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769B1 -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 Google Patents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769B1
KR101705769B1 KR1020150101836A KR20150101836A KR101705769B1 KR 101705769 B1 KR101705769 B1 KR 101705769B1 KR 1020150101836 A KR1020150101836 A KR 1020150101836A KR 20150101836 A KR20150101836 A KR 20150101836A KR 101705769 B1 KR101705769 B1 KR 101705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rculosis
protein
mtbk
vaccine composition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573A (ko
Inventor
신성재
한승정
차승빈
김우식
김종석
김홍민
권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라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라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라티스
Priority to KR1020150101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7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4Mycobacterium, e.g. Mycobacterium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및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TBK_20640 단백질은 결핵균에 의한 감염을 유발시킨 동물 모델의 비장과 폐에서 높은 IFN-γ 생성능을 나타내며, 빠른 후천적 방어면역의 형성과 T 세포의 기억화를 유지시켜줌으로써 결핵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결핵의 예방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다기능 T 세포의 생성을 유도한다. 또한 결핵의 치료 시에도 사용 가능하여 재발율이 높은 고병원성 결핵의 재발 또는 재감염을 예방하고 치료 효율을 높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Vaccine composition for tuberculosis containing MTBK_20640 protein}
본 발명은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및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결핵은 WHO에서 규정한 3대 감염질환 중 하나로 1882년 미생물학자인 로베르트 코흐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 (Mycobacerium tuberculosis) 및 다른 마이코박테리움 종의 감염에 의하여 유발되며 높은 발병률과 사망률을 보이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6천만명 환자가 활동성 결핵에 감염되어 있으며, 매년 약 5천만에서 1억여명이 새로 결핵에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적어도 매년 900만명 이상의 새로운 결핵 환자가 발생하며, 연간 150만 명 이상이 결핵으로 사망한다고 알려져 있다. 결핵 발병률(incidence rate)은 인구 10만명 당 146명, 결핵 사망률은 인구 10만명 당 49명으로 단일 감염병 중에서 가장 많은 사망 원인을 차지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심각한 보건 문제로 남아 있다.
결핵균들의 우점적인 유전자형을 가진 베이징과(科)의 결핵균은 전 세계에 널리 퍼져있으며 (Glynn et al., 2002), 주로 동아시아에 빈번하게 퍼져있다 (European Concerted Action on New Generation Genetic Markers and Techniques for the Epidemiology and Control of Tuberculosis, 2006). 결핵균 중에서 베이징과에 속하는 유전자형을 가지는 빈도는 중국이 92%, 한국이 72%, 베트남이 40% 인 것으로 추정된다 (Glynn et al., 2002). 베이징과의 유전자형은 단일약물 내성 및 다재내성을 포함한 결핵균의 약제내성과 관련되어 있다 (Buu et al., 2009). 또한 베이징과의 유전자형은 잠복기상태의 결핵균의 재발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Burman et al., 2009).
한국의 전체 결핵 발병률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 (직접도말양성결핵균의 유병률, 1965년에 10만명에 686명에서 1995년 10만명에 93명)에 있지만 (Hong et al., 1998),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0.11%)이다 (unpublished survey data by the CDC in Korea).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병하는 결핵환자 중에 약제내성을 나타내는 MDR- TB 환자와 XDR TB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한국 TB 발병중 약 10%는 다재 내성 결핵(MDR-TB)이지만, 보다 우려되는 것은, 전체 다재내성 결핵균 중 광범위한 다재 내성 결핵(XDR-TB)의 비율이 5 내지 15%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Jain & Dixit, 2008; Kim et al., 2008). 한국 내 결핵균의 유전자 지문은 베이징 결핵균과의 하나로 우점적으로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유전자형은 총 결핵균의 1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i et al., 2010; Kim et al., 2001; Park et al., 2000). 김 등 (2001)은 한국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질병을 야기시킨 결핵균 중 베이징과에 속하는 전염성이 강한 결핵균을 확인하였으며, 이 균을 K 균이라 명명하였다.
한국형 고병원성 결핵균인 K 균주는 마우스 감염 시 초기 선천면역을 극복할 수 있는 특이적 병인기전을 나타내며 이는 결핵균 표준 균주인 H37Rv 균주 감염량의 10배에 해당되는 성장속도를 나타내었다. 한국형 고병원성 결핵균인 K 균주 감염에 의한 마우스의 폐사는 결핵균 표준 균주인 H37Rv 균주 감염에 의한 마우스의 폐사보다 2배 이상 빠르며, 감염 후 폐사 시기의 균수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아 감염 후기에는 숙주의 면역반응에 의한 면역병리가 병인기전으로서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기에 선천면역보다는 예방백신 등을 통한 후천면역을 특이적으로 올려주는 것이 한국형 고병원성 결핵균인 K 균주를 방어하는 핵심 요소일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현재, 결핵은 주로 마이코박테리움 보비스(Mycobacterium bovis)의 비독성 균주인 바실러스 칼메트-구에린(BCG: Bacillus Calmette-Guerin)의 생균을 이용하여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BCG 백신의 안정성 및 효능에 논란이 있어(Styblo K et al., Tuberc Lung Dis 1976; 7:17-43) 일부 국가에서는 BCG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또한 BCG는 어린이에게는 효과적이지만 성인에게는 치료 효능이 거의 없으며, 특히 잠복해 있는 결핵균에 대해서 거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BCG를 대체할 보다 안전하고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예방 백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MTBK_20640 단백질은 PE family 단백질에 속하는 한국형 고병원성 K 균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이다. PE family 단백질은 전체 게놈의 약 10%의 큰 비율을 차지하는 반복구조 단백질 유전자군으로써, G+C 비율이 높은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유전자들이다. PE는 그 단백질의 N 말단에 Pro-Glu 부분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PE라고 이름지어졌는데, 구체적으로는 PGRSs (polymorphic G+C-rich sequences)를 가지는 단백질이 존재한다. 이 단백질 그룹은 Gly-Gly-Ala이나 Gly-Gly-Asn의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MTBK_20640 단백질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특히 MTBK_20640 단백질을 결핵 예방용 백신에 사용하기 위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직까지 기존의 백신 이외에 다른 물질을 이용하여 결핵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결핵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다.
본 발명자들는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고병원성 결핵균 K 균주에 의한 결핵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성이 뛰어난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한 결과, MTBK_20640이 뛰어난 항결핵 후보 단백질이 될 것이라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MTBK_20640 단백질은 결핵균에 의한 감염을 유발시킨 동물 모델의 비장과 폐에서 높은 IFN-γ 생성능을 나타내며, 빠른 후천적 방어면역의 형성과 T 세포의 기억화를 유지시켜줌으로써 결핵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결핵의 예방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다기능 T 세포의 생성을 유도한다. 또한 결핵의 치료 시에도 사용 가능하여 재발율이 높은 고병원성 결핵의 재발 또는 재감염을 예방하고 치료 효율을 높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한국형 결핵균 K 균주(Mycobacterium tuberculosis K strain)의 MTBK_20640 유전자 및 주변 유전자들과 결핵 표준 균주인 H37Rv(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의 동일한 지역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클로닝을 통해 분리한 재조합 MTBK_20640 단백질을 SDS-PAGE 및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결핵균 감염 4주 후 마우스의 비장 세포와 폐 세포에서 항원 자극에 의한 T 세포의 발현 증가를 확인한 도이다(WT : wild type, Rv : 표준 균주 H37Rv 감염군, K : K 균주 감염군).
도 4는 MTBK_20640 단백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디자인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MTBK_20640 재조합 단백질을 마우스에 주입하여 면역화 시킨 후 비장 세포와 폐 세포에서 항원 자극을 통한 IFN-γ의 분비능을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MTBK_20640 재조합 단백질을 마우스에 주입하여 면역화 시킨 후 비장 세포와 폐 세포에서 항원 자극을 통한 기억 T 세포를 유세포 분석기로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MTBK_20640 단백질로 면역화 시킨 마우스에서 MTBK_20640 자극에 의하여 유도되는 항원 특이적인 다기능 CD4 T 세포 및 CD8 T 세포를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한 도이다.
도 8은 결핵균 K 균주를 감염시킨 뒤 4주와 10주 후에 폐와 비장 조직에서 조직병리학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GLA-SE : GLA-SE만을 투여한 군, BCG : BCG로 면역화시킨 군, GLA-SE + MTBK_20640 : MTBK_20640 단백질로 면역화시킨 군).
도 9는 결핵균 K 균주를 감염시킨 뒤 4주와 10주 후에 폐 조직의 염증 면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p<0.01, ***p<0.001).
도 10은 결핵균 K 균주를 감염시킨 뒤 4주와 10주 후에 폐와 비장 조직의 결핵균의 수를 측정한 도이다.
도 11은 MTBK_20640 단백질로 면역화 시킨 마우스에 결핵균 감염 후 폐와 비장 세포에 항원 재자극을 통해 유도되는 항원 특이적인 다기능 CD4 T 세포 및 CD8 T 세포의 비율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결핵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MTBK_20640 단백질은 PE family 단백질 중 하나로서 한국형 고병원성 K 균주(Mycobacterium tuberculosis K strain)에 존재하는 유전자로 표준 균주인 H37Rv(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에는 대응되는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MTBK_20640은 915bp의 유전자 및 305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질의 크기는 32KDa 이며 PI값은 10.06이다. MTBK_20640은 N-말단에 보존되어있는 PE family 특이적인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는 단백질로, 그 정확한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K 균주의 MTBK_20640 유전자 및 주변 유전자들과 결핵 표준 균주인 H37Rv의 동일한 지역을 비교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MTBK_20640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단백질 또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유전자 서열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 및 상기 단백질의 기능적 동등물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적 동등물"이란 아미노산의 부가, 치환 또는 결실의 결과,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과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MTBK_20640 단백질에는 이의 천연형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이의 변이체가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변이체"란 MTBK_20640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 및 단편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H.Neurath, R.L.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MTBK_20640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체는 천연에서 추출하거나 합성 (Merrifleld, J. Amer. chem. Soc. 85:2149-2156, 1963) 또는 DNA 서열을 기본으로 하는 유전자 재조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ur Laboratory Press, New York, USA, 2판, 1989). 또한,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티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는 변이체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MTBK_20640 단백질은 결핵균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서, DNA 서열을 기초로 하여 재조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할 경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을 적절한 발현 벡터에 삽입하고, 재조합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에서 목적으로 하는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숙주 세포를 배양한 후 형질전환체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단백질을 회수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핵은 안결핵, 피부 결핵, 부신 결핵, 신장 결핵, 부고환 결핵, 림프선 결핵, 후두 결핵, 중이 결핵, 장결핵, 다제내성 결핵, 폐결핵, 담결핵, 골결핵, 인후 결핵, 폐허증, 유방 결핵 및 척추 결핵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결핵은 베이징과의 결핵균, 바람직하게는 M. tuberculosis 210, M. tuberculosis X122, M. tuberculosis HN878, M. tuberculosis CTRI-4, M. tuberculosis CCDC5180, M. tuberculosis CCDC5079, M. tuberculosis R1207, M. tuberculosis W-148 및 M. tuberculosis 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결핵균, 더욱 바람직하게는 M. tuberculosis K 균주에 의해 발병되는 것을 포함한다. 베이징과 유전형의 결핵균은 항생제 내성균으로 발달될 가능성이 높고 일반적으로 병원성이 높다고 알려져있다. 한국형 고병원성 결핵균인 K 균주는 한국 내 우점적으로 존재하는 베이징과의 결핵균 중 하나로 전염성이 강한 균주이다(Choi et al., 2010; Kim et al., 2001; Park et al., 2000). 상기 균주는 마우스 감염 시 초기 선천면역을 극복할 수 있는 특이적 병인기전을 나타내며 이는 결핵균 표준 균주인 마이코박테리움 튜버쿨로시스 H37Rv 균주 감염량의 10배에 해당되는 성장속도를 나타낸다. 한국형 고병원성 결핵균인 K 균주 감염에 의한 마우스의 폐사는 결핵균 표준 균주인 마이코박테리움 튜버쿨로시스 H37Rv 균주 감염에 의한 마우스의 폐사보다 2배 이상 빠르며, 감염 후 폐사 시기의 균수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아 감염 후기에는 숙주의 면역반응에 의한 면역병리가 병인기전으로서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조성물은 병원성 유기체의 약독화된 균주를 개체에 접종하여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한 것이 아니라, 백신 효과를 가지는 단백질 항원을 투여함으로써 병원균에 대한 노출 없이 이후의 병원균 감염을 예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에 알려진 BCG 면역법에 비하여 보다 안전한 면역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TBK_20640 단백질은 부스터(booster) 백신으로 이용될 수 있다. 백신에 의한 예방접종으로 항체가 생성될 때 첫 번째의 항원 자극 후에 나타나는 반응에 비해 항원의 두 번째의 접종에 의해 급속하며 보다 강하고 높은 항체가 생성된다. 이 두 번째의 항원자극을 부스터(booster)라고 한다. 본 발명의 MTBK_20640 단백질은 공지의 결핵 백신 투여 후 이어지는 두 번째 접종에 사용되어 강한 항체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부스터 백신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지의 결핵 백신은 일차적으로 접종되어 항체 반응을 유도하는 결핵 백신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BCG 백신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MTBK_20640 단백질은 BCG 1차 접종 후에 이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 또는 치료용 부스터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부스터 백신의 투여는 당 업계에서 적합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접종 또는 주사, 특히 피내 주사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별도의 용량을 이용하여 일어날 수 있다. 그러한 용량은 동일한 농도의 단백질 및 면역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시에 투여될 수 있고, 이는 피부 표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또는 하나의 접종 부위에 투여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부스터 백신은 일차 면역화 일정이 완료된 후 투여되며, 바람직하게는 필요할 경우 일차 면역화 후 매 6개월 또는 12개월마다 투여된다.
본 발명에 따른 MTBK_20640 단백질을 항원으로 이용할 경우, 결핵균에 의한 감염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의 비장과 폐에서 높은 IFN-γ 생성능을 나타내며, 빠른 후천적 방어면역의 형성과 T 세포의 기억화를 유지시켜줌으로써 결핵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TBK_20640 단백질은 결핵의 치료 시에도 사용 가능하여 재발율이 높은 고병원성 결핵의 재발 또는 재감염을 예방하고 치료 효율을 높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MTBK_20640 단백질은 항원으로 작용하여 다기능 T 세포(multifunctional T cell)를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 다기능 T 세포는 결핵균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숙주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IFN-γ, TNF-α 및 IL-2를 모두 분비하는 T 세포이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면역증강제(adjuvant)와 함께 투여한다. 면역증강제는 면역세포의 초기 성화 과정에서 비특이적으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물질로, 숙주에게 면역원은 아니지만 면역계의 세포의 활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면역을 강화하는 제제, 분자등을 의미한다(Warren et al., 1986, Annu.Rev.Immunol,. 4:369).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과 함께 투여되어 면역 반응을 증강시킬 수 있는 면역증강제는 임의의 다양한 면역증강제를 포함하며, 전형적인 면역증강제로는 프로인트 면역증강제(Freund adjuvant), 알룸 화합물(aluminum compound), 무라밀 디펩타이드(muramyl dipeptide), 리포폴리싸카라이드(LPS), 모노포스포릴 리피드 A, 또는 쿠일 A 등이 알려져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한 예시 중 하나로 GLA-SE를 면역증강제로 사용한 예를 개시한다. 상기 면역증강제는 백신 조성물과 동시에 투여되거나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용매, 부형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에는 생리식염수, 증류수 등이 포함되며, 상기 부형제에는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백신 제조에 사용하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경구형 또는 비경구형 제제로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경구형 제제인 주사액제로 제조하며, 진피 내, 근육 내, 복막 내, 정맥 내, 피하 내, 비강 또는 경막 외(eidural)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면역학적 유효량으로 개체에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면역학적 유효량"이란 결핵 예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과 부작용이나 심각한 또는 과도한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정확한 투여 농도는 투여될 특정 면역원에 따라 달라지며, 예방 접종 대상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개체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경로, 투여 방법 등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1회 내지 수회 투여가능 하다.
또한, 본 발명은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결핵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MTBK_20640 단백질과 함께 결핵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결핵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재조합 MTBK _20640 단백질의 제조
결핵균 표준균주인 H37Rv(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와 한국형 고병원성 결핵균 K 균주(Mycobacterium tuberculosis K strain)의 비교 유전체학적 분석을 위하여, 균주 전체 게놈 시퀀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H37Rv 균주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K 균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PE family 단백질에 속하는 MTBK_20640를 찾아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한국형 결핵균 K 균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MTBK_20640 유전자를 클로닝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5'-CATATGAAAGTGTTGCAAATAGC-3') 및 역방향 프라이머(5'-AAGCTTTCGCCGACGATCCGGCG-3')를 이용한 PCR 기법으로 MTBK_20640 유전자 부위를 증폭하였다. 상기 PCR 산물을 NdeI과 HindIII 제한 효소로 절단하고, 발현 벡터인 pET-22b(+) 벡터(Novagen, Madison, WI)에 삽입한뒤, MTBK_20640 유전자가 삽입된 pET-22b(+) 벡터를 이용하여 E. coli BL21을 형질전환 시킨 후, 이를 600 nm에서의 흡광도 (OD)가 0.4 내지 0.5가 될 때까지 30℃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에 1 mM의 이소프로필-D-티오갈락토피라노사이드 (IPTG)를 첨가하고, 30℃에서 8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초음파 세포파쇄기를 이용하여 대장균을 파쇄하였다. 파쇄한 뒤 4℃에서 30분간 15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조추출액을 분리해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층액을 TALON Metal Affinity Resin (Clontech) 이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준하여 재조합 MTBK_20640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재조합 단백질은 SDS-PAGE 및 Western blot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정제된 재조합 MTBK_20640 단백질을 이후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 MTBK _20640 단백질의 결핵 예방 백신으로서의 효능 확인
결핵균 감염시 결핵균 항원에 대한 특이적 T 림프구가 복제, 분화 하여 작용 T 세포가 결핵 항원에 대해 면역반응이 일어난 뒤 면역반응이 사라지게 되면 이들은 대부분 사멸하게 되고 일부는 살아남아 오랫동안 지속되는 기억 T 세포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유도된 기억 T 세포는 빠른 후천적 방어면역의 형성과 T 세포의 기억화를 유지시켜줌으로써 결핵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제조예에서 분리하여 증폭한 MTBK_20640 단백질이 T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동물로 생후 5 내지 6주된 특이적 병원체가 없는 암컷 C57BL/6 마우스(Japan SLC, Inc. Shijuoka, Japan)를 연세대학교 의학 연구 센터 내의 BL-3 바이오해저드 애니멀 룸의 제한 공간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에게는 멸균된 판매용 마우스 먹이와 물을 임의적으로 제공하였다.
결핵균 표준 균주 H37Rv 또는 K 균주를 Glas-Col inhalation device (Terre Haute, IN)를 이용하여 마우스당 200 내지 250개의 결핵균이 들어가도록 흡입시켜 감염시켰다. 결핵균 감염 4주 후 마우스의 비장과 폐 세포를 분리한 후, 생체 외(X-vivo)에서 MTBK_20640 단백질 항원으로 자극하였다. 24시간 뒤 상기 자극된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한 후 원심 분리하고 항-CD3-V450, 항-CD4-PerCP-Cy5.5, 항-CD44-PE, 항-CD62L-FITC 및 항-CD127-APC 등의 항체를 처리한 후 30분 동안 상온에 방치하였다. isotype control은 랫트 IgG2b-FITC, 랫트 IgG2b-PE, 랫트 IgG2a-APC를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를 PBS로 수회 세척한 후 항원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네이티브 T 세포(native T cell, CD3+CD4+CD62L+CD44-CD127+), 중심 기억 T 세포(central memory T cell, CD3+CD4+CD62L+CD44+CD127+), 작용 기억 T 세포(effector memory T cell, CD3+CD4+CD62L-CD44+CD127+), 작용 T 세포(effector T cell, CD3+CD4+CD62L-CD44+CD127-)를 유세포 분석기(FACSverse, BD)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결핵 감염시 초기에 유도되는 항원으로 알려져있고 결핵균 표준 균주 H37Rv 및 K 균주 모두가 가지고 있는 ESAT-6 항원으로 자극한 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핵균 감염 4주 후 마우스에서 분리한 폐 세포 및 비장 세포 모두에서 작용 T 세포 및 기억 T 세포의 수와 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MTBK_20640 단백질은 K 균주 감염군에서 표준균주 H37Rv 감염군보다 높은 값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 MTBK _20640 단백질의 면역화 효과
2.1 MTBK _20640 단백질 주입을 통한 마우스의 면역화 유도
실험 동물로 생후 5 내지 6주된 특이적 병원체가 없는 암컷 C57BL/6 마우스(Japan SLC, Inc. Shijuoka, Japan)를 연세대학교 의학 연구 센터 내의 BL-3 바이오해저드 애니멀 룸의 제한 공간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에게는 멸균된 판매용 마우스 먹이와 물을 임의적으로 제공하였다.
마우스를 면역화 시키기 위하여 재조합 MTBK_20640 단백질을 GLA-SE(면역증강제)와 함께 결핵균 감염 10주 전부터 3주 간격으로 총 3회 등에 피하 주입하였다. 마우스 당 GLA-SE는 5 μg, 재조합 MTBK_20640 단백질은 5 μg을 주입하였다. GLA-SE는 제조사의 지침서에 따라서 멸균 PBS에 녹인 후, 항원과 함께 희석하고 최종 부피가 주사 당 200㎕가 되게 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서 BCG를 사용하였으며, 3회 주입 중 1회 주입시에 BCG Pasteur 1173P2 (2×105 CFU/마우스)균주를 피하로 주입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서는 200㎕의 멸균 PBS, 또는 항원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200㎕의 GLA-SE를 피하 주입하여 사용하였다. 면역화 유도 반응을 시험하기 위한 실험 설계를 도 4에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이후 면역화된 마우스의 비장과 폐에서 결핵 방어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인자들의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2.2 MTBK _20640 단백질에 의한 IFN -γ의 생성능 확인
결핵균에 특이적인 항원을 발굴하여 강력한 IFN-γ의 생성능을 확인하는 것은 새로운 진단 항원이나 결핵균 예방 백신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MTBK_20640 단백질이 항원으로 작용하여 IFN-γ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2.1과 같이 면역화시킨 마우스의 비장과 폐에서 세포를 분리하여 생체 외(X-vivo) 상에서 상기 세포를 MTBK_20640 단백질로 자극한 뒤 ELISA 방법을 통하여 항원 특이적 IFN-γ의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2.1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제조한 BCG로 면역화시킨 마우스는 자극 항원으로 PPD(purified protein derivative)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MTBK_20640 단백질로 면역화 시킨 비장과 폐 세포의 경우 MTBK_20640 단백질로 자극할 때 IFN-γ의 생성능이 증가한 반면, PPD로 자극할 때는 IFN-γ의 생성능에 미치는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양성대조군(BCG로 면역화 시킨 마우스)의 비장과 폐 세포를 MTBK_20640 단백질로 자극할 때는 비장에서 IFN-γ의 생성능에 미치는 효과가 없으나, PPD로 자극할 때는 IFN-γ가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TBK_20640 단백질과 BCG를 주입하여 면역화 시킨 마우스가 성공적으로 면역화 되었으며 MTBK_20640 단백질이 결핵균에 특이적인 항원으로서 작용하여 IFN-γ를 유도하므로 결핵 예방 백신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MTBK_20640 단백질은 베이징과 결핵균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PE family에 속하는 균주에 대해 특히 효과적인 결핵 예방 백신으로 사용될 수 있다.
2.3 MTBK _20640 단백질에 의한 T 세포 유도능 확인
MTBK_20640 단백질의 주입이 면역화 유도를 통해 T 세포를 효과적으로 유도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2.1과 같이 면역화된 마우스의 폐와 비장 세포를 상기 2.2와 같은 실험군으로 자극하였다. 유세포 분석기(FACSverse, BD)를 통하여 네이티브 T 세포(native T cell), 중심 기억 T 세포(central memory T cell), 작용 기억 T 세포(effector memory T cell), 작용 T 세포의 유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TBK_20640 단백질로 면역화 시킨 경우 작용 기억 CD4+ T 세포(effector memory CD4+ T cell)가 폐와 비장 세포 모두에서 크게 유도되고, 폐에서 작용 기억 CD8+ T 세포(effector memory CD8+ T cell)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TBK_20640 단백질은 T 세포의 기억화를 유지시켜줌으로써 결핵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2.4 MTBK _20640 단백질로 인한 면역화에 의하여 유도된 T 세포의 활성 확인
다기능 Th1 세포(multifunctional Th1 cell)는 IFN-γ, TNF-α 및 IL-2를 모두 분비하며 결핵균을 방어하는데 중요한 숙주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MTBK_20640 단백질이 이러한 다기능 T 세포를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2.1에 의하여 MRBK_20640 단백질로 면역화된 마우스에 결핵균으로 감염시키기 전에 비장과 폐를 분리하여 생체외(X-vivo) 상에서 MTBK_20640 단백질을 재처리한 후 항원 재처리시에 유도되는 항원 특이적 다기능 T 세포의 유도를 유세포 분석기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IFN-γ, TNF-α, IL-2 을 모두 분비하는 다기능 CD4+ T 세포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 반면 다기능 CD8+ T 세포에서는 이러한 증가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MTBK 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의 효능 확인
상기 제조예에서 분리한 MTBK_20640 단백질이 K 균주에 의해 발병된 결핵의 예방 백신으로 이용될 수 있는지 그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3.1 한국형 고병원성 결핵균인 K 균주 감염 마우스의 제조
실험 동물로 생후 5 내지 6주된 특이적 병원체가 없는 암컷 C57BL/6 마우스(Japan SLC, Inc. Shijuoka, Japan)를 연세대학교 의학 연구 센터 내의 BL-3 바이오해저드 애니멀 룸의 제한 공간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에게는 멸균된 판매용 마우스 먹이와 물을 임의적으로 제공하였다.
한편, K 균주와 Mycobacterium bovis BCG(Pastuer strain)를 7H9-OADC broth에서 15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균주들을 수집한 후, 6mm 글래스 비드로 드럽게 볼텍싱하면서 파쇄하였다. 세포 응집물이 가라앉은 다음, 상청액을 수거하고 각각 나누어 -70℃에 보관하였다. 이를 해동한 후, 살아있는 결핵균을 Middlebrook 7H11 아가(Difco, Detroit, MI, USA)에서 단계적 희석 평판 배양하고 카운팅하였다. 마우스에게 결핵균을 접종하기 위해, 상기 결핵균 현탁액을 음파조(sonic bath)에서 가볍게 음파처리하고, pH7.2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희석시켜 원하는 수의 결핵균을 수득하였다.
상기 실시예 2.1에서 면역화시킨 마우스에 병원성이 높은 K 균주를 Glas-Col inhalation device (Terre Haute, IN)를 이용하여 마우스당 200 내지 250개의 결핵균이 들어가도록 흡입시켜 감염시켰다. 이후 MTBK_20640 단백질의 K 균주 감염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조된 감염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3.2 MTBK 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의 효과 - 조직병리학적 분석
상기 3.1의 한국형 고병원성 결핵균인 K 균주 감염 마우스 제조 4주 및 10주 후, 각 군의 마우스에서 폐 조직을 적출하여 이를 10% neutral-buffered formalin에 보존시킨 후, 파라핀에 고정시켰다. 고정된 조직을 4 내지 5 mm의 두께로 절편을 만들고 H&E(hematoxylin and eosin)로 염색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GLA-SE 만을 투여한 군(음성대조군)은 결핵균 감염 4주 후 많은 면역 세포의 유입과 심각한 염증을 나타낸 반면, BCG로 면역화 시킨 군(양성대조군)과 본 발명의 MTBK_20640 단백질을 항원으로 이용하여 면역화 시킨 군은 면역 세포의 유입이 감소하였고 염증 또한 심각하지 않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핵균 감염 10주 후에도 MTBK_20640 단백질로 면역화 시킨 군은 음성대조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염증이 적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폐 조직에서 염증 소견을 보이는 부분의 면적을 ImageJ program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MD, USA)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MTBK_20640 단백질로 면역화 시킨 군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염증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MTBK_20640 단백질이 면역세포의 유입과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K 균주에 의한 결핵 예방 백신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인하였다.
3.3 MTBK 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의 효과 - 결핵균수의 측정
상기 3.1의 한국형 고병원성 결핵균 K 균주 감염 마우스를 제조하여 결핵균 감염 10주 후, 각 군의 마우스에서 폐 조직을 적출하고 결핵균의 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폐 조직 내 살아있는 결핵균 수를 분석하기 위해 Middlebrook 7H11 아가상에서 전체 기관 균질현탁액을 순차적으로 희석하여 플레이팅한 후, 이를 37℃에서 3 내지 4주간 배양하고 콜로니를 카운팅하였다. 콜로니 카운팅 결과를 전체 폐 조직 당 평균 log10CFU±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이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MTBK_20640 단백질을 항원으로 이용하여 면역화 시킨 군(MTBK_20640)은 GLA-SE만으로 면역화 시킨군(Adjuvant Control)에 비하여 폐와 비장의 결핵균 수가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수치는 BCG로 면역화 시킨 군(BCG)과 유사거나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은 고병원성 결핵균 K 균주에 의해 발병되는 결핵을 예방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4 결핵균 감염 후 MTBK _20640 단백질에 의해 유도되는 다기능 T 세포의 확인
MTBK_20640 단백질을 GLA-SE와 함께 결핵균 감염 10주 전에 3주 간격으로 총 3회에 걸쳐 피하 주사로 마우스에 면역화 시킨 뒤, 결핵균 감염 4주 후, 생체 외(X-vivo) 상에서 분리된 폐 세포 및 비장 세포를 재조합 MTBK_20640 단백질로 자극하였다. 상기 자극에 의하여 유도되는 항원 특이적 다기능 T 세포를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TBK_20640 단백질을 주입하여 예방 접종한 마우스의 폐 세포 및 비장 세포에서 항원 특이적 다기능 CD4+ T 세포가 감염 후 4주에서 모두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항원 특이적인 CD8+ T 세포에서는 항원 특이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TBK_20640 단백질을 예방접종 한 마우스에서 결핵균 방어에 중요한 항원 특이적인 다기능 Th1 세포가 유도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MTBK_20640 단백질이 결핵 예방용 백신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 산제의 제조
MTBK_20640 단백질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MTBK_20640 단백질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 캡슐제의 제조
MTBK_20640 단백질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 주사제의 제조
MTBK_20640 단백질 10mg
만니톨 180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mg
Na2HPO42H2O 26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 액제의 제조
MTBK_20640 단백질 1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맞춘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120> Vaccine composition for tuberculosis containing MTBK_20640 protein <130> 1_18P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304 <212> PRT <213> Mycobacterium tuberculosis K <400> 1 Met Lys Val Leu Gln Ile Ala Ile Tyr Ser Gly Arg Ser His Asp Cys 1 5 10 15 Phe Gly Val Cys Gln Thr Glu Leu Arg Gly Ala Thr Asp Arg Phe Val 20 25 30 Arg Cys Val Arg Ser His Gly Gln Ala Asp Arg Val Pro Gln Cys Asp 35 40 45 Leu Arg Asn Arg Ser Thr Leu Ala Ala Gly Cys Ile Thr Phe Glu Gln 50 55 60 Arg Trp Phe Arg Pro Ser His Arg Ala Ile Arg Arg Lys Val Arg Trp 65 70 75 80 Leu Gln Thr Tyr Phe Cys Gly Phe Ala Gly Leu Leu Thr Arg Ser Gly 85 90 95 Ser Arg Ile Val Leu Leu Ser Gly Ala Ala Gly Pro Gly Phe Ala Ala 100 105 110 Val Val Ala Pro Ala Phe Arg Gly Asp Cys Tyr Gly Gly Val Thr Ser 115 120 125 Val Arg Val Arg Ala Gln Thr His Arg Ser Asn Asn Gln Met Asp Ser 130 135 140 Leu Ser His Asp Pro Ala Ala Gly Asp Ile Gly Ser Gln Leu Val Glu 145 150 155 160 Ile Gly Ser Arg Gly Leu Ala Ala Gly Asn Ala Ala Thr Met Pro Thr 165 170 175 Met Thr Gly Leu Val Pro Ala Gly Gly Glu Glu Val Ser Ala Gln Ala 180 185 190 Val Met Ala Phe Ala Thr Glu Ala Ala Ser Met Ile Ala Ser Asn Thr 195 200 205 Ala Ala Gln Glu Glu Leu Met Arg Ala Gly Thr Ala Leu Thr Asp Ile 210 215 220 Ala Arg Met Tyr Gly Asp Thr Asp Asp Asn Ala Ala Gly Ala Leu Thr 225 230 235 240 Ile Gly Ala Gly Leu Thr Ser Arg His Pro Leu Ala Gly Gly Ser Gly 245 250 255 Ala Ser Ala Gly Ala Gly Leu Met Arg Ala Gly Ser Leu Pro Gly Glu 260 265 270 Ala Gly Ser Ala Ala Arg Thr Pro Leu Met Ala Gln Leu Leu Glu Gly 275 280 285 His Pro Arg Arg Trp His Arg Pro Pro Leu Thr Pro Asp Arg Arg Arg 290 295 300 <210> 2 <211> 915 <212> DNA <213> Mycobacterium tuberculosis K <400> 2 atgaaagtgt tgcaaatagc tatttattcc ggcagatcgc atgattgttt cggtgtttgc 60 cagaccgaac tcaggggtgc gactgaccgt ttcgttcgtt gtgttcggtc ccacgggcag 120 gcagaccgcg tgccgcagtg tgatttgcgc aataggtcga cacttgcggc tgggtgcatc 180 accttcgagc aacgctggtt ccgaccttcg cacagggcga tccggcgcaa ggtcaggtgg 240 ctgcaaacgt atttctgcgg cttcgcgggt ctgctaaccc gcagcgggtc tagaattgtc 300 ttattgtccg gcgcagccgg accgggcttt gcggcggtag tcgcgccggc tttccgcggg 360 gattgctacg ggggcgtcac aagcgttcga gtccgcgcac aaacacacag gagcaataac 420 cagatggatt ccttgtcaca cgatccggcc gctggcgaca tcggatcgca actggtcgag 480 atcggtagcc gtggcctggc ggccggcaac gcggcgacga tgccgaccat gaccgggctg 540 gtacccgcgg ggggcgaaga ggtgtccgcg caggctgtga tggcgttcgc gacggaggcc 600 gcttcaatga tcgcttcgaa cacggcagct caagaggagc tgatgcgagc ggggacagcg 660 ttgacggaca tcgctcggat gtatggggat accgatgaca atgcggcggg tgcgttgacg 720 atcggagccg gcctgacatc gcgccacccg ctcgcgggtg ggtcgggcgc aagcgcaggt 780 gcgggactga tgcgcgcggg atcgctgccc ggcgaagccg gatcggcggc gcgcaccccg 840 ctgatggctc agttgttgga ggggcatcct cgccgatggc atcgaccgcc gctaacgccg 900 gatcgtcggc gatga 915

Claims (11)

  1.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TBK_20640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TBK_20640 단백질은 서열번호 2의 유전자 서열에 의해 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핵은 안결핵, 피부 결핵, 부신 결핵, 신장 결핵, 부고환 결핵, 림프선 결핵, 후두 결핵, 중이 결핵, 장결핵, 다제내성 결핵, 폐결핵, 담결핵, 골결핵, 인후 결핵, 폐허증, 유방 결핵 및 척추 결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핵은 베이징과 결핵균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징과 결핵균은 M. tuberculosis 210, M. tuberculosis X122, M. tuberculosis HN878, M. tuberculosis CTRI-4, M. tuberculosis CCDC5180, M. tuberculosis CCDC5079, M. tuberculosis R1207, M. tuberculosis W-148 및 M. tuberculosis K 균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징과 결핵균은 M. tuberculosis K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면역증강제(adjuva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은 부스터(booster) 백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TBK_20640 단백질은 다기능 T 세포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11. MTBK_20640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50101836A 2015-07-17 2015-07-17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KR101705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836A KR101705769B1 (ko) 2015-07-17 2015-07-17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836A KR101705769B1 (ko) 2015-07-17 2015-07-17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573A KR20170009573A (ko) 2017-01-25
KR101705769B1 true KR101705769B1 (ko) 2017-02-13

Family

ID=5799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836A KR101705769B1 (ko) 2015-07-17 2015-07-17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895A1 (ko) * 2018-09-17 2020-03-26 주식회사 큐라티스 스팅 작용자를 포함하는 면역항원보강제 및 백신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병원성 W-Beijing 결핵균주를 이용한 결핵예방백신 후보들의 예방효과평가, 미래창조과학부 과제보고서 (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573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8950C (en) Yeast-bas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epatitis delta virus infection
CN106102768B (zh) 分枝杆菌抗原组合物
RU2760580C2 (ru) РЕКОМБИНАНТНАЯ BCG, СВЕРХЭКСПРЕССИРУЮЩАЯ PhoP-PhoR
CN109456393B (zh) 肺炎链球菌蛋白在抗肺炎链球菌感染中的应用
JPH09505588A (ja) 多くの細胞外生成物及びそれらの製造法並びに使用
Hwang et al. Lactoferrin enhanced efficacy of the BCG vaccine to generate host protective responses against challenge with virule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KR102228308B1 (ko)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및 흉막폐렴 예방용 백신 조성물
WO2008152448A2 (en) Streptococcus proteins, and their use in vaccination
KR101579861B1 (ko) Rv3131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KR102193304B1 (ko) Rv2299c-ESAT6-HspX-RipA 융합단백질의 BCG 백신 booster용 조성물
KR101705769B1 (ko) Mtbk_2064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KR101624208B1 (ko) Rv0351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KR101564323B1 (ko) Rv3112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Souza et al. Therapeutic effect of DNA vaccine encoding the 60-kDa-heat shock protein from Paracoccidoides brasiliensis on experimental paracoccidioidomycosis in mice
KR101672352B1 (ko) Mtbk 2062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KR101568736B1 (ko) Mtbk 2482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US10933126B2 (en) Clostridium difficile immunogen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102004902B1 (ko) 융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조성물
KR20220133633A (ko) SARS-CoV-2 스파이크 단백질 S1 유래 단백질 및 페리틴 유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조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KR101873362B1 (ko) 브루셀라 균 주요 공통 항원을 발현하는 비병원성 약독화 살모넬라 균주를 포함하는 브루셀라증 예방 또는 치료용 백신 조성물
KR102221244B1 (ko) 마이코박테리움 안얀젠스 균주를 포함하는 결핵예방용 백신 조성물
WO2016013873A1 (ko) Rv3112, MTBK 20620 또는 MTBK 24820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예방용 백신 조성물
TWI396547B (zh) 溶血性曼哈米亞桿菌疫苗
KR102604839B1 (ko) Prrsv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
KR102221255B1 (ko) 마이코박테리움 안얀젠스 균주를 포함하는 결핵치료용 백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