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801B1 - Multi vision system - Google Patents

Multi vi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801B1
KR101691801B1 KR1020100072996A KR20100072996A KR101691801B1 KR 101691801 B1 KR101691801 B1 KR 101691801B1 KR 1020100072996 A KR1020100072996 A KR 1020100072996A KR 20100072996 A KR20100072996 A KR 20100072996A KR 101691801 B1 KR101691801 B1 KR 101691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synchronization signal
video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1251A (en
Inventor
김태호
신덕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801B1/en
Publication of KR2012001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2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와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3D 영상시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와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거나, 3D 영상시청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중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의 동기 신호를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마스터(master) 영상표시장치,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slave) 영상표시장치,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개폐하는 3D 영상시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멀티비전 시스템에 구비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들과 3D 영상시청장치의 신호 간섭 및 노이즈 영향을 방지할 수 있어, 3D 영상을 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다.
A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a 3D image and a 3D image viewing device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And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display a plurality of view image constituting the 3D image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Or a synchronizing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synchronizing signal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ynchroniz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and the 3D video viewing device, And controll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of one of the video display devices to be transmitted to the 3D video view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vision system including a master imag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a slave image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3D image view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eft eye glass part and the right eye glass part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wherein the master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slave image display device construct a 3D image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vision system capable of viewing 3D images using a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can be easily implemented, and a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provided in the multivision system and 3D video view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gnal interference and the noise influence of the apparatus and to view the 3D image more accurately and easily.

Description

멀티비전 시스템{Multi vision system}Multi vision system

본 발명은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3D 영상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vision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vision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enable accurate and easy viewing of a 3D image.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A video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that a user can view. The user can view the broadcast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A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a broadcast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on a display. Currently, broadcasting is chang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around the world.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in which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are transmitted. Compared to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strong against external noise and has a small data loss,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has a high resolution, and provides a clear screen. Also,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ervice.

또한. 최근에는 입체 영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환경 및 기술에서도 입체 영상 기술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실용화되고 있다.Also.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on stereoscopic images have been conducted, and stereoscopic image technology has become increasingly common and practical in various other environments and technologies as well as computer graphics.

한편,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초대형 화면을 구현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수요 및 공급이 증대되고 있다. 이런 경향에 따라 다양한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멀티비전 시스템이 구현되어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정확하고 용이한 입체 영상 표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demand and supply of a video display device which realizes a very large screen without occupying a space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is tendency, a multi-vision system using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has been implemented and various applications have been made, and studies for accurate and easy stereoscopic image display are underway.

본 발명의 목적은, 3D 영상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vision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accurately and easily view a 3D imag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비전 시스템에 구비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들의 신호 간섭 및 노이즈 영향을 방지하여, 3D 영상을 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vision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ultivision system that can prevent a signal interference and a noise of a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provided in a multivision system to more accurately and easily view a 3D image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와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3D 영상시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vis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a 3D image, a 3D imag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display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constituting a 3D image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포함하는 3D 영상시청장치,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와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vis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3D images, a 3D image viewing device including a left eye glass part and a right eye glass part,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and the 3D video watching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display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constituting a 3D video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마스터(master) 영상표시장치,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slave) 영상표시장치,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개폐하는 3D 영상시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vision system including a master imag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a slave image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3D image view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eft eye glass part and the right eye glass part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wherein the master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slave image display device construct a 3D image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are display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포함하는 3D 영상시청장치,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중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의 동기 신호를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vision system including a 3D image view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a left eye glass unit and a right eye glass unit for displaying 3D image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of one of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to be transmitted to the 3D video viewing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3D video view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vision system capable of viewing a 3D image us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can be easily implemented.

또한, 멀티비전 시스템에 구비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들과 3D 영상시청장치의 신호 간섭 및 노이즈 영향을 방지할 수 있어, 3D 영상을 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ignal interference and noise from a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and a 3D video view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multivision system, thereby enabling a 3D video to be viewed more accurately and easily.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프레임 시퀀셜 포맷에 따른 3D 영상시청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 등의 깊이감이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3D 영상시청장치를 위한 신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영상시청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2는 3D 멀티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1A through 1B are internal block diagrams of a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3D image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rame sequential format.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3D video signal format capable of implementing 3D video.
7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scaling methods of a 3D imag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variation in depth of a 3D image or a 3D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manner in which the depth of an image or the like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gnal for a 3D video viewing apparatus.
1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3D video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a 3D multi-vision system.
13 to 16 are views referred to explain a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S. 1A and 1B are internal block diagrams of a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멀티비전 제어부(10)는 입력 신호에 따라 멀티비전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100)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100 included in the multivision system to output video and audio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멀티비전 제어부(10)는 멀티비전으로 구성되어 출력될 영상 및 오디오에 대해 배치된 영상표시장치의 위치에 따라 출력 대상의 영상을 영상표시장치별로 배열하거나 확대하도록 할 수 있고, 오디오의 채널을 확인하고 해당 채널의 오디오를 선별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d output video images to be output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s arranged for the video and audio to be output, And to selectively output the audio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한편, 입력 신호는 멀티비전 제어부(10)를 통하여 개별 영상표시장치로 전달되거나 직접 개별 영상표시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pu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or directly to the individual image display device.

멀티비전 제어부(10)는 방송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100)들과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15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of a broadcasting station or receiving an input signal by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an external network. The interface unit 15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signals to and from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100.

또한, 멀티비전 제어부(10)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생성부(13), 3D 영상표시장치의 위치 정보 등 각종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기신호 생성부(13), 인터페이스부(15), 센서부(17)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includes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13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a sensor unit 17 for sens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3D video display device, ). The control unit 11 may include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13, an interface unit 15, and a sensor unit 17.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영상표시장치에서 출력할 오디오 또는 영상, 각 영상표시장치의 식별 정보(ID)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audio or video images to be output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of each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like.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의 영상표시장치가 마스터(Master)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constituting the multi-vision system can be set to perform a master function.

따라서, 마스터(Master)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는 멀티비전 제어부(10)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슬레이브(slave) 영상표시장치로 출력할 각 영상 또는 오디오의 해당부분을 설정하여 각 슬레이브(slave) 영상표시장치에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of the video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master func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and sets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video or audio to be output to the other slave video display devices, it is possible to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slave image display apparatus.

또한, 멀티비전 제어부(10) 내에 포함되는 동기신호 생성부(13), 인터페이스부(15), 센서부(17)는 별도로 개별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 및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데이터 및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나누어 질 수 있다.The synchronous signal generating unit 13, the interface unit 15 and the sensor unit 17 included in 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may be separately included in at least one video display device of the individual video display devices, And may be included in a component that performs a similar function. For example, an interface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signals to and from another image display apparatus may be included in the network interface unit,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unit can be divided into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data and signals,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and signals.

멀티비전을 구성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An image display device for constituting a multivision can be arranged and displayed in various ways.

도 2의 (a) 내지 (c)는 멀티비전을 구성하기 위한 영상표시장치(100a, 100b, 100c, 100d)의 배열을 2x2로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2 (a) to 2 (c)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video display devices 100a, 100b, 100c and 100d for constituting a multivision is 2x2.

한편, 도 2의 (a) 내지 (d)에서는 모든 영상표시장치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영상표시장치들은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2 (a) to 2 (d), all of the image display device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However, the image display devices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영상표시장치(100a, 100b, 100c, 100d)는 도 2의 (a)와 같이, 동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도 2의 (b)와 같이,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표시하여 멀티비전 시스템 전체로써,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es 100a, 100b, 100c and 100d constituting the multivision system can display the same image as shown in FIG. 2 (a) So that one video can be displayed as the whole multi-vision system.

도 2의 (d)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가 일렬로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2 (d)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are arranged in a line.

이 경우에, 멀티비전 제어부(10)는 개별 영상표시장치(100a, 100b, 100c, 100d)를 식별하고, 영상표시장치(100a, 100b, 100c, 100d) 별로 표시할 영상을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can identify the individual video display devices 100a, 100b, 100c, and 100d and allocate an image to be displayed for each of the video display devices 100a, 100b, 100c, and 100d.

한편,도 2의 (c)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a, 100b, 100c, 100d)는 다른 영상들은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C, the image display apparatuses 100a, 100b, 100c, and 100d may display different images and simultaneously provide various images to the user.

한편, 도 1a는 멀티비전 제어부(10)와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들이 독립적으로 연결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들은 시리얼(Serial)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although 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and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are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FIG. 1A, a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may be connected in a serial m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예를 들어,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2행 2열로 구성되는 도 2의 (a)와 같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멀티비전 시스템이라 할 때, 1행 1열의 영상표시장치(100a)는 1행 2열의 영상표시장치(100b)로 연결되고, 1행 2열의 영상표시장치(100b)는 2행 1열의 영상표시장치(100c)로 연결되고, 2행 1열의 영상표시장치(100c)로는 2행 2열의 영상표시장치(100d)와 시리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하나의 신호가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s a multi-vision system arranged in a matrix form as shown in FIG. 2 (a) composed of two rows and two column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a in the first row,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of one row and two columns is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c of two rows and one column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c of two rows and one column is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b,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d by a serial connection. In this case, the same one signal can be sequentially transmitted.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3 to 4 are internal block diagrams of an individual image display apparatus constituting a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3D 영상시청장치(195)를 포함할 수 있다.3,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er 110, a demodulator 12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a network interface 135,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control unit 170, a display 180, an audio output unit 185, a power supply unit 190, and a 3D image viewing device 195.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The tuner 110 selects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ll previously 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lso,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voice signal (CVBS / SIF). That is, the tuner 110 can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110 can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lso, the tuner 110 can receive RF carrier signals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RF carriers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한편, 튜너(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er 110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outputs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s as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Can be converted.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an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20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to perform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Solomon decoding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a DVB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COFDMA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demodulation. 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For this, the demodulator 120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solomon decoder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on decoding.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stream signal TS.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demodulating unit 12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TSC scheme and the DVB scheme. That is, it can be provided as an ATSC demodulation unit and a DVB demodulation unit.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 unit 170 performs demultiplexing,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then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180 and outputs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notebook)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ransmits external video, audio or data signals to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Also, the control unit 170 can output the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connect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in accordance with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Can be connected.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s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set-top boxes via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3D 영상시청장치(195)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signals to and from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데이터 및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데이터 및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나누어 질 수 있다.Meanwhil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be divided into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data and signals,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and signal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n Ethernet terminal and the like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and may be a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can receive, via the network, contents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at is, it can receive contents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games, VOD, broadcasting signals, and the like, provided from a contents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update information and the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can be received. It may also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is connected to, for example, an IP (Internet Protocol) TV and receives the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from the settop box for IPTV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can transmit the signals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to the IPTV set-top box.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IPTV may include ADSL-TV, VDSL-TV, FTTH-TV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network. The IPTV may include a TV over DSL, a video over DSL, a TV over IP BTV), and the like. In addition, IPTV may also mean an Internet TV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or a full browsing TV.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170 or may store the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OM (EEPROM, etc.), and the lik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reproduce files (moving picture files, still picture files, music files, document files,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provide them to users.

도 3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FIG. 3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power, select the channel, and display the screen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Or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via a network.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sensor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gesture of a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It is possible to transmit it to the sensor unit (not shown). Here, the sensor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n audio sensor, a position sensor, an operation sensor, and the like.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the tuner 110 or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o generate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Can be generated and output.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as an audio signal.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tuner 110 to control the tuner 110 to select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viously 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tuner 110 to inpu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hen,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are processed. The control unit 170 may output the video or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ogether with the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amera or a camcorder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in accordance with the external device video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So that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f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can be outputted.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the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10, the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e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or th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can be controlled.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70 generates a 3D object for a predetermined object amo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and displays the 3D object. For example,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moving images, and text.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Such a 3D object may be processed to have a different depth tha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Preferably, the 3D object may be processed to be projected relative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be grasped. In addition, the x-axis coordinate and the y-axis coordinat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 position can be grasped.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channel signal or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nd extracts an image from an input stream signal to generate a thumbnail image .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directly or encoded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 In addition,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encoded in a stream format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 unit 170 may display a thumbnail list hav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on the display 180 using the input thumbnail image. At this time, the thumbnail list may be displayed in a simple view mod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in a state where a predetermined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in a full viewing mode displayed in most areas of the display 180.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display 180 converts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 control signal, and the like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180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or the like.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is preferable.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The display 180 for viewing three-dimensional images can be divided into an additional display method and a single display method.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안경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18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he single display method can realize a 3D image by the display 180 alone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display, for example, glasses or the like. For example, various methods such as a lenticular method, a parallax barrier, Can be applied.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180) 외에 추가 디스플레이, 즉 3D 영상시청장치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ditional display method can implement a 3D image using an additional display, that is, a 3D image viewing device in addition to the display 180. For example, various methods such as a head mount display (HMD) type and a glasses type can be applied have. In addition, the glasses type can be further divided into a passive type such as a polarizing glasses type and an active type such as a shutter glass type. On the other hand, head-mounted display type can be divided into a passive type and an active type.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3D 영상 시청을 위해, 3D 영상시청장치(195)가 구비된다.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상술한 다양한 타입 중 액티브 방식의 추가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셔터 글래스인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video viewing device 195 is provided for viewing 3D video. It is assumed that the 3D video viewing apparatus 195 is an additional display of the active type among various type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shutter glass will be mainly described.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it as a voice.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된다.In order to detect the gesture of the user, a sensor unit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n opera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ha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not show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7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한편, 센서부는 3D 영상시청장치(195)의 위치 정보도 감지할 수 있으며, 3D 영상시청장치(195)의 위치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등에서 감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or unit may sens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may be detected by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signals, have.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an detect the gesture of the user by combining the images captur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the signals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not shown),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선을 포함하는 발열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to the entir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a control unit 17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display 18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for audio output have.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ncluding the heat ray.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적외선(IR)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use infrared (IR) communication,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Bluetooth, ultra wideband (UWB), or ZigBee. Als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receive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display it or output it by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digital broadcasting of ATSC system (8-VSB system), digital broadcasting of DVB-T system (COFDM system), digital broadcasting of ISDB-T system (BST-OFDM system) And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s. In addition, as a portable type, digital terrestrial DMB broadcasting, satellite DMB broadcasting, ATSC-M / H broadcasting, DVB-H broadcasting (COFDM broadcasting), MediaFoward Link Only And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digital broadcasting and the like. It may also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for cable, satellite communications, or IPTV.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a TV set,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한편,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5는 3D 영상의 포맷 중 프레임 시퀀셜 포맷에 따른 셔터 글래스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3,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hutter glass according to a frame sequential format of a 3D image format.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210), 영상 처리부(220), OSD 생성부(240), 믹서(2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0), 및 포맷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includes a demultiplexing unit 210, an image processing unit 220, an OSD generating unit 240, a mixer 245, a frame rate converting unit 260, (250), and a formatter (260).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역다중화부(2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2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21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when an MPEG-2 TS is input, it can be demultiplexed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210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or the demodulator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영상 처리부(2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may include an image decoder 225 and a scaler 235.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video decoder 225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235 performs scal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180.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video decoder 225 may include a decoder of various standards.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2D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MPEG-2 standard encoded 2D video signal, it can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2D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이거나, MPEC-C part 3 의 깊이(depth) 영상이거나, MVC (Multi-view Video Coding)에 따른 멀티 시점 영상이거나, TV(Free-viewpoint TV)에 따른 자유 시점 영상인 경우, 각각 H.264 디코더, MPEC-C 디코더, MVC 디코더 또는 FTV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2D video signal is a video signal of the H.264 standard according to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cheme or DVB-H, a depth video of MPEC-C part 3 Viewpoint video according to MVC (Multi-view Video Coding) or free-view video according to a TV (Free-viewpoint TV), it is decoded by an H.264 decoder, MPEC-C decoder, MVC decoder or FTV decoder, .

한편, 영상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signal decod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can be divided into a case where there is only a 2D image signal, a case where a 2D image signal and a 3D image signal are mixed, and a case where there is only a 3D image signal.

한편, 영상 처리부(2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2D 영상 신호인지 또는 3D 영상 신호인지 검출할 수 있다. 3D 영상 신호인지 여부는, 튜너(1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외부장치로부터의 외부 입력 신호,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검출될 수 있다. 특히, 3D 영상 신호인지 여부는, 3D 영상임을 나타내는, 스트림의 헤더(header) 내의 3D 영상 플래그(flag) 또는 3D 영상 메타 데이터(meta data) 또는 3D 영상의 포맷 정보(format information) 등을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can detect whether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is a 2D image signal or a 3D image signal. Whether or not the 3D video signal is a 3D video signal can be detected based on a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tuner 110, an external input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or an external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a network. In particular, whether the 3D image signal is a 3D image signal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a 3D image flag, 3D image meta data, or format information of a 3D image in a header of a stream, It can be judged.

한편, 영상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다양한 포맷의 3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으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시점 영상 신호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 등일 수 있다. 복수 시점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mage signal decod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may be a 3D image signal of various formats. For example, a 3D image signal composed of a color image and a depth image, or a 3D image signal composed of a plurality of view image signals. The plurality of viewpoint image signals may include, for example, a left eye image signal and a right eye image signal.

여기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은,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좌,우로 배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시분할로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상,하로 배치하는 탑 다운(Top / Down)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라인 별로 혼합하는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박스 별로 혼합하는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일 수 있다.Here, the format of the 3D video signal is a side-by-side format in which the left-eye video signal L and the right-eye video signal R are arranged left and right, a frame sequential format in which the right- An interlaced format in which a left eye image signal and a right eye image signal are mixed line by line, a checker box in which a left eye image signal and a right eye image signal are mixed box by box, Format, and the like.

OSD 생성부(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SD generation unit 240 generates an OSD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by itself. For example,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a signal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in a graphic or text form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80 can be generated.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various menu screens, a widget, and an icon. In addition,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a 2D object or a 3D object.

믹서(245)는, OSD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0)에 제공된다.The mixer 245 may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240 and the decoded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220. At this time, the OSD signal and the decoded video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2D signal and a 3D signal. The mixed video signal is supplied to a frame rate converter 2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2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A frame rate converter (FRC) 250 converts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a frame rate of 60 Hz is converted to 120 Hz or 240 Hz. When converting the frame rate of 60 Hz to 12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same first fram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r insert the third frame predicted from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n converting a frame rate of 60 Hz to 24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ree more identical frames or insert three predicted frames.

포맷터(Formatter)(260)는, 믹서(2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The formatter 260 receives the mixed signal, that is, the OSD signal and the decoded video signal in the mixer 245, and separates the 2D video signal and the 3D video signal.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3D 영상 신호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오브젝트의 예로는 PIP(picuture in picture)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EPG,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텍스트, 영상 내의 사물, 인물, 배경, 웹 화면(신문, 잡지 등) 등이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3D video signal includes a 3D object. Examples of the 3D object include a picuture in picture (PIP) image (still image or moving picture), an EPG indicating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various menus, widgets, Icons, texts, objects in images, people, backgrounds, web screens (newspapers, magazines, etc.).

한편, 포맷터(2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다양한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 중 프레임 시퀀셜 포맷으로 변경하는 것을 예로 한다. 즉,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순차적으로 교호하게 정렬한다. 이에 따라, 도 3의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셔터 글래스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ormatter 260 can change the format of the 3D video signal. For example, it may be changed to any of the various formats illustrated in FIG.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frame sequential format is changed from the format of the 3D video signal. That is, the left eye image signal L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R are alternately arranged in order.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of FIG. 3 is a shutter glass.

도 5는 셔터 글래스(195)와 프레임 시퀀셜 포맷 사이의 동작 관계를 설명한다. 도 5(a)는 디스플레이(180)에 좌안 영상(L)이 표시된 경우, 셔터 글래스(195)의 좌안 글래스부가 개방, 우안 글래스부가 닫히는 것을 예시하며, 도 5(b)는, 셔터 글래스(195)의 좌안 글래스부가 닫히고, 우안 글래스부가 개방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화되어 셔터 글래스(195)의 좌우안 글래스부가 개폐 동작된다.5 illustrates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hutter glass 195 and the frame sequential format. 5A illustrates that the left eye glass portion of the shutter glass 195 closes and the right eye glass portion is closed when the left eye image 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FIG. ) Is closed, and the right eye glass part is opened. That is,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 portions of the shutter glass 195 are opened and clos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셔터 글래스(195)와 각종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and signals to and from the shutter glass 195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한편, 포맷터(2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ormatter 260 may convert a 2D video signal into a 3D video signal. For example, according to a 3D image generation algorithm, an edge or a selectable object is detected in a 2D image signal, and an object or a selectable object according to the detected edge is separated into a 3D image signal and is generated . At this time, the generated 3D image signal can be separated into the left eye image signal L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R as described above.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can perform the audio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audio signal. To this end,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various decoders.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돌비(Dolby) AC-3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 coded speech signal, it can be decoded. Specifically, when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n MPEG-2 standard encoded speech signal, it can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In addition, if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 coded voice signal of the MPEG 4 BSAC (Bit Sliced Arithmetic Coding) standard according to a terrestrial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cheme, it can be decoded by an MPEG 4 decoder. Also, if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n encoded audio signal of the AAC (Advanced Audio Codec) standard of MPEG 2 according to the satellite DMB scheme or DVB-H, it can be decoded by the AAC decoder. If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 Dolby AC-3 standard encoded audio signal, it can be decoded by an AC-3 decoder.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can process a base, a treble, a volume control, and the like.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can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 coded data signal, it can be decoded.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on each channel. For example, the EPG information may be ATSC-PSIP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TSC scheme and DVB-Service Information (DVB-SI) information in case of the DVB scheme . The ATSC-PSIP information or DVB-SI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stream, i.e., the header (4 bytes) of the MPEG-2 TS.

한편, 도 4에서는 OSD 생성부(240)와 영상 처리부(2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2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2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 처리부(220)의 출력을 포맷터(260)에서 3D 처리하고, OSD 생성부(240)는 OSD 생성과 함께 3D 처리를 수행한 후, 믹서(245)에서 각각의 처리된 3D 신호를 믹싱하는 것도 가능하다.4 shows that the signals from the OSD generating unit 240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are mixed in the mixer 245 and then 3D processed in the formatter 260. However, May be located behind the formatter. That is, the output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is 3D-processed by the formatter 260. The OSD generating unit 240 performs the 3D processing together with the OSD generation, and then the 3D signals processed by the mixer 245 are mixed It is also possible to do.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170 shown in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can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control unit 170 actually implemented.

특히,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0)과 포맷터(2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0)가 포맷터(260)에 포함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some embodiments, the frame rate converter 250 and the formatter 260 are not provided in the controller 170, but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some embodiments, the frame rate converter 250 may include a frame rate converter 250, (260).

도 6은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D 영상신호 포맷은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배치하는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3D video signal format capable of implementing 3D video. The 3D image signal forma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method of arrang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generated to implement the 3D image.

3D 영상은 복수시점 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시점 영상을 좌안과 우안을 통하여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좌안과 우안을 통하여 감지되는 영상의 차이를 통하여 3D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시점 영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좌안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좌안 영상 및 우안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우안 영상으로 이루어진다.The 3D image may be a multiple view image. The user can view the multiple view image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The user can feel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3D image through the difference of the images detected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 multi-view image for implementing a 3D image is composed of a left eye image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rough the left eye and a right eye image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right ey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좌,우로 배치되는 방식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이라 지칭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상,하로 배치하는 방식은 탑 다운(Top / Down) 포맷이라 칭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로 배치하는 방식은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이라 칭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라인 별로 혼합하는 방식을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이라 칭한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박스별로 혼합하는 방식을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이라 칭한다. As shown in FIG. 6A, the manner in which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arranged left and right is referred to as a side by side format. As shown in FIG. 6B, a method of arrang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up and down is referred to as a top / down format. As shown in FIG. 6C, a method of arrang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a time-division manner is called a frame sequential format. As shown in FIG. 6D, a method of mix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line by line is referred to as an interlaced format. As shown in FIG. 6E, a method of mix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by box is called a Checker Box format.

외부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가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영상신호일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 관련 정보를 나타내거나 영상표시장치(100) 관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생성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영상신호는 3D 영상신호일 수 있다. 포맷터(260)는 외부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3D 영상신호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3D 영상신호를 믹싱하여 디스플레이(180)로 출력할 수 있다.A video signal included in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a 3D image signal capable of implementing a 3D image. In additi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video signal generated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to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a 3D video signal. The formatter 260 may mix the 3D image signal included in th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nd the graphic user interface 3D image signal, and output the mixed image to the display 18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3D 오브젝트의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한다. 도 7은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방식의 스케일링을 예시한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scaling methods of a 3D imag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 5 for scaling or tilting the 3D object. Figure 7 illustrates scaling of various schemes of 3D video signals.

도 7의 (a)와 같이, 3D 영상 신호 또는 3D 영상 신호 내의 3D 오브젝트(510)를 일정 비율로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513)할 수 있으며, 또한 도 7의 (b)와 같이, 3D 오브젝트를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사다리꼴 형상, 516)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의 (c)와 같이, 3D 오브젝트를 적어도 일부를 회전(평행 사변형 형상, 519)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스케일링(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을 통해, 3D 영상 신호 또는 3D 영상 신호 내의 3D 오브젝트에 입체감 즉, 3D 효과(3-dimensional effect)를 강조할 수 있게 된다.The 3D object 510 in the 3D image signal or the 3D image signal can be enlarged or reduced 513 as a whole at a certain rate as shown in FIG. 7 (a), and as shown in FIG. 7 (b) It may be partially enlarged or reduced (trapezoidal shape, 516). 7 (c), at least a part of the 3D object may be rotated (parallelogram shape 519). This scaling (size adjustment) or tilt adjustment can emphasize the 3D effect, i.e., the 3D effect, on the 3D object in the 3D image signal or the 3D image signal.

상술한 바와 같이, 기울기(slope)를 증가시키는 것은, 도 7의 (b)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416)의 평행한 양변의 길이 차가 커지거나, 도 7의 (c)와 같이, 회전각이 더 커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crease in the slope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parallel sides of the trapezoidal shape 416 increases as shown in Fig. 7B, It can mean bigger.

여기서 3D 영상신호의 스케일 조정은 앞서 설명한 제어부(170)의 포맷터(2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3D 영상신호는 좌안 영상신호, 우안 영상신호 또는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가 합쳐진 신호일 수 있다.Here, the scale adjustment of the 3D image signal may be performed by the formatter 260 of the control unit 170 described above. The 3D image signal of FIG. 7 may be a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a left eye image signal, a right eye image signal, or a left eye image signal and a right eye image signal.

포맷터(260)는,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2D 영상신호 또는 3D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3D 영상신호를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로 다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를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예들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스케일링하여, 도 6와 같은 소정 포맷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스케일링은 출력 포맷이 형성되기 전 또는 그 후에 수행될 수 있다. The formatter 260 receives the decoded video signal, separates the 2D video signal or the 3D video signal, and separates the 3D video signal into the left eye video signal and the right eye video signal again. The left eye image signal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may be scaled into one or more of various examples shown in FIG. 7 and output in a predetermined format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scaling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output format is formed.

또한 포맷터(260)는, OSD 생성부(174)의 OSD 신호 또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와 믹싱된 OSD 신호를 입력받아, 3D 영상신호를 분리하고, 3D 영상신호를 복수 시점 영상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신호는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는 도 7과 같이 스케일링 처리되어 도 6에 도시된 소정 포맷으로 출력될 수 있다.The formatter 260 receives the OSD signal of the OSD generating unit 174 or the OSD signal mixed with the decoded video signal, separates the 3D video signal, and separates the 3D video signal into a plurality of viewpoint video signals . For example, the 3D image signal may be separated into a left eye image signal and a right eye image signal, and the separated left eye image signal and right eye image signal may be scaled as shown in FIG. 7 and output in a predetermined format shown in FIG. 6 .

한편 OSD 생성부(240)가 OSD 출력에 관하여 상술한 스케일링 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OSD 생성부(240)가 OSD에 대한 스케일링을 직접 수행하는 경우에는, 포맷터(260)는 OSD에 대한 스케일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OSD 생성부(240)는 OSD 신호를 생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OSD의 깊이나 기울기에 따라 OSD 신호를 스케일링하고, 더 나아가 적합한 포맷으로 OSD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OSD 생성부(240)에서 출력되는 OSD 신호의 포맷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 또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다양한 결합 포맷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출력 포맷은 포맷터(260)의 출력 포맷과 동일하게 된다.Meanwhile, the OSD generation unit 240 can directly perform the above-described scaling process with respect to the OSD output. When the OSD generating unit 240 directly performs scaling on the OSD, the formatter 260 does not need to perform scaling on the OSD. In this case, the OSD generating unit 240 not only generates the OSD signal, but scales the OSD signal according to the depth or inclination of the OSD, and further outputs the OSD signal in a suitable format. The format of the OSD signal output from the OSD generating unit 240 may be any one of various formats of the left eye image signal, the right eye image signal, or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output format is the same as the output format of the formatter 26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showing a variation in depth of a 3D image or a 3D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영상은 다시점 영상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다시점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에 의해 사용자 입장에서 상이 맺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모습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 또는 시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느껴지는 영상의 입체감 또는 원근감을 설명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3D image is composed of multi-view images, and the multi-view image can be exemplified as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n this case, FIG. 8 shows a situation in which the positions recognized as images by the user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Referring to FIG. 8, the three-dimensional sensation or the perspective sensation of the image to be fel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interval or parallax betwe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will be described.

도 8에서는 각기 다른 깊이감을 가지는 복수의 영상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도시된다. 이들 오브젝트를 제1 오브젝트(615), 제2 오브젝트(625), 제3 오브젝트(635), 제4 오브젝트(645)라 지칭하도록 한다. In Fig. 8, a plurality of images or a plurality of objects having different depths are shown. These objects are referred to as a first object 615, a second object 625, a third object 635, and a fourth object 645.

즉, 제1 오브젝트(615)는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좌안 영상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다. 즉,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는 제1 좌안 영상신호와 제1 우안 영상신호로 구성된다. 도 8은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좌안 영상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의 어느 위치에 표시되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도 8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제1 좌안 영상과 제1 우안 영상 간의 간격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오브젝트의 설명은 제2 내지 제4 오브젝트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오브젝트를 위해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그리고 두 영상 간에 설정된 간격 및 해당 오브젝트의 일련번호를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at is, the first object 615 is composed of a first left eye image based on the first left eye image signal and a first right eye image based on the first right eye image signal. That is, the video signal for displaying the first object is composed of the first left eye image signal and the first right eye image signal. 8 show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180 on which the first left eye image based on the first left eye image signal and the first right eye image based on the first right eye image signal are displayed. 8 shows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left-eye image and the first right-ey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FIG.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object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to fourth object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for one object, the interval set between the two images, and the serial number of th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unison.

제1 오브젝트(615)는 제1 우안 영상(613, 도 8에 R1으로 표시됨)과 제1 좌안 영상(611, 도 8에 L1으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제1 우안 영상(613)과 제1 좌안 영상(611) 사이의 간격은 d1으로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1 좌안 영상(61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603)과 제1 우안 영상(60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오브젝트(615)가 디스플레이(180)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처럼 인식한다.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디스플레이(180)와 제1 오브젝트(615) 사이의 거리는 깊이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80)보다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3D 오브젝트가 가지는 깊이는 음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오브젝트(615)가 가지는 깊이는 음의 값을 가진다. The first object 615 is composed of a first right eye image 613 (indicated by R1 in Fig. 8) and a first left eye image 611 (indicated by L1 in Fig. 8).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right eye image 613 and the first left eye image 611 is set to d1. The user recognizes that an image is formed at an intersection of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left eye 601 and the first left eye image 611 and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right eye 603 and the first right eye image 603. Accordingly,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first object 615 is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180.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180 and the first object 615, which is perceived by the user, can be expressed as a dept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pth of the 3D object recognized by the user, which is located behind the display 180, has a negative value (-). Therefore, the depth of the first object 615 has a negative value.

제2 오브젝트(625)는 제2 우안 영상(623, R2로 표시됨)과 제2 좌안 영상(621, L2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우안 영상(623)과 제2 좌안 영상(621)은 디스플레이(180)에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된다. 제2 우안 영상(623)과 제2 좌안 영상(621) 사이의 간격은 0이다.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2 좌안 영상(62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사용자의 우안(603)과 제2 우안 영상(62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62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것처럼 인식한다. 이 경우 제2 오브젝트(625)는 2D 오브젝트라 지칭될 수 있으며, 3D 오브젝트라 지칭될 수 있다. 제2 오브젝트(625)는 디스플레이(180)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오브젝트로서, 제2 오브젝트(625)가 가지는 깊이는 0이 된다. The second object 625 is composed of a second right eye image 623 (represented by R2) and a second left eye image 621 (represented by L2). The second right-eye image 623 and the second left-eye image 621 are display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display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right eye image 623 and the second left eye image 621 is zero. The user recognizes that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left eye 601 and the second left eye image 621 and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right eye 603 of the user and the second right eye image 623 intersect with each other. Thus, the user recognizes the second object 625 as if it wer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In this case, the second object 625 may be referred to as a 2D object and may be referred to as a 3D object. The second object 625 is an object having the same depth as the display 180, and the depth of the second object 625 is zero.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는 디스플레이(180)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3D 오브젝트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들이다. 더 나아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원근감이나 입체감의 정도가 달라짐을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The third object 635 and the fourth object 645 are examples for explaining 3D objects recognized as being projected and positioned toward the user on the display 180.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xplain that the degree of perspective or stereoscopic feeling perceived by the user varies with the change in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with reference to examples of the third object 635 and the fourth object 645.

제3 오브젝트(635)는 제3 우안 영상(633, R3로 표시됨)과 제3 좌안 영상(631, L3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제3 우안 영상(633)과 제3 좌안 영상(631) 사이의 간격은 d3으로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3 좌안 영상(63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603)과 제3 우안 영상(633)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 오브젝트(625)가 디스플레이(180)보다 앞쪽, 즉 사용자에게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한다. 즉 제3 오브젝트(635)는 디스플레이(180)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80)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3D 오브젝트가 가지는 깊이는 양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제3 오브젝트(635)의 깊이는 양의 값을 가진다. The third object 635 is composed of a third right eye image 633 (represented by R3) and a third left eye image (represented by 631 and L3).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third right eye image 633 and the third left eye image 631 is set to d3. The user recognizes that an image is formed at an intersection of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left eye 601 and the third left eye image 631 and an extension line of the right eye 603 and the third right eye image 633. Accordingly,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third object 625 is positioned ahead of the display 180, i.e., nearer to the user. That is, the third object 635 is recognized by the user as if the third object 635 is projected from the display 180 toward the user. In this embodiment, the depth of the 3D object recognized by the user as being located ahead of the display 180 has a positive value (+). Thus, the depth of the third object 635 has a positive value.

제4 오브젝트(645)는 제4 우안 영상(643, R4로 표시됨)과 제4 좌안 영상(641, L4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제4 우안 영상(643)과 제4 좌안 영상(641) 사이의 간격은 d4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d3와 d4 간에는 'd3<d4'의 부등식이 성립된다.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4 좌안 영상(64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603)과 제4 우안 영상(643)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4 오브젝트(645)는 디스플레이(180)보다 앞쪽, 즉 사용자에게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것은 물론, 제3 오브젝트(635)보다도 사용자에게 더 가깝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즉 제4 오브젝트(645)는 디스플레이(180) 및 제3오브젝트(635)보다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제4 오브젝트(645)가 가지는 깊이 양의 값을 가지게 된다. The fourth object 645 is composed of a fourth right eye image 643 (represented by R4) and a fourth left eye image (represented by 641 and L4).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fourth right eye image 643 and the fourth left eye image 641 is set to d4. Here, an inequality of 'd3 <d4' is established between d3 and d4. The user recognizes that an image is formed at an intersection of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left eye 601 and the fourth left eye image 641 and an extension line of the right eye 603 and the fourth right eye image 643. Accordingly,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fourth object 645 is positioned closer to the user than the third object 635, as well as located in front of the display 180, i.e., closer to the user. That is, the fourth object 645 is perceived by the user as if it is projected toward the user than the display 180 and the third object 635. The fourth object 645 has a depth amount value.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거나 앞에 위치하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오브젝트의 깊이감을 조절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ontrols the positions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so that the user is recognized or positioned as if the object composed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re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180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ntrol the depth sense of the object composed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by adjusting the display intervals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즉 도 8을 참조한 설명에 따르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좌우 표시위치에 따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오브젝트의 깊이가 양의 값(+)을 가지는지 혹은 음의 값(-)을 가지는지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깊이가 양의 값(+)을 가지는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보다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이다. 또한, 깊이가 음의 값(-)을 가지는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보다 후퇴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이다. That i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pth of an object composed of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has a positive value or a negative value (-)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display positions of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having a positive value (+) in depth is an object recognized by the user as if it is projected from the display 180. Also, an object whose depth has a negative value (-) is an object that is recognized by the user as if it were located behind the display 180.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의 절대값에 따라 오브젝트의 깊이감, 즉 3D 영상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지점과 디스플레이(18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짐을 설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t is explained that the depth of the object,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at which the user is perceived as the 3D image is located, and the display 180 varies according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깊이감이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에 따라 동일한 영상 또는 동일한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80)의 깊이는 0으로 설정한다. 디스플레이(180)보다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영상의 깊이는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한다.9 is a view illustrating a manner in which a depth of a video image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the depth of the same image or the same 3D object changes depending on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image 701 and the right eye image 702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In this embodiment, the depth of the display 180 is set to zero. The depth of the image recognized as being projected from the display 180 is set to have a positive value.

도 9의 (a)에 도시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은 a이다. 도 9의 (b)에 도시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은 b이다. 여기서 a보다 b가 크다. 즉, 도 9의 (a)에 도시된 예보다 도 9의 (b)에 도시된 예에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이 더 넓다. An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image 701 and the right eye image 702 shown in FIG. 9A is a.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image 701 and the right eye image 702 shown in (b) of FIG. 9 is b. Where b is greater than a. That is,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image 701 and the right eye image 70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b) is wider than the example shown in FIG. 9 (a).

이 경우,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의 (a)에 도시된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보다 도 9의 (b)에 도시된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더 크다. 각각의 경우 깊이감을 수치화하고, 이를 각각 a', b'라 표시하는 경우, a<b의 관계에 따라 a'<b'의 관계도 성립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돌출되어 보이는 3D 영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힘에 따라, 표현되는 깊이감이 더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depth feeling of the 3D image or 3D object shown in Fig. 9 (b) is greater than the depth feeling of the 3D image or 3D object shown in Fig. 9 . In each case, when the depth sense is expressed numerically and denoted by a 'and b', respective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relationship of a '<b' is also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relation of a <b. That is, when it is desired to implement a 3D image which is seen as a protruding, the depth feeling expressed by the widening or narrowing of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image 701 and the right eye image 702 may become larger or smaller.

도 10은 3D 영상시청장치를 위한 신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더욱 자세히는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화 정보를 가지는 동기 신호와 동기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생성된 3D 영상시청장치(195)의 구동신호의 일예를 도시한다.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gnal for a 3D video viewing apparatus. An example of a driving signal of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generated based on a synchronizing signal and a synchronizing signal hav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n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display device is shown in more detail.

도 10은 정상적으로 동기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동기신호와 구동신호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0 shows an example of a synchronizing signal and a driving signal when a synchronizing signal is normally received.

도 10(a)를 살펴보면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화 정보를 가지는 동기 신호가 일정한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동기신호가 간섭이나 노이즈 없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기 때문에 도 10(b)와 같이 좌,우안 글래스부의 구동신호도 정상적으로 정확히 생성된다. L로 표시된 영역에서는 좌안 글래스부가 개방되고, R로 표시된 영역에서는 우안 글래스부가 개방된다.Referring to FIG. 10 (a),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may receive a synchronization signal having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n an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t a predetermined period. Since the synchronizing signal is normally received without interference or noise, the driving signals of the left and right eyeglass portions are normally generated normally as shown in Fig. 10 (b). In the region indicated by L, the left eye glass portion is opened, and in the region indicated by R, the right eye glass portion is open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영상시청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1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3D video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시청장치, 셔터 글래스는 좌,우안 글래스부(830), 영상표시장치로부터 동기 신호와 구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810),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거나, 수신된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좌,우안 글래스부(83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3D image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ft and right eyeglass unit 830, an interface unit 810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synchronizing signal and a driving signal from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820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left and right eyeglass unit 830 based on the received driving signal.

인터페이스부(810)는 영상표시장치나 멀티비전 제어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820)는 수신된 신호를 좌,우안 글래스부(830)로 출력하거나,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좌안 글래스부(831) 및 우안 글래스부(832)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로 변환, 생성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81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or the multivision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820 outpu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left and right eyeglass unit 830 or,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Can be converted into a driv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lens unit 831 and the right eye glass unit 832. FIG.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신호 처리를 위한 먹스(Mux), 각종 신호의 주기,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주파수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최종적으로 좌,우안 글래스부(830)의 온(on), 오프(off), 즉 개방, 폐쇄 동작이 수행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may further include a mux for signal processing, and a frequency converter for varying the frequency and period of various signals. The left and right eyeglass portions 830 are finally turned on and off, that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s.

영상표시장치는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순차적으로 교호하게 정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좌안 영상(L)이 표시된 경우, 좌안 글래스부(831)는 개방되고, 우안 글래스부(832)는 닫힌다. 우안 영상(R)이 표시된 경우, 좌안 글래스부(831)가 닫히고, 우안 글래스부(832)가 개방된다. 즉, 좌,우안 글래스부(830)의 개폐 동작은 영상표시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에 동기화될 수 있다.When the left eye image 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80, the left eye image signal L and the right eye image signal R can b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right eye glass portion 832 is closed. When the right eye image R is displayed, the left eye glass portion 831 is closed and the right eye glass portion 832 is opened.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left and right eyeglass portions 830 can be synchronized with the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한편, 상기 동기 신호는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동기화된 신호일 수 있다. 수직동기신호(Vsync),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좌우 시점 영상에 동기화된 신호 또는 송신에 더욱 효율적이도록 변형된 신호일 수 있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may be a signal synchronized with an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left and right view images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or a signal modified to be more efficient in transmission.

도 12는 3D 멀티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a 3D multi-vision system.

여러 대의 액티브(Active) 방식, 예를 들어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es)를 이용하는 3D 영상표시장치로 3D 멀티비젼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여러 대의 적외선 송신부(IR Emitter)로부터 여러 개의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3D multi-vision system using a plurality of active (3D) image display devices using, for example, shutter glasses, a plurality of synchronization signals are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IR transmitters (IR emitters) Lt; / RTI &gt;

액티브(Active) 방식의 경우 통상적으로 3D 영상표시장치 예를 들어 3D TV와 3D 영상시청장치(195)가 일대일 방식의 적외선 IR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는, 시청자수를 n이라고 할 때 1:n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In the case of the active system, a 3D imag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a 3D TV and a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transmit / receive a one-to-one type infrared IR signal. Alternatively, when the number of viewers is n, a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in 1: n manner.

3D 영상시청장치(195)는 다수의 적외선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4대의 3D 영상표시장치로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다수의 3D 영상표시장치에서 4개의 적외선 동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may receive a plurality of infrared synchronization signals and cause malfunctions. As shown in FIG. 12, when a multi-vision system is configured with four 3D image display devices, four infrared image signals are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3D image display devices.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유입된 노이즈 성분 또는 4개의 동기 신호를 전부 유효한 동기신호로 판단하여 부정확한 구동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에 대하여 좌안 영상이 표시되는 구간에 우안 글래스부가 개방되거나, 너무 잦은 개폐 동작으로 인하여 3D 영상을 원활하게 시청할 수 없게 된다.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may determine that the input noise component or the four synchronizing signals are all valid synchronizing signals, and an incorrect driving signal may be generated. Accordingly, the user can not smoothly view the 3D image due to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right eye glass in the section where the left eye image is displayed for at least one image display device or the frequent opening / closing operation.

3D 영상시청장치는 4개의 동기 신호에 대응하여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좌안 글래스부와 우안 글래스부의 개폐 동작을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 영상표시장치에는 좌안 영상 프레임이 표시되고 있는데 다른 영상표시장치는 우안 영상 프레임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고, 3D 영상시청장치는 우안 영상 프레임으로 전환되는 영상표시장치에 동기화되어 우안 글래스부를 개방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영상표시장치는 좌안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3D 영상을 원활히 시청할 수 없다. 또는, 영상의 전환은 정확히 일치하더라도 동기 신호가 전송 환경, 노이즈 유입 여부에 따라 불일치하는 경우에도 구동 신호가 잘못생성되어 3D 영상을 원활히 시청할 수 없다.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generates driving signal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eft eye glass unit and the right eye glass unit, which perform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four synchronizing signals. For example, one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s a left eye image frame, and another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switched to a right eye image frame and displayed.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synchronizes wit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switched to the right eye image frame, The glass portion can be opened. However, since the other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s the left eye image frame, the 3D image can not be smoothly viewed. Alternatively, even if the switching of the image is exactly matched, the driving signal is erroneously generated even when the synchronous signal is inconsistent with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or noise input, and the 3D image can not be smoothly watched.

도 13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3 to 16 are views referred to explain a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3D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와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3D 영상시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a 3D image and a 3D image viewing device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And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display a plurality of view image constituting the 3D image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도 13과 같이, 시청자의 3D 영상시청장치(195)에서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로 송신하여 다수의 3D 영상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영상표시장치의 동기 신호에 따라 글래스부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3D 영상시청장치의 동기 신호를 기초로 영상표시장치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a synchronizing signal may be generated in the viewer's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and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to synchronize a plurality of 3D images. That i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an display an image on the basis of the synchronizing signal of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instead of per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glass unit according to the synchronizing signals of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한편,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개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can generate a driving signal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can open and close the left eye glass unit and the right eye glass unit.

한편,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상기 동기 신호를 IR 적외선 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can transmit the synchronization signal as an IR infrared signal.

한편,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와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자세히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3D 영상시청장치의 인터페이스부(810)는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만으로 구성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부도 포함한다.Meanwhile,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may include a synchronous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synchronous signal and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ynchronous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interface unit 810 of the 3D video viewing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includes only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ignals and data, but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in the present embodiment.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동기 신호 생성부가 멀티비전 제어부(10)에 포함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기 신호 생성부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B,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is included in 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and in some embodiments,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동기 신호 생성부가 3D 영상시청장치(195)에 포함되고, 3D 영상시청장치(195)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들로 전송된다.13,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unit is included in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in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is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constituting the multivision system.

또한,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는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고, 3D 영상시청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부는 별도로 구비되거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 및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데이터 및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나누어질 수 있고, 수신부는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signals, and the interface unit for the 3D video viewing device may be separately provided, or may be included in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a user input interface unit. Meanwhile, the interface unit can be divided into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data and signals,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and signals, and the receiving unit can receive the synchronization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도 1a, 도 1b, 및 도 14와 같이, 3D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포함하는 3D 영상시청장치,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와 상기 동기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A, 1B, and 14, the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3D images, a 3D image viewing device including a left eye glass part and a right eye glass part,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and the 3D video viewing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constitute a 3D video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View-point image is displayed.

즉, 복수의 영상표시장치와 3D 영상시청장치와 별도로 동기 신호 발생부(13)와 동기 신호을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영상표시장치와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한다.That i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ynchronizing signal generating section 13 and the transmitting section for transmitting the synchronizing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and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es.

한편, 상기 송신부는 상기 동기 신호를 IR 적외선 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ansmission unit may transmit the synchronization signal as an IR infrared signal.

한편,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개폐할 수 있고,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can generate a driving signal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can open and close the left eye glass unit and the right eye glass unit, and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can receive the synchronization signal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도 15와 같이,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마스터(master) 영상표시장치(100e),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slave) 영상표시장치(100f),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개폐하는 3D 영상시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 a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ter image display device 100e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a slave image display device 100f fo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3D image viewing device fo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opening and closing the left eye glass part and the right eye glass part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wherein the master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slave image display device View image constituting the 3D image is displayed.

즉,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중 어느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e)가 마스터(Master)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100e constituting the multivision system may be set to perform a master function.

따라서, 마스터(Master)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는 멀티비전 제어부(10)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슬레이브(slave) 영상표시장치로 제어신호 및 동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master function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and can output the control signal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other slave image display device.

또한, 도 1b의 멀티비전 제어부(10) 내에 포함되는 동기신호 생성부(13), 인터페이스부(15), 센서부(17)는 별도로 개별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 및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데이터 및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로 나누어 구비될 수 있다.The synchronizing signal generating unit 13, the interface unit 15 and the sensor unit 17 included in the multivision control unit 10 of FIG. 1B may be separately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es , And may be included in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For example, an interface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signals to and from another video display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Meanwhile, the interface unit may be divided into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data and signals,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and signals.

또한, 상기 마스터(master)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IR 신호로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슬레이브(slave)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ster image display apparatus may transmit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as an IR signal, and the slave image display apparatus may include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

또한, 상기 마스터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Also, the master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slav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connected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한편,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개폐할 수 있고, 3D 영상시청장치(195)는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can generate a driving signal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can open and close the left eye glass unit and the right eye glass unit, and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can receive the synchronization signal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은 도 16과 같이, 3D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포함하는 3D 영상시청장치,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중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의 동기 신호를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6, the multi-vi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3D image view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a left eye glass unit and a right eye glass unit for displaying 3D image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of one of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to be transmitted to the 3D video viewing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3D video viewing device.

이 경우에, 3D 영상시청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동기화되는 영상표시장치가 핸드오프(Hand-off) 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3D video viewing apparatus moves, the video display apparatus automatically synchronized can be handed off.

한편,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와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may include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영상표시장치의 동기 신호를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영상표시장치의 동기 신호 전송이 가장 빠르고 전송 과정에서의 노이즈 유입 가능성이 가장 작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located closest to the 3D image viewing device to be transmitted to the 3D image viewing device. The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located at the nearest distance is the fastest and the possibility of the noise input in the transmission process is the smallest.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별로 전송 영역(z1, z2, z3, z4)을 설정하고, 감지된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의 위치를 포함하는 전송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기 신호를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송 영역(z1, z2, z3, z4)은 너무 넓어 간섭을 일으키거나, 너무 좁아 신호 수신이 단절되지 않도록 조정한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may set the transmission areas (z1, z2, z3, z4)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and output the synchronizing signa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area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3D video- To the 3D video viewing apparatus.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areas (z1, z2, z3, z4) are too wide to cause interference or too narrow to prevent signal reception from being disconnected.

한편, 센서부는 3D 영상시청장치(195)의 위치 정보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or unit may also detec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and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camera.

한편, 3D 영상시청장치(195)의 위치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등에서 감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195 may be sensed by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6은 도 13 내지 도 15의 매트릭스 형태로 영상표시장치가 배열된 멀티비전 시스템에 적용한 실시예들이 복수의 영상표시장치가 일렬로 배열되는 멀티비전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FIG. 16 shows that the embodiments applied to the multi-vision system in which the image display apparatuses are arranged in the matrix form of FIGS. 13 to 15 can be applied to the multi-vis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are arranged in a line.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멀티비전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멀티비전 시스템에 구비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들과 3D 영상시청장치의 신호 간섭 및 노이즈 영향을 방지할 수 있어, 3D 영상을 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시청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vision system capable of viewing a 3D image us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ignal interference and noise from a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and a 3D video view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multivision system, thereby enabling a 3D video to be viewed more accurately and easily.

본 발명에 따른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ultivision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멀티비전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ultivi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i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a video display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3D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3D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로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3D 영상시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3D images; And
And a 3D image view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displaying the 3D image and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display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constituting a 3D image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opens and closes the left eye glass unit and the right eye glass unit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IR 신호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3D video viewing apparatus transmits the synchronization signal as an IR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와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3D video viewing apparatus comprises: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include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멀티비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영상표시장치로 송신하는 마스터(master) 영상표시장치;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slave)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개폐하는 3D 영상시청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3D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A master imag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ynchronization signal to another image display device constituting the multivision system;
A slave image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d a 3D image viewing apparatus fo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opening and closing the left eye glass unit and the right eye glass unit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Wherein the master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slave image display device display a plurality of view image constituting a 3D image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master)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IR 신호로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aster video display device transmits the synchronization signal as an IR signal to the 3D video viewing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영상표시장치는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aster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slave video display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wired / wireless network.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3D video viewing apparatus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slave)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slav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3D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좌안 글래스부 및 우안 글래스부를 포함하는 3D 영상시청장치;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중 하나의 영상표시장치의 동기 신호를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3D 영상시청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에 동기화되는 영상표시장치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3D images;
A 3D image viewing device including a left eye glass part and a right eye glass part;
A sensor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3D image viewing apparatus;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of one of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to be transmitted to the 3D video viewing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3D video viewing device,
Wherein the image display device synchronized with the 3D image viewing device is automatically changed when the 3D image viewing device mov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영상표시장치의 동기 신호를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transmit a synchronization signal of an image display device located closest to the 3D image viewing device to the 3D image viewing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 별로 전송 영역을 설정하고, 감지된 상기 3D 영상시청장치의 위치를 포함하는 전송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기 신호를 상기 3D 영상시청장치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ntrol unit sets a transmission are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video display devices and controls the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area including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3D video viewing device to be transmitted to the 3D video viewing device Wherein the multi-vision system compris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nsor unit comprises a camera.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와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비전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apparatuses include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KR1020100072996A 2010-07-28 2010-07-28 Multi vision system KR1016918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96A KR101691801B1 (en) 2010-07-28 2010-07-28 Multi vi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96A KR101691801B1 (en) 2010-07-28 2010-07-28 Multi vis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251A KR20120011251A (en) 2012-02-07
KR101691801B1 true KR101691801B1 (en) 2017-01-02

Family

ID=4583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996A KR101691801B1 (en) 2010-07-28 2010-07-28 Multi vi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801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534A (en) * 1993-01-20 1994-08-05 Hitachi Ltd Multi-screen display device
JPH07240945A (en) * 1994-02-25 1995-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rtual space generating and presenting device
JPH11164323A (en) * 1997-11-27 1999-06-18 Toshiba Tec Corp Multi-visual-point image confirming method and its system
KR20100075068A (en) *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251A (en) 201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3954B2 (en) Image display device, viewing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8896672B2 (e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an item or user interfa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54456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797390B2 (en) Image display device, 3D view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40790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349276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110221747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191651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1702949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US2013029101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0869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0424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99740B1 (en) Image Display Device of 2D/3D convertible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91801B1 (en) Multi vision system
US2012026846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0323B1 (en) Apparatus for viewing imag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62428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3853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57564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736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16144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30423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134087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34836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11641A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