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880B1 - 3d shape glass decoration method using preforming film - Google Patents

3d shape glass decoration method using preforming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880B1
KR101820880B1 KR1020160093736A KR20160093736A KR101820880B1 KR 101820880 B1 KR101820880 B1 KR 101820880B1 KR 1020160093736 A KR1020160093736 A KR 1020160093736A KR 20160093736 A KR20160093736 A KR 20160093736A KR 101820880 B1 KR101820880 B1 KR 10182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transfer
glass
film
ink layer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개식
Original Assignee
(주)코반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반케미칼 filed Critical (주)코반케미칼
Priority to KR102016009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8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8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72Degassing during the l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81Pre-treatment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9After-treatment of the layered product, e.g. cooling

Landscapes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shape glass decorating method using film preform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3D shape glass decorating method using the film preforming comprises: a step of preparing a thermal transfer film in which a release film, a thermal transfer ink layer, and a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are upwardly and downwardly laminated; a step of preforming the thermal transfer film as a set shape; a step of performing side-cutting for the preformed thermal transfer film to a set size; a step of adsorbing the thermal transfer film and glass respectively on a vacuum lapping jig, and touching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to the glass after alignment adjustment; a step of removing bubbles of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a step of thermally transferring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in which the bubbles are removed in the glass; a step of removing the release film after cooling the glass in which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is thermally transferred; and a step of curing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which is thermally transferred, in the gla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xcellent surface leveling.

Description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3D SHAPE GLASS DECORATION METHOD USING PREFORMING FIL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shape glass decorating method using film preform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of decorating a three-dimensional shaped glass using film preforming.

무선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폰은 소형화 및 복잡화되고 있는데 따라, 전기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특성까지도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phones have become smaller and complicated, and accordingly, not only electrical characteristics but also mechanical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to have high reliability.

전자기기, 특히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들은 빠른 속도로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서 휴대성은 매우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며, 소형화, 경량화, 슬림화 등을 추구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 폰은 휴대폰 고유의 기능에서 나아가 그 기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다양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의 다양화 추세에 따라 스마트 폰 자체에 집적된 IT 기술은 복합적이며, 제품단가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Mobile devices such as electronic devices, especially smart phones, are being developed at a high speed. Porta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in such mobile devices, and efforts to pursue miniaturization, lightweight, slimmer, etc. are continuing. In addition, the functions of smart phones are becoming more diverse than the functions inherent in mobile phones. With the diversification of these functions, the IT technology integrated in the smart phone itself is complex and the product unit price is high .

종래의 휴대폰에 적용된 표시 창(이하, 윈도우라 함)은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이 쉬운 합성수지 재질(예: 아크릴수지 등)을 이용하였다. Conventionally, a display window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ndow) applied to a mobile phone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e.g., acrylic resin) which is inexpensive and easy to manufacture.

하지만, 합성수지의 경우 열과 스크래치에 취약하고, 투과율이 나쁘며 선명한 화면을 위해 휘도를 높일 경우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의 윈도우로 글라스(예: 강화유리 등) 소재가 이용된다.However, in the case of synthetic resin, since it is vulnerable to heat and scratches, has a poor transmittance, and increases the luminance when the luminance is increased for a clear screen, recently, a window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used.

이에 따라, 글라스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글라스를 통해 구현해 낼 수 있는 다양한 외관 미감 형성 등의 효과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글라스용 장식부재(또는 '데코 필름'이라 지칭함)가 몇몇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As a result, attention has been paid to effects of forming various appearance aesthetics that can be realized through a glass in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glass, and a decorative member for a glass (or a "deco film" It is true.

구체적인 예로서, 글라스를 통해 금속 질감 및/또는 입체 형상을 강조하는 외관 미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글라스용 장식부재에 대한 개발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As a concrete exampl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development of a decorative member for a glass which can form an appearance aesthetic that emphasizes metal texture and / or three-dimensional shape through a glass.

종래의 글라스 장식 방법에는 열전사 방식이 이용되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열전사 방식은 롤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방식으로 평면 글라스에 적용이 가능하였는데 3차원 형상의 글라스에는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glass decorating method, a thermal transfer method is used. As is well known, the conventional thermal transfer method can be applied to a flat glass by a method of pressing using a roller,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three-dimensional glass.

또한, 종래의 열전사 방식을 이용할 경우 2 Bended 형상도 일부 구현이 가능하지만, 에지(edge) 면의 잉크 전사가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롤러가 회전하면서 직선 운동으로 필름을 눌러 전사를 하는 방식이어서 필름 및 잉크의 변형이 초래될 우려가 있으며, 치수 정밀도 저하 및 형상 왜곡의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thermal transfer method is used, some of the 2 Bended shapes can be realiz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k transfer on the edge surface is not smooth, and the roller is rota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ilm and the ink are deform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mensional accuracy is lowered and the shape is distorted.

특히, 종래의 열전사 방식에 따르면 롤러가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므로 3차원 형상(구체적인 예로는, 4면 Bended 나 Pocket 형상 등)의 제품에는 열전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hermal transfer method, since the roller moves only in one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mal transfer is impossible in a product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specifically, four-side bent or pocket shaped).

그 밖에도 열전사 필름과 글라스 간의 위치 얼라인먼트(alignment)에 어려움이 있으며, 전사 면의 기포 제거에 한계가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aligning the position between the thermal transfer film and the glass,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removal of air bubbles on the transfer surface.

게다가, 종래의 열전사 방식에 의하면, 높은 압력과 열을 필름에 직접적으로 가하게 되므로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의 표면 레벨링(leveling)이나 이물질 등이 그대로 드러나는 문제가 있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hermal transfer method, since the high pressure and heat are directly applied to the film, there is a problem that surface leveling or foreign matter of the portion to which the pressure is applied is expos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2474호(2013.02.04.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유리부착용 장식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12474 (published on March 23, 2013), which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film for glass attachment.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형상 글라스의 내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열전사용 필름을 프리포밍(Pre-Forming) 후 진공 합지 방식으로 글라스와 필름을 정확히 얼라인먼트(alignment) 해줄 수 있어 필름의 변형, 왜곡을 방지하며, 3차원 입체 형상 구현에 탁월한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cisely align the glass and the film by pre-forming and then vacuum-aligning the thermoelectric converting film in the same shape as the inner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d glass, And to provide a method of decorating a three-dimensional shape glass using film preforming excellent in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shap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포의 완벽한 제거가 가능하며 전사 시 높은 압력을 가해줄 필요가 없어 글라스 및 필름에 가해지는 데미지가 적으며 표면 레벨링이 우수한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ecorating a three-dimensional shape glass using film pre-forming, which is capable of completely removing bubbles and does not need to apply high pressure during transfer,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이형필름, 열전사 잉크층, 내열보호필름이 상하로 적층된 열전사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열전사 필름을 설정형상으로 프리포밍(pre-forming)하는 단계; (c) 상기 프리포밍 된 열전사 필름을 설정크기로 사이드커팅 하는 단계; (d) 상기 열전사 필름과 글라스 각각을 진공합지지그에 흡착시키고, 상호 얼라인먼트 조정 후 상기 글라스에 상기 열전사 잉크층을 가접하는 단계; (e) 상기 열전사 잉크층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f) 상기 기포가 제거된 열전사 잉크층을 상기 글라스에 열전사시키는 단계; (g) 상기 열전사 잉크층이 열전사된 상기 글라스를 냉각시킨 후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h) 상기 글라스에 열 전사된 열전사 잉크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ermal transfer recording, comprising: (a) preparing a thermal transfer film in which a release film, a thermal transfer ink layer, (b) pre-forming the thermal transfer film into a predetermined shape; (c) side-cutting the preformed thermal transfer film to a set size; (d) adsorbing each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and the glass on a vacuum lapping jig, aligning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with the glass after aligning each other; (e) removing bubbles of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f) thermally transferring the bubble-free thermal transfer ink layer to the glass; (g) cooling the glass to which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is thermally transferred, and then removing the release film; And (h) curing the thermally transferred ink layer thermally transferred to the glass. The method for decorating a three-dimensional shaped glass using the film preforming is provided.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형필름은 내열 PET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열보호필름은 PET 또는 PE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In the step (a), the release film may be made of heat-resistant PET material, and the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may be made of PET or PE material.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열전사 필름은, 전사대상 글라스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프리포밍(pre-forming)될 수 있다. In the step (b), the thermal transfer film may be preform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transfer target glass.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열전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가압 구동하는 프리포밍 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프리포밍 장치는, 상기 열전사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글라스의 단면에 대응하는 홈부를 갖는 프리포밍 하부몸체와, 상기 열전사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홈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프리포밍 상부몸체를 포함한다. The preform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eforming devic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and corresponding to an end surface of the glass, wherein the preforming device is a preforming device for vertically pushing and driving the thermal transfer film therebetween in the step (b) And a preforming upper body disposed on the thermal transfer film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groove portion.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열전사 필름은, 전사대상 글라스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글라스 내측 범위를 벗어난 사이드 단부가 제거될 수 있다. In the step (c), the side edge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that is out of the glass inside range may be remov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transfer target glass.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열전사 필름의 사이드 단부를 향해 좌우로 구동하는 사이드 커터를 이용할 수 있다. In the step (c), a side cutter may be used which is driven laterally toward the side end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진공합지지그는, 상기 열전사 필름을 진공 흡착시키도록 상부에 배치되는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와, 상기 글라스를 안착시켜 진공 흡착시키도록 하부에 배치되는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에는, 상기 글라스를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가 내장될 수 있다. In the step (d), the vacuum joining support may include: an upper body of a vacuum lapping jig disposed at an upper part to vacuum-adsorb the thermal transfer film; a vacuum lapping jig lower part placed under the glass to vacuum-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glass to a set temperature may be incorporated in the lower body of the vacuum lapping jig.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에 진공 흡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열전사 필름 중 상기 내열보호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d-2) 상기 내열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열전사 필름과 상기 글라스 간의 얼라인먼트를 비전 카메라나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단계; (d-3) 상기 히터를 구동시켜 상기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에 안착된 상기 글라스를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d-4) 상기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를 하강시켜 상기 글라스에 상기 열전사 잉크층이 적층된 상기 열전사 필름을 가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d) includes the steps of: (d-1) removing the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from the thermal transfer film fixed to the upper body of the vacuum jig by vacuum suction; (d-2) adjusting the alignment between the thermal transfer film from which the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is removed and the glass using a vision camera or a micrometer; (d-3) heating the glass placed on the lower body of the vacuum joint jig to a set temperature by driving the heater; And (d-4) lowering the upper body of the vacuum lapping jig to contact the thermal transfer film having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laminated on the glass.

상기 (d-3) 단계에서, 상기 글라스의 가열온도는 50~80℃인 것이 좋다. In the step (d-3),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glass is preferably 50 to 80 ° C.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글라스에 가접된 상기 열전사 잉크층 내의 기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kg 이상의 압력과 65℃~80℃ 정도의 온도에서 대략 15~20분 이상 기포 제거 작업이 실시될 수 있다. In the step (e), bubbles in the thermal ink layer adhering to the glass may be removed using an autoclave device. Preferably, the degassing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at a pressure of 15 kg or more and a temperature of about 65 ° C to 80 ° C for about 15 to 20 minutes or more.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열전사 잉크층이 가접된 상기 글라스를 글라스 고정지그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이형필름 상부로 설정온도로 가열된 열 압착 패드를 가압하여 기포가 제거된 상기 열전사 잉크층을 상기 글라스로 열전사할 수 있다. 이때의 온도, 압력, 시간은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In the step (f), the glass having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sandwiched thereon is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lass fixing jig, and the thermal compression pad heated to a set temperature is pressed on the release film to remove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can be thermally transferred to the glass.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time at this tim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경화는 박스 오븐을 이용하며, 150~180℃에서 20~3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In the step (h), the curing may be carried out at 150 to 180 ° C for 20 to 30 minutes using a box oven.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형상 글라스의 내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열전사용 필름을 프리포밍(Pre-Forming) 후 진공 합지 방식으로 글라스와 필름을 정확히 얼라인먼트(alignment) 해줄 수 있어 필름의 변형, 왜곡을 방지하며, 3차원 입체 형상 구현에 탁월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lign the glass and the film by pre-forming and then vacuum-joining the thermoelectric converting film in the same shape as the inner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d glass, And it is advantageous in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solid shap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 내의 기포의 완벽한 제거가 가능하며 전사 시 높은 압력을 가해줄 필요가 없어 글라스 및 필름에 가해지는 데미지가 적으며 표면 레벨링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bubbles in ink, and there is no need to apply a high pressure when transferring the ink, so that damage to glass and film is small and surface leveling is excellent.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에 포함된 단계들의 공정도들이다.
FIG. 1 is a flowchart briefly showing a method for decorating a three-dimensional shape glass using film preform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9 are process diagrams of steps included in a method of decorating a three-dimensional shape glass using film preform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에 포함된 단계들의 공정도들이다.
FIG. 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decorating a three-dimensional shape glass using film preform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9 are views showing a three- These are the process diagrams of the steps involved in the method of decorating the shape glas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은, 열전사 필름 준비 단계(S110), 프리포밍 단계(S120), 사이드 커팅 단계(S130), 가접 단계(S140), 기포 제거 단계(S150) 전사 단계(S160), 냉각 및 필름 제거 단계(S170), 그리고 경화 단계(S1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method for decorating a three-dimensional shape glass using film preform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al transfer film preparing step S110, a preforming step S120, a side cutting step S130, A bubble removing step S150, a transferring step S160, a cooling and film removing step S170, and a curing step S180.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FIG.

열전사 필름 준비 단계(S110)The thermal transfer film preparation step (S110)

본 단계는 열전사 필름 준비 단계로서, 이형필름, 열전사 잉크층, 내열보호필름이 상하로 적층된 열전사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This step corresponds to the step of preparing a thermal transfer film in which a release film, a thermal transfer ink layer, and a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are laminated on top and bottom.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이형필름(110), 열전사 잉크층(120), 내열보호필름(130)이 상하로 적층된 열전사 필름(100)이 준비될 수 있다. 2, a thermal transfer film 100 in which a release film 110, a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and a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130 are stacked on top and bottom can be prepared .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열전사 필름(100)에서, 이형필름(110)은 내열 PET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열보호필름(130)은 PET 또는 P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in this thermal transfer film 100, the release film 110 may be made of heat-resistant PET material, and the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130 may be made of PET or PE material.

프리포밍 단계(S120)In the preforming step S120,

본 단계는 프리포밍 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준비된 열전사 필름을 설정형상으로 프리포밍(pre-forming)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여기서 '설정형상'이란 전사대상 제품, 즉 글라스(10, 도 5 참조)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말하며,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따를 필요는 없다.This step corresponds to a preforming step of preforming the thermal transfer film prepared in the previous step into a set shape. Here, the term " setting shape " refers to a shape corresponding to an inner shape of a product to be transferred, that is, a glass 10 (see Fig. 5), and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conform to the illustrated form.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준비된 열전사 필름(100)이 설정형상으로 프리포밍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this step,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prepared in the previous step can be preformed into a set shape.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단계에서는 열전사 필름(10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가압 구동하는 프리포밍 장치(200)가 이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in this step, a preforming apparatus 200 for vertically pressing and driving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may be used.

여기서, 프리포밍 장치(200)는 프리포밍 상부몸체(210)와 프리포밍 하부몸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몸체(210) 및 하부몸체(220)에는 열전사 필름에 열을 가할 수 있는 히팅 장치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The preforming apparatus 200 may include a preforming upper body 210 and a preforming lower body 220.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20 may be provided with heat A heating device must be included.

구체적으로는 프리포밍 하부몸체(220)는 열전사 필름(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글라스(10, 도 5 참조)의 내측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홈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리포밍 상부몸체(210)는 열전사 필름(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홈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Concretely, the preforming lower body 22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and have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lass 10 (see FIG. 5). In addition, the preforming upper body 210 may be formed on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so as to hav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groove.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포밍 상부몸체(210)가 열전사 필름(100)의 상부 면을 눌러주어 프리포밍 상부몸체(210)와 프리포밍 하부몸체(220) 사이에서 열전사 필름(100)이 설정형상으로 프리포밍 될 수 있다.3 (b), the preforming upper body 210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to form the preforming upper body 210 and the preforming lower body 220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can be pre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이러한 프리포밍 단계가 수행될 때, 열전사 필름(10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별도의 가이드 핀(미도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hen this preforming step is performed, a separate guide pin (not shown) or the like may be u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사이드 커팅 단계(S130)In the side cutting step (S130)

본 단계는 사이드 커팅 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프리포밍 된 열전사 필름을 설정크기로 사이드 커팅 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This step is a side cutting step, which corresponds to the step of side-cutting the pre-formed thermal transfer film to the set size in the previous step.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프리포밍 된 열전사 필름(100)은 설정크기로 사이드 커팅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this step, the preformed thermal transfer film 100 in the previous step can be side-cut to a set size.

여기서 '사이드 커팅'이라 함은, 프리포밍 된 열전사 필름(100)의 사이드 단부(즉, 양측 단부)를 전사대상 글라스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커팅하여 제거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Here, the term 'side cutting' refers to an operation of cutting and removing the side end portions (that is, both end portions) of the preformed thermal transfer film 100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transfer target glass.

즉, 본 단계를 통해 프리포밍 된 열전사 필름(100)은 전사대상 글라스(10, 도 5 참조)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글라스(10, 도 5 참조)의 내측 범위를 벗어난 양측 잉여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That is, the pre-formed thermal transfer film 100 is removed from both sides of the glass 10 (see Fig. 5) in such a manner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shape of the transfer target glass 10 .

구체적인 예로서, 본 단계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사이드 커터(300)가 이용될 수 있다. 사이드 커터(300)는 열전사 필름(100)의 사이드 단부(100')를 향해 좌우로 수평 구동하는 커팅수단으로서, 글라스(10, 도 5 참조)의 내측 범위에 대응되는 부위만을 남기고 양측 불필요한 사이드 단부(100')를 제거한다. As a specific example, in this step, the side cutter 300 shown in Fig. 3 (a) can be used. The side cutter 300 is a cutting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left and right toward the side end portion 100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The side cutter 300 is a cutting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The end 100 'is removed.

도 3의 (b)를 참조하면, 불필요한 사이드 단부(100')가 제거되고 글라스(10, 도 5 참조)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로 사이드 커팅된 열전사 필름(100)의 단면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b),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that has been cut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glass 10 (see FIG. 5) and the unnecessary side end portion 100 ' .

가접 단계(S140)In step S140,

본 발명은 가접 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프리포밍 후 사이드 커팅 된 열전사 필름과 전사대상 글라스 각각을 진공합지지그에 흡착시키고, 상호 얼라인먼트 조정 후 글라스에 열전사 잉크층이 적층된 열전사 필름을 가접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ding step of bonding a thermally transferred film and a glass to be transferred to a vacuum lapping jig in a previous step after preforming and then thermally transferring the thermal transfer film laminated with a thermally- This corresponds to the contacting step.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프리포밍 및 사이드 커팅 된 열전사 필름(100)과 글라스(10) 각각을 진공합지지그(400)에 흡착시킨다.Referring to FIG. 5, the preformed and side-cut thermal transfer film 100 and the glass 10 are respectively adsorbed to the vacuum lapping jig 400. As shown in FIG.

여기서, 진공합지지그(400)는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410)와,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vacuum lapping jig 400 may include a vacuum lapping jig upper body 410 and a vacuum lapping jig lower body 420.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410)는 상부에 배치되어 열전사 필름(100)을 진공 흡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420)는 하부에 배치되어 글라스(10)를 안착시켜 진공 흡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vacuum lap jig upper body 410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configured to vacuum-adsorb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In addition, the vacuum lapping jig lower body 42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mount the glass 10 and vacuum adsorb it.

바람직하게는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420)에는 히터가 구비되는 것이 좋은데, 이를 통해 글라스(10)를 설정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vacuum lap jig lower body 420 is provided with a heater, through which the glass 10 can b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본 단계는 다음과 같은 세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is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detailed steps.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410)에 진공 흡착되어 고정되는 열전사 필름(100) 중 하부에 형성된 내열보호필름(130)을 제거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5, a step of removing the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130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which is vacuum-chucked and fixed to the upper body 410 of the vacuum joint jig, is performed .

다음으로, 내열보호필름(130)이 제거되고 나면, 열전사 필름(100)과 글라스(10) 간의 얼라인먼트를 비전 카메라나 마이크로미터 등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데, 비전 카메라와 달리 다양한 위치 센서 등이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Next, after the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130 is removed, the alignment between the thermal transfer film 100 and the glass 10 can be adjusted by using a vision camera or a micrometer. In contrast to the vision camera, It may be used.

다음으로,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420)에 구비된 히터를 이용하여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420)에 안착된 글라스(10)를 설정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Next, the glass 10 mounted on the lower vacuum body 420 can be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using a heater provided in the vacuum body 420. [

여기서, 글라스(10)를 가열하는 이유는 글라스(10)의 온도를 적절히 높여 주어 열전사 잉크층(120)과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글라스(10)와 열전사 잉크층(120) 상호 간의 가접 작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for heating the glass 10 is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10 appropriately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the thermal ink layer 120 so that the glass 10 is bonded to the thermal ink layer 120 So that it can be done well.

바람직하게는 글라스(10)의 가열온도는 50~80℃인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glass 10 is 50 to 80 占 폚.

만일 50℃ 미만일 경우에는 열전사 잉크층(120)의 접착력이 필요한 만큼 향상되지 않아 상호 간의 가접 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반대로 글라스(10)의 가열온도가 80℃를 초과하면 열전사 잉크층(120)의 접착력이 필요 이상 증가되기 때문이다. If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glass 10 is higher than 80 DEG C,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may not be sufficiently bonded to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120) is increased more than necessary.

다음으로,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410)를 하강시켜, 즉, 진공 합지 공정을 통해 글라스(10)에 열전사 잉크층(120)이 가접 될 수 있다. 열전사 잉크층(120)이 글라스(10)의 내측에 가접된 형태는 도 5의 (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Next,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may be bonded to the glass 10 by lowering the upper body 410 of the vacuum joint jig, that is, through the vacuum lapping process. The form in which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is bonded to the inside of the glass 10 can be confirmed through FIG. 5 (b).

기포 제거 단계(S150)The bubble removing step (S150)

본 발명은 기포 제거 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글라스에 가접된 열전사 잉크층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bble removing step, which corresponds to a step of removing bubbles of a thermal transfer ink layer that is bonded to a glass in a previous step.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글라스(10)에 가접된 열전사 잉크층(120)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this step, bubbles of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bonded to the glass 10 can be removed.

구체적으로는, 글라스(10)에 가접된 열전사 잉크층(120) 내의 기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장치(500)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데, 이때의 압력, 온도, 시간은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15kg 이상의 압력과 65~80℃ 정도의 온도에서 대략 15~20분 이상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Specifically, bubbles in the thermal ink layer 120 adhered to the glass 10 can be removed by using an autoclave device 500. The pressure, temperature, and time at this tim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o. Preferably, the bubbles can be removed at a pressure of 15 kg or more and a temperature of about 65 to 80 DEG C for about 15 to 20 minutes or more.

전사단계(S160)In the transferring step S160,

본 단계는 전사 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기포가 제거된 열전사 잉크층을 글라스에 열전사 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This step corresponds to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thermally transferable ink layer from which bubbles have been removed to the glass in the previous step.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열전사 잉크층(120)이 가접된 글라스(10)를 글라스 고정지그(620)에 안착시키고, 이형필름(110)의 상부로 설정온도로 가열된 열 압착 패드(610)를 가압하여, 글라스(10)에 열전사 잉크층(120)을 전사시킬 수 있다. 이때의 온도, 압력, 시간은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7, the glass 10 to which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is adhered is placed on the glass fixing jig 620, and the upper part of the release film 110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can be transferred to the glass 10 by pressing the heated thermocompression pad 610. The temperature, pressure and time at this tim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이로써, 이전 단계에서 가접된 상태에서 열전사 잉크층(120) 내의 잔류 기포를 완벽히 제거한 후 열전사 잉크층(120)을 3차원 형상의 글라스(10)의 굴곡지게 오목한 내측 부위로 불량 없이 전사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us, after the residual bubbles in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are completely removed in the state of being bonded in the previous step,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is transferred to the bent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glass 10 without any defect And the product quality can be improved.

냉각 및 필름 제거 단계(S170)Cooling and film removal step (S170)

본 단계는 냉각 및 필름 제거 단계로서, 열전사 잉크층이 열전사된 글라스를 냉각시킨 후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This step is a step of cooling and removing the film, which corresponds to the step of cooling the glass in which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is thermally transferred, and then removing the release film.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열 압착 패드(610, 도 7 참조)를 이용하여 글라스(10)의 내측에 열전사 잉크층(120)이 열전사 되고 나면, 이를 글라스 고정지그(620, 도 7 참조)에서 반출하여 냉각시킨다. 8, when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is thermally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glass 10 using the thermocompression pad 610 (see FIG. 7) in the previous step, It is taken out from the glass fixing jig 620 (see Fig. 7) and cooled.

여기서, '냉각'이라 함은, 자연 냉각이 이용 가능한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냉각 수단이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Here, 'cooling' refers to natural cool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cooling means may be used.

한편, 냉각이 이루어지고 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사 잉크층(120) 상부의 이형필름(110)을 제거한다. 이로써, 글라스(10)와, 글라스(10)의 내측에 전사된 열전사 잉크층(120)만이 남게 된다.
On the other hand, once cooling is performed, the release film 110 on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is removed as shown in FIG. As a result, only the glass 10 and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glass 10 remain.

경화 단계(S180)In the curing step S180,

본 단계는 경화 단계로서, 열전사 잉크층이 전사된 글라스를 박스 오븐(Box Oven) 장치 등을 이용하여 최종 경화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This step is a curing step, which corresponds to the step of final curing the glass to which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has been transferred by using a box oven apparatus or the like.

본 단계의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이전 단계에서 이형필름(110, 도 9 참조)을 제거한 글라스(10)에 열 전사된 열전사 잉크층(120)을 경화시킨다. Referring to FIG. 9,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120 thermally transferred to the glass 10 from which the release film 110 (see FIG. 9) has been removed in the previous step is cured.

이때, 경화(Curing)을 위하여 박스 오븐 등의 경화장치(700)가 이용 가능한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a curing apparatus 700 such as a box oven may be used for curing,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한편, 이러한 경화 단계에서는 온도와 시간을 설정해 줄 수 있는데, 바람직한 예로서 150℃~180℃에서 20~30분 정도 경화를 실시해 줄 수 있다. In this curing step, the temperature and time can be set. As a preferable example, the curing can be performed at 150 ° C to 180 ° C for 20 to 30 minut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3차원 형상 글라스의 내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열전사용 필름을 프리포밍(Pre-Forming) 후 진공 합지 방식으로 글라스와 필름을 정확히 얼라인먼트(alignment) 해줄 수 있어 필름의 변형, 왜곡을 방지하며, 3차원 입체 형상 구현에 탁월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film is pre-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inner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glass, and the glass and the film are precisely aligned in a vacuum-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and distortion of the film, and is advantageous in realizing a three-dimensional solid shape.

종래의 글라스 장식 방법에도 열전사 방식이 이용되었다. 종래의 열전사 방식은 롤러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방식으로 평면 글라스에 적용이 가능하였는데 3차원 형상의 글라스에는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열전사 방식을 이용할 경우 2 Bended 형상도 일부 구현이 가능하지만, 에지(edge) 면의 잉크 전사가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롤러가 회전하면서 직선 운동으로 필름을 눌러 전사를 하는 방식이어서 필름 및 잉크의 변형이 초래될 우려가 있으며, 치수 정밀도 저하 및 형상 왜곡의 문제가 있었다. A thermal transfer method was also used in the conventional glass decorating method. The conventional thermal transfer method can be applied to a flat glass by a method of pressing using a roller,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three-dimensional glass.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thermal transfer method, although a part of the 2 Bended shape can be realiz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k transfer on the edge side is not smooth, and the roller is rotated, And deformation of the ink may be caused,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of reduction in dimensional precision and shape distortion.

본 발명의 의하면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3차원 형상, 구체적인 예로는, 4면 Bended 나 Pocket 형상 등을 갖는 글라스 제품에 대한 잉크층의 열전사가 가능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nventional problem can be solved, and in particular, thermal transfer of the ink layer to a glass product having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specifically, a four-sided bent or pocket shape, etc., can be made possible.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 내의 기포의 완벽한 제거가 가능하며 전사 시 높은 압력을 가해줄 필요가 없어 글라스 및 필름에 가해지는 데미지가 적으며 표면 레벨링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bubbles in the ink, and there is no need to apply a high pressure at the time of transfer, so that the damage to the glass and the film is small and the surface leveling is excell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S110: 열전사 필름 준비 단계
S120: 프리포밍 단계
S130: 사이드 커팅 단계
S140: 가접 단계
S150: 기포 제거 단계
S160: 전사 단계
S170: 냉각 및 필름 제거 단계
S180: 경화 단계
10: 글라스(또는 3차원 형상 글라스)
100: 열전사 필름
110: 이형필름
120: 열전사 잉크층
130: 내열보호필름
200: 프리포밍 장치
210: 프리포밍 상부몸체
220: 프리포밍 하부몸체
300: 사이드 커터
400: 진공합지지그
410: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
420: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
500: 오토클레이브 장치
610: 열 압착 패드
620: 글라스 고정지그
700: 큐어링 장치
S110: Preparation of thermal transfer film
S120: Preforming step
S130: Side cutting step
S140:
S150: air bubble removal step
S160: Transfer step
S170: cooling and film removal step
S180: Curing step
10: Glass (or three-dimensional shape glass)
100: Thermal transfer film
110: release film
120: thermal transfer ink layer
130: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200: preforming device
210: preforming upper body
220: preforming lower body
300: Side cutter
400: vacuum lapping jig
410: vacuum lapping jig upper body
420: vacuum lapping jig lower body
500: autoclave device
610: Thermocompression pad
620: Glass fixing jig
700: Curing device

Claims (10)

(a) 이형필름, 열전사 잉크층, 내열보호필름이 상하로 적층된 열전사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열전사 필름을 설정형상으로 프리포밍(pre-forming)하는 단계;
(c) 상기 프리포밍 된 열전사 필름을 설정크기로 사이드커팅 하는 단계;
(d) 상기 열전사 필름과 글라스 각각을 진공합지지그에 흡착시키고, 상호 얼라인먼트 조정 후 상기 글라스에 상기 열전사 잉크층을 가접하는 단계;
(e) 상기 열전사 잉크층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f) 상기 기포가 제거된 열전사 잉크층을 상기 글라스에 열전사시키는 단계;
(g) 상기 열전사 잉크층이 열전사된 상기 글라스를 냉각시킨 후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h) 상기 글라스에 열전사된 열전사 잉크층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
(a) preparing a thermal transfer film in which a release film, a thermal transfer ink layer, and a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are stacked on top and bottom;
(b) pre-forming the thermal transfer film into a predetermined shape;
(c) side-cutting the preformed thermal transfer film to a set size;
(d) adsorbing each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and the glass on a vacuum lapping jig, aligning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with the glass after aligning each other;
(e) removing bubbles of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f) thermally transferring the bubble-free thermal transfer ink layer to the glass;
(g) cooling the glass to which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is thermally transferred, and then removing the release film; And
(h) curing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thermally transferred to the glass;
A method of decorating a three-dimensional shape glass using film preform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이형필름은 내열 PET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열보호필름은 PET 또는 PE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a)
The release film is made of heat-resistant PET material,
Wherein the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is made of PET or P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열전사 필름은, 전사대상 글라스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프리포밍(pre-form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b)
Wherein the thermal transfer film is preformed corresponding to an inner shape of the transfer target gla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열전사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가압 구동하는 프리포밍 장치를 이용하되,
상기 프리포밍 장치는, 상기 열전사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글라스의 단면에 대응하는 홈부를 갖는 프리포밍 하부몸체와, 상기 열전사 필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홈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프리포밍 상부몸체를 포함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step (b)
A preforming device for vertically pressing and driving the thermal transfer film therebetween,
The preforming apparatus includes a preforming lower body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and having a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nd surface of the glass, and a preforming lower body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and protruding toward the groove portion. Method of decorating a three dimensional shape glass using film preforming including a form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열전사 필름은,
전사대상 글라스의 내측 형상에 대응하여 글라스 내측 범위를 벗어난 사이드 단부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c)
Wherein the thermal transfer film
Wherein a side edge of the glass outside the glass inside range is removed corresponding to an inner shape of the glass to be transferr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열전사 필름의 사이드 단부를 향해 좌우로 구동하는 사이드 커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c)
Wherein a side cutter is used which is driven right and left toward a side end portion of the thermal transf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진공합지지그는, 상기 열전사 필름을 진공 흡착시키도록 상부에 배치되는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와, 상기 글라스를 안착시켜 진공 흡착시키도록 하부에 배치되는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에는, 상기 글라스를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d)
The vacuum assembly includes a vacuum assembly jig upper body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to vacuum-adsorb the thermal transfer film, and a vacuum assembly jig lower body placed under the glass assembly to vacuum-adsorb the glass,
Wherein the vacuum joining jig lower body is provided with a heater for heating the glass to a set tempera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d-1) 상기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에 진공 흡착되어 고정되는 상기 열전사 필름 중 상기 내열보호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d-2) 상기 내열보호필름이 제거된 상기 열전사 필름과 상기 글라스 간의 얼라인먼트를 비전 카메라나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단계;
(d-3) 상기 히터를 구동시켜 상기 진공합지지그 하부몸체에 안착된 상기 글라스를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d-4) 상기 진공합지지그 상부몸체를 하강시켜 상기 글라스에 상기 열전사 잉크층이 적층된 상기 열전사 필름을 가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d)
(d-1) removing the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from the thermal transfer film fixed to the upper body of the vacuum jig by vacuum suction;
(d-2) adjusting the alignment between the thermal transfer film from which the heat-resistant protective film is removed and the glass using a vision camera or a micrometer;
(d-3) heating the glass placed on the lower body of the vacuum joint jig to a set temperature by driving the heater; And
(d-4) lowering the upper body of the vacuum lapping jig to contact the thermal transfer film laminated with the thermal ink layer onto the gla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글라스에 가접된 상기 열전사 잉크층 내의 기포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e)
Wherein the bubbles in the thermal ink layer adhered to the glass are removed using an autoclav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열전사 잉크층이 가접된 상기 글라스를 글라스 고정지그 상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이형필름 상부로 설정온도로 가열된 열 압착 패드를 가압하여 기포가 제거된 상기 열전사 잉크층을 상기 글라스로 열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프리포밍을 이용한 3차원 형상 글라스 장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f)
The glass having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sandwiched thereon is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a glass fixing jig, and the thermal compression pad heated to a set temperature is pressed on the release film to heat the thermal transfer ink layer from which the bubbles have been removed, Wherein the film preform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KR1020160093736A 2016-07-22 2016-07-22 3d shape glass decoration method using preforming film KR1018208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736A KR101820880B1 (en) 2016-07-22 2016-07-22 3d shape glass decoration method using preforming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736A KR101820880B1 (en) 2016-07-22 2016-07-22 3d shape glass decoration method using preforming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880B1 true KR101820880B1 (en) 2018-03-08

Family

ID=6172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736A KR101820880B1 (en) 2016-07-22 2016-07-22 3d shape glass decoration method using preforming fil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8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6428A (en) * 2019-03-13 2020-09-22 三星显示有限公司 Method for peel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269766B1 (en) 2021-04-22 2021-06-28 (주)애드파인테크놀러지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cing fil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2861A (en) 2008-09-30 2010-04-15 Dai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JP2013132826A (en) 2011-12-26 2013-07-08 Mimaki Engineering Co Ltd In-mold molding method, metal mold for molding in-mold film, and in-mold film
KR101444234B1 (en) 2014-05-07 2014-09-26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Method for forming glass transferring pattern of display device and the glass transferring pattern structure
KR101463889B1 (en) 2013-06-27 2014-11-21 (주)이루모 Method for Forming Imprinted Layer onto Window Panel
KR101511216B1 (en) 2014-12-09 2015-04-10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Curved glass thermal transferring method by cutting print fil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2861A (en) 2008-09-30 2010-04-15 Dai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JP2013132826A (en) 2011-12-26 2013-07-08 Mimaki Engineering Co Ltd In-mold molding method, metal mold for molding in-mold film, and in-mold film
KR101463889B1 (en) 2013-06-27 2014-11-21 (주)이루모 Method for Forming Imprinted Layer onto Window Panel
KR101444234B1 (en) 2014-05-07 2014-09-26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Method for forming glass transferring pattern of display device and the glass transferring pattern structure
KR101511216B1 (en) 2014-12-09 2015-04-10 주식회사 씨아이씨티 Curved glass thermal transferring method by cutting print fil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6428A (en) * 2019-03-13 2020-09-22 三星显示有限公司 Method for peel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1433657B2 (en) 2019-03-13 2022-09-06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peeling off protective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KR102269766B1 (en) 2021-04-22 2021-06-28 (주)애드파인테크놀러지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cing fil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139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997139A (en) Polarizing lens for sunglasse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id lens
CN104843976A (en) 3D Curved ultrathin glass bending and form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170047282A (en) Methods of 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from glass sheets
KR2014001091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device of the display device
KR101820880B1 (en) 3d shape glass decoration method using preforming film
CN110843274A (en) Shell of electronic equipment, manufacturing method of shell and electronic equipment
EP1548937A1 (en) Production method for surface-mounted saw device
TW20142254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 glass for display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ver glass for display
US20180037486A1 (en) Glass housing,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6541669A (en) 3D glass decoration films process equipment and method
KR20130001082A (en) Glass manufacture method and mold for glass manufacture
KR10179752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otected cover for display panel with bented edge
US20130101765A1 (en) Device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4102032B (en) Preparation method of curved surface display panel as well as curved surface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5489619B (en) Image sensor apparatus and correlation technique with flexible interconnection layer
TW201639711A (en) Filming method and panel apparatus made thereof
KR101677014B1 (e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6012498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otected cover for display panel with bented edge and Protected cover for display panel with bented edge
JP201819694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 decorative part and laminator device thereof
KR10206806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glass having decoration sheet
KR101751732B1 (en) Thermal transfer method for multiple curved surface
TW201336686A (en) Lamination device and lamination method
TWI619056B (en) Curved touch panel and its preparation method
KR10206011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otective cover for cell phone using thermal fo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