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789B1 -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789B1
KR101833789B1 KR1020160059481A KR20160059481A KR101833789B1 KR 101833789 B1 KR101833789 B1 KR 101833789B1 KR 1020160059481 A KR1020160059481 A KR 1020160059481A KR 20160059481 A KR20160059481 A KR 20160059481A KR 101833789 B1 KR101833789 B1 KR 101833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input
remote controller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881A (ko
Inventor
박성흠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6005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789B1/ko
Priority to US15/253,657 priority patent/US20170332129A1/en
Priority to EP17159785.9A priority patent/EP3247122A1/en
Publication of KR20170128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이미지 처리 장치는,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따른 동작은 상기 특정 키로의 normal 입력에 따른 동작과 다르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external device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셋탑 박스(Set-Top Box)는 TV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와 음성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고 그 내용을 TV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셋탑 박스는 일반 TV 방송용 전파 외에도, 예컨대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TV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 박스는 일반적으로 리모콘을 세트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함으로써 셋탑 박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IPTV, 케이블 TV, 위성 TV 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종류와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셋탑 박스나 TV가 제공하는 기능도 다양해졌고,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의 버튼 개수 또한 증가하였다.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리모콘에 배치된 많은 버튼들의 용도를 일일이 숙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가 많기 때문에, TV 화면에 향해있는 시선을 유지한 상태로 리모콘을 조작하는 블라인드 콘트롤(blind control)은 어렵고, 리모콘을 조작할 때마다 TV 화면에 향해있던 시선을 다시 리모콘으로 돌려야 하는 등 리모콘 조작 시 시청에 방해가 되는 요인들이 다수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들이 리모콘의 사용 방법을 용이하게 숙지하도록 함은 물론 리모콘 조작 시 블라인드 콘트롤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40096호 (공개일 : 2015년 12월 15일)
본 발명은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리모콘의 키 조작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외부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따른 동작은 상기 특정 키로의 normal 입력에 따른 동작과 다르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시 상기 리모콘에 의해 상기 외부 기기가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를 상기 외부 기기에 연결시키고,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 또는 상기 특정 키 외의 다른 키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콘의 제 1 키로의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키와 다른 상기 리모콘의 제 2 키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의 기설정된 동작을 실행시키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따른 동작은 상기 특정 키로의 normal 입력에 따른 동작과 다르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리모콘의 force 입력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하나의 리모콘을 통해 TV를 시청중인 상태에서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ormal 입력 및 force 입력에 따른 감지 레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 제어를 시각화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감지 레벨을 시각화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을 포함하는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장치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다양한 정보를 전송하는 셋탑 박스와 같은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기기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미지 처리 장치는 셋탑 박스 자체일 수도 있으며 셋탑 기능을 가지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모콘은 적어도 하나의 키(key)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조작한 키의 레벨에 따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키의 레벨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키는 돔 키 등과 같이 물리적으로 구현되는 키일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키일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ormal 입력 및 force 입력에 따른 감지 레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은 리모콘(110) 및 이미지 처리 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홈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연결된다.
리모콘(110)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은 바디(200)와 바디(200) 상에 형성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200) 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키들은 상하좌우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Navi Key)(210), ESC 키나 홈키 등과 같은 특정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기능키(214) 및 OK 키 등과 같이 동작의 실행을 결정하는 결정키(21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리모콘(110)에는 내비키(210), 기능키(214) 및 결정키(212) 이외에도 다양한 키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 키들은 내비키(210), 결정키(212) 및 기능키(214)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은 하나의 키에 대해 복수의 입력을 지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모콘(110)은 구비된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해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지원한다.
여기서, normal 입력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누르는 입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터치 수단(400)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 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3의 (b)와 같이 터치 수단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 터치된 입력이 normal 입력일 수 있다.
또한, force 입력은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을 누른 입력을 의미한다. 도 3의 (a)와 같이 터치 수단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 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3의 (b)와 같이 누른 후 더 강한 세기나 더 넓은 면적을 지속적으로 눌러 도 3의 (c)와 같은 상태의 입력이 force 입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동일한 키를 누르더라도 normal 입력인지 force 입력인지에 따라 감지 레벨이 달라지며,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은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따라 다른 감지 레벨에 따른 다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리모콘(110)은 하나의 키에 대해 사용자가 normal 입력한 경우와 force 입력한 경우, 각기 상이한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에 형성된 복수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복수의 동작과 관련된 기능들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과 같은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누르는 세기 또는 면적에 따라 리모콘(110)은 각기 다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한 경우, 리모콘(110)은 특정 키에 대한 키 정보와 normal 입력에 대한 제1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force 입력한 경우, 리모콘(110)은 특정 키에 대한 키 정보와 force 입력에 대한 제2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사용자가 동일한 특정 키를 조작하였더라도 normal 입력인지 force 입력인지에 따라 각기 상이한 동작/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은 사용자의 특정 키 조작에 따른 키 정보와 특정 키를 누르는 세기(압력) 또는 면적에 따른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10)은 제어 신호를 좌표 정보로써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키에 대한 정보는 X축 및 Y축 좌표로서, 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으며, 감지 레벨은 Z축 좌표로써 제어 신호(C(x,y,z))에 포함되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제1 감지 레벨로 조작한 경우, 리모콘(110)은 제1 제어 신호로써 C1(x, y, z1)을 이미지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제2 감지 레벨로 조작하는 경우, 리모콘(110)은 제2 제어 신호로써 C2(x,y,z2)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사용자가 동일한 키를 조작하였을지라도 감지 레벨에 따라 각기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제1 감지 레벨로 조작되는 경우(즉,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감지 레벨이 normal 입력에 따른 감지 레벨인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1 감지 레벨에 따라 당해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감지 레벨이 force 입력에 따른 제2 감지 레벨이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2 감지 레벨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리모콘(110)을 통해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조작된 키 정보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 제어를 위해 설정된 제어 명령을 해당 외부 기기로 전송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와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가 조명이라고 가정하자. 리모콘(110)의 UP 키와 DOWN 키의 force 입력에 대응하여 조명 제어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UP 키가 force 입력되면 조명을 온(On)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리모콘(110)의 DOWN 키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조명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감지 레벨에 따라 조명의 조도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10)의 LEFT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조명의 조도를 높게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리모콘(110)의 RIGHT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조명의 조도를 낮게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를 통해 이미지 처리 장치(120)에 복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는 각각의 외부 기기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해당 force 입력 이후 리모콘 조작에 따라 특정 키에 대응하여 설정된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조명, 가스,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의 외부 기기가 홈 네트워크를 통해 이미지 처리 장치(12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미지 처리 장치(120) 전용 리모콘의 특정 키를 단축키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에 설정된 각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지정된 키를 force 입력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20)를 통해 제어할 외부 기기를 선택한 후 리모콘의 키 조작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번거롭게 다수의 리모콘을 조작하지 않아도 되며, TV 등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 없이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조작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normal 입력되었는지 또는 force 입력되었는지에 따라 각기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특정 키가 normal 입력되는 경우 프로그램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으며, 특정 키가 formal 입력되는 경우 VOD 리스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감지 레벨이 특정 키를 누르는 세기(압력) 또는 면적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감지 레벨은 복수의 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리모콘(110)은 사용자가 특정 키를 누르는 세기(압력)와 면적을 각각 감지 레벨로써 제어 신호에 포함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 신호는 (x,y,z,t)와 같은 4차원 좌표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의 키의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감지 레벨에 관한 파라미터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특정 키의 감지 레벨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 또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와 비교하면, 종래의 리모콘(110)은 키에 대해 normal 입력만 존재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의 리모콘(110)은 하나의 키에 하나의 동작만 매칭되므로, 리모콘(110)에 무수히 많은 키들이 존재하여야 하였으며, 그 결과 리모콘 구조가 복잡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시켰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은 normal 입력뿐만 아니라 force 입력과 같은 다른 감지 레벨의 입력이 제공되므로, 리모콘(110)에 형성된 하나의 키는 하나의 기능이 아니라 복수의 기능에 대응되도록 매칭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110)은 종래에 비해, 적은 키만 존재하여도 되므로, 리모콘 구조가 간단해져 사용자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켜 리모콘 조작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모콘(110)의 특정 키 조작에 따른 키 정보와 감지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좌표 정보를 제어 신호로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함으로써, 리모콘(110)에서 동일한 좌표 정보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장치(12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각기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며, 무선 연결되는 리모콘(110)의 감지 레벨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 또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각각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한 경우, 리모콘(110)은 특정 키의 normal 입력에 따라 키 정보와 제1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C(x,y,z1))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한다(단계 510).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 조작시, 해당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하였는지 또는 force 입력하였는지에 따라 감지 레벨이 달라진다. 이로 인해, 리모콘(110)은 사용자가 동일 키를 조작하더라도 해당 키를 조작한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지는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이미지 처리 장치(120)를 내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515).
계속하여, 사용자가 리모콘의 특정 키를 더 강한 힘 또는 면적으로 조작한 경우, 리모콘(110)은 특정 키에 대한 키 정보와 제2 감지 레벨에 대한 제2 제어 신호(C(x,y,z2))를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 전송한다(단계 520).
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단계 52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단계 610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으로부터 특정 키 조작에 따른 키 정보 및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감지 레벨은 특정 키를 누른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하는지 또는 force 입력하는지에 따라 감지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3차원 이상의 좌표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좌표 정보 중 1축 및 2축 좌표 정보, 즉 x축 및 y축 좌표 정보는 사용자가 누른 특정 키에 대한 좌표이며, 3축 이상의 좌표 정보-즉, z축 좌표-는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615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어 신호의 감지 레벨이 제1 감지 레벨인지 제2 감지 레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감지 레벨이 제1 감지 레벨이면, 단계 620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normal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키 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만일 감지 레벨이 제2 감지 레벨이면, 단계 625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키 정보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10)의 UP 키가 normal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채널, 프로그램 리스트, VOD 리스트를 상위로 탐색하여 변경할 수 있다. 반면, 리모콘(110)의 UP 키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조명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다.
또한, 리모콘(110)의 DOWN 키가 normal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채널, 프로그램 리스트, VOD 리스트를 하위로 탐색하여 변경할 수 있다. 반면, 리모콘(110)의 DOWN 키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조명의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리모콘(110)의 UP 키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조명의 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UP 키가 force 입력되는 횟수 또는 force 입력되는 시간에 따라 조명의 조도를 단계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리모콘(110)의 DOWN 키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조명의 조도를 낮출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DOWN 키가 force 입력되는 횟수 또는 force 입력되는 시간에 따라 조명의 조도를 단계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제공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 조작에 따른 감지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감지 레벨에 변화가 없는 경우, 해당 감지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특정 키는 normal 입력된 후 force 입력으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소정 시간 내에 특정 키의 감지 레벨이 변화되지 않는 경우,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 대한 감지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시, 외부 기기가 제어 가능하도록 이미지 처리 장치(120)를 외부 기기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후,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이미지 처리 장치(120)와 외부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키가 다시 force 입력되거나 특정 키 외의 다른 키로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되는 경우, 이에 따라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내부적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제어에 관한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특정 키가 normal 또는 force 입력시 해당 외부 기기의 제어에 관한 정보가 삭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로의 특정 키의 force 입력시, 외부 기기의 제어 신호임을 인지하여 외부 기기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특정 키에 대한 좌표 정보와 감지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는 이미지 처리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키의 좌표 정보와 감지 레벨을 분석한 후, 좌표 정보와 감지 레벨에 상응하여 설정된 외부 기기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한 후 외부 기기의 내부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 제어를 시각화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710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으로부터 특정 키 조작에 따른 키 정보와 특정 키가 눌려진 세기/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리모콘(110)으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715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감지 레벨이 제2 감지 레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특정 키의 감지 레벨이 제2 감지 레벨이면, 단계 720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외부 기기 제어 모드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외부 기기 제어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이후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키가 조작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외부 기기 제어를 위한 신호로 인식한다. 외부 기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이후에 리모콘(11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감지 레벨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725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키 조작에 따른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2 제어 신호는 리모콘(110)의 키 조작에 따른 키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730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한다.
그러나,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감지 레벨이 제1 감지 레벨인 경우, 단계 735에서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키 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미지 처리 장치(120)에 외부 기기 제어 모드로 설정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외부 기기 제어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 조작을 통해 일시적으로 리모콘(110)을 외부 기기 전용으로 설정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이를 해제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동작 제어를 위한 용도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외부 기기 제어 모드로 설정되기 위해 조작된 특정 키가 다시 force 입력되는 경우, 외부 기기 제어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10)의 홈 키로의 force 입력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일시적으로 외부 기기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도 8의 (A)). 이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이후 리모콘(110)의 키 조작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 리모콘(110)의 홈 키가 다시 force 입력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설정된 외부 기기 제어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도 8의 (B)). 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이후 리모콘(110)의 키 조작에 따라 해당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가 홈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리모콘(110)의 홈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도 9의 (A)와 같이, 제어 대상 외부 기기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외부 기기 리스트를 출력한 후 리모콘(110) 조작을 통해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내부적으로 제어 모드를 선택된 외부 기기 제어 모드(즉, 제어 대상 외부 기기 제어 모드)로 일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다른 키(예를 들어, UP 키, DOWN 키, RIGHT 키, LEFT 키 등)을 조작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다른 키에 대응하여 제어 대상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가 홈 네트워크를 통해 가스, 조명, 난방, 에어컨 등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리모콘(110)의 외부 기기 제어를 위해 설정된 특정 키(예를 들어, 홈 키라 가정하기로 함)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연결된 가스, 조명, 난방, 에어컨과 같은 외부 기기 리스트를 출력한 후, 리모콘(110) 조작을 통해 어느 하나를 선택받은 후 일시적으로 제어 대상 외부 기기 제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도 9의 (B)).
사용자가 리모콘(110) 조작을 통해 가스를 선택한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내부적으로 가스 제어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가스를 켜기 위해 리모콘(110)의 RIGHT 키를 조작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가스를 온(On)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가스를 줄이기 위해 리모콘(110)의 DOWN 키를 조작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가스를 줄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force 입력에 대해 각각의 외부 기기가 단축키처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10)의 Home 키를 force 입력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Home 키의 force 입력에 따라 내부적으로 제어 모드를 조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 모드가 조명 제어 모드로 설정되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이후 리모콘(110)의 조작에 따라 조명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킬 수도 있으며, 조명의 조도를 단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리모콘(110)의 OK 키가 force 입력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OK 키의 force 입력에 따라 제어 모드를 가스 제어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 모드가 가스 제어 모드로 설정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이후 리모콘(110)의 조작에 따라 가스를 켜거나(On) 끌 수 있고(Off), 가스 세기를 단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force 입력에 따라 제어 대상 외부 기기를 단축키처럼 선택하는 경우,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리모콘(110)의 입력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외부 기기의 제어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110) 조작을 통해 제어 대상 외부 기기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드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각기 상이한 동작(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normal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가 force 입력되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VOD 리스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리모콘(110)은 하나의 키에 복수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많은 수의 키 버튼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감지 레벨을 시각화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에 대해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이 지원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하고 있는지 force 입력하고 있는지 정확히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사용자의 리모콘(110) 조작시, 특정 키가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지원하는 경우 감지 레벨 변화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사용자가 리모콘(110)의 특정 키를 normal 입력한 경우, 이를 시각화하여 출력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의 (B)는 리모콘(110)의 해당 특정 키를 force 입력한 경우, 이를 시각화하여 출력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와 같이, 감지 레벨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리모콘(110)을 normal 입력하고 있는지 force 입력하고 있는지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20)는 수신부(1310), 메모리(1315) 및 프로세서(1320)를 포함한다.
수신부(131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 조작에 따른 키 정보 및 특정 키가 눌려진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감지 레벨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메모리(1315)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 조작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른 외부 기기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등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13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수신부(1310), 메모리(131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132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감지 레벨에 따라 키 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20)는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감지 레벨이 normal 입력에 따른 제1 감지 레벨인 경우, 키 정보에 대응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제어 신호에 포함된 감지 레벨이 force 입력에 따른 제2 감지 레벨인 경우, 프로세서(1320)는 키 정보에 대응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장치(120)에 복수의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경우, 프로세서(13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force 입력시, 조작된 특정 키에 대응하여 설정된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외부 기기를 제어하거나 해당 이미지 처리 장치(120)의 내부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감지 레벨은 소정 시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20)는 리모콘(110)의 특정 키의 감지 레벨을 결정함에 있어,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특정 키의 감지 레벨에 변화가 없는 경우, 해당 특정 키에 대한 감지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리모콘
120: 이미지 처리 장치

Claims (12)

  1. 이미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특정 키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normal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또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또는 재생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리모콘의 동일한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설정은 상기 리모콘이 아닌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이루어지나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를 매개로 상기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키가 제1 레벨로 force 입력되는 경우, 제1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 레벨로 force 입력되는 경우, 제2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orce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외부 기기에 대한 리스트를 출력한 후 제어 대상 외부 기기를 상기 리모콘을 통해 선택받은 후 상기 force 입력된 키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 대상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3차원 이상의 좌표 정보이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좌표 정보에서 제3 이상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force 입력에 따른 제어 대상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6. 이미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normal 입력에 응답하여 이미지 처리 장치의 방송 또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또는 재생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시 상기 리모콘에 의해 상기 외부 기기가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를 상기 외부 기기에 연결시키고,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상기 외부 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설정은 상기 리모콘이 아닌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이루어지나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를 매개로 상기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키의 force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리스트를 출력한 후 상기 리모콘을 통해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제2 키의 force 입력 또는 normal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외부 기기 선택에 대한 설정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외부 기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로의 선택이 변경시, 변경되는 제어 대상 외부 기기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0. 이미지 처리 장치에 있어서,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콘의 제 1 키로의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키와 다른 상기 리모콘의 제 2 키로의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의 방송 또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또는 재생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설정은 상기 리모콘이 아닌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이루어지나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를 매개로 상기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키가 제1 레벨로 force 입력되는 경우 제1 외부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키가 제2 레벨로 force 입력되는 경우 제2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2.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으로 입력되는 normal 입력 또는 force 입력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로의 normal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또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또는 재생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리모콘의 동일한 특정 키로의 force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 설정은 상기 리모콘이 아닌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이루어지나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를 매개로 상기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리모콘에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입력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KR1020160059481A 2016-05-16 2016-05-16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 KR101833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481A KR101833789B1 (ko) 2016-05-16 2016-05-16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
US15/253,657 US20170332129A1 (en) 2016-05-16 2016-08-31 Image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EP17159785.9A EP3247122A1 (en) 2016-05-16 2017-03-08 Image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481A KR101833789B1 (ko) 2016-05-16 2016-05-16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81A KR20170128881A (ko) 2017-11-24
KR101833789B1 true KR101833789B1 (ko) 2018-03-02

Family

ID=5831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481A KR101833789B1 (ko) 2016-05-16 2016-05-16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332129A1 (ko)
EP (1) EP3247122A1 (ko)
KR (1) KR101833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9744S1 (en) * 2021-02-04 2023-06-20 Pure-Development 1 B.V. Remot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0573A1 (en) * 1999-09-10 2001-03-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Remote control device with pressure-sensitive keys
US20040049779A1 (en) * 2000-12-20 2004-03-11 Johan Sjoblom Interactive television
KR100407051B1 (ko) * 2001-11-16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US7987491B2 (en) * 2002-05-10 2011-07-26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alternative linkbases
US20050235329A1 (en) * 2004-04-19 2005-10-20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control within a home entertainment system
KR20060124594A (ko) * 2005-05-31 2006-12-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원격 제어 장치, 기기 조작 시스템 및 원격 제어 방법
US20090012850A1 (en) * 2007-07-02 2009-01-08 Callidus Soft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true performance indicator
GB0807955D0 (en) * 2008-05-01 2008-06-11 Airbus Uk Ltd Ultrasound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8575166B2 (en) * 2009-02-05 2013-11-05 Merck Sharp & Dohme Corp. Phthalazine-containing antidiabetic compounds
WO2011027957A1 (en) * 2009-09-01 2011-03-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of
US8355085B2 (en) * 2009-12-29 2013-01-15 Vizio, Inc. Television remote control update upon event
US8403246B2 (en) * 2010-07-20 2013-03-26 Royal Sovereign International, Inc. Shredder and method of shredding paper
US8847909B2 (en) * 2012-11-11 2014-09-30 Nomovok Co., Ltd. Touchable mobile remote control without display
US10579713B2 (en) * 2014-05-30 2020-03-03 Apple Inc. Application Markup language
US9238908B1 (en) * 2014-07-03 2016-01-19 ANDREW A. DeSANTO Curb vent stack plunger
KR102353498B1 (ko) * 2014-12-16 202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712863B1 (en) * 2016-08-09 2017-07-18 Le Technology, Inc. Remote control device with programming guid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7122A1 (en) 2017-11-22
KR20170128881A (ko) 2017-11-24
US20170332129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09951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50667B2 (en) Haptic feedback remo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9407949B2 (en)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40014129A (ko) 멀티모달 및 제스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3300377B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961394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US20120056823A1 (en) Gesture-Based Addressing of Devices
JP2006279137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KR101852482B1 (ko)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US98782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EP305697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60054860A1 (en) Input device
KR101833789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기기 제어 방법
KR101833790B1 (ko) 포스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들을 실현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71837B1 (ko)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582150B2 (en) User terminal,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507994B2 (ja) Av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含まれるディスプレイ機器側サブシステム
KR101843762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에 있어서 3차원 이미지로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표시하는 방법
KR101862845B1 (ko) 리모콘 키의 감지 레벨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81410B1 (ko)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934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26844A (ko) 포스 입력에 따른 소프트웨이 업그레이드 방법
JP202451932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CN108810593A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WO2016104631A1 (ja) 遠隔操作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