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491B1 - Level control apparatus for dust catcher in cokes dry quenchingfacilities - Google Patents

Level control apparatus for dust catcher in cokes dry quenching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491B1
KR101862491B1 KR1020160170071A KR20160170071A KR101862491B1 KR 101862491 B1 KR101862491 B1 KR 101862491B1 KR 1020160170071 A KR1020160170071 A KR 1020160170071A KR 20160170071 A KR20160170071 A KR 20160170071A KR 101862491 B1 KR101862491 B1 KR 10186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dust
dust catcher
signal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4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02Dry cooling outside the ov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atcher level control apparatus for a coke dry quenching (CDQ) apparatus. The dust catcher level control apparatus controls a dust level to prevent the risk of breakage and malfunction in a level meter used in a dust catcher of the CDQ apparatus. The dust catcher level control apparatus for the CDQ apparatus includes: the level meter mounted on the dust catcher of the CQD apparatus; a level detection unit which is mounted on the level meter and detects the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a level transmitter rece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level detection unit to transmit the signals to an operating unit; the operating unit which controls the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level transmitter. When the level detection unit generates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dust on the connection parts of the dust catcher mounted with the level meter and transmits the signals to the operating unit, the operating unit can discharge or block the dust.

Description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LEVEL CONTROL APPARATUS FOR DUST CATCHER IN COKES DRY QUENCHINGFACILITI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 가스가 지나가는 유로를 급격히 증가시켜 유속을 떨어뜨림으로써 자체 중력에 의해서 하부로 떨어지는 더스트들을 포집하는 건식소화설비(CDQ)의 더스트 캐처에서 사용되는 레벨계의 파손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더스트 레벨을 제어하는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CDQ) for collecting dusts falling downward by gravity by decreasing the flow rate by rapidly increas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 circulating gas pass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atcher level control apparatus for a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that controls a dust level so as to prevent breakage and malfunction of a level meter used in a dust catcher of a fire extinguisher.

제철 공정의 고로에서 열원 및 철광석의 환원제로 사용되는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coke oven)에서 석탄을 건류하여 적열 상태(1000℃ 이상)의 코크스를 생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적열 상태의 코크스를 냉각시키는 방식에는 상온 상태의 냉각수를 살수하여 냉각시키는 습식 소화 방식과, 불활성 가스(질소)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건식소화 방식 등이 있다.The coke used as a heat source and a reducing agent of iron ore in the blast furnace of a steelmaking process produces coal in a coke oven to produce coke in a glow state (over 1000 ° C). At this time, the cooling method of the coke in the red state includes a wet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in which cooling water in a normal temperature state is sprayed and cooled, and a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in which cooling is performed using an inert gas (nitrogen).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oke Dry Quenching: CDQ)를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코크스 건식소화설비는 소화탑(10), 핫 가스 덕트(20), 보일러(40) 및 순환 배관(50)으로 이루어지는 폐순환 구조를 갖는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eneral coke dry quenching system (CDQ). As shown in FIG. 1, a general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includes a digester 10, a hot gas duct 20, a boiler 40 And a circulation piping 50. The circulation pipe 50 has a closed loop structure.

소화탑(10)은 적열 코크스가 갖는 현열을 불활성 가스를 매체로 하여 열교환하는 쿨링챔버(cooling chamber; 11)와, 상기 쿨링챔버(11)의 상부에 이어져서 적열 코크스 투입의 시간변동을 흡수하여 조업의 안정성을 얻을 목적으로 프리챔버(Pre-chamber; 12)가 마련되며, 상기 쿨링챔버(11)와 연통되면서 상기 프리챔버(12)를 둘러싸는 링 덕트(ring duct; 13)가 마련된다. 그래서, 적열 코크스가 프리챔버(12)의 상방으로부터 프리챔버(12) 내로 장입되어 순차적으로 쿨링챔버(11)로 이동하면서 불활성 가스와 열교환하여 200℃ 수준까지 냉각된 후, 일정량씩 쿨링챔버(11)의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The digester 10 has a cooling chamber 11 for exchanging sensible heat of the glow-in-coke with an inert gas as a medium, and a cooling chamber 11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oling chamber 11 to absorb time- A pre-chamber 12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stability of operation and a ring duct 13 surrounding the prechamber 12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oling chamber 11. Thus, the red coke is charged into the prechamber 12 from above the prechamber 12, sequentially moved to the cooling chamber 11, heat-exchanged with the inert gas, cooled to a temperature of 200 ° C,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열교환 후 1000℃ 수준으로 가열된 불활성 가스는 쿨링챔버(11)의 상부로부터 링 덕트(13)를 통과한 후 핫 가스 덕트(hot gas duct; 20)로 배출되고, 불활성 가스는 핫 가스 덕트(20) 중에 설치된 더스트 캐쳐(dust catcher; 30)를 경유하면서 불활성 가스에 포함된 분 코크스 및 더스트가 제거된 후 보일러(40)를 통과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ert gas heated to a temperature of 1000 ° C. after the heat exchange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oling chamber 11 through the ring duct 13 to the hot gas duct 20, The dust coke and dust contained in the inert gas are removed through the dust catcher 30 installed in the boiler 20 and then passed through the boiler 40.

보일러(40)에서는 불활성 가스의 현열을 회수하여 스팀(steam)을 발생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이렇게 보일러(40)를 통과한 불활성 가스를 현열이 회수되면서 대략 160℃ 수준으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불활성 가스는 상기 순환 배관(50)을 통하여 상기 소화탑(10)의 쿨링챔버(11)로 재공급된다.In the boiler 40, the sensible heat of the inert gas is recovered to generate steam to produce electric power. The inert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oiler 40 is cooled to a level of about 160 ° C. while the sensible heat is recovered and the cooled inert gas is supplied to the cooling chamber 11 of the digester 10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50. .

도 2는 일반적인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에 구비되는 더스트 캐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ust catcher provided in a general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캐처(30)는 핫 가스 덕트(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는 분 코크스 및 더스트를 포집한다. 이때, 약 950℃의 분 코크스 및 더스트는 내통(31)과 외통(32)으로 구성된 수냉관(30a)에 둘러싸인 더스트 캐처(30)를 거치면서 40~60℃로 냉각된다.2, the dust catcher 30 is provided under the hot gas duct 20 to collect minute cokes and dust falling by gravity. At this time, the minute coke and dust at about 950 ° C are cooled to 40 to 60 ° C while passing through the dust catcher 30 surrounded by the water-cooling tube 30a composed of the inner tube 31 and the outer tube 32.

냉각된 분 코크스 및 더스트는 하부로 낙하하여 저장조에 포집되고, 포집된 분 코크스 및 더스트는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The cooled minute coke and dust fall down into the storage tank, and the collected minute coke and dust are transferred to the next process.

여기서, 더스트 캐처(30)는 분 코크스 및 더스트의 준위를 계측하기 위하여레벨계를 사용하는데 도전성이 비도전성의 대상물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정전용량식 레벨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전용량식 레벨계는 서로 떨어진 두 도체 사이에 유전체라고 불리는 절연물질이 있을 때 도체간의 정전용량은 도체 사이의 유전체에 따른 유전율에 의해 결정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실제로는 측정이 요구되는 탱크 내에 프로브를 설치하여 정전용량이 레벨에 따라 변하는 성질을 측정에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더스트 캐처(30)에 설치된 정전용량식 레벨계는 더스트 입경에 의해 레벨계 센서가 마모되거나 또는 프로브의 파공으로 인하여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장기간 사용에 따른 유지보수비 증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Here, the dust catcher 30 generally uses a level gauge to measure the level of minute coke and dust, and it is common to use a capacitive level gauge that can be used for both conductive non-conductive objects. A capacitive level meter uses the principle that the capacitance between conductors is determined by the dielectric constant between the conductors when there is an insulating material called dielectric between two conductor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practice, a probe is installed in a tank where measurement is required, and the property that the capacitance varies with the level is used for the measurement. However, in the capacitance type level meter installed in the dust catcher 3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vel sensor is worn out due to the dust particle size or a malfunction occurs due to the pore of the probe and a problem of increase in maintenance cost due to long-term use occurs.

이와 같은 정전용량식 레벨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전용량식 레벨계를 대체하여 차압식 레벨계 타입으로 개선 보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차압식 레벨계는 레벨계 중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장치로서 탱크의 하부에 압력센서를 설치하고 대상물질의 준위에 따라 탱크하단의 압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준위를 측정하게 된다. 실제로는 단관 내부에 일정한 질소(N2)을 상시 몰아내어 차압식 레벨계가 설치된 단관 내부에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가, 더스트 캐처 설비에 포집된 더스트들이 레벨계 도압관을 막으면 질소(N2) 압력이 상승하여 기설정된 압력보다 상승하면 발신기에서 더스트가 일정정도 이상 쌓였음을 인식하여 더스트가 배출되게 하고,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더스트 배출을 중지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apacitive type level meter, the capacitive type level meter is replaced with the differential type pressure level meter type. The pressure differential type level meter is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level meter, and a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tank, and the level is measured using the change of the pressure at the lower end of the tank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target substance. In practice, nitrogen (N2) is constantly injected into the single tube to keep the pressure constant within the single tube provided with the differential pressure type level meter. If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atcher system blocks the pressure tube, The dust is discharged by recognizing that the dust is accumulated at a certain level in the transmitter and the dust is discharged when the pressure falls below the preset pressure.

하지만,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 가동율 상승으로 인한 고부하 및 고온 현상 때문에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를 순환가스 바이패스 방식으로 운전하게 되는데, 이때 순환 가스의 풍량 증가로 인하여 부압력이 상승하여 차압식 레벨계가 설치되는 관 안에서는 질소(N2) 압력의 불균형 현상이 일어나 더스트 포집율이 나빠지고 이에 따라 차압식 레벨계는 측정 준위를 잘못 검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due to the high load and high temperature phenomenon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operating rate of the coke dry digester (CDQ), the coke dry digester (CDQ) is operated by the circulating gas bypass method. At this time, (N2) pressure is unbalanced in the tube in which the expression level meter is installed, and the dust collecting rate is deteriorated. Accordingly,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level meter detects the measurement level incorrectly.

이상과 같이 더스트 캐처에 설치된 레벨계가 오작동을 일으키게 되면 더스트 캐처에 연결된 더스트 이송설비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어서 보일러 설비로 넘어간 더스트가 보일러 설비에 누적됨으로써 보일러 차압 상승 및 보일러 관의 마모 및 파열로 결국에는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 전체의 가동을 중지 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vel meter installed on the dust catcher malfunctions, an error occurs in the dust transfer equipment connected to the dust catcher, and then the dust transferred to the boiler equipment accumulates in the boiler equipment, thereby increasing the boiler differential pressure and abrasion and rupture of the boiler pipe In the e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operation of the coke dry digestion facility (CDQ) must be stopped.

따라서,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의 더스트 캐처에 장착되는 레벨계가 고온 고압의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신뢰성 있는 계측을 할 수 있도록 보완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it has become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complement the level meter mounted on the dust catcher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CDQ) so as to reliably perform reliable measurement even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nviron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의 더스트 캐처에 장착되는 레벨계에 광도전셀을 장착한 후 레벨계 도압관 내의 더스트 레벨 상승 시 내화물 자체의 빛 차단 여부에 따른 광도전셀의 신호를 레벨 발신기에 전달하고 운전실에서는 상기 신호에 따라 더스트를 배출 또는 중단시키도록 하여 더스트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레벨계 도압관 내의 냉각용 질소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레벨계의 변형 및 마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ling system mounted on a dust collector of a coke dry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CDQ), in which a photocatalyst cell is mounted on a leveling system, And the dust level is controlled by discharging or stopping the dust according to the signal in the cabin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and abrasion of the leveling system due to temperature rise of the cooling nitrogen in the pressure tube,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ust catcher level of the fac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는,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에 장착된 레벨계와 상기 레벨계에 장착되어 상기 더스트 캐처 내의 더스트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부와, 상기 레벨검출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운전부에 전달하는 레벨발신기 및 상기 레벨발신기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더스트 캐처 내의 더스트 레벨을 제어하는 운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검출부가 상기 레벨계가 장착된 상기 더스트 캐처 연결부위에 더스트가 쌓이는 준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운전부에 전달하면 상기 운전부는 상기 더스트를 배출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ust catcher level control apparatus for a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l meter mounted on a dust catcher of a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 level detector mounted on the level meter for detecting a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A level transmitter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tector and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and an operation unit that controls a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vel transmitter, wherein the level detector detects the dust A signal according to a level at which dust is accumulated in the catcher connection por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portion, so that the operation portion discharges or blocks the dust.

구체적으로, 상기 레벨검출부는, 상기 레벨계 종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벨계로부터 노출되는 빛에 따라 동작하는 광도전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도전셀과 연결되어 상기 광도전셀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레벨발신기를 통해 운전부로 전송하는 발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evel detector may include a housing coupled to the level meter terminal, a photoconductive cell coupled to one end of the housing and operated in response to light exposed from the level meter, And a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cell and transmitting a signal detected by the photoconductive cell to a driving unit through a level transmitter.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상기 레벨계의 종단부를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레벨계의 종단부를 가리거나 개방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connecting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end of the level meter, so that the housing moves up and down to cover or open the end of the level meter .

구체적으로, 상기 레벨계는, 상기 더스트 캐처의 몸체 측면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도압관과, 상기 도압관의 상부 측면에 결합되는 냉각용 가스관 및 상기 도압관의 종단에 결합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vel meter may include an overpressure pip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ody of the dust catcher and extending horizontally, a cooling gas pip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overflow pipe, and a sensor unit coupled to an end of the overflow pipe .

구체적으로, 상기 레벨계는, 상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압관 종단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도압관을 마감하는 사이트 글래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vel meter may further include a sight glass which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observing the interior and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overflow pipe to finish the overflow pipe.

구체적으로, 상기 운전부는, 상기 레벨발신기의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더스트 캐처의 더스트로터리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peration unit may receive the signal of the level transmitter and control the dust rotary valve of the dust catcher.

구체적으로, 상기 레벨검출부의 발신기는 상기 더스트 캐처 내의 더스트 준위의 상승으로 상기 레벨계로부터 전달되는 빛이 차단되어 상기 광도전셀의 전류가 차단되면 그 신호를 상기 레벨발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레벨발신기는 발시기의 신호를 전달 받아 하이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운전부로 전송하고, 상기 운전부는 상기 하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더스트 캐처의 더스트로터리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더스트를 배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ansmitter of the level detector transmits the signal to the level transmitter when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evel meter is blocked due to the rise of the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and the current of the photoconductive cell is cut off. And a high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unit. The operation unit receives the high signal and opens the dust rotary valve of the dust catcher to discharge the dust. .

구체적으로, 상기 레벨검출부의 발신기는 상기 더스트 캐처 내의 더스트 준위의 하강으로 상기 레벨계로부터 전달되는 빛에 노출되어 상기 광도전셀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그 신호를 상기 레벨발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레벨발신기는 발시기의 신호를 전달 받아 로우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운전부로 전송하고, 상기 운전부는 상기 로우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더스트 캐처의 더스트로터리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더스트 배출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ransmitter of the level detector transmits the signal to the level transmitter when the current of the photoconductive cell is exposed to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evel meter due to the fall of the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And a low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unit, and the operation unit receives the low signal and closes the dust rotary valve of the dust catcher to shut off the dust discharge.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의 더스트 캐처에 장착되는 레벨계에 광도전셀을 장착하여 레벨계 도압관 내의 더스트 레벨 상승 시 내화물 자체의 빛 차단 여부에 따른 광도전셀의 신호를 레벨 발신기에 전달하고 운전실에서는 상기 신호에 따라 더스트를 배출 또는 중단시키도록 하여 더스트 레벨을 제어하기 때문에 레벨계가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의 고가동율과 순환 풍량에 의한 부압(negative pressure)의 영향을 적게 받아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conductive cell is mounted on a level meter mounted on a dust catcher of a coke dry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CDQ), and a signal of a photoconductive cell corresponding to whether the refractory itself is blocked And the dust level is controlled by discharging or stopping the dust according to the signal in the cabin of the cab. Therefore, the level meter is less influenced by the high operation rate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CDQ) and the negative pressure due to the circulating air volum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lfunction.

또한, 상기 레벨계 종단에는 사용자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글래스를 장착하고 외부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레벨검출부를 장착함으로써 더스트 캐처 설비 점검 시 더스트 캐처 내의 더스트 유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level meter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in the dust catcher when inspecting the dust catcher facility by attaching a sight glass for inspecting the inside of the leveler and attaching a level detect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side.

또한,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에 의하면 레벨계 도압관 내의 냉각용 질소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레벨계의 변형 및 마모를 미연에 방지하여 레벨계의 신뢰성있는 작동을 보장함으로써 건식소화설비 전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고 설비 관리효율 향상으로 설비수명 증진과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ust catcher level control apparatus of th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veling system can reliably prevent the deformation and wear of the leveling system due to the temperature rise of the cooling nitrogen in the pressure tub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the entire facility beforehand and improve facility management efficiency, thereby improving the service life and reducing the cost.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 건식소화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코크스 건식소화설비에 구비되는 더스트 캐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벨계와 레벨검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벨검출부를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가 작동하는 또 다른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coke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dust catcher provided in a general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ust catcher level of a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level meter and a level detector shown in FIG.
5 is a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vel detector shown in FIG. 4 in detail.
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dust catcher level control apparatus for a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other operation of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ust catcher level of a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먼저, 현재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는 챔버(Chamber) 내 순환 가스가 통과하면서 필연적으로 코크 더스트가 포함된 채로 순환 가스와 함께 순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순환계 내의 코크 더스트는 적절히 포집하여 순환계 내의 설비에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순환계 내에서 비교적 큰 입경의 코크스 더스트를 포집하는 더스트 캐처의 역할이 중요하다.First, the present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CDQ) circulates with the circulating gas while circulating gas in the chamber passes through, necessarily containing the coke dust. The coke dust in the circulation system is appropriately collected and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system So that there is no problem. For this purpose, the role of the dust catcher, which collect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ke dust in the circulation system, is important.

그런데,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의 가동율 상승과 그에 따른 순환 풍량 증가로 인해 차압식 레벨계 내부에 포집되는 코크스 더스트 포집율이 불량하게 되고, 코크스 더스트 입경 편차로 인해 냉각용 가스인 질소 가스 압력이 보상되지 않아 압력 불균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차압식 레벨계가 오동작을 일으키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된다.However, due to the increase in the operating rate of the coke dry digesters (CDQ) and the increase of the circulating air volume, the collection rate of the coke dust in the differential pressure type level system becomes poor and the nitrogen gas pressure as the cooling gas Pressure unbalance is generated due to uncompensated pressure, and accordingly, the differential pressure type leveling system causes a mal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여 후 공정에 불필요한 코크스 더스트 유입으로 인한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안정된 장치를 얻고자 레벨계에 광도전셀(CdS: 빛 감지)을 이용하는 장치를 부가하여 더스트 레벨을 제어하고자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a device for using a photoconductive cell (CdS: light sensing) is added to a level meter to obtain a stable device so as not to lead to facility accidents and safety accidents due to unnecessary introduction of coke dust in a post- I want to contro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로서, 레벨제어장치는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10)에 장착된 레벨계(100)와 상기 레벨계(100)에 장착되어 상기 더스트 캐처(10) 내의 더스트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부(200)와, 상기 레벨검출부(20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운전부(400)에 전달하는 레벨발신기(300) 및 상기 레벨발신기(300)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더스트 캐처(10) 내의 더스트 레벨을 제어하는 운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ust catcher level of a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level meter 100 mounted on a dust catcher 10 of a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 level detector 200 mounted on the level meter 100 for detecting a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10 and a level transmitter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vel detector 200 and delivering the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400 And an operation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10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vel transmitter 300.

더스트 캐처(10)는 핫 가스 덕트의 하부에 마련되어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는코크스 더스트를 포집하는데, 몸체(11), 더스트 로터리 밸브(12) 및 밸브구동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더스트 캐처(10)의 그 밖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dust catcher 1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gas duct and may include a body 11, a dust rotary valve 12 and a valve driving device 13 for collecting coke dust falling by gravity. Of course, oth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dustcatcher 10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will not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더스트 캐처(10)의 몸체(11) 측면에는 레벨계(100)가 장착되고 레벨계(100)에는 레벨검출부(200)가 장착되어서, 레벨검출부(200)는 레벨계(100)가 장착된 상기 더스트 캐처(10) 연결부위, 즉, 더스트 캐처(10)의 몸체(11)내의 일정정도 높이에 더스트가 쌓이는 준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런 후에 레벨검출부(200)가 상기 준위에 따른 신호를 레벨발신기(300)로 전송하면 레벨발신기(300)는 운전부(4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운전부(400)는, 레벨발신기(300)의 신호를 전달 받아 상기 더스트 캐처(10)의 더스트 로터리 밸브(12)를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 운전부(400)는 상기 더스트 캐처(110)의 밸브구동장치(13)를 동작시켜 더스트 로터리 밸브(12)를 열거나 닫아 더스트 캐처(10)로부터 더스트를 배출 또는 차단하도록 한다. First, the operation of the dust catcher level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as follows. A level meter 100 is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1 of the dust collector 10 and a level detector 200 is mounted on the level meter 100. The level detector 200 detects the level of the dust catcher 10) of the dust collecting body 10, that is, a level at which the dust accumulates at a certain height in the body 11 of the dust catcher 10. Then, when the level detector 200 transmits the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to the level transmitter 300, the level transmitter 300 transmits the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400. The operation unit 40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level transmitter 300 and controls the dust rotary valve 12 of the dust catcher 10. The operation unit 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ust catcher 110, And the dust rotary valve 12 is opened or closed so as to discharge or cut off the dust from the dust catcher 10.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벨계와 레벨검출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레벨계(100)는 더스트 캐처(10)의 몸체(11) 측면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도압관(110)과, 상기 도압관(110)의 상부 측면에 결합되는 냉각용 가스관(120) 및 상기 도압관(120)의 종단에 결합되는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3, the level meter 100 includes an overpressure pipe 110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1 of the dust catcher 10 and extending horizontally, A cooling gas pipe 12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pipe 110 and a sensor unit 130 coupled to an end of the pipe 120.

레벨계(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차압식 레벨계를 사용하였는데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정전용량식 레벨계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레벨계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evel meter 100 uses a differential pressure level me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may be replaced with a level meter of various types such as a capacitive level meter if necessary.

레벨계(100)의 도압관(110)은 내부가 빈 관의 일종으로서 일측은 준위를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연결되도록 하고 타측은 센서부가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더스트 캐처(10) 내부에 쌓이는 더스트 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측이 더스트 캐처(10)의 몸체(11) 측면의 일정 높이 부위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타측으로는 센서부(130)가 연결되어 있다. The overpressure pipe 110 of the level meter 100 is a kind of hollow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In order to measure the dust level accumulated in the dust catcher 10, one side of the dust catcher 10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1 of the dust catcher 10, A sensor unit 130 is connected.

레벨계(100)의 냉각용 가스관(120)은 도압관(110)의 상부 측면에 결합되어서상기 도압관(110) 내부로 냉각용 가스를 주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냉각용 가스로 질소를 계속하여 도압관(110) 내부로 밀어 넣어 0.2 내지 05바(bar)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냉각용 가스의 주입되어 도압관(110)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하다. The cooling gas pipe 120 of the level meter 1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overflow pipe 110 to inject the cooling gas into the overflow pipe 1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itrogen is continuously pumped into the pressure tube 110 with the cooling gas so that the pressure of 0.2 to 05 bar is maintained. Of course, even if such a cooling gas is injected, the pressure formed inside the pressure pipe 110 can be changed as much as necessary.

레벨계(100)의 센서부(130)는 도압관(120)의 타측 종단에 결합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차압식 레벨계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착되는 센서부(130)의 센서로는 차압센서가 부착된다. The sensor unit 130 of the level meter 1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verpressure pipe 12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fferential pressure level meter can be used, and as a sensor of the sensor unit 130 attached thereto, A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is attached.

레벨계(100)는, 타측 종단부에서 작업자가 도압관(110)을 통해 더스트 캐처(10)의 몸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로 하는 사이트 글래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사이트 글래스(140)는 특수 유리와 같이 투명하면서도 열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 져서 도압관(110) 종단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도압관을 마감하도록 한다. The level meter 100 may further include a sight glass 140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operator can observe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dust catcher 10 through the pressure tube 110. The sight glass 140 Is made of transparent glass, such as a special glass, and is made of a material resistant to heat, and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ressure pipe 110 to finish the pressure pipe.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벨검출부를 상세히 나타낸 측면도와 사시도로서, 레벨검출부(200)는, 상기 레벨계(100) 종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벨계(100)로부터 노출되는 빛에 따라 동작하는 광도전셀(220) 및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도전셀(220)과 연결되어 상기 광도전셀(220)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레벨발신기(300)를 통해 운전부(400)로 전송하는 발신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FIG. 5 is a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details of the level detecting unit shown in FIG. 4. The level detecting unit 200 includes a housing 210 coupled to a terminal end of the level meter 100,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is coupled to the level meter 100 and operates according to light emitted from the level meter 100.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210 and connected to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And a transmitter 230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400 through the level transmitter 300. [

레벨검출부(200)의 하우징(210)은 레벨계(100) 종단부, 즉 레벨계(100)의 도압관(110)과 결합용 부재 등을 이용해 결합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형상을 하되 일측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타측단은 반구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물론 이러한 하우징(210)의 형상과 모양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용이 가능하다.The housing 210 of the level detector 20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level meter 100, that is, to the pressure tube 110 of the level meter 100 by using a coupling memb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side was formed flat and the other side was formed into a hemispherical shape. Of course, the shape and shape of the housing 210 can be changed as needed.

레벨검출부(200)의 광도전셀(220)은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단, 즉, 상기 레벨계(100)와 결합되는 평평한 부위에 결합되어서 상기 레벨계(100)의 도압관(110)으로부터 전달되어 노출되는 빛에 따라 동작하는 일종의 반도체 소자이다.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of the level detector 2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210, that is, a flat portion coupled to the level meter 100, And is a kind of semiconductor device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light that is exposed.

광도전셀(220)은 반도체 표면에 빛을 비추면 반도체 내부의 캐리어가 증가하여 저항이 낮아지는 광도전성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광도전셀(220)은 도압관(11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의 강약을 전류의 강약으로 변환하여 후술하게될 발신기(230)로 전송하게 된다.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utilizes the photoconductivity in which the carriers inside the semiconductor are increased to lower the resistance when the light is projected onto the semiconductor surface. In this way,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converts the intensity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overheat tube 110 into a current intensity, and transmits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to the transmitter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레벨검출부(200)의 발신기(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도전셀(220)과 연결되어 상기 광도전셀(220)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레벨발신기(300)를 통해 운전부(400)로 전송하는 장치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광도전셀(220)이 도압관(11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의 강약을 전류의 강약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면 전송 받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레벨발신기(300)에 전달하게 된다. The transmitter 230 of the level detector 200 is connected to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mounted in the housing 210 and transmits a signal detected by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to the level transmitter 300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converts the intensity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tube 110 into intensity of a current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400. As described above, Level transmitter 300, as shown in FIG.

레벨검출부(200)의 하우징(210)은 결합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210 of the level detector 2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240.

레벨검출부(200)의 결합부재(240)는 하우징(200)이 도압관(110)과 연결되는 평평한 일측 상단부위에 장착되어서 하우징(200)이 레벨계(200)의 종단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레벨계(200) 종단부에 연결된 하우징(210)은 결합부재(240)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며 움직일 수 있다. 이를 도 5에 화살표로 표시하였다.The coupling member 240 of the level detector 200 is mounted on a flat upper end portion of the housing 200 connected to the overpressure pipe 110 so that the housing 200 can be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level meter 200. At this time, the housing 21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evel meter 200 can be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coupling member 240. This i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처음에 하우징(210)은 레벨계(100)의 종단부를 가리게 되는 위치에 있다가 후에 작업자가 하우징(210)을 위로 들어 올려 레벨계(200)의 종단부를 개방시켜 사이트글래스(140)를 통해 더스트 캐처(10) 내부를 살펴볼 수 있다. The housing 210 is initially in a position to cover the end portion of the level meter 100 and then the operator lifts the housing 210 upward to open the end portion of the level meter 200 and inserts a dust catcher 10) insid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가 작동하는 또 다른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device for controlling a dust catcher level of a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ust catcher level control of a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dust catcher level of the dry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건식소화설비(CDQ)의 챔버 내 순환 가스가 통과하면 대략 섭씨 950도 이상의 고온의 순환 가스로 인해 더스트 캐처(10)내 내화물은 고온으로 달구어 지고 이와 같이 고온으로 달구어진 내화물은 자체적으로 빛을 발생한다. First, when the circulating gas in the chamber of th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CDQ) passes, the refractory in the dust catcher 10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due to the circulating gas at a high temperature of about 950 degrees Celsius or more, and the refractory heated to such a high temperature, .

이와 같이 더스트 캐처(10)가 내부 내화물이 고온에 따른 발광하는 특성을 이용하면 빛이 차단되거나 빛이 전달되면 더스트 캐처(10) 내부가 더스트가 차오르거나 더스트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When the dust catcher 10 uses the characteristic of the inner refractory to emit light at a high temperature,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light is blocked or the light is transmitted, the dust inside the dust catcher 10 does not get cold or dust.

도 6의 (a)를 참조하면, 더스트 캐처(10) 내부에 레벨계(100)가 장착된 높이의 위치까지 더스트가 차오르면 도압관(110)을 통해 레벨검출부(200)의 광도전셀(220)에 도달하던 빛이 차단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즉, 더스트 캐처(10)가 내부 내화물에서 발생되는 빛을 화살표로 표시하였고 이 빛이 더스트(D)에 의해 차단되어 레벨계(100)의 도압관(110)으로 노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6 (a), when the dust is heated up to the height position where the level meter 100 is mounted in the dust catcher 10,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of the level detector 200 ) Is blocked. That is, the dust catcher 10 display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inner refractory with arrows, and the light is blocked by the dust D and is not exposed to the overpressure pipe 110 of the level meter 100.

이렇게 광도전셀(220)에 노출되던 빛이 차단되면 차단된 빛에 의해 광도전셀(220)에 흐르던 전류가 감소하게 된다. If the light that is exposed to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is blocke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is reduced due to the blocked light.

다시 말하면, 레벨검출부(200)의 발신기(230)는 더스트 캐처(10) 내의 더스트 준위의 상승으로 상기 레벨계(100)의 도압관(110)을 통해 전달되는 빛이 차단되어 상기 광도전셀(220)의 전류가 차단되면 그 신호를 상기 레벨발신기(300)로 전송한다. In other words, the transmitter 230 of the level detector 200 is turned off when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verpressure tube 110 of the level meter 100 is blocked due to the rise of the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1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level transmitter 300 when the current of the level transmitter 300 is interrupted.

레벨발신기(300)는 발신기(230)의 신호를 전달 받아 더스트 레벨이 일정 높이까지 상승했다는 하이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운전부(400)로 전송한다. The level transmitter 30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230 and generates a high signal indicating that the dust level rises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transmits the high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400.

운전부(400)는 상기 하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더스트 캐처(10)의 더스트 로터리 밸브(12)를 개방하여 상기 더스트를 배출한다. The operation unit 400 receives the high signal and opens the dust rotary valve 12 of the dust catcher 10 to discharge the dust.

운전부(400)에는 위의 하이신호를 작업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 6의 (b)에 도시하였는데, 도면에는 더스트 캐처(10) 모양의 그림이 그려져 있고 하이신호인 'LevelH'라는 경고 영문이 그 위에 표시되는 것을 보여 준다. The operation unit 40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high signal to the operator.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6 (b), where a figure of the dust catcher 10 is drawn and a warning word 'LevelH' which is a high signal is displayed thereon.

도 7의 (a)에는 위와 반대 상황에 대한 것을 도면으로 나타내었는데, 레벨검출부(200)의 발신기(230)는 상기 더스트 캐처(10) 내의 더스트 준위의 하강으로 상기 레벨계(100)의 도압관(11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에 노출되어 상기 광도전셀(220)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그 신호를 상기 레벨발신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레벨발신기(300)는 발신기(300)의 신호를 전달 받아 더스트 레벨이 하강했음을 알려주는 로우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운전부(400)로 전송하고, 상기 운전부(400)는 상기 로우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더스트 캐처(10)의 더스트 로터리 밸브(12)를 폐쇄하여 상기 더스트 배출을 차단하도록 한다.7 (a) shows the situation opposite to the above. The transmitter 230 of the level detector 200 detects the level of the dust level in the dust collector 10 by the fall of the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10 The level transmitter 300 transmits a signal of the photoconductive cell 220 to the level transmitter 300. The level transmitter 300 receives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300, The operation unit 400 generates a low signal indicating that the dust level has dropped and transmits the low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400. The operation unit 400 receives the low signal to receive the dust rotary valve 12 of the dust catcher 10 Thereby closing the dust discharge.

마찬가지로 운전부(400)에는 위의 로우 레벨신호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 7의 (b)에 도시하였는데, 도면에는 더스트 캐처(10) 모양의 그림이 그려져 있고 로우신호인 'L'라는 표시영문이 더스트 캐처(10) 모양의 그림 하부에 표시되는 것을 보여 준다. Similarly, the operation unit 40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the above-described low level signal.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7 (b). In the figure, a figure in the form of a dust catcher 10 is drawn, and an English word "L", which is a low signal,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의 더스트 캐처에 장착되는 레벨계에 광도전셀을 장착하여 레벨계 도압관 내의 더스트 레벨 상승 시 내화물 자체의 빛 차단 여부에 따른 광도전셀의 신호를 레벨 발신기에 전달하고 운전실에서는 상기 신호에 따라 더스트를 배출 또는 중단시키도록 하여 더스트 레벨을 제어하기 때문에 레벨계가 코크스 건식소화설비(CDQ)의 고가동율과 순환 풍량에 의한 부압(negative pressure)의 영향을 적게 받아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conductive cell is mounted on a level meter mounted on a dust catcher of a coke dry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CDQ), and a signal of a photoconductive cell corresponding to whether the refractory itself is blocked And the dust level is controlled by discharging or stopping the dust according to the signal in the cabin of the cab. Therefore, the level meter is less influenced by the high operation rate of the cok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CDQ) and the negative pressure due to the circulating air volum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lfunction.

또한, 상기 레벨계 종단에는 사용자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글래스를 장착하고 외부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레벨검출부를 장착함으로써 더스트 캐처 설비 점검 시 더스트 캐처 내의 더스트 유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level meter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presence or absence of dust in the dust catcher when inspecting the dust catcher facility by attaching a sight glass for inspecting the inside of the leveler and attaching a level detect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side.

또한,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에 의하면 레벨계 도압관 내의 냉각용 질소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레벨계의 변형 및 마모를 미연에 방지하여 레벨계의 신뢰성있는 작동을 보장함으로써 건식소화설비 전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고 설비 관리효율 향상으로 설비수명 증진과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ust catcher level control apparatus of th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veling system can reliably prevent the deformation and wear of the leveling system due to the temperature rise of the cooling nitrogen in the pressure tube,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the entire facility beforehand and improve facility management efficiency, thereby improving the service life and reducing the cos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ust catcher level of the d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 건식소화설비 11: 몸체
12: 더스트 로터리 밸브 13: 밸브구동장치
100: 레벨계 110: 도압관
120: 냉각용 가스관 130: 센서부
140: 사이트 글래스 200: 레벨검출부
210: 하우징 220: 광도전셀
230: 발신기 300: 레벨발신기
400: 운전부 D: 더스트
10: D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11: Body
12: Dust rotary valve 13: Valve drive device
100: Level meter 110:
120: cooling gas pipe 130: sensor part
140: Sight glass 200: Level detector
210: housing 220: photoconductive cell
230: Transmitter 300: Level transmitter
400: Operation part D: Dust

Claims (8)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에 장착된 레벨계;와, 상기 레벨계에 장착되어 상기 더스트 캐처 내의 더스트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부;와, 상기 레벨검출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운전부에 전달하는 레벨발신기; 및 상기 레벨발신기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더스트 캐처 내의 더스트 레벨을 제어하는 운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계는 상기 더스트 캐처의 몸체 측면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도압관;과, 상기 도압관의 상부 측면에 결합되는 냉각용 가스관; 및 상기 도압관의 종단에 결합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검출부는, 상기 레벨계 종단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레벨계로부터 노출되는 빛에 따라 동작하는 광도전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광도전셀과 연결되어 상기 광도전셀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레벨발신기를 통해 운전부로 전송하는 발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상기 레벨계의 종단부를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레벨계의 종단부를 가리거나 개방되게 할 수 있고,
상기 레벨검출부가 상기 레벨계가 장착된 상기 더스트 캐처 연결부위에 더스트가 쌓이는 준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운전부에 전달하면 상기 운전부는 상기 더스트를 배출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
A level detector mounted on the level meter for detecting a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a level transmitter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vel detector and delivering the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And an operation unit for controlling a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evel transmitter,
The level meter includes an overpressure pipe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dust catcher and extending horizontally, a cooling gas pip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overflow pipe, And a sensor unit coupled to an end of the overflow pipe,
A photoconductive cell coupled to one end of the housing and operated according to light exposed from the level meter; And a transmitter mount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photoconductive cell to transmit a signal detected by the photoconductive cell to a driving unit through a level transmitter,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member connecting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 terminal end of the level meter to allow the housing to move up and down to cover or open the end of the level meter,
Wherein the level detecting unit generates a signal according to a level at which dust is accumulated on the dust catcher connecting portion on which the level meter is mounted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so that the operation unit discharges or blocks the dust. Dust catcher level contro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계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압관 종단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도압관을 마감하는 사이트 글래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l meter,
Further comprising a sight glas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observing the inside thereof and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overflow pipe to close the overflow pi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검출부의 발신기는 상기 더스트 캐처 내의 더스트 준위의 상승으로 상기 레벨계로부터 전달되는 빛이 차단되어 상기 광도전셀의 전류가 차단되면 그 신호를 상기 레벨발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레벨발신기는 발신기의 신호를 전달 받아 하이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운전부로 전송하고,
상기 운전부는 상기 하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더스트 캐처의 더스트 로터리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더스트를 배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er of the level detector transmits the signal to the level transmitter when the current from the photoconductor cell is interrupted due to blocking of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evel meter due to the rise of the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The level transmitter generates a high signal by receiving the signal of the transmitter,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Wherein the operation unit receives the high signal to open the dust rotary valve of the dust catcher to discharge the du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검출부의 발신기는 상기 더스트 캐처 내의 더스트 준위의 하강으로 상기 레벨계로부터 전달되는 빛에 노출되어 상기 광도전셀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그 신호를 상기 레벨발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레벨발신기는 발신기의 신호를 전달 받아 로우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운전부로 전송하고,
상기 운전부는 상기 로우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더스트 캐처의 더스트 로터리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더스트 배출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er of the level detector transmits the signal to the level transmitter when a current of the photoconductive cell is exposed to light transmitted from the level meter due to the fall of the dust level in the dust catcher,
The level transmitter generates a low signal by receiving a signal of a transmitter, transmits the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Wherein the operation unit receives the low signal and closes the dust rotary valve of the dust catcher to shut off the dust emission.
KR1020160170071A 2016-12-14 2016-12-14 Level control apparatus for dust catcher in cokes dry quenchingfacilities KR101862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071A KR101862491B1 (en) 2016-12-14 2016-12-14 Level control apparatus for dust catcher in cokes dry quenching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071A KR101862491B1 (en) 2016-12-14 2016-12-14 Level control apparatus for dust catcher in cokes dry quenching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491B1 true KR101862491B1 (en) 2018-05-29

Family

ID=6245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071A KR101862491B1 (en) 2016-12-14 2016-12-14 Level control apparatus for dust catcher in cokes dry quenching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491B1 (en)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0086A1 (en) * 2018-12-28 2020-07-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Particulate detection for industrial facilit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968395B2 (en) 2014-12-31 2021-04-0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ulti-modal beds of coking material
US10968393B2 (en) 2014-09-15 2021-04-0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ovens having monolith component construction
US11008518B2 (en) 2018-12-28 2021-05-18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plant tunnel repair and flexible joints
US11008517B2 (en) 2012-12-28 2021-05-18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Non-perpendicular connections between coke oven uptakes and a hot common tunnel,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053444B2 (en) 2014-08-28 2021-07-0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coke plant operation and output
US11098252B2 (en) 2018-12-28 2021-08-2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pring-loaded heat recovery oven system and method
US11117087B2 (en) 2012-12-28 2021-09-1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mercury from emissions
US11214739B2 (en) 2015-12-28 2022-01-0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harging a coke oven
US11261381B2 (en) 2018-12-28 2022-03-0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Heat recovery oven foundation
US11359145B2 (en) 2012-12-28 2022-06-1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hot car in a coke plant
US11359146B2 (en) 2013-12-31 2022-06-1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for decarbonizing coking ovens, and associated systems and devices
US11395989B2 (en) 2018-12-31 2022-07-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rrosion resistant surfaces in contaminant treatment systems
US11441077B2 (en) 2012-08-17 2022-09-13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plant including exhaust gas sharing
US11486572B2 (en) 2018-12-31 2022-11-0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flue gas
US11508230B2 (en) 2016-06-03 2022-11-2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remedial action in an industrial facility
US11643602B2 (en) 2018-12-28 2023-05-0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Decarbonization of coke oven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692138B2 (en) 2012-08-17 2023-07-0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Automatic draft control system for coke plants
US11746296B2 (en) 2013-03-15 2023-09-05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quench tower design
US11760937B2 (en) 2018-12-28 2023-09-1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Oven uptakes
US11767482B2 (en) 2020-05-03 2023-09-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High-quality coke products
US11788012B2 (en) 2015-01-02 2023-10-17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Integrated coke plant automation and optimization using advanced control and optimization techniques
US11845898B2 (en) 2017-05-23 2023-12-1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a coke oven
US11851724B2 (en) 2021-11-04 2023-12-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Foundry coke product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1939526B2 (en) 2012-12-28 2024-03-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Vent stack lid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946108B2 (en) 2021-11-04 2024-04-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Foundry coke products and associated processing methods via cupol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1642A (en) * 1999-12-22 2001-07-03 Nippon Steel Corp Dust-discharg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1642A (en) * 1999-12-22 2001-07-03 Nippon Steel Corp Dust-discharging device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1077B2 (en) 2012-08-17 2022-09-13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plant including exhaust gas sharing
US11692138B2 (en) 2012-08-17 2023-07-0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Automatic draft control system for coke plants
US11359145B2 (en) 2012-12-28 2022-06-1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hot car in a coke plant
US11939526B2 (en) 2012-12-28 2024-03-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Vent stack lid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008517B2 (en) 2012-12-28 2021-05-18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Non-perpendicular connections between coke oven uptakes and a hot common tunnel,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845037B2 (en) 2012-12-28 2023-12-1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mercury from emissions
US11117087B2 (en) 2012-12-28 2021-09-1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mercury from emissions
US11746296B2 (en) 2013-03-15 2023-09-05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quench tower design
US11359146B2 (en) 2013-12-31 2022-06-1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for decarbonizing coking ovens, and associated systems and devices
US11053444B2 (en) 2014-08-28 2021-07-0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coke plant operation and output
US10968393B2 (en) 2014-09-15 2021-04-0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ovens having monolith component construction
US11795400B2 (en) 2014-09-15 2023-10-2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ovens having monolith component construction
US10975311B2 (en) 2014-12-31 2021-04-13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ulti-modal beds of coking material
US10975310B2 (en) 2014-12-31 2021-04-13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ulti-modal beds of coking material
US10968395B2 (en) 2014-12-31 2021-04-0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ulti-modal beds of coking material
US11788012B2 (en) 2015-01-02 2023-10-17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Integrated coke plant automation and optimization using advanced control and optimization techniques
US11214739B2 (en) 2015-12-28 2022-01-0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harging a coke oven
US11508230B2 (en) 2016-06-03 2022-11-2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remedial action in an industrial facility
US11845898B2 (en) 2017-05-23 2023-12-1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a coke oven
US11098252B2 (en) 2018-12-28 2021-08-24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pring-loaded heat recovery oven system and method
US11845897B2 (en) 2018-12-28 2023-12-1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Heat recovery oven foundation
US11008518B2 (en) 2018-12-28 2021-05-18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plant tunnel repair and flexible joints
US11597881B2 (en) 2018-12-28 2023-03-07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plant tunnel repair and flexible joints
US11643602B2 (en) 2018-12-28 2023-05-0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Decarbonization of coke oven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680208B2 (en) 2018-12-28 2023-06-20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pring-loaded heat recovery oven system and method
US11071935B2 (en) 2018-12-28 2021-07-27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Particulate detection for industrial facilit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365355B2 (en) 2018-12-28 2022-06-2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a surface of a coke plant
US11760937B2 (en) 2018-12-28 2023-09-1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Oven uptakes
WO2020140086A1 (en) * 2018-12-28 2020-07-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Particulate detection for industrial facilit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261381B2 (en) 2018-12-28 2022-03-0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Heat recovery oven foundation
US11193069B2 (en) 2018-12-28 2021-12-07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plant tunnel repair and anchor distribution
US11505747B2 (en) 2018-12-28 2022-11-2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plant tunnel repair and anchor distribution
US11819802B2 (en) 2018-12-31 2023-11-2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rrosion resistant surfaces in contaminant treatment systems
US11395989B2 (en) 2018-12-31 2022-07-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rrosion resistant surfaces in contaminant treatment systems
US11486572B2 (en) 2018-12-31 2022-11-0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flue gas
US11767482B2 (en) 2020-05-03 2023-09-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High-quality coke products
US11851724B2 (en) 2021-11-04 2023-12-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Foundry coke product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1946108B2 (en) 2021-11-04 2024-04-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Foundry coke products and associated processing methods via cupol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491B1 (en) Level control apparatus for dust catcher in cokes dry quenchingfacilities
KR100776035B1 (en) Gas Auto-detector of Stave Pipe Arrangement For Stave Blast Furnace
KR19990017156U (en) Hot Air Valve Leakage Measuring Device
US4133373A (en) Leak detecting apparatus
CN204881995U (en) Valve tower detection device that leaks based on refraction principle
CN108514803B (en) High-temperature oil-water steam dust removal device and use method
KR101625080B1 (en) Leakage detecting device for bellows of thyristor valve cooling pipe
CN106091500A (en) A kind of Safe liquid storage tank device and use its air-conditioning
US2688943A (en) Spark arrester and smoke suppressor
CN207483681U (en) Material-level detecting device and dreg removing system
CN105200177B (en) Blast-furnace cooled water positioning leakage inspector
CN206073526U (en) A kind of Safe liquid storage tank device and the air-conditioning using which
KR101433476B1 (en) Diagnostic apparatus for tube leak and dust accumulation of boiler
CN207688146U (en) Power station boiler ash on-line measurement system
CN203705972U (en) Automatic monitoring device for dry quenching ash bin material level
CN206418080U (en) A kind of constant level chilling-type gasification furnace
KR20110007283A (en) Method automatic sensing of smelting furnace colling
CN205088268U (en) Blast furnace cooling water control system
KR101135195B1 (en) Gas detector of stave for furnace
KR20130142610A (en) Refractory life detection device for dry-type coke extinguishing facility
KR101140279B1 (en) Apparatus for sensing physical quantity and dust collector using the same
CN218381490U (en) Hot-blast furnace hot-blast valve detection device that leaks
KR101586395B1 (en) Detecting Appratus of Crack of tube and De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5960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amage to blast furnace furnace cooling equipment
CN213041084U (en) Socket type shell structure device of coke oven crude gas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