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830B1 -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op box remote controller functions - Google Patents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op box remote controller func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830B1
KR101555830B1 KR1020130136905A KR20130136905A KR101555830B1 KR 101555830 B1 KR101555830 B1 KR 101555830B1 KR 1020130136905 A KR1020130136905 A KR 1020130136905A KR 20130136905 A KR20130136905 A KR 20130136905A KR 101555830 B1 KR101555830 B1 KR 101555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user terminal
input
cur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4451A (en
Inventor
권순신
이영신
Original Assignee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3013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830B1/en
Publication of KR2015005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4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8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및 셋톱박스로 구성되는 셋톱박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셋톱박스 시스템은, 커서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커서 제어정보를 기초로 커서 이동 및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커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생성된 상기 커서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셋톱박스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커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커서가 표시될 커서 위치 정보 및 기능 실행 명령을 생성하는 입력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능 실행 명령에 대응되는 셋톱박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A set-top box system comprising a user terminal and a set-top box is provided. The set-top box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cursor control information to a set-top box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a set-top box for controlling cursor movement and function execution based on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curso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Bluetooth modul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curs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settop box connected via Bluetooth communication, An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cursor position information and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to be displayed by the cursor using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t-top box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

Description

셋톱박스 시스템 및 셋톱박스 리모컨 기능 제공 방법{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op box remote controller function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top box system and a set-top box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셋톱박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셋톱박스 리모컨 기능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셋톱박스 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셋톱박스의 리모컨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top box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et-top box remote control function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perform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of a set-top box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set-

셋톱박스(set-top box)는 텔레비젼 등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A set-top box is a device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and appropriately converts signals coming from the outside and displays the converted signals on a connected display device.

기존의 셋톱박스는 리모컨 또는 마우스 등의 조작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셋톱박스를 제어하였다. 하지만, 리모컨의 경우 특정 셋톱박스에만 사용 가능한 전용 리모컨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텔레비전 등 다른 제품과의 호환성이 떨어진다. 또한, 마우스 등을 셋톱박스에 연결하여 조작하는 경우에도 마우스 선의 길이에 따른 제한이나 마우스 패드 등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리모컨이나 마우스를 분실하는 경우에는 셋톱박스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 conventional set top box, a user controls a set top box by using an operation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or a mouse. However, in the case of a remote controller, it is general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edicated remote controller that can be used only in a specific set-top box, so that compatibility with other products such as a television is poor. Further, even when a mouse or the like is connected to a set-top box and op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ouse pad or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mouse line. In addition, when the remote control or the mouse is lost, the set-top box can not be controlled.

한국등록특허 제10-920880호, ?PTV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셋탑박스Korean Patent No. 10-920880, a user interface method and set-top box for PTV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셋톱박스의 리모컨 기능 또는 마우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셋톱박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t-top box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or a mouse function of a set-top box u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셋톱박스 시스템은, 커서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커서 제어정보를 기초로 커서 이동 및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커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생성된 상기 커서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셋톱박스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커서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커서 위치 정보 및 기능 실행 명령을 생성하는 입력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능 실행 명령에 대응되는 셋톱박스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t-top box system including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cursor control information to a set-top box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a cursor control unit for receiving cursor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set top box for controlling movement and function execution of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curso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curs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set top box connected via Bluetooth communication The Bluetooth modul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ursor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an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cursor position information and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based on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And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set-top box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execution command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기초로 X-Y 좌표계에 따른 좌표정보로 표시되는 커서 이동 정보 및 임의의 좌표정보에 매칭되는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커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can generate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cursor movement information indicated by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XY coordinate system and execution information matching with arbitrary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input of the user have.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단말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센싱부에서 생성된 자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커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that senses a positional change of the terminal and generates attitude information, and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sensing unit that senses a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basis of the attitu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Contro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터치 패턴 또는 버튼입력 패턴이 입력되면 화면에 터치 조작창을 표시하여 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는 상기 터치 조작창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커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displaying a touch operation window on the screen and activating the touch operation window when the touch pattern or the button input pattern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user is input,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touch input of the input user.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조작창 및 가상 키보드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수용하는 키보드창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Here, th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a touch operation window for sensing the touch input of the user and a keyboard window for accepting character input of the user through the virtual keyboar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own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셋톱박스 전용 리모컨 또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범용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셋톱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t-top box can be controlled u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general-purpose smart phone without using a remote controller dedicated to the set-top box or a mo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 및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셋톱박스 리모컨 기능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셋톱박스 리모컨 기능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셋톱박스 리모컨 기능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set-top box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t-top box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et-top box remote control function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et-top box remote control function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et-top box remote control function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et-top box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셋톱박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요도를 나타내고 있다.1 shows a general overview of a set-top box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박스 시스템은 셋톱박스(100)와, 상기 셋톱박스(100)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 상기 셋톱박스(100)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어 셋톱박스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2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1, the set-top box system includes a set-top box 100, a display device 3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and a set-top box 1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And a user terminal 2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200.

셋톱박스(100)는 외부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프로젝터, 컴퓨터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 등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여 상기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한다. 이때, 셋톱박스(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00)이 이용된다.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 가능한 모바일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장치(Tablet Devic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e-북 리더(e-book read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et-top box 100 is connected to various external display devices, for example, a projector, a computer monitor, or a television so as to appropriately convert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display the signal o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300.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is used a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set top box 100.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portable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device,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e- An e-book reader, and the like.

셋톱박스(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최초 접속 단계에서 페어링 과정을 필요로 한다. 상기 페어링 과정은 두 장치간의 보안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이며, 최초 한 번의 페어링 과정이 수행되면 이후의 장치 간 연결 과정에서는 추가적인 페어링 과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페어링 과정이 간단히 수행되기 위하여 SSP(secure simple pairing)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t-top box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need a pairing process in the initial connection step to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The pairing process is a process of establishing a secure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If a first pairing process is performed, an additional pairing process is not required in a subsequent inter-device connection process.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support a secure simple pairing (SSP) profile in order to simplify the pairing process.

사용자 단말(200)은 구동중인 리모컨 앱을 통해서 터치 이벤트를 입력받아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른 커서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셋톱박스(100)로 전송한다. 셋톱박스(100)는 수신된 커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커서가 표시될 위치에 관한 좌표정보인 커서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커서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한다.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touch event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application in operation, generates cursor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ouch event, and transmits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set-top box 100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he set top box 100 generates cursor position information, which is coordinate information related to a position at which a cursor is to be displayed, using the received cursor control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cursor on the display device 300 based on the generated cursor position information.

이하에서, 셋톱박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셋톱박스(100) 및 사용자 단말(200)의 세부 구성 및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set-top box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constituting the set-top box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100) 및 이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2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 요소들이 더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FIG. 2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t-top box 100 and a user terminal 200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nd other components may be added or excluded.

상기 셋톱박스(100)는 세부적으로 블루투스 모듈(110), 중앙 제어부(120), 입력정보 처리부(130), 표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종 데이터를 보관, 저장하는 메모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t top box 100 includes a memory module 150 configured to store and store various data in detail, including a Bluetooth module 110, a central control unit 120, an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and a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먼저, 블루투스 모듈(110)은 중앙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사용자 단말(200)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매개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110)은 무선통신부(115)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커서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입력정보 처리부(130)로 전달한다.First, the Bluetooth module 110 mediates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ler 120. Specifically, the Bluetooth module 110 receives cursor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5 and transmits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중앙 제어부(120)는 셋톱박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 신호의 변환, 변환된 음성/입력 신호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의 출력, 네트워크 모듈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의 제어 등 셋톱박스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들의 수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셋톱박스의 각종 기능의 수행은 상시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커서 제어정보로부터 취득한 기능 실행 정보를 기반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t-top box 100. For example, conversion of an external input signal, output of the converted voice / input signal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300, control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the network module,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execution of various functions of the set-top box can be processed based on the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10 at all times.

입력정보 처리부(130)는 중앙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커서 제어정보로부터 취득한 커서 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140) 상의 커서의 이동을 제어한다.The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ursor on the display unit 140 based on the cursor movement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20. [

표시부(140)는 입력정보 처리부(130)의 제어 하에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상기 커서 이동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a curs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rsor movement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상기 셋톱박스(100)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200)은 표시부(210), 입력부(220), 센싱부(230), 제어부(240) 및 블루투스 모듈(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ser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set-top box 100 includes a display unit 210, an input unit 220, a sensing unit 230, a controller 240, and a Bluetooth module 250.

표시부(210)는 제어부(240)의 제어 하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영역인 터치 조작창 및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키보드창을 화면에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a touch operation window, which is a region where a user's touch input is detected, and a keyboard window, on which a virtual keyboard for detecting a user's text input, is display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40.

입력부(220)는 상기 터치 조작창을 통해 터치 입력 이벤트가 발생되면 커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20)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기초로 X-Y 좌표계에 따른 좌표정보로 표시되는 커서 이동 정보 및 임의의 좌표정보에 매칭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한다.When a touch input event is generated through the touch operation window, the input unit 220 generates cursor contro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urs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40. Specifically, when an even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is generated, the input unit 220 generates cursor movement information, which is represented by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X-Y coordinate system, and execution information matching with arbitrary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input of the user.

또한, 입력부(220)는 상기 키보드창에서 텍스트 입력 이벤트가 발생되면 텍스트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When a text input event occurs in the keyboard window, the input unit 220 generates text inpu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text inpu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240. [

이때, 상기 터치 입력 이벤트는 다양한 터치 패턴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터치 입력 이벤트 별로 서로 다른 커서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조작창을 드래그(drag)하는 경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되며, 이에 대응되는 커서 이동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uch input event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various touch patterns, and different cursor control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for each touch input event. For example, when a touch operation window is dragged, a drag event is generated, and corresponding cursor moveme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또한, 입력부(220)는 터치 조작창에 발생된 터치 입력이 지속되면 모션 감지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터치 입력이 중단되어 모션 감지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 센싱부(2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커서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세 정보는 X-Y-Z 좌표계에 따른 좌표정보를 포함하며, 입력부(220)는 상기 X-Y-Z 좌표계에 따른 좌표정보를 X-Y 좌표계에 따른 좌표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기초로 커서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20 may generate a motion detection event when the touch input generated in the touch operation window is continued an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230 to the user terminal 200 until the touch input is stopped, The cursor moveme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generated pos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attitude information includes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X-Y-Z coordinate system, and the input unit 220 converts the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X-Y-Z coordinate system into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X-Y coordinate system and generates cursor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또한, 입력부(220)는 터치 조작창에의 클릭 터치 또는 더블클릭 터치가 발생되면 해당 위치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220 may generate execution information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position when a click or a double-click occurs in the touch operation window.

센싱부(2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접촉 유무, 사용자 단말의 방위,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세 정보를 발생시킨다.The sensing unit 23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terminal 200 such as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Information.

제어부(24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24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for multimedia playback.

제어부(240)는 입력부(220)로부터 전달된 커서 제어 정보 및 텍스트 입력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250)을 통해 셋톱박스(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40 controls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and text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put unit 220 to be transmitted to the set top box 100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250.

블루투스 모듈(250)은 제어부(240)의 제어 하에 셋톱박스(10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매개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모듈(250)은 무선통신부(255)를 통해 연결된 셋톱박스(100)로 커서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250 mediate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set-top box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40. Specifically, the Bluetooth module 250 may transmit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set-top box 100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55.

이하에서, 본 발명의 셋톱박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셋톱박스의 리모컨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 of the set-top box using the set-top box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리모컨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of a set-top box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에서 셋톱박스(100)의 리모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에서 리모컨 앱이 구동되고, 셋톱박스(100)에서 상기 리모컨 앱과 연동되는 리모컨 수신 앱이 구동될 수 있다(S100). 사용자 단말(200)에서 리모컨 앱이 구동되면 블루투스 모듈(250)을 통해 주변의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고, 탐지된 셋톱박스(100)와의 페어링 연결을 수행한다(S120). 상기 페어링 과정은 최초 연결시에 실시되며, 두 장치 간의 페어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S110), 이후의 두 장치간의 연결 과정에서는 별도의 페어링 과정 없이 블루투스 연결이 이루어진다(S130).3, in order to provide the remote control function of the set-top box 100 in the user terminal 200,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is operated in the user terminal 200, and a remote control The receiving app can be started (S100). When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is activated in the user terminal 200, the neighboring Bluetooth device is search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250 and a pairing connection with the detected set-top box 100 is performed (S120). The pairing process is performed at the initial connection. When the pairing between the two devices is successfully completed (S110), the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without a separate pairing process in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two devices (S130).

이후, 상기 리모컨 앱의 터치 조작창이 화면에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조작창으로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 이벤트가 발생되면, 입력부(220)는 터치 입력 이벤트에 대응되는 커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S140), 이를 블루투스 모듈(250)을 통해 셋톱박스(100)로 전송한다(S150). 이때, 셋톱박스(100)로 전송되는 커서 제어 정보에는 커서 이동 정보 및 실행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touch operation window of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is activated on the screen and the touch input event of the user is generated through the touch operation window, the input unit 220 generates cursor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event (S140 And transmits it to the set-top box 100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250 (S150). At this time,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100 may include cursor movement information, execu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셋톱박스(100)에서 수신된 커서 제어 정보는 중앙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입력정보 처리부(130)로 전달되고, 입력정보 처리부(130)는 상기 커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140) 상의 커서의 이동을 제어한다(S160).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t top box 100 is transmitted to the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120. The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0 receives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ursor on the display unit 140 based on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S160).

이와 같이, 셋톱박스(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터치 조작창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변경 표시하며, 상기 터치 조작창에의 일점 터치 또는 중복 터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기능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t-top box 100 changes the position of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user through the touch operation window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function menu display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300 can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one-touch or the double-touch input.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터치 조작판에의 터치 입력 이외에 사용자에 의한 단말의 위치 변화를 기초로 커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200 may generate the cursor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terminal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operation panel.

도 4에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200)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셋톱박스(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활성화된 터치 조작창을 누른 상태로 사용자 단말(200)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 센싱부(2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자세 정보를 생성하고(S240), 입력부(220)는 터치 조작창에 발생된 터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생성되는 상기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커서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50). 이를 통해, 사용자는 터치 조작창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0)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서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Figure 4 shows a flow diagra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via the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user moves the user terminal 200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with the activated touch operation window being pressed, the sensing unit 230 The attitude inform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user terminal 200 (S240), and the input unit 220 generates cursor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attitude information generated while the touch input generated in the touch operation window continues (S250). 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screen by moving the user terminal 200 up, down, left, and right while pressing the touch operation window.

한편,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동되는 리모컨 앱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사용자 단말(200)의 메모리에 캐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특정 외부버튼을 미리 지정된 패턴으로 클릭하거나 화면에 미리 등록된 패턴을 터치 입력하여 상기 리모컨 앱의 터치 조작창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driven by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cached in the memory of the user terminal 200 in a deactivated state. In this case, the user can activate a touch operation window of the remote control application by clicking a specific external butt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 a predetermined pattern or touching a pattern registered in advance on the screen.

도 5에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200)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셋톱박스(100)에 연결되고 리모컨 앱이 비활성화되어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미리 지정된 패턴이 터치 입력되거나 특정 외부버튼이 미리 지정된 패턴으로 클릭되면, 제어부(240)는 비활성화된 리모컨 앱을 활성화시켜서 화면에 터치 조작창을 표시한다(S340).FIG. 5 shows a flow char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rst, in a state where 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via the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remote control app is disabled and not displayed on the screen, a predetermined pattern is touch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controller 240 activates the inactivated remote control application and displays the touch operation window on the screen (S340).

이후, 사용자가 활성화된 터치 조작창을 누른 상태로 사용자 단말(200)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면, 센싱부(2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자세 정보를 생성하고(S350), 입력부(220)는 터치 조작창에 발생된 터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생성되는 상기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커서 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60).
When the user moves the user terminal 200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while the user is holding the activated touch operation window, the sensing unit 230 generates attitu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user terminal 200 (S350) The input unit 220 may generate cursor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posture information generated while the touch input generated in the touch operation window continues (S36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커서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커서 제어정보를 기초로 커서 이동 및 기능 실행을 제어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커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입력부와, 생성된 상기 커서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셋톱박스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커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커서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커서 위치 정보 및 기능 실행 명령을 생성하는 입력정보 처리부와, 상기 기능 실행 명령에 대응되는 셋톱박스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단말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자세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외부 버튼을 미리 지정된 패턴으로 클릭하거나 또는 화면에 미리 등록된 패턴이 터치 입력되면 화면에 터치 조작창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입력부는 활성화된 터치 조작창에 터치 입력이 지속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터치 입력이 터치 입력 이벤트인지 또는 모션 감지 이벤트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어 모션 감지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 입력이 시작된 때부터 상기 터치 입력이 중단되어 모션 감지 이벤트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센싱부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X-Y-Z 좌표계에 따른 좌표정보인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커서 이동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X-Y-Z 좌표계에 따른 3차원 좌표정보를 X-Y 좌표계에 따른 2차원 좌표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기초로 커서 이동 정보를 생성하는,
셋톱박스 시스템.
A set top box controlling cursor movement and function execution based on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curso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 touch input of a user and a Bluetooth modul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cursor control information to the set top box connected via Bluetooth communication,
An input information processor for generating cursor position information and a function execution command on the basis of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set-top box,
The user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generating attitude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activates a touch operation window on the screen when a user clicks a specific external button in a predetermined pattern or touches a pattern registered in advance on the screen,
Wherein the input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ouch input is a touch input event or a motion detection event based on a duration of the touch input in the activated touch operation window,
The input unit stops the touch input from the start of the touch input when the touch input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the sensing unit stops the touch input until the end of the motion detection event, Generates cursor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attitude information which is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nerated X, Y, and Z coordinate system,
Wherein the input unit converts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XYZ coordinate system into two-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XY coordinate system, and generates cursor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converted two-
Set-top box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센싱부에서 생성된 자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커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셋톱박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generates the curso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attitu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ing unit while the touch input of the user is maintained,
Set-top box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조작창 및 가상 키보드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수용하는 키보드창을 화면에 표시하는,
셋톱박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touch operation window for sensing a touch input of the user and a keyboard window for accepting character input of the user through a virtual keyboard,
Set-top box system.
KR1020130136905A 2013-11-12 2013-11-12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op box remote controller functions KR1015558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905A KR101555830B1 (en) 2013-11-12 2013-11-12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op box remote controller fun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905A KR101555830B1 (en) 2013-11-12 2013-11-12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op box remote controller fun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451A KR20150054451A (en) 2015-05-20
KR101555830B1 true KR101555830B1 (en) 2015-09-24

Family

ID=5339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905A KR101555830B1 (en) 2013-11-12 2013-11-12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op box remote controller func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8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754B1 (en) * 2019-12-02 2021-05-1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t top box using bluetoot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451A (en)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1601707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JP5931298B2 (en) Virtual keyboard display method, apparatus,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191972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screen on said display device
KR20150006180A (en) Method for controlling chatting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20049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pplic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N110007822B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CN109683802B (en) Icon moving method and terminal
US10108388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2017421A1 (en) Interaction method, display device, emission device, interac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170009302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61169A (en) Object control system using the mobile with touch screen
JP2015011679A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input operation processing method
CN110515507B (en) Ic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US201403729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display device
KR101555830B1 (en) Set-top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t-top box remote controller functions
KR10221063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520481B2 (en) Touch display screen oper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US20190041997A1 (en) Pointer control in a handheld computer by way of hid commands
KR20150137836A (en)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KR101651011B1 (en) Mobile terminal
KR1019617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nction of mouse using terminal including touch screen
CN109408119B (en) Application program marking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CN108008875B (en) Method for controlling cursor movement and terminal equipment
KR20160032915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