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536B1 - A smart system for generating SOS signal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smart system for generating SOS signal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536B1
KR101841536B1 KR1020160153999A KR20160153999A KR101841536B1 KR 101841536 B1 KR101841536 B1 KR 101841536B1 KR 1020160153999 A KR1020160153999 A KR 1020160153999A KR 20160153999 A KR20160153999 A KR 20160153999A KR 101841536 B1 KR101841536 B1 KR 101841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s signal
glove
signal generator
sos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원소프트
Priority to KR102016015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5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5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SOS signal generat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wherein the SOS signal generating system transmits an SOS signal, generated in an SOS signal generating device,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a terminal. The SOS signal generating system comprises: a glove (100); the SOS signal generating device (200) arrang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glove (100) to receive an urgent signal of a user so as to generate an SOS signal; and a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the SOS signal, generated in the SOS signal generating device (200), and transmit the SOS signal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SOS signal generating system can rapidly generate an SOS signal.

Description

SOS신호 발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A smart system for generating SOS signal and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SOS signals,

본 발명은 SOS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된 SOS신호를 단말기를 통해서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SOS signal generated in an SOS signal generator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a terminal.

개인이 야외에서 응급상황 발생시, 그 사실을 외부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기술관련 다수의 선행자료가 존재한다.There are a number of prior arts related to technology that enable an individual to quickly transmit the facts to the outside when an emergency occurs in the fiel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562273호는 GPS 수신기로부터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와 경보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경보 신호와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 형태로 구호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562273 provid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n alarm signal generated from a GPS receiver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alarm signal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ublish the configuration to the management system.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1872호는 인체 또는 의복에 적어도 부착된 RFID 태그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는 RFID 리더와 제한 거리를 설정하고, 그 제한 거리에서 벗어날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카메라로 촬영하는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No. 1281872 discloses an RFID tag which is at least attached to a human body or clothing. An RFID reader that recognizes the RFID tag is set to a limited distance. When the RFID reader is out of the limit distance, an alarm sound is generated, .

그러나 사용자가 야외활동시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야외활동 장갑을 포함하는 아웃도어 웨어를 이용하여 SOS신호 발생시키는 구성을 게시하지 않는다.However, we do not post configurations that generate SOS signals using outdoor wear that includes outdoor wear gloves that users can wear comfortably when outdoor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562273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7-0056227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1872호Korean Patent No. 1281872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으로서, 야외활동용 장갑이나 아웃도어 의류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위치정보와 SOS신호를 외부에 출력할 수 있는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outputting position information and an SOS signal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an outdoor activity glove or an outdoor garment is worn. do.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There will be.

본 발명은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장갑; 상기 장갑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위급신호를 입력받아 SOS신호를 발생하는 SOS신호 발생기; 및 상기 SOS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된 SOS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glove; An SOS signal generator disposed at one side of the glove and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of a user to generate an SOS signal; And a terminal for receiving the SOS signal generated by the SOS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ting the SOS signal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은 야외활동중에 착용중인 장갑을 일정시간동안 터치함으로써 신속하게 SOS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generate an SOS signal by touching gloves worn during outdoor activiti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은 야외활동용 장갑 외의 아웃도어 의류나 배낭을 포함하는 아웃도어 웨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SOS signal gen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utdoor wear including outdoor clothing other than outdoor activity gloves and outdoor wear including backpack.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은 악천후를 만났을 경우에도 일정시간동안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terproof fun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in the case of encountering bad weather.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은, 야외활동용 장갑이나 아웃도어 의류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므로써, 야외활동용 장갑이나 아웃도어 의류를 세탁시에 분리하였다가 세탁 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n outdoor activity glove or an outdoor wearer, so that outdoor wear gloves or outdoor wear can be separated at the time of washing and then used after washing.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은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므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SOS signal gener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battery power, so that it can be charged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SOS신호 발생기를 장갑의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 부착한 상태에서 손등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축 AA' 또는 도 7의 축 BB'의 확대 단면도로서, SOS신호 발생기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SOS신호 발생기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5는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에 의해 SOS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SOS신호 발생기를 장갑의 손등에 부착한 도면이다.
도 8은 장갑의 손등에서 직물 부재의 일부분을 탈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장갑의 손등에서 직물 부재의 일부분을 탈착한 상태에서 SOS신호 발생기를 부착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SOS신호 발생 시스템에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of the SOS signal generator as viewed from the back of the hand in a state where it is attached to the middle node of the index finger of the glove.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xis AA 'of FIG. 1 or the axis BB' of FIG. 7, and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SOS signal generator.
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SOS signal generator.
5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6 is a signal flow diagram for transferring SOS signals by the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the SOS signal generator attached to the back of a glov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fabric member is detached from the back of the glove.
9 is a view showing that an SOS signal generator is attached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a fabric member is detached from the back of a glove.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in the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배치, 마련등의 용어는 구성에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rst, terms such as arrangement, arrangement and the lik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explain those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 각 도면에서의 설명은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그 구성이 다른 위치에도 구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손등에 구비됨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검지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된다.Further, the description in each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one example, and the structure can be provided in another position. For example, the back of the hand, but it can also be provided in the detection part, and therefore, the same is applied to explain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로서 SOS신호 발생기를 장갑의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 부착한 상태에서 손등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SOS signal generator as seen from the back of a hand in a state where the SOS signal generator is attached to a middle node of the index finger of a glove.

도 1에서의 SOS 발생기의 위치와 실제 위치는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지 안쪽 손가락 마디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position and actual position of the SOS generator in Fig. 1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between the fingers inside the index fing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은 장갑(100); 장갑(10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위급신호를 입력받아 SOS신호를 발생하는 SOS신호 발생기(200); 및 SOS신호 발생기(200)에서 발생된 SOS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s one embodiment, a glove 100; An SOS signal generator 2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love 100 for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of a user and generating an SOS signal; And a terminal 400 receiving the SOS signal generated by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and transmitting the SOS signal to the outside.

일 실시예로서, SOS신호 발생기(200)은 상기 장갑의 검지 손가락부분의 장갑내면과 장갑안의 내피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그리고 SOS신호 발생기(200)의 동작버튼(210)은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서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엄지 손가락으로 상기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 마련되는 SOS신호 발생기(200)의 동작버튼(210)을 누르면 SOS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SOS신호 발생기(200)에서 SOS신호가 발생되어 단말기(400)를 통해서 응급센터 서버(500)으로 전달되는 흐름은 후술한다.In one embodiment,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may include a glove inner surface of the index finger portion of the glov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glove inner surface (not shown). The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umb is located at the middle node of the index finger. And generating the SOS signal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provided at the middle node of the index finger with the thumb. The flow of generating the SOS signal in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and transmitting it to the emergency center server 500 through the terminal 400 will be described later.

다른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00)은 그 일측면에 SOS신호 발생기(200)를 배치하기 위해 직물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SOS신호 발생기(200)는 반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장갑(100)의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직물 부재(110)는 SOS신호 발생기(200)를 장갑(100)의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1 and 2, the glove 100 may include a fabric member 110 for positioning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at one side there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ncludes a ring shape and may be installed at a middle node of the index finger of the glove 100. The fabric member 110 may be used to secure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to the middle node portion of the index finger of the glove 100. [

그리고 장갑(100)과 직물 부재(110)는 다수의 접착 부재(120, 130, 140, 150, 260, 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love 100 and the fabric member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120, 130, 140, 150, 260, and 270.

이하, 본 발명에서 '제1 내지 제6 접착 부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Hereinafter, 'first to sixth adhesive member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fined as follows.

즉, 본 발명에서 '제1 접착 부재(260)'라 함은, SOS신호 발생기(200)의 동작버튼(210)의 상단 중심에 마련되는 접착 부재로 정의할 수 있고, '제2 접착 부재(120, 180)'라 함은, 제1 접착 부재(260)와 마주하는 직물 부재(11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접착 부재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제3 접착 부재(270)'라 함은, SOS신호 발생기(200)의 PCB기판(250)의 하단 중심에 마련되는 접착 부재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접착 부재(130, 190)'라 함은, 제3 접착 부재(270)와 마주하는 장갑(10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접착 부재로 정의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adhesive member 260'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fined as an adhesive member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120, and 180 may be defined as adhesive member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bric member 110 facing the first adhesive member 260,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270' And an adhesive memb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PCB substrate 25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The fourth adhesive member 130 or 190 may be defined as an adhesive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love 100 facing the third adhesive member 270.

또한, 본 발명에서 '제5 접착 부재(140, 170)'라 함은, 직물 부재(110)의 각 모서리의 가장자리 부근에 마련되는 접착 부재로 정의할 수 있고, '제6 접착 부재(150, 171)'라 함은, 제5 접착 부재(140, 170)와 마주하는 장갑(10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접착 부재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adhesive member 140' may be defined as an adhesive member provided near the edge of each edge of the fabric member 110, and the 'sixth adhesive member 150, 171 'may be defined as an adhesive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love 100 facing the fifth adhesive member 140 or 17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00)과 직물 부재(110)는 각각에 마련되는 다수의 접착 부재(120, 130, 140, 150, 260, 27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그 다수의 접착 부재(120, 130, 140, 150, 260, 270)에 의해 SOS신호 발생기(200)를 장갑(100)의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 고정할 수 있다.1, the glove 100 and the fabric member 1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120, 130, 140, 150, 260,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be fixed to the middle node of the index finger of the glove 100 by the adhesive members 120, 130, 140, 150, 260,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장갑(100)과 직물 부재(110)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접착 부재(120, 130, 140, 150, 260, 270)에 의해 SOS신호 발생기(200)를 장갑(100)의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 설치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설명한다.1 to 3,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connected to the glove 100 by a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120, 130, 140, 150, 260, and 27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bric member 11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method for mounting the glove 100 on the middle node of the index finger of the glove 100. [

제1 접착 부재(260)와 제2 접착 부재(120)가 결합되고, 제3 접착 부재(270)와 제4 접착 부재(130)가 결합되어, SOS신호 발생기(200)가 장갑(100)의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 1차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member 26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120 are combined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270 and the fourth adhesive member 130 are combined so that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inserted into the glove 100 It can be fixed to the middle part of the index finger.

또한, SOS신호 발생기(200) 주위에 위치하고, 직물 부재(110)의 각 모서리의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되는 다수의 제5 접착 부재(140)와 장갑(100)의 제5 접착 부재(140)와 마주하는 일측면에 마련되는 다수의 제6 접착 부재(150)가 결합되어, SOS신호 발생기(200)는 장갑(100)과 직물 부재(110) 사이에 2차 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fth adhesive members 140 provided around the edge of each edge of the fabric member 110 and the fifth adhesive member 140 of the glove 100, which are located around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be secondarily fixed between the glove 100 and the fabric member 110. In this case,

그리고 장갑(100)과 직물 부재(110)의 1차 및 2차 결합에 의해 반지 형상으로 구성된 SOS신호 발생기(200)의 동작버튼(210)은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서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which is formed in a ring shape by primary and secondary bonding of the glove 100 and the fabric member 11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umb is located at the middle node of the index finger As shown in FIG.

제1 접착 부재(260)와 제2 접착 부재(120, 180)은 각각 동일한 크기의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제3 접착 부재(270)와 제4 접착 부재(130, 190)도 각각의 동일한 크기의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제1 접착 부재(260)와 제2 접착 부재(120, 180)의 결합면의 중심점과 제3 접착 부재(270)와 제4 접착 부재(130, 180)의 결합면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은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member 26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s 120 and 180 each have a round shape of the same size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270 and the fourth adhesive members 130 and 190 have the same size So that the center point of the mating surfaces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26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s 120 and 180 and the center of the mating surfaces of the third adhesive member 270 and the fourth adhesive members 130 and 180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 of the thumb can be coup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umb is locat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dex finger of the user is pointing.

그리하여, SOS신호 발생기(200)의 동작버튼(210)은 장갑(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을 수직으로 누르는 경우에만 동작하고, 야외활동시 SOS신호 발생기의 동작버튼(210)이 빗겨서 눌러질 경우 동작을 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야외활동중에 동작버튼(210)이 빗겨서 눌러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SOS신호 발생기(200)의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The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operates only when the middle finger of the index finger of the user wearing the glove 100 is pressed vertically. ) May be installed so as not to operate when pressed. The malfunction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which may occur when the operation button 210 is pushed and tilted during the outdoor activity, can be reduced.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 부재(260)와 제2 접착 부재(120, 180))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고, 제3 접착 부재(270)와 제4 접착 부재(130, 190)도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고, 제5 접착 부재(140, 170)와 제6 접착 부재(150, 171)도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first adhesive member 26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s 120 and 18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270 and the fourth adhesive member 270,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members 130 and 19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fifth adhesive members 140 and 170 and the sixth adhesive members 150 and 171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장갑(100)은 사용자가 야외활동 중에 착용하는 것으로써, 상기 SOS신호 발생기(200)를 부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SOS신호 발생기(200)는 사용자가 야외활동 중에 착용하거나 소지할 수 있는 아웃도어 웨어나 가방에도 부착할 수 있다.Meanwhile, the glove 100 is at least one means for attaching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by being worn by the user during outdoor activities. Accordingly,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be attached to outdoor wear or a bag that the user can wear or carry while outdoors.

그리고 야외활동시 사용되는 장갑(100)은 통상 직물로 제조되기 때문에, 직물 부재(110)도 장갑(1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직물 재질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접착 부재(120, 130, 140, 150, 170, 171, 180, 190, 260, 270)는 장갑(100)과 직물 부재(110)에 용이하게 부착되며, 결합시에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접착 부재(120, 130, 140, 150, 170, 171, 180, 190, 260, 270)은 그 일측면이 직물 찍찍이로 구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Since the glove 100 used in outdoor activities is usually made of a fabric, the fabric member 110 may also include a fabric material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glove 100.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120, 130, 140, 150, 170, 171, 180, 190, 260 and 270 are easily attached to the glove 100 and the fabric member 110, And not designed to be separat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120, 130, 140, 150, 170, 171, 180, 190, 260, 270 may include one side of which is fabricated.

제5 접착 부재(140, 170)를 제6 접착 부재(150, 171)로부터 분리하고, 제1 접착 부재(260)와 제2 접착 부재(120, 180)로부터 분리하며, 제3 접착 부재(270)를 제4 접착 부재(130, 190)로부터 각각 순서대로 분리하면, 장갑(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SOS신호 발생기(200)을 장갑(100)과 직물 부재(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OS신호 발생기(200)에 내장된 배터리(360)가 모두 방전되었을 경우, SOS신호 발생기(200)을 장갑(100)과 직물 부재(110)로부터 분리하여 외부의 충전시스템(미도시)에 접속하여 배터리(360)을 충전할 수 있다. 다시 SOS신호 발생기(200)를 장갑(100)에 부착하는 경우, 탈착하는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The fifth adhesive members 140 and 170 are separated from the sixth adhesive members 150 and 171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adhesive member 26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s 120 and 180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270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love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glove 100 and the fabric member 110 by sequentially separating the glove 100 from the fourth adhesive member 130, . For example, when all of the batteries 360 stored in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are discharged, the SOS generator 200 is separated from the gloves 100 and the fabric member 110, So that the battery 360 can be charged. When attaching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to the glove 100 again, the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may be reversed.

그리고 야외활동용 장갑은 오물이 묻거나 더럽혀지기 쉽다. 그럴 경우, 오물이 묻거나 더렵혀진 장갑(100)과 직물 부재(110)로부터 SOS신호 발생기(200)을 분리한 다음 장갑을 세탁하여 다시 결합할 수 있다. SOS신호 발생기(200)가 야외활동 장갑이 아닌 아웃도어 의류나 가방에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아웃도어 의류나 가방에서 SOS신호 발생기(200)을 분리하여 세탁한 후 다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utdoor gloves are susceptible to dirt and dirt. In this case,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may be detached from the glove 100 and the fabric member 110 which are dirty or soiled, and then the gloves may be washed and joined again. Even when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coupled to an outdoor garment or bag rather than an outdoor glove,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door garment or bag, washed, have.

그리고 직물 부재(110)와 상기 장갑(100)의 일측면은 그 내부에 비닐층(미도시)을 포함하여, SOS신호 발생기(200)가 설치되는 장갑(100)의 일측면과 직물 부재(110) 사이의 공간은 일정시간 동안은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갑(100)의 사용자가 등산중에 악천후를 만나서 비나 눈을 피할 수 없는 경우에도 SOS신호 발생기(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fabric member 110 and the glove 100 includes a vinyl layer (not shown) inside the fabric member 110 and a side of the glove 100 on which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installed, ) May have a waterproof func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fore, even if the user of the glove 100 meets bad weather during climbing and can not avoid rain or snow,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operate normally.

한편, 도 3은 도 1의 축 AA' 또는 도 7의 축 BB'를 확대한 단면도로서, SOS신호 발생기의 확대한 정면도이고, 도 4는 SOS신호 발생기의 회로 블럭도를 보여준다.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xis AA 'of FIG. 1 or the axis BB' of FIG. 7, showing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SOS signal generator, and FIG. 4 show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SOS signal generator.

먼저, SOS신호 발생기(20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S신호 발생기(200)는 동작버튼(210), 전원 스위치(220), 지지대(230), 스프링(240) 및 PCB기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will be described. 3,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may include an operation button 210, a power switch 220, a support 230, a spring 240, and a PCB substrate 250.

SOS신호 발생기(200)의 동작버튼(210)은 지지대(230)에 의해 PCB기판(250)에 고정되며, 스프링(240)에 의해 전원 스위치(220)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220)은 PCB기판(250)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명령부의 하나의 예인 동작버튼(210)이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2~4초 동안) 눌러져서 전원 스위치(220)를 누를 경우에만 SOS신호 발생기(200)는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동작버튼(210)이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 정확하게 눌러지지 않고, 비스듬히 눌러지는 경우 SOS신호 발생기(200)는 동작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장갑(100)을 착용한 사용자가 야외활동에 열중하다보면 동작버튼(210)이 비스듬히 눌러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런 경우에 SOS신호 발생기(2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줄이기 위함이다.The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fixed to the PCB substrate 250 by the support member 230 and may be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power switch 220 by the spring 240. The power switch 220 may be mounted on the PCB substrate 250. Accordingly,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be designed to operate only when the operation button 210, which is an example of the user command unit,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for 2 to 4 seconds) to press the power switch 220 have. Also,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be designed not to operate when the operation button 210 is pressed down at an angle rather than being pressed accurately at the middle part of the index finger of the user.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wearing the glove 100 is engaged in outdoor activities, the operation button 210 may be pressed obliquely, and in this case, a malfunction that may occur in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may be reduced .

다음으로, SOS신호 발생기(200)의 PCB기판(250)에 마련되는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OS신호 발생기의 블럭도(300)는 동작버튼(310), 전원 스위치(320), SOS신호 발생부(330), 제어부(340), 통신부(350) 및 배터리(360)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circuit configuration provided on the PCB substrate 25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will be described. 4, a block diagram 300 of an SOS signal generator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310, a power switch 320, an SOS signal generator 330, a controller 340, a communication unit 350 and a battery 360.

사용자가 위급한 상황에서, 장갑(100)의 검지 손가락의 중간 마디 부분에 위치한 SOS신호 발생기(200)의 동작버튼(310)을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2~4초 동안) 누를 경우, 동작버튼(310)은 전원 스위치(320)를 온 시켜서 SOS신호 발생기(200)의 전원을 온 시킨다. SOS신호 발생기(200)의 전원이 온 되면, 배터리(360)로부터 SOS신호 발생부(330), 제어부(340) 및 통신부(350)에 전원이 인가된다. SOS신호 발생부(330)에 전원이 인가되면, SOS신호 발생부(330)는 SOS신호를 발생시켜서 제어부(340)로 출력한다. 제어부(340)는 SOS신호 발생부(330)로부터 입력되는 SOS신호를 통신부(350)에서 외부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부(350)를 제어한다. 통신부(35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SOS신호를 외부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통신부(350)는 SOS신호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외부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button 3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located at the middle node of the index finger of the glove 10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for 2 to 4 seconds) The operation button 310 turns on the power switch 320 to turn on the power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When the power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360 to the SOS signal generator 330, the controller 3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50.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OS signal generating unit 330, the SOS signal generating unit 330 generates an SOS signal and outputs the SOS signal to the control unit 340. The control unit 34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350 to transmit the SOS signal input from the SOS signal generation unit 330 from the communication unit 350 to the external terminal 400. The communication unit 350 may transmit the SOS signal to the external terminal 4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40. [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350 may transmit the SOS signal to the external terminal 400 using the Bluetooth protocol.

한편, 도 5는 SOS신호 발생기로부터 SOS신호를 입력하여 서버로 SOS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terminal for receiving an SOS signal from the SOS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ting the SOS signal to the server.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4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10), 키 입력부(420), GPS수신부(430), 센서부(440), 단말기 제어부(450), 사용자 App부(460) 및 저장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40)는 고도센서(441), 운동량 센서(44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App부(460)은 SOS신호 발생기(200)으로부터 SOS신호가 입력되면, 긴급구조 앱(461), 위치정보 앱(462), 고도정보 앱(463), 지도 앱(464), 이동거리 앱(465) 및 운동량 앱(466)을 포함할 수 있다. 긴급 구조 앱(461)은 SOS신호 발생기(200)로부터 SOS신호가 입력되면, 저장부(470)에 저장된 응급센터 서버(500)의 연락처로 위치정보와 SOS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앱이고, 위치정보 앱(462)은 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지도상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앱이고, 고도정보 앱(463)은 고도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고도정보를 입력받아 제공할 수 있는 앱이다. 그리고 지도 앱(464)은 지도를 보여주는 앱이고, 이동거리 앱(465)은 사용자가 이동한 특정한 두 개 이상의 지점간의 지도상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는 앱이고, 운동량 앱(466)은 특정한 운동을 할 경우 소요되는 운동량을 제공할 수 있는 앱이다. 그리고 저장부(470)는 SOS신호 발생기(200)으로부터 SOS신호가 입력될 경우, 단말기(400)로 연락해야 하는 응급센터 서버(500) 또는 가족을 포함하는 연락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70)는 사용자 App부(460)에 마련되는 앱이 구동되어 사용자가 이용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5, the terminal 400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10, a key input unit 420, a GPS receiving unit 430, a sensor unit 440, a terminal control unit 450, An App unit 460, and a storage unit 470. The sensor unit 440 may include an altitude sensor 441 and a momentum sensor 442. When the SOS signal is input from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the user application unit 460 receives the SOS signal from the emergency rescue application 461, the lo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462, the altitude information application 463, the map application 464, (465) and a momentum app (466). The emergency rescue application 461 is an applic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n SOS signal to a contact of the emergency center server 5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0 when the SOS signal is inputted from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The app 462 is an app that can receive GPS signals from satellites and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map of the user. The altitude information app 463 is an app that can input and receiv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altitude sensor. In addition, the map app 464 is an app that displays a map. The travel distance app 465 is an app that can measure and provide a distance on a map between two or more specific points that the user has traveled. It is an app that can provide the amount of exercise required when exercising. The storage unit 470 may store the contact including the emergency center server 500 or the family member who should contact the terminal 400 when the SOS signal is inputted from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470 can store information used by the user by driving an app provided in the user app unit 460. [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에 의해 SOS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transmission of SOS signals by the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에 의한 SOS신호 전달 흐름을 설명한다. SOS신호 발생기(200)에서 SOS신호가 발생되면, 그 발생된 SOS신호는 단말기(40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로 전송된다. 단말기(40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로 SOS신호가 입력되면, 단말기 제어부(450)는 GPS수신부(430)와 고도 센서(441)를 구동하고, 사용자 App부(460)에서 위치정보 앱(462), 고도정보 앱(463)을 구동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긴급 구조앱(461)을 구동하여 SOS신호,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 저장부(470)에 저장된 응급센터 서버(500) 또는 가족을 포함하는 연락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one embodiment, the SOS signal delivery flow by the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When the SOS signal is generated in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the generated SO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10 of the terminal 400. When the SOS signal is input to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10 of the terminal 400, the terminal control unit 450 drives the GPS receiving unit 430 and the altitude sensor 441, 462),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application 463 is operated to confirm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the emergency rescue application 461 may be operated to include the emergency center server 500 or the fam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0 via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410 with the SOS signal, To the contact being contacted.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거리 앱(465)과 운동량 앱(466)을 사용하는 중에 SOS신호 발생기(200)의 동작버튼(210)을 누른 경우, 사용자의 이동거리 정보와 운동량 정보도 긴급 구조앱(461)을 통하여 응급센터 서버(500) 또는 가족을 포함하는 연락처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응급센터 서버(500)에서 사용자의 SOS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거리 정보와 운동량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while using the movement distance application 465 and the exercise amount application 466, the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exercise amount information of the user are also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rescue application 461, To the emergency center server 500 or to a contact containing the family. Accordingly, when the user's SOS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mergency center server 500, not only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altitude information but also the user's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and momentum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SOS신호 발생기(200)를 장갑(100)의 손등에 설치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may be mounted on the back of the glove 100.

도 7은 본 발명의 SOS신호 발생기를 장갑의 손등에 부착한 일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8은 장갑으로부터 일부분을 탈부착할 수 있는 직물 부재의 일부분을 장갑에서 탈착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장갑으로부터 직물 부재의 일부분을 탈착한 상태에서 직물 부재의 내측면 중심에 SOS신호 발생기의 동작버튼을 부착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OS signal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back of a glove, FIG. 8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fabric member detachable from a glove, In which the operation button of the SOS signal generator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abric member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fabric member is detached from the glove.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100)은 장갑(100)의 손등면에 일부분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직물 부재(110)를 포함하고, 직물 부재(11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의 가장자리는 장갑(100)의 손등면과 고정 부재(160)에 의해 결합되고, SOS신호 발생기(200)의 동작버튼(210)의 상단에 부착된 제1 접착 부재(260)는 직물 부재(110)의 내측면 중심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180)와 결합되고, SOS신호 발생기(200)의 PCB기판(250)의 하단에 부착된 제3 접착 부재(270)는 장갑의 손등면에 부착된 제4 접착 부재(190)와 결합되어, SOS신호 발생기(200)는 직물 부재(110)와 장갑(100)의 손등면의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7 to 9, the glove 100 includes a fabric member 110 partial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100, and at least one edge of the fabric member 110 The first adhesive member 260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joined to the cloth member 110 by the fixing member 160, And a third adhesive member 270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PCB substrate 25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fabric member 110 and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100. [

또한, 장갑(100)은 장갑(100)의 손등면에 일부분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직물 부재(110)를 포함하고, 직물 부재(11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의 가장자리는 장갑(100)의 손등면과 고정 부재(160)에 의해 결합되고, 고정 부재(160)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직물 부재(110)의 모서리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다수의 제5 접착 부재(170)는 장갑(110)의 손등면에 배치된 다수의 제6 접착 부재(171)와 결합되어, SOS신호 발생기(200)는 직물 부재(110)와 장갑(100)의 손등면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The glove 100 includes a fabric member 110 partial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 of the glove 100. The edge of at least one corner of the fabric member 110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100, And a plurality of fifth adhesive members 170 which are joined by the fixing member 160 and disposed at the edge of the edge of the fabric member 110 which is not fixed by the fixing member 160,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b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fabric member 110 and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100.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connected to the sixth adhesive member 171,

그리고 SOS신호 발생기(200)를 장갑(100)에서 탈착했다가 다시 부착하는 경우, 직물 부재(11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고정 부재(16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장갑(100)의 손등에서 탈부착하는 것이 검지 손가락에서 탈부착하는 것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SOS신호 발생기(200) 탈부착시에 직물 부재(110)가 손실될 수 있는 위험이 없다.When at least one edge of the fabric member 110 is fixed by the fixing member 160 when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detached from the glove 100 and then reattached to the glove 100, It is easier to detach and attach the finger from the index finger than to detach the finger from the index finger. Further, there is no risk that the fabric member 110 is lost when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is detached and attached.

도 3은 도 1의 축 AA' 또는 도 7의 축 BB'에서 바라본 SOS신호 발생기의 확대된 단면도로서, SOS신호 발생기의 확대된 정면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S signal generator as viewed from axis AA 'of FIG. 1 or axis BB' of FIG. 7, and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SOS signal generator.

제1 접착 부재(260)와 제2 접착 부재(120, 180)의 결합면의 중심점과 제3 접착 부재(270)와 제4 접착 부재(120, 180)의 결합면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은 사용자의 손등면과 수직이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접착 부재(120, 130, 180, 190, 260, 270)에 의해 결합되는 SOS신호 발생기(200)의 최상단의 동작버튼(210)과 최하단의 PCB기판(250)을 연결하는 선이 사용자의 손등면과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SOS신호 발생기(200)의 중심이 장갑(100)의 손등에 1차 고정될 수 있다.A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 of the mating surfaces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260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s 120 and 180 and the center point of the mating surfaces of the third adhesive member 270 and the fourth adhesive members 120 and 180 And may be coup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user ' s torso. Therefore, the uppermost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oupled with the first to fourth adhesive members 120, 130, 180, 190, 260 and 270 is connected to the PCB substrate 250 at the lower end,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user ' s torso. That is, the center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be fixed to the back of the glove 100 for the first time.

따라서, SOS신호 발생기(200)의 동작버튼(210)은 장갑(100)을 착용한 사용자의 손등을 수직으로 누르는 경우에만 동작하고, 야외활동시 SOS신호 발생기의 동작버튼(210)이 빗겨서 눌러질 경우 동작을 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야외활동중에 동작버튼(210)이 빗겨서 눌러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SOS신호 발생기(200)의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operates only when the user's glove 100 is pressed vertically, and when the operation button 210 of the SOS signal generator is pressed And to prevent the operation from occurring when it is damaged. The malfunction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which may occur when the operation button 210 is pushed and tilted during the outdoor activity, can be reduced.

그리고 고정 부재(120)로 고정되지 않은 직물 부재(110)의 나머지 다수의 모서리의 가장 자리에 배치된 다수개의 제5 접착 부재(140, 170)와 장갑(100)의 손등면의 제5 접착 부재(140, 170)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다수개의 제6 접착 부재(150, 171)가 결합되어 SOS신호 발생기(200)의 주변부가 장갑(100)의 손등부분에 2차 고정될 수 있다. 1차 고정 및 2차 고정에 의해 SOS신호 발생기(200)는 직물 부재(110)와 장갑(100)의 손등부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nd a plurality of fifth adhesive members 140 and 170 disposed at the edges of the remaining plurality of edges of the fabric member 110 that are not fixed by the fixing member 120 and a plurality of fifth adhesive members 140 and 170 disposed on the edges of the remaining plurality of edges of the fabric member 110, A plurality of sixth adhesive members 150 and 171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members 140 and 170 may be coupled to fix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to the back of the glove 100. [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can be stably fixed to the back of the fabric member 110 and the glove 100 by primary fixing and secondary fixing.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SOS신호 발생 시스템에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in the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갑의 미리 정한 위치에 SOS신호 발생기가 구비된다.(S 1001)As shown in the figure, an SOS signal generator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love (S1001)

사용자가 위급상황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SOS발생기에 구비된 동작버튼을 미리 정한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신호는 단말기에 수신된다. (S 1003,1005, 1007)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 signal is output when an operation button included in the SOS generator is operated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the output signal is received by the terminal. (S 1003, 1005, 1007)

단말기의 위치정보등을 포함한 위급정보가 서버 또는/및 미리 저장된 가족의 단말기에 전송되고 그에 의거 조치가 수행된다.The emergency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server and / or the family stored in advance, and actions are taken accordingly.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본 발명 각 도면에서의 설명은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그 구성이 장갑의 다른 위치에도 구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손등에 구비됨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검지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scription of each of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and the structure thereof can be applied to other positions of gloves. For example, the back of the hand, but it can also be provided in the detection part, and therefore, the same is applied to explain the invention.

장갑(100); 상기 장갑(100)에 구비되어 동작버튼을 포함하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한 신호에 의거 위급신호의 일종인 SOS신호를 발생하는 SOS신호 발생기(200); 및 상기 SOS신호 발생기(200)에서 발생된 SOS신호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400)포함한다.Glove 100; An SOS signal generator 200 provided in the glove 100 to generate an SOS signal, which is a kind of emergency signal, based on a signal through a user command input unit including an operation button; And a terminal 400 receiving the SOS signal generated by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and transmitting the SOS signal to the server.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사용자의 명령인 위급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버튼, 상기 SOS신호 발생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 SOS신호를 발생시키는 SOS신호 발생부, 상기 발생된 SOS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동작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위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해 SOS신호 발생부의 전원을 온시키고 상기 SOS신호 발생부에서 SOS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SOS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버튼은 사용자의 검지부분의 장갑에 구비되어 엄지손가락으로 검지손가락 중간 마디부분을 미리 정한 횟수로 눌렀을 때 상기 사용자의 위급신호가 발생된다.The SOS signal generator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for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as a command of a user,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SOS signal generator, an SOS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SOS signal, When an emergency signal of a user i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operation button, the power switch turns on the power of the SOS signal generator, generates the SOS signal in the SOS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OS signal to the terminal And the operation button is provided in the glove of the detection part of the user, and the emergency signal of the user is generated when the thumb of the index finger is pressed by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상기 장갑의 검지 손가락부분의 장갑내면과 장갑안의 내피사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위급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버튼은 상기 장갑의 검지 손가락 중간 마디 부분에 구비된다.The SOS signal generato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love of the index finger portion of the glov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love, and the operation button for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of the user is provided at the middle finger portion of the index finger of the glove.

상기 단말기는, GPS수신부, 고도센서, 운동량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긴급구조 앱, 위치정보 앱, 고도정보 앱, 지도 앱, 이동거리 앱, 운동량 앱을 포함하는 사용자 App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위치, 고도, 이동거리, 운동량을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시 상기 검출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 고도, 이동거리, 운동량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고,The terminal includes a user app unit including a GPS receiving unit, an altitude sensor, a sensor unit including an exercise amount sensor, and an emergency app, a location information app, an altitude information app, a map app, a moving distance app, An altitude, a moving distance, and a momentum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and stores the detected position, altitude, moving distance, and momentum in a memory,

상기 단말기는, 상기 SOS신호 발생기에서 입력되는 SOS신호가 수신되면, 긴급구조 앱을 구동하여 상기 GPS수신부와 상기 고도센서로부터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응급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The terminal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 SOS signal input from the SOS signal generator and driving an emergency rescue application to detect location information and altitude information from the GPS receiver and the altitude sensor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n emergency center server stored in a memor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상기 장갑의 검지 손가락부분의 장갑내면과 장갑안의 내피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검지손가락의 중간 마디를 눌렀을 때 사용자의 위급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버튼, 그 동작버튼에 의해 동작되고 SOS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SOS신호 발생부 및 상기 발생된 SOS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Wherein the SOS signal generato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love of the index finger portion of the glov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love and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of the user when the middle finger of the index finger is presse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SOS signal to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는 상기 SOS신호 발생기에서 입력되는 SOS신호가 수신되면, 긴급구조 앱을 구동하여, 입력되는 SOS신호, GPS수신부 및 고도센서로부터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응급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When the SOS signal input from the SOS signal generator is received, the terminal drives an emergency rescue application and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and altitude information from an input SOS signal, a GPS receiver and an altitude sensor,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an emergency center server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상기 장갑에는 상기 장갑의 검지부분 또는 손등면에 일부분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직물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물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의 가장자리는 상기 장갑의 손등면과 고정 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직물 부재의 내측면 중심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SOS신호 발생기의 동작버튼의 상단에 부착된 제2 접착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SOS신호 발생기의 PCB기판의 하단에 부착된 제3 접착 부재는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에 부착된 제4 접착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상기 직물 부재와 상기 검지 또는 장갑의 손등면의 사이 공간에 설치된다.Wherein at least one edge of at least one corner of the fabric member is join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by a fixing member, The first adhesive membe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abric member is engaged with the second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button of the SOS signal generator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PCB substrate of the SOS signal generator Is coupled to a fourth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detection or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and the SOS signal generator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fabric member and the back surface of the detection or glove.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접착 부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제3 접착 부재와 제4 접착 부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상기 제2 접착 부재로부터 탈착되고 상기 제3 접착 부재가 상기 제4 접착 부재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상기 SOS신호 발생기를 상기 장갑에서 분리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are detachably attachable to each other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nd the fourth adhesive member are detachably attachable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detached from the second adhesive member, When the third adhesive member is detached from the fourth adhesive member, the SOS signal generator can be separated from the glove.

상기 장갑은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에 일부분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직물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물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의 가장자리는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과 고정 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상기 직물 부재의 모서리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다수의 제5 접착 부재는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에 배치된 다수의 제6 접착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상기 직물 부재와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 사이 공간에 구비된다.Wherein the glov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bric member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index finger or a back surface of the glove, wherein at least one edge of the fabric member is joined to the detection or back surface of the glove by a fixing member, A plurality of fifth adhesive members arranged at the edge of the edge of the fabric member not fixed by the fixing member ar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sixth adhesive members disposed on the detection or back surface of the glove, And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cloth member and the detection or back surface of the glove.

상기 다수의 제5 접착 부재와 상기 다수의 제6 접착 부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과 상기 직물 부재의 내부에 비닐층을 형성하여, 상기 다수의 제5 접착 부재와 상기 다수의 제6 접착 부재가 서로 부착되는 경우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과 상기 직물 부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일정시간동안 방수가 된다.Wherein the plurality of fifth adhesive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sixth adhesive members are detachably attachable to each other and a vinyl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and the fabric member, And the sixth adhesive member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e SOS signal generator installed in the detection space of the glove or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and the fabric member is waterproof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장갑 110: 직물 부재
120: 제2 접착 부재 130: 제4 접착 부재
140: 제5 접착 부재 150: 제6 접착 부재
160: 고정 부재 170: 제5 접착 부재
180: 제2 접착 부재 190, 제4 접착 부재
200: SOS신호 발생기 210: 동작버튼
220: 전원 스위치 230: 지지대
240: 스프링 250: PCB기판 260: 제1 접착 부재 270: 제3 접착 부재
300: SOS신호 발생기의 회로블럭도 310: 동작버튼
320: 전원 스위치 330: SOS신호 발생부 340: 제어부 350: 통신부 360: 배터리 400: 단말기
410: 통신 인터페이스 420: 키 입력부
430: GPS수신부 440: 센서부
441: 고도센서 442: 운동량 센서
450: 단말기 제어부 460: 사용자 App부
461: 긴급 구조 앱 462: 위치정보 앱
463: 고도정보 앱 464: 지도 앱
465: 이동거리 앱 466: 운동량 앱 500: 응급센터 서버
100: glove 110: fabric member
120: second adhesive member 130: fourth adhesive member
140: fifth adhesive member 150: sixth adhesive member
160: fixing member 170: fifth adhesive member
180: second adhesive member 190, fourth adhesive member
200: SOS signal generator 210: Operation button
220: power switch 230: support
240: spring 250: PCB substrate 260: first adhesive member 270: third adhesive member
300: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SOS signal generator 310: Operation button
320: power switch 330: SOS signal generating unit 340: control unit 350: communication unit 360: battery 400: terminal
410: communication interface 420: key input unit
430: GPS receiver 440:
441: altitude sensor 442: momentum sensor
450: Terminal control unit 460: User App part
461: Urgent rescue app 462: Location app
463: Altitude info app 464: Maps app
465: Travel Distance App 466: Momentum App 500: Emergency Center Server

Claims (8)

삭제delete 장갑(100);
상기 장갑(100)에 구비되어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한 신호에 의거 위급신호의 일종인 SOS신호를 발생하는 SOS신호 발생기(200); 및
상기 SOS신호 발생기(200)에서 발생된 SOS신호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400)포함하며,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사용자의 명령인 위급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버튼, 상기 SOS신호 발생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 SOS신호를 발생시키는 SOS신호 발생부, 상기 발생된 SOS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동작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위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해 SOS신호 발생부의 전원을 온시키고 상기 SOS신호 발생부에서 SOS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SOS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상기 장갑의 검지 손가락부분의 장갑내면과 장갑안의 내피사이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위급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버튼은 상기 장갑의 검지 손가락 중간 마디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동작버튼은 사용자의 검지부분의 장갑에 구비되어 엄지손가락으로 검지손가락 중간 마디부분을 미리 정한 횟수로 눌렀을 때 상기 사용자의 위급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
Glove 100;
An SOS signal generator 200 provided in the glove 100 and generating an SOS signal, which is a kind of emergency signal based on a signal input through a user command input unit; And
And a terminal 400 receiving the SOS signal generated by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and transmitting the SOS signal to the server,
The SOS signal generator includes an operation button for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as a command of a user, a power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SOS signal generator, an SOS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SOS signal, When an emergency signal of a user i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operation button, the power switch turns on the power of the SOS signal generator, generates the SOS signal in the SOS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OS signal to the terminal And the SOS signal generato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love of the index finger portion of the glov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love, and the operation button for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of the user is provided on the index finger middle portion And the operation button is provided in the glove of the detection part of the user, Wherein the emergency signal of the user is generated when the nod is press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장갑(100);
상기 장갑(100)에 구비되어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한 신호에 의거 위급신호의 일종인 SOS신호를 발생하는 SOS신호 발생기(200); 및
상기 SOS신호 발생기(200)에서 발생된 SOS신호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400)포함하며,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상기 장갑의 검지 손가락부분의 장갑내면과 장갑안의 내피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검지손가락의 중간 마디를 눌렀을 때 사용자의 위급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버튼, 그 동작버튼에 의해 동작되고 SOS신호를 발생시키는 SOS신호 발생부 및 상기 발생된 SOS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GPS수신부, 고도센서, 운동량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긴급구조 앱, 위치정보 앱, 고도정보 앱, 지도 앱, 이동거리 앱, 운동량 앱을 포함하는 사용자 App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위치, 고도, 이동거리, 운동량을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시 상기 검출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 고도, 이동거리, 운동량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SOS신호 발생기에서 입력되는 SOS신호가 수신되면, 긴급구조 앱을 구동하여 상기 GPS수신부와 상기 고도센서로부터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응급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
Glove 100;
An SOS signal generator 200 provided in the glove 100 and generating an SOS signal, which is a kind of emergency signal based on a signal input through a user command input unit; And
And a terminal 400 receiving the SOS signal generated by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and transmitting the SOS signal to the server,
Wherein the SOS signal generato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love of the index finger portion of the glov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love and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of the user when the middle finger of the index finger is pressed, An SOS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ignal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SOS signal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includes a user app unit including a GPS receiving unit, an altitude sensor, a sensor unit including an exercise amount sensor, and an emergency app, a location information app, an altitude information app, a map app, a moving distance app, An altitude, a moving distance, and a momentum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and stores the detected position, altitude, moving distance, and momentum in a memory,
The terminal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 SOS signal input from the SOS signal generator and driving an emergency rescue application to detect location information and altitude information from the GPS receiver and the altitude sensor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n emergency center server stored in a memor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장갑(100);
상기 장갑(100)에 구비되어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한 신호에 의거 위급신호의 일종인 SOS신호를 발생하는 SOS신호 발생기(200); 및
상기 SOS신호 발생기(200)에서 발생된 SOS신호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400)포함하며
상기 장갑에는 상기 장갑의 검지부분 또는 손등면에 일부분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직물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물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의 가장자리는 상기 장갑의 손등면과 고정 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직물 부재의 내측면 중심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SOS신호 발생기의 동작버튼의 상단에 부착된 제2 접착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SOS신호 발생기의 PCB기판의 하단에 부착된 제3 접착 부재는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에 부착된 제4 접착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상기 직물 부재와 상기 검지 또는 장갑의 손등면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
Glove 100;
An SOS signal generator 200 provided in the glove 100 and generating an SOS signal, which is a kind of emergency signal based on a signal input through a user command input unit; And
And a terminal 400 receiving the SOS signal generated by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and transmitting the SOS signal to the server
Wherein at least one edge of at least one corner of the fabric member is join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by a fixing member, The first adhesive membe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abric member is engaged with the second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button of the SOS signal generator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PCB substrate of the SOS signal generator Wherein the SOS signal generator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fabric member and the back surface of the index or glove, wherein the SOS signal generator is coupled to a fourth adhesive member attached to the forefinger or back of the glov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제2 접착 부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제3 접착 부재와 제4 접착 부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상기 제2 접착 부재로부터 탈착되고 상기 제3 접착 부재가 상기 제4 접착 부재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상기 SOS신호 발생기를 상기 장갑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are detachably attachable to each other and the third adhesive member and the fourth adhesive member are detachably attachable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detached from the second adhesive member, And allowing the SOS signal generator to be detached from the glove when the third adhesive member is detached from the fourth adhesive member.
장갑(100);
상기 장갑(100)에 구비되어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한 신호에 의거 위급신호의 일종인 SOS신호를 발생하는 SOS신호 발생기(200); 및
상기 SOS신호 발생기(200)에서 발생된 SOS신호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400)포함하며,
상기 장갑은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에 일부분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직물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물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의 가장자리는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과 고정 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 상기 직물 부재의 모서리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다수의 제5 접착 부재는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에 배치된 다수의 제6 접착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상기 직물 부재와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
Glove 100;
An SOS signal generator 200 provided in the glove 100 and generating an SOS signal, which is a kind of emergency signal based on a signal input through a user command input unit; And
And a terminal 400 receiving the SOS signal generated by the SOS signal generator 200 and transmitting the SOS signal to the server,
Wherein the glov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bric member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index finger or a back surface of the glove, wherein at least one edge of the fabric member is joined to the detection or back surface of the glove by a fixing member, A plurality of fifth adhesive members arranged at the edge of the edge of the fabric member not fixed by the fixing member ar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sixth adhesive members disposed on the detection or back surface of the glove, Wherein the smart SOS signal generation system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fabric member and the detection or backside of the glov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5 접착 부재와 상기 다수의 제6 접착 부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과 상기 직물 부재의 내부에 비닐층을 형성하여, 상기 다수의 제5 접착 부재와 상기 다수의 제6 접착 부재가 서로 부착되는 경우 상기 장갑의 검지 또는 손등면과 상기 직물 부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일정시간동안 방수가 되는 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SOS신호 발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fifth adhesive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sixth adhesive members are detachably attachable to each other and a vinyl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and the fabric member, And the SOS signal generator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glove and the fabric member when the plurality of sixth adhesive members are attached to each other is waterproof for a predetermined time.
장갑의 미리 정한 위치에 SOS신호 발생기가 구비되는 단계;
상기 SOS신호 발생기에 구비된 동작버튼을 미리 정한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신호는 단말기에 수신되는 단계; 및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정보가 서버 및 미리 저장된 가족의 단말기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전송되고 그에 의거 조치가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OS신호 발생기는 상기 장갑의 검지 손가락부분의 장갑내면과 장갑안의 내피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검지손가락의 중간 마디를 눌렀을 때 사용자의 위급신호를 입력받는 동작버튼, 그 동작버튼에 의해 동작되고 SOS신호를 발생시키는 SOS신호 발생부 및 상기 발생된 SOS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GPS수신부, 고도센서, 운동량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긴급구조 앱, 위치정보 앱, 고도정보 앱, 지도 앱, 이동거리 앱, 운동량 앱을 포함하는 사용자 App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위치, 고도, 이동거리, 운동량을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시 상기 검출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위치, 고도, 이동거리, 운동량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SOS신호 발생기에서 입력되는 SOS신호가 수신되면, 긴급구조 앱을 구동하여 상기 GPS수신부와 상기 고도센서로부터 위치정보와 고도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응급센터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OS신호 발생 방법.
Providing a SOS signal genera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love;
A signal is output when an operation button included in the SOS signal generator is operated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the output signal is received by a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server and the terminal of the family stored in advance, and an action is performed based thereon,
Wherein the SOS signal generato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love of the index finger portion of the glov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love and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of the user when the middle finger of the index finger is pressed, An SOS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ignal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SOS signal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includes a user app unit including a GPS receiving unit, an altitude sensor, a sensor unit including a momentum sensor, and an emergency app, a location information app, an altitude information app, a map app, a moving distance app, An altitude, a moving distance, and a momentum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and stores the detected position, altitude, moving distance, and momentum in a memory,
The terminal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 SOS signal input from the SOS signal generator and driving an emergency rescue application to detect location information and altitude information from the GPS receiver and the altitude sensor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n emergency center server stored in a memory,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KR1020160153999A 2016-11-18 2016-11-18 A smart system for generating SOS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18415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999A KR101841536B1 (en) 2016-11-18 2016-11-18 A smart system for generating SOS sig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999A KR101841536B1 (en) 2016-11-18 2016-11-18 A smart system for generating SOS signa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536B1 true KR101841536B1 (en) 2018-03-26

Family

ID=6191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999A KR101841536B1 (en) 2016-11-18 2016-11-18 A smart system for generating SOS signal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5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418B1 (en) * 2018-06-25 2019-11-28 주식회사 리텍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KR20200000832A (en) * 2019-11-19 2020-01-03 주식회사 리텍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83B1 (en) * 2013-09-26 2014-1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alarming dan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783B1 (en) * 2013-09-26 2014-1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alarming dang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418B1 (en) * 2018-06-25 2019-11-28 주식회사 리텍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KR20200000832A (en) * 2019-11-19 2020-01-03 주식회사 리텍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KR102086541B1 (en) 2019-11-19 2020-03-10 주식회사 리텍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ircumstan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4302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776144B1 (en) Electronic finger devices with charging and storage systems
EP3050456B1 (en) Wearable device
US11857063B2 (en) Audio output system for a wirelessly locatable tag
US10909882B2 (en) Brail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0463914B2 (en) Electronic device
EP3489770A1 (en) Watch type terminal
CN107113057A (en) Optical communication with optical sensor
US1116960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recreational sport heads-up display control
WO201720430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program
CN103324309A (en) Wearable computer
US20110169652A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9501143B2 (en) System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devices
KR101841536B1 (en) A smart system for generating SOS signal and method thereof
CN107801154A (en) Mobile device system for prompt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bject
KR20230004928A (e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CN104898826A (en) Somatosensory control device
CN110806802A (en) Wearable device, state detection method and state detection device
US20220113922A1 (en) Electronic face mask control system
KR20170038359A (en) Sensor for wearing of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having the same
US20220296455A1 (en) Clothing item
CN207870887U (en) Smart motion wrist guard with monitoring display data and warning function
CN110083427A (en) A kind of application program interaction control method,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GB2518658A (en) Alarm device
US11992116B2 (en) Wirelessly coupled accessory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