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410B1 -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410B1
KR101881410B1 KR1020170105328A KR20170105328A KR101881410B1 KR 101881410 B1 KR101881410 B1 KR 101881410B1 KR 1020170105328 A KR1020170105328 A KR 1020170105328A KR 20170105328 A KR20170105328 A KR 20170105328A KR 101881410 B1 KR101881410 B1 KR 10188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function
remote controller
image processing
proces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168A (ko
Inventor
박성흠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1020170105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41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5/44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005/441
    • H04N2005/4425
    • H04N2005/44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force 입력을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는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결정키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 상기 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제어 신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에는 복수의 감지 레벨들이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키를 선택하는 수단에 의해 주어진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감지 레벨이 결정되고, 상기 제어 신호부는 상기 결정된 감지 레벨에 대한 제어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선택된 키의 좌표 및 상기 키의 선택시 가해진 세기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동일 키에 대한 복수의 감지 레벨들은 서로 다른 기능 또는 화면과 매칭된다.

Description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IMAGE PROCESSING TERMINAL ACCORDING TO A SENSING LEVE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force 입력을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제어 기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셋탑 박스(Set-Top Box)는 TV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와 음성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고 그 내용을 TV에 표시하는 장치이다.
셋탑 박스는 일반 TV 방송용 전파 외에도, 예컨대 IPTV, 케이블 TV 또는 위성 TV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TV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셋탑 박스는 일반적으로 리모콘을 세트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함으로써 셋탑 박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IPTV, 케이블 TV, 위성 TV 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종류와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셋탑 박스나 TV가 제공하는 기능도 다양해졌고, 이를 제어하는 리모콘의 버튼 개수 또한 증가하였다.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리모콘에 배치된 많은 버튼들의 용도를 일일이 숙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가 많기 때문에, TV 화면에 향해있는 시선을 유지한 상태로 리모콘을 조작하는 블라인드 콘트롤(blind control)은 어렵고, 리모콘을 조작할 때마다 TV 화면에 향해있던 시선을 다시 리모콘으로 돌려야 하는 등 리모콘 조작 시 시청에 방해가 되는 요인들이 다수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리모콘의 버튼 개수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들이 리모콘의 사용 방법을 용이하게 숙지하도록 함은 물론 리모콘 조작 시 블라인드 콘트롤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40096호 (공개일 : 2015년 12월 15일)
본 발명은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최소한의 키로 이미지 처리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은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결정키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 상기 키의 좌표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상기 키를 선택하는 수단에 의한 상기 키로 가해지는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 및 제어 신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에는 복수의 감지 레벨들이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감지 레벨이 결정되고, 상기 제 2 감지부의 설치 영역은 상기 제 1 감지부의 설치 영역 이하이며, 상기 제어 신호부는 상기 결정된 감지 레벨에 대한 제어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선택된 키의 좌표 및 상기 키의 선택시 가해진 세기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동일 키에 대한 복수의 감지 레벨들은 서로 다른 기능 또는 화면과 매칭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은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결정키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 상기 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제어 신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를 선택하는 입력은 normal 입력과 상기 normal 입력보다 상기 키를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force 입력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normal 입력은 외부에서 보여지는 일반적인 키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 1 기능 또는 제 1 화면과 관련되고, 상기 force 입력은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는 제 2 기능 또는 제 2 화면과 관련되며, 상기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화면은 상기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화면과 각기 다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은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기능키; 결정키; 및 상기 내비키, 상기 기능키 및 상기 결정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비키, 상기 기능키 및 상기 결정키에는 각기 normal 입력 및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면적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는 force 입력이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내비키에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기능키 또는 결정키로 동작하거나 상기 기능키에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내비키 또는 결정키로서 동작하거나 상기 결정키에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내비키 또는 기능키로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은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결정키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 상기 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제어 신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에는 복수의 감지 레벨들이 설정되되, 상기 키를 선택하는 수단에 의해 주어진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감지 레벨이 결정되고, 상기 제어 신호부는 상기 결정된 감지 레벨에 대한 제어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선택된 키의 좌표 및 상기 키의 선택시 가해진 세기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의 동일 키에 대한 복수의 감지 레벨들은 상기 리모콘과 연결된 이미지 처리 단말의 서로 다른 기능 또는 화면과 매칭되며, 상기 리모콘의 동일키에 대한 동일 감지 레벨일 때에도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기능 또는 화면이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 구동 방법은 normal 입력으로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를 선택하였음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normal 입력에 해당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normal 입력보다 상기 특정 키를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force 입력이 입력되었음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일 키에 대한 normal 입력 및 force 입력은 서로 다른 기능 또는 화면과 매칭되며, 상기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의 설치 영역은 상기 리모콘의 키의 좌표를 감지하는 감지부의 설치 영역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예를 들어 리모콘은 normal 입력뿐만 아니라 force 입력을 제공하며, 각 입력마다 셋탑박스, TV 등의 이미지 처리 단말의 다양한 기능들에 매칭된다. 결과적으로, 리모콘을 최소한의 키로 구현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시스템의 전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시에도 이미지 처리 단말만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하고 리모콘의 소프트웨어는 업그레이드시키지 않으므로, 리모콘의 구조가 단순하여지고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의 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이를 제어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예를 들어 리모콘을 포함하는 미디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미지 처리 단말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미지 신호를 전송하는 셋탑 박스와 같은 기기일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은 이미지 처리와 관련되는 기기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셋탑 박스 자체일 수도 있고, 셋탑 기능을 가지는 TV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리모콘은 적어도 하나의 키(Key)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레벨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로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은 상기 키의 레벨에 따라 다른 기능을 하거나 다른 화면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는 돔 키 등과 같이 물리적으로 구현되는 키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키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2에서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키들을 가지는 리모콘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디어 시스템은 리모콘(100) 및 이미지 처리 단말(10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 바디(200) 상에 형성되며 상하좌우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Navigation Key, 210), ESC 키, 홈키 등과 같은 특정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기능키(214) 및 OK 키 등과 같이 동작의 실행을 결정하는 결정키(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모콘(100)에는 다양한 키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이러한 키들은 내비키(210), 결정키(212) 및 기능키(214)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콘(100)은 이미지 처리 단말(102)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리모콘(100)은 이미지 처리 단말(102), 예를 들어 TV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0)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2개 이상의 동작과 관련된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콘(100)은 손가락 등과 같은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키를 누르는 세기 또는 면적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키를 누르는 세기 또는 면적에 따라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이 달라지게 되며, 따라서 리모콘(100)은 키의 감지 레벨에 따라 다른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리모콘(100)으로 터치 수단의 입력은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normal 입력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누르는 입력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기존의 리모콘에서의 키의 동작과 동일하게 리모콘(100)의 키에 설정된 일반적인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UP 키를 누르면 UP 동작이 실행된다. force 입력은 normal 입력보다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키를 누르는 입력을 의미하며,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동작 또는 화면은 normal 입력에서의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동작 또는 화면과 다르다. 한편, normal 입력을 long press하더라도 이러한 동작은 force 입력으로 인지되지 않고 normal 입력으로 인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후술하겠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수단으로 선택한 리모콘(100)의 키의 좌표가 (x, y)라고 하면,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는 z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3차원 좌표(x, y, z)를 이용하면 선택된 키의 좌표 및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다만, 선택된 키의 좌표 및 감지 레벨을 표현하는 방법은 (x, y, z)로 표현하는 방법 외의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고, 3차원 좌표가 아닌 4차원 이상의 좌표로 표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감지 레벨로 특정 키를 선택하면, 리모콘(100)은 특정 키에 해당하는 좌표(x, y) 및 감지 레벨과 관련된 z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은 제어 신호(C(x, y, z))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감지 레벨(normal 입력)로 우측 방향키에 해당하는 내비키(210)를 선택하면 리모콘(100)은 좌표(x, y, z1)를 가지는 제어 신호(C1)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더 강한 세기로 내비키(210)를 누르면, 예를 들어 제 2 감지 레벨(force 입력)로 내비키(210)를 선택하면 리모콘(100)은 좌표(x, y, z2)를 가지는 제어 신호(C2)를 이미지 처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어 신호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 1 제어 신호(C1)에 따라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 2 제어 신호(C2)에 따라 추천 프로그램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콘(100)의 키에 가한 힘 또는 면적에 따른 감지 레벨에 따라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TV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가이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겠지만, 셋탑 박스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가이드 등과 관련된 이미지 신호를 TV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리모콘(100)은 특정 기능을 동작시키라는 직접적인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보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리모콘(100)은 좌표(x, y, z)를 포함한 제어 신호만을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좌표(x, y, z)와 관련된 동작은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100)이 동일한 좌표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도 있다.
한편, force 입력은 force up 및 force down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비키(210)로서 UP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force up으로 설정하고 DOWN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force down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홈 화면에서 UP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추천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DOWN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VOD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홈 화면에서 UP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추천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그런 후 DOWN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홈 화면으로 되돌아가고, 홈 화면에서 DOWN 방향키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VOD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동일한 키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이 제 2 감지 레벨이 되면 force up으로 설정되고 제 3 감지 레벨이 되면 force down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홈 화면에서 결정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이 제 2 감지 레벨이 되면 추천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결정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이 제 3 감지 레벨이 되면 VOD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홈 화면에서 결정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을 제 2 감지 레벨로 만들면 추천 프로그램이 표시되고, 그런 후 결정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을 제 3 감지 레벨로 만들면 홈 화면으로 되돌아가고, 홈 화면에서 결정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제 3 감지 레벨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면 VOD 리스트가 표시되며, 결정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여 감지 레벨을 제 2 감지 레벨로 만들면 홈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리모콘(100)은 터치 수단의 터치 면적, 터치 세기 등을 감지하여 감지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감지 레벨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위에 설명하지 않았지만 키의 누름에 의한 감지 레벨은 세기 또는 면적이 기설정 시간 이상 지속되었을 때에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수단의 터치에 해당하는 레벨이 기설정된 감지 레벨과 직접적으로 매칭되지 않고 특정 레벨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벨은 상기 특정 레벨들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레벨은 상기 특정 레벨들 중 상위 레벨 또는 하위 레벨로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미디어 시스템은 force 입력뿐만 아니라 제스쳐(gesture)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수단으로 소정 길이 이상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제스쳐에 따라 특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orce 입력에 따라 프로그램 가이드 상의 특정 개체의 영상이 PIP로 보여질 때, 특정 제스쳐에 따라 상기 PIP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전체 화면으로 확대되거나 force 입력 전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쳐는 복수의 키들의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3차원 좌표(x, y, z)로만 좌표를 표시하였지만, 면적과 세기를 별개의 좌표로 부여하면 좌표는 4차원 좌표(x, y, z, t)로 표현될 수도 있다. 즉, 감지 레벨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종래 리모콘과 비교하면, 종래에는 키의 normal 입력만이 존재하였으며, 따라서 하나의 키에 하나의 기능만이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에는 무수히 많은 키들이 존재하여야만 하였으며, 그 결과 리모콘의 구조가 복잡하여지고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시켰다.
반면에, 본 발명의 리모콘(100)은 normal 입력뿐만 아니라 force 입력도 제공하므로, 하나의 키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들이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100)에는 최소한의 키만 존재하여도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리모콘(100)의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제 1 견지에서, 리모콘(100)의 특정 키를 다른 감지 레벨로 선택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감지 레벨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UP 키와 같은 내비키의 force 입력에 따른 기능은 기능키 또는 결정키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비키에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force 입력은 홈키 또는 esc키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물론, 기능키에 대한 force 입력은 내비키 또는 결정키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결정키에 대한 force 입력은 내비키 또는 기능키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 2 견지에서, 리모콘(100)의 특정 키를 다른 감지 레벨로 선택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다른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개체(entity)로서 제 1 UI(User Interface)가 표시된 제 1 화면을 디스플레이시고,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 2 UI가 표시된 제 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3 견지에서, 리모콘(100)의 특정 키를 다른 감지 레벨로 선택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감지 레벨에 따라 동일한 기능에 대하여 다른 동작을 수행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배열한 상태에서 프로그램 가이드 상의 커서를 제 1 속도로 이동시키고,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프로그램 가이드 상의 커서를 상기 제 1 속도와 다른 제 2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예들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예들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제 4 견지에서, 리모콘(100)의 특정 키를 다른 감지 레벨로 선택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감지 레벨에 따라 다른 개체를 실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프로그램 가이드와 관련된 개체를 디스플레이하고,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사용자 선호 프로그램과 관련된 개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 5 견지에서,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설정된 모드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리모콘(100)의 동일한 키에 동일한 force 입력을 가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서 수행되는 동작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프로그램 리스트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결정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프로그램 리스트들의 배열이 변화되는데 반하여, 이미지 처리 단말(102)이 사업자가 제공하는 VOD 리스트들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결정키(212)에 force 입력을 가하면 사용자에 맞는 추천 VOD 리스트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감지 레벨에 따른 다양한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살펴보겠다.
우선, 감지 레벨에 대하여 정의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수단의 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리모콘(100)의 개별 키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수단(400)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레벨,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감지 레벨 이하로 터치(normal 입력)하는 터치 수단(400)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레벨 및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터치(force 입력)하는 터치 수단(400)을 감지하기 위한 제 3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의 개별 키에는 복수의 감지 레벨들이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모든 키들에 감지 레벨들이 설정될 수도 있지만, 일부 키에는 하나의 감지 레벨만이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감지 레벨은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감지 레벨은 터치 수단(400)으로 기설정 시간 이상 누른 경우에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살펴보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수단의 터치에 따라 리모콘(100)은 제 1 감지 레벨을 감지한다(S5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0)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감지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레벨은 특정 키를 누르는 면적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0)은 특정 키의 선택에 따른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좌표(x, y, z1)로 표시하고, 좌표(x, y, z1)를 제 1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S502).
계속하여,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키를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누를 수 있으며, 리모콘(102)은 이러한 터치 수단의 터치에 따른 제 2 감지 레벨을 감지한다(S504).
이어서, 리모콘(100)은 상기 특정 키의 선택에 따른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좌표(x, y, z2)로 표시하고, 좌표(x, y, z2)를 제 2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제 2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S506).
이러한 동작과 관련된 제 1 실시예를 살펴보면,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채널 개체(600)를 포함한 채널 리스트(프로그램 가이드)를 표시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많은 수의 채널 개체들(600)을 표시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에 따라 개체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위에서는 채널 리스트를 예로 하였으나, VOD 리스트, 선호 프로그램 리스트 등 다양한 개체들에도 위의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를 살펴보면,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배열로 채널 개체들(600)이 배열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배열과 다른 제 2 배열로 채널 개체들(600)이 배열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배열의 변경은 개체(600)의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개체(600)가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경우, 개체(600)의 사이즈가 변화되는 경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잇다.
제 3 실시예를 살펴보면, 리모콘(100)이 예를 들 우측 방향키에 해당하는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체들(600)을 디스플레이하고 개체들(600) 중 하나 상에 선택 개체(9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선택 개체(900)를 우측 방향으로 제 1 속도(v1)를 가지고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0)이 예를 들어 우측 방향키에 해당하는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개체(900)를 우측 방향으로 제 2 속도(v2)를 가지고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는 선택 개체(900)를 건너 뛰기 방식으로 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감지 레벨에 따라 개체(900)의 이동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이동 속도가 아니라 VOD 등의 재생 속도가 감지 레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동 속도 및 재생 속도의 변화는 주로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2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을 종합하면, 리모콘(100)의 특정 키에 대한 감지 레벨이 달라지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기능 또는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감지 레벨에 따라 개체 사이즈 또는 모양 변화, 컨텐츠 미리 보기, 홈 화면으로의 전환, 모드 전환 등이 실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 수단의 터치에 따라 리모콘(100)은 제 1 감지 레벨을 감지한다(S1100).
이어서, 리모콘(100)은 특정 키의 선택에 따른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3차원 좌표(x, y, z1)로 표시하고, 좌표(x, y, z1)를 제 1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화면을 실행시킬 수 있다(S1102).
계속하여,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키를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더 강한 힘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누를 수 있으며, 리모콘(102)은 이러한 터치 수단의 터치에 따른 제 2 감지 레벨을 감지한다(S1104).
이어서, 리모콘(100)은 상기 특정 키의 선택에 따른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좌표(x, y, z2)로 표시하고, 좌표(x, y, z2)를 제 2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이 경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따라 제 2 화면을 실행시킬 수 있다(S1106).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미디어 시스템은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 변화에 따라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서 처리하는 화면을 다르게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미디어 시스템은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 변화에 따라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서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를 살펴보면, 리모콘(100)이 제 1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가이드를 보여주는 제 1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리모콘(100)이 제 2 감지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VOD를 보여주는 제 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에 따라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이 normal 입력에 해당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관련 개체가 도시되지 않으나, 리모콘(100)의 감지 레벨이 force 입력에 해당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force 입력임을 알리는 force 입력 표시 개체(1300)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콘(100)을 보지 않고 이미지 처리 단말(102)만을 보면서도 normal 입력하였는지 force 입력하였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force 입력에 따른 개체(1300)도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force 입력이 리모콘(100)에 입력되면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force 입력 표시 개체(1300a)가 표시되고, 제 3 감지 레벨에 해당하는 force 입력이 리모콘(100)에 입력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force 입력 표시 개체(1300b)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force 입력 표시 개체들(1300a 및 1300b)은 모양, 색상 또는 사이즈 등의 견지에서 다르다.
이하, 리모콘(1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겠다.
도 14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리모콘(100)의 키들(210a, 212a 및 214a)은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키들(210b, 212b 및 212c)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적으로, 즉 돔키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콘(100)의 키들(210b, 212b 및 212c)이 돔키 형태로 구현될 경우에, force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버튼의 직상부 또는 직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돔키로 키들(210b, 212b 및 212c)을 구현할 때, 한번 키를 클릭하면 키 입력을 normal 입력으로 결정하고 두번 키를 클릭하면 force 입력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리모콘(100)의 키들(210, 212 및 214)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면, 키들(210, 212 및 214)의 구성 및 배열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들(210, 212 및 214)이 구성되는 중에, 사용자의 요청 또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키들의 구성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키(1500)가 포함되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키(1500)에 대하여도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이 설정될 수 있고, normal 입력인지 force 입력인지에 따라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의 (A) 및 (B)를 참조하면, 리모콘(100)에는 키들(210, 212 및 214) 뿐만 아니라 터치 영역(1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수단으로 터치 영역(1600)을 터치한 길이에 따라 normal 입력과 force 입력으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수단으로 터치 영역(1600)을 터치한 길이가 짧은 경우 normal 입력으로 결정되고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영역(1600)을 터치한 길이가 긴 경우 force 입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리모콘(100)의 특정 키의 감지 레벨이 제 1 감지 레벨(예를 들어, normal 입력)인 경우, 리모콘(100)은 좌표(x, y, z1)를 가지는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 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의 (B)를 참조하면, 리모콘(100)의 특정 키의 감지 레벨이 제 2 감지 레벨(예를 들어, force 입력)인 경우, 리모콘(100)은 좌표(x, y, z2)를 가지는 제 2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 2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7의 (A)에서의 동작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7의 (B)의 동작이 수행된 것이다.
도 17의 (C)를 참조하면, 도 17의 (A)에서의 동작이 수행된 상태에서 기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 도 17의 (B)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때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 2 동작이 아닌 제 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모콘(100)이 감지 레벨이 제 1 감지 레벨(예를 들어, normal 입력)인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 후 상기 기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 1 감지 레벨(예를 들어, normal 입력)인 제 1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제 3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정리하면, 동일한 키의 동일한 force 입력이더라도 이전 리모콘(100)과 이미지 처리 단말(102) 사이의 동작에 따라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리모콘(100)은 키들(210, 212 및 214) 뿐만 아니라 새로운 force 입력 키(1800)를 포함할 수 있다.
키들(210, 212 및 214)은 normal 입력을 위한 키로만 동작하고, force 입력 키(1800)가 선택될 때에만 force 입력이 가해지도록 리모콘(100)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키(212)를 선택하면 normal 입력이지만, 결정키(212)와 force 입력 키(1800)를 동시에 선택하거나 순차적으로 선택하면 force 입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리모콘(100)의 키들에 따른 좌표가 3차원 좌표였으나, 4차원 좌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100)에 새로운 키가 추가되거나 더 강한 세기로 특정 키를 선택한 경우, 리모콘(100)은 좌표(x, y, z, t)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면,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x, y, z)에 대한 동작을 수행시키면서 화면을 흔들리게 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리모콘(100)은 키들(210, 212 및 214) 뿐만 아니라 설명 영역(1900)을 포함할 수 있다.
force 입력인 경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어떠한 기능이 수행될지 알기가 어렵기 때문에,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설명 영역(1900)에 상기 force 입력에 따른 동작이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force 입력에 따라 실행될 동작을 인지하면서 force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미디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시 이미지 처리 단말(102)가 업그레이드 소프트웨어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고, 리모콘(100)은 별도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콘(100)은 좌표(x, y, z)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만을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며,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따라 좌표(x, y, z)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100)이 동일한 좌표(x, y, z)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하더라도, 이미지 처리 단말(102)은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리모콘(100)은 별도로 업그레이드되지 않으므로, 리모콘(100)의 구조가 간단하여지고 높은 성능을 가질 필요가 없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리모콘(100)을 사용하다가 분실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force 입력이 입력될 수 있도록, 이미지 처리 단말(102)에 force 입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키(2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키(2100)의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리모콘(100)은 제어부(2200), 통신부(2202), 키 관리부(2204), 감지부(2206), 제어 신호부(2208) 및 저장부(22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202)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과 연결되는 통로이며,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일 수 있다.
키 관리부(2204)는 내비키, 결정키, 기능키 등을 관리하며, 키들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경우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키의 구성 및 배열 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감지부(2206)는 normal 입력 및 force 입력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 신호부(2208)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좌표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이미지 처리 단말(102)로 전송한다.
저장부(2210)는 제어 신호, 프로그램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2200)는 이미지 처리 단말(102)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으로 터치 수단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가 영역(2300)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고, force 입력을 감지하는 제 2 감지부가 영역(2302)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감지부는 키의 좌표, 예를 들어 (x, y)를 감지한다.
즉, force 입력을 감지하는 제 2 감지부가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보다 작은 영역 내에 설치된다. 물론, 영역(2302) 외의 영역에서 사용자가 force 입력을 가하더라도 영역(2302) 내의 제 2 감지부가 force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내비키(210), 결정키(212) 및 기능키(214) 중 일부는 영역(2302)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모두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정전 용량 방식으로 터치 수단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및 force 입력을 감지하는 제 2 감지부가 영역(24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제 2 감지부가 도 23의 제 2 감지부보다 더 넓은 영역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리모콘(100)은 더 우수한 감도로 force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도 23의 리모콘(100)이 본 실시예의 리모콘(100)보다 단가가 저렴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리모콘 102 : 이미지 처리 단말
200 : 바디 210 : 내비키
212 : 기능키 214 : 결정키
400 : 터치 수단 600 : 개체
900 : 선택 개체 1300 : force 입력 표시 개체
1600 : 터치 영역 1900 : 설명 영역

Claims (17)

  1. 리모콘에 있어서,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결정키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
    상기 키의 좌표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상기 키를 선택하는 수단에 의한 상기 키로 가해지는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 및
    제어 신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에는 복수의 감지 레벨들이 설정되되,
    상기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감지 레벨이 결정되고, 상기 제 2 감지부의 설치 영역은 상기 제 1 감지부의 설치 영역 이하이며, 상기 제 2 감지부의 설치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해당 키가 터치될 때에도 상기 제 2 감지부는 상기 해당 키로 가해지는 세기 또는 면적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 신호부는 상기 결정된 감지 레벨에 대한 제어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선택된 키의 좌표 및 상기 키의 선택시 가해진 세기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동일 키에 대한 복수의 감지 레벨들은 서로 다른 기능 또는 화면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고, 상기 내비키, 상기 결정키 및 상기 기능키 각각에 복수의 감지 레벨들이 설정되며, 상기 감지 레벨들 각각은 상기 리모콘과 연결된 이미지 처리 단말의 서로 다른 기능 또는 화면과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키의 좌표 및 상기 키의 선택시 가해진 세기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는 3차원 좌표(x, y, z)로 표현되며, 동일 키일지라도 상기 z에 따라 상기 리모콘과 연결된 이미지 처리 단말의 기능 또는 화면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상기 키를 기설정 시간 이상 누를 때에만 상기 좌표(x, y, z)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레벨들은 상기 리모콘과 연결된 이미지 처리 단말의 서로 다른 화면과 매칭되되,
    상기 서로 다른 화면은 서로 다른 U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의 감지 레벨 및 관련 기능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및 상기 리모콘과 연결된 이미지 처리 단말을 포함하는 미디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시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만 업그레이드되고 상기 리모콘은 업그레이드되지 않되,
    상기 리모콘은 상기 업그레이드와 상관없이 상기 선택된 키의 좌표 및 상기 키의 선택시 가해진 세기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를 3차원 이상의 좌표로 표현하고 상기 3차원 이상의 좌표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의 상기 리모콘의 터치에 해당하는 레벨이 기설정된 감지 레벨들과 직접적으로 매칭되지 않고 특정 감지 레벨들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레벨은 상기 레벨의 상위 레벨 또는 하위 레벨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9. 제1항에 있어서,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터치되는 force 입력이 특정 키에 입력되면 상기 리모콘과 연결된 이미지 처리 단말의 화면에 상기 force 입력이 입력되었음을 표시하는 force 입력 표시 개체가 표시되되,
    상기 normal 입력이 상기 특정 키로 입력되면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화면에 어떠한 표시 개체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10. 리모콘에 있어서,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결정키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
    상기 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제어 신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를 선택하는 입력은 normal 입력과 상기 normal 입력보다 상기 키를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force 입력을 가지되,
    상기 normal 입력은 외부에서 보여지는 일반적인 키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 1 기능 또는 제 1 화면과 관련되고, 상기 force 입력은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는 제 2 기능 또는 제 2 화면과 관련되며, 상기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화면은 상기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화면과 각기 다르고, 상기 제 1 기능 또는 제 1 화면과 관련된 표시가 해당 키 또는 주변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반면에 상기 제 2 기능 또는 상기 제 2 화면과 관련된 표시가 해당 키 또는 주변에 시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force 입력은 상기 선택된 키의 좌표 및 상기 키의 선택시 가해진 세기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이상의 좌표로서 표현되며, 상기 제어 신호부는 상기 3차원 이상의 좌표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리모콘과 연결된 이미지 처리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12.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기능키; 
    결정키; 및
    상기 내비키, 상기 기능키 및 상기 결정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비키, 상기 기능키 및 상기 결정키에는 각기 normal 입력 및 상기 normal 입력보다 더 강한 세기 또는 면적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는 force 입력이 설정되되,
    상기 내비키에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방향키와 관련된 상기 내비키는 특정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기능키 또는 특정 동작의 실행을 결정하는 결정키로 동작하거나 상기 기능키에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기능키는 내비키 또는 결정키로서 동작하거나 상기 결정키에 force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결정키는 내비키 또는 기능키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비키가 아닌 상기 결정키 또는 상기 기능키에서 상기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감지 레벨들 중 하나는 up 키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는 down 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ormal 입력은 외부에서 보여지는 일반적인 키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 1 기능 또는 제 1 화면과 관련되고, 상기 force 입력은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는 제 2 기능 또는 제 2 화면과 관련되며, 상기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화면은 상기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화면과 각기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15. 리모콘에 있어서,
    방향키와 관련된 내비키, 결정키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
    상기 키의 선택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제어 신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에는 복수의 감지 레벨들이 설정되되,
    상기 키를 선택하는 수단에 의해 주어진 세기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감지 레벨이 결정되고, 상기 제어 신호부는 상기 결정된 감지 레벨에 대한 제어 정보를 가지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선택된 키의 좌표 및 상기 키의 선택시 가해진 세기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의 동일 키에 대한 복수의 감지 레벨들은 상기 리모콘과 연결된 이미지 처리 단말의 서로 다른 기능 또는 화면과 매칭되며, 상기 리모콘의 동일키에 대한 동일 감지 레벨일 때에도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소프트웨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처리 단말의 기능 또는 화면이 달라지고, 상기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에 따라 상기 리모콘에 새로운 키 또는 기능이 추가되며, 상기 새로운 키 또는 기능은 상기 리모콘의 특정키로의 입력에 따라 실행되며, 상기 업그레이드 전 상기 특정키로의 입력에 해당하는 특정 감지 레벨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과 상기 업그레이드 후 상기 특정키의 상기 특정 감지 레벨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16. 리모콘 구동 방법에 있어서,
    normal 입력으로 상기 리모콘의 특정 키를 선택하였음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normal 입력에 해당하는 제 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normal 입력보다 상기 특정 키를 더 강한 세기 또는 더 넓은 면적으로 선택하는 force 입력이 입력되었음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force 입력에 해당하는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동일 키에 대한 normal 입력 및 force 입력은 서로 다른 기능 또는 화면과 매칭되며,
    상기 리모콘의 force 입력을 감지하는 제 2 감지부의 설치 영역은 상기 리모콘의 키의 좌표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의 설치 영역 이하이고, 상기 제 2 감지부의 설치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해당 키가 터치될 때에도 상기 제 2 감지부는 상기 해당 키로 가해지는 세기 또는 면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normal 입력은 외부에서 보여지는 일반적인 키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 1 기능 또는 제 1 화면과 관련되고, 상기 force 입력은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는 제 2 기능 또는 제 2 화면과 관련되며, 상기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화면은 상기 제 1 기능 및 상기 제 1 화면과 각기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구동 방법.
KR1020170105328A 2017-08-21 2017-08-21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88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28A KR101881410B1 (ko) 2017-08-21 2017-08-21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28A KR101881410B1 (ko) 2017-08-21 2017-08-21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621A Division KR101771837B1 (ko) 2016-02-17 2016-02-17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168A KR20170101168A (ko) 2017-09-05
KR101881410B1 true KR101881410B1 (ko) 2018-07-24

Family

ID=5992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28A KR101881410B1 (ko) 2017-08-21 2017-08-21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4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180A (ja) * 2005-09-16 2007-03-29 Ntt Docomo Inc 携帯端末、及び、この携帯端末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JP2012068705A (ja) * 2010-09-21 2012-04-05 Sharp Corp 3dコンテンツ表示装置、および3dコンテンツ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704B1 (ko) * 2010-03-24 2012-03-23 글로벌테크링크(주) 터치 장치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터치 장치
KR20130030169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사용자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31939B1 (ko) * 2012-04-02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그레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40096A (ko) 2014-06-05 2015-12-15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센서 리모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180A (ja) * 2005-09-16 2007-03-29 Ntt Docomo Inc 携帯端末、及び、この携帯端末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JP2012068705A (ja) * 2010-09-21 2012-04-05 Sharp Corp 3dコンテンツ表示装置、および3dコンテンツ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168A (ko)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52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513802B2 (en)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KR101434982B1 (ko) 원격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제어
KR101775829B1 (ko)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KR102169521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341492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9176593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display apparatuses
KR101886209B1 (ko)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5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52482B1 (ko) 포스 입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시키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101771837B1 (ko)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833788B1 (ko) 포스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81410B1 (ko)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700726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33790B1 (ko) 포스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들을 실현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방법
EP3226568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862845B1 (ko) 리모콘 키의 감지 레벨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처리 단말 및 서비스 제공 방법
EP3247122A1 (en) Image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129070A (ko) 포스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리모콘의 키에 대한 좌표 보정과 장애를 판단하는 컴퓨터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KR1025934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048791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force input of a remote controller with three dimensional image in the same
KR101853961B1 (ko) 포스 입력의 식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1026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포인터 표시 방법
JP202451932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129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