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402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f relay station in multi-carrier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f relay station in multi-carri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402B1
KR101761402B1 KR1020100048299A KR20100048299A KR101761402B1 KR 101761402 B1 KR101761402 B1 KR 101761402B1 KR 1020100048299 A KR1020100048299 A KR 1020100048299A KR 20100048299 A KR20100048299 A KR 20100048299A KR 101761402 B1 KR101761402 B1 KR 10176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ackhaul
relay station
backhaul downlink
downlin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6633A (en
Inventor
김학성
서한별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0/00326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37839A2/en
Priority to US13/322,384 priority patent/US8665775B2/en
Publication of KR2010012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6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반송파 시스템의 백홀 링크에서 중계국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수행 방법은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을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한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송파는 기지국과 상기 중계국 간의 백홀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백홀 하향링크 및 상기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하향링크에 모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of a relay station in a backhaul link of a multicarrier system includes receiving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t least one carrier of a first carrier and a second carrier; Transmitting ACK / NACK (acknowledgment / not-acknowledgment)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n uplink unit carrier; And receiving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carrier and the second carrier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ACK / NACK, wherein the first carrier Wherein the first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for the backhaul down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nd the second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for both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access downlink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t different times. do.

Description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수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F RELAY STATION IN MULTI-CARRIER SYSTEM}[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백홀 링크에서 중계국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lay station to perform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n a backhaul link of a system using multicarrier.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 sector)에서는 3세대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Advanced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MT-Advanced는 정지 및 저속 이동 상태에서 1Gbps, 고속 이동 상태에서 100Mbps의 데이터 전송률로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한다. In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 Sector (ITU-R), standardization of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Advanced,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fter 3rd generation, is under way. IMT-Advanced aims to support IP (Internet Protocol) based multimedia service at data rates of 1Gbps in a stationary and low-speed moving state and 100Mbps in a high-speed moving state.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IMT-Advanced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시스템 표준으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방식 기반인 LTE(Long Term Evolution)를 개선한 LTE-Advanced를 준비하고 있다. LTE-Advanced는 IMT-Advanced를 위한 유력한 후보 중의 하나이다. LTE-Advanced의 주요 기술에 중계국(relay station) 기술이 포함된다.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is a system standard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IMT-Advanced. It is based on Long Term Evolution (LTE) based o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 ) To improve LTE-Advanced. LTE-Advanced is one of the strong candidates for IMT-Advanced. Major technologies of LTE-Advanced include relay station technology.

중계국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장치로, 무선통신 시스템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를 확장시키고 처리량(throughput)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A relay station is a device that relays signals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nd is used to expand the cell coverag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improve throughput.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신호 전송 방법은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신호 전송에 종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전송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relay station, a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is currently being studied. There is a problem in using the signal transmission method between the conventional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s it is for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종래 기지국과 단말 간의 신호 전송방법에서, 일반적으로 단말은 시간 영역에서 볼 때 하나의 서브프레임 전체에 걸쳐 신호를 전송한다. 단말이 서브프레임 전체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한 가지 이유는 단말이 소모하는 순간 최대 전력을 줄이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는 각 채널의 지속 시간을 가능한 길게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Conventionally, in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 terminal generally transmits a signal over one subframe in a time domain. One reason for the terminal to transmit a signal in the entire subframe is to set the duration of each channel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be as long as possible in order to reduce the maximum power when the terminal consumes it.

그런데, 중계국은 시간 영역에서 볼 때 하나의 서브프레임 전체에 걸쳐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중계국은 보통 다수의 단말들을 대상으로 신호를 중계하므로 잦은 수신 모드 및 전송 모드 스위칭(switching)이 발생한다. 그리고 중계국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중계국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중계국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중계국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기지국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 모드 및 전송 모드 간의 스위칭 시 수신 모드 구간과 전송 모드 구간 사이에는 신호간 간섭을 방지하고 동작 안정화를 위해 중계국이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지 않는 소정의 시간 구간(이를 이하에서 보호 구간(guard time)이라 칭한다)이 필요하다. However, the relay station may not be able to transmit or receive a signal over one subframe in the time domain. Since the relay station normally relays signal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frequent reception mode and transmission mode switching occur.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signals from the base station or transmit signals to the relay station in the same frequency band. Alternatively, the relay station may receive signals from the relay station terminal or transmit signals to the base station in the same frequency band. In the switching between the reception mode and the transmission mode, there is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etween the reception mode interval and the transmission mode interval, in which the relay station transmits or does not receive a signal for preventing the inter- )) Is required.

또한, 중계국은 자신에게 연결된 중계국 단말에게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페이징 메시시(paging message)와 같은 필수적인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는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 중계국은 이러한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0, 4, 5, 9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은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에게 필수적인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어렵다. In addition, a relay station has a subframe to transmit an essential signal such as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and a paging message to a relay station connected to the relay station. The relay station is difficult to receive signals from the base station in this subframe. For example,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ubframes with subframe indexes 0, 4, 5, and 9 are difficult to receive signals from the base station because the relay station must transmit signals essential to the relay st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제약으로 인해 중계국은 종래의 기지국-단말 간의 HARQ 방법을 그대로 이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는 데이터 처리시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에 물리 계층의 채널코딩을 결합한 기술이다. ARQ는 수신기가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하였을 경우 송신기로 수신성공신호(acknowledgement;ACK)을 전송하고, 반대로 수신기가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 송신기로 재전송요구신호(not acknowledgement; NACK)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중계국이 백홀 링크에서 HARQ를 수행하는 경우,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데이터 또는 재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과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에게 필수 정보를 전송하여야 하는 서브프레임이 겹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limitation, the RS has difficulty in using the conventional HARQ method between the BS and the MS.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s a technique that combines channel coding of a physical layer with an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method in order to increase transmission efficiency in data processing. An ARQ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n acknowledgment (ACK) to a transmitter when the receiver correctly receives the data, and transmitting a not acknowledgment (NACK) to the transmitter when the receiver does not receive the data correctly to b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a relay station performs HARQ on a backhaul link, a subframe in which a relay station receives new data or data to be re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and a subframe in which a relay station transmits an essential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may overlap .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중계국-기지국 간의 백홀 링크(Backhaul link)에 사용될 수 있는 HARQ 수행 방법이 필요하다.There is a need for an HARQ performance method that can be used for a backhaul link between a relay station and a base station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다중 반송파 시스템의 백홀 링크에서 중계국의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f a relay station in a backhaul link of a multi-carrier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중 반송파 시스템의 백홀 링크에서 중계국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수행 방법은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을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한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송파는 기지국과 상기 중계국 간의 백홀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백홀 하향링크 및 상기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하향링크에 모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of a relay station in a backhaul link of a multi-carrier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t least one carrier among a first carrier and a second carrier; Transmitting ACK / NACK (acknowledgment / not-acknowledgment)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n uplink unit carrier; And receiving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carrier and the second carrier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ACK / NACK, wherein the first carrier Wherein the first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for the backhaul down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nd the second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for both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access downlink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t different times. do.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다중 반송파 시스템의 백홀 링크에서 중계국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수행 방법은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백홀 상향링크 그랜트(grant)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백홀 상향링크 그랜트에서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상기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기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송파는 백홀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서로 다른 시간에 백홀 하향링크 및 상기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하향링크에 모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of a relay station in a backhaul link of a multi-carrier system includes receiving a backhaul uplink grant through a carrier of at least one of a first carrier and a second carrier step; Transmitting backhaul uplink data through an uplink unit carrier using radio resources allocated in the backhaul uplink grant; Receiving ACK / NACK for the backhaul uplink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carrier and the second carrier; And transmitting the new backhaul uplink data or the backhaul uplink data through the uplink unit carrier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ACK / NACK, wherein the first carrier is a unit carrier of dedicated backhaul downlink And the second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for both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access downlink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t different time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국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을 생성한 후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전송하며, 상기 전송한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제1 반송파는 기지국과 상기 중계국 간의 백홀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백홀 하향링크 및 상기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하향링크에 모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lay station used in a multi-carri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RF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processor coupled to the RF unit, wherein the processor receives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 carrier of at least one of a first carrier and a second carrier, and transmits an ACK / NACK (acknowledgment / not-acknowledgmen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backhaul downlink data or the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ACK / NACK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arrier and the second carrier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ACK / Wherein the first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exclusively for the backhaul down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nd the second carrier is an access point between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relay station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nd is a unit carrier used for all downlinks.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중계국은 백홀 전용으로 사용되는 반송파를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이용되는 반송파와 달리 백홀 전용의 반송파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백홀 전용 반송파를 이용하여 중계국은 기지국-단말 간에 수행되는 HARQ와 주기를 동일하게 하면서 백홀 링크의 HARQ를 수행할 수 있다.In a multi-carrier system, a relay station can set up a carrier wave dedicated to a backhaul. Unlike a carrier used in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scheme for a backhaul link and an access link, a carrier dedicated to a backhaul can receive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in all subframes. The relay station can perform the HARQ of the backhaul link while maintaining the same period of the HARQ perform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s using the dedicated backhaul carrier wave.

도 1은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3GPP LTE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를 나타낸다.
도 7은 중계국을 도입하는 경우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종래 운영 방법의 예이다.
도 8은 중계국이 HARQ 수행 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과 그 서브프레임을 대체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9는 복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 하나의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백홀 링크에서의 반송파 운영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복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 하나의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백홀 링크에서의 반송파 운영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서 설명한 반송파 운영 방법을 사용하여 HARQ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복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 하나의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백홀 링크에서의 반송파 운영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제 3 실시예에서 TDM 방식으로 운영되는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주반송파(primary carrier)로 사용하는 경우 각 반송파 서브프레임에서 동작을 나타낸다.
도 15는 제 3 실시예에서 백홀 상향링크 HARQ 수행 방법을 나타낸다.
도 16은 제 3 실시예에서 백홀 하향링크 HARQ 수행방법을 나타낸다.
도 17은 제 3 실시예에서 DL-CC#1을 주 반송파로 하는 경우 각 반송파 서브프레임에서 동작을 나타내는 제 4 실시예이다.
도 18은 제 4 실시예에서 백홀 하향링크 HARQ 수행방법을 나타낸다.
도 19는 제 4 실시예에서 백홀 상향링크 HARQ 수행방법을 나타낸다.
도 20은 제 3 실시예에서 DL-CC#1을 주 반송파로 하는 경우, 각 반송파 서브프레임에서 동작을 나타내는 제 5 실시예이다.
도 21은 제 5 실시예에서 백홀 하향링크 HARQ 수행방법을 나타낸다.
도 22는 제 5 실시예에서 백홀 상향링크 HARQ 수행방법을 나타낸다.
도 23은 백홀 하향링크에 하나의 백홀 전용 단위 반송파, 백홀 상향링크 및액세스 상향링크에 TDM 방식의 상향링크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백홀 하향링크 HARQ 수행 방법을 나타낸다.
도 24는 백홀 하향링크에 하나의 백홀 전용 단위 반송파, 백홀 상향링크 및액세스 상향링크에 TDM 방식의 상향링크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백홀 상향링크 HARQ 수행 방법을 나타낸다.
도 25는 기지국 및 중계국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show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relay station.
2 shows a radio frame structure of 3GPP LTE.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source grid for one downlink slot.
4 shows a structure of a downlink sub-frame.
5 shows a structure of an uplink sub-frame.
6 shows a unit carrier used in a multi-carrier system.
Figure 7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operating method of a backhaul link and an access link when introducing a relay station.
8 shows a subframe in which a relay station can not receive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and a subframe in which a relay station can receive a signal by replacing the subframe.
9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carrier wave operating method in a backhaul link when a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s and one uplink unit carrier are used.
10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operating a carrier wave on a backhaul link when a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s and one uplink unit carrier are used.
FIGS. 11 and 12 illustrate a method of performing HARQ using the carrier operating method illustrated in FIG.
13 shows a third embodiment of a method for operating a carrier wave on a backhaul link when a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s and one uplink unit carrier are used.
FIG. 14 shows an operation in each carrier subframe when a downlink unitary carrier operated in the TDM scheme is used as a primary carrier in the third embodiment.
15 show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uplink HARQ in the third embodiment.
16 show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downlink HARQ in the third embodiment.
17 is a fourth embodiment showing operation in each carrier sub-frame when DL-CC # 1 is used as a main carrier in the third embodiment.
18 show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downlink HARQ in the fourth embodiment.
FIG. 19 show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uplink HARQ in the fourth embodiment.
20 is a fifth embodiment showing an operation in each carrier sub-frame when DL-CC # 1 is used as a main carrier in the third embodiment.
FIG. 21 illustrate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downlink HARQ in the fifth embodiment.
22 illustrate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uplink HARQ in the fifth embodiment.
FIG. 23 show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downlink HARQ when one backhaul dedicated unit carrier is used for the backhaul downlink, a backhaul uplink is used for the backhaul downlink, and a TDM type uplink carrier is used for the access uplink.
FIG. 24 shows a backhaul uplink HARQ performance method when one backhaul dedicated unit carrier for the backhaul downlink, a backhaul uplink for the backhaul downlink, and a TDM uplink carrier for the access uplink are used.
2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se station and a relay station.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e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dvanced(LTE-A)는 3GPP LTE의 진화이다. 이하에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ET-A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can be used i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DMA may be implemented in radio technology such as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or CDMA2000. The TDMA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technology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 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OFDMA can be implemented with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IEEE 802.11 (Wi-Fi), IEEE 802.16e (WiMAX), IEEE 802-20, and E-UTRA (Evolved UTRA). UTRA is part of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is a part of E-UMTS (Evolved UMTS) using E-UTRA, adopting OFDMA in downlink and SC-FDMA in uplink. LTE-Advanced (LTE-A) is the evolution of 3GPP LTE. Hereinafter, 3GPP LTE / LET-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larifica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1 show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relay station.

도 1을 참조하면,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 (15)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각각의 영역은 섹터(sector)라고 칭한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3)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N(Access Network)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중계국(12)과 단말(14) 간의 연결성(connectivity), 관리(management), 제어 및 자원 할당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including a relay station includes at least one base station 11 (BS). Each base station 11 provides communication services for a particular geographic area 15, commonly referred to as a cell. The cell can again be divided into multiple regions, each of which is referred to as a sector. One base station may have more than one cell. The base station 11 generally refers to a fixed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13 and includes an evolved 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n access network It can be called another term. The base station 11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connectivity, management, control and resource allocation between the relay station 12 and the terminal 14.

중계국(Relay Station, RS, 12)은 기지국(11)과 단말(14)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기기를 말하며, RN(Relay Node), 리피터(repeater), 중계기(relay)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중계국에서 사용하는 중계 방식으로 AF(amplify and forward) 및 DF(decode and forward) 등 어떠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relay station (RS) 12 is a device that relays signals between a base station 11 and a terminal 14 and is referred to as another term such as an RN (Relay Node), a repeater, . Any method such as amplify and forward (AF) and decode and forward (DF) may be used as a relaying method used in a relay sta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단말(13, 14;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매크로 단말(macro UE, Ma UE, 13)은 기지국(11)과 직접 통신하는 단말이고, 중계국 단말(relay station UE, RS UE, 14)은 중계국과 통신하는 단말을 칭한다. 기지국(11)의 셀 내에 있는 매크로 단말(13)이라 할지라도, 다이버시티(diversity) 효과에 따른 전송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중계국(12)을 거쳐서 기지국(11)과 통신할 수 있다.The UEs 13 and 14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A wireless modem, a handheld device, an AT (access terminal), and the like. Hereinafter, the macro UEs (macro UEs, Ma UEs) 13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BS 11, and the relay station UEs (RS UEs) 14 communicate with the RSs. The macro terminal 13 in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11 can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11 via the relay station 12 in order to improve the transmission rate according to the diversity effect.

이하에서 기지국(11)과 매크로 단말(13) 간의 링크를 매크로 링크(macro link)라 칭하기로 한다. 매크로 링크는 매크로 하향링크와 매크로 상향링크로 구분될 수 있다, 매크로 하향링크(macro downlink, M-DL)는 기지국(11)에서 매크로 단말(13)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매크로 상향링크(macro uplink, M-UL)는 매크로 단말(13)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Hereinafter, a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11 and the macro terminal 13 will be referred to as a macro link. A macro downlink (M-DL) means a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11 to the macro terminal 13, and a macro uplink , M-UL) means communication from the macro terminal 13 to the base station 11.

기지국(11)과 중계국(12)간의 링크는 백홀(backhaul) 링크라 칭하기로 한다. 백홀 링크는 백홀 하향링크(backhaul downlink, B-DL)와 백홀 상향링크(backhaul uplink, B-UL)로 구분될 수 있다. 백홀 하향링크는 기지국(11)에서 중계국(12)으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백홀 상향링크는 중계국(12)에서 기지국(11)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The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11 and the relay station 12 will be referred to as a backhaul link. The backhaul link can be divided into a backhaul downlink (B-DL) and a backhaul uplink (B-UL). Backhaul downlink refers to communication from the base station 11 to the relay station 12 and backhaul uplink refers to communication from the relay station 12 to the base station 11.

중계국(12)과 중계국 단말(14)간의 링크는 액세스 링크(access link)라 칭하기로 한다. 액세스 링크는 액세스 하향링크(access downlink, A-DL)와 액세스 상향링크(access uplink, A-UL)로 구분될 수 있다. 액세스 하향링크는 중계국(12)에서 중계국 단말(14)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액세스 상향링크는 중계국 단말(14)에서 중계국(12)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The link between the relay station 12 and the relay station terminal 14 will be referred to as an access link. The access link can be divided into an access downlink (A-DL) and an access uplink (A-UL). The access downlink means communication from the relay station 12 to the relay station terminal 14 and the access uplink means the communication from the relay station terminal 14 to the relay station 12. [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양방향 통신은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TDD 모드는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에서 서로 다른 시간 자원을 사용한다. FDD 모드는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including the relay station is a system support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TDD (Time Division Duplex) mode, an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mode, or the like. The TDD mode uses different time resources in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FDD mode uses different frequency resources in uplink transmission and downlink transmission.

도 2는 3GPP LTE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2 shows a radio frame structure of 3GPP LTE.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TTI는 스케줄링의 최소 단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radio frame is composed of 10 subframes, and one subframe is composed of two slots. The length of one subframe may be 1 ms and the length of one slot may be 0.5 ms. The time taken for one subframe to be transmitted is called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The TTI may be a minimum unit of scheduling.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할 수 있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 다중 접속 방식으로 SC-FDMA가 사용될 경우 SC-FDMA 심벌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바뀔 수 있다. 3GPP TS 36.211 V8.5.0(2008-12)에 의하면, 노멀(normal) CP에서 1 서브프레임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확장(extended) CP에서 1 서브프레임은 6 OFDM 심벌을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및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심벌은 하나의 OFDM 심벌 또는 하나의 SC-FDMA 심벌을 의미할 수 있다.One slo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The OFDM symbol is used to represent one symbol period because 3GPP LTE uses OFDMA in the downlink and may be called another name according to the multiple access scheme. For example, when SC-FDMA is used in an uplink multiple access scheme, it may be referred to as an SC-FDMA symbol. One slot exemplarily includes seven OFDM symbols, but the number of OFDM symbols included in one slo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a CP (Cyclic Prefix). According to 3GPP TS 36.211 V8.5.0 (2008-12), one subframe in a normal CP includes seven OFDM symbols, and one subframe in an extended CP includes six OFDM symbols. The structure of the radio fram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subframes included in the radio frame and the number of slots included in the subframe can be variously changed. Hereinafter, a symbol may mean one OFDM symbol or one SC-FDMA symbol.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3GPP TS 36.211 V8.3.0 (2008-0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의 4.1절 및 4. 2절을 참조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radio fram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s described in 3GPP TS 36.211 V8.3.0 (2008-05)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 See also Section 4.1 and Section 4.2 of this document.

도 3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source grid for one downlink slot.

FDD 또는 TDD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에서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자원 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하는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One slot in a radio frame used in FDD or TDD includes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s in a time domain and a plurality of resource blocks (RB) in a frequency domain . The resource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consecutive subcarriers in one slot as a resource allocation unit.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블록에서 부반송파는 예컨대 15KHz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one downlink slot includes 7 OFDM symbols, and one resource block includes 12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resource block, the subcarrier may have an interval of 15 KHz, for example.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요소(resource element)라 하며, 하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은 12×7개의 자원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DL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도 3에서 설명한 자원 그리드는 상향링크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Each element on the resource grid is called a resource element, and one resource block includes 12 × 7 resource elements. The number N DL of resource blocks included in the downlink slot is dependent on the downlink transmission bandwidth set in the cell. The resource grid described in FIG. 3 can also be applied in the uplink.

도 4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4 shows a structure of a downlink sub-frame.

도 4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슬롯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선 3 OFDM 심벌들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data region)이다. 제어영역에는 PDCCH 이외에도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등의 제어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은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디코딩하여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영역이 3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은 예시에 불과하며, 제어영역에는 2 OFDM 심벌 또는 1 OFDM 심벌이 포함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내 제어영역이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수는 PCFICH를 통해 알 수 있다. PHICH는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른다.Referring to FIG. 4, a subframe includes two consecutive slots. In the subframe, the 3 OFDM symbols preceding the first slot are control regions to which PDCCHs are assigned, and the remaining OFDM symbols are data regions allocated wit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s (PDSCHs) )to be. In addition to the PDCCH, a control channel such as a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and a 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PHICH) may be allocated to the control region. The UE can decode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DCCH and read the data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DSCH. Here, it is to be noted that the control region includes only three OFDM symbols, and the control region may include two OFDM symbols or one OFDM symbol. The number of OFDM symbols included in the control region in the subframe can be known through the PCFICH. The PHICH carrie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reception of the uplink data transmitted by the UE is successful.

제어영역은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인 논리적인 CCE 열로 구성된다. CCE 열은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영역을 구성하는 전체 CCE들의 집합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CCE는 9 자원요소 그룹에 대응될 수 있다. 자원요소 그룹은 자원요소로 제어채널을 맵핑하는 것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자원요소 그룹은 4개의 자원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area consists of a logical CCE sequence, which is a plurality of control channel elements (CCE). The CCE column is a set of all CCEs constituting the control region in one subframe. The CCE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resource element groups. For example, a CCE may correspond to nine resource element groups. A resource element group is used to define the mapping of control channels to resource elements. For example, one resource element group may be composed of four resource elements.

복수의 PDCCH가 제어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PDCCH는 스케줄링 할당과 같은 제어정보(control information)를 나른다. 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단(aggregation) 상으로 전송된다. CCE 집단을 구성하는 CCE의 수(Number of CCEs)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 수가 결정된다. 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CCE의 수를 CCE 집단 레벨(aggregation level)이라 한다. 또한, CCE 집단 레벨은 PDCCH를 검색하기 위한 CCE 단위이다. CCE 집단 레벨의 크기는 인접하는 CCE들의 수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CCE 집단 레벨은 {1, 2, 4, 8}의 원소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PDCCHs may be transmitted within the control domain. The PDCCH carries control information such as scheduling assignment. The PDCCH is transmitted on an aggregation of one or several consecutive control channel elements (CCEs). The format of the PDCCH and the number of possible PDCCH bit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CEs constituting the CCE group. The number of CCEs used for PDCCH transmission is called a CCE aggregation level. Also, the CCE aggregation level is a CCE unit for searching the PDCCH. The size of the CCE aggregation level is defined by the number of adjacent CCEs. For example, the CCE aggregation level may be an element of {1, 2, 4, 8}.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이하 DCI)라고 한다. DCI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상향링크 전력 제어 명령(power control command), 페이징을 위한 제어정보, 랜덤 액세스 응답(RACH response)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PDCCH is referred to a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DCI includes uplink scheduling information, 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an uplink power control command, control information for paging, and control information for indicating a random access response (RACH response) .

DCI 포맷으로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0, 하나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코드워드의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 하나의 PDSCH 코드워드의 간단한(compact)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A,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단일 코드워드의 랭크-1 전송에 대한 간단한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B,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매우 간단한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C, 다중 사용자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1D, 폐루프(Closed-loop)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 개루프(Open-loop) 공간 다중화 모드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포맷 2A, PUCCH 및 PUSCH를 위한 2비트 전력 조절의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명령의 전송을 위한 포맷 3, 및 PUCCH 및 PUSCH를 위한 1비트 전력 조절의 TPC 명령의 전송을 위한 포맷 3A 등이 있다. In the DCI format, a format 1 for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scheduling, a format 1 for scheduling one PDSCH codeword, a format 1A for compact scheduling of one PDSCH codeword Format 1B for simple scheduling for transmission of rank-1 of a single codeword in spatial multiplexing mode, format 1C for very simple scheduling of downlink shared channel (DL-SCH), format for PDSCH scheduling in multiuser spatial multiplexing mode 1D, format 2 for PDSCH scheduling in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mode, format 2A for PDSCH scheduling in open-loop spatial multiplexing mode, 2-bit power control TPC for PUCCH and PUSCH Format 3 for transmission of Transmission Power Control (PUSH) commands, and Format 3A for transmission of TPC commands of 1 bit power control for PUCCH and PUSCH.

도 5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5 shows a structure of an uplink sub-frame.

도 5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제어영역(region)과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uplink sub-frame is allocated with a control region in which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for carry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s allocated in a frequency domain and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Data area.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RB) 쌍(pair, 51, 52)으로 할당되고, RB 쌍에 속하는 RB들(51,52)은 2개의 슬롯들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RB 쌍이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서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된다고 한다. The PUCCH for one UE is allocated as a resource block (RB) pair (pair 51, 52) in a subframe and the RBs 51, 52 belonging to the RB pair occupy different subcarriers in each of the two slots do. It is assumed that the RB pair allocated to the PUCCH is frequency hopped at the slot boundary.

PUCCH는 다중 포맷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변조 방식(modualtion scheme)에 따라 서브프레임당 서로 다른 비트 수를 갖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을 사용하는 경우(PUCCH 포맷 1a) 1비트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PUCCH 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을 사용하는 경우(PUCCH 포맷 1b) 2비트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PUCCH 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PUCCH 포맷은 이외에도 포맷 1, 포맷 2, 포맷 2a, 포맷 2b 등이 있다(이는 3GPP TS 36.211 V8.2.0 (2008-03)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의 5.4절을 참조할 수 있다).PUCCH can support multiple formats. That is, uplink control information having different bit numbers per subframe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modulation sche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PUCCH format 1a), 1 bit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on the PUCCH. In the case of using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 2-bit uplink control information on the PUCCH. The PUCCH format includes format 1, format 2, format 2a, format 2b, and the like (this is referred to as 3GPP TS 36.211 V8.2.0 (2008-03)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 ").

이제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A multi-carrier system is now described.

기존 3GPP LTE 시스템은 하향링크 대역폭과 상향링크 대역폭이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를 지원하나, 이는 하나의 반송파(carrier)를 전제한다. 즉, 3GPP LTE 시스템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반송파가 정의되어 있는 상황에서, 하향링크의 대역폭과 상향링크의 대역폭이 다른 경우에 대해서만 지원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3GPP LTE 시스템은 최대 20MHz을 지원하고, 상향링크 대역폭과 하향링크 대역폭을 다를 수 있지만,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하나의 반송파 만을 지원한다. The existing 3GPP LTE system supports the case where the downlink bandwidth and the uplink bandwidth are set differently, but this assumes a single carrier. That is, the 3GPP LTE system is supported only when the downlink bandwidth and the uplink bandwidth are different in a situation where one carrier is defined for the downlink and the uplink,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3GPP LTE system supports a maximum of 20 MHz and supports only one carrier on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lthough the uplink bandwidth and the downlink bandwidth may be different.

반면, 다중 반송파 시스템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한다. 반송파 집성은 복수의 협대역 단위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집성하여 광대역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송파 집성은 전송 대역폭의 확장을 통해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며,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전송 대역폭의 확장은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단위 반송파 5개를 집성하여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 multi-carrier system supports carrier aggregation. Carrier aggregation means that a plurality of narrowband unit carrier carriers (CCs) can be aggregated to form a wideband. Carrier aggregation supports increased throughput by extending the transmission bandwidth, prevents cost increase due to the introduction of wideband radio frequency (RF) devices, and ensures compatibility with existing systems. The expansion of the transmission bandwidth is possible, for example, by supporting five unit carriers having a bandwidth of 20 MHz to support a maximum bandwidth of 100 MHz.

반송파 집성은 집성이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반송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과 집성이 불연속적인 반송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으로 나눌 수 있다. 비인접 반송파 집성을 스펙트럼 집성(spectrum aggregation)이라 칭하기도 한다. Carrier aggregation can be divided into contiguous carrier aggregation between consecutive 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non-contiguous carrier aggregation where aggregation occurs between discontinuous carriers. Non-adjacent carrier aggregation is also referred to as spectrum aggregation.

반송파 집성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들의 대역폭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20MHz 단위 반송파가 2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4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20MHz 단위 반송파 1개와 10MHz 단위 반송파 2개가 사용될 수 있다. The bandwidths of the unit carriers used for carrier aggregation may be the same o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wo 20 MHz unit carriers may be used for a 40 MHz band configuration. Alternatively, one 20 MHz unit carrier and two 10 MHz unit carriers may be used for a 40 MHz band configuration.

또한, 상향링크에 사용되는 총 대역폭과 하향링크에 사용되는 총 대역폭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향링크에는 20MHz 단위 반송파 3개가 사용되어 총 대역폭 60MHz가 사용되고, 하향링크에는 20MHz 단위 반송파 5개가 사용되어 총 대역폭 100MHz 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반송파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In addition, the total bandwidth used for the uplink and the total bandwidth used for the downlink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 total bandwidth of 60 MHz is used for three uplink signals of 20 MHz, and five subcarriers of 20 MHz are used for downlink, so that a total bandwidth of 100 MHz can be used. Hereinafter, a multi-carrier system refers to a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a plurality of carriers based on carrier aggregation.

도 6은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를 나타낸다.6 shows a unit carrier used in a multi-carrier system.

도 6에서 DL-CC#1 내지 DL-CC #N(N은 자연수)은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들을 나타내고, UL-CC#1 내지 UL-CC#M(M은 자연수)은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들을 나타낸다. 각 단위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0MHz 또는 20MHz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N과 M은 같은 값일 수도 있고 다른 값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N이 M보다 큰 경우를 가정한다.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들과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들은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백홀 링크에 사용될 수 있다.In FIG. 6, DL-CC # 1 to DL-CC #N (N is a natural number) denote downlink unit carriers and UL-CC # 1 to UL-CC # M . The frequency band of each unit carrier may have various values. For example, 10 MHz or 20 MHz. The N and M may be the same value or different values.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N is greater than M. The downlink unit carriers and the uplink unit carriers may be used for the backhaul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도 7은 중계국을 도입하는 경우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의 종래 운영 방법의 예이다. Figure 7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operating method of a backhaul link and an access link when introducing a relay station.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중계국 링크 및 중계국-중계국 단말 링크에서 DL-CC#1이 서로 다른 시간에 사용되며 동시에 사용될 수는 없다. 즉, 백홀 하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에서 하나의 반송파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방식으로 운영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DL-CC # 1 is used at different times in the base station-relay station link and the relay station-relay station terminal link, and can not be used at the same time. That is, one carrier in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access downlink operates in a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scheme.

또한, 기지국-중계국 링크 및 중계국-중계국 단말 링크에서 UL-CC#1이 서로 다른 시간에 사용되며 동시에 사용될 수는 없다. 즉, 백홀 상향링크와 액세스 상향링크에서 하나의 반송파가 TDM 방식으로 운영된다. Also, UL-CC # 1 is used at different times in the base station-relay station link and the relay station-relay station terminal link, and can not be used at the same time. That is, one carrier is operated in a TDM manner in the backhaul uplink and access uplink.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3GPP LTE FDD 시스템에서 중계국은 서브프레임 0, 4, 5, 9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왜냐하면, 중계국은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페이징 메시시(paging message)와 같은 필수적인 신호를 단말에게 전송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This conventional scheme has a problem that there exists a subframe in which the relay station can not receive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in a 3GPP LTE FDD system, a relay station can not receive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in subframes 0, 4, 5, and 9. This is because the relay station must transmit essential signals such as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a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and a paging message to the mobile station.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 HARQ를 적용하는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 n-4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서브프레임 n에서 ACK/NACK을 전송한다. 그리고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 또는 재전송 데이터를 서브프레임 (n+4)에서 수신한다. 이러한 HARQ방법을 중계국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므로 문제가 될 수 있다.When HARQ is applied in the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the UE transmits ACK / NACK in the subframe n to the data received in the subframe n-4. And receives new data or retransmission data in the subframe (n + 4) according to ACK / NACK. If the HARQ method is directly applied to the relay station, the relay station may have a problem because there are subframes that can not receive data from the base station.

도 8은 중계국이 HARQ 수행 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과 그 서브프레임을 대체하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8 shows a subframe in which a relay station can not receive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and a subframe in which a relay station can receive a signal by replacing the subframe.

도 8에서, 각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0 내지 9로 나타내고 있다. 중계국이 세번째 DL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6에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중계국은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네번째 UL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에서 전송할 수 있다. 중계국은 상기 ACK/NACK에 따른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재전송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네번째 DL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4에서 수신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FDD의 경우 서브프레임 0, 4, 5, 9에서 중계국은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중계국은 서브프레임 4의 이전 수신 가능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3(옵션 1) 또는 다음 수신 가능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6(옵션 2)에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n FIG. 8, the subframe indices of the respective radio frames are represented by 0 to 9.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data in the subframe 6 of the third DL radio frame. The relay station may then transmit an ACK / NACK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in subframe 0 of the fourth UL radio frame. The RS must receive the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the retransmission backhaul downlink data according to the ACK / NACK in the subframe 4 of the fourth DL radio fram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FDD, there is a restriction that the relay station can not receive the signal of the base station in subframes 0, 4, 5 and 9. Therefore,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backhaul downlink data in subframe 3 (option 1) which is the previous receivable subframe of subframe 4 or subframe 6 (option 2) which is the next receivable subframe.

도 9는 복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 하나의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백홀 링크에서의 반송파 운영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9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carrier wave operating method in a backhaul link when a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s and one uplink unit carrier are used.

도 9와 같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가 복수인 경우, 일부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는 백홀 하향링크에 사용하고, 나머지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는 액세스 하향링크에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는 백홀 상향링크와 액세스 상향링크에서 TDM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s availabl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ome downlink unit carriers may be used for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remaining downlink unit carriers may be used for the access downlink. The uplink unit carrier may be used in the backhaul uplink and the access uplink in the TDM scheme.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가 2개(DL-CC#1, DL-CC#2)인 경우, 하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DL-CC#1)은 백홀 하향링크에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DL-CC#2)는 액세스 하향링크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DL-CC#1과 DL-CC#2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그러면 DL-CC#1과 DL-CC#2는 동시에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중계국은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0, 4, 5, 9인 서브프레임에서도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이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wo available downlink unit carriers are two (DL-CC # 1 and DL-CC # 2), one downlink unit carrier (DL-CC # 1) is used for backhaul downlink, One downlink unit carrier (DL-CC # 2) can be used for the access downlink. In this case, DL-CC # 1 and DL-CC # 2 may be different frequency bands. DL-CC # 1 and DL-CC # 2 can be used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signals from the base station even in subframes with subframe indexes 0, 4, 5, and 9, and access downlink transmission is possible in all subframes.

백홀 하향링크에 사용되는 DL-CC#1에서 백홀 하향링크 전송에 관한하향링크 그랜트(DL grant) 또는 백홀 상향링크 전송에 관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가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하향링크 그랜트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는 기지국과 단말 간에 사용되는 PDCCH와 동일한 형식의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 그랜트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는 R-PD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R-PDCCH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수신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HD(half-duplex)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정의되는 PDCCH를 의미한다. R-PDCCH는 기지국이 단말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에 비해 사용할 수 있는 OFDM 심벌의 개수가 적은 서브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 그랜트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는 PDCCH 또는 R-PDCCH로 전송될 수 있고, 어느 채널 형식으로 전송될 것인지는 상위 시그널링(예컨대, RRC(radio resource control))을 통해 중계국에게 알려주거나, 사전에 미리 설정되어 운영될 수 있다.A downlink grant (DL grant) related to backhaul downlink transmission or an uplink grant (UL grant) related to backhaul uplink transmission in DL-CC # 1 used for backhaul downlink may b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downlink grant or the uplink grant may be transmitted using a channel of the same format as the PDCCH used between the BS and the MS. Or a downlink grant or an uplink grant may be transmitted on the R-PDCCH. Here, the R-PDCCH means a PDCCH defined when a half-duplex (HD) relay station, which is not allow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the same frequency band, receives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The R-PDCCH can be applied to a sub-frame having a small number of OFDM symbols usable for a base station compared to a sub-frame for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to a UE. Hereinafter, the downlink grant or the uplink grant may be transmitted on the PDCCH or the R-PDCCH, and it may be informed to the relay station through the upper signaling (for example, radio resource control (RRC) Can be set and operated in advance.

도 10은 복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 하나의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백홀 링크에서의 반송파 운영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10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operating a carrier wave on a backhaul link when a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s and one uplink unit carrier are used.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 전부를 백홀 하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에 사용하되, 백홀 하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에 TDM 방식으로 사용한다.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는 백홀 상향링크와 액세스 상향링크에서 TDM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용 방법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0, 4, 5, 9인 서브프레임은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Referring to FIG. 10, when a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s availabl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re used, the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s are used for backhaul downlink and access downlink, and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access downlink Used in TDM mode. The uplink unit carrier may be used in the backhaul uplink and the access uplink in the TDM scheme. In this method, the subframe with the subframe indexes 0, 4, 5, and 9 can not be used by the relay station to receive signals from the base station.

중계국은 2개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하나의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전송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계국은 복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로부터 전송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번들링하거나 다중화한 후 하나의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data from two downlink unit carriers, and the ACK / NACK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must be transmitted through one uplink unit carri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lay station may bundle or multiplex ACK / NACK for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s, and transmit the ACK / NACK using one uplink unit carrier.

이하의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상 백홀 링크에 사용될 수 있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L subframe)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L subframe)의 수 (각각 1 단위 반송파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BH n(n은 자연수)은 백홀 링크 HARQ 프로세스 n을 나타낸다. n은 백홀 링크 HARQ 프로세스 넘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BH1은 백홀 링크 HARQ 프로세스 1을 의미한다. In the following drawings,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DL subframe) and uplink subframes (UL subframe), which can be used for a backhaul link, are the sam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H n (n is a natural number) represents the backhaul link HARQ process n. n represents the backhaul link HARQ process number. For example, BH1 refers to backhaul link HARQ process 1.

서브프레임 할당에 따라서 HARQ 프로세스 넘버가 서브프레임 인덱스와 일대일로 매핑(mapping)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많고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적은 경우에는 하향링크(DL):상향링크(UL) 비율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하의 도면에 표시된 것처럼 일정한 서브프레임 간격을 두고 백홀 링크 HARQ 프로세스 넘버가 고정된 값을 갖지 않을 수 있다. The HARQ process number may not be mapped to the subframe index one to one according to the subframe allocation. That is, when the number of downlink subframes is large and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small, since the downlink (DL): uplink (UL) ratio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rocess number may not have a fixed value.

특히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적을 경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백홀 상향링크 ACK/NACK을, 사용 가능하고 가장 먼저 오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수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백홀 상향링크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의 예로 ACK/NACK 번들링(bundling) 또는 ACK/NACK 다중화(multiplexing)/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number of uplink subframes is small, the backhaul uplink ACK / NACK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in the downlink subframe can be transmitted in the available uplink subfram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downlink subframes can correspond to uplink subframes,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a plurality of backhaul uplink ACK / NACKs is needed. As an example of such a method, ACK / NACK bundling or ACK / NACK multiplexing / channel selection may be used.

DL-CC의 서브프레임 내에 표시된 RX는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는 의미이고, TX는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에게 액세스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는 의미이다. UL-CC의 서브프레임 내에 표시된 TX는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한다는 의미이며 RX는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로부터 액세스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는 의미이다. 서브프레임 내에 표시된 ‘A’는 해당 무선자원이 백홀 링크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액세스 링크에만 사용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RX indicated in the sub-frame of the DL-CC means that the relay station receives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and TX means that the relay station transmits the access downlink signal to the relay station. The TX indicated in the sub-frame of the UL-CC means that the relay station transmits the backhaul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and RX means that the relay station receives the access uplink signal from the relay station. The 'A' indicated in the subframe means that the radio resource is not used for the backhaul link and can only be used for the access link.

일부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상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중 어느 링크에 사용되는지 그 용도를 지정하였으나 이것은 모든 서브프레임이 사용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일부 서브프레임만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에 할당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의 부하에 따라서 할당 서브프레임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경우에 따라서 ‘A1’과 ‘BH1’만 정의될 수 있다.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some drawings, it is specified that all subframes are used for either the backhaul link or the access link, but this does not mean that all the subframes are used. That is, only some subframes may be allocated and used for the backhaul link or the access link. This means that the number of allocated subframes can vary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backhaul link or the access link. In other words, only 'A1' and 'BH1' can be defined in some cases.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해당 프레임 내에서 순차적으로 0에서 9까지 할당될 수 있으나 이하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속된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오름차순으로 연속적으로 표시하였다.The subframe indexes may be sequentially assigned from 0 to 9 in the frame, but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subframe indexes of consecutive frames are continuously displayed in ascending ord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서 설명한 반송파 운영 방법을 사용하여 HARQ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FIGS. 11 and 12 illustrate a method of performing HARQ using the carrier operating method illustrated in FIG.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DL-CC#1과 DL-CC#2에서 백홀 링크 HARQ 프로세스(이하 HARQ 프로세스)가 정렬되어 있다. 즉,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각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의 서브프레임에서 동일한 HARQ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a backhaul link HARQ pro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RQ process) is arranged in DL-CC # 1 and DL-CC # 2. That is, the same HARQ process is performed in subframes of each downlink unit carrier having the same subframe index.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중계국은 DL-CC#1의 서브프레임 2, DL-CC#2의 서브프레임 2에서 BH1(HARQ 프로세스 1)에 대한 하향링크 그랜트,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서브프레임 2에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는 R-PDSCH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데, R-PDSCH는 기지국이 중계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하는 PDSCH를 의미한다. 11 and 12, the relay station receives downlink grant and backhaul downlink data for BH1 (HARQ process 1) in subframe 2 of DL-CC # 1 and subframe 2 of DL-CC # 2 . In the subframe 2, the backhaul downlink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PDSCH. The R-PDSCH means a PDSCH used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data to the relay station.

이러한 경우, 중계국은 DL-CC#1, DL-CC#2를 통해 수신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서브프레임 6에서 번들링(bundling)하거나 다중화(multiplexing)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ACK/NACK은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R-PU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R-PUCCH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PUCCH에 비해 사용할 수 있는 SC-FDMA 심벌의 개수가 적을 수 있다. 또한 R-PUCCH정보는 항상 R-PUSCH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백홀 하향링크 전송 에 대한 백홀 상향링크 ACK/NACK은 항상 R-PUSCH로 전송된다. 백홀 링크에 사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일 확률이 높다. 따라서, 백홀 하향링크 전송 에 대한 백홀 상향링크 ACK/NACK이 전송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는항상 R-PUSCH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정 하에 백홀 상향링크 ACK/NACK을 항상 R-PUSCH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R-PUSCH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은 R-PUSCH를 강제로 스케줄링하고 그 곳에 백홀 상향링크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ACK/NACK은 백홀 링크에서 기지국과 중계국 간에 전송되는 것으로 백홀 상향링크 ACK/NACK 또는 백홀 하향링크 ACK/NACK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relay station bundles or multiplexes ACK / NACK for backhaul downlink data received through the DL-CC # 1 and the DL-CC # 2 in the subframe 6 and transmits the ACK / NACK. The ACK / NACK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R-PUCCH in which the relay station transmits the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e R-PUCCH may have a smaller number of SC-FDMA symbols than the PUCCH for transmitting the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Also, the R-PUCCH information can always be transmitted on the R-PUSCH. That is, backhaul uplink ACK / NACK for backhaul downlink transmission is always transmitted on R-PUSCH. The downlink subframe and the uplink subframe used for the backhaul link are likely to be subframes for transmitting data. Therefore, the backhaul uplink ACK / NACK can always be transmitted on the R-PUSCH on the assumption that the R-PUSCH always exists in the uplink sub-frame in which the backhaul uplink ACK / NACK for backhaul downlink transmission is transmitted. If there is no R-PUSCH, it is possible to forcibly schedule the R-PUSCH to which no data is allocated and to transmit the backhaul uplink ACK / NACK to the R-PUSCH. Hereinafter, the ACK / NACK is transmitt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in the backhaul link and refers to backhaul uplink ACK / NACK or backhaul downlink ACK / NACK.

번들링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DL-CC#1에서 전송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DL-CC#2에서 전송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모두 수신에 성공한 경우에는 ‘1’을 전송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0’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1’을 수신하면 2개의 DL- CC에서 전송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들의 수신이 모두 성공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0’을 수신한 경우, 어느 DL-CC에서 전송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을 실패하였는지 알 수 없으므로 모든 DL-CC에서 다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using bundling, for example, '1' is transmitted when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in DL-CC # 1 and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in DL-CC # 2 are successfully received, Quot; 0 " When the BS receives a '1', it can be seen that the reception of the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from the two DL CCs is successful. If '0' is received,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ich DL-CC failed to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data, so that it is possible to retransmit backhaul downlink data again in all DL CCs.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각 DL-CC에 대한 ACK/NACK을 서로 다른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각 DL-CC에서 전송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하여 중계국의 수신 성공여부를 알 수 있다. 다중화 방식은 ACK/NACK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의 양이 번들링 방식에 비해 증가하나 각 DL-CC에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지국은 NACK이 수신된 DL-CC에 대해서만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When using the multiplexing scheme, ACK / NACK for each DL-CC is transmitted using different resources. Therefore, the base station can know whether the relay station has successfully received the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from each DL-CC. The multiplexing schem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amount of radio resources used for ACK / NACK transmission i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bundling scheme, bu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backhaul downlink data is received in each DL-CC. The base station can retransmit the backhaul downlink data only to the DL-CC in which the NACK is received.

중계국은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이 중계국 단말에게 필수 정보를 전송하여야 하는 서브프레임과 겹치는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이동(shift)시켜 도 11과 같이 다음 수신 가능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12) 또는 도 12와 같이 이전 수신 가능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8)에서 전송할 수 있다.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according to ACK / NACK. At this time, a collision may occur in which a subframe receiving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overlaps with a subframe in which essential information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relay station terminal. When a collision occurs, the base station shifts the transmission time point of the corresponding data and transmits the next receivable subframe (subframe 12) as shown in FIG. 11 or the previous receivable subframe (subframe 8) as shown in FIG. .

도 13은 복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 하나의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백홀 링크에서의 반송파 운영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13 shows a third embodiment of a method for operating a carrier wave on a backhaul link when a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s and one uplink unit carrier are used.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는 백홀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는 백홀 하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에 TDM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는 백홀 상향링크와 액세스 상향링크에서 TDM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 waves availabl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ownlink unit carrier waves is dedicated to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remaining downlink unit carriers are downlinked Link and an access downlink can be used in a TDM manner. The uplink unit carrier may be used in the backhaul uplink and the access uplink in the TDM scheme.

예를 들어,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가 2개(DL-CC#1, DL-CC#2)이고,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가 1개(UL-CC#1)인 경우, DL-CC#1, DL-CC#2, UL-CC#1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DL-CC#1은 백홀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하고, DL-CC#2는 백홀 하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에 TDM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송파 운영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중계국은 DL-CC#1을 통해서는 어느 서브프레임에서나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DL-CC#2를 통해서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 For example, when two downlink unit carriers (DL-CC # 1 and DL-CC # 2) and one uplink unit carrier is one (UL-CC # -CC # 2 and UL-CC # 1 may have different frequency bands. At this time, DL-CC # 1 is used for backhaul downlink and DL-CC # 2 is used for backhaul downlink and access downlink in TDM manner. When using this carrier operating method,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backhaul downlink data in any subframe through DL-CC # 1. On the other hand, there exists a subframe that can not receive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DL-CC # 2.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계국이 백홀 링크에서 HARQ를 수행하는 경우, DL-CC#2, UL-CC#1에 대해 백홀 링크에 사용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과 액세스 링크에 사용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짝수인 서브프레임은 백홀 링크에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홀수인 서브프레임은 액세스 링크에 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 뿐이고 다른 방법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중계국은 DL-CC#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에서는 DL-CC#1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HARQ를 수행할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when a relay station performs HARQ on a backhaul link, a sub-frame usable for a backhaul link and a sub-frame usable for an access link are separately used for DL-CC # 2 and UL-CC # . For example, a subframe in which the subframe index is an even number can be allocated to the access link in a subframe in which the subframe index is odd in the backhaul link.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distinguished by other methods. The relay station can perform HARQ in a scheme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L-CC # 1 in a subframe in which DL-CC # 2 can not receive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도 14는 제 3 실시예에서 TDM 방식으로 운영되는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주반송파(primary carrier)로 사용하는 경우 각 반송파 서브프레임에서 동작을 나타낸다. FIG. 14 shows an operation in each carrier subframe when a downlink unitary carrier operated in the TDM scheme is used as a primary carrier in the third embodiment.

도 14에서 DL-CC#2는 백홀 하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에서 TDM 방식으로 모두 사용될 수 있는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라는 점에서 백홀 하향링크에만 전용으로 사용되는 DL-CC#1과 구별된다. 이 때, 백홀 하향링크에서의 데이터 수신에 DL-CC#2를 주반송파로 사용하고 DL-CC#1은 DL-CC#2에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보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중계국은 DL-CC#1의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기는 하나, 보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In FIG. 14, DL-CC # 2 is distinguished from DL-CC # 1 used only for backhaul downlink in that it is a downlink unit carrier that can be used both in backhaul downlink and access downlink in TDM manner. At this time, DL-CC # 2 is used as a main carrier for data reception in the backhaul downlink and DL-CC # 1 can be supplementarily used when DL-CC # 2 can not receive backhaul downlink data . That is, although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n all subframes of the DL-CC # 1, it additionally uses the relay station.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서브프레임은 홀수 인덱스를 가지는 서브프레임과 짝수 인덱스를 가지는 서브프레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홀수 인덱스를 가지는 서브프레임(예컨대 서브프레임 1, 3, 5 등)은 액세스 하향링크에 사용하고, 짝수 인덱스를 가지는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0, 2, 4 등)은 백홀 하향링크에 사용할 수 있다. A subframe constituting a radio frame can be divided into a subframe having an odd index and a subframe having an even index. In this case, for example, a subframe having an odd index (e.g., subframe 1, 3, 5, etc.) is used for an access downlink and a subframe having an even index (subframe 0, 2, 4, .

이하,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서 HARQ 주기가 8 서브프레임인 경우를 가정한다.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HARQ period in the backhaul link and the access link is 8 subframes.

도 15는 제 3 실시예에서 백홀 상향링크 HARQ 수행 방법을 나타낸다. 15 show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uplink HARQ in the third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중계국은 예컨대, DL-CC#2의 서브프레임 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HARQ 프로세스 1에 대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중계국은 UL-CC#1의 서브프레임 6에서 HARQ 프로세스 1에 대한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상기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DL-CC#2의 서브프레임 10에서 전송하지 않고 DL-CC#1의 서브프레임 10에서 전송한다. DL-CC#2의 서브프레임 10에서 중계국은 중계국 단말에게 필수정보를 전송하여야 하므로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DL-CC#1은 백홀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이고 DL-CC#2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므로 중계국은 DL-CC#1의 서브프레임 10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ACK/NACK을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러한 ACK/NACK을 DL-CC#1의 서브프레임 10에 포함된 PHIC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중계국은 UL-CC#1의 서브프레임 14에서 HARQ 프로세스 1에 대한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새로운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HARQ 프로세스 3(BH3)도 진행된다. Referring to FIG. 15, the RS may receive an uplink grant for HARQ process 1 from a base station in subframe 2 of DL-CC # 2, for example. The relay station transmits backhaul uplink data for HARQ process 1 in subframe 6 of UL-CC # 1. The base station transmits ACK / NACK for the backhaul uplink data in the subframe 10 of the DL-CC # 1 without transmitting in the subframe 10 of the DL-CC # 2. This is because, in the subframe 10 of the DL-CC # 2, the relay station must transmit the essential information to the relay station and can not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Since the DL-CC # 1 is a unit carrier dedicated to the backhaul downlink and has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DL-CC # 2, the relay station transmits an ACK / NACK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subframe 10 of the DL- . The base station can transmit the ACK / NACK through the PHICH included in the subframe 10 of the DL-CC # 1. The RS may retransmit backhaul uplink data for HARQ process 1 in the subframe 14 of UL-CC # 1 or transmit new backhaul uplink data. Likewise, HARQ process 3 (BH3) proceeds.

도 15 이후의 도면에서 PHICH는 ACK/NACK을 전송하는 채널뿐만 아니라 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채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NDI(New data indicator)가 바뀌지 않은 (토글되지 않은) 상향링크 그랜트는 PHICH의 ACK/NACK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FIG. 15 and subsequent figures, the PHICH is used to mean not only a channel for transmitting ACK / NACK but also a channel having the same meaning. For example, an uplink grant in which a new data indicator (NDI) is not changed (not toggled) can serve as an ACK / NACK of the PHICH.

도 16은 제 3 실시예에서 백홀 하향링크 HARQ 수행방법을 나타낸다. 16 show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downlink HARQ in the third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중계국은 DL-CC#2의 서브프레임 2에서 하향링크 그랜트와 상기 하향링크 그랜트가 지시하는 무선자원을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중계국은 UL-CC#1의 서브프레임 6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DL-CC#2의 서브프레임 10이 아니라 DL-CC#1의 서브프레임 10에서 상기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이 때, 기지국은 DL-CC#1에서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PDSCH와 동일한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DL-CC#2와 달리 DL-CC#1은 송수신 스위칭에 따른 보호 구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16, a relay station receives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 downlink grant and a radio resource indicated by the downlink grant in subframe 2 of DL-CC # 2. The relay station transmits an ACK / NACK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in subframe 6 of UL-CC # 1. The base station transmits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retransmits backhaul downlink data according to the ACK / NACK in subframe 10 of DL-CC # 1 instead of subframe 10 of DL-CC # 2.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can use the same format as the PDSCH used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DL-CC # 1 to the UE. Unlike the DL-CC # 2, the DL-CC # 1 does not need a guard interval due to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상술한 예에서, 기지국이 DL-CC#1, DL-CC#2를 모두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DL-CC#1의 서브프레임 1, 2와 DL-CC#2의 서브프레임 2를 통해 동시에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복수의 서브프레임(서로 다른 하향링크 단위 반송파에 속하는)으로부터 수신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중계국은 번들링 또는 다중화를 통해 하나의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번들링은 2개의 서브프레임을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액세스 링크와 백홀 링크에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을 홀수 또는 짝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서브프레임으로 구분하였기 때문이다. In the above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ase station transmits backhaul downlink data using both DL-CC # 1 and DL-CC # 2.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backhaul downlink data simultaneously through subframes 1 and 2 of DL-CC # 1 and subframe 2 of DL-CC # 2. The relay station can transmit ACK / NACK for backhaul downlink data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subframes (belonging to different downlink unit carrier waves) through one uplink unit carrier through bundling or multiplexing. At this time, the bundling can be performed in units of two subframes. And subframes allocated to the access link and the backhaul link are divided into subframes having an odd or even subframe index.

그리고 DL-CC#1의 서브프레임 9 또는 10에서는 DL-CC#1의 서브프레임 1, 2에서 전송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뿐 아니라 DL-CC#2의 서브프레임 2에서 전송한 백홀 하항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In the subframe 9 or 10 of the DL-CC # 1, not only the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in the subframes 1 and 2 of the DL-CC # 1 but also the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in the subframe 2 of the DL- It should be designed for retransmission.

이하에서는 백홀 전용 하향링크 반송파를 주 반송파(primary carrier)로 사용하고, 백홀 하향링크 및 액세스 하향링크에서 TDM 방식으로 사용되는 하향링크 반송파를 보충적 반송파(secondary carrier)로 사용하는 경우 백홀 링크에서의 HARQ 수행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hen a downlink dedicated carrier for a backhaul is used as a primary carrier and a downlink carrier used for a backhaul downlink and an access downlink in a TDM scheme is used as a supplementary carrier, How to do it will be explained.

도 17은 제 3 실시예에서 DL-CC#1을 주 반송파로 하는 경우 각 반송파 서브프레임에서 동작을 나타내는 제 4 실시예이다. 17 is a fourth embodiment showing operation in each carrier sub-frame when DL-CC # 1 is used as a main carrier in the third embodiment.

기지국은 DL-CC#1을 통해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중계국은 DL-CC#1의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DL-CC#1의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4개의 HARQ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DL-CC#1의 서브프레임 1, 9, 17 또는 서브프레임 2, 10, 18에서 HARQ 프로세스 1이 수행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 3, 11, 19, 또는 서브프레임 4, 12, 20에서 HARQ 프로세스 2가 수행될 수 있다. HARQ 프로세스 3, 4도 마찬가지로 8 서브프레임을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can transmit backhaul downlink signals in all subframes through DL-CC # 1. That is,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backhaul downlink signals in all subframes of DL-CC # 1. FIG. 17 illustrates a case where four HARQ processes are performed in one radio frame of the DL-CC # 1. For example, HARQ process 1 can be performed in subframes 1, 9, 17 or subframes 2, 10, 18 of DL-CC # 1 and subframes 3, 11, 19, The HARQ process 2 can be performed. Similarly, HARQ processes 3 and 4 may be performed at intervals of 8 subframes.

또한, 중계국은 DL-CC#2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0, 4, 5, 9이 아니고, 짝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보충적 또는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DL-CC#2의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는 백홀 하향링크 신호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DL-CC#1의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즉, DL-CC#2의 서브프레임 2에서 수신되는 백홀 하향링크 신호는 DL-CC#1의 서브프레임 2에서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S can additionally or additionally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in the subframe having the even subframe index, not the subframe indexes 0, 4, 5, and 9 in the DL-CC # 2.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received in the sub-frame of DL-CC # 2 may be related to the HARQ process performed in the sub-frame of DL-CC # 1 having the same sub-frame index. That is,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received in subframe 2 of DL-CC # 2 relates to the HARQ process performed in subframe 2 of DL-CC # 1.

중계국은 DL-CC#1을 통해서는 단말과 동일한 PDCCH, PDSCH 포맷을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DL-CC#2를 통해서는 단말과 다른 R-PDCCH, R-PDSCH 포맷을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using the same PDCCH and PDSCH formats as the UE through the DL-CC # 1, and can transmit the R-PDCCH and R-PDSCH formats different from the UE through the DL-CC # To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도 18은 제 4 실시예에서 백홀 하향링크 HARQ 수행방법을 나타낸다.18 show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downlink HARQ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18을 참조하면, 중계국은 DL-CC#1의 서브프레임 1, 2에서 각각 하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지시되는 무선자원을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DL-CC#2의 서브프레임 2에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DL-CC#1에서는 단말과 동일한 포맷의 PDSCH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DL-CC#2에서는 중계국에 사용되는 R-PDSCH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a relay station can receive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radio resources indicated by a downlink grant and a downlink grant in subframes 1 and 2 of DL-CC # 1, respectively. In addition, backhaul downlink data can be received in subframe 2 of DL-CC # 2. In the DL-CC # 1, the backhaul downlink data can be received through the PDSCH of the same format as the UE, and in the DL-CC # 2, the backhaul downlink data can be received through the R-PDSCH used in the relay station.

중계국은 UL-CC#1의 서브프레임 6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들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한다. 이 경우, ACK/NACK은 R-PU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DL-CC#1에서 수신한 PDCCH의 무선자원에 따라 R-PUCCH 상에서 ACK/NACK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DCCH의 CCE인덱스에 기반하여 R-PUCCH 상으로 전송되는 ACK/NACK 할당 무선자원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DL-CC#2에서 수신한 R-PDCCH의 무선자원에 따라 R-PUCCH 상에서 ACK/NACK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이 결정될 수 있다.The relay station transmits an ACK / NACK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in subframe 6 of UL-CC # 1. In this case, the ACK / NACK can be transmitted via the R-PUCCH. At this time, the radio resource through which the ACK / NACK is transmitted on the R-PUCCH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dio resource of the PDCCH received in the DL-CC # 1. For example, the ACK / NACK allocation radio resource transmitted on the R-PUCCH based on the CCE index of the PDCCH can be determined. In addition, the radio resource through which the ACK / NACK is transmitted on the R-PUCCH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dio resource of the R-PDCCH received in the DL-CC # 2.

기지국은 DL-CC#1의 서브프레임 9에서 DL-CC#1의 서브프레임 1의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DL-CC#1의 서브프레임 10에서 DL-CC#1의 서브프레임 2의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DL-CC#1의 서브프레임 9 또는 10에서 DL-CC#2의 서브프레임 2에서 전송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The base station can retransmit backhaul downlink data of subframe 1 of DL-CC # 1 in subframe 9 of DL-CC # 1 or transmit new backhaul downlink data. In addition, backhaul downlink data of subframe 2 of DL-CC # 1 can be retransmitted or new backhaul downlink data can be transmitted in subframe 10 of DL-CC # 1. The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in subframe 2 of DL-CC # 2 in subframe 9 or 10 of DL-CC # 1 may be retransmitted.

도 19는 제 4 실시예에서 백홀 상향링크 HARQ 수행방법을 나타낸다.FIG. 19 show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uplink HARQ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19를 참조하면, 중계국은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들로부터 동일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ARQ 프로세스 1(BH 1)에 참여하는 DL-CC#1의 서브프레임 1, 2 및 DL-CC#2의 서브프레임 2로부터 동일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a relay station may receive the same uplink grant from a plurality of subframes participating in the same HARQ proces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same uplink grant from subframes 1 and 2 of DL-CC # 1 participating in HARQ process 1 (BH 1) and subframe 2 of DL-CC # 2.

이 때,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DL-CC#1의 서브프레임 n에 대해서 (n+5) 또는 (n+4)인 UL-CC#1의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로부터 UL-CC#1의 서브프레임 6의 무선자원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중계국은 UL-CC#1의 서브프레임 6의 R-PUSCH를 통해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At this time, the uplink grant may indicate a subframe of UL-CC # 1 with (n + 5) or (n + 4) to the subframe n of DL-CC # 1. In this example, the radio resources of the subframe 6 of the UL-CC # 1 can be determined from the UL grant. That is, the relay station transmits the backhaul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PUSCH of subframe 6 of UL-CC # 1.

또는 동일한 HARQ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백홀 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하향링크 반송파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만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Or may receive the uplink grant from only one subframe included in the downlink carrier dedicated for the backhaul link among a plurality of subframes participating in the same HARQ process.

기지국은 DL-CC#1의 서브프레임 10의 PHICH를 통해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DL-CC#2의 서브프레임 10에서 기지국이 ACK/NACk을 전송하여도 중계국이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기지국은 DL-CC#2의 서브프레임 10에서는 ACK/NACK을 전송하지 않는다.
The base station can transmit ACK / NACK through the PHICH of the subframe 10 of the DL-CC # 1. At this time, even if the base station transmits ACK / NACk in subframe 10 of DL-CC # 2, the relay station can not receive it. Therefore, the base station does not transmit ACK / NACK in the subframe 10 of DL-CC # 2.

도 20은 제 3 실시예에서 DL-CC#1을 주 반송파로 하는 경우, 각 반송파 서브프레임에서 동작을 나타내는 제 5 실시예이다. 20 is a fifth embodiment showing an operation in each carrier sub-frame when DL-CC # 1 is used as a main carrier in the third embodiment.

도 17의 제 4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점은 DL-CC#1에서 8개의 HARQ 프로세스가 수행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DL-CC#1의 서브프레임 2, 10, 18에서는 HARQ 프로세스 1이 수행되고, 서브프레임 0, 8, 16에서는 HARQ 프로세스 2가 수행된다. 또한, 중계국은 DL-CC#2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0, 4, 5, 9이 아니고, 짝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보충적 또는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DL-CC#2의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되는 백홀 하향링크 신호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DL-CC#1의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The difference from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17 is that eight HARQ processes are performed in the DL-CC # 1. For example, HARQ process 1 is performed in subframes 2, 10, and 18 of DL-CC # 1, and HARQ process 2 is performed in subframes 0, 8, and 16. In addition, the RS can additionally or additionally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in the subframe having the even subframe index, not the subframe indexes 0, 4, 5, and 9 in the DL-CC # 2.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received in the sub-frame of DL-CC # 2 may be related to the HARQ process performed in the sub-frame of DL-CC # 1 having the same sub-frame index.

중계국은 DL-CC#1을 통해서는 단말과 동일한 PDCCH, PDSCH 포맷을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DL-CC#2를 통해서는 단말과 다른 R-PDCCH, R-PDSCH 포맷을 이용하여 백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relay station can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using the same PDCCH and PDSCH formats as the UE through the DL-CC # 1, and can transmit the R-PDCCH and R-PDSCH formats different from the UE through the DL-CC # To receive the backhaul downlink signal.

도 21은 제 5 실시예에서 백홀 하향링크 HARQ 수행방법을 나타낸다.FIG. 21 illustrate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downlink HARQ in the fifth embodiment.

도 21을 참조하면, 중계국은 DL-CC#1의 서브프레임 1, 2에서 각각 하향링크 그랜트, 하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지시되는 무선자원을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도 18과 달리 상기 서브프레임 1에서 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와 상기 서브프레임 2에서 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는 서로 다른 HARQ 프로세스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DL-CC#2의 서브프레임 2에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DL-CC#1에서는 단말과 동일한 포맷의 PDSCH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DL-CC#2에서는 중계국에 사용되는 R-PDSCH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a relay station can receive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radio resources indicated by downlink grant and downlink grant in subframes 1 and 2 of DL-CC # 1, respectively. 18,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in the subframe 1 and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in the subframe 2 may be data related to different HARQ processes. In addition, backhaul downlink data can be received in subframe 2 of DL-CC # 2. In the DL-CC # 1, the backhaul downlink data can be received through the PDSCH of the same format as the UE, and in the DL-CC # 2, the backhaul downlink data can be received through the R-PDSCH used in the relay station.

중계국은 UL-CC#1의 서브프레임 6에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들에 대한 ACK/NACK을 전송한다. 이 경우, ACK/NACK은 R-PUC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DL-CC#1에서 수신한 PDCCH의 무선자원에 따라 R-PUCCH 상에서 ACK/NACK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DCCH의 CCE인덱스에 기반하여 R-PUCCH 상으로 전송되는 ACK/NACK 할당 무선자원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DL-CC#2에서 수신한 R-PDCCH의 무선자원에 따라 R-PUCCH 상에서 ACK/NACK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이 결정될 수 있다.The relay station transmits an ACK / NACK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in subframe 6 of UL-CC # 1. In this case, the ACK / NACK can be transmitted via the R-PUCCH. At this time, the radio resource through which the ACK / NACK is transmitted on the R-PUCCH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dio resource of the PDCCH received in the DL-CC # 1. For example, the ACK / NACK allocation radio resource transmitted on the R-PUCCH based on the CCE index of the PDCCH can be determined. In addition, the radio resource through which the ACK / NACK is transmitted on the R-PUCCH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dio resource of the R-PDCCH received in the DL-CC # 2.

기지국은 DL-CC#1의 서브프레임 9에서 DL-CC#1의 서브프레임 1의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DL-CC#1의 서브프레임 10에서 DL-CC#1의 서브프레임 2의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DL-CC#1의 서브프레임 9 또는 10에서 DL-CC#2의 서브프레임 2에서 전송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The base station can retransmit backhaul downlink data of subframe 1 of DL-CC # 1 in subframe 9 of DL-CC # 1 or transmit new backhaul downlink data. In addition, backhaul downlink data of subframe 2 of DL-CC # 1 can be retransmitted or new backhaul downlink data can be transmitted in subframe 10 of DL-CC # 1. The backhaul downlink data transmitted in subframe 2 of DL-CC # 2 in subframe 9 or 10 of DL-CC # 1 may be retransmitted.

도 22는 제 5 실시예에서 백홀 상향링크 HARQ 수행방법을 나타낸다.22 illustrate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uplink HARQ in the fifth embodiment.

도 22는 도 19와 비교하여 DL-CC#1에서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의 수가 8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백홀 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DL-CC에서 수행되는 HARQ 프로세스의 개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IG. 22 differs from FIG. 19 in that the number of HARQ processes performed in the DL-CC # 1 is eight. That is, the number of HARQ processes performed in the DL-CC dedicated to the backhaul link can be variously changed.

도 23은 백홀 하향링크에 하나의 백홀 전용 단위 반송파, 백홀 상향링크 및액세스 상향링크에 TDM 방식의 상향링크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백홀 하향링크 HARQ 수행 방법을 나타낸다. FIG. 23 shows a method for performing a backhaul downlink HARQ when one backhaul dedicated unit carrier is used for the backhaul downlink, a backhaul uplink is used for the backhaul downlink, and a TDM type uplink carrier is used for the access uplink.

도 23을 참조하면, 중계국은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DL-CC#1의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n인 경우, UL-CC#1의 (n+4) 또는 (n+5)서브프레임에서 ACK/NACK을 전송할 수 있다. 중계국은 DL-CC#1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번들링 또는 다중화하여 UL-CC#1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when the subframe index of the DL-CC # 1 receiving the backhaul downlink data is n, the RS transmits ACK (n + 4) or / NACK can be transmitted. The relay station may bundle or multiplex ACK / NACK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received in a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DL-CC # 1 and transmit the bundle or multiplex through the UL-CC # 1.

예를 들어, 중계국은 백홀 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DL-CC#1의 서브프레임 1에서는 HARQ 프로세스 5에 대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서브프레임 2에서는 HARQ 프로세스 1에 대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경우, DL-CC#1의 서브프레임 1, 2에 대한 ACK/NACK은 UL-CC#1의 서브프레임 6에서 전송된다. 즉, 백홀 링크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짝수인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번들링 또는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S receives the backhaul downlink data for the HARQ process 5 in the subframe 1 of the DL-CC # 1 dedicated to the backhaul link and the backhaul downlink data for the HARQ process 1 in the subframe 2 . In this case, ACK / NACK for subframes 1 and 2 of DL-CC # 1 is transmitted in subframe 6 of UL-CC # 1. That is, the subframe index used for the backhaul link may be bundled or multiplexed and transmitted in one even subframe.

도 24는 백홀 하향링크에 하나의 백홀 전용 단위 반송파, 백홀 상향링크 및액세스 상향링크에 TDM 방식의 상향링크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백홀 상향링크 HARQ 수행 방법을 나타낸다.FIG. 24 shows a backhaul uplink HARQ performance method when one backhaul dedicated unit carrier for the backhaul downlink, a backhaul uplink for the backhaul downlink, and a TDM uplink carrier for the access uplink are used.

도 24를 참조하면, 중계국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DL-CC#1의 서브프레임 n에서 수신하는 경우, UL-CC#1의 (n+4) 또는 (n+5)서브프레임에서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중계국은 DL-CC#1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동일한 UL-CC#1의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지시되는 UL-CC#1의 서브프레임에서 중계국은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서브프레임 인덱스로부터 4 서브프레임 이후에 Dl-CC#1으로부터 ACK/NACK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when the relay station receives the uplink grant in the subframe n of the DL-CC # 1, the relay station transmits the backhaul uplink data (n + 4) or Can be transmitted. That is, the relay station may receive an uplink grant indicating a subframe of the same UL-CC # 1 in a plurality of subframes of the DL-CC # 1. The relay station transmits the backhaul uplink data in the subframe of UL-CC # 1 indicated by the received uplink grant. ACK / NACK can be received from Dl-CC # 1 after 4 subframes from the subframe index transmitting the backhaul uplink data.

예를 들어, 중계국은 백홀 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DL-CC#1의 서브프레임 1에서는 HARQ 프로세스 5에 대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고, 서브프레임 2에서는 HARQ 프로세스 1에 대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다. 이러한 경우, 상향링크 그랜트는 동일한 UL-CC#1의 서브프레임 6을 지시할 수 있다. 중계국은 UL-CC#1의 서브프레임 6에서 HARQ 프로세스 1, 5에 대한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은 DL-CC#1의 서브프레임 10의 PHICH에서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S receives an uplink grant for HARQ process 5 in subframe 1 of DL-CC # 1 dedicated to the backhaul link and an uplink grant for HARQ process 1 in subframe 2 . In this case, the UL grant may indicate the subframe 6 of the same UL-CC # 1. The relay station can transmit the backhaul uplink data for the HARQ processes 1 and 5 in subframe 6 of UL-CC # 1. The ACK / NACK for the backhaul uplink data can be received at the PHICH of the subframe 10 of the DL-CC # 1.

도 25는 기지국 및 중계국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se station and a relay station.

기지국(100)은 프로세서(processor, 110), 메모리(memory, 120)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1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The base station 100 includes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nd a radio frequency (RF) unit 130. The processor 110 implements the proposed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3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The memory 1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10. [ The RF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0 to transmit and / or receive a radio signal.

중계국(200)은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RF부(2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백홀 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백홀 전용 반송파와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 TDM 방식으로 사용되는 범용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백홀 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백홀 링크 신호에 대한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 또는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전송한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백홀 전용 반송파 및 범용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다. 또는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백홀 전용 반송파 및 범용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다. The relay station 200 includes a processor 210, a memory 220, and an RF unit 230. The processor 210 receives a backhaul link signal through a carrier of at least one of a backhaul dedicated carrier used for a backhaul link and a general-purpose carrier used for a backhaul link and an access link in a TDM manner, and transmits an ACK / NACK (acknowledgment / not-acknowledgment) or backhaul uplink data through an uplink unit carrier. In addition,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is received through at least one of a backhaul dedicated carrier and a general purpose carrier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ACK / NACK. Or ACK / NACK for backhaul uplink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a backhaul dedicated carrier and a general purpose carrier.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30)는 프로세서(2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The memory 2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210. The RF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0 to transmit and / or receive a radio signal.

프로세서(110,21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OFDM 전송기 및 OFDM 수신기는 프로세서(110,21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2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130,230)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20,2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0,220)는 프로세서(110,2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10,21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processors 110 and 210 may include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other chipsets, logic circuits, data processing devices, and / or converters for converting baseband signals and radio signals. The OFDM transmitter and OFDM receiver of FIG. 7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processor 110, 210. The memory 120, 220 may comprise a read-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flash memory, a memory card, a storage medium, and / The RF units 130 and 230 may include one or more antennas for transmitting and / or receiving wireless signals. When the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software, the above-described techniques may be implemented with modules (processes, functions, and so on)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The modules may be stored in memory 120, 220 and executed by processors 110, 210. The memories 120 and 220 may be internal or external to the processors 110 and 210 and may be coupled to the processors 110 and 210 in a variety of well known ways.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laims (14)

다중 반송파 시스템의 백홀 링크에서 중계국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을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한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송파는 기지국과 상기 중계국 간의 백홀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백홀 하향링크 및 상기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하향링크에 모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of a relay station in a backhaul link of a multi-carrier system,
Receiving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 carrier wave of at least one of a first carrier wave and a second carrier wave;
Transmitting ACK / NACK (acknowledgment / not-acknowledgment)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n uplink unit carrier; And
And receiving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carrier and the second carrier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ACK / NACK,
Wherein the first carrier is a unit carrier dedicated for a backhaul downlink between a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nd the second carrier is a unit used for both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access downlink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t different times Carrier wa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와 상기 제2 반송파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arrier and the second carrier have different frequency ban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상기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기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프레임에서 0, 4, 5, 9가 아니면서 짝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receiving the backhaul downlink data, the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the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And the second sub-frame is received via the second carr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상기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기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무선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0, 4, 5, 9에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ckhaul downlink data, the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the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is received in a subframe corresponding to subframe indexes 0, 4, 5, and 9 in a radio frame The second carrier is received via the first carr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서브프레임 n(n은 0 이상의정수)에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ACK/NACK은 서브프레임 (n+4)에서 전송하고, 상기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는 서브프레임 (n+8)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backhaul downlink data is received in a subframe n (n is an integer of 0 or more), the ACK / NACK is transmitted in a subframe (n + 4) And the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is received in the subframe (n + 8). 제 1 항에 있어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ACK/NACK은 상기 제1 반송파로부터 수신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반송파로부터 수신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가 모두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에 ACK을 전송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NACK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backhaul downlink data is received from the first carrier and the second carrier,
The ACK / NACK transmits an ACK when backhaul downlink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carrier and backhaul downlink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carrier are successfully received, and otherwise transmits a NACK Lt;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ACK/NACK은 상기 제1 반송파로부터 수신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상기 제2 반송파로부터 수신한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각각에 대한 ACK/NACK을 서로 다른 무선자원에 할당하는 방법으로 다중화한 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backhaul downlink data is received from the first carrier and the second carrier,
The ACK / NACK multiplexes ACK / NACK for each of the backhaul downlink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carrier and the backhaul downlink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carrier to different radio resources, and then transmits Lt;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에 대해 보충적으로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ay station receives the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the first carrier in a complementary manner to a subframe that can not receive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the second carr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되, 0, 4, 5, 9가 아니면서 짝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가지는 서브프레임 에 한해 추가적으로 상기 제2 반송파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S receives the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the first carrier and further transmits the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the second carrier only to subframes having an even subframe index without 0, 4, 5, And receiving the backhaul downlink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는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국간의 백홀 상향링크 및 상기 중계국과 상기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상향링크에 모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link unit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for uplink up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nd access uplink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t different tim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는 무선 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짝수인 서브프레임에서는 상기 백홀 상향링크에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홀수인 서브프레임에서는 상기 액세스 상향링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plink unit carrier is used for the backhaul uplink in a subframe having an even subframe index in a radio frame and is used for the access uplink in a subframe in which a subframe index is odd How to. 다중 반송파 시스템의 백홀 링크에서 중계국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백홀 상향링크 그랜트(grant)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백홀 상향링크 그랜트에서 할당된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상기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기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송파는 백홀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서로 다른 시간에 백홀 하향링크 및 상기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하향링크에 모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of a relay station in a backhaul link of a multi-carrier system,
Receiving a backhaul uplink grant via at least one of a first carrier and a second carrier;
Transmitting backhaul uplink data through an uplink unit carrier using radio resources allocated in the backhaul uplink grant;
Receiving ACK / NACK for the backhaul uplink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carrier and the second carrier; And
And transmitting new backhaul uplink data or backhaul uplink data through the uplink unit carrier according to the received ACK / NACK,
Wherein the first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exclusively for a backhaul downlink and the second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for both a backhaul downlink and an access downlink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t different times Wa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CK/NACK을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0, 4, 5, 9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ACK/NACK은 상기 제1 반송파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when the index of the subframe receiving the ACK / NACK corresponds to 0, 4, 5, or 9, the ACK / NACK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carrier.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국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반송파 및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을 생성한 후 상향링크 단위 반송파를 통해 전송하며, 상기 전송한 ACK/NACK에 따라 새로운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재전송되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 중 적어도 하나의 반송파를 통해 수신하되, 상기 제1 반송파는 기지국과 상기 중계국 간의 백홀 하향링크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이고, 상기 제2 반송파는 서로 다른 시간에 상기 백홀 하향링크 및 상기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하향링크에 모두 사용되는 단위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
A relay station used in a multi-carrier system
An RF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nd a processor coupled to the RF unit,
Receives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a first carrier wave and a second carrier wave, generates ACK / NACK (acknowledgment / not-acknowledgment) for the backhaul downlink data, and transmits And receiving new backhaul downlink data or retransmitted backhaul downlink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a first carrier and a second carrier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ACK / NACK, Wherein the first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exclusively for a backhaul downlink between relay stations and the second carrier is a unit carrier used for both the backhaul downlink and the access downlink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t different times.
KR1020100048299A 2009-05-24 2010-05-24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f relay station in multi-carrier system KR101761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3268 WO2010137839A2 (en) 2009-05-24 2010-05-24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a relay station makes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a multi-carrier system
US13/322,384 US8665775B2 (en) 2009-05-24 2010-05-24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a relay station makes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a multi-carri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88209P 2009-05-24 2009-05-24
US61/180,882 2009-05-24
US18596309P 2009-06-10 2009-06-10
US61/185,963 2009-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633A KR20100126633A (en) 2010-12-02
KR101761402B1 true KR101761402B1 (en) 2017-07-26

Family

ID=4350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299A KR101761402B1 (en) 2009-05-24 2010-05-24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f relay station in multi-carri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4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7375B (en) 2011-03-04 2019-11-26 Lg电子株式会社 The method of signal is handled in TDD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2124944A2 (en) * 2011-03-11 2012-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receiving ack(acknowledgement)/nack (negative ack) inform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am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101989896B1 (en) * 2011-05-16 2019-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to execute uplink harq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02263B2 (en) * 2012-04-02 2017-03-21 Lg Electronics Inc. ACK/NACK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660771B2 (en) * 2012-10-16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n asymmetric multicarrier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torola, "Carrier Aggregation Considerations for Relays", 3GPP Draft, R1-092168, 2009.05.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633A (en)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477B1 (en) Method of using component carrier for relay station in multi-carrier system and relay station
US8665775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a relay station makes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a multi-carrier system
US98433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RE46257E1 (en) Control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apparatus in relay station
US90140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584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performed by rela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856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for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29274B2 (en) Relay station and method of relay station transmitting backhaul uplink signal
US87739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481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transmiss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7614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f relay station in multi-carrier system
KR1016390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137839A2 (e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a relay station makes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a multi-carrier system
WO201100226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of rela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US88674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375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