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033B1 - Terminal equipment, terminal equipment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Terminal equipment, terminal equipment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033B1
KR101872033B1 KR1020120012731A KR20120012731A KR101872033B1 KR 101872033 B1 KR101872033 B1 KR 101872033B1 KR 1020120012731 A KR1020120012731 A KR 1020120012731A KR 20120012731 A KR20120012731 A KR 20120012731A KR 101872033 B1 KR101872033 B1 KR 101872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interface
graphical user
displaying
key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7729A (en
Inventor
이강민
김진
이유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ublication of KR2013007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7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0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단말장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와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A/V 컨텐츠뿐만 아니라 관련 컨텐츠의 이용 또한 활성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V 컨텐츠의 이용에 따라 대화에 새로 참가한 사용자도 쉽게 커뮤니케이션의 주제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A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are disclosed. The terminal device includes: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message from a user;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other terminal devices; A GUI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displaying the input message, the received message, the input message, and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received message;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 / V content currently used by users but also the use of related contents can be activate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ew user who participates in a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A / V contents can easily grasp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and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TERMINAL EQUIPMENT, TERMINAL EQUIPMENT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 terminal apparatus and a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A/V 컨텐츠뿐만 아니라 관련 컨텐츠의 이용 또한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activating not only A / V content currently used by user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therefor.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든지 A/V(audio/video)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며, 컨텐츠를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들과 문자나 음성, 영상 형태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ers can use audio / video (A / V) contents anytime and anywhere, and can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using contents, such as text, voice and video.

특히, 현대인들은 A/V 컨텐츠를 이용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다른 사람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며, 이는 컨텐츠 이용자들의 재미를 증대시켜 컨텐츠 이용의 활성화를 유도하기도 한다.In particular, modern people use their A / V contents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which in turn increases the fun of content users and encourages the use of contents.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3979호(발명명칭: IPTV 채널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는 IPTV 망에 연결된 IPTV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IPTV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을 시청하면서, 같은 채널을 시청하는 자들과 함께 그 단말을 통하여 즉시 의견을 교환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그 프로그램에 대한 생생한 의견을 서로 공유하며 즐길 수 있게 해 주는 IPTV 채널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을 개시한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003979 (entitled " IPTV channel cha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 discloses an IPTV terminal that includes an IPTV se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PTV channel chat service that enables users to share opinions with each other and share opinions with each other instantly through the terminal.

그러나, 상기한 종래 특허는 A/V 컨텐츠와 실시간 채팅 서비스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점에 불과하며, 현재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A/V 컨텐츠 이용의 활성화를 유도하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atent merely provides A / V contents and a real-time chat service in cooperation with a user, and does not lead to activation of various A / V content usage related to contents currently used by users Respectively.

또한, A/V 컨텐츠를 이용하면서 새롭게 대화에 참여하게 된 사용자가 커뮤니케이션의 주제를 쉽게 파악할 수 없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user who is newly engaged in conversation while using the A / V content can not easily grasp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들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A/V 컨텐츠뿐만 아니라 관련 컨텐츠의 이용 또한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that can activate not only A / V content currently used by users but also related contents, .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와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message from a user;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other terminal devices; A GUI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displaying the input message, the received message, the input message, and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received messag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graphic user interface.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The GUI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the input message and a received message, and a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may include a text message or a voice message.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keyword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추출 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상기 추출 횟수 순으로 정렬하여 상기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The keyword extracting unit may calculate an extraction frequency of each of the one or more keywords, and the GUI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by sorting the one or more keywords in the extraction frequency order.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simultaneously display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A/V 컨텐츠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first graphic user interface and the second graphic user interface together with the A / V conten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워드에 관련된 A/V 컨텐츠를 상기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 V contents related to a keyword selected by a user among one or more keywords displayed in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along with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는 단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와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device, comprising: receiving a message from a user;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other terminal devices;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displaying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And display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on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는 단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와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control a terminal apparatus is tangibly embodied and which can be read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Receiving a message;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other terminal devices;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displaying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And display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A/V 컨텐츠뿐만 아니라 관련 컨텐츠의 이용 또한 활성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 / V content currently used by users but also the use of related contents can be activ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V 컨텐츠의 이용에 따라 대화에 새로 참가한 사용자도 쉽게 커뮤니케이션의 주제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ew user who participates in a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A / V contents can easily grasp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and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에 관한 개략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GUI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diagram of an operation of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graphical user interface generated by the GUI generating unit i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개략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서버(10) 및 다른 단말장치(102, 104)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단말장치(100 내지 104)의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 위성망, 통신망 및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1, a termin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erver 10 and other terminal apparatuses 102 and 104 via a network, and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users of the terminal apparatuses 100 to 104 . Here, the network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Internet, a satellite network,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스마트 TV 등과 같이,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간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장치를 의미한다.The terminal device 100 refers to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smart TV, having a function of not only reproducing contents but also having a function of mutually connecting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hrough a network.

커뮤니케이션은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영상 통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mmunication may be a text message or a voice / video call.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communication between users is made of a letter-shaped message.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은 A/V 컨텐츠의 제공과 함께 이루어진다. 즉, 단말장치(100 내지 104)의 사용자들은 각 단말장치(100 내지 104)에서 재생되는 A/V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동시에 사용자간에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provision of A / V contents. That is, the users of the terminal devices 100 to 104 can simultaneou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ile watching the A / V content reproduced in each of the terminal devices 100 to 104.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는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임의의 A/V 컨텐츠를 이용할 때, 이용하는 A/V 컨텐츠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ly,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communic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cooperation with the A / V content used when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uses arbitrary A / V content.

일례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A/V 컨텐츠의 이용과 동시에 해당 컨텐츠의 채팅방에 접속될 수 있으며, 동일한 컨텐츠를 이용하는 다른 단말장치(102, 104)의 사용자들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하게 된다. 이때, 해당 컨텐츠의 채팅방 접속 여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can be connected to the chat room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simultaneously with the use of the A / V content,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s of the other terminal devices 102 and 104 using the same content throug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ommunication. At this time, whether to access the chat room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can be set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위해 커뮤니케이션의 주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or more keywords related to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to users in order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users.

이때, 키워드는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며, 입력 횟수가 많은 순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keyword is displayed simultaneously with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munication so that the keyword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can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input times.

이를 위해, 서버(10)는 각 단말장치(100 내지 104)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각 단말장치(100 내지 104)에 전송할 뿐만 아니라, 수신된 메시지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이를 각 단말장치(100 내지 104)로 전송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rver 10 receives a message from each of the terminal devices 100 to 104 and transmits it to each of the terminal devices 100 to 104, extracts a keyword from the received message, 104).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단말장치(100 내지 104)는 서버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단말장치(100 내지 104) 서로간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each of the terminal devices 100 to 104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rough a serv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0 to 104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 / receive data.

즉, 단말장치(100)는 다른 단말장치(102, 104)로부터 직접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신된 메시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메시지로부터 직접 키워드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terminal device 100 can directly receive the message from the other terminal devices 102 and 104.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100 can extract and display the keyword directly from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us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A/V 컨텐츠를 각각의 단말장치(100)에서 시청하면서 A/V 컨텐츠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상대방의 의견에 공감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재미와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view one A / V content on each terminal device 100 and express their opinion on the A / V content and empathize with the other party's opinion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un and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또한, 커뮤니케이션의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가 사용자들에게 제공됨으로써 현재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A/V 컨텐츠뿐만 아니라 관련 컨텐츠의 이용 또한 활성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topic of communication is provided to users, not only the A / V content currently used by users but also the use of related contents can be activated.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수신부(120), 키워드 추출부(130), GUI 생성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put unit 110, a receiving unit 120, a keyword extracting unit 130, a GUI generating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먼저,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메시지(이하, '제1 메시지'라 함)를 입력 받으며, 수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장치(102, 104)에서 전송된 메시지(이하, '제2 메시지'라 함)를 수신한다.First, the user input unit 110 receives a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message') from a user, and the receiving unit 120 receives a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2 message ").

사용자 입력부(110)는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널, 웹캠, 헤드셋, 카메라 등과 같이 사용자의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단말장치(100)에서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The user input unit 110 refers to means for converting various types of user input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 mouse, a keyboard, a keypad, a touch panel, a webcam, a headset and a camera into digital signals processable in the terminal device 100.

그리고, 수신부(120)는 다른 단말장치(102, 104)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The receiving unit 120 means a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receiving messages transmitted from the other terminal apparatuses 102 and 104. [

메시지는 문자 형태의 메시지일 수 있으며, 입력 받은 시간 또는 수신된 시간에 기초하여 최근 시간 순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The message may be a message in the form of a letter, and may be processed to be displayed in order of recent time based on the input time or the received time.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시지는 서버(10)를 통하여 단말장치(100 내지 104)간에 송수신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 내지 104)간에 직접 송수신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제1 메시지는 서버(10)로 송신된 후에 제2 메시지와 함께 수신부(120)에 의해 수신되게 되며, 후자의 경우, 제2 메시지만 수신되게 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terminal devices 100 to 104 through the server 10, or may be directly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terminal devices 100 to 104. [ In the former case, the fir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0 and then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20 together with the second message. In the latter case, only the second message is received.

다음으로, 키워드 추출부(130)는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한다. Next, the keyword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first message and the second message.

키워드 추출은 메시지에서 출현하는 단어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순위화하여 메시지의 가장 대표적인 단어를 찾아냄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문자 형태의 메시지뿐만 아니라 음성 형태의 메시지에서도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의상 문자 형태의 메시지에서 키워드가 추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Keyword extraction can be performed by locating the most representative words in a message by ranking the words appearing in the message on a certain basis, and can be extracted not only from a letter-shaped message but also from a voice-like messag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assumed that a keyword is extracted from a character-type message for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내 키워드의 추출을 위해 형태소 분석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키워드로 사용되는 품사는 주로 명사이므로 형태소 분석을 통해 메시지 내에서 명사를 식별하고, 식별된 명사의 불규칙 활용이나 탈락 및 축약 등을 처리하여 원형을 찾아냄으로써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다. 이때, 형태소 분석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명사+조사'로 구성되는 메시지를 명사와 조사로 구분하고 조사를 제외한 명사에서 키워드 후보를 찾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rphological analysis method may be used for extracting a keyword in a message. That is, since the part of speech used as a keyword is mainly a noun, the keyword can be extracted by identifying the noun in the message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and processing the irregular use of the identified noun, the elimination and reduction of the identified noun, and the like. At this time, a program that automatically performs morphological analysis can be utilized. For example, a message consisting of 'noun +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nouns and surveys, and keyword candidates can be found in nouns other than the survey.

또한, 욕설이나 광고 문구 등에 사용되는 용어들을 금칙어로 별도의 사전으로 관리하여 키워드 후보로 선정되지 않도록 하며, 키워드로서의 가치가 없는 불용어(stop word)도 별도의 사전으로 관리하여 키워드 후보로 선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profanity, advertisement, etc. are managed in a separate dictionary and not selected as keyword candidates, and a stop word that does not have a value as a keyword is also managed as a separate dictionary so as not to be selected as a keyword candidate can do.

본 발명은 추출된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키워드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은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본 발명의 키워드 추출부(130)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 extracted keyword, and an algorithm for extracting keywords is a publicly known technology. Therefore, the algorithm for extracting keywords is not described in detail in this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keyword extracting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키워드 추출부(130)는 일정 주기에 따라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A/V 컨텐츠를 시청하는 이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의 주제는 계속 변하므로, 키워드가 실시간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키워드 추출부(130)는 일례로, 20초 주기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Then, the keyword extracting unit 130 can extract the keyword in a predetermined period. Since the topic of the communication of the users watching the A / V content continuously changes, the keyword extracting unit 130 can extract keywords in 20 seconds, for example, so that the keywords can be extracted in real tim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추출부(130)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추출 횟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GUI 생성부(140)에서 추출 횟수 순으로 키워드를 정렬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keyword extracting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the extraction frequency of each extracted one or more keywords. As described below, the GUI generating unit 140 extracts keywords To generate a graphical user interface.

계속하여,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생성부(140)는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함)와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하,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함)를 생성하며,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및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generator 140 generat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the first and second messages, a first message and a second me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first and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s.

도 3은 GUI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150)에 의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다.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graphical user interface generated by the GUI generating unit 140 i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50.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1 메시지 및 다른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제2 메시지를 최근 순으로 표시하며,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에 포함된 키워드를 순위별로 정렬하여 표시한다.3,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s the first message received from the user and the second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other terminal device in the latest order, and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s the first message and the second message, Sort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message in order.

이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쉽게 인지될 수 있도록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A/V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are provided to the user together with the A / V contents.

따라서, A/V 컨텐츠를 시청하는 각 단말장치(100 내지 104)의 사용자는 이용하고 있는 컨텐츠에 관한 자신의 의견과 정보를 사용자간에 공유할 수 있으며, 커뮤니케이션의 주제를 키워드로부터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대화에 새롭게 참여한 사용자도 컨텐츠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of each of the terminal devices 100 to 104 viewing the A / V content can share his or her opinions an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being used between the users, can easily grasp the subject of communication from the keyword, Users who are new to the conversation will also be able to use the content smoothl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키워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키워드에 링크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select a keyword displayed in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receive the content linked to the selected keyword.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간에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키워드는 'Blair's skirt'이며,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를 선택하는 경우 'Blair's skirt'에 관련된 A/V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관련된 A/V 컨텐츠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A/V 컨텐츠를 대체하여 재생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keyword among users is 'Blair's skirt', and when a user selects the keyword, A / V content related to 'Blair's skirt'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related A / V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manner that the A / V content currently being used is replaced with the currently reproduced A / V content.

일례로, 'Blair's skirt'가 A/V 컨텐츠의 제목인 경우, 사용자가 Blair's skirt를 선택하게 되면, 현재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A/V 컨텐츠를 대신하여 Blair's skirt 관련 A/V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Blair's skirt 관련 A/V 컨텐츠가 구매 또는 예매가 필요한 컨텐츠인 경우에는 구매 또는 예매를 위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Blair's skirt' is the title of the A / V content, when the user selects the Blair's skirt, the A / V content related to the Blair's skir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 / RTI > In addition, if the A / V content related to the Blair's skirt is a content requiring purchase or advancement, contents for purchase or advancem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

또 다른 예로, 'Blair's skirt'가 A/V 컨텐츠의 주인공의 옷인 경우, 사용자가 Blair's skirt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A/V 컨텐츠를 대신하여 Blair's skirt 옷에 관한 광고 또는 구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if 'Blair's skirt' is the protagonist of the A / V content, when the user selects Blair's skirt, the user can replace the current A / V content with an advertisement or purchase of Blair's skirt Contents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에서는 선택된 키워드에 링크된 컨텐츠가 직접 대체 재생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된 키워드에 링크된 컨텐츠는 간략한 텍스트 형태로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와 함께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ent linked to the selected keyword is directly provided to the user.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linked to the selected keyword may include a first message and a second message in a short text form. 2 message in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에 관한 시간 정보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얼마만큼 이전에 수신되었는지에 관한 시간 정보가 메시지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In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ime information regarding the first message and the second message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That is, the time information about how much time ago was received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essage.

일례로, 단말장치(100 내지 104)로부터 전송된 메시지가 서버(10)에 도착한 시간이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1분 이내인 경우 초단위로 시간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1분 이상인 경우 분단위로 시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1시간 이상인 경우 시단위로, 1일 이상인 경우에는 일단위 등으로 시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im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units of seconds when the time of arrival of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s 100 to 104 to the server 10 is within 1 minute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Tim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tim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tart time in the case of 1 hour or more, or on a daily basis in the case of 1 day or mor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워드 추출부(130)에 의한 키워드 추출은 일정 주기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키워드의 순위는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순위의 등락폭이 키워드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keyword extraction by the keyword extraction unit 130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the ranking of the keywords displayed in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can be updated at regular intervals, Can be displayed toge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A/V 컨텐츠를 각각의 단말장치(100)에서 시청하면서 컨텐츠에 관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상대방의 의견에 공감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재미와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users can view one A / V content on each terminal device 100 and communicate their opinion on the content and empathize with the opinion of the other part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increase fun and convenience.

또한, 커뮤니케이션의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가 사용자들에게 제공됨으로써 현재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A/V 컨텐츠뿐만 아니라 관련 컨텐츠의 이용 또한 활성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topic of communication is provided to users, not only the A / V content currently used by users but also the use of related contents can be activated.

또한, 대화에 새로 참가한 사용자도 키워드로부터 쉽게 대화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어 A/V 컨텐츠의 이용이 활성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 new user who has participated in the conversation can easily grasp the topic of the conversation from the keyword, thereby enabling the use of the A / V contents to be activa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세히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메시지를 입력 받는 단계(S410),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420),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S430),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S440) 및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45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4, the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first message (S410), receiving a second message (S420), generating a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S430), creating a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S440), and displaying (S450).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단계(S4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제1 메시지를 입력 받는다. First, in step S410, the fir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그리고, 단계(S420)에서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제2 메시지를 수신한다. In step S420, the second mess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other terminal devices is received.

계속하여, 단계(S430)에서는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Subsequently, in step S430, a first graphi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the first message and the second message is generated.

그리고, 단계(S440)에서는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In step S440, a second graphi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first message and the second message is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 및 제2 메시지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S440)에서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first message and the second message may be further performed. In operation S440, a second graphic user interface May be generated.

마지막으로, 단계(S450)에서는 단계(S430)에서 생성된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단계(S440)에서 생성된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Finally, in step S450,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generated in step S430 and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generated in step S440 are displayed.

이때,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A/V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and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ogether with the A / V content.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단말장치(100)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configuration relat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can be applied to this embodiment as it i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code, Includes a high-level language cod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operation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서버 100 , 102, 104 : 단말장치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수신부
130 : 키워드 추출부 140 : GUI 생성부
150 : 디스플레이부
10: server 100, 102, 104: terminal device
110: user input unit 120:
130: Keyword extracting unit 140: GUI generating unit
150:

Claims (14)

단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상기 입력된 메시지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워드에 관련된 A/V 컨텐츠를 상기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In the terminal device,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message from a user;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other terminal devices;
A GUI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first graphic user interface (GUI) for displaying the input message and a received message, and a second graphic interface for displaying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And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graphic user interface,
The display unit includes:
And displays A / V contents related to a keyword selected by a user among one or more keywords displayed in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together with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includes a text message or a voice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keyword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t least one keyword from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의 추출 횟수를 산출하고,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상기 추출 횟수 순으로 정렬하여 상기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keyword extracting unit calculates an extraction frequency of each of the one or more keywords,
Wherein the GUI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by sorting the one or more keywords in the order of extraction tim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는 단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워드에 관련된 A/V 컨텐츠를 상기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apparatus,
Receiving a message from a user;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other terminal devices;
Generates a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displaying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and generates a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step; And
Display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Wherein the displaying comprises:
And displaying the A / V content related to the keyword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one or more keywords displayed on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together with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단말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는 단계;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키워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워드에 관련된 A/V 컨텐츠를 상기 제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control a terminal apparatus is tangibly embodied and which can be read by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Receiving a message from a user;
Receiving a messag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other terminal devices;
Generates a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displaying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and generates a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one or more keywords included in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step; And
Performing a step of display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Wherein the displaying comprises:
And displaying the A / V content related to the keyword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one or more keywords displayed in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together with the first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the second graphical user interface. Readable recording medium.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메시지 및 수신된 메시지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input message and the received message.
KR1020120012731A 2011-12-29 2012-02-08 Terminal equipment, terminal equipment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8720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379 2011-12-29
KR20110146379 2011-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729A KR20130077729A (en) 2013-07-09
KR101872033B1 true KR101872033B1 (en) 2018-06-29

Family

ID=4899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731A KR101872033B1 (en) 2011-12-29 2012-02-08 Terminal equipment, terminal equipment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03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431A (en) * 2000-07-28 2002-02-08 Fujitsu Ltd Dynamic determination of keyword and its importance in messag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2008287697A (en) * 2007-04-16 2008-11-27 Sony Corp Voice chat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431A (en) * 2000-07-28 2002-02-08 Fujitsu Ltd Dynamic determination of keyword and its importance in messag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2008287697A (en) * 2007-04-16 2008-11-27 Sony Corp Voice chat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729A (en)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9778B2 (en) Methods, systems and programs for content curation in video-based communications
CN108847214B (en) Voice processing method, client, device, terminal,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06233740B (en) Recommend method, system and the medium of items of media content for rendering
EP4206952A1 (en) Interactiv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EP334671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contextually relevant information regarding a media asset
CN104505091B (en) Man machine language's exchange method and system
CN112653902B (en) Speaker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423081B (en)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EP33644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sr in the presence of heterographs
CN109474562B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of identifier, and response method and device of request
US20150121248A1 (en) System for effectively communicating concepts
WO20211191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oice command recommendations
CN113569037A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300544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VOICE RECOGNITION DURING VoIP-BASED VOICE CALL
CN102098549A (e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system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US8913869B2 (en) Video playback apparatus and video playback method
CN107562724B (en) Method, apparatus, serve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guiding chat
CN110379406B (en) Voice comment conversion method, system,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JP2008305390A (en) Chat system, method for providing log with link informatio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log with link information
KR20200008341A (en) Media 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nd server for analyzing screen
CN106462637B (en)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played on a device
KR1015972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VOISE RECOGNITION WHEN TELEPHONE CONVERSATION ON THE VoIP BASE
KR101872033B1 (en) Terminal equipment, terminal equipment controll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11490929B (en) Video clip push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6433765B2 (en) Spoken dialogue system and spoken dialogu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