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998B1 - Reader device, and room entrance/exit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Reader device, and room entrance/exit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998B1
KR101679998B1 KR1020157021678A KR20157021678A KR101679998B1 KR 101679998 B1 KR101679998 B1 KR 101679998B1 KR 1020157021678 A KR1020157021678 A KR 1020157021678A KR 20157021678 A KR20157021678 A KR 20157021678A KR 101679998 B1 KR101679998 B1 KR 10167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adio signal
radio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6438A (en
Inventor
가즈노리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4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07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인증을 받을 의사가 없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판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판독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이 기억하는 식별 정보를 제2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정보 기억 매체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5)에 있어서, 판독 장치에 접근하는 이용자를 촬영하는 촬상부(54)와,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미리 정해진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부(55)와, 시선 검출부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51)와,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 발신된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52)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53)를 구비한다. Provided is a read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D tag held by a user who is not willing to be authenticated from being read. To this end, there is provided a reading device (5) for rea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which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therein when receiving a first wireless signal by a second wireless signal, A line of sight detection unit 55 for detecting that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a predetermined target range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pickup unit, (51) for transmitting a first radio signal, a receiving section (52) for receiving a second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a receiving section And a control unit (53) for acqui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second radio signal.

Description

판독 장치 및 입퇴실 관리 시스템{READER DEVICE, AND ROOM ENTRANCE/EXIT MANAGEMENT SYSTEM}[0001] READER DEVICE, AND ROOM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0002]

본 발명은 판독 장치 및 입퇴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device and an entry / exit management system.

종래에 있어서는, 이용자의 출장(出場)시나 입장(入場)시에 처리 미료(未了)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개찰 통로를 통행하려고 진행하는 이용자를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고, 이 촬영한 화상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시선(視線) 방향을 검출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안테나 방향 이외인 경우에는, 비접촉 IC 카드를 안테나에 갖다 대는 것을 촉구하는 알림을 행하는 게이트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Conventionally,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an unfinished process at the time of a user's participation (admission) or entrance (admission), a user who is going to pass through a ticket passage is photographed by a camera, There is known a gate device for detecting a direction of a user's sight line by using an image and notifying a user of placing the contactless IC card on the antenna when the direction of the user's sight line is other than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1-192026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192026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5-27586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2005-275869

또, 종래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무선 신호에 의해 ID 태그에 기재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입퇴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용자가 판독 장치의 태그 검출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만으로,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의 판독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게이트 장치와 같은, 소정의 조작(비접촉 IC 카드를 안테나에 갖다 대는)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인증을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entry / exit management system, it is known that a conventional reader / writer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reading device that rea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cribed in an ID tag by a radio signal. In this conventional entry and exit management syste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held by the user is read only by the user being within the tag detection range of the reader. For this reason,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requir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such as bringing a noncontact IC card to the antenna) like the conventional gate devic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이른바 핸즈 프리 태그를 이용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ID 태그를 소지한 이용자가 판독 장치의 태그 검출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만으로, ID 태그의 식별 정보의 판독, 및, 판독한 식별 정보에 의한 인증과 문의 해정(解錠)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문을 통행할 의사가 없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가, 태그 검출 범위 내에 들어갔기 때문에 문이 해정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entry / exit management system using a hands-free tag, only when the user holding the ID tag enters the tag detection range of the read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is read and the re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nlocking is performed. Because of th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D tag held by the user who does not intend to pass through the door falls within the tag detection range, and therefore the door may be disassembled.

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게이트 장치에서는, 통행 의사가 없는 이용자의 인증이 행해지는 것은 드물다라고 말할 수 있지만, 인증을 행하기 위해서는 비접촉 IC 카드를 안테나에 갖다 대는 것과 같은 소정의 조작을 이용자가 행할 필요가 있다. In the gate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uthentication of a user who does not intend to pass is seldom performed. However, in order to perform authentication, a predetermined operation such as placing the contactless IC card on the antenna is performed by the user There is a need.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용자의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인증을 받을 의사가 없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판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인증을 받을 의사가 있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을 얻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hich rea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D tag possessed by a user who can re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out requiring a special operation of a user, And to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D tag possessed by a user who is willing to be authenticated and to obtain an entry and exit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판독 장치에 있어서는,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이 기억하는 식별 정보를 제2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정보 기억 매체의,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로서, 판독 장치에 접근하는 이용자를 촬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미리 정해진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부와, 상기 시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 발신된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The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ding apparatus for rea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which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therein when receiving a first wireless signal by a second wireless signal, A line of sigh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at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a predetermined target range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pickup unit; A transmission section for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visual direction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arget range; a reception section for receiving the second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a control unit for acqui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wireless signal.

또, 본 발명에 따른 입퇴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 같은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와, 미리 기억된 인증 정보의 대조에 의해, 인증을 행하는 인증 장치와, 상기 인증 장치에서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문의 시정(施錠) 및 해정을 행하는 전기 자물쇠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In the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reading device and the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n electric lock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in the authentication device.

본 발명에 따른 판독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용자의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인증을 받을 의사가 없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판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인증을 받을 의사가 있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In the reading apparatus and the entry / exit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ad without requiring a special operation of the user, and the ID ta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being read out and to achieve the effect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possessed by the user who is willing to be authenticated can be rea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태그 리더를 구비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태그 리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태그 리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태그 리더의 정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n entry / exit management system having a tag read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ag read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ag rea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the tag rea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해서 같은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substantially equivalent part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appropriately simplified or omitted.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것이며, 도 1은 태그 리더를 구비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태그 리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태그 리더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4는 태그 리더의 정면도이다. 1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ntry / exit management system having a tag reader,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ag reader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ag reader,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tag reader.

도 1에 있어서, 거실(1)은 시설 또는 건물 등의 내부에 있어서 칸막이된 구획이다. 이 거실(1)에는 입퇴실 제한이 부과되어 있다. 거실(1)에 있어서의 통로(2)와 면(面)하는 지점에는, 통로(2)로부터 거실(1)에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1a)가 마련되어 있다. 이 거실(1)의 출입구(1a)에는, 문(3)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문(3)의 시정 및 해정은, 전기 자물쇠(4)에 의해 행해진다. 1, the living room 1 is a compartment partitioned in the inside of a facility or a building or the like. This living room 1 is subject to a restriction on entering and exiting. An entrance 1a for entering into and out of the living room 1 from the passageway 2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passageway 2 in the living room 1. The door (1a) of the living room (1) is provided with a door (3) openably and closably.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3) is carried out by the electric lock (4).

거실(1)에 출입하는 이용자는, 도시하지 않는 ID 태그를 소지하고 있다. 이 ID 태그는, 이른바 세미 액티브형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이다. ID 태그에는, 복수의 이용자의 각각을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식별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ID 태그는 이용자가 소지하고,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무선 통신에 의해 식별 정보가 판독되는 정보 기억 매체의 일례이다. The user entering and leaving the living room 1 carries an ID tag (not shown). This ID tag is a so-called semi-activ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In the I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uniquely identifying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is stored in advance. The ID tag is an example of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 which the user carri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ad by wireless communication.

거실(1)의 통로(2)측의 벽면에 있어서의 출입구(1a)(문(3))의 근방에는, 태그 리더(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태그 리더(5)는 ID 태그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에 의해 판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도 1에 더하여 추가로 도 2도 참조하면서, 태그 리더(5)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태그 리더(5)는 LF 전파 송신부(51) 및 RF 전파 수신부(52)를 구비하고 있다. A tag reader 5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1a (door 3) on the wall surface of the living room 1 on the side of the passage 2. The tag reader 5 read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D tag by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tag reader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addition to Fig. The tag reader 5 is provided with an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and an RF radio wave receiving section 52.

LF 전파 송신부(51)는 LF 전파를 송신한다. LF란 Low Frequency의 약어이며,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 송신되는 LF 전파는 장파 대역에 속한다. RF 전파 수신부(52)는 RF 전파를 수신한다. RF란 Radio Frequency의 약어이며, 무선 주파수 혹은 고주파를 의미한다. 즉, RF 전파 수신부(52)로 수신되는 RF 전파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UHF(Ultra High Frequency:극초단파) 대역에 속한다.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transmits the LF radio wave. LF is abbreviation of Low Frequency, and the LF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belongs to the long wave band. The RF radio wave receiving section 52 receives the RF radio wave. RF stands for Radio Frequency, which means radio frequency or high frequency. Specifically, the RF radio wave received by the RF radio wave receiver 52 is specifically in the UHF (Ultra High Frequency) band, for example.

ID 태그는 통상에서는 슬립(sleep) 상태로서, 무선 신호의 발신을 정지하고 있다. ID 태그는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 송신된 LF 전파를 수신하면, 이 ID 태그 자신에게 기억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발신한다. 이 ID 태그로부터 발신되는 무선 신호는 RF 전파 수신부(52)로 수신 가능한 대역의 전자파 즉 전술한 RF 전파가 이용된다. 또한, ID 태그에는, 이 ID 태그로부터 무선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The ID tag is normally in a sleep state, and the transmission of the radio signal is stopped. The ID tag, when receiving the LF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transmits a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D tag itself.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D tag is an electromagnetic wave in a band that can be received by the RF radio wave receiving unit 52, that is, the above-mentioned RF radio wav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from the ID tag is incorporated in the ID tag.

태그 리더(5)는 ID 태그로부터 발신된 RF 신호를 RF 전파 수신부(52)로 수신함으로써, ID 태그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에 의해 판독할 수 있다. 이 태그 리더(5)에 의해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에 의해 판독하는 것이 가능한 범위가 도 1에 도시하는 태그 검출 범위(6)이다. The tag reader 5 can rea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D tag by radio communication by receiving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D tag to the RF radio wave receiver 52. [ A tag detection range 6 shown in Fig. 1 is a range with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can be read by the tag reader 5 by wireless communication.

이 태그 검출 범위(6)는, ID 태그가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 송신된 LF 전파를 수신 가능하고, 또한 ID 태그로부터 발신된 RF 전파를 RF 전파 수신부(52)에 의해 수신 가능한 범위라고 바꾸어 말할 수 있다. This tag detection range 6 is a range in which the ID tag can receive the LF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and also changes the RF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ID tag to a range that can be received by the RF radio wave receiving unit 52 I can tell.

이용자가 휴대하는 ID 태그가 태그 검출 범위(6)의 내측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태그 리더(5)의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 LF 전파가 송신되면, ID 태그는 이 LF 전파를 수신한다. LF 전파를 수신한 ID 태그는, 슬립 상태로부터 기동된다. 기동된 ID 태그는, 당해 ID 태그 자신에게 기억된 식별 정보를 RF 전파에 실어 발신한다. 그리고 태그 리더(5)의 RF 전파 수신부(52)가, ID 태그로부터 발신된 RF 전파를 수신한다. When the LF radio wave is transmitted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of the tag reader 5 in a state where the ID tag carried by the user is inside the tag detection range 6, the ID tag receives this LF radio wave. The ID tag that has received the LF radio wave is started from the sleep state. The activated ID tag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D tag itself to the RF radio wave for transmission. The RF radio wave receiver 52 of the tag reader 5 receives the RF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ID tag.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태그 리더(5)는 LF 전파 송신부(51) 및 RF 전파 수신부(52) 외에, 추가로 제어부(53)를 구비하고 있다. RF 전파 수신부(52)에 의해 수신된 RF 전파는, 제어부(53)에 있어서 처리된다. 그리고 이 처리에 의해, 제어부(53)는 당해 RF 전파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2, the tag reader 5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53 in addition to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and the RF radio wave receiving unit 52. [ The RF radio wave received by the RF radio wave receiving unit 52 is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53. [ By this processing, the control unit 53 acqui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F radio wave.

태그 리더(5)의 제어부(53)에 의해 취득된 ID 태그의 식별 정보는, 도 1에 도시하는 ID 컨트롤러(7)로 보내진다. ID 컨트롤러(7)가 구비하는 인증 정보 기억부(71)에는, 문(3)을 해정하여 문(3)을 통행하는 것이 허가된 이용자의 식별 정보가 인증 정보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다. ID 컨트롤러(7)는 태그 리더(5)로부터 보내져 온 식별 정보와, 인증 정보 기억부(71)에 기억된 인증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당해 식별 정보의 이용자가 문(3)의 통행이 허가된 사람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행한다.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acquired by the control section 53 of the tag reader 5 is sent to the ID controller 7 shown in Fi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71 provided in the ID controller 7 stores in advan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o is permitted to pass the statement 3 and the statement 3 to pass. The ID controller 7 collat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tag reader 5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71 so that the user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ified to the perso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그리고 이 인증의 결과, 식별 정보와 인증 정보의 대조에 성공했을 경우에는, 인증 성공이 된다. 인증에 성공했을 경우에는, ID 컨트롤러(7)는 전기 자물쇠(4)로 해정 신호를 출력한다. 이 해정 신호를 받은 전기 자물쇠(4)는 해정되어, 문(3)을 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인증에 성공한 식별 정보의 ID 태그를 소지하는 이용자는, 문(3)을 열고 출입구(1a)를 통행하여, 거실(1)로 들어갈 수 있다. As a result of this authentication, when the verif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uccessful, the authentication succeeds.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ID controller 7 outputs the unlocking signal to the electric lock 4. The electric lock 4, which has received the unlocking signal, is unlocked so that the door 3 can be opened. In this way, the user holding the ID tag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ceeding the authentication can enter the living room 1 by opening the door 3 and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1a.

한편, 식별 정보와 인증 정보의 대조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인증 실패가 된다. 인증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ID 컨트롤러(7)로부터 전기 자물쇠(4)로 해정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문(3)을 열지 못하여, 이용자의 출입구(1a)의 통행은 저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rif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ails, the authentication fails. When the authentication fails, the unlocking signal is not outputted from the ID controller 7 to the electric lock 4. Therefore, the door 3 can not be opened, and passage of the user's entrance 1a is prevented.

이와 같이 하여, ID 태그가 태그 검출 범위(6)의 내측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태그 리더(5)의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트리거로 하여, ID 태그의 식별 정보의 판독 및 판독한 식별 정보에 기초한 인증이 행해진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ID tag is located inside the tag detection range 6,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of the tag reader 5 is triggered, Authentication based on the read and rea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erformed.

태그 리더(5)의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은, 제어부(53)에 의한 제어 하에, 미리 정해진 조건이 성립했을 때에 행해진다. 이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 LF 전파를 송신하는 제어에 대해 다음에 설명한다.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of the tag reader 5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ction 53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established. The control for transmitting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태그 리더(5)는, 추가로, 카메라부(54) 및 시선 검출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부(54)는 태그 리더(5)의 정면에 마련되어 있다(도 4도 참조). 카메라부(54)는 태그 리더(5)로부터 통로(2)측의 상황을 촬영한다. 카메라부(54)에 의해 촬영되는 범위인 카메라 촬영 범위(8)는,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태그 리더(5)의 정면측으로 퍼져 있다. 카메라 촬영 범위(8)는, 태그 검출 범위(6)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때, 카메라 촬영 범위(8)와 태그 검출 범위(6)의 겹친 부분의 면적이 가능한 한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 the tag reader 5 further includes a camera section 54 and a line-of-sight detecting section 55. Fig. The camera unit 54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tag reader 5 (see also Fig. 4). The camera section 54 photographs the situation on the side of the passage 2 from the tag reader 5. The camera photographing range 8, which is a ran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ction 54, is spread to the front side of the tag reader 5 as shown in Fig. The camera shooting range 8 is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camera detection range 6 overlaps with the tag detection range 6.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area of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camera photographing range 8 and the tag detection range 6 as large as possible.

카메라부(54)는 카메라 촬영 범위(8) 내에 있는 이용자를 촬영한다. 이 카메라 촬영 범위(8) 내에 있는 이용자에게는, 통로(2)에서 문(3)으로 접근하는 이용자가 포함된다. 시선 검출부(55)는 카메라부(54)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해석하여, 카메라 촬영 범위(8) 내의 이용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미리 정해진 목표 범위 내를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The camera section 54 photographs the user in the camera photographing range 8. A user who is within the camera shooting range 8 includes a user who approaches the door 3 from the passage 2. The line-of-sight detecting section 55 analyze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ction 54 and detects the line-of-sight direction of the user in the camera photographing range 8.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gaze direction of the detected user is within a predetermined target range.

이 목표 범위는, 이용자가 문(3)을 열기 위해서 시선을 향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혹은, 시선을 향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목표물 및 그 주위로 정해진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목표 범위를 문(3)의 노브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로 한다. 또, 목표 범위의 다른 예로서는, 태그 리더(5)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 카메라부(54)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 문(3)의 안내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 등을 생각할 수 있다. This target range is required for the user to aim at the eyes to open the door (3), or to direct the gaze to the natural target and its surroundings.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target range is set to a certain range including the knob of the door (3). As another example of the target range, a certain range including the tag reader 5, a certain range including the camera unit 54, a certain range including the guide plate of the door 3, and the like can be considered .

시선 검출부(55)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시선 방향의 검출은, 먼저, 카메라부(54)에 의해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이용자의 얼굴을 추출하고, 이 추출한 얼굴의 방향을 검출함으로써 행해진다. 따라서 카메라부(54)는, 이용자의 얼굴을 보다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이용자의 평균적인 얼굴(머리)의 높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tection of the user's gaze direction in the line of sight detecting section 55 is performed by first extracting the face of the user fro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ction 54 and detecting the direction of the extracted fac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section 54 is disposed at the height position of the average face (head) of the user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can be captured more clearly.

또, 시선 검출부(55)에 있어서의 이용자의 시선 방향의 검출은, 카메라부(54)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이용자의 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정밀도 좋게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카메라부(54)는, 이용자의 눈을 보다 선명히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etection of the user's gaze direction in the gaze detection section 55 can reliably ensure that the user's eyes are included i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ection 54 with higher precis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amera section 54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s eyes can be taken more clearly.

또한, 전술한 것처럼, 카메라부(54)를 태그 리더(5)의 정면에 설치하는 경우, 즉, 카메라 일체형의 태그 리더로 하는 경우, 카메라부(54)의 바람직한 설치 위치는 곧 태그 리더(5)의 바람직한 설치 위치가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camera unit 54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ag reader 5,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a camera-integrated tag reader, the preferabl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mera unit 54 is the tag reader 5 ) Is preferable.

한편, 카메라부(54)를 태그 리더(5)와는 별도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카메라부(54)의 설치 위치와 태그 리더(5)의 설치 위치는 반드시 동일 지점이 아니어도 좋다. 즉, 태그 리더(5)와 카메라부(54)를 거리를 두고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mera unit 54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ag reader 5.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mera section 54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ag reader 5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point. That is, the tag reader 5 and the camera unit 54 may be disposed at a distance.

또, 카메라부(54)의 카메라 촬영 범위(8)는 고정식으로 할 수도 있지만, 카메라부(54)에 틸트 기능 및/또는 팬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촬영 범위(8)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카메라 촬영 범위(8)를 가변으로 했을 경우에는, 카메라 촬영 범위(8)에 따라서, 시선 검출부(55)가 시선 방향을 판정할 때의 목표 범위를 바꾸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amera photographing range 8 of the camera section 54 may be fixed, but the camera section 54 may be provided with a tilt function and / or a fan function so that the camera photographing range 8 can be changed good. When the camera photographing range 8 is made variable, the target range when the line of sight detection unit 55 determines the line-of-sight direction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amera photographing range 8.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카메라 촬영 범위(8)를 가변으로 함으로써, 목표 범위를, 문(3)의 노브부 주변과 문(3)의 안내 플레이트부 주변의 2종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선 검출부(55)는,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이들 2종류의 목표 범위 중 어느 쪽에 들어가 있으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를 향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Specifically, for example, by setting the camera shooting range 8 to be variable, the target range can be set to two kinds, that is, around the knob portion of the door 3 and around the guide plate portion of the door 3. Then, the line-of-sight detecting section 55 determines that the user's line of sight direction is within the target range when the user's line-of-sight direction falls into either of these two types of target ranges.

이상과 같이 하여 시선 검출부(55)에 있어서 행해진 이용자의 시선 방향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53)는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제어한다. 먼저, 통상, 제어부(53)는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정지시키고 있다. The control unit 53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user's sight line direction performed in the line of sight detecting unit 55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control unit 53 normally stops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

그리고 제어부(53)는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상태가,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인 시선 검출 유지 시간 동안 계속하여 검출되었을 경우에,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개시시킨다. 시선 검출 유지 시간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2초 정도로 설정한다. 시선 검출 유지 시간은 설정에 의해 적당하게 그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When the state in which the visual line direction of the user is within the target range is continuously detected by the visual-line detecting unit 55 during the visual-line retention holding time of a predetermined constant time, the control unit 53 instructs the LF electric- LF radio waves. Specifically, the visual line detection holding time is set to, for example, about 2 seconds. The visual-line detection holding time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etting.

또, 제어부(53)는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개시시킨 후,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상태가 검출되지 않게 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인 태그 검출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정지시킨다.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is started, the control section 53 stops the detec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visual line direction of the user is within the target range by the visual line detecting section 55,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is stopped after the tag detection holding time which is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53)는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개시시킨 후,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동안은,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계속하는 시간을 연장한다. 태그 검출 유지 시간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초 정도로 설정한다. 태그 검출 유지 시간은 설정에 의해 적당하게 그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In other words,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is started, while the state in which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is within the target range is detected by the line of sight detecting section 55, The time for continuing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is extended. Specifically, the tag detection holding time is set to, for example, about 5 seconds. The tag detection holding time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setting.

이 태그 리더(5)에 있어서의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 3을 참조하면서, 한번 더 설명한다. The flow of LF radio wave transmission control processing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in this tag reader 5 will be described once more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통상시에 있어서는,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은 정지되어 있다(스텝 S1). 그리고 스텝 S2에 있어서,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카메라 촬영 범위(8)에 들어간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First, at the normal time,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is stopped (step S1). If it is detected in step S2 that the visual line direction of the user entering the camera photographing range 8 is within the target r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

스텝 S3에 있어서는, 제어부(53)는 제1 타이머에 의한 계시(計時)를 개시한다. 이 제1 타이머는, 시선 검출 유지 시간의 경과를 재기 위한 것이다. 스텝 S3 후에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 있어서는, 제어부(53)는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In step S3, the control unit 53 starts counting by the first timer. This first timer is for recovering the lapse of the visual line detection holding time. After step S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 In step S4, the control unit 53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ight line detection unit 55 detects that the user's sight line direction is within the target range.

그리고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환언하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없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이 스텝 S5에 있어서는,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상태가 계속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제어부(53)는 제1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정지한다. 또한, 한 번 제1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정지하면, 제1 타이머에 의한 계시 상태는 초기 상태로 리셋된다. 스텝 S5 후에는, 스텝 S2로 돌아간다. If it is not detected that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within the target range, in other words, if it is detected that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not within the target r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 In this step S5,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within the target range does not continue, the control unit 53 stops counting by the first timer. Further, once the counting by the first timer is stopped, the counting state by the first timer is reset to the initial state. After step S5, the flow returns to step S2.

한편, 스텝 S4에 있어서,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 있어서는, 제어부(53)는 제1 타이머가 타임 아웃됐는지, 즉, 제1 타이머에 의한 시선 검출 유지 시간의 계시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cted in step S4 that the user's gaze direction is within the target r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 In step S6, the control unit 53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timer has timed-out, that is, whether or not the visual-timer holding time by the first timer is completed.

제1 타이머에 의해 시선 검출 유지 시간의 경과가 재어졌을 경우에는, 스텝 S7로 진행한다. 한편, 제1 타이머에 의해 계시된 경과 시간이, 아직 시선 검출 유지 시간에 이르러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로 돌아간다. 또한, 제1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면, 제1 타이머에 의한 계시는 정지되고, 그 계시 상태도 초기 상태로 리셋된다. When the lapse of the visual-line detection holding time is set by the first tim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psed time indicated by the first timer has not yet reached the sight detection holding tim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 Also, when the first timer times out, the first timer is stopped, and the timing state is also reset to the initial state.

스텝 S7에 있어서는, 제어부(53)는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개시시킨다. LF 전파의 송신이 개시됨으로써, 태그 검출 범위(6) 내에 있는 슬립 상태의 ID 태그는, 기동하여 식별 정보를 RF 전파로 발신하게 된다. In step S7, the control unit 53 starts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 By starting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s, the ID tag in the sleep state in the tag detection range 6 is activated to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F propagation.

스텝 S7 후에는 스텝 S8로 진행한다. 이 스텝 S8에 있어서는, 제어부(53)는 제2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개시한다. 이 제2 타이머는 태그 검출 유지 시간의 경과를 재기 위한 것이다. 스텝 S8 후에는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9에 있어서는, 제어부(53)는,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After step S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8. In this step S8, the control unit 53 starts counting by the second timer. This second timer is for recovering the elapsed time of the tag detection holding time. After step S8, the flow advances to step S9. In step S9, the control unit 53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ight line detection unit 55 detects that the user's sight line direction is within the target range.

그리고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에 있어서는, 제어부(53)는 제2 타이머에 의한 계시 상태를 초기 상태로 리셋한다. 즉, 제2 타이머에 의한 계시 상태는 스텝 S8에 있어서 계시를 개시한 상태로 되돌려진다. 스텝 S10 후에는 스텝 S11로 진행한다.If it is detected that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within the target r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 In step S10, the control unit 53 resets the counting state by the second timer to the initial state. That is, the timing state by the second timer is returned to the state in which the timing is started in step S8. After step S10, the flow advances to step S11.

한편, 스텝 S9에 있어서,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환언하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없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10를 거치지 않고 스텝 S11로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not detected that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within the target range in step S9, in other word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not within the target range, the process goes to step S11 without going through step S10 .

스텝 S11에 있어서는, 제어부(53)는 제2 타이머가 타임 아웃됐는지, 즉, 제2 타이머에 의한 태그 검출 유지 시간의 계시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2 타이머에 의해 태그 검출 유지 시간의 경과가 재어졌을 경우에는, 스텝 S1로 돌아간다. 한편, 제2 타이머에 의해 계시된 경과 시간이, 아직 시선 검출 유지 시간에 이르러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9로 돌아간다. 제2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면, 제2 타이머에 의한 계시는 정지되고, 그 계시 상태도 초기 상태로 리셋된다. In step S11, the control unit 53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timer has timed out, that is, whether or not the timing of the tag detection holding time by the second timer is completed. If the elapse of the tag detection and hold time is set by the second timer,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 On the other hand, if the elapsed time indicated by the second timer has not yet reached the visual detection holding time,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9. When the second timer times out, the second timer is stopped, and the timing state is also reset to the initial state.

또한, 스텝 S10에서 스텝 S11로 진행되었을 경우, 스텝 S10에 있어서, 제2 타이머는 리셋되기 때문에, 스텝 S11에 있어서는, 제2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이 되어, 스텝 S9로 돌아가게 된다. When the process advances from step S10 to step S11, since the second timer is reset in step S10, it is determined in step S11 that the second timer has not timed out,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9 .

또, 이상의 플로우에 있어서,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 LF 전파가 송신되는 것은, 스텝 S7에서 송신이 개시되고 나서 스텝 S1로 돌아가 송신이 정지될 때까지의 동안이다. 이 동안에 있어서, 태그 검출 범위(6) 내에 있는 ID 태그는, LF 전파를 수신하여 RF 전파를 발신한다. 즉, 이 스텝 S7이 실행되고 나서 스텝 S1이 실행될 때까지의 동안이 ID 태그를 검출하는 기간이 된다. In the flow described above, the LF radio wave is transmitted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until the transmission is stopped in step S7 and then returns to step S1. In the meantime, the ID tag within the tag detection range 6 receives the LF radio wave and transmits RF radio waves. That is, this is a period during which the ID tag is detec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execution of the step S7 to the execution of the step S1.

태그 리더(5)는,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추가로, 표시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표시부(56)는 태그 리더(5)의 동작 상태 등을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것처럼, 태그 리더(5)의 정면부에는, 인증 성공 표시 램프(56a), 인증 실패 표시 램프(56b) 및 시선 검출 표시 램프(56c)가 마련되어 있다. The tag reader 5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56 as shown in Fig. The display unit 56 is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tag reader 5 and the lik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an authentication success indication lamp 56a, an authentication failure indication lamp 56b, and a sight detection indication lamp 56c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tag reader 5.

ID 컨트롤러(7)에 있어서 식별 정보와 인증 정보의 대조에 성공하여, 인증 성공이 되었을 경우에는, ID 컨트롤러(7)로부터 태그 리더(5)로 인증에 성공했다는 취지의 신호가 송신된다. 제어부(53)는 인증에 성공했다는 취지의 신호를 받으면, 표시부(56)의 인증 성공 표시 램프(56a)를 점등시킨다.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successfully verified in the ID controller 7 and the authentication succeeds, a signal indicating that authentication succeeded is transmitted from the ID controller 7 to the tag reader 5. When the control unit 53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control unit 53 lights the authentication success indication lamp 56a of the display unit 56. [

또, ID 컨트롤러(7)에 있어서 식별 정보와 인증 정보의 대조에 실패하여, 인증 실패가 되었을 경우에는, ID 컨트롤러(7)로부터 태그 리더(5)로 인증에 실패했다는 취지의 신호가 송신된다. 제어부(53)는 인증에 실패했다는 취지의 신호를 받으면, 표시부(56)의 인증 실패 표시 램프(56b)를 점등시킨다. When the ID controller 7 fails to mat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fails, the ID controller 7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authentication has failed to the tag reader 5. When the control unit 53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authentication has failed, the control unit 53 turns on the authentication failure indicating lamp 56b of the display unit 56. [

그리고 카메라 촬영 범위(8) 내에 있는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검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53)는 표시부(56)의 시선 검출 표시 램프(56c)를 점등시킨다. When the sight line detecting section 55 detects that the user's sight line direction within the camera shooting range 8 is within the target range, the control section 53 sets the sight line detection display lamp 56c of the display section 56 Lights up.

이와 같이, 인증이 성공했는지 여부에 따라 인증 성공 표시 램프(56a) 또는 인증 실패 표시 램프(56b) 중 어느 것을 점등시키고, 또 시선 검출부(55)에 의한 이용자의 시선 방향의 검출 상태에 따라 시선 검출 표시 램프(56c)를 점등시킴으로써, 이용자는 이들 램프의 점등 상태를 확인하여, 인증 상태 및 시선 검출 상태를 알 수 있다. In this way, either the authentication success indicating lamp 56a or the authentication failure indicating lamp 56b is turned 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authentication has succeeded, and the visual line detect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tate of the user's gaze direction by the visual- By turning on the display lamp 56c, the user can confirm the lighting state of these lamps and know the authentication state and the sight line detection state.

또한, 표시부(56)로서는, 이상에서 예로 든 램프(LED)에 의해 구성하는 것 외,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 표시부(56)를 대신하여, 혹은 표시부(56)와 함께, 음성에 의해 알리는 스피커를 마련하고, 이 스피커로부터 버저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발생시킴으로써, 인증 상태 및/또는 시선 검출 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리도록 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display unit 56 may be configured by a lamp (LED) as described above, or by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peaker to be informed by voice in place of or in combination with the display unit 56 and generate a buzzer sound or a voice message from the speaker so that the authentication state and / And the like.

또한, 여기에서는,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개시시킨 후, 추가로,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 내에 있는 상태가 검출되지 않게 되고 나서, 미리 정해진 태그 검출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Here,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is started, the state in which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is within the target range is not detected by the line of sight detecting section 55, And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is stopped after a predetermined tag detection holding time has elapsed.

그러나 제어부(53)는,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개시시키고 나서, 태그 검출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즉, LF 전파 송신부(51)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개시시킨 후,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의 검출 상태에 관계없이 태그 검출 유지 시간의 계시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However, the control unit 53 may stop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after the tag detection and holdi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starts transmitting the LF radio wave good. That is,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from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section 51 is started, the visual line detecting section 55 may measure the tag detection holding time regardless of the detection state of the user's sight line direction.

또, 이상에 대해서는, 거실(1)로 입실할 때의 인증에 관해서 설명했다. 이것에 대해, 태그 리더(5)를 거실(1)의 내측에 마련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거실(1)로부터의 퇴실할 때의 인증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태그 리더(5)로부터의 LF 전파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regarding the above, the authentication when entering the living room 1 has been describ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tag reader 5 is provided inside the living room 1, the authentication at the time of leaving the living room 1 is similarly performed by using the LF propagation from the tag reader 5 Can be controlled.

이상과 같이 구성된 판독 장치인 태그 리더(5)는, 제1 무선 신호인 LF 전파를 수신하면 자신이 기억하는 식별 정보를 제2 무선 신호인 RF 전파로 송신하는 정보 기억 매체(ID 태그)에 기억된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다. Upon reception of the LF radio wave as the first radio signal, the tag reader 5, which is a read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therein i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ID tag) for transmitting the RF radio wave as the second radio signal And reads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그리고 이 판독 장치(태그 리더(5))는, 판독 장치에 접근하는 이용자를 촬영하는 촬상부인 카메라부(54)와,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미리 정해진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부(55)와, 시선 검출부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제1 무선 신호(LF 전파)를 송신하는 송신부인 LF 전파 송신부(51)와,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 발신된 제2 무선 신호(RF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인 RF 전파 수신부(52)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2 무선 신호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53)를 구비하고 있다. The reader (tag reader 5) includes a camera section 54, which is an image capturing section for capturing a user approaching the reading apparatus, and an image capturing section 54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user, (LF radio waves) when it is detected by the visual-line detecting unit that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arget range, and a line-of-sight detecting unit An RF radio wave receiving section 52 which is a receiving section for receiving a second radio signal (RF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a radio wave receiving section 52 for acqui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section And a control unit 53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이 때문에, 인증을 받을 의사가 없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판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인증을 받을 의사가 있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held by the user who does not intend to be authenticated from being read out, and to rea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possessed by the user who intends to be authenticated.

추가로, 인증을 받을 의사가 없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쓸데없이 판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태그 리더(5)로부터의 불필요한 LF 전파의 송신을 억제함과 아울러, ID 태그로부터의 불필요한 RF 전파의 발신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력 절약화 및 ID 태그에 내장된 전지의 장기 수명화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reading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possessed by the user who is not willing to be authenticated, thereby suppressing unnecessary transmission of LF radio waves from the tag reader 5,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emission of RF radio waves. Therefore, power saving and long life of the battery built in the ID tag can be expected.

또, LF 전파 송신부(51)는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선 검출 유지 시간 이상 계속됐을 경우에, 제1 무선 신호(LF 전파)를 송신한다. When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detects that the visual line direction of the user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arget range by the visual line detecting unit 55 for a predetermined time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visual line holding time, (LF radio waves).

따라서 인증을 받을 의사가 없는 이용자라도, 극히 짧은 시간 동안, 의도하지 않고 목표 범위 내에 시선을 향해 버렸을 경우에는, LF 전파를 송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인증을 받을 의사가 있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intend to be authenticated, the LF radio wav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when he / she is intentionally aimed at the target range for a very short time without inten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rea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possessed by the user who is willing to be authenticated.

또, LF 전파 송신부(51)는, 제1 무선 신호(LF 전파)를 송신한 후, 적어도 미리 정해진 태그 검출 유지 시간 이상 경과하고 나서 제1 무선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이 때문에, LF 전파를 받은 ID 태그로부터 송신되는 RF 전파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RF 전파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식별 정보의 판독 에러를 억제할 수 있다. Further, after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LF radio wave),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stops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at least after a lapse of at least a predetermined tag detection holding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time for receiving the RF radio wave transmitted from the ID tag that has received the LF radio wave and acqui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RF radio wave, and can further suppress the reading error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또, LF 전파 송신부(51)를, 제1 무선 신호(LF 전파)를 송신한 후, 시선 검출부(55)에 의해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지 않게 되고 나서, 태그 검출 유지 시간 이상 경과했을 경우에 제1 무선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고 있는 동안은 LF 전파의 송신을 연장하여 계속해서, 보다 확실하게 식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After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LF radio wave) to the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1, it is not detected that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arget range by the line of sight detecting unit 55, By stopping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radio signal when the detection holding time has elapsed,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transmission of the LF radio wave continuously while detecting that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arget rang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time for obta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추가로, 이상에서 설명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은, 이상과 같이 구성된 판독 장치인 태그 리더(5)와, 판독 장치의 제어부(53)에 의해 취득된 식별 정보와, 미리 기억된 인증 정보의 대조에 의해, 인증을 행하는 인증 장치인 ID 컨트롤러(7)와, 인증 장치에서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문의 시정 및 해정을 행하는 전기 자물쇠(4)를 구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ntry / exit management system is constituted by a tag reader 5, which is a reading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nd a reader / writer , An ID controller (7) as an authent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and an electric lock (4) for correcting and unlocking the inquiry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in the authentication device.

이 때문에, 문을 통행할 의사가 없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판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인증을 받아 문을 통행할 의사가 있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 통행 의사가 있는 이용자를 선별하여, 당해 이용자가 존재할 때만 ID 태그의 인증 및 문의 해정을 행함으로써, 의도하지 않는 문의 해정을 억제하여, 시큐리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held by the user who does not intend to pass through the door from being read, and to rea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 tag possessed by the user who intends to pass the door have. In addition, a user who is willing to pass is selected, authentication of the ID tag and unlocking of the ID tag are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is present, whereby unintentional unlocking of the inquiry can be suppressed and security can be improved.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이 기억하는 식별 정보를 제2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ID 태그 등의 정보 기억 매체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 및 이러한 판독 장치를 구비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ding device for rea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such as an ID tag for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therein upon receipt of a first wireless signal by a second wireless signal, Management system.

1: 거실, 1a: 출입구,
2: 통로, 3: 문,
4: 전기 자물쇠, 5: 태그 리더,
51: LF 전파 송신부, 52: RF 전파 수신부,
53: 제어부, 54: 카메라부,
55: 시선 검출부, 56: 표시부,
56a: 인증 성공 표시 램프, 56b: 인증 실패 표시 램프,
56c: 시선 검출 표시 램프, 6: 태그 검출 범위,
7: ID 컨트롤러, 71: 인증 정보 기억부,
8: 카메라 촬영 범위.
1: living room, 1a: entrance,
2: passage, 3: door,
4: electric lock, 5: tag reader,
51: LF radio wave transmitting unit, 52: RF radio wave receiving unit,
53: control unit, 54: camera unit,
55: eye-gaze detection unit, 56: display unit,
56a: authentication success indication lamp, 56b: authentication failure indication lamp,
56c: a sight detection display lamp, 6: a tag detection range,
7: ID controller, 71: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8: Camera shooting range.

Claims (6)

제1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자신이 기억하는 식별 정보를 제2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정보 기억 매체의 상기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로서,
판독 장치에 접근하는 이용자를 촬영하는 촬상부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의 시선(視線) 방향이 미리 정해진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시선 검출부와,
통상은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고, 상기 시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 발신된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판독 장치.
A reading device that read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that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therein by a second wireless signal upon receipt of the first wireless signal,
A line-of-sight detecting section that detects that the direction of a line of sight of the user is directed toward an inside of a predetermined target range,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by an imaging section that photographs a user approaching the reading apparatus;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radio signal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radio signal is stopped and it is detected by the line of sight detection unit that the direction of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arget range;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econd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a control unit for obta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시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선 검출 유지 시간 이상 계속됐을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판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first radio signal when the state in which the visual line direction of the user is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target range by the visual line detection unit ha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visual-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 후, 미리 정해진 태그 검출 유지 시간 이상 경과하고 나서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판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stops transmission of the first radio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ag detection and holding times have elapsed since the transmission of the first radio signal start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무선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시선 검출부에 의해 상기 이용자의 시선 방향이 목표 범위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지 않게 되고 나서, 상기 태그 검출 유지 시간 이상 경과했을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판독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first radio signal to the mobile station after the first mobile station has detected that the visual line direction of the user is directed toward the inside of the target range after the first radio signal is transmitted, And stops transmission of the first radio signa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식별 정보와, 미리 기억된 인증 정보의 대조에 의해, 인증을 행하는 인증 장치와,
상기 인증 장치에서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문의 시정 및 해정을 행하는 전기 자물쇠를 구비한 입퇴실 관리 시스템.
A rea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authentication device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by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reading device with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an electric lock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based on the authentication result in the authentication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목표 범위는, 상기 문의 노브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인 입퇴실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arget range is a certain range including the door knob.
KR1020157021678A 2013-01-22 2013-01-22 Reader device, and room entrance/exit management system KR1016799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1164 WO2014115243A1 (en) 2013-01-22 2013-01-22 Reader device, and room entrance/exit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438A KR20150106438A (en) 2015-09-21
KR101679998B1 true KR101679998B1 (en) 2016-11-25

Family

ID=5122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678A KR101679998B1 (en) 2013-01-22 2013-01-22 Reader device, and room entrance/exit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96043B2 (en)
KR (1) KR101679998B1 (en)
CN (1) CN104919473B (en)
WO (1) WO201411524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8456B2 (en) * 2018-01-12 2022-02-10 株式会社Fuji Storage device and storage method
JP6927099B2 (en) * 2018-03-13 2021-08-25 オムロン株式会社 Automatic ticket gates, ticket gate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JP7075702B2 (en) * 2018-06-15 2022-05-26 i-PRO株式会社 Entry / exit authentication system and entry / exit authentication method
JP7248129B2 (en) * 2019-08-22 2023-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Access control system wireless tag and access contro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1886A (en) * 2006-10-27 2008-05-15 Digital Electronics Corp Automatic door, screen display apparatus, screen display control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e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5869A (en) * 2004-03-25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dividual authentication system
JP2006099687A (en) * 2004-09-30 2006-04-13 Mitsubishi Electric Corp User authentication device
JP2006251946A (en) * 2005-03-09 2006-09-21 Omron Corp Entry management device
JP4793118B2 (en) * 2006-06-20 2011-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mart entry system
JP2009116600A (en) * 2007-11-06 200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Entering and leaving management system
JP5354655B2 (en) * 2009-02-23 2013-11-27 Necシステム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Gate control system and gate control method
CN201605898U (en) * 2009-03-16 2010-10-13 徐克林 Burglar alarm lock capable of photographing and sending short messages
US8242905B2 (en) * 2009-03-25 2012-08-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security level and signaling alarms in controlled areas
JP2011191812A (en) * 2010-03-11 2011-09-29 Hitachi Ltd Security device
JP5353776B2 (en) * 2010-03-15 2013-11-27 オムロン株式会社 Gate device
CN201974902U (en) * 2011-03-25 2011-09-14 山东卡尔电气股份有限公司 Video electronic cat eye alarm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1886A (en) * 2006-10-27 2008-05-15 Digital Electronics Corp Automatic door, screen display apparatus, screen display control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e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5243A1 (en) 2014-07-31
CN104919473A (en) 2015-09-16
KR20150106438A (en) 2015-09-21
CN104919473B (en) 2017-08-08
JP5896043B2 (en) 2016-03-30
JPWO2014115243A1 (en)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34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control proximity location
US11568695B1 (en) Information-based, biometric, asynchronous access control system
US10235854B2 (en) Tailgating detection in frictionless access control system
KR1023231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door entry using beacon signal
US20110013812A1 (en) Entrance control system having a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9998B1 (en) Reader device, and room entrance/exit management system
KR101374049B1 (en) Improved iris certification system and improved iris certification method
KR101795701B1 (en) Fac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of multiple identification
KR20150056711A (en)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access card and method
KR101548624B1 (en) Iris recognized syste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focusing of the iris and the method thereof
JP4909601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KR101407443B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6157417B (en) A kind of iris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smart lock and intelligent identifying system
JP4893161B2 (en) Alarm system
US20220368520A1 (en) Access control device, key device and key holder
JP2008009690A (en) Entry management device, access management device, and entry management method
CN210924713U (en)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iBeacon technology
US11978294B2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electronic lock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200044223A (en) Security service system using IOT-based smart door lock
JP2003253940A (en) Keyless entry system
JP5411776B2 (en) Access control system
JP6187386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JP4175056B2 (en)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portable terminal, personal authentication program
JP6895635B2 (en) Electric lock system and electric lock device
KR102340398B1 (en)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access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