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786B1 -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786B1
KR101690786B1 KR1020100036108A KR20100036108A KR101690786B1 KR 101690786 B1 KR101690786 B1 KR 101690786B1 KR 1020100036108 A KR1020100036108 A KR 1020100036108A KR 20100036108 A KR20100036108 A KR 20100036108A KR 101690786 B1 KR101690786 B1 KR 10169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displayed
thumb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541A (ko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255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JP5852017B2/ja
Priority to EP11742495.2A priority patent/EP2534565B1/en
Priority to PCT/KR2011/000924 priority patent/WO2011099803A2/en
Priority to US12/931,815 priority patent/US9507508B2/en
Priority to CN201180008671.7A priority patent/CN102754063B/zh
Priority to AU2011215017A priority patent/AU2011215017B2/en
Publication of KR2011009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541A/ko
Priority to US14/150,420 priority patent/US9727230B2/en
Priority to JP2014009685A priority patent/JP201412338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G06F11/3414Workload generation, e.g. scripts, play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66Performance evaluation by tracing or monitoring
    • G06F11/3476Data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66Algorithms for mapping a plurality of inter-dependent sub-tasks onto a plurality of physical CP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 및 초기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이, 현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중첩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본 발명은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행 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 및 초기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여전히 단일태스킹 환경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일태스킹 환경을 가지는 휴대단말기가 스마트 폰 시장에서 사용되기는 어렵다.
현재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휴대단말기가 스마트 폰 시장에서 주요 트랜드로 소개되고 있으며, 또한 휴대단말기에서 단일태스킹 플랫폼을 멀티태스킹 플랫폼으로 전환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을 수행하는 것은 어렵지 않게 되었다.
멀티태스킹 환경의 사용에 대한 편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간의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는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휴대단말기에서는 포그라운드(foreground) 윈도우의 변경과 같이 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고, 사용자가 초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쉽게 되돌아 갈 수 있도록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터페이스는 없다.
도 1의 (a)와 (b)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수행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의 (a) 및 (b)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전환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윈도우에 현재 실행 중인 윈도우들을 나란히 펼쳐서 보여 주소 있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실행 한 모든 윈도우를 보기 위해 현재 실행 중인 윈도우를 없애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초기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해야만 한다.
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 초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불가피하게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초기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찾아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행 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간의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전환 장치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초기 어플리케이션, 예컨데 원래 사용자가 현재 작업중이던 어플리케이션으로 쉽게 전환 또는 복귀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전환 장치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행 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예컨데 현재 작업중에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작업 대기 중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한번에 모두 볼 수 있는 멀티태스킹 전환 장치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행 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스처(gesture)를 통해 쉽게 종료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전환 장치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가, 멀티태스킹 초기모드에서 초기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하여 수행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때 백그라운드가 선택되면, 상기 멀티태스킹 초기모드로 전환하는 태스크 매니저; 상기 멀티태스킹 초기/실행모드에서 상기 태스크 매니저를 통해 멀티태스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이, 멀티태스킹 초기모드에서 표시부의 제1 영역에 초기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표시부의 제2 영역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과;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상기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때 백그라운드가 선택되면, 상기 멀티태스킹 초기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이, 현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중첩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가,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가 존재하면, 태스크 매니저를 호출하는 제어부와; 현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중첩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태스크 매니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전환 및 초기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행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한번에 볼 수 있으며, 제스처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의 수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도 4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화면의 포그라운드 윈도우로로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4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선택 취소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4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종료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도 4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대한 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는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태스킹의 수행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태스크(170)를 제어하여 멀티태스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태스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멀티태스킹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초기모드에서 표시부(160)의 제1 영역에 초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 및 수행하고, 상기 표시부(160)의 제2 영역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상기 제1 영역의 초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영역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초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처음 또는 마지막으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상기 제2 영역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드래그/드롭(drag & drop) 업 또는 플리크(flick)업 동작으로 통해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초기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전환하고,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상기 플리크(flick) 동작은 위아래로 튕기는 동작으로 빨리 스크롤과 같은 동작이다.
이때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었던 크기로 상기 제1 영역에 이동되어 표시되며,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언핀칭(unpinching) 또는 핀칭(pinching)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변환부(170)는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한다. 상기 언핀칭(unpinching)동작은 가까운 두 손가락을 서로 더 멀리 벌리는 동작으로 어떤 것을 늘어나거나 크게 만드는 줌인 동작에 해당한다. 상기 핀칭(pinching)동작은 떨어진 두 손가락을 서로 붙여서 가깝게 만드는 동작으로 어떤 것으로 줄어들거나 작게 만드는 줌 아웃동작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상기 제1 영역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때 상기 초기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된 백그라운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영역에 초기 어플리케이션만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었던 멀티태스킹 초기 모드로 바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멀티태스킹 초기/실행모드에서 줌 동작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대/축소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에서 줌인/아웃 동작을 위한 일정부분이 드래그 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드래그 된 해당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세히 볼 수 있는 줌 인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축소하여 모두 표시할 수 있는 줌 아웃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멀티태스킹 초기/실행모드에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플리크 다운 또는 드래그 다운동작이 수행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현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백그라운드로 설정하고,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셔 윈도우를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제스처 예를 들어, 플리크 업 또는 드래그/드롭 업 동작에 따라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화면의 포그라운드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표시하는 중, 백그라운드가 터치되면, 현재 작업 중이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화면의 포그라운드 로 표시함으로써, 원래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제2 제스처 예를 들어, 드래그 다운 동작에 따라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으로 다시 이동하여 표시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선택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3 제스처 예를 들어, 플리크 다운 또는 드래그/드롭 다운 동작에 따라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중첩되어 표시 중인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줌인/줌 아웃 동작을 통해 확대/축소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라 멀티태스킹 모드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멀티태스킹 초기모드에서 초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 및 수행하고,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표시 및 수행한다. 상기 제2 영역은 실행 중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라 현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백그라운드로 설정하고,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견 윈도우를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중첩하여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동작을 도 3 - 도 9를 통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상기 휴대단말기를 멀티태스킹 초기모드로 전환하는 30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멀티태스킹 초기모드인 301단계에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상기 표시부(160)의 제1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처음 또는 마지막으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초기 어플리케이션으로 표시하는 302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상기 302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60)의 제2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초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대로 썸네일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초기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다.
상기 302단계에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드래그/드롭 업 또는 플리크 업 동작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를 멀티태스킹 실행모드로 전환하는 3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수행 중이었던 초기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이동된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전환하여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3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05단계에서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었던 썸네일 크기로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언핀칭 또는 핀칭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한다.
상기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될 때 마다,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나머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위치를 재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제2 영역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드래그/드롭 다운 또는 플리크 다운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영역의 원래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상기 제2 영역에서 이동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1 영역에서 수행하는 동안, 초기 어플리케이션이 전환된 백그라운드가 터치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3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초기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상기 멀티태스킹 초기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영역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동안 언제든지 백그라운드에 대한 한번의 터치동작 동작만으로 상기 멀티태스킹의 초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멀티태스킹 초기모드 또는 상기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상기 제2 영역에서 줌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일정부분에 드래그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드래그의 방향을 판단한다.
상기 줌 동작을 위한 드래그 방향이 우측이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3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확대 표시하는 309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09단계에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드래그 양에 대응되게 상기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점진적으로 확대함에 따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상세히 표시할 수 있다. 상기 309단계에서 상기 확대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영역에 모두 표시되지 않을 경우, 표시되는 검색 드래그 바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상기 확대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줌 동작을 위한 드래그 방향이 좌측이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3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축소 표시하는 31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311단계에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좌측으로 이동되는 드래그 양에 대응되게 상기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점진적으로 축소함에 따라, 상기 제 2영역에서 모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멀티태스킹 초기모드 또는 상기 멀티태스킹 실행모드에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드래그 다운 또는 플리크 다운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31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313단계를 진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화면의 포그라운드 윈도우로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4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선택 취소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4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종료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4에서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에 대한 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기 도 2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60)에 현재 작업 중인 어플케이션 윈도우를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403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03단계에서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태스크 매니저(170)를 호출한다.
상기 호출된 태스크 매니저(170)는 현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백그라운드로 설정하고,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중첩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리스트 없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도 5는 상기 403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에 현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161)를 백그라운드로 설정하고,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162)를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인 예를 들어, 상기 화면의 하단에 중첩하여 동시에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403단계에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판단한다. 상기 4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1 제스처가 수행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중첩되어 표시 중인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화면의 포그라운드로 표시하는 405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6은 상기 405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도 6의 (a)는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인 상기 화면의 하단에 표시 중인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162) 중 어느 하나(502)가 제1 제스처 예를 들어, 플리크 업 또는 드래그/드롭 업이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도 6의 (b)는 상기 플리크 업 또는 드래그/드롭 업 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502)를 포그라운드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또는 상기 4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백그라운드가 터치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상기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백그라운드로 설정된 현재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화면의 포그라운도로 전환하여 표시함으로써, 원래 작업 중인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로 복귀하는 406단계를 진행한다.
또는 상기 4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2 제스처가 수행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상기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다시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으로 이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취소하는 407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07단계에서는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서 상기 화면의 포그라운드로 전환하기 위해 선택되었던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취소하는 것이다.
도 7은 상기 407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화면에 포그라운드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인 상기 화면의 하단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503)을 제2 제스처 예를 들어, 드래그 다운하여 상기 화면의 하단으로 이동시켜 표시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503)의 선택을 취소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또는 상기 4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4 제스처가 수행되면,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상기 4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종료하는 4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8은 상기 408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인 상기 화면의 하단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504)을 제3 제스처 예를 들어, 플리크 다운 또는 드래그/드롭 다운하여 종료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태스크 매니저(170)는 줌 인/ 줌 아웃동작을 통해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에 중첩되어 표시 중인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윈도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줌 인/ 줌 아웃 동작은 줌 인/ 줌 아웃 동작을 위한 일정영역의 선택 또는 드래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9는 상기 화면의 임의의 영역인 상기 화면의 하단에 중첩되어 표시 중인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줌 인/줌 아웃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10은 상기 화면의 하단에 표시 중인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줌 인/줌 아웃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에서는 일정영역에 표시되는 일정 값의 선택에 따라 수행되는 줌 인/줌 아웃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의 (a)는 디폴트 값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도 10의 (b)는 최대 값의 선택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0의 (c)는 중간 값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도 10의 (d)는 소정의 최소 값 선택에 따라 표시 중인 상기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어부, 160: 표시부, 170:태스크 매니저

Claims (32)

  1. 멀티태스킹 수행을 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아래에 위치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에 실행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동시에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2 영역에 실행중인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을 표시하며,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표시되는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실행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합한 전체 영역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영역에 표시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을 상기 제2 영역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을 삭제하고,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줌 동작을 통해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을 확대/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줌 인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을 확대하여 상세히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줌 아웃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을 축소하여 모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줌 인/줌 아웃 동작은 상기 제2 영역에서 해당 방향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에 대해 플리크 다운 또는 드래그 다운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처음 또는 마지막으로 선택된 실행 화면 썸네일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이 드래그/드롭 업 또는 플리크 업 동작으로 통해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이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었던 실행 화면 썸네일의 크기로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며, 언핀칭/핀칭 동작을 통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아래에 위치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의 제1 영역에 실행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동시에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2 영역에 실행중인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상기 표시되는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실행중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합한 전체 영역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체 영역에 표시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을 제2 영역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을 삭제하고,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실행 중인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을 확대/축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축소하는 과정이,
    상기 제2 영역에서 줌 인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을 확대하여 상세히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영역에서 줌 아웃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을 축소하여 모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줌 인/줌 아웃 동작은 상기 제2 영역에서 해당 방향의 드래그 동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에 대해 플리크 다운 또는 드래그 다운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처음 또는 마지막으로 선택된 실행 화면 썸네일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이,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실행 화면 썸네일들 중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이 드래그/드롭 업 또는 플리크 업 동작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로 전환하여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해 언핀칭/핀칭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썸네일이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되었던 실행 화면 썸네일의 크기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00036108A 2010-02-12 2010-04-19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169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552808A JP5852017B2 (ja) 2010-02-12 2011-02-11 マルチタスキングを実行する装置及び方法
EP11742495.2A EP2534565B1 (en) 2010-02-12 2011-02-11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PCT/KR2011/000924 WO2011099803A2 (en) 2010-02-12 2011-02-11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US12/931,815 US9507508B2 (en) 2010-02-12 2011-02-11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CN201180008671.7A CN102754063B (zh) 2010-02-12 2011-02-11 用于执行多任务的设备和方法
AU2011215017A AU2011215017B2 (en) 2010-02-12 2011-02-11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US14/150,420 US9727230B2 (en) 2010-02-12 2014-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JP2014009685A JP2014123386A (ja) 2010-02-12 2014-01-22 マルチタスキングを実行する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404810P 2010-02-12 2010-02-12
US61/304,048 2010-02-12
KR20100013546 2010-02-12
KR1020100013546 2010-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541A KR20110093541A (ko) 2011-08-18
KR101690786B1 true KR101690786B1 (ko) 2016-12-28

Family

ID=4493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108A KR101690786B1 (ko) 2010-02-12 2010-04-19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507508B2 (ko)
EP (1) EP2534565B1 (ko)
JP (2) JP5852017B2 (ko)
KR (1) KR101690786B1 (ko)
CN (1) CN102754063B (ko)
AU (1) AU2011215017B2 (ko)
WO (1) WO201109980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3305A (zh) * 2017-05-03 2017-09-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快速切换应用的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2751B2 (en) 2007-06-29 2017-09-26 Apple Inc. Using gestures to slide between user interfaces
EP3882797A1 (en) 2007-09-24 2021-09-22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185634B1 (ko) * 2007-10-02 2012-09-24 가부시키가이샤 아쿠세스 단말 장치, 링크 선택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8832585B2 (en) * 2009-09-25 2014-09-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orkspace views
US8698845B2 (en) *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interactive popup views
US9513801B2 (en) 2010-04-07 2016-12-06 Apple Inc. Accessing electronic notifications and settings icons with gestures
US8291344B2 (en) 2010-04-07 2012-10-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9823831B2 (en) 2010-04-07 2017-11-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9400585B2 (en) 2010-10-05 2016-07-26 Citrix Systems, Inc. Display management for native user experiences
US9244606B2 (en) 2010-12-20 2016-01-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on of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924885B2 (en) 2011-05-27 2014-12-30 Microsoft Corporation Desktop as immersive application
US10417018B2 (en) 2011-05-27 2019-09-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avigation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US9843665B2 (en) 2011-05-27 2017-1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WO2012177811A1 (en) 2011-06-20 2012-12-27 BENTON, Steven Lynn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management on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WO2013002547A2 (ko) 2011-06-30 2013-01-03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4599B1 (ko) 2011-06-30 2015-09-2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806369B2 (en) 2011-08-26 2014-08-1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and interacting with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9703382B2 (en) * 2011-08-29 2017-07-11 Kyocera Corporatio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with control for terminating a program
JP2013065290A (ja) * 2011-08-29 2013-04-11 Kyocera Corp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53566B2 (en) 2011-09-09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animations
KR101873056B1 (ko) 2011-09-20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수행 장치 및 방법
JP2013084233A (ja) * 2011-09-28 2013-05-09 Kyocera Corp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54076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프리로딩하는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218109A (zh) * 2011-11-28 2013-07-24 马维尔国际有限公司 用于安卓操作系统的双窗口解决方案
KR101474927B1 (ko) 2011-12-22 2014-12-3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KR101546407B1 (ko) 2011-12-23 2015-08-24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22399B1 (ko) 2011-12-23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KR101504655B1 (ko) 2011-12-26 2015-03-23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06470B1 (ko) 2011-12-28 2019-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4115106B (zh) 2011-12-28 2017-11-07 英特尔公司 用于本地应用和网络应用的混合移动交互
KR101921276B1 (ko) 2012-02-03 2018-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CN103246445B (zh) * 2012-02-13 2016-03-0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的切换方法及通信终端
CN102595244B (zh) * 2012-02-24 2018-08-28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多点触摸手势切换电视界面的人机交互方法及系统
KR101356368B1 (ko) * 2012-02-24 2014-01-29 주식회사 팬택 어플리케이션 전환 장치 및 방법
CN102760034A (zh) * 2012-03-26 2012-10-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的多窗口交互方法及设备
US9437158B2 (en) 2012-03-19 2016-09-06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display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CN102760032B (zh) * 2012-03-19 2015-08-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和电子设备
CN103365872B (zh) * 2012-03-28 2018-09-0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在移动终端中实现平面化搜索的方法及系统
KR102059427B1 (ko) * 2012-08-28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AU2013202944B2 (en) 2012-04-26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CN103383621B (zh) * 2012-05-04 2016-05-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图切换方法及装置
CN108052264B (zh) 2012-05-09 2021-04-27 苹果公司 用于移动和放置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KR101956082B1 (ko) 2012-05-09 2019-03-11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KR101823288B1 (ko) 2012-05-09 2018-01-29 애플 인크.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46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CN104508618B (zh) 2012-05-09 2018-01-05 苹果公司 用于针对在用户界面中执行的操作提供触觉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JP6182207B2 (ja) 2012-05-09 2017-08-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アクティブ化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CN106126090B (zh) * 2012-05-11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AU2013262488A1 (en) 2012-05-18 2014-12-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JP2014089522A (ja) * 2012-10-29 2014-05-15 Kyocera Corp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の動作方法
US10564792B2 (en) 2012-12-06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ilti-window display
EP4213001A1 (en) 2012-12-06 2023-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282088B2 (en) 2012-12-06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gh screen device
KR20140073372A (ko) 2012-12-06 201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01101A1 (zh) * 2012-12-28 2014-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任务切换方法和终端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KR20170081744A (ko) 2012-12-29 2017-07-12 애플 인크. 다중 접촉 제스처에 대한 촉각적 출력의 발생을 보류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4105277A2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KR102301592B1 (ko) 2012-12-29 2021-09-10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958582B1 (ko) 2012-12-29 2019-07-04 애플 인크. 터치 입력에서 디스플레이 출력으로의 관계들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40282143A1 (en) * 2013-03-14 2014-09-18 Michael Matas Modifying Content of Components in a User Interface
US9996246B2 (en) 2013-03-27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WO2014157886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WO2014157885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WO2014157894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WO2014157897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s
WO2014157893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US10229258B2 (en) 2013-03-27 2019-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WO2014157908A1 (en)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US20140298245A1 (en) * 2013-03-28 2014-10-02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Instance Management
USD851663S1 (en) * 2013-04-05 2019-06-18 Thales Avionic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148725B1 (ko) 2013-07-31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04955B1 (ko) * 2013-11-12 2018-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반의 모바일 기기에서의 컴퓨팅 자원 할당방법 및 장치
KR102148948B1 (ko) * 2013-12-06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멀티 태스킹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3616988A (zh) * 2013-12-10 2014-03-05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移动终端
CN104714636B (zh) * 2013-12-17 2018-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20150074345A (ko) 2013-12-24 2015-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CN103702161A (zh) * 2013-12-26 2014-04-02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播放多媒体文件的方法及具备触摸屏的终端
TWI616803B (zh) * 2013-12-27 2018-03-01 宏碁股份有限公司 螢幕畫面的縮放及操作方法、裝置與電腦程式產品
KR102108069B1 (ko) * 2014-01-22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33922B2 (en) * 2014-03-27 2018-04-03 Sybase, Inc. Child container control of parent container of a user interface
US9471201B1 (en) * 2014-05-20 2016-10-18 Google Inc. Laptop-to-tablet mode adaptation
CN105468264B (zh) * 2014-05-29 2020-09-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根据操控方式对应用程序进行操控的方法、装置与终端设备
CN105204930A (zh) * 2014-05-29 2015-12-30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一种切换应用程序的方法及系统
CN104346216A (zh) * 2014-05-30 2015-02-11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电子设备的多任务执行方法和设备
EP3161595A4 (en) * 2014-06-26 2018-0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application viewing
US10198153B1 (en) * 2014-07-30 2019-02-05 Google Llc Ordering items for switching
KR20160029509A (ko) * 2014-09-05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676475B1 (ko) * 2014-11-18 2016-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97330B1 (ko) 2015-01-16 202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04571828A (zh) * 2015-01-30 2015-04-29 湖南蚁坊软件有限公司 一种多列或多窗口定位及切换方法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9674426B2 (en) 2015-06-07 2017-06-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CN104881223A (zh) * 2015-06-09 2015-09-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应用操作的方法及装置
KR20160147441A (ko) * 2015-06-15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65026B2 (en) * 2015-07-29 2020-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aining an application in an immersive non-windowed environment
CN105607843B (zh) * 2015-08-27 2019-03-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手势控制终端的方法及装置
CN105260096B (zh) * 2015-09-22 2018-12-0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用户操作的方法及移动终端
US20170090606A1 (en) * 2015-09-30 2017-03-30 Polycom, Inc. Multi-finger touch
CN105630280A (zh) * 2015-10-29 2016-06-01 东莞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对多个应用进行切换的方法及装置
KR102160217B1 (ko) 2015-12-22 2020-09-28 에이에스엠엘 네델란즈 비.브이. 프로세스-윈도우 특성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630497A (zh) * 2015-12-23 2016-06-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的切换方法及切换装置
JP6590726B2 (ja) * 2016-02-17 2019-10-1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及びこれを備えるプログラマブル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設計装置、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設計方法、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操作方法、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の設計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記憶した機器
KR102547115B1 (ko) 2016-06-03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80088750A1 (en) * 2016-09-23 2018-03-2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Application Windows
CN106406676B (zh) * 2016-10-08 2019-09-24 福州市马尾区小微发明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
KR20180055231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콘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044824B1 (ko) * 2017-06-20 2019-11-15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US11196875B2 (en) 2017-09-20 2021-12-07 Fujifilm Business Innovation Corp. Application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with plurality of recovery methods for applications switching to be in operation target state
EP3690625B1 (en) * 2017-11-20 2023-05-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ally displaying icon according to background image
CN108055408B (zh) * 2017-12-28 2019-12-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2255469B1 (ko) 2018-03-06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893228B2 (en) 2018-06-03 2024-02-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n application switching user interface
DK180316B1 (en) 2018-06-03 2020-11-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n application switching user interface
US10552010B2 (en) 2018-06-21 2020-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eating free-form contour regions on a display
CN109085968B (zh) * 2018-06-27 2021-02-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截屏方法及终端设备
CN109814794A (zh) * 2018-12-13 2019-05-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WO2020205291A1 (en) 2019-03-29 2020-10-0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ntext-based user interface menu with selectable actions
US11093114B2 (en) 2019-03-29 2021-08-1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ntext-based user interface menu with selectable actions
WO2020205292A1 (en) 2019-03-29 2020-10-0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ntext-based user interface menu with selectable actions
US11016643B2 (en) 2019-04-15 2021-05-25 Apple Inc. Movement of user interface object with user-specified content
KR102286431B1 (ko) * 2019-06-03 2021-08-06 주식회사 게임빌 스포츠 게임의 선수 교체 방법 및 시스템
CN110531904A (zh) * 2019-08-15 2019-1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后台任务显示方法及终端
CN111596840A (zh) * 2020-04-27 2020-08-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多任务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2083871A (zh) * 2020-09-11 2020-12-1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控制电子设备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409410B2 (en) 2020-09-14 2022-08-09 Apple Inc. User input interfaces
US11703991B2 (en) * 2021-12-06 2023-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ith mouse contro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7522A (ja) * 2004-01-27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6323850A (ja) * 2006-06-01 2006-11-30 Sony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の表示切り替え方法及び携帯通信機器
JP2007334747A (ja) * 2006-06-16 2007-12-27 Miyake Design Jimusho:Kk 情報処理装置、携帯型電話機、接触入力画面形成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8637B1 (en) * 1997-04-23 2003-08-19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tasking graphical user interface
KR19990084778A (ko) 1998-05-11 1999-12-06 윤종용 멀티타스크 컴퓨터시스템에서의 타스크 전환장치 및 그 방법
JP2000148348A (ja) 1998-11-13 2000-05-2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起動中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を容易に識別し、かつ終了させることができ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353451B1 (en) * 1998-12-16 2002-03-05 Intel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aerial perspective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03162355A (ja) * 2001-11-26 2003-06-06 Sony Corp タスクの表示切り替え方法及び携帯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
JP4121289B2 (ja) * 2002-03-11 2008-07-23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8230359B2 (en) * 2003-02-25 2012-07-2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hat facilitates computer desktop use via scaling of displayed objects with shifts to the periphery
KR100751936B1 (ko) * 2003-08-13 2007-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작업 표시 방법
US8001479B2 (en) * 2004-02-03 2011-08-16 Ronald Mark Katsuranis System and methods to access computer files and position and control application window(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0652626B1 (ko) * 2004-03-04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윈도우 전환 방법
JP4459033B2 (ja) 2004-11-29 2010-04-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665031B2 (en) 2004-12-08 2010-02-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taskbar button interfaces
KR101259476B1 (ko) * 2005-01-25 2013-05-06 보다폰 그룹 피엘씨 연계 동작 방법 및 통신 단말 장치
US20060248471A1 (en) 2005-04-29 2006-11-0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indow management mode
KR100606803B1 (ko) * 2005-05-16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휠 장치를 이용한 기능 수행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JP4492511B2 (ja) 2005-10-03 2010-06-30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882448B2 (en) * 2005-12-29 2011-02-01 Sap Ag Taskbar configuration tool for computer systems
JP4899553B2 (ja) 2006-03-15 2012-03-21 富士通株式会社 一括起動方法および一括起動プログラム
US7595810B2 (en) * 2006-03-22 2009-09-29 Apple Inc. Methods of manipulating a screen space of a display device
US8683362B2 (en) * 2008-05-2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KR100784973B1 (ko) 2006-09-11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의 변조를 이용한 영역 표시 방법
KR101298890B1 (ko) 2006-11-08 2013-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575655B2 (en) 2006-12-29 2017-02-21 Nokia Technologies Oy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US8082523B2 (en) 2007-01-07 2011-12-20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application switching
US8351989B2 (en) * 2007-02-23 2013-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16992B1 (ko) * 2007-05-03 2014-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아이템 표시 방법
KR20100010072A (ko) 2008-07-22 2010-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7522A (ja) * 2004-01-27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6323850A (ja) * 2006-06-01 2006-11-30 Sony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の表示切り替え方法及び携帯通信機器
JP2007334747A (ja) * 2006-06-16 2007-12-27 Miyake Design Jimusho:Kk 情報処理装置、携帯型電話機、接触入力画面形成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3305A (zh) * 2017-05-03 2017-09-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快速切换应用的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9803A2 (en) 2011-08-18
WO2011099803A3 (en) 2012-01-05
JP5852017B2 (ja) 2016-02-03
US9727230B2 (en) 2017-08-08
JP2013519935A (ja) 2013-05-30
CN102754063B (zh) 2016-04-27
US20110202872A1 (en) 2011-08-18
AU2011215017B2 (en) 2014-03-06
KR20110093541A (ko) 2011-08-18
EP2534565A4 (en) 2016-03-09
JP2014123386A (ja) 2014-07-03
EP2534565B1 (en) 2019-07-03
AU2011215017A1 (en) 2012-07-05
US9507508B2 (en) 2016-11-29
US20140208276A1 (en) 2014-07-24
CN102754063A (zh) 2012-10-24
EP2534565A2 (en)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786B1 (ko)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US10712907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s in the terminal
US115797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in portable terminal
US1024166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1400285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terminal
US201301670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ting screen in wireless terminal
US95821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image in portable terminal
US201201542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portable terminal
EP1770489A2 (en) Data control method using mouse functions in a wireless terminal
AU2014200244B2 (en) Method of Controlling Tasks on an Apparatus
US2012026849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object
KR101017098B1 (ko) 휴대 단말 장치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26421A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US201401256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zoomed data i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