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858B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858B1
KR101872858B1 KR1020110128288A KR20110128288A KR101872858B1 KR 101872858 B1 KR101872858 B1 KR 101872858B1 KR 1020110128288 A KR1020110128288 A KR 1020110128288A KR 20110128288 A KR20110128288 A KR 20110128288A KR 101872858 B1 KR101872858 B1 KR 10187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tem
mobile terminal
touch screen
proxim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61954A (en
Inventor
이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58B1/en
Publication of KR2013006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9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에 의한 억세스(access)가 가능한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소정의 깊이 레벨로 표시되는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touch interaction guide)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템의 터치 인터랙션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is disclose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plays a touch interaction guide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depth level on at least one item in which a touch interaction capable of access by touch is present can do. Accordingl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more easily grasp the touch interaction of the item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통해 입체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개량이 고려되고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mobile terminal. To this end, improvement of the hardware and / or software of the mobile terminal is considered.

본 발명의 과제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아이템에 숨어 있는 터치 기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that provide a touch interaction guide that can easily grasp a touch function hidden in an item provided through a touch scree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other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터치에 의한 억세스(access)가 가능한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touch interaction guide)를 각 아이템의 입체시로 표시하되,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하여 가능한 터치 패턴에 따라 상기 각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체시의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having a panel for realizing stereoscopic vision; And displaying at least one item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a touch interaction guide for at least one item in which there is a touch interaction capable of accessing by touch among the at least one item.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epth levels of the stereoscopic vision corresponding to the items in accordance with a possible touch pattern for each of the items.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touch interaction guide on the touch screen when receiving a predetermined input.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과 미리 정해진 거리에 따른 근접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바디(body)에 대한 더블 태핑(double tapping)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proximity sensor, wherein the predetermined input is a proximity touch in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uch screen or a double tapping input to a body of the mobile terminal .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제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remove the displayed touch interaction gui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한 터치 패턴의 개수에 비례하여 상기 입체시의 깊이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epth level of the stereoscopic vision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ouch patterns for each item.

상기 터치 패턴은, 터치 앤 드롭(touch & drop) 및 롱 터치(long tou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patter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and-drop and a long-touch.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touch interaction guide)를 각 아이템의 입체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하여 가능한 터치 패턴에 따라 상기 각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체시의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having a panel for implementing stereoscopic vis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Receiving a predetermined input for displaying a touch interaction guide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a touch interaction guide for at least one item having a touch interaction among the at least one item as stereoscopic display of each item, Depth levels of the stereoscopic vision corresponding to the items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ouch patter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아이템에 숨어 있는 터치 기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interaction guide capable of easily grasping a touch function hidden in an item provided through a touch screen is provid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ximity depth of the proximity sensor.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method using a binocular parallax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for providing a touch interaction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n example of a touch interaction guid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oregoing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unit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ing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ing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Only Digital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Here,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NSS) i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radionavigation satellite systems in which certain types of radionavigation receivers orbiting the Earth are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that can determine their position near the surface or ground surface .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NSS) include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n the United States, Galileo in Europe,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in Russia, COMPASS in China and Japan QZSS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which i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GNSS,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be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The GPS module calculates information on a distance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to a point (object), information on a time 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is measured, and then applies a trigonometric method to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with respect to a point (object)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Further,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also used. The GPS module continuously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and calculates velocity information using the current position.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may be responsible for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for example,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hav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a transparent LCD or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in the mobile terminal 100,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is connected to a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having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Thus, the control unit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or the lik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proximity sensor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which is enclos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Also,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sound through the earphone jack 116. The user can connect the earphone to the earphone jack 116 to hear the sound output.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it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n effect of stimulation by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a contact skin surface, an effect of stimulation by air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through a jet opening or a suction opening, A variety of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stimulation through contact of an electrode, an effect of stimulation by an electrostatic force, and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 heat absorbing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direct contact but also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les of the user's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154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unit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ransfer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o transmit data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gener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by the user to the cradle may be transmitted It can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An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Also,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도 2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ximity depth of the proximity sensor.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As shown in FIG. 2, when a pointer such as a finger of a user approaches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disposed in or near the touch screen senses the proximity sensor and outputs a proximity signal.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different proximity signals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proximity-touched pointer and the touch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ximity depth").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A distance at which the proximity signal is output when the pointer approaches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detection distance. In short, by using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having different detection distances, the proximity signals output from the proximity sensors are compared, .

도 2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In FIG. 2, for example, a cross section of a touch screen having proximity sensors capable of sensing three proximity depths is illustrated. Of course, proximity sensors that detect less than three or more than four proximity depths are also possibl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Specifically, when the pointer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d0), it is recognized as a contact touch. If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at a distance less than the distance d1, it is recognized as a proximity touch of the first proximity depth.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If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at a distance d1 or less and less than the distance d2, the pointer is recognized as a proximity touch of the second proximity depth. If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at a distance d2 or more and less than the distance d3, it is recognized as a proximity touch of the third proximity depth. If the pointer is located at a distance d3 or more on the touch screen, it is recognized that the proximity touch is released.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can recognize the proximity touch as various input signals according to the proximity and proximity positions of the pointer to the touch screen, and perform various operation controls according to the various input signals.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관련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한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3은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lenticular lens array)를 이용하는 방식을 나타내고, 도 4는 패럴랙스(parallax barrier)를 이용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FIGS.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ing method using a binocular parallax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using a lenticular lens array And Fig. 4 shows a method of using a parallax barrier.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 stereo disparity)는 사람의 좌안과 우안이 사물을 보는 시각의 차이를 의미한다. 사람의 뇌에서 좌안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면, 그 합성된 영상은 사람에게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아래에서는, 사람이 양안시차에 따라 입체감을 느끼는 현상을 '입체시(stereoscopic vision)'라 명명하여 사용하고, 입체시를 일으키는 영상을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 또한, 영상에 포함된 특정 객체(object)가 입체시를 일으키는 경우, 해당 객체를 '입체 객체'라 명명하여 사용한다.Binocular parallax (stereo disparity)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person. When synthesizing the image seen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image seen through the right eye in the human brain, the synthesized image makes a person feel stereoscopic. Hereinafter, a phenomenon in which a person perceives a stereoscopic effect according to a binocular disparity is referred to as 'stereoscopic vision', and an image causing stereoscopic vision is referred to as a 'stereoscopic image'. In addition, when a specific object included in an image causes stereoscopic vision, the object is referred to as a 'stereoscopic object'.

양안시차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방법은 특수 안경이 필요한 안경식과 안경이 필요 없는 무안경식으로 구분된다. 안경식은 파장 선택성이 있는 색안경을 이용하는 방식, 편광차에 따른 차광 효과를 이용한 편광 안경 방식, 눈의 잔상 시간 내에 좌우의 화상을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등이 있다. 이외에도 좌우안에 각각 투과율이 다른 필터를 장착하여 투과율의 차로부터 오는 시각계의 시간차에 따라서 좌우 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입체감을 얻는 방식이 있다.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binocular disparity can be classified into a spectacle type requiring special glasses and a non-eye type requiring no glasses. The spectacle type includes a method using a sunglass having wavelength selectivity, a polarized spectacle method using a shading effect according to a polarization difference, and a time-division spectacle method in which right and left images are alternately presented in a residual image time of the eye.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mounting a filter having a different transmittance in each of the right and left eyes to obtain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th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time difference of the visual system from the difference in transmittance.

그리고, 관찰자 쪽이 아닌 영상 표시면 쪽에서 입체감이 발생하는 방식인 무안경식에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또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 방식 등이 있다. In addition, a parallax barrier system, a lenticular lens system, or a microlens array system is used for a non-eye-safety system in which a stereoscopic effect is generated on the side of the image display surface other than the observer.

도 3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를 포함한다.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는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83)과 좌우안(82a, 82b) 사이에 위치하며,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에 대한 광학적인 변별 지향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81a)를 통과한 영상은 좌안(82a)과 우안(82a)에서 분리되어 관찰되고, 사람의 뇌는 좌안(8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8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module 151 includes a lenticular lens array 81a to display a stereoscopic image. The lenticular lens array 81a includes a pixel L to be input to the left eye 82a and a pixel R to be input to the right eye 82b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display surface 83 and left and right eyes 82a, 82b and provides optical discrimination directivity for the pixel L to be input to the left eye 82a and the pixel R to be input to the right eye 82b. The image of the human eye is viewed through the left eye 82a and the image through the right eye 82b while the human eye is viewed through the left eye 82a and the right eye 82b. And the stereoscopic image is observed.

도 4를 참조하면,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수직 격자 모양의 패럴랙스 배리어(81b)를 포함한다. 패럴랙스 배리어(81b)는 좌안(82a)에 입력될 픽셀(L)과 우안(82b)에 입력될 픽셀(R)이 가로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 표시면(83)과 좌우안(82a, 82b) 사이에 위치하며, 수직 격자 모양의 개구(aperture)를 통해 좌안(82a)과 우안(82b)에서 영상이 분리되어 관찰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람의 뇌는 좌안(82a)을 통해 보는 영상과 우안(82b)을 통해 보는 영상을 합성하여 입체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이러한 패럴랙스 배리어(81b)는 입체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온(on) 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하고, 평면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프(off)되어 입사 시각을 분리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module 151 includes a vertical grid-shaped parallax barrier 81b to display a stereoscopic image. The parallax barrier 81b includes a pixel L to be inputted to the left eye 82a and a pixel R to be inputted to the right eye 82b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splay surface 83 and the left and right eyes 82a, 82b so that the images are separated and observed in the left eye 82a and the right eye 82b through a vertical grid aperture. Accordingly, the human brain combines the image viewed through the left eye 82a and the image viewed through the right eye 82b to observe the stereoscopic image. This parallax barrier 81b is turned on only when it is desired to display a stereoscopic image and separates the incident time. When the flat image is to be displayed, the parallax barrier 81b is turned off so that the incident time can be passed without being separated have.

한편, 전술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양안시차를 이용한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s described above are for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stereoscopic images using binocular parallax using various method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s.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51)은,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본 문서에서 언급되는 터치는, 접촉 터치와 근접 터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51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s assumed to be the touch screen 15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creen 151 can perform both the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and the information input function. However, it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lso, the touch mentioned in this document can include both touch and proximity touch.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의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FIG. 5,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for providing a touch interaction guide;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implementing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110).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t least one item on the touch screen 151 (S1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아이콘(icon) 및 위젯(widget)을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정지영상, 동영상, 애니메이션, 플래쉬 등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item includes an icon and a widget and may include content such as an application, a still image, a moving image, an animation, a flash, and the like.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메뉴창, 입력창 및 팝업 창 등 정보를 제공하거나 입력받는 윈도우(window)를 포함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at least one item may include a window for providing or receiving information such as a menu window, an input window, and a pop-up window.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51)에 제공되는 아이템들은 각 아이템들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items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151 may be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a touch interaction guide for each item is not provided.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는 아이템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소정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는 아이템과 상기 터치 입력에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는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The item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may include an item 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ouch input input by the user and an item not 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touch interaction guide)는,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는 소정의 아이템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는 아이템인지,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는 아이템인지 구분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indicator)이다.The touch interaction guide is an indicator for discriminating whether an item responds to a touch input for a predetermined item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or does not respond.

한편,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는,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아이템이 터치 입력에 응답하는 아이템이고, 상기 아이템에 가능한 터치 패턴의 종류가 복수인 경우, 그 터치 패턴의 종류의 개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The touch interaction guide is an item in which an item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responds to a touch input. If there are a plurality of types of touch patterns available for the item, the number of types of the touch patterns may be recognized Lt; / RTI >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적어도 아이템에 대하여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의 표시를 요구하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각 아이템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는 아이템들은 어떠한 터치 입력에도 응답하지 않는 아이템들일 수 있다.6, even if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that requires the display of the touch interaction guide for at least the item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if the touch interaction guide for each item is not provided, The item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may be items that do not respond to any touch inpu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특정 아이템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체시의 깊이레벨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입체시의 깊이 레벨에 대해서는 도 9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interaction guide for a specific item can be expressed as a depth level of stereoscopic vis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The depth level of the stereoscopic vis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표시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receive a predetermined input for displaying the touch interaction guide.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터치 스크린(151)과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감지되는 근접 터치 입력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input may be a proximity touch input sen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uch screen 151.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51)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표시된 상태에서(도 7의 (a)), 터치 입력 수단(예를 들어,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151) 사이의 거리(h)가 미리 정해진 거리(d1)보다 작으면,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cation)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각 아이템의 입체시로 표시할 수 있다(S130)(도 7의 (b)).7, when at least one item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Fig. 7 (a)), the touch screen 151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If the distance h between the at least one item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d1,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ouch interaction guide for at least one item having the touch intercation among the at least one item, (S130) (Fig. 7 (b)).

예를 들어,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1 아이템(item 1)의 입체시(SV1)는 상기 제1 아이템(item 1)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터치 패턴의 종류에 따라 제1 깊이 레벨을 가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아이템(item 2)의 입체시(SV2)는 상기 제2 아이템(item 2)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터치 패턴의 종류에 따라 제2 깊이 레벨을 가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B, the stereoscopic vision SV1 of the first item (item 1) may include a first depth level (SV1) corresponding to a type of a predetermined touch pattern for the first item (item 1) Lt; / RTI > Also, the stereoscopic vision SV2 of the second item item 2 may be displayed so as to have the second depth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redetermined touch pattern for the second item item 2.

제3 내지 제5 아이템(item3, item4, item5)에 대한 각각의 깊이 레벨(SV3,SV4,SV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The same is true for the depth levels SV3, SV4, and SV5 for the third to fifth items (item3, item4, item5).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각 아이템의 입체시로 표시함으로써,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가 3D를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touch interaction guide to construct 3D by displaying the touch interaction guide in stereoscopic view of each item.

예를 들어, 각 아이템의 입체시는, 특정 2D 오브젝트(object)를 오버랩하여, 소정의 깊이 리벨(depth level)을 가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오버랩된 복수의 2D 오브젝트가 전체로서 3D를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stereoscopic viewing of each item may be controlled such that a plurality of 2D objects overlap as a whole by controlling a predetermined depth level to overlap with a specific 2D object can do.

또한 예를 들어, 각 아이템의 입체시는, 각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3D 오브젝트일 수 있다.Also, for example, stereoscopic viewing of each item may be a 3D object using each binocular disparity.

한편, 도 7의 (b)와 같이 터치 인터랙션이 존재하는 아이템에 대하여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수단(예를 들어,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151) 사이의 거리(h)가 미리 정해진 거리(d1)를 초과하는 근접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제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tance h between the touch input means (for example, a finger) and the touch screen 151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h) between the touch input means When receiving the proximity touch input exceeding the predetermined distance d1, the control unit 180 can remove the touch interaction guide.

예를 들어, 도 7의 (b)에서 손가락에 터치 스크린(151)으로부터 멀어지면, 3D로 표시되는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가 사라지고, 2D로 표시되는 아이템만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nger is moved away from the touch screen 151 in FIG. 7 (b), the touch interaction guide displayed in 3D disappears, and only items displayed in 2D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에 대한 더블 태핑(double tapping)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도 8의 (a)), 도 7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인터랙션이 존재하는 아이템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각 아이템의 입체시의 깊이 레벨(SV1,SV2,SV3,SV4,SV5)로 표시할 수 있다.
8,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 double tapping input for th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100 (FIG. 8A)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interaction guide for the item in which the touch interaction exists can be expressed by depth levels (SV1, SV2, SV3, SV4, and SV5) of the stereoscopic effect of each item.

한편, 제어부(180)는 각 아이템에 대하여 가능한 터치 패턴에 따라 각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체시의 깊이 레벨(depth level)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S140).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epth level of the stereoscopic effect corresponding to each item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 possible touch pattern for each item (S140).

상기 터치 패턴은 특정 아이템에 대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억세스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터치의 종류(또는 터치의 개수)를 의미한다.The touch pattern means at least one kind of touch (or number of touches) for ac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tem.

예를 들어, 상기 아이템이 위젯이고, 상기 위젯에 두 가지의 기능이 매핑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제1 터치 패턴(예를 들어, 짧은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위젯의 제1 기능에 억세스 할 수 있고, 제2 터치 패턴(예를 들어, 롱 터치)에 대하여 상기 위젯의 제2 기능에 억세스 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item is a widget and that the widget has two functions mapped. Then, the control unit 180 can access the first function of the widge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pattern (for example, a short touch) The second function of the widget can be accessed.

따라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의 표시 요구가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위젯을 입체시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위젯이 터치 인터랙션이 존재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re is a display request of the touch interaction guide, the control unit 180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at the touch interaction exists in the widget by expressing the widget in stereo.

제어부(180)는 터치 패턴의 개수에 비례하여 각 아이템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가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턴의 개수에 비례하여 아이템에 대한 입체시의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touch interaction guides for the items to be displayed differently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ouch pattern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pth level of stereoscopic vision for an item differently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ouch patterns.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한 입체시의 깊이 레벨과 터치 패턴의 가짓수와의 관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level of stereoscopic vision for each item and the number of patches of the touch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의 예를 도시한다.FIG. 9 shows an example of a touch interaction guid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1 오브젝트(OB1)에 매핑되어 있는 터치 인터랙션은 3 가지의 터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패턴은 터치 앤 드롭(touch & drop), 롱 터치(long touch) 및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touch interaction mapped to the first object OB1 may have three types of touch patterns. The touch pattern may be touch & drop, long touch, and touch & drag.

그리고, 제2 오브젝트(OB2)에 매핑되어 있는 터치 인터랙션은 2가지의 터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패턴은 터치 앤 드롭(touch & drop) 및 롱 터치(long touch)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interaction mapped to the second object OB2 may have two types of touch patterns. The touch pattern may include touch & drop and long touch.

또한, 제3 오브젝트(OB3)에 매핑되어 있는 터치 인터랙션은 1 가지의 터치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턴은 터치 앤 드롭(touch & drop)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interaction mapped to the third object OB3 may have one touch pattern, and the touch pattern may be touch & drop.

또한, 제4 오브젝트(OB4)에는 어떠한 터치 인터랙션도 존재하지 않는다.Also, no touch interaction exists in the fourth object OB4.

이에 따라, 각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는 제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입체시의 깊이레벨(DL1), 제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입체시의 깊이레벨(DL2), 제3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입체시의 깊이레벨(DL3)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오브젝트는 터치 인터랙션을 가지지 않으므로, 깊이 레벨은 0이고, 2D로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ouch interaction guide for each object has a depth level DL1 of the stereoscopic vis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bject, a depth level DL2 of the stereoscopic vis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a depth level DL2 of the stereoscopic vis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object, And can be expressed by the depth level DL3.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object has no touch interaction, the depth level is 0 and can be displayed in 2D.

상기 제1 내지 제4 오브젝트가 하나의 터치 스크린(151)에 2D 상태로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가 표시가 요구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깊이 레벨(터치 인터랙션 가이드)을 각 오브젝트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to fourth objects are displayed in a 2D state on one touch screen 151, when the touch interaction guide is requested to be displayed, the controller 180 sets the depth leve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fourth objects (Touch interaction guide) can be displayed for each object.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에 의해, 터치에 응답하는 아이템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grasp the item responding to the touch at a glance by the touch interaction guide.

이하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pply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a process of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10 내지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S. 10 to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n more detail.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페이스북(facebook))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사진 아이콘, 동영상 아이콘, 음악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control unit 180 may execute a predetermined application (for example, facebook). As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t least one item (a photo icon, a movie icon, a music icon)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템(예를 들어, 특정 인물에 대응되는 사진, 상기 특정 인물을 나타내는 이름)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80 may display an item related to the application (for example, a photograph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erson, a name indicating the specific person) on the touch screen 15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아이템은, 전술한 사진 아이콘, 동영상 아이콘, 음악 아이콘뿐 아니라,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아이템(특정 인물에 대응되는 사진, 상기 특정 인물을 나타내는 이름)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The items to which 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 not only the above-mentioned picture icons, moving picture icons, and music icons but also items related to specific applications (pictures corresponding to specific persons, Name) can also be applied.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가 표시되도록 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인터랙션을 가지는 아이템(특정 인물을 나타내는 이름, 사진 아이콘, 동영상 아이콘, 음악 아이콘)에 대하여 소정의 깊이 레벨을 가지는 입체시를 각 아이템에 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input for displaying the touch interaction guide is received, as shown in FIG. 10,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the item having the touch interaction (a name representing a specific person, a picture icon, a moving picture icon, A stereoscopic vision having a depth level can be displayed for each item.

여기서, 특정 인물을 나타내는 이름에 대한 입체시의 제1 깊이 레벨(depth level 1)은 사진 아이콘, 동영상 아이콘, 음악 아이콘에 대한 입체시의 제2 깊이 레벨(depth level 2) 보다 그 값이 작도록 제어될 수 있다.Here, the first depth level 1 of stereoscopic vision with respect to a name representing a specific person is set such that the value is smaller than a second depth level (depth level 2) of a stereoscopic vision for a picture icon, a moving picture icon, Lt; / RTI >

여기서, 상기 제1 깊이 레벨(depth level 1)에 대응되는 터치 패턴은 터치 앤 드롭(touch & drop)이고, 제2 깊이 레벨(depth level 2)에 대응되는 터치 패턴은 터치 앤 드롭(touch & drop) 및 롱 터치(long touch)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pth level is touch and drop and the touch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pth level is touch and drop ) And a long touch input.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인물을 나타내는 이름(예를 들어, Bart)에 대하여 터치 앤 드롭(touch & drop)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Bart"에 대응되는 고유 페이지를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10, when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 touch and drop input for a name (for example, Bart) indicating the specific person, A page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한편,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제2 깊이 레벨(depth level 2)에 대응되는 터치 패턴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이동 단말기의 예시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11 to 12, an exemplary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touch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pth level (depth level 2) will be described.

도 11을 참조하면, 제2 깊이 레벨(depth level 2)을 가지는 입체시로 표시된 사진 아이콘에 대하여 터치 앤 드롭(touch & drop)(TP1)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사진을 첨부하기 위한 소정의 메뉴(21,22,23)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when a touch and drop (TP1) is received for a picture icon displayed in stereoscopic with a depth level 2, 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the picture And can display predetermined menus (21, 22, 23) for attaching on the touch screen (151).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제2 깊이 레벨(depth level 2)을 가지는 입체시로 표시된 사진 아이콘에 대하여 롱 터치(long touch)(TP2)를 수신하는 경우(도 12의 (a)), 제어부(180)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진 촬영하기 위한 모드(카메라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도 12의 (b)).
12, when a long touch TP2 is received (Fig. 12 (a)) with respect to a picture icon displayed in stereoscopic with a depth level 2, (Camera mode) for taking a picture in the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180) (Fig. 12 (b)).

전술한 예에서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는 각 아이템에 대한 입체시로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해당 터치 패턴의 속성을 은유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소정의 심벌 이미지를 각 아이템에 대하여 입체시로 표시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the touch interaction guide is described as stereoscopic display for each ite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symbol image, which is capable of metapatically representing the attribute of the touch pattern, in the touch interaction guide for each item in stereo.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by being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a program for execution in a computer.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through software. When executed in software,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de segments that perform the necessary tasks. The program or code segments may be stored in a processor readable medium or transmitted by a computer data signal coupled with a carrier wave in a transmission medium or a communication network.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device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DVD 占 ROM, a DVD-RA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 hard disk,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to networked computer device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이동 단말기 151: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
180: 제어부
100: mobile terminal 151: display unit (touch screen)
180:

Claims (6)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터치에 의한 억세스(access)가 가능한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touch interaction guide)를 각 아이템의 입체시로 표시하되,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하여 가능한 터치 패턴에 따라 상기 각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체시의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한 터치 패턴의 개수에 비례하여 상기 입체시의 깊이 레벨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패턴은, 터치 앤 드롭(touch and drop) 및 롱 터치(long tou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touch screen having a panel for implementing stereoscopic vision; And
A touch interaction guide for at least one item that displays at least one item on the touch screen and in which a touch interaction capable of accessing by touch among the at least one item is pres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epth levels of the stereoscopic vision corresponding to the items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a possible touch pattern for each item,
Wherein,
The depth level of the stereoscopic vision is controll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ouch patterns for each item,
Wherein the touch pattern includes at least one of a touch and a drop and a long tou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displays the touch interaction guide on the touch screen when receiving a predetermined input.
제 2 항에 있어서,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과 미리 정해진 거리에 따른 근접 터치 입력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바디에 대한 더블 태핑(double tapping)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roximity sensor,
Wherein the predetermined input includes a proximity touch in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touch screen or a double tapping input to th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ler removes the displayed touch interaction guide.
삭제delete 입체시(立體視, stereoscopic vision)를 구현하기 위한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터치에 의한 억세스(access)가 가능한 터치 인터랙션(touch interaction)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에 대하여 터치 인터랙션 가이드(touch interaction guide)를 각 아이템의 입체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하여 가능한 터치 패턴에 따라 상기 각 아이템에 대응하는 입체시의 깊이 레벨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고,
제어부는,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한 터치 패턴의 개수에 비례하여 상기 입체시의 깊이 레벨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패턴은, 터치 앤 드롭(touch and drop) 및 롱 터치(long touch) 중 적어도 하나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having a panel for realizing stereoscopic vision,
Displaying at least one item on the touch screen;
Receiving a predetermined input for displaying a touch interaction guide on the touch screen;
Displaying a touch interaction guide for at least one item having a touch interaction capable of accessing by touch among the at least one item as stereoscopic display of each item; Including,
A depth level of a stereoscopic vision corresponding to each item is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possible touch pattern for each item,
The control unit,
The depth level of the stereoscopic vision is controll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ouch patterns for each item,
Wherein the touch pattern is at least one of a touch and a drop and a long touch.
KR1020110128288A 2011-12-02 2011-12-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1018728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288A KR101872858B1 (en) 2011-12-02 2011-12-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288A KR101872858B1 (en) 2011-12-02 2011-12-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954A KR20130061954A (en) 2013-06-12
KR101872858B1 true KR101872858B1 (en) 2018-08-02

Family

ID=4885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288A KR101872858B1 (en) 2011-12-02 2011-12-0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85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6893B1 (en) 1997-08-04 2004-10-19 Para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imulated three dimensional butt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60236251A1 (en) 2005-04-19 2006-10-19 Takashi Kataoka Apparatus with thumbnail display
JP2008242546A (en) * 2007-03-26 2008-10-09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Information proces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8498A1 (en) * 2004-06-29 2009-05-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layered display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388152B1 (en) * 2007-07-26 2014-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icon theref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6893B1 (en) 1997-08-04 2004-10-19 Para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imulated three dimensional butt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60236251A1 (en) 2005-04-19 2006-10-19 Takashi Kataoka Apparatus with thumbnail display
JP2008242546A (en) * 2007-03-26 2008-10-09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Information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954A (en)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3691B2 (en) 3D camera assembly having a bracket for camera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87286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95791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mobile terminal
US9110564B2 (en)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f mobile terminal
US959645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5978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generation method thereof
KR20120017228A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US931965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KR2012010567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1011160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KR10181820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30147928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yment method thereof
KR101728804B1 (en) Mobile terminal
KR10198418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7285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10167844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KR10190008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176865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KR20130097311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aplaying stereoscopic image in the same
KR101870325B1 (en) Mobile terminal
KR101864698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130065073A (en) Mobile terminal and mehot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