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029B1 -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029B1
KR101730029B1 KR1020150026445A KR20150026445A KR101730029B1 KR 101730029 B1 KR101730029 B1 KR 101730029B1 KR 1020150026445 A KR1020150026445 A KR 1020150026445A KR 20150026445 A KR20150026445 A KR 20150026445A KR 101730029 B1 KR101730029 B1 KR 10173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
shift
lever
shift lev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3731A (ko
Inventor
홍형석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6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029B1/ko
Priority to DE102016101505.9A priority patent/DE102016101505A1/de
Priority to CN201610067882.2A priority patent/CN105909784A/zh
Priority to US15/050,240 priority patent/US9851002B2/en
Publication of KR2016010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17Selector apparatus with electric switches or sensors not for gear or range selection, e.g. for controlling 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6Automatic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output requirements
    • F16H61/478Automatic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output requirements for preventing overload, e.g. high pressure lim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58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 F16H63/347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with electric actuating means, e.g. shift by wire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48Ratio 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unlocking select or shift movement to allow access to reverse gear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16H2061/165Preventing reverse gear shifts if vehicle speed is too high for safe shifting
    • F16H2061/1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16H2061/185Means, e.g. catches or interlocks, for preventing unintended shift in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는,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 시프트 방향 및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시프트 레버, 상기 시프트 레버(100)와 연결되는 셀렉트 레버(200),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셀렉트 락 유닛, 차량 속도에 기초하여,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셀렉트 락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인지를 센싱하는 자기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는 노브(120), 로드(110) 및 연결봉(140)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120)는 상기 로드(110)의 일단에 배치되고, 운전자가 상기 노브(120)를 움직이면, 상기 시프트 레버(110)가 상기 로드(110)에 배치된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결봉(140)의 일단은 상기 중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140)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로드(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셀렉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봉(140)의 타단에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상기 연결봉(140)의 연결부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셀렉트 레버(200)가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락킹 홈(210)을 포함하고, 상기 셀렉트 락 유닛(300)은 상기 샤프트(310)를 상기 락킹홈(210)에 삽입시켜, 상기 셀렉트 레버(2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하지 않은 R단 변속을 방지하여, 안전한 변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셀렉트 락(select lock)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셀렉트 락 유닛을 하나의 솔레노이드로 구현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솔레노이드의 과열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SHIFT CONTROL APPARATUS OF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주행 중 변속시 R단 변속을 제한할 수 있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속기(transmission)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속도에 적합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전달하는 장치로, 클러치와 추진축(propeller shaft) 사이에 설치된다. 차량의 주행 조건이, 정지, 출발, 저속주행, 고속주행, 후진 등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만큼, 변속기는 각 주행 조건에 대응하여 엔진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변속기는 가장 기본적인 수동 변속기부터, 자동 변속기, 무단(CVT) 변속기, 더블클러치(DCT) 변속기 등으로 나뉜다. 수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직접 변속기 단(段)수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면이 있지만, 구조가 간단하고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변속은 1단에서 5단 이상의 전진 변속 단계와, R(reverse)단의 후진 변속 단계로 이루어진다. 변속 단수가 낮은 1단 및 2단에서는 힘을 강하게 발휘하도록 감속비(moderating ratio)가 크게 설정되어 있고, 변속 단수가 중간 정도인 3단 및 4단에서는 주행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엔진 회전수와 비슷한 변속비로 되어 있다. 또, 변속 단수가 높은 5단 이상은 고속 주행을 위해, 엔진 회전수보다 낮은 변속비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동 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에서는, 운전자가 의도치 않게 시프트 레버를 셀렉트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시킴으로써, 5단이나 6단 등의 고속 변속이 아닌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미션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과부하가 발생하는 등 고장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의도하지 않은 R단 변속을 방지할 수 있고, 셀렉트 락(select lock) 상태(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렉트 락 유닛을 하나의 솔레노이드로 구현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솔레노이드의 과열을 방지하여 긴 수명을 가지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는, 시프트 방향 및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시프트 레버(shift lever); 상기 시프트 레버(100)와 연결되는 셀렉트 레버(200);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샤프트(shaft)를 포함하는 셀렉트 락 유닛(select lock unit); 차량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셀렉트 락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및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인지를 센싱하는 자기장 센서(magnetic sensor,400);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는 노브(120), 로드(110) 및 연결봉(140)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120)는 상기 로드(110)의 일단에 배치되고, 운전자가 상기 노브(120)를 움직이면, 상기 시프트 레버(110)가 상기 로드(110)에 배치된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결봉(140)의 일단은 상기 중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140)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로드(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셀렉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봉(140)의 타단에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상기 연결봉(140)의 연결부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셀렉트 레버(200)가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락킹 홈(210)을 포함하고, 상기 셀렉트 락 유닛(300)은 상기 샤프트(310)를 상기 락킹홈(210)에 삽입시켜, 상기 셀렉트 레버(200)의 회전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 속도가 소정 속도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셀렉트 락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속도 범위는, 3단 또는 4단에 대응하는 차량 속도 범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는,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 시프트 방향 및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시프트 레버(shift lever);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샤프트(shaft)를 포함하는 셀렉트 락 유닛(select lock unit); 및 변속 단수만을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셀렉트 락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는 노브(120), 로드(110) 및 연결봉(140)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120)는 상기 로드(110)의 일단에 배치되고, 운전자가 상기 노브(120)를 움직이면, 상기 시프트 레버(110)가 상기 로드(110)에 배치된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결봉(140)의 일단은 상기 중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140)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로드(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셀렉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봉(140)의 타단에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상기 연결봉(140)의 연결부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셀렉트 레버(200)가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락킹 홈(210)을 포함하고, 상기 셀렉트 락 유닛(300)은 상기 샤프트(310)를 상기 락킹홈(210)에 삽입시켜, 상기 셀렉트 레버(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소정 변속 단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셀렉트 락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변속 단은 3단 또는 4단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 레버의 셀렉트 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인지를 센싱하는 자기장 센서(magnetic sen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렉트 락 유닛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된 영구자석(permanent magnet); 및 상기 샤프트의 둘레를 원통형으로 감싸는 코일(coil);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샤프트에 고정된 영구자석을 이동시킬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상기 샤프트는, 단부에 위치감지용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장 센서는, 상기 위치감지용 자석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샤프트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센서는 홀 IC(Hall Integrated Circuit)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로부터 차량 속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의도하지 않은 R단 변속을 방지하여, 안전한 변속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셀렉트 락(select lock)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셀렉트 락 유닛을 하나의 솔레노이드로 구현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솔레노이드의 과열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를 감싸는 노브에 표시된 변속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셀렉트 락이 이루어진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셀렉트 락이 해제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솔레노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솔레노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할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를 뿐 상호 배타적이지는 않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당업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시프트 레버를 감싸는 노브에 표시된 변속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브라켓(10), 시프트 레버(100) 및 셀렉트 레버(200)를 포함한다.
시프트 레버(10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셀렉트 방향 혹은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된다. 시프트 레버(100)의 노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속 패턴이 표시되어 있고, 운전자는 차량 속도에 따라, 클러치(미도시)와 시프트 레버(100)를 조정하여, 변속 패턴에 표시된 위치에 따라, 변속 단수를 변경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는, 제어 가능한 변속 단수를, 1단 내지 6단의 총 6개의 전진 변속과, R단의 후진 변속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변속 단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거나 적은 수의 변속 단수를 가질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는 클러치와 종감속 장치(final reduction gears)/차동 장치(differential gears) 사이에 설치되어, 기관의 회전 토크와 회전 속도를 변환시켜 종감속 장치/차동 장치에 전달한다.
변속기에서 단(段) 분할(transmission grading)은 차량의 최고속도와 최대 등반각을 고려해, 최대 변속비와 최저 변속비를 결정한 다음, 중간 단(段)들의 변속비를 결정한다. 여기서, 변속비란 크랭크축에서 발생한 엔진의 출력이 변속기 안에서 구동력으로 변환될 때 각 기어의 비율을 말한다.
운전자는 차량 속도에 기초해, 시프트 레버(100)와 클러치를 조작하여, 속도에 적합한 변속 단으로 변경한다. 각각의 변속 단은 적정 속도 영역(range)을 가진다.
예를 들어, 1단과 2단은 차량속도가 약 40km/h 이하일 때 적용되고, 3단과 4단은 차량속도가 약 40km/h∼80km/h일 때 적용되며, 5단과 6단은 차량속도가 약 80km/h 이상일 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차량의 사양에 따라, 각 변속 단에 대응하는 적정 속도가, 이와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운전자는 각 변속 단으로 변경하기 위해, 시프트 레버(100)를 도 2에 도시된 패턴과 같이 상하좌우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때, 도 2의 패턴의 좌우 방향을 셀렉트 방향이라 하고, 상하 방향을 시프트 방향이라 한다.
2단으로 주행 중 속도가 높아져 3단에 대응하는 속도가 되면, 운전자는 클러치 페달을 밟고, 시프트 레버(100)를 패턴 상의 '3'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나아가, 4단에 대응하는 속도까지 상승하면, 운전자는 클러치 페달을 밟고, 시프트 레버(100)를 패턴 상의 '4'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운전자는 시프트 레버(100)를 셀렉트 방향 혹은 시프트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1단에서 6단, 혹은 R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운전자가 시프트 레버(100)를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면(도 1의 SR방향 및 SL방향), 셀렉트 레버(200)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도 1의 R방향)을 한다.
시프트 레버(100)와 셀렉트 레버(200)의 동작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100)는 로드(rod,110), 노브(knob,120), 볼샤프트(ball shaft,130) 및 연결봉(connecting rod,140)을 포함한다.
변속기를 조작하기 위한 로드(110)의 일단(一端)에는 노브(120)가 구비되며, 노브(120)에는 도 2와 같은 변속 패턴이 표시되어 있다. 노브(120)는 변속기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120)의 타단(他端)에는 볼샤프트(130)가 연결된다. 또한, 로드(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봉(140)이 연결되며, 연결봉(140)의 일단은 볼샤프트(130)에 연결된다. 연결봉(140)의 타단은 셀렉트 레버(200)에 연결된다.
운전자가 노브(120)를 잡고 시프트 레버(100)를 셀렉트 방향(SR방향 혹은 SL방향)으로 움직이면, 로드(120)에 연결된 구형의 볼샤프트(130)가 구심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이에 대응하여, 볼샤프트(130)에 연결된 연결봉(140)은, 볼샤프트(130)의 구심을 중심으로 한 원주상에서 회전 운동을 하고, 연결봉(140)의 타단에 연결된 셀렉트 레버(20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R방향)을 하게 된다.
즉,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은, 셀렉트 레버(200)의 회전 운동을 수반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셀렉트 락킹(select locking)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셀렉트 락이 이루어진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셀렉트 락이 해제된 상태도이다. 여기서 셀렉트 락킹 동작이란, 셀렉트 레버(200)의 움직임을 차단함으로써, 시프트 레버(100)의 이동을 차단 혹은 허용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시프트 레버(100), 셀렉트 레버(200)의 구성 외에 셀렉트 락 유닛(select lock unit,300), 컨트롤러(controller,500)를 더 포함한다.
셀렉트 락 유닛(300)은 운전자의 오조작에 의해, 고속 주행 중 시프트 레버(100)를 R단에 위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시프트 레버(100)를 조작하면서 변속 단을 변경한다. 이때, 셀렉트 방향 및 시프트 방향으로의 이동이 적절히 수행되어야,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 단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문제는, 3단/4단에서 5단/6단으로 변경시, 운전자의 오조작으로, 5단 및 6단이 위치하는 지점을 넘어, R단이 위치하는 지점까지 시프트 레버(100)를 이동시키는 경우이다. 이때, 무리한 힘이 가해져 미션에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셀렉트 락 유닛(300)은, 3단/4단에서 5단/6단으로 변경시, R단이 위치하는 지점으로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차단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
셀렉트 락 유닛(300)은, 영구자석(permanent magnet)과 코일(coil)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solenoid) 및, 솔레노이드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공급부를 포함한다. 이때, 영구자석은 샤프트(shaft)에 직간접적으로 고정된다.
컨트롤러(500)는 셀렉트 락 유닛(300)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솔레노이드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해, 솔레노이드 내부에 구비된 샤프트를 이동시킨다.
특히, 컨트롤러(500)는, 차량 속도 또는 변속 단수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한다. 즉, 컨트롤러(500)는, 차량 속도 또는 변속 단수에 기초하여, 셀렉트 락 유닛(300)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솔레노이드 내부에 구비된 샤프트를 이동시켜, 셀렉트 락 유닛(300)으로 하여금 셀렉트 락 동작을 이루거나, 해제하도록 한다.
차량 속도에 기초한 셀렉트 락 유닛(300)의 셀렉트 락 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컨트롤러(500)는, 차량 속도에 기초해 셀렉트 락 유닛(30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500)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3단 혹은 4단에 대응하는 속도 범위에 있는 경우(예를 들어, 40∼80km/h), R단으로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셀렉트 락 유닛(300)으로 하여금, 시프트 레버(100)가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한다.
컨트롤러(500)는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600)로부터 차량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600)는,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여 여러 회로와 시스템을 가동하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전자 제어 장치(600)는 차량의 모든 작동 상태에 응답하여 엔진이 최적의 성능으로 작동할 수 있게끔 차량의 운전성, 배출가스 및 연비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연료량, 점화시기, 공기량 등을 여러 센서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아 각 운전조건에 따른 최적의 연료 분사량, 분사시기, 점화시기 및 공기량을 계산하여 인젝터, 점화코일 등의 액추에이터(actuator)를 통해 엔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 제어 장치(600)가 각종 센서들로부터 차량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변속 단수에 기초한 셀렉트 락 유닛(300)의 셀렉트 락 동작을 설명하면, 컨트롤러(500)는 변속 단수가 3단 혹은 4단에 있는 경우, R단으로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셀렉트 락 유닛(300)으로 하여금, 시프트 레버(100)가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한다.
이때, 변속 단수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변속 단수 검출 장치(미도시)는 물리적, 전자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변속 단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셀렉트 락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준다.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에 따라, 셀렉트 레버(20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하지만, 셀렉트 락이 이루어지면, 셀렉트 락 유닛(300)의 샤프트(310)가 돌출되고, 돌출된 샤프트(310)가 셀렉트 레버(200)에 형성된 락킹 홈(locking groove,210)에 삽입되면서, 셀렉트 레버(200)의 회전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시프트 레버(100)를 R단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그 외의 상황에서, 컨트롤러(500)는 셀렉트 락 유닛(300)으로 하여금, 셀렉트 락을 해제하도록 한다. 셀렉트 락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7을 참조하면,셀렉트 락 유닛(300)의 샤프트(310)가 원상 복귀됨으로써, 셀렉트 레버(200)가 다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시프트 레버(100)를 셀렉트 방향으로, R단이 위치하는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셀렉트 락 유닛(300)의 구조 및 동작과,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일구성인 셀렉트 락 유닛(3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10), 영구자석(320), 코일(330)을 포함한다. 코일(330)에는 전류 공급부(340)가 연결된다. 전류 공급부(340)는 코일(330)에 전류를 공급한다.
샤프트(310)에는 영구자석(320)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구자석(320-1)과 제2 영구자석(320-2)이 서로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된다.
다시 말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구자석(320-1)의 착자 방향은 제2 영구자석(320-2)의 착자 방향과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2개의 영구자석이 아닌, 1개의 영구자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코일(330)에 전류를 인가하면, 셀렉트 락 유닛(300)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도 8은 솔레노이드 내부의 제1 영구자석(320-1)이 위치한 영역이 N극으로 자화되어 있고, 솔레노이드 내부의 제2 영구자석(320-2)이 위치한 영역이 S극으로 자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N극으로 자화된 영역은, 제1 영구자석(320-1)의 N극과의 사이에서 척력이 작용하므로, 서로 밀어내게 된다. 이와 반대로, S극으로 자화된 영역은, 제2 영구자석(320-2)의 N극과의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므로,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영구자석(320-1,320-2)이 이동하며, 영구자석(320-1,320-2)이 고정된 샤프트(310)도 같이 이동하게 된다. 도 8에서 샤프트(310)는 S극으로 자화된 방향, 즉, 셀렉트 레버(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과 같이 샤프트(310)가 셀렉트 레버(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셀렉트 락이 해제된다. 즉, 샤프트(310)가 셀렉트 레버(200)의 락킹 홈(210)에서 벗어나므로, 셀렉트 레버(2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운전자가 시프트 레버(100)를 R단 지점까지 셀렉트 방향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셀렉트 락 해제 상태와 관련하여, 컨트롤러(500)는, 현재 차량의 속도가 차량 속도가 3단 또는 4단의 변속 단수에 대응하는 속도에 해당하지 않거나, 변속 단수가 3단 또는 4단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때, 셀렉트 락 유닛(300)을 제어하여, 샤프트(31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컨트롤러(500)는, 현재 차량의 속도가 차량 속도가 3단 또는 4단의 변속 단수에 대응하는 속도이거나, 변속 단수가 3단 또는 4단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셀렉트 락 유닛(300)을 제어하여, 샤프트(310)가 돌출된 셀렉트 락 상태로 만든다.
셀렉트 락 상태는, 컨트롤러(500)가 셀렉트 락 유닛(300)의 코일(330)에 대해, 전류를 반대 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즉, 컨트롤러(500)는 도 8의 반대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을 반대 방향으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코일(310)에 흐르는 전류 방향은, 도 8에 도시된 전류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전류 방향이 반대이므로, 솔레노이드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은 반대가 된다. 한편, 샤프트(310)와 영구자석(320-1,320-2)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영구자석(320-1,320-2)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샤프트(310)도 도 8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의 S극으로 자화된 영역은 제1 영구자석(320-1)의 N극과의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고, N극으로 자화된 영역은 제2 영구자석(320-2)의 N극과의 사이에서 척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영구자석(320-1,320-2)은 도 9의 도면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며, 샤프트(310)도 함께 이동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샤프트(310)가 이동하여, 셀렉트 락 유닛(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10)가 셀렉트 레버(200)의 락킹 홈(21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셀렉트 레버(200)의 회전이 차단된다. 이는, 운전자가 시프트 레버(100)를 셀렉트 방향으로, R단이 위치하는 지점까지 이동시킬 수 없게 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500)는 차량 속도 및 변속 단수에 기초해, 셀렉트 락 유닛(300)을 제어함으로써, R단으로의 시프트 레버(100)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고속 주행 중 R단으로 변경할 수 없게 되어, 고장이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구성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베이스 브라켓(10), 시프트 레버(100), 셀렉트 레버(200), 셀렉트 락 유닛(300), 샤프트(310)의 기능 및 구조는 위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는, 위치감지용 자석(350) 및 자기장 센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감지용 자석(350)은 셀렉트 락 유닛(300)의 일구성인 샤프트(310)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
자기장 센서(400)는,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한 셀렉트 락 유닛(300)의 동작에 의해,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인지를 센싱하는 기능을 가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자기장 센서(400)는, 샤프트(310)의 일단에 구비된 위치감지용 자석(350)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기초하여, 샤프트(310)의 위치를 센싱한다. 이에 따라, 셀렉트 락이 이루어진 상태인지, 해제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다.
자기장 센서(400)는 홀 IC(Hall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홀 IC는 홀 효과를 이용해 자계의 방향이나 강도를 측정하는 자기 센서이다.
자기장 센서(400)는 위치감지용 자석(350)과 동일선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자계의 강도를 통해, 샤프트(310)의 이동에 따른 위치감지용 자석(350)의 거리 변화를 측정한다.
위의 원리로, 자기장 센서(400)는 셀렉트 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트롤러(500)는 자기장 센서(400)에 의해 센싱된 셀렉트 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셀렉트 락 유닛(300)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기장 센서(400)에 의해 센싱된 셀렉트 락 상태 정보(샤프트(310)의 위치 정보)는 전자 제어 장치(600)로 전송되어, 차량 운행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과 관련한 차이점들 역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베이스 브라켓
100‥‥‥‥‥‥‥‥‥‥‥‥시프트 레버
110‥‥‥‥‥‥‥‥‥‥‥‥로드
120‥‥‥‥‥‥‥‥‥‥‥‥노브
130‥‥‥‥‥‥‥‥‥‥‥‥볼샤프트
140‥‥‥‥‥‥‥‥‥‥‥‥연결봉
200‥‥‥‥‥‥‥‥‥‥‥‥셀렉트 레버
210‥‥‥‥‥‥‥‥‥‥‥‥락킹 홈
300‥‥‥‥‥‥‥‥‥‥‥‥셀렉트 락 유닛
310‥‥‥‥‥‥‥‥‥‥‥‥샤프트
320,320-1,320-2‥‥‥‥‥‥영구자석
330‥‥‥‥‥‥‥‥‥‥‥‥코일
340‥‥‥‥‥‥‥‥‥‥‥‥전류 공급부
350‥‥‥‥‥‥‥‥‥‥‥‥위치감지용 자석
400‥‥‥‥‥‥‥‥‥‥‥‥자기장 센서
500‥‥‥‥‥‥‥‥‥‥‥‥컨트롤러
600‥‥‥‥‥‥‥‥‥‥‥‥전자 제어 장치

Claims (12)

  1. 시프트 방향 및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시프트 레버(shift lever,100);
    상기 시프트 레버(100)와 연결되는 셀렉트 레버(200);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샤프트(shaft,310)를 포함하는 셀렉트 락 유닛(select lock unit,300);
    차량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셀렉트 락 유닛(30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500); 및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인지를 센싱하는 자기장 센서(magnetic sensor,400);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는 노브(120), 로드(110) 및 연결봉(140)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120)는 상기 로드(110)의 일단에 배치되고,
    운전자가 상기 노브(120)를 움직이면,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상기 로드(110)에 배치된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결봉(140)의 일단은 상기 중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140)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로드(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셀렉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봉(140)의 타단에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상기 연결봉(140)의 연결부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셀렉트 레버(200)가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락킹 홈(210)을 포함하고,
    상기 셀렉트 락 유닛(300)은 상기 샤프트(310)를 상기 락킹홈(210)에 삽입시켜, 상기 셀렉트 레버(2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차량 속도가 소정 속도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셀렉트 락 유닛(300)을 제어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속도 범위는, 3단 또는 4단에 대응하는 차량 속도 범위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4. 시프트 방향 및 셀렉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시프트 레버(shift lever,100);
    상기 시프트 레버(100)와 연결되는 셀렉트 레버(200);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샤프트(shaft,310)를 포함하는 셀렉트 락 유닛(select lock unit,300); 및
    변속 단(段)수만을 기초하여,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셀렉트 락 유닛(30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500);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는 노브(120), 로드(110) 및 연결봉(140)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120)는 상기 로드(110)의 일단에 배치되고,
    운전자가 상기 노브(120)를 움직이면, 상기 시프트 레버(110)가 상기 로드(110)에 배치된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결봉(140)의 일단은 상기 중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140)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로드(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셀렉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봉(140)의 타단에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상기 연결봉(140)의 연결부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시프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시프트 레버(100)가 셀렉트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셀렉트 레버(200)가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셀렉트 레버(200)는 락킹 홈(210)을 포함하고,
    상기 셀렉트 락 유닛(300)은 상기 샤프트(310)를 상기 락킹홈(210)에 삽입시켜, 상기 셀렉트 레버(2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소정 변속 단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셀렉트 락 유닛(300)을 제어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변속 단은 3단 또는 4단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버(100)의 셀렉트 방향 이동이 제한된 상태인지를 센싱하는 자기장 센서(magnetic sensor,400);를 더 포함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락 유닛(300)은,
    상기 샤프트(310)에 고정된 영구자석(permanent magnet,320); 및
    상기 샤프트(310)의 둘레를 원통형으로 감싸는 코일(coil,330);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코일(33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샤프트(310)에 고정된 영구자석(320)을 이동시키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10)는,
    일단에 위치감지용 자석(350)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장 센서(400)는, 상기 위치감지용 자석(350)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자기장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샤프트(310)의 위치를 센싱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센서(400)는 홀 IC(Hall Integrated Circuit)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600)로부터 차량 속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KR1020150026445A 2015-02-25 2015-02-25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KR10173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45A KR101730029B1 (ko) 2015-02-25 2015-02-25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DE102016101505.9A DE102016101505A1 (de) 2015-02-25 2016-01-28 Schaltsteuervorrichtung eines Schaltgetriebes
CN201610067882.2A CN105909784A (zh) 2015-02-25 2016-01-29 手动变速箱的变速控制设备
US15/050,240 US9851002B2 (en) 2015-02-25 2016-02-22 Shift control apparatus of manual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45A KR101730029B1 (ko) 2015-02-25 2015-02-25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31A KR20160103731A (ko) 2016-09-02
KR101730029B1 true KR101730029B1 (ko) 2017-05-11

Family

ID=5657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445A KR101730029B1 (ko) 2015-02-25 2015-02-25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51002B2 (ko)
KR (1) KR101730029B1 (ko)
CN (1) CN105909784A (ko)
DE (1) DE1020161015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4684B2 (en) 2017-12-11 2020-07-07 Hyundai Motor Company Transmission parking system including neutral state maintaining lock and release device
KR20210148693A (ko) 2020-06-01 202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464B1 (ko) * 2015-10-12 2017-02-23 경창산업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CN106090204B (zh) * 2016-08-30 2019-03-26 河北健坤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汽车挡位控制系统
US10650621B1 (en) 2016-09-13 2020-05-12 Iocurrents, Inc. Interfacing with a vehicular controller area network
FR3059755A1 (fr) * 2016-12-06 2018-06-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ntrole du passage des rapports d'une boite de vitesses manuelle de vehicule en fonction de la vitesse
KR101944362B1 (ko) * 2017-06-20 2019-02-01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벨의 상태를 감지하는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KR101944364B1 (ko) * 2017-06-20 2019-02-01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벨의 변화를 감지하는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1306816B2 (en) * 2018-01-05 2022-04-19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Shift device
JP2019173927A (ja) * 2018-03-29 2019-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ケンシャル変速機の変速段検出装置
CN108583562A (zh) * 2018-04-04 2018-09-28 北京福田戴姆勒汽车有限公司 整车控制器的换挡控制方法、整车控制器及车辆
CN110778699B (zh) * 2018-07-31 2021-05-25 庆昌产业株式会社 变速杆装置
CN110822074B (zh) * 2018-08-14 2021-07-20 庆昌产业株式会社 变速杆装置
US11401013B2 (en) * 2018-08-30 2022-08-02 Jacob Marsden Shift interrupt method for a marine propulsion system
JP2023112898A (ja) * 2022-02-02 2023-08-15 株式会社Subaru 車両のシフトロック機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801A1 (en) * 2003-05-15 2004-11-18 De Jonge Robert A. Vehicle shifter
JP2013184604A (ja) * 2012-03-08 2013-09-19 Honda Motor Co Ltd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おけるセレクト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97743A1 (fr) * 1975-01-15 1976-08-13 Citroen Sa Mecanisme de transmission pour vehicules automobiles
JPS6425555U (ko) * 1987-08-06 1989-02-13
DE4118930A1 (de) * 1991-06-08 1992-12-1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chaltsperrvorrichtung fuer ein geschwindigkeits- und fahrtrichtungswechselgetriebe
JP2522219Y2 (ja) 1992-10-05 1997-01-08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選別機用プッシャ
DE19641706C1 (de) * 1996-10-10 1998-03-26 Daimler Benz Ag Anordnung zum Sperren einer Wähleinrichtung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Wechselgetriebes sowie ein Verfahren zum Steuern des Stellmotores in dieser Anordnung
US5857938A (en) * 1997-07-28 1999-01-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Manual shift control assembly with a reverse lock position
EP1210242A4 (en) * 1999-07-29 2006-01-25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GEARBOX WITH PARK POSITION AND POSITION POINT DEATH BLOCKED
JP2001294054A (ja) * 2000-04-14 2001-10-23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JP4279534B2 (ja) * 2002-10-04 2009-06-1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電磁ソレノイドおよびこれを用いた変速機のシフトアクチュエータ
US7393304B2 (en) * 2003-05-15 2008-07-0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hifter with gear position indicator
CN201058573Y (zh) * 2006-12-26 2008-05-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用档位锁止装置及包括该档位锁止装置的变速器
DE102008028494A1 (de) * 2008-06-14 2009-12-17 Schaeffler Kg Vorrichtung zum Vermeiden von Fehlschaltungen
JP5323609B2 (ja) * 2009-08-11 2013-10-23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自動変速機用シフト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CN101797889B (zh) * 2010-03-20 2012-12-26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车辆中的档位锁定机构
CN102463890B (zh) * 2010-11-19 2015-07-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换挡操纵机构
US8556772B2 (en) * 2011-05-27 2013-10-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nual transmission clutch protection apparatus
DE102011111090A1 (de) * 2011-08-18 2013-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Äußere Schaltung für ein Kraftfahrzeug-Handschaltgetriebe, insbesondere ein PKW-Handschaltgetriebe
JP5872218B2 (ja) * 2011-09-20 2016-03-01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手動変速機の誤操作防止装置
US9080666B2 (en) * 2012-05-29 2015-07-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iscrete mechanism for electronic transmission range selection
CN103527775B (zh) * 2012-07-02 2016-01-13 庆昌产业株式会社 具有利用电磁体的换档锁凸轮的自动变速器操作杆总成
CN103057410B (zh) * 2013-01-09 2015-12-0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汽车换挡保护方法及装置
US9506557B2 (en) * 2013-06-19 2016-11-29 Fca Us Llc Gear blockout for a manual transmission
US9476500B2 (en) * 2013-09-30 2016-10-25 Kongsberg Driveline Systems I, Inc Manual gear shifter assembly
US20150204443A1 (en) * 2013-11-06 2015-07-23 Tremec Corporation Manual Shift Transmission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801A1 (en) * 2003-05-15 2004-11-18 De Jonge Robert A. Vehicle shifter
JP2013184604A (ja) * 2012-03-08 2013-09-19 Honda Motor Co Ltd マニュアル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おけるセレクトロック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4684B2 (en) 2017-12-11 2020-07-07 Hyundai Motor Company Transmission parking system including neutral state maintaining lock and release device
KR20210148693A (ko) 2020-06-01 202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 장치
US11788617B2 (en) 2020-06-01 2023-10-17 Hyundai Motor Company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31A (ko) 2016-09-02
CN105909784A (zh) 2016-08-31
DE102016101505A1 (de) 2016-08-25
US20160245395A1 (en) 2016-08-25
US9851002B2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02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CN102797838B (zh) 手动变速器离合器保护设备
JP5064529B2 (ja) 自動変速機車両の油圧制御装置
US8626412B2 (en) Shift-by-wire system
US20100256880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20130110365A1 (en) Shift-by-wire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vehicle
KR101637949B1 (ko) 차량용 변속제어 레버 장치
JP6780580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6589131B2 (en) Shift controlling method of a transmission
EP1965104A2 (en) Shift-by-wire system
US20130110364A1 (en) Shift-by-wire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of vehicle
JP2008002508A (ja) パーキングロックの解除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動力伝達装置
US9719595B2 (en) Active rev-matching for manual transmissions
KR20180138051A (ko) 변속 레벨의 상태를 감지하는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US1008804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hift of manual transmission
US20170133138A1 (en) Solenoid system with an armature position sensor
CN110617323B (zh) 手动换档杆系统
US6725738B2 (en) Gear shift apparatus for manual transmission
ES2914065T3 (es) Sistema de transmisión para vehículo
US20160223076A1 (en) Shift control apparatus of manual transmission
US9822829B2 (en) Controller of vehicle and vehicle
JP2008128438A (ja) 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CN109642660B (zh) 车辆的控制装置及车辆的控制方法
JP2020163945A (ja) 駆動力源の回転数調整装置、駆動力伝達システムおよび車両
KR101796253B1 (ko) 차량용 4륜 구동 전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