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063B1 -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063B1
KR101869063B1 KR1020110140297A KR20110140297A KR101869063B1 KR 101869063 B1 KR101869063 B1 KR 101869063B1 KR 1020110140297 A KR1020110140297 A KR 1020110140297A KR 20110140297 A KR20110140297 A KR 20110140297A KR 101869063 B1 KR101869063 B1 KR 10186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pairing
interface
d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2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2746A (en
Inventor
이정욱
강유진
고상호
김병태
박경식
차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4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063B1/en
Publication of KR2013007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7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0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입력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감지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페어링 인터페이스 및 상기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할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후보 단말 중 하나인 페어링 단말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페어링 단말과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된 페어링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put device includes a local communication unit for sensing one or more candidate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using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pairing interface for displaying a list of the candidate terminals, and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to be transmitted to any one of the candidate terminals.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 pairing terminal that is one of the candidate terminals through the pairing interfac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performs pairing with the pairing terminal, and when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And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user input to the selected pairing terminal.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0001]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0002]

본 발명은 입력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입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of inputting data in connection with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블루투스, 무선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한 단말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휴대 단말는 입력 모듈이 작아 사용자가 해당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하기 어렵고, 스마트 TV 등의 대형 단말은 입력을 위한 별도 모듈을 사용하여야 한다.Bluetooth, and wireless LAN, which are equipped wit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However, since the input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mall,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input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nd a large terminal such as a smart TV should use a separate module for input.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확장킷을 연결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확장킷은 단독으로 동작하지 않아 모바일 디바이스의 확장킷으로 이용하는 용도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Products are also being introduced that provide additional functionality by connecting an expansion kit to the mobile device. However, the extension kit does not operate singly, which means that it can not be used for use as an expansion kit for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말과 페어링(pairing)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that performs an input function for a corresponding terminal by pairing with one or more terminal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는 도중 특정 단말과 도킹되는 경우, 확장킷의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an expansion kit when docked with a specific terminal while performing input to one or more terminal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감지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페어링 인터페이스 및 상기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할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후보 단말 중 하나인 페어링 단말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페어링 단말과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된 페어링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one or more candidate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touch screen displaying a pairing interface for displaying a list of candidate terminals and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input to be transmitted to any one of the candidate terminals, wherein the pairing terminal is one of the candidate terminals through the pairing interface When receiving the input,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nit performs pairing with the pairing terminal, and when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user input to the selected pairing terminal And an input device for inputting the input data.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 장치가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후보 단말 중 하나인 페어링 단말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페어링 단말과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 단말로 전송할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된 페어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n input device for processing a user's input,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t least one candidate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isplaying a pairing interface displaying a list of candidate terminals; Performing a pairing with the pairing terminal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 pairing terminal that is one of the candidate terminals through the pairing interface; And displaying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input to be transmitted to the pairing terminal; When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user input to the selected pairing terminal;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에 대한 입력을 입력 장치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put to a plurality of terminals can be performed through an input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장치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로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a plurality of terminals can be selected through the interface provided in the input device, and input to the selected terminal can be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장치는 특정 단말과 도킹하는 경우, 해당 단말의 확장킷으로 동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device is docked with a specific terminal, the input device can operate as an extension kit of the terminal.

도 1은 입력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예시한 블록도.
도 2a는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
도 2b는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숨김 및 표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입력 장치에 단말을 도킹시킨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입력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단말의 입력을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5는 입력 장치가 페어링된 단말로의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 도킹 단말이 도킹될 경우, 도킹 단말의 확장킷으로 동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device;
FIG. 2A illustrates an interface that an input device displays through a touch screen; FIG.
FIG. 2B illustrates the hiding and display of an input interface that an input device displays through a touch scree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terminal is docked to an input devic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n input device performing input of a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s an expansion kit of a docking terminal when a docking terminal is docked while an input device performs an input function to a paired termina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transmitting" a signal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to transmit a signal,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by mediating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도 1은 입력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예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put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는 근거리 통신부(110), 저장부(120), 터치스크린(130), 도킹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input device includes a local communication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touch screen 130, a docking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근거리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써,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방식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by being connected to one or more terminals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wireless LAN.

저장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예를 들어, 단말의 PIN 코드) 및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될 유저 인터페이스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이하 인터페이스 데이터라 지칭)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20 stores data necessary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a PIN code of the terminal) and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face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to be displayed through the touch screen.

터치스크린(130)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당해 터치스크린(130)을 터치하는 입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The touch screen 130 displays a user interface and senses an input for touching the touch screen 130 and transmits the sensed input to the controller 150.

도킹부(140)는 도킹 단말(이하 도킹부와 도킹되는 단말을 도킹 단말이라 지칭)과 미리 지정된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도킹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때, 도킹부(140)는 도킹 단말과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단자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docking unit 140 is connected to a docking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cking unit and a docking terminal) with a docking termin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docking terminal. At this time, the docking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a docking terminal through a terminal such as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nd a universal serial bus (USB).

제어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10), 저장부(120), 터치스크린(130) 및 도킹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제어부(15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operations of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10, the storage unit 120, the touch screen 130, and the docking unit 140. The controller 150 may be a processor. Details of the control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a는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숨김 및 표시를 예시한 도면이다.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that an input device displays through a touch screen, and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ding and display of an input interface displayed through a touch screen by an input device.

이하, 입력 장치, 제1 단말(210) 및 제2 단말(220)이 인접하게 위치하여 입력 장치와 제1 단말(210) 및 제2 단말(220)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제1 단말(210) 및 제2 단말(22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 TV,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Hereinafter, the input device,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input device,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may be smart TVs, smart phones, and the like, each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단말로의 입력 기능 수행을 요청(이하 입력 요청이라 지칭)하는 입력을 받는다. 이 때, 입력 장치는 입력 요청을 위한 별도의 버튼(이하, 입력 요청 버튼이라 지칭)를 구비하거나, 터치스크린 상에서 입력 요청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 요청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 요청에 상응하는 입력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2, an input device receives an input from a user to a terminal to perform an input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put request). At this time, the input device may have a separate butt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put request button) for requesting input, or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requesting input on the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an input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request through the input request button or the touch screen.

제어부(150)는 입력 요청 신호에 따라 당해 입력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할 단말을 선택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이하 페어링 인터페이스라 지칭)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인터베이스 데이터를 저장부(120)로부터 로드(load)한다. 제어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10)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의 목록을 요청한다. 근거리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제1 단말(210) 및 제2 단말(220)을 감지하여 해당 단말들을 포함하는 목록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부(110)는 디스커버리(discovery) 응답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디스커버리 요청 신호를 발신한다. 제1 단말(210) 및 제2 단말(220)은 디스커버리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를 발신한다. 이 때, 디스커버리 응답 신호는 이름, Mac 어드레스 등의 해당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10)는 제1 단말(210) 및 제2 단말(2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an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iring interface) for selecting a terminal to perform a pairing with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input request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loads the interbase data from the storage unit 120. The control unit 150 requests a list of terminal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0.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0 detects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capable of communicating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generates a list including the terminals.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 discovery request signal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discovery response signal. When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receive the discovery request signal,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transmit a discovery response signal. At this time, the discovery response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corresponding terminal such as a name, a Mac address, and the lik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0 generates a list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20, and transmits the list to the controller 150.

제어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한 목록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아이콘(211, 221)을 포함하는 페어링 인터페이스(230)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한다. 즉, 제어부(150)는 페어링 인터페이스(230)에 대한 인터베이스 데이터에 따라 목록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페어링 인터페이스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고, 영상을 터치스크린(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the pairing interface 230 including the icons 211 and 221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ist received from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10 through the touch screen. That is, 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an image for the pairing interface in which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ist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terbase data for the pairing interface 230,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touch screen 130 have.

이후 터치스크린(13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좌표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해당 좌표가 페어링 인터페이스(230)에 포함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 상에 해당하는 좌표인 경우, 해당 아이콘에 상응하는 단말과 페어링을 하도록 근거리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단말(210)과 페어링을 하기 위해 아이콘(211)을 터치한다. 터치스크린(13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해당 터치 입력이 발생한 좌표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참조하여 좌표가 페어링 인터페이스(230)에 포함된 아이콘(211) 상에 해당하는 좌표임을 확인하고 근거리 통신부(110)가 제1 단말(210)과 페어링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제1 단말(210)과의 페어링이 성공하는 경우, 현재 제1 단말(210)과 페어링 중임을 나타내도록 아이콘(211)을 변경하거나 별도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영상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페어링 완료 후, 페어링 인터페이스 크기를 축소하고 입력 인터페이스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If a touch input of the user is generated, the touch screen 130 transmits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to the control unit 150.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10 to perform a pairing with a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con when the coordinate corresponds to one of the icons included in the pairing interface 230. [ For example, the user touches the icon 211 to pair with the first terminal 210. The touch screen 130 senses the touch input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coordinate generated by the touch input to the control unit 150. [ The control unit 150 refers to the interface data to confirm that the coordinates are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on the icon 211 included in the pairing interface 230 and control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0 to pair with the first terminal 210. At this time, if the pairing with the first terminal 210 is successful, the controller 150 changes the icon 211 to indicate that the first terminal 210 is currently paired with the first terminal 210, And transmit it to the touch screen 130. In addition, after completing the pairing, the controller 150 may reduce the size of the pairing interface and enlarge the size of the input interface.

지금까지 도 2a를 참조하여 페어링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입력 장치가 단말과 페어링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 입력 장치가 가상 키보드 및 터치 패드를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단말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process of pairing the input device with the terminal through the pairing interface 23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A. Hereinafter, a process of the input device controlling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using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touch pa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어부(150)는 상술한 입력 요청에 따라 저장부(120)로부터 로딩한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따라 가상 키보드(240) 및 가상 터치 패드(250)를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영상을 생성하여 터치스크린(130)으로 전송한다. 터치스크린(130)은 가상 키보드 및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페어링 인터페이스(230)를 한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an image displaying the input interface including the virtual keyboard 240 and the virtual touch pad 250 according to the interface data loaded from the storage unit 120 according to the input request, 130). The touch screen 130 displays an image including a virtual keyboard and a touch pa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50 can generate an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with the input interface and the pairing interface 230.

이후, 터치스크린(13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좌표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좌표가 가상 키보드의 키 상에 해당하는 좌표인 경우, 해당 키에 상응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현재 근거리 통신부(110)와 페어링된 단말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좌표가 가상 키보드의 'a'키 상에 해당하는 좌표인 경우, 'a'키에 상응하는 키보드 입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1 단말(210)로 전송한다. 따라서, 단말은 제어 신호에 포함된 코드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Then, when a touch input of the user occurs, the touch screen 130 transmits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to the controller 150. When the coordinate is the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key of the virtual keyboard,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de corresponding to the key to the terminal paired with the current local communication unit 110. For example, when the coordinate is the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a' key of the virtual keyboard,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keyboard input corresponding to the 'a' key to the first terminal 210 . Accordingly, the terminal can receive the inpu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od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또한, 제어부(150)는 좌표가 가상 터치 패드 상에 해당하는 좌표인 경우, 사용자의 가상 터치 패드 상의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상 터치 패드 상에서 터치 입력,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동하는 입력, 릴리즈 입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우스 포인터 제어를 위한 입력을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터치 패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근거리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마우스 포인터 제어뿐만 아니라 멀티 터치를 이용한 단말의 제어 입력을 터치 패드 제어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ordinates ar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touch pad, the controller 150 may sense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mouse pointer on the virtual touch pad of the user. For example, a user can input a touch input on a virtual touch pad, an input for moving a finger while holding a touch, and an input for controlling a mouse point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 release input. The control unit 150 may generate a touch pa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an include the control input of the terminal using multi-touch as well as the mouse pointer control in the touch pad control signal.

이 때, 제어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과 페어링이 완료된 후, 단말로 근거리 통신부(110)를 통해 입력 인터페이스의 선택을 요청하는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인터페이스 설정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가상 키보드 및 가상 터치 패드 중 하나 이상의 설정을 나타내는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는 가상 키보드 및 가상 터치 패드의 사용 여부, 가상 키보드에 포함된 키의 배열, 위치 및 크기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단말 상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키보드 입력만을 받는 장치인 경우, 단말은 가상 키보드 입력을 선택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미리 각 단말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0)는 단말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대신 저장부(120)에서 페어링된 단말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may transmit an interface setup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the terminal to select an input interface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0 after the pairing with the terminal is completed through the short-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interface setting request signal, the terminal may transmit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setting of at least one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virtual touch pad to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0. At this time,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virtual touch pad, information indicating at least one of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size of the keys included in the virtual keyboard, have. For example, if the terminal is a device that receives only keyboard input, the terminal may previously stor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for selecting a virtual keyboard input. Also, the storage unit 120 may previously store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may obtain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paired in the storage unit 120, instead of receiving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제어부(15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에 따라 가상 키보드 및 가상 터치 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가 가상 키보드 입력을 선택하는 것일 경우, 제어부(150)는 가상 키보드만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키보드만을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가상 키보드는 도 2a에서 예시한 가상 키보드에 비해 그 크기나 포함하는 키의 종류 및 수가 다른 가상 키보드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may display an input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irtual keyboard and a virtual touch pad according to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0 selects a virtual keyboard input, the control unit 150 may display an input interface including only a virtual keyboard. In this case, the virtual keyboard included in the input interface that displays only the virtual keyboard may be a virtual keyboard whose size and number and type of key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virtual keyboard illustrated in FIG. 2A.

따라서, 입력 장치는 페어링된 단말에 적합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us, the input device can provide the user with an input interface suitable for the paired terminal.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는 가상 키보드 및 가상 터치 패드 각각에 대한 활성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인터페이스는 가상 키보드 및 가상 터치 패드의 표시 및 숨김을 지시하는 입력을 받는 인터페이스로 아이콘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 인터페이스 상에서 활성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활성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경우, 해당 활성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가상 키보드 또는 가상 터치 패드를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가상 키보드 및 가상 터치 패드가 모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상 터치 패드에 상응하는 활성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제어부(150)는 가상 터치 패드를 숨기고, 가상 키보드를 입력 인터페이스의 전체 크기에 맞게 변환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가상 터치패드에 상응하는 활성 인터페이스를 다시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경우, 다시 가상 키보드와 가상 터치패드를 모두 표시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상 터치 패드에 상응하는 활성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가상 터치 패드를 표시 또는 숨긴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The input interface may also include an active interface for each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virtual touchpad. The active interface may be an interface in the form of an icon, which receives an input indicating the display and hide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virtual touch pad. The control unit 150 may display an active interface on the input interface, and may display or hide a virtual keyboard or virtual touch pad corresponding to the active interface when receiving an input from the user to select the active interface.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50 receive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 active interface corresponding to a virtual touch pad in a state where both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virtual touch pad are displayed, the controller 150 hides the virtual touch pad, You can convert the virtual keyboard to fit the entire size of the input interface. If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an active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touch pad, the control unit 150 may display an input interface displaying both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virtual touch pad. In addition, when selecting an active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touch pad,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n input interface that displays or hides the virtual touch pad.

따라서,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활성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 가상 키보드 및 가상 터치 패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put device can selectively display one or more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virtual touch pad according to the input selecting the active interface of the user.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말과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는 페어링된 단말의 입력을 터치스크린(130) 상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키보드 제어 신호 및 터치 패드 제어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input device can guide the user to a terminal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perform pairing wit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input device may also replace the input of the paired terminal with one or more of a keyboard control signal and a touch pa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user input on the touch screen 130.

또한 상술한 페어링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은 낮은 스팩의 하드웨어로 구현이 가능한 기능이다. 즉, 상술한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150)는 스팩이 낮은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장치 전체를 생산하기 위한 단가는 낮아 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unction of providing the pairing interface and the input interface described above is a function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low-specification hardware. That is, the controller 150 that provides the input function through the interface described above may be a processor having a low specification, and accordingly the unit price for producing the entire input apparatus may be lowered.

도 3은 입력 장치에 단말을 도킹시킨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킹이란 입력 장치에 구비된 도킹부(140)를 통해 특정 단말이 물리적인 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페어링과는 상이한 것으로 정의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terminal is docked to an input device. Here, docking means that a specific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 physical terminal through a docking unit 140 provided in an input device, and is different from pairing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과정에 따라 단말로의 입력을 수행하는 도중 도킹부(140)를 통해 도킹 단말(310)과 도킹할 수 있다. 도킹부(140)는 도킹 단말(310)과 도킹되는 경우, 도킹 단말(310)의 확장킷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도킹부(140)는 도킹 단말(310)의 도킹을 감지하고 제어부(150)로 도킹 단말(310)의 도킹을 알리는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감지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근거리 통신부(110)를 통해 페어링된 단말로의 입력을 중단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도킹 단말(310)로부터 도킹 단말(310)의 영상을 터치스크린(130)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130)을 통해 감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데이터를 도킹 단말(310)로 전송한다. 따라서, 입력 장치는 도킹 단말(310)과 도킹되어 도킹 단말(310)이 출력할 영상을 출력하고, 해당 영상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도킹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입력 장치는 도킹 단말(310)의 입출력 기능에 대한 확장킷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도킹 단말(310)의 확장킷으로 동작하는 도중 입력 요청 버튼(320)을 누르는 입력을 받는 경우, 도킹되기 이전의 페어링된 단말로의 입력을 다시 수행하도록 근거리 통신부(110)와 터치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단말과의 페어링을 통한 입력 기능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킹 단말(310)이 도킹된 후 입력 요청 버튼을 누르는 입력을 받는 경우, 제어부(150)는 도 1 내도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부터 수행하도록 근거리 통신부(110) 및 터치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input device may dock with the docking terminal 310 through the docking unit 140 while performing input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The docking unit 140 operates as an expansion kit of the docking terminal 310 when the docking terminal 310 is docked. For example, the docking unit 140 senses the docking of the docking terminal 310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indicating the docking of the docking terminal 310 to the controller 150. Upon receipt of the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unit 150 stops inputting to the terminal paired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0. Then, the controller 150 outputs the image of the docking terminal 310 from the docking terminal 310 through the touch screen 13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transmits the data of the user input sensed through the touch screen 130 to the docking terminal 310. Accordingly, the input device is docked with the docking terminal 310 to output an image to be output by the docking terminal 31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user's input using the user interface included in the image to the docking terminal 310 Lt; / RTI > That is, the input device can operate as an expansion kit for the input / output function of the docking terminal 310.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ler 150 receives an input for pressing the input request button 320 while operating as an extension kit of the docking terminal 310,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input request button 320 to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touch screen 130. [0035] In this case, when the docking terminal 310 is docked in the state where the input function through the pairing with the terminal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performed and the docking terminal 310 receives an input for pressing the input request button,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touch screen 130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pairing interfac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는 단독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장치로 동작할 수 있고, 도킹 단말(310)이 도킹되는 경우에는 도킹 단말(310)의 입출력 기능을 확장하여 제공하는 확장킷으로 동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input device can operate as a device that receives user input to one or more terminals by us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docking terminal 310 is docked It is possible to operate as an expansion kit that extends and provides input / output functions of the docking terminal 310. [

도 4는 입력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단말의 입력을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n input device performing input of a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요청을 받는다. 이 때, 입력 요청은 입력 장치에 미리 구비된 입력 요청 버튼을 누르는 입력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 미리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410, the input device receives an input request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input request may be an input for pressing an input request button previously provided to the input device, or an input for selecting an interface previously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단계 420에서 입력 장치는 입력요청에 따라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입력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단말을 감지하고, 각 단말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In step 420, the input device displays the pairing interface in response to the input request.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senses one or more terminal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put device, and displays a pairing interface including an icon representing each terminal.

단계 430에서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단말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페어링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다.In step 430, the input device receives input from the user to select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receives input to select any of the icons included in the pairing interface.

단계 440에서 입력 장치는 단계 430에서 선택된 단말과의 페어링을 수행한다.In step 440, the input device performs a pairing with the selected terminal in step 430.

단계 450에서 입력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페어링 단말로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에 따라 가상 키보드 및 가상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는 페어링 단말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대신 페어링 단말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저장부(1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In step 450, the input device displays the input interface.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may request and receiv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pairing terminal, and may display an input interface including a virtual keyboard and a virtual touch pad according to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Also, instead of receiving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pairing terminal, the input device can acquire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from the storage unit 120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airing terminal.

단계 460에서 입력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한 키보드 입력, 가상 터치 패드를 통한 터치 입력,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동 입력, 릴리즈 입력 및 멀티 터치 입력 중 하나 이상을 받는다.In step 460, the input device receives the input of the user through the input interface.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receives at least one of a keyboard input through a virtual keyboard, a touch input through a virtual touch pad, a movement input while holding the touch, a release input, and a multi-touch input.

단계 470에서 입력 장치는 단계 460에서 받은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In step 470, the input device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user input received in step 460 to the terminal.

이 때, 상술한 단계 450은 단계 4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단계 420은 페어링 인터페이스와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되고 단계 450은 제외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step 450 may be performed in step 420. That is, step 420 may be changed to indicate a pairing interface and an input interface, and step 450 may be excluded.

도 5는 입력 장치가 페어링된 단말로의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 도킹 단말이 도킹될 경우, 도킹 단말의 확장킷으로 동작하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s an expansion kit of a docking terminal when the docking terminal is docked while the input device performs an input function to the paired terminal.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입력 장치는 도킹 단말이 도킹됨을 감지한다. 이 때, 단계 510은 상술한 도 4의 단계 410 내지 단계 470의 과정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510, the input device senses that the docking terminal is docked. In this case, step 510 may be per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teps 410 to 470 of FIG.

단계 520에서 입력 장치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단말로의 입력 과정을 중지한다.In step 520, the input device stops the input process to the terminal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단계 530에서 입력 장치는 도킹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표시한다. 이 때, 도킹 단말로부터 수신한 영상은 도킹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영상일 수 있다.In step 530, the input device receives the image from the docking terminal and displays the received image. At this time, the image received from the docking terminal may be an image inclu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docking terminal.

단계 540에서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입력 받고,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도킹 단말로 전송한다. 즉, 입력 장치는 단계 530에서 수신한 영상에 포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받고,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도킹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540, the input device receives user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user input to the docking terminal. That is, the input device receives the user input for operating the user interface included in the image received in operation 53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user input to the docking terminal 310.

따라서, 도킹 단말(310)에 비해 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입력 장치는 도킹 단말(310)이 도킹된 경우, 도킹 단말(310)의 화면 출력 및 입력 모듈을 대체하는 확장킷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an input device having a larger touch screen than the docking terminal 310 can serve as an expansion kit for replacing the screen output of the docking terminal 310 and the input module when the docking terminal 310 is docked have.

이 때, 입력 장치는 확장킷으로 동작하는 도중 입력 요청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input device receives a user input that presses an input request button while operating as an expansion kit, the input device can perform the above-described process with reference to FIG.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ereof. Many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therefore,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감지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페어링 인터페이스 및 상기 후보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할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후보 단말 중 하나인 페어링 단말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페어링 단말과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된 페어링 단말로 전송하며,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에 따른 가상 키보드 및 가상 터치 패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는 상기 페어링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페어링 단말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정보인, 입력 장치.
A control unit;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one or more candidate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nd a touch screen displaying a pairing interface for displaying a list of candidate terminal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 input to be transmitted to one of the candidate terminals,
The control unit
And performs a pairing with the pairing terminal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 pairing terminal that is one of the candidate terminals through the pairing interface,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user input to the selected pairing terminal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interface,
Controlling one or more of a virtual keyboard and a virtual touch pad according to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rein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eviously received from the pairing terminal or corresponding to the pairing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도킹 단말의 도킹을 감지하고, 상기 도킹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도킹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ocking unit for detecting docking of the docking terminal and receiving an image from the docking terminal,
Wherein when the docking is detected, the touch screen outputs the imag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킹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도킹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docking is detected, the docking unit transmits user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to the docking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가상 키보드 및 상기 가상 터치 패드 각각에 상응하는 활성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활성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키보드 또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를 표시 또는 숨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interface includes an active interfac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virtual touch pad,
Wherein the touch screen displays the virtual keyboard or the virtual touch pad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active interface.
입력 장치가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후보 단말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후보 단말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후보 단말 중 하나인 페어링 단말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페어링 단말과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 단말로 전송할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된 페어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페어링 단말과의 페어링이 완료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에 가상 키보드 및 가상 터치 패드 중 하나 이상의 표시 여부를 나타내는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상기 페어링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페어링 단말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가상 키보드 및 상기 가상 터치 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력 방법.
A method for an input device to process user input,
Detecting at least one candidate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isplaying a pairing interface displaying a list of candidate terminals;
Performing a pairing with the pairing terminal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 pairing terminal that is one of the candidate terminals through the pairing interface; And
Displaying an input interface receiving a user input to be transmitted to the pairing terminal;
When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user input to the selected pairing terminal
Lt; / RTI >
The step of displaying the input interface
When the pairing with the pairing terminal is completed,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at least one of a virtual keyboard and a virtual touch 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received from the pairing terminal or the input interface setting Acquir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on the touch screen an input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virtual touch pad according to the input interface setting information
≪ / RTI >
제7 항에 있어서,
도킹 단말의 도킹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도킹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을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입력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etecting docking of the docking terminal;
Receiving an image from the docking terminal; And
Outputting the image using a touch screen
≪ / RTI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도킹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력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ransmitting the user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to the docking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7 항에 있어서,
활성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키보드 또는 상기 가상 터치 패드를 표시 또는 숨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가상 키보드 및 상기 가상 터치 패드 각각에 상응하는 활성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virtual keyboard or the input interface displaying or hiding the virtual touchpad according to a user input selecting an active interface,
Wherein the input interface comprises an active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keyboard and the virtual touch pad, respectively.
KR1020110140297A 2011-12-22 2011-12-22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KR1018690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97A KR101869063B1 (en) 2011-12-22 2011-12-22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297A KR101869063B1 (en) 2011-12-22 2011-12-22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746A KR20130072746A (en) 2013-07-02
KR101869063B1 true KR101869063B1 (en) 2018-06-20

Family

ID=4898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297A KR101869063B1 (en) 2011-12-22 2011-12-22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06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489A (en)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케이엠알아이 Docking station used in vehicle,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578A (en) * 2004-03-31 2005-10-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utilizing touch screen of mobile phone as an external input device for personal computer
KR20080064539A (en) * 2007-01-05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20100009920U (en) * 2010-09-20 2010-10-08 박상현 Smart Phone Installableor Detachable Portable Touchscreen Terminal Using Smart Phone as a Hos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489A (en)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케이엠알아이 Docking station used in vehicle,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746A (en)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895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able,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522399B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rom handheld terminal to display device and handheld terminal thereof
US2013010670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method
TW201602841A (en) Switchable input modes for external display operation
US108909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urpose input device for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CN102981747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104562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bjects
KR20170042953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ing thereof
US8738941B2 (en) Computer integra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tablet personal computer and a computer host
US9285915B2 (en) Method of touch command integration and touch system using the same
WO2017022031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20130074827A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terminal guide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pplying terminal environment
JP6034709B2 (en) Terminal device, external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terminal device and external display device
KR1018690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EP3173907B1 (en) Capacitive touchscreen, terminal, intercommunication method and corresponding program and carrier
KR1019617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nction of mouse using terminal including touch screen
US10416852B2 (en) Display and interaction method in a user interface
KR201501230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braille
KR101555830B1 (en)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op box remote controller functions
KR20120115024A (en) Multitasking keyboard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101596238B1 (en) Multi-termin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ingle input
KR1009998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input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CN103678207A (en) Object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101571330B1 (en) Multi device operating apparatus
JP2015022410A (en) Multi-mode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