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874B1 -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874B1
KR101787874B1 KR1020160024072A KR20160024072A KR101787874B1 KR 101787874 B1 KR101787874 B1 KR 101787874B1 KR 1020160024072 A KR1020160024072 A KR 1020160024072A KR 20160024072 A KR20160024072 A KR 20160024072A KR 101787874 B1 KR101787874 B1 KR 10178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dding
collimator
clad fiber
double clad
transpare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091A (ko
Inventor
유홍기
김진원
오왕열
이민우
김대식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874B1/ko
Priority to US16/080,330 priority patent/US10605983B2/en
Priority to PCT/KR2017/002181 priority patent/WO2017150879A1/ko
Publication of KR20170102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A61B5/0086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using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means insert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76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02B6/02038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with core or cladding having graded refractive inde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optical elements other than gratings, e.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2Optical details of coupling light into, or out of, or between fibre ends, e.g. special fibre end shapes or associated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4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 G02B6/266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the optical element being an attenu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61Interference filters, e.g. multilayer coatings, thin film filters, dichroic splitters or mirrors based on multilayers, WDM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02B6/327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with angled interfaces to reduce refl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5Surgical c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22Arrangements of medical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Connectors or couplings specifically adapted for medical sensors
    • A61B2562/221Arrangements of sensors with cables or leads, e.g. cable harnesses
    • A61B2562/223Optical cabl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22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 G02B6/03627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arranged -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22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 G02B6/03633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arranged - -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스캔 영상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잡음 감쇠 시준기는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코팅 제거 영역이 삽입되며, 상기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클래딩 직경보다 큰 직경의 투명 튜브; 및 상기 투명 튜브의 외부에 도포되며, 투명 튜브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제1수지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NOISE REDUCTION COLLIMATOR AND IMAGING CATHETER SYSTEM}
본 발명은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캔 영상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 질환 등의 진단에 사용되는 영상 카테터(imaging catheter)의 종래 기술로는 초음파 기술, 근적외선 영상기술, 광 간섭 단층촬영기술 등이 상용화되어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초음파 기술은 카테터 형태의 기기로 혈관 등의 시편에 삽입되어 혈관의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로 아직까지 병원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혈관 내 영상화 기술이다. 초음파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100μm 수준으로 낮고 대비도 또한 낮으며 영상 획득 속도가 약 30초 정도로 느리다.
근적외선 영상기술은 근적외선 빛을 이용하여 분광 방법에 의해 혈관 내벽에 지질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기술로, 최근 혈관 내 초음파와 결합되어 단일 카테터로 개발되기도 하였다.
광 간섭 단층촬영기술(OCT)은 혈관 내 초음파와 마찬가지로 카테터 형태의 기기로 혈관에 삽입되어 빛을 혈관으로 보내고, 돌아오는 빛을 분석하여 혈관의 단층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이다. 백색광 간섭계의 원리와 공초점 현미경 방식의 조합으로 생체조직내부의 미세구조를 획득한다.
초기 혈관 내 광 간섭 단층촬영기는 속도가 혈관 내 초음파 수준으로 빠르지 않아 널리 활용되지 못하였으나 최근에 개발된 2세대 혈관 내 광 간섭 단층촬영기술은 속도가 10배 이상 향상되어, 수 초 이내에 혈관 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혈액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식염수와 혈관 조영제를 혼합한 용액을 플러싱(Flushing) 하면서 영상을 얻는다. 혈관 내 초음파에 비해 10배 정도 향상된 분해능(~10μm)을 갖기 때문에 혈관 내의 미세한 변화도 관찰이 가능하다. 최근 형광 영상 기술을 접목한 다기능 영상화 기술이 연구실 수준에서 구현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11095호가 있다.
한편, 카테터로 빛을 전달하거나 카테터로 입력된 빛을 전달하기 위해 평행 광선을 형성하는 시준기(collimator)가 사용되는데, 시준기는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가 결합된 형태로 사용된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108141호가 있다.
시준기는 주로 싱글 모드 파이버(single mode fiber) 또는 더블 클래드 파이버(double clad fiber)와 결합된 형태로 사용되는데, 싱글 모드 파이버 및 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구성하는 코어(core), 클래딩(clading) 및 코팅층(coating)의 굴절률 프로파일은 도 1과 같다. 싱글 모드 파이버(도 1(a))의 경우 빛이 코어로만 가이딩되기 때문에 코어에서만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굴절률(Refractive index)이 코어, 코팅층, 클래딩 순으로 높은 값을 가진다. 반면에 더블 클래드 파이버(도 1(b))의 경우 빛이 코어뿐만 아니라 클래딩의 통해서도 가이딩되어야 하므로 굴절률이 코어, 클래딩, 코팅층 순으로 높은 값을 가진다.
시준기에 결합된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클래딩을 통해 가이딩되는 빛은, 또 다른 시준기에 결합된 싱글 모드 파이버 또는 더블 클래브 파이버의 코어로 커플링될 수 있는데, 코어와 클래딩 사이의 커플링에 의해 시편 스캔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카테터 장치의 스캔 영상에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시준기 및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에 있어서, 상기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코팅 제거 영역이 삽입되며, 상기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클래딩 직경보다 큰 직경의 투명 튜브; 및 상기 투명 튜브의 외부에 도포되며, 투명 튜브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제1수지층을 포함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에 있어서,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와 접속되며, 상기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클래딩보다 큰 직경의 클래딩을 포함하는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가 삽입되는 하우징; 및 렌즈를 포함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의 빛을 전달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상기 잡음 감쇠 시준기로부터 상기 빛을 입력받아 시편을 스캔하는 카테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잡음 감쇠 시준기는 상기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클래딩을 통해 가이딩되는 빛의 밀도를 감소시켜 스캔 영상에 대한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클래딩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보다 큰 직경의 클래딩에서 가이딩되도록 함으로써, 클래딩에서 가이딩되는 빛의 밀도를 낮춰 스캔 영상에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싱글 모드 파이버 및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영상화 카테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시준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영상화 카테터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카테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카테터 시스템의 노이즈 감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영상화 카테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광 간섭성 단층촬영기술(OCT)-근적외선 형광(NIRF) 영상 카테터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시준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영상화 카테터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화 카테터 시스템은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광원(210), 근적외선 형광 광원(Near Infrared Fluorescence Laser, 220), 고정부(230) 및 회전부(250)를 포함한다.
고정부(230)는 카테터(255) 회전시에도 고정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근적외선 형광 광원(220) 및 OCT 광원(210)으로부터 빛을 전달하는 제1 및 제2시준기(231, 232), 제1 및 제2시준기(231, 232)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회전부(250)로 전달하고 회전부(250)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PMT(241)로 전달하는 광학계, 전자기장의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 근접 영역에서 매우 높은 감도로 광선을 검출하는 광(photo) 진공관(PMT, Photo Multiplier Tube Detectors, 241)를 포함한다. 광학계는 이색성 거울(dichroic mirror, 235, 236), 반사 거울(mirror, 237), 렌즈(238), 광학 필터(239, 240) 등을 포함한다.
회전부(250)는 카테터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으로서, 고정부(230)로부터 입력된 빛을 카테터(255)로 전달하고 카테터(255)로 입력된 빛을 고정부(230)로 출력하는 제3시준기(251), 시편(257) 내부로 삽입되어 시편을 스캔하는 카테터(255), 제3시준기(251) 및 카테터(255)를 연결하는 광학 커넥터(253)를 포함한다. 카테터는 소모성 장치인데, 광학 커넥터를 통해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OCT 광원(210)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는 싱글 모드 파이버(233)를 통해 제1시준기(231)로 입력된다. 근적외선 형광 광원(220)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는 싱글 모드 또는 멀티 모드 파이버(234)를 통해 제2시준기(232)로 입력된다. OCT 광원(210)의 레이저는 중심 파장이 1290nm이며 근적외선 형광 광원(220)의 레이저는 중심 파장이 780nm일 수 있다. 제1 및 제2시준기(231, 232)로부터 출력된 빛은 파장에 따라 빛을 반사 또는 통과시키는 이색성 거울(235, 236)을 통해 회전부(250)의 제3시준기(251)로 입력된다.
제3시준기(251)로 입력된 빛은 더블 클래드 파이버(252)를 통해 광학 커넥터(253)로 입력되며 카테터(255)로 전달된다. 카테터(255)는 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 시편(257)으로 빛을 출력하여 시편(257)을 스캔하며, 시편(257)으로부터 되돌아온 빛은 다시 광학 커넥터(253)를 통해 제3시준기(251)로 입력된다. 제3시준기(251)로부터 출력된 빛 중에서 OCT 파장의 빛은 제1시준기(231)로 동일한 경로를 통해 되돌아 가고 근적외선 형광 파장의 빛은 이색성 거울(235, 236) 및 반사 거울(237)에 의해 광 진공관(241)으로 전달된다. 이 때, 근적외선 형광 영상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를 높이기 위해 근적외선 형광 레이저 경로에는 광학 필터(239, 240)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근적외선 형광 광원(220) 및 OCT 광원(210)으로부처 출력되는 레이저는 고정부(230) 및 회전부(250)를 거쳐 시편(257)으로 전달되고, 시편(257)으로부터 되돌아온 빛 중에서 OCT 파장의 빛은 동일한 경로를 통해 제1시준기(231)로 되돌아가고 근적외선 형광 파장의 빛은 광 진공관(241)으로 입력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준기는 하우징(310), 광섬유(320)가 삽입되는 제1글래스 튜브(330), 렌즈를 포함하는 제2글래스 튜브(340)를 포함한다. 제1글래스 튜브(330)와 제2글래스 튜브(340) 사이에는 에어갭 또는 수지층 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렌즈는 그린 렌즈(GRIN lens)가 사용될 수 있다. 광섬유(320)를 통해 전달되는 빛은 렌즈를 통해 출력되고, 렌즈로 입력되는 빛은 렌즈에 의해 집광되어 광섬유(320)로 전달된다. 제1 및 제2시준기(231, 232)는 싱글 모드 파이버(233, 234)가 제1글래스 튜브(330)와 결합되며, 제3시준기(251)는 더블 클래드 파이버(252)가 제1글래스 튜브(330)와 결합된다.
한편, 제1 및 제2시준기(231, 232)와 제3시준기(251)가 이상적으로 완벽하게 정렬(alignment)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제1 및 제2시준기(231, 232)로부터 출력된 빛은 제3시준기(251)에 삽입된 더블 클래드 파이버(252)의 코어뿐만 아니라 클래딩으로도 일부분 커플링된다. 이와 같이 광섬유의 코어로 가이딩되는 빛이 클래딩으로 커플링되는 경우(코어-클래딩 커플링)는 제3시준기(251)와 광학 커넥터(253) 사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클래딩으로 가이딩되는 빛이 코어로 가이딩되는 커플링(클래딩-코어 커플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코어-클래딩 커플링 지점에서 클래딩으로 커플링되어 가이딩된 빛이 코어-클래딩 커플링 지점에서 다시 코어로 커플링되어 가이딩될 경우, 코어 및 클래딩에서 가이딩되던 빛의 광학적 거리 차이 때문에 광 간섭성 단층 촬영 영상에서 도 4와 같은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줄이기 위해, 스캔 영상(광 간섭성 단층촬영기술 영상)의 대조도(contrast)를 조절하거나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하지만, 대조도를 조절할 경우, 노이즈뿐만 아니라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정보도 함께 손실될 수 있다.
또한 클래딩을 통해 가이딩된 빛의 광학적 거리는, 코어를 통해 가이딩된 빛의 광학적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길이를 수 미터까지 증가시키면, 클래딩을 통해 가이딩된 빛이 광 간섭성 단층 촬영 영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광 간섭성 단층 촬영 영상에서 노이즈 성분이 제거될 수 있지만, 임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고속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시준기와 광학 커넥터 사이의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길이가 일반적으로 수백 밀리미터 이내여야 한다. 그리고 카테터에 사용되는 더블 클래드 파이버 역시 안정적인 회전을 위해 2m 이내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길이를 증가시키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노이즈의 원인이 되는 클래딩을 통해 가이딩되는 빛의 밀도를 낮춤으로써 광 간섭성 단층 촬영 영상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시준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클래딩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보다 큰 직경의 클래딩에서 가이딩되도록 함으로써, 클래딩에서 가이딩되는 빛의 밀도를 낮춰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광섬유 코어의 개구수(numerical aperture) 한계 때문에 제1클래딩에서 가이딩되던 빛이, 제1클래딩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제2클래딩으로 가이딩되면, 제2클래딩에서 가이딩되는 빛은 다시 코어로 커플링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코어와 클래딩간 커플링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가 제거 또는 감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술된 제3시준기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잡음 감쇠 시준기는, 투명 튜브(510) 및 제1수지층(5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 제2수지층(530) 및 하우징(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튜브(510)에는 더블 클래드 파이버(570)의 코팅 제거 영역(574)이 삽입되며, 투명 튜브(510)는 더블 클래드 파이버(570)의 클래딩(572) 직경보다 큰 직경의 튜브이다. 더블 클래드 파이버(570)의 코팅층(571)은 기계적인 방법이나 화학적인 방법 등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클래딩(572) 및 코어(573)를 포함하는 코팅 제거 영역(574)이 투명 튜브(510)에 삽입된다.
클래딩(572)에서 가이딩되는 빛은 투명 튜브(510)로 가이딩될 수 있으며, 투명 튜브(510)의 직경은 클래딩(572)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클래딩(572)과 비교하여 투명 튜브(510)에서 가이딩되는 빛의 밀도가 작아질 수 있으며 스캔 영상에서의 노이즈가 감소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클래딩(572)의 직경은 0.125nm, 투명 튜브(510)의 직경은 0.4nm일 수 있다.
더블 클래드 파이버(570)의 클래딩(572)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투명 튜브(510)로 가이딩될 수 있도록 투명 튜브(510)의 굴절률은 더블 클래드 파이버(570)의 클래딩(572)의 굴절률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나, 더블 클래드 파이버(570)의 클래딩(572)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투명 튜브(510)로 가이딩될 수 있는 굴절률이라면, 투명 튜브(510)의 굴절률은 클래딩(572)의 굴절률보다 크더라도 무방하다. 즉, 투명 튜브(510)의 굴절률은 클래딩(572)의 굴절률 이상일 수 있으며, 투명 튜브(510)는 일실시예로서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 튜브일 수 있다.
제1수지층(520)은 투명 튜브(510)의 외부에 도포되며, 투명 튜브(510)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수지층이다. 즉, 제1수지층(520)은 투명 튜브(510)에서 가이딩되는 빛을 전반사시켜 투명 튜브(510)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투명 튜브(510)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더블 클래드 파이버(570)의 코팅층(571)을 제거하여 클래딩(572)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더블 클래드 파이버(570)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층(571)의의 일부가 투명 튜브(510)에 삽입되어 클래딩(572)이 노출되지 않도록, 투명 튜브(510)의 길이가 코팅 제거 영역(574)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클래딩(572) 부분이 투명 튜브(5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기 때문에, 더블 클래드 파이버(57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코팅 제거 영역(574)과 투명 튜브(510) 사이에는 제2수지층(53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2수지층(530)은 코팅 제거 영역(574)과 투명 튜브(510)를 접착시킨다. 이 때 클래딩(572)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투명 튜브(510)로 가이딩될 수 있도록 제2수지층(530)의 굴절률 역시 클래딩(572)의 굴절률과 같거나 클래딩(572)의 굴절률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서, 클래딩(572)의 굴절률은 1.46, 투명 튜브(510) 및 제2수지층(530)의 굴절률은 1.48이고, 제1수지층(520)의 굴절률은 코팅층(571)의 굴절률일 수 있다.
투명 튜브(510)는 하우징(54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하우징(540)은 일실시예로서 글래스 튜브이거나 또는 세라믹 이음관(ceramic ferrule)일 수 있다. 하우징(540) 및 렌즈를 포함하는 글래스 튜브(550)는 다시 하우징(560)에 삽입되고, 도 3에서 설명된 형태의 시준기가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수지층은 일실시예로서 에폭시 수지일 수 있으며 제작의 편의를 위해 UV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술된 제3시준기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잡음 감쇠 시준기는 하우징(650) 및 렌즈를 포함한다.
하우징(650)에는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610)가 삽입되는데,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610)는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640)와 접속되며,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610)의 제2클래딩(620)의 직경은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640)의 제1클래딩(642)의 직경보다 크다.
제1클래딩(642)에서 가이딩되는 빛은 제2클래딩(630)으로 가이딩될 수 있으며, 제2클래딩(630)의 직경은 제1클래딩(642)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제1클래딩(642)과 비교하여 제2클래딩(630)에서 가이딩되는 빛의 밀도가 작아질 수 있으며 스캔 영상에서의 노이즈가 감소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1클래딩(642)의 직경은 0.125nm, 제2클래딩(630)의 직경은 0.4nm일 수 있다.
제1클래딩(642)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제2클래딩(630)으로 가이딩될 수 있도록 제2클래딩(630)의 굴절률은 제1클래딩(642)의 굴절률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6의 실시예는 2개의 더블 클래드 파이버가 결합한 형태이기 때문에, 동일한 굴절률을 갖되 직경에 차이가 있는 클래딩을 포함하는 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작의 용이함을 위해,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610)는 코팅층이 제거된 형태로 하우징(650)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우징(650)과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610)는 수지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즉,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610)의 코팅층은 하우징(650)과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610)를 접착시키는 수지층(620)이 될 수 있다. 수지층(620)은 일실시예로서 에폭시 수지일 수 있으며 제작의 편의를 위해 UV 에폭시가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650)은 일실시예로서 글래스 튜브이거나 또는 세라믹 이음관(ceramic ferrule)일 수 있다. 하우징(6500) 및 렌즈를 포함하는 글래스 튜브(660)는 다시 하우징(670)에 삽입되고, 도 3에서 설명된 형태의 시준기가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카테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카테터 시스템의 노이즈 감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카테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710), 고정부(720) 및 회전부(7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카테터 시스템은 도 2에서 설명된 영상 카테터 시스템에 도 5 및 6에서 설명된 시준기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광원은 영상 카테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된 광 간섭성 단층촬영기술-근적외선 형광 기술 기반의 영상 카테터 시스템의 경우, 광원으로서 근적외선 형광 광원 및 OCT 광원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카테터 시스템은 실시예에 따라서, 광 간섭성 단층촬영기술-형광 영상(Optical coherence tomography-Fluorescence imaging) 기술, 광 간섭성 단층촬영기술-분광분석법(Optical coherence tomography-Spectroscopy), 광 간섭성 단층촬영기술-자가 형광 영상(Optical coherence tomography-Autofluorescence imaging), 광 간섭성 단층촬영기술-형광 수명 영상 (Optical coherence tomography-Fluorescence lifetime imaging) 기반의 영상 카테터 시스템일 수 있다. 또는 OCT 광원만을 이용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일 수 있다.
광원(710)으로부터 출력된 빛은 고정부(720)를 통해 회전부(730)로 전달된다. 반대로 시편으로부터 입력된 빛은 회전부(730)를 통해 고정부(720)로 전달된다.
회전부(730)의 잡음 감쇠 시준기(731)는 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하여 광원의 빛을 카테터 장치(733)로 전달하며, 카테터 장치(733)는 잡음 감쇠 시준기(731)로부터 빛을 입력받아 시편을 스캔한다. 그리고 잡음 감쇠 시준기(731)는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클래딩을 통해 가이딩되는 빛의 밀도를 감소시켜 스캔 영상에 대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잡음 감쇠 시준기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뿐만 아니라, 광섬유로 빛을 전달하여 시편에 대한 스캔 영상을 생성하는 다양한 영상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도 7의 카테터 장치(733)는 시편 내부 또는 외부를 스캐닝하는 다양한 형태의 스캐닝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도 8 (a)는 싱글 모드 파이버가 결합된 제3시준기를 이용한 영상 카테터 시스템의 광 간섭성 단층 촬영 영상, 도 8(b)는 더블 클래드 파이버가 결합된 제3시준기를 이용한 영상 카테터 시스템의 광 간섭성 단층 촬영 영상,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준기를 이용한 영상 카테터 시스템의 광 간섭성 단층 촬영 영상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더블 클래드 파이버가 이용된 경우 광 간섭성 단층 촬영 영상에 노이즈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육안으로도 도 8(b)에 비해 도 8(c)의 영상에서 노이즈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b)의 경우 30dB 정도의 노이즈가 발생한데 비해, 도 8(c)의 경우 13dB 정도의 노이즈가 발생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더블 클래드 파이버가 결합되는 잡음 감쇠 시준기에 있어서,
    상기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코팅 제거 영역이 삽입되며, 상기 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클래딩 직경보다 큰 직경의 투명 튜브; 및
    상기 투명 튜브의 외부에 도포되며, 투명 튜브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제1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튜브의 굴절률은, 상기 클래딩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상기 투명 튜브로 가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래딩의 굴절률 이상인,
    잡음 감쇠 시준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제거 영역과 상기 투명 튜브를 접착시키는 제2수지층
    을 더 포함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튜브가 삽입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
  5. 더블 클래드 파이버가 결합되는 잡음 감쇠 시준기에 있어서,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와 접속되며, 상기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제1클래딩보다 큰 직경의 제2클래딩을 포함하는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가 삽입되는 하우징; 및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래딩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상기 제2클래딩에서 가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클래딩의 굴절률과 상기 제2클래딩의 굴절률은 동일하며,
    상기 제1 및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코어 직경은 동일한,
    잡음 감쇠 시준기.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코팅층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접착시키는 수지층인
    잡음 감쇠 시준기.
  8. 삭제
  9. 삭제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의 빛을 전달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상기 잡음 감쇠 시준기로부터 상기 빛을 입력받아 시편을 스캔하는 카테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잡음 감쇠 시준기는
    상기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코팅 제거 영역이 삽입되며, 상기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클래딩 직경보다 큰 직경의 투명 튜브; 및
    상기 투명 튜브의 외부에 도포되며, 투명 튜브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의 제1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튜브의 굴절률은, 상기 클래딩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상기 투명 튜브로 가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래딩의 굴절률 이상인,
    영상 카테터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제거 영역과 상기 투명 튜브를 접착시키는 제2수지층
    을 더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12. 삭제
  13.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광원의 빛을 전달하는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상기 잡음 감쇠 시준기로부터 상기 빛을 입력받아 시편을 스캔하는 카테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잡음 감쇠 시준기는
    상기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와 접속되며, 상기 제1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제1클래딩보다 큰 직경의 제2클래딩을 포함하는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가 삽입되는 하우징; 및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래딩에서 가이딩되는 빛이 상기 제2클래딩에서 가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클래딩의 굴절률과 상기 제2클래딩의 굴절률은 동일하며,
    상기 제1 및 제2더블 클래드 파이버의 코어 직경은 동일한,
    영상 카테터 시스템.
KR1020160024072A 2016-02-29 2016-02-29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KR10178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072A KR101787874B1 (ko) 2016-02-29 2016-02-29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US16/080,330 US10605983B2 (en) 2016-02-29 2017-02-28 Noise reduction collimator and imaging catheter system
PCT/KR2017/002181 WO2017150879A1 (ko) 2016-02-29 2017-02-28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072A KR101787874B1 (ko) 2016-02-29 2016-02-29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091A KR20170102091A (ko) 2017-09-07
KR101787874B1 true KR101787874B1 (ko) 2017-10-20

Family

ID=5974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072A KR101787874B1 (ko) 2016-02-29 2016-02-29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05983B2 (ko)
KR (1) KR101787874B1 (ko)
WO (1) WO2017150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874B1 (ko) * 2016-02-29 2017-10-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JP2022506903A (ja) * 2018-11-07 2022-01-17 スペクトラウェーブ,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ファイバ、その形成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2559A (ja) * 1999-03-01 2000-09-14 Nec Corp ダブルクラッドファイバおよび光ファイバアンプ
JP3762557B2 (ja) * 1998-12-11 2006-04-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2008171985A (ja) * 2007-01-11 2008-07-24 Fujikura Ltd 残留光除去用ファイバ、これを用いた残留光除去構造及び光増幅器並びにファイバレーザ
KR101352960B1 (ko) * 2012-03-15 2014-01-22 한국광기술원 렌즈결합형 광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단층 촬영 장치
KR101397272B1 (ko) * 2012-07-17 2014-05-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포괄적인 영상화 카테터 시스템 및 영상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7686A (en) * 1985-03-06 1992-12-01 C. R. Bard, Inc. Catheter system for controlled removal by radiant energy of biological obstructions
US7306376B2 (en) * 2006-01-23 2007-12-11 Electro-Optics Technology, Inc. Monolithic mode stripping fiber ferrule/collima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027557B2 (en) * 2007-09-24 2011-09-27 Nufern Optical fiber laser, and components for an optical fiber laser, having reduced susceptibility to catastrophic failure under high power operation
CN101666890B (zh) * 2008-09-04 2011-08-10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高功率光纤准直器及其制造方法
US8611708B2 (en) * 2010-11-18 2013-12-17 LGS Innovations LLC Optical apparatus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thermal damage
US10050404B2 (en) * 2015-03-26 2018-08-14 Nlight, Inc. Fiber source with cascaded gain stages and/or multimode delivery fiber with low splice loss
KR101787874B1 (ko) * 2016-02-29 2017-10-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KR101971777B1 (ko) * 2017-04-28 2019-04-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화 카테터 시스템
US10895692B2 (en) * 2017-06-01 2021-01-19 Canon U.S.A., Inc. Fiber optic rotary joints and methods of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2557B2 (ja) * 1998-12-11 2006-04-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2000252559A (ja) * 1999-03-01 2000-09-14 Nec Corp ダブルクラッドファイバおよび光ファイバアンプ
JP2008171985A (ja) * 2007-01-11 2008-07-24 Fujikura Ltd 残留光除去用ファイバ、これを用いた残留光除去構造及び光増幅器並びにファイバレーザ
KR101352960B1 (ko) * 2012-03-15 2014-01-22 한국광기술원 렌즈결합형 광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단층 촬영 장치
KR101397272B1 (ko) * 2012-07-17 2014-05-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포괄적인 영상화 카테터 시스템 및 영상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72713A1 (en) 2019-03-07
US10605983B2 (en) 2020-03-31
WO2017150879A1 (ko) 2017-09-08
KR20170102091A (ko)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1263B2 (ja) 全方向視覚装置
JP7065813B2 (ja) 光プローブ接続を検出するためのカテーテル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Mao et al. Graded-index fiber lens proposed for ultrasmall probes used in biomedical imaging
US7382949B2 (en) Fiber-optic rotational device, optical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a sample
US10234676B1 (en) Optical probes with reflecting components for astigmatism correction
US20050165315A1 (en) Side firing fiber optic array probe
US20190227298A1 (en) Optical probes that include optical-correction components for astigmatism correction
US20070049833A1 (en)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imaging in vessels
JP2005514601A (ja) 干渉計からの信号を超音波コンソールによって処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6821718B2 (ja) 光学補正構成要素を有する光学プローブ
Wang et al. Tapered fiber-based intravascular photoacoustic endoscopy for high-resolution and deep-penetration imaging of lipid-rich plaque
US10718912B2 (en) Annular-beam coupling system
US20160320564A1 (en) Optical probe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9164330A (ja) 非点収差補正を伴う光学プローブ
KR101787874B1 (ko) 잡음 감쇠 시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카테터 시스템
WO2014186121A2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tical probe systems and methods to reduce artifacts
JP2016165478A (ja) 試料の画像形成のための光ファイバ回転装置、光学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71777B1 (ko) 영상화 카테터 시스템
US20180112965A1 (en) Optical probe
CN112285837A (zh) 一种光纤透镜
KR20190008391A (ko) 환형 빔 커플링 시스템
CN117796743A (zh) 内窥探头及内窥系统
CN117084628A (zh) 多焦点的多模态成像导管
CN116033860A (zh) 光学探针及包含其的光学断层摄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