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327B1 - 응축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327B1
KR101719327B1 KR1020150079105A KR20150079105A KR101719327B1 KR 101719327 B1 KR101719327 B1 KR 101719327B1 KR 1020150079105 A KR1020150079105 A KR 1020150079105A KR 20150079105 A KR20150079105 A KR 20150079105A KR 101719327 B1 KR101719327 B1 KR 101719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water
transfer means
reservoir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050A (ko
Inventor
이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렉스
Priority to KR102015007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32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6Drip trays for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응축수를 증발처리하여 응축수가 수용된 물통을 주기적으로 비워줘야 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응축수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응축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통, 및 일단이 상기 응축수 저장통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송풍기에 배치되어 상기 일단을 통해 흡수된 응축수를 상기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수분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응축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에 수용된 응축수를 제거하는데 공기조화기 등에 구비된 송풍기를 이용하므로, 응축수의 제거에 대한 관리비용이 별도로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응축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REMOVING CONDENSED WAT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등과 같이 응축수가 생성되는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응축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응축수를 증발처리하여 응축수가 수용된 물통을 주기적으로 비워줘야 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응축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는 실내를 냉/난방시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크게 나누어 일체형과 분리형이 있다.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의 경우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냉각 기능을 수행하도록 실내 열교환기가 내장된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 기능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 압축기, 팽창기가 내장된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 배관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크게 나누어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실내기(10)와, 실외에 설치되어 냉매의 방열 및 압축 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20)와, 상기 실내기(10)및 실외기(2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내기(10)에서 형성된 응축수를 배출하여 처리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40, 40') 및 물통(50, 50')이 별도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10)의 개략적 구성 및 상기 실내기(10)에서 응축수가 형성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내기(10)는 크게 나누어 각 구성요소가 실장되는 하우징(11)과, 냉매가 순환하는 열교환기(14)와, 상기 열교환기(14)의 하측에 마련되는 드레인 팬(Drain Pan: 18), 및 송풍팬(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16)은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고, 이 유입공기를 열교환기(14)를 통해 냉각시켜 이 냉각 공기를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19)를 통해 토출시킴으로써 실내를 냉각시킨다.
이때, 상기 유입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4)를 통해 냉각되는 과정에서 상기 열교환기(14)의 표면에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고, 이와 같이 응축된 수분은 상기 열교환기(14)의 표면을 타고 흐르다가 드레인 팬(18)에 떨어져 모임으로써 응축수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응축수는 전술한 드레인 호스(4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어 물통(50)에 저장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실내기(10)의 열교환기(14)에서 형성되는 응축수를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되는 물통(50, 50')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이를 주기적으로 비워주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만일 이를 게을리 할 경우 상기 물통(50, 50')에 저장된 응축수가 넘쳐 실내에 마련된 가구나 전자제품을 손상시키거나, 실외의 주변부에 피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실외에 물통(50')을 배치하여 응축수를 배출하는 경우 상기 물통(50')에 응축수를 전달하는 드레인 호스(40)의 길이가 길어져 설치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를 설치하기 위해 가옥의 벽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실내 냉방작용 시 실내 공기가 건조해져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서는 가습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가습기를 구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2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699호와 같이 응축수를 증발시켜 물통에 수용된 응축수를 제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응축수 처리장치는 물통에 수용된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해 송풍팬 및 모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되므로, 제작비용이 높고, 전력소모 등의 운영비용이 발생되며,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268호(2014.05.2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699호(2012.04.1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17234호(1998.06.0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송풍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수용된 응축수를 증발처리하고, 응축수의 처리에 별도의 전력 사용이 불필요하며, 용기에 수용된 응축수에 대한 별도의 관리가 필요 없는 응축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응축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통, 및 일단이 상기 응축수 저장통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송풍기에 배치되어 상기 일단을 통해 흡수된 응축수를 상기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수분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응축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에 수용된 응축수를 송풍기 주변으로 이동시켜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통해 응축수를 증발처리함으로써, 응축수가 저장되는 물통을 주기적으로 비워줘야 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된 응축수를 제거하는데 공기조화기 등에 구비된 송풍기를 이용하므로, 응축수의 제거에 대한 관리비용이 별도로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응축수의 증발처리를 위한 송풍기의 설치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므로, 어떠한 공기조화기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주변의 습도에 따라 응축수의 증발처리를 통해 생성된 습윤공기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습작용을 통해 실내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응축수 처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응축수 처리장치는 응축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통(100), 및 일단이 상기 응축수 저장통(100)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송풍기에 배치되는 수분 이송수단(210, 220)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처리장치는 응축수 저장통(100)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저장통(100)은 열교환 환풍기, 에어콘 등의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응축수 저장통(100)은 자유 낙하하는 응축수가 원활히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응축수 저장통(100)에는 응축수 이송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 이송관은 응축수 저장통(100)과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생성된 응축수를 응축수 저장통(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응축수 이송관에는 열교환기로부터 생성된 응축수를 응축수 저장통(100)으로 펌핑하는 펌프(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저장통(100)은 자체적으로 살균력을 제공하는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 저장통(100)에는 세균 등의 번식을 억지하는 살균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응축수 저장통(100)은 그 표면에 살균제가 코팅되거나, 은나노입자, 금속산화물입자, 과산화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으며, 또는 자외선(UV)을 조사하는 UV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처리장치는 수분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분 이송수단(210, 220)은 응축수 저장통(100)에 저장된 응축수를 증발처리하기 위해 상기 응축수를 공기조화기의 송풍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응축수 저장통(100)의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어 응축수 저장통(100)에 저장된 응축수를 흡수한 후, 송풍기의 송풍작용 시 흡수한 응축수가 바람에 의해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를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수분 이송수단(210, 220)은 일단이 상기 응축수 저장통(100)에 배치되고, 타단이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제1 송풍기에 배치되는 제1 수분 이송수단(210), 및 일단이 상기 응축수 저장통(100)에 배치되고, 타단이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제2 송풍기에 배치되는 제2 수분 이송수단(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분 이송수단(210)과 제2 수분 이송수단(220)은 도 3과 같이 실외와 실내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42, 44)에 각각 나누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수분 이송수단(210)은 전열교환기소자(50)로부터 자유 낙하된 응축수를 제1 송풍팬(42)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켜 실외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제1 송풍팬(42)의 송풍작용 시 증발처리한다. 이에 따라, 제1 송풍팬(42)은 송풍작용을 통해 실외공기 유입구(70)를 통해 흡입한 실외공기와 증발처리를 통해 생성된 습윤공기를 실내로 배출한다.
또한, 제2 수분 이송수단(220)은 전열교환기소자(50)로부터 자유 낙하된 응축수를 제2 송풍팬(44)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제2 송풍팬(44)의 송풍작용 시 제2 수분 이송수단(220)의 말단에 흡수되어 있는 응축수를 증발처리한다. 이에 따라, 제2 송풍팬(44)은 송풍작용을 통해 실내공기 유입구(60)를 통해 흡입한 실내공기와 증발처리를 통해 생성된 습윤공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이러한 습윤공기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 및 수분 이송수단(210, 220)에서 증발된 응축수의 수증기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습윤공기는 실내 가습작용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편, 수분 이송수단(210, 220)은 자체적으로 살균력을 제공하는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분 이동수단에는 세균 등의 번식을 억지하는 살균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분 이송수단은 그 표면에 살균제가 코팅되거나, 은나노입자, 금속산화물입자, 과산화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으며, 또는 자외선(UV)을 조사하는 UV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분 이송수단(210, 220)은 천연섬유, 합성섬유, 기타 수분이송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이송수단(210, 220)은 극세사포, 직물포, 스폰지 등과 같이 응축수를 쉽게 흡수할 수 있고, 응축수를 흡수한 상태로 그 형상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통풍성이 뛰어나 흡수한 응축수가 용이하게 증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 구성된다.
극세사라고 칭해지는 섬유는 0.5 데니아 이하의 굵기를 가진 아주 가느다란 섬유인데, 폴리에스트와 나일론을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한 섬유를 말한다. 그 중에서 0.1 데니아 이하의 섬유를 초극세사라고 한다. 이러한 극세사로 제직된 천을 극세사포라고 지칭한다.
이와 같은 극세사포는 그 소재인 섬유가 아주 가늘어 섬유와 섬유 사이에 아주 좁은 틈새가 아주 많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좁은 틈에 물 등의 액체가 닿을 경우 액체는 그 좁은 틈새로 쉽게 스며드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모세관현상이라고 하고, 틈새가 좁을수록 모세관현상은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극세사포는 기본 소재인 섬유가 아주 가는 굵기이므로 섬유간의 틈새도 아주 좁게 형성되고, 그만큼 모세관현상도 커서 물이 빨리, 다량으로 극세사포 속으로 흡수되어 주변으로 분산된다. 통상적인 극세사포의 물 흡수 정도는 일반적인 면직물보다 2 내지 5배가 된다.
만약 응축수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 여건에서 사용되는 수분 이송수단이라면 전술한 극세사포 대신 일반적인 직물포를 사용하여 응축수를 처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수분 이송수단(210, 220)은 극세사포와 같이 가느다란 실형태로 형성될 수도도 있지만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면상 구조의 외형을 갖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열교환기소자(50)의 하단 꼭지점을 통해 응축수 저장통(100)에 모인 수분은 전열교환기소자 일 측면에 구비된 면상 구조(판상으로 압축된 다발형태)의 수분 이송수단을 통해 전이 확산되는데, 이 수분 이송수단의 면상 부분은 제1 송풍팬(42)이나 제2 송풍팬(44)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필요에 따라, 수분 이송수단(210, 220)은 전열교환기소자(50)의 각 모서리에 수분 이송수단(210, 220)의 일부 구간이 배치될 수 있다. 중력에 의해 흘러온 수분은 전열교환기소자(50)의 모서리에 모이고 응축수 저장통(100)에 떨어지게 되는데, 응축수 저장통(100)에 수용되기 전에 전열교환기소자(50)의 모서리에 배치된 수분 이송수단(210, 220)의 일부 구간을 통해 수분 이송수단(210, 220)의 타단으로 이송되는 것입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 이송수단의 타단이 송풍기에 위치하도록 수분 이송수단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300)은 수분 이송수단을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고정수단(30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 피복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 피복재는 수분 이송수단(210, 220)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분 이송수단(210, 220)을 통해 이동하는 응축수가 이동과정 중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수분 이송수단(210, 220)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수 피복재로는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피복재라면 어떠한 피복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 피복재는 응축수 저장통(100)에서 벗어난 수분 이송수단의 일단부터 송풍기에 마주보기 전의 수분 이송수단 타단까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응축수 저장통(100)에 배치된 수분 이송수단의 일단에 방수 피복재가 구비되지 않도록 하여, 수분 이송수단의 일단을 통해 응축수의 흡수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송풍기에 마주보는 수분 이송수단의 타단에 방수 피복재가 구비되지 않도록 하여, 송풍기의 송풍작용 시 수분 이송수단의 말단에 흡수된 응축수의 증발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처리장치는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400)은 응축수 저장통(100)으로 자유 낙하하는 응축수가 제1 수분 이송수단(210)과 제2 수분 이송수단(220) 중 어느 하나로 흡수되도록 응축수의 저장구역을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400)은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된 습도센서(미도시)와, 상기 응축수 저장통(100)의 저면을 2구역으로 분획하도록 상기 저면에 설치되는 힌지(410), 상기 힌지(410)에 결합된 스테핑 모터(미도시), 상기 힌지(410)에 결합되며 응축수 저장통(100)을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의 2구역으로 분획하는 응축수 흐름유도판(420),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수집된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응축수 흐름유도판(420)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제어모듈(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습도센서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정보를 제어모듈로 제공한다.
상기 스테핑 모터는 힌지(4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공한다.
상기 응축수 흐름유도판(420)은 응축수 저장통(100)을 제1 수분 이송수단(210)이 배치된 제1 구역과 제2 수분 이송수단(220)이 배치된 제2 구역으로 분획하는 평판으로 형성되며, 힌지(410)의 회전에 따라 자유 낙하하는 응축수가 제1 구역과 제2 구역 중 어느 하나만으로 수용되도록 자유 낙하하는 응축수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습도센서로부터 수집된 습도정보에 따라 스테핑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스테핑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테핑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은 습도센서로부터 수집된 습도가 자체 지정된 최저 습도에 미달하는 경우, 응축수가 증발되어 형성된 습윤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스테핑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모듈은 습도센서로부터 수집된 습도가 자체 지정된 최저 습도를 초과하는 경우, 응축수가 증발되어 형성된 습윤공기가 실외로 공급되도록 스테핑 모터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제어한다.
이는, 실내의 습도가 지정된 최저습도, 예를 들면 40 내지 60%보다 낮은 경우에 응축수가 증발되어 형성된 습윤공기가 실내로 배출하여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예컨대,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스테핑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응축수 흐름유도판(420)은 제2 구역의 상부를 차단하여 자유 낙하하는 응축수가 제1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반대로,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스테핑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응축수 흐름유도판(420)은 제1 구역의 상부를 차단하여 자유 낙하하는 응축수가 제2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400)을 통해 응축수 저장통(100)에 2개의 수분 이송수단이 배치되더라도 응축수가 수용되는 구역을 조절함으로써 1개의 수분 이송수단에만 응축수가 흡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여름철의 경우 응축수 저장통(100)에 수용된 수분을 대부분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제2 송풍팬(44)쪽으로 이송시켜 실외로 배출한다. 다만, 겨울철과 같이 실내가 건조하다고 판단될 경우 실외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제1 송풍팬(42)쪽으로 이송시켜 실내를 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응축수 저장통(100)에 수용된 응축수를 어느 방향(실내 또는 실외)으로 배출할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400)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받기 위해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모듈로 제공한다. 이때, 제어모듈은 제어신호에 따라 응축수 흐름유도판(420)의 회전방향을 조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400)은 스마트폰을 통한 사용자의 제어패턴을 학습하여 응축수 저장통(100)에 수용된 응축수의 배출방향을 계절 및 습도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400)은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를 저장하기 위해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제어모듈은 저장모듈에 저장된 제어신호와 습도센서로부터 수집된 습도를 분석하여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400)의 운영패턴을 결정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응축수 저장통(100)에 연통되어 공기정화에 필요한 액상 물질을 공급하는 기능성 물질 저장통(미도시)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물질 저장통에는 각각 공기정화에 필요한 피톤치드액과 아로마테라피용 액상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기능성 물질 저장통은 기능성 물질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제1 수분 이송수단(210)이 배치된 응축수 저장통(100)의 제1 구역에 연통된다.
또한, 기능성 물질 저장통과 응축수 저장통(100)의 사이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제어모듈에 의해 개폐가 결정된다.
예컨데, 사용자는 응축수 저장통(100)에 연결된 제1 내지 제4 기능성 물질 저장통 중 제2 기능성 물질 저장통에 수용된 기능성 물질만이 응축수 저장통(100)에 유입되도록 스마트폰을 통해 제2 기능성 물질 저장통과 응축수 저장통(100) 사이에 구비된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피톤치드나 각종 아로마 향을 선택하여 실내에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응축수 저장통 210 : 제1 수분 이송수단
220 : 제2 수분 이송수단 300 : 고정수단
400 :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 410 : 힌지
420 : 응축수 흐름유도판

Claims (10)

  1. 외부로부터 공급된 응축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통, 및 일단이 상기 응축수 저장통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송풍기에 배치되어 상기 일단을 통해 흡수된 응축수를 상기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수분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응축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분 이송수단은 일단이 상기 응축수 저장통에 배치되고 타단이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제1 송풍기에 배치되는 제1 수분 이송수단, 및 일단이 상기 응축수 저장통에 배치되고 타단이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제2 송풍기에 배치되는 제2 수분 이송수단으로 구성되고,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된 습도센서와, 상기 응축수 저장통의 저면을 2구역으로 분획하도록 상기 저면에 설치되는 힌지, 상기 힌지에 결합된 스테핑 모터, 상기 힌지에 결합되며 응축수 저장통을 제1구역 및 제2구역으로 분획하는 응축수 흐름유도판,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수집된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응축수 흐름유도판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된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이송수단의 외부에 구비되는 방수 피복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피복재는
    상기 응축수 저장통에서 벗어난 수분 이송수단의 일단부터 송풍기에 마주보기 전의 수분 이송수단 타단까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이송수단의 타단이 상기 송풍기에 위치하도록 수분 이송수단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응축수 처리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통, 수분 이송수단, 또는 이들 모두에 살균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살균수단은 은나노입자, 금속산화물입자, 과산화화합물, 또는 UV램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흐름 제어수단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모듈로 제공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처리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기능성 물질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송풍기로 수분을 이동시키는 수분 이송수단이 배치된 응축수 저장통의 제1구역에 연통된 기능성 물질 저장통; 및
    상기 응축수 저장통과 기능성 물질 저장통의 사이에 구비되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제어모듈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처리장치.
KR1020150079105A 2015-06-04 2015-06-04 응축수 처리장치 KR101719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105A KR101719327B1 (ko) 2015-06-04 2015-06-04 응축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105A KR101719327B1 (ko) 2015-06-04 2015-06-04 응축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050A KR20160143050A (ko) 2016-12-14
KR101719327B1 true KR101719327B1 (ko) 2017-03-24

Family

ID=5757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105A KR101719327B1 (ko) 2015-06-04 2015-06-04 응축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8311A (zh) * 2018-06-08 2018-09-18 广州豪特节能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中央空调接水盘组件及中央空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156A (ja) * 2001-05-14 2002-11-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ユニット
KR101453761B1 (ko) * 2014-07-10 2014-10-22 주식회사 경영사 이동식 에어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234U (ko) 1996-09-23 1998-07-06 박병재 차량용 오일 드레인 구조
KR101399268B1 (ko) 2007-08-17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1138699B1 (ko) 2009-12-23 2012-04-19 헵시바주식회사 응축수 증발장치가 구비된 일체형 에어컨
KR20130013576A (ko) * 2011-07-28 2013-02-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20130036814A (ko) * 2011-10-05 2013-04-15 김범준 자연증발형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3156A (ja) * 2001-05-14 2002-11-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ユニット
KR101453761B1 (ko) * 2014-07-10 2014-10-22 주식회사 경영사 이동식 에어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050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2622A1 (en) Humidifying unit for a hvac system
US20180001249A1 (en) Methods Apparatuses Assemblies Devices and Systems for Conditioning and Purifying Air
JP5092647B2 (ja) 換気空調装置
JP2008190813A (ja) 静電霧化装置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KR101917819B1 (ko) 냉-난방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제습기
JP5272360B2 (ja) 換気空調装置
CN109990390A (zh) 节能高效的空调和换热的方法和装置
KR102014233B1 (ko) 드레스룸용 제습기
CN111811037A (zh) 通风加湿系统、空调系统及空调系统控制方法
CN111076285A (zh) 可靠的凝水静音加湿空调
KR101719327B1 (ko) 응축수 처리장치
KR100740167B1 (ko) 가습장치
JP5228344B2 (ja) 換気空調装置
KR101399268B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755831B1 (ko) 환기장치
KR102324917B1 (ko) 욕실 설치형 소형 에어컨
KR101957682B1 (ko) 제가습 장치
KR20170027043A (ko) 강제 증발식 가습기
KR100698518B1 (ko) 기화식 가습장치
CN219889686U (zh) 一种恒湿装置
JP2020159595A (ja) 調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KR101710166B1 (ko) 벽걸이형 가습기
JP3546837B2 (ja) 加湿器
CN216868674U (zh) 一种空气调节设备
KR102273941B1 (ko) 욕실배기 겸용 수공냉식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