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192B1 - Displayer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 - Google Patents

Displayer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192B1
KR101467192B1 KR1020080031554A KR20080031554A KR101467192B1 KR 101467192 B1 KR101467192 B1 KR 101467192B1 KR 1020080031554 A KR1020080031554 A KR 1020080031554A KR 20080031554 A KR20080031554 A KR 20080031554A KR 101467192 B1 KR101467192 B1 KR 101467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arrier
image
control lay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6062A (en
Inventor
구상모
정윤모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1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192B1/en
Publication of KR2009010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1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arrays of controllable light sources; using moving apertures or moving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러랙스 베리어를 구비한 영상분리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상이 구현되는 영상표시패널;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광원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상기 영상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패러랙스 베리어; 상기 패러랙스 베리어에 구성되어 광을 표시패널로 집광시키는 집광형상을 구비한 광제어층(Light control lay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eparation display apparatus having a parallax barrier, A backlight for supplying a light source to the image display panel; A parabolic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image display panel and the backlight to block or transmit light; And a light control layer formed on the parallax barrier and having a light collecting shape for condensing light onto a display panel.

본 발명에 따르면, 패러랙스 베리어의 차단부에 의해 차단되는 광의 경로를 투과슬릿으로 변경시켜, 광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획기적인 휘도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n epoch-making luminance improvement by changing the light path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of the parasphere barrier to the transmission slit and increasing the light efficiency.

패러랙스 베리어, 광체어층, 비구면렌즈 A parabolic barrier, an optical chair layer, an aspherical lens

Description

영상분리표시장치{Displayer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Dispersion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

본 발명은 패러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을 적용한 3차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와 멀티-뷰디스플레이(Multi-view display)에 적용되는 영상분리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구체적으로는 액정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패러랙스 베리어를 투과하는 광원의 빛을 패러랙스 베리어상의 투과슬릿부로 광을 집광시켜, 광효율을 증진할 수 있는 영상분리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applied to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a multi-view display using a parallax barrier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enhancing optical efficiency by condens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that transmits a parallax barrier through a transmissive slit portion on a parabolic barrier in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panel will be.

사람이 특정 사물을 볼 때 입체감을 느끼는 원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람이 시각을 통하여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복잡하나, 크게 생리적 요인과 심리기억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생리적 요인으로서는 수정체의 조절(Accommodation), 단안의 운동시차(Motion parallax)등 한쪽 눈 만에 의한 인식 요인과 양안의 폭주각(Binocular convergence), 양안의 시차(Binocular parallax) 등 양쪽 눈에 의한 인식요인이 있다. 한편, 심리기억적 요인으로는 물체의 크기, 높낮이, 중첩, 형상 등의 기하학적 입체시가 있고, 명암, 해상도, 채도, 색상 등의 광학적 입체시가 있다.A brief description of the principle of feeling a three-dimensional feeling when a person views a specific object is as follows. The factors that people perceive stereoscopically through vision are very diverse and complex, but they can be divided into physiological factors and psychological memory factors. Physiologic factors include binocular convergence, binocular parallax, binocular parallax, and other perceptual factors such as lens accommodation, motion parallax, and binocular parallax. .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memory factors include geometric stereoscopic views such as size, height, superposition, and shape of objects, and optical stereoscopic views such as contrast, resolution, saturation, and color.

상술한 생리적 및 심리기억적 요인들 중에서도 양안의 폭주각, 양안의 시차 등 양쪽 눈에 의한 생리적 요인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바로 양쪽 눈에 비치는 사물의 모습이 다르기 때문에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는 입체시의 원리에 기초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Among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memory factors described above, physiological factors of both eyes, such as binocular convergence angle and binocular disparity, are the greatest factors that cause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hape of objects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principle of stereoscopic vision that a stereoscopic effect is felt because the stereoscopic imag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사람이 좌/우 양안을 이용하여 어떤 물체를 보는 경우 좌안 및 우안이 상호 간에 약 6.5cm 정도 떨어져 있으므로 양안에 들어오는 물체의 영상(image)은 약간의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다른 하나씩의 영상을 보게 되는데 이를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라 하며, 이러한 양안 시차에 의해 양안으로 받아들인 서로 다른 두 영상을 뇌가 합성하면서 사람은 입체감과 거리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좌안 및 우안이 떨어져 있으므로, 가까운 곳의 물체를 볼 때는 두 눈 사이의 시선이 이루는 각도인 폭주 각(convergence angle)이 크고, 먼 곳의 물체를 바라볼 때에는 폭주 각이 작아지는데, 이러한 폭주 각의 차이로 인해서도 입체감과 거리감을 느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양안 시차에 의한 입체시의 원리를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other words, when a person looks at an object using both left and right eyes, the left and right eyes are about 6.5 cm away from each other. Binocular parallax is called binocular parallax. The binocular disparity causes the brain to synthesize two different images received in the binocular by the binocular disparity, and the person feels a sense of depth and distance. do. In addition, since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re separated, when convergence angle, which is the angle formed by the line of sight between the eyes, is large when viewing an object close to the eye, and when looking at a distant object, the convergence angle becomes small.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angle, I feel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distance feeling. Hereinafter,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principle of stereoscopic viewing due to the binocular parallax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즉, 사람이 양안으로 서로 다른 영상을 볼 때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해서, 특정 사물을 이루는 화상을 좌안이 느끼는 좌안용 화상과 우안이 느끼는 우안용 화상으로 구성하여 좌안에는 좌안용 화상만을, 그리고 우안에는 우안용 화상만을 지속적으로 보이도록 하면 결국 하나의 입체적 상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게 된다.That is, by using the principle that a person can feel a three-dimensional feeling when viewing different images in both eyes, an image constituting a specific object is constituted of a left-eye image felt by the left eye and a right-eye image felt by the right eye, , And only the right eye image is continuously displayed in the right eye, resulting in the same effect as viewing one stereoscopic image.

이러한 입체영상을 보는 방식으로는 관찰자의 안경착용 여부에 따라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방식이 있다.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리프(anaglyph)방식과, 좌우 안경에 투과율이 다른 필터를 장착하여 입체감을 느끼는 농도차 방식, 각각 편광 방향이 다른 편광안경을 쓰는 편광안경 방식, 그리고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 시킨 액정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시분할방식이 있다. 그러나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안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과 안경을 쓴 상태로 입체영상 이외의 다른 사물을 관찰하는데 지장을 받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 안경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용도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Such a stereoscopic image viewing method includes a method of wearing glasses according to whether the observer wears glasses or a method of not wearing glasses. The glasses are worn by anaglyph system which uses blue and red sunglasses in both eyes, a density difference system by which a filter with different transmittance is attached to the right and left glasses to obtain a three dimensional feeling, A polarizing glasses system, and a time division system in which glasses having a liquid crystal shutter that is periodically repeated and periodically synchronized with this period are u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wearing glasses because of the inconvenience of wearing glasses and wearing glasses, which hinders observation of objects other than stereoscopic images. Therefore, in recent years, studies on the non-eyeglass system which does not wear glass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various uses are proceeding.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 안경 방식으로서 알려진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를 수직으로 배열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판을 영상패널 전방에 설치하는 렌티큘러 방식과, 패러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spectacle-free spectacles that do not wear glasses include a lenticular system in which a lenticular lens plate in which cylindrical lens arrays are arranged vertically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image panel, and a parallax barrier system .

이러한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3차원의 입체영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입체영상 구현기술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특히 상술한 패러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의 입체영상 구현기술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stereoscopic image realization technique of the parallax barrier method described abov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tereoscopic image realization technique for realizing a stereoscopic image by using the binocular parallax.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종래의 패러랙스 베리어 방식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1, FIG. 1 illustrates a convent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a parallax barrier system.

상기 도 1에서, R(Red)/G(Green)/B(Blue) 조합의 픽셀(pixel) 배치를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좌안용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좌안용 픽셀(left eye pixel: L)과 우안용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우안용 픽셀(light eye pixel: R)이 번갈아 배치된 액정패널(LCD panel: 110)과, 상기 액정패널(110)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좌안 픽셀(L)과 우안 픽셀(R)로부터 나오는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슬릿(transparent slit;S)으로 형성되는 투광부와 상기 빛을 차단하는 베리어(barrier: B)인 차광부가 교대로 번갈아 형성된 패러랙스 베리어(120)와, 상기 패러랙스 베리어(120) 하부에 위치하며 빛을 발산하는 인조광원인 백라이트(backlight: 130)로 구성된다. 이때, 관찰자의 양안, 즉, 좌안 및 우안은 상기 액정패널(110) 상부에 위치한다.In FIG. 1, a left eye pixel (L) for displaying an image through a pixel arrangement of R (Red) / G (Green) / B A liquid crystal panel (LCD panel) 110 alternately arranged with right eye pixels R for displaying right eye image information; a liquid crystal panel 110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120) formed by alternately alternately forming a transparent portion formed by a transparent slit (S) for allow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R) to pass therethrough and a light shielding portion being a barrier (B) And a backlight 130 located under the parallax barrier 120 and being an artificial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At this time, both eyes of the observer, that is, the left and right eyes are locat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패러랙스 베리어 방식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패러랙스 베리어(120)의 투명슬릿(S)을 통과한 빛 중 우안용 픽셀(R)을 통과한 빛은 관찰자의 우안에 도달하게 되고, 좌안용 픽셀(L)을 통과한 빛은 관찰자의 좌안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러랙스 베리어(120)의 베리어(B)는 백라이트(130)에서 형성된 빛을 우안용 픽셀(R)과 좌안용 픽셀(L)에 분배할 수 있도록 빛을 흡수하고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좌안용 픽셀(L)을 통과한 빛은 관찰자의 좌안에만 전달되고, 상기 우안용 픽셀(R)을 통과한 빛은 관찰자의 우안에만 전달되는데, 이때, 상기 관찰자의 좌안에 도달한 빛과 관찰자의 우안에 도달한 빛 사이에는 충분한 시차 정보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관찰자는 3차원 입체영상을 느낄 수 있게 된다.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parabolic barrier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light passing through the right eye pixel (R)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slit (S) of the parabolic barrier (120)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ft eye pixel L reaches the observer's left eye. The barrier B of the parallax barrier 120 absorbs and blocks light so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backlight 130 can be distributed to the right eye pixel R and the left eye pixel L do. In this way, light having passed through the left eye pixel L is transmitted only to the left eye of the observer, and light passing through the right eye pixel R is transmitted only to the right eye of the observer. At this time, Sufficient parallax information is formed between the light and the light reaching the observer's right eye, and as a result, the observer can feel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한편, 상기 종래의 패러랙스 베리어 방식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액정패널(110)은 제1편광필터, 제1유리기판, 컬러필터, 상대전극, 제1배향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기판과, 제2배향막, 화소전극, TFT(Thin Film Transistor), 제2유리기판 및 제2편광필터를 포함하는 어레이기판이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액정층의 개재하에 합착 된 구조로서,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편광필터는 백라이트(130)로부터 공급되는 광원을 편광 시키는 필터이고, 상대전극 및 화소전극은 액정의 분자배열에 변화를 주기 위한 구동전극이며, 제1 및 제2배향막은 액정의 분자배열을 일정 방향으로 배열시키기 배향막이며, 스페이서는 제1 및 제2유리기판의 휘어짐 등을 방지하는 지지대이고, 컬러필터는 RGB의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using the conventional parallel barrier system,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cludes a color filter substrate including a first polarizing filter, a first glass substrate, a color filter, a counter electrode, and a first alignment layer, A structure in which an array substrate including a second alignment film, a pixel electrode, a TFT (Thin Film Transistor), a second glass substrate, and a second polarizing filter is bonded together under a liquid crystal layer including a spacer, The second polarizing filter is a filter for polarizing the light source supplied from the backlight 130. The counter electrode and the pixel electrode are driving electrodes for changing the molecular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And the spacer is a support for preventing warpage or the like of the first and second glass substrates, and the color filter is a device for displaying RGB colors.

이러한 패러랙스 배리어 방식을 적용한 영상분리표시장치는 멀티-뷰 디스플레이와 3차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되어 왔다.The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using such a parallax barrier method has been applied to a multi-view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멀티 뷰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각도로 시청하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화상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오고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은 시청자(Viewer)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이한 각도에서 동일한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상이한 각도에서 다른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형성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이한 각도에서 동일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여러 사용자가 공항 및 철도역에서의 출발 정보 같은 동일한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이한 각도에서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일례로 자동차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운전자는 위성네비게이션 데이터를 볼 수 있고 승객은 영화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멀티뷰디스플레이에 장점은 사용자들이 상호 간의 시선으로부터 독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패러랙스 베리어 방식은 멀티-뷰 디스플레이 이외에도 입체영상 디 스플레이에도 적용이 활발한 것은 주지된 바와 같다.Multi-view display devices have been designed to allow multiple viewers to view images at the same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display devices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viewer can view the same image at different angles to the display device And may be formed so that different images can be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For example, a method of displaying the same image at different angles is effective when several users need the same information, such as departure information at airports and railway stations. In addition, a method of displaying different images at different angles can be usefully used in automobiles, for example. That is, the same display device allows the driver to view the satellite navigation data and the passenger to view the movie. The advantage to multi-view displays is that users can be independent of each other's eyes. As described above, it is well known that the parallax barrier system is applied to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in addition to the multi-view display.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패러랙스 베리어 방식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러랙스 베리어(120)에서 빛을 투과하지 못하는 베리어(B) 영역이 전체 패러랙스 베리어(120) 영역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기 때문에 개구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광투과도가 저하되며, 차광부의 면적에 의해 광효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며 결국에는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parallax barrier system, since the barrier B region that can not transmit light in the parallax barrier 120 occupies about half of the entire parallax barrier 120 region, The light transmittance is lowered and the light efficiency is remarkably lowered due to the area of the light shielding portion,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luminance is lowe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러랙스 베리어 방식을 적용하는 영상표시분리장치에서 발생하는 낮은 광투과율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베리어에 투영되는 광의 경로를 투과슬릿 부분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광제어층을 구비시켜, 광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획기적인 휘도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separating apparatus employing a parabarrier barrier method, in which,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low light transmittance, And a light control layer capable of changing into a slit portion so as to increase the light efficiency, thereby realizing an epoch-making brightness enhancement.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상이 구현되는 영상표시패널;상기 영상표시패널에 광원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상기 영상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패러랙스 베리어; 상기 패러랙스 베리어에 구성되어 광을 표시패널로 집광시키는 집광형상을 구비한 광제어층(Light control lay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 상기 광제어층을 집광을 위한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광효율을 높이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display panel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a backlight for supplying a light source to the image display panel; A parabolic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image display panel and the backlight to block or transmit light; And a light control layer formed on the parallax barrier and having a light collecting shape for condensing light onto a display panel. Here, the light control layer is formed by using a lens for condensing or an aspherical lens, so that the light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brightness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패러랙스 베리어에 차단부에 의해 차단되는 광의 경로를 투과슬릿으로 변경시켜, 광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획기적인 휘도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n epoch-making luminance improvement by changing the light path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to the paraspace barrier to the transmission slit and increasing the light efficiency.

본 발명은 영상이 구현되는 영상표시패널;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광원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상기 영상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패러랙스 베리어; 상기 패러랙스 베리어에 구성되어 광을 표시패널로 집광시키는 집광형상을 구비한 광제어층(Light control lay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패러랙스 베리어층의 광을 차단하는 베리어로 진행하는 광의 경로를 투과슬릿부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panel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A backlight for supplying a light source to the image display panel; A parabolic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image display panel and the backlight to block or transmit light; And a light control layer formed on the parallax barrier and having a light collecting shape for condensing light onto a display panel, wherein the parasitic barrier layer The path of the light traveling to the barrier for blocking light can be changed to the transmission slit portion, thereby maximizing the ligh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러랙스 베리어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슬릿과 광을 차단하는 베리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separa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aplaid barrier comprises a transmission slit for transmitting light and a barrier for blocking ligh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제어층의 상기 집광형상은 상기 베리어에 의해 차단되는 광의 경로를 상기 투과슬릿으로 집광되도록 곡률을 가진 집광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하여 집광의 효율성을 높이고, 이로 인해 영상분리표시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converging shape of the light control layer is a light-converging shape having a curvature such that a path of light blocked by the barrier is focused by the transmissive slit, So that the luminance of the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광형상은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converging shape is formed of a le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광형상은 비구면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집광구조의 효율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ight-converging shape is an aspherical lens, thereby realizing the efficiency of the light-converging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광형상은 구면 또는 비구면렌즈가 균일 또는 불균일 하게 배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하여, 다양한 구도로 광제어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방식의 범용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condensing shape is a structure in which spherical or aspheric lenses are arranged in a uniform or non-uniform manner, and it is possible to form a light control layer having various shapes,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광형상의 중심축은 상기 투과슬릿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wherein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converging shape is aligned with the center axis of the transmission sl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리어는 블랙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rier is made of black resin.

또한, 본 발명의 베리어를 구성하는 상기 블랙수지는 카본블랙, 유기안료 혼합형 차광성 착색제, 또는 카본블랙과 유기안료 혼합형 차광성 착색제를 혼합한 하이브리드형 착색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블랙성분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black resin constituting the b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mong black carbon black, organic pigment mixed light-absorbing colorant, or hybrid type coloring material obtained by mixing carbon black and organic pigment mixed ligh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또한, 본 발명의 상술한 블랙수지를 구성하는 블랙성분물질은 상기 블랙수지의 전체 비율 중 20~50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lack component material constituting the black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0 to 50 wt% of the total proportion of the black resi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베리어는 메탈계(metal), 옥사이드계(Oxide)계에 무기물은 혼합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may be formed by mixing inorganic materials in a metal or oxide system.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러랙스 베리어에 광제어층을 통해 광을 집광하는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ndensing light through a light control layer in a parabar b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는 광원(L)에서 투사되는 빛이 패러랙스 베리어(20)의 투과슬릿(21)과 광을 차단하는 차광부로 작용하는 베리어(22)를 도시하며, 여기에 광원에서 직진성을 가지고 투사되는 빛이 광제어층(30)을 통과하며, 광의 경로가 투과슬릿(21)으로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b)는 상기 광제어층(3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부호는 (a)와 동일하며, 부호 X1, X2, X3은 투과슬릿의 중심축을 지나는 선이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광경로를 변경하는 집광형상(34)은 이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어라인(align)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라이트 유닛과 결합하는 패러랙스 베리어, 그리고 광제어층이 결합한 전체모식도는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2 (a) shows a barrier 22 that acts as a light-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light from the transmission slit 21 of the parabarrier barrier 20 and the light projected from the light source L,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control layer 30 is changed into the transmission slit 21, as shown in FIG. FIG. 2 (b) show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light control layer 30. Symbo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as in (a), and symbols X1, X2, and X3 are lines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transmission slit.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converging shape 34 changing the optical path is align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central axis. A parallax barrier coupled with the backlight unit, and a light control lay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이 구현되는 영상표시패널(10)이 구비되며,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광원을 공급하는 백라이트(40)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영상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는 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패러랙스 베리어(30)가 구비되며, 베러랙스 베리어의 하부에는 광을 집광할 수 있도록 하는 광제어층(30)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isplay panel 10 o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and a backlight unit 40 for supplying a light source to the image display panel. Between the image display panel and the backlight unit is provided a parallax barrier 30 for blocking or transmitting light and a light control layer 30 for condensing light is provided under the mirror barrier.

상기 패러랙스 베리어는 투과슬릿(22)과 베리어(22)가 교차하여 배열되며, 상기 투과슬릿은 광이 투과되는 부분이며, 상기 베리어는 광이 차단되는 부분으로 작용하여, 상술한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The transmissive slit 22 and the barrier 22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The transmissive slit is a portion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The barrier acts as a portion where light is blocked, This is the part that functions to make it possible.

특히 상기 베리어는 블랙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블랙수지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물질과 계면활성물질, 블랙성분물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중 블랙성 분물질은 카본블랙 또는 유기안료 혼합형 차광성 착색제를 사용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카본블랙과 유기안료 혼합형 차광성 착색제를 혼합한 하이브리드형 착색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본 블랙이나 유기안료, 또는 이 둘을 혼합한 하이브리드형 착색재료는 전체 베리어의 20 ~ 50wt%를 함유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물질은 UV 수지(폴리머계 레진)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로는 실리콘계 또는 플루오르렌(불소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arrier may be formed of a black resin. The black resin is basically composed of a base material, a surfactant, a black component, and the like. The black component may be formed by using a carbon black or an organic pigment mixed light-shielding colorant, or a mixture of carbon black and an organic pigment And a hybrid type coloring material in which a mixed light-blocking colorant is mix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ybrid type coloring material comprising carbon black, organic pigment, or a mixture of both is formed to contain 20 to 50 wt% of the total barrier. The base material may be a UV resin (polymer resin), and a silicone or fluorine (fluorine) material may be used as the surfactant.

또한, 상기 베리어는 다른 형성예로는 메탈계(metal), 옥사이드계(Oxide)계에 무기물은 혼합하여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of the barrier, the barrier may be formed by mixing an inorganic material with a metal or oxide system.

상기 광제어층(30)은 상기 패러랙스 베리어의 하측에 형성되며, 투명기판에 소정의 집광형상(34)이 구현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광형상은 기본적으로 투명기판상에 바로 형성될 수 있으나, 기본적인 베이스필름(32, 33)상에 구현됨이 바람직하며, 베이스필름은 광의 투과를 저해하지 않는 구조의 필름이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The light control layer 3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rallax barri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light collecting shape 34 is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The light condensing shape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but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basic base films 32 and 33. The base film may be any film having a structure that does not impede the transmission of light.

특히 상기 집광형상(34)은 기본적으로 볼록한 구조의 광을 집광할 수 있는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곡률은 상기 투과슬릿으로 광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집광형상의 구현은 렌즈,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면 또는 비구면 렌즈를 이용하여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베리어(22)부분에서 차단되는 빛을 상기 투과슬릿(21)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condensing shape 34 preferably has a curvature capable of condensing light having a convex structure, and the curvature can be adjusted so as to change the light path to the transmission slit. Particularly, such a light-condensing shape can be regularly or irregularly arranged using a lens, more specifically, a spherical or aspherical lens, so that light blocked at the barrier 22 portion can be changed to the transmissive slit 21 .

상기 집광형상의 배치는 구면렌즈만으로 이루어진 배치로 형성을 하거나, 또 는 비구면 렌즈만으로 이루어진 배치로 형성하거나, 구면렌즈와 비구면렌즈를 적절히 배합하여 교차식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규칙적인 배열이 아닌 구면렌즈나 비구면렌즈를 불규칙적으로 배열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light-converging shapes by arranging only the spherical lens, or by arranging only the aspheric lens, or by arranging the spherical lens and the aspheric lens appropriately in an intersecting manner. Needless to say,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spherical lens or the aspheric lens irregularly rather than the regular arrangement.

또한 상기 집광형상은 그 형상의 배치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 중 어느 것을 구비하던 기본적으로 상기 투과슬릿의 중심축(X1, X2, X3)와 집광형상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정렬(Align)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rrangement of the shape of the light-converging shape, it is basically arranged such that the central axes (X1, X2, X3) of the transmissive slit and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converging shape coincide with each other Align) is preferable.

이러한 집광형상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효율의 증진효과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effect of enhancing the light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light condensing shap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기본적으로 패러랙스 베리어 방식은 면적 비에 비례하는 광효율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에서 면적 비라 함은 투과슬릿(투광부)의 면적을 전체면적(투광부와 차광부의 합)으로 나눈 비를 말한다. 즉,Basically, the parabolic barrier method exhibits a light efficiency proportional to the area ratio. Here, the area ratio refers to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transmission slit (transparent portion) divided by the total area (the sum of the transparent portion and the shield portion). In other words,

면적비= 투광부의 면적/전체면적Area ratio = area of light transmitting portion / total area

(여기에서 전체면적은, 투광부+차광부 면적의 합)(Here, the total area is the sum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 light shielding portion area)

면적을 미분하면 두 축의 길이의 함수이므로 한 축에 대해 편미분 하면 결국 길이의 비가 된다. 따라서,If the area is differentiated, it is a function of the length of the two axes. therefore,

광효율=투광부의 길이/전체길이Light efficiency = length of light transmitting part / total length

(여기에서 전체길이는, 투광부의 길이+차광부의 길이의 합)(Where the total length is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 the length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가 된다. .

기존의 패러랙스 베리어 샘플을 BM-7A 장비를 사용하여 휘도를 측정하여 광효율을 산출하는 경우 패러랙스 베리어에서 투과슬릿부(투광부)와 베리어부(차광 부)의 면적비는 1:3 또는 1:4에 해당하며, 산술한 면적비 산출 공식을 통해 면적비를 산출하면 약 0.25 또는 0.2의 면적비 값이 도출되게 된다. 이 경우 오직 백라이트 상태에서의 중심 휘도는 9,888nit이며, 패러랙스 베리어를 갖춘 필름타입에서는 2,428nit 의 중심 휘도가 산출된다. 즉, 이러한 베리어와 투과슬릿이 가지는 면적의 비율은 근사적으로 광효율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게 되며, 베리어의 면적이 커질수록 광효율을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When calculating the light efficiency by measuring the brightness of a conventional parallax barrier sample using the BM-7A equipment, the area ratio of the transmission slit portion (transparent portion) and the barrier portion (light shield portion) in the parallax barrier is 1: 3 or 1: 4, and an area ratio of about 0.25 or 0.2 is obtained when the area ratio is calculated through the arithmetic calculation of the area ratio. In this case, the center luminance is only 9,888 nit in the backlight state, and the center luminance of 2,428 nit is calculated in the film type having the parabolic barrier. That is,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barrier to the transmission slit has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optical efficiency, and the larger the area of the barrier, the lower the light efficiency.

즉, 본 발명은 주어진 일정한 비에서 광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패러랙스 베리어 방식에 본 발명에 따른 광을 표시패널로 집광시키는 집광형상을 구비한 광제어층(Light control layer)를 추가하여 투과슬릿으로의 광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at is, in order to increase the light efficiency at a given constant ratio,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light control layer having a condensing shape for condensing the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display panel in a parabar- .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광효율의 효과는 백라이트 상태에서 9888nit일 때 광제어층을 통과한 최종 중심 휘도가 8009nit로 약 80% 정도의 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렌즈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며, 차광부의 길이에 대한 렌즈의 높이 비의 변동에 따라 적어도 50% 이상의 광효율을 얻는 형상으로 최적 형상을 설계할 수 있다.The effect of the light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When the light intensity is 9888nit in the backlight state, the final center luminance after passing through the light control layer is 8009nit, and the light efficiency of about 80% can be obtained. Such an effect vari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lens, and an optimum shape can be designed to have a light efficiency of at least 50% or more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the height ratio of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light shield.

도 4a를 참조하여 차광부의 길이에 대한 렌즈의 높이의 비의 변동을 고려한 최적광효율을 얻은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An example in which the optimum optical efficiency is obt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ariation of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lens to the length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a는 기본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에서 입사되는 광(Ray)의 수(A), 광제어층을 통과 후의 출사되는 광(Ray)의 수(B)를 설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층의 입사 전 광(Ray)의 수(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출사광) 대비 광제어층을 통과 직후의 레이(즉, 액정패널에 입사 전)의 수로 계산되는 광제어층 만의 광효율(%; B/A) 를 나타낸 표이다. (단, 표에 나타난 광의 수와 이에 따른 광효율의 측정은 광의 수를 111개의 광(RAY)를 입사시켜 광제어층을 통과한 Ray의 수를 시뮬레이션하여 광효율을 측정한 것이다.)4A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A) of rays incident on a backlight unit and the number (B) of rays emitted after passing through a light control layer, (% B / A) of only the light control layer calculated by the number of rays (outgoing light from the backlight unit) calculated by the number of rays immediately before passing through the light control layer (that is, before entering the liquid crystal panel) Table. (Note that the number of light and the light efficiency in the table are measured by simulating the number of rays passing through the light control layer by irradiating 111 light rays to the light efficiency.)

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을 통과한 일정한 광(Ray)의 수 대비 광효율의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는 부분(R)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구면렌즈의 곡률을 가진 광제어층의 렌즈 형상에 따라 광효율이 약 50~90%까지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table, the portion (R) show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ight efficiency relative to the number of the constant rays passing through the backlight unit is determined by the light shape of the light control layer having the curvature of the aspherical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increased to 50 ~ 90%.

이러한 효과는 렌즈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며, 차광부의 길이에 대한 렌즈의 높이 비(C)의 변동에 따라 더 높은 효율이 구현이 가능하다. This effect depends on the shape of the lens, and higher efficiency can be realiz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height ratio C of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light shield.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보면(도면부호는 도 4과 동일), 여기에서 차광부의 길이에 대한 렌즈의 높이 비(C)는 베리어(차광부)의 중심축과 본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상의 렌즈의 중심축을 일치하도록 어라인(align)하였을 때, 렌즈의 끝부분(a1)에서 중심축을 지나 다시 렌즈의 반대편 끝부분(b1)으로 이어지는 볼록한 형상을 감안할 때, 차광부의 길이(l)에 대한 렌즈 높이(h1, h2..)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비율을 고려할 때, 차광부 길이에 대한 렌즈의 높이의 비(C)가 12 ~22%의 비율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렌즈형상을 구비하되 투과부와 일치하는 영역의 경우 렌즈의 굴곡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4A and 4B, the height ratio C of the lens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center axis of the barrier (light-shielding portion) When considering the convex shape extending from the end portion a1 of the lens to the opposite end portion b1 of the lens through the central axis when the center axis of the lens of the shape is aligned, (H1, h2 ..) with respect to the lens height (h1, h2 ..). Considering this ratio,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lens so that the ratio C of the height of the lens to the length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has a curvature at a ratio of 12 to 22%. (In this case, it is also conceivable to form the curvature of the lens flat in the case of the region having the lens shape but coinciding with the transmissive portion.)

이러한 임의의 굴곡을 형성하되, 차광부의 길이에 따른 렌즈의 높이의 비율에 따른 곡률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비구면 렌즈를 형성하는 수치적인 계산 에 의해 곡률을 설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를 테면 집광형상을 가진 렌즈를 구성함에 있어서, 비구면 형상을 통해 렌즈를 형성하는 경우, 비구면식과 비구면계수들로 표현되는 곡선(curve)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자유 곡선을 표현하는 베지어커브(bezier curve)를 이용하여 비구먼 형상의 곡률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테면 렌즈의 시작점(a1)과 끝점(b1)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한 비구면 곡률을 가진 형상을 마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curvature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len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bu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set the curvature by numerical calculation for forming the aspheric le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forming a lens through an aspherical shape in forming a lens having a light-converging shape, a curve expressed by an aspherical surface and aspheric surface coefficients can be used. In particular, a bezier curv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curvature of the unshaped shape. For example, it may be considered to provide a shape having a specific aspherical curvature on the basis of the starting point a1 and the end point b1 of the lens.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층을 구비시킨 패러랙스 베리어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한다.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arasitic barrier provided with a light control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이를 이용하여 광제어층의 집광형상을 패터닝할 수 있도록 마스터 몰드를 제작한다(S 1). 이 경우 마스터 몰드는 상기 집광형상을 성형할 수 있도록 패턴을 구비하되, 이 패턴은 기계가공 또는 레이저가공 또는 포토리소그라피 등의 방법을 통해 제작이 가능하다.First, a master mold is fabricated so as to pattern the condensing shape of the light control layer (S 1). In this case, the master mold has a pattern for shaping the light-converging shape, and the pattern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such as machining, laser processing, or photolithography.

다음으로, 투명기판 이나 베이스 필름에 집광형상을 성형한다. 이는 스탬프(stamp) 방식이나 열 전사, UV 전사 공법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S 2). 이후에는 집광형성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을 필요한 규격으로 타발(blanking)하며(S3), 다음으로 패러랙스 베리어를 형성할 필름소재의 기판과 라미네이팅(laminating)한 다(S 4). 페러랙스 베리어를 형성할 층인 필름소재의 기판에 리소그라피, 스크린프린트, 스탬프 방식을 이용하여 투과슬릿(투광부)와 베리어(차광부)의 패턴을 형성하며, 이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S 5, S 6).Next, a light condensing shape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or the base film. This can be formed by a stamp method, a heat transfer method, or a UV transfer method (S 2). Thereafter, the base film on which light condensation is formed is blanked (S3), and then laminated with a substrate of a film material to form a parabolic barrier (S 4). Forming a pattern of a transmissive slit (light-transmitting portion) and a barrier (light-shielding portion) on a substrate of a film material, which is a layer for forming a parallax barrier, by using lithography, screen printing or stamping, S 6).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층을 구비한 패러랙스 베리어는 SAG, Fill factor, Pitch, 형상조절 등에 대한 자유도가 커서 다양한 요청에 의한 렌즈의 형성 및 수요에 따른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parabolic barrier provided with the optical control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eat degree of freedom in SAG, fill factor, pitch, shape control, etc., so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lens according to various requests, .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패러랙스 베리어의 작용을 설명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parabolic barrier.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층을 구비한 영상분리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2 and 3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mage separation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control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층을 구비한 패러랙스 베리어방식에서의 광효율을 렌즈의 형상에 따른 효율을 비교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렌즈의 곡률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S. 4A and 4B illustrate simulation results and optical curvature structures of a lens and a lens, respectively, in comparison of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hape of a lens, in a parabarrier barrier system having a light control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층을 구비한 패러랙스 베리어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5 shows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arallax barrier having a light control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화상이 구현되는 영상표시패널;An image display panel o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상기 영상표시패널에 광원을 공급하는 백라이트;A backlight for supplying a light source to the image display panel; 상기 영상표시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슬릿과 광을 차단하는 베리어를 구비하는 패러랙스 베리어; 및A parallax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image display panel and the backlight and including a transmission slit for transmitting light and a barrier for blocking light; And 상기 패러랙스 베리어에 결합하며 상기 베리어로 향하는 광의 경로를 상기 투과슬릿으로 변경하여 상기 백라이트의 광을 상기 투과슬릿으로 집광시키는 집광형상을 구비한 광제어층(Light control layer);A light control layer coupled to the parallax barrier and having a condensing shape for condensing the light of the backlight into the transmissive slit by changing the path of light directed to the barrier to the transmissive slit;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광제어층의 상기 집광형상은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Wherein the light converging shape of the light control layer has a curvatur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집광형상은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Wherein the light converging shape is formed of a lens.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집광형상은 비구면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Wherein the light converging shape is an aspherical surface lens.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집광형상은 구면 또는 비구면렌즈가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배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Wherein the light converging shape is a structure in which spherical or aspheric lenses are arranged uniformly or nonuniformly. 청구항 4 내지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상기 집광형상의 중심축은 상기 투과슬릿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And the central axis of the light-converging shape i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transmission sli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베리어는 블랙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Wherein the barrier is made of black resin.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블랙수지는 카본블랙, 유기안료 혼합형 차광성 착색제, 또는 카본블랙과 유기안료 혼합형 차광성 착색제를 혼합한 하이브리드형 착색재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블랙성분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Wherein the black resin is formed of any one of black color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black, an organic pigment mixed light-absorbing colorant, or a hybrid coloring material obtained by mixing carbon black and an organic pigment mixed light-absorbing colorant.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블랙성분물질은 상기 블랙수지의 전체 비율 중 20~50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Wherein the black component material is 20 to 50 wt% of the total proportion of the black resi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베리어는 메탈계(metal), 옥사이드계(Oxide)계에 무기물은 혼합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리표시장치.Wherein the barrier is formed by mixing an inorganic material with a metal or an oxide system.
KR1020080031554A 2008-04-04 2008-04-04 Displayer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 KR1014671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554A KR101467192B1 (en) 2008-04-04 2008-04-04 Displayer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554A KR101467192B1 (en) 2008-04-04 2008-04-04 Displayer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062A KR20090106062A (en) 2009-10-08
KR101467192B1 true KR101467192B1 (en) 2014-12-01

Family

ID=4153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554A KR101467192B1 (en) 2008-04-04 2008-04-04 Displayer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1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4713A (en) 2010-10-21 2012-04-25 Optovate Ltd Illumination apparatus
KR102350295B1 (en) 2015-02-11 2022-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N107092126B (en) 2017-06-26 2020-01-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W202102883A (en) * 2019-07-02 2021-01-16 美商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Directional display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7382A (en) * 2002-05-17 2003-11-28 Olympus Optical Co Ltd Video display screen
JP2005091896A (en) * 2003-09-18 2005-04-07 Sharp Corp Image display device
KR20080003087A (en) * 2006-06-30 2008-0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3-dimension display device using refl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7382A (en) * 2002-05-17 2003-11-28 Olympus Optical Co Ltd Video display screen
JP2005091896A (en) * 2003-09-18 2005-04-07 Sharp Corp Image display device
KR20080003087A (en) * 2006-06-30 2008-0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3-dimension display device using ref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062A (en)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956B1 (en) 2D/3D Convertible Display
KR100840818B1 (en) A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CN100406964C (en) Multiple view directional display
US6864862B2 (en) Stereoscopic display system for viewing without spectacles
US20100238097A1 (en) 2-D and 3-D switchalbe and multi-full size image dispaly system
CN1836454B (en) Pixel arrangement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2006021501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90168164A1 (en)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GB2422737A (en) Multiple-view display and display controller
GB2405545A (en) Multiple view directional display with parallax optic having colour filters.
US20020126202A1 (en) Apparatus
CN102279469A (en) parallax system, panel,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GB2405043A (en) Compensation for refraction effects in an autostereoscopic display
KR101467192B1 (en) Displayer for Images Separator with Light control layer
KR100440955B1 (en) 2D / 3D convertible display
KR101324060B1 (en) Glassesless 3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KR10179257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30089508A (en) Glassesless 3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CN202057895U (en) Naked-eye stereo display device
KR20140074438A (en) Glassesless 3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KR10177427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75048B1 (en) Device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s with optical design unit
KR101878327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GB2428129A (en) A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KR101842052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