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576B1 - Wheelchair - Google Patents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576B1
KR101781576B1 KR1020160108016A KR20160108016A KR101781576B1 KR 101781576 B1 KR101781576 B1 KR 101781576B1 KR 1020160108016 A KR1020160108016 A KR 1020160108016A KR 20160108016 A KR20160108016 A KR 20160108016A KR 101781576 B1 KR101781576 B1 KR 101781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chair
backrest
main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하
조성욱
김문경
김관후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5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5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lower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u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back support unit is converted into a leg support unit by a rotary frame or the leg support unit is converted into the back support unit to enable the wheelchair to be moved toward a front side or a rear side while a user sits on the wheelchair. Therefore, the user can be easily, safely, and comfortably moved along by the wheelchair in a bed and a chair without help of the others.

Description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Wheelchair}A wheelchair us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heelchair}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스스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that can be used in a front-back dir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chair that can be used in a back-and-forth direction so that a disabled person having an uncomfortable motion can conveniently use it.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들이 이동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서, 좌판 및 좌판의 전후방향 양 끝단에 고정되는 등받이와 다리받침이 구비된 의자와, 의자의 하부에 작은 크기의 보조바퀴와 손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메인바퀴가 구비되고, 좌판의 좌우 양측에 사용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팔걸이가 구비된다.Generally, a wheelchair is used by a disabled person or a patient who is inconvenient to move, including a chair having a backrest and a legrest fixed to both the front and rear ends of a seat and a seat, a small-sized auxiliary wheel at the bottom of the seat, A main wheel that can be driven is provided, and armrests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so that the user does not fall off.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메인바퀴를 밀어 이동하거나, 타인이 후방에서 밀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ventional wheel chair constructed in this way pushes the main wheel in a state where a person with an inconvenience is seated, or pushes a person from the rear, so that a person with an uncomfortable movement can be easily moved.

이러한 휠체어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형 휠체어에서부터 전동으로 움직이는 전동휠체어까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점점 사용자의 편의에 맞춰 그 기능들이 세분화되고 있는 실정이다.These wheelchair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forms ranging from basic wheelchairs as described above to electric wheelchairs moving by electric power, and their functions are being segmented according to user's convenienc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휠체어는 좌판의 전후방향 양 끝단에 등받이와 다리받침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침대에서 휠체어로 탑승시 또는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시 불편한 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backrest and the legrest are fixed to bot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eat in such a conventional wheelchair, it is inconvenient when a person with an uncomfortable mobility moves from a wheelchair to a wheelchair or from a wheelchair to a bed.

이를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1341호(2003. 05. 09. 공고)에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조절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 또한 침대에서 휠체어로 탑승시 또는 침대로 휠체어로 이동시 불편한 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In view of this,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wheelchair backrest which can adjust the angle of a wheelchair backrest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11341 (2003. 05. 09. Announcement), but also in a wheelchair on a bed Or the bed uncomfortable when moving to a wheelchair.

또한, 종래 휠체어는 전방에서만 타고 내리는 것이 가능하여 휠체어를 타고 내리기 위해서는 휠체어의 방향을 바꾸어야만 하며,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과정에서 휠체어가 뒤로 밀려 부상을 입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wheelchair, it is possible to ride only on the front side. In order to ride down the wheelchair, th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must be changed and the wheelchair may be pushed back in the process of getting on and off the wheelchair.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1341호(2003. 05. 09. 공고)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11341 (2003. 05. 09. Announcement)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탑승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프레임에 의해 등받침부가 다리받침부로 전환되거나, 다리받침부가 등받침부로 전환됨으로써,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혼자서도 침대, 의자 등에서 휠체어로 용이하고 수월하면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 backlash from occurring when a user turns the backrest into a legrest por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eelchair which can be used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easily, safely and comfortably moved from a bed, a chair, and the like to a wheelchair alone without assistan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팔걸이부와 좌석부가 구비되고, 한 쌍의 메인바퀴 및 상기 메인바퀴의 전방과 후방에 보조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바퀴의 사이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등받침부 및 타단에 다리받침부가 구비되는 반원 형태의 회동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프레임은 전후방으로 회동시 상기 등받침부가 다리받침부로 전환되고, 상기 다리받침부가 등받침부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a main frame having an armrest portion and a seat portion, a main frame having a pair of main wheels and auxiliary wheels rotatably installed forward and rearward; And a semicircular rotating frame coupled to the main frame so as to be rotatable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etween the main wheels and having a back support part at one end and a leg support part at the other end, Wherein the backrest portion is switched to the legrest portion when the backrest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legrest portion is switched to the backrest por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레버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동프레임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frame includes a fixing unit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pivot frame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lever unit.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등받침부는 상기 회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손잡이부의 조작에 따라 위치가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frame, and the position is fixed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hand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받침부는 상기 회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손잡이부의 조작에 따라 위치가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rest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ng frame, and the position is fixed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handl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ootrest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fr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탑승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프레임에 의해 등받침부가 다리받침부로 전환되거나, 다리받침부가 등받침부로 전환됨으로써,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혼자서도 침대, 의자 등에서 휠체어로 용이하고 수월하면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can be switched to the legrest portion by the pivoting frame so that the legrest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or the legrest portion can be switched to the backrest portion, Bed, chair and the like in a wheelchair in a safe and comfortable manner.

또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탑승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프레임에 의해 등받침부가 다리받침부로 전환되거나, 다리받침부가 등받침부로 전환됨으로써, 타고 내리는 과정에서 휠체어가 뒤로 밀려 부상을 입는 경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backrest can be switched to the legrest portion by the rotation frame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or the legrest portion can be switched to the backrest portion, thereby reducing the case in which the wheelchair is pushed backwar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레버부를 조작함에 따라 고정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보조손잡이부를 조작함에 따라 결속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발받침부가 탈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wheelchair usabl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wheelchair usable in a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wheelchair us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part is operated by operating a lever part of a wheelchair which can be used in a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inding portion is operated by operating an auxiliary knob portion of a wheelchair which can be used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ckrest portion of a wheelchair usable in a front-rear direction is detachably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레버부를 조작함에 따라 고정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보조손잡이부를 조작함에 따라 결속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의 발받침부가 탈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wheelchair us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lever portion of the wheelchair which can be u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inding portion is operated by operating an auxiliary handle portion of a wheelchair that can be used in a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which the legrest portion of the wheelchair is detachably attached.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10)는, 팔걸이부(110)와 좌석부(120)가 구비되고, 한 쌍의 메인바퀴(130) 및 메인바퀴(130)의 전방과 후방에 보조바퀴(1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0); 및 메인바퀴(130)의 사이에서 메인프레임(100)에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등받침부(210) 및 타단에 다리받침부(220)가 구비되는 반원 형태의 회동프레임(200);을 포함하되, 회동프레임(200)은 전후방으로 회동시 등받침부(210)가 다리받침부(220)로 전환되고, 상기 다리받침부(220)가 등받침부(210)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wheelchair 10, which can be u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mrest portion 110 and a seat portion 120, and a pair of main wheels A main frame 100 rotatably mounted on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wheel 130 and the auxiliary wheels 140; A semicircular shape having a back support 210 at one end and a leg support 220 at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100 in a predetermined range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between the main wheel 130 and the main wheel 130. [ The backrest frame 210 is rotated by the backrest frame 220 when the pivotal frame 200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legrest portion 220 is rotated by the backrest 210). ≪ / RTI >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heel chair 10, which can be u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메인프레임(100)은 상부에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석부(120)가 구비되고, 좌우방향 양측에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부(110)가 구비된다.The main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seat portion 120 for supporting a user's hip and an armrest portion 110 for supporting the user's arms on both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또한, 메인프레임(100)은 하부 양측에 메인바퀴(13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바퀴(130)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보조바퀴(14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A main wheel 130 i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00 and auxiliary wheels 140 are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wheel 130 on the front and rear sides.

좌석부(120)는 사용자가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게 된다.The seat portion 12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00 to support the user's hips so that the user can sit comfortably.

팔걸이부(110)는 사용자가 팔을 걸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게 된다.The armrests 1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100 so as to allow the user to arm the arm to support the user's arms.

메인바퀴(130)는 메인프레임(1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손잡이부(132)가 설치된다.The main wheel 130 is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100 and has a grip 132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wheel 130 at regular intervals.

손잡이부(132)는 메인바퀴(130)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손잡이부(132)를 잡고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메인바퀴(130)가 구름이동 하여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The grip 132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wheel 1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the grip 13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main wheel 130 rotates in one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보조바퀴(140)는 메인프레임(10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바퀴(130)를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auxiliary wheel 14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lower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ain frame 100 and serves to assist the main wheel 130.

즉,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10)는 하부 양측에 메인바퀴(13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바퀴(130)의 전방과 후방 양측에 보조바퀴(14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That is, the wheelchair 10, which can be u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provided with a main wheel 130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uxiliary wheels 140 are rotatably mount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wheel 130 It is installed to hold the center of gravity steadily.

회동프레임(200)은 메인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좌석부(120)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메인바퀴(130) 사이에 위치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전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rotation frame 200 is supported by the main frame 100 and rotates about the seat portion 1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otation frame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main wheels 130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회동프레임(200)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등받침부(210)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다리받침부(220)가 구비된다.The pivot frame 200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has a back support 210 at one end and a leg support 220 at the other end.

등받침부(210)와 다리받침부(220)는 회동프레임(2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정방향으로 탑승하는 경우, 등받침부(210)는 등을 지지하는 기능하고, 다리받침부(220)는 다리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역방향으로 탑승하는 경우, 회동프레임(200)이 회동하게 됨에 따라, 등받침부(210)는 다리를 지지하는 기능하고, 다리받침부(220)가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backrest portion 210 and the legrest portion 220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ivotal frame 200. When the pivotal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210 rides in a forward direction, The back support unit 220 functions to support the legs and the leg support unit 220 can support the legs when the back support frame 220 rotates. And so on.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에서 휠체로 탑승시 휠체어를 바라본 상태로 탑승하거나,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시 침대를 바라본 상태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is riding the wheelchair on the bed, the user can easily ride on the wheelchair while looking at the wheelchair or while looking at the bed while moving from the wheelchair to the bed.

다시말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탑승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프레임(200)에 의해 등받침부(210)가 다리받침부(220)로 전환되거나, 다리받침부(220)가 등받침부(210)로 전환됨으로써,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없이 혼자서도 침대, 의자 등에서 휠체어로 용이하고 수월하면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backrest portion 210 is switched to the legrest portion 220 by the pivotal frame 200 so that the legrest portion 220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210, the user can easily and easily move safely and comfortably from a bed, a chair, and the like to a wheelchair alone without the help of a user.

또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탑승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프레임(200)에 의해 등받침부(210)가 다리받침부(220)로 전환되거나, 다리받침부(220)가 등받침부(210)로 전환됨으로써, 타고 내리는 과정에서 휠체어가 뒤로 밀려 부상을 입는 경우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 backrest part 210 is switched to the leg support part 220 by the rotation frame 200 so that the leg support part 220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a case in which the wheelchair is pushed backward in the course of raising and lowering and injured.

이때, 등받침부(210)와 다리받침부(220)는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교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ck support part 210 and the leg support part 22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can be replaced with each other.

즉, 회동프레임(200)의 일단에 등받침부(210)가 설치될 경우, 회동프레임(200)의 타단에는 다리받침부(220)가 설치되고, 회동프레임(200)의 일단에 다리받침부(220)가 설치될 경우, 회동프레임(200)의 타단에는 등받침부(210)가 설치된다.That is, when the backrest part 21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ivotal frame 200, the pivotal frame 200 is provided with a leg support part 220 at the other end thereof, A backrest 21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ivot frame 200. [

이와 같이 등받침부(210)와 다리받침부(220)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고, 수리를 하거나 부품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backrest portion 210 and the legrest portion 22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reduced, and repair or replacement of parts can be facilitated.

여기서, 등받침부(210)와 다리받침부(220)는 앞,뒤 구분이 편리하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backrest portion 210 and the legrest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so that the front and rear legs can be easily separated.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100)은 회동프레임(200)의 위치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레버부(160)를 포함한다.The main fram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portion 160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pivot frame 200.

레버부(160)는 메인프레임(100)에 구비되어 고정부(150)와 연결되며, 레버부(160)를 조작함에 따라 고정부(150)가 회동프레임(20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게 된다.The lever portion 160 is provided on the main frame 100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50. When the lever portion 160 is operated, the fixing portion 150 fixes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frame 200, .

고정부(150)는 메인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회동프레임(20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침대로 이동시 침대를 바라본 상태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프레임(200)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사용자가 휠체어를 바라본 상태로 탑승시 회동프레임(200)이 회전하도록 고정 해제시키게 된다.The fixing part 150 is provided on the main frame 100 to fix or unlock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frame 200. The rotation frame 200 is disposed on the main frame 100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bed while viewing the bed,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frame 200 to rotate when the user looks at the wheelchair.

보다 상세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2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의 고정홀(240)이 형성되고, 고정부(150)는 레버부(160)를 조작함에 따라돌출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고정시 레버부(160)의 조작에 의해 고정부(150)의 고정핀이 돌출되어 복수개의 고정홀(240)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게 된다.5, the rotary frame 2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holes 240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fixing portion 150 includes a lever portion 160, The fixing pin of the fixing part 150 is protrud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part 160 when the fixing part 160 is fixed and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 holes 240. [

이에 따라, 회동프레임(200)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일정 각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며, 사용자의 등과 다리를 지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otation frame 200 is fixed in a predetermined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supports the user's back and legs.

본 발명에서 등받침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2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등받침부(210)의 위치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결속부(250) 및 결속부와 연결되는 보조손잡이부(230)를 포함한다.6, the backrest 210 includes a binding part 250 rotatably installed on the pivoting frame 200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backrest part 210, And an auxiliary handle part 230 connected to the binding part.

보조손잡이부(230)는 등받침부(210)에 구비되어 결속부(250)와 연결되며, 보조손잡이부(230)를 조작함에 따라 결속부(250)에 의해 등받침부(21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게 된다.The auxiliary handle 230 is provided on the backrest 210 and is connected to the binding unit 250. When the auxiliary handle 230 is operated, As shown in FIG.

결속부(250)는 등받침부(210)에 구비되어 등받침부(21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것으로, 보조손잡이부(230)를 잡아당겨 결속부(250)를 구속해제시키게 되면, 등받침부(210)가 회전하게 되고, 보조손잡이부(230)를 밀어넣어 결속부(250)를 구속시키게 되면, 등받침부(21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The coupling portion 250 is provided on the backrest receiving portion 210 to fix or release the position of the backrest receiving portion 210 so as to pull the auxiliary pulling portion 230 to release the binding portion 250 The back support unit 210 rotates and the auxiliary support unit 230 is pushed in to constrain the binding unit 250 so that the back support unit 210 does not rotate.

따라서, 등받침부(210)는 각도가 조절되어 회동브레임(200)이 회동되었을 때, 다리가 편하게 지지되도록 다리받침부(220)로 변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ngle of the backrest 210 is adjusted and the pivotal brakes 200 are rotated, the legrest portion 220 can be changed so that the legs can be easily supported.

이와 더불어, 다리받침부(220)는 등받침부(210)와 같이, 회동프레임(2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리받침부(220)의 위치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결속부(250) 및 결속부와 연결되는 보조손잡이부(2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eg support part 2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pivot frame 200, like the back support part 210, and includes a binding part 250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leg support part 220, And an auxiliary handle portion 230 connected to the binding portion.

보조손잡이부(230)는 다리받침부(220)에 구비되어 결속부(250)와 연결되며, 보조손잡이부(230)를 조작함에 따라 결속부(250)에 의해 다리받침부(22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게 된다.The auxiliary handle 230 is provided on the leg support 220 a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250. When the assistant handle 230 is operated, As shown in FIG.

결속부(250)는 다리받침부(220)에 구비되어 다리받침부(220)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것으로, 보조손잡이부(230)를 잡아당겨 결속부(250)를 구속해제시키게 되면, 다리받침부(220)가 회전하게 되고, 보조손잡이부(230)를 밀어넣어 결속부(250)를 구속시키게 되면, 다리받침부(22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The coupling unit 250 is provided on the leg support unit 220 to fix or unlock the leg support unit 220 so that the auxiliary handle unit 230 is pulled out to unbind the coupling unit 250 The leg support part 220 is rotated and the assistant grip part 230 is pushed in to fix the binding part 250 so that the leg support part 220 does not rotate.

따라서, 다리받침부(220)는 각도가 조절되어 회동브레임(200)이 회동되었을 때, 등이 편하게 지지되도록 등받침부(210)로 변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ivotal brakes 200 are rotat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legrest portion 220, the backrest portion 210 can be changed to the backrest portion 210 so that the back can be comfortably supported.

계속해서 메인프레임(100)은 전방 또는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받침부(170)를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main frame 100 includes a footrest 170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r back.

발받침부(170)는 메인프레임(100)의 전방 양측 또는 후방 양측에 각각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footrests 170 are detachably attached to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frame 100, respectively.

이와 같은 발받침부(170)는 사용가 원하는 용도에 따라 탈착할 수도 있고, 편리하게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전방 양측 또는 후방 양측에 각각 부착하여 발을 받치거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양방향으로 부착하여 발을 받칠 수도 있다.The footrest portion 170 may be attached or detach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or may be attached to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so as to support the foot, or may be support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in both directions It may be attached to support the foo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메인프레임 110 : 팔걸이부
120 : 좌석부 130 : 메인바퀴
132 : 손잡이부 140 : 보조바퀴
150 : 고정부 160 : 레버부
170 : 발받침부 200 : 회동프레임
210 : 등받침부 220 : 다리받침부
230 : 보조손잡이부 240 : 고정홀
250 : 결속부
100: main frame 110: armrest part
120: seat portion 130: main wheel
132: handle portion 140: auxiliary wheel
150: Fixing portion 160: Lever portion
170: Footrest part 200: Rotation frame
210: back support part 220: leg support part
230: auxiliary handle portion 240: fixed hole
250:

Claims (5)

팔걸이부와 좌석부가 구비되고, 한 쌍의 메인바퀴 및 상기 메인바퀴의 전방과 후방에 보조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바퀴의 사이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등받침부 및 타단에 다리받침부가 구비되는 반원 형태의 회동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프레임은 전후방으로 회동시 상기 등받침부가 다리받침부로 전환되고, 상기 다리받침부가 등받침부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
A main frame having an armrest portion and a seat portion, a main frame having a pair of main wheels and auxiliary wheels rotatably install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main wheels; And
And a semicircular rotating frame coupled to the main frame such that it can rotate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etween the main wheels and has a back support unit at one end and a leg support unit at the other end,
Wherein the backrest frame is switched to the legrest portion when the pivotal frame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legrest portion is switched to the backres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레버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동프레임의 위치를 고정 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includes:
A fixing part for fixing or releasing the position of the pivot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part;
Wherein the wheelchair comprises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부는 상기 회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손잡이부의 조작에 따라 위치가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ckrest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frame, and the position is fixed or releas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auxiliary knob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침부는 상기 회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손잡이부의 조작에 따라 위치가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grest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vot frame and the position is fixed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pul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 또는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받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향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ootrest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frame;
Further comprising: a front end portion of the wheelchair;
KR1020160108016A 2016-08-24 2016-08-24 Wheelchair KR1017815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016A KR101781576B1 (en) 2016-08-24 2016-08-24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016A KR101781576B1 (en) 2016-08-24 2016-08-24 Wheel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576B1 true KR101781576B1 (en) 2017-09-27

Family

ID=6003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016A KR101781576B1 (en) 2016-08-24 2016-08-24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576B1 (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성욱. 디자인으로 그리는 더 밝은 세상. ETRI WEBZINE., [online], 2017.07.07., < URL : http://webzine.etri.re.kr/20170407/sub02.htm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4647A (en) Stabilized reclining wheelchair seat
KR101047342B1 (en) Electric wheelchair
US20160270988A1 (en) Modularized mobility device
US9737448B2 (en) Elevating manual wheelchair
JP2018023752A (en) Chair for nursing care
JP7475247B2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JP2000175974A (en) Multi-functional bed
CZ2015217A3 (en) Multifunctional transportation and rehabilitation robot
JP2010227478A (en) Wheelchair for hemiplegic person
KR101310840B1 (en) Electric wheel chair
KR101781576B1 (en) Wheelchair
KR100849268B1 (en) Footrest assembly for wheel chair
JPH11253492A (en) Wheelchair seat transfer device
JP3227598B2 (en) Wheelchair equipment
JP2016116823A (en) Three-wheeled chair
JP3151138U (en) Nursing wheelchair
CN214343010U (en) Foldable wheelchair pedal device
JP2013074954A (en) Elevatable collapsable footrest device and wheelchair using the same
JP4217961B2 (en) Multi-function wheelchair
JP4393686B2 (en) wheelchair
JPH11197189A (en) Wheelchair
JP2009039529A (en) Easily rideable wheelchair
TW201014584A (en) Dislodgement device
JP5796253B2 (en) Wheelchair footrest device and wheelchair equipped with the same
JP4201732B2 (en)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