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rivate campsite that occupies more than 70% of campers nationwide, most camping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mountains, valleys, rivers, etc. owned by them. The level of awareness is so low that campground visitors are vulnerable to disasters and safety accidents. Particularly, carbon monoxide poisoning or fire accidents occur frequently due to lack of safety consciousness.

텐트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는 적은 양이더라도 연소되고 남은 숯이나 번개탄을 놓으면 일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즉, 일산화탄소는 몸속에 들어가면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헤모글로빈에 달라붙어 산소의 운반을 방해해 저산소증에 빠뜨려 뇌세포에 손상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또한, 일산화탄소는 현기증이나 두통, 졸음을 유발하며, 캠핑 시 낙상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졸음으로 인한 졸음운전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In an enclosed space like a tent, burning a small amount of coal and / or coal will leave life threatening becaus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creases. That is, when carbon monoxide enters the body, it attaches to the hemoglobin that supplies oxygen to the tissue, obstructing the transportation of oxygen, causing hypoxia leading to damage to the brain cells, and even death. In addition, carbon monoxide can cause dizziness, headache, and drowsiness, which can cause falls in camping and cause sleepiness driving accidents caused by drowsiness.

하지만, 캠핑을 위한 일산화탄소 경보 장비는 연기를 감지하여 단순히 경보음을 울리는 등과 같은 수준에 머룰러 있어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arbon monoxide alarm equipment for camping has not been enough to cope with the danger, such as simply detecting the smoke and sounding an alarm.

등록실용신안 제20-0477918호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779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텐트 실내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된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경보음 및 경보빛으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위험을 알리도록 함과 아울러, BLE 비콘을 이용하여 텐트의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를 통해 위험경보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캠핑의 안전과 환경의 질을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n a tent is continuously measured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reaches a danger level exceeding a set safety level, And informs the user of risk and danger by using the BLE beacon in the vicinity of the tent and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security of the camping and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can be grasped continuously.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이 내재되어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근거리 데이터 통신 규격인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 15)이 내재되어 상기 측정된 일산화탄소의 농도 데이터를 송신하는 센서디바이스(10); 상기 센서디바이스(10)의 비콘(15)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 관리하는 메인단말기(20); 상기 메인단말기(20)를 통한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의 농도 및 위험수준을 무선통신으로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인식시키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된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센서디바이스(10) 내에 더 구비되는 부저(16) 및 LED램프(17)가 작동하여 경보음 및 경보빛으로 위험을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상기 센서디바이스(10)에는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 부저(16) 및 LED램프(17)를 작동하기 위한 배터리(19)가 더 구비되고, 상기 부저(16) 및 LED램프(17)가 작동됨과 동시에 BLE 비콘(15) 및 메인단말기(20)를 통해 텐트(200)의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30)에 SMS를 발송하거나, 설치된 앱을 통해 경보를 알리도록 구성하며,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메인단말기(20) 및 휴대단말기(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is embedd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n a tent (200) in real time, and a Bluetooth low energy beacon (15) A sensor device (10) for transmitting density data; A main terminal 20 for receiving, storing and manag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5 of the sensor device 10; And a portable terminal (30) of a user and a manager for recognizing the concentration and the danger level of carbon monoxide in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through the main terminal (20) to a user and an administrato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nsor device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exceeds a set safety level and reaches a danger level, the buzzer 16 and the LED lamp 17, which are further provided in the sensor device 10, And the sensor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battery 19 for operating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the buzzer 16 and the LED lamp 17 The buzzer 16 and the LED lamp 17 are operated and the BLE beacon 15 and the main terminal 20 ar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 of the user and the manager in the vicinity of the tent 200 SMS And a controller 40 for controlling the sensor device 10, the main terminal 20, and the portable terminal 30 so that the tent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is configured to inform the user of the tent indoor air quality And a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erlocking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온도 센서모듈(13) 및 습도 센서모듈(14)이 더 구비되어 텐트(200)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텐트(200) 실내의 쾌적한 환경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device 10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module 13 and a humidity sensor module 14 so as to measure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so that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tent 200 can be comfortably managed .

또한,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가로5㎝×세로5㎝×높이5㎝의 정육각체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정육각체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걸림부재(62)를 구비하여 텐트(200) 실내에서 걸림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device 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size of 5 cm by 5 cm by 5 cm in height so as to be able to stand on the floor, and a latching member 62 is provided on one of the corner portions of the rectangular- So that the tent can be locked in the interior of the tent.

또한, 상기 가로5㎝×세로5㎝×높이5㎝의 정육각체 형태로 형성되는 센서디바이스(10)는 수평하부체(101), 4면 수직벽체(102), 수평상부체(103)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부저(16)의 경보음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4면 수직벽체(102) 상에 경보음전달공(106)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LED램프(17)의 경보빛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4면 수직벽체(102) 상에 LED램프(17)가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device 10,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ece of 5 cm by 5 cm by 5 cm in height, comprises a horizontal lower body 101, a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and a horizontal upper body 103 An alarm sound transmission hole 106 is formed on the four-sided vertical wall 102 so that an alarm sound of the buzzer 16 provided in the sensor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the sensor device 10 The LED lamp 17 is protruded on the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so that the alarm light of the LED lamp 17 provided in the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가로5㎝×세로5㎝×높이5㎝의 정육각체 형태로 형성되는 센서디바이스(10)는 수평하부체(101), 4면 수직벽체(102), 수평상부체(103)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부저(16)의 경보음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4면 수직벽체(10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경보음전달공(106)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LED램프(17)의 경보빛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수평하부체(101), 4면 수직벽체(102), 수평상부체(103)를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device 10,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ece of 5 cm by 5 cm by 5 cm in height, comprises a horizontal lower body 101, a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and a horizontal upper body 103 An alarm sound transmission hole 106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our vertical walls 102 so that an alarm sound of the buzzer 16 provided in the sensor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e horizontal lower body 101, the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and the horizontal upper body 103 are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alarm light of the LED lamp 17 provided in the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

또한,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 온도 센서모듈(13), 습도 센서모듈(14)을 이용하여 텐트(200) 실내의 공기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51)와, 상기 정보수집부(51)를 통해 수집되는 텐트(200) 실내의 공기 정보와 미리 설정된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비교하는 비교분석부(52)와,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공기정보가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상기 비교분석부(52)에 의해 판단되면 경보음 및 경보빛을 발생시키는 경보출력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30)는, 상기 정보수집부(51)를 통해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의 농도, 온도, 습도를 포함한 공기 정보를 생성하는 공기정보생성표시부(55)와,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공기정보가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상기 비교분석부(52)에 의해 판단되면 위험경보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알림정보생성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device 10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51 for collecting air information in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using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the temperature sensor module 13, and the humidity sensor module 14 A comparing and analyzing unit 52 for comparing the air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51 with safety standards for preset carbon monoxid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n alarm output unit (53)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and an alarm ligh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hat the indoor air information has reached a danger level exceeding a safety standard value of carbon monoxide, temperature, The portable terminal 30 includes an air information generating and displaying unit 55 for generating air information including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carbon monoxide in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51, , Air information in the collected tent (200) And a no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6 for generating danger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hat the danger level has exceeded the safety standard valu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

또한, 상기 텐트(200)의 전후방측 및 양측 원단 상에 망체(201)가 구비된 환기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환기공(202)의 외측 테두리에는 전자석띠(203)가 구비되며, 상기 전자석띠(203)에 부착 가능한 테두리금속띠(205)를 갖는 개방용원단(206)을 전자석띠(203)에 부착하여 환기공(202)을 폐쇄한 상태에서,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공기정보가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상기 비교분석부(52)에 의해 판단되어, 상기 경보출력부(53)에서 경보음 및 경보빛을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메인단말기(20) 및 제어부(40)에서 그 경보신호를 상기 전자석띠(203)에 전달하여 전류를 차단시켜 테두리금속띠(205)를 갖는 개방용원단(206)이 전자석띠(203)에서 이탈되어 환기공(202)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텐트(200) 내의 자동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ntilation hole 202 having a netting 201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ent 200 and on both sides of the tent 200. An electromagnet belt 203 is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ventilation hole 202, The ventilation hole 202 is closed by attaching the opening fabric 206 having the metal band 205 that can be attached 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Whe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determines that the air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has exceeded the safety level of carbon monoxid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reaches the danger level, and generates the alarm sound and the alarm light in the alarm output unit 53 The main terminal 20 and the control unit 40 transmit the alarm signal 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to cut off the current so that the opening fabric 206 having the bordering metal band 205 contacts the electromagnet band 203, So that the ventilation hole 202 is opened to automatically ventilate the inside of the tent 200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 configuration.

또한, 상기 전자석띠(203)의 외측에 피부착띠(233)를 이격 구비하고, 상기 피부착띠(233)에 고정 가능한 부착띠(235)를 갖는 폐쇄용원단(236)을 구비하여, 상기 개방용원단(206)의 불필요 시, 폐쇄용원단(236)을 부착띠(233)에 고정하여 텐트(200) 실내로의 공기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losing fabric 236 having an attachment band 233 spaced apart from the attachment band 233 on the outside of the electromagnet band 203 and capable of being fixed to the attachment band 233, And the closing fabric 236 is fixed to the attaching band 233 when the opening fabric 206 is unnecessary, so that air movement to the inside of the tent 200 is blocked.

본 발명에 따른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은 텐트 실내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된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경보음 및 경보빛으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위험을 알리도록 함과 아울러, BLE 비콘을 이용하여 텐트의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를 통해 위험경보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캠핑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tent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n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reaches the danger level exceeding the set safety level, To inform the user or the manager of the danger, and to inform the user of the risk of the danger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manager located near the tent by using the BLE beacon.

또한,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디바이스에 온도 센서모듈 및 습도 센서모듈을 더 구비하여 텐트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 가능토록 함으로써 텐트 실내환경의 질을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쾌적한 환경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Further, the sensor device for measuring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module and a humidity sensor module so that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can be measured, so that the quality of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tent can be constantly monitored and the environment can be comfortably mana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의 흐름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디바이스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의 상세 흐름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트의 전후방측 및 양측 원단에 형성되는 망체, 환기공, 전자석띠, 피부착띠의 상세 사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전자석띠에 부착되는 개방용원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피부착띠에 부착되는 폐쇄용원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xample of a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erlocking of a tent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and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diagram of a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flow diagram of a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 net, a ventilation hole, an electromagnet, and an attached band formed on front and rear sides and both sides of a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opening fabric attached to the electromagnet band in FIG. 5;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losing fabric adhered to the attachment band in Fig. 5;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ocu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any particular embodiment, but rather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 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Also,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used in the present document can be used to denote various components in any order and / or importance, an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But is not limited to those components. For example, 'first part' and 'second part' may represent different parts, regardless of order or importance.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he first component can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can also be named as the first component.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other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general predefined terms used in this document may be interpreted in the same or similar sense as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document, include ideally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 In some cases, even the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의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은 센서디바이스(10), 메인단말기(20), 휴대단말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1 to 7, the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device 10, a main terminal 20, and a portable terminal 30.

텐트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난로를 켜거나 적은 양이더라도 연소되고 남은 숯이나 번개탄을 놓으면 일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일산화탄소는 현기증이나 두통, 졸음을 유발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또한, 캠핑 시 낙상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졸음으로 인한 졸음운전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If you turn on the stove in an enclosed space like a tent, or if you burn a small amount of charcoal or lightning ston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can increase, which can be life threatening. Carbon monoxide can cause dizziness, headache, drowsiness, and even death. In addition, it can cause a fall in camping, and it can cause traffic accidents caused by drowsiness caused by drowsiness.

이러한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특성에 따라 인체에 쉽게 노출되어 있더라도 인지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측정기기를 통해야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 인지할 수 있다.These carbon monoxide can not be recognized even if the carbon monoxide is easily exposed to the human body due to its colorless and odorless characteristics,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can be measured and recognized only through the measuring instrument.

이를 위해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이 내재되어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구성된다.For this, the sensor device 10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n the tent 200 in real time by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에서 측정된 일산화탄소의 농도 데이터를 후술되는 메인단말기(20)에 송신하도록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 15)이 센서디바이스(10)에 내재된다.A BLE beacon (Bluetooth Low Energy Beacon) 15 is embedded in the sensor device 10 to transmit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data measured by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to the main terminal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 15)은 근거리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전력소모가 많은 Bluetooth Classic에 비해 적은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력소모가 적고, 비콘(Beacon)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된 점을 고려하여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 15)을 사용하도록 하였다.The Bluetooth Low Energy Beacon (BLE) 15 is a short distance data communication standard that transmits a large amount of data and transmits less data than a Bluetooth Classic having a high power consumption, thereby consuming less power and using a beacon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BLE beacon (Bluetooth Low Energy Beacon) 15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oints.

상기 비콘(Beacon)은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에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 규격으로, 적외선이나 라디오 주파수(RF) 같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대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텐트(200)의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The beacon is a local communication standard us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a target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infrared rays or radio frequency (RF)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이 내재되는 센서디바이스(10)는 도 1에서와 같이 온도 센서모듈(13) 및 습도 센서모듈(1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모듈(13) 및 습도 센서모듈(14)을 통해 텐트(200)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텐트(200) 실내의 쾌적한 환경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The sensor device 10 in which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is embedded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module 13 and a humidity sensor module 14 as shown in FIG.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can be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module 13 and the humidity sensor module 14, thereby enabling a pleasant environment management in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또한, 상기 온도 센서모듈(13) 및 습도 센서모듈(14)은 주변 공기질을 측정하므로 본 발명에서 예시된 텐트(200) 실내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집안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sensor module 13 and the humidity sensor module 14 measure the ambient air quality, they can be utilized not only in the interior of the tent 200 exempl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in daily life and home environment.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가로5㎝×세로5㎝×높이5㎝의 정육각체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소형화와 무선형으로서의 휴대 및 거치가 편리하도록 하였다.As shown in FIG. 3, the sensor device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However, the sensor device 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ece of 5 cm by 5 cm by 5 cm in height, So that it can be miniaturized and portable as a wireless type.

또한, 센서디바이스(10) 형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정육각체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걸림부재(62)를 구비하여 텐트(200) 실내에서 걸림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는 센서디바이스(10)의 휴대 및 거치의 편리성이 더욱 극대화되도록 한 것이며, 이때 상기 걸림부재(62)는 띠 또는 끈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특히 고무띠 또는 고무끈을 폐쇄형태로 형성하여 텐트(200) 실내, 특히 천정측에 구비된 고정부재(미도시됨) 등에 고정 사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device 10, as shown in FIG. 3, the latching member 62 is provided at one corner of the square so that the latching member can be fastened in the interior of the tent 200. This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mounting the sensor device 10. In this case, the retaining member 62 can be used as a band or a string, and in particular, a rubber band or a rubber band is formed in a closed form, (Not shown) provided on the ceiling side of the cabinet 200, for example.

한편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위 상술된 상기 메인단말기(20)를 통한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의 농도 및 위험수준을 무선통신으로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인식시키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3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및 관리자가 늘 휴대하고 다니기 용이한 휴대폰이 주로 사용되도록 하여 메인단말기(20)를 통해 전달되는 센서디바이스(1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휴대단말기(30)의 앱을 통해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전달되도록 구현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user and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30, which recognizes the concentration and the danger level of carbon monoxide in the tent 200 through the main terminal 20, .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30 generally uses a mobile phone that is easily carried by the user and the manager, so that the data measured by the sensor device 10,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terminal 20, So that they can be visually understood and delivered to users and administrators.

상술된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메인단말기(20), 휴대단말기(30)의 구성에서,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된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도 1에서와 같은 센서디바이스(10) 내에 더 구비되는 부저(16) 및 LED램프(17)가 작동하여 경보음 및 경보빛으로 위험을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상기 센서디바이스(10)에는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 부저(16) 및 LED램프(17)를 작동하기 위한 배터리(19)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sensor device 10, the main terminal 20 and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sensor device 10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The buzzer 16 and the LED lamp 17 provided in the sensor device 10 as shown in FIG. 1 operate to inform the user and the manager of the danger by the alarm sound and the alarm light The sensor device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attery 19 for operating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the buzzer 16 and the LED lamp 17.

이때, 단체 캠핑을 오게 되는 경우 등 사용자들에 의해 다수의 텐트(200)가 사용되면, 메인단말기(20)에서 다수의 텐트(200) 데이터를 각각의 텐트(200) 별로 휴대단말기(30)에 전송토록 하여 그 다수의 텐트(200) 중 어느 텐트(200)에서 일산화탄소 농도가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At this time, if a plurality of tents 200 are used by users such as a group camping, the main terminal 20 transmits a plurality of tent 200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30 for each tent 200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tent 200 of the plurality of tents 200 has reached a danger level exceeding the safety reference value in the tent 200.

또한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가로5㎝×세로5㎝×높이5㎝의 정육각체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정육각체 형태의 형성을 위해 수평하부체(101), 4면 수직벽체(102), 수평상부체(103)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부저(16)의 경보음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4면 수직벽체(102) 상에 경보음전달공(106)이 형성되도록 한다.3, the sensor device 10 has a horizontal lower body 101, a four-sided vertical body 101, And a horizontal upper body 103. The buzzer 16 provided in the sensor device 10 transmits an alarm sound to the outside of the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106).

상기 경보음전달공(106)은 반드시 형성되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나, 경보음의 소리와 전달거리를 고려하여 형성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주면의 모든 방향으로 일정하게 경보음이 퍼지도록 하기 위해 4면 수직벽체(102)의 모두에 형성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4면 수직벽체(10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만 경보음전달공(106)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The alarm sound transmission hole 106 is not necessarily formed,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alarm sound transmission hole 106 considering the sound of the alarm sound and the transmission distance. In order to spread the alarm sound constantly in all directions of the outer surfac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m on all of the vertical walls 102. However, the alarm sound transmission hole 106 may be formed in only one or more of the four-sided vertical walls 102.

또한,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LED램프(17)의 경보빛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일실시예로서 4면 수직벽체(102) 상에 LED램프(17)가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미도시되었으나,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LED램프(17)의 경보빛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수평하부체(101), 4면 수직벽체(102), 수평상부체(103)를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LED램프(17)가 4면 수직벽체(102) 상에서 반드시 돌출될 필요가 없으며, 센서디바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LED lamp 17 protrudes on the four-sided vertical wall 102 as an example so that the alarm light of the LED lamp 17 provided in the sensor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a horizontal upper body 103, and a vertical upper wall body 103 so that the alarm light of the LED lamp 17 provided in the sensor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 Can be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D lamp 17 does not necessarily protrude on the four-sided vertical wall 102, but is installed inside the sensor device 10.

그리고, 상기 부저(16) 및 LED램프(17)가 작동됨과 동시에 BLE 비콘(15) 및 메인단말기(20)를 통해 텐트(200)의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30)에 SMS를 발송하거나, 설치된 앱을 통해 경보를 알리도록 구성한다.The buzzer 16 and the LED lamp 17 are operated and an SMS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 of the user and the manager located near the tent 200 through the BLE beacon 15 and the main terminal 20 Or send an alert through an installed app.

상기 센서디바이스(10) 에서의 일산화탄소 경보 발생 시, 메인단말기(2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휴대단말기(30)의 전화번호로 미리 설정된 경보메시지를 자동 발송하게 된다. 이때, 미리 설정된 휴대단말기(30)는 도 2에서와 같이 관리자용 휴대단말기(30)와, 사용자용 휴대단말기(30a, 30b, 30c)를 포함한다.When a carbon monoxide alarm is generated in the sensor device 10, a preset alarm message is automatically sent to the preset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30 through the main terminal 20.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30 includes the manager portable terminal 30 and the user portable terminals 30a, 30b, and 30c as shown in FIG.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단말기(30)에서는 앱을 통해 도 1에서와 같이 음성을 통하여 경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기상정보 등을 음성 또는 문자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경보 또는 안내에 대한 정보를 그래프와 차트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토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30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guide an alert through voice through an app and to guide weather information or the like through voice or text. In addition, information on such alarms or guidance can be visually provided to users and managers through graphs and charts.

그리고,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메인단말기(20) 및 휴대단말기(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센서디바이스(10)와 휴대단말기(30) 사이에 무선 연결되는 메인단말기(20) 상에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sensor device 10, the main terminal 20, and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control unit 40 may be provided on the main terminal 20 wirelessly connected between the sensor device 10 and the portable terminal 3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을 기능적으로 살펴 보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 온도 센서모듈(13), 습도 센서모듈(14)을 이용하여 텐트(200) 실내의 공기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51)와, 상기 정보수집부(51)를 통해 수집되는 텐트(200) 실내의 공기 정보와 미리 설정된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비교하는 비교분석부(52)와,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공기정보가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상기 비교분석부(52)에 의해 판단되면 경보음 및 경보빛을 발생시키는 경보출력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휴대단말기(30)는, 상기 정보수집부(51)를 통해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의 농도, 온도, 습도를 포함한 공기 정보를 생성하는 공기정보생성표시부(55)와,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공기정보가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상기 비교분석부(52)에 의해 판단되면 위험경보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알림정보생성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 the sensor device 10 includes a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a temperature sensor 13, a temperature sensor 14,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51 for collecting air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by using the module 13 and the humidity sensor module 14 and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51 for collecting air information of the inside of the tent 200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51. [ 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for comparing the air information with preset safety standards for carbon monoxid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 control unit 52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52 so that the air information in the collected tent 200 exceeds the safety standards for carbon monoxide, temperature, And an alarm output unit 53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and an alarm light whe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determines that the alarm sound and the alarm light are generated. The tent (200) An air information generating and displaying section 55 for generating air information including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carbon monoxide in the collected tent 200; And an aler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6 for generating the alert alert information whe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determines that the alert alert information is received.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디바이스(10)의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된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부저(16) 및 LED램프(17)가 작동하여 경보음 및 경보빛으로 위험을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BLE 비콘(15) 및 메인단말기(20)를 통해 텐트(200)의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30)에 SMS를 발송하거나, 설치된 앱을 통해 경보를 알리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of the sensor device 10 reaches a danger level exceeding the set safety reference value as described above, the buzzer 16 and / The LED lamp 17 is activated to notify the user and the manager of the danger with an alarm sound and an alarm light and to be carried by the user and the manager in the vicinity of the tent 200 via the BLE beacon 15 and the main terminal 20 An SMS is sent to the terminal 30, or an alarm is notified through an installed app.

이러한 경보 알림에서 그치지 않고, 텐트(200) 내에 휴식을 취하고 있는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텐트(200) 내의 일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성이 대두된다.In view of the safety of the user resting in the tent 200,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the carbon monoxide in the tent 200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텐트(200) 내의 일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환기공(202)을 형성하였다. 상기 환기공(202)의 사용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텐트(200)의 전후방측 및 양측 원단 상에 망체(201)가 구비된 환기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환기공(202)의 외측 테두리에는 전자석띠(203)가 구비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전자석띠(203)에 부착 가능한 테두리금속띠(205)를 갖는 개방용원단(206)을 전자석띠(203)에 부착하여 환기공(202)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ventilation hole 202 for discharging carbon monoxide in the tent 200 is formed.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ventilation hole 202 having the netting 201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ent 200 and on both sides of the ventilation hole 202, And an electromagnet band 203 is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hole 202. Then, the open end 206 having the metal band 205 that can be attached 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is attached 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to keep the ventilation hole 202 closed.

이와 같이 상기 환기공(202)이 개방용원단(206)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공기정보가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상기 비교분석부(52)에 의해 판단되어 상기 경보출력부(53)에서 경보음 및 경보빛을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메인단말기(20) 및 제어부(40)에서 그 경보신호를 전자석 띠(203)에 전달하여 전자석 띠(203)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시켜 테두리금속띠(205)를 갖는 개방용원단(206)이 전자석띠(203)에서 이탈되어 환기공(202)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텐트(200) 내의 자동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자석띠(203)에 인근한 텐트(200)의 원단 상에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전선에 연결되도록 하며, 메인단말기(20) 및 제어부(40)에서의 경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경보신호수신부(미도시됨)가 구비되도록 한다.In the state where the ventilation hole 202 is closed by the opening fabric 206, the air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exceeds the safety standard for carbon monoxide, temperature, and humidity, When the alarm output and the alarm light are generated in the alarm output unit 53 as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he main terminal 20 and the control unit 40 transmit the alarm signal 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The electric current flowing in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is cut off and the opening fabric 206 having the metal band 205 is released from the electromagnet band 203 to open the ventilation hole 202, To be automatically ventilated. A battery is provided on the far end of the tent 200 adjacent 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and an alarm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from the main terminal 20 and the control unit 40 Shown in Fig.

이때, 상기 개방용원단(106)은 사용자가 텐트(200)를 사용할 때, 특히 난로 등을 사용하여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 농도 증가율이 높아 위험이 예상될 때 또는 취침 시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텐트(200)를 사용하지 않거나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 농도 증가율이 낮아 위험이 예상되지 않을 때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전자석띠(203)의 외측에 피부착띠(233)를 이격되게 구비하고, 상기 피부착띠(233)에 고정 가능한 부착띠(235)를 갖는 폐쇄용원단(236)을 구비하여, 상기 개방용원단(206)의 불필요 시, 폐쇄용원단(236)을 부착띠(233)에 고정하여 텐트(200) 실내로의 공기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상기 부착띠(235) 및 피부착띠(233)는 실시예로서 벨크로테이프 등을 적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pening fabric 106 may be used when the user uses the tent 200, especially when using a stove or the like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 the tent 200, 7,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tent 200 or the risk of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crease in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is low, the attachment band 23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electromagnet band 203 And a closure fabric 236 having an attachment band 235 which is spaced from and is attachable to the attachment band 233 so that when the opening fabric 206 is not neede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airbag 200 to be fixed to the attachment band 233 to block the air movement to the inside of the tent 2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ttachment band 235 and the attachment band 233 are made of a Velcro tape or the like as an examp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센서디바이스 12: 일산화탄소 센서모듈
13: 온도 센서모듈 14: 습도 센서모듈
15: BLE 비콘 16: 부저
17: LED램프 19: 배터리
20: 메인단말기 30: 휴대단말기
40: 제어부
10: Sensor device 12: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3: Temperature sensor module 14: Humidity sensor module
15: BLE beacon 16: buzzer
17: LED lamp 19: Battery
20: main terminal 30: portable terminal
40:

Claims (8)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이 내재되어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근거리 데이터 통신 규격인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 15)이 내재되어 상기 측정된 일산화탄소의 농도 데이터를 송신하는 센서디바이스(10);
상기 센서디바이스(10)의 비콘(15)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 관리하는 메인단말기(20);
상기 메인단말기(20)를 통한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의 농도 및 위험수준을 무선통신으로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인식시키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된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하면 센서디바이스(10) 내에 더 구비되는 부저(16) 및 LED램프(17)가 작동하여 경보음 및 경보빛으로 위험을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상기 센서디바이스(10)에는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 부저(16) 및 LED램프(17)를 작동하기 위한 배터리(19)가 더 구비되고,
상기 부저(16) 및 LED램프(17)가 작동됨과 동시에 BLE 비콘(15) 및 메인단말기(20)를 통해 텐트(200)의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휴대단말기(30)에 SMS를 발송하거나, 설치된 앱을 통해 경보를 알리도록 구성하며,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메인단말기(20) 및 휴대단말기(3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며,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온도 센서모듈(13) 및 습도 센서모듈(14)이 더 구비되어 텐트(200)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텐트(200) 실내의 쾌적한 환경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모듈(12), 온도 센서모듈(13), 습도 센서모듈(14)을 이용하여 텐트(200) 실내의 공기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51)와, 상기 정보수집부(51)를 통해 수집되는 텐트(200) 실내의 공기 정보와 미리 설정된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비교하는 비교분석부(52)와,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공기정보가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상기 비교분석부(52)에 의해 판단되면 경보음 및 경보빛을 발생시키는 경보출력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30)는,
상기 정보수집부(51)를 통해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일산화탄소의 농도, 온도, 습도를 포함한 공기 정보를 생성하는 공기정보생성표시부(55)와,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공기정보가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상기 비교분석부(52)에 의해 판단되면 위험경보 알림정보를 생성하는 알림정보생성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텐트(200)의 전후방측 및 양측 원단 상에 망체(201)가 구비된 환기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환기공(202)의 외측 테두리에는 전자석띠(203)가 구비되며, 상기 전자석띠(203)에 부착 가능한 테두리금속띠(205)를 갖는 개방용원단(206)을 전자석띠(203)에 부착하여 환기공(202)을 폐쇄한 상태에서,
수집된 텐트(200) 실내의 공기정보가 일산화탄소, 온도, 습도의 안전 기준치를 초과하여 위험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상기 비교분석부(52)에 의해 판단되어 상기 경보출력부(53)에서 경보음 및 경보빛을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메인단말기(20) 및 제어부(40)에서 그 경보신호를 상기 전자석띠(203)에 전달하여 전자석 띠(203)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시켜 테두리금속띠(205)를 갖는 개방용원단(206)이 전자석띠(203)에서 이탈되어 환기공(202)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텐트(200) 내의 자동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n the tent 200 in real time and measures the concentration data of the carbon monoxide contained in the Bluetooth low energy beacon 15, A transmitting sensor device (10);
A main terminal 20 for receiving, storing and manag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5 of the sensor device 10;
And a portable terminal (30) of a user and a manager for recognizing the concentration and the danger level of carbon monoxide in the tent (200) through the main terminal (20) to a user and an administrato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exceeds a set safety level and reaches a danger level, the sensor device 10 detects the presence of a buzzer 16 and an LED lamp (17) is operated to inform the user and the manager of the danger by an alarm sound and an alarm light, and the sensor device (10) is provided with an alarm lamp for operating a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a buzzer A battery 19 is further provided,
The buzzer 16 and the LED lamp 17 are ope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SMS is sent to the portable terminal 30 of the user and the manager in the vicinity of the tent 200 through the BLE beacon 15 and the main terminal 20 , Configured to notify you through the installed apps,
And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sensor device 10, the main terminal 20 and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sensor device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module 13 and a humidity sensor module 14 so as to measure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to enable a pleasant environment management in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
The sensor device (10)
An information collecting section 51 for collecting air information of a room of the tent 200 using the carbon monoxide sensor module 12, the temperature sensor module 13 and the humidity sensor module 14; 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for comparing the air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of the tent 200 and the safety standards of the preset carbon monoxide, temperature and humidity collected through the air conditioner 100, And an alarm output unit (53)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and an alarm light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hat the danger level has been exceeded,
The portable terminal (30)
An air information generating and displaying unit 55 for generating air information including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carbon monoxide collected in the tent 200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51; And an aler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6) for generating danger warning alert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hat the danger level has exceeded the safety standard value of carbon monoxide, temperature, and humidity.
A ventilation hole 202 having a netting 201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tent 200 and on both sides of the tent 200. An electromagnet band 203 is provided on an outer edge of the ventilation hole 202, In the state that the opening fabric 206 having the metal band 205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and 203 is attached 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and the ventilation hole 202 is closed,
It is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hat the air information in the collected tent 200 exceeds the safety level of carbon monoxid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reaches a danger level, The main terminal 20 and the control unit 40 transmit the alarm signal 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to cut off the current flowing into the electromagnet band 203, And the ventilation hole (202) is opened so that the ventilation hole (202) is automatically ventilated in the tent (200). The tent air conditioner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erlock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디바이스(10)는 가로5㎝×세로5㎝×높이5㎝의 정육각체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바닥에 세울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정육각체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걸림부재(62)를 구비하여 텐트(200) 실내에서 걸림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device 10 is formed in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width of 5 cm, a length of 5 cm, and a height of 5 cm so as to be able to stand on the floor, and an engaging member 62 is provided at one corner of the square Wherein the tent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is interlock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in a tent (20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5㎝×세로5㎝×높이5㎝의 정육각체 형태로 형성되는 센서디바이스(10)는 수평하부체(101), 4면 수직벽체(102), 수평상부체(103)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부저(16)의 경보음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4면 수직벽체(102) 상에 경보음전달공(106)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LED램프(17)의 경보빛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4면 수직벽체(102) 상에 LED램프(17)가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or device 10,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ece of 5 cm long by 5 cm wide by 5 cm high, is composed of a horizontal lower body 101, a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and a horizontal upper body 103 An alarm sound transmission hole 106 is formed on the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so that an alarm sound of the buzzer 16 provided in the sensor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And a LED lamp (17) protrudes on the four-sided vertical wall (102) so that the alarm light of the LED lamp (17)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e tent indoor air quality meter Safety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5㎝×세로5㎝×높이5㎝의 정육각체 형태로 형성되는 센서디바이스(10)는 수평하부체(101), 4면 수직벽체(102), 수평상부체(103)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부저(16)의 경보음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4면 수직벽체(10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경보음전달공(106)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디바이스(10) 내에 구비된 LED램프(17)의 경보빛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수평하부체(101), 4면 수직벽체(102), 수평상부체(103)를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or device 10,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ece of 5 cm long by 5 cm wide by 5 cm high, is composed of a horizontal lower body 101, a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and a horizontal upper body 103 An alarm sound transmission hole 106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our vertical walls 102 so that an alarm sound of the buzzer 16 provided in the sensor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e horizontal lower body 101, the four-sided vertical wall body 102, and the horizontal upper body 103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larm light of the LED lamp 17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A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erlocking of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with a portabl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띠(203)의 외측에 피부착띠(233)를 이격되게 구비하고, 상기 피부착띠(233)에 고정 가능한 부착띠(235)를 갖는 폐쇄용원단(236)을 구비하여, 상기 개방용원단(206)의 불필요 시, 폐쇄용원단(236)을 부착띠(233)에 고정하여 텐트(200) 실내로의 공기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losure fabric 236 having an attachment band 233 spaced from the electromagnet band 203 so as to be spaced apart and having an attachment band 235 fixed to the attachment band 233, The tent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is configured to block the air movement to the inside of the tent 200 by fixing the closing end 236 to the attaching band 233 when the use end 206 is not needed.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erlocking.
KR1020180064110A 2018-06-04 2018-06-04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linkage air quality measurement indoor tent and portable terminal KR101893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110A KR101893737B1 (en) 2018-06-04 2018-06-04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linkage air quality measurement indoor tent and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110A KR101893737B1 (en) 2018-06-04 2018-06-04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linkage air quality measurement indoor tent and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737B1 true KR101893737B1 (en) 2018-10-04

Family

ID=6386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110A KR101893737B1 (en) 2018-06-04 2018-06-04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linkage air quality measurement indoor tent and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73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0344A (en) * 2019-09-08 2019-11-19 四川省农业科学院蚕业研究所 A kind of numeric type Hygrothermograph of the silkworm with warning function
KR102217475B1 (en) * 2019-09-05 2021-02-18 서정영 An accommoda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for prevention of suicide
US11178524B2 (en) 2019-01-29 2021-11-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ta collection method using user terminal and data collection system
KR20230013913A (en) * 2021-07-20 2023-01-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Gas Sensing Device Integrated in Textile
KR20230064834A (en) 2021-11-04 2023-05-11 임준일 Fire extinguisher for pellet stov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310B1 (en) 2008-10-27 2011-03-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tand-alone system for environmental gas measurement
KR101332414B1 (en) * 2013-01-29 2013-11-22 김명삼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amping
KR101532209B1 (en) 2013-11-20 2015-06-30 (주)성진테크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613239B1 (en) 2015-11-10 2016-04-29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indow for ventilation of inside in structure
JP2017527051A (en) 2014-07-08 2017-09-14 ヨンウン キム AIR QUALITY NOTIFICATION DEVICE LINKED WITH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AND ITS AIR QUALITY NOTIFICATION METHOD
KR101793594B1 (en) * 2016-08-17 2017-11-03 주식회사 이노템즈 Integrated safety system using air quality measure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310B1 (en) 2008-10-27 2011-03-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tand-alone system for environmental gas measurement
KR101332414B1 (en) * 2013-01-29 2013-11-22 김명삼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amping
KR101532209B1 (en) 2013-11-20 2015-06-30 (주)성진테크 Safety management system
JP2017527051A (en) 2014-07-08 2017-09-14 ヨンウン キム AIR QUALITY NOTIFICATION DEVICE LINKED WITH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AND ITS AIR QUALITY NOTIFICATION METHOD
KR101613239B1 (en) 2015-11-10 2016-04-29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window for ventilation of inside in structure
KR101793594B1 (en) * 2016-08-17 2017-11-03 주식회사 이노템즈 Integrated safety system using air quality measure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8524B2 (en) 2019-01-29 2021-11-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ta collection method using user terminal and data collection system
KR102217475B1 (en) * 2019-09-05 2021-02-18 서정영 An accommoda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for prevention of suicide
CN110470344A (en) * 2019-09-08 2019-11-19 四川省农业科学院蚕业研究所 A kind of numeric type Hygrothermograph of the silkworm with warning function
KR20230013913A (en) * 2021-07-20 2023-01-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Gas Sensing Device Integrated in Textile
KR102526119B1 (en) * 2021-07-20 2023-04-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Gas Sensing Device Integrated in Textile
KR20230064834A (en) 2021-11-04 2023-05-11 임준일 Fire extinguisher for pellet sto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737B1 (en) Camping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linkage air quality measurement indoor tent and portable terminal
US10657797B2 (en) Owner controlled evacuation system
US8253553B2 (en) Portable occupancy detection unit
US5786767A (en) Home safety system
US7636049B2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irectional signaling apparatus
US2015007773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 environment
CN206181101U (en) Intelligence camping room based on camping internet of things
CA2347245A1 (en) Communicative environmental alarm system with voice indication
US20080266121A1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irectional signaling apparatus
JP2009520262A (en) Mobile monitoring device
KR10173117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fire alarm interoperating with mobile terminal
US20080303678A1 (en) Combination smoke detector, carbon monoxide detector and cellphone
US20170140619A1 (en) Wireless home safety 911 system
RU2015115588A (en) FIRE DEVICE FOR DETECTION, ALARMS AN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ON SMOKE AND OTHER GASES
CN107924598A (en) Safety automation system
CN107924607A (en) Safety automation system
US20210129625A1 (en) Environmental safety devices and systems for a vehicle
WO2020201589A1 (en) Transportable container for recharging vehicle batteries
KR101548591B1 (en) Multifunctional indication device
KR102187084B1 (en) Power supply device within fire detecting sensors for camping in out door
CN205299117U (en) A many application functions lighting device of modularization for biology is discerned
CN213582493U (en) Independent smoke alarm
KR102152103B1 (en) Power supply device for camping in out door
KR102583690B1 (en) Outdoor type smart fan
KR102299395B1 (en) Smart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