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033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033B1
KR101676033B1 KR1020100001927A KR20100001927A KR101676033B1 KR 101676033 B1 KR101676033 B1 KR 101676033B1 KR 1020100001927 A KR1020100001927 A KR 1020100001927A KR 20100001927 A KR20100001927 A KR 20100001927A KR 101676033 B1 KR101676033 B1 KR 101676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ctivation
request
deactivation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661A (ko
Inventor
권종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0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033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00026 priority patent/WO2011083947A2/en
Priority to JP2012547951A priority patent/JP5599473B2/ja
Priority to CN2011800056603A priority patent/CN102696265A/zh
Priority to EP11731885.7A priority patent/EP2522184B1/en
Priority to CN201510644730.XA priority patent/CN105208641B/zh
Priority to US12/984,957 priority patent/US8509135B2/en
Publication of KR2011008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661A/ko
Priority to US13/949,375 priority patent/US9749948B2/en
Priority to JP2014009876A priority patent/JP5711829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4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qual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위 기지국은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Traffic Load)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근거로, 상위 기지국으로 상기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을 수용해줄 것을 요청하고, 상기 상위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백업 응답 메시지(Back-up Response Message)를 수신한 경우, 턴-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SUMPTION REDUCTION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두 개 이상의 기지국이 계층적으로 운영되는, 계층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 예로 도 1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위 기지국(100)과 하위 기지국(120)을 포함한다. 상기 상위 기지국(100)은 상기 하위 기지국(120)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를 포함하는 매크로 셀(Macro Cell)의 커버리지(11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하위 기지국(120)은 상기 상위 기지국(100)의 셀 커버리지(110) 내의 일부를 셀 커버리지(130)로 갖는다.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위 기지국(120)의 셀 커버리지(110) 내의 특정 지역(130)에서 트래픽(traffic) 양이 급증하는 경우, 해당 지역(130)에 설치된 하위 기지국(120)으로 인해 기지국 설비의 증설이나 재배치 없이 증가된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양(Traffic Load)은 일정 주기로(24시간 또는 일주일 등) 시간에 따라 변화된다. 즉, 업무 시간 대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이 빈번한 시간 대에는 사용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비교적 많은 양의 트래픽이 발생하고, 이와 반대로 심야 시간 대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트래픽이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용량(Capacity)은 트래픽 양이 가장 많은 시간 대에도 사용자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가장 많은 트래픽 양이 발생하는 시간 대의 트래픽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용량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트래픽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대에도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동작들을 수행한다. 상기 기본 동작들은 일 예로, 시스템 정보 송신, 제1 및 제2 동기 신호(Primary/Secondary Sync Signal) 송신,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송신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기지국에서는 상당한 양의 전력이 소모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최대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100%의 기준 전력을 소모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기준 전력 대비 약 52% 정도의 전력이 기본 동작 수행을 위해 계속 소모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트래픽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기본 동작의 수행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전력을 소모할 수 밖에 없다. 특히, 계층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하위 기지국이 사용됨에 따라, 해당 셀 내의 기지국들의 전력 소모는 더욱 증가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에 따라 다른 기지국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2 기지국들로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UE)에 의해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측정 보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과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셀 비활성화 요청은 상기 제2 기지국이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으로 결정된 경우 수신되며, 상기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UE)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지국들로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과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활성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셀 비활성화 요청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으로 결정된 경우 수신되며, 상기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활성화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은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과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은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에 있어서, 송신부와, 제1 기지국에 의해 활성화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고,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은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과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은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요청하는 일시 활성화 요청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UE)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에 근거하고,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에 모든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요청하는 일시 활성화 요청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일시 활성화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모든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UE)의 핸드오버 실행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인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은,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요청하는 일시 활성화 요청을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은, 모든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2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요청하는 일시 활성화 요청을,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UE)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에 근거하고,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고, 모든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에게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요청하는 일시 활성화 요청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일시 활성화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서 모든 신호에 대한 송수신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이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제2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위 기지국이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에 따라 상위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턴-온(ON) 또는 턴-오프(OF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사업자의 설비 투자 비용 대 운영 비용을 감소시켜 보다 경제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계층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Z 기지국의 턴-오프 동작이 수행되는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Z 기지국의 턴-온 동작이 수행되는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Z 기지국의 턴-오프 동작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Z 기지국의 턴-온 동작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Z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Z 기지국의 동작 모드 천이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Traffic Load)의 변화에 따라 상위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턴 온(TURN-ON) 또는 턴 오프(TURN-OFF) 동작을 수행하는 하위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기술을 포함한다.
계층적 셀 구조를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 예로, 상위 기지국인 매크로(Macro)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하위 기지국인 핫존(Hotzone, 이하 ‘HZ’ 라 칭함) 기지국이 포함된 계층적 셀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매크로 기지국과 피코(Pico) 기지국, 매크로 기지국과 펨토(Femto) 기지국, 매크로 기지국과 중계(Relay) 기지국 등이 포함된 계층적인 셀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HZ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대용량 데이터 트래픽 밀집 지역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 설치된 기지국을 말한다. 상기 HZ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셀 커버리지와 안테나 송신 출력은 매크로 기지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특성을 갖는다.
상기 HZ 기지국은 고층 건물이나 쇼핑몰 등 건물 내에 설치되거나, 캠퍼스, 놀이 공원이나 도심 오피스 지역 등 실외에 설치되는 등 지역의 특성과 설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HZ 기지국이 다음과 같이 운영되는 것을 가정한다.
- 업무/영업 시간 등 HZ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 트래픽 양이 많은 경우에는 HZ 기지국은 턴-온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 즉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 야간 또는 주말/휴일에 HZ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 트래픽 양이 적은 경우 HZ 기지국은 턴-오프된다. 그리고, 상기 HZ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던 UE는 상위 기지국인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되어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 업무/영업 시간 시작에 따라 HZ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 트래픽 양이 증가한 경우, 매크로 기지국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HZ 기지국 중 해당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의 증가가 예상되는 HZ 기지국을 감지하여 턴-온 시킨다. 상기 턴-온 된 HZ 기지국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UE에게 직접 서비스 제공한다.
한편, 상기 HZ 기지국의 동작은 크게 다음과 같은 2가지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HZ 기지국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이 임계값 이하로 감소한 경우,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턴-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턴-오프된 하위 기지국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트래픽 양이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턴-온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턴-오프 동작은 매크로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구성부(일 예로, X2, S1, 백홀(Backhaul) 인터페이스부 등)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부(일 예로, 무선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 등)의 전원을 종료시키는 동작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턴-온 동작은 상기 전원이 종료된 구성부의 전원을 다시 켜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처럼, 상기 HZ 기지국은 턴-오프 동작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턴-온 동작에 따라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UE에게 무선 통신에 따른 모든 신호들을 송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HZ 기지국의 2가지 동작이 수행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Z 기지국의 턴-오프 동작이 수행되는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매크로 기지국(Macro eNodeB)(200), 제1HZ 기지국(Hot Zone eNodeB)(210) 및 제2HZ 기지국(220)을 포함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205) 내에 존재하는 제1 및 제2HZ 기지국(210, 220)과 X2 인터페이스, S1 인터페이스 또는 백홀 등과 같은 기지국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과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210, 220)이 백홀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은 상기 백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210, 220)과 유선상으로 백홀 메시지 등을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210, 22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과 통신을 수행하며, 턴-온 또는 턴-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210, 220)은 턴-오프되더라도,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일 예로, 백홀 인터페이스는 계속 켜둔다.
도 2a에서 상기 제1HZ 기지국(210)은 셀 커버리지(215) 내에 UE가 존재하지 않음을 감지하고 턴-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HZ 기지국(220)은 셀 커버리지(225) 내에 UE(230)가 존재하더라도, 상기 셀 커버리지(225) 내의 트래픽 양이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턴-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셀 커버리지(225) 내의 UE(230)는 상기 제2HZ 기지국(220)이 턴-오프함에 따라,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과의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한편,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205) 내에 턴-오프된 HZ 기지국들의 리스트(이하 ‘턴-오프 HZ 리스트’라 칭함)(250)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도 2a에서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이 제1HZ 기지국(210) 및 제2HZ 기지국(220)의 정보를 턴-오프 HZ 리스트(250)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있는 것을 일 예로 보이고 있다.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및 제2HZ 기지국(210, 220)은 턴-오프 된 후, 도 2b에서와 같이 턴-온 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Z 기지국의 턴-온 동작이 수행되는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2a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a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HZ 기지국(210, 220)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210, 220)은 각각 자신의 셀 커버리지(215, 225) 내의 트래픽 양을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210, 220)은 각각 체크된 트래픽 양에 따라 턴-온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도 2a에서 상기 제1HZ 기지국(210)은 체크된 트래픽 양이 임계값보다 적다고 판단된 경우, 자신의 셀 커버리지(215) 내에 UE(213)가 존재하더라도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UE(213)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상기 제2HZ 기지국(220)은 도 2a에서 보다 셀 커버리지(225) 내의 UE가 증가하여 트래픽 양이 임계값보다 많아졌다고 판단된 경우, 턴-온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HZ 기지국(220)은 턴-온 된 후, 직접 자신의 셀 커버리지(225) 내 UE들(230, 240)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HZ 기지국(210)도 해당 셀 커버리지 내(215)의 트래픽 양이 증가할 경우, 스위칭 온 동작을 수행하여 직접 자신의 셀 커버리지(215) 내의 UE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200)은 상기 제2HZ 기지국(220)이 턴-온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턴-오프 HZ 리스트(250)에 상기 제2HZ 기지국(220)의 정보를 삭제한다. 이에 따라 상기 턴-오프 HZ 리스트(250)에는 상기 제1HZ 기지국(210)의 정보만이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턴-오프 HZ 리스트(250)에 턴-오프된 HZ 기지국의 정보로 HZ기지국의 식별 정보(Identifier, 이하 ‘ID’라 칭함)가 포함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Z 기지국의 턴-오프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Z 기지국의 턴-오프 동작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매크로 기지국(300), HZ 기지국(310) 및 UE(320) 간의 신호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3의 매크로 기지국(300), HZ 기지국(310) 및 UE(320)는 도 2a의 매크로 기지국(200), 제2HZ 기지국(220) 및 UE(230)에 대응된다.
HZ 기지국(310)은 330 단계에서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UE(320)와 상향링크(Uplink: UL) 및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HZ 기지국(310)은 332 단계에서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일 예로, 상기 HZ 기지국(310)은 최근 일정 시간 이내에 셀 내 사용자들에게 할당한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의 총합이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
상기 HZ 기지국(310)은 모니터링 결과, 상기 트래픽 양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임계값 이하로 나타나는 경우, 334 단계에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으로 백업 요청 메시지(Back-up Request Message)를 송신한다.
상기 백업 요청 메시지는 상기 HZ 기지국(310)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트래픽 양 정보에는 일 예로, 할당된 대역폭(Bandwidth)의 합 또는 할당된 서브 캐리어(Subcarrier)의 합 또는 할당된 자원 블록의 합 등과 같은 자원 할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HZ 기지국(310)은 기지국 전체를 관리하는 기지국 관리 엔티티, 일 예로 OA&M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서버로부터 자신의 상위 기지국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이라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HZ 기지국(310)은 핸드오버 준비(Preparation) 대상 기지국에 대한 빈도 수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빈도 수가 가장 높은 기지국을 자신의 셀 커버리지와 중첩(Overlay)되는 상위 기지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백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매크로 기지국(300)은 336 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자신의 남은 용량(Capacity)을 체크한 후, 상기 HZ 기지국(310)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을 추가로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338 단계에서 상기 HZ 기지국(310)과 UE(320)는 UL 및 DL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은 상기 HZ 기지국(310)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을 추가로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340 단계로 진행하여 백업 응답 메시지(Back-up Response Message)를 상기 HZ 기지국(310)으로 송신한다.
이와 달리,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은 상기 HZ 기지국(310)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을 추가로 수용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백업 실패 메시지(Back-up Failure Message)를 상기 HZ 기지국(310)으로 송신한다.
상기 HZ 기지국(310)은 상기 백업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으로 미리 설정된 백오프 시간(Tback_off_switch_OFF) 동안 백업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HZ 기지국(310)은 백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342 단계에서 송신 전력(TX Power)을 시간에 따라 단계적으로 감소시킨다. 상기 백업 응답 메시지는 상기 HZ 기지국(310)의 턴-오프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상기 HZ 기지국(310)이 시간에 따라 감소시켜야 하는 전력 감소량(△Preduction) 정보 및 송신 전력을 감소해야 하는 시구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HZ 기지국(310)은 상기 백업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근거로 스위칭 오프 동작을 수행해야 함을 판단하고, 상기 시구간 정보에 따른 매 단위 시간마다 상기 전력 감소량만큼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HZ 기지국(310)이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면, 상기 UE(320)는 상기 HZ 기지국(31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낮아짐을 감지하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함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UE(320)는 344 단계에서 상기 HZ 기지국(310)에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으로의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UE(320)는 상기 HZ 기지국(310)에 의해 강제로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으로 핸드오버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HZ 기지국(310)의 송신 전력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과 UE(320)는 346 단계에서 UL 및 DL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UE(320)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한편, 상기 HZ 기지국(310)은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시구간의 마지막 시점(Preduction_min)에 도달하면, 348 단계에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으로 백업 완료 메시지(Back-up Complete Message)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HZ 기지국(310)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으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다른 UE가 있을 경우, 해당 UE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으로 핸드오버 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HZ 기지국(320)은 상기와 같은 동작이 모두 완료된 후, 350 단계에서 턴-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HZ 기지국(320)으로부터 백업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매크로 기지국(300)은 352 단계에서, 턴-오프 HZ 리스트에 상기 HZ 기지국(310)의 ID를 추가하여 상기 턴-오프 HZ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상기와 같은 턴-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HZ 기지국(310)은 트래픽 양이 적은 경우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편의를 갖는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Z 기지국의 턴-온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층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Z 기지국의 턴-온 동작을 위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매크로 기지국(400), 제1HZ 기지국(410), 제2HZ 기지국(420) 및 UE(430) 간의 신호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4의 매크로 기지국(400), 1HZ 기지국(410), 제2HZ 기지국(420) 및 UE(430)는 도 2b의 매크로 기지국(200), 제1HZ 기지국(210), 제2HZ 기지국(220) 및 UE(230)에 대응된다.
또한, 도 4의 과정은 도 3과 같은 턴-오프 과정에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의 과정은 제1 및 제2 HZ 기지국(410, 420)이 모두 턴-오프되어 상기 제2HZ 기지국(420)이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으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440 단계에서 턴-오프 상태에 따라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인 제2HZ 기지국(420)의 셀 커버리지 내의 UE(430)와 UL 및 DL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상기 UE(430)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상기 UE(43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442 단계에서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일 예로,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최근 일정 시간 이내에 셀 내 사용자들에게 할당한 자원 블록의 총합이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임계값 이상인 경우, 444 단계에서 턴-오프 HZ 리스트에 저장된 HZ 기지국들 즉, 제1 및 제2HZ 기지국(410, 420)에게 임시 셀 활성화를 위한 턴-온 동작을 요청하는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이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410, 420) 중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을 분산시키기 위한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해 수행된다.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의 셀 커버리지 내의 턴-오프 상태인 제1 및 제2 HZ 기지국(410, 420)에게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의 턴-온 동작인 임시 턴-온 동작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 및 제2 HZ 기지국(410, 420)은 446 단계에서 임시 셀 활성화 요청에 대해 응답하는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410, 420)은 임시 턴-온 동작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으로 활성화 실패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상기 활성화 실패 메시지를 송신한 HZ 기지국을 트래픽을 분산할 턴-온 대상 기지국에서 제외한다.
상기 제1 및 제2 HZ 기지국(410, 420)은 상기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후, 각각 448, 450 단계에서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 내에 정의된 파라미터에 따라 임시 턴-온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는 임시 턴-온 동작이 수행되는 시구간 정보 및 송신 전력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HZ 기지국(410, 420)은 상기 시구간 정보에 따른 시구간 동안, 상기 송신 전력 정보에 따른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임시 턴-온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임시 턴-온 동작은 HZ 기지국 별로 다른 시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동일한 시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임시 턴-온 동작 동안,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410, 420)은 452 단계에서와 같이, 제어 채널을 통해 동기 신호 및 파일럿 신호와 같은 참조(Reference) 신호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지는 제어 신호를 상기 UE(43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UE(430)는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410, 420)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근거로, 자신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HZ 기지국을 식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UE(430)는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410, 42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의 크기 즉,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레벨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UE(430)는 상기 제1 및 제2HZ 기지국(410, 420) 중 더 큰 RSRP 레벨에 대응되는 기지국을 자신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HZ 기지국으로 식별한다.
도 4에서는 상기 UE(430)가 상기 제2HZ 기지국(420)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으므로, 상기 제2HZ 기지국(420)이 상기 UE(430)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HZ 기지국으로 식별된다.
상기 UE(430)는 454 단계에서, 상기 식별된 HZ 기지국의 정보 일 예로, 상기 제2HZ 기지국(420)의 ID와 앞서 측정된 RSRP 레벨 정보가 포함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측정 결과(measurement report)를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으로 보고한다.
그러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상기 UE(430)가 보고한 무선 환경 측정 결과를 근거로, 456 단계에서 턴-온 대상 HZ 기지국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상기 UE(430)가 보고한 무선 환경 측정 결과뿐만 아니라, 턴-온 후보 HZ 기지국 별 UE 수 및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정보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턴-온 대상 HZ 기지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상기 무선 환경 측정 결과에 포함된 HZ 기지국의 ID를 턴-오프 HZ 리스트 내에 저장된 HZ 기지국의 ID와 비교하여, 상기 UE(430)가 어느 HZ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상기 RSRP 레벨 정보를 근거로 해당 HZ 기지국의 무선 환경을 예측한다.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458 단계에서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인 턴-온 대상 HZ 기지국인 제2HZ 기지국(420)에게 턴-온 동작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460 단계에서 나머지 후보 HZ 기지국 즉, 제1HZ 기지국(410)에게는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해 턴-오프 동작을 지시하는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2HZ 기지국(420)은 462 단계에서 턴-온 동작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기지국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HZ 기지국(410)은 464 단계에서 임시 턴-온 동작을 종료하고 턴-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은 462 단계에서 턴-오프 HZ 리스트에 상기 제2HZ 기지국(420)의 ID를 삭제함으로써 상기 턴-오프 HZ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UE(430)는 468 단계에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에서 상기 턴-온 된 제2HZ 기지국(420)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상기 핸드오버 과정은 상기 454 단계에서 보고된 무선 환경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 또는 턴-온 된 상기 제2HZ 기지국(420)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UE(430)와 상기 제2HZ 기지국(420)은 470 단계에서 UL 및 DL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UE(430)는 상기 제2HZ 기지국(420)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도 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의 메시지들은 백홀을 통해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나타내며,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의 메시지들은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나타낸다. 즉,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 제1 및 제2HZ 기지국(410, 420) 간에는 백홀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이 수행되며, 상기 매크로 기지국(400), 제1 및 제2HZ 기지국(410, 420)과 UE(430) 간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무선 통신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은 송신부(500), 수신부(502), 백홀 인터페이스부(504), 메모리(506) 및 제어부(508)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500)는 UE로 DL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502)는 상기 UE로부터 송신되는 UL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504)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HZ 기지국들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506)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턴-오프된 HZ 기지국들의 리스트인 턴-오프 HZ 리스트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508)는 상기 송신부(500), 수신부(502), 백홀 인터페이스부(504) 및 메모리(506)를 제어하며,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8)는 HZ 기지국으로부터 백업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백업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트래픽 양 정보를 근거로, 자신의 남은 용량을 체크하여 상기 HZ 기지국의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508)는 상기 HZ 기지국의 트래픽을 추가로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백업 응답 메시지를 상기 HZ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8)는 상기 HZ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을 추가로 수용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백업 실패 메시지를 상기 HZ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508)는 상기 HZ 기지국 또는 상기 HZ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UE에 의한 핸드오버 요청이 있는 경우,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UE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8)는 상기 HZ 기지국으로부터 백업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HZ 기지국이 턴-오프되었음을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506)에 저장된 턴-오프 HZ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즉, 상기 제어부(508)는 턴-오프 HZ 리스트에서 해당 HZ 기지국의 ID를 삭제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508)는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HZ 기지국들이 모두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HZ 기지국들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UE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08)는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상기 제어부(508)는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임계값 이상인 경우, 턴-오프 HZ 리스트에 저장된 HZ 기지국들에게 턴-온 동작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8)는 상기 HZ 기지국들로부터 활성화 응답 메시지 또는 활성화 실패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8)는 상기 활성화 실패 메시지를 송신한 HZ 기지국을 트래픽을 분산할 턴-온 대상 기지국에서 제외한다.
상기 제어부(508)는 상기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HZ 기지국들 중 하나의 셀 커버리지 내에 포함된 UE로부터 무선 환경 측정 결과가 보고되면, 상기 보고된 무선 환경 측정 결과를 근거로 턴-온 대상 HZ 기지국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8)는 상기 턴-온 대상으로 결정한 HZ 기지국에게는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나머지 HZ 기지국에게는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508)는 턴-오프 HZ 리스트에서 상기 턴-온 대상으로 결정한 HZ 기지국의 ID를 삭제함으로써 상기 턴-오프 HZ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508)는 무선 환경 측정 결과를 보고한 UE가 상기 턴-온 대상으로 결정한 HZ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과정은 상기 보고된 무선 환경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508) 또는 상기 턴-온 대상으로 결정한 HZ 기지국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Z 기지국의 구성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Z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HZ 기지국은 송신부(600), 수신부(602), 백홀 인터페이스부(604) 및 제어부(606)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600)는 UE로 제어 신호를 포함한 DL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602)는 상기 UE로부터 송신되는 UL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백홀 인터페이스부(604)는 상기 HZ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송신부(600), 수신부(602) 및 백홀 인터페이스부(604) 를 제어하며, 상기 HZ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HZ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UE와 상향링크(Uplink: UL) 및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HZ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의 트래픽 양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트래픽 양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임계치 이하로 나타나는 경우,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백업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백업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미리 설정된 백오프 시간 동안 백업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백업 응답 메시지가 송신되면, 상기 백업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전력 감소량 정보 및 송신 시구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시구간 정보에 따른 매 단위 시간마다 상기 전력 감소량만큼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이 송신 전력이 감소되면, 상기 UE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UE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606)는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시구간의 마지막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백업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다른 UE가 있을 경우, 해당 UE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와 같은 동작이 모두 완료된 후, 턴-오프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606)는 턴-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활성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 내에 정의된 파라미터에 따라 활성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는 임시 활성화 동작이 수행되는 시구간 정보 및 송신 전력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시구간 정보에 따른 시구간 동안, 상기 송신 전력 정보에 따른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임시 턴-온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와 같은 임시 활성화 동작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 활성화 실패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임시 활성화 동작 동안, 제어 채널을 통해 동기 신호 및 파일럿 신호와 같은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UE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턴-온 동작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기지국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턴-오프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606)는 턴-온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UE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HZ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핸드오버 과정은 상기 보고된 무선 환경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매크로 기지국 또는 턴-온 된 상기 제어부(606)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UE와 UL 및 DL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상기 제어부(606)는 상기 UE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Z 기지국의 동작 모드의 천이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Z 기지국의 동작 모드 천이도를 보인 도면이다.
HZ 기지국는 도 7에 도시된 3가지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3가지 동작 모드는 턴-온 되어 UE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상 송수신 모드(700), 턴-오프 되어 UE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송수신 오프 모드(710) 및 일시적으로 상기 UE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임시 턴-온 모드(72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HZ 기지국은 턴-온 및 턴-오프 동작에 따라 모드 간 천이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턴-온 되어 정상 송수신 모드(700)로 동작하고 있는 HZ 기지국은 도 3의 348 단계에서와 같이 백업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730 단계), 턴-오프 동작을 수행하여 710 단계에서 송수신 오프 모드(710)로 천이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 오프 모드(710)로 천이한 HZ 기지국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732 단계), 턴-온 동작을 수행하여 정상 송수신 모드(700)로 천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과정에 타이머 기반 과정이 추가로 고려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HZ 기지국은 상기 송수신 오프 모드(710)로 천이한 경우, 타이머를 초기화 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정상 송수신 모드(700)로 천이한다. 그 후, 상기 HZ 기지국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트래픽 양이 임계값 이하가 될 경우,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턴-오프 과정에 따라 다시 송수신 오프 모드(710)로 천이한다.
또한, 송수신 오프 모드(710)로 진입한 HZ 기지국은 타이머를 초기화 한 후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도 4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송수신 오프 모드(710) 또는 정상 송수신 모드(700)로 천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HZ 기지국은 상기 송수신 오프 모드(710)로 동작하는 중에, 도 4의 446 단계에서와 같이 매크로 기지국이 송신한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활성화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734 단계), 임시 턴-온 모드(720)로 천이한다.
그리고, 상기 임시 턴-온 모드(720)에서 상기 HZ 기지국은 활성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시구간 정보와 송신 전력 정보를 근거로, 임시 턴-온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임시 턴-온 모드(720)의 HZ 기지국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736 단계), 턴-오프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송수신 오프 모드(710)로 천이한다.
이와 달리, 상기 임시 턴-온 모드(720)의 HZ 기지국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도 4의 458 단계에 나타난 바와 같은 활성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738 단계), 턴-온 동작을 수행하여 정상 송수신 모드(700)로 천이한다.
이처럼, 상기 HZ 기지국은 3가지 모드 천이 과정을 통해, UE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만족시키면서도,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2 기지국들로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기(UE)에 의해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측정 보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과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셀 일시 활성화 요청을 송신한 경우,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들 중에서 결정된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상기 활성화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들 중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제2 기지국들로는 상기 셀 비활성화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은 모든 신호들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을 위해 요청되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비활성화 기지국 리스트에서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셀 비활성화 요청은 상기 제2 기지국이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으로 결정된 경우 수신되며, 상기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셀 일시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은 모든 신호들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셀 비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을 위해 요청되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User Equipment: UE)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지국들로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과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셀 일시 활성화 요청을 송신한 경우,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들로부터 결정된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상기 활성화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들 중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들로는 상기 셀 비활성화 요청을 송신하며,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은 모든 신호들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을 위해 요구되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활성화 기지국 리스트에서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의 정보를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는 기지국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활성화 요청에 따라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UE)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셀 비활성화 요청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으로 결정된 경우 수신되며, 상기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기반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셀 일시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은 모든 신호들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셀 비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로 진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은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든 신호들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은 무선 자원 제어 측정을 위해 요구되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를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신호들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활성화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은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과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은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셀 일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은 모든 신호들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은 상기 제2 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셀 비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을 위해 요청되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비활성화 기지국 리스트에서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
  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UE)에 있어서,
    송신부와,
    제1 기지국에 의해 활성화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고,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은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과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은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셀 비활성화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의 진입을 위한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요청이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활성화 동작의 수행을 요청하는 셀 일시 활성화 요청인 경우,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은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활성화 동작은 모든 신호들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기지국들은 상기 제2활성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셀 비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활성화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을 위해 요청되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비활성화 기지국 리스트에서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요청하는 일시 활성화 요청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UE)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에 근거하고,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에 모든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의 기지국인,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에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 들어가기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비활성화 요청을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셀 커버리지를 가지며,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30. 제 27 항에 있어서,
    비활성화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 중 하나에 핸드오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3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요청하는 일시 활성화 요청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일시 활성화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모든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 들어가기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비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비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셀 커버리지를 소유하고,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에 대한 정보는, 비활성화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3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UE)의 핸드오버 실행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시그널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서빙 기지국인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은,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요청하는 일시 활성화 요청을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는,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은, 모든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2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실행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기지국인,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에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 들어가기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비활성화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실행 방법.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셀 커버리지를 소유하고,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실행 방법.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비활성화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실행 방법.
  3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요청하는 일시 활성화 요청을,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게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UE)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무선 자원 제어 측정 보고에 근거하고,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고, 모든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에게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 중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의 기지국인, 적어도 하나의 비활성화 대상 기지국에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 들어가기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비활성화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셀 커버리지를 소유하고,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42.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활성화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대상 기지국 중 하나에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기지국.
  4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에 대한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요청하는 일시 활성화 요청을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일시 활성화 요청에 의해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서 모든 신호에 대한 송수신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활성화 요청이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면, 상기 제2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신호는, 동기 신호 및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 들어가기 위한 비활성화 동작의 실행을 지시하는 비활성화 요청이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비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를 포함하는 셀 커버리지를 소유하고, 상기 전력 소모 감소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활성화 동작을 실행하는 기지국에 대한 정보는, 비활성화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00001927A 2010-01-08 2010-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KR101676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927A KR101676033B1 (ko) 2010-01-08 2010-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JP2012547951A JP5599473B2 (ja) 2010-01-08 2011-01-04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の電力消費を減少させる方法
CN2011800056603A CN102696265A (zh) 2010-01-08 2011-01-04 无线通信系统中减少基站的功耗的方法
EP11731885.7A EP2522184B1 (en) 2010-01-08 2011-01-04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1/000026 WO2011083947A2 (en) 2010-01-08 2011-01-04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510644730.XA CN105208641B (zh) 2010-01-08 2011-01-04 无线通信系统中减少基站的功耗的方法
US12/984,957 US8509135B2 (en) 2010-01-08 2011-01-05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3/949,375 US9749948B2 (en) 2010-01-08 2013-07-24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4009876A JP5711829B2 (ja) 2010-01-08 2014-01-22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の電力消費を減少させ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927A KR101676033B1 (ko) 2010-01-08 2010-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661A KR20110081661A (ko) 2011-07-14
KR101676033B1 true KR101676033B1 (ko) 2016-11-29

Family

ID=4425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927A KR101676033B1 (ko) 2010-01-08 2010-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509135B2 (ko)
EP (1) EP2522184B1 (ko)
JP (2) JP5599473B2 (ko)
KR (1) KR101676033B1 (ko)
CN (2) CN102696265A (ko)
WO (1) WO20110839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7607A1 (de) * 2007-11-28 2009-06-25 T-Mobile Internationale Ag Verfahren zur Reduzierung des Stromverbrauchs in einem Mobilfunknetz mit mindestens zwei Versorgungsebenen
US10609711B1 (en) * 2015-03-05 2020-03-31 Origin Wireless, Inc. Time-reversal scalability for high network densification
KR101676033B1 (ko) * 2010-01-08 201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US9549370B2 (en) * 2010-04-30 2017-01-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Home node identification, interference reduction, and energy savings
WO2011158298A1 (ja) * 2010-06-17 2011-12-2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装置、送信パラメータの調整方法
US9031530B2 (en) * 2010-11-08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in powering on sleeping network entities
US20120244869A1 (en) * 2011-03-21 2012-09-27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scaling for network energy savings
CN102695253B (zh) * 2011-03-25 2016-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站节能信息的传递方法及节能实现方法与系统
WO2012152335A1 (en) * 2011-05-12 2012-11-15 Nokia Siemens Networks Oy Saving energy in muliti - rat communication network
CN102781076B (zh) * 2011-05-13 2016-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异系统中小区节能控制方法和设备
ES2425638B1 (es) * 2011-05-26 2014-06-30 Telefónica, S.A. Método para la reselección de células y el traspaso entre célula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CN103609173A (zh) * 2011-07-26 2014-02-26 富士通株式会社 负载补偿方法、用于负载估计的测量方法、基站及用户设备
CN103026755B (zh) * 2011-07-29 2016-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接入网设备的方法及装置、接入网控制设备
KR20140046045A (ko) * 2011-08-16 2014-04-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력 제어 방법, 기지국 및 단말 장비
JP5948045B2 (ja) * 2011-11-25 2016-07-0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GB2497918A (en) * 2011-12-06 2013-07-03 Nec Corp HNB and HeNB of a dual mode base station having an internalinterface coupling over which they inform each other of whether they are in a power saving mode
JP5879991B2 (ja) * 2011-12-08 2016-03-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10085207B2 (en) * 2012-01-27 2018-09-2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improved energy-savings management
CN107105486B (zh) * 2012-03-13 2020-12-15 Lg电子株式会社 通信装置
US20130250908A1 (en) * 2012-03-23 2013-09-26 Nokia Siemens Networks Oy Base station power savings and control thereof
CN103369639A (zh) * 2012-03-26 2013-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站控制方法及设备、系统
US8805384B2 (en) 2012-04-27 2014-08-12 Intel Corporation Inter-rat coverage determination for energy saving management
GB2501718A (en) * 2012-05-02 2013-11-06 Fujitsu Ltd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by deactivating micro cells
WO2014000283A1 (zh) * 2012-06-29 2014-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制式网络的关闭方法、装置和系统
US9961660B2 (en) * 2012-08-08 2018-05-0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eactivating cells to improve positioning accuracy
WO2014029435A1 (en) * 2012-08-23 2014-02-27 Nokia Siemens Networks Oy Massive discovery of devices
DE102012215596B4 (de) * 2012-09-03 2023-07-06 Vodafone Holding Gmbh Abschaltung von Ressourcen eines Funkzugangsnetzes bei geringer Netzauslastung
WO2014040642A1 (en) * 2012-09-14 2014-03-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energy saving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O2014044310A1 (en) * 2012-09-20 2014-03-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improving resource utilization of a radio cell
KR20140051520A (ko) 2012-10-23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781161A (zh) * 2012-10-25 2014-05-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远距离覆盖基站的节能方法、装置及系统
US9888431B2 (en) * 2013-01-14 2018-0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cting small cell on basis of discovery signal
JP6090337B2 (ja) * 2013-01-23 2017-03-08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動作制御方法
WO2014141650A1 (ja) * 2013-03-15 2014-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WO2014161896A1 (en) * 2013-04-02 2014-10-09 Nec Europe Ltd. Method for operating a cellular radio access network and cellular radio access network
CN104105172B (zh) * 2013-04-03 2018-08-03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信息传输系统及方法
US20140301224A1 (en) * 2013-04-03 2014-10-09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mall cell measu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100437B2 (ja) 2013-04-05 2017-03-22 京セラ株式会社 動的な無線カバレッジエリア遷移の管理
CN104144480A (zh) * 2013-05-10 2014-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接入技术网络间互通方法和装置
EP2996374B1 (en) * 2013-05-10 2019-05-01 LG Electronics Inc. Method by which base station transmits signal for coverage coordin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CN104144445B (zh) * 2013-05-10 2019-03-01 株式会社Ntt都科摩 小区选择方法、基站和无线通信系统
WO2014204270A1 (ko) * 2013-06-21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커버리지 보상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96010B1 (ko) * 2013-07-03 2015-02-2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관리 방법
WO2015012584A1 (ko) * 2013-07-23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휴지 상태로의 전환 결정을 위해 커버리지 보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5035688A (ja) * 2013-08-08 2015-02-19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
US9426709B2 (en) * 2013-08-08 2016-08-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handling anchor-based mobility management
JP6096142B2 (ja) * 2013-08-08 2017-03-1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EP3031253A4 (en) * 2013-08-09 2017-03-22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s system radio coverage reconfiguration based on available capacity of a compensation cell
EP3035726B1 (en) 2013-08-12 2019-08-0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6209898B2 (ja) * 2013-08-12 2017-10-1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端末装置
CN104376025B (zh) * 2013-08-16 2017-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布式数据库的数据存储方法和装置
US9319940B2 (en) * 2013-08-29 2016-04-19 Sprint Spectrum L.P. Method of reducing active cellular connections in a wireless network
JP2015061262A (ja) * 2013-09-20 2015-03-3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5051837A1 (en) 2013-10-09 2015-04-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ounding reference signal based small cell activity control
KR101813062B1 (ko) 2013-12-05 2017-12-2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종 네트워크 에너지 절약 방법 및 장치
US20150163737A1 (en) * 2013-12-06 2015-06-11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urn-on and turn-off of wireless network
US10721720B2 (en) * 2014-01-30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Cell On-Off procedure for dual connectivity
WO2015115457A1 (ja) * 2014-01-31 2015-08-0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
KR102110583B1 (ko) * 2014-02-28 2020-05-14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소모 최적화 방법
WO2015142051A1 (ko) * 2014-03-18 2015-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몰 셀과 관련된 원인값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141726A1 (ja) * 2014-03-20 2015-09-24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US9461917B1 (en) * 2014-04-01 2016-10-04 Clearwire Ip Holdings Llc Controlling base station power statu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load
US9699722B2 (en) * 2014-06-27 2017-07-0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management
EP3195647B1 (en) * 2014-08-08 2020-10-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ng the number of cells to measure in a network with on/off cells
EP3197210B1 (en) * 2014-09-15 2020-07-08 Nanchang Coolpad Intelligent Technology Company Limited Quick transmission point handover method and handover device
US10327275B2 (en) * 2014-10-24 2019-06-18 Nokia Technologies Oy Network controlled and deployment based increased primary cell measurements
EP3262863A1 (en) * 2015-02-27 2018-01-0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GmbH & Co. KG Small cell activation in hetnet
US9883482B2 (en) * 2015-03-05 2018-0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of core network restart to wireless devices
CN106937340A (zh) * 2015-12-31 2017-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的切换方法和控制器、终端、基站以及系统
US10531313B2 (en) * 2016-07-15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user-equipment-to-user-equipment probe signal
WO2018020292A1 (en) * 2016-07-25 2018-0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centralized base station load balancing and power
JP6214122B1 (ja) 2016-12-27 2017-10-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通信経路切り替え方法
CN114557048B (zh) * 2019-08-16 2024-02-2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cu间拓扑适配的设备、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KR102068362B1 (ko) 2019-09-30 2020-01-20 정도권 프로브 카드 구조체
CN111083753A (zh) * 2019-11-08 2020-04-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切换装置及网络系统
CN111935806B (zh) * 2020-08-10 2024-04-30 河北电信设计咨询有限公司 基于业务感知的道路覆盖基站运行方法
CN114355870B (zh) * 2020-09-30 2023-11-07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自动工作系统及方法
CN112367697B (zh) * 2020-12-01 2022-07-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基站节能方法及装置
US11166231B1 (en) 2020-12-10 2021-11-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network congestion
CN112533270B (zh) * 2020-12-16 2022-09-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基站节能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GB2608268A (en) * 2021-06-10 2022-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ell configuration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230144939A1 (en) * 2021-11-08 2023-05-1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downlink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system
US11632271B1 (en) 2022-02-24 2023-04-18 T-Mobile Usa, Inc. Location-based channel esti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345288A1 (en) * 2022-04-22 2023-10-26 Dell Products L.P. Modifying radio unit operational paramet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326A (ja) 2004-03-02 2007-08-2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二重モード−二重帯域移動端末の異機種システム間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842A (ja) * 1996-11-08 1998-05-29 Nec Corp 無線基地局パワーセーブ移動通信システム
US6584330B1 (en) * 2000-07-18 2003-06-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power management for a node of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771693B (zh) * 2003-06-30 2010-06-02 诺基亚公司 在无线短程通信终端中控制功耗的方法、设备以及短程无线通信系统
JP4862582B2 (ja) * 2006-09-22 2012-01-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lan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47034B2 (ja) * 2007-01-09 2013-07-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送信電力決定方法
EP2056628A1 (en) * 2007-10-30 2009-05-06 Nokia Siemens Networks Oy 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and method of switching activity states
JP2009159355A (ja) 2007-12-27 2009-07-16 Softbank Bb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基地局の制御方法
US8676220B2 (en) * 2008-04-03 2014-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hierarchical cell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72914B2 (en) * 2008-05-08 2011-12-06 At&T Mobility Ii Llc Location survey for power calibration in a femto cell
US8082353B2 (en) * 2008-05-13 2011-12-20 At&T Mobility Ii Llc Reciprocal addition of attribute fields in access control lists and profiles for femto cell coverage management
US8280387B2 (en) * 2008-05-22 2012-10-02 Ntt Docomo, Inc. Femtocell channel assignment and power control for improved femtocell coverage and efficient cell search
US8687588B2 (en) * 2008-07-02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modes for femto cells
EP2141947B1 (en) * 2008-07-04 2013-01-02 Nokia Siemens Networks OY Dynamic re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in case of double coverage detection
US20100056184A1 (en) * 2008-08-26 2010-03-04 Motorola, Inc. Presence-aware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10071347A2 (en) * 2008-12-15 2010-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aving power of a femto base station using sleep period synchronization
KR20100070279A (ko) * 2008-12-17 2010-06-25 이용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US9900779B2 (en) * 2008-12-30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control of peer-to-peer communication
CN101541068B (zh) * 2009-05-12 2011-01-05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wlan网络的控制方法和设备
DK2468027T3 (da) * 2009-08-18 2013-10-21 Ericsson Telefon Ab L M Energibesparende mekanismer i et heterogentradiokommunikationsnetværk
WO2011085238A2 (en) * 2010-01-08 2011-07-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base stations and remote access points
KR101676033B1 (ko) * 2010-01-08 201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4326A (ja) 2004-03-02 2007-08-23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二重モード−二重帯域移動端末の異機種システム間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tsubishi Electric, Dynamic Setup of HNBs for Energy Savings and Interference Reduction, 3GPP TSG RAN WG3 Meeting #59bis, R3-080658(2008.03.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11829B2 (ja) 2015-05-07
EP2522184B1 (en) 2018-09-26
WO2011083947A3 (en) 2011-11-10
JP2013516884A (ja) 2013-05-13
US9749948B2 (en) 2017-08-29
JP5599473B2 (ja) 2014-10-01
EP2522184A4 (en) 2014-05-07
US8509135B2 (en) 2013-08-13
CN102696265A (zh) 2012-09-26
EP2522184A2 (en) 2012-11-14
WO2011083947A2 (en) 2011-07-14
JP2014068407A (ja) 2014-04-17
US20110170466A1 (en) 2011-07-14
CN105208641B (zh) 2019-04-05
US20130310040A1 (en) 2013-11-21
KR20110081661A (ko) 2011-07-14
CN105208641A (zh)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03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US11924745B2 (en) Distribution of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acc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JP657837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の通信制御方法及び装置
EP2397002B1 (en) Controlling cell activ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8543116B2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energy saving compensation
EP2397000B1 (en) Controlling cell activ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EP2114021B1 (en) Base station control
EP2446672B1 (en) Power saving in a radio base station by determining number of active and idle users camping on cell
EP2355594B1 (en) Controlling small cell base stations
US89712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nd adjustable energy savings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19062559A (ja) システム情報の配信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EP2777329A1 (en) Distribution of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acc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WO2010050321A1 (ja)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の制御方法、無線通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9070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dl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3141336A1 (ja) 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EP28179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nd adjustable energy saving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KR20060033843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비콘 신호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FA간 Hard Handoff 방법
JP2014179693A (ja) 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