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327B1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327B1
KR101878327B1 KR1020110130813A KR20110130813A KR101878327B1 KR 101878327 B1 KR101878327 B1 KR 101878327B1 KR 1020110130813 A KR1020110130813 A KR 1020110130813A KR 20110130813 A KR20110130813 A KR 20110130813A KR 101878327 B1 KR101878327 B1 KR 10187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ereoscopic image
unit
path changing
optic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4278A (en
Inventor
장진혁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327B1/en
Publication of KR2013006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2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시점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다수의 시점 영상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 경로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광 경로 변경 수단에서의 광 경로 변경부의 단위 폭 및 상기 표시패널의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광 경로 변경 수단의 배면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갭 기판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and an optical path changing means for changing paths of the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The unit width of the path changing unit and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s of the display panel are chang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gap substrate for maintaining the back distance of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피치 및 뷰배열을 조절하여 배면거리를 축소시킴에 따라 갭 기판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at can reduce the size of a gap substrate by reducing a back distance by adjusting a lens pitch and a view arrangement will be.

최근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분야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영상 구현 방식과 관련하여 2차원적인 평면영상뿐만 아니라 3차원적인 입체영상까지도 구현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has developed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the display field has been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nd image display devices capable of realizing not only two-dimensional plane images but also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s have been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image realization method.

인간이 영상의 깊이감과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으로는 두 눈 사이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 외에도 심리적, 기억적 요인이 있다.In addition to the binocular disparity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yes, there are psychological and memorizing factors for the depth and stereoscopic effect of the human image.

이와 같은 요인들을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 방식 중 하나가 양안의 생리적 요인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느끼는 입체감표현방식(stereoscopic type)이다.One of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s using these factors is a stereoscopic type in which stereoscopic effect is felt using physiological factors of both eyes.

입체감표현방식(stereoscopic type)은 약 65㎜정도 떨어져 있는 좌우안에 시차정보가 포함된 평면의 연관영상을 제공하면, 뇌가 이들을 융합하는 과정에서 표시면 전후의 공간정보를 생성해 입체감을 느끼는 능력, 즉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를 이용한 것이다.The stereoscopic type is the ability to generate the spatial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display surface in the process of fusion of the brain by providing the plane image of the plane including the parallax information in the left and right, That is, stereography is used.

이러한 입체감표현방식은 실질적인 입체감 생성위치에 따라 관찰자가 특수안경을 착용하는 안경방식과, 표시면 측의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나 렌티큘러(lenticular) 등의 렌즈 어레이(lens array)를 이용하는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stereoscopic expression system is classified into a spectacle system in which a viewer wears special glasses depending on a substantial stereoscopic generation position and a non-stereoscopic vision system in which a lens array such as a parallax barrier or a lenticular on the display side is used, . ≪ / RTI >

일반적으로 무안경 방식은, 안경방식에 비하여 3D 휘도 측면에서 우수하다.Generally, the non-eyeglass system is superior to the eyeglass system in terms of 3D luminance.

무안경 방식의 영상표시장치는, 각각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표시장치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광 경로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데,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 입체영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The non-eyeglass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respectively, and optical path changing mean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It is being actively developed.

여기서, 광 경로 변경 수단은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나 렌티큘러(lenticular) 등의 렌즈 어레이(lens arr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may include a lens array such as a parallax barrier, a lenticular lens, or the like.

특히,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렌즈를 이용하여 렌즈 어레이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액정층의 렌즈 역할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In particular, a lens array including a liquid crystal layer may be used. In this case, whether or not the liquid crystal layer functions as a lens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or not.

일반적으로 렌즈는 렌즈를 구성하는 물질과 공기와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여 입사광의 경로를 제어한다.Generally, a lens controls the path of incident light by using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air and the substance constituting the lens.

반면에 액정 렌즈의 경우는 각각의 전극에 인가하여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가상의 렌즈가 형성되어 위치별 위상차에 의해 실제 렌즈와 같이 표시패널로부터 입사하는 입사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lens, an imaginary lens is formed by an electric field formed by applying to each electrode, and the path of incident light incident from the display panel like the actual lens can be controlled by the phase difference of each position.

이러한 액정 렌즈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는 2차원(2 dimension: 2D) 모드와 3차원(3 dimension: 3D) 모드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uch a liquid crystal lens has an advantage that a two-dimensional (2D) mode and a three-dimensional (3D) mode can be selectively displayed.

종래의 무안경 방식의 영상표시장치는 하나의 시점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현했었다.Conventionally, a non-eyeglass image display apparatus has represented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at one view point.

최근에는 시청 각도(방향)에 따라 영상이 실제와 같이 표현될 수 있도록 각 시청 각도(방향)에 적합한 다수의 시점 영상을 필요로 하는 다시점(multi-view) 영상표시장치가 등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 multi-view image display device which requires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suitable for each viewing angle (direction) has emerged so that an image can be expressed in accordance with a viewing angle (direction).

이러한 다시점(multi-view) 영상표시장치는 시청 각도에 따른 다수의 시청 영역별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uch a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can implement images for a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according to viewing angle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다수의 시청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2는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시점 영상은 'I'를 부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viewing regions of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viewpoint image will be described by adding 'I'.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영상표시장치(1)는 시청 각도(방향)에 따른 다수의 시점 영상(I1~I5)을 구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1 implements a plurality of view images I1 to I5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direction).

이때, 시청자는 제 2 시점 영상 및 제 4 시점 영상이 각각 좌안 및 우안으로 전달됨에 따라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iewer can view the stereoscopic image as the second view image and the fourth view image are transmitted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respectively.

여기서, 다수의 시점 영상(I1~I5)은 여러 시청 각도(방향)에 따른 영상일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I1 to I5 may be images according to various viewing angles (directions).

이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를 사용하면, 실제와 같이 표현될 수 있도록 시청 각도(방향)에 따라 상이한 영상을 볼 수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By using the image display device 1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view different image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s (directions) so that they can be expressed as actual images, and more natural stereoscopic images can be viewed.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과 광 경로 변경 수단(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0, a light path changing means 20, and the like.

표시패널(10)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 1 기판(12) 및 제 2 기판(14)과, 제 1 기판(12) 및 제 2 기판(14)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 includes a first substrate 12 and a second substrate 14 facing each oth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2 and the second substrate 14 .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패널(10)에는 시청 각도(방향)에 따른 다수의 시점 영상(I1~I5)을 표시하는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미도시)이 정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not shown) may be defined on the display panel 10 to display a plurality of view images I1 to I5 corresponding to viewing angles (directions).

이때,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은 예를 들어, 다수의 부화소영역(미도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may be, for example, a plurality of sub-pixel regions (not shown).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기판(12) 및 제 2 기판(14) 내면에는 각각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화소전극에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이 인가되어 액정층이 구동된다.Although not shown, a pixel electrode and a common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substrate 12 and the second substrate 14, respectively. A data voltage is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and a common voltage is a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

그리고, 제 1 기판(12) 및 제 2 기판(14)의 외면에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11) 및 제 2 편광판(15)이 각각 부착된다.A first polarizing plate 11 and a second polarizing plate 15, which selectively transmit only specific light,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ubstrate 12 and the second substrate 14, respectively.

그리고, 표시패널(10)은 제 1 접착수지(17)를 이용하여 광 경로 변경 수단(20)과 부착될 수 있다.Then, the display panel 10 can be attached to the light path changing means 20 by using the first adhesive resin 17. [

광 경로 변경 수단(20)은, 갭 기판(22)과 렌즈 어레이(24)를 포함한다.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20 includes a gap substrate 22 and a lens array 24.

갭 기판(22)은 배면거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렌즈 어레이(24)의 굴절률과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The gap substrate 22 serves to maintain the back surface distance, and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lens array 24 can be used.

예를 들어, 갭 기판(22)은 유리일 수 있으며, 제 2 접착수지(23)를 이용하여 렌즈 어레이(24)와 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ap substrate 22 may be glass and may be attached to the lens array 24 using a second adhesive resin 23.

그리고, 갭 기판(22)의 두께가 L1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gap substrate 22 may be L1.

렌즈 어레이(24)는 표시패널(10)의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다수의 시점 영상(I1~I5)을 각각의 시청 각도(방향)에 따라 영상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lens array 24 serves to change the image path of the plurality of view images I1 to I5 incident from the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of the display panel 10 according to each viewing angle (direction).

도3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시청거리 및 배면거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viewing distance and back distance in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무안경 방식의 영상표시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원하는 위치에 시점 영상을 배열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과 광 경로 변경 수단 사이에 일정한 배면거리(S)가 필요하다.A certain back distance S is requir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in order to arrange the view image at a desired position when using the non-eyeglass image display device.

즉, 시청자가 시청 각도(방향)에 따른 다수의 시점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청자는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시청거리(D)만큼 이격되어 있어야 하고, 표시패널은 렌즈 어레이로부터 배면거리(S)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in order for the viewer to view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direction), the viewer must be separat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by the viewing distance D, It is necessary to b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by the rear distance S.

이때, 시청거리(D)는 영상표시장치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고,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시청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는 다수의 시점 영상이 배열되는 위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viewing distance D correspond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viewer, and the position spaced by the viewing distance 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a position where a plurality of view images are arranged.

그리고, 배면거리(S)는 원하는 위치에 시점 영상을 배열하기 위하여 필요한 거리로서 보통 렌즈의 초점거리보다 조금 가까운 거리에 해당한다.The rear distance S is a distance required to arrange the view image at a desired position, and corresponds to a distance slightly shorter than the focal length of the ordinary lens.

이러한 배면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표시 패널과 렌즈 어레이 사이에 렌즈 어레이의 굴절률이 유사한 굴절률을 가지는 갭 기판을 형성하게 된다.A gap substrate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lens array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lens array in order to keep the back distance constant.

그런데, 갭 기판이 표시 패널과 렌즈 어레이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 영상표시장치의 전체 무게와 전체 두께가 증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영상표시장치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gap substr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lens array, the total weight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re increas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 피치 및 뷰배열을 조절하여 배면거리를 축소시킴에 따라 갭 기판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reduce the size of a gap substrate by reducing a rear distance by adjusting a lens pitch and a view arrangement do.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는, 다수의 시청방향에 따른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시점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N개의 시점 영상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 경로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에는 상기 N개의 시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N개의 입체영상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그룹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광 경로 변경 수단에는 광 경로 변경부의 단위 폭이 상기 영상 그룹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N viewpoint image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viewing directions; And an optical path changing unit for changing a path of the N view image,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mage groups consisting of N stereoscopic image units for implementing the N view image, A unit width of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mage group.

여기서, 상기 영상 그룹은 N-a개의 입체영상 유닛들과 a(1≤a≤N/2, a는 자연수)개의 입체영상 유닛들로 정의되거나, N-(a+b)개의 입체영상 유닛들과 a(2≤a≤N-(a+b), a는 자연수)개의 입체영상 유닛들과 b개의 입체영상 유닛들(1≤b≤a, b는 자연수)로 정의될 수 있다.Herein, the image group may be defined as a set of three-dimensional image units, a (1? A? N / 2, a is a natural number) (2? A? N- (a + b), where a is a natural number) and b stereoscopic image units (1? B? A, b are natural numbers).

그리고, 상기 N이 5인 경우에, 상기 영상 그룹은 제 1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되는 제 1 입체영상 유닛 및 제 3 입체영상 유닛 및 제 5 입체영상 유닛과,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제 3 입체영상 유닛 및 제 5 입체영상 유닛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 2 입체영상 유닛 및 제 4 입체영상 유닛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N is 5, the image group includes a first stereoscopic image unit, a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 and a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 that are repeatedly arrang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 A second stereoscopic image unit and a fourth stereoscopic image unit respectively disposed under the image unit and the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

그리고, 상기 광 경로 변경부가 렌즈 어레이인 경우에, 상기 렌즈 어레이의 장축은 제 2 축(수직 축)을 기준으로 제 1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is a lens array, the long axis of the lens array may b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at a first angle with reference to a second axis (vertical axis).

이때, 상기 다수의 시점 영상의 수평 길이는 (65*K)mm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lurality of view images may be (65 * K) mm.

그리고, 상기 광 경로 변경부가 배리어인 경우에, 상기 배리어의 장축은 제 2 축(수직 축)을 기준으로 제 1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optical path changing portion is a barrier, the long axis of the barrie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first angle with reference to a second axis (vertical axis).

또한, 상기 광 경로 변경 수단은 상기 광 경로 변경부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의 거리인 배면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갭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gap substrate for maintaining a back distance, which is a distance between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and the display panel.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무안경 방식의 영상표시장치에서 렌즈의 폭 및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를 조절함에 따라 배면거리를 축소시켜 갭 기판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lens and the arrangement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 are adjusted in the non-spectacle-type video display device, .

그 결과 영상표시장치의 경량화와 박형화가 가능해지고 제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1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다수의 시청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시청거리 및 배면거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6a 및 도6b는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렌즈 어레이 및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렌즈 어레이 및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8 및 도9는 종래 및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다수의 시점 영상의 크기 및 영상의 세기 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시청거리 및 배면거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a plurality of viewing areas of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3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viewing distance and back distance in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lens array and a stereoscopic image unit in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lens array and the stereoscopic image unit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nd FIG. 9 are views referred to for comparing magnitudes and magnitudes of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in the conventional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viewing distances and back distances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영상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유기발광 다이오드표시장치 등의 평판표시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video display devi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시점 영상은 'I'를 부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viewpoint image will be described by adding 'I'.

도4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패널(110)과 광 경로 변경 수단(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a light path changing unit 120, and the like.

표시패널(110)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된 제 1 기판(112) 및 제 2 기판(114)과, 제 1 기판(112) 및 제 2 기판(114)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 first substrate 112 and a second substrate 114 facing each oth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2 and the second substrate 114 can do.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패널(110)에는 여러 시청 각도(방향)에 따른 N개의 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that display N view-point images according to various viewing angles (directions).

이때,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시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N개의 입체영상 유닛들의 최소 묶음을 영상 그룹으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a minimum group of N stereoscopic image units for implementing N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viewpoint images may be defined as a group of images.

이러한 영상 그룹은 제 1 열에 배치되는 N-a개의 홀수 번째의 입체영상 유닛들과 배치되고, 제 2 열에 배치되는 a개의 짝수 번째의 입체영상 유닛들로 정의될 수 있다. (1≤a≤N/2, a는 자연수)This group of images may be defined as N-a odd-numbered three-dimensional image units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and a even-numbered three-dimensional image units arranged in the second column. (1? A? N / 2, a is a natural number)

그리고, 표시패널(110)에는 상기 N개의 입체영상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그룹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mage groups including the N stereoscopic image units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10.

이때,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은 시청 각도(방향)에 따른 다수의 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의 부화소영역(미도시)일 수 있으며, 각각 좌안영상 또는 우안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may be a plurality of subpixel regions (not shown) that display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direction), and may display the left eye image or the right eye image, respectively.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가 5개의 시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표시장치라고 하면(N=5), 다수의 시점 영상은 제 1 시점 영상 내지 제 5 시점 영상(I1~I5)이고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은 제 1 입체영상 유닛 내지 제 5 입체영상 유닛(U1~U5)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lementing five view image images (N = 5), a plurality of view image images are obtained from the first view image to the fifth view image I1- I5), and the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may be the first to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s (U1 to U5).

영상 그룹은 제 1 내지 제 5 입체영상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열에 배치되는 3개의 홀수 번째의 입체영상 유닛들(U1, U3, U5)과, 제 2 열에 배치되는 2개의 짝수 번째의 입체영상 유닛들(U2, U4)로 정의될 수 있다.The image group may be composed of first to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s, and may include three odd-numbered three-dimensional image units (U1, U3, U5)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and two odd- May be defined as image units U2 and U4.

이와 같은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 및 영상 그룹 구조는 일예로 설명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arrangement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s and the structure of the image group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기판(112)에는 서로 교차하여 부화소영역(미도시)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substrate 112 is provided with gate wirings (not shown) and data wirings (not shown) which cross each other to define sub-pixel regions (not shown) A transistor (not shown) may be formed.

그리고, 제 1 기판(112)에는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각 화소영역(미도시)에 배치되는 화소전극(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A pixel electrod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12 to b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disposed in each pixel region (not shown).

또한, 제 2 기판(114)에는 다수의 적, 녹, 청색 컬러필터(미도시)와, 다수의 블랙매트릭스(미도시) 등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s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black matric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114.

이와 같은 표시패널(110)은 화소전극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에 의해 전기장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액정층의 액정분자의 배열이 변하여 광 투과율을 조절함에 따라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In such a display panel 110,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y the data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and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is changed to adjust the light transmittance, thereby realizing an image.

한편, 제 1 기판(112) 및 제 2 기판(114)의 외면에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 1 편광판(111) 및 제 2 편광판(115)이 각각 부착된다.The first polarizer 111 and the second polarizer 115 selectively transmit only specific ligh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2 and the second substrate 114, respectively.

그리고, 표시패널(110)은 제 1 접착수지(117)를 이용하여 N개의 시점 영상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광 경로 변경 수단(120)과 부착될 수 있다.Then,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attached to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that changes the path of the N view image images using the first adhesive resin 117. [

광 경로 변경 수단(120)은, 갭 기판(122)과 광 경로 변경부인 렌즈 어레이(124)를 포함한다.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includes a gap substrate 122 and a lens array 124 which is a light path changing portion.

이때, 광 경로 변경 수단(120)은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나 렌티큘러(lenticular) 등의 렌즈 어레이(lens array) 등일 수 있는데,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렌즈 어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120 may be a lens array such as a parallax barrier or a lenticular lens. Here, a lens arra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갭 기판(122)은 배면거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렌즈 어레이(24)의 굴절률과 유사한 굴절률을 갖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The gap substrate 122 serves to maintain the back distance, and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lens array 24 can be used.

예를 들어, 갭 기판(122)은 유리일 수 있으며, 제 2 접착수지(123)를 이용하여 렌즈 어레이(124)와 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ap substrate 122 may be glass and may be attached to the lens array 124 using a second adhesive resin 123.

여기서, 배면거리는 원하는 위치에 시점 영상을 배열하기 위하여 필요한 거리로서 보통 렌즈의 초점거리보다 조금 가까운 거리일 수 있으며, 보통 렌즈 어레이와 표시패널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Here, the back distance is a distance required to arrange the view image at a desired position, which may be a distance slightly shorter than the focal length of the ordinary lens, and usually refers to a distance between the lens array and the display panel.

렌즈 어레이(124)는 표시패널(110)의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다수의 시점 영상(I1~I5)을 각각의 시청 각도(방향)에 따라 영상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ens array 124 changes a path of an image according to each viewing angle (direction) of a plurality of view images I1 to I5 incident from a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of the display panel 11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 경로 변경 수단(120)에서는 종래 대비 렌즈 어레이(124)에서의 각 렌즈의 곡률이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2의 A 및 도5의 B 참조)Meanwhile, in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ature of each lens in the lens array 124 can be increased. (See FIG. 2A and FIG. 5B)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광 경로 변경 수단(120)에서는 렌즈 어레이(124)에서의 각 렌즈의 곡률 반지름은 종래의 렌즈 어레이에서의 곡률 반지름의 1/2배 일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each lens in the lens array 124 may be half the radius of curvature in the conventional lens array.

이때, 곡률이란 곡선 또는 곡면의 휨 정도를 나타내는 변화율로서, 곡률이 크면 곡선의 변화율이 큰 것이고, 곡률이 작으면 곡선의 변화율이 작은 것이다.At this time, the curvature is a rate of change indicating the degree of bending of a curve or a curved surface. When the curvature is large, the rate of change of the curve is large, and when the curvature is small, the rate of change of the curve is small.

한편, 렌즈의 곡률을 변경하려면, 렌즈의 곡률 반지름을 바꾸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o change the curvature of the len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must be changed.

예를 들어, 렌즈의 곡률이 커지도록 하려면 렌즈의 곡률 반지름을 작게 해야 하고, 렌즈의 곡률이 작아지도록 하려면 렌즈의 곡률 반지름을 크게 해야 한다.For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curvature of the len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must be reduced, and in order to reduce the curvature of the len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must be increased.

즉, 렌즈의 곡률과 곡률반지름은 반비례 관계이다.That is, the curvature of the lens and the radius of curvature are in inverse propor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경로 변경 수단(120)에서 종래 대비 렌즈 어레이(124)에서의 각 렌즈의 곡률이 커지도록 형성하려면, 렌즈의 곡률반지름을 작게 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curvature of each lens in the lens array 124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must be reduced.

그런데, 렌즈의 곡률이 커지면, 동일 시청거리에서 시점 영상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However, when the curvature of the lens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view image becomes larger at the same viewing distance.

왜냐하면, 렌즈의 곡률이 커지면 초점거리가 짧아지고, 초점거리가 짧아지면, 배율이 커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curvature of the lens is large, the focal length is shortened, and when the focal length is short, the magnification becomes large.

여기서, 렌즈의 곡률과 초점거리와의 관계를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vature of the lens and the focal lengt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quation (1).

[수학식1][Equation 1]

Figure 112011097490836-pat00001
Figure 112011097490836-pat00001

이때, a는 시청거리이고, b는 배면거리이며, f는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r은 렌즈의 곡률반지름을 의미한다.Where a is the viewing distance, b is the back distance, f is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and r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본 발명에 따른 광 경로 변경 수단(120)에서는 종래 대비 렌즈 어레이(124)에서의 각 렌즈의 곡률이 커지도록 형성하게 된다.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curvature of each lens in the lens array 124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그런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렌즈의 곡률과 곡률반지름은 반비례 관계이기 때문에 곡률이 커지면 곡률반지름이 감소하게 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rvature of the lens and the radius of curvature are inversely proportional, the radius of curvature decreases when the curvature increases.

곡률반지름이 감소하면 수학식에 따라 초점거리도 짧아지게 된다.As the radius of curvature decreases, the focal length becomes shorter according to the equa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광 경로 변경 수단(120)에서는 종래 대비 렌즈 어레이(124)에서의 각 렌즈의 곡률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아지게 된다.That is, in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rvature of each lens in the lens array 124 is increased,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is shortened.

한편, 배율이란 물체의 크기와 상의 크기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렌즈에 맺히는 영상의 크기 대비 각각의 시청영역(시청 방향)으로 전달되는 영상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즉, 배율이 커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gnification means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object to the size of the image. As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becomes shorter, the size of the image transmitted in each viewing area (viewing direction) can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mage formed in the lens. That is, the magnification becomes large.

따라서, 시청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할 경우에, 렌즈의 곡률이 커지면 시점 영상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iewing distance is kept the same, when the curvature of the lens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view image increases.

그리고, 본 발명에서 렌즈의 곡률이 커지면 배면거리가 짧아져 배면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갭 기판(122)의 두께가 L2로 감소할 수 있다. (L2 < L1)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vature of the lens increases, the back distance becomes shorter, and the thickness of the gap substrate 122 for maintaining the back distance can be reduced to L2. (L2 < L1)

그런데, 단지 렌즈의 곡률만 변화시킬 경우에, 시점 영상의 크기 뿐만 아니라 시점 영상 사이의 간격도 커지게 된다.However, when only the curvature of the lens is changed, not only the size of the viewpoint image but also the interval between the viewpoint images becomes large.

그리하여 시점 영상 사이의 간격이 좌우안 간격인 65mm를 넘게 되면, 시청자는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어렵게 된다.Thus,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viewpoint images exceeds 65 mm, which is the interval between the right and left eyes, the viewer is hard to view the stereoscopic imag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경로 변경 수단(120)에서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렌즈의 곡률뿐만 아니라 렌즈의 폭 및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 등을 더욱 조절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the stereoscopic image,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eds to further adjust not only the curvature of the lens but also the width of the lens and the arrangement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

이에 대해서는 도7a 및 도7b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S. 7A and 7B.

한편, 광 경로 변경부가 배리어(미도시)인 경우에는 광 경로 변경수단(120)을 표시패널(110)에 좀 더 밀착시켜 부착시킴에 따라 배면거리를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is a barrier (not shown),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120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10 more closely to reduce the rear distance.

다시 도4를 참조하면, 표시패널 구동부(130)는 영상신호(RGB)와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데이터인에이블 신호(DE), 그리고 클럭신호(CLK) 등을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을 생성하고, 생성된 게이트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표시패널(110)로 전달한다.Referring again to FIG. 4, the display panel driver 130 may control the display panel driver 130 to display the image signals RGB,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the data enable signal DE, and the clock signal CLK And transmits the generated gate control signal and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110.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이러한 표시패널 구동부(130)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장착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driver 130 may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시스템부(150)는, 영상신호(RGB)와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데이터인에이블 신호(DE), 그리고 클럭신호(CLK) 등을 표시패널 구동부(130)로 전달하며, 예를 들어 TV 시스템 또는 그래픽 카드일 수 있다.The system unit 150 outputs the video signal RGB,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the data enable signal DE, and the clock signal CLK to the display panel drive unit 130 For example, a TV system or a graphics car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양안의 시차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게 된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parallax of both eyes.

이때, 양안의 시차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표시패널(110)로부터 출사되는 좌안영상(L) 및 우안영상(R)이 분리되어 각각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전달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realize stereoscopic images using the parallax of the binocular, the left eye image L and the right eye image R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10 need to be separated and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viewer, respectively.

예를 들어, 표시패널(110)로부터 출사되는 다수의 영상은 광 경로 변경 수단(120)에 의해 영상의 경로가 변경되어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으로 분리된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images output from the display panel 110 are changed by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120 so that the path of the image is changed to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또한, 표시패널(110)로부터 출사되는 다수의 영상은 광 경로 변경 수단(120)에 의해 영상의 경로가 변경되어 시청 각도(방향)에 따른 각각의 시점 영상으로 분리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mages output from the display panel 110 are changed by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so that the image paths are separated into respective view image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direction).

다시 말해서, 광 경로 변경 수단(120)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는 표시패널(110)로부터 출사되는 다수의 영상을 광 경로 변경 수단(120)에 의해 영상의 경로를 변경시킴에 따라 시점 영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시점 영상을 각각 상이한 시청영역(시청 방향)으로 전달한다.In other word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separates a plurality of images output from the display panel 110 into a view image by changing the path of the image by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0 And transmits the separated viewpoint images in different viewing areas (viewing directions).

그리고,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 서로 다른 시점 영상이 전달되어 시청자는 입체감을 느낄 수게 된다.Then, different viewpoint images ar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viewer, and the viewer can feel the three-dimensional feeling.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광 경로 변경 수단(120)에 의해 기존의 편광 안경이나 셔터 안경 등과 같은 특수안경을 사용하지 않고도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implemented by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120 without using the special glasses such as the polarizing glasses and the shutter glasses.

도6a 및 도6b는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렌즈어레이 및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렌즈 어레이 및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때, 영상표시장치는 5개의 시점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FIGS.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lens array and the stereoscopic image unit in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FIGS.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lens array and the stereoscopic image unit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ereoscopic image units. Her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y taking five viewpoint images as an example.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광 경로 변경수단에서의 렌즈 어레이(24)를 구성하는 각각의 렌즈(24a, 24b)는 5개의 입체영상 유닛(U1~U5)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6A and 6B, each of the lenses 24a and 24b constituting the lens array 24 in the conventional optical path changing means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ve stereoscopic image units U1 to U5 do.

이때, 각각의 렌즈의 폭(pitch)은 5개의 입체영상 유닛 보다는 약간 작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tch of each lens is made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five stereoscopic image units.

그리고, 종래의 표시패널에서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는 제 1 입체영상 유닛(U1) 내지 제 5 입체영상 유닛(U5)이 반복 배치될 수 있다.I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in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the first stereoscopic image unit U1 to the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 U5 may be repeatedly arranged.

예를 들어,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은 제 1 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제 1 입체영상 유닛(U1), 제 2 입체영상 유닛(U2), 제 3 입체영상 유닛(U3), 제 4 입체영상 유닛(U4), 그리고 제 5 입체영상 유닛(U5)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may include a first stereoscopic image unit (U1), a second stereoscopic image unit (U2), a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 (U3), a fourth stereoscopic image The unit U4, and the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 U5.

그리고,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은 제 2 방향(수직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입체영상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may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이때, 제 1 입체영상 유닛(U1) 내지 제 5 입체영상 유닛(U5)은 예를 들어 각각 제 1 시점영상 내지 제 5 시점영상을 표시하는 부화소영역일 수 있다.Here, the first to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s U1 to U5 may be, for example, sub-pixel regions for displaying the first view image to the fifth view image, respectively.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시점영상 내지 제 5 시점영상은 표시패널로부터 시청거리(D) 정도 이격되어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the first view image to the fifth view image may be implemented with a viewing distance D from the display panel.

이때, 제 1 시점영상 내지 제 5 시점영상의 수평 길이(E)는 예를 들어 65mm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E of the first view image to the fifth view image may be, for example, 65 mm.

여기서, 시청거리(D) 및 배면거리(S)와의 관계는 수학식2와 같다.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ing distance D and the rear distance S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2]&Quot; (2) &quot;

Figure 112011097490836-pat00002
Figure 112011097490836-pat00002

이때, D는 시청거리이고, S는 배면거리이며, E는 양안 간격(시점영상의 수평 길이)이고, P는 입체영상 유닛의 폭을 의미한다.
In this case, D is the viewing distance, S is the back distance, E is the binocular interval (horizontal length of the view image), and P is the width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는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경로 변경수단에서의 렌즈 어레이(124)는 2개의 렌즈(124a, 124b)가 5개의 입체영상 유닛(U1~U5)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A, the lens array 124 in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lenses 124a and 124b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ve stereoscopic image units U1 to U5.

이때, 각각의 렌즈의 폭(pitch)은 2.5개의 입체영상 유닛 보다는 약간 작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tch of each lens is made slightly smaller than 2.5 stereoscopic image units.

여기서, 렌즈의 폭은 광 경로 변경부의 단위 폭일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lens may be a unit width of the optical path changing portion.

그리고, 광 경로 변경부인 렌즈 어레이(124)의 장축은 y축을 기준으로 제 1 각도(α)만큼 기울어져 형성된다.The long axis of the lens array 124, which is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is formed by being inclined by the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y-axis.

마찬가지로, 광 경로 변경부가 배리어(미도시)인 경우에도 배리어의 장축은 y축을 기준으로 제 1 각도(α)만큼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milarly, even when the optical path changing portion is a barrier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 axis of the barrier is formed to be inclined by the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y-axis.

그리고, 광 경로 변경부가 배리어(미도시)인 경우에 광 경로 변경부의 단위 폭은 슬릿(투과부)의 폭일 수 있다.When the optical path changing portion is a barrier (not shown), the unit width of the optical path changing portion may be the width of the slit (transmitting por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에서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는 제 1 입체영상 유닛(U1) 내지 제 5 입체영상 유닛(U5)가 반복 배치될 수 있다.Here, i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in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s U1 to U5 may be repeatedly arranged.

예를 들어,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은 제 1 방향(수평방향)을 따라 제 1 입체영상 유닛(U1), 제 3 입체영상 유닛(U3), 제 5 입체영상 유닛(U5), 제 2 입체영상 유닛(U2), 그리고 제 4 입체영상 유닛(U4)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U1, U3, U5, U2, U4)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may include a first stereoscopic image unit U1, a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 U3, a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 U5, and a second stereoscopic image unit U3 along a first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The unit U2, and the fourth stereoscopic image unit U4. (U1, U3, U5, U2, U4)

그리고, 다수의 입체영상 유닛은 제 2 방향(수직방향)을 따라서 제 1 입체영상 유닛(U1), 제 3 입체영상 유닛(U3) 및 제 5 입체영상 유닛(U5)의 하부에는 각각 제 5 입체영상 유닛(U5), 제 2 입체영상 유닛(U2) 및 제 4 입체영상 유닛(U4)이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tereoscopic image units are arrang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tereoscopic image unit U1, the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 U3 and the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 U5 along the second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 second stereoscopic image unit U2, and a fourth stereoscopic image unit U4 may be disposed.

또한, 제 2 입체영상 유닛(U2) 그리고 제 4 입체영상 유닛(U4)의 하부에는 각각 제 1 입체영상 유닛(U1) 및 제 3 입체영상 유닛(U3)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first stereoscopic image unit U1 and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 U3 may be disposed below second stereoscopic image unit U2 and fourth stereoscopic image unit U4, respectively.

여기서, 제 1 입체영상 유닛(U1) 내지 제 5 입체영상 유닛(U5)은 예를 들어 각각 제 1 시점영상 내지 제 5 시점영상을 표시하는 부화소영역일 수 있다.Here, the first to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s U1 to U5 may be, for example, sub-pixel regions for displaying the first view image to the fifth view image, respectively.

이때, 제 1 방향(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입체영상 유닛(U1) 및 제 3 입체영상 유닛(U3) 및 제 5 입체영상 유닛(U5)과, 상기 제 3 입체영상 유닛(U3) 및 제 5 입체영상 유닛(U5)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 2 입체영상 유닛(U2) 및 제 4 입체영상 유닛(U4)은 하나의 영상 그룹(G)으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tereoscopic image unit U1, the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 U3 and the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 U5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the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 U3, The second and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s U2 and U4 disposed under the fifth and the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s U5 and U5 may be defined as one image group G. [

이때, 영상 그룹(G)이란 여러 시청 각도(방향)에 따른 N개의 시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입체영상 유닛들의 최소 묶음이라고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group G may be regarded as a minimum bundle of stereoscopic image units for implementing N view-point images according to various viewing angles (directions).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영상 그룹은 제 1 열에 N-(a+b)개의 입체영상 유닛들이 배치되고, 제 2 열에 a개의 입체영상 유닛들이 배치되고(2≤a≤N-(a+b), a는 자연수), 제 3 열에 b개의 입체영상 유닛들이 배치되어 정의될 수도 있다. (1≤b≤a, b는 자연수)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image group, N- (a + b) pieces of stereoscopic image units are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a number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s are arranged in the second column (2? A? N- ) and a is a natural number), and b stereoscopic image units in the third column may be arranged and defined. (1? B? A, b is a natural number)

예를 들어, N이 5인 경우에, 영상 그룹은 제 1 열에 배치되는 2개의 입체영상 유닛들(U1, U4)과, 제 2 열에 배치되는 2개의 입체영상 유닛(U2, U5)과, 제 3 열에 배치되는 1개의 입체영상 유닛(U3)로 정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N is 5, the image group includes two stereoscopic image units (U1, U4)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two stereoscopic image units (U2, U5) arranged in the second column, Can be defined as one stereoscopic image unit (U3) arranged in three columns,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 1 열에는 제 1 방향(수평방향)으로 따라 제 1 입체영상 유닛(U1) 및 제 4 입체영상 유닛(U4)이 배치되고, 제 2 열에는 제 4 입체영상 유닛(U4) 하부에 제 2 입체영상 유닛(U2)이 배치되고, 제 1 방향(수평방향)으로 따라 제 2 입체영상 유닛(U2)과 이웃하여 제 5 입체영상 유닛(U5)이 배치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 first stereoscopic image unit U1 and a fourth stereoscopic image unit U4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and a fourth stereoscopic image unit And the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 U5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tereoscopic image unit U2 along the first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제 3 열에는 제 5 입체영상 유닛(U5) 하부에 제 3 입체영상 유닛(U3)이 배치될 수 있다.In the third column, a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 U3 may be disposed below the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 U5.

즉, 제 1 열에 배치되는 2개의 입체영상 유닛(U1, U4)과, 제 2 열에 배치되는 2개의 입체영상 유닛(U2, U5)과, 제 3 열에 배치되는 1개의 입체영상 유닛(U3)로 정의될 수 있다,That is, two stereoscopic image units U1 and U4 arranged in the first column, two stereoscopic image units U2 and U5 arranged in the second column, and one stereoscopic image unit U3 arranged in the third column Can be defined,

이 경우에는 광 경로 변경부인 렌즈 어레이(124)의 장축은 y축을 기준으로 제 2 각도(β)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β>α)
In this case, the long axis of the lens array 124, which is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can be formed by being inclined by the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y-axis. (β> α)

그리고, 각각의 렌즈의 폭(pitch)은 2개의 입체영상 유닛 보다는 약간 작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itch of each lens is made slightly smaller than the two stereoscopic image units.

여기서, 렌즈의 폭은 광 경로 변경부의 단위 폭일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lens may be a unit width of the optical path changing portion.

마찬가지로, 광 경로 변경부가 배리어(미도시)인 경우에도 배리어의 장축은 y축을 기준으로 제 2 각도(β)만큼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wise, even when the optical path changing portion is a barrier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 axis of the barrier is formed to be inclined by the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y-axis.

그리고, 광 경로 변경부가 배리어(미도시)인 경우에 광 경로 변경부의 단위 폭은 슬릿(투과부)의 폭일 수 있다.
When the optical path changing portion is a barrier (not shown), the unit width of the optical path changing portion may be the width of the slit (transmitting portion).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시점영상 내지 제 5 시점영상은 표시패널로부터 시청거리(D) 정도 이격되어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B, the first view image to the fifth view image may be implemented with a viewing distance D from the display panel.

이때, 제 1 시점영상 내지 제 5 시점영상의 수평 길이(E')는 예를 들어 130mm일 수 있으며, 각각의 시점영상은 이웃하는 시점영상과 일정부분 겹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E 'of the first view image to the fifth view image may be, for example, 130 mm, and each view image may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neighboring view image.

이때, 시점영상의 수평 길이(E')는 130mm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65*K)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K는 예를 들어, 1/2, 1, 3/2, 2 등일 수 있다. 이는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length E 'of the viewpoint image is not limited to 130 mm, but is preferably (65 * K) mm, where K is, for example, 1/2, 1, 3/2, have. This depends on the arrangement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s.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시청거리(D') 및 배면거리(S')와의 관계를 수학식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ing distance D 'and the back distance 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quation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입체영상 유닛의 폭(P')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입체영상 유닛의 폭(P)과 동일하다 (P'= P)The width P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al to the width P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 of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P' = P)

한편, 본 발명에서는 종래 대비 렌즈 어레이(124)에서의 각 렌즈의 곡률이 커지도록 형성함에 따라 동일 시청거리에서 시점 영상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urvature of each lens in the conventional lens array 124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view image increases at the same viewing distance.

그리고, 시점 영상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시점 영상 사이의 간격도 커지게 된다.As the size of the viewpoint image increases, the interval between the viewpoint images increases.

이때, 시점 영상의 수평 길이는 65mm에서 130mm로 커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양안 간격(E')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양안 간격(E)의 2배가 된다고 볼 수 있다. (E'= 2E)In this case, sinc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view image is increased from 65 mm to 130 mm, the binocular interval 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wice the binocular interval E of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have. (E '= 2E)

이를 수학식 2에 대입하면, 수학식 3과 같다.Substituting this into Equation 2, Equation 3 is obtained.

[수학식3]&Quot; (3) &quot;

Figure 112011097490836-pat00003
Figure 112011097490836-pat00003

따라서, 종래와 본 발명에서의 시청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배면거리(S')는 종래의 배면거리(S)의 1/2배가 되어야 한다. (S'= S/2)Therefore, since the viewing distances in the conventional and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the back distance 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half the conventional back distance S. (S '= S / 2)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는 렌즈 어레이(124)의 렌즈의 곡률을 크게 하여 배면거리를 줄일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ature of the lens of the lens array 124 can be increased to reduce the rear distance.

더불어 렌즈 어레이(124)의 렌즈의 폭을 줄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커진 시점 영상 간의 간격이 좁혀 영상들이 겹치도록 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width of the lens of the lens array 124 is reduced, the interval between the relatively larger viewpoint images is narrowed so that the images are overlapped to control the stereoscopic image to be realized.

도8 및 도9는 종래 및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에서의 다수의 시점 영상의 크기 및 영상의 세기 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8 and FIG. 9 are views referred to for comparing magnitudes and magnitudes of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in the conventional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 다수의 시점 영상 사이의 간격은 E/2이고, 영상의 세기 분포는 E만큼 퍼져 있다.As shown in FIG. 8, in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is E / 2, and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image is spread by E.

이때, E는 양안 간격이며, 영상의 세기 분포 길이는 시점 영상의 수평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In this case, E is a binocular interval, and the intensity distribution length of the image may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view image.

반면에,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 다수의 시점 영상 사이의 간격은 E이고, 영상의 세기 분포는 2E만큼 퍼져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val between multiple viewpoint images is E, and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image is spread by 2E.

즉,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시점 영상의 수평길이가 E(65mm)가 되고 시점 영상 간 간격은 65/2mm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는 이웃하는 시점 영상이 전달될 수 없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sinc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view image is E (65 mm) and the interval between view images is 65/2 mm, neighboring view images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viewer.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시점 영상의 수평길이가 2E(130mm)가 되고, 영상 겹침을 이용하면 시점 영상 간 간격이 E(65mm)가 되기 때문에,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에는 이웃하는 시점 영상이 전달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view image is 2E (130 mm) and the interval between view images becomes E (65 mm) by using the image overlap, The view image is transmitted.

이때, 영상 겹침 정도에 따라 시점 영상 간의 간격은 달라질 수 있는데, 영상 겹침 정도는 영상 그룹에서의 입체영상 유??의 배치와 광 경로 변경부의 단위 폭, 그리고 광 경로 변경부의 경사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viewpoint images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overlapping of images. The degree of overlapping of the viewpoi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s in the image group, the unit width of the light path changing unit,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ight path changing unit .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시청거리 및 배면거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viewing distances and back distances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는 시청자와 영상표시장치와의 시청거리는 D이고, 표시패널은 렌즈 어레이로부터 배면거리(S')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10, in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distance between the viewer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is D, and the display panel is formed to be spaced from the lens array by the rear distance S '.

이때,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시청거리(D)만큼 이격된 위치는 다수의 시점 영상이 배열되는 위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separated by the viewing distance 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a position where a plurality of view images are arranged.

그리고, 배면거리(S')는 원하는 위치에 시점 영상을 배열하기 위하여 필요한 거리로서 종래 대비 1/2배로 감소하게 된다.The back distance S 'is a distance required to arrange the view image at a desired position, and is reduced to ½ of the conventional distanc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서는, 무안경 방식의 영상표시장치에서 렌즈의 폭 및 입체영상 유닛의 배치를 조절함에 따라 배면거리를 축소시켜 갭 기판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Therefore, in the video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lens and the arrangement of the stereoscopic image unit in the non-spectacle-type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adjusted to reduce the back distance,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gap substrate.

그 결과 영상표시장치의 경량화와 박형화가 가능해지고 제조 비용도 줄일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thicknes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10: 표시패널 112: 제 1 기판
114: 제 2 기판 120: 광 경로 변경 수단
122: 갭 기판 124: 렌즈 어레이
110: display panel 112: first substrate
114: second substrate 120: optical path changing means
122: gap substrate 124: lens array

Claims (7)

다수의 시청방향에 따른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시점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N개의 시점 영상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다수의 광 경로 변경부를 포함하는 광 경로 변경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에는 상기 N개의 시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N개의 입체영상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영상 그룹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N은 5인 경우로 한정하고,,
상기 다수의 광 경로 변경부 각각의 폭은 2.5 개의 상기 입체영상 유닛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N viewpoint image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viewing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optical path changing units for changing paths of the N view image images,
A plurality of image groups including N stereoscopic image units for realizing the N view image ar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N is limited to 5, and
Wherein a wid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ptical path changing units is equal to or less than a width of the three dimensional image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그룹은 N-a개의 입체영상 유닛들과 a(1≤a<N/2, a는 자연수)개의 입체영상 유닛들로 정의되거나, N-(a+b)개의 입체영상 유닛들과 a(2≤a≤N-(a+b), a는 자연수)개의 입체영상 유닛들과 b개의 입체영상 유닛들(1≤b≤a, b는 자연수)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group is defined as a set of three (3) stereoscopic image units and a (1 + a + N / 2, a is a natural number) stereoscopic image units, (A + b), a is a natural number), and b stereoscopic image units (1? B? A, b are natural numb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그룹은 제 1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되는 제 1 입체영상 유닛 및 제 3 입체영상 유닛 및 제 5 입체영상 유닛과,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제 3 입체영상 유닛 및 제 5 입체영상 유닛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 2 입체영상 유닛 및 제 4 입체영상 유닛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mage group includes a first stereoscopic image unit, a third stereoscopic image unit, and a fifth stereoscopic image unit, which are repeatedly arrang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tereoscopic image unit, And a second stereoscopic image unit and a fourth stereoscopic image unit, respectively, which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first stereoscopic image unit and the second stereoscopic im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부가 렌즈 어레이인 경우에, 상기 렌즈 어레이의 장축은 제 2 축(수직 축)을 기준으로 제 1 각도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is a lens array, a long axis of the lens array is inclin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a second axis (vertical axi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점 영상의 수평 길이는 (65*K)mm이며, 상기 K 는 1/2, 1, 3/2 및 2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is (65 * K) mm, and K is one of 1/2, 1, 3/2, and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부가 배리어인 경우에, 상기 배리어의 장축은 제 2 축(수직 축)을 기준으로 제 1 각도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optical path changing portion is a barrier, a long axis of the barrier is inclin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a second axis (vertical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변경 수단은 상기 광 경로 변경부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의 거리인 배면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갭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path chang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gap substrate for maintaining a back distance that is a distance between the optical path changing unit and the display panel.
KR1020110130813A 2011-12-08 2011-12-08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878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13A KR101878327B1 (en) 2011-12-08 2011-12-08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813A KR101878327B1 (en) 2011-12-08 2011-12-08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278A KR20130064278A (en) 2013-06-18
KR101878327B1 true KR101878327B1 (en) 2018-08-07

Family

ID=4886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813A KR101878327B1 (en) 2011-12-08 2011-12-08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32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981A1 (en) 2006-01-23 2007-07-26 3Dis Co., Ltd.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9520232A (en) 2005-12-20 2009-05-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632A (en) * 2004-11-22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decreasing 3d viewing distance and display thereof
KR101377960B1 (en) * 2007-11-13 201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WO2010007787A1 (en) * 2008-07-15 2010-01-21 Yoshida Kenji Naked eye three-dimensional video image display system, naked eye three-dimensional video image display device, amusement game machine and parallax barrier sheet
KR101649235B1 (en) * 2009-12-31 2016-08-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tereoscopy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0232A (en) 2005-12-20 2009-05-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WO2007083981A1 (en) 2006-01-23 2007-07-26 3Dis Co., Ltd.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e, Gu, Andrei State, and Henry Fuchs. "A practical multi-viewer tabletop autostereoscopic display." Mixed and Augmented Reality (ISMAR), 2010 9t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2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278A (en)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956B1 (en) 2D/3D Convertible Display
KR100658545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scopic picture
US8941787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321575B2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9467686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for stereoscopic viewing at multiple viewing points
US9104032B1 (en) Naked-eye 3D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thereof
KR20120126561A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10135340A (en) Parallax system, parallax image panel, device having the parallax image panel, parallax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50237334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9185397B2 (en)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rrier panel having opening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02137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3513311A (en) Three-dimensional raster and naked ey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TWI399570B (en) 3d display and 3d display system
CN102778777B (en) Display panel of stereoscopic image display
WO2017202059A1 (en) Liquid crystal lens, 3d display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955302A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2087415A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method
KR101951297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79257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125001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324060B1 (en) Glassesless 3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KR101246687B1 (en) Apparatus for Optical 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Optical Sheet Using the Apparatus
KR101467192B1 (en) Displayer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
WO2015035713A1 (en) Stereo display apparatus
KR101360780B1 (en) Glassesless 3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